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7-31)

특수용접기능사
(2011-07-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용접일반

1. 아세틸렌가스와 접촉하여도 폭발성 화합물을 생성하지 않는 것은?

  1. Fe
  2. Cu
  3. Ag
  4. Hg
(정답률: 64%)
  • Fe는 아세틸렌가스와 접촉하여도 폭발성 화합물을 생성하지 않는 이유는 Fe가 아세틸렌과 반응하여 안정적인 화합물인 철아세틸렌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Cu, Ag, Hg는 아세틸렌과 반응하여 폭발성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가스 용접시 모재의 두께가 2.0㎜일 때 용접봉의 지름을 계산식에 의해 구하면 몇 ㎜인가?

  1. 2.0
  2. 2.6
  3. 3.2
  4. 4.0
(정답률: 76%)
  • 가스 용접시 용접봉의 지름은 모재의 두께에 따라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모재 두께의 1.5배에서 2배 사이의 지름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모재의 두께가 2.0㎜이므로, 용접봉의 지름은 2.0㎜에서 4.0㎜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에서 정답이 "2.0"인 이유는, 모재 두께의 최소값인 2.0㎜일 때 용접봉의 지름을 구하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봉의 지름은 2.0㎜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연강용 피복 금속 아크 용접봉의 종류 중에서 E4313의 피복제 계통은?

  1. 일루미나이트계
  2. 라임티타니아계
  3. 철분산화티탄계
  4. 고산화티탄계
(정답률: 84%)
  • E4313은 연강용 피복 금속 아크 용접봉 중 하나이며, 피복제 계통은 고산화티탄계입니다. 이는 피복제의 주성분이 고산화티탄(TiO2)이기 때문입니다. 고산화티탄은 내식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나며, 용접봉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그림은 모재 위에 피복 아크 용접으로 용접한 용접부의 단면 형상이다. 각각의 기호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a : 피복제
  2. b : 심선
  3. c : 용접 비드
  4. d : 용착 금속
(정답률: 79%)
  • c번 기호는 용접 비드가 아니라 용접 부위를 뜻하는 것이다. 용접 비드는 용접 과정에서 용융된 금속이 고체 상태로 응고하여 생긴 용접 부위의 중심부를 뜻한다. 따라서 c번 기호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산소 아세틸렌가스를 이용하여 용접할 때 사용하는 산소 압력 조정기의 취급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산소 용기에 산소 압력 조정기를 설치할 때 압력 조정기 설치구에 있는 먼지를 털어내고 연결한다.
  2. 산소 압력 조정기 설치구 나사부나 조정기의 각 부에 그리스를 발라 잘 조립되도록 한다.
  3. 산소 압력 조정기를 견고하게 설치한 후 가스 누설 여부를 비눗물로 점검한다.
  4. 산소 압력 조정기의 압력 지시계가 잘 보이도록 설치하여 유리가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정답률: 88%)
  • "산소 압력 조정기 설치구 나사부나 조정기의 각 부에 그리스를 발라 잘 조립되도록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는 오히려 그리스가 부품에 묻어있으면 부품이 움직이지 않아 오히려 조립이 잘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리스를 발라 조립하는 것은 오히려 부적절한 조립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내용적 40.7 리터의 산소병에 150kgf/cm2의 압력이 게이지에 표시되었다면 산소병에 들어 있는 산소량은 몇 리터인가?

  1. 3400
  2. 4055
  3. 5055
  4. 6105
(정답률: 72%)
  • 산소병에 들어 있는 산소량은 압력과 부피의 관계인 보일의 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보일의 법칙: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와 몰수는 비례한다.

    즉, P1V1 = P2V2 (P: 압력, V: 부피)

    여기서 P1 = 150kgf/cm^2, V1 = 40.7L, P2 = 1atm (기압), V2 = ?

    150kgf/cm^2은 기압을 포함한 절대압력이므로, 기압인 1atm을 빼주어야 한다.

    150kgf/cm^2 - 1atm = 149kgf/cm^2

    따라서, P1V1 = P2V2에서

    (149kgf/cm^2) x (40.7L) = (1atm) x V2

    V2 = (149kgf/cm^2) x (40.7L) / (1atm)

    V2 = 6105L

    따라서, 산소병에 들어 있는 산소량은 6105리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가스 절단에서 예열 불꽃이 강한 경우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1. 모서리가 용융되어 둥글게 된다.
  2. 드래그가 증가한다.
  3. 슬래그 중의 철 성분의 박리가 어렵게 된다.
  4. 절단면이 거칠게 된다.
(정답률: 71%)
  • 예열 불꽃이 강한 경우에는 모서리가 용융되어 둥글게 된다, 슬래그 중의 철 성분의 박리가 어렵게 된다, 절단면이 거칠게 된다는 영향이 있지만, 드래그가 증가하는 영향은 없습니다. 예열 불꽃이 강할수록 절단면에 더 많은 열이 전달되어 절단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드래그가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미국에서 개발된 것으로 기계적인 진동이 모재의 융점 이하에서도 용접부가 두 소재 표면 사이에서 형성되도록 하는 용접은?

  1. 테르밋 용접
  2. 원자수소 용접
  3. 금속 아크 용접
  4. 초음파 용접
(정답률: 62%)
  • 초음파 용접은 기계적인 진동을 이용하여 용접부가 두 소재 표면 사이에서 형성되도록 하는 용접 방법입니다. 이는 모재의 융점 이하에서도 용접이 가능하게 하며, 용접 부위가 작아도 정확하게 용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소-아세틸렌가스 용접에 대한 장점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운반이 편리하다.
  2. 후판 용접이 용이하다.
  3. 아크 용접에 비해 유해 광선이 적다.
  4. 전원 설비가 없는 곳에서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정답률: 73%)
  • 틀린 것은 "후판 용접이 용이하다."가 아닌 것입니다.

    산소-아세틸렌가스 용접은 높은 온도로 금속을 용융시키는 용접 방법으로, 운반이 편리하고 전원 설비가 없는 곳에서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아크 용접에 비해 유해 광선이 적습니다. 또한 후판 용접이 용이한 것은 이 방법이 금속을 녹이는 열이 집중되는 부분이 작아서 작은 부품이나 얇은 판을 용접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아크 용접기의 코일이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같은 철심에 감겨져 있고 대개 2차 코일은 고정하고 1차 코일을 이동하여 두 코일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전류를 조정하는 용접기는?

  1. 가동 철심형
  2. 가동 코일형
  3. 텝 전환형
  4. 가포화 리액터형
(정답률: 68%)
  • 아크 용접기의 코일이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같은 철심에 감겨져 있고 대개 2차 코일은 고정하고 1차 코일을 이동하여 두 코일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전류를 조정하는 용접기는 가동 코일형이다. 이는 1차 코일을 이동하여 전류를 조절하기 때문에 가동 코일형이라고 불리며, 다른 형태의 용접기들은 전류를 조절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가스 용접시 사용하는 용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제의 융점은 모재의 융점보다 낮은 것이 좋다.
  2. 용제는 용융 금속의 표면에 떠올라 용착 금속의 성질을 양호하게 한다.
  3. 용제는 용접 중에 생기는 금속의 산화물 또는 비금속 개재물을 용해하여 용융 온도가 높은 슬래그를 만든다.
  4. 연강에는 용제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53%)
  • 정답은 "연강에는 용제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입니다.

    용제는 용접 중에 생기는 금속의 산화물 또는 비금속 개재물을 용해하여 용융 온도가 높은 슬래그를 만듭니다. 이는 용접 과정에서 금속의 산화를 방지하고, 용융 금속의 표면에 떠올라 용착 금속의 성질을 양호하게 합니다. 따라서 용제의 융점은 모재의 융점보다 낮은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연강은 이미 용접 과정에서 슬래그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용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용접봉의 분류에서 용적이 모재에 이행하는 형식에 따라 용접봉을 분류한 것이 아닌 것은?

  1. 스프레이형
  2. 슬래그형
  3. 글로뷸러형
  4. 단락형
(정답률: 73%)
  • 슬래그형은 용접 시 생성되는 슬래그를 이용하여 용접구 부분을 보호하는 형식으로 분류되는데, 다른 세 가지는 용적이 모재에 이행하는 형식에 따라 분류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스프레이형은 고속으로 용접봉을 분사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형식, 글로뷸러형은 용접봉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용접구를 보호하는 형식, 단락형은 용접봉의 일부를 녹여 용접구를 보호하는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피복 아크 용접봉의 피복제(flux) 연소시 용접부 보호 형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가스 발생식
  2. 슬래그 생성식
  3. 반가스 발생식
  4. 반슬래그 생성식
(정답률: 74%)
  • 피복 아크 용접봉의 피복제(flux) 연소시 용접부 보호 형식에는 가스 발생식, 슬래그 생성식, 반가스 발생식, 반슬래그 생성식이 있습니다. 그 중 반슬래그 생성식은 슬래그 생성식과 반가스 발생식의 특징을 결합한 형식으로, 슬래그 생성식과 비슷하게 용접부를 슬래그로 보호하면서도 반가스 발생식처럼 용접부에 가스를 공급하여 보호합니다. 따라서 반슬래그 생성식은 피복제 연소시 용접부 보호 형식에 속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아크 발생 초기에 용접봉과 모재가 냉각되어 있어 입열이 부족하면 아크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아크 초기에만 용접 전류를 크게 해주는 장치는?

  1. 전격 방지 장치
  2. 원격 제어 장치
  3. 핫 스타트 장치
  4. 고주파 발생 장치
(정답률: 90%)
  • 아크 발생 초기에는 용접봉과 모재가 냉각되어 있어 입열이 부족하면 아크가 불안정해집니다. 이때 핫 스타트 장치는 용접 전류를 초기에 크게 해주어 입열을 돕고, 아크를 안정적으로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핫 스타트 장치가 아크 발생 초기에만 용접 전류를 크게 해주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가스 가공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가우징
  2. 스카핑
  3. 천공
  4. 용제 절단
(정답률: 44%)
  • 가스 가공은 주로 가스를 이용하여 금속을 가공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우징, 스카핑, 천공은 가스를 이용하여 금속을 가공하는 방법에 해당되지만, 용제 절단은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용제(유화된 액체)를 이용하여 금속을 절단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가스 가공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알루미늄을 가공하기 위하여 아크 에어 가우징 작업을 할 때의 전원 특성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DCRP(직류 역극성)
  2. DCSP(직류 정극성)
  3. ACRP(교류 역극성)
  4. ACSP(교류 정극성)
(정답률: 61%)
  • 알루미늄은 열전도성이 높기 때문에 가공 시에 발생하는 열이 빠르게 전달되어 녹거나 변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공 시에는 전원 특성 중에서 열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DCRP(직류 역극성)이 가장 적합합니다. DCRP는 양극에서 음극으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양극에서 발생하는 열이 적어지고, 녹거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일반 가스 용접 및 아크 용접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접하며, 용접봉은 모재와 같은 공정 합금을 사용하는 용접법은?

  1. 열풍 용접
  2. 마찰 용접
  3. 고주파 용접
  4. 저온 용접
(정답률: 80%)
  • 저온 용접은 일반 가스 용접 및 아크 용접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접하기 때문에, 모재의 불필요한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용접부의 미세조직이 섬세하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또한, 용접봉으로 모재와 같은 공정 합금을 사용하여 용접할 수 있어, 용접부의 강도와 내식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저온 용접이 일반 가스 용접 및 아크 용접보다 우수한 용접법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전영성이 매우 커서 10-6cm 두께의 박판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왕수(王水) 이외에는 침식, 산화되지 않는 금속은?

  1. 구리(Cu)
  2. 알루미늄(Al)
  3. 금(Au)
  4. 코발트(Co)
(정답률: 57%)
  • 금은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금속으로, 대부분의 산화제나 침식제에도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왕수 이외에는 침식, 산화되지 않는 금속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열전도율이 가장 작은 것은?

  1. 알루미늄
  2. 구리
(정답률: 63%)
  • 납은 열전도율이 가장 작은 이유는 그것이 금속 중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금속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높은 밀도는 분자 간 거리가 가까워지고, 이는 열 전달을 방해하는 데 기여합니다. 따라서 납은 열전도율이 가장 작은 금속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주조 시 주형에 냉금을 삽입하여 주물 표면을 급냉시킴으로서 백선화하고 경도를 증가시킨 내마모성 주철은?

  1. 가단주철
  2. 칠드주철
  3. 고급주철
  4. 미하나이트주철
(정답률: 52%)
  • 주조 시 주형에 냉금을 삽입하여 급냉시키면서 백선화하고 경도를 증가시킨 내마모성 주철은 칠드주철입니다. 칠드주철은 주철 내부의 칠드라는 성분이 추가되어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뛰어나며, 경도가 높아서 내구성이 우수합니다. 따라서 고속 회전하는 기계 부품이나 자동차 엔진 부품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절삭 공구강의 일종으로 500~600℃까지 가열해도 뜨임 효과에 의해 연화되지 않고 고온에서도 경도의 감소가 적은 특징이 있는 것은?

  1. 다이스강
  2. 게이지용강
  3. 고속도강
  4. 스프링강
(정답률: 64%)
  • 고속도강은 높은 탄소 함량과 추가적인 합금 원소를 함유하여,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하여 강도를 높이는 열처리 방법입니다. 이로 인해 고속도강은 뜨임 효과에 의해 연화되지 않고 고온에서도 경도의 감소가 적어 절삭 공구에 적합한 재질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담금질한 철강을 Ar 변태점 이하의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여 인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조작하는 열처리법은?

  1. 뜨임
  2. 불림
  3. 풀림
  4. 담금질
(정답률: 56%)
  • 정답은 "뜨임"입니다.

    이유는 담금질한 철강은 고온에서 냉각되면서 인성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Ar 변태점 이하의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여 인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열처리법 중 하나인데, 이를 뜨임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황동의 가공재를 상온에서 방치하거나 저온 풀림 경화시킨 스프링재가 사용도중 시간의 경과에 따라 경도 등 여러 가지 성질이 약화되는 성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자연 변화
  2. 가공 경화
  3. 경년 변화
  4. 부식 변화
(정답률: 69%)
  • 황동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적으로 결정구조가 변화하면서 성질이 변화하는데, 이를 경년 변화라고 합니다. 이는 황동의 가공재를 상온에서 방치하거나 저온 풀림 경화시킨 스프링재가 사용도중 시간의 경과에 따라 경도 등 여러 가지 성질이 약화되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탄소 함유량이 0.2% 이하인 탄소강 주강품의 종류의 기호로 맞는 것은?

  1. SC 360
  2. SC 410
  3. SC 450
  4. SC 480
(정답률: 62%)
  • 정답은 "SC 360"입니다. SC는 Steel Casting의 약자이며, 360은 탄소 함유량이 0.2% 이하인 탄소강 주강품의 종류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탄소 함유량이 0.2% 이상인 다른 종류의 탄소강 주강품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탄소강에 적당한 원소를 첨가하면 본래의 성질을 현저하게 개선하거나 새로운 특성을 가지게 하는데 강인성, 내식성, 내산성, 저온 충격저항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합금 원소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니켈(Ni)
  2. 코발트(Co)
  3. 망간(Mn)
  4. 몰리브덴(Mo)
(정답률: 41%)
  • 니켈은 탄소강에 첨가하면 강인성, 내식성, 내산성, 저온 충격저항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가장 적당한 합금 원소입니다. 또한, 니켈은 비교적 저렴하고 가용성이 높아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중 유동성이 좋아 복잡한 형상의 조조에 사용되는 것은?

  1. 알루미늄-주철계 합금
  2. 알루미늄-규소계 합금
  3. 알루미늄-니켈계 합금
  4. 알루미늄-아연계 합금
(정답률: 41%)
  • 알루미늄-규소계 합금은 유동성이 좋아서 복잡한 형상의 주조에 사용되는 것입니다. 이는 규소가 알루미늄 합금의 결정구조를 세밀하게 제어하여 높은 인장강도와 경도를 유지하면서도 높은 가공성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규소는 합금의 열팽창계수를 감소시켜서 열팽창이 적은 안정적인 소재로 만들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8-8형 스테인리스강은 니켈 18%, 크롬 8%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2. 스테인리스강은 13형 니켈 스테인리스강과 18-8형 니켈 크롬강으로 대별한다.
  3. 13형 크롬 스테인리스강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라고도 한다.
  4. 스테인리스강의 종류에는 페라이트계, 펄라이트계, 오스테나이트계, 소르바이트계가 있다.
(정답률: 38%)
  • 정답은 "13형 크롬 스테인리스강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라고도 한다." 이유는 13형 스테인리스강은 크롬 함량이 높고 니켈 함량이 낮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내식성이 뛰어나고 강도가 높아 산업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고주파 경화법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급열, 급랭으로 인하여 재료가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2. 마텐자이트 생성에 의한 체적 변화 때문에 내부 응력이 발생한다.
  3. 가열 시간이 짧으므로 산화 및 탈탄의 염려가 많다.
  4. 경화층이 이탈되거나 담금질 균열이 생기기 쉽다.
(정답률: 50%)
  • 고주파 경화법은 가열 시간이 짧고 급열, 급랭으로 인해 재료가 변형되는 경우가 있으며, 마텐자이트 생성에 의한 체적 변화 때문에 내부 응력이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틀린 것은 "가열 시간이 짧으므로 산화 및 탈탄의 염려가 많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아크 광선에 의한 전광선 안염이 발생하였을 때의 응급조치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안약을 넣고 수면을 취한다.
  2. 냉습포 찜질을 한 다음 치료를 받는다.
  3. 소금물로 찜질을 한 다음 치료한다.
  4. 따뜻한 물로 찜질을 한 다음 치료한다.
(정답률: 79%)
  • 아크 광선에 의한 전광선 안염은 눈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즉시 눈을 피하고 냉습포 찜질을 해야합니다. 냉습포 찜질은 눈을 식히고 염증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며, 이후에는 의료진의 치료를 받아야합니다. 안약을 넣고 수면을 취하거나 따뜻한 물로 찜질을 하는 것은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용접 결함과 그 원인을 서로 짝지어 놓은 것 중 잘못된 것은?

  1. 언더컷 - 용접 전류가 너무 높을 때
  2. 용입 불량 - 용접 속도가 너무 느릴 때
  3. 오버랩 - 용접 전류가 너무 낮을 때
  4. 기공 - 용접 분위기 중 수소, 일산화탄소가 많을 때
(정답률: 69%)
  • 용입 불량은 용접 속도가 너무 느릴 때 발생합니다. 용접 속도가 느리면 용접 부위가 과열되어 용접재가 녹아내려 용접 부위가 충분히 채워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 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용접 부위가 충분히 채워지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이산화탄소 아크 용접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전원은 교류 정전압 또는 수하 특성을 사용한다.
  2. 가시 아크이므로 시공이 편리하다.
  3. 모든 용접 자세로 용접이 가능하다.
  4. 산화나 질화가 되지 않는 양호한 용착 금속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54%)
  • 이산화탄소 아크 용접의 특징 중 전원은 교류 정전압 또는 수하 특성을 사용한다는 것이 아닌 것은, 이 용접 방법은 전류의 방향이 자주 바뀌는 교류 전원이나 수하 전원을 사용하여 아크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고주파 발생기를 사용하여 고주파 전류를 생성하고 이를 변압기를 통해 저주파 전류로 변환하여 아크를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원은 교류 정전압 또는 수하 특성을 사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용접에서 결함이 언더컷일 경우 보수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용접부에 홈을 만들어 다시 용접한다.
  2. 결함 부분을 깎아내고 다시 용접한다.
  3. 결함 부분에 홈을 만들어 용접한다.
  4. 지름이 작은 용접봉을 사용하여 용접한다.
(정답률: 72%)
  • 언더컷은 용접부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용접봉이 용접부의 가장자리를 충분히 채우지 못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지름이 작은 용접봉을 사용하여 용접하면, 용접봉이 용접부의 가장자리를 충분히 채워 결함을 보수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수 방법들은 결함 부분을 깎아내거나 홈을 만들어 용접하는 것으로, 이는 결함 부분을 제거하거나 충분한 용접재료를 추가하지 못해 결함을 완전히 보수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CO2 가스 아크 용접에서 후진법에 비교한 전진법의 특징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용융 금속이 앞으로 나가지 않으므로 깊은 용입을 얻을 수 있다.
  2. 용접선을 잘 볼 수 있어 운봉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3. 스패터의 발생이 적다.
  4. 비드 높이가 약간 높고 폭이 좁은 비드를 얻는다.
(정답률: 53%)
  • 정답은 "용접선을 잘 볼 수 있어 운봉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입니다. 전진법은 용융 금속이 용접선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용접선이 가려져 운봉을 정확하게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습니다. 하지만 후진법은 용융 금속이 용접선 반대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용접선을 잘 볼 수 있어 운봉을 정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피복아크 용접에서 언더컷(under cut) 발생 시 방지 대책으로 맞는 것은?

  1. 용접 속도를 빠르게 한다.
  2. 유황 함량을 검사한다.
  3. 적정한 용접봉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4. 아크 길이를 길게 한다.
(정답률: 74%)
  • 언더컷은 용접 부위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용접봉과 기저재 간의 용융된 금속이 부족하여 발생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용접봉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적정한 용접봉을 선택하면 용접 부위에서 충분한 용융된 금속이 생성되어 언더컷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정한 용접봉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산업용 용접 로봇 구성의 작업 기능으로 잘못된 것은?

  1. 동작 기능
  2. 구속 기능
  3. 이동 기능
  4. 교시 기능
(정답률: 66%)
  • 산업용 용접 로봇 구성의 작업 기능으로 "교시 기능"은 없습니다. 용접 로봇의 작업 기능은 동작 기능(작동), 구속 기능(고정), 이동 기능(이동)으로 구성됩니다. 교시 기능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용접재료

36. 전자 렌즈에 의해 에너지를 집중시킬 수 있고 고용융 재료의 용접이 가능한 용접법은?

  1. 레이저 용접
  2. 그래비티 용접
  3. 전자 빔 용접
  4. 초음파 용접
(정답률: 68%)
  • 전자 빔 용접은 전자 렌즈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집중시키고 고용융 재료를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다른 용접법에 비해 높은 집속도와 정확한 용접이 가능하며, 용접 부위의 열 영향이 적어 부식이나 왜곡이 적습니다. 따라서 고성능 재료나 미세한 부품 등에 적합한 용접법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연납땜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주석-납
  2. 납-카드뮴납
  3. 납-은납
  4. 인-망간납
(정답률: 51%)
  • 인-망간납은 연납땜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인-망간납은 인과 망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두 원소는 납과는 별개의 원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망간납은 다른 종류의 땜납과 구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CO2 가스 아크 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류를 높게 하면 와이어의 녹아내림이 빠르고 용착률과 용입이 증가한다.
  2. 아크전압을 높이면 비드가 넓어지고 납작해지며, 지나치게 아크 전압을 높이면 가포가 발생한다.
  3. 아크 전압이 너무 낮으면 볼록하고 넓은 비드를 형성하며, 와이어가 잘 녹는다.
  4. 용접 속도가 빠르면 모재의 입열이 감소되어 용입이 얕아지고 비드 폭이 좁아진다.
(정답률: 71%)
  • 아크 전압이 너무 낮으면 와이어가 녹아내리는 속도가 느려져서 볼록하고 넓은 비드를 형성하며, 와이어가 잘 녹는 것입니다. 이는 용접 속도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고전류 사용이 가능하다.
  2. 용융 속도가 빨라 고능률 용접이 가능하다.
  3. 기계적 성질(강도, 연신율, 충격치 등)이 우수하다.
  4. 개선각을 크게 하여 용접 패스 수를 줄일 수 있다.
(정답률: 73%)
  • 개선각을 크게 하면 한 번에 더 많은 용접재료를 용접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접 패스 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용접 시간을 단축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용접 지그(welding jig) 사용시 효과를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제품의 마무리 정밀도가 떨어진다.
  2. 용접 변형을 촉진한다.
  3. 작업 시간이 길어진다.
  4. 다량 생산의 경우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정답률: 89%)
  • 용접 지그를 사용하면 다량 생산의 경우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데, 이는 제품의 위치와 각도를 정확하게 고정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조정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다량 생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불활성 가스 금속 아크(MIG) 용접의 특징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아 방풍 대책이 필요 없다.
  2. TIG 용접에 비해 전류 밀도가 높아 용융 속도가 빠르고 후판 용접에 적합하다.
  3. 각종 금속 용접이 불가능하다.
  4. TIG 용접에 비해 전류 밀도가 낮아 용접 속도가 느리다.
(정답률: 73%)
  • MIG 용접은 TIG 용접에 비해 전류 밀도가 높아 용융 속도가 빠르고 후판 용접에 적합합니다. 이는 MIG 용접에서 사용되는 전극의 직경이 더 크기 때문에 전류 밀도가 높아지고, 이는 용융 속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후판 용접에 적합하며,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아 방풍 대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전기 저항 용접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작업 속도가 빠르고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2. 산화 및 변질 부분이 적다.
  3. 열손실이 많고 용접부에 집중열을 가할 수 없다.
  4. 용접봉, 용제 등이 불필요하다.
(정답률: 74%)
  • 전기 저항 용접은 전기 저항을 이용하여 용접을 하는 방법으로, 작업 속도가 빠르고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산화 및 변질 부분이 적습니다. 하지만 열손실이 많고 용접부에 집중열을 가할 수 없다는 것은 용접부의 온도가 일정하지 않고 균일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용접부의 강도와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따라서 용접부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용접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용접 균열에 대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응력이 집중되게 한다.
  2. 용접 시공을 적정하게 한다.
  3. 나쁜 강재를 사용하지 않는다.
  4. 용접부에 노치 부분을 만들지 않는다.
(정답률: 74%)
  • 응력이 집중되게 되면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 부위에서 응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설계나 시공 과정에서 적절한 대책을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용접에 의한 수축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거리가 먼 것은?

  1. 가접
  2. 용접 입열
  3. 판의 예열 온도
  4. 판 두께의 이음 형상
(정답률: 68%)
  • 가접은 용접 부위에서 인접한 부위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축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입니다. 이는 인접한 부위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열이 분산되어 수축 변형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접이 용접에 의한 수축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 거리가 먼 것입니다. 용접 입열, 판의 예열 온도, 판 두께의 이음 형상은 모두 용접에 의한 수축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 하나이지만, 거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용접부의 열영향부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열영향부에 인접한 모재 중 약 200~700℃로 가열된 부분에서는 현미경 조직의 변화를 볼 수 있다.
  2. 결정립의 조대화 또는 재결정 및 기계적 성질과 물리적 성질의 변화가 나타나는 영역이 있다.
  3. 연강의 경우 준열영향부는 노치인성이 저하하므로 취성영역이라고도 한다.
  4. 오스테나이트강, 페라이트강, 동 합금, 알루미늄 합금 등에서는 변태가 되지 않으므로 펄라이트강과 같이 분명한 열영향부를 용접 단면의 매크로 조직에서 보기 힘들다.
(정답률: 35%)
  • 위의 보기 중 "열영향부에 인접한 모재 중 약 200~700℃로 가열된 부분에서는 현미경 조직의 변화를 볼 수 있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이 온도 범위에서는 미세조직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으며, 이 온도 이상에서는 결정립의 조대화 또는 재결정이 일어나고, 기계적 성질과 물리적 성질의 변화가 나타나는 영역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안전모의 내부 수직 거리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25㎜ 이상 40㎜ 미만일 것
  2. 15㎜ 이상 40㎜ 미만일 것
  3. 10㎜ 이상 30㎜ 미만일 것
  4. 25㎜ 이상 50㎜ 미만일 것
(정답률: 62%)
  • 안전모의 내부 수직 거리는 머리와 안전모 사이의 거리를 말합니다. 이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머리와 안전모가 충돌하여 안전모의 보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됩니다. 반면에 거리가 너무 멀면 안전모가 머리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적당한 거리는 머리와 안전모 사이의 거리가 25㎜ 이상 50㎜ 미만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용접부의 검사에서 교류의 자장에 의해 금속 내부에 와류(Eddy Current) 작용을 이용하는 것은?

  1. 초음파 검사
  2. 방사선 투과 검사
  3. 자분 검사
  4. 맴돌이 전류 검사
(정답률: 65%)
  • 맴돌이 전류 검사는 교류 자장에 의해 금속 내부에 와류(Eddy Current)를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용접부의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용접부의 결함을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비파괴 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초음파 검사는 음파를 이용하여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이고, 방사선 투과 검사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자분 검사는 자성 입자를 이용하여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연강 용접 이음의 안전율은 정하중일 때 얼마로 하는 것이 가장 적당한가?

  1. 3
  2. 5
  3. 8
  4. 12
(정답률: 42%)
  • 연강 용접 이음의 안전율은 정하중일 때 3으로 하는 것이 가장 적당합니다. 이는 안전율이 너무 높으면 비용이 증가하고, 너무 낮으면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연강 용접 이음의 안전율은 3에서 5 사이로 설정됩니다. 그 중에서도 3이 가장 보편적인 값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자동 금속 아크 용접법으로 모재의 이음 표면에 미세한 입상 모양의 용제를 공급하고 용제 속에 연속적으로 전극 와이어를 송급하여 모재 및 전극 와이어를 용융시켜 용접부를 대기로부터 보호하면서 용접하는 것은?

  1.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
  2. 탄산가스 아크 용접
  3.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4. 일랙트로 슬래그 용접
(정답률: 60%)
  •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은 모재의 이음 표면에 용제를 공급하고 전극 와이어를 송급하여 용융시키는 용접법 중 하나입니다. 이 때 용제는 미세한 입상 모양으로 공급되며, 용접 과정에서 용접부가 대기로부터 보호됩니다. 따라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은 용접부의 품질을 높이고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와 연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용접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테르밋 용접에서 미세한 알루미늄 분말과 산화철 분말의 중량비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1~2 : 1
  2. 3~4 : 1
  3. 5~6 : 1
  4. 7~8 : 1
(정답률: 67%)
  • 테르밋 용접에서는 알루미늄과 산화철을 반응시켜 열을 발생시켜 용접을 수행합니다. 이때 알루미늄과 산화철의 중량비는 적절히 조절되어야 합니다.

    알루미늄은 산화철보다 더 높은 화학활동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알루미늄과 산화철의 중량비가 너무 낮으면 알루미늄이 산화철보다 먼저 반응을 일으켜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알루미늄과 산화철의 중량비가 너무 높으면, 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생성되는 열이 너무 많아져 용접 부위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용접을 위해서는 알루미늄과 산화철의 중량비가 3~4 : 1 정도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제도

51. 일반적인 판금 작업에서의 전개도를 그리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삼각형 전개법
  2. 사각형 전개법
  3. 평행선 전개법
  4. 방사선 전개법
(정답률: 44%)
  • 사각형 전개법은 판금을 사각형 모양으로 절단하여 전개도를 그리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판금을 적절한 방법으로 절단하여 전개도를 그리는 방법이지만, 사각형 전개법은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림과 같은 입체도의 화살표 방향을 정면으로 할 때 우측면도로 적합한 투상은?

(정답률: 81%)
  • 우측면도에서는 x축이 수평으로 나타나야 하므로, y축과 z축이 수직으로 나타나는 투상이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y축이나 z축이 수평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용접부의 보조 기호 중 일주(온둘레) 용접 기호는?

(정답률: 75%)
  • 일주(온둘레) 용접 기호는 "" 입니다. 이유는 이 기호가 원형을 그리며 용접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호 안에 있는 숫자는 용접 부위의 길이를 나타내며, 숫자가 없는 경우에는 전체 둘레를 용접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에서 ‘6.3’선이 나타내는 선의 종류로 옳은 것은?

  1. 가상선
  2. 절단선
  3. 중심선
  4. 숨은선
(정답률: 76%)
  • 그림에서 나타나는 '6.3'선은 가상선입니다. 가상선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그림을 그릴 때 도움이 되는 선으로, 일반적으로 점선으로 표시됩니다. 이 경우에는 두 개의 동심원을 그리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3각법으로 투상한 그림과 같은 정면도와 평면도에 좌측면도로 적합한 것은?

(정답률: 69%)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좌측면도에서는 물체의 왼쪽 부분이 보이기 때문에, 물체의 왼쪽에 위치한 A, B, C 점이 보이게 됩니다. 이 중에서도 A, B, C 점이 모두 보이는 것은 "" 입니다.

    "" 와 "" 은 A, B, C 점 중 일부가 가려져 보이지 않습니다.

    "" 는 물체의 왼쪽 부분이 잘린 형태로 보이기 때문에, 좌측면도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그림에서 화살표 방향이 정면도일 경우 평면도로 옳은 것은?

(정답률: 79%)
  • 정면도에서 보면 물체의 높이와 너비를 알 수 있지만, 깊이는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평면도에서는 물체의 깊이를 나타내는 선을 추가하여 보완해야 합니다. ""는 물체의 깊이를 나타내는 선이 추가되어 있기 때문에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도면에서 지름이 6㎜의 구멍의 수는 모두 몇 개인가?

  1. 38
  2. 40
  3. 42
  4. 44
(정답률: 84%)
  • 도면을 보면 가로 10칸, 세로 10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칸의 크기는 2cm x 2cm 이므로, 전체 도면의 크기는 20cm x 20cm 입니다.

    지름이 6㎜인 구멍은 한 칸에 최대 1개씩 들어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도면에서 구멍이 들어갈 수 있는 칸의 수는 10 x 10 = 100개입니다.

    하지만 도면의 모서리 부분에는 구멍이 들어갈 수 없습니다. 모서리 부분은 가로 2칸, 세로 2칸으로 총 4칸이므로, 구멍이 들어갈 수 있는 칸의 수에서 4를 빼줍니다.

    따라서 구멍이 들어갈 수 있는 칸의 수는 100 - 4 = 96개입니다. 이 중에서 각 칸에 최대 1개씩 구멍이 들어갈 수 있으므로, 구멍의 수는 96개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묻는 것은 지름이 6㎜인 구멍의 수이므로, 구멍의 중심이 겹치는 경우를 고려해야 합니다.

    한 칸에 구멍이 2개 들어갈 수 있는 경우는 가로로 2개, 세로로 2개, 대각선으로 2개입니다. 이 중에서 대각선으로 겹치는 경우는 없으므로, 한 칸에 최대 2개의 구멍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멍의 수를 2로 나누어 주면, 지름이 6㎜인 구멍의 수는 96 / 2 = 48개입니다.

    하지만 도면의 중앙에 위치한 4칸은 서로 겹치지 않으므로, 이 부분에서는 구멍이 2개씩 들어갈 수 없습니다. 따라서 구멍의 수에서 4를 빼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지름이 6㎜인 구멍의 수는 48 - 4 = 44개가 아닌, 40개입니다.

    정답은 "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배관 도시기호 중에서 확장 조인트를 나타낸 도시기호는?

(정답률: 55%)
  • 정답은 ""입니다. 이 도시기호는 두 개의 파이프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그 사이에 확장 가능한 조인트가 있는 것을 나타냅니다. 다른 도시기호들은 각각 다른 파이프의 연결, 밸브, 펌프 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모떼기의 치수가 2㎜이고 각도가 45°일 때 올바른 치수 기입 방법은?

  1. C2
  2. 2C
  3. 2-45°
  4. 45°×2
(정답률: 57%)
  • "C2"가 올바른 치수 기입 방법입니다. 이유는 모떼기의 치수는 대개 지름을 나타내는데, 2㎜는 지름을 나타내는 올바른 단위입니다. 각도가 45°일 때는 모떼기의 모양이 다이아몬드 모양이 되므로, 각 변의 길이는 지름의 루트 2배가 됩니다. 따라서 "2C"나 "2-45°"는 모떼기의 크기를 정확히 나타내지 않습니다. "45°×2"는 각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치수를 나타내는 방법으로는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그림과 같은 기계 제도에서 단면도에서 A 가 나타내는 것은?

  1. 단면도 표시 기호
  2. 바닥 표시 기호
  3. 대칭 도시 기호
  4. 평면 기호
(정답률: 64%)
  • A는 대칭 도시 기호를 나타냅니다. 이 기호는 도면에서 대칭인 부분을 나타내며, 도면을 보는 사람이 해당 부분이 대칭인 것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대칭 도시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