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4-17)

특수용접기능사
(2011-04-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용접일반

1. 33.7리터의 산소 용기에 150kgf/㎠으로 산소를 충전하여 대기 중에서 환원하면 산소는 몇 리터인가?

  1. 5055
  2. 6066
  3. 7077
  4. 8088
(정답률: 83%)
  • 이 문제는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PV = nRT

    여기서 P는 압력, V는 부피,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온도를 나타냅니다.

    이 문제에서는 압력과 부피가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몰수를 구하고, 이를 다시 부피에 대입하여 최종 부피를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몰수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합니다.

    n = PV/RT

    여기서, P = 150kgf/㎠ = 150 × 9.8 × 10^3 Pa (1kgf = 9.8N)
    V = 33.7L = 33.7 × 10^-3 m^3
    R = 8.31 J/mol·K (기체상수)
    T = 273K (대기온도)

    따라서,

    n = (150 × 9.8 × 10^3 Pa) × (33.7 × 10^-3 m^3) / (8.31 J/mol·K × 273K)
    = 19.5 mol

    이제, 몰수를 구했으므로, 이를 다시 부피에 대입하여 최종 부피를 구합니다.

    V' = nRT/P

    여기서, P는 대기압으로 가정하겠습니다. 대기압은 보통 1 atm으로 가정합니다.

    P = 1 atm = 101325 Pa

    따라서,

    V' = (19.5 mol) × (8.31 J/mol·K) × (273K) / (101325 Pa)
    = 0.5055 m^3
    = 5055 L

    따라서, 산소는 5055 리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용접법의 분류 중에서 융접에 속하는 것은?

  1. 테르밋 용접
  2. 초음파 용접
  3. 플래시 용접
  4. 시임 용접
(정답률: 77%)
  • 테르밋 용접은 금속을 열화합물로 변화시켜 용접하는 융접 용접법입니다. 이 용접법은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용접하므로 열에 의한 변형이나 왜곡이 없으며, 용접 부위의 강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테르밋 용접은 융접에 속하는 용접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가스용접법에서 후진법과 비교한, 전진법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열 이용율이 나쁘다.
  2. 용접속도가 빠르다.
  3. 용접변형이 작다.
  4. 용접가능 판 두께가 두껍다.
(정답률: 68%)
  • 전진법은 용접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열이 빠르게 전달되어 열이용율이 나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피복 아크 용접을 할 때 용융속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맞는 것은?

  1. 용융속도 = 아크전류 × 용접봉 쪽 전압강하
  2. 용융속도 = 아크전압 × 용접봉 쪽 전압강하
  3. 용융속도 = 아크전류 × 용접봉 지름
  4. 용융속도 = 아크전류 × 아크전압
(정답률: 74%)
  • "용융속도 = 아크전류 × 용접봉 쪽 전압강하"가 맞습니다. 이는 용접봉과 작업물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에 따라 용접 아크의 전류가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전류가 높을수록 용융속도가 빨라지며, 전압강하가 크면 전류가 작아지므로 용융속도가 느려집니다. 따라서 용접 작업을 할 때는 용접봉과 작업물 사이의 거리와 용접봉의 지름, 전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용융속도를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가스 가우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강재 표면에 홈이나 개재물, 탈탄층 등을 제거하기 위해 표면을 얇게 깎아내는 것
  2. 용접 부분의 뒷면을 따내든지, H형 등의 용접 홈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법
  3. 침몰선의 해체나 교량의 개조, 항만의 방파제 공사 등에 사용하는 가공법
  4. 비교적 얇은 판을 작업 능률을 높이기 위항 여러 장을 겹쳐놓고 한 번에 절단하는 가공법
(정답률: 53%)
  • 가스 가우징은 용접 부분의 뒷면을 따내든지, H형 등의 용접 홈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가스 절단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산소의 압력
  2. 팁의 크기와 모양
  3. 절단재의 재질
  4. 호스의 굵기
(정답률: 85%)
  • 가스 절단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산소의 압력, 팁의 크기와 모양, 절단재의 재질입니다. 호스의 굵기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만, 직접적으로 절단에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호스의 굵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산소-아세틸렌 불꽃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중성 불꽃
  2. 탄화 불꽃
  3. 질화 불꽃
  4. 산화 불꽃
(정답률: 77%)
  • 산소-아세틸렌 불꽃은 주로 금속 가공, 용접 등에서 사용되는 불꽃으로, 높은 온도와 밝은 빛을 내며, 중성 불꽃과 탄화 불꽃과 같은 다른 종류의 불꽃과는 구별됩니다. 질화 불꽃은 질소와 산소가 혼합된 공기를 사용하여 생성되며, 주로 화학 실험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질화 불꽃은 산소-아세틸렌 불꽃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직류 아크 용접에서 역극성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용입이 얕다.
  2. 비드 폭이 좁다.
  3. 용접봉의 녹음이 빠르다.
  4. 박판, 주철, 고탄소강, 비철금속 등의 용접에 쓰인다.
(정답률: 72%)
  • 역극성의 특징 중 비드 폭이 좁다는 것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역극성 용접은 용입이 얕고 용접봉의 녹음이 빠르며, 박판, 주철, 고탄소강, 비철금속 등의 용접에 쓰입니다. 비드 폭은 용접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프로판가스가 완전 연소하였을 때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완전 연소하면 이산화탄소로 된다.
  2. 완전 연소하면 이산화탄소와 물이 된다.
  3. 완전 연소하면 일산화탄소와 물이 된다.
  4. 완전 연소하면 수소가 된다.
(정답률: 67%)
  • 프로판가스는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입니다. 완전 연소란 연료와 산소가 충분히 혼합되어 모든 연료가 연소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프로판가스가 완전 연소하면 탄소와 수소가 산소와 결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절단의 종류 중 아크 절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아크 에어 가우징
  2. 분말 절단
  3. 플라스마 제트 절단
  4. 불활성 가스 아크 절단
(정답률: 68%)
  • 분말 절단은 고체 물질을 분말 형태로 만드는 절단 방법으로, 다른 세 가지는 모두 가열된 가스나 불꽃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방법이지만 분말 절단은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절단을 수행하기 때문에 아크 절단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연강용 가스용접봉의 종류 GA43에서 43이 뜻하는 것은?

  1. 용착 금속의 연신율 구분
  2. 가스 용접봉
  3. 용착 금속의 최소 인장 강도 수준
  4. 용접봉의 최대 지름
(정답률: 89%)
  • GA43에서 43은 해당 가스용접봉의 용착 금속의 최소 인장 강도 수준을 나타냅니다. 즉, 이 가스용접봉은 용착 금속이 최소한 43kgf/mm²의 인장 강도를 가지도록 설계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용접봉의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용접작업자는 용접전류, 용접자세 및 건조 등 용접봉 사용조건에 대한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2. 보통 용접봉은 70~100℃에서 30~60분 정도 건조시켜야 한다.
  3. 저 수소계 용접봉은 300~350℃에서 1~2시간 정도 건조시켜야 한다.
  4. 낮은 곳에 보관한다.
(정답률: 67%)
  • "낮은 곳에 보관한다."는 올바른 주의사항이 아닙니다. 용접봉은 고온 다습한 곳에서 보관해야 하며, 낮은 곳에 보관하면 습기가 쉽게 차서 녹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관할 때는 높은 곳에 보관하거나 건조한 장소에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야금적 접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용접(fusion welding)
  2. 접어 잇기(seam)
  3. 압접(pressure welding)
  4. 납땜(brazing and soldering)
(정답률: 79%)
  • 접어 잇기(seam)는 접합법이 아니라, 용접이나 압접 등의 접합법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접어 잇기는 야금적 접합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교류용접기에서 무부하전압인 높기 때문에 감전의 위험이 있어 용접사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치는?

  1. 초음파 장치
  2. 전격방지 장치
  3. 원격 제어 장치
  4. 핫 스타트 장치
(정답률: 89%)
  • 교류용접기에서 무부하전압인 높은 전압과 전류가 발생하므로 용접사가 감전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전격방지 장치를 설치하여 용접사를 보호합니다. 이 장치는 용접기의 전압과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용접사에게 전기 충격이 발생할 경우 전기를 차단하여 용접사를 보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교류 아크 용접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가동 철심형
  2. 가동 코일형
  3. 정류기형
  4. 가포화리액터형
(정답률: 77%)
  • 교류 아크 용접기는 가동 철심형, 가동 코일형, 가포화리액터형을 포함하며, 정류기형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용접기 자체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정류기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양극전압 강하 VA 음극전압 강하 Vk, 아크기둥 전압강하 Vp라고 할 때 Va의 올바른 관계식은?

  1. Va = VA + Vk -Vp
  2. Va = Vk + Vp - VA
  3. Va = VA - Vk -Vp
  4. Va = Vk + Vp + VA
(정답률: 50%)
  • 양극전압 강하 VA는 음극전압 강하 Vk와 아크기둥 전압강하 Vp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는 전류가 전극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와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관계식은 "Va = Vk + Vp + V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가스발생식 용접봉의 특징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자세 용접이 불가능하다.
  2. 슬래그의 제거가 손쉽다.
  3. 아크가 매우 안정된다.
  4. 슬래그생성식에 비해 용접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68%)
  • 전자세 용접이 불가능한 이유는 가스발생식 용접봉은 슬래그를 생성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전자세 용접은 아크를 생성하기 위해 전기를 통해 금속을 가열하는데, 이 때 슬래그가 없으면 용접부위가 산화되거나 오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스발생식 용접봉은 전자세 용접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황동 가공재를 상온에서 방치하거나 또는 저온풀림 경화된 스프링재는 사용 중 시간의 경과에 따라 경도 등 여러 성질이 나빠진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경년변화
  2. 탈아연부식
  3. 저연균열
  4. 저온풀림경화
(정답률: 69%)
  • 황동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적으로 결정구조가 변화하면서 경도 등 여러 성질이 나빠지는데, 이러한 현상을 경년변화라고 합니다. 이는 황동의 결정구조가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상온에서 방치하거나 저온풀림 경화된 스프링재 등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년변화는 황동 가공재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알루미늄이나 그 합금은 대체로 용접성이 불량하다. 그 이유가 아닌 것은?

  1. 산화알루미늄의 용융온도가 알루미늄의 용융온도보다 매우 높기 때문에 용접성이 나쁘다.
  2. 용융점이 660℃로서 낮은 편이고, 색체에 따라 가열 온도의 판정이 곤란하여 지나치게 용융이 되기 쉽다.
  3. 용접 후의 변형이 적고 균열이 생기지 않는다.
  4. 용융응고 시에 수소가스를 흡수하여 기공이 발생되기 쉽다.
(정답률: 58%)
  • 알루미늄이나 그 합금은 용융점이 낮아 용융이 쉽고, 용융 후 빠르게 응고되어 변형이 적고 균열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계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내식성이 높고 비자성이다.
  2. Cr 18% - Ni 8% 스테인리스강이 대표적이다.
  3. 용접이 비교적 잘되며, 가공성도 좋다.
  4. 염산, 황산에 강하다.
(정답률: 76%)
  • "염산, 황산에 강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내식성이 높고 비자성이며, Cr 18% - Ni 8% 스테인리스강이 대표적입니다. 또한 용접이 비교적 잘되며, 가공성도 좋습니다. 하지만 염산, 황산에는 강하지 않습니다. 이는 모든 스테인리스강이 아니라 특정 종류의 스테인리스강만이 염산, 황산에 강하다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실용되고 있는 탄소강은 0.05~1.7%C를 함유하며, 각각 다른 용도를 갖고 있다. 탄소강에서 가공성과 강인성을 동시에 요구하는 경우에 탄소함유량이 어느 정도 함유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한가?

  1. 0.05~0.3%C
  2. 0.03~0.45%C
  3. 0.45~0.65%C
  4. 0.65~1.2%C
(정답률: 51%)
  • 탄소함유량이 낮을수록 가공성이 좋고, 강인성이 떨어지며, 탄소함유량이 높을수록 강인성이 좋고, 가공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가공성과 강인성을 동시에 요구하는 경우에는 중간 정도의 탄소함유량이 적당하다. 이에 따라 "0.03~0.45%C"가 적당한 것이다. 이 범위는 가공성과 강인성이 균형잡혀 있어서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켈밋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구리와 납의 합금이다.
  2. 축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하다.
  3. 화이트메탈보다 내 하중성이 크다.
  4. 저속, 저하중용 베어링에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42%)
  • "화이트메탈보다 내 하중성이 크다."는 켈밋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켈밋은 구리와 납의 합금으로, 축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하며 저속, 저하중용 베어링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면심입방격자에 속하는 금속이 아닌 것은?

  1. Cr
  2. Cu
  3. Pb
  4. Ni
(정답률: 35%)
  • 면심입방격자 구조는 FCC 구조를 가지는데, FCC 구조를 가지는 금속 중에서는 크롬(Cr)만 BCC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정답은 "Cr"입니다. 나머지 보기인 구리(Cu), 납(Pb), 니켈(Ni)은 모두 FCC 구조를 가지는 금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금속침투법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설퍼라이징
  2. 세라다이징
  3. 크로마이징
  4. 칼로라이징
(정답률: 68%)
  • 설퍼라이징은 금속침투법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유는 설퍼라이징은 금속의 표면에 황을 침투시켜 황화합물을 형성하여 표면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금속침투법과는 다른 방식의 방법입니다. 따라서, 설퍼라이징은 금속의 보호를 위한 방법 중 하나이지만, 금속침투법의 종류에는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합금강이 탄소강에 비하여 개선되는 성질이 아닌 것은?

  1. 전자기적 성질
  2. 담금질석
  3. 연전도율
  4. 내식, 내마멸성
(정답률: 37%)
  • 합금강은 탄소강에 비해 전자기적 성질, 담금질석, 내식성, 내마멸성 등의 성질에서 개선되지만, 연전도율은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합금강이 탄소강보다 더 많은 합금 원소를 함유하고 있어 결정 구조가 복잡해지고 결정 간 거리가 멀어져 전자의 이동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전도율이 중요한 용도에서는 탄소강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주철균열의 보수용접 중 가늘고 긴 용접을 할 때 용접선에 직각이 되게 꺾쇠 모양으로 직경 6㎜정도의 강봉을 박고 용접하는 방법은?

  1. 스터드법
  2. 비녀장법
  3. 버터링법
  4. 로킹법
(정답률: 61%)
  • 가늘고 긴 용접을 할 때 용접선에 직각이 되게 꺾쇠 모양으로 강봉을 박고 용접하는 방법은 비녀장법입니다. 이는 강봉을 용접선과 함께 용융시켜 용접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용접선과 강봉이 함께 용융되므로 강한 결합력을 가지게 됩니다. 이 방법은 용접선과 강봉을 함께 용융시키기 때문에 용접선의 끝부분이 뚫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가늘고 긴 용접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주강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철에 비하면 용융점이 800℃ 정도의 저온이다.
  2. 주철에 비하여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3. 주조상태로는 조직이 거칠고 취성이 있다.
  4. 주강 제품에는 기포 등이 생기기 쉬우므로 제강작업에는 다량의 탈산제를 사용함에 따라 Mn이나 Ni의 함유량이 많아진다.
(정답률: 53%)
  • "주철에 비하면 용융점이 800℃ 정도의 저온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주강은 주철보다 용융점이 높은 고온강입니다. 이는 주강에 탄소 함량이 적어 주철보다 더 많은 합금 원소가 첨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용접이나 단조 후 편석 및 잔유응력을 제거하여 균일화시키거나 연화를 목적으로 하는 열처리 방법은?

  1. 담금질
  2. 뜨임
  3. 풀림
  4. 불림
(정답률: 47%)
  • 열처리 방법 중에서 풀림은 잔유응력을 제거하거나 균일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인 담금질, 뜨임, 불림은 각각 다른 열처리 방법을 나타내며, 풀림과는 목적과 방법이 다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풀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잔류 응력을 완화하는 방법 중에서 저온응력 완화법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용접선의좌우 양측을 각각 250㎜의 범위를 625℃에서 1시간 가열하여 수냉하는 방법
  2. 600℃에서 10℃씩 온도가 내려가게 풀림처리 하는 방법
  3. 가열 후 압력을 가하여 수냉하는 압법
  4. 용접선의 양측을 정속으로 이동하는 가스 불꽃에 의하여 나비 약 150㎜에 걸쳐서 150~200℃로 가열한 다음 수냉하는 방법
(정답률: 56%)
  • 용접선의 양측을 정속으로 이동하는 가스 불꽃에 의하여 나비 약 150㎜에 걸쳐서 150~200℃로 가열한 다음 수냉하는 방법은, 용접선의 저온부분을 가열하여 저온응력을 완화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용접선의 양측을 가열하여 균일한 온도로 가열하고, 가열된 부분을 빠르게 수냉하여 응력을 완화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용접선의 저온부분에 발생하는 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류를 통하여 자화가 될 수 있는 금속재료 즉 철, 니켈과 같이 자기변태를 나타내는 금속 또는 그 합금으로 제조된 구조물이나 기계부품의 포면부에 존재하는 결함을 검출하는 비파괴시험법은?

  1. 맴돌이 전류시험
  2. 자분 탐상시험
  3. ϒ선 투과시험
  4. 초음파 탐상시험
(정답률: 56%)
  • 자분 탐상시험은 전류를 통해 자화가 가능한 금속재료의 결함을 검출하는 비파괴시험법입니다. 이는 자성체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자기장이 발생하고, 결함 부근에서는 자기장이 불규칙하게 분포하게 되어 자기적으로 약한 부분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이를 측정하여 결함을 검출합니다. 따라서 자분 탐상시험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MIG 용접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접 속도가 빠르다.
  2. 아크 자기제어 특성이 있다.
  3. 전류밀도가 높아 3㎜이상의 판 용접에 적당하다.
  4. 직류 정극성 이용 시 청정작용으로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용접이 가능하다.
(정답률: 54%)
  • 정답은 "전류밀도가 높아 3㎜이상의 판 용접에 적당하다."입니다. MIG 용접은 전류밀도가 높아 두꺼운 판을 용접하는 데 적합하며, 직류 정극성 이용 시 청정작용으로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용접이 가능하다는 것은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는 직류 정극성이 양극에서 산화작용을 일으키고 음극에서 환원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과 같은 산화성 금속을 용접할 때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CO2가스아크 용접에서 아크전압이 높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맞는 것은?

  1. 비드 폭이 넓어진다.
  2. 아크 길이가 짧아진다.
  3. 비드 높이가 높아진다.
  4. 용입이 깊어진다.
(정답률: 54%)
  • 정답은 "비드 폭이 넓어진다."입니다.

    아크 전압이 높을 때, 아크의 열이 강해져 용접 부위의 금속이 녹아내리는 속도가 빨라집니다. 이로 인해 용접 부위의 금속이 녹아내리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비드 폭이 넓어지게 됩니다. 즉, 용접 부위의 금속이 녹아내리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비드 폭이 넓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전자동 MIG용접과 반자동용접을 비교했을 때 전자동 MIG용접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우수한 품질의 용접이 얻어진다.
  2. 생산단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3. 용착 효율이 낮아 능률이 매우 좋다.
  4. 용접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72%)
  • 전자동 MIG용접은 자동화된 용접 공정으로 용접속도가 빠르고 우수한 품질의 용접이 가능하며, 생산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반자동용접은 용접속도가 느리고 용접 품질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착 효율이 낮아 능률이 매우 좋다."는 장점으로는 설명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접장치로는 송급장치, 전압제어장치, 접촉팁, 이동대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용제의 종류에는 용융형 용제, 고온 소결형 용제, 저온 소결형 용제가 있다.
  3. 시공을 할 때는 루트 간격을 0.8㎜이상으로 한다.
  4. 엔드 탭의 부착은 모재와 홈의 형상이나 두께, 재질 등이 동일한 규격으로 부착하여야 한다.
(정답률: 63%)
  • 시공을 할 때 루트 간격을 0.8㎜ 이상으로 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루트 간격은 용접 조건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0.5㎜ 이상으로 설정됩니다. 루트 간격이 너무 좁으면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너무 넓으면 용접재의 양이 많아져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 조건에 맞게 적절한 루트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비파괴 시험이 아닌 것은?

  1. 초음파 탐상시험
  2. 피로시험
  3. 침투 탐상시험
  4. 누설 탐상시험
(정답률: 82%)
  • 피로시험은 물리적인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물질 내부에서 발생하는 손상을 측정하는 시험이며, 이는 비파괴 시험이 아닙니다. 초음파 탐상시험, 침투 탐상시험, 누설 탐상시험은 모두 비파괴 시험으로, 물질의 내부를 파괴하지 않고도 결함이나 손상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용접재료

36. 알루미늄을 TIG 용접할 때 가장 적합한 전류는?

  1. AC
  2. ACHF
  3. DCRP
  4. SCSP
(정답률: 37%)
  • TIG 용접은 교류(AC) 전류를 사용하며, 알루미늄은 높은 열전도성과 열팽창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높은 열 입력이 필요합니다. ACHF(Advanced Squarewave High Frequency) 전류는 높은 주파수와 광범위한 파형을 가지고 있어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인 용접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알루미늄을 TIG 용접할 때 가장 적합한 전류는 ACH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가스 중에서 발열량이 큰 것에서 작은 것의 순서로 배열된 것은?

  1. 아세틸렌 > 프로판 > 수소 > 메탄
  2. 프로판 > 아세틸렌 > 메탄 > 수소
  3. 프로판 > 메탄 > 수소 > 아세틸렌
  4. 아세틸렌 > 수소 > 메탄 > 프로판
(정답률: 36%)
  • 정답은 "프로판 > 아세틸렌 > 메탄 > 수소" 입니다.

    이유는 발열량이란 화학 반응에서 발생하는 열의 양을 말하는데, 이는 연료 분자 내부의 결합 에너지와 외부로 방출되는 열의 합으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결합 에너지가 높을수록 발열량이 높아지게 됩니다.

    프로판은 세 개의 탄소 원자가 결합한 구조로, 아세틸렌보다 결합 에너지가 높아 발열량이 더 높습니다. 아세틸렌은 결합 에너지가 높은 이중 결합을 가지고 있어 프로판보다 발열량이 높습니다. 메탄은 탄소와 수소 원자가 단일 결합을 가지고 있어 발열량이 낮습니다. 수소는 결합 에너지가 가장 낮아 발열량이 가장 낮습니다. 따라서 발열량이 큰 것에서 작은 것의 순서는 "프로판 > 아세틸렌 > 메탄 > 수소"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필릿 용접에서 이론 목두께 a와 용접 다리길이 z의 관계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a ≒ 0.3z
  2. a ≒ 0.5z
  3. a ≒ 0.7z
  4. a ≒ 0.9z
(정답률: 57%)
  • 정답은 "a ≒ 0.7z" 입니다.

    필릿 용접에서는 용접 전 두께와 용접 후 두께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이는 용접 시 발생하는 열변형과 응력에 의한 것입니다. 이론 목두께 a는 용접 전 두께를 의미하며, 용접 다리길이 z는 용접 후 두께에서 용접 전 두께를 뺀 값입니다.

    따라서, a와 z의 관계는 a ≒ z가 됩니다. 하지만, 실제 용접 시에는 열변형과 응력에 의해 a와 z의 값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이 때, a와 z의 비율은 보통 0.7 정도로 나타나기 때문에 "a ≒ 0.7z"가 옳은 관계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가스 용접 시 사용하는 용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제는 용접 중에 생기는 금속의 산화물을 용해한다.
  2. 용제는 용접 중에 생기는 비금속 개재물을 용해한다.
  3. 용제의 융점은 모재의 융점보다 높은 것이 좋다.
  4. 용제는 건조한 분말, 페이스트 또는 용접부 표면 피복한 것도 있다.
(정답률: 63%)
  • "용제의 융점은 모재의 융점보다 높은 것이 좋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용제의 융점이 모재의 융점보다 높을수록 용접 시 용제가 녹아 흐르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용접 속도가 느려지고 용접 부위의 열이 빠르게 흡수되어 열변형이 심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제의 융점은 모재의 융점보다 낮은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연납용 용제로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인산
  2. 염화아연
  3. 염산
  4. 붕산
(정답률: 51%)
  • 붕산은 연납용 용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붕산은 산화제로서 산업에서 산성처리, 산화처리, 염화처리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용접 시 예열을 하는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균열의 방지
  2. 기계적 성질의 향상
  3. 변형, 잔류 응력의 향상
  4. 화학적 성질의 향상
(정답률: 43%)
  • 화학적 성질의 향상은 예열 시 금속의 화학적 구조를 안정화시켜 균열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용접 후 금속의 내식성, 내부 응력 등의 화학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예열은 균열 방지뿐만 아니라 용접 후 금속의 화학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아크 플라스마는 고전류가 되면 방전전류에 의하여 자장과 전류의 작용으로 아크의 단면이 수축되고, 결과 아크 단면이 수축하여 가늘게 되고 전류밀도가 증가한다. 이와 같은 성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열적 핀치효과
  2. 자기적 핀치효과
  3. 플라스마 핀치효과
  4. 동적 핀치효과
(정답률: 53%)
  • 아크 플라스마의 단면이 수축되는 현상을 자기적 핀치효과라고 한다. 이는 전류가 흐르는 곳에서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 자기장이 전류를 둘러싸면서 전류가 집중되어 자기장이 더욱 강해지는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기장의 작용으로 인해 아크 플라스마의 단면이 수축되고 전류밀도가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피복 아크용접에서 용접전류에 의해 아크 주위에 발생하는 자장이 용접봉에 대해서 비대칭일 때 일어나는 현상은?

  1. 자기흐름
  2. 언더 킷
  3. 자기불림
  4. 오버 랩
(정답률: 57%)
  • 피복 아크용접에서 용접전류에 의해 아크 주위에 발생하는 자장이 용접봉에 대해서 비대칭일 때, 용접봉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용접봉 주변에 자기력선이 집중됩니다. 이 때, 용접봉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는 현상을 자기불림이라고 합니다. 이는 용접봉 주변에 자기력선이 집중되어 용접봉 주변의 금속 입자들이 자기력선을 따라 움직이면서 용접봉 주변에 더 많은 금속 입자들이 모이게 되고, 이는 용접봉 주변의 금속 입자들이 녹아붙이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자기불림은 용접봉 주변에 더 강한 용접결합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용접결함 중 구조상 결함이 아닌 것은?

  1. 슬래그 섞임
  2. 용입불량과 융합불량
  3. 언더 킷
  4. 피로강도 부족
(정답률: 68%)
  • 피로강도 부족은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이 아니라, 용접 후 장기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결함입니다. 용접 부위의 재료가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지 않아, 사용하면서 반복적인 응력에 의해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구조상 결함이 아니라 사용 중 발생하는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용접의 일종으로서 아크열이 아닌 와이어와 용융슬래그사이에 통전된 전류의 저항 열을 이용하여 용접하는 것은?

  1. 테르밋 용접
  2. 전자빔 용접
  3. 초음파 용접
  4.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정답률: 70%)
  •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은 와이어와 용융슬래그사이에 전류를 통과시켜 저항 열을 발생시켜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아크열이 아닌 전류의 저항 열을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법이며, 이에 따라 정답은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CO2가스 아크 용접 결함에 있어서 다공성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질소, 수소, 일산화탄소 등에 의한 기공을 말한다.
  2. 와이어 선단부에 용적이 붙어 있는 것을 말한다.
  3. 스패터가 발생하여 비드의 외관에 붙어 있는 것을 말한다.
  4. 노즐과 모재간 거리가 지나치게 작아서 와이어 송급불량 을 의미한다.
(정답률: 69%)
  • 다공성은 용접 과정에서 CO2 가스가 용융된 금속 주변에 존재하는 기체인 질소, 수소, 일산화탄소 등이 금속 속에 용해되지 못하고 기공으로 남아있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질소, 수소, 일산화탄소 등에 의한 기공을 말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안전보건표시의 색채, 색도기준 및 용도에서 특정 행위의 지시 및 사실의고지에 사용되는 색채는?

  1. 빨간색
  2. 노란색
  3. 녹색
  4. 파란색
(정답률: 63%)
  • 안전보건표시에서 파란색은 안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색으로 사용됩니다. 특히, 행동이나 행위의 지시를 나타내는 경우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사실의 고지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파란색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파란색은 안전보건표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색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용접기에 전원스위치를 넣기 전에 점검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용접기가 전원에 잘 접속되어 있는가를 점검한다.
  2. 케이블이 손상된 곳은 없는지 점검한다.
  3. 회전부나 마찰부에 윤활유가 알맞게 주유되어 있는지 점검한다.
  4. 용접봉 홀더에 접지선이 이어져 있는지 점검한다.
(정답률: 33%)
  • 용접봉 홀더에 접지선이 이어져 있는지 점검하는 것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는 용접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것입니다. 용접 작업 시에는 반드시 접지선을 연결하여 전기적 안전을 보장해야 합니다. 따라서 용접봉 홀더에 접지선이 이어져 있는지 점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마찰용접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용접작업이 시간이 짧아 작업 능률이 높다.
  2. 이종금속의 접합이 가능하다.
  3. 피 용접물과 형상치수, 길이, 무게의 제한이 없다.
  4. 작업자의 숙련이 필요하지 않다.
(정답률: 46%)
  • 마찰용접은 용접물의 녹는 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접물의 형상, 길이, 무게에 제한이 없습니다. 따라서 대형 구조물 등 큰 용접물을 용접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용접봉의 소요량을 판단하거나 용접 작업 시간을 판단하는데 필요한 용접봉의 용착효율을 구하는 식은?

(정답률: 49%)
  • 용접봉의 용착효율은 실제 용접 작업에서 사용한 용접봉 중 실제 용접에 사용된 길이와 전체 용접봉 길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용접봉의 용착효율을 구하는 식은 실제 용접에 사용된 용접봉 길이를 전체 용접봉 길이로 나눈 후 100을 곱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제도

51. 그림의 등각투상도에서 화살표 방향이 정면일 때 제3각 투상도로 가장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평면도 :
  2. 좌측면도 :
  3. 정면도 :
  4. 우측면도 :
(정답률: 66%)
  • 정면에서 보았을 때, 물체의 왼쪽 부분이 오른쪽 부분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제3각 투상도에서는 왼쪽 부분이 오른쪽 부분보다 더 작게 그려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평면도에서 물체를 왼쪽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평면도는 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도면에 아래와 같이 리벳이 표시되었을 경우 올바른 설명은?

  1. 둥근머리부의 바깥지름은 18㎜이다.
  2. 리벳이음의 피치는 10㎜이다.
  3. 리벳의 길이는 10㎜이다.
  4. 호칭 지름은 6㎜이다.
(정답률: 56%)
  • 리벳의 호칭 지름은 본체의 지름이 아니라 본체 내부에 들어가는 구멍의 지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도면에서 리벳이 들어갈 구멍의 지름이 6㎜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정답은 "호칭 지름은 6㎜이다."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리벳의 크기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지만, 호칭 지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암이나 러브 등을 도형 내에 단면 도시할 때 절단한 곳에 겹쳐서 단면 형상을 그리는 경우 사용하는 선은?

  1. 가는 실선
  2. 파선
  3. 굵은 실선
  4. 가상선
(정답률: 31%)
  • 가는 실선은 실제로 절단한 부분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파선은 절단한 부분이 아닌 다른 부분을 나타내는 경우에 사용되며, 굵은 실선은 주로 외곽선을 나타내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가상선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선으로, 단면 형상을 그리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보기 용접 기호 중 가 나타내는 의미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전둘레 필릿 용접
  2. 현장 필릿 용접
  3. 전둘레 현장 용접
  4. 현장 점 용접
(정답률: 65%)
  • 는 "전둘레 현장 용접"을 나타냅니다. 이는 원형 구조물의 전체 둘레를 용접하는 방법으로, 현장에서 직접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 "전둘레 현장 용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배관설비도의 계기표시기호 중에서 유량계를 나타내는 기호는?

(정답률: 59%)
  • 정답은 "" 입니다. 이 기호는 유량계를 나타내는 기호로,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의미합니다. 이 기호는 유량계의 형태와 구조를 나타내며, 유량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도면의 양식 중 반드시 갖추어야할 사항은?

  1. 방향 마크
  2. 도면의 구역
  3. 재단 마크
  4. 중심 마크
(정답률: 69%)
  • 중심 마크는 도면상에서 중심을 나타내는 마크로, 부품이나 구조물 등에서 중심을 찾거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도면의 정확성과 제조 과정에서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사항입니다. 방향 마크는 부품의 방향을 나타내는 마크, 도면의 구역은 도면을 구분하기 위한 영역, 재단 마크는 자르는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로 중심 마크와는 다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도면의 표현되는 각도 치수 기입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틀린 것은?

(정답률: 65%)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도면에서는 각도를 표현할 때 각도 기호(∠)를 사용하고, 치수 기호(₩)는 길이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도면에 2가지 이상의 선이 같은 장소에 겹치어 나타내게 될 경우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

  1. 숨은선
  2. 외형선
  3. 절단선
  4. 중심선
(정답률: 62%)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 "외형선"입니다. 외형선은 제품의 형상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선으로, 다른 선들이 외형선과 겹치게 되면 외형선이 우선순위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제품의 형상을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는 외형선이 다른 선들과 겹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과 같은 원뿔을 전개하였을 경우 나타난 부채꼴의 전개각(전개된 물체의 꼭지각)이 120°가 되려면 ℓ의 치수는 ?

  1. 90
  2. 120
  3. 180
  4. 270
(정답률: 47%)
  • 전개된 부채꼴의 전개각은 원뿔의 꼭지각과 같으므로 120°이다. 이때 부채꼴의 중심각은 360°이므로, 부채꼴의 나머지 각도는 240°이다. 이 각도는 원뿔의 밑면을 따라 한 바퀴를 도는 각도와 같다. 따라서 원뿔의 밑면을 따라 한 바퀴를 도는 거리인 원주의 길이는 ℓ = 240/360 × 2πr = 4/3πr 이다. 이때 ℓ = 180이 되려면 r = 135/π 이므로, ℓ = 4/3π × 135/π = 18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용접부 표면 또는 용접부 형상에 대한 보조기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 평면
  2. : 볼록형
  3. : 영구적인 이면판재 사용
  4. : 토우를 매끄럽게 함
(정답률: 72%)
  • " : 영구적인 이면판재 사용"은 용접부 표면이나 형상에 대한 보조기호 설명이 아니라 용접부의 품질 등급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이 기호는 용접부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이면판재를 사용하였음을 나타냅니다. 이면판재는 용접부의 내구성을 높이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