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출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10-03)

전자출판기능사
(2010-10-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출판론

1. 일반적인 출판물 유통의 3대 주체를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1. 출판사 - 유통업체(도소매 서점) - 독자
  2. 저자 - 출판사 - 유통업체(도소매 서점)
  3. 저자 - 유통업체(도소매 서점) - 독자
  4. 출판사 - 유통업체(도소매 서점) - 인터넷서점
(정답률: 76%)
  • 출판물의 유통 과정에서 출판사는 책을 제작하고, 유통업체(도소매 서점)는 책을 대량으로 구매하여 소비자에게 판매합니다. 독자는 책을 구매하여 소비합니다. 따라서 출판사 - 유통업체(도소매 서점) - 독자가 일반적인 출판물 유통의 3대 주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스크린 인쇄시 판이 막혀 인쇄가 잘되지 않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잉크 점도가 너무 높을 경우
  2. 용제를 잘못 선택했을 경우
  3. 잉크의 건조가 늦을 경우
  4. 잉크량이 부족할 경우
(정답률: 57%)
  • 스크린 인쇄시 판이 막히면 인쇄가 제대로 되지 않는데, 이는 잉크가 판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때 잉크의 건조가 늦으면 판에 잉크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인쇄가 잘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잉크의 건조가 늦을 경우가 가장 거리가 먼 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색상, 명도, 채도에 의해 색을 3차원 공간 속에 계통적으로 배열한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색입체
  2. 색상면
  3. 색상환
  4. 표색계
(정답률: 75%)
  • 색입체는 색을 3차원 공간 속에 배열한 것으로, 색상, 명도, 채도를 축으로 하여 색을 표현합니다. 따라서 색상면과 색상환은 2차원적인 색 표현 방식이며, 표색계는 색의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기기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명소시에서 비시감도가 가장 밝은 파장 범위는?

  1. 555nm
  2. 640nm
  3. 720nm
  4. 840nm
(정답률: 49%)
  • 명소시는 인간의 눈이 가장 잘 인식하는 녹색 광선을 가장 밝게 인식하는데, 이 광선의 파장은 약 555nm이다. 따라서 명소시에서 비시감도가 가장 밝은 파장 범위는 555n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인쇄기계의 3형식 중 인쇄 속도가 가장 빠르며, 업통과 판통사이의 접촉면이 가장 좁으므로 매우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형식은?

  1. 평압식
  2. 원압식
  3. 윤전식
  4. 회전식
(정답률: 54%)
  • 윤전식은 인쇄 속도가 가장 빠르며, 업통과 판통사이의 접촉면이 가장 좁아 매우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인쇄물의 질이 높고,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평판 제판법에 해당하는 것은?

  1. 그라비어
  2. 콜로타이프
  3. 사진 응용 스크린판
  4. 원색판
(정답률: 34%)
  • 콜로타이프는 평판 제판법 중 하나로, 인쇄용 판에 인쇄할 부분을 높이게 만든 부분과 낮게 만든 부분으로 구성된 판을 사용하여 인쇄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인쇄물의 질감과 깊이감을 높여주어 고품질의 인쇄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파랑(blue)의 파장 범위에 대하여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1. 467 ~ 483nm
  2. 493 ~ 498nm
  3. 569 ~ 573nm
  4. 597 ~ 640nm
(정답률: 38%)
  • 파랑(blue)은 467 ~ 483nm의 파장 범위를 가집니다. 이는 색깔의 파장이 짧을수록 파란색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493 ~ 498nm, 569 ~ 573nm, 597 ~ 640nm은 파란색보다는 녹색, 노란색, 주황색에 가까운 파장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감압지를 이용하여 앞쪽의 종이에 쓰인 내용이 필기의 압력에 의하여 아래쪽 종이에 복사되도록 하는 인쇄 방식은?

  1. 전사인쇄
  2. 카본인쇄
  3. 평압인쇄
  4. 라벨인쇄
(정답률: 58%)
  • 감압지를 이용하여 앞쪽의 종이에 쓰인 내용이 필기의 압력에 의하여 아래쪽 종이에 복사되는 인쇄 방식은 카본인쇄입니다. 카본지에 잉크가 칠해져 있고, 그 위에 감압지를 올려서 필기를 하면 감압지에 있는 잉크가 아래쪽 종이에 복사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PS판에 주로 사용되는 감광물질은?

  1. 디아조화합물
  2. 중크롬산암모늄
  3. 할로겐화은
  4. 염화은과 브롬화은
(정답률: 46%)
  • PS판은 광선에 반응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이를 위해 감광물질이 필요합니다. 디아조화합물은 PS판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감광물질 중 하나입니다. 이는 안정성이 높고, 빛에 노출되면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이미지를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판매시점 정보관리시스템의 약자로서 판매정보와 매입, 배송 등의 활동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컴퓨터로 처리하는 시스템은?

  1. POS시스템
  2. VAN 시스템
  3. JABA시스템
  4. IDE시스템
(정답률: 95%)
  • POS 시스템은 Point of Sale System의 약자로서, 판매시점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컴퓨터로 처리하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판매정보와 매입, 배송 등의 활동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처리하는데 적합한 시스템입니다. VAN 시스템은 전자상거래에서 사용되는 통신망 시스템, JABA 시스템은 자바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 IDE 시스템은 통합 개발 환경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특수인쇄로서 젤리틴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판하며 연속계조 사진판을 얻을 수 있어서 미술책, 엽서, 사진, 묵화 등의 정교한 복제에 사용되는 것은?

  1. 스크린 인쇄
  2. 액정 인쇄
  3. 콜로타이프 인쇄
  4. 비즈니스 폼 인쇄
(정답률: 56%)
  • 콜로타이프 인쇄는 젤리틴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판하며 연속계조 사진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정교한 복제에 사용됩니다. 스크린 인쇄는 메시를 이용하여 잉크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업물의 크기나 형태에 제한이 있습니다. 액정 인쇄는 디지털 인쇄 기술로서 색감이나 해상도 등의 품질이 높지만, 대량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비즈니스 폼 인쇄는 회사나 기업에서 사용하는 문서나 양식 등을 인쇄하는 것으로, 디자인적인 요소보다는 실용성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제책의 종류로 볼 수 없는 것은?

  1. 무선철
  2. 제함
  3. 호부장
  4. 중철
(정답률: 91%)
  • 정답은 "제함"입니다.

    "무선철"은 무선 통신을 위한 제책으로, "호부장"은 호텔에서 사용하는 열쇠 제책으로, "중철"은 중국에서 사용하는 종이 제책입니다.

    하지만 "제함"은 일반적으로 제책의 종류로 볼 수 없습니다. "제함"은 보통 큰 상자나 함을 의미하며, 보관용이나 운송용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제함"은 제책의 종류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어떤 특정한 일을 대상에 적용할 때 그에 걸맞는 정도로서, 창의의 결과를 어떻게, 어떤 대상에 적용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요건이 되는 것은?

  1. 적시성
  2. 적응성
  3. 적의성
  4. 채산성
(정답률: 74%)
  • 적의성은 어떤 대상에 적용할 때 그에 걸맞는 정도를 판단하는 요건으로, 대상의 특성과 상황에 맞게 적절한 창의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어떤 일에 대해 적의성이 높다면 그 일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을 창의적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출판기획의 요건 중 채산성과 관련하여 기업이익을 산출 할 때 저작권 사용료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조판 및 인쇄료
  2. 원고료
  3. 인세
  4. 사진, 삽화료
(정답률: 71%)
  • 조판 및 인쇄료는 출판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저작물의 저작권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기업이익을 산출할 때 저작권 사용료 항목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스크린판을 제작할 때 적정 빛쬠량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할로겐화은의 종류
  2. 감광막의 두께
  3. 광원의 밝기
  4. 광원과 판면 사이의 거리
(정답률: 78%)
  • 할로겐화은의 종류는 스크린판 제작 시 적정 빛쬠량을 결정하는 가장 거리가 먼 요인입니다. 이는 할로겐화은의 종류에 따라 빛의 세기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할로겐화은의 종류를 선택하여 적정 빛쬠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감광막의 두께, 광원의 밝기, 광원과 판면 사이의 거리는 모두 스크린판 제작 시 적정 빛쬠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지만, 할로겐화은의 종류보다는 짧은 거리에서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둥글림을 한 속장의 책등 모양을 가지런히 하여 귀를 내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배킹(backing)
  2. 쪽맞추기(gathering)
  3. 등굳힘(gluing)
  4. 고르기(pressing)
(정답률: 61%)
  • 배킹(backing)은 둥글게 만들어진 책등을 평평하게 만들기 위해 귀를 내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는 배킹(backing)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스크린사를 스크린틀에 사매기하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채움목고정 사매기
  2. 간접오토 사매기
  3. 스테이플러식 사매기
  4. 에어견장기 사매기
(정답률: 46%)
  • 간접오토 사매기는 스크린사를 자동으로 사매기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스크린틀에 사매기는 방법이 아닙니다. 스크린틀에 사매기는 스크린사를 스크린틀에 고정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제책 공정 중 한 권의 책 분량에 해당하는 쪽들을 순서대로 이어지도록 한 묶음씩 합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장합
  2. 실매기
  3. 다듬재단
  4. 등굳힘
(정답률: 82%)
  • 제책 공정 중 한 권의 책 분량에 해당하는 쪽들을 순서대로 이어지도록 한 묶음씩 합치는 것을 "장합"이라고 합니다. "장"은 책의 한 권을 이루는 쪽들을 뜻하고, "합"은 이 쪽들을 이어붙이는 작업을 뜻합니다. 따라서 "장합"은 책의 한 권을 완성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공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먼셀표색계에서 색을 표시할 때 HV/C 로 나타낼 경우, C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채도
  2. 명도
  3. 색상
  4. 계조
(정답률: 76%)
  • HV/C에서 C는 채도를 의미합니다. 채도는 색의 선명도나 진한 정도를 나타내는 요소로, 색의 순도를 나타냅니다. 다른 보기들은 HV/C에서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지지만, 채도는 HV/C에서 색을 표시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단행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행목적에 따라 학술서, 교양서, 전문서 등이 있다.
  2. 발행권수에 따라 단권 완결형, 복수권 완결형으로 분류한다.
  3. 단행본이란 소형의 경장본(주로 A6판)으로 대중보급을 목적으로 한다.
  4. 영업성 유무에 따라 판매품과 비매품으로 분류한다.
(정답률: 70%)
  • 단행본이란 소형의 경장본(주로 A6판)으로 대중보급을 목적으로 한다. 이유는 단행본은 대중에게 쉽게 접근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소형 경장본으로 제작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출판

21. 프린터 그래픽 정보를 보내기 위해 등장한 포스트스크립트 언어를 활용한 파일형식으로 텍스트로 그래픽 구조 및 폰트, 비트맵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1. PCM
  2. EPS
  3. MOV
  4. WAV
(정답률: 72%)
  • EPS는 포스트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하여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는 파일 형식입니다. 이는 프린터 그래픽 정보를 보내기 위해 등장한 것으로, 텍스트로 그래픽 구조, 폰트, 비트맵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PS가 정답입니다. PCM은 오디오 파일 형식, MOV는 동영상 파일 형식, WAV는 무손실 오디오 파일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디지털 저작물의 불법 복제를 막기 위해 책의 내용에 저작권의 고유 정보를 삽입하여 저작권 침해를 막는 기술은?

  1. 워터마킹
  2. DRM
  3. 패스워드
  4. 디지터라이징
(정답률: 67%)
  • 워터마킹은 디지털 저작물에 고유한 정보를 삽입하여, 불법 복제나 유포를 막는 기술입니다. 이 정보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디지털 저작물을 복제하거나 배포할 때 추적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저작권 침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뉴미디어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출판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1. 온라인 전자출판
  2. 패키지형 전자출판
  3. DTP 전자출판
  4. 종이 출판
(정답률: 62%)
  • 뉴미디어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출판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온라인 전자출판이다. 이는 인터넷을 통해 출판물을 전자적으로 제작, 편집, 배포하는 것으로, 독자들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출판물의 업데이트와 수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쇄, 배송 등의 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인 이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일반적으로 종이책과 모니터의 시지각적 정보표현을 비교하였을 때 옳지 않은 것은?

  1. 종이책은 대부분 표시면이 상하로 긴 사각 형태이며, 모니터는 표시면이 좌우로 긴 사각 형태이다.
  2. 종이책은 좌우로 페이지를 넘기면서 정보를 확인하지만 모니터는 상하로 스크롤하면서 정보를 확인한다.
  3. 종이책은 정보가 지면에 고착되어 있지만 모니터는 화면상에 정보가 유동적으로 표현된다.
  4. 종이책은 RGB로 색상을 표현하지만 모니터는 CMYK로 색상을 표현한다.
(정답률: 89%)
  • 종이책은 RGB로 색상을 표현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CMYK로 색상을 표현한다. RGB는 빛의 삼원색을 이용하여 색상을 표현하는 방식이고, CMYK는 인쇄물에서 사용되는 색상 모델로서,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검정(Black)을 이용하여 색상을 표현한다. 따라서, "종이책은 RGB로 색상을 표현하지만 모니터는 CMYK로 색상을 표현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전자출판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컴퓨터를 이용한 종이책 전자출판과 전자 매체를 이용한 비종이책 전자출판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2. 전자출판을 인쇄매체와 전자매체로 나눌 때 전자매체는 전자출판물과 전자통신출판으로 나눌 수 있다.
  3. 전자출판물로는 CD-ROM 이 있다.
  4. 전자통신출판으로는 휴대용 독서 단말기와 DTP가 있다.
(정답률: 58%)
  • 정답은 "전자통신출판으로는 휴대용 독서 단말기와 DTP가 있다."입니다. 이유는 DTP는 전자출판물을 제작하는 도구이며, 휴대용 독서 단말기는 전자출판물을 이용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전자통신출판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출판유통에서 서적의 유통경로로 틀린 것은?

  1. 출판사→도매서점→소매서점→독자
  2. 출판사→지정협동서점→출판협동조합→독자
  3. 출판사→인터넷 서점→독자
  4. 출판사→총판 · 특약점·지사→소매서점→독자
(정답률: 71%)
  • 출판사에서 출판한 책은 지정협동서점을 통해 출판협동조합으로 유통되고, 이후 독자에게 판매됩니다. 이는 출판사와 지정협동서점, 출판협동조합이 협력하여 책의 유통을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출판사→지정협동서점→출판협동조합→독자"가 올바른 서적의 유통경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인터넷 서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서점보다 검색이나 주문이 쉽다.
  2. 미국의 아마존이 대표적인 인터넷 서점이다.
  3. 국내 대형 서점에서도 인터넷 서비스를 하고 있다.
  4. 소비자 중심에서 생산자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
(정답률: 86%)
  • 소비자 중심에서 생산자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인터넷 서점은 기존의 일반서점과는 달리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상품을 생산하는 생산자 중심의 모델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맞춤형 상품 제작과 직접 판매를 통해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디지털 저작물 식별자 체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DTP
  2. DPI
  3. PDF
  4. DOI
(정답률: 74%)
  • 정답: DOI

    해설: DOI는 Digital Object Identifier의 약자로, 디지털 저작물을 식별하는 체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Desktop Publishing, Dots Per Inch, Portable Document Format의 약자로, 디지털 저작물 식별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자출판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TP : Desk나 Top Publishing
  2. CD-ROM :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3. e-Book : electronic book
  4. XML : extensible Made Language
(정답률: 66%)
  • XML은 "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약자이며, "Made"가 아닌 "Markup"이 맞는 용어입니다. XML은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마크업 언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종이책 전자출판에 관련된 용어가 아닌 것은?

  1. DBP
  2. CTS
  3. Paper Book CAP
  4. DTP
(정답률: 38%)
  • 정답: DBP

    설명: CTS는 "Copy Text System"의 약자로, 인쇄용 원고를 디지털화하여 전자출판물로 제작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Paper Book CAP는 "Paper Book Content Authoring Platform"의 약자로, 종이책을 전자출판물로 변환하기 위한 플랫폼을 말합니다. DTP는 "Desktop Publishing"의 약자로, 출판물 제작을 위한 디자인 및 레이아웃 작업을 말합니다. DBP는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인터넷에서만 발간되는 인터넷 전자잡지를 일컫는 말은?

  1. 웹진
  2. 사이트잡지
  3. 홈 사이트
  4. 웹 사이트
(정답률: 80%)
  • 웹진은 인터넷에서만 발간되는 전자잡지를 일컫는 말입니다. "사이트잡지"나 "홈 사이트"는 인터넷 사이트 전체를 가리키는 용어이며, "웹 사이트"는 인터넷 상의 모든 종류의 사이트를 일컫는 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캐쉬 메모리(Cache Memory)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PU의 외부에 설치해야 한다.
  2. CPU와 주기억 장치 사이에 존재한다.
  3. CPU가 즉시 사용해야 하는 데이터나 명령을 주기억장치로부터 가져와서 보관한다.
  4. 작업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용량이 편리하다.
(정답률: 61%)
  • "CPU의 외부에 설치해야 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캐쉬 메모리는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존재하며, CPU가 즉시 사용해야 하는 데이터나 명령을 주기억장치로부터 가져와서 보관합니다. 이를 통해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대용량일수록 효과가 더 좋지만, 적절한 용량과 속도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아크로뱃(Acrobat)에서 사용되는 파일 포맷으로서 이 포맷으로 저장된 파일은 색상, 그림, 글꼴 등 종이출판물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편집기법을 그대로 인터넷상에서 보여주기 때문에 전자출판물에 많이 활용되는 저장 형식은?

  1. HTML
  2. PDF
  3. SGML
  4. JepaX
(정답률: 79%)
  • PDF는 종이출판물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편집기법을 그대로 인터넷상에서 보여주기 때문에 전자출판물에 많이 활용되는 파일 포맷입니다. 색상, 그림, 글꼴 등을 포함하여 문서의 모든 요소를 보존하면서 크기가 작고 보안성이 높아서 인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자책(e-book)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책을 읽는 장치로 컴퓨터나 단말기가 필요 없다.
  2. 영어나 중국어 회화 등 어학 교재로는 부적당하다.
  3. 텍스트 미디어만 사용한다.
  4.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74%)
  • 전자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 음성,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를 포함할 수 있어서 더욱 풍부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산편집 작업 과정을 순서대로 옳게 나타낸 것은?

  1. 편집소재 확보→편집→기본틀 작성→필름 출력→프린트 교정→출력 데이터 정리
  2. 편집소재 확보→필름 출력→기본틀 작성→프린트 교정→편집→출력 데이터 정리
  3. 편집소재 확보→기본틀 작성→편집→프린트 교정→출력 데이터 정리→필름 출력
  4. 편집소재 확보→편집→프리트 교정→기본틀 작성→출력 데이터 정리→필름 출력
(정답률: 81%)
  • 정답은 "편집소재 확보→기본틀 작성→편집→프린트 교정→출력 데이터 정리→필름 출력" 입니다.

    먼저 편집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편집할 소재를 확보해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기본적인 레이아웃을 작성하는 기본틀 작성 단계가 있습니다. 이후에는 편집 작업을 진행하고, 프린트 교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출력할 데이터를 정리합니다. 마지막으로 필름 출력을 통해 최종적인 인쇄물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편집소재 확보→기본틀 작성→편집→프린트 교정→출력 데이터 정리→필름 출력"이 옳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전산편집용 프로그램으로 가장 부적합 것은?

  1. QuarkXPress
  2. Illustrator
  3. Freehand
  4. Flash Mx
(정답률: 57%)
  • Flash Mx은 주로 애니메이션 및 인터랙티브 웹 콘텐츠 제작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으로, 전산편집용으로는 부적합합니다. QuarkXPress, Illustrator, Freehand은 모두 전산편집용으로 적합한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페이지물 내지의 구성요소 중 재단선에서 여유선까지의 간격인 여유분은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

  1. 1mm
  2. 3mm
  3. 6mm
  4. 12mm
(정답률: 82%)
  • 여유분은 페이지물의 구성요소들이 자연스럽게 배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3mm의 여유분을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이는 너무 작아서 글자나 이미지가 잘리지 않으면서도 너무 크지 않아서 페이지물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인쇄기의 정확도나 종이의 특성 등에 따라 여유분이 부족하면 자잘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여유분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패키지형 전자출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든 정보가 전자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2. 기록되어 있는 내용을 보기 위해서는 전자장치가 필요하다.
  3. 검색과 내용 수정이 불가능하다.
  4. 항상 새로운 기술에 맞도록 기록된 정보를 보강하거나 변환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정답률: 77%)
  • 정답은 "검색과 내용 수정이 불가능하다." 이유는 패키지형 전자출판은 CD-ROM, DVD 등의 물리적인 매체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검색과 내용 수정이 불가능하다. 또한, 패키지형 전자출판은 정적인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항상 새로운 기술에 맞도록 기록된 정보를 보강하거나 변환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DTP 방식에서 문자인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미 존재하는 텍스트를 읽어 입력할 수 있게 하는 것은?

  1. Disk Doubler
  2. Frame Editor
  3. Norton Disk Editor
  4.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정답률: 69%)
  • DTP 방식에서 문자인식프로그램은 이미지나 인쇄물 등에서 문자를 인식하여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텍스트로 변환해주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이미 존재하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기술을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OCR)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온라인상에서 파일을 전송하는 프로토콜은?

  1. DOI
  2. HTML
  3. FTP
  4. XML
(정답률: 66%)
  • FTP는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온라인상에서 파일을 전송하는데 사용됩니다. DOI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 HTML은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XML은 확장 가능한 마크업 언어로, 파일 전송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산 편집

41. 본문의 정렬방식 중에서 오른쪽과 왼쪽을 어간 자르기를 하여 글줄의 중간에 중심을 두고 대칭이 되도록 하는 정렬 방식은?

  1. 왼쪽 맞추기
  2. 오른쪽 맞추기
  3. 양쪽 맞추기
  4. 가운데 맞추기
(정답률: 68%)
  • 가운데 맞추기는 양쪽에 공백을 삽입하여 글줄의 중간에 중심을 두고 대칭이 되도록 정렬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이 방식은 글자 수가 다른 문장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할 수 있어 가독성이 좋고, 디자인적으로도 균형잡힌 느낌을 주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이미지가 72ppi의 해상도를 갖는다면 가로 세로 각각 1인치의 정사각형의 이미지를 나타내는데 몇 개의 픽셀이 사용된다는 의미인가?

  1. 72
  2. 144
  3. 5184
  4. 7200
(정답률: 51%)
  • 72ppi의 해상도는 1인치당 72개의 픽셀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로 세로 각각 1인치의 정사각형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가로와 세로 각각 72개의 픽셀이 필요합니다. 이를 곱하면 72 x 72 = 5184개의 픽셀이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518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Yo, Te, LY, YA 등과 같이 글자와 글자 사이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줄임으로서 조판하였을 때 글자와 글자 사이의 공간이 균등하게 남도록 하는 것은?

  1. 커닝(Kerning)
  2. 스파인(spine)
  3. 다이그라프(digraph)
  4. 스템(stem)
(정답률: 67%)
  • 커닝은 글자와 글자 사이의 공간을 조절하여 균등하게 맞추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설명한 상황과 일치하므로 정답은 "커닝(Kerning)"입니다. 스파인은 글자의 중심선을 말하며, 다이그라프는 두 개의 글자가 합쳐진 것을 말합니다. 스템은 글자의 세로줄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레이아웃 형태 중 일반적으로 좌우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똑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 대칭형의 상태를 말하는 것은?

  1. 애시미트리
  2. 시미트리
  3. 글로스
  4. 놈브르
(정답률: 68%)
  • 시미트리는 좌우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는 "symmetry(대칭)"이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시미트리는 대칭적인 모양을 가지고 있어서 미러 이미지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미트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출판기획 유형 중 꾸준한 판매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기획 의도가 반영된 출판 모형으로서 “장기간 잘 팔리는 책”이란 의미로 쓰이는 유형은?

  1. fast seller
  2. best seller
  3. worst seller
  4. steady seller
(정답률: 69%)
  • "Steady seller"는 꾸준한 판매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출판 모형을 의미합니다. 즉, 출간 후 장기간에 걸쳐 일정한 판매량을 유지할 수 있는 책을 말합니다. 이에 비해 "fast seller"는 출간 직후에 빠른 판매를 보이지만, 이후 판매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책을 의미하며, "best seller"는 출간 후 일정 기간 동안 매우 높은 판매량을 기록한 책을 의미합니다. "Worst seller"는 판매량이 매우 낮은 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알파벳 글자 중 ff, fi, ffi 등과 같이 2개 이상의 글자가 한 단위로 결합되어 합자된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픽셀(Pixel)
  2. 리가츄어(ligature)
  3. 링크(link)
  4. 로어케이스(lowercase)
(정답률: 80%)
  • 리가츄어(ligature)는 알파벳 글자 중 2개 이상의 글자가 한 단위로 결합되어 합자된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ff"나 "fi"와 같은 경우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책이나 잡지의 사진, 그림 등을 설명하는 짧은 글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브로슈어
  2. 캡션
  3. 꼬리글
(정답률: 83%)
  • 캡션은 책이나 잡지의 사진, 그림 등을 설명하는 짧은 글로, 해당 이미지의 내용이나 의미를 간략하게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는 주제를 나타내는 글이고, 브로슈어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는 데 사용되는 작은 책자를 의미하며, 꼬리글은 글의 끝에 추가되는 짧은 메모나 서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사진의 배치방법을 설명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은 사진들은 지면에 흩어 놓는 것이 시각적 효과가 크다.
  2. 컬러와 흑백의 대조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3. 연결되는 내용의 본문 가까이에 배치한다.
  4. 사진 속의 사람의 시선을 고려하여 배치한다.
(정답률: 75%)
  • "작은 사진들은 지면에 흩어 놓는 것이 시각적 효과가 크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작은 사진들을 지면에 흩어 놓으면 시각적으로 다양한 위치에서 눈에 띄기 때문에 더욱 눈에 잘 띄고 인상적인 효과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사진의 배치 방법에 대한 다양한 팁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 보기는 특정한 배치 방법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는 조금 다른 성격을 띠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국전지를 8절로 잘라 만든 책으로, 단행본보다는 각종 잡지 등에 사용하는 판형은?

  1. 타블로이드 형
  2. 사륙배판형
  3. 국배판형
  4. 국판형
(정답률: 64%)
  • 국전지를 8절로 잘라 만든 책은 국배판형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국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판형으로, 국전지를 8절로 잘라 만든 크기가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국배판형은 각종 잡지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잡지의 효과적인 타이포그래피 적용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능한 한 많은 종류의 글자체와 글자 크기를 사용한다.
  2. 서체의 사용은 가능한한 규격화되지 않은 자유로운 형태를 사용한다.
  3. 가독성은 사용하는 글자체, 글자의 크기, 글줄의 길이에 좌우된다.
  4. 타이포그래피는 잡지 특성을 규정시킬 만큼의 시각적 도구는 될 수 없다.
(정답률: 81%)
  • 가독성은 사용하는 글자체, 글자의 크기, 글줄의 길이에 좌우된다. 이는 글자체가 너무 작거나 크면 읽기 어렵고, 글줄이 너무 길면 눈이 피로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잡지에서는 가능한 한 적절한 크기와 길이의 글자체를 선택하여 사용하며, 이를 통해 가독성을 높이려고 노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국전지를 접지하여 만들어지는 판형들을 가장 옳게 배열한 것은?

  1. 국반판 - 국판 - 신국판 - 국배판
  2. 국반판 - 신국판 - 크라운판 - 타블로이드판
  3. 신국판 - 크라운판 - 국배판 - 타블로이드판
  4. 30절판 - 신국판 - 국배판 - 타블로이드판
(정답률: 65%)
  • 국전지는 국반판, 국판, 신국판, 국배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을 가장 옳게 배열한 것은 "국반판 - 국판 - 신국판 - 국배판" 입니다. 이유는 국반판은 국판과 신국판 사이에 위치하며, 국배판은 신국판 이후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크라운판과 타블로이드판은 국전지를 구성하는 판형이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30절판은 국전지를 구성하는 판형 중 하나이지만, 국반판, 국판, 신국판, 국배판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일반적으로 투과원고에 해당되는 것은?

  1. 슬라이드 필름
  2. 컬러인화지
  3. 인쇄물
  4. 수채화그림
(정답률: 78%)
  • 슬라이드 필름은 투과성이 높아서 빛을 통과시키는데 적합하며,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나 슬라이드 스캐너 등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투과원고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서체의 역사적 변화에 근거한 일반적인 분류 체계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모던(Modern)체의 시각적 특성을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1. 획 굵기의 대비가 아주 작으며, 거의 수직에 가까운 스트레스와 날카롭고 조금 경사진 까치발 세리프가 특징이다.
  2. 획 굵기의 대비가 아주 작으며, 스트레스를 거의 주지 않고, 두껍고 사각진 세리프가 특징이다.
  3. 획 굴기의 대비가 아주 작으며, 비스듬한 스트레스와 경사진 까치발 세리프, 표준적인 굵기가 특징이다.
  4. 획 굵기의 대비가 대단히 크고, 수직 스트레스와 매우 가느다란 세리프가 특징이다.
(정답률: 32%)
  • 모던체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부터 등장한 서체로, 기존의 세리프가 크고 곡선적인 서체와는 달리 획 굵기의 대비가 대단히 크고, 수직 스트레스와 매우 가느다란 세리프가 특징입니다. 이는 산업화와 기계화로 인해 인쇄 기술이 발전하면서 더욱 선명하고 깔끔한 인쇄물이 필요해진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책의 구성요소 중 일반적으로 뒷부분에 들어갈 요소가 아닌 것은?

  1. 참고문헌
  2. 차례
  3. 판권
  4. 후기
(정답률: 90%)
  • 일반적으로 책의 뒷부분에는 참고문헌, 판권, 후기 등이 포함되지만, 차례는 책의 앞부분에 위치하여 책의 내용을 구성하는 각 장(chapter)이나 절(section)의 제목과 페이지 번호를 나열한 목록이기 때문에 뒷부분에 들어가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잡지의 내용 구성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표지 - 광고 차례 - 본문 - 판권
  2. 표지 - 본문 - 용어해설 - 차례
  3. 표지 - 본문 - 부록 - 판권 - 속표지
  4. 표지 - 속표지 - 광고 - 본문 - 차례
(정답률: 87%)
  • 잡지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표지부터 시작하여 광고 차례, 본문, 그리고 판권 순으로 이루어진다. 표지는 잡지의 대표 이미지를 보여주며, 광고 차례는 광고를 소개하는 페이지이다. 본문은 잡지의 주요 내용을 담고 있는 페이지이며, 판권은 잡지의 저작권 정보를 담고 있는 페이지이다. 따라서 "표지 - 광고 차례 - 본문 - 판권"이 가장 적절한 내용 구성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인쇄물의 선수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쇄물의 종류(신문, 잡지, 단행본 등)
  2. 잉크 색
  3. 인쇄용지
  4. 원고의 종류
(정답률: 60%)
  • 잉크 색은 인쇄물의 선명도와 색감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다른 요인들보다 더욱 먼 거리의 영향을 미칩니다. 인쇄물의 종류나 인쇄용지, 원고의 종류는 모두 인쇄물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만, 잉크 색은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 )안의 ①, ②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① 월(月) ② 정기적
  2. ① 월(月) ② 부정기적
  3. ① 주(週) ② 정기적
  4. ① 주(週) ② 부정기적
(정답률: 67%)
  • 이 그림은 매주 일정한 주기로 이자가 지급되는 예금 상품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①에는 "주(週)"가, ②에는 "정기적"이 들어가야 합니다. "월(月)"은 한 달에 한 번 지급되는 예금 상품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부정기적"은 일정한 주기 없이 불규칙하게 지급되는 예금 상품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레이아웃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질감은 2차원적인 공간 표면의 촉감을 말한다.
  2. 면은 레이아웃의 구성 요소를 강조, 지시, 분리, 연결하는 요소이다.
  3. 명암은 시각적으로 높이와 깊이를 부여하여 입체감이 나게 한다.
  4. 공간은 구성 요소의 사이와 주변으로 구성 요소를 분리하거나 독자들에게 시각적인 휴식을 준다.
(정답률: 38%)
  • 면은 레이아웃의 구성 요소를 강조, 지시, 분리, 연결하는 요소이다. (정답)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난외주(marginal note)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두주
  2. 할주
  3. 각주
  4. 방주
(정답률: 47%)
  • 정답은 "할주"입니다.

    난외주(marginal note)는 본문 옆에 작은 글씨로 적힌 주석을 말합니다. 이 중 "두주"는 본문 위나 아래에 작은 글씨로 적힌 주석을 말하며, "각주"는 본문 끝에 번호를 매겨서 해당 번호와 함께 본문 아래에 작은 글씨로 적힌 주석을 말합니다. "방주"는 본문 안에 삽입된 이미지나 표 등에 대한 설명을 작은 글씨로 적은 주석을 말합니다.

    하지만 "할주"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용어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도서규격 중 4x6배판의 크기와 가장 가까운 것은?

  1. 210 x 297㎜
  2. 127 x 188㎜
  3. 182 x 257㎜
  4. 788 x 1091㎜
(정답률: 45%)
  • 4x6배판은 101.6 x 152.4㎜의 크기를 가지며,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것은 182 x 257㎜이다. 이는 4x6배판의 가로와 세로 길이를 각각 1.8배와 1.7배로 늘린 크기로, 가장 근접한 비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4x6배판과 크기가 너무 차이가 나거나, 비율이 맞지 않아 가장 가까운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