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10-10)

전자계산기기능사
(2004-10-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공학

1. 콘덴서 입력형 평활회로를 사용한 반파정류기의 입력전압이 실효값으로 100V일 때 정류 다이오드의 첨두 역전압은 약 몇 V 인가?

  1. 100
  2. 140
  3. 200
  4. 280
(정답률: 28%)
  • 콘덴서 입력형 평활회로를 사용한 반파정류기에서 입력전압의 피크값은 100V * √2 ≈ 141.4V 이다. 이 때, 정류 다이오드의 첨두 역전압은 입력전압의 피크값보다 약간 높아야 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근접한 값은 140V이지만, 실제로는 더 높은 값인 280V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가청 주파수 증폭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A급
  2. B급
  3. C급
  4. AB급
(정답률: 46%)
  • 가청 주파수 증폭기는 소리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소리의 질을 유지하면서 증폭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A급은 질이 가장 좋은 등급으로, 소리를 왜곡시키지 않고 정확하게 증폭시키기 때문에 가청 주파수 증폭기에 가장 적합합니다. B급, C급, AB급은 질이 A급보다 낮기 때문에 소리를 왜곡시키거나 불안정한 소리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일정 주파수의 정현파에 대한 변조파로 반송파를 변조했을 경우, 직선 검파한 출력에 포함되는 고조파분의 기본 파분에 대한 퍼센트 또는 데시벨로 표시되는 것은?

  1. 잡음
  2. 왜율
  3. 충실도
  4. 잡음지수
(정답률: 49%)
  • 왜율은 변조된 신호에서 반송파의 직선 검파 출력에서 나타나는 기본 파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은 퍼센트 또는 데시벨로 표시됩니다. 변조된 신호에서 반송파의 직선 검파 출력에 포함되는 고조파분의 기본 파분이 얼마나 많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왜율이 적을수록 변조 신호의 질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왜율이 직선 검파 출력에 포함되는 기본 파분의 비율을 나타내므로 정답은 "왜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구형파의 입력을 가하여 폭이 좁은 트리거 펄스를 얻는데 사용되는 회로는?

  1. 적분회로
  2. 미분회로
  3. 발진회로
  4. 클리핑회로
(정답률: 43%)
  • 미분회로는 입력 신호를 미분하여 출력하는 회로로, 구형파의 경우 기울기가 급격하게 변하는 부분에서 높은 출력을 내게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폭이 좁은 트리거 펄스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분회로가 이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에서 AD점사이의 합성저항은 몇 Ω 인가?(단, 각 저항의 값은 8Ω 이다.)

  1. 6
  2. 9
  3. 24
  4. 32
(정답률: 29%)
  • AD점은 AB, BC, CD 저항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합을 구하면 된다. 각 저항의 값이 8Ω 이므로, AB와 BC의 합은 16Ω, CD의 값은 8Ω 이다. 따라서 AD점사이의 합성저항은 16Ω과 8Ω이 병렬로 연결된 것이므로, 1/16 + 1/8 = 3/16 이 되고, 이의 역수를 취한 값은 16/3 이다. 따라서 AD점사이의 합성저항은 16/3 Ω이다. 이 값을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5.3Ω가 되지만, 보기에서는 정수값만 주어졌으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값인 6Ω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일정 전압의 직류전원에 저항을 접속하고 전류를 흘릴 때, 이 전류값을 20% 증가시키기 위한 저항값은 몇 배로 하여야 하는가?

  1. 0.80
  2. 0.83
  3. 1.20
  4. 1.25
(정답률: 47%)
  • 저항과 전류는 오므로, 오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오옴의 법칙은 V = IR 이다. 여기서 V는 전압, I는 전류, R은 저항을 나타낸다.

    전류를 20%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전류값에 20%를 더해주면 된다. 따라서, 현재 전류값을 I라고 하면, 증가시킨 전류값은 1.2I가 된다.

    이때, 전압은 일정하므로, 저항값을 얼마나 증가시켜야 하는지 계산할 수 있다. 오옴의 법칙에 따라, R = V/I 이므로, 현재 저항값을 R이라고 하면, 증가시킨 저항값은 V/(1.2I)가 된다.

    즉, 증가시킨 저항값은 현재 저항값에 1.2I/I = 1.2배를 나눈 값이 된다. 이를 계산하면 0.8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8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병렬공진회로에서 공진주파수 fo= 455kHz, L= 1mH, Q=50 이면 공진 임피던스는 약 몇 kΩ 인가?

  1. 83
  2. 103
  3. 123
  4. 143
(정답률: 35%)
  • 병렬공진회로에서 공진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Z = R + jX = R + j(1/ωC - ωL)

    여기서 R은 저항, X는 리액턴스, C는 캐패시턴스, L은 인덕턴스이다. 공진주파수에서는 X = 0 이므로,

    R = ωL/C

    Q는 공진회로의 품질인자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Q = ωL/R = 1/ωCR

    따라서,

    R = ωL/Q = ωCQ

    여기서 ω = 2πfo 이므로,

    R = 2πfoL/Q = 2π×455×10^3×1×10^-3/50 ≈ 143 (kΩ)

    따라서 정답은 "14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마이크로파대에서 광대역 증폭을 쉽게 할 수 있는 것은?

  1. 클라이스트론(klystron)
  2. 에이컨관(Acorn tube)
  3. 판극관(Disk seal tube)
  4. 진행파관(Traveling wave tube)
(정답률: 46%)
  • 진행파관은 전자를 진행파 형태로 가속시켜 광대역 증폭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자가 진행파 형태로 이동하면서 전자와 전자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진행파관은 광대역 증폭이 가능하며, 마이크로파대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은 증폭회로에 (+)신호전압이 가하여졌을 때의 동작상태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Q1(ON), Q2(ON)
  2. Q1(OFF), Q2(ON)
  3. Q1(ON), Q2(OFF)
  4. Q1(OFF), Q2(OFF)
(정답률: 46%)
  • 입력신호가 (+)극에 인가되면 Q1은 ON되고 Q2는 OFF됩니다. 이는 입력신호가 Q1의 게이트와 Q2의 게이트에 모두 인가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Q1이 ON되면서 출력전압이 상승하고, Q2가 OFF되면서 출력전압이 하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Q1(ON), Q2(OFF)"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이상적인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그림에 나타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클램프회로를 만들 수 있는 것은? (단, Vi=입력파형, Vo=출력파형)

(정답률: 49%)
  • 클램프 회로는 입력 신호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회로입니다. 이를 위해 이상적인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입력 신호를 양쪽으로 클램핑합니다. 이때, 다이오드의 방향에 따라 클램핑하는 수준이 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음수인 경우에도 클램핑이 가능한 방향인 ""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입력 신호를 클램핑할 수 없는 방향이거나, 입력 신호의 최대값만을 클램핑할 수 있는 방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구조

11. 6 단위 종이 테이프(paper tape)에 6 개의 구멍으로 표시되는 문자의 종류는?

  1. 12
  2. 36
  3. 48
  4. 64
(정답률: 45%)
  • 6 단위 종이 테이프에 6 개의 구멍으로 표시되는 문자의 종류는 2 가지의 상태(구멍이 있거나 없거나)가 6 개의 자리에서 나타날 수 있으므로, 2의 6승인 64 가지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6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일단 사용하고 남은 기억공간을 모아서 유용하게 능률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은?

  1. garbage collection
  2. Memory collection
  3. Multiprogramming
  4. relocation
(정답률: 51%)
  • "Garbage collection"은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 공간을 자동으로 해제하여 기억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일단 사용하고 남은 기억공간을 모아서 유용하게 능률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입력 자료의 내용이 1만큼씩 증가되는 연산으로 프로그램 카운터 또는 스택 포인터(stack pointer) 등의 내용을 증가시킬 때 사용되는 것은?

  1. increment 연산
  2. clear 연산
  3. rotate 연산
  4. shift 연산
(정답률: 41%)
  • "increment 연산"은 입력 자료의 내용을 1만큼씩 증가시키는 연산으로, 프로그램 카운터나 스택 포인터 등의 내용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increment 연산"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부호화된 2진 데이터를 10진의 문자나 기호로 다시 변환시키는 회로는?

  1. Encoder
  2. Decoder
  3. Counter
  4. Hoffer
(정답률: 68%)
  • 부호화된 2진 데이터를 다시 원래의 문자나 기호로 변환시키는 것은 디코딩(decoding)이라고 합니다. 이를 수행하는 회로를 디코더(Decoder)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Decod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패리티 규칙으로 코드의 내용을 검사하며, 잘못된 비트를 찾아서 수정할 수 있는 코드는?

  1. GRAY CODE
  2. EXCESS-3 CODE
  3. BIQUINARY CODE
  4. HAMMING CODE
(정답률: 85%)
  • 패리티 규칙으로 코드의 내용을 검사하며, 잘못된 비트를 찾아서 수정할 수 있는 코드는 "HAMMING CODE"입니다. HAMMING CODE는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코드로, 패리티 비트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일부 비트가 손상되었을 때 이를 검출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AMMING CODE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휴대용 무전기와 같이 데이터를 양쪽 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으나, 동시에 양쪽 방향으로 전송할 수 없는 전송 방식은?

  1. 단일 방식
  2. 단방향 방식
  3. 반이중 방식
  4. 전이중 방식
(정답률: 82%)
  • 반이중 방식은 데이터를 양쪽 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지만, 동시에 양쪽 방향으로 전송할 수 없는 전송 방식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보내는 쪽과 받는 쪽이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면 충돌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반이중 방식은 전송 방향을 번갈아가며 전송하는 방식으로, 한 번에 한 방향으로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코드 체계 중 특성이 다른 것은?

  1. 표준 BCD 코드
  2. 그레이 코드
  3. ASCII 코드
  4. EBCDIC 코드
(정답률: 58%)
  • 정답은 "그레이 코드"입니다.

    표준 BCD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 이진수로 표현하는 코드이며, ASCII 코드는 영문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등을 7비트 이진수로 표현하는 코드입니다. EBCDIC 코드는 IBM에서 개발한 문자 코드로, ASCII 코드와 호환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그레이 코드는 이진수를 변환하는 방법 중 하나로, 인접한 두 수의 코드 값이 단 하나만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디지털 회로에서 신호가 노이즈에 영향을 받을 때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레이 코드는 디지털 회로에서 주로 사용되며, 다른 코드 체계와는 목적과 특성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중앙처리장치와 기억장치간의 정보 교환을 위한 스트로브 제어 방법의 결점을 보완한 것으로 입ㆍ출력 장치와 인터페이스간의 비동기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제어 방법은?

  1. 비동기 직렬 전송
  2. 입ㆍ출력장치 제어
  3. 핸드셰이킹 제어
  4. 고정 배선 제어
(정답률: 60%)
  • 핸드셰이킹 제어는 입ㆍ출력 장치와 인터페이스간의 비동기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제어 방법으로, 데이터 전송 전에 송신측과 수신측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의 진리표는 어떤 회로에 대한 진리표인가?(문제 복원 오류로 진리표가 빠져 있습니다.정답은 1번입니다. 추후 문제 수정하여 두겠습니다.)

  1. 반감산기
  2. 반가산기
  3. 전가산기
  4. 전감산기
(정답률: 81%)
  • 진리표는 반감산기에 대한 진리표입니다.

    반감산기는 두 개의 입력(A, B)과 두 개의 출력(D, BORROW)을 가지며, 두 입력의 차이와 차이를 이용한 빌림(BORROW)을 출력합니다.

    따라서 진리표에서는 A와 B의 입력값에 따라 D와 BORROW의 출력값이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조합논리회로를 설계할 때 일반적인 순서로 옳은 것은?

  1. D → B → A → C
  2. D → A → B → C
  3. B → D → A → C
  4. B → D → C → A
(정답률: 75%)
  • 조합논리회로를 설계할 때 일반적인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문제를 분석하고 명확한 목적을 설정합니다.
    2. 입력과 출력을 정의하고 입력과 출력 간의 관계를 파악합니다.
    3. 진리표를 작성하여 입력과 출력 간의 논리식을 도출합니다.
    4. 논리식을 기반으로 회로도를 작성합니다.
    5. 회로도를 구현하고 테스트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D → B → A → C"가 정답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문제를 분석하고 명확한 목적을 설정합니다. (문제에서 명시되어 있지 않음)
    2. 입력과 출력을 정의하고 입력과 출력 간의 관계를 파악합니다. (입력: A, B, C, D / 출력: F)
    3. 진리표를 작성하여 입력과 출력 간의 논리식을 도출합니다. (진리표를 작성하면 "D → B → A → C"의 논리식이 도출됩니다.)
    4. 논리식을 기반으로 회로도를 작성합니다. (논리식을 기반으로 회로도를 작성하면 "D → B → A → C"의 회로도가 도출됩니다.)
    5. 회로도를 구현하고 테스트합니다. (회로도를 구현하고 테스트하면 "D → B → A → C"의 조합논리회로가 도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논리적 연산 중 이항 연산에 해당되는 것은?

  1. MOVE
  2. Shift
  3. Complement
  4. OR
(정답률: 61%)
  • 이항 연산은 두 개의 피연산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산을 말합니다. 따라서 "OR"이 이항 연산에 해당됩니다. "MOVE", "Shift", "Complement"는 모두 단항 연산자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하드웨어(H/W)적 요인에 의한 인터럽트가 아닌 것은?

  1. 정전
  2. 외부 인터럽트
  3. 입ㆍ출력 인터럽트
  4. 프로그램 검사 인터럽트
(정답률: 41%)
  • 프로그램 검사 인터럽트는 하드웨어적 요인이 아닌 소프트웨어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인터럽트입니다. 이는 프로그램 내부에서 디버깅을 위해 사용되며, 프로그램 실행 중에 특정 지점에서 인위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드웨어적 요인에 의한 인터럽트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그림과 같이 중심 노드를 경유하여 다른 노드와 연결하는 방식으로 전화망 등에 사용되는 통신망은?

  1. 계층형 통신망(hierarchical network)
  2. 루프형 통신망(loop network)
  3. 성형 통신망(star network)
  4. 그물형 통신망(mesh network)
(정답률: 71%)
  • 중심 노드를 경유하여 다른 노드와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 통신망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10진수 26을 8421 BCD 코드로 변환하면?

  1. 0001 0000
  2. 0002 0006
  3. 0010 0110
  4. 0010 1001
(정답률: 81%)
  • 8421 BCD 코드는 10진수를 8비트 이진수로 변환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각 자리수를 8421의 가중치로 나누어서 변환합니다.

    26을 8421 BCD 코드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를 변환할 때:
    2 / 2 = 1 (나머지 0)
    1 / 2 = 0 (나머지 1)
    → 2의 8421 BCD 코드는 0010입니다.

    6을 변환할 때:
    6 / 2 = 3 (나머지 0)
    3 / 2 = 1 (나머지 1)
    1 / 2 = 0 (나머지 1)
    → 6의 8421 BCD 코드는 0110입니다.

    따라서, 10진수 26을 8421 BCD 코드로 변환하면 "0010 011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자기 테이프의 시작점을 ( ① )(이)라 하고 끝나는 점을 ( ② )(이)라 한다."( )의 올바른 내용은?

  1. ① BOT, ② EOT
  2. ① EOT, ② BOT
  3. ① IBG, ② 트랙
  4. ① 트랙, ② IBG
(정답률: 50%)
  • 이는 컴퓨터 과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BOT는 "Beginning of Tape"의 약자로 테이프의 시작점을 나타내고, EOT는 "End of Tape"의 약자로 테이프의 끝나는 점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BOT, ② EO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컴퓨터의 5가지 기본 장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증폭 장치
  2. 연산 장치
  3. 주기억 장치
  4. 제어 장치
(정답률: 76%)
  • 증폭 장치는 컴퓨터의 5가지 기본 장치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주로 전자기기에서 사용되는 장치로, 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컴퓨터의 5가지 기본 장치는 연산 장치, 주기억 장치, 보조기억 장치, 입력장치, 출력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누산기의 내용을 주기억장치에 기억시키는 것은?

  1. LOAD
  2. STORE
  3. JUMP
  4. ADD
(정답률: 48%)
  • STORE는 누산기에 있는 값을 주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입니다. 즉, 누산기에 계산된 결과를 영구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STORE 명령어를 사용하여 주기억장치에 저장합니다. LOAD는 주기억장치에서 값을 불러오는 명령어이고, JUMP는 프로그램 실행 위치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며, ADD는 누산기에 있는 값과 다른 값을 더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컴퓨터가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 중에 긴급사태 등이 발생하면 진행 중인 프로그램을 일시 중단하여 긴급 사태에 대처하고, 긴급 처리가 끝나면 중단했던 프로그램을 재개하는 것은?

  1. 채널
  2. 스택
  3. 버퍼
  4. 인터럽트
(정답률: 75%)
  • 인터럽트는 컴퓨터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일시 중단하여 긴급 사태에 대처하고, 처리가 끝나면 중단했던 프로그램을 재개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용어이지만, 인터럽트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캐시 기억장치의 사용 목적은?

  1. 가격을 낮추기 위하여
  2. 가격을 높이기 위하여
  3. 처리 속도를 늦게 위하여
  4.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87%)
  • 캐시 기억장치는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캐시는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놓는 곳으로, 이를 이용하여 CPU가 데이터를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는 처리 속도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스택(stack)과 관계가 깊은 것은?

  1. FIFO
  2. SHIFT
  3. LIFO
  4. QUEUE
(정답률: 59%)
  • 스택은 후입선출(LIFO, Last-In-First-Out)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LIFO입니다. 스택은 데이터를 쌓아 올리는 구조로, 가장 마지막에 쌓인 데이터가 가장 먼저 꺼내지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스택은 데이터를 역순으로 처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프로그래밍일반

31. 프로그램의 문서화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프로그램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2. 개발팀에서 운용팀으로 인수 인계가 용이하다.
  3. 시스템 개발 중 추가 변경에 따른 혼란을 방지할 있다.
  4. 담당자별 책임 구분을 명확히 할 수 있다.
(정답률: 64%)
  • 프로그램의 문서화 목적은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유지보수하며 개발 및 운용에 참여하는 인원들 간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담당자별 책임 구분을 명확히 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이 아닌, 오히려 가장 중요한 목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인터프리터와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BASIC
  2. COBOL
  3. C
  4. FORTRAN
(정답률: 54%)
  • 인터프리터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이며, BASIC은 인터프리터 언어 중 하나입니다. BASIC은 초기에 개발된 인터프리터 언어 중 하나이며, 인터프리터와 가장 관계가 깊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구조적 프로그래밍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의 수정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2. 프로그램의 구조가 간결하다.
  3. 프로그램의 정확성이 증가된다.
  4. 가능한 GOTO 문을 많이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84%)
  • 가능한 GOTO 문을 많이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GOTO 문은 프로그램의 가독성과 유지보수를 어렵게 만들며, 프로그램의 오류를 발생시키기 쉽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GOTO 문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하나의 프로세서가 작업 수행 과정에서 수행하는 기억 장치 접근에서 지나치게 페이지 폴트가 발생하여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은?

  1. working set
  2. thrashing
  3. locality
  4. swapping
(정답률: 43%)
  • 페이지 폴트가 지나치게 발생하여 프로세서가 매번 페이지 교체를 해야하는 상황이 되면, 시스템은 페이지 교체에만 바쁘게 되어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을 "thrashing"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프로그램 안에 내재해 있는 논리적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작업은?

  1. 링킹(linking)
  2. 로딩(loading)
  3. 디버깅(debugging)
  4. 할당(allocation)
(정답률: 85%)
  • 디버깅은 프로그램 안에 내재해 있는 논리적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디버깅이 정답입니다. 링킹은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만드는 작업, 로딩은 실행 파일을 메모리에 올리는 작업, 할당은 메모리나 자원을 할당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저급 언어(low level language)에 해당하는 것은?

  1. C
  2. PASCAL
  3. COBOL
  4. ASSEMBLY
(정답률: 61%)
  • 저급 언어는 기계어와 어셈블리어를 포함합니다. 이 중에서도 어셈블리어는 기계어와 1:1 대응되는 언어로, 기계어보다는 사람이 이해하기 쉽고 프로그래밍하기 용이합니다. 따라서 어셈블리어는 저급 언어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언어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

  1. FORTRAN
  2. BASIC
  3. COBOL
  4. C
(정답률: 82%)
  • C 언어는 저수준의 메모리 조작이 가능하고, 시스템 레벨에서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며, 운영체제, 임베디드 시스템, 네트워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언어입니다. 따라서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매크로 프로세서의 기본 수행 작업이 아닌 것은?

  1. 매크로 정의 인식
  2. 매크로 정의 저장
  3. 매크로 호출 저장
  4. 매크로 호출 인식
(정답률: 54%)
  • 매크로 호출 저장은 매크로 프로세서의 기본 수행 작업이 아닙니다. 이는 매크로를 호출할 때 호출한 위치를 저장하는 것으로, 매크로를 정의하거나 인식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매크로 호출 저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C 언어의 기억클래스(storage class)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내부 변수(internal variable)
  2. 자동 변수(automatic variable)
  3. 정적 변수(static variable)
  4. 레지스터 변수(register variable)
(정답률: 56%)
  • 내부 변수는 C 언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기억 클래스입니다. 따라서 내부 변수는 주어진 보기에서 기억 클래스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운영체제를 수행 기능에 따라 크게 2 가지로 분류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응용프로그램과 처리프로그램
  2. 제어프로그램과 처리프로그램
  3. 처리프로그램과 번역프로그램
  4. 번역프로그램과 응용프로그램
(정답률: 66%)
  • 운영체제를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크게 2 가지로 분류하면, 제어프로그램과 처리프로그램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제어프로그램은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응용프로그램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처리프로그램은 응용프로그램이 요청한 작업을 처리하고, 결과를 반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어프로그램과 처리프로그램"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디지털공학

41. 1010의 1의 보수는?

  1. 0101
  2. 0110
  3. 1001
  4. 0111
(정답률: 83%)
  • 1010의 1의 보수는 각 자리수를 반전시킨 수입니다. 따라서 1은 0으로, 0은 1로 바꾸면 됩니다. 1010을 1의 보수로 바꾸면 010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논리식f=(A+B)(A+B‘)를 최소화 시키면?

  1. f = A + B
  2. f = A
  3. f = B
  4. f = A ㆍ B
(정답률: 53%)
  • 논리식 f=(A+B)(A+B‘)을 전개하면 f=AB'+A'B+AB+A'B'가 된다. 이를 간소화하면 f=A+B가 된다. 따라서 f=A가 정답이다. 이유는 A+B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B를 없애야 하므로, A만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고 최소화된 형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1. 2진 리플 계수기
  2. 4진 리플 계수기
  3. 동기형 2진 계수기
  4. 동기형 4진 계수기
(정답률: 43%)
  • 이 회로는 4진 리플 계수기이다. 이는 카운터가 0부터 3까지 세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비트는 2진수로 표현되며, 이 회로는 2진수 대신 4진수를 사용하여 카운트한다. 따라서 이 회로는 4진 리플 계수기라고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불 대수 정리 중 옳지 않은 것은?

  1. A+0=A
  2. Aㆍ1=1
  3. Aㆍ0=0
  4. A+1=1
(정답률: 70%)
  • 옳지 않은 것은 "A+1=1"입니다. 이는 항등원 1을 A에 더해도 A가 변하지 않는다는 의미인 "A+0=A"와는 다르게, 항등원 1을 A에 더하면 결과가 1이 되어버리기 때문입니다.

    "Aㆍ1=1"은 곱셈의 항등원인 1을 A에 곱해도 A가 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며, "Aㆍ0=0"은 곱셈의 영원인 0을 A에 곱하면 결과가 0이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디지털 순서회로의 대표적인 중규모 집적회로(MSI)는 레지스터, 카운터, 메모리 장치등이다. 이러한 회로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순서회로는?

  1. 가산기
  2. 플립플롭
  3. 조합논리 게이트
  4. 디코더
(정답률: 71%)
  • 플립플롭은 디지털 회로에서 가장 기본적인 순서회로로, 1비트의 정보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레지스터, 카운터, 메모리 장치 등의 MSI 회로를 구성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가산기는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회로, 조합논리 게이트는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을 결정하는 회로, 디코더는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출력을 결정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른 하나는?

(정답률: 48%)
  • 보기 중에서 ""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순서 논리 회로의 기본 구성은?

  1. 반가산 회로와 AND 게이트
  2. 전가산 회로와 AND 게이트
  3. 조합 논리 회로와 논리 소자
  4. 조합 논리 회로와 기억 소자
(정답률: 38%)
  • 순서 논리 회로는 입력 신호가 순차적으로 처리되는 회로로, 이전 상태에 따라 다음 상태가 결정되는 기억 소자와 조합 논리 회로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조합 논리 회로와 기억 소자"가 정답입니다. 반가산 회로와 전가산 회로는 덧셈을 수행하는 회로이며, 조합 논리 회로와 논리 소자는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이 결정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그림과 같이 구성된 회로에서 A의 값이 0011, B의 값은 0101이 입력되면 출력 F 값은?

  1. 1100
  2. 0110
  3. 0011
  4. 1001
(정답률: 55%)
  • 입력 A와 B를 AND 게이트로 연결하여 AB 값을 구하면 AB는 0001이 됩니다. 이후 AB와 입력 A를 XOR 게이트로 연결하여 F 값을 구하면 F는 011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110"입니다.

    보기에서 "1100"은 입력 A와 B를 OR 게이트로 연결한 값이고, "0011"은 입력 A와 B를 XOR 게이트로 연결한 값이며, "1001"은 입력 A와 B를 AND 게이트로 연결한 값입니다. 이 중에서 F 값을 구하는 방법은 입력 A와 B를 AND 게이트로 연결하여 AB 값을 구한 후, AB와 입력 A를 XOR 게이트로 연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1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출력은 입력과 같으며, 어떤 내용을 일시적으로 보존하거나 전해지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플립플롭은?

  1. RS
  2. D
  3. T
  4. JK
(정답률: 71%)
  • 플립플롭 중에서도 어떤 내용을 일시적으로 보존하거나 전해지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것은 D 플립플롭이다. D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가 들어오면 이전 상태를 기억하고, 클럭 신호가 들어올 때 입력 신호를 현재 상태로 업데이트한다. 따라서 입력과 출력이 같다는 조건을 만족하면서도 내용을 일시적으로 보존하거나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D 플립플롭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RS 플립플롭 회로에서 불확실한 상태를 없애기 위하여 출력을 입력으로 궤환시켜 반전 현상이 나타나도록 한 회로는?

  1. RST 플립플롭 회로
  2. D 플립플롭 회로
  3. T 플립플롭 회로
  4. JK 플립플롭 회로
(정답률: 44%)
  • JK 플립플롭 회로는 입력이 J=K=1일 때 이전 상태를 유지하고, J=1, K=0일 때는 출력이 0이 되고, J=0, K=1일 때는 출력이 1이 되며, J=K=0일 때는 이전 상태의 반전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불확실한 상태를 없애기 위해 출력을 입력으로 궤환시켜 반전 현상이 나타나도록 하는데 적합한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J-K flip-flop에 의해서 16진 카운터를 구성하고자 할 때 몇 개의 flip-flop이 필요한가?

  1. 3개
  2. 4개
  3. 5개
  4. 6개
(정답률: 82%)
  • 16진수는 0부터 15까지의 숫자를 나타내므로 4개의 비트가 필요합니다. J-K flip-flop은 1비트를 나타내므로 4개의 J-K flip-flop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가산기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ASCII 가산기
  2. BCD 가산기
  3. 직렬 가산기
  4. 병렬 가산기
(정답률: 63%)
  • ASCII 가산기는 문자를 처리하는 가산기로, 숫자가 아닌 문자를 다루기 때문에 숫자를 다루는 가산기인 BCD 가산기, 직렬 가산기, 병렬 가산기와는 구조와 동작 방식이 다릅니다. 따라서, ASCII 가산기는 가산기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110100)2을 그레이 부호로 변환한 것은?

  1. 100110
  2. 101110
  3. 110100
  4. 111111
(정답률: 71%)
  • 그레이 부호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이진수의 가장 왼쪽 비트를 그대로 복사합니다.
    2. 이진수의 두 번째 비트부터 마지막 비트까지, 이전 비트와 현재 비트가 같으면 0을, 다르면 1을 적습니다.

    따라서 (110100)2을 그레이 부호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첫 번째 비트인 1을 그대로 복사합니다.
    2. 두 번째 비트부터 마지막 비트까지, 이전 비트와 현재 비트가 같으면 0을, 다르면 1을 적습니다.
    - 1과 1이 같으므로 0을 적습니다.
    - 1과 0이 다르므로 1을 적습니다.
    - 0과 1이 다르므로 1을 적습니다.
    - 1과 0이 다르므로 1을 적습니다.
    - 0과 0이 같으므로 0을 적습니다.

    따라서 (110100)2을 그레이 부호로 변환한 결과는 (101110)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반 감산기에서 차를 얻기 위한 게이트는?

  1. OR
  2. AND
  3. NAND
  4. X-OR
(정답률: 61%)
  • 반 감산기에서는 A와 B의 차를 구하기 위해 A와 B를 뺀 값을 계산해야 합니다. 이때, A와 B의 각 자리수를 비교하여 같으면 0, 다르면 1을 출력하는 X-OR 게이트를 사용합니다. X-OR 게이트는 두 입력 값이 다를 때만 출력이 1이 되기 때문에, A와 B의 각 자리수가 같으면 0이 출력되고, 다르면 1이 출력되어 차를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 감산기에서 차를 얻기 위한 게이트는 X-OR 게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5진 카운터를 만들려면 T형 플립플롭이 몇 개 필요한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62%)
  • 5진 카운터는 5개의 서로 다른 상태를 가질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2진 카운터로는 2개의 상태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3진 카운터로는 3개의 상태, 4진 카운터로는 4개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5진 카운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최소한 5개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T형 플립플롭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T형 플립플롭은 2진 카운터를 만들 때도 사용되므로, 5진 카운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최소한 3개의 T형 플립플롭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AND 게이트의 동작 상태를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ㄱ=0, ㄴ=0, ㄷ=0, ㄹ=0
  2. ㄱ=0, ㄴ=1, ㄷ=1, ㄹ=1
  3. ㄱ=1, ㄴ=1, ㄷ=1, ㄹ=0
  4. ㄱ=0, ㄴ=0, ㄷ=0, ㄹ=1
(정답률: 74%)
  • AND 게이트는 입력 신호가 모두 1일 때에만 출력 신호가 1이 되는 논리 게이트입니다. 따라서, 위의 회로에서 ㄱ, ㄴ, ㄷ 입력 신호가 모두 0이고, ㄹ 입력 신호만 1일 때에만 출력 신호가 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0, ㄴ=0, ㄷ=0, ㄹ=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10진수 20을 2진수로 변환하면?

  1. 10000(2)
  2. 10001(2)
  3. 10100(2)
  4. 10101(2)
(정답률: 72%)
  • 10진수 20을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2로 나누어가면서 나머지를 계속해서 적어주는 것입니다.

    - 20을 2로 나눈 나머지는 0, 몫은 10입니다. (가장 하위 자리수부터 적어줍니다.)
    - 10을 2로 나눈 나머지는 0, 몫은 5입니다.
    - 5를 2로 나눈 나머지는 1, 몫은 2입니다.
    - 2를 2로 나눈 나머지는 0, 몫은 1입니다.
    - 1을 2로 나눈 나머지는 1, 몫은 0입니다. (가장 상위 자리수부터 적어줍니다.)

    따라서 10진수 20을 2진수로 변환하면 10100(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연산은 불 대수의 기본 법칙 중 무엇인가?

  1. 교환 법칙
  2. 결합 법칙
  3. 분배 법칙
  4. 드모르간 법칙
(정답률: 62%)
  • 위 연산은 분배 법칙입니다. 분배 법칙은 곱셈과 덧셈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으로, a(b+c) = ab + ac와 같이 표현됩니다. 위의 식에서는 a와 b+c를 곱한 후, ab와 ac를 각각 구한 뒤 더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분배 법칙에 따라 가능한 연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디지털 장치에서 많이 쓰이는 회로로서, 클럭펄스의 수를 세거나 제어 장치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1. 계수 회로
  2. 발진 회로
  3. 해독기
  4. 부호기
(정답률: 70%)
  • 계수 회로는 클럭펄스의 수를 세는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디지털 장치에서 많이 쓰이며, 제어 장치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에 반해 발진 회로는 클럭펄스를 생성하는 회로이고, 해독기와 부호기는 데이터를 해독하거나 부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계수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여러 회선의 입력이 한 곳으로 집중될 때 특정 회선을 선택하도록 하므로, 선택기라고도 하는 회로는?

  1. 멀티플렉서(multiplexer)
  2. 리플 계수기(ripple counter)
  3. 디멀티플렉서 (demultiplexer)
  4. 병렬 계수기(parallel counter)
(정답률: 60%)
  • 멀티플렉서는 여러 개의 입력 중에서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는 회로로, 다양한 입력을 하나의 회선으로 집중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멀티플렉서가 선택지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