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7-19)

조경기능사
(2015-07-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일반

1. 다음 중 색의 삼속성이 아닌 것은?

  1. 색상
  2. 명도
  3. 채도
  4. 대비
(정답률: 84%)
  • 대비는 색의 삼속성이 아닙니다. 색의 삼속성은 색상, 명도, 채도로 구성되며, 대비는 색상이나 명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대비는 색의 시각적인 강도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색의 삼속성이 아니라 색의 시각적 특성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기본계획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땅가름
  2. 주요시설배치
  3. 식재계획
  4. 실시설계
(정답률: 72%)
  • 실시설계는 기본계획의 일부가 아니라,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시설 설계를 수행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기본계획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서원 조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도산서당의 정우당, 남계성원의 지당에 연꽃이 식재된 것은 주렴계의 애련설의 영향이다.
  2. 서원의 진입공간에는 홍살문이 세워지고, 하마비와 하마석이 놓여진다.
  3. 서원에 식재되는 수목들은 관상을 목적으로 식재되었다.
  4. 서원에 식재되는 대표적인 수목은 은행나무로 행단과 관련이 있다.
(정답률: 63%)
  • "서원에 식재되는 수목들은 관상을 목적으로 식재되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서원에 식재되는 수목들은 주로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서원의 분위기와 미적 감각을 살리기 위해 식재되었습니다. 관상을 목적으로 식재된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일본의 정원 양식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다정양식
  2. 축산고산수양식
  3. 평정고산수양식
  4. 침전조정원양식
(정답률: 74%)
  • 이 정원 양식은 평지에 조성된 정원으로, 고산수(산수)를 이용하여 물을 흐르게 하여 만든 연못과 폭포, 그리고 그 주변에 자연스러운 산식물을 배치하여 자연스러운 풍경을 연출하는 양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쌍탑형 가람배치를 가지고 있는 사찰은?

  1. 경주 분황사
  2. 부여 정림사
  3. 경주 감은사
  4. 익산 미륵사
(정답률: 70%)
  • 쌍탑형 가람배치란, 한 쪽에 작은 탑이 있고 반대쪽에 큰 탑이 있는 배치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경주 감은사는 쌍탑형 가람배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경주 감은사는 대한민국의 사찰 중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 중 하나이며, 쌍탑형 가람배치를 가지고 있어서 유일무이한 아름다움을 자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프랑스 베르사유 궁원의 수경시설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아폴로 분수
  2. 물극장
  3. 라토나 분수
  4. 양어장
(정답률: 77%)
  • 양어장은 물고기를 기르는 시설로, 베르사유 궁원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베르사유 궁원에는 아폴로 분수, 물극장, 라토나 분수와 같은 수경시설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설계 도면의 종류 중 2차원의 평면을 나타내지 않는 것은?

  1. 평면도
  2. 단면도
  3. 상세도
  4. 투시도
(정답률: 69%)
  • 투시도는 3차원 공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평면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대신에 객체의 전면, 측면, 위쪽 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객체의 입체적인 형태와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투시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중국 옹정제가 제위 전 하사받은 별장으로 영국에 중국식 정원을 조성하게 된 계기가 된 곳은?

  1. 원명원
  2. 기창원
  3. 이화원
  4. 외팔묘
(정답률: 71%)
  • 중국 옹정제가 제위 전 하사받은 별장으로 원명원을 선택하여 영국에 중국식 정원을 조성하게 된 이유는 원명원이 중국의 전통적인 정원 양식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자유, 우아, 섬세, 간접적, 여성적인 느낌을 갖는 선은?

  1. 직선
  2. 절선
  3. 곡선
  4. 점선
(정답률: 94%)
  • 곡선은 자유로운 움직임과 우아함을 나타내며, 섬세하고 간접적인 느낌을 줍니다. 또한 여성적인 미를 상징하는 경우가 많아 여성적인 느낌을 갖습니다. 따라서, 자유, 우아, 섬세, 간접적, 여성적인 느낌을 갖는 선은 "곡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휴게시설물로 분류할 수 없는 것은?

  1. 퍼걸러(그늘시렁)
  2. 평상
  3. 도섭지(발물놀이터)
  4. 야외탁자
(정답률: 87%)
  • 도섭지(발물놀이터)는 휴게시설물이 아닌 놀이시설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파란색 조명에 빨간색 조명과 초록색 조명을 동시에 켰더니 하얀색으로 보였다. 이처럼 빛에 의한 색채의 혼합 원리는?

  1. 가법혼색
  2. 병치혼색
  3. 회전혼색
  4. 감법혼색
(정답률: 87%)
  • 가법혼색은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등의 빛을 동시에 섞어서 하얀색과 같은 밝은 색을 만드는 혼합 원리입니다. 이는 빛의 삼원색이 서로 합쳐져서 백색광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파란색 조명에 빨간색 조명과 초록색 조명을 동시에 켰더니 하얀색으로 보였다는 것은 가법혼색의 원리에 따라 빛의 세 가지 삼원색이 합쳐져서 백색광이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이집트 하(下)대의 상징 식물로 여겨졌으며, 연못에 식재되었고, 식물의 꽃은 즐거움과 승리를 위미하여 신과 사자에게 바쳐졌었다. 이집트 건축의 주두(柱頭) 장식에도 사용되었던 이 식물은?

  1. 자스민
  2. 무화과
  3. 파피루스
  4. 아네모네
(정답률: 80%)
  • 이집트 하(下)대의 상징 식물이며, 이집트 건축의 주두(柱頭) 장식에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조경분야의 기능별 대상 구분 중 위락관광시설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오피스빌딩정원
  2. 어린이공원
  3. 골프장
  4. 군립공원
(정답률: 82%)
  • 위락관광시설은 사람들이 즐길 수 있는 여가 활동을 제공하는 시설로, 골프장은 골퍼들이 골프를 즐길 수 있는 시설입니다. 따라서 골프장은 위락관광시설로 가장 적합하며, 다른 보기들은 주로 휴식과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공원이나 어린이들이 놀 수 있는 공간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벽돌로 만들어진 건축물에 태양광선이 비추어지는 부분과 그늘진 부분에서 나타나는 배색은?

  1. 톤 인 톤(tone in tone) 배색
  2. 톤 온 톤(tone on tone) 배색
  3. 까마이외(camaïeu) 배색
  4. 트리콜로르(tricolore) 배색
(정답률: 73%)
  • 정답은 "톤 온 톤(tone on tone) 배색"입니다. 이는 벽돌로 만들어진 건축물의 태양광선이 비추어지는 부분과 그늘진 부분에서 나타나는 배색이 모두 같은 색조의 다른 음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즉, 같은 색상 계열의 색조를 사용하여 조화롭게 배합한 것입니다. "톤 인 톤(tone in tone) 배색"은 같은 색상 계열의 서로 다른 색조를 사용하여 배합한 것을 말하며, "까마이외(camaïeu) 배색"은 한 가지 색상의 서로 다른 밝기와 채도를 사용하여 배합한 것을 말합니다. "트리콜로르(tricolore) 배색"은 세 가지 색상을 사용하여 배합한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골프장에서 티와 그린 사이의 공간으로 잔디를 짧게 깎는 지역은?

  1. 해저드
  2. 페어웨이
  3. 홀 커터
  4. 벙커
(정답률: 87%)
  • 페어웨이는 골프장에서 티와 그린 사이의 공간으로, 공을 쳐서 이 지역에 놓이면 다음 샷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잔디를 짧게 깎아놓은 지역입니다. 따라서 페어웨이는 골프장에서 가장 중요한 지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재료

16. 골재의 함수상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골재를 110℃정도의 온도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킨 상태를 절대건조 상태 또는 노건조 상태(oven dry condition)라 한다.
  2. 골재를 실내에 방치할 경우, 골재입자의 표면과 내부의 일부가 건조된 상태를 공기 중 건조상태라 한다.
  3. 골재입자의 표면에 물은 없으나 내부의 공극에는 물이 꽉 차있는 상태를 표면건조포화상태라 한다.
  4. 절대건조 상태에서 표면건조 상태가 될 때까지 흡수되는 수량을 표면수량(surface moisture)이라 한다.
(정답률: 58%)
  • 틀린 것은 "절대건조 상태에서 표면건조 상태가 될 때까지 흡수되는 수량을 표면수량(surface moisture)이라 한다." 입니다. 이는 반대로, 표면건조 상태에서 절대건조 상태가 될 때까지 흡수되는 수량을 표면수량(surface moisture)이라고 합니다. 이유는 절대건조 상태에서는 골재입자의 모든 물이 완전히 제거되어 표면과 내부 모두 건조한 상태이기 때문에, 표면건조 상태가 될 때까지 흡수되는 수량은 표면에 존재하는 물의 양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가로수용으로 가장 적합한 수종은?

  1. 회화나무
  2. 돈나무
  3. 호랑가시나무
  4. 풀명자
(정답률: 81%)
  • 가로수는 도시환경에서 시민들에게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가로수로 심을 나무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1. 빠른 성장 속도
    2. 잎이 빽빽하게 자라서 무성한 그늘을 제공
    3. 잎이 떨어지지 않는 상록수
    4. 병충해에 강한 내구성

    이 중에서 회화나무는 빠른 성장 속도와 무성한 잎사귀로 인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록수로서 겨울철에도 녹색을 유지하며, 병충해에도 강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로수용으로 가장 적합한 수종은 회화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진비중이 1.5, 전건비중이 0.54 인 목재의 공극율은?

  1. 66%
  2. 64%
  3. 62%
  4. 60%
(정답률: 67%)
  • 공극율 = (진비중 - 전건비중) / 진비중 x 100

    공식에 값을 대입하면,

    공극율 = (1.5 - 0.54) / 1.5 x 100

    공극율 = 0.96 / 1.5 x 100

    공극율 = 64%

    따라서, 정답은 6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나무의 높이나 나무고유의 모양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교목
  2. 활엽수
  3. 상록수
  4. 덩굴성 수목(만경목)
(정답률: 55%)
  • 상록수는 나무의 종류가 아니라 잎이 항상 녹색으로 유지되는 특징을 가진 나무들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나무의 높이나 모양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산울타리 수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편백
  2. 무궁화
  3. 단풍나무
  4. 쥐똥나무
(정답률: 76%)
  • 단풍나무는 산지나 해발이 높은 지역에서 자라는 수종으로, 일조량이 많은 곳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산울타리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모감주나무(Koelreuteria paniculata Laxmann)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뿌리는 천근성으로 내공해성이 약하다.
  2. 열매는 삭과로 3개의 황색종자가 들어있다.
  3.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다.
  4. 남부지역에서만 식재가능하고 성상은 상록활엽교목이다.
(정답률: 41%)
  •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다. 이는 모감주나무의 잎이 한 개의 줄기에서 나온 복엽으로, 각각의 잎이 다시 여러 개의 작은 잎으로 나뉘어져 있는 형태를 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복수초(Adonis amurensis Regel & Radd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여러해살이풀이다.
  2. 꽃색은 황색이다.
  3. 실생개체의 경우 1년 후 개화한다.
  4. 우리나라에는 1속 1종이 난다.
(정답률: 48%)
  • "실생개체의 경우 1년 후 개화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실생개체는 여러해살이풀이며, 꽃색은 황색입니다. 우리나라에는 1속 1종이 납니다. 하지만 실생개체는 일년생으로, 씨앗이 땅에 떨어지면 다음 봄에 발아하여 1년 후에 개화합니다. 따라서 "실생개체의 경우 1년 후 개화한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지피(地被)용으로 사용하기 가장 적합한 식물은?

  1. 맥문동
  2. 등나무
  3. 으름덩굴
  4. 멀꿀
(정답률: 88%)
  • 맥문동은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지피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뿌리가 두껍고 강하며 토양을 고르지 않아도 잘 자라는 특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생장이 빠르고 재생력이 강하여 지속적인 이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열가소성 수지에 해당되는 것은?

  1. 페놀수지
  2. 멜라민수지
  3. 폴리에틸렌수지
  4. 요소수지
(정답률: 71%)
  • 열가소성 수지는 고온에서도 변형이 적은 수지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폴리에틸렌수지는 가장 대표적인 열가소성 수지입니다. 이는 폴리에틸렌이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높은 내열성과 내부식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약한 나무를 보호하기 위하여 줄기를 싸주거나 지표면을 덮어주는데 사용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볏짚
  2. 새끼줄
  3. 밧줄
  4. 바크(bark)
(정답률: 87%)
  • 약한 나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줄기를 싸주거나 지표면을 덮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적합한 것은 "볏짚"입니다. 볏짚은 가볍고 부드러우며, 공기를 잘 통하면서도 충격을 흡수하는 특성이 있어서 나무를 보호하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볏짚은 비교적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목질 재료의 단점에 해당되는 것은?

  1. 함수율에 따라 변형이 잘 된다.
  2. 무게가 가벼워서 다루기 쉽다.
  3. 재질이 부드럽고 촉감이 좋다.
  4. 비중이 적은데 비해 압축, 인장강도가 높다.
(정답률: 77%)
  • 목질 재료의 단점은 부식, 변형, 열팽창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함수율에 따라 변형이 잘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목재가 습기나 온도 등의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크기나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특성은 목재가 가지는 유연성과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곡선 형태의 가구나 건축물 등을 만들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열매가 붉은색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쥐똥나무, 팥배나무
  2. 주목, 칠엽수
  3. 피라칸다, 낙상홍
  4. 매실나무, 무화과나무
(정답률: 69%)
  • 피라칸다와 낙상홍은 모두 열매가 붉은색으로만 짝지어진 나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열매의 색이 다양하거나 붉은색이 아닌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지피식물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지표면을 치밀하게 피복해야 함
  2. 키가 높고, 일년 생이며 거칠어야 함
  3. 환경조건에 대한 적응성이 넓어야 함
  4. 번식력이 왕성하고 생장이 비교적 빨라야 함
(정답률: 92%)
  • 지피식물은 키가 높고 일년 생이며 거칠어야 하는 특성이 없습니다. 지피식물은 대부분 지면에 낮게 붙어있는 작은 식물로서, 지표면을 치밀하게 피복해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지피식물이 건조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또한, 지피식물은 환경조건에 대한 적응성이 넓고, 번식력이 왕성하며 생장이 비교적 빠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수종은?

  1. 잣나무
  2. 솔송나무
  3. 개잎갈나무
  4. 구상나무
(정답률: 63%)
  • 보기에서 나타난 나무는 잎이 갈라져 있는 것으로 보아 속이 "갈나무속"에 속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잎의 모양이 개처럼 생겨 "개잎갈나무"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목재 접착시 압착의 방법이 아닌 것은?

  1. 도포법
  2. 냉압법
  3. 열압법
  4. 냉압 후 열압법
(정답률: 82%)
  • 목재 접착시 압착의 방법 중 도포법은 압력을 가하지 않고 접착제를 목재 표면에 도포하여 접착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압력을 가하지 않는 방법이므로 목재 접착시 압착의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목재가 함유하는 수분을 존재 상태에 따라 구분한 것 중 맞는 것은?

  1. 모관수 및 흡착수
  2. 결합수 및 화학수
  3. 결합수 및 응집수
  4. 결합수 및 자유수
(정답률: 57%)
  • 목재가 함유하는 수분은 결합수와 자유수로 구분됩니다. 결합수는 목재 내부의 섬유 구조와 결합하여 분자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이며, 자유수는 목재 내부의 구멍이나 공간에 존재하는 수분입니다. 결합수는 목재의 물리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며, 자유수는 목재의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목재 내부의 결합수와 자유수를 적절히 관리하여 목재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설명의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1/2
  2. 1/3
  3. 2/3
  4. 3/4
(정답률: 79%)
  • 주어진 원 그래프에서 파란색 부분이 전체의 2/3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2/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벤치 좌면 재료 가운데 이용자가 4계절 가장 편하게 사용 할 수 있는 재료는?

  1. 플라스틱
  2. 목재
  3. 석재
  4. 철재
(정답률: 85%)
  • 목재는 자연적이며 따뜻한 느낌을 주며, 겨울에는 보온성이 뛰어나고 여름에는 시원한 느낌을 줍니다. 또한 내구성이 높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디자인적으로도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어 다양한 스타일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한지형(寒地形) 잔디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벤트그래스
  2. 버뮤다그래스
  3. 라이그래스
  4. 켄터키블루그래스
(정답률: 79%)
  • 버뮤다그래스는 온지형(暖地形) 잔디에 속하는데, 다른 세 종류의 잔디는 모두 한지형(寒地形) 잔디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화성암에 해당하는 것은?

  1. 화강암
  2. 응회암
  3. 편마암
  4. 대리석
(정답률: 83%)
  • 화성암은 용암이 지하에서 굳어서 만들어진 암석으로, 보기 중에는 해당되는 것이 없습니다. 화강암은 심부암석 중 하나로, 깊은 지하에서 녹은 용암이 천천히 굳어서 만들어진 암석입니다. 따라서 화성암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 시공 및 관리

36. 다음 중 시설물의 사용연수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철재 시소 : 10년
  2. 목재 벤치 : 7년
  3. 철재 파고라 : 40년
  4. 원로의 모래자갈 포장 : 10년
(정답률: 81%)
  • 철재 파고라는 철재로 만들어져 내구성이 높기 때문에 사용연수가 40년으로 가장 부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금속재의 부식 환경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온도가 높을수록 녹의 양은 증가한다.
  2. 습도가 높을수록 부식속도가 빨리 진행된다.
  3. 도장이나 수선 시기는 여름보다 겨울이 좋다.
  4. 내륙이나 전원지역보다 자외선이 많은 일반 도심지가 부식속도가 느리게 진행된다.
(정답률: 73%)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같은 밀도(密度)에서 토양공극의 크기(size)가 가장 큰 것은?

  1. 식토
  2. 사토
  3. 점토
  4. 식양토
(정답률: 77%)
  • 사토가 같은 밀도에서 토양공극의 크기가 가장 큰 이유는 사토가 입자 크기가 크고 고형물 간의 간극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토는 물이 잘 흐르고 공기가 잘 통하는 토양으로, 농경지나 정원 등에서 배수성이 좋은 토양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경사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45° 경사는 1:1이다.
  2. 25% 경사는 1:4이다.
  3. 1:2는 수평거리 1, 수직거리 2를 나타낸다.
  4. 경사면은 토양의 안식각을 고려하여 안전한 경사면을 조성한다.
(정답률: 75%)
  • 1:2는 수평거리 1, 수직거리 2를 나타내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경사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수평거리 1에 대해 수직거리가 2인 경사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미터 수평거리에 대해 2미터 수직거리가 있는 경사면을 나타냅니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표준시방서의 기재 사항으로 맞는 것은?

  1. 공사량
  2. 입찰방법
  3. 계약절차
  4. 사용재료 종류
(정답률: 76%)
  • 표준시방서는 공사의 세부사항을 명시하는 문서로, 공사량, 입찰방법, 계약절차 등을 기재합니다. 그 중에서도 사용재료 종류는 공사의 품질과 안전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기재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시공자와 시공주가 공사에 사용될 재료의 종류와 품질을 미리 확인하고, 공사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재료 종류는 공사비용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계약 시에도 중요한 사항으로 고려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과 같은 피해 특징을 보이는 대기오염 물질은?

  1. 오존
  2. 아황산가스
  3. PAN
  4. 중금속
(정답률: 86%)
  • 주어진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연기와 안개로 인한 시야의 가려짐과 같은 대기오염 특징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먼지, 황화합물, 질소산화물 등이 원인이 됩니다. 그 중에서도 연기와 안개로 인한 시야의 가려짐은 황화합물 중에서도 아황산가스가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황산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표준품셈에서 수목을 인력시공 식재 후 지주목을 세우지 않을 경우 인력품의 몇 %를 감하는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76%)
  • 표준품셈에서는 인력품을 식재한 후 지주목을 세우지 않을 경우 인력품의 생육이 저하되어 수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때 감소하는 비율은 보통 10% 정도이기 때문에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멀칭의 기대 효과가 아닌 것은?

  1. 표토의 유실을 방지
  2. 토양의 입단화를 촉진
  3. 잡초의 발생을 최소화
  4. 유익한 토양미생물의 생장을 억제
(정답률: 86%)
  • 유익한 토양미생물의 생장을 억제는 멀칭의 기대 효과가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부정적인 효과로, 토양 생태계를 균형을 깨뜨리고 작물 생육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지표의 경사가 급할수록 등고선 간격이 넓어진다.
  2. 같은 등고선 위의 모든 점은 높이가 서로 다르다.
  3. 등고선은 지표의 최대 경사선의 방향과 직교하지 않는다.
  4.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동굴이나 절벽의 지형이 아닌 곳에서는 교차하지 않는다.
(정답률: 68%)
  •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동굴이나 절벽의 지형이 아닌 곳에서는 교차하지 않는 이유는, 등고선은 같은 높이를 나타내는 지점들의 집합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이 교차하게 된다면, 같은 높이를 나타내는 지점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게 되므로 등고선의 정의에 어긋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습기가 많은 물가나 습원에서 생육하는 식물을 수생식물이라 한다. 다음 중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부처손, 구절초
  2. 갈대, 물억세
  3. 부들, 생이가래
  4. 고랭이, 미나리
(정답률: 81%)
  • 부처손과 구절초는 수생식물이 아닌 물에 적응한 물생식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인공지반에 식재된 식물과 생육에 필요한 식재최소토심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배수구배는 1.5~2.0%, 인공토양 사용시로 한다.)

  1. 잔디, 초본류 : 15㎝
  2. 소관목 : 20㎝
  3. 대관목 : 45㎝
  4. 심근성 교목 : 90㎝
(정답률: 45%)
  • 인공지반에 식재된 식물의 생육에는 최소한의 토심이 필요합니다. 이는 식물의 뿌리가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토양의 영양분과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배수구배가 1.5~2.0%인 경우, 인공토양을 사용할 때는 식재최소토심이 보다 더 중요해집니다. 인공토양은 천연토양보다 수분이 빠르게 증발하므로, 뿌리가 깊게 침투할 수 있는 충분한 토심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식재최소토심이 가장 적합한 것은 "소관목 : 20㎝"입니다. 소관목은 뿌리가 얕고 넓게 퍼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20㎝의 토심에서도 충분한 생육이 가능합니다. 대관목이나 심근성 교목은 뿌리가 깊게 침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더 깊은 토심이 필요합니다. 반면, 잔디나 초본류는 뿌리가 얕고 작기 때문에 15㎝의 토심에서도 충분한 생육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가로 2m × 세로 50m의 공간에 H0.4×W0.5 규격의 영산홍으로 생울타리를 만들려고 하면 사용되는 수목의 수량은 약 얼마인가?

  1. 50주
  2. 100주
  3. 200주
  4. 400주
(정답률: 51%)
  • 생울타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곱한 후, 그 값을 영산홍의 규격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따라서,

    2m × 50m = 100m²

    100m² ÷ (0.4m × 0.5m) = 500주

    하지만, 문제에서는 "약 얼마"라고 했으므로, 반올림하여 400주가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식물명에 대한 『코흐의 원칙』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병든 생물체에 병원체로 의심되는 특정 미생물이 존재해야 한다.
  2. 그 미생물은 기주생물로부터 분리되고 배지에서 순수배양되어야 한다.
  3. 순수배양한 미생물을 동일 기주에 접종하였을 때 동일한 병이 발생되어야 한다.
  4. 병든 생물체로부터 접종할 때 사용하였던 미생물과 동일한 특성의 미생물이 재분리되지만 배양은 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82%)
  • 정답은 "병든 생물체로부터 접종할 때 사용하였던 미생물과 동일한 특성의 미생물이 재분리되지만 배양은 되지 않아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코흐의 원칙에서는 병원체로 의심되는 특정 미생물이 존재하고, 그 미생물이 기주생물로부터 분리되고 순수배양되어야 하며, 동일 기주에 접종하였을 때 동일한 병이 발생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재분리되지만 배양은 되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은 코흐의 원칙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철쭉류와 같은 화관목의 전정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개화 1주 전
  2. 개화 2주 전
  3. 개화가 끝난 직후
  4. 휴면기
(정답률: 87%)
  • 화관목은 개화가 끝난 직후에 전정을 시작합니다. 이는 개화 기간 동안 생산된 영양분을 이용하여 새로운 잎과 가지를 성장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개화가 끝난 직후"가 철쭉류와 같은 화관목의 전정시기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미국흰불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성충으로 월동한다.
  2. 1화기 보다 2화기에 피해가 심하다.
  3. 성충의 활동시기에 피해지역 또는 그 주변에 유아등이나 흡입포충기를 설치하여 유인 포살한다.
  4. 알 기간에 알덩어리가 붙어 있는 잎을 채취하여 소각하며, 잎을 가해하고 있는 군서 유충을 소살한다.
(정답률: 65%)
  • "성충으로 월동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미국흰불나방은 애벌레와 유충이 식물을 먹으며 성장하고, 성충은 번식을 위해 날아다니며 활동합니다. 따라서 성충은 월동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제초제 사용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비나 눈이 올 때는 사용하지 않는다.
  2. 될 수 있는 대로 다른 농약과 섞어서 사용한다.
  3. 적용 대상에 표시되지 않은 식물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4. 살포할 때는 보안경과 마스크를 착용하며,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92%)
  • "될 수 있는 대로 다른 농약과 섞어서 사용한다."는 올바른 주의사항이 아닙니다. 다른 농약과 섞어 사용하면 농약간 상호작용이 일어나서 효과가 감소하거나 유해한 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초제 사용 시 다른 농약과 섞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 다른 농약과 섞어 사용하면 농약간 상호작용이 일어나서 효과가 감소하거나 유해한 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제초제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서는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사용 방법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시멘트와 그 특성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조강포틀랜드시멘트 : 조기강도를 요하는 긴급공사에 적합하다.
  2. 백색포틀랜드시멘트 : 시멘트 생산량의 90%이상을 점하고 있다.
  3. 고로슬래그시멘트 : 건조수축이 크며, 보통시멘트보다 수밀성이 우수하다.
  4. 실리카시멘트 : 화학적 저항성이 크고 발열량이 적다.
(정답률: 65%)
  • 조강포틀랜드시멘트는 높은 조기강도를 가지고 있어 긴급공사에 적합하다.
  • 포졸란 시멘트 건조수축이 큰것이 단점
    고로슬래그 비중차가 작아 혼합 및 분산성이 우수
    중성화 속도 빠르다. 페수시설 하수도 항만 등에 사용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일반적인 토양의 표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우수(⾬⽔)의 배수능력이 없다.
  2. 토양오염의 정화가 진행된다.
  3. 토양미생물이나 식물의 뿌리 등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4. 오랜 기간의 자연작용에 따라 만들어진 중요한 자산이다.
(정답률: 80%)
  • "우수(⾬⽔)의 배수능력이 없다."는 부적합한 설명입니다. 이유는 토양의 표토는 일반적으로 물을 잘 흡수하고 배출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수(⾬⽔)의 배수능력이 없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잔디재배 관리방법 중 칼로 토양을 베어주는 작업으로, 잔디의 포복경 및 지하경도 잘라주는 효과가 있으며 레노베이어, 론에어 등의 장비가 사용되는 작업은?

  1. 스파이킹
  2. 롤링
  3. 버티컬 모잉
  4. 슬라이싱
(정답률: 70%)
  • 슬라이싱은 칼로 토양을 베어주는 작업으로, 잔디의 포복경 및 지하경도 잘라주는 효과가 있으며 레노베이어, 론에어 등의 장비가 사용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슬라이싱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벽돌(190×90×57)을 이용하여 경계부의 담장을 쌓으려고 한다. 시공면적 10m2에 1.5B 두께로 시공할 때 약 몇 장의 벽돌이 필요한가? (단, 줄눈은 10mm이고, 할증률은 무시한다.)

  1. 약 750장
  2. 약 1490장
  3. 약 2240장
  4. 약 2980장
(정답률: 67%)
  • 시공면적은 10m2이므로, 이를 벽돌의 넓이로 나누어 필요한 벽돌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먼저, 벽돌의 넓이를 구해보자. 줄눈이 10mm이므로, 벽돌의 가로길이와 세로길이를 각각 190mm, 90mm로 바꿔준다. 그리고 이를 곱하여 넓이를 구한다.

    넓이 = 190mm × 90mm = 17100mm2

    이제 시공면적을 벽돌의 넓이로 나누어 필요한 벽돌의 개수를 구한다.

    필요한 벽돌의 개수 = (시공면적 ÷ 벽돌의 넓이) × 두께

    여기서 두께는 1.5B이므로, 1.5를 곱해준다.

    필요한 벽돌의 개수 = (10m2 ÷ 17100mm2) × 1.5 ≈ 0.0088 × 1.5 ≈ 0.0132m3

    따라서, 약 2240장의 벽돌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평판측량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수평 맞추기[정준]
  2. 중심 맞추기[구심]
  3. 방향 맞추기[표정]
  4. 수직 맞추기[수준]
(정답률: 67%)
  • 수직 맞추기는 평판측량의 요소가 아닙니다. 평판측량의 3요소는 수평 맞추기, 중심 맞추기, 방향 맞추기입니다. 수직 맞추기는 물건이나 사람을 수직으로 세우는 것을 의미하며, 평판측량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페니트로티온 45% 유제 원액 100㏄를 0.05%로 희석 살포액을 만들려고 할 때 필요한 물의 양은 얼마인가? (단, 유제의 비중은 1.0이다.)

  1. 69,900㏄
  2. 79,900㏄
  3. 89,900㏄
  4. 99,900㏄
(정답률: 63%)
  • 농약의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농약 농도 = (농약의 양 ÷ 총 용액의 양) × 100

    문제에서는 100㏄의 유제 원액이 주어졌고, 이를 0.05%로 희석해야 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

    0.05% = (100 ÷ 총 용액의 양) × 100

    총 용액의 양을 구하기 위해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총 용액의 양 = 100 ÷ 0.05%

    총 용액의 양을 계산하면 89,900㏄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9,9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대추나무에 발생하는 전신병으로 마름무늬매미충에 의해 전염되는 병은?

  1. 갈반병
  2. 잎마름병
  3. 혹병
  4. 빗자루병
(정답률: 82%)
  • 빗자루병은 마름무늬매미충에 의해 전염되는 전신병으로, 감염된 나무는 잎이 노랗게 변하고, 가지와 줄기에 빗자루 모양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 증상은 마치 빗자루로 쓸어내듯이 가지와 줄기에 빗자루 모양의 검은색 혹이 생기는 것으로서, 이로 인해 병명이 빗자루병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복합비료 중 주성분 함량이 가장 많은 비료는?

  1. 21-21-17
  2. 11-21-11
  3. 18-18-18
  4. 0-40-10
(정답률: 83%)
  • 주성분은 질소(N), 인(P), 칼륨(K) 세 가지이며, 이 중 함량이 가장 많은 비료는 "21-21-17"입니다. 이유는 비료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질소, 인, 칼륨의 함량이 각각 21%, 21%, 17%로 가장 높기 때문입니다. 다른 비료들은 각각 한 가지 혹은 두 가지 주성분의 함량이 높지만, "21-21-17"은 세 가지 주성분의 함량이 모두 높아서 종합적인 영양성이 뛰어나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해충의 방제방법 중 기계적 방제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경운법
  2. 유살법
  3. 소살법
  4. 방사선이용법
(정답률: 68%)
  • 방사선이용법은 화학적인 방법이나 물리적인 방법이 아닌, 방사선을 이용하여 해충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기계적 방제방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