전자출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7-11)

전자출판기능사
(2010-07-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출판론

1. 책의 발행인과 발행처, 저자와 저작권에 대한 공지사항을 명시한 지면은 무엇인가?

  1. 서문
  2. 헌사
  3. 간기면
  4. 감사의 말
(정답률: 80%)
  • 간기면은 책의 뒷면에 위치한 페이지로, 책의 발행인과 발행처, 저자와 저작권 정보 등 중요한 공지사항을 명시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책의 구성과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추가 정보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평판 제판을 할 때 판을 연마하는 목적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판의 표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2. 화선부의 보수성을 좋게 하기 위해
  3. 비화선부에 감광액 부착 및 잉크롤러의 미끄러짐을 도와주기 위해
  4. 판면의 오염 및 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해
(정답률: 70%)
  • 판면의 오염 및 산화물을 제거하는 것은 인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합니다. 오염된 판면은 인쇄물에 불필요한 노이즈나 불규칙한 패턴을 만들어내며, 산화물은 인쇄물의 색상과 명도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판을 연마하여 오염과 산화물을 제거하는 것은 인쇄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어떤 특정한 출판물을 조성하기 위한 최초의 의도적 과정으로, 어떤 유형의 출판물을 낼 것인가를 사전에 결정하는 작업은?

  1. 출판영업
  2. 출판기획
  3. 출판편집
  4. 출판유통
(정답률: 98%)
  • 출판기획은 어떤 특정한 출판물을 조성하기 위한 최초의 의도적 과정으로, 어떤 유형의 출판물을 낼 것인가를 사전에 결정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출판영업은 출판물을 판매하는 활동, 출판편집은 출판물의 내용을 편집하는 작업, 출판유통은 출판물을 유통시키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출판물의 제작 과정을 순서대로 옳게 나타낸 것은?

  1. 조판 → 제판 → 인쇄 → 제책
  2. 조판 → 제판 → 제책 → 인쇄
  3. 제책 → 제판 → 조판 → 인쇄
  4. 제판 → 조판 → 제책 → 인쇄
(정답률: 68%)
  • 정답은 "조판 → 제판 → 인쇄 → 제책"입니다.

    먼저, 조판은 출판물의 레이아웃을 디자인하고 텍스트와 이미지를 배치하는 작업입니다. 이후에 제판은 조판된 내용을 인쇄하기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작업입니다. 인쇄는 제판된 내용을 종이나 기타 매체에 인쇄하는 작업입니다. 마지막으로 제책은 인쇄된 내용을 책 형태로 제작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출판물의 제작 과정은 조판 → 제판 → 인쇄 → 제책 순서로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종이의 가장자리를 가지런하게 재단하지 않고 접지를 한 상태로 책을 만드는 제책 장식은?

  1. 언컷에지(uncut edge)
  2. 언셜(uncial)
  3. 파일 제책
  4. 무선철 제책
(정답률: 89%)
  • 언컷에지(uncut edge)는 종이의 가장자리를 가지런하게 재단하지 않고 접지를 한 상태로 책을 만드는 제책 장식입니다. 이는 종이의 원래 모양과 크기를 유지하기 때문에 언컷에지(uncut edge)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언컷에지와는 관련이 없는 제책 기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일반적인 플렉소용 감광성 수지판의 제작 공정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네거티브필름 → 뒷면빛쬠 → 주빛쬠 → 현상 → 건조 → 후처리 → 후빛쬠
  2. 네거티브필름 → 주빛쬠 → 현상 → 뒷면빛쬠 → 건조 → 후처리 → 후빛쬠
  3. 포지티브필름 → 주빛쬠 → 현상 → 건조 → 후빛쬠 → 뒷면빛쬠 → 후처리
  4. 포지티브필름 → 주빛쬠 → 현상 → 건조 → 뒷면빛쬠 → 후처리 → 후빛쬠
(정답률: 62%)
  • 일반적인 플렉소용 감광성 수지판의 제작 공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네거티브필름
    2. 뒷면빛쬠
    3. 주빛쬠
    4. 현상
    5. 건조
    6. 후처리
    7. 후빛쬠

    이 공정에서는 먼저 네거티브필름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만들고, 그 후에 뒷면빛쬠를 통해 이미지를 전달하는 빛을 만듭니다. 이어서 주빛쬠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감광시키고, 현상을 통해 이미지를 고정시킵니다. 건조를 거쳐 후처리를 하고, 마지막으로 후빛쬠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완성합니다. 이 공정을 통해 감광성 수지판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노란색(yellow)의 파장 범위에 대하여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1. 488~493nm
  2. 498~530nm
  3. 558~569nm
  4. 573~578nm
(정답률: 47%)
  • 노란색은 주파수가 높은 초록색과 낮은 주황색의 중간 색상입니다. 따라서 노란색의 파장 범위는 주황색과 초록색의 파장 범위 중간인 573~578n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국제표준연속간행물번호의 약어로 옳은 것은?

  1. ISO
  2. ISBN
  3. ISSN
  4. DOI
(정답률: 80%)
  • 정답은 "ISSN"입니다.

    - ISO: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약어로, 다양한 표준화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 ISBN: 국제표준도서번호(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의 약어로, 책의 고유 식별번호입니다.
    - ISSN: 국제표준연속간행물번호(International Standard Serial Number)의 약어로, 연속간행물(잡지, 신문 등)의 고유 식별번호입니다.
    - DOI: 디지털 객체 식별자(Digital Object Identifier)의 약어로, 온라인 상의 콘텐츠(논문, 보고서, 동영상 등)의 고유 식별번호입니다.

    따라서, 국제표준연속간행물번호의 약어는 ISS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먼셀표색계에서 먼셀의 5주요 색상이 아닌 것은?

  1. R(빨강)
  2. Y(노랑)
  3. P(보라)
  4. W(흰색)
(정답률: 96%)
  • 먼셀표색계에서는 색상을 빨강, 노랑, 파랑, 검정, 보라로 분류합니다. 따라서 흰색은 먼셀표색계에서 5주요 색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일반적인 오프셋인쇄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볼록판인쇄는 모두 평판 오프셋 인쇄기를 사용한다.
  2. 비화선부에 잉크가 묻어 고무통으로 전이된다.
  3. 판에서 종이로 전이되는 직접인쇄방식이다.
  4. 판통, 고무통, 압통의 3통이 접촉하면서 인쇄를 한다.
(정답률: 66%)
  • 판통은 인쇄할 이미지가 새겨진 판을 담는 통, 고무통은 판에서 잉크를 받아 종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고무로 된 통, 압통은 고무통과 종이 사이에서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통입니다. 이 세 통이 접촉하여 인쇄를 하게 됩니다. 따라서 "판통, 고무통, 압통의 3통이 접촉하면서 인쇄를 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단행본의 발행 목적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학술서
  2. 번역서
  3. 교양서
  4. 전문서
(정답률: 86%)
  • 번역서는 발행 목적이 번역이기 때문에 다른 세부적인 분류와는 별개로 존재합니다. 다른 세 가지 분류는 발행 목적에 따라 구분되는데, 학술서는 학문적인 지식을 전달하기 위한 책, 교양서는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지식을 전달하는 책, 전문서는 특정 분야의 전문 지식을 전달하는 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속장과 겉장을 연결하기 위한 제책 공정은?

  1. 재단
  2. 접지
  3. 장합
  4. 면지붙이기
(정답률: 72%)
  • 속장과 겉장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두 장의 직물을 붙여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공정이 면지붙이기입니다. 면지붙이기는 속장과 겉장을 붙이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면지라는 얇은 직물을 접착제와 함께 사용하여 두 장의 직물을 붙입니다. 이렇게 붙인 면지는 속장과 겉장을 강하게 연결시켜주며, 더 나은 내구성과 완성도를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도서의 반품조건부 위탁판매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위탁판매는 수요예측이 비교적 분명한 성격을 지닌 상품에 적절한 판매제도이다.
  2. 반품조건부라는 거래조건으로 인해 위탁 기간이 오래된 중고도서조차도 회수할 수밖에 없다.
  3. 서점은 위탁받은 출판물에 대한 위험부담이 없기 때문에 판매에 소극적이다.
  4. 위탁 판매는 일단 판매가 된 후에 대금 지불이 결정되므로 대금 회수가 길어질 수밖에 없다.
(정답률: 50%)
  • "서점은 위탁받은 출판물에 대한 위험부담이 없기 때문에 판매에 소극적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위탁판매는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계약으로, 판매대행자는 위탁받은 상품에 대한 책임과 위험부담을 지게 됩니다. 따라서 서점은 위탁받은 출판물에 대한 위험부담이 없다는 설명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제판용 감광재료는 빛과의 반응에 의해 상을 형성하는데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포지티브형 PS판은 주로 어떠한 광반응을 일으켜 상을 형성하는가?

  1. 광가교
  2. 광중합
  3. 광이량화
  4. 광분해
(정답률: 76%)
  • 제판용 감광재료인 포지티브형 PS판은 빛에 의해 광분해가 일어나면서 상을 형성합니다. 이는 빛에 의해 감광재료 분자가 분해되어 화학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이로 인해 상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같은 크기의 직사각형 빨강과 자주를 나란히 놓았을 때, 경계부근에서 빨강은 더욱 선명하고 깨끗하게 보이며, 경계면에서 먼 쪽은 탁해 보이는 현상은 주로 어떠한 대비현상 때문인가?

  1. 연변대비
  2. 색상대비
  3. 명도대비
  4. 채도대비
(정답률: 71%)
  • 이러한 현상은 연변대비 때문입니다. 연변대비란 서로 다른 색상이나 밝기를 가진 두 개의 구역이 인접해 있을 때, 그 경계 부근에서 대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빨강과 자주가 서로 다른 색상이며, 경계 부근에서 서로 대비가 강해지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이미 감광성을 주었다”라는 뜻을 가진 인쇄판은?

  1. 와이프온판
  2. PS판
  3. 난백판
  4. 스크린판
(정답률: 72%)
  • PS판은 이미지를 감광하여 인쇄에 필요한 부분을 만들어낼 수 있는 인쇄판입니다. 따라서 이미 감광성을 주었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잡지와 서적의 합성어로서 서적이면서도 저널한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많은 소재를 모아 편집하였고 광고가 있으며 다채롭게 레이아웃한 점이 잡지와 비슷하나 발행방식이 정기적이 아니라는 점이 특징인 것은?

  1. 총서(叢書)
  2. 무크(mook)
  3. 문고(文庫)
  4. 전집(全集)
(정답률: 68%)
  • 무크는 잡지와 서적의 합성어로, 잡지와 비슷한 레이아웃과 광고를 가지고 있지만 발행 주기가 정기적이지 않은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출판물의 기획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출판사의 성격
  2. 출판사의 자본 규모
  3. 삽입할 사진의 크기
  4. 대상 독자층
(정답률: 78%)
  • 출판물의 기획 단계에서는 출판사의 성격, 자본 규모, 대상 독자층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삽입할 사진의 크기는 디자인 단계에서 결정되므로 기획 단계에서는 크게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삽입할 사진의 크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인쇄 방식 중 일반적으로 잉크 피막의 두께를 가장 두껍게 할 수 있는 것은?

  1. 볼록판인쇄
  2. 스크린인쇄
  3. 평판인쇄
  4. 오모판인쇄
(정답률: 47%)
  • 스크린인쇄는 인쇄물의 표면에 잉크를 직접 스크린을 통해 전달하는 방식으로, 스크린의 구멍 크기와 형태를 조절하여 잉크의 양과 두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인쇄 방식에 비해 잉크 피막의 두께를 가장 두껍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특정한 출판아이디어에 따른 시장 점유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설문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어떤 독자를 대상으로 할 것인가?
  2. 독자는 어떤 이유에서 그 책을 구입할 것인가?
  3. 또 다른 유형의 경쟁서적이나 유사한 출판물이 있는가?
  4. 제판, 인쇄할 업체는 결정되었는가?
(정답률: 90%)
  • "제판, 인쇄할 업체는 결정되었는가?"가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이 질문은 이미 출판 아이디어가 확정되고, 출판물을 제작할 단계에 진입한 후에 해결해야 할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이 질문은 출판물 제작 단계에서 필요한 사항이지만, 출판 아이디어를 검증하고 시장 점유 가능성을 파악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출판

21. 다음 중 웹사이트 제작에서 저작도구의 활용 방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아이콘 방식
  2. 페이지 방식
  3. 넘버링 방식
  4. 시간축 방식
(정답률: 44%)
  • 넘버링 방식은 웹사이트 제작에서 사용되는 저작도구의 활용 방식이 아닙니다. 넘버링 방식은 문서나 책 등에서 페이지 번호를 매기는 방식으로, 웹사이트 제작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넘버링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이미지 파일 포맷으로만 낭려한 것은?

  1. EPS, TIFF, JPG
  2. BMP, PCX, HWP
  3. DOC, PRC, JPG
  4. DOC, PCX, JPG
(정답률: 87%)
  • EPS, TIFF, JPG은 모두 이미지 파일 포맷이지만, BMP, PCX, HWP, DOC, PRC은 이미지 파일 포맷이 아닌 다른 파일 형식이기 때문에 이미지 파일 포맷으로만 낭려한 것은 "EPS, TIFF, JPG"입니다. EPS는 벡터 이미지 파일, TIFF는 무손실 압축 이미지 파일, JPG는 손실 압축 이미지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전자출판물 매체의 성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쇄매체와 비교하여 내용의 장기 보관성, 검색성 등에서 우수하다.
  2. 소리와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이 제공되어 영상매체와 유사하다.
  3. 종이첵에 비해 보관이 용이하며 보존력이 뛰어나다.
  4. 인터넷 신문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정답률: 76%)
  • "인터넷 신문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전자출판물 매체의 성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인터넷 신문은 전자출판물 매체가 아니라 온라인 미디어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전자출판물은 종이 출판물을 전자적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인터넷 신문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자출판물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데이터의 특성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보관이 어렵다.
  2. 데이터의 복제가 손쉽다.
  3. 검색 기능을 갖출 수 없다.
  4. 데이터베이스(data base)화가 어렵다.
(정답률: 92%)
  • 전자출판물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데이터의 특성 중 데이터의 복제가 손쉽다는 것은 디지털 데이터를 복사하여 다른 장소나 기기에 쉽게 저장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디지털 데이터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로, 정보의 공유와 보호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전자출판의 유형은?

  1. CD-ROM 출판
  2. 패키지형 출판
  3. DTP 출판
  4. 온라인 출판
(정답률: 84%)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인쇄물을 디지털화하여 출판하는 것으로, 이는 DTP(Digital Publishing) 출판의 유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자출판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구성에서 CPU라고 하는 시스템의 총칭은?

  1. Mode
  2. Channel
  3. Saturation
  4. Gamut
(정답률: 54%)
  • CPU는 Central Processing Unit의 약자로,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앙 처리 장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CPU를 포함한 시스템의 총칭은 "Central Processing System"이 됩니다.

    보기 중에서 "Channel"은 컬러 관련 용어로, 색상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인 채널(Channel)을 의미합니다. 전자출판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출판의 전 과정에 걸친 업무가 신속히 진행되어야 성공의 가능성을 갖는 기획 유형은?(문제오류로 보기 내용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학한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 께서는 오류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 드립니다.)

  1. 입력장치
  2. 중앙처리장치
  3. 제어장치
  4. 출력장치
(정답률: 46%)
  • 문제 오류로 인해 보기 내용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보기 내용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추판매체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혼합성이 뛰어나 멀티미디어 정보 제작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다.
  2. 정보의 일부분이 전혀 손상되지 않으며,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3. 여러 사람이 실시간으로 동시에 정보에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다.
  4. 데이터에 유연성아 있으므로 다른 매체로 변환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정답률: 72%)
  • 정보의 일부분이 전혀 손상되지 않으며,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전자추판매체의 특징이 아니라 정보의 기본적인 특성입니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면 정보를 더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지만, 이는 전자추판매체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자출판을 위한 데이터의 입·출력 방식이 아닌 것은?

  1. 패러럴(Parallel)방식
  2. 오브젝트(Object)방식
  3. 시리얼(Serial)방식
  4. 파이어 와이어(Fire Wire)방식
(정답률: 57%)
  • 오브젝트(Object) 방식은 데이터를 객체(Object) 단위로 처리하는 방식으로, 전자출판에서도 객체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오브젝트 방식은 전자출판을 위한 데이터의 입·출력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자책(e-book)의 제작에 사용되는 언어방식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HTML
  2. PDF
  3. XML
  4. DRM
(정답률: 65%)
  • DRM은 디지털 저작물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기술로, 전자책 제작에 사용되는 언어방식이 아니라 저작권 관리 기술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HTML, PDF, XML보다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전자출판의 유형별 종류를 나열한 것 중 틀린 것은?

  1. 패키지형 전자출판 : CD-ROM, DVD-ROM
  2. 종이 출판물 : DTP
  3. 온라인형 전자출판 : 인터넷 도서관, CTS
  4. 온라인형 전자출판 : 인터넷 전자출판
(정답률: 64%)
  • 정답은 "온라인형 전자출판 : 인터넷 도서관, CTS"입니다. 이유는 인터넷 도서관과 CTS는 모두 온라인형 전자출판의 종류에 속하지만, 인터넷 도서관은 다양한 출판사의 전자책을 대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CTS는 기업이나 기관에서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전자출판물을 말합니다. 따라서 두 서비스는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그래픽전문 프로그램으로 3차원 모델링과 애니메이션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통합그래픽 프로그램은?

  1. 3D studio Max
  2. Director
  3. DTP
  4. illustrator
(정답률: 85%)
  • "3D studio Max"는 3차원 모델링과 애니메이션 작업에 특화된 그래픽전문 프로그램으로, 다른 보기인 "Director"는 멀티미디어 제작 도구, "DTP"는 출판물 제작 도구, "illustrator"는 2차원 그래픽 디자인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인터넷 출판의 정보 표현 언어가 아닌 것은?

  1. HTML
  2. XML
  3. JAVA
  4. Acrobat
(정답률: 90%)
  • 정답은 "Acrobat"입니다. Acrobat은 PDF 파일을 생성하고 편집하는 소프트웨어이며, 인터넷 출판의 정보 표현 언어가 아닙니다. HTML은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마크업 언어이고, XML은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전송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입니다. JAVA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HTML 미약한 기능을 보완하고, SGML의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시킨 것으로서 지금까지 사용해 왔던 HTML과 마찬가지로 웹상에서 문서를 전송하도록 설계된 국제 표준 텍스트 형식은 무엇인가?

  1. XML
  2. FLASH
  3. DOI
  4. FTP
(정답률: 81%)
  • XML은 HTML의 미약한 기능을 보완하고, SGML의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시킨 것으로서 웹상에서 문서를 전송하도록 설계된 국제 표준 텍스트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자출판시스템의 작업순서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문자입력→OPI서버→RIP→편집→이미지 세터→현상기
  2. 문자입력→RIP→이미지 세터→OPI서버→편집→현상기
  3. 문자입력→OPI서버→편집→RIP→이미지 새터→현상기
  4. 문자입력→편집→RIP→이미지 새터→OPI서버→현상기
(정답률: 60%)
  • 정답은 "문자입력→OPI서버→편집→RIP→이미지 새터→현상기" 입니다.

    전자출판시스템의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문자입력: 출판물에 들어갈 텍스트를 입력합니다.
    2. OPI서버: 고해상도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입니다.
    3. 편집: 텍스트와 이미지를 조합하여 출판물의 레이아웃을 만듭니다.
    4. RIP: 레이아웃을 인쇄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합니다.
    5. 이미지 새터: 고해상도 이미지를 저해상도 이미지로 변환합니다.
    6. 현상기: 인쇄를 위한 최종 출력물을 만듭니다.

    따라서, OPI서버와 RIP 사이에 편집 작업이 있어야 하며, 이미지 새터는 RIP 이전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래픽 이미지의 화상처리 및 기록 방식 가운데 벡터(Vector)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이미지의 구성이 점에 의해 이우어지는 방식이다.
  2. 이미지를 점들의 집합으로 처리하고 기억하는 방식이다.
  3. 확대하거나 축소해도 이미지 품질이 좋다.
  4. 이미지를 확대할 경우 정교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정답률: 80%)
  • 벡터 방식은 이미지를 점이 아닌 선과 면의 수학적 수식으로 처리하고 기억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해도 이미지의 품질이 좋습니다. 이는 이미지가 수학적 수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확대나 축소 시에도 수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화면책(Network Screen Book)을 만들 때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아닌 것은?

  1. 나모웹에디터
  2. 핫도그프로
  3. 각텔99
  4. 드림위버
(정답률: 69%)
  • 각텔99은 화면책(Network Screen Book)을 만들 때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아닙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화면책 제작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하이퍼링크의 구조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순차적 접근 방식으로만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2. 다양성을 바탕으로 선형구조를 지니며, 순차적 검색환경을 제공한다.
  3. 단방향 네트워크 방식으로 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4. 하이퍼링크에 의한 정보는 독자의 의도된 선택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정답률: 72%)
  • 하이퍼링크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로 즉시 이동할 수 있는 다양성과 비선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된 선택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하이퍼링크에 의한 정보는 독자의 의도된 선택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편집된 형태대로 최종 출력물을 얻을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하는 것은?

  1. HDTV
  2. WYSIWYG
  3. VIDEOTEXT
  4. TELETEXT
(정답률: 84%)
  • WYSIWYG는 "What You See Is What You Get"의 약어로,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편집된 형태대로 최종 출력물을 얻을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즉, 사용자가 작업한 내용이 화면상에서 어떻게 보이는지와 실제 출력물이 어떻게 나올지가 동일하다는 것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종이책 제작 과정의 전산화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WYSIWYG
  2. CTS
  3. CD-ROM
  4. DTP
(정답률: 50%)
  • CD-ROM은 종이책 제작 과정에서 사용되는 전산화 기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저장 매체이기 때문입니다. WYSIWYG는 편집기 기술, CTS는 인쇄 전사 기술, DTP는 디자인 및 레이아웃 기술로 종이책 제작 과정에서 사용되는 전산화 기술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산 편집

41. 디지털 방식에서 사용하는 화상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1인치당 망점(dot)의 수를 표시하는 것은?

  1. dpi
  2. contrast
  3. bit
  4. pdi
(정답률: 86%)
  • 정답은 "dpi"입니다.

    dpi는 "dots per inch"의 약자로, 1인치당 망점(dot)의 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디지털 화상에서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되며, 높은 dpi 수치일수록 화질이 더욱 선명해집니다. 따라서 디지털 화상에서 해상도를 표시하는 단위로 dpi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점, 선, 면과 기호 단위를 써서 통계의 내용이나 전달하고자 하는 부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하는 그림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심볼
  2. 캐리커처
  3. 캡션
  4. 다이어그램
(정답률: 74%)
  • 다이어그램은 점, 선, 면과 기호 단위를 사용하여 복잡한 정보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그림입니다. 이를 통해 통계의 내용이나 전달하고자 하는 부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이어그램이라는 용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출판 편집에서 편집면의 폭이 180mm, 2단 구성이고 단간이 10mm 이면 단폭은 얼마나 되겠는가?

  1. 65mm
  2. 75mm
  3. 80mm
  4. 85mm
(정답률: 69%)
  • 2단 구성에서 전체 폭은 180mm이므로, 한 단의 폭은 180mm/2 = 90mm이 됩니다. 단간이 10mm이므로, 단과 단 사이의 간격은 10mm씩 총 20mm이 됩니다. 따라서, 한 단의 폭에서 단과 단 사이의 간격을 빼면 실제 단폭은 90mm - 20mm = 70mm이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폭이 아닌 단간을 주어졌으므로, 실제 단폭은 70mm + 15mm(단간의 절반) = 85m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5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편집면을 세로로 분할하여 얻어지는 세로면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가름선(cutter)
  2. 단(column)
  3. 필드(field)
  4. 펼침면(spread)
(정답률: 75%)
  • 편집면을 세로로 분할하면 각각의 열이 생성되는데, 이 열을 단(column)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국전지를 8절로 잘라 만든 책으로 대부분 단행본보다는 디자인 계통의 잡지를 비롯하여 각종 여성 종합지, 전문 잡지 등에 많이 사용되는 규격은?

  1. 국배판형
  2. 사륙배판형
  3. 타블로이드판형
  4. 변형재단판형
(정답률: 74%)
  • 국전지를 8절로 자르면 각 절의 크기가 약 18cm x 25cm 정도가 되는데, 이 크기가 국배판형의 규격이다. 따라서 국배판형은 국전지를 8절로 자른 크기에 맞춰 제작된 규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편집디자인을 형태별로 분류한 것으로 잘못 연결된 것은?

  1. 롤 스타일 - 레터헤드, DM
  2. 시트 스타일 - 명함, 안내장
  3. 서적 스타일 - 단행본, 매뉴얼, 브로슈어
  4. 스프레드 스타일 - 카탈로그, 팸플릿, 일간 신문
(정답률: 68%)
  • 정답은 "롤 스타일 - 레터헤드, DM"입니다. 롤 스타일은 롤 형태의 디자인을 의미하며, 레터헤드와 DM은 종이 위에 인쇄되는 문서 디자인으로, 롤 형태의 디자인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롤 스타일과 레터헤드, DM은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출판물을 생산하기 위한 출판 활동을 순서대로 옳게 나타낸 것은?

  1. 마케팅 단계 → 제작단계 → 기획단계 → 편집단계
  2. 편집단계 → 마케팅 단계 → 기획단계 → 제작단계
  3. 기획단계 → 편집단계 → 제작단계 → 마케팅단계
  4. 기획단계 → 마케팅단계 → 제작단계 → 편집단계
(정답률: 82%)
  • 기획단계 → 편집단계 → 제작단계 → 마케팅단계가 옳은 순서입니다.

    출판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획이 필요합니다. 기획 단계에서는 출판물의 주제, 내용, 구성 등을 결정합니다. 그 다음으로 편집 단계에서는 기획된 내용을 바탕으로 편집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텍스트, 이미지, 그래픽 등을 조합하여 최종적인 내용물을 만듭니다. 제작 단계에서는 편집된 내용물을 인쇄물로 제작합니다. 마지막으로 마케팅 단계에서는 제작된 출판물을 홍보하고 판매를 촉진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광고, 판촉, PR 등의 활동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출판물을 생산하기 위한 순서는 기획단계 → 편집단계 → 제작단계 → 마케팅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사진원고는 인쇄방법과 종이에 따라 선수를 맞게 지정해 주어야 한다. 다음 중에서 아트지와 같이 고급지에 오프셋 인쇄할 때 가장 적합한 선수(lpi)는?

  1. 45
  2. 75
  3. 105
  4. 175
(정답률: 68%)
  • 아트지와 같이 고급지에 오프셋 인쇄할 때는 고해상도의 인쇄가 필요하므로 선수(lpi)가 높은 것이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150~200 lpi가 적합하며, 그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75 lpi이다. 따라서 정답은 "1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정가판매제에 대하여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도매서점이 최종 소비자 가격을 정하는 제도
  2. 소비자(독자)가 최종 소비자 가격을 정하는 제도
  3. 출판사가 최종 소비자 가격을 정하는 제도
  4. 국가가 소비자 보호원과 협의하여 최종 소비자 가격을 정하는 제도
(정답률: 63%)
  • 정가판매제는 출판사가 최종 소비자 가격을 정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출판사가 자신의 책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고, 독자들에게 공정한 가격을 제시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도매서점이나 소비자가 가격을 정하는 것이 아니라 출판사가 가격을 정하므로, 출판사의 이익과 독자의 이익을 모두 고려한 가격이 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사진원고를 지정할 때, 사진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상하, 좌우 윤곽을 결정하여 레이아웃하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트래핑
  2. 트리밍
  3. 러프스케치
  4. 일러스트레이션
(정답률: 82%)
  • 사진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상하, 좌우 윤곽을 결정하여 레이아웃하는 작업을 "트리밍"이라고 합니다. 이는 사진을 깔끔하고 보기 좋게 만들기 위해 필요한 과정으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사진의 주요 내용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편집기획 회의에서 결정된 내용과 제작 방법을 정한 뒤 페이지 순서대로 제목이나 내용 요약을 적어 놓은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편집배열표
  2. 레이아웃표
  3. 일러스트레이션
  4. 편집기획서
(정답률: 66%)
  • 편집배열표는 편집기획 회의에서 결정된 내용과 제작 방법을 페이지 순서대로 정리한 것으로, 페이지 레이아웃, 제목, 내용 요약 등을 포함하고 있어서 편집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문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레이아웃을 조직화하는 하나의 방편으로 면 또는 공간을 꾸미기 위해 적절히 분할된 격자선으로 출판물 레이아웃에서 효율적인 판면을 잡기 위한 기초 설계도의 역할을 하는 것은?

  1. 판권
  2. 그리드
  3. 마진
  4. 판형
(정답률: 87%)
  • 그리드는 출판물 레이아웃에서 면 또는 공간을 꾸미기 위해 적절히 분할된 격자선으로, 효율적인 판면을 잡기 위한 기초 설계도의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출판물 레이아웃에서 사용되는 용어이지만, 그리드와 같이 레이아웃을 조직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책의 판형에 대하여 그 크기를 잘못 나타낸 것은?

  1. 신국판 : 105 x 148㎜
  2. 크라운판 : 176 x 248㎜
  3. 4x6배판 : 188 x 257㎜
  4. 4x6판 : 127 x 188㎜
(정답률: 61%)
  • 정답은 "4x6배판 : 188 x 257㎜"입니다.

    신국판은 A6 크기인 105 x 148㎜이며, 크라운판은 B5 크기인 176 x 248㎜입니다. 4x6판은 B6 크기인 127 x 188㎜입니다.

    하지만 4x6배판은 존재하지 않는 판형입니다. 따라서 크기도 잘못 나타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단행본이나 잡지의 본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읽기 쉽고 안정감을 주는 문자의 크기는?

  1. 6.5포인트
  2. 7.5포인트
  3. 10.5포인트
  4. 16.5포인트
(정답률: 91%)
  • 성인의 시력은 대개 0.8 이상으로, 평균적으로 10.5포인트 크기의 글씨가 가장 읽기 쉽고 안정감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10.5포인트는 글자 크기와 가독성 사이의 균형점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성인 대상의 단행본이나 잡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레이아웃의 과정에서 완성원고를 작성하기 이전까지의 작업순서로 섬네일(thumbnail)을 기초로 하여 더욱 구체화하여 작성한 레이아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도미넌트(dominant)
  2. 스프레드(spread)
  3. 러프스케치(rough sketch)
  4. 콤프리헨시브(comprehensive)
(정답률: 52%)
  • 콤프리헨시브는 섬네일을 기초로 하여 더욱 구체화하여 작성한 레이아웃으로, 완성원고를 작성하기 이전까지의 작업순서에서 마지막 단계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콤프리헨시브(comprehensive)"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편집문서의 구조와 명칭에서 단(段)을 가로와 세로로 분할한 한 면의 단위(unit)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여백(margin)
  2. 펼친면(spread)
  3. 필드(field)
  4. 여백면(space)
(정답률: 73%)
  • 편집문서에서 단을 가로와 세로로 분할한 한 면의 단위를 필드(field)라고 부릅니다. 이는 각각의 필드에는 하나의 정보나 데이터가 들어가며, 이를 통해 문서를 구성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각각의 정보를 하나의 필드로 구성하여 문서를 작성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사진원고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본문의 이해를 돕기 위해
  2. 본문의 내용 가운데 특정 부분을 시각화하기 위해
  3. 지면의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4. 독자의 시선을 끌기 위해
(정답률: 89%)
  • 지면의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사진원고는 지면의 빈 공간을 채우고 시각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책등에 들어가는 내용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책제목
  2. 저자명
  3. 출판사명
  4. 발행인 명
(정답률: 83%)
  • 발행인 명은 책의 내용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책등에 들어가는 내용으로는 가장 적합하지 않습니다. 발행인 명은 출판사의 대표자나 책의 발행을 책임지는 담당자의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책의 내용과는 무관하며 출판사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사진원고 교정시 이미지를 밝게 처리하거나, 선명도 증가 효과, 윤관선 보강 등의 기능과 가장 관계없는 것은?

  1. Brightness
  2. Desaturation
  3. contrast
  4. Sharpen
(정답률: 68%)
  • Desaturation은 이미지의 색상을 제거하여 흑백 또는 회색조로 만드는 기능으로, 색상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가장 관계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잡지나 단행본의 색 지정에 있어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주된 독자층의 성별, 나이, 교육수분, 기호 등을 고려하여 지정한다.
  2. 독자에게 불안감, 초조감을 주는 배색 지정은 지양하는 것이 좋다.
  3. 종이의 재질에 따라 발색 효과의 차이를 고려해서 지정해야 한다.
  4. 색의 조합은 한 지면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종류를 사용하여 화려하게 지정한다.
(정답률: 95%)
  • "색의 조합은 한 지면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종류를 사용하여 화려하게 지정한다."는 유의사항이 아닙니다. 이유는 너무 많은 색의 조합은 독자에게 혼란스러움을 줄 수 있고, 지면이 지저분해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색의 조합을 선택하여 균형잡힌 디자인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