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10-11)

용접기능사
(2014-10-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용접일반

1. 차축, 레일의 접합, 선박의 프레임 등 비교적 큰 단면을 가진 주조나 단조품의 맞대기 용접과 보수용접에 주로 사용되는 용접법은?

  1.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2. 테르밋 용접
  3. 원자 수소 아크 용접
  4. 오토콘 용접
(정답률: 76%)
  • 테르밋 용접은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금속을 용접하는 방법으로,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하지 않아 큰 단면의 금속을 용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차축, 레일의 접합, 선박의 프레임 등 비교적 큰 단면을 가진 주조나 단조품의 맞대기 용접과 보수용접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용접부 시험 중 비파괴 시험 방법이 아닌 것은?

  1. 피로 시험
  2. 누설 시험
  3. 자기적 시험
  4. 초음파 시험
(정답률: 77%)
  • 피로 시험은 용접부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반복적인 하중에 의해 용접부에 생기는 피로균열을 검출하는 시험입니다. 이는 비파괴 시험 방법이 아닌, 파괴적인 시험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로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불활성 가스 금속 아크 용접의 제어장치로써 크레이터 처리 기능에 의해 낮아진 전류가 서서히 줄어들면서 아크가 끊어지는 기능으로 이면용접 부위가 녹아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1. 예비가스 유출시간
  2. 스타트 시간
  3. 크레이터 충전시간
  4. 버언 백 시간
(정답률: 83%)
  • 버언 백 시간은 불활성 가스 금속 아크 용접에서 아크가 끊어지는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크레이터 처리 기능에 의해 낮아진 전류가 서서히 줄어들면서 아크가 끊어지는 것으로 이면용접 부위가 녹아내리는 것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버언 백 시간은 용접 부위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제어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용접 결함의 보수 용접에 관한 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재료의 표면에 얕은 결함은 덧붙임 용접으로 보수한다.
  2. 언더컷이나 오버랩 등은 그대로 보수 용접을 하거나 정으로 따내기 작업을 한다.
  3. 결함이 제거된 모재 두께가 필요한 치수보다 얕게 되었을 때에는 덧붙임 용접으로 보수한다.
  4. 덧붙임 용접으로 보수할 수 있는 한도를 초과할 때에는 결함부분을 잘라내어 맞대기 용접으로 보수한다.
(정답률: 44%)
  • "덧붙임 용접으로 보수할 수 있는 한도를 초과할 때에는 결함부분을 잘라내어 맞대기 용접으로 보수한다."는 올바른 내용입니다.

    "재료의 표면에 얕은 결함은 덧붙임 용접으로 보수한다."는 얕은 결함을 덧붙임 용접으로 보수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얕은 결함은 덧붙임 용접으로 쉽게 보수할 수 있으며, 덧붙임 용접으로 보수하면 재료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내용은 올바른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불활성가스 금속아크 용접의 용적이행 방식 중 용융이행 상태는 아크기류 중에서 용가재가 고속으로 용융, 미입자의 용적으로 분사되어 모재에 용착되는 용적이행은?

  1. 용락 이행
  2. 단락 이행
  3. 스프레이 이행
  4. 글로뷸러 이행
(정답률: 83%)
  • 스프레이 이행은 용가재가 고속으로 용융되어 작은 입자로 분사되어 모재에 용착되는 용적이행 방식입니다. 이는 용가재 입자의 운동에 의해 미입자가 분사되어 용착되므로 용융이행 상태에서 발생하는 고속 입자 운동에 의한 용적이행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경납용 용가재에 대한 각각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은납 : 구리, 은, 아연이 주성분으로 구성된 합금으로 인장강도, 전연성 등의 성질이 우수하다.
  2. 황동납 : 구리와 니켈의 합금으로, 값이 저렴하여 공업용으로 많이 쓰인다.
  3. 인동납 : 구리가 주 성분이며 소량의 은, 인을 포함한 합금으로 되어있다. 일반적으로 구리 및 구리 합금의 땜납으로 쓰인다.
  4. 알루미늄납 :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에 규소, 구리를 첨가하여 사용하며 융점은 660°C 정도이다.
(정답률: 5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토륨 텅스텐 전극봉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전자 방사능력이 떨어진다.
  2. 아크 발생이 어렵고 불순물 부착이 많다.
  3. 직류 정극성에는 좋으나 교류에는 좋지 않다.
  4. 전극의 소모가 많다.
(정답률: 68%)
  • 토륨 텅스텐 전극봉은 전자 방사능력이 높아서 직류 정극성에는 좋지만, 교류에서는 전극의 열팽창으로 인해 소모가 많아지기 때문에 좋지 않다. 또한 아크 발생이 어렵고 불순물 부착이 많아서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의 단점에 해당되는 것은?

  1. 용접능률과 용접품질이 우수하므로 후판용접 등에 적당하다.
  2. 용접진행 중에 용접부를 직접 관찰 할 수 없다.
  3. 최소한의 변형과 최단시간의 용접법이다.
  4. 다전극을 이용하면 더욱 능률을 높일 수 있다.
(정답률: 74%)
  •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은 용접부에 덮개가 있어서 용접진행 중에 용접부를 직접 관찰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전기 저항 용접 중 맞대기 용접이 아닌 것은?

  1. 업셋 용접
  2. 버트 심용접
  3. 프로젝션 용접
  4. 퍼커션 용접
(정답률: 57%)
  • 프로젝션 용접은 저항 용접의 한 종류로, 두 개 이상의 금속 부품을 접합할 때 사용됩니다. 부품들은 특별한 모양의 프로젝션(돌출부)이 있어서 이 프로젝션들이 서로 맞닿아 용접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맞대기 용접이 아닌 것은 프로젝션 용접입니다. 업셋 용접은 두 개의 금속 부품을 압력과 열로 용접하는 방법이며, 버트 심용접은 두 개의 금속 부품을 끝에서 끝으로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퍼커션 용접은 두 개의 금속 부품을 끝에서 끝으로 용접하는 방법 중 하나이며, 업셋 용접과 유사하지만 더 많은 압력을 가해 용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CO2 가스 아크 용접시 저전류 영역에서 가스유량은 약 몇 ℓ/min 정도가 가장 적당한가?

  1. 1 ~ 5
  2. 6 ~ 10
  3. 10 ~ 15
  4. 16 ~ 20
(정답률: 70%)
  • CO2 가스 아크 용접시 저전류 영역에서 가스유량은 약 10 ~ 15 ℓ/min 정도가 가장 적당합니다. 이는 적당한 가스 유량으로 용접 부위를 충분히 보호하면서도 용접 부위에 과도한 가스가 불필요하게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데 적합한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범위는 용접 부위의 크기와 형태, 용접 전극과 작업물 사이의 거리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상온에서 강하게 압축함으로써 경계면을 국부적으로 소성 변형시켜 접합하는 것은?

  1. 냉간 압점
  2. 플래시 버트 용접
  3. 업셋 용접
  4. 가스 압접
(정답률: 53%)
  • 냉간 압점은 상온에서 강하게 압축하여 경계면을 국부적으로 소성 변형시켜 접합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열을 사용하지 않고 압력만으로 접합하는 방법으로, 높은 강도와 경도를 가지는 접합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서 다전극 방식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유니언식
  2. 횡 병렬식
  3. 횡 직렬식
  4. 탠덤식
(정답률: 67%)
  • 유니언식은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서 다전극 방식이 아닌 이유는, 유니언식은 두 개의 전극을 사용하여 용접을 수행하는데, 이는 이중 아크 용접이라고도 불립니다. 따라서 다전극 방식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용착금속의 극한 강도가 30kgf/mm2 안전율이 6이면 허용 응력은?

  1. 3kgf/mm2
  2. 4kgf/mm2
  3. 5kgf/mm2
  4. 6kgf/mm2
(정답률: 83%)
  • 허용 응력 = 극한 강도 / 안전율
    허용 응력 = 30kgf/mm^2 / 6
    허용 응력 = 5kgf/mm^2
    따라서 정답은 "5kgf/mm^2"입니다. 이유는 안전율이 6이므로 극한 강도의 1/6 이하의 응력만을 허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하중의 방향에 따른 필릿 용접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전면 필릿
  2. 측면 필릿
  3. 연속 필릿
  4. 경사 필릿
(정답률: 63%)
  • 연속 필릿은 하중의 방향에 따라서가 아닌, 용접을 연속적으로 이어서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용접 시간을 단축시키고, 용접 부위의 강도를 높일 수 있어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모재 두께 9mm, 용접 길이 150mm인 맞대기 용접의 최대 인장 하중(kgf)은 얼마인가? (단, 용착금속의 인장 강도는 43kgf/mm2이다.)

  1. 716kgf
  2. 4450kgf
  3. 40635kgf
  4. 58050kgf
(정답률: 65%)
  • 맞대기 용접의 최대 인장 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인장 하중 = 용접면적 × 용접금속의 인장강도

    용접면적은 모재 두께와 용접 길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맞대기 용접의 경우 용접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용접면적 = 모재두께 × 용접길이

    따라서 용접면적은 9mm × 150mm = 1350mm2 입니다.

    인장강도는 문제에서 주어졌으므로 43kgf/mm2으로 대입합니다.

    인장 하중 = 1350mm2 × 43kgf/mm2 = 58050kgf

    따라서 정답은 "58050kg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화재의 폭발 및 방지조치 중 틀린 것은?

  1. 필요한 곳에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발화 설비를 설치 할 것
  2. 배관 또는 기기에서 가연성 증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할 것
  3. 대기 중에 가연성 가스를 누설 또는 방출시키지 말 것
  4. 용접 작업 부근에 점화원을 두지 않도록 할 것
(정답률: 7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용접 변형에 대한 교정 방법이 아닌 것은?

  1. 가열법
  2. 가압법
  3. 절단에 의한 정형과 재 용접
  4. 역변형법
(정답률: 56%)
  • 역변형법은 용접 후에 이미 발생한 변형을 되돌리는 것이 아니라, 용접 전에 미리 예측하여 용접 시에 변형을 최소화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는 용접 변형에 대한 교정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용접시 두통이나 뇌빈혈을 일으키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농도는?

  1. 1 ~ 2%
  2. 3 ~ 4%
  3. 10 ~ 15%
  4. 20 ~ 30%
(정답률: 65%)
  • 이산화탄소 가스의 최대 농도는 5%이며, 이 농도를 초과하면 즉각적인 위험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용접 작업에서는 일반적으로 3 ~ 4%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발생하며, 이는 인체에 두통이나 뇌빈혈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 작업 시에는 충분한 환기와 보호장비를 사용하여 안전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용접에서 예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용접 작업에 의한 수축 변형을 감소시킨다.
  2. 용접부의 냉각 속도를 느리게 하여 결함을 방지한다.
  3. 고급 내열합금도 용접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열을 한다.
  4. 알루미늄합금, 구리합금은 50~70℃의 예열이 필요하다
(정답률: 63%)
  • 알루미늄합금과 구리합금은 열전도율이 높아서 용접 시 빠르게 냉각되어 용접부에 응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예열이 필요하다. 따라서 "알루미늄합금, 구리합금은 50~70℃의 예열이 필요하다"는 설명이 맞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현미경 조직시험 순서 중 가장 알맞은 것은?

  1. 시험편 채취 – 마운팅 – 샌드 페이퍼 연마 – 폴리싱 – 부식 – 현미경검사
  2. 시험편 채취 – 폴리싱 – 마운팅 – 샌드 페이퍼 연마 – 부식 – 현미경검사
  3. 시험편 채취 – 마운팅 – 폴리싱 – 샌드 페이퍼 연마 – 부식 – 현미경검사
  4. 시험편 채취 – 마운팅 – 부식 - 샌드 페이퍼 연마 – 폴리싱 –현미경검사
(정답률: 61%)
  • 시험편 채취 후에는 마운팅을 해야하고, 마운팅 후에는 샌드 페이퍼 연마를 통해 표면을 평평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폴리싱을 통해 표면을 더욱 매끄럽게 만들어야 하며, 이후에는 부식을 통해 적절한 크기로 만들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현미경검사를 통해 시험편의 특성을 확인합니다. 따라서 "시험편 채취 – 마운팅 – 샌드 페이퍼 연마 – 폴리싱 – 부식 – 현미경검사"가 가장 알맞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용접부의 연성결함의 유무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시험법은?

  1. 경도 시험
  2. 인장 시험
  3. 초음파 시험
  4. 굽힘 시험
(정답률: 69%)
  • 굽힘 시험은 용접부의 연성결함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는 시험법입니다. 이 시험에서는 용접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끊어내고 그 부위를 굽혀보면서 용접부의 결함을 확인합니다. 만약 용접부가 연성이 부족하거나 결함이 있다면 굽혔을 때 용접부가 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굽힘 시험은 용접부의 연성결함을 확인하는 데 가장 적합한 시험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TIG 용접 및 MIG 용접에 사용되는 불활성 가스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수소 가스
  2. 아르곤 가스
  3. 산소 가스
  4. 질소 가스
(정답률: 74%)
  • TIG 용접 및 MIG 용접은 둘 다 높은 온도에서 용접을 수행하므로 용접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불활성 가스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아르곤 가스는 안정적이고 화학적으로 비활성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 용접 부위를 보호하는 데 가장 적합합니다. 또한, 아르곤 가스는 고순도로 제공되어 용접 부위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IG 용접 및 MIG 용접에는 아르곤 가스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가스 용접시 양호한 용접부를 얻기 위한 조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용착금속의 용입 상태가 균일해야 한다.
  2. 슬래그, 기공 등의 결함이 없어야 한다.
  3. 용접부에 첨가된 금속의 성질이 양호하지 않아도 된다.
  4. 용접부에는 기름, 먼지, 녹 등을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정답률: 86%)
  • 용접부에 첨가된 금속의 성질이 양호하지 않으면 용접부의 강도나 내식성 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용접부를 얻기 위해서는 용접에 사용되는 첨가재나 용착금속의 성질이 적절해야 합니다. 따라서 "용접부에 첨가된 금속의 성질이 양호하지 않아도 된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교류 아크 용접기 종류 중 AW-500의 정격 부하 전압은 몇 V인가?

  1. 28V
  2. 32V
  3. 36V
  4. 40V
(정답률: 53%)
  • AW-500은 500A의 정격 용접 전류를 가지고 있으며, 전압은 전류와 함께 부하에 따라 변화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AW-500은 40V의 정격 부하 전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AW-500이 대형 구조물 및 두꺼운 금속재를 용접할 때 필요한 고전압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연강 피복 아크 용접봉인 E4316의 계열은 어느 계열인가?

  1. 저수소계
  2. 고산화티탄계
  3. 철분 저수소계
  4. 일미나이트계
(정답률: 75%)
  • E4316은 저수소계에 속하는 용접봉입니다. 이는 용접봉의 화학성분에서 저탄소와 저인성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성분은 용접시에 용접부의 인성과 인장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용해 아세틸렌 가스는 각각 몇 ℃, 몇 kgf/cm2로 충전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40℃, 160 kgf/cm2
  2. 35℃, 150 kgf/cm2
  3. 20℃, 30 kgf/cm2
  4. 15℃, 150 kgf/cm2
(정답률: 53%)
  • 용해 아세틸렌 가스는 온도가 낮을수록 용해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15℃가 적합합니다. 또한, 충전 압력은 안전성과 사용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50 kgf/cm2 정도가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 150 kgf/c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 )안에 알맞은 용어는?

  1. 인력
  2. 기력
  3. 자력
  4. 응력
(정답률: 65%)
  • 위 그림은 인간의 근육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인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산소 아크 절단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가스절단에 비해 절단면이 거칠다.
  2. 직류 정극성이나 교류를 사용한다.
  3. 중실(속이 찬) 원형봉의 단면을 가진 강(steel)전극을 사용한다.
  4. 절단 속도가 빨라 철강 구조물 해체, 수중 해체 작업에 이용된다.
(정답률: 53%)
  • 정답은 "중실(속이 찬) 원형봉의 단면을 가진 강(steel)전극을 사용한다."가 아닙니다.

    산소 아크 절단은 직류 정극성을 사용하며, 절단 속도가 빠르고 철강 구조물 해체, 수중 해체 작업 등에 이용됩니다. 다만, 중실(속이 찬) 원형봉의 단면을 가진 강(steel)전극을 사용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전극의 형태가 절단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전극은 단지 전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극의 형태는 사용자의 편의나 작업 환경에 따라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피복 아크 용접봉의 피복 배합제의 성분 중에서 탈산제에 해당하는 것은?

  1. 산화티탄(TiO2)
  2. 규소철(Fe-Si)
  3. 셀룰로오스(Cellulose)
  4. 일미나이트(TiO2·FeO)
(정답률: 44%)
  • 피복 아크 용접봉의 피복 배합제 중 탈산제는 산화물을 환원시켜 산화물을 제거하여 용접부의 산화물 함량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탈산제로 사용되는 성분은 산화물을 환원시킬 수 있는 물질이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규소철(Fe-Si)이 탈산제로 사용되는 이유는 규소철이 산화물을 환원시켜 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는 물질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가스 중 가연성 가스로만 되어있는 것은?

  1. 아세틸렌, 헬륨
  2. 수소, 프로판
  3. 아세틸렌, 아르곤
  4. 산소, 이산화탄소
(정답률: 64%)
  • 정답은 "수소, 프로판"입니다. 이유는 아세틸렌은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가연성 가스이며, 헬륨은 비활성 기체이고, 아르곤은 비활성 기체이며, 산소와 이산화탄소는 불가연성 기체입니다. 반면에 수소와 프로판은 모두 가연성 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용접법을 크게 융접, 압접, 납땜으로 분류할 때 압접에 해당되는 것은?

  1. 전자 빔 용접
  2. 초음파 용접
  3. 원자 수소 용접
  4.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정답률: 48%)
  • 압접은 두 개의 부품을 압력을 가해 결합시키는 용접 방법입니다. 이 중에서 초음파 용접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부품을 압력을 가해 결합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초음파 용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정격 2차 전류 200A, 정격 사용률 40%, 아크 용접기로 150A의 용접전류 사용시 허용 사용률은 약 얼마인가?

  1. 51%
  2. 61%
  3. 71%
  4. 81%
(정답률: 54%)
  • 정격 2차 전류 200A에서 정격 사용률 40%는 80A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용접기에서는 80A 이하의 용접전류만 100% 사용이 가능합니다.

    150A의 용접전류를 사용할 경우, 허용 사용률은 (150A / 200A) * 100% = 75%가 됩니다. 하지만, 이 용접기의 정격 사용률은 40%이므로, 실제 허용 사용률은 75% * 40% = 30%가 됩니다.

    따라서, 150A의 용접전류를 사용할 경우, 이 용접기의 허용 사용률은 30%이며, 이를 반올림하여 71%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가스 용접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아크 용접에 비해 불꽃의 온도가 높다.
  2. 열집중성이 좋아 효율적인 용접이 가능하다.
  3. 전원 설비가 있는 곳에서만 설치가 가능하다.
  4. 가열할 때 열량 조절이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박판 용접에 적합하다.
(정답률: 60%)
  • 가스 용접은 가열할 때 열량 조절이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박판 용접에 적합하다. 이는 박판 용접 시에는 일정한 열량이 필요하며, 가스 용접은 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박판 용접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의 피복 배합제 중 아크 안정제 역할을 하는 종류로 묶여 놓은 것 중 옳은 것은?

  1. 적철강, 알루미나, 붕산
  2. 붕산, 구리, 마그네슘
  3. 알루미나, 마그네슘, 탄산나트륨
  4. 산화티탄, 규산나트륨, 석회석, 탄산나트륨
(정답률: 66%)
  • 아크 용접봉의 피복 배합제는 아크 안정제 역할을 하는 성분과 산화물, 염화물 등의 화학물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산화티탄은 아크 용접 시에 안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며, 규산나트륨은 용융된 금속의 표면장력을 낮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석회석은 용융된 금속의 산화를 방지하고, 탄산나트륨은 용융된 금속의 표면을 정화하여 용접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산화티탄, 규산나트륨, 석회석, 탄산나트륨이 아크 용접봉의 피복 배합제 중 아크 안정제 역할을 하는 종류로 묶여 놓은 것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가스 가우징용 토치의 본체는 프랑스식 토치와 비슷하나 팁은 비교적 저압으로 대용량의 산소를 방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이는 어떤 설계 구조인가?

  1. 초코
  2. 인젝트
  3. 오리피스
  4. 슬로우 다이버전트
(정답률: 59%)
  • 가스 가우징용 토치의 본체는 슬로우 다이버전트 구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는 가스가 출구로 향할 때, 출구의 지름이 점점 넓어지면서 가스의 속도가 감소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이로 인해 대용량의 산소를 저압으로 방출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용접재료

36. 가스용접 작업에서 후진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열 이용률이 좋다.
  2. 용접속도가 빠르다.
  3. 용접 변형이 작다.
  4. 얇은 판의 용접에 적당하다.
(정답률: 66%)
  • 가스용접 작업에서 후진법의 특징 중 얇은 판의 용접에 적당하다는 것은, 후진법은 용접속도가 빠르고 열이 집중되는 부분이 작아 얇은 판의 용접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후진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스 절단시 양호한 절단면을 얻기 위한 품질 기준이 아닌 것은?

  1. 슬래그 이탈이 양호할 것
  2. 절단면의 표면각이 예리할 것
  3. 절단면이 평활하며 노치 등이 없을 것
  4. 드래그의 홈이 높고 가능한 클 것
(정답률: 73%)
  • 드래그의 홈이 높고 가능한 클 것은 가스 절단 시에 적절한 산소 공급과 슬래그 제거를 위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적절한 드래그 홈은 슬래그가 적절하게 제거되어 양호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이는 양호한 절단면을 얻기 위한 품질 기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피복 아크 용접봉은 피복제가 연소한 후 생성된 물질이 용접부를 보호한다. 용접부의 보호방식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가스 발생식
  2. 스프레이형
  3. 반가스 발생식
  4. 슬래그 생성식
(정답률: 69%)
  • 스프레이형은 용접 전극과 용접봉 사이에서 고속으로 용접재료를 분사하여 용접부를 보호하는 방식이다. 이는 피복제가 연소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용접부의 보호방식에 따른 분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직류 아크 용접에서 정극성의 특징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비드 폭이 넓다.
  2. 주로 박판용접에 쓰인다.
  3. 모재의 용입이 깊다.
  4. 용접봉의 녹음이 빠르다.
(정답률: 59%)
  • 직류 아크 용접에서 정극성의 특징 중 모재의 용입이 깊다는 것은, 양극성이 양극성 전극에서 모재로 향하므로 용접봉이 모재 안으로 깊게 침투하여 용접이 강력하게 결합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용접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스테인리스강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2. 레데뷰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3. 석출경화형 스테인리스강
  4.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정답률: 45%)
  • 레데뷰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존재하지 않는 스테인리스강 종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레데뷰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금속 침투법 중 칼로라이징은 어떤 금속을 침투시킨 것인가?

  1. B
  2. Cr
  3. Al
  4. Zn
(정답률: 56%)
  • 칼로라이징은 알루미늄을 침투시킨다. 이는 칼로라이징 과정에서 알루미늄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마그네슘(Mg)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비강도가 Al 합금보다 떨어진다.
  2. 구상흑연 주철의 첨가제로 사용된다.
  3. 비중이 약 1.74 정도로 실용금속 중 가볍다.
  4. 항공기, 자동차 부품, 전기기기, 선박, 광학기계, 인쇄제판 등에 사용된다.
(정답률: 51%)
  • "비강도가 Al 합금보다 떨어진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마그네슘은 비중이 가볍고 강도가 높아서 항공기, 자동차 부품 등 경량화에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알루미늄 합금보다는 비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구조물 등에서는 알루미늄 합금보다는 사용이 제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Al-Si계 합금의 조대한 공정조직을 미세화하기 위하여 나트륨(Na), 수산화나트륨(NaOH), 알칼리염류 등을 합금 용탕에 첨가하여 10~15분간 유지하는 처리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시효 처리
  2. 폴링 처리
  3. 개량 처리
  4. 응력제거 풀림처리
(정답률: 43%)
  • 알루미늄-실리콘(Al-Si) 합금은 빠른 냉각으로 인해 큰 조직 결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정은 합금의 기계적 성질을 약화시키고 가공성을 저하시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결정을 미세화하기 위해 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알칼리염류 등을 합금 용탕에 첨가하여 10~15분간 유지하는 개량 처리를 수행합니다. 이는 합금의 조직을 미세화하여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고 가공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조성이 2.0~3.0%C, 0.6~1.5%Si 범위의 것으로 백주철을 열처리로에 넣어 가열해서 탈탄 또는 흑연화 방법으로 제조한 주철은?

  1. 가단 주철
  2. 칠드 주철
  3. 구상 흑연 주철
  4. 고력 합금 주철
(정답률: 35%)
  • 조성이 2.0~3.0%C, 0.6~1.5%Si 범위인 주철은 탄소와 실리콘 함량이 높아서 부드러운 강도와 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가열 후 탈탄 또는 흑연화 방법으로 제조된 주철은 가단 주철이라고 불리며, 주로 주철 주물이나 열처리용 주철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단 주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구리(Cu)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구리는 체심입방격자이며, 변태점이 있다.
  2. 전기 구리는 O2나 탈산제를 품지 않는 구리이다.
  3. 구리의 전기 전도율은 금속 중에서 은(Ag)보다 높다.
  4. 구리는 CO2가 들어 있는 공기 중에서 염기성 탄산 구리가 생겨 녹청색이 된다.
(정답률: 49%)
  • 구리는 CO2가 들어 있는 공기 중에서 염기성 탄산 구리가 생겨 녹청색이 된다. 이는 구리가 공기 중의 CO2와 반응하여 탄산 구리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 반응은 구리의 표면에 녹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일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담금질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위험구역에서는 급냉한다.
  2. 임계구역에서는 서냉한다.
  3. 강을 경화시킬 목적으로 실시한다.
  4. 정지된 물속에서 냉각시 대류단계에서 냉각속도가 최대가 된다.
(정답률: 69%)
  • 담금질은 금속을 빠르게 냉각하여 경화시키는 공정으로, 강을 경화시키는 목적으로 실시됩니다. 이는 강의 경도와 강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을 구분하는 온도로 옳은 것은?

  1. 재결정 온도
  2. 재료가 녹는 온도
  3. 물의 어는 온도
  4. 고온취성 발생온도
(정답률: 63%)
  • 재결정 온도는 금속의 결정 구조를 재배열하는 온도로,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을 구분하는 기준이 됩니다. 열간가공은 재결정 온도 이상에서 이루어지며, 냉간가공은 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재결정 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강의 표준 조직이 아닌 것은?

  1. 페라이트(ferrite)
  2. 펄라이트(pearlite)
  3. 시멘타이트(cementite)
  4. 소르바이트(sorbite)
(정답률: 64%)
  • 소르바이트는 강의 조직 중 하나가 아니라, 페라이트, 펄라이트, 시멘타이트의 변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강의 표준 조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보통 주강에 3% 이하의 Cr을 첨가하여 강도와 내마멸성을 증가시켜 분쇄기계, 석유화학 공업용 기계부품 등에 사용되는 합금 주강은?

  1. Ni 주강
  2. Cr 주강
  3. Mn 주강
  4. Ni-Cr 주강
(정답률: 56%)
  • Cr 주강은 3% 이하의 크롬을 첨가하여 강도와 내마모성을 증가시킨 합금 주강입니다. 따라서 분쇄기계, 석유화학 공업용 기계부품 등과 같은 고강도,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부품에 사용됩니다. Ni 주강은 니켈을 첨가하여 내식성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되며, Mn 주강은 망간을 첨가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사용됩니다. Ni-Cr 주강은 니켈과 크롬을 함께 첨가하여 내식성과 내열성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탄소량이 가장 적은 강은?

  1. 연강
  2. 반경강
  3. 최경강
  4. 탄소공구강
(정답률: 73%)
  • 연강은 탄소량이 가장 적은 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연강이 주로 철과 함께 약간의 탄소와 다른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다른 강들은 탄소량이 더 많거나 탄소 외 다른 원소들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제도

51. 기계제도에서의 척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척도는 표제란에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2. 축척의 표시는 2:1, 5:1, 10:1 등과 같이 나타낸다.
  3. 척도란 도면에서의 길이와 대상물의 실제길이의 비이다.
  4. 도면을 정해진 척도값으로 그리지 못하거나 비례하지 않을 때에는 척도를 ‘NS’로 표시할 수 있다.
(정답률: 62%)
  • 잘못된 것은 "척도란 도면에서의 길이와 대상물의 실제길이의 비이다."입니다. 척도는 도면에서의 길이와 실제 세계에서의 길이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도면에서의 길이를 실제 세계에서의 길이로 환산하기 위한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척도는 도면에서의 길이와 대상물의 실제길이의 비가 아니라, 도면에서의 길이와 실제 세계에서의 길이의 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배관 도면에 포함되어 있는 요소로 볼 수 없는 것은?

  1. 엘보
  2. 체크밸브
(정답률: 60%)
  • 체크밸브는 배관 내부의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장치이지만, 이 도면에서는 해당 요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답은 체크밸브입니다. 나머지 요소들은 모두 도면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리벳 구멍에 카운터 싱크가 없고 공장에서 드릴 가공 및 끼워 맞추기 할 때의 간략 표시 기호는?

(정답률: 56%)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카운터 싱크가 없는 리벳 구멍에서 드릴 가공 및 끼워 맞추기를 할 때 사용하는 간략 표시 기호인데, 이 기호는 "C" 모양으로 표시됩니다. ""은 블라인드 리벳 구멍, ""은 카운터 싱크가 있는 리벳 구멍, ""은 헤드 리벳 구멍을 나타내는 간략 표시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과 같이 지름이 같은 원기둥과 원기둥이 직각으로 만날 때의 상관선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1. 점선 형태의 직선
  2. 실선 형태의 직선
  3. 실선 형태의 포물선
  4. 실선 형태의 하이포이드 곡선
(정답률: 54%)
  • 원기둥과 원기둥이 직각으로 만날 때, 상관선은 두 원기둥의 접면에서 만나게 됩니다. 이 때, 접면은 원기둥의 높이와 밑면의 원의 지름이 같은 평면이므로, 상관선은 두 원의 지름이 같은 점에서 만나게 됩니다. 따라서, 상관선은 실선 형태의 직선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리벳 이음(Rivet Joint) 단면의 표시법으로 가장 올바르게 투상된 것은?

(정답률: 65%)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리벳 이음(Rivet Joint)은 항공기 내부에서 통신 및 전자정보 수집을 위한 장비를 탑재한 미국 공군의 수신기 기반 정보 수집기(통신처리기)입니다.
    - 이 기기는 항공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 따라서 리벳 이음의 단면을 표시할 때는 항공기 내부에서 본 시점을 기준으로 투영해야 합니다.
    - ""는 항공기 내부에서 본 리벳 이음의 단면을 올바르게 표시한 것입니다.
    - 다른 보기들은 항공기 외부에서 본 시점을 기준으로 투영한 것이므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KS 재료기호 중 기계 구조용 탄소강재의 기호는?

  1. SM 35C
  2. SS 490B
  3. SF 340A
  4. STKM 20A
(정답률: 66%)
  • KS 재료기호에서 "S"는 구조용 강재를 나타내고, "M"은 기계구조용 강재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SM"은 기계구조용 강재를 의미합니다. "35"은 강재의 인장강도를 나타내며, "C"는 탄소함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SM 35C"는 기계구조용 탄소강재로, 인장강도는 35kgf/mm²이고 탄소함량은 보통 0.25% 이상 0.35% 미만인 강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치수기입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중요한 치수는 중복하여 기입한다.
  2. 치수는 되도록 주 투상도에 집중하여 기입한다.
  3. 계산하여 구한 치수는 되도록 식을 같이 기입한다.
  4. 치수 중 참고 치수에 대하여는 네모 상자 안에 치수 수치를 기입한다.
(정답률: 63%)
  • 주 투상도는 제품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기 때문에, 치수를 주 투상도에 집중하여 기입하면 제품의 전반적인 크기와 형태를 파악하기 쉽고, 제조 과정에서 오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용접기호에서 “3” 의 의미로 올바른 것은?

  1. 용접부 수
  2. 용접부 간격
  3. 용접의 길이
  4. 필릿 용접 목 두께
(정답률: 61%)
  • 용접기호에서 “3”은 “용접부 수”를 나타냅니다. 이는 용접할 부품의 두께에 따라 필요한 용접부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용접부 수가 많을수록 용접이 강력해지고 내구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용접부 수는 용접의 품질과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지시선 및 인출선을 잘못 나타낸 것은?

(정답률: 46%)
  • ""이 잘못 나타낸 것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지시선과 인출선이 서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잘못되었습니다. 지시선은 고객이 서명하는 위치를 나타내고, 인출선은 고객이 돈을 인출하는 위치를 나타냅니다. 이 두 선은 서로 교차해서는 안 되며, 인출선은 반드시 지시선 위에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제 3각 정투상법으로 투상한 그림과 같은 투상도의 우측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72%)
  • 정답은 "" 입니다.

    우측면도에서는 원근법에 따라 면이 축소되어 보이므로, 실제로는 평행한 두 선분이지만 우측면도에서는 서로 교차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에 따라, 우측면도에서는 직각삼각형의 빗변이 보이지 않으므로,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