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2-01)

위험물기능사
(2004-02-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재 예방과 소화방법

1. 제 5류 위험물이 소화하기 어려운 이유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물과 발열반응을 일으킨다.
  2. 발화점이 높다.
  3. 자기연소를 일으키며 연소속도가 매우 빠르다.
  4. 연소할 때 연소물이 튀어 넓게 퍼진다.
(정답률: 68%)
  • 제 5류 위험물은 자기연소를 일으키며 연소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이는 위험물이 공기 중에서 쉽게 자기연소를 일으키며, 연소가 시작되면 매우 빠르게 확산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화하기 어렵고 위험한 물질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단독경보형 감지기에 내장된 건전지는 1 년에 몇 회 이상 교환해야 하는가?

  1. 4 회
  2. 3 회
  3. 2 회
  4. 1 회
(정답률: 55%)
  • 단독경보형 감지기는 연간 1회 이상 건전지를 교환해야 합니다. 이는 건전지의 성능이 저하되어 감지기의 정확도가 떨어지거나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정기적인 건전지 교환을 권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물이 소화제로 이용되는 가장 큰 이유는?

  1. 기화열로 가연물을 냉각하기 때문이다.
  2. 물이 공기를 차단하기 때문이다.
  3. 물은 환원성이 있기 때문이다.
  4. 물이 가연물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82%)
  • 물은 기화열로 가연물을 냉각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자연발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 가장 영향을 적게 주는 것은?

  1. 발열량
  2. 수분
  3. 열의 축적
  4. 미생물
(정답률: 71%)
  • 미생물은 자연발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에서 가장 영향을 적게 주는 것입니다. 이는 미생물이 자연발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발열량과 수분은 자연발화를 일으키는 물질의 양과 상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열의 축적은 자연발화를 일으키는 조건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미생물은 자연발화의 원인이 되는 물질의 분해와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직접적인 영향은 적습니다. 따라서 미생물은 자연발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에서 가장 영향을 적게 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제 1류 위험물에 대한 일반적인 화재예방법이 아닌 것은?

  1. 반응성이 커서, 가열, 마찰, 충격 등에 유의한다.
  2. 불연성이기 때문에 열접촉은 괜찮다.
  3. 가연물의 접촉, 혼합 등을 피한다.
  4. 질식소화는 효과가 없다.
(정답률: 76%)
  • "불연성이기 때문에 열접촉은 괜찮다."는 일반적인 화재예방법이 아닙니다. 이유는 불연성이라고 해도 일부 제 1류 위험물은 열에 의해 분해되거나 반응하여 화재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든 제 1류 위험물에 대해서는 열접촉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위험물 제 1∼6류 모두에 적응성 있는 소화설비는?

  1. 불연성가스를 방사하는 소화기
  2. 강화액을 봉상으로 방사하는 소화기
  3. 포말을 방사하는 소화기
  4. 팽창진주암
(정답률: 63%)
  • 팽창진주암은 위험물 제 1∼6류 모두에 적응성 있는 소화설비로서, 불연성가스, 액체, 고체 등 다양한 위험물을 효과적으로 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팽창진주암은 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소화가 가능하며, 소화 후에는 재발하지 않도록 방화성이 높아 안전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가연성고체 위험물에 적응하는 소화설비가 아닌 것은?

  1. 옥내소화전설비
  2. 스프링클러소화설비
  3. 호스릴포 설비
  4. 포말소화설비
(정답률: 41%)
  • 호스릴포 설비는 가연성 고체 위험물에 적응하는 소화설비가 아닙니다. 호스릴포 설비는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설비로, 액체나 가스 화재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가연성 고체 위험물에 대한 소화설비로는 옥내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소화설비, 포말소화설비 등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소화기표시가 황색인 경우 적응성이 있는 화재의 종류는?

  1. 전기화재
  2. 일반화재
  3. 금속화재
  4. 유류화재
(정답률: 71%)
  • 소화기표시가 황색인 경우 적응성이 있는 화재의 종류는 유류화재입니다. 이는 유류가 불에 타면 불을 끄기 어렵고, 불꽃이 크고 뜨거워서 화재 확산이 빠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류화재는 특별한 소화제와 장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제조소 중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 외벽의 재료는?

  1. 불연재료
  2. 준불연재료
  3. 방화구조
  4. 내화구조
(정답률: 50%)
  • 제조소에서 위험물을 다루는 건축물 외벽은 화재 발생 시 내부의 위험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내화구조 재료로 만들어져야 합니다. 내화구조는 불이 붙어도 불꽃이 번지지 않고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방화성능이 뛰어난 재료입니다. 따라서, 위험물을 다루는 건축물 외벽의 재료로는 내화구조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피난구 유도등은 피난구의 바닥으로부터 몇 미터 이상의 곳에 설치해야 하는가?

  1. 0.5m 이상
  2. 1m 이상
  3. 1.5m 이상
  4. 2m 이상
(정답률: 40%)
  • 피난구 유도등은 비상시에도 가시성이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 이상에 설치해야 합니다. 이때, 인간의 눈이 보통 위치한 높이는 1.5m 정도이므로, 피난구 유도등도 1.5m 이상의 높이에 설치하여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알콜 화재 시 포소화제는 효과가 없다. 그 이유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알콜은 수용성이라 포를 소멸시키므로
  2. 알콜과 반응해 가연성 GAS 를 발생하므로
  3. 불꽃의 온도를 높이므로
  4. 알콜이 포소화제와 작용해 유독한 가스를 발생하므로
(정답률: 67%)
  • 알콜은 물과 같이 수용성이 높아서, 포소화제인 포를 소멸시키는 효과가 없습니다. 즉, 알콜 화재 시 포소화제를 사용해도 불이 꺼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화재가 발생 하였을 때 피난하기 위한 설비가 아닌 것은?

  1. 공기안전매트
  2. 완강기
  3. 미끄럼대
  4. 비상방송설비
(정답률: 63%)
  • 화재 발생 시 피난하기 위한 설비들 중에서 "비상방송설비"는 직접적인 피난을 돕는 것이 아니라, 화재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안전한 대처 방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다른 설비들과 달리 직접적인 피난을 돕는 것이 아니므로 정답은 "비상방송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금수성 물질인 인화칼슘(Ca3P2)이 물과 반응하였을 때 발생하는 가스는?

  1. 수소
  2. 산소
  3. 포스핀
  4. 아세틸렌
(정답률: 71%)
  • 인화칼슘은 물과 반응하면 칼슘하이드록사이드(Ca(OH)2)와 포스핀(P4)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포스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소화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거소화란 가연물을 연소구역에서 없애주는 방법이다.
  2. 억제소화란 연소의 활성화속도를 느리게 하는 용매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3. 냉각소화란 연소물로부터 열을 빼앗아 발화점 이하로 온도를 낮추는 방법이다.
  4. 질식소화란 공기중 산소농도를 약 20% 에서 5%이하로 떨어뜨려 연소를 중단시키는 방법이다.
(정답률: 48%)
  • 옳지 않은 설명은 "질식소화란 공기중 산소농도를 약 20% 에서 5%이하로 떨어뜨려 연소를 중단시키는 방법이다." 이다. 이유는 질식소화는 공기중 산소농도를 15% 이하로 떨어뜨려 연소를 중단시키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소화기의 사용방법을 바르게 설명한 것 끼리 묶어 놓은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46%)
  • 이 문제는 이미지로 주어진 소화기 사용방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을 묶어서 정답을 찾는 문제입니다.

    ①㉠㉡: 소화기 사용방법을 설명한 것이 아니라, 소화기의 종류를 설명한 것입니다.

    ②㉠㉢: 소화기 사용방법을 설명한 것이지만, "소화기의 사용방법을 바르게 설명한 것 끼리 묶어 놓은 것"이라는 조건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③㉠㉣: 소화기 사용방법을 바르게 설명한 것끼리 묶어 놓은 것입니다.

    ④㉠㉢㉣: ㉠㉢와 ㉠㉣을 합쳐놓은 것으로, "소화기의 사용방법을 바르게 설명한 것 끼리 묶어 놓은 것"이라는 조건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황을 목탄가루 등과 혼합하면 약간의 충격, 가열 등으로 발화한다. 이 때 가장 적당한 소화방법은?

  1. 포의 방사에 의한 소화
  2. 분말 소화제에 의한 소화
  3. 다량의 물에 의한 소화
  4. 할로겐화합물의 방사에 의한 소화
(정답률: 49%)
  • 황과 목탄가루는 분말 상태로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분말 소화제로는 소화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황은 물과 반응하여 황산을 생성하므로 다량의 물에 의한 소화가 가장 적절합니다. 이 방법은 화재를 직접 끄는 것이 아니라 물로 물질을 희석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제조소는 경보설비를 갖추어야 하는데, 적용대상은?

  1. 지정수량 2~5배 이상
  2. 지정수량 4~6배 이상
  3. 지정수량 6~8배 이상
  4. 지정수량 10배 이상
(정답률: 54%)
  • 위험물의 저장 또는 취급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성은 해당 물질의 양에 비례하므로, 지정수량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경보설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10배 이상인 경우에는 더욱 큰 위험성이 예상되므로, 보다 강화된 대응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해당 대상에 포함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인명구조기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안전모
  2. 공기호흡기
  3. 방열복
  4. 인공소생기
(정답률: 35%)
  • 안전모는 인명구조기구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안전모는 사고 예방을 위한 보호장구로서, 인명 구조나 구조대응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알킬알루미늄 이동탱크 저장소의 소화설비로서 부적당한 것은?

  1. 수동식 소화기
  2. 마른모래
  3. 팽창질석
  4. 스프링클러
(정답률: 64%)
  • 알킬알루미늄 이동탱크는 가연성 물질을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수동식 소화기나 마른모래, 팽창질석과 같은 소화설비는 적절한 선택입니다. 그러나 스프링클러는 자동으로 물을 분사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이동탱크와 같은 이동성이 있는 장비에는 부적합합니다. 또한 스프링클러는 물을 분사하기 때문에 알킬알루미늄과 같은 화학물질과 반응하여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프링클러는 알킬알루미늄 이동탱크 저장소의 소화설비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옥내소화전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배관 중 입상관의 구경은 50밀리미터 이상으로 한다.
  2. 펌프의 성능시험배관은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이후에서 분기한다.
  3. 옥내소화전방수구와 연결되는 가지배관의 구경은 40밀리미터 이상으로 한다.
  4. 펌프의 토출측 주배관의 구경은 유속이 1초당 3미터이하가 될 수 있는 크기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27%)
  • "펌프의 성능시험배관은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이후에서 분기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펌프의 성능시험을 위해서는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하여 시험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하면 펌프의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위험물의 화학적 성질 및 취급

21. 과산화나트륨(Na2O2)의 성질중 옳은 것은?

  1. 무색,무취의 결정성 고체이다.
  2. 산과 반응하여 과산화수소를 생성한다.
  3. 조해성이 있고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4. 오렌지색의 분말로 가열하면 산소와 나트륨이 생성된다.
(정답률: 38%)
  • 과산화나트륨은 무색, 무취의 결정성 고체이며, 산과 반응하여 과산화수소를 생성합니다. 이는 과산화나트륨이 산과 반응하면 산소와 과산화수소를 생성하는데, 과산화수소는 불안정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쉽게 분해되어 수소와 산소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과산화나트륨은 산화제로서 사용되며, 안전에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질산암모늄에 대한 설명으로서 옳은 것은?

  1. 열처리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2. 습한 곳에 저장 하는 것이 좋다.
  3. 가열하면 약 300℃에서 분해 한다.
  4. 단독으로도 급격한 가열, 충격으로 분해, 폭발하는 수도 있다.
(정답률: 59%)
  • 질산암모늄은 분자 내부에 질소와 산소 결합이 매우 강하게 이루어져 있어서, 가열이나 충격 등의 외부적인 자극으로 인해 분자 내부의 결합이 깨져서 폭발적인 반응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단독으로 다룰 때에는 매우 조심해야 하며, 안전한 보관과 사용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염소산칼륨의 성질에 있어서 옳은 것은?

  1. 잘 타는 물질이다.
  2. 수용액은 산성을 나타낸다.
  3. 산화성물질로서 온수에 잘녹는다.
  4. 가열, 마찰에 의해서 가연성 가스가 발생한다.
(정답률: 33%)
  • 염소산칼륨은 산화성물질로서, 산화작용을 일으키면서 산소를 방출합니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온수와 반응하여 잘 녹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과망간산칼륨의 일반성상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강한 살균력과 산화력이 있다.
  2. 금속성 광택이 있는 무색의 결정이다.
  3. 가열분해시키면 산소를 방출한다.
  4. 상온에서 안정하다.
(정답률: 38%)
  • "금속성 광택이 있는 무색의 결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과망간산칼륨은 보통 보라색 혹은 진한 보라색의 결정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과망간산 이온(MnO4-)의 색깔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가연성고체 위험물의 일반성질로서 잘못 설명된 것은?

  1. 모두 단체의 비금속 원소이다.
  2. 물에 불용하며, 산화하기 쉬운 물질이다.
  3. 연소할 때 유독한 기체를 발생하는 것도 있다.
  4.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착화하기 쉬운 가연성물질이다.
(정답률: 45%)
  • "모두 단체의 비금속 원소이다."라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가연성고체 위험물은 다양한 화학물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이 모두 단체의 비금속 원소인 것은 아닙니다.
    - 물에 불용하지 않은 것도 있고, 산화하기 어려운 물질도 있습니다.
    - 연소할 때 유독한 기체를 발생하는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있습니다.
    -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착화하기 쉬운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있습니다.

    따라서 가연성고체 위험물의 일반성질을 설명할 때는 이들이 모두 단체의 비금속 원소인 것은 아니라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적린의 성질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착화온도는 약 260℃
  2. 물, 암모니아에 불용
  3. 연소시 인화수소가스가 발생
  4. 산화제와 혼합시 착화하기 쉽다.
(정답률: 38%)
  • "연소시 인화수소가스가 발생"이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적린은 연소시 인화수소가스가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인화수소가스는 연소에 필요한 산소와 반응하여 불꽃을 일으키고, 열과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따라서 적린은 연소성이 높은 물질로 분류됩니다.

    그러므로, 이 문제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황에 어떤 성질의 물질을 혼합하여 충격을 가하면 폭발의 위험이 있는가?

  1. 산화제
  2. 부촉매
  3. 염화물
  4. 환원제
(정답률: 58%)
  • 산화제는 화학 반응에서 산화를 일으키는 물질로,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충격을 가하면 산화 반응이 일어나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황에 산화제를 혼합하여 충격을 가하면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부촉매, 염화물, 환원제는 화학 반응에서 다른 역할을 하기 때문에 폭발의 위험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카아바이트(CaC2)의 일반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물과 심하게 반응하여 발열한다.
  2.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메탄 가스를 발생시킨다.
  3. 순수한것은 무색투명하나 보통은 흑회색의 덩어리 상태이다.
  4. 건조한 공기 중에서는 안정하나 350℃이상으로 열을 가하면 산화된다.
(정답률: 26%)
  •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메탄 가스를 발생시킨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카아바이트는 물과 반응하여 아세틸렌 가스를 발생시킵니다. 이는 카아바이트가 물과 반응하여 카르바이드(CaC2)와 수소가 생성되고, 이 수소와 카르바이드가 반응하여 아세틸렌 가스가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물이나 약산과 심하게 반응하여 포스핀 가스를 발생시키는 물질은?

  1. 탄화칼슘
  2. 산화칼슘
  3. 인화석회
  4. 탄화알루미늄
(정답률: 57%)
  • 인화석회는 물과 반응하여 칼슘하이드록시드를 생성하고, 이 과정에서 포스핀 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금속나트륨(Na)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햇빛을 쪼이면 환원된다.
  2. 황갈색의 무른 경금속이다.
  3. 물에 대하여는 발열하지 않고 잘 녹는다.
  4. 석유와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저장액으로 이용한다.
(정답률: 71%)
  • 석유는 금속나트륨과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금속나트륨은 석유를 저장하는 용도로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물질중 인화점이 가장 낮은 것은?

  1. 경유
  2. 벤젠
  3. 에틸에테르
  4. 메틸알코올
(정답률: 32%)
  • 인화점이란 물질이 불이 붙어 화재가 일어날 수 있는 온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인화점이 낮을수록 물질이 불에 빠르게 타서 화재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에틸에테르는 분자 구조상 분자 내부에 산소 원자가 있어서 산소와 더 쉽게 반응하여 불이 붙기 쉽습니다. 또한 분자 내부에 있는 카본과 수소 원자들이 벤젠이나 경유보다 더 적게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인화점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에틸에테르가 이 중에서 인화점이 가장 낮은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특수인화물에 해당하는 위험물은?

  1. 벤젠
  2. 아세톤
  3. 콜로디온
  4. 아세토니트릴
(정답률: 33%)
  • 콜로디온은 폭발성이 매우 강한 약품으로, 불에 노출되면 즉시 폭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수인화물로 분류되며, 다른 보기들은 폭발성이나 인체에 대한 위험성이 적은 경우가 많아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산화프로필렌의 성질 및 위험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소 범위는 가솔린 보다 넓다.
  2. 산,알칼리가 존재하면 중합반응을 한다.
  3. 인화점이 -37℃이므로 제1석유류에 속한다.
  4. 화학적으로 활성이 크고 반응을 할 때에는 발열반응을 한다.
(정답률: 50%)
  • "인화점이 -37℃이므로 제1석유류에 속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산화프로필렌은 인화점이 -18℃ 이하이므로 제2석유류에 속합니다. 인화점이 낮을수록 물질의 증발이 쉽기 때문에 불쾌한 냄새가 나며, 쉽게 증발하여 공기 중에 농도가 높아지면 폭발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산화프로필렌은 화기와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취급에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산, 알칼리와 반응하여 중합체를 형성하므로 산화프로필렌을 다룰 때에는 산, 알칼리와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T.N.T의 원료로 사용되는 것은?

(정답률: 17%)
  • T.N.T의 원료로 사용되는 것은 "" 입니다. 이는 톨루엔의 구조식에서 하나의 수소 원자가 떨어져 나가고, 그 자리에 질소 원자 3개가 결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T.N.T의 화학적 성질과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트리니트로톨루엔을 녹일 수 없는 용제는?

  1. 벤젠
  2. 아세톤
  3. 에테르
(정답률: 60%)
  • 트리니트로톨루엔은 유기화합물로, 물과는 상호작용이 없어 녹이지 못합니다. 따라서 물은 트리니트로톨루엔을 녹일 수 없는 용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과염소산염류에 공통된 성질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인화성이 크다.
  2. 발화성향이 높다.
  3. 연소성이 양호하다.
  4. 타 물질의 연소를 촉진한다.
(정답률: 42%)
  • 과염소산염류는 산화제로서 타 물질의 연소를 촉진시키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는 과염소산염류가 산화 반응을 일으키면서 산소를 방출하고, 이 산소가 다른 물질과 반응하여 연소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타 물질의 연소를 촉진하는 성질이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황산의 위험성과 관계가 있는 것은?

  1. 가연성의 고체다.
  2. 인화하기 쉬운 기체이다.
  3. 물과 반응하여 조연성 가스를 발생한다.
  4. 비휘발성, 산화성액체로서 탈수작용을 한다.
(정답률: 25%)
  • 황산은 비휘발성이며 산화성액체이기 때문에 탈수작용을 일으키며, 이로 인해 인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과산화수소의 성질 및 취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햇빛에 의해 분해된다.
  2. 물에는 어떤 비율로도 혼합한다.
  3. 극히 안정하여 상온에서는 분해 되지 않는다.
  4. 저장할 때는 착색 용기에 넣어 냉소에 저장한다.
(정답률: 45%)
  • 과산화수소는 극히 안정하여 상온에서는 분해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매우 불안정하며 높은 열에 노출되거나 충격을 받으면 폭발적으로 분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장할 때는 착색 용기에 넣어 냉소에 저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옥내저장소에서 지정유기과산화물의 저장창고 창문 하나의 면적은 얼마 이내인가?

  1. 0.8m2
  2. 0.6m2
  3. 0.4m2
  4. 0.2m2
(정답률: 22%)
  • 옥내저장소에서 지정유기과산화물의 저장창고는 "1.6m x 6.0m x 2.4m" 크기이다. 이때, 창문의 면적은 전체 면적에서 창문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창문의 면적은 (0.8m x 1.2m) / (1.6m x 6.0m x 2.4m) = 0.4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위험물시설안전원을 두어야 할 제조소 등은 지정수량의 몇 배이상을 취급하는 제조소 및 일반 취급소인가?

  1. 50배 이상
  2. 500배 이상
  3. 1000배 이상
  4. 10000배 이상
(정답률: 21%)
  • 위험물시설안전원은 위험물을 취급하는 시설의 안전을 담당하는 기관입니다. 이를 두어야 할 제조소 등은 지정수량의 10000배 이상을 취급하는 제조소 및 일반 취급소입니다. 이는 위험물을 다루는 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보다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시설에서는 위험물시설안전원을 두어 안전을 보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제3류 위험물의 공통적인 성질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단, 황린은 제외)

  1. 모두 무기화합물이다.
  2. 저장액으로 석유류를 이용한다.
  3. 햇빛에 노출되는 순간 발화한다.
  4. 물과 반응시 발열 또는 발화한다.
(정답률: 33%)
  • 제3류 위험물은 모두 무기화합물이며, 저장액으로 석유류를 이용합니다. 이들은 물과 반응할 때 발열 또는 발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물과 반응하여 열이 발생하거나, 반응에 의해 발화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들은 안전한 보관과 사용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염소산나트륨의 저장 및 취급에 관한 설명 중 잘못 설명된 것은?

  1. 가열, 충격, 마찰을 피한다.
  2. 분해를 촉진하는 약품류와의 접촉을 피한다.
  3. 공기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물속에 저장한다.
  4. 조해성이 있으므로 용기의 밀폐, 밀봉하여 저장한다.
(정답률: 80%)
  • 염소산나트륨은 공기와 접촉하면 수분과 반응하여 염소가 방출되고, 이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이기 때문에 공기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물속에 저장합니다. 따라서, "공기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물속에 저장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제1석유류의 물질 특성상 취급시 주의해야 할 사항은?

  1. 충격을 가하지 말것.
  2. 물과의 접촉을 피할 것.
  3. 화기를 가까이 하지 말것.
  4. 불연물을 가까이 하지 말것.
(정답률: 65%)
  • 제1석유류는 화기와 매우 취약한 물질이기 때문에 화기를 가까이 하면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화기를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나트륨(Na) 취급을 잘못해 표면이 회백색으로 변했다. 이 나트륨(Na)표면에 생성된 물질의 분자식을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1. Na2O
  2. NaCl
  3. NaNO3
  4. NaOH
(정답률: 17%)
  • 나트륨(Na)는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Na+ 이온을 생성하며, 이 이온은 수분과 반응하여 NaOH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나트륨(Na) 표면이 회백색으로 변한 것은 NaOH가 생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NaOH는 나트륨 이온(Na+)과 수산화물 이온(OH-)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므로, 이 화합물의 분자식은 Na2O가 아닌 NaOH가 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분자식은 "NaOH"가 아닌 "Na2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기과산화물인 MEKPO의 지정수량은?

  1. 10kg
  2. 50kg
  3. 600kg
  4. 1000kg
(정답률: 32%)
  • MEKPO는 유기과산화물 중 하나로, 산화 안정제 및 고분자 반응 촉진제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이 물질은 화재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한 보관 및 운반을 위해 지정수량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 지정수량은 10kg으로, 이는 MEKPO가 화재 위험이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대량으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경우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0kg 이상의 MEKPO를 보관하거나 운반할 경우에는 특별한 안전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은 제2류 위험물의 공통적인 저장 및 취급사항을 기술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열원 및 가열을 피한다.
  2. 산화제와의 접촉을 피한다.
  3. 금속분은 석유속에 저장한다.
  4. 용기의 파손 및 누출에 유의한다.
(정답률: 49%)
  • "금속분은 석유속에 저장한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제2류 위험물 중에는 금속분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금속칼륨은 공기중에서 수분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킨다. 이 때 열량은 약 몇 kcal 인가?

  1. 62.8
  2. 72.8
  3. 82.8
  4. 92.8
(정답률: 15%)
  • 금속칼륨과 수분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합물은 수산화칼륨(KOH)이다. 이 반응은 발열반응으로서, 2K(s) + 2H2O(l) → 2KOH(aq) + H2(g) 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반응에서 발생하는 열량은 반응열이라고 하며, 반응열은 생성된 모든 화합물의 표준 생성 엔탈피의 합에서 원료의 표준 생성 엔탈피의 합을 뺀 값이다. 따라서, 반응열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각 화합물의 표준 생성 엔탈피를 알아야 한다.

    수산화칼륨(KOH)의 표준 생성 엔탈피는 -424.5 kcal/mol 이다. 수소(H2)의 표준 생성 엔탈피는 0 kcal/mol 이다. 따라서, 반응열은 2 × (-424.5 kcal/mol) - 0 kcal/mol = -849 kcal/mol 이다. 하지만, 이 반응에서는 2 몰의 금속칼륨이 사용되므로, 반응열을 2 로 나누어줘야 한다. 따라서, 반응열은 -849 kcal/mol ÷ 2 = -424.5 kcal/mol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열량을 kcal 단위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반응열을 몰 단위에서 kcal 단위로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몰 단위에서 kcal 단위로 변환하는 상수인 1 mol = 6.022 × 10^23 개의 분자 = 1 kcal/mol 을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반응열은 -424.5 kcal/mol × (1 mol/6.022 × 10^23 개의 분자) = -7.05 × 10^-22 kcal/개의 분자 이다.

    문제에서는 금속칼륨 1 개가 반응할 때 발생하는 열량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위의 결과를 금속칼륨 1 개 단위로 변환해야 한다. 금속칼륨 1 개가 반응할 때 발생하는 열량은 -7.05 × 10^-22 kcal/개의 분자 × (1 mol/2 개의 금속칼륨 분자) × (6.022 × 10^23 개의 분자/1 mol) = -2.12 × 10^-22 kcal/개의 금속칼륨 이다.

    하지만, 이 결과는 반응열이 음수이므로, 열량은 반대로 양수가 된다. 따라서, 금속칼륨 1 개가 반응할 때 발생하는 열량은 2.12 × 10^-22 kcal/개의 금속칼륨 이다. 이 값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02 × 10^-20 kcal/개의 금속칼륨 이므로, 최종적으로는 92.8 kcal/몰에서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인 92.8 kcal/개의 금속칼륨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증기의 밀도가 가장 큰 것은?

  1. CH3OH
  2. C2H5OH
  3. CH3COCH3
  4. CH3COOC5H11
(정답률: 52%)
  • 증기의 밀도는 분자량이 작고 온도가 높을수록 작아지므로, 분자량이 크고 온도가 낮은 "CH3COOC5H11"의 증기 밀도가 가장 큽니다. 이유는 분자량이 크면 분자 간 거리가 멀어져서 증기 분자들이 서로 충돌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온도가 낮으면 분자들의 운동 에너지가 작아져서 증기 분자들이 서로 충돌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메탄올의 화학적, 물리적 성질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산화되면 포름알데히드가 된다.
  2. 비중이 0.8이므로 물과 층분리가 일어난다.
  3. 알칼리금속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킨다.
  4. 완전연소시키면 물과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정답률: 35%)
  • "비중이 0.8이므로 물과 층분리가 일어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메탄올은 물과 잘 섞이기 때문에 층분리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유는 메탄올과 물 모두 극성 분자이기 때문에 서로 분자 간의 인력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서로 잘 섞입니다. 따라서 메탄올은 물과 혼합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중 에틸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의 공통점이 아닌 것은?

  1. 독성이 있다.
  2. 수용성 이다.
  3. 무색의 액체이다.
  4. 단맛이 있다.
(정답률: 28%)
  • 에틸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의 공통점은 수용성이고 무색의 액체이며 단맛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에틸렌글리콜은 인체에 대해 독성이 있습니다. 에틸렌글리콜은 소화기관, 신경계, 심장 및 신장에 영향을 미치며, 고농도로 노출될 경우 중독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에틸렌글리콜은 안전에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중 제2석유류로만 짝지어진 것은?

  1. 등유 – 피리딘
  2. 경유 - 휘발유
  3. 등유 – 중유
  4. 경유 - 아크릴산
(정답률: 43%)
  • 경유은 제2석유류이며, 아크릴산은 석유화학제품으로 경유와 짝지어진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른 종류의 석유류와 짝지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조건 중에서 제2종 가연물을 설명한 것은?

  1. 20℃에서 가연성 증기를 발생하면서 연소 열량은 1kg당 8000 칼로리 이상인 것
  2. 40℃이상에서 100℃미만에서 가연성 증기를 발생하는 것
  3. 30℃ 이상에서 가연성 증기를 발생하는 것
  4. 100℃ 이상에서 가연성 증기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연소 열량이 1kg당 8000 칼로리 이상인 것
(정답률: 45%)
  • 제2종 가연물은 40℃이상에서 100℃미만에서 가연성 증기를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는 해당 물질이 일정 온도 이상에서 증기 상태로 변화하면서 공기와 혼합되어 폭발성을 가지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은 보관 및 운반 시에 안전에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질산의 성질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금· 백금 등 귀금속을 녹인다.
  2. 가열 또는 햇빛에 의하여 수소가스가 발생한다.
  3. 황(S), 인(P), 탄소와는 가열해도 반응하지 않는다.
  4. 강한 산성을 나타내며 68% 수용액 일 때 가장 높은 끓는점을 가진다.
(정답률: 18%)
  • 질산은 강한 산성을 나타내며, 이는 수소 이온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68% 수용액 일 때 가장 높은 끓는점을 가지는 이유는, 질산이 물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수소 이온과 질산 이온의 수가 균형을 이루는 농도가 68%일 때, 이 균형이 가장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농도가 68%인 질산 수용액은 높은 끓는점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제6류 위험물의 공통적인 특성으로서 틀린 것은? (단, 과산화수소는 제외한다.)

  1. 센산화력이 있다.
  2. 가열하면 발화한다.
  3. 물로 희석하면 발열한다.
  4. 피부나 의류에 닿으면 부식시킨다.
(정답률: 23%)
  • 센산화력이 있다는 것은 산화 작용을 일으켜서 주변 물질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성질을 말합니다. 이러한 성질로 인해 제6류 위험물은 가열하면 발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열하면 발화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소방법에 의한 위험물을 취급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유효하게 제거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인화방지망 설치방법
  2. 접지에 의한 방법
  3. 공기를 이온화 하는 방법
  4. 상대습도를 70%이상 높이는 방법
(정답률: 62%)
  • 인화방지망 설치방법은 정전기 방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인화방지망은 화재 발생 시 전기적인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한 장치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인화방지망 설치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제5류 위험물이 아닌 것은?

  1. 니트로글리세린
  2. 니트로톨루엔
  3. 니트로글리콜
  4. 트리니트로톨루엔
(정답률: 40%)
  • 니트로글리콜은 제5류 위험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니트로글리콜은 폭발성이나 화재 위험이 없으며, 인체에 대한 위험성도 낮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화합물중 망간의 산화수가 +6인 것은?

  1. KMnO4
  2. MnO2
  3. MnSO4
  4. K2MnO4
(정답률: 10%)
  • 망간의 산화수가 +6인 화합물은 K2MnO4입니다. 이유는 망간의 최고 산화수는 +7이므로, 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음이온인 O2-와 결합하여 MnO42- 이온을 형성합니다. 이 이온에 양이온인 K+가 두 개 결합하여 K2MnO4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삼황화린(P4S3)은 다음 중 어느 물질에 녹는가?

  1. 염산
  2. 질산
  3. 황산
(정답률: 17%)
  • 삼황화린은 질산과 반응하여 황과 황산을 생성합니다. 이는 삼황화린이 질산에 녹는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소방법상 위험물 분류 할 때 니트로화합물류에 속하는 것은?

  1. 질산에틸[C2H5ONO2]
  2. 히드라진[N2H4]
  3. 질산메틸 [CH3ONO2]
  4. 피크르산[C6H2(OH)(NO2)2]
(정답률: 53%)
  • 니트로화합물류는 질산에틸, 질산메틸, 피크르산 등을 포함합니다. 이 중에서 피크르산은 높은 폭발성을 가지고 있어 위험물 분류에서 1.1B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크르산[C6H2(OH)(NO2)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불연성가스 소화설비의 대표적인 물질은?

  1. O2
  2. CO2
  3. CO
  4. CH3CO2
(정답률: 67%)
  • 불연성가스 소화설비는 산소를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하는데, CO2는 산소를 차단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대표적인 물질로 사용됩니다. O2는 오히려 화재를 지원하므로 사용할 수 없고, CO와 CH3CO2는 화재 진압 능력이 CO2보다 떨어지기 때문에 대표적인 물질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