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10-05)

위험물기능사
(2003-10-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재 예방과 소화방법

1. 이산화탄소(CO2)의 주된 소화 효과는?

  1. 가연물 제거
  2. 인화점 인하
  3. 산소공급 차단
  4. 점화원 파괴
(정답률: 98%)
  • 이산화탄소는 산소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생성합니다. 이로 인해 화재 현장에서 산소 공급이 차단되어 화재가 진압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는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인산암모늄을 방염성 약품으로 착색 시 색깔은?

  1. 보라색
  2. 담홍색
  3. 검은색
  4. 청자색
(정답률: 69%)
  • 인산암모늄은 방염성 약품으로 사용될 때 담홍색으로 착색됩니다. 이는 인산암모늄 분자 내부의 화학 결합 구조와 분자의 전자 수준 구조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러한 구조는 분자가 빛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방식을 결정하며, 이로 인해 담홍색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산· 알칼리 소화약제의 화학반응식으로 옳은 것은?

  1. 2NaHCO3 + H2SO4 → Na2SO4 + 2CO2 + 2H2O
  2. 2CCL4 + CO2 → 2COCL2
  3. 2K + 2H2O → 2KOH + H2
  4. 2Na + 2C2H5OH → 2C2H5ONa + H2
(정답률: 67%)
  • 옳은 화학반응식은 "2NaHCO3 + H2SO4 → Na2SO4 + 2CO2 + 2H2O"입니다. 이 반응식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3)와 황산(H2SO4)이 반응하여 황산나트륨(Na2SO4)과 이산화탄소(CO2) 그리고 물(H2O)이 생성되는 반응입니다. 이 반응은 산과 알칼리의 중화반응 중 하나로, 황산은 강한 산이며 탄산수소나트륨은 약한 알칼리입니다. 따라서 황산과 탄산수소나트륨이 반응하면 중화반응이 일어나며, 생성된 황산나트륨은 용해성이 높아 물에 잘 녹아나며, 이산화탄소는 기체로 방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소화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냉각소화방법 : 물을 뿌려서 온도를 저하시키는 방법
  2. 질식소화방법 : 불연성 포말로 연소물을 덮어 씌우는 방법
  3. 제거소화법 : 가연물을 제거하여 소화시키는 방법
  4. 희석소화법 : 산알칼리를 중화시켜 소화시키는 방법
(정답률: 61%)
  • 희석소화법은 산 또는 알칼리를 중화시켜 소화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물로 희석시켜 소화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희석소화법 : 산알칼리를 중화시켜 소화시키는 방법"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전역방출방식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분사헤드의 방사압력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저압식 제외)

  1. 21kg/cm2 이상
  2. 18kg/cm2 이상
  3. 15kg/cm2 이상
  4. 12kg/cm2 이상
(정답률: 38%)
  • 전역방출방식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분사헤드에서 이산화탄소를 높은 압력으로 분사하여 불을 끄는 방식입니다. 이 때, 분사헤드의 방사압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이산화탄소가 충분히 분사되지 않아 화재를 진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서는 분사헤드의 방사압력이 21kg/cm2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위험물 제조소의 채광 조명 및 환기 설비의 설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채광 설비는 "불연재료"를 사용하고 연소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 할 것
  2. 채광 면적은 최소로 할 것
  3. 환기는 자연배기 방식으로 할 것
  4. 급기구는 높은 곳에 설치할 것
(정답률: 45%)
  • 급기구는 높은 곳에 설치할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급기구가 높은 곳에 설치되면 화재 발생 시 급기구를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급기구는 쉽게 접근 가능한 곳에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가연성가스에 대한 적응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소화설비는?

  1. 포소화설비
  2. 이산화탄소소화설비
  3. 인산염류분말소화기
  4. 할로겐화합물소화기
(정답률: 43%)
  • 포소화설비는 가연성가스에 대한 적응성이 없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소화설비입니다. 포소화설비는 일반적으로 공기 중의 산소를 이용하여 불을 끄는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가연성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에서는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가연성가스가 존재하는 장소에서는 다른 소화설비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위험물의 옥외탱크저장소를 동일한 방유제안에 2개 이상 인접하여 설치하는 경우 그 인접하는 방향의 보유공지의 너비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제 6류 위험물 제외)

  1. 1.5m 이상
  2. 2.5m 이상
  3. 3m 이상
  4. 4m 이상
(정답률: 30%)
  • 인접한 옥외탱크저장소 사이의 보유공지 너비는 인접한 방향의 최소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위험물이 있는 경우, 인접한 옥외탱크저장소 사이의 최소 거리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인접한 옥외탱크저장소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방사선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인접한 옥외탱크저장소 사이의 보유공지 너비는 최소 3m 이상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물분무소화설비의 배수설비를 설치하는 차고 또는 주차장에 차량이 주차하는 장소의 적당한 곳에 높이 몇 ㎝ 이상의 경계턱으로 배수구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5 ㎝ 이상
  2. 10 ㎝ 이상
  3. 15 ㎝ 이상
  4. 20 ㎝ 이상
(정답률: 32%)
  • 물분무소화설비는 화재 발생 시 물을 분무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장치이다. 이 때 분무된 물은 바닥면을 따라 흐르게 되는데, 이를 적절히 배수하기 위해 배수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차고나 주차장은 차량이 주차되는 공간으로 바닥면이 평평하지 않고 경사가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경사면을 따라 물이 흐르면서 배수구로 흐르지 않고 차량 주차 공간에 물이 머무르게 된다. 이는 차량 주차 공간의 안전을 위해 위험하다. 따라서 경계턱을 설치하여 물이 차량 주차 공간으로 흐르지 않도록 방지해야 한다. 이 때 경계턱의 높이는 10㎝ 이상이어야 하며, 이는 물이 차량 주차 공간으로 흐르지 않도록 충분한 높이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소화기구를 설치하려 할 때 바닥으로부터의 높이의 기준은? (단, 자동확산식 소화용구를 제외한다.)

  1. 2m 이상
  2. 1.5m 이하
  3. 1m 이하
  4. 0.5m 이상
(정답률: 48%)
  • 소화기구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1.5m 이하인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2m 이상의 높이에 설치하면 사용하기 어렵고 위험할 수 있으며, 1m 이하나 0.5m 이상의 높이에 설치하면 소화기구가 눈에 잘 띄지 않아 발견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1.5m 이하인 것이 적절한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간이소화제인 마른모래의 보관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연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을 것
  2. 부속기구로 삽, 양동이를 비치할 것
  3. 포대 또는 반절드럼에 넣어 보관할 것
  4. 충분한 습기를 함유할 것
(정답률: 80%)
  • 마른모래는 화재 위험이 있기 때문에 가연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아야 합니다. 부속기구로 삽, 양동이를 비치하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해집니다. 포대 또는 반절드럼에 넣어 보관하는 것도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하지만 마른모래는 소화 작용을 위해 충분한 습기를 함유해야 합니다. 습기가 부족하면 소화 작용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충분한 습기를 함유할 것"이 옳지 않은 보관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할로겐화 탄화수소의 할론번호가 잘못된 것은?

  1. CCl4 – 1040
  2. CH2ClBr - 1011
  3. CF3Br – 1301
  4. C2F4Br2 - 1202
(정답률: 65%)
  • 할로겐화 탄화수소의 할론번호는 해당 화합물의 분자 구조와 결합된 할로겐 원자의 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C2F4Br2의 경우, 분자 구조상 브롬 원자가 2개 결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할론번호가 1202가 됩니다. 따라서, C2F4Br2 - 1202가 올바른 할론번호이며, 다른 보기들은 잘못된 할론번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위험물의 혼촉발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혼촉발화의 위험성이 있는 물질을 격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 중 화재위험성이 가장 낮은 조합은?

  1. 제3류 위험물 + 제5류 위험물
  2. 제4류 위험물 + 제5류 위험물
  3. 제2류 위험물 + 제3류 위험물
  4. 제6류 위험물 + 제2류 위험물
(정답률: 60%)
  • 제4류 위험물은 인화성이 없으며, 제5류 위험물은 산화성이 없기 때문에 두 물질을 혼합해도 화재위험이 적다. 따라서 "제4류 위험물 + 제5류 위험물" 조합이 화재위험이 가장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자동화재 탐지설비중 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는 지구음향장치와 소방 대상물과의 설치 거리는?

  1. 10m 이하
  2. 15m 이하
  3. 20m 이하
  4. 25m 이하
(정답률: 19%)
  • 자동화재 탐지설비는 화재 발생 시 조기 경보 및 대처를 위해 설치되는 것이므로, 가능한 빠른 소방대응을 위해 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지구음향장치는 화재 발생 시 소리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역할을 하므로, 소방 대상물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경보가 늦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는 지구음향장치와 소방 대상물과의 설치 거리는 최대 25m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고체 가연성 물질의 연소 형태가 아닌 것은?

  1. 분해 연소
  2. 표면 연소
  3. 확산 연소
  4. 자기 연소
(정답률: 63%)
  • 고체 가연성 물질이 연소할 때, 분해 연소, 표면 연소, 자기 연소는 모두 연소 형태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확산 연소는 연소 형태가 아닙니다. 확산 연소는 연소체의 입자가 공기 중에서 확산되어 연소하는 것으로, 연소체가 공기 중에서 분산되어 연소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확산 연소는 고체 가연성 물질의 연소 형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 설치 시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할 수 있는 비상콘센트의 수는?

  1. 1개
  2. 2개 이하
  3. 5개 이하
  4. 10개 이하
(정답률: 12%)
  • 비상콘센트는 일반적으로 10A의 전류를 사용하므로, 전원회로의 안전을 위해 하나의 전용회로에는 10개 이하의 비상콘센트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를 초과하면 전원회로가 과부하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제 6류 위험물인 황산 6000kg을 저장하는 제조소의 소화설비의 소요 단위는?

  1. 8단위
  2. 6단위
  3. 4단위
  4. 2단위
(정답률: 39%)
  • 제 6류 위험물인 황산은 물과 반응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소화설비의 소요 단위는 물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황산 6000kg을 저장하는 제조소의 경우, 대부분의 소화설비는 물을 사용하므로, 소요 단위는 물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이 경우, 2단위가 적절한 단위이다. 2단위는 일반적으로 1000L의 물을 의미하며, 따라서 황산 6000kg을 저장하는 제조소의 소화설비는 최소 12000L의 물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제 3류 위험물 화재의 진압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부분 물에 의한 냉각소화는 불가능하다.
  2. K, Na 등은 특별한 소화수단이 없으므로 연소확대방지에 주력한다.
  3. 알킬알루미늄은 물과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하므로 주수소화는 좋지 않다.
  4. 인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포스핀가스가 발생하므로 마른모래로 피복소화한다.
(정답률: 48%)
  • 알킬알루미늄은 물과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물을 사용한 주수소화는 오히려 불을 더 크게 확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알킬알루미늄 화재의 경우에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서는 물 대신에 산소 차단제나 화재진압제 등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위험물 제조소의 피뢰설비는 지정수량의 얼마 이상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단, 제 6류 위험물은 제외한다.)

  1. 100배 이상
  2. 50배 이상
  3. 30배 이상
  4. 10배 이상
(정답률: 53%)
  • 위험물 제조소의 피뢰설비는 화재 등의 위험으로부터 시설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시설입니다. 따라서, 피뢰설비는 제조소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전기적 위험을 고려하여 설치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국내 기준인 '전기설비기준(전기안전관리법 시행규칙)'에서는 위험물 제조소의 피뢰설비 설치 기준으로 "10배 이상"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제조소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전기적 위험을 고려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옥외소화전설비 배관 호스의 구경은?

  1. 55mm
  2. 50mm
  3. 65mm
  4. 60mm
(정답률: 28%)
  • 옥외소화전설비 배관 호스의 구경은 65mm입니다. 이는 국내 소방법령에서 정한 기준이며, 소방차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호스의 구경은 65mm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위험물의 화학적 성질 및 취급

21. 질산칼륨(KNO3)의 일반적인 성질과 열분해에 관한 설명중 올바른 것은?

  1. 알코올에 잘 녹고 질산칼륨 1몰이 분해하여 3몰의 산소를 발생한다.
  2. 물에 잘 안녹고 질산칼륨 1몰이 분해하여 0.5몰의 산소를 발생한다.
  3. 흑색화약의 원료이고 물에 잘 안녹으며 질산칼륨 1몰이 분해하여 3몰의 산소를 발생한다.
  4. 흑색화약의 원료이고 물에 잘 녹으며 질산칼륨 1몰이 분해하여 0.5몰의 산소를 발생한다.
(정답률: 33%)
  • 정답은 "흑색화약의 원료이고 물에 잘 녹으며 질산칼륨 1몰이 분해하여 0.5몰의 산소를 발생한다."입니다.

    질산칼륨은 무색의 결정성 분말로, 물에 잘 녹습니다. 열분해하면 산소와 질산칼륨을 생성합니다. 그러나 질산칼륨 1몰이 분해하면 0.5몰의 산소만 발생하는 이유는 질산칼륨 분자 내부의 산소 결합이 이미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해시에는 추가적인 산소가 필요하지 않으며, 0.5몰의 산소만 발생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질산칼륨은 화약의 원료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질산암모늄의 성상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고온으로 급열하면 분해폭발의 위험이 있다.
  2. 가열에 의해 분해되어 암모니아 가스와 질산이 생성한다.
  3. 유기화합물과 혼합해도 폭발의 위험성이 없다.
  4. 질소비료로 사용되며 안전한 물질이라 가열해도 위험성은 없다.
(정답률: 37%)
  • 질산암모늄은 고온으로 급열하면 분해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이는 질산암모늄이 가열에 의해 분해되어 암모니아 가스와 질산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암모니아 가스는 폭발성이 높은 가스이기 때문에 분해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질산암모늄은 안전한 다루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염소산칼륨의 화학적, 물리적 위험성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단독으로 연소한다.
  2. 물을 가하면 발열분해한다.
  3.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4. 충격을 가하면 폭발하는 수가 있다.
(정답률: 40%)
  • 정답은 "충격을 가하면 폭발하는 수가 있다."입니다.

    염소산칼륨은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위험이 있습니다. 이 수소는 공기 중의 산소와 만나 폭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염소산칼륨은 충격을 가하면 폭발할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한 보관과 사용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질산염류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는 것은?

  1. 대개 무색 또는 흰색 결정이다.
  2. 화재 초기에는 물을 사용할 수 없다.
  3. 질산염류는 대체로 물에 녹지 않는다.
  4. 저장시에는 가연물을 피하고 습기있는 곳에 저장한다
(정답률: 33%)
  • 질산염류는 대개 무색 또는 흰색 결정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은 과망간산칼륨의 일반적 성상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1. 흑자색 고체이다.
  2. 일광에 쪼이면 분해한다.
  3. 용액을 카멜레온이라 한다.
  4. 가열하면 분해하여 가연성 가스가 발생한다.
(정답률: 44%)
  • 가열하면 분해하여 가연성 가스가 발생한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과망간산칼륨은 가열하면 분해되어 산소를 방출하고 산화망간(IV)산칼륨과 산화망간(VII)산칼륨으로 분해됩니다. 따라서 가연성 가스가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제2류 위험물인 가연성고체의 일반적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강력한 산화성 물질이다.
  2.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착화되기 때문에 연소시 연소온도가 낮다.
  3. 가연성 물질이므로 무기과산화물과 혼합한 것은 소량의 수분에 의해 발화한다.
  4. 대부분 비중은 1보다 작고, 물에 녹지 않으며 모두 유기화합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52%)
  • 가연성 고체는 불에 타는 물질로, 무기과산화물과 혼합되면 수분과 반응하여 발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무기과산화물이 산화제 역할을 하여 가연성 고체를 더욱 쉽게 연소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은 보관 및 취급 시에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은 황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황은 5종류의 동소체가 존재한다.
  2. 황은 연소하면 모두 이산화황으로 된다.
  3. 황의 동소체는 오래 방치하면 사방황으로 된다.
  4. 황은 물에는 녹지 않으나 알코올에는 약간 녹는다.
(정답률: 21%)
  • "황은 5종류의 동소체가 존재한다."라는 설명이 옳다. 이는 황이 S8, S6, S4, S2, S로 구성된 5종류의 동소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S8은 가장 안정적인 형태이며, S6, S4, S2, S는 온도와 압력의 변화에 따라 변환되는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물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적린은 인의 단체이다.
  2. 황린은 인의 단체이다.
  3. 사방황은 황의 단체이다.
  4. 황화린은 인의 단체이다.
(정답률: 40%)
  • 황화린은 인의 단체가 아닙니다. 황화린은 황과 리튬의 화합물로, 인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인화칼슘(Ca3P2)의 일반 성상으로 맞는 것은?

  1. 비중은 1.5 이다.
  2. 적색의 결정성 고체이다.
  3. 알코올, 에테르에 잘녹는다.
  4. 물 또는 산과 반응하여 포스핀을 발생한다.
(정답률: 73%)
  • 인화칼슘은 물 또는 산과 반응하여 포스핀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입니다. 이는 인화칼슘이 포스핀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화칼슘은 물 또는 산과 접촉할 경우 포스핀을 방출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금속칼륨의 성질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석유속에 저장한다.
  2. 은백색 광택의 무른 경금속이다.
  3. 물이나 알코올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4. 에틸알코올과 반응하면 수산화칼륨이 생긴다.
(정답률: 38%)
  • 에틸알코올과 반응하여 수산화칼륨이 생기는 것은 옳은 성질입니다. 이는 금속칼륨이 화학적으로 활발한 금속이기 때문에, 에틸알코올과 반응하여 수산화칼륨과 수소가 생성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물질 중 소방법상 제4류 위험물의 알코올류에 속하는 것은?

  1. 아밀알코올
  2. 에틸렌글리콜
  3. 글리세린
  4. 고형알코올
(정답률: 34%)
  • 알코올류는 일반적으로 제1류 위험물로 분류되지만, 일부 알코올류는 제4류 위험물로 분류됩니다. 이는 그들이 인체에 대한 위험이 적지만, 화재 위험이 높기 때문입니다. 아밀알코올은 제4류 위험물로 분류되는데, 이는 그들이 불에 노출될 경우 폭발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물질 중 인화점이 상온 이상인 것은?

  1. 경유
  2. 이황화탄소
  3. 산화프로필렌
  4. 디에틸에테르
(정답률: 54%)
  • 인화점이 상온 이상인 물질은 "경유"입니다. 이는 경유가 고온에서도 쉽게 증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황화탄소, 산화프로필렌, 디에틸에테르는 모두 인화점이 낮아 쉽게 증발하므로 상온 이상의 온도에서 쉽게 불이 붙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등유의 성질에 맞지 않는 것은?

  1. 물에는 녹지 않는다.
  2. 여러가지 탄화수소의 혼합물 이다.
  3. 가솔린 보다 휘발되기 쉬운 탄화수소이다.
  4. 석유류분 중 가솔린 보다 높은 비점 범위를 갖는다.
(정답률: 55%)
  • 등유는 가솔린 보다 휘발되기 어렵고, 비점 범위가 높은 탄화수소 혼합물입니다. 따라서, "가솔린 보다 휘발되기 쉬운 탄화수소이다."는 등유의 성질에 맞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물질 중 건성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들기름
  2. 아마인유
  3. 올리브유
  4. 오동기름
(정답률: 17%)
  • 올리브유는 건성유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올리브유가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피부에 오일링 현상을 유발하지 않고 산성지수가 낮아 피부를 보호하며 보습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이다. 반면, 들기름, 아마인유, 오동기름은 건성유에 해당되는데, 이는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오일링 현상을 유발하며 보습 효과가 낮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셀룰로이드류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물에 용해되지 않는다.
  2. 조연성(지연성) 물질이다.
  3. 연소속도가 느린 물질이다.
  4. 질식소화가 매우 효과적이다.
(정답률: 37%)
  • 셀룰로이드는 인조적으로 만든 조연성(지연성) 물질로, 물에 용해되지 않는 이유는 분자 구조상 수분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결합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에 녹지 않고, 오히려 유기용매에 잘 녹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니트로셀룰로오스(질화면)의 성질에 알맞는 사항은?

  1. 질화도가 클수록 물에 잘 녹는다.
  2. 질화도가 클수록 폭발성이 강하다.
  3. 외관상 솜과 같은 진한 회색의 물질이다.
  4. 수분을 많이 포함 할수록 폭발성이 크다.
(정답률: 59%)
  • 질화면의 질화도가 클수록 질소와 산소의 결합이 강해지기 때문에 분자 내부의 에너지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분해 반응이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폭발성이 강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제5류 위험물의 공통성질로 맞지 않는 것은?

  1. 자기연소를 일으킨다.
  2. 가열, 충격, 마찰 등으로 폭발의 위험이 있다.
  3. 금수성 물질이므로 물기와 접촉을 피해야 한다.
  4.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연발화의 위험성을 갖는다.
(정답률: 65%)
  • "금수성 물질이므로 물기와 접촉을 피해야 한다."는 제5류 위험물의 공통성질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제6류 위험물의 공통성질 중 하나입니다. 제5류 위험물은 자기연소를 일으키며, 가열, 충격, 마찰 등으로 폭발의 위험이 있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연발화의 위험성을 갖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T.N.T가 폭발하였을때의 발생 가스를 나열한 것이다. 그렇지 않은 것은?

  1. 질소가스
  2. 수소가스
  3. 아황산가스
  4. 일산화탄소
(정답률: 47%)
  • T.N.T 폭발 시 발생하는 가스는 질소가스, 수소가스, 일산화탄소입니다. 아황산가스는 T.N.T 폭발 시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진한질산을 몇 ℃이하로 냉각시키면 응축 결정 되는가?

  1. 약 – 65℃
  2. 약 - 57℃
  3. 약 – 42℃
  4. 약 - 31℃
(정답률: 40%)
  • 진한질산의 냉각 과정에서 물 분자와 결합하는 수소 결합은 냉각이 진행될수록 강해지며, 결정화 온도는 이 수소 결합의 강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진한질산을 냉각시키면서 수소 결합이 강해지고 결정화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진한질산을 약 -42℃ 이하로 냉각시키면 응축 결정이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질산에서 발생하는 적갈색 가스의 명칭은?

  1. 이산화탄소
  2. 질소
  3. 이산화질소
  4. 수소
(정답률: 70%)
  • 질산에서 발생하는 적갈색 가스는 이산화질소입니다. 이는 질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생기는 가스인데, 질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생기는 가스 중에서도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산화탄소는 질산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가스입니다. 수소는 질산에서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발연황산에 대하여 잘못 설명된 것은?

  1. 황산에 비해 산화력은 강하다.
  2. 환원성이 강한 가연성 물질이다.
  3. 피부 접촉시 강한 부식성이 있다.
  4. 유기물과 접촉시 발화의 위험이 있다.
(정답률: 45%)
  • 발연황산은 환원성이 강한 산화제이기 때문에, 잘못된 설명은 "환원성이 강한 가연성 물질이다." 입니다. 환원성이 강하다는 것은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능력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가연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지정 유기과산화물의 저장창고의 구조로서 틀린 것은?

  1. 저유설비를 할 것
  2. 환기 장치를 할 것
  3. 바닥을 평평히 할 것
  4. 물이 침투하지 않는 구조로 할 것
(정답률: 16%)
  • 바닥을 평평히 하지 않으면 액체 상태의 유기과산화물이 흘러서 모이는 곳이 생길 수 있고, 이는 화재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닥을 평평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제2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상 특히 주의 하여야 할 사항은?

  1. 가연물과의 접촉을 피할것
  2. 화기의 접근 또는 가열을 피할것
  3. 일광을 피하고 암소에서 취급할것
  4. 통풍을 잘 할것
(정답률: 47%)
  • 제2류 위험물은 화재 위험이 있으므로 화기의 접근 또는 가열을 피해야 합니다. 이러한 위험물은 불꽃, 열, 마찰, 스파크 등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요인들과의 접촉을 최대한 피해야 합니다. 따라서 화기의 접근 또는 가열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옥외 저장탱크 저장소의 압력탱크에는 통기관을 설치하여야 한다. 무판통기관인 경우 통기관의 지름은 몇 mm 이상으로 하는가?

  1. 10
  2. 15
  3. 20
  4. 30
(정답률: 33%)
  • 옥외 저장탱크 저장소의 압력탱크에는 통기관을 설치하여야 하는 이유는 안전상의 이유이다. 통기관을 통해 공기를 유입하여 압력을 안정화시키고, 폭발이나 화재 등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통기관의 지름은 충분히 크게 설치하여 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해야 한다. 무판통기관의 경우, 지름이 작으면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지 않아 압력 안정화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통기관의 지름은 최소한 30mm 이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물질 중 물 속에 저장하는 위험물은?

  1. 황린
  2. 적린
  3. 마그네슘
(정답률: 55%)
  • 황린은 물과 반응하여 황산을 생성하므로 물 속에 저장하면 위험합니다. 황산은 강한 산성을 띄고 있어 인체에 유해하며, 또한 화재 발생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물 속에 저장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황의 지정수량은 얼마인가?

  1. 20kg
  2. 50kg
  3. 100kg
  4. 150kg
(정답률: 41%)
  • 문제에서 "황의 지정수량" 이라는 표현은 황에 대한 양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황의 양이 100kg인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제3류 위험물의 저장 취급시 주의할 점이 아닌 것은?

  1. 가연성 가스를 발생하는 것은 화기에 주의한다.
  2. 제3류 위험물은 전부 보호액인 석유속에 저장한다.
  3. 대량 저장시 소화가 곤란하므로 소분하여 저장한다.
  4. 용기의 파손 및 부식을 막고, 수분의 접촉을 피한다.
(정답률: 77%)
  • 정답: 제3류 위험물은 전부 보호액인 석유속에 저장한다.

    설명: 제3류 위험물은 화재, 폭발, 독성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한 보관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제3류 위험물은 대부분 보호액인 석유속에 저장됩니다. 이는 제3류 위험물의 증발을 막고, 화재 발생 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제3류 위험물은 전부 보호액인 석유속에 저장한다."는 주의할 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카아바이트 저장 장소로서 적당한 곳은?

  1. 노천에 보관한다.
  2. 따뜻한 곳에 저장한다.
  3. 수분이 많은 지하실에 보관한다.
  4. 눈과 비를 피할 수 있는 건조한 장소에 보관한다.
(정답률: 55%)
  • 카아바이트는 수분에 노출되면 녹아서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눈과 비를 피할 수 있는 건조한 장소에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금속 나트륨의 저장 방법으로서 옳은 것은?

  1. 물 속에 저장한다.
  2. 등유 속에 넣어 저장한다.
  3. 모래 속에 넣어 저장한다.
  4. 나무 상자속에 넣어 저장한다.
(정답률: 70%)
  • 금속 나트륨은 공기와 반응하여 산화되고 물과 반응하여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안전한 보관이 필요합니다. 등유는 나트륨과 반응하지 않으며 공기와 수분을 차단하여 나트륨의 안전한 보관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등유 속에 넣어 저장하는 것이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위험물을 수납한 운반용기와 이를 포장한 외부에는 주의사항을 표시하여야 한다. 제2류 위험물인 경우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단, 철분, 금속분, 마그네슘은 대상에서 제외함.)

  1. 화기주의
  2. 물기주의
  3. 충격주의
  4. 포장주의
(정답률: 69%)
  • "화기주의"는 제2류 위험물 중 화재 위험이 있는 물질에 대한 주의사항으로, 이러한 물질은 불이 붙으면 화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화기에 대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열과 전기의 도체로 산과 알칼리에 녹아 수소를 발생하며 은백색의 광택을 가지는 연한 금속은?

  1. Fe
  2. Cs
  3. Al
  4. Sb
(정답률: 73%)
  • 산과 알칼리에 녹아 수소를 발생시키는 것은 알루미늄(Al)이기 때문입니다. Fe(철)는 산에 녹지만 알칼리에는 녹지 않습니다. Cs(세슘)는 금속이지만 알칼리금속으로서 녹는 것이 아니라 증기 상태로 존재합니다. Sb(안티모니)는 금속이지만 산과 알칼리에 녹지 않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Al)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어떤 금속조각을 찬물에 넣었더니 반응하여 화염이 발생하였다. 이 금속의 명칭은?

  1. 아연(Zn)
  2. 나트륨(Na)
  3. 알루미늄(Al)
  4. 철(Fe)
(정답률: 46%)
  • 나트륨은 화학식 Na로 표기되며, 화학적으로 활발한 금속으로서 물과 반응하여 수소와 함께 화염을 일으키는 반응을 일으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금속조각을 찬물에 넣었더니 화염이 발생한 것으로 보아, 이 금속은 나트륨(Na)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제3류 위험물의 성질로서 적합한 것은?

  1. 산화력이 강하다.
  2. 물과 반응하여 화학적으로 활성화 된다.
  3. 전부 보호액 중에 보관해야 된다.
  4. 전부 단체 금속이다.
(정답률: 42%)
  • 제3류 위험물은 물과 반응하여 화학적으로 활성화되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는 제3류 위험물이 물과 반응하여 열, 가스, 화학물질 등을 방출하거나 화재, 폭발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3류 위험물을 다룰 때에는 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적절한 보호액을 사용하여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위험물 중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하지 않는 것은?

  1. 황(S)
  2. 칼륨(K)
  3. 나트륨(Na)
  4. 마그네슘(Mg)
(정답률: 65%)
  • 황(S)은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이는 황(S)이 비금속 원소이기 때문입니다. 비금속 원소는 일반적으로 금속 원소보다 전자를 더 많이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반면에 칼륨(K), 나트륨(Na), 마그네슘(Mg)는 모두 금속 원소이며,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알코올 발효시에 에틸알코올과 같이 생기는 부산물에 해당하는 것은?

  1. 피리딘
  2. 퓨젤유
  3. 변성알코올
  4. 에스테르
(정답률: 20%)
  • 알코올 발효시에는 에틸알코올 외에도 부산물이 생기는데, 이 중에서 퓨젤유는 에틸알코올과 함께 발생하는 부산물 중 하나입니다. 퓨젤유는 알코올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중 하나로, 에틸알코올과 함께 증류 과정에서 분리되어 나옵니다. 이 부산물은 냄새가 강하고 독성이 있어서, 음료수나 식품 등에 사용되는 에틸알코올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제2종 가연물에 속하는 것은?

  1. 고무풀
  2. 고무류
  3. 장뇌
  4. 락카퍼티
(정답률: 44%)
  • 제2종 가연물은 인명이나 재산에 대한 위험이 적지만 화재 발생 시 화재 진압이 어려운 가연성 물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고무풀"과 "고무류"는 제2종 가연물에 속하지만, "장뇌"는 불가연성 물질이므로 제2종 가연물에 속하지 않습니다. "락카퍼티"는 제1종 가연물에 속하는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니트로셀룰로오즈는 건조하면 발화하기 쉬워 수분 및 알코올 등 습성제로 처리하는데 습성제를 총중량의 몇 % 이상 함유하여 유지시켜야 하는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26%)
  • 니트로셀룰로오즈는 건조하면 발화하기 쉬운 물질이므로, 습성제를 함유하여 수분을 유지시켜야 합니다. 이때, 습성제의 함량이 적으면 건조하여 발화할 위험이 있고, 습성제의 함량이 많으면 물질의 물성이 변형되어 사용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따라서, 총중량의 20% 이상의 습성제를 함유하여 유지시키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제4류 위험물의 공통성질이 아닌 것은?

  1. 대단히 인화하기 쉽다.
  2. 증기는 공기보다 가볍다.
  3. 착화온도가 낮은 것은 위험하다.
  4. 물보다 가볍고 물에 녹기 어렵다.
(정답률: 60%)
  • 정답: "물보다 가볍고 물에 녹기 어렵다."

    설명: 증기는 공기보다 가볍다는 것은 증기 분자의 질량이 공기 분자의 질량보다 가벼워서 공기보다 높은 곳으로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이는 증기가 대기 중에서 상승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위험물의 화재시 소화 방법을 열거하였다. 다음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유황 - 물 분무
  2. 황린 - 대량의 물
  3. 아연분 - 질소가스
  4. 마그네슘 분말 - 건조사
(정답률: 40%)
  • 아연분은 화재시 질소가스를 발생시키므로 적절한 소화제가 아닙니다. 질소가스는 화재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화재를 진압하는 데 방해가 됩니다. 따라서 아연분은 화재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제1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시 가장 주의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1. 공기와의 접촉을 피할 것
  2. 환기에 주의할 것
  3. 증발되지 않게 할 것
  4. 가열.충격, 마찰을 피할 것
(정답률: 53%)
  • 제1류 위험물은 화재, 폭발, 독성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한 저장 및 취급이 필요합니다. 가열, 충격, 마찰은 이러한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가열은 물질 내부의 온도를 높여 화재나 폭발을 유발할 수 있으며, 충격이나 마찰은 물질을 불안정하게 만들어 폭발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열, 충격, 마찰을 피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