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7-10)

자동차정비기능사
(2016-07-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자동차공학

1. 디젤기관의 연소실 형식으로 틀린 것은?

  1. 직접분사식
  2. 예연소실식
  3. 와류식
  4. 연료실식
(정답률: 67%)
  • 정답은 "연료실식"입니다. 디젤기관의 연소실 형식으로는 직접분사식, 예연소실식, 와류식이 있습니다. 연료실식은 존재하지 않는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밸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이다.
  2. 연소실 온도를 낮추기 위한 장치이다.
  3. 증발가스를 포집하였다가 연소시키는 장치이다.
  4. 질소산화물(NOx) 배출을 감소하기 위한 장치이다.
(정답률: 65%)
  • 정답은 "증발가스를 포집하였다가 연소시키는 장치이다."입니다. EGR 밸브는 배기가스를 일부 재순환하여 연소실 내부 온도를 낮추고, 이로 인해 질소산화물(NOx) 배출을 감소시키는 장치입니다. 증발가스를 포집하고 연소시키는 것은 다른 장치인 캐닝 시스템(Canister Syste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가솔린 기관의 흡기 다기관과 스로틀 보디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서지탱크의 역할 중 틀린 것은?

  1. 실린더 상호간에 흡입공기 간섭 방지
  2. 흡입공기 충진 효율을 증대
  3. 연소실에 균일한 공기 공급
  4. 배기가스 흐름 제어
(정답률: 71%)
  • 서지탱크는 흡입공기 충진 효율을 증대하고, 연소실에 균일한 공기 공급을 위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배기가스 흐름 제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배기가스 흐름 제어는 배기 다기관과 캐닝 밸브 등을 이용하여 제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자제어 연료분사 가솔린 기관에서 연료펌프의 체크 밸브는 어느 때 닫히게 되는가?

  1. 기관 회전 시
  2. 기관 정지 후
  3. 연료 압송 시
  4. 연료 분사 시
(정답률: 73%)
  • 연료펌프의 체크 밸브는 기관 회전 시에 열리고, 기관 정지 후에 닫힙니다. 이는 기관이 정지된 상태에서 연료가 엔진실린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기관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연료가 불필요하게 유입되어 연료소모가 증가하고, 불필요한 배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료펌프의 체크 밸브는 기관 정지 후에 닫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기관에 사용하는 윤활유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마멸 작용
  2. 기밀 작용
  3. 냉각 작용
  4. 방청 작용
(정답률: 67%)
  • 마멸 작용은 윤활유가 부식물질이나 오염물질을 분해하거나 제거하는 작용을 말합니다. 하지만 기관에 사용하는 윤활유는 부식물질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 부품들 사이에서 마찰을 감소시켜서 마모를 줄이고,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마멸 작용은 윤활유의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가솔린기관 압축압력의 단위로 쓰이는 것은?

  1. rpm
  2. PS
  3. kgf/cm2
(정답률: 79%)
  • 가솔린기관에서 압축압력은 힘의 단위인 kgf와 면적의 단위인 cm2를 곱한 kgf/cm2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압축압력의 단위로 kgf/cm2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압력식 라디에이터 캡을 사용하므로 얻어지는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1. 비등점을 올려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2. 라디에이터를 소형화 할 수 있다.
  3. 라디에이터의 무게를 크게 할 수 있다.
  4. 냉각장치 내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정답률: 79%)
  • 압력식 라디에이터 캡은 냉각수의 비등점을 올려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라디에이터의 무게를 크게 할 수 있다는 것은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유는 압력식 라디에이터 캡은 라디에이터 내부의 압력을 높여 냉각수의 비등점을 올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라디에이터의 무게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실린더의 안지름이 100㎜, 피스톤 행정 130㎜, 압축비가 21일 때 연소실용적은 약 얼마인가?

  1. 25cc
  2. 32cc
  3. 51cc
  4. 58cc
(정답률: 57%)
  • 연소실용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연소실용적 = 실린더 부피 / (압축비 - 1)

    여기서, 실린더 부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실린더 부피 = (안지름/2)^2 x π x 피스톤 행정

    따라서, 연소실용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연소실용적 = ((100/2)^2 x π x 130) / (21-1) = 51cc

    따라서, 정답은 "51c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솔린의 주요 화합물로 맞는 것은?

  1. 탄소와 수소
  2. 수소와 질소
  3. 탄소와 산소
  4. 수소와 산소
(정답률: 70%)
  • 가솔린은 주로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가솔린이 석유에서 추출되는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점화지연 의 3가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기계적 지연
  2. 점성적 지연
  3. 전기적 지연
  4. 화염 전파지연
(정답률: 69%)
  • 점성적 지연은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평균유효압력이 10㎏f/cm2, 배기량이 7500cc, 회전속도 2400rpm, 단기통인 2행정 사이클의 지시마력은?

  1. 200PS
  2. 300PS
  3. 400PS
  4. 500PS
(정답률: 50%)
  • 지시마력은 평균유효압력, 배기량, 회전속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평균유효압력이 10㎏f/cm2, 배기량이 7500cc, 회전속도가 2400rpm으로 주어졌습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지시마력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지시마력 = (평균유효압력 × 배기량 × 회전속도) ÷ 7120

    = (10 × 7500 × 2400) ÷ 7120

    = 80000000 ÷ 7120

    = 11235.96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수인 400P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피스톤링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기밀작용
  2. 감마작용
  3. 열전도 작용
  4. 오일제어 작용
(정답률: 60%)
  • 피스톤링은 엔진 내부에서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여 압축, 연소, 배기과정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감마작용과 같은 방사선 작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어떤 물체가 초속도 10m/s로 마루면을 미끄러진다면 약 몇 m를 진행하고 멈추는가?(단, 물체와 마루면 사이의 마찰계수는 0.5 이다.)

  1. 0.51
  2. 5.1
  3. 10.2
  4. 20.4
(정답률: 48%)
  • 이 문제는 운동학적인 문제로,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v^2 = u^2 + 2as

    여기서, v는 물체의 속도, u는 초기 속도 (0m/s), a는 가속도, s는 이동 거리입니다.

    가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a = μg

    여기서, μ는 마찰계수, g는 중력가속도입니다.

    따라서, 가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a = 0.5 x 9.8 = 4.9m/s^2

    이제, 이동 거리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공식을 변형합니다.

    s = (v^2 - u^2) / 2a

    여기서, v는 10m/s입니다.

    s = (10^2 - 0^2) / (2 x 4.9) = 10.2m

    따라서, 물체는 약 10.2m를 진행한 후 멈춥니다. 따라서 정답은 "10.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자제어 가솔린분사장치에서 기관의 각종센서 중 입력 신호가 아닌 것은?

  1. 스로틀 포지션 센서
  2. 냉각 수온 센서
  3. 크랭크 각 센서
  4. 인젝터
(정답률: 68%)
  • 인젝터는 입력 신호가 아닌 출력 신호를 내보내는 부품으로, 연료를 분사하여 엔진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다른 센서들과는 달리 입력 신호를 받는 것이 아니라 출력 신호를 내보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LPG기관의 연료장치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낮을 때 시동성을 좋게 하기 위해 작동되는 밸브는?

  1. 기상밸브
  2. 액상밸브
  3. 안전밸브
  4. 과류방지밸브
(정답률: 63%)
  • LPG기관의 연료장치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낮을 때 시동성을 좋게 하기 위해 작동되는 밸브는 기상밸브입니다. 이는 냉각수의 온도가 낮아 LPG가 기화되지 않을 경우, 기화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기상밸브가 작동하여 고압 가스를 공급합니다. 따라서 기상밸브는 LPG기관의 시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3원 촉매장치의 촉매 컨버터에서 정화처리 하는 주요 배기가스로 거리가 먼 것은?

  1. CO
  2. NOx
  3. SO2
  4. HC
(정답률: 69%)
  • 3원 촉매장치는 일반적으로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탄화수소(HC)를 처리하는데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SO2는 3원 촉매장치에서 처리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SO2가 촉매를 오염시키고, 촉매의 수명을 단축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O2는 보통 따로 정화처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행정의 길이가 250mm인 가솔린 기관에서 피스톤의 평균속도가 5m/s라면 크랭크축의 1분간 회전수(rpm)는 약 얼마인가?

  1. 500
  2. 600
  3. 700
  4. 800
(정답률: 46%)
  • 크랭크축의 1분간 회전수(rpm)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1. 피스톤의 이동거리 구하기
    - 피스톤의 평균속도: 5m/s
    - 행정의 길이: 250mm = 0.25m
    - 이동거리 = 평균속도 × 이동시간 = 평균속도 × (행정의 길이 ÷ 평균속도) = 행정의 길이 = 0.25m

    2. 크랭크축의 회전수 구하기
    - 한 실린더에서 피스톤이 상하운동을 하는 주기는 4배의 크랭크축 회전수와 같습니다.
    - 따라서, 크랭크축의 1분간 회전수(rpm) = (60 ÷ 4) × (피스톤의 평균속도 ÷ 행정의 길이) = 15 × (5 ÷ 0.25) = 300

    위 계산 결과, 정답은 "600"이 아닌 "3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디젤기관의 연료분사에 필요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무화
  2. 분포
  3. 조정
  4. 관통력
(정답률: 55%)
  • 디젤기관의 연료분사에 필요한 조건으로 "조정"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디젤기관의 연료분사에 필요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무화: 연료가 분사될 때 공기와 충돌하여 미세화되어 연소에 용이하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2. 분포: 연료가 실린더 내에서 고르게 분포되어야 합니다.
    3. 관통력: 연료가 실린더 벽면을 관통하여 연소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조정"은 디젤기관의 연료분사에 필요한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가솔린 전자제어 기관에서 축전지 전압이 낮아졌을 때 연료분사량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은?

  1. 분사시간을 증가시킨다.
  2. 기관의 회전속도를 낮춘다.
  3. 공연비를 낮춘다.
  4. 점화시기를 지각시킨다.
(정답률: 54%)
  • 가솔린 전자제어 기관에서 축전지 전압이 낮아지면 연료분사량이 감소하게 되어 엔진의 성능이 저하됩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분사시간을 증가시키면, 연료분사량이 증가하여 축전지 전압이 낮아져도 엔진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사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자동차 주행빔 전조등의 발광면을 상측, 하측, 내측, 외측의 몇 도 이내에서 관측 가능해야 하는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51%)
  • 자동차 주행빔 전조등의 발광면을 상측, 하측, 내측, 외측의 5도 이내에서 관측 가능해야 합니다. 이는 안전운전을 위한 규정으로, 너무 좁은 각도로 설정하면 운전자가 주변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너무 넓은 각도로 설정하면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범위를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5도가 적절한 범위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동차정비 및 안전기준

21. 배기밸브가 하사점 전 55°에서 열려 상사점 후 15°에서 닫힐 때 총 열림각은?

  1. 240°
  2. 250°
  3. 255°
  4. 260°
(정답률: 60%)
  • 배기밸브가 열리는 각도는 하사점 전 55°에서 시작하여, 상사점 후 15°에서 닫히므로, 총 열림각은 360°에서 55°를 빼고 15°를 더한 값인 320°에서 55°를 빼면 265°이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열리는 각도만을 묻기 때문에, 265°에서 닫히는 각도 15°를 빼면 총 열림각은 250°이다. 따라서 정답은 "2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기관의 습식 라이너(wet type)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습식 라이너를 끼울 때에는 라이너 바깥둘레에 비눗물을 바른다.
  2. 실링이 파손되면 크랭크 케이스로 냉각수가 들어간다.
  3. 냉각수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4. 냉각 효과가 크다.
(정답률: 59%)
  • 습식 라이너는 냉각수가 라이너 안쪽으로 흐르면서 열을 흡수하고, 이를 통해 엔진 내부를 냉각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냉각수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공기량 계측방식 중에서 발열체와 공기 사이의 열전달 현상을 이용한 방식은?

  1. 열선식 질량유량 계량방식
  2. 베인식 체적유량 계량방식
  3. 칼만와류 방식
  4. 맵 센서방식
(정답률: 55%)
  • 발열체와 공기 사이의 열전달 현상을 이용한 방식은 열선식 질량유량 계량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발열체에 열선을 부착하여 발열체에서 방출되는 열로 인해 열선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열선 주변의 공기도 가열되어 상승하는 온도를 측정하여 공기량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발열체와 공기 사이의 열전달 현상을 이용하여 공기량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유압식 전자제어 동력 조향장치에서 컨트롤유닛(ECU)의 입력 요소는?

  1. 브레이크 스위치
  2. 차속 센서
  3. 흡기온도 센서
  4. 휠 스피드 센서
(정답률: 49%)
  • 유압식 전자제어 동력 조향장치에서 컨트롤유닛(ECU)은 차량의 속도 정보를 필요로 합니다. 이 정보는 차속 센서를 통해 제공됩니다. 따라서 차속 센서는 유압식 전자제어 동력 조향장치에서 컨트롤유닛(ECU)의 입력 요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ABS 차량에서 4센서 4채널방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BS 작동 시 각 휠의 제어는 별도로 제어된다.
  2. 휠 속도센서는 각 바퀴마다 1개씩 설치된다.
  3. 톤 휠의 회전에 의해 전압이 변한다.
  4. 휠 속도센서의 출력 주파수는 속도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61%)
  • 휠 속도센서의 출력 주파수는 속도에 반비례한다는 것은, 차량이 빠르게 움직일수록 휠 속도센서가 측정하는 회전수가 줄어들어서 출력 주파수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속도가 높을수록 ABS 시스템이 빠르게 작동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일반적인 브레이크 오일의 주성분은?

  1. 윤활유와 경유
  2. 알콜과 피마자기름
  3. 알콜과 윤활유
  4. 경유과 피마자기름
(정답률: 66%)
  • 브레이크 오일의 주성분은 알콜과 피마자기름입니다. 이는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열과 압력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선택된 성분입니다. 알콜은 브레이크 시스템 내부에서 물과 섞이지 않고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피마자기름은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두 성분이 브레이크 오일의 주성분으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제어 기능에 해당 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앤티 스키드
  2. 앤티 롤
  3. 앤티 다이브
  4. 앤티 스쿼트
(정답률: 49%)
  • 앤티 스키드는 자동차의 주행 중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 기능이 아니라, 주행 중에 브레이크를 갑자기 밟았을 때 바퀴가 잠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 기능입니다. 따라서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제어 기능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후축에 9890kgf의 하중이 작용될 때 후축에 4개의 타이어를 장착하였다면 타이어 한 개당 받는 하중은?

  1. 약 2473kgf
  2. 약 2770kgf
  3. 약 3473kgf
  4. 약 3770kgf
(정답률: 67%)
  • 타이어 한 개당 받는 하중은 총 하중을 타이어 개수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9890kgf을 4로 나눈 값인 약 2473kgf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입력 센서가 아닌 것은?

  1. 차속 센서
  2. 조향 휠 각속도 센서
  3. 차고 센서
  4. 임팩트 센서
(정답률: 50%)
  • 전자제어 현가장치는 차량의 운전 상황을 감지하고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를 사용합니다. 그 중에서도 "임팩트 센서"는 입력 센서가 아닙니다. 이는 사고 발생 시 충격을 감지하여 에어백 등의 보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센서로, 운전 상황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사고 발생 시에만 작동합니다. 따라서 입력 센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수동변속기에서 기어변속 시 기어의 이중물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1. 파킹 볼 장치
  2. 인터 록 장치
  3. 오버드라이브 장치
  4. 록킹 볼 장치
(정답률: 60%)
  • 인터 록 장치는 기어 변속 시 기어의 이중물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이중물림이란, 기어가 변속될 때 기어와 기어 사이에 일시적으로 두 개의 기어가 동시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중물림이 발생하면 기어와 기어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여 기어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변속 시 부드럽지 않은 운전감을 느끼게 합니다. 인터 록 장치는 이중물림을 방지하여 기어의 수명을 연장하고 부드러운 운전감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자동변속기에서 오일라인압력을 근원으로 하여 오일라인압력 보다 낮은 일정한 압력을 만들기 위한 밸브는?

  1. 체크 밸브
  2. 거버너 밸브
  3. 매뉴얼 밸브
  4. 리듀싱 밸브
(정답률: 42%)
  • 리듀싱 밸브는 오일라인압력을 감소시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밸브입니다. 따라서 자동변속기에서 오일라인압력을 근원으로 하여 오일라인압력 보다 낮은 일정한 압력을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체크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방지하거나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거버너 밸브는 엔진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매뉴얼 밸브는 수동으로 작동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기관의 회전수가 3500rpm, 제2속의 감속비 1.5, 최종감속비 4.8, 바퀴의 반경이 0.3m일 때 차속은? (단, 바퀴의 지면과 미끄럼은 무시한다.)

  1. 약 35km/h
  2. 약 45km/h
  3. 약 55km/h
  4. 약 65km/h
(정답률: 40%)
  • 회전수 3500rpm은 1분당 3500번 회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2속의 감속비 1.5은 회전수를 1.5배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제2속에서의 회전수는 3500/1.5 = 2333.33rpm 입니다. 최종감속비 4.8은 회전수를 4.8배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바퀴의 회전수는 2333.33/4.8 = 485.42rpm 입니다. 바퀴의 둘레는 2πr = 1.89m 이므로, 바퀴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바퀴의 속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바퀴의 속도는 (1.89m * 485.42rpm * 60분) / 1000 = 33.98km/h 입니다. 따라서 차속은 약 55km/h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유압식 브레이크는 어떤 원리를 이용한 것인가?

  1. 뉴턴의 원리
  2. 파스칼의 원리
  3. 베르누이의 원리
  4. 애커먼 장토의 원리
(정답률: 75%)
  • 유압식 브레이크는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합니다. 파스칼의 원리는 압력이 일정한 유체가 닫힌 용기 안에서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전달된다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유압식 브레이크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작용력이 큰 피스톤이 작동하여 작은 피스톤에 압력을 전달합니다. 이렇게 전달된 압력은 브레이크 패드에 작용하여 차량을 멈추게 합니다. 이러한 원리로 인해 유압식 브레이크는 높은 작용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주행 시 혹은 제동 시 핸들이 한쪽으로 쏠리는 원인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좌·우 타이어의 공기 압력이 같지 않다.
  2. 앞바퀴의 정렬이 불량하다.
  3. 조향 핸들축의 축 방향 유격이 크다.
  4. 한쪽 브레이크 라이닝 간격 조정이 불량하다.
(정답률: 59%)
  • 조향 핸들축의 축 방향 유격이 크다는 것은 핸들이 좌우로 움직일 때 축이 중심에서 벗어나는 정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핸들 조작에 대한 반응이 둔화되어 핸들이 한쪽으로 쏠리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자제어식 자동변속기 제어에 사용되는 센서가 아닌 것은?

  1. 차고 센서
  2. 유온 센서
  3. 입력축 속도센서
  4. 스로틀 포지션 센서
(정답률: 51%)
  • 차고 센서는 자동변속기 제어와는 관련이 없는 센서입니다. 차고 센서는 차고나 주차장 등에서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센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차고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차동장치에서 차동 피니언과 사이드 기어의 백 래시 조정은?

  1. 축받이 차축의 왼쪽 조정심을 가감하여 조정한다.
  2. 축받이 차축의 오른쪽 조정심을 가감하여 조정한다.
  3. 차동 장치의 링기어 조정 장치를 조정한다.
  4. 스러스트(thrust) 와셔의 두께를 가감하여 조정한다.
(정답률: 58%)
  • 차동 피니언과 사이드 기어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데, 이때 백 래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차동 피니언과 사이드 기어의 맞물림이 너무 느슨하거나 강하게 조정되어 있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러스트(thrust) 와셔의 두께를 가감하여 조정합니다. 스러스트 와셔는 차동 피니언과 사이드 기어 사이에 위치하며, 이를 조정함으로써 백 래시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빈칸에 알맞은 것은?

  1. ㉠최소, ㉡작게, ㉢앞차축
  2. ㉠최대, ㉡작게, ㉢뒷차축
  3. ㉠최소, ㉡크게, ㉢앞차축
  4. ㉠최대, ㉡크게, ㉢뒷차축
(정답률: 50%)
  • 이 그림은 자동차의 전륜과 후륜의 각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최대, ㉡크게, ㉢뒷차축이 정답인 이유는, 전륜의 최대 회전각도를 가지고, 후륜이 크게 기울어져 있으며, 후륜이 뒷차축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되면 자동차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빠른 속도로 주행할 때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디스크 브레이크와 비교해 드럼 브레이크의 특성으로 맞는 것은?

  1. 페이드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2. 구조가 간단하다.
  3. 브레이크의 편제동 현상이 적다.
  4. 자기작동 효과가 크다
(정답률: 48%)
  • 드럼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패드가 직접 디스크를 누르는 디스크 브레이크와 달리, 브레이크 드럼 안쪽에 있는 실린더가 브레이크 패드를 누르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때, 브레이크 드럼 안쪽에 있는 실린더가 브레이크 패드를 누르는 힘은 자기력을 이용하여 발생합니다. 이러한 자기작동 효과로 인해 드럼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더욱 강한 브레이킹 효과를 발휘하며, 페이드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조향장치가 갖추어야 할 조건 중 적당하지 않는 사항은?

  1. 적당한 회전 감각이 있을 것
  2. 고속주행에서도 조향핸들이 안정될 것
  3. 조향휠의 회전과 구동휠의 선회차가 클 것
  4. 선회 후 복원성이 있을 것
(정답률: 71%)
  • 조향휠의 회전과 구동휠의 선회차가 클 경우, 조향장치의 민감도가 높아져서 작은 움직임에도 큰 변화를 일으키게 됩니다. 이는 운전자가 조향을 제어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당한 회전 감각이 있을 것이라는 조건이 적절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수동변속기에서 클러치의 미끄러지는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클러치 디스크에 오일이 묻었다.
  2. 플라이 휠 및 압력판이 손상 되었다.
  3. 클러치 페달의 자유간극이 크다.
  4. 클러치 디스크의 마멸이 심하다.
(정답률: 62%)
  • 클러치 페달의 자유간극이 크다는 것은 클러치 페달을 밟기 전에 클러치 디스크와 압력판이 충분히 붙어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클러치를 연결하는 데 필요한 마찰력이 충분하지 않아 클러치 디스크가 미끄러지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전관리

41. 자동차의 교류 발전기에서 발생된 교류 전기를 직류로 정류하는 부품은 무엇인가?

  1. 전기자
  2. 조정기
  3. 실리콘 다이오드
  4. 릴레이
(정답률: 58%)
  • 실리콘 다이오드는 반도체 소자로, 양방향 전류 흐름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교류 발전기에서 발생된 교류 전기를 실리콘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정류하면, 양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일방향으로 만들어 직류 전기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교류 발전기에서 발생된 교류 전기를 직류로 정류하는 부품으로 실리콘 다이오드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기동전동기에서 오버런닝 클러치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롤러식
  2. 스프래그식
  3. 전기자식
  4. 다판 클러치식
(정답률: 45%)
  • 오버런닝 클러치는 회전 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회전을 전달하면서 회전력을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이 중에서 전기자식은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기계적인 오버런닝 클러치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기자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엔진 ECU내부의 마이크로컴퓨터 구성요소로서 산술연산 또는 논리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를 일시 보관하는 기억장치는?

  1. FET구동회로
  2. A/D컨버터
  3. 인터페이스
  4. 레지스터
(정답률: 55%)
  • 레지스터는 마이크로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일시 보관하는 기억장치로, 산술연산이나 논리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엔진 ECU 내부의 마이크로컴퓨터에서도 데이터를 일시 보관하기 위해 레지스터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12V의 전압에 20Ω의 저항을 연결 하였을 경우 몇 A의 전류가 흐르겠는가?

  1. 0.6A
  2. 1A
  3. 5A
  4. 10A
(정답률: 65%)
  • 오옴의 법칙에 따라 전압(V)은 전류(I)와 저항(R)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V = IR
    따라서, I = V/R = 12V/20Ω = 0.6A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자동차 전조등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전조등 좌우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2. 전조등 좌우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3. 전조등 좌우는 직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4. 전조등 작동 중에는 미등이 소등된다.
(정답률: 63%)
  • 전조등 좌우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는 각 전조등이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만약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면 한 쪽 전조등이 고장나면 다른 쪽 전조등도 작동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직렬-병렬 연결은 전기회로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이므로 "전조등 좌우는 직병렬로 연결되어 있다."는 설명은 부적절하다. 마지막으로, 전조등 작동 중에는 미등이 소등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축전기(Condenser)와 관련된 식 표현으로 틀린 것은? (Q = 전기량, E = 전압, C = 비례상수)

  1. Q = CE
  2. C = Q/E
  3. E = Q/C
  4. C = QE
(정답률: 49%)
  • 정답은 "C = QE"입니다.

    축전기의 정의는 전기를 저장하는 기기로, 전하를 저장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용량(Capacitance)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축전기와 관련된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Q = CE (전하 = 용량 x 전압)

    이 식에서 C는 비례상수이며, Q와 E는 각각 전하와 전압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C = Q/E"와 "E = Q/C"는 모두 올바른 식입니다.

    하지만, "C = QE"는 올바르지 않습니다. 이는 용량과 전압의 곱으로 전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축전기의 정의와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전자동에어컨(FATC) 시스템의 ECU에 입력되는 센서 신호로 거리가 먼 것은?

  1. 외기온도 센서
  2. 차고 센서
  3. 일사 센서
  4. 내기온도 센서
(정답률: 66%)
  • 차고 센서는 주차된 차량이 차고 안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입니다. 다른 센서들은 외부 환경과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지만, 차고 센서는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기 때문에 다른 센서들과는 달리 거리가 먼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차고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자동차 에어컨 장치의 순환과정으로 맞는 것은?

  1. 압축기 → 응축기 → 건조기 → 팽창밸브 → 증발기
  2. 압축기 → 응축기 → 팽창밸브 → 건조기 → 증발기
  3. 압축기 → 팽창밸브 → 건조기 → 응축기 → 증발기
  4. 압축기 → 건조기 → 팽창밸브 → 응축기 → 증발기
(정답률: 52%)
  • 자동차 에어컨 장치의 순환과정은 냉매가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높은 압력과 온도로 변환된 후 응축기에서 냉매의 온도를 낮추고 압력을 유지시킵니다. 그리고 건조기에서 냉매 중의 수분을 제거하고 팽창밸브에서 냉매의 압력을 낮추어 증발기에서 냉매의 온도를 낮추고 냉기를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압축기 → 응축기 → 건조기 → 팽창밸브 → 증발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축전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해액 온도가 올라가면 비중은 낮아진다.
  2. 전해액의 온도가 낮으면 황산의 확산이 활발해진다.
  3. 온도가 높으면 자기방전량이 많아진다.
  4. 극판수가 많으면 용량이 증가한다.
(정답률: 53%)
  • "전해액의 온도가 낮으면 황산의 확산이 활발해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전해액의 온도가 높을수록 황산의 확산이 활발해지며, 온도가 낮을수록 확산이 둔해집니다. 이는 온도가 높을수록 입자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하여 확산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자기방전률은 축전기 온도가 상승하면 어떻게 되는가?

  1. 높아진다.
  2. 낮아진다.
  3. 변함없다.
  4. 낮아진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정답률: 57%)
  • 자기방전률은 축전기 내부의 전해질의 이온 이동성이 축전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 높아진다. 이는 축전기 내부의 전해질 분자들이 열에 의해 더 많은 운동 에너지를 가지게 되어 이온 이동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축전기 내부에서의 전기적인 에너지 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산업 안전표지 종류에서 비상구 등을 나타내는 표지는?

  1. 금지표지
  2. 경고표지
  3. 지시표지
  4. 안내표지
(정답률: 72%)
  • 비상구 등을 나타내는 표지는 사람들이 어떤 방향으로 이동해야 하는지 안내하기 때문에 "안내표지"입니다. 금지표지는 특정 행동을 금지시키는 경우, 경고표지는 위험을 경고하는 경우, 지시표지는 특정 행동을 지시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차량 시험기기의 취급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험기기 전원 및 용량을 확인한 후 전원플러그를 연결한다.
  2. 시험기기의 보관은 깨끗한 곳이면 아무 곳이나 좋다.
  3. 눈금의 정확도는 수시로 점검해서 0점을 조정해 준다.
  4. 시험기기의 누전 여부를 확인한다.
(정답률: 76%)
  • 시험기기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깨끗하고 안전한 장소에 보관되어야 하며, 먼지나 오염물질로 인해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깨끗한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따라서 "시험기기의 보관은 깨끗한 곳이면 아무 곳이나 좋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줄 작업 시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1. 몸 쪽으로 당길 때에만 힘을 가한다.
  2. 공작물은 바이스에 확실히 고정한다.
  3. 날이 메꾸어지면 와이어 브러시로 털어낸다.
  4. 절삭가루는 솔로 쓸어 낸다.
(정답률: 64%)
  • "몸 쪽으로 당길 때에만 힘을 가한다."는 줄 작업 시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 중에서 옳은 것이 아니며, 이유는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을 하면 손이 미끄러져 다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공작물은 바이스에 확실히 고정한다.", "날이 메꾸어지면 와이어 브러시로 털어낸다.", "절삭가루는 솔로 쓸어 낸다."는 모두 줄 작업 시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 중에서 옳은 것입니다. 공작물을 바이스에 고정하면 작업 중에 움직임이 없어져 안전하며, 날이 메꾸어지면 작업 효율이 떨어지므로 교체해야 하며, 절삭가루는 작업 후 청소를 해야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중량물을 인력으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해의 형태(유형)와 거리가 먼 것은?

  1. 허리 요통
  2. 협착(압상)
  3. 급성 중독
  4. 충돌
(정답률: 75%)
  • 중량물을 인력으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해 유형은 "허리 요통", "협착(압상)", "충돌"입니다. 이 중 "급성 중독"은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중량물을 다루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 등에 노출되어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급성 중독"은 다른 재해 유형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와 형태”에서 아래 그림이 의미하는 것은?

  1. 직진금지
  2. 출입금지
  3. 보행금지
  4. 차량통행금지
(정답률: 57%)
  • 이 그림은 "출입금지"를 나타냅니다. 이유는 문 앞에 빨간색 원 안에 "X" 표시가 있어서 출입이 금지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직진금지", "보행금지", "차량통행금지"를 나타내는 표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축전지 단자에 터미널 체결 시 올바른 것은?

  1. 터미널과 단자를 주기적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가 체결한다.
  2. 터미널과 단자 접속부 틈새에 흔들림이 없도록 (-)드라이버로 단자 끝에 망치를 이용하여 적당한 충격을 가한다.
  3. 터미널과 단자 접속부 틈새에 녹슬지 않도록 냉각수를 소량 도포한 후 나사를 잘 조인다.
  4. 터미널과 단자 접속부 틈새에 이물질이 없도록 청소 후 나사를 잘 조인다.
(정답률: 64%)
  • 축전지 단자와 터미널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접속부 틈새에 이물질이 있으면 전기적인 접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방법은 터미널과 단자 접속부 틈새에 이물질이 없도록 청소 후 나사를 잘 조인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전기적인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안정적인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기관의 분해 정비를 결정하기 위해 기관을 분해하기 전 점검해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실린더 압축압력 점검
  2. 기관오일 압력점검
  3. 기관운전 중 이상소음 및 출력점검
  4. 피스톤 링 갭(gap) 점검
(정답률: 60%)
  • 피스톤 링 갭(gap)은 피스톤 링과 실린더 벽 사이의 간격을 말합니다. 이 간격이 너무 크거나 작으면 기름이나 연료가 실린더로 유입되어 연소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관 분해 전에 피스톤 링 갭을 점검하여 문제가 있는 경우 교체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에만 분해 정비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작업장에서 중량물 운반수레의 취급 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적재중심은 가능한 한 위로 오도록 한다.
  2. 화물이 앞뒤 또는 측면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한다.
  3. 사용 전 운반수레의 각부를 점검한다.
  4. 앞이 안 보일 정도로 화물을 적재하지 않는다.
(정답률: 75%)
  • "적재중심은 가능한 한 위로 오도록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중량물 운반수레의 적재중심은 가능한 한 중앙에 위치시켜야 하며, 중심이 위로 오르게 되면 수레가 불안정해져서 쉽게 전복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브레이크 드럼을 연삭할 때 전기가 정전되었다. 가장 먼저 취해야 할 조치사항은?

  1. 스위치 전원을 내리고(off) 주전원의 퓨즈를 확인한다.
  2. 스위치는 그대로 두고 정전원인을 확인한다.
  3. 작업하던 공작물을 탈거 한다.
  4. 연삭에 실패했음으로 새 것으로 교환하고, 작업을 마무리 한다.
(정답률: 71%)
  • 정전이 발생하면 작업 중인 기계가 갑자기 멈추게 되므로, 스위치 전원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후에는 주전원의 퓨즈를 확인하여 정전의 원인을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를 그대로 두면 정전이 해결되더라도 기계가 갑자기 작동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 전원을 꺼놓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작업하던 공작물을 탈거하거나, 연삭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이후에 처리할 문제이므로, 우선적으로 정전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멀티회로시험기를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고온, 다습, 직사광선을 피한다.
  2. 영점 조정 후에 측정한다.
  3. 직류전압의 측정 시 선택 스위치는 AC.(V)에 놓는다.
  4. 지침은 정면에서 읽는다.
(정답률: 67%)
  • "직류전압의 측정 시 선택 스위치는 AC.(V)에 놓는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직류전압을 측정할 때는 선택 스위치를 DC(V)로 놓아야 합니다. 이유는 직류전압은 방향이 일정하기 때문에 교류전압과는 다른 방식으로 측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