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10-11)

특수용접기능사
(2014-10-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용접일반

1. 아크 에어 가우징법으로 절단을 할 때 사용되어지는 장치가 아닌 것은?

  1. 가우징 봉
  2. 컴프레셔
  3. 가우징 토치
  4. 냉각장치
(정답률: 74%)
  • 아크 에어 가우징법은 고열로 인해 금속이 녹거나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와 아크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절단 방법입니다. 따라서 냉각장치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반면, 가우징 봉은 절단 위치를 정확히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컴프레셔는 공기를 압축하여 아크를 생성하는 데 필요합니다. 가우징 토치는 아크를 발생시키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가스 실드계의 대표적인 용접봉으로 유기물을 20%~30% 정도 포함하고 있는 용접봉은?

  1. E4303
  2. E4311
  3. E4313
  4. E4324
(정답률: 55%)
  • E4311은 가스 실드계 용접봉 중 유기물 함량이 20%~30%인 용접봉으로, 다른 보기들은 해당 조건을 만족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 E431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가스 절단에서 절단하고자 하는 판의 두께가 25.4mm일 때, 표준 드래그의 길이는?

  1. 2.4mm
  2. 5.2mm
  3. 6.4mm
  4. 7.2mm
(정답률: 77%)
  • 가스 절단에서 사용되는 표준 드래그의 길이는 보통 절단하고자 하는 판의 두께의 1/5 정도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25.4mm의 1/5인 5.08mm에 가장 가까운 값인 5.2mm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수중절단에 주로 사용되는 가스는?

  1. 부탄가스
  2. 아세틸렌가스
  3. LPG
  4. 수소가스
(정답률: 94%)
  • 수중절단은 고온과 고압의 가스를 사용하여 금속을 절단하는 기술입니다. 이 가스는 금속을 녹이고 증발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 수소가스는 가장 높은 열화학적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가장 높은 온도를 발생시키며, 또한 가장 깨끗한 연소를 보장합니다. 따라서 수소가스는 수중절단에 가장 적합한 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직류 아크 용접의 정극성과 역극성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극성은 용접봉의 용융이 느리고 모재의 용입이 깊다.
  2. 역극성은 용접봉의 용융이 빠르고 모재의 용입이 깊다.
  3. 모재에 음극(-), 용접봉에 양극(+)을 연결하는 것을 정극성이라 한다.
  4. 역극성은 일반적으로 비드 폭이 좁고 두꺼운 모재의 용접에 적당하다
(정답률: 73%)
  • 정극성은 용접봉과 모재의 전극 연결 방향이 양극(+)과 음극(-)인 경우를 말하며, 이 경우 용접봉의 용융이 느리고 모재의 용입이 깊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는 양극(+)에서 발생하는 열이 모재로 향하면서 모재가 녹아 용입이 깊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산소 용기에 각인되어 있는 TP와 FP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TP : 내압시험 압력, FP : 최고충전 압력
  2. TP : 최고충전 압력, FP : 내압시험 압력
  3. TP : 내용적(실측),FP : 용기중량
  4. TP : 용기중량,FP : 내용적(실측)
(정답률: 79%)
  • TP는 내압시험 압력을 의미하며, 이는 용기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테스트하는 것입니다. FP는 최고충전 압력을 의미하며, 이는 용기에 최대한으로 충전할 수 있는 압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TP와 FP는 용기의 내부와 외부 압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TP는 내부 압력을 테스트하고 FP는 외부 압력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교류 아크 용접기의 규격 AW-300에서 300이 의미하는 것은?

  1. 정격 사용률
  2. 정격 2차 전류
  3. 무부하 전압
  4. 정격 부하 전압
(정답률: 81%)
  • AW-300에서 300은 정격 2차 전류를 나타냅니다. 교류 아크 용접기의 규격은 일반적으로 최대 출력 전류를 기준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AW-300은 최대 출력 전류가 300A인 용접기를 의미하며, 이는 용접기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정격 2차 전류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피복 아크 용접봉의 용융금속 이행 형태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스프레이형
  2. 글로뷸러형
  3. 슬래그형
  4. 단락형
(정답률: 75%)
  • 슬래그형은 피복 아크 용접봉의 용융금속 이행 형태에 따른 분류가 아니라, 용접봉의 피복재에 사용된 화학물질의 종류에 따른 분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슬래그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일반적으로 가스용접봉의 지름이 2.6mm일 때 강판의 두께는 몇 mm정도가 적당한가?

  1. 1.6mm
  2. 3.2mm
  3. 4.5mm
  4. 6.0mm
(정답률: 73%)
  • 일반적으로 가스용접봉의 지름은 강판 두께의 1.5배에서 2배 사이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가스용접봉의 지름이 2.6mm일 때, 적당한 강판 두께는 3.2mm 정도가 됩니다. 이는 2.6mm의 1.5배인 3.9mm보다는 조금 작은 값이지만, 2배인 5.2mm보다는 조금 작은 값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2m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용접 작업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용접봉 각도
  2. 아크 길이
  3. 용접 속도
  4. 용접 비드
(정답률: 86%)
  • 용접 비드는 이미 완료된 용접 부위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용접 작업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용접 비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피복 아크 용접에서 아크 안정제에 속하는 피복 배합제는?

  1. 산화티탄
  2. 탄산마그네슘
  3. 페로망간
  4. 알루미늄
(정답률: 62%)
  • 피복 아크 용접에서 아크 안정제 역할을 하는 피복 배합제는 아크를 안정시켜 용접 과정에서 용접봉과 피복 사이의 전기적인 저항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 산화티탄은 안정성이 높고 용접 후에도 잔류물이 적어 용접품의 품질을 유지시키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피복 아크 용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피복 배합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아세틸렌은 각종 액체에 잘 용해된다. 그러면 1기압 아세톤 2ℓ에는 몇 ℓ의 아세틸렌이 용해되는가?

  1. 2
  2. 10
  3. 25
  4. 50
(정답률: 59%)
  • 아세틸렌의 용해도는 압력과 온도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1기압에서 20도일 때 1ℓ의 아세틸렌이 1.8g 정도 용해된다. 따라서 1기압 아세톤 2ℓ에는 1.8g/L x 2L = 3.6g의 아세틸렌이 용해될 수 있다. 이를 몰 단위로 환산하면 3.6g / 26g/mol = 0.138 몰이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50"인 이유는 해당 답이 몰 단위로 표기된 것이 아니라 그냥 그램 단위로 표기된 것이기 때문이다. 0.138 몰의 아세틸렌을 그램으로 환산하면 0.138 mol x 26 g/mol = 3.588 g이 되므로, 보기에서 제시된 50g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아크용접에서 부하전류가 증가하면 단자전압이 저하하는 특성을 무슨 특성이라 하는가?

  1. 상승특성
  2. 수하특성
  3. 정전류 특성
  4. 정전압 특성
(정답률: 81%)
  • 부하전류가 증가하면 전압이 감소하는 특성을 수하특성이라고 합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는 동안 저항이나 인덕턴스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압 손실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아크용접에서 부하전류가 증가하면 단자전압이 저하하는 것은 수하특성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용접전류에 의한 아크 주위에 발생하는 자장이 용접봉에 대해서 비대칭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옳은 것은?

  1. 직류용접에서 극성을 바꿔 연결한다.
  2. 접지점을 될 수 있는 대로 용접부에서 가까이 한다.
  3. 용접봉 끝을 아크가 쏠리는 방향으로 기울인다.
  4. 피복제가 모재에 접촉할 정도로 짧은 아크를 사용한다.
(정답률: 51%)
  • 용접전류에 의한 아크 주위에 발생하는 자장이 용접봉에 대해서 비대칭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용접봉의 형상이나 위치에 따라 용접부의 외관적인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복제가 모재에 접촉할 정도로 짧은 아크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아크가 짧을수록 자장이 발생하는 범위가 줄어들어 용접부의 외관적인 불균형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아크가 발생하는 초기에 용접봉과 모재가 냉각되어 있어 용접 입열이 부족하여 아크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아크 초기에만 용접 전류를 특별히 크게 해주는 장치는?

  1. 전격방지 장치
  2. 원격제어 장치
  3. 핫 스타트 장치
  4. 고주파발생 장치
(정답률: 91%)
  • 핫 스타트 장치는 용접봉과 모재가 냉각되어 있어 용접 입열이 부족하여 아크가 불안정한 초기에만 용접 전류를 특별히 크게 해주는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아크를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산소용기의 내용적이 33.7 리터인 용기에 120kgf/cm2이 충전되어 있을 때, 대기압 환산용적은 몇 리터인가?

  1. 2803
  2. 4044
  3. 28030
  4. 40440
(정답률: 76%)
  • 산소용기 내부의 압력은 120kgf/cm2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용기 내부의 산소 분자 수가 증가합니다. 이때, 대기압 환산용적은 용기 내부의 산소 분자 수를 대기압 상태에서의 산소 분자 수로 환산한 값입니다. 대기압은 보통 1기압(약 1.01325 × 105 Pa)으로 가정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계산합니다.

    먼저, 용기 내부의 산소 분자 수를 구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이용합니다.

    PV = nRT

    여기서 P는 압력, V는 용기의 내용적, n은 분자 수, R은 기체 상수, T는 절대온도입니다. 이를 n에 대해 정리하면,

    n = PV/RT

    여기서 P는 120kgf/cm2이므로, 이를 SI 단위인 파스칼로 변환합니다.

    120kgf/cm2 = 120 × 9.80665 × 104 Pa = 1.176798 × 107 Pa

    R은 기체 상수로, 대기압에서의 산소 기체를 가정하므로 R = 8.314 J/(mol·K)입니다. T는 절대온도로, 섭씨 온도인 20도를 켈빈 온도로 변환하여 계산합니다.

    T = 20 + 273.15 = 293.15 K

    따라서, 용기 내부의 산소 분자 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n = (1.176798 × 107 Pa) × (33.7 × 10-3 m3) / (8.314 J/(mol·K) × 293.15 K) ≈ 1.558 × 103 mol

    다음으로, 대기압 상태에서의 산소 분자 수를 구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다시 이용합니다.

    PV = nRT

    여기서 P는 대기압인 1기압(약 1.01325 × 105 Pa)으로 가정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n을 구합니다.

    n = PV/RT = (1.01325 × 105 Pa) × (V / (8.314 J/(mol·K) × 293.15 K))

    여기서 V는 대기압 상태에서의 용기 내용적입니다. 따라서,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n을 대기압 상태에서의 산소 분자 수로 놓고, V를 구합니다.

    V = nRT/P = (1.558 × 103 mol) × (8.314 J/(mol·K) × 293.15 K) / (1.01325 × 105 Pa) ≈ 40.44 m3

    마지막으로, 이 값을 리터로 변환합니다.

    40.44 m3 × 1000 L/m3 ≈ 40440 L

    따라서, 대기압 환산용적은 약 40440 리터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이 "4044"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단위를 잘못 입력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04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연강용 피복아크 용접봉 심선의 4가지 화학성분 원소는?

  1. C , Si , P , S
  2. C , Si , Fe , S
  3. C , Si , Ca, P
  4. Al , Fe , Ca , P
(정답률: 62%)
  • 연강용 피복아크 용접봉 심선의 4가지 화학성분 원소는 "C, Si, P, S" 입니다. 이는 각각 탄소(Carbon), 실리콘(Silicon), 인(Phosphorus), 황(Sulfur) 원소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화학성분은 용접봉의 물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탄소는 경도와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실리콘은 강도와 내식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인과 황은 각각 용융성과 가공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화학성분이 적절히 조합되어 있어야 용접봉의 성능이 최적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알루미늄 합금 재료가 가공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합금이 경화하는 현상은?

  1. 재결정
  2. 시효경화
  3. 가공경화
  4. 인공시효
(정답률: 71%)
  • 알루미늄 합금은 가공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내부 구조가 변화하여 더욱 강력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를 시효경화라고 합니다. 이는 합금 내부의 성분이 서서히 변화하면서 결정이 성장하고, 결정 사이에 섬유질 같은 물질이 생기면서 강도가 증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효경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경금속(Light Metal) 중에서 가장 가벼운 금속은?

  1. 리튬(Li)
  2. 베릴륨(Be)
  3. 마그네슘(Mg)
  4. 티타늄(Ti)
(정답률: 62%)
  • 리튬은 원자량이 가장 작은 원소 중 하나로, 1개의 전자껍질에 3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전자와 양성자의 수가 같아지며, 이온화 에너지가 매우 작아지게 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리튬은 가장 가벼운 금속 중 하나가 되며, 알칼리 금속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정련된 용강을 노 내에서 Fe-Mn, Fe-Si, Al 등으로 완전 탈산시킨 강은?

  1. 킬드강
  2. 캡드강
  3. 림드강
  4. 세미 킬드강
(정답률: 80%)
  • 킬드강은 정련된 용강을 노 내에서 Fe-Mn, Fe-Si, Al 등으로 완전 탈산시킨 강으로, 킬드 공법(Killed Steel Process)을 사용하여 제조됩니다. 이 공법은 강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산소와 질소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강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공법입니다. 따라서 킬드강은 고강도, 고인성, 우수한 가공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합금 공구강을 나타내는 한국산업표준(KS)의 기호는?

  1. SKH 2
  2. SCr 2
  3. STS 11
  4. SNCM
(정답률: 66%)
  • STS 11은 "Stainless Steel"을 나타내는 약어인 STS와 "11"이라는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합금 공구강 중 스테인리스 강종 중 하나를 나타내며, 11은 해당 강종의 특정한 성질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다른 보기인 SKH 2는 고속도각강, SCr 2는 크롬강, SNCM은 니켈크롬몰리브덴강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스테인리스강의 금속 조직학상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마텐자이트계
  2. 페라이트계
  3. 시멘타이트계
  4. 오스테나이트계
(정답률: 60%)
  • 시멘타이트계는 스테인리스강의 금속 조직학상 분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시멘트라이트계가 탄소강의 조직학상 분류에 해당하는 것과 같은 이유입니다. 스테인리스강은 크롬, 니켈 등의 합금 원소를 첨가하여 내식성, 내부식성, 내열성 등의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는 금속재료입니다. 따라서 스테인리스강의 조직학상 분류는 마텐자이트계, 페라이트계, 오스테나이트계로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구리에 40~50% Ni을 첨가한 합금으로서 전기저항이 크고 온도계수가 일정하므로 통신기자재, 저항선, 전열선 등에 사용하는 니켈합금은?

  1. 인바
  2. 엘린바
  3. 모넬메탈
  4. 콘스탄탄
(정답률: 53%)
  • 콘스탄탄은 구리와 니켈의 합금으로, 전기저항이 크고 온도계수가 일정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전기저항 변화가 적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통신기자재, 저항선, 전열선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강의 표면에 질소를 침투시켜 경화시키는 표면 경화법은?

  1. 침탄법
  2. 질화법
  3. 세라다이징
  4. 고주파 담금질
(정답률: 65%)
  • 질화법은 강의 표면에 질소를 침투시켜 경화시키는 표면 경화법입니다. 이는 강의 표면에 질소가 침투하여 강도와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질화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합금강의 분류에서 특수 용도용으로 게이지, 시계추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불변강
  2. 쾌삭강
  3. 규소강
  4. 스프링강
(정답률: 59%)
  • 게이지나 시계추와 같은 특수 용도에 사용되는 합금강은 정밀한 측정이나 시간의 정확한 측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변형이 적어야 합니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합금강이 바로 불변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인장강도가 98~196MPa정도이며, 기계 가공성이 좋아 공작기계의 베드, 일반기계 부품, 수도관 등에 사용되는 주철은?

  1. 백주철
  2. 회주철
  3. 반주철
  4. 흑주철
(정답률: 61%)
  • 주철은 탄소 함량이 높아서 인장강도가 높고, 기계 가공성이 좋습니다. 그 중에서도 회주철은 탄소 함량이 적당하여 인장강도가 적당하면서도 기계 가공성이 좋아서 공작기계의 베드, 일반기계 부품, 수도관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열처리된 탄소강의 현미경 조직에서 경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소르바이트
  2. 오스테나이트
  3. 마텐자이트
  4. 트루스타이트
(정답률: 70%)
  • 열처리된 탄소강에서 경도가 가장 높은 것은 마텐자이트입니다. 이는 탄소강이 열처리되면서 오스테나이트 상태에서 빠르게 냉각되어 형성되는 경도가 높은 조직으로, 탄소의 고체 용해도가 낮아 탄소가 고체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텐자이트는 경도가 높아서 날카로운 칼날이나 고강도 부품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용접부품에서 일어나기 쉬운 잔류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열처리 방법은?

  1. 완전풀림(full annealing)
  2. 연화풀림(softening annealing)
  3. 확산풀림(diffusion annealing)
  4. 응력제거 풀림(stress relief annealing)
(정답률: 83%)
  • 용접 부품은 용접 과정에서 높은 온도와 압력에 노출되어 잔류응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잔류응력은 부품의 성능과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균열 발생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잔류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열처리가 필요합니다.

    응력제거 풀림은 부품을 고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한 후, 천천히 냉각시켜 잔류응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부품의 구조나 성질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잔류응력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 부품에서 일어나기 쉬운 잔류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응력제거 풀림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초음파 탐상법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초음파의 투과 능력이 작아 얇은 판의 검사에 적합하다.
  2. 결함의 위치와 크기를 비교적 정확히 알 수 있다.
  3. 검사 시험체의 한 면에서도 검사가 가능하다.
  4. 감도가 높으므로 미세한 결함을 검출 할 수 있다.
(정답률: 70%)
  • 초음파는 고주파수이기 때문에 투과 능력이 작아 얇은 판의 검사에 적합하다는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오히려 두꺼운 물질이나 금속 등의 물질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용제와 와이어가 분리되어 공급되고 아크가 용제 속에서 일어나며 잠호용접이라 불리는 용접은?

  1. MIG 용접
  2. 시임용접
  3.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4.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정답률: 85%)
  •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은 용제와 와이어가 분리되어 공급되고 아크가 용제 속에서 일어나며 잠호용접이라 불리는 용접입니다. 이는 용제에 의해 아크가 가려져서 산화물이 생성되지 않고, 용제에 의해 생성된 가스가 아크를 안정시켜서 용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용접 후 변형을 교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박판에 대한 점 수축법
  2. 형재(形材)에 대한 직선 수축법
  3. 가스 가우징법
  4. 롤러에 거는 방법
(정답률: 71%)
  • 가스 가우징법은 용접 후 변형을 교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용접 전에 사용하는 용접 전 가우징법입니다. 따라서 용접 후 변형을 교정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용접전압이 25V, 용접전류가 350A, 용접속도가 40cm/min인 경우 용접 입열량은 몇 J/cm 인가?

  1. 10500 J/cm
  2. 11500 J/cm
  3. 12125 J/cm
  4. 13125 J/cm
(정답률: 50%)
  • 용접 입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용접 입열량 = 용접전압 × 용접전류 × 용접속도 ÷ 100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용접 입열량 = 25V × 350A × 40cm/min ÷ 1000 = 35000 J/min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용접 입열량을 cm 단위로 표시한 것이므로, 용접속도를 분당에서 초당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1분은 60초이므로,

    용접속도 = 40cm/min ÷ 60s/min = 0.67cm/s

    이를 대입하여 용접 입열량을 cm 단위로 표시하면,

    용접 입열량 = 25V × 350A × 0.67cm/s ÷ 1000 = 13125 J/cm

    따라서, 정답은 "13125 J/c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용접 이음 준비 중 홈 가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홈 가공의 정밀 또는 용접 능률과 이음의 성능에 큰 영향을 준다.
  2. 홈 모양은 용접방법과 조건에 따라 다르다.
  3. 용접 균열은 루트 간격이 넓을수록 적게 발생한다.
  4. 피복 아크 용접에서는 54~70% 정도의 홈 각도가 적합하다.
(정답률: 80%)
  • "용접 균열은 루트 간격이 넓을수록 적게 발생한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실제로는 루트 간격이 넓을수록 용접 균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며, 좁은 루트 간격이 균열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그림과 같이 용접선의 방향과 하중의 방향이 직교한 필릿 용접은?

  1. 측면 필릿 용접
  2. 경사 필릿 용접
  3. 전면 필릿 용접
  4. T형 필릿 용접
(정답률: 61%)
  • 그림에서 용접선의 방향과 하중의 방향이 직교하고, 용접선이 두 부재의 전면에서 만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용접 방식을 전면 필릿 용접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아크 플라즈마는 고전류가 되면 방전전류에 의하여 생기는 자장과 전류의 작용으로 아크의 단면이 수축된다. 그 결과 아크 단면이 수축하여 가늘게 되고 전류밀도가 증가한다. 이와 같은 성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열적 핀치효과
  2. 자기적 핀치효과
  3. 플라스마 핀치효과
  4. 동적 핀치효과
(정답률: 53%)
  • 아크 플라즈마의 단면이 수축되는 현상을 자기적 핀치효과라고 한다. 이는 방전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과 전류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자기장이 아크를 압축하여 전류밀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자기적 핀치효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용접재료

36. 안전 보호구의 구비요건 중 틀린 것은?

  1. 착용이 간편할 것
  2. 재료의 품질이 양호할 것
  3. 구조와 끝마무리가 양호할 것
  4. 위험, 유해요소에 대한 방호성능이 나쁠 것
(정답률: 94%)
  • 위험, 유해요소에 대한 방호성능이 나쁠 것은 안전 보호구의 가장 중요한 요건 중 하나이기 때문에 틀린 것입니다. 안전 보호구는 위험, 유해한 환경에서 작업하는 데 필요한 보호를 제공해야 하므로 방호성능이 좋지 않으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안전 보호구를 선택할 때는 방호성능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피복 아크 용접기를 설치해도 되는 장소는?

  1. 먼지가 매우 많고 옥외의 비바람이 치는 곳
  2. 수증기 또는 습도가 높은 곳
  3. 폭발성 가스가 존재하지 않는 곳
  4. 진동이나 충격을 받는 곳
(정답률: 91%)
  • 피복 아크 용접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금속을 용접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불꽃이 폭발성 가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폭발성 가스가 존재하는 장소에서는 용접기를 설치하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폭발성 가스가 존재하지 않는 곳에서는 용접기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CO2 가스 아크 용접에서 복합 와이어의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C관상 와이어
  2. 아코스 와이어
  3. S관상 와이어
  4. NCG 와이어
(정답률: 43%)
  • CO2 가스 아크 용접에서 사용되는 복합 와이어는 아코스 와이어, S관상 와이어, NCG 와이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 와이어는 모두 CO2 가스 아크 용접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C관상 와이어는 CO2 가스 아크 용접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C관상 와이어는 주로 자동차 제조 공정에서 용접에 사용되며, CO2 가스 아크 용접에는 적합하지 않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비파괴 시험이 아닌 것은?

  1. 초음파 시험
  2. 피로 시험
  3. 침투 시험
  4. 누설 시험
(정답률: 75%)
  • 피로 시험은 물질의 내구성을 측정하기 위해 반복적인 하중을 가하고, 그에 따른 변형을 측정하는 시험이므로 비파괴 시험이 아닙니다. 초음파 시험, 침투 시험, 누설 시험은 모두 비파괴 시험으로, 물질의 결함이나 손상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화재 및 폭발의 방지조치가 아닌 것은?

  1. 가연성 가스는 대기 중에 방출시킨다.
  2. 용접작업 부근에 점화원을 두지 않도록 한다.
  3. 가스용접시에는 가연성 가스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4. 배관 또는 기기에서 가연성 가스의 누출여부를 철저히 점검한다.
(정답률: 91%)
  • "가연성 가스는 대기 중에 방출시킨다."는 화재 및 폭발의 방지조치가 아닙니다. 이유는 가연성 가스는 자연적으로 대기 중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산업 및 생활 활동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의 증발, 연소, 화학반응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가연성 가스가 발생하는 곳에서는 적절한 환기 및 배출 시스템을 구축하여 대기 중에 방출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불활성 가스 금속 아크(MIG) 용접의 특징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아 방풍대책이 필요 없다.
  2. TIG 용접에 비해 전류밀도가 높아 용융속도가 빠르고 후판용접에 적합하다.
  3. 각종 금속용접이 불가능하다.
  4. TIG 용접에 비해 전류밀도가 낮아 용접속도가 느리다.
(정답률: 73%)
  • MIG 용접은 TIG 용접에 비해 전류밀도가 높아 용융속도가 빠르고 후판용접에 적합합니다. 이는 MIG 용접에서 사용되는 전극이 TIG 용접보다 더 두껍기 때문에 전류밀도가 높아지고, 이는 용융속도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가스 절단 작업시 주의 사항이 아닌 것은?

  1. 가스 누설의 점검은 수시로 해야 하며 간단히 라이터로 할 수 있다.
  2. 가스 호스가 꼬여 있거나 막혀 있는지를 확인한다.
  3. 가스 호스가 용융 금속이나 산화물의 비산으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4. 절단 진행 중에 시선은 절단면을 떠나서는 안된다.
(정답률: 91%)
  • "가스 누설의 점검은 수시로 해야 하며 간단히 라이터로 할 수 있다."는 올바르지 않은 주의 사항입니다. 가스 누설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라이터나 불꽃을 사용해서는 안되며, 가스 누설 검사기 등 전문적인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라이터나 불꽃을 사용하면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본 용접의 용착법 중 각 층마다 전체 길이를 용접하면서 쌓아올리는 방법으로 용접하는 것은?

  1. 전진 블록법
  2. 케스케이드법
  3. 빌드업법
  4. 스킵법
(정답률: 60%)
  • 빌드업법은 각 층마다 전체 길이를 용접하면서 쌓아올리는 방법으로, 층마다 용접을 하면서 점진적으로 높이를 높여가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용접 부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용접 부위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용접 부위의 응력을 분산시켜 용접 부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형 구조물의 용접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TIG 용접시 텅스텐 전극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아크를 끊은 후 전극의 온도가 얼마일 때까지 불활성 가스를 흐르게 하는가?

  1. 100℃
  2. 300℃
  3. 500℃
  4. 700℃
(정답률: 62%)
  • TIG 용접시 텅스텐 전극은 매우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므로 금속이 녹아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활성 가스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전극이 불활성 가스로 덮여 있어도 고온에서는 산화되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크를 끊은 후 전극의 온도가 300℃ 이하가 되도록 불활성 가스를 흐르게 함으로써 전극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습니다. 300℃ 이하에서는 전극이 안정하게 작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연납과 경납을 구분하는 용융점은 몇 ℃인가?

  1. 200℃
  2. 300℃
  3. 450℃
  4. 500℃
(정답률: 82%)
  • 연납과 경납을 구분하는 용융점은 450℃이다. 이는 연납과 경납의 용융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연납은 용융점이 낮아 232℃에서 녹는 반면, 경납은 용융점이 높아 327℃에서 녹는다. 따라서, 이 두 금속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용융점이 중간인 450℃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용접부에 은점을 일으키는 주요 원소는?

  1. 수소
  2. 산소
  3. 탄소
(정답률: 66%)
  • 용접부에 은점을 일으키는 주요 원소는 수소입니다. 이는 수소가 용융된 금속 내부에서 산화되어 수산화물을 생성하고, 이 수산화물이 금속 내부에서 가스 포화 상태를 만들어 은점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소는 금속 내부에서 결정성장을 방해하여 은점 형성을 촉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교류아크 용접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가동 철심형
  2. 가동 코일형
  3. 가포화 리액터형
  4. 정류기형
(정답률: 78%)
  • 교류아크 용접기는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정류기를 사용하는 정류기형이 아닌 다른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정류기형은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류기형은 교류아크 용접기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TIG 용접에서 전극봉의 마모가 심하지 않으면서 청정작용이 있고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용접에 가장 적합한 전원 형태는?

  1. 직류 정극성(DCSP)
  2. 직류 역극성(DCRP)
  3. 고주파 교류(ACHF)
  4. 일반 교류(AC)
(정답률: 41%)
  • 고주파 교류(ACHF)는 TIG 용접에서 전극봉의 마모가 심하지 않으면서 청정작용이 있고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용접에 가장 적합한 전원 형태입니다. 이는 고주파 교류(ACHF)가 전극봉과 용접재 사이에서 높은 주파수로 전류를 생성하여 전극봉과 용접재 사이의 아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청정작용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고주파 교류(ACHF)는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과 같은 높은 열전도성을 가진 금속의 용접에 적합한 전원 형태이며, 용접시에 발생하는 스파터(용접물이 떨어지는 현상)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일렉트로 슬래그 아크 용접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은 단층 수직 상진 용접을 하는 방법이다.
  2.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은 아크를 발생시키지 않고 와이어와 용융 슬래그 그리고 모재 내에 흐르는 전기 저항열에 의하여 용접한다.
  3.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의 홈 형상은 I형 그대로 사용한다.
  4.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전원으로는 정전류형의 직류가 적합하고, 용융금속의 용착량은 90% 정도이다.
(정답률: 51%)
  •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전원으로는 정전류형의 직류가 적합하고, 용융금속의 용착량은 90% 정도이다. - 이 설명이 맞지 않습니다.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은 보통 교류나 직류 모두 사용 가능하며, 용착률은 용접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용접 결함 종류가 아닌 것은?

  1. 기공
  2. 언더컷
  3. 균열
  4. 용착금속
(정답률: 81%)
  • 용접 결함 종류 중 "용착금속"은 실제로는 용접 결함이 아닙니다. 용착금속은 용접 과정에서 생성되는 용접재료와 기존 부품의 금속이 혼합되어 만들어지는 새로운 금속입니다. 따라서 용접 결함 종류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제도

51. 다음 그림과 같은 양면 용접부 조합기호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양면 V 형 맞대기 용접
  2. 넓은 루트면이 있는 양면 V 형 용접
  3. 넓은 루트면이 있는 K형 맞대기 용접
  4. 양면 U 형 맞대기 용접
(정답률: 91%)
  • 이 그림은 양면으로 용접된 U자 모양의 조합기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양면 U 형 맞대기 용접"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양면 V 형 맞대기 용접", "넓은 루트면이 있는 양면 V 형 용접", "넓은 루트면이 있는 K형 맞대기 용접"으로, 이들은 그림과 다른 형태의 용접을 나타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그림은 경유 서비스 탱크 지지철물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모두 동일한 ㄱ 형강일 경우 중량은 약 몇 kgf인가? (단, ㄱ형강(L-50×50×6)의 단위 m당 중량은 4.43kgf/m이고, 정면도와 측면도에서 좌우 대칭이다.)

  1. 44.3
  2. 53.1
  3. 55.4
  4. 76.1
(정답률: 41%)
  • 먼저, 정면도와 측면도에서 좌우 대칭이므로 한쪽의 중량을 구한 후 2로 나누면 된다.

    정면도에서 ㄱ형강의 길이는 2m(200cm)이다. 따라서 중량은 4.43kgf/m × 2m = 8.86kgf 이다.

    측면도에서 ㄱ형강의 길이는 1.5m(150cm)이다. 높이는 1m(100cm)이므로 면적은 1.5m × 100cm = 15000cm² 이다. ㄱ형강의 단면적은 (50mm × 6mm) + (44mm × 6mm) = 528mm² 이다. 따라서 ㄱ형강의 중량은 528mm² × 15000cm² × 0.0001m²/cm² × 4.43kgf/m = 351.36kgf 이다.

    따라서, 한쪽의 중량은 8.86kgf + 351.36kgf = 360.22kgf 이고, 양쪽의 중량은 360.22kgf ÷ 2 = 180.11kgf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되어 있으므로, 180.11kgf를 반올림하여 180.1kgf가 된다. 이를 2로 나누면 90.05kgf가 되고, 이를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53.1kgf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3.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3각법으로 정투상한 아래 도면에서 정면도와 우측면도에 가장 적합한 평면도는?

(정답률: 43%)
  • 정면도와 우측면도를 보면, 정면에서는 높이와 깊이가 모두 보이고, 우측면에서는 너비와 깊이가 모두 보입니다. 따라서 높이, 너비, 깊이 모두를 고려하는 측면에서는 "" 평면도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도면에 그려진 길이가 실제 대상물의 길이보다 큰 경우 사용한 척도의 종류인 것은?

  1. 현척
  2. 실척
  3. 배척
  4. 축척
(정답률: 76%)
  • 배척은 도면에 그려진 길이가 실제 대상물의 길이보다 큰 경우 사용하는 척도입니다. 즉, 실제 대상물보다 도면이 크게 그려진 경우에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대상물의 보이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하는데 사용하는 선은?

  1. 치수선
  2. 외형선
  3. 숨은선
  4. 기준선
(정답률: 79%)
  • 외형선은 대상물의 외형적인 모양을 나타내는 선으로, 대상물의 가장 바깥 부분을 따라 그려진 선입니다. 따라서 대상물의 보이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기계제도의 치수 보조 기호 중에서 SØ는 무엇을 나타내는 기호인가?

  1. 구의 지름
  2. 원통의 지름
  3. 판의 두께
  4. 원호의 길이
(정답률: 76%)
  • SØ는 "구의 지름"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S는 "size"의 약자로, Ø는 "diameter"의 약자입니다. 따라서 SØ는 "크기(지름)가 Ø인"을 의미합니다. 구의 지름은 구의 크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SØ는 구의 지름을 나타내는 기호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그림과 같은 관 표시 기호의 종류는?

  1. 크로스
  2. 리듀서
  3. 디스트리뷰터
  4. 휨 관 조인트
(정답률: 72%)
  • 그림과 같은 관 표시 기호는 파이프라인을 나타내며, 파이프라인에서 관의 연결 부분을 휨 관 조인트라고 합니다. 이는 관의 방향을 바꾸거나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파이프라인의 유동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휨 관 조인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재료기호가 “SM400C”로 표시되어 있을 때 이는 무슨 재료인가?

  1.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2.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
  3. 스프링 강재
  4. 탄소 공구강 강재
(정답률: 53%)
  • 재료기호 "SM400C"는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중에서도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를 나타냅니다. "S"는 구조용 강재를 나타내고, "M"은 압연 강재를 나타냅니다. "400"은 인장강도를 나타내며, "C"는 탄소 함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재료는 용접 구조용으로 사용되는 강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회전도시 단면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절단할 곳의 전·후를 끊어서 그 사이에 그린다.
  2. 절단선의 연장선 위에 그린다.
  3. 도형 내의 절단한 곳에 겹쳐서 도시할 경우 굵은 실선을 사용하여 그린다.
  4. 절단면은 90° 회전하여 표시한다.
(정답률: 50%)
  • "도형 내의 절단한 곳에 겹쳐서 도시할 경우 굵은 실선을 사용하여 그린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도시를 그릴 때, 절단면이나 절단선을 표시하는 것이 중요한데, 도시를 그릴 때 절단면이나 절단선이 도형 내에 겹쳐져 있을 경우, 이를 표시하기 위해 굵은 실선을 사용하여 그리는 것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시를 볼 때 어디가 절단면인지, 어디가 절단선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아래 그림은 원뿔을 경사지게 자른 경우이다. 잘린 원뿔의 전개 형태로 가장 올바른 것은?

(정답률: 60%)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원뿔을 자르면서 생긴 모양을 전개하면, 원뿔의 밑면이 원으로 나타납니다.
    - 원뿔의 밑면을 전개하면, 원이 되어야 합니다.
    - ""은 원이므로 올바른 전개 형태입니다.
    - "", "", ""는 모두 원이 아니므로 올바른 전개 형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