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7-20)

용접기능사
(2014-07-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용접일반

1. 납땜시 강한 접합을 위한 틈새는 어느 정도가 가장 적당한가?

  1. 0.02 ~ 0.10 mm
  2. 0.20 ~ 0.30 mm
  3. 0.30 ~ 0.40 mm
  4. 0.40 ~ 0.50 mm
(정답률: 61%)
  • 납땜시 틈새의 크기는 너무 작으면 납이 충분히 융해되지 않아 강한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너무 크면 납이 부족하여 강한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적당한 틈새의 크기는 0.02 ~ 0.10 mm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 범위 내에서는 납이 충분히 융해되어 강한 접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맞대기 저항 용접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업셋 용접
  2. 프로젝션 용접
  3. 퍼커션 용접
  4. 플래시 버트 용접
(정답률: 62%)
  • 프로젝션 용접은 맞대기 저항 용접의 한 종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MIG 용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적 이행 형태는?

  1. 단락 이행
  2. 스프레이 이행
  3. 입상 이행
  4. 글로뷸러 이행
(정답률: 67%)
  • MIG 용접에서 스프레이 이행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높은 용접 속도와 우수한 용접 품질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스프레이 이행은 고전압과 고전류를 사용하여 금속을 미세한 입자로 분사하면서 용접을 수행합니다. 이는 높은 용접 속도와 깨끗한 용접 부위를 만들어내며, 용접 부위의 열 영향 영역을 최소화하여 용접 부작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스프레이 이행은 두꺼운 금속재를 용접할 때도 효과적이며, 용접 부위의 강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용접부의 검사방법에 있어 비파괴 검사법이 아닌 것은?

  1. X선 투과 시험
  2. 형광침투 시험
  3. 피로시험
  4. 초음파 시험
(정답률: 86%)
  • 피로시험은 용접부의 내구성을 검사하기 위해 부하를 가하고 일정 주기로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용접부의 파괴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비파괴 검사법이 아닌 파괴적 검사법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로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CO2 가스 아크 용접에서 솔리드 와이어에 비교한 복합 와이어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양호한 용착금속을 얻을 수 있다.
  2. 스패터가 많다.
  3. 아크가 안정된다.
  4. 비드 외관이 깨끗하며 아름답다.
(정답률: 79%)
  • 정답은 "스패터가 많다."입니다.

    복합 와이어는 솔리드 와이어에 비해 용착금속의 품질이 높고, 아크가 안정되며 비드 외관이 깨끗하며 아름답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스패터가 많은 것이 단점으로 작용합니다. 스패터는 용착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순물이나 금속 조각으로, 용접 부위 주변에 떨어져서 화재나 안전 문제를 일으키고, 용착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스패터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용접 조건과 용접 기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용접법 중 저항용접이 아닌 것은?

  1. 스폿용접
  2. 심용접
  3. 프로젝션용접
  4. 스터드 용접
(정답률: 60%)
  • 스터드 용접은 저항용접이 아닙니다. 스터드 용접은 두 개의 금속 부품을 연결하기 위해 스터드(볼트)를 사용하는 용접 방법입니다. 스터드는 용접 전에 미리 제작되어 있으며, 용접 시에는 스터드를 부품에 밀착시킨 후 전기 아크를 통해 용접합니다. 따라서 스터드 용접은 저항 용접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아크 용접의 재해라 볼 수 없는 것은?

  1. 아크 광선에 의한 전안염
  2. 스패터 비산으로 인한 화상
  3. 역화로 인한 화재
  4. 전격에 의한 감전
(정답률: 75%)
  • 아크 용접 시 역화가 발생하면 가스가 역류하여 화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역화로 인한 화재는 아크 용접의 재해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전자 빔 용접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1. 고진공 속에서 용접을 하므로 대기와 반응하기 쉬운 활성 재료도 용이하게 용접된다.
  2. 두꺼운 판의 용접이 불가능하다.
  3. 용접을 정밀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4. 에너지 집중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속으로 용접이 된다.
(정답률: 82%)
  • 전자 빔 용접은 에너지 집중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속으로 용접이 되지만, 두꺼운 판의 용접이 불가능한 이유는 전자 빔이 깊이가 얕은 영역에서만 집중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꺼운 판의 경우에는 다른 용접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대상물에 감사선, 엑스선을 투과시켜 필름에 나타나는 상으로 결함을 판변하는 비파괴 검사법은?

  1. 초음파 탐상 검사
  2. 침투 탐상 검사
  3. 와전류 탐상 검사
  4. 방사선 투과 검사
(정답률: 84%)
  • 방사선 투과 검사는 대상물에 감사선, 엑스선을 투과시켜 필름에 나타나는 상으로 결함을 판변하는 비파괴 검사법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방사선 투과 검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그림중에서 용접 열량의 냉각속도가 가장 큰 것은?

(정답률: 75%)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냉각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물이기 때문입니다. 물은 열전도율이 높아 용접부에서 발생한 열을 빠르게 흡수하여 냉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냉각속도가 빠른 물이 가장 적합한 냉각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MIG 용접의 용적이행 중 단락 아크용접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용적이 안정된 스프레이형태로 용접된다.
  2. 고주파 및 저전류 펄스를 활용한 용접이다.
  3. 임계전류이상의 용접 전류에서 많이 적용된다.
  4. 저전류, 저전압에서 나타나며 박판용접에 사용된다.
(정답률: 52%)
  • 단락 아크용접은 저전류, 저전압에서 나타나며 박판용접에 사용됩니다. 이는 박판과 같이 얇은 재질을 용접할 때 적합하며, 용적이 안정된 스프레이형태로 용접됩니다. 고주파 및 저전류 펄스를 활용한 용접은 다른 용접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용접결함 중 내부에 생기는 결함은?

  1. 언더컷
  2. 오버랩
  3. 크레이터 균열
  4. 기공
(정답률: 77%)
  • 내부에서 생기는 결함은 용접 과정에서 용접재료나 기존 부재료의 용융 상태에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공이라는 결함이 생길 수 있습니다. 기공은 용접재료나 부재료의 용융 상태에서 생긴 공기 포집으로 인해 발생하는 결함으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함 중 가장 일반적인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불활성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에서 중간 형태의 용입과 비드 폭을 얻을 수 있으며, 청정 효과가 있어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등의 용접에 사용되는 전원은?

  1. 직류 정극성
  2. 직류 역극성
  3. 고주파 교류
  4. 교류 전원
(정답률: 44%)
  • 고주파 교류 전원은 불활성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에서 중간 형태의 용입과 비드 폭을 얻을 수 있으며, 청정 효과가 있어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등의 용접에 사용됩니다. 이는 고주파 교류 전원이 용접 전극과 작업물 사이에서 높은 주파수의 전류를 생성하여 아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용접 부위를 냉각시키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주파 교류 전원은 불활성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용접용 용제는 성분에 의해 용접 작업성, 용착 금속의 성질이 크게 변화하므로 다음 중 원료와 제조방법에 따른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의 용접용 용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고온 소결형 용제
  2. 저온 소결형 용제
  3. 용융형 용제
  4. 스프레이형 용제
(정답률: 66%)
  • 스프레이형 용제는 용제를 스프레이하여 적층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이는 원료와 제조방법에 따른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의 용접용 용제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용접시 발생하는 변형을 적게 하기 위하여 구속하고 용접하였다면 잔류응력은 어떻게 되는가?

  1. 잔류응력이 작게 발생한다.
  2. 잔류응력이 크게 발생한다.
  3. 잔류응력은 변함없다.
  4. 잔류응력과 구속용접과는 관계없다.
(정답률: 58%)
  • 구속 용접을 하면 용접 부위가 제한되어 변형이 적게 발생하지만, 이로 인해 용접 부위 주변에 응력이 집중되어 잔류응력이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정답은 "잔류응력이 크게 발생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용접결함 중 균열의 보수방법으로 가장 옳은 방법은?

  1. 작은 지름의 용접봉으로 재용접한다.
  2. 굵은 지름의 용접봉으로 재용접한다.
  3. 전류를 높게 하여 재용접한다.
  4. 정지구멍을 뚫어 균열부분은 홈을 판 후 재용접한다.
(정답률: 77%)
  • 균열이 발생한 부분은 용접이 제대로 되지 않은 부분이므로, 그 부분을 다시 용접으로 보충해야 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용접봉으로 재용접을 하면 원래 용접부위와 새로운 용접부위가 겹쳐져서 불균일한 용접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균열 부분을 홈으로 판 후, 정지구멍을 뚫어서 균열 부분에 용접재료를 채워넣고, 그 위에 다시 용접으로 보충하는 것이 가장 옳은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균일한 용접결함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안전ㆍ보건 표지의 색채, 색도기준 및 용도에서 문자 및 빨간색 또는노란색에 대한 보조색으로 사용되는 색채는?

  1. 파란색
  2. 녹색
  3. 흰색
  4. 검은색
(정답률: 64%)
  • 안전ㆍ보건 표지에서는 주로 빨간색과 노란색이 사용되며, 이 두 색상은 위험을 나타내는 색상으로 인식됩니다. 따라서 이 두 색상과 대비되는 검은색이 보조색으로 사용되어 안전ㆍ보건 표지의 가독성을 높이고, 위험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용접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교류 용접기에 설치하는 것은?

  1. 고주파 발생 장치
  2. 전격 방지 장치
  3. 원격 제어 장치
  4. 시간 제어 장치
(정답률: 86%)
  • 교류 용접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금속을 용접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고주파는 인체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용접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전격 방지 장치를 설치합니다. 이 장치는 고주파 발생 시 전기를 차단하여 인체에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산화하기 쉬운 알루미늄을 용접할 경우에 가장 적합한 용접법은?

  1.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2. 불활성가스 아크용접
  3. CO2 아크용접
  4. 피복아크 용접
(정답률: 57%)
  • 알루미늄은 공기 중에서 산화되기 쉬우므로 용접 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활성가스 아크용접이 가장 적합합니다. 불활성가스 아크용접은 용접 시 아르곤 등의 불활성가스를 사용하여 용접부위를 보호하고 산화를 방지합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용접 시 불활성가스 아크용접이 가장 적합한 용접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용접 홈의 형식 중 두꺼운 판의 양면 용접을 할 수 없는 경우에 가공하는 방법으로 한쪽 용접에 의해 충분한 용입을 얻으려고 할 때 사용되는 홈은?

  1. I형 홈
  2. V형 홈
  3. U형 홈
  4. H형 홈
(정답률: 60%)
  • U형 홈은 한쪽 용접으로 충분한 용입을 얻을 수 있도록, 판의 한쪽면을 깊게 파내어 만든 홈으로, 양면 용접이 불가능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U형 홈은 그 형태가 U자 모양이기 때문에 이렇게 불리며, 한쪽 용접으로 충분한 용입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금속산화물이 알루미늄에 의하여 산소를 빼앗기는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열을 이용하여 금속을 접합시키는 용접법은?

  1. 스터드 용접
  2. 테르밋 용접
  3. 원자수소 용접
  4. 일렉트로슬래그 용접
(정답률: 77%)
  • 테르밋 용접은 금속산화물과 알루미늄을 반응시켜 생성되는 열을 이용하여 금속을 접합시키는 용접법입니다. 따라서 이 용접법은 금속산화물과 알루미늄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열을 이용하여 용접을 수행하므로, 정답이 됩니다. 스터드 용접, 원자수소 용접,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은 다른 용접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아래 [그림]과 같이 각 층마다 전체의 길이을 용접하면서 쌓아 올리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주로 사용하는 용착법은?

  1. 교호법
  2. 덧살 올림법
  3. 캐스케이드법
  4. 전진 블록법
(정답률: 83%)
  •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각 층마다 전체의 길이를 용접하면서 쌓아 올리는 방법을 덧살 올림법이라고 합니다. 이 방법은 각 층마다 용접을 하기 때문에 각 층이 서로 연결되어 강한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층마다 용접을 하기 때문에 작업이 간단하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접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용접에 의한 이음을 리벳이음과 비교했을 때, 용접이음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이음구조가 간단하다.
  2. 판 두께에 제한을 거의 받지 않는다.
  3. 용접 모재의 재질에 대한 영향이 작다.
  4. 기밀성과 수밀성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59%)
  • 용접은 두 개의 부품을 녹여 하나로 만드는 과정이기 때문에, 이음 부위의 재질이 다르더라도 녹여서 하나로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 모재의 재질에 대한 영향이 작다는 것이 장점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피복 아크 용접 회로의 순서가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용접기 - 전극케이블 - 용접봉 홀더 - 피복 아크 용접봉 - 아크 - 모재 - 접지케이블
  2. 용접기 - 용접봉 홀더 - 전극케이블 - 모재 - 아크 - 피복아크 용접봉 - 접지케이블
  3. 용접기 - 피복아크용접봉 - 아크 - 모재 - 접지케이블 - 전극케이블 - 용접봉 홀더
  4. 용접기 - 전극 케이블 - 접지케이블 - 용접봉 홀더 - 피복아크 용접봉 - 아크 - 모재
(정답률: 67%)
  • 피복 아크 용접 회로는 용접기에서 전극케이블을 통해 용접봉 홀더에 연결되고, 피복 아크 용접봉이 용접봉 홀더에 삽입되어 아크를 발생시킵니다. 이 아크는 모재와 만나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 전류는 접지케이블을 통해 용접기로 돌아가 전기회로를 완성합니다. 따라서 "용접기 - 전극케이블 - 용접봉 홀더 - 피복 아크 용접봉 - 아크 - 모재 - 접지케이블" 순서가 올바르게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연강용 가스 용접봉의 용착금속의 기계적 성질 중 시험편의 처리에서 "용접한 그대로 응력을 제거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기호는?

  1. NSR
  2. SR
  3. GA
  4. GB
(정답률: 76%)
  • NSR은 Non Stress Relief의 약자로, 응력완화 처리를 하지 않은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연강용 가스 용접봉의 용착금속의 기계적 성질 중 시험편의 처리에서 "용접한 그대로 응력을 제거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기호는 NSR입니다. SR은 Stress Relief의 약자로, 응력완화 처리를 한 것을 나타내며, GA와 GB는 다른 용접봉의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용접 중에 아크가 전류의 자기작용에 의해서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아크 쏠림(Arc Blow)이라 한다. 다음 중 아크 쏠림의 방지법이 아닌 것은?

  1. 직류 용접기를 사용한다.
  2. 아크의 길이를 짧게 한다.
  3. 보조판(엔드탭)을 사용한다.
  4. 후퇴법을 사용한다.
(정답률: 75%)
  • 직류 용접기를 사용한다는 것은 아크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아크 쏠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직류 용접기는 전류의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자기장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아크 쏠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직류 용접기를 사용한다."가 아닌 것이 방지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발전(모터, 엔진형)형 직류 아크 용접기와 비교하여 정류기형 직류 아크 용접기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고장이 적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2. 취급이 간단하고 가격이 싸다.
  3. 초소형 경량화 및 안정된 아크를 얻을 수 있다.
  4. 완전한 직류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58%)
  • "완전한 직류를 얻을 수 있다."가 틀린 것입니다. 정류기형 직류 아크 용접기는 정류기를 통해 전류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하면서 전압을 낮추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완전한 직류를 얻을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발전형 직류 아크 용접기는 발전기를 통해 직류를 생성하기 때문에 완전한 직류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가스 절단에서 양호한 절단면을 얻기 위한 조건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드래그가 가능한 한 클 것
  2. 절단면 표면의 각이 예리할 것
  3. 슬래그 이탈이 양호할 것
  4. 경제적인 절단이 이루어질 것
(정답률: 7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용접봉의 용융금속이 표면장력의 작용으로 모재에 옳겨 가는 용적이행으로 맞는 것은?

  1. 스프레이형
  2. 핀치효과형
  3. 단락형
  4. 용적형
(정답률: 53%)
  • 단락형은 용접봉의 용융금속이 모재와 접촉면이 작아져서 용적이행이 일어나는 형태이기 때문에 정답으로 맞는다. 스프레이형은 용융금속이 작은 입자로 분사되어 모재에 충돌하는 형태, 핀치효과형은 용접봉과 모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핀치효과로 용융금속이 모재에 충돌하는 형태, 용적형은 용접봉과 모재 사이에서 용융금속이 용적으로 이동하는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피복 아크 용접봉에서 피복제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1. 변형 방지
  2. 인장력 증대
  3. 모재 강도 증가
  4. 아크 안정
(정답률: 82%)
  • 피복 아크 용접봉에서 피복제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아크 안정입니다. 이는 용접 시 발생하는 아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용접 부위의 온도와 금속 구조를 안정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용접 부위의 결함을 최소화하고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저수소계 용접봉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용착금속 중 수소량이 다른 용접봉에 비해서 현저하게 적다.
  2. 용착금속의 취성이 크며 화학적 성질도 좋다.
  3. 균열에 대한 감수성이 특히 좋아서 두꺼운 판 용접에 사용된다.
  4. 고탄소강 및 황의 함유량이 많은 쾌삭강 등의 용접에 사용되고 있다.
(정답률: 43%)
  • 답은 "용착금속 중 수소량이 다른 용접봉에 비해서 현저하게 적다."입니다. 이유는 저수소계 용접봉은 수소량이 적어서 용접 후에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폭발 위험성이 가장 큰 산소와 아세틸렌의 혼합비(%)는?

  1. 40 : 60
  2. 15 : 85
  3. 60 : 40
  4. 85 : 15
(정답률: 69%)
  • 산소와 아세틸렌은 연소가 일어날 때 매우 높은 온도와 에너지가 발생하며, 이는 폭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소와 아세틸렌을 혼합할 때는 안전한 비율을 유지해야 합니다.

    85 : 15는 산소와 아세틸렌의 안전한 혼합비율입니다. 이는 산소 85%와 아세틸렌 15%로 구성된 혼합물을 의미합니다. 이 비율에서는 연소가 일어나더라도 안전한 수준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40 : 60, 15 : 85, 60 : 40 등의 비율에서는 연소가 일어날 때 폭발 위험이 크기 때문에 안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산소와 아세틸렌을 혼합할 때는 85 : 15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연강용 피복금속 아크 용접봉에서 다음 중 피복제의 염기성이 가장 높은 것은?

  1. 저수소계
  2. 고산화철계
  3. 고셀루로스계
  4. 티탄계
(정답률: 56%)
  • 연강용 피복금속 아크 용접봉에서 피복제의 염기성이 가장 높은 것은 "저수소계"입니다. 이는 저수소계 피복제가 주로 산화물을 생성하며,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를 방출하면서 염기성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고산화철계, 고셀루로스계, 티탄계 피복제는 산화물을 생성하지만,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를 방출하지 않아 염기성이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35℃에서 150kgf/cm2으로 압축하여 내부용적 45.7리터의 산소 용기에 충전하였을 때, 용기속의 산소량은 몇 리터 인가?

  1. 6855
  2. 5250
  3. 6150
  4. 7005
(정답률: 61%)
  • 이 문제는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PV = nRT

    여기서 P는 압력, V는 부피,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를 나타냅니다.

    먼저, 압력과 부피가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몰수를 구합니다.

    PV = nRT

    n = PV/RT

    여기서, P는 150kgf/cm^2를 Pa로 변환하여 사용합니다.

    P = 150kgf/cm^2 = 14715kPa

    T는 섭씨온도를 절대온도로 변환하여 사용합니다.

    T = 35℃ + 273.15 = 308.15K

    R은 기체상수로, 대략적으로 8.31 J/mol·K로 사용합니다.

    V는 45.7리터를 m^3로 변환하여 사용합니다.

    V = 45.7L = 0.0457m^3

    따라서,

    n = (14715kPa) x (0.0457m^3) / (8.31 J/mol·K x 308.15K) = 1.85mol

    이제 몰수와 분자량을 이용하여 산소량을 구합니다.

    산소(O2)의 분자량은 32g/mol입니다.

    따라서,

    산소량 = 몰수 x 분자량 = 1.85mol x 32g/mol = 59.2g

    마지막으로, 산소의 밀도를 이용하여 부피를 구합니다.

    산소의 밀도는 1.429g/L입니다.

    따라서,

    부피 = 산소량 / 밀도 = 59.2g / 1.429g/L = 41.4L

    하지만, 이는 0℃, 1기압에서의 부피이므로, 이를 35℃, 150kgf/cm^2에서의 부피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다시 사용합니다.

    PV = nRT

    여기서, n과 R은 변하지 않으므로,

    PV/T = 상수

    따라서,

    V2 = V1 x (P1/P2) x (T2/T1)

    여기서, V1은 41.4L, P1은 1기압, T1은 273.15K입니다.

    P2는 150kgf/cm^2를 Pa로 변환하여 사용합니다.

    P2 = 150kgf/cm^2 = 14715kPa

    T2는 35℃를 절대온도로 변환하여 사용합니다.

    T2 = 35℃ + 273.15 = 308.15K

    따라서,

    V2 = 41.4L x (101325Pa / 14715kPa) x (308.15K / 273.15K) = 68.55L

    따라서, 용기속의 산소량은 68.55L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85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산소 프로판 가스용접 시 산소 : 프로판 가스의 혼합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 : 1
  2. 2 : 1
  3. 2.5 : 1
  4. 4.5 : 1
(정답률: 70%)
  • 산소와 프로판 가스의 혼합비는 용접 작업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산소 1에 대해 프로판 가스를 2~3배 정도 사용합니다. 이는 산소가 연소 반응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고, 프로판 가스가 연소 온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산소와 프로판 가스의 혼합비 중에서 적당한 것을 선택해야 하는데, 1:1은 산소가 부족하고, 2:1과 2.5:1은 산소가 충분하지만, 프로판 가스가 과다하게 사용되어 경제적이지 않습니다.

    반면에, 4.5:1은 산소와 프로판 가스의 비율이 적절하게 조절되어, 연소 온도를 유지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5:1이 가장 적당한 혼합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용접재료

36. 교류피복 아크 용접기에서 아크발생 초기에 용접전류를 강하게 흘려보내는 장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원격 제어장치
  2. 핫 스타트 장치
  3. 전격 방지기
  4. 고주파 발생장치
(정답률: 83%)
  • 교류피복 아크 용접기에서는 용접 전류를 강하게 흘려보내기 위해 아크 발생 초기에 핫 스타트 장치를 사용합니다. 이는 용접 전극 사이에 짧은 시간 동안 고전압을 인가하여 아크를 안정적으로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핫 스타트 장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아크 절단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플라즈마제트절단
  2. 탄소아크절단
  3. 스카핑
  4. 티그절단
(정답률: 81%)
  • 스카핑은 아크 절단법이 아닌 기계 가공 방법입니다. 스카핑은 주로 금속 표면의 균일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표면을 깎아내는 공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부탄가스의 화학 기호로 맞는 것은?

  1. C4H10
  2. C3H8
  3. C5H12
  4. C2H6
(정답률: 65%)
  • 정답은 "C4H10"입니다.

    부탄가스는 주로 액화된 천연가스(LPG)의 구성 성분 중 하나입니다. 이 가스는 탄화수소 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탄가스는 C4H10의 화학 기호로 표기됩니다. 따라서, "C4H10"이 부탄가스의 화학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아크 에어 가우징에 가장 적합한 홀더 전원은?

  1. DCRP
  2. DCSP
  3. DCRP, DCSP 모두 좋다.
  4. 대전류의 DCSP가 가장 좋다.
(정답률: 53%)
  • 아크 에어 가우징은 플라즈마를 생성하기 위해 전기적인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이때, DCRP (Direct Current Reverse Polarity) 전원이 가장 적합합니다. DCRP 전원은 양극이 음극보다 높은 전압을 가지고 있어서, 음극에서 양극으로 전자가 이동하면서 플라즈마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CRP 전원을 사용하면 더욱 효율적인 플라즈마 생성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열간가공이 쉽고 다듬질 표면이 아름다우며 용접성이 우수한 강으로 몰리브덴 첨가로 담금질성이 높아 각종 축, 강력볼트, 아암, 레버 등에 많이 사용되는 강은?

  1. 크롬 - 몰리브덴강
  2. 크롬 - 바나듐강
  3. 규소 - 망간강
  4. 니켈 - 구리 - 코발트강
(정답률: 63%)
  • 크롬 - 몰리브덴강은 몰리브덴 첨가로 인해 담금질성이 높아져 열간가공이 쉽고 다듬질 표면이 아름다우며 용접성이 우수합니다. 따라서 각종 축, 강력볼트, 아암, 레버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고장력강(HT)의 용접성을 가급적 좋게 하기 위해 줄여야할 합금원소는?

  1. C
  2. Mn
  3. Si
  4. CR
(정답률: 53%)
  • 고장력강(HT)은 탄소 함량이 높은 강종으로, 용접 시 탄소가 과도하게 산화되어 용접부의 경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탄소 함량을 줄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내식강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특수 용도용 합금강은?

  1. 주강
  2. 탄소강
  3. 스테인리스강
  4. 알루미늄강
(정답률: 67%)
  • 스테인리스강은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식품, 의료, 화학 등의 산업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크롬과 니켈 등의 합금 원소를 첨가하여, 산화나 부식에 강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식성이 중요한 특수 용도에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합금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아공석강의 기계적 성질 중 탄소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성질은?

  1. 연신율
  2. 경도
  3. 인장강도
  4. 항복강도
(정답률: 57%)
  • 탄소함유량이 증가하면 강철 내부의 결정 구조가 세밀해지고, 결정 간의 결합력이 강화되어 강도는 증가하지만, 동시에 강철의 연신율은 감소합니다. 이는 탄소가 강철 내부에서 고체 용해되어 결정 구조를 세밀하게 만들어 강도를 높이지만, 결정 간의 이동이 제한되어 변형이 어려워져 연신율이 감소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탄소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기계적 성질은 "연신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금속침투법에서 칼로라이징이란 어떤 원소로 사용하는 것인가?

  1. 니켈
  2. 크롬
  3. 붕소
  4. 알루미늄
(정답률: 53%)
  • 칼로라이징에서는 알루미늄을 사용합니다. 이는 알루미늄이 금속침투 시에 쉽게 산화되어 표면에 박리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알루미늄은 비교적 안정적인 산화물을 형성하여 침투 후에도 표면에 남아있어 측정이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주조시 주형에 냉금을 삽입하여 주물표면을 급랭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금속 압연용 롤 등으로 사용되는 주철은?

  1. 가단주철
  2. 칠드주철
  3. 고급주철
  4. 페라이트주철
(정답률: 50%)
  • 주조시 냉금을 삽입하여 급랭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주철 중에서 칠드주철은 냉각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미세한 칠드릿수가 형성되어 내구성과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금속 압연용 롤 등으로 사용되는 주철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알루마이트법이라 하며, Al 제품을 2% 수산 용액에서 전류를 흘려 표면에 단순하고 치밀한 산화막을 만드는 방법은?

  1. 통산법
  2. 황산법
  3. 수산법
  4. 크롬산법
(정답률: 71%)
  • 알루마이트법은 Al 제품을 2% 수산 용액에서 전류를 흘려 표면에 단순하고 치밀한 산화막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주위의 온도에 의하여 선팽창 계수나 탄성률 등의 특정한 성질이 변하지 않는 불변강이 아닌 것은?

  1. 인바
  2. 엘린바
  3. 슈퍼인바
  4. 베빗메탈
(정답률: 63%)
  • 베빗메탈은 온도에 따라 선팽창 계수나 탄성률 등의 특정한 성질이 변하는 가변강입니다. 이는 베빗메탈이 다양한 금속의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각 금속의 성질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베빗메탈은 온도 변화에 따라 변형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가공법 중 소성가공법이 아닌 것은?

  1. 주조
  2. 압연
  3. 단조
  4. 인발
(정답률: 45%)
  • 주조는 금속을 녹여서 틀에 부어 만드는 가공법으로, 소성가공법이 아닙니다. 압연, 단조, 인발은 모두 소성가공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담금질에서 나타나는 조직으로 경도와 강도가 가장 높은 조직은?

  1. 시멘타이트
  2. 오스테나이트
  3. 소르바이트
  4. 마텐자이트
(정답률: 49%)
  • 마텐자이트는 담금질 과정에서 가장 경도와 강도가 높은 조직입니다. 이는 탄소 원자가 고체 용해도가 낮은 상태에서 빠르게 냉각되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탄소 원자가 고체 용해도를 초과하여 고체 상태로 유지되면서, 금속 구조 내에서 매우 단단한 성질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마텐자이트는 경도와 강도가 높아서, 칼날이나 스프링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일반적으로 강에 S, Pb, P등을 첨가하여 절삭성을 향상시킨 강은?

  1. 구조용강
  2. 쾌삭강
  3. 스프링강
  4. 탄소공구강
(정답률: 75%)
  • 쾌삭강은 S, Pb, P 등의 첨가물로 인해 강의 절삭성이 향상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쾌삭강은 절삭가공에 많이 사용되며, 고속절삭, 고속도급, 고속순환 등의 가공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제도

51. 그림과 같이 파단선을 경계로 필요로 하는 요소의 일부만을 단면으로 표시하는 단면도는?

  1. 온 단면도
  2. 부분 단면도
  3. 한쪽 단면도
  4. 회전 도시 단면도
(정답률: 66%)
  • 주어진 그림에서 파단선을 경계로 일부만을 단면으로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부분 단면도"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림과 같은 치수 기입 방법은?

  1. 직렬 치수 기입법
  2. 병렬 치수 기입법
  3. 조합 치수 기입법
  4. 누진 치수 기입법
(정답률: 59%)
  • 그림과 같은 치수 기입 방법은 누진 치수 기입법입니다. 이는 부품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경우, 크기가 작은 부품부터 큰 부품까지 차례로 기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부품의 크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제조나 조립 과정에서 편리하며, 부품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관의 구배를 표시하는 방법 중 틀린 것은?

  1. 1/200
  2. 0.2%
  3. 0.5
(정답률: 54%)
  • " 5°"가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관의 구배를 표시할 때는 일반적으로 각도나 백분율, 또는 소수로 표시합니다. 하지만 5°는 각도로 표시한 것이기 때문에 관의 구배를 나타내는 방법으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도면에서 표제란과 부품란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일반적으로 표제란에만 기입하는 것은?

  1. 부품번호
  2. 부품기호
  3. 수량
  4. 척도
(정답률: 73%)
  • 일반적으로 표제란은 도면 전반적인 정보를 담고 있으며, 부품란은 각 부품의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척도는 도면 전반적인 정보를 나타내는 표제란에만 기입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척도는 도면의 크기와 실제 크기 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표제란에 기입하여 전체 도면의 크기와 비율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용접이음 방법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연속 필릿 용접
  2. 플랜지형 겹치기 용접
  3. 연속 모서리 용접
  4. 플랜지형 맞대기 용접
(정답률: 65%)
  • 그림에서 보이는 용접은 두 개의 플랜지를 맞대고 용접하는 방법이므로 "플랜지형 맞대기 용접"이 가장 적합하다. 다른 보기들은 그림에서 보이는 용접 방법과는 다른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KS 재료 기호에서 고압 배관용 탄소강관을 의미하는 것은?

  1. SPP
  2. SPS
  3. SPPA
  4. SPPH
(정답률: 53%)
  • "SPPH"는 "Seamless Pipe for High Pressure Gas Cylinder"의 약자로, 고압 가스 실린더용 무접합 파이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고압 배관용 탄소강관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용도에 의한 명칭에서 선의 종류가 모두 가는 실선인 것은?

  1. 치수선, 치수보조선, 지시선
  2. 중심선, 지시선, 숨은선
  3. 외형선, 치수보조선, 해칭선
  4. 기준선, 피치선, 수준면선
(정답률: 65%)
  • 치수선, 치수보조선, 지시선은 모두 부품이나 제품의 크기, 위치, 형상 등을 나타내는 선으로, 이러한 정보를 나타내는 선은 모두 가는 실선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은 원뿔을 전개하였을 경우 나타난 부채꼴의 전개각(전개된 물체의 꼭지각)이 150° 가 되려면 ℓ의 치수는?

  1. 100
  2. 122
  3. 144
  4. 150
(정답률: 49%)
  • 전개된 부채꼴의 전체 각도는 360°이므로, 나머지 두 각도의 합이 210°이어야 합니다. 이때, 부채꼴의 중심각은 원뿔의 꼭지각과 같으므로 360° - 150° = 210°입니다. 이 중심각을 나누면 부채꼴이 3등분되므로, 각 부채꼴의 중심각은 70°입니다. 이 중심각에 해당하는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원뿔의 밑면 둘레의 1/3이므로, ℓ = (2πr)/3 = 70°/360° × 2πr/3 = rπ/9입니다. 이때, r은 원뿔의 반지름이므로, r = 144입니다. 따라서, ℓ = rπ/9 = 144π/9 ≈ 50.9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4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리벳의 호칭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규격 번호, 종류, 호칭지름×길이, 재료
  2. 명칭, 등급, 호칭지름×길이, 재료
  3. 규격번호, 종류, 부품 등급, 호칭, 재료
  4. 명칭, 다음질 경도, 호칭, 등급, 강도
(정답률: 63%)
  • "규격 번호, 종류, 호칭지름×길이, 재료"가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규격 번호: 해당 부품이 어떤 규격에 따라 제작되었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JIS (일본 산업규격)나 ASTM (미국 재료시험협회) 등의 규격이 있습니다.
    - 종류: 해당 부품의 종류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볼트, 너트, 스프링 등이 있습니다.
    - 호칭지름×길이: 해당 부품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호칭지름은 부품의 지름을 의미하며, 길이는 부품의 길이를 의미합니다.
    - 재료: 해당 부품이 제작된 재료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를 모두 포함한 "규격 번호, 종류, 호칭지름×길이, 재료"가 리벳의 호칭 방법으로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그림과 같은 제3각법 정투상도의 3면도를 기초로 한 입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77%)
  • 정답인 ""는 입체감을 가장 잘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이 입체도는 제3각법 정투상도의 3면도를 기초로 하여, 높이와 깊이를 모두 고려하여 그려졌습니다. 또한, 그림의 중심에 위치한 시선점을 통해 입체감을 더욱 강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입체도가 가장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