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4-04)

전자계산기기능사
(2004-04-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공학

1. 다이오드를 사용한 브리지정류회로는 주로 어떤 정류회로인가?

  1. 반파 정류회로
  2. 전파 정류회로
  3. 배전압 정류회로
  4. 정전압 정류회로
(정답률: 48%)
  • 다이오드를 사용한 브리지정류회로는 주로 전파 정류회로입니다. 이는 전파를 정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전파 정류회로는 고주파 신호를 정류하는데 사용되며,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일방향으로 만들어 전파를 정류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전파 정류회로는 라디오나 텔레비전 등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10Ω과 15Ω의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고 50A의 전류를 흘렸을 때 15Ω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4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지 등의 기전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피측정 회로로부터 전류의 공급을 받지 않고 측정하는 방법은?

  1. 전압강하법
  2. 전위차계법
  3. 검류계법
  4. 브리지법
(정답률: 34%)
  • 전위차계법은 전지 등의 기전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피측정 회로로부터 전류의 공급을 받지 않고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전압을 측정하여 전위차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전력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전위차계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Y결선 회로의 선간전압이 210V인 3상평형에서 상전압은약 몇 V인가?

  1. 110
  2. 121
  3. 297
  4. 364
(정답률: 39%)
  • 3상평형에서 상전압은 선간전압의 루트3 배가 된다. 따라서, 상전압은 210V x 루트3 = 364V 가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21" 인 것은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은 트랜지스터회로의 동작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R1이 단선되면 베이스 전압이 상승하여 컬렉터전류가 증가한다.
  2. R2가 단선되면 베이스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컬렉터전압은 증가한다.
  3. R3가 단선되면 이미터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컬렉터전압은 저하한다.
  4. TR의 베이스-이미터 간에는 R1과 R3의 단자전압의 차가 걸리게 된다.
(정답률: 53%)
  • R3가 단선되면 이미터-베이스 간의 전압차가 없어져 베이스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컬렉터 전류도 흐르지 않게 되어 컬렉터 전압이 저하하게 됩니다. 따라서 "R3가 단선되면 이미터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컬렉터전압은 저하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a)에 입력으로 그림(b)를 넣을 때 출력은? (단, A는 연산증폭기이다.)

  1. 펄스전압
  2. 스탭전압
  3. 크기가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전압
  4. 크기가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전압
(정답률: 43%)
  • 입력으로 들어온 그림(b)는 스탭전압이다. 스탭전압은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출력되는 전압은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며 변하지 않는다. 하지만 A 연산증폭기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은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폭되므로, 입력되는 스탭전압의 크기가 직선적으로 증가할 때 출력되는 전압도 직선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크기가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전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UJT를 사용한 펄스 발생회로이다. 펄스 출력파형은?

(정답률: 40%)
  • UJT는 양끝에 있는 P-N 접합 다이오드와 중간에 위치한 P-N 접합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반도체 소자로, 특정 전압 이상이 되면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C1이 충전되는 동안 UJT의 전압이 점점 증가하다가 특정 전압(Vp)에 도달하면 UJT에서 전류가 흐르면서 C1을 방전시키고, 이 과정에서 R1, R2, C1을 통해 펄스가 발생한다. 따라서 펄스 출력파형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주파수변조에서 변조지수는? (단, fm : 변조주파수, fo : 반송주파수, △f : 반송주파수 부터의 편이이다.)

  1. (fo-△f)/fm
  2. fm/(fo-△f)
  3. fo/fm
  4. △f/fm
(정답률: 46%)
  • 주파수 변조에서 변조지수는 변조주파수의 최대 편이를 반송주파수의 주파수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변조지수는 △f/f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주어진 회로의 정현파 입력에 대한 출력파형은? (단, Vin의 최대값>VB이다.)

(정답률: 47%)
  • 주어진 회로는 정류기와 필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류기는 입력 신호의 음극성을 제거하여 양극성 신호만을 출력하고, 필터는 출력 신호의 고조파를 제거하여 정현파만을 출력합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양극성 정현파일 경우, 정류기에 의해 양극성 신호만이 출력되고, 필터에 의해 고조파가 제거되어 양극성 정현파가 출력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과 같은 회로의 입력측에 정현파를 가할 때 출력측에 나오는 파형은 어떻게 되는가? (단, vi=Vmsinωt[V]이고 Vm>Vʀ이다.)

(정답률: 62%)
  • 이 회로는 정류기와 필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류기는 입력 신호의 음극을 제거하여 양극만을 출력하고, 필터는 출력 신호의 고조파를 제거하여 정현파를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정현파일 경우, 출력 신호는 입력 신호의 양극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구조

11. 자료가 리스트에 첨가되는 순서에서 그 반대의 순서대로만 처리 가능한 것을 LIFO 리스트라 하는데 이것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1. 큐(Queue)
  2. 스택(Stack)
  3. 데크(Deque)
  4. 피포(FIFO)
(정답률: 69%)
  • LIFO는 Last In First Out의 약자로, 마지막에 들어온 자료가 가장 먼저 처리되는 구조를 의미합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자료구조를 스택(Stack)이라고 부릅니다. 스택은 자료를 쌓아 올리듯이 쌓아 올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가장 최근에 삽입된 자료가 가장 먼저 처리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료가 리스트에 첨가되는 순서에서 그 반대의 순서대로만 처리 가능한 것을 스택(Stack)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는 각각 하나이며, 입력단자가 1이면 출력 단자는 0이 되고, 입력단자가 0이면 출력 단자가 1이 되는 회로는?

  1. 플립플롭 회로
  2. NOT 회로
  3. OR 회로
  4. AND 회로
(정답률: 75%)
  •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반대로 연결되어 있어서, 입력값이 반대로 출력값이 결정되는 회로를 NOT 회로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회로는 NOT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3K Word Memory의 실제 Word 수는?

  1. 3000
  2. 3072
  3. 4056
  4. 4096
(정답률: 74%)
  • 3K Word Memory는 3,000개의 단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컴퓨터에서 메모리 크기는 2의 거듭제곱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3,000을 가장 가까운 2의 거듭제곱으로 올림하여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크기를 계산해야 합니다.

    2의 11승은 2,048이고, 2의 12승은 4,096입니다. 따라서 3,000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크기는 2의 12승인 4,096보다 작고, 2의 11승인 2,048보다 큰 값이 됩니다.

    가장 가까운 2의 거듭제곱은 2의 11승인 2,048이므로, 3K Word Memory의 실제 Word 수는 2의 11승인 2,048개가 됩니다. 그러나 이 메모리는 12비트의 주소를 사용하므로, 2의 12승인 4,096개의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3K Word Memory의 실제 Word 수는 2의 11승인 2,048개가 아니라, 2의 12승인 4,096개가 됩니다.

    하지만, 4,096개의 주소 중에서 24개는 제어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실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주소는 4,096에서 24를 뺀 4,072개가 됩니다. 이를 Word 단위로 나누면 4,072 / 2 = 2,036개의 Word가 저장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3K Word Memory는 3,000개의 단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이므로, 이를 2의 거듭제곱으로 올림한 값인 2의 11승인 2,048개의 Word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K Word Memory의 실제 Word 수는 2,048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일부분의 비트 또는 문자를 지울 때 사용하는 연산은?

  1. OR
  2. AND
  3. MOVE
  4. SHIFT
(정답률: 68%)
  • 일부분의 비트 또는 문자를 지울 때는 AND 연산을 사용합니다. 이는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결과값이 1이 되기 때문에, 특정 비트를 0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1010101에서 3번째 비트를 0으로 만들고 싶다면, 00111111와 AND 연산을 수행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3번째 비트만 0이 되고, 나머지 비트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에 대한 다음 정의 중 옳은 것은?

  1. 레지스터 상호간에 저장된 데이터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
  2. 컴퓨터의 빠른 계산 동작
  3. 플립플롭 내에서 기억되는 동작
  4. 2진수 계산에서 쓰이는 동작
(정답률: 69%)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기본적인 동작 단위를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레지스터 상호간에 저장된 데이터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이 옳은 정의입니다. 이는 레지스터라는 기억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레지스터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말하며, 컴퓨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을 연산하거나, 다른 기억장치로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등의 작업에서 레지스터 간의 데이터 이동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컴퓨터의 기본적인 동작을 이루는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입·출력에 필요한 기능이 아닌 것은?

  1. 입·출력 버스
  2. 입·출력 인터페이스
  3. 입·출력 제어장치
  4. 입·출력 기억장치
(정답률: 39%)
  • 입·출력 기억장치는 입·출력에 필요한 기능이 아닙니다. 입·출력 기억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기억장치이며, 입·출력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출력 기억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한 코드는?

  1. BCD 코드
  2. 해밍 코드
  3. 그레이 코드
  4. 3초과 코드
(정답률: 81%)
  • 해밍 코드는 데이터 전송 시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위해 사용되는 코드로,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코드는 데이터 비트에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오류 검출 및 수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한 코드는 해밍 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출력 장치 중에서 X축과 Y축을 움직여 종이에 그림을 그려주는 장치는?

  1. 마우스
  2. 모니터
  3. 스피커
  4. 플로터
(정답률: 85%)
  • 플로터는 X축과 Y축을 움직여 종이에 그림을 그려주는 출력 장치입니다. 마우스는 입력 장치, 모니터는 출력 장치이지만 X축과 Y축을 움직여 그림을 그리는 기능은 없습니다. 스피커는 소리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이며, 그림을 그리는 기능은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플로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주기억 장치로부터 제어장치로 해독할 명령을 꺼내오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실행(execution)
  2. 단항 연산(unary operation)
  3. 직접 번지(direct address)
  4. 명령어 인출(instruction fetch)
(정답률: 86%)
  • 주기억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서 다음 실행할 명령어를 가져와 제어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명령어 인출(instruction fetch)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명령어 인출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보조기억장치(하드디스크)의 전체 용량을 주기억장치인 것처럼 사용하는 형태로 기억공간을 확대하여 사용하는 메모리는?

  1. RAM
  2. ROM
  3. Flash Memory
  4. Virtual Memory
(정답률: 48%)
  • Virtual Memory는 보조기억장치(하드디스크)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여 기억공간을 확대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보조기억장치의 전체 용량을 주기억장치인 것처럼 사용하는 형태로 기억공간을 확대하여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2진수 (10110)2을 2의 보수로 변환한 값은?

  1. 01001
  2. 01010
  3. 11001
  4. 11010
(정답률: 75%)
  • 2진수 10110의 1의 보수는 01001이고, 2의 보수는 1의 보수에 1을 더한 값이므로 01010이 됩니다. 이는 2진수에서 음수를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인 2의 보수법에서 사용되는 변환 방법입니다. 2의 보수법은 양수와 음수를 모두 2진수로 표현할 수 있으며, 덧셈과 뺄셈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어서 컴퓨터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기억장치의 종류 중 소멸성 기억장치(destructive memory)와 비소멸성 기억장치(nondestructive memory)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소멸성 기억장치-전원을 꺼도 기억시킨 내용이 그대로 남아 있는 기억장치
  2. 소멸성 기억장치-전원과 관계없이 기억하는 기억장치
  3. 비소멸성 기억장치-전원을 끄면 기억내용이 지워지는 기억장치
  4. 비소멸성 기억장치-전원을 꺼도 기억시킨 내용이 남아 있는 기억장치
(정답률: 67%)
  • 정답은 "비소멸성 기억장치-전원을 꺼도 기억시킨 내용이 남아 있는 기억장치"입니다. 비소멸성 기억장치는 전원을 끄더라도 저장된 데이터가 유지되는 기억장치를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하드디스크, SSD,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습니다. 이와 달리 소멸성 기억장치는 전원을 끄면 저장된 데이터가 모두 사라지는 기억장치를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RAM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접속한 두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흐름 방향이 한 방향으로 한정되어 있는 통신 방식은?

  1. Simplex 통신 방식
  2. Half duplex 통신 방식
  3. Full duplex 통신 방식
  4. Multi point 통신 방식
(정답률: 53%)
  • Simplex 통신 방식은 데이터의 흐름 방향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방식입니다. 즉, 송신자와 수신자가 각각 데이터를 보내고 받는 것이 아니라, 한 쪽에서만 데이터를 보내고 다른 쪽에서는 받기만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Simplex 통신 방식은 일방향 통신에 적합하며, 예를 들어 TV나 라디오 방송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펄스가 입력되면 현재와 반대의 상태로 바뀌게 하는 토글(toggle) 상태를 만드는 회로는?

  1. R 플립플롭
  2. T 플립플롭
  3. RS 플립플롭
  4. JK 플립플롭
(정답률: 83%)
  • T 플립플롭은 입력되는 펄스에 따라 현재 상태를 반대로 바꾸는 토글(toggle) 동작을 수행하는 플립플롭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동작을 가장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 T 플립플롭입니다. R 플립플롭은 리셋(reset) 동작을 수행하는 플립플롭이고, RS 플립플롭과 JK 플립플롭은 입력값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복잡한 플립플롭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T 플립플롭이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단항(unary) 연산인 것은?

  1. OR
  2. MOVE
  3. XOR
  4. AND
(정답률: 73%)
  • 단항 연산은 하나의 피연산자만을 가지고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OR", "XOR", "AND"는 모두 이항 연산자이므로 단항 연산이 아닙니다. 반면에 "MOVE"는 하나의 피연산자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단항 연산자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근거리의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호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은?

  1. LAN
  2. VAN
  3. ISDN
  4. WAN
(정답률: 78%)
  • 근거리의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호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은 LAN(Local Area Network)입니다. LAN은 지리적으로 제한된 작은 지역 내에서 컴퓨터들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공유하고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네트워크입니다. 따라서 근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것이 목적인 이 문제에 가장 적합한 답은 LA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명령 코드부가 4비트, 번지부가 8비트로 이루어진 명령어 형식에서 명령어와 어드레스의 개수는?

  1. 명령어 4개, 어드레스 8개
  2. 명령어 4개, 어드레스 128개
  3. 명령어 16개, 어드레스 128개
  4. 명령어 16개, 어드레스 256개
(정답률: 55%)
  • 명령 코드부가 4비트이므로 2^4 = 16개의 명령어가 가능하고, 번지부가 8비트이므로 2^8 = 256개의 어드레스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명령어 16개, 어드레스 256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MOS 트랜지스터를 집적한 것으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기억 내용이 지워지므로 주기적으로 재충전(Refresh)이 필요한 메모리는?

  1. DRAM
  2. SRAM
  3. PROM
  4. EPROM
(정답률: 62%)
  • DRAM은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의 약자로, MOS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메모리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충전된 전하가 빠져 기억 내용이 지워지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재충전(Refresh)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DRAM은 주기적인 재충전이 필요한 메모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컴퓨터 내부에서 수치 자료를 표현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유동 소숫점 방식(floating format)
  2. 고정 소숫점 방식(fixed point)
  3. 팩 형식(pack format)
  4. ASCII
(정답률: 50%)
  • ASCII는 문자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컴퓨터 내부에서 수치 자료를 표현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ASCI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사진이나 그림 등에 빛을 쪼여 반사되는 것을 판별하여 복사하는 것처럼 이미지를 입력하는 장치는?

  1. 플로터
  2. 마우스
  3. 프린터
  4. 스캐너
(정답률: 81%)
  • 스캐너는 사진이나 그림 등에 빛을 쪼여 반사되는 것을 판별하여 복사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이미지를 입력하는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인 플로터는 그림이나 도형을 그리는 출력장치, 마우스는 컴퓨터 입력장치, 프린터는 이미지나 문서를 출력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프로그래밍일반

31.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는 번역 프로그램을 의미하는 것은?

  1. 매크로
  2. 컴파일러
  3. 프리프로세서
  4. 어셈블러
(정답률: 47%)
  • 어셈블리어는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기호로 작성된 프로그래밍 언어이고, 기계어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0과 1로 이루어진 언어입니다. 따라서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을 어셈블러라고 합니다. 매크로는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프로그램, 컴파일러는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 프리프로세서는 소스코드를 전처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명령 단위로 차례로 번역하여 즉시 실행하는 방식의 언어 번역 프로그램은?

  1. 컴파일러
  2. 운영체제
  3. 로더
  4. 인터프리터
(정답률: 37%)
  • 인터프리터는 명령 단위로 번역하여 즉시 실행하는 방식의 언어 번역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코드를 한 번에 모두 번역하지 않고, 실행 중에 필요한 부분만 번역하여 즉시 실행합니다. 이에 반해 컴파일러는 코드 전체를 번역하여 실행 파일을 생성하고, 이후에 실행 파일을 실행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운영체제의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감시 프로그램
  2. 서비스 프로그램
  3. 작업관리 프로그램
  4. 자료관리 프로그램
(정답률: 58%)
  • 운영체제의 제어 프로그램은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감시 프로그램, 작업관리 프로그램, 자료관리 프로그램은 모두 운영체제의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서비스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요청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체제의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서비스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어떤 업무 처리를 위하여 작성한 프로그램을 의미하는 것은?

  1. 목적 프로그램
  2. 컴파일러
  3. 원시 프로그램
  4. 로더
(정답률: 38%)
  •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초기 버전의 프로그램을 원시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이는 아직 컴파일러나 로더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이며, 사용자가 작성한 코드 그대로 실행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원시 프로그램"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프로그램의 번역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류는?

  1. 문법적 오류
  2. 논리적 오류
  3. 의미적 오류
  4. 물리적 오류
(정답률: 62%)
  • 프로그램의 번역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류 중 "문법적 오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 규칙에 어긋나는 코드 작성으로 인해 발생됩니다. 이는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가 코드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발견되며, 코드 실행이 불가능하거나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세미콜론을 빠뜨린 경우나 괄호의 짝이 맞지 않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프로그래밍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순서가 가장 적절한 것은?

  1. 프로그램 입력 - 논리오류 수정 - 모의자료 입력 -문법오류 수정 - 실행
  2. 프로그램 입력 - 모의자료 입력 - 논리오류 수정 -문법오류 수정 - 실행
  3. 프로그램 입력 - 문법오류 수정 - 모의자료 입력 -논리오류 수정 - 실행
  4. 프로그램 입력 - 논리오류 수정 - 문법오류 수정 -모의자료 입력 - 실행
(정답률: 30%)
  • 정답은 "프로그램 입력 - 모의자료 입력 - 논리오류 수정 -문법오류 수정 - 실행" 입니다.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는 먼저 프로그램을 입력하고, 그 다음에 모의자료를 입력합니다. 모의자료는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후에는 논리오류를 수정하고, 문법오류를 수정합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이러한 순서로 작업을 진행하면 프로그램을 보다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기본구조와 거리가 먼 것은?

  1. 순차구조
  2. 선택구조
  3. 병행구조
  4. 반복구조
(정답률: 62%)
  • 구조적 프로그래밍에서는 순차구조, 선택구조, 반복구조를 기본구조로 사용합니다. 이들은 모두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구조로, 순차적으로 실행되거나 조건에 따라 분기되거나 반복되는 형태입니다. 하지만 병행구조는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되는 구조로,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기본구조와는 거리가 먼 개념입니다. 병행구조는 프로그램의 병렬처리를 위해 사용되며, 멀티코어 CPU나 분산 시스템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운영체제의 평가기준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처리능력
  2. 사용가능도
  3. 비용
  4. 신뢰도
(정답률: 86%)
  • 운영체제의 평가기준 중에서 비용은 다른 성능 지표들과는 달리 직접적으로 사용자나 기업의 비용과 연관이 있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입니다. 즉, 운영체제를 도입하거나 업그레이드하는 비용, 유지보수 비용 등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이러한 비용이 많이 드는 운영체제는 사용자나 기업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용은 운영체제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로더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할당
  2. 링킹
  3. 재배치
  4. 번역
(정답률: 75%)
  • 로더는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번역"은 로더의 기능이 아닙니다. 번역은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가 수행하는 작업으로,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프로그램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2. 프로그램의 구조가 간결하다.
  3. 문서로서의 역할을 한다.
  4. 프로그램의 수정은 쉬우나 유지하기가 까다롭다.
(정답률: 68%)
  • 프로그램의 수정은 쉬우나 유지하기가 까다롭다는 이유는, 구조적 프로그래밍에서는 모듈화와 추상화를 통해 프로그램을 작성하므로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찾기 쉽고 수정하기도 쉽지만, 모듈 간의 의존성이 높아져 유지보수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즉,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찾기 쉽지만 수정 후에도 다른 모듈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아 유지보수가 어려워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디지털공학

41. 다음 그림에서 논리식은?

(정답률: 36%)
  • 논리식은 "" 입니다.

    이유는 AND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되기 위해서는 입력 A와 입력 B가 모두 1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1, B=1 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식은 A AND B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표는 어떤 게이트의 진리표인가?

  1. AND
  2. OR
  3. EOR
  4. NOR
(정답률: 74%)
  • 입력 A와 입력 B가 모두 0일 때만 출력이 1이므로, 이는 논리합(NOT(A) AND NOT(B))의 부정인 NOR 게이트의 진리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레지스터(Register)를 구성하는 기본 소자는?

  1. Flip-Flop(플립플롭)
  2. Encoder(부호기)
  3. Decoder(해독기)
  4. Adder(가산기)
(정답률: 82%)
  •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장치로, 이를 구성하는 기본 소자는 플립플롭입니다. 플립플롭은 1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본적인 저장소로,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값이 바뀌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레지스터는 여러 개의 플립플롭을 조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플립플롭은 레지스터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소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그림은 반가산기 회로이다. 자리올림 단자는?

  1. A
  2. B
  3. C
  4. D
(정답률: 63%)
  • 반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A, B)과 두 개의 출력(S, C)을 가지며, 입력된 두 비트의 합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자리올림 단자는 입력된 두 비트의 합이 2 이상일 때 1을 출력하는 단자이다. 그림에서는 입력 A와 B를 XOR 게이트로 연결하여 S를 출력하고, 입력 A와 B를 AND 게이트로 연결하여 C를 출력하고 있다. 따라서 C가 자리올림 단자에 해당한다. 정답은 "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논리 기호 중 배타적 논리합 회로는?

(정답률: 54%)
  • 배타적 논리합은 두 입력 중 하나만 참일 때 참이 되는 논리 연산입니다. 따라서, 두 입력이 모두 참이거나 모두 거짓일 때는 거짓이 되어야 합니다. 이를 만족하는 논리 기호는 ""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 : AND 연산자는 두 입력이 모두 참일 때만 참이 되므로, 배타적 논리합을 만족하지 않습니다.
    - "" : OR 연산자는 두 입력 중 하나 이상이 참일 때 참이 되므로, 두 입력이 모두 참일 때도 참이 되어 배타적 논리합을 만족하지 않습니다.
    - "" : XOR 연산자는 두 입력 중 하나만 참일 때 참이 되므로, 배타적 논리합을 만족합니다.
    - "" : NAND 연산자는 두 입력이 모두 참일 때만 거짓이 되므로, 배타적 논리합을 만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그림의 게이트 명칭은?

  1. OR
  2. AND
  3. NAND
  4. NOR
(정답률: 42%)
  • 입력된 A와 B 중 하나 이상이 0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회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논리회로는 OR 게이트로도 구현할 수 있지만, NAND 게이트로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게이트의 명칭은 NAN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림과 같은 플립플롭의 명칭은?

  1. RS
  2. T
  3. D
  4. JK
(정답률: 46%)
  • 림과 같은 플립플롭의 명칭은 "D"입니다. 이유는 보기에서 "D"가 JK 플립플롭과 함께 시퀀셜 논리 회로를 구성하는 플립플롭 중 하나인 D 플립플롭이기 때문입니다. RS와 T 플립플롭은 각각 입력 신호에 따라 상태를 변경하는 비동기식 플립플롭이고, JK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에 따라 상태를 변경하는 동기식 플립플롭입니다. D 플립플롭은 JK 플립플롭의 변형으로, 입력 신호가 "1"일 때만 상태를 변경하는 동기식 플립플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전가산기를 반가산기를 이용하여 구성하려고 한다. 필요한 반가산기의 개수와 게이트의 명칭은?

  1. 반가산기 1개, NAND
  2. 반가산기 1개, NOR
  3. 반가산기 2개, OR
  4. 반가산기 2개, AND
(정답률: 60%)
  • 전가산기는 합과 자리올림을 모두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반가산기만으로는 구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반가산기 2개가 필요합니다.

    두 개의 반가산기를 이용하여 전가산기를 구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첫 번째 반가산기: A와 B를 입력으로 받아 합(S)과 자리올림(C)을 출력합니다.
    - 두 번째 반가산기: 첫 번째 반가산기의 출력인 S와 Cin(전가산기의 입력으로 들어오는 자리올림)를 입력으로 받아 합(F)과 자리올림(Cout)을 출력합니다.

    이때, 전가산기의 출력인 합(F)은 두 개의 반가산기의 출력인 S와 C를 OR 게이트로 연결한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필요한 게이트는 OR 게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JK 마스터슬레이브 플립플롭에서 J=K=1인 상태에서 클럭 펄스가 "1"일 때 출력상태가 변화되면 입력측에 변화를 일으켜 오동작이 발생되는 현상은?

  1. 채터링 현상
  2. 레이스 현상
  3. 오버플로어 현상
  4. 토글 현상
(정답률: 22%)
  • JK 마스터슬레이브 플립플롭에서 J=K=1인 상태에서 클럭 펄스가 "1"일 때 출력상태가 변화되면, 마스터와 슬레이브 플립플롭이 동시에 출력을 변경하려고 하면서 경쟁 상태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쟁 상태로 인해 출력이 불안정하게 변하면서 오동작이 발생하는데, 이를 레이스 현상이라고 합니다. 즉, 레이스 현상은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논리 회로가 출력을 변경하려고 경쟁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오동작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드모르간(De Morgan) 정리로 옳은 것은?

(정답률: 72%)
  • ""가 옳습니다.

    드모르간 정리는 논리학에서 두 개의 명제에 대한 부정의 결합을 다루는 법칙입니다.

    첫 번째 보기와 두 번째 보기는 드모르간 정리의 부정의 결합 법칙을 나타냅니다.

    세 번째 보기는 드모르간 정리의 부정의 결합 법칙을 잘못 적용한 것입니다.

    네 번째 보기는 드모르간 정리의 적용과는 관련이 없는 명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컴퓨터 키보드와 같이 입력 단자에 나타난 정보를 코드화 하여 출력으로 내보내는 것은?

  1. 해독기(Decoder)
  2. 부호기(Encoder)
  3. 멀티플렉서(Multiplexer)
  4.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정답률: 43%)
  • 입력된 정보를 코드화하여 출력으로 내보내는 것이 부호기(Encoder)입니다. 부호기는 입력된 정보를 특정한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로, 예를 들어 ASCII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 그 예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부호기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10진수 3을 Gray Code 4bit로 올바르게 바꾼 것은?

  1. 0001
  2. 0010
  3. 0011
  4. 0100
(정답률: 50%)
  • Gray Code는 인접한 두 수의 이진수 표현에서 한 비트만 변경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10진수 3의 이진수 표현인 "0011"에서 한 비트만 변경하여 인접한 수인 "001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식이 성립할 때 A, B는?

  1. A=1, B=1
  2. A=0, B=0
  3. A=0, B=1
  4. A=1, B=0
(정답률: 65%)
  • 먼저, XOR 연산은 두 비트가 다를 때 1을 반환하고 같을 때 0을 반환합니다. 따라서, 위 식에서 A XOR B는 A와 B가 다를 때 1이 되고, 같을 때 0이 됩니다.

    그리고 AND 연산은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 1을 반환하고, 그 외에는 0을 반환합니다. 따라서, 위 식에서 (A XOR B) AND A는 A와 B가 다를 때 0이 되고, 같을 때는 A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OR 연산은 두 비트 중 하나라도 1이면 1을 반환하고, 그 외에는 0을 반환합니다. 따라서, 위 식에서 (A XOR B) OR B는 A와 B가 다를 때 B가 되고, 같을 때는 A가 됩니다.

    따라서, 위 식이 성립하려면 (A XOR B) AND A = (A XOR B) OR B가 되어야 합니다. 이를 만족하는 유일한 경우는 A=1, B=0일 때입니다.

    (A XOR B)는 1 XOR 0 = 1 이므로, (A XOR B) AND A는 1 AND 1 = 1이 되고, (A XOR B) OR B는 1 OR 0 = 1이 됩니다. 따라서, A=1, B=0일 때 위 식이 성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JK-FF에서 J입력과 K입력이 모두 1일 때 출력은 CLOCK에 의해 어떻게 되는가?

  1. 반전된다.
  2. 출력은 0이다.
  3. 기억을 유지한다.
  4. 출력은 1이다.
(정답률: 81%)
  • JK-FF에서 J입력과 K입력이 모두 1일 때, 출력은 이전 상태를 반전시킵니다. 이는 JK-FF의 동작 원리로 인해 발생하는데, J와 K가 모두 1이면 FF의 출력이 이전 상태와 반대가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전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가장 간단한 레지스터 회로는 외부 게이트가 전혀 없이 어떤 회로로 구성되어 지는가?

  1. 플립플롭
  2. AND 게이트
  3. X-OR 게이트
  4. 자기코어
(정답률: 68%)
  • 플립플롭은 가장 간단한 레지스터 회로로, 외부 게이트 없이도 구성할 수 있습니다. 플립플롭은 2개의 입력과 2개의 출력을 가지며,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이 바뀌는 회로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플립플롭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가장 간단한 레지스터 회로는 플립플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2진화 10진수로 표시된 (10000101) BCD 을 10진수로 나타낸 것은?

  1. 85(10)
  2. 83(10)
  3. 58(10)
  4. 53(10)
(정답률: 68%)
  • BCD(Binary Coded Decimal)는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여 각 자리수를 4비트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10000101) BCD는 다음과 같이 각 자리수를 4비트로 표현한 것입니다.

    1 0 0 0 0 1 0 1

    이를 10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 10^7 + 0 × 10^6 + 0 × 10^5 + 0 × 10^4 + 0 × 10^3 + 1 × 10^2 + 0 × 10^1 + 5 × 10^0 = 85

    따라서 정답은 "85(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패리티 비트(parity bi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에러를 검색만 할 수 있다.
  2. 에러를 교정만 할 수 있다.
  3. 에러의 검색과 교정까지 가능하다.
  4. 에러 발생을 예방하는 기능이 있다.
(정답률: 50%)
  • 패리티 비트는 데이터 전송 시 데이터에 추가되는 비트로, 데이터의 0 또는 1의 개수를 짝수 또는 홀수로 유지시켜 에러를 검출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패리티 비트는 에러를 검색만 할 수 있고, 에러를 교정하거나 예방하는 기능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불 대수식 중 성립하지 않는 것은?

  1. A + A = A
  2. A + 1 = 1
  3. A + A' = 1
  4. A ㆍ A = 1
(정답률: 65%)
  • 정답은 "A ㆍ A = 1"입니다. 이는 모순적인 식입니다. 불 대수에서 1은 항등원으로서 어떤 식이든지 1과 곱해도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A ㆍ A가 1이 되기 위해서는 A가 1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A가 1이라면 A'는 0이 되므로 A ㆍ A'는 0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A ㆍ A = 1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2 × 4 디코더에 사용되는 AND 게이트의 최소 개수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32%)
  • 2 × 4 디코더는 2개의 입력선과 4개의 출력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출력선은 입력선의 조합에 따라서 1 또는 0이 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입력선의 조합에 따라서 해당 출력선이 1이 되도록 하는 AND 게이트가 필요합니다.

    각 출력선마다 입력선의 조합을 만족하는 AND 게이트가 필요하므로, 총 4개의 출력선이 있으므로 최소한 4개의 AND 게이트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16진 상향 계수기를 설계하기 위하여 최소로 필요한 JK 플립플롭의 개수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78%)
  • 16진 상향 계수기는 4비트씩 4개의 JK 플립플롭으로 구성됩니다. 각각의 JK 플립플롭은 2진수의 한 자리를 나타내며, 4개의 JK 플립플롭을 조합하여 16진수의 한 자리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16진 상향 계수기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최소 4개의 JK 플립플롭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