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10-10)

조경기능사
(2015-10-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일반

1.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것은?

  1. 점이(漸移)
  2. 운율(韻律)
  3. 추이(推移)
  4. 비례(⽐例)
(정답률: 77%)
  • 보기에서 점이(漸移)란 단어는 점차적으로 이동하거나 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림에서는 점이 점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직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점이(漸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전라남도 담양지역의 정자원림이 아닌 것은?

  1. 소쇄원 원림
  2. 명옥헌 원림
  3. 식영정 원림
  4. 임대정 원림
(정답률: 59%)
  • 정자원림은 전라남도 담양에 위치한 대표적인 자연생태공원으로 유명합니다. 그러나 나머지 보기 중 "임대정 원림"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이름입니다. 따라서 "임대정 원림"은 정자원림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화단 50m의 길이에 1열로 생울타리(H1.2×W0.4)를 만들려면 해당 규격의 수목이 최소한 얼마나 필요한가?

  1. 42주
  2. 125주
  3. 200주
  4. 600주
(정답률: 71%)
  • 생울타리의 길이는 50m이고, 폭은 0.4m이므로 필요한 울타리의 개수는 50 ÷ 0.4 = 125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5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제시된 색 중 같은 면적에 적용했을 경우 가장 좁아 보이는 색은?

  1. 옅은 하늘색
  2. 선명한 분홍색
  3. 밝은 노란 회색
  4. 진한 파랑
(정답률: 83%)
  • 가장 좁아 보이는 색은 색의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입니다. "진한 파랑"은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으로, 면적이 작아도 강렬한 인상을 줍니다. 따라서 같은 면적에 적용했을 경우 가장 좁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도면의 작도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면은 될 수 있는 한 간단히 하고, 중복을 피한다.
  2. 도면은 그 길이 방향을 위아래 방향으로 놓은 위치를 정위치로 한다.
  3. 사용 척도는 대상물의 크기, 도형의 복잡성 등을 고려, 그림이 명료성을 갖도록 선정한다.
  4. 표제란을 보는 방향은 통상적으로 도면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5%)
  • "도면은 그 길이 방향을 위아래 방향으로 놓은 위치를 정위치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도면의 길이 방향을 정하는 것은 도면 작성자의 판단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면의 길이 방향은 작성자가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중국 조경의 시대별 연결이 옳은 것은?

  1. 명 - 이화원(颐和园)
  2. 진 - 화림원(華林園)
  3. 송 - 만세산(萬歲⼭)
  4. 명 - 태액지(太液池)
(정답률: 65%)
  • 중국 조경의 시대별 연결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명 - 이화원(颐和园)
    - 진 - 화림원(華林園)
    - 송 - 만세산(萬歲⼭)
    - 명 - 태액지(太液池)

    송 시대에는 만세산이라는 산을 중심으로 한 조경이 유행했습니다. 이는 산과 물, 식물 등을 조화롭게 배치하여 자연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만세산은 송 황제가 건립한 만세전(萬歲殿)과 연결되어 있으며, 황제의 궁중에서 즐겨 찾는 장소였습니다. 이후 명 시대에는 이화원과 태액지 등 다양한 조경 양식이 등장하게 됩니다.
  • 한나라 상림원 태액지원 진시대 현인궁 당시대 온천,대명,장안,구성궁 송시대 만세산 창량정 원시대 사자림. 명 졸정원 작원
    청시대 원명원이궁 만수산이궁 피서산장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배치도에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1. 축척
  2. 건물의 위치
  3. 대지 경계선
  4. 수목 줄기의 형태
(정답률: 89%)
  • 배치도는 건물의 위치와 대지 경계선을 표시해야 하지만, 수목 줄기의 형태는 배치도에서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입니다. 이는 수목의 줄기 형태는 건축물과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식별성이 높은 지형이나 시설을 지칭하는 것은?

  1. 비스타(vista)
  2. 캐스케이드(cascade)
  3. 랜드마크(landmark)
  4. 슈퍼그래픽(super graphic)
(정답률: 89%)
  • 랜드마크는 지리적으로 식별성이 높은 건물, 구조물, 지형 등을 지칭하는 용어로, 특정 지역이나 도시의 대표적인 특징이 되는 것들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비스타, 캐스케이드, 슈퍼그래픽과는 달리, 랜드마크는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존재로서 식별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보기]의 설명은 어느 시대의 정원에 관한 것인가?

  1. 조선
  2. 백제
  3. 고려
  4. 통일신라
(정답률: 81%)
  • 보기에서 나타난 정원은 "고려" 시대의 정원으로, 이는 보기에 나타난 건축물과 정원의 구성 요소들이 고려시대의 건축양식과 정원 조성 기법과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이탈리아 바로크 정원 양식의 특징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미원(maze)
  2. 토피아리
  3. 다양한 물의 기교
  4. 타일포장
(정답률: 65%)
  • 이탈리아 바로크 정원 양식은 대개 대칭적인 구조와 대형 수조, 분수, 조각상 등 다양한 물의 기교를 특징으로 합니다. 그러나 타일포장은 이탈리아 바로크 정원 양식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해가 지면서 주위가 어둑해질 무렵 낮에 화사하게 보이던 빨간 꽃이 거무스름해져 보이고, 청록색 물체가 밝게 보인다. 이러한 원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명순응
  2. 면적 효과
  3. 색의 항상성
  4. 푸르키니에 현상
(정답률: 73%)
  • 해가 지면서 주위가 어둑해지면 빛의 성질이 변화하여 빨간색과 노란색의 파장이 흡수되고, 파란색과 초록색의 파장이 반사되어 더욱 강조되어 보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푸르키니에 현상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어린이들의 물놀이를 위해서 만든 얕은 물 놀이터는?

  1. 도섭지
  2. 포석지
  3. 폭포지
  4. 천수지
(정답률: 82%)
  • 어린이들이 물놀이를 하기에 적합한 얕은 물놀이터는 "도섭지"입니다. "도섭지"는 얕은 물이 모여 있는 곳으로, 어린이들이 물놀이를 하기에 안전하고 적합한 깊이입니다. "포석지"는 작은 돌이 많이 있는 곳을 뜻하며, 미끄러움이나 다칠 위험이 있습니다. "폭포지"는 물이 급격하게 내리는 곳으로 위험합니다. "천수지"는 높은 곳에서 물이 내리는 곳으로, 높이에서 물놀이를 하기에는 위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먼셀 표색계의 색채 표기법으로 옳은 것은?

  1. 2040-Y70R
  2. 5R 4/14
  3. 2:R-4.5-9s
  4. 221c
(정답률: 79%)
  • 먼셀 표색계는 색채를 표기할 때 색상, 채도, 명도 순으로 표기합니다.

    - "2040-Y70R"은 색상이 "Y70R"인데, 이는 노란색과 붉은색이 혼합된 색상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채도와 명도는 표기되어 있지 않으므로 완전한 색채 표기법이 아닙니다.
    - "2:R-4.5-9s"는 먼셀 표색계가 아닌 다른 색채 표기법으로, 이 역시 완전한 색채 표기법이 아닙니다.
    - "221c"는 색채 표기법이 아니라 다른 코드 체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5R 4/14"가 옳은 답입니다. 여기서 "5R"은 색상을 나타내며, 빨간색과 노란색이 혼합된 색상을 의미합니다. "4/14"는 채도와 명도를 나타내며, 채도는 4, 명도는 14를 의미합니다. 이렇게 색상, 채도, 명도가 모두 표기되어 있으므로 완전한 색채 표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조선시대 창덕궁의 후원(비원, 秘苑)을 가리키던 용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북원(北園)
  2. 후원(後苑)
  3. 금원(禁園)
  4. 유원(留園)
(정답률: 70%)
  • 유원은 창덕궁의 후원 중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留(머무르다)"이라는 의미를 가진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서양의 대표적인 조경양식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이탈리아 - 평면기하학식
  2. 영국 - 자연풍경식
  3. 프랑스 - 노단건축식
  4. 독일 - 중정식
(정답률: 87%)
  • 영국의 조경양식은 자연풍경을 모방하며, 자연스러운 모습을 유지하면서도 조화롭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는 영국의 지리적 특성과 문화적 배경에 기인한 것으로, 영국의 공원과 정원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인간의 손길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영국의 조경양식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관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양식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재료

16. 방사(防砂)ㆍ방진(防塵)용 수목의 대표적인 특징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잎이 두껍고 함수량이 많으며 넓은 잎을 가진 치밀한 상록수여야 한다.
  2. 지엽이 밀생한 상록수이며 맹아력이 강하고 관리가 용이한 수목이어야 한다.
  3. 사람의 머리가 닿지 않을 정도의 지하고를 유지하고 겨울에는 낙엽되는 수목이어야 한다.
  4. 빠른 생장력과 뿌리뻗음이 깊고, 지상부가 무성하면서 지엽이 바람에 상하지 않는 수목이어야 한다.
(정답률: 59%)
  • 방사(防砂)ㆍ방진(防塵)용 수목은 바람이나 모래 등의 자연적인 요인으로부터 토양을 보호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빠른 생장력과 뿌리뻗음이 깊고, 지상부가 무성하면서 지엽이 바람에 상하지 않는 수목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수목은 토양을 고정시키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그림과 같은 형태를 보이는 수목은?

  1. 일본목련
  2. 복자기
  3. 팔손이
  4. 물푸레나무
(정답률: 77%)
  • 정답인 "복자기"는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가지가 매우 많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복자기가 다른 나무들보다 더욱 강한 바람에도 굳건하게 서있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복자기는 잎이 작고 빽빽하게 붙어 있어서 물방울이 잎사귀에 머무르기 쉽고, 이로 인해 물을 잘 저장할 수 있어 건조한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목재의 역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옹이로 인하여 인장강도는 감소한다.
  2. 비중이 증가하면 탄성은 감소한다.
  3.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이 감소하면 강도가 증대된다.
  4. 일반적으로 응력의 방향이 섬유방향에 평행한 경우 강도(전단강도 제외)가 최대가 된다.
(정답률: 52%)
  • "비중이 증가하면 탄성은 감소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비중이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탄성도 증가합니다. 이유는 비중이 증가하면 물질 내부의 분자 간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분자 간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이는 탄성도 증가로 이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그림은 어떤 돌쌓기 방법인가?

  1. 층지어쌓기
  2. 허튼층쌓기
  3. 귀갑무늬쌓기
  4. 마름돌 바른층쌓기
(정답률: 76%)
  • 정답은 "허튼층쌓기"입니다. 이유는 돌이 겹치지 않고 불규칙하게 쌓여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은 벽돌을 토막 또는 잘라서 시공에 사용할 때 벽돌의 형상이다. 다음 중 반토막 벽돌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90%)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벽돌이 반으로 잘려있기 때문에 반토막 벽돌에 해당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정상적인 형태의 벽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목재의 치수 표시방법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제재 치수
  2. 제재 정치수
  3. 중간 치수
  4. 마무리 치수
(정답률: 64%)
  • 중간 치수는 목재의 가로, 세로, 높이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제재된 목재를 가공하여 마무리된 최종 치수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맞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제재 치수, 제재 정치수, 마무리 치수는 모두 목재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이지만, 중간 치수는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주택 정원에 식재하여 여름에 꽃을 감상할 수 있는 수종은?

  1. 식나무
  2. 능소화
  3. 진달래
  4. 수수꽃다리
(정답률: 82%)
  • 능소화는 여름에 꽃을 피우는 수종으로, 주택 정원에 식재하여 여름에 꽃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봄이나 가을에 꽃을 피우는 수종이므로 여름에 꽃을 감상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9월 중순 ~ 10월 중순에 성숙된 열매색이 흑색인 것은?

  1. 마가목
  2. 살구나무
  3. 남천
  4. 생강나무
(정답률: 63%)
  • 정답: 생강나무

    이유: 생강나무는 9월 중순부터 10월 중순까지 성숙하며, 열매색이 흑색이다. 마가목은 열매가 없고, 살구나무와 남천은 열매색이 노란색이거나 빨간색이다. 따라서 생강나무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시멘트의 저장과 관련된 설명 중 ( )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13
  2. 6
  3. 방습
  4. 50℃
(정답률: 67%)
  • 시멘트는 습기와 고온을 피해 저장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적절한 저장 온도는 13℃에서 50℃ 사이이며, 상대습도는 50%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습"이 아닌 "6"입니다. "6"은 저장 온도 범위 내에 해당하는 숫자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구조용 경량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경량골재는 크게 인공, 천연 및 부산경량골재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중 인공경량골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화산재
  2. 팽창혈암
  3. 팽창점토
  4. 소성플라이애쉬
(정답률: 76%)
  • 화산재는 천연경량골재에 해당되며, 인공경량골재는 팽창혈암, 팽창점토, 소성플라이애쉬로 구성된다. 따라서 정답은 "화산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시멘트가 풍화작용과 탄산화 작용을 받은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고온으로 가열하여 시멘트 중량의 감소율을 나타내는 것은?

  1. 경화
  2. 위응결
  3. 강열감량
  4. 수화반응
(정답률: 78%)
  • 강열감량은 시멘트가 고온으로 가열될 때 중량이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이는 시멘트가 풍화작용과 탄산화 작용을 받은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작용이 일어나면 시멘트 내부의 화학물질 구조가 파괴되어 중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강열감량이 크다면 시멘트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건축물 등의 구조물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재료가 외력을 받았을 때 작은 변형만 나타내도 파괴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취성
  2. 강성
  3. 인성
  4. 전성
(정답률: 81%)
  • 재료가 외력을 받았을 때 작은 변형만으로도 파괴되는 현상을 취성이라고 합니다. 이는 재료의 구조가 유연하지 않고, 외력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취성 재료는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며, 강성이나 인성 등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안료를 가하지 않아 목재의 무늬를 아름답게 낼 수 있는 것은?

  1. 유성페인트
  2. 에나멜페인트
  3. 클리어래커
  4. 수성페인트
(정답률: 73%)
  • 클리어래커는 투명한 페인트로, 목재의 무늬를 가리지 않으면서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안료를 가하지 않아도 목재의 무늬를 아름답게 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장비는?

  1. 윤척
  2. 측고봉
  3. 하고측고기
  4. 순토측고기
(정답률: 55%)
  • 이 장비는 건축 현장에서 사용되는 측량 장비 중 하나인데, 순방향과 역방향으로 측정이 가능한 순토측고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측정 방향이나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조경에 활용되는 석질재료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열전도율이 높다.
  2. 가격이 싸다.
  3. 가공하기 쉽다.
  4. 내구성이 크다.
(정답률: 76%)
  • 조경에 활용되는 석질재료는 자연석으로, 내구성이 크다는 것은 자연석이 오랜 시간 동안 자연환경에서 형성되어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경에서 사용되는 석질재료는 오랜 기간 사용해도 변형이 적고,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용기에 채운 골재절대용적의 그 용기 용적에 대한 백분율로 단위질량을 밀도로 나눈 값의 백분율이 의미하는 것은?

  1. 골재의 실적률
  2. 골재의 입도
  3. 골재의 조립률
  4. 골재의 유효습수율
(정답률: 62%)
  • 골재의 실적률은 골재가 차지하는 실제 공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즉, 용기에 채운 골재의 절대용적 대비 실제 용적의 비율을 밀도로 나눈 값의 백분율입니다. 따라서 골재의 실적률은 골재가 사용되는 공간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며, 골재의 입도, 조립률, 유효습수율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보기]의 조건을 활용한 골재의 공극률 계산식은?

(정답률: 57%)
  • 골재의 공극률은 골재의 부피 중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의 비율이므로, 골재의 부피와 공기의 부피를 구한 후 비율을 계산하면 된다.

    골재의 부피는 길이 x 너비 x 높이로 구할 수 있으며, 공기의 부피는 전체 부피에서 골재의 부피를 뺀 값이다.

    따라서, 골재의 공극률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유동화제에 의한 유동화 콘크리트의 슬럼프 증가량의 표준 값으로 적당한 것은?

  1. 2 ~ 5㎝
  2. 5 ~ 8㎝
  3. 8 ~ 11㎝
  4. 11 ~ 14㎝
(정답률: 65%)
  • 유동화제는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높여주는 첨가제입니다. 유동화제를 첨가하면 콘크리트의 슬럼프(떨어지는 정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그러나 슬럼프가 너무 높아지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적절한 범위를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유동화제에 의한 유동화 콘크리트의 슬럼프 증가량의 표준 값으로는 5 ~ 8㎝가 적당합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떨어지거나 건축물의 안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겨울철에도 노지에서 월동할 수 있는 상록 다년생 식물은?

  1. 옥잠화
  2. 샐비어
  3. 꽃잔디
  4. 맥문동
(정답률: 83%)
  • 맥문동은 겨울철에도 노지에서 월동할 수 있는 상록 다년생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른 지방에서 자생하는 식물을 도입한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재배식물
  2. 귀화식물
  3. 외국식물
  4. 외래식물
(정답률: 73%)
  • 외래식물은 다른 지역에서 유입된 식물로, 원래 그 지역에 존재하지 않았던 식물을 말합니다. 따라서 "외국식물"이나 "귀화식물"이라는 용어보다는 "외래식물"이 더 적합합니다. "재배식물"은 특정 목적으로 인간이 재배한 식물을 말하므로, 외래식물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 시공 및 관리

36. 수목을 이식할 때 고려사항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지상부의 지엽을 전정해 준다.
  2. 뿌리분의 손상이 없도록 주의하여 이식한다.
  3. 굵은 뿌리의 자른 부위는 방부처리 하여 부패를 방지한다.
  4. 운반이 용이하게 뿌리분은 기준보다 가능한 한 작게 하여 무게를 줄인다.
(정답률: 89%)
  • 운반이 용이하게 뿌리분을 작게 하여 무게를 줄이는 것은 이식 시에 수목을 옮길 때 뿌리 부분이 무거워서 운반이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식 시에는 뿌리분을 가능한 한 작게 하여 운반이 용이하도록 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수목의 생존과 성장을 위한 고려사항으로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콘크리트 시공연도와 직접 관계가 없는 것은?

  1. 물 – 시멘트비
  2. 재료의 분리
  3. 골재의 조립도
  4. 물의 정도 함유량
(정답률: 58%)
  • 콘크리트 시공연도는 시공 기술과 관련된 것이지만, 재료의 분리는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재료들이 서로 분리되는 현상으로, 시공 기술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재료의 분리가 콘크리트 시공연도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과일나무가 늙어서 꽃 맺음이 나빠지는 경우에 실시하는 전정은 어느 것인가?

  1. 생리를 조절하는 전정
  2. 생장을 돕기 위한 전정
  3. 생장을 억제하는 전정
  4. 세력을 갱신하는 전정
(정답률: 68%)
  • 과일나무가 늙어서 꽃 맺음이 나빠지는 경우에는 세력을 갱신하는 전정을 실시합니다. 이는 나무의 생산력을 유지하기 위해 늙은 가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가지를 자라게 하여 세력을 갱신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나무의 생산성을 유지하고 열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콘크리트의 배합의 종류로 틀린 것은?

  1. 시방배합
  2. 현장배합
  3. 시공배합
  4. 질량배합
(정답률: 44%)
  • 시공배합은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현장에서 필요한 양만큼의 재료를 직접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공장에서 미리 정해진 비율로 혼합하여 현장으로 운반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시공배합은 배합의 종류가 아니며, 다른 보기들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소나무 순지르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매년 5~6월경에 실시한다.
  2. 중심 순만 남기고 모두 자른다.
  3. 새순이 5~10㎝의 길이로 자랐을 때 실시한다.
  4. 남기는 순도 힘이 지나칠 경우 1/2~1/3 정도로 자른다.
(정답률: 79%)
  • "중심 순만 남기고 모두 자른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소나무 순지르기는 적정한 순의 길이를 남기고 나머지 순을 자르는 것으로, 중심 순만 남기는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중심 순만 남기면 나무의 생장이 불균형하게 되어 나무가 휘어지거나 굽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정한 순의 길이를 남기고 나머지 순을 자르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코흐의 4원칙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미생물은 반드시 환부에 존재해야 한다.
  2. 미생물은 분리되어 배지상에서 순수 배양되어야 한다.
  3. 순수 배양한 미생물은 접종하여 동일한 병이 발생되어야 한다.
  4. 발병한 피해부에서 접종에 사용한 미생물과 동일한 성질을 가진 미생물이 반드시 재분리 될 필요는 없다.
(정답률: 81%)
  • 발병한 피해부에서 접종에 사용한 미생물과 동일한 성질을 가진 미생물이 반드시 재분리 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잘못된 설명입니다. 이는 코흐의 4원칙 중 "미생물은 분리되어 배지상에서 순수 배양되어야 한다"와 "순수 배양한 미생물은 접종하여 동일한 병이 발생되어야 한다"와 모순됩니다. 즉, 동일한 성질을 가진 미생물이 재분리되지 않으면 순수 배양과 접종에 대한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토양에 따른 경도와 식물생육의 관계를 나타낼 때 나지화가 시작되는 값(㎏f/cm2)은? (단, 지표면의 경도는 Yamanaka 경도계로 측정한 것으로 한다.)

  1. 9.4 이상
  2. 5.8 이상
  3. 13.0 이상
  4. 3.6 이상
(정답률: 67%)
  • 토양의 경도가 높을수록 토양 입자 간의 결합력이 강해져서 물과 영양분의 이동이 어려워지므로, 식물의 뿌리가 성장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나지화가 시작되는 값은 경도가 낮을수록 작아지고, 경도가 높을수록 커집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나지화가 시작되는 값이 가장 높은 것은 "13.0 이상" 이고, 가장 낮은 것은 "3.6 이상"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8 이상"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수목병이 아닌 것은?

  1. 벚나무 빗자루병
  2. 붉나무 빗자루병
  3. 오동나무 빗자루병
  4. 대추나무 빗자루병
(정답률: 55%)
  • 파이토플라스마는 벚나무, 붉나무, 오동나무, 대추나무 등 다양한 수목에 감염될 수 있지만, 벚나무 빗자루병은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으로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질병이 아닙니다. 따라서, "벚나무 빗자루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대목을 대립종자의 유경이나 유근을 사용하여 접목하는 방법으로 접목한 뒤에는 관계습도를 높게 유지하며, 정식 후 근두암종병의 발병율이 높은 단점을 갖는 접목법은?

  1. 아접법
  2. 유대접
  3. 호접법
  4. 교접법
(정답률: 62%)
  • 이 접목법은 대립종자의 유경이나 유근을 사용하여 접목한 뒤에도 관계습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며, 근두암종병의 발병율이 낮은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 접목법은 "유대접"이라고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공사의 설계 및 시공을 의뢰하는 사람을 뜻하는 용어는?

  1. 설계자
  2. 시공자
  3. 발주자
  4. 감독자
(정답률: 86%)
  • 공사를 진행하기 위해 설계 및 시공을 의뢰하는 주체를 발주자라고 합니다. 발주자는 공사의 계획 및 목적을 제시하고, 설계자와 시공자를 선정하여 공사를 진행합니다. 또한 공사의 진행 상황을 감독하고, 완료 후에는 최종적으로 완료된 결과물을 검수하여 승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어른과 어린이 겸용벤치 설치 시 앉음면(좌면, 坐⾯)의 적당한 높이는?

  1. 25 ~ 30㎝
  2. 35 ~ 40㎝
  3. 45 ~ 50㎝
  4. 55 ~ 60㎝
(정답률: 75%)
  • 어른과 어린이 겸용벤치는 어린이와 어른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벤치이므로, 앉음면의 높이는 어린이와 어른 모두에게 적절한 높이여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어린이의 앉음면 높이는 25 ~ 30㎝, 어른의 앉음면 높이는 45 ~ 50㎝ 정도이므로, 어린이와 어른 모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적당한 높이는 이들의 중간인 35 ~ 40㎝ 정도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5 ~ 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건설재료의 할증률이 틀린 것은?

  1. 붉은 벽돌 : 3%
  2. 이형철근 : 5%
  3. 조경용 수목 : 10%
  4. 석재판붙임용재(정형돌) : 10%
(정답률: 63%)
  • 이형철근은 최근에는 공급이 많아져서 가격이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할증률이 다른 건설재료들보다 낮게 책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식재작업의 준비단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수목 및 양생제 반입 여부를 재확인한다.
  2. 공정표 및 시공도면, 시방서 등을 검토한다.
  3. 빠른 식재를 위한 식재지역의 사전조사는 생략한다.
  4. 수목의 배식, 규격, 지하 매설물 등을 고려하여 식재 위치를 결정한다.
(정답률: 87%)
  • 빠른 식재를 위한 식재지역의 사전조사는 준비단계에 포함되지 않는 이유는, 이는 이미 결정된 식재지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준비단계가 아닌, 이전 단계에서 이미 결정되어야 하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콘크리트 포장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보조 기층을 튼튼히 해서 부동침하를 막아야한다.
  2. 두께는 10㎝ 이상으로 하고, 철근이나 용접철망을 넣어 보강한다.
  3. 물ㆍ시멘트의 비율은 60% 이내, 슬럼프의 최대값은 5㎝ 이상으로 한다.
  4.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ㆍ 팽창에 의한 파손 방지를 위해 신축줄눈과 수축줄눈을 설치한다.
(정답률: 74%)
  • 물ㆍ시멘트의 비율은 60% 이내, 슬럼프의 최대값은 5㎝ 이상으로 한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물과 시멘트의 비율이 적절하지 않으면 강도가 낮아지고, 슬럼프가 작으면 콘크리트가 충분히 밀착되지 않아 내구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켜야 안정적인 콘크리트 포장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현대적인 공사관리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품질과 공기는 정비례한다.
  2. 공기를 서두르면 원가가 싸게 된다.
  3. 경제속도에 맞는 품질이 확보 되어야 한다.
  4. 원가가 싸게 되도록 하는 것이 공사관리의 목적이다.
(정답률: 77%)
  • 경제가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공사를 빠르게 진행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속도를 유지하면서도 품질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고, 더 나쁜 경우에는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제속도에 맞는 품질을 확보하는 것이 현대적인 공사관리의 중요한 목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관리해야 할 수경 시설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폭포
  2. 분수
  3. 연못
  4. 덱(deck)
(정답률: 79%)
  • 덱(deck)은 수경 시설물이 아닙니다. 덱은 일반적으로 나무나 인공 재질로 만들어진 바닥이나 지붕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수경 시설물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덱은 관리해야 할 수경 시설물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아황산가스에 민감하지 않은 수종은?

  1. 소나무
  2. 겹벚나무
  3. 단풍나무
  4. 화백
(정답률: 56%)
  • 화백은 아황산가스에 민감하지 않은 수종 중 하나입니다. 이는 화백이 아황산가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화백은 잎의 표면에 있는 미세한 구멍인 기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이 공기를 잎 내부의 엽록소와 결합시켜 산소를 생산합니다. 이 과정에서 아황산가스도 함께 제거됩니다. 따라서 화백은 대기오염에 강한 수종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입찰계약 순서 중 옳은 것은?

  1. 입찰공고→낙찰→계약→개찰→입찰→현장설명
  2. 입찰공고→현장설명→입찰→계약→낙찰→개찰
  3. 입찰공고→현장설명→입찰→개찰→낙찰→계약
  4. 입찰공고→계약→낙찰→개찰→입찰→현장설명
(정답률: 85%)
  • 입찰계약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입찰공고→현장설명→입찰→개찰→낙찰→계약".

    입찰공고는 입찰 참여자들에게 입찰 공고를 알리는 것이며, 현장설명은 입찰 참여자들이 현장을 방문하여 입찰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입니다.

    입찰은 입찰 참여자들이 입찰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는 것이며, 개찰은 입찰서를 공개하여 내용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낙찰은 입찰 참여자 중에서 계약을 수주한 업체를 선정하는 것이며, 계약은 수주한 업체와 계약서를 체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입찰공고→현장설명→입찰→개찰→낙찰→계약"이 옳은 입찰계약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조경 목재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대책 중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통풍을 좋게 한다.
  2. 빗물 등의 고임을 방지한다.
  3. 건조되기 쉬운 간단한 구조로 한다.
  4. 적당한 20~40℃온도와 80% 이상의 습도를 유지시킨다.
(정답률: 78%)
  • 적당한 20~40℃온도와 80% 이상의 습도를 유지시키는 것은 목재가 건조하거나 습기가 많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목재의 변형이나 부식을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목재는 과도한 건조나 습기에 노출되면 변형이나 균열,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토양 및 수목에 양분을 처리하는 방법의 특징 설명이 틀린 것은?

  1. 액비관주는 양분흡수가 빠르다.
  2. 수간주입은 나무에 손상이 생긴다.
  3. 엽면시비는 뿌리 발육 불량 지역에 효과적이다.
  4. 천공시비는 비료 과다투입에 따른 염류장해발생 가능성이 없다.
(정답률: 72%)
  • 천공시비는 비료를 작은 구멍을 통해 지면에 흩뿌리는 방식으로 처리하는데, 이 방식은 비료가 지면에 과다투입되어 염류장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천공시비 방식으로 비료를 처리할 때 비료가 지면에 집중적으로 투입되는 것이 아니라 균일하게 분산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비탈면의 녹화와 조경에 사용되는 식물의 요건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적응력이 큰 식물
  2. 생장이 빠른 식물
  3. 시비 요구도가 큰 식물
  4. 파종과 식재시기의 폭이 넓은 식물
(정답률: 82%)
  • 비탈면은 토양이 헐거운 편이고 물이 잘 흐르기 때문에, 식물이 뿌리를 깊게 내리지 못하고 영양분과 물을 잘 받지 못하는 환경입니다. 따라서 시비 요구도가 큰 식물은 비탈면에서 잘 자라지 않습니다. 시비 요구도가 큰 식물은 많은 양의 영양분과 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탈면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원가계산에 의한 공사비의 구성에서 『경비』에 해당하지 않는 항목은?

  1. 안전관리비
  2. 운반비
  3. 가설비
  4. 노무비
(정답률: 64%)
  • 노무비는 공사 진행에 필요한 인력의 임금과 급여를 포함하는 항목이지만, 경비는 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비용을 포함하는 항목입니다. 따라서 노무비는 경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잔디깎기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잡초 방제
  2. 이용 편리 도모
  3. 병충해 방지
  4. 잔디의 분열억제
(정답률: 77%)
  • 잔디의 분열억제는 잔디를 자라지 못하게 하여 잔디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잔디의 성장을 방해하므로 잔디깎기의 목적으로는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측량의 3대 요소가 아닌 것은?

  1. 각측량
  2. 거리측량
  3. 세부측량
  4. 고저측량
(정답률: 66%)
  • 세부측량은 측량의 3대 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측량의 3대 요소는 각측량, 거리측량, 고저측량입니다. 각측량은 방향을 측정하는 것이고, 거리측량은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며, 고저측량은 높이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반면에 세부측량은 이러한 측량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부분을 측정하는 것으로, 측량의 3대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경사도(勾配, slope)가 15%인 도로면상의 경사거리 135m에 대한 수평거리는?

  1. 130.0m
  2. 132.0m
  3. 133.5m
  4. 136.5m
(정답률: 57%)
  • 경사도가 15%이므로, 100m 당 상승하는 거리는 15m입니다. 따라서 135m에 대한 상승 거리는 135m x 0.15 = 20.25m입니다. 이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수평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수평거리 = √(135² - 20.25²) ≈ 133.5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33.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