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4-08)

승강기기능사
(2012-04-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승강기개론

1. 승객이나 운전자의 마음을 편하게 해주고 주위의 분위기를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장치는?

  1. 통신장치
  2. 관제운전장치
  3. 구출운전장치
  4. BGM장치
(정답률: 95%)
  • BGM장치는 배경음악을 재생하는 장치로, 승객이나 운전자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주위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이 장치가 승객이나 운전자의 안전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지만,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운전자의 집중력을 높이고 승객의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장치가 아닌 것은?

  1. 구동기
  2. 스텝체인 구동장치
  3. 핸드레일 구동장치
  4. 구동체인 안전장치
(정답률: 57%)
  •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장치는 구동기, 스텝체인 구동장치, 핸드레일 구동장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구동체인 안전장치는 구동장치가 아닙니다. 구동체인 안전장치는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어 있는 장치로, 구동체인의 이상 동작을 감지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구동체인 안전장치는 구동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카가 정지하고 있지 않는 층의 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고, 각 층의 문이 닫혀있지 않으면 운전을 불가능하게 하는 장치는?

  1. 도어 인터록
  2. 도어 세이프티
  3. 도어 오픈
  4. 도어 클로저
(정답률: 66%)
  • 도어 인터록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중 하나로, 엘리베이터가 움직이기 전에 각 층의 문이 모두 닫혀있는지 확인하여 안전한 운행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카가 정지하고 있지 않은 층의 문이 열려있을 경우, 엘리베이터는 운행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중앙 개폐방식 승강장 도어를 나타내는 기호는?

  1. 2S
  2. UP
  3. CO
  4. SO
(정답률: 84%)
  • "CO"는 "Central Opening"의 약자로, 중앙 개폐방식을 나타내는 약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권상하중 1000[㎏], 권상속도 60[m/min]의 엘리베이터용 전동기의 최소 용량은 몇[㎾]인가? (단, 권상장치의 효율은 70%, 오버밸런스율은 50%이다.)

  1. 5.5
  2. 7
  3. 9.5
  4. 11
(정답률: 57%)
  • 전동기의 출력은 권상하중과 권상속도에 비례하므로,

    출력 = 권상하중 × 권상속도 = 1000 × 60 = 60000 [W]

    하지만, 권상장치의 효율과 오버밸런스율을 고려해야 하므로,

    전동기의 최소 용량 = 출력 ÷ (효율 × 오버밸런스율) = 60000 ÷ (0.7 × 0.5) ≈ 171428.6 [W]

    따라서, 최소 용량은 약 171.43 [kW]이며,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7 [kW]이므로 정답은 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승강로 출입구에 접한 승강 로비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승강 로비는 엘리베이터 전용으로 하여야 한다.
  2. 당해 부분의 벽이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은 난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3. 당해 부분의 천장이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은 난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4. 로비 하부는 준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59%)
  • 정답: 승강 로비는 엘리베이터 전용으로 하여야 한다.

    설명: 승강 로비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와 접해 있으므로, 다른 용도로 사용될 경우 엘리베이터 이용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승강 로비는 엘리베이터 전용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가장 먼저 등록된 부름에만 응답하고 그 운전이 완료될 때까지는 다음 부름에 응답하지 않는 방식으로 주로 화물용으로 사용되는 운전방식은?

  1. 단식 자동식
  2. 하강승합 전자동식
  3. 군 승합 전자동식
  4. 양방향 승합 전자동식
(정답률: 76%)
  • "단식 자동식"은 가장 먼저 등록된 부름에만 응답하고, 그 운전이 완료될 때까지는 다음 부름에 응답하지 않는 방식으로 주로 화물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운전방식은 이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엘리베이터 기계실의 바닥면적은 승강로 수평투영면적의 몇배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5배
  2. 2배
  3. 2.5배
  4. 3배
(정답률: 84%)
  • 엘리베이터 기계실은 승강로의 수평투영면적보다 크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이는 기계실 내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장비들의 유지보수 및 수리를 위해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기계실의 바닥면적은 승강로 수평투영면적의 2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강도가 크고 유연성이 적어야 한다.
  2. 강도가 크고 유연성이 풍부하여야 한다.
  3. 강도와 유연성이 적어야 한다.
  4. 강도가 적고 유연성이 풍부하여야 한다.
(정답률: 72%)
  •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매우 높은 하중을 견디어야 하므로 강도가 크고, 동시에 유연성이 풍부해야 합니다. 강도가 크지 않으면 로프가 끊어질 수 있고, 유연성이 적으면 로프가 고정되어 있을 때 진동이 발생하여 안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도와 유연성이 모두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 카 바닥 앞부분과 승강장 출입구 바닥 앞부분과의 틈새는 몇[㎝]이하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
  2. 3
  3. 4
  4. 5
(정답률: 43%)
  •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 카 바닥 앞부분과 승강장 출입구 바닥 앞부분과의 틈새는 최대 4cm 이하이다. 이는 안전기준으로 정해진 것으로, 만약 이보다 큰 틈새가 있다면 사람이 빠져나가거나 끼어들어 다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간접식 유압엘리베이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기계실의 위치가 자유롭다.
  2. 주로 저속 승강기에 사용된다.
  3. 승강행정이 짧은 승강기에 사용된다.
  4. 비상정치장치가 필요없다.
(정답률: 78%)
  • 간접식 유압엘리베이터는 유압실과 승강기 샤프트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비상정치장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유압실에서 유압액을 압축하여 승강기를 움직이기 때문에 승강기가 갑자기 멈추는 일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상정치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비상정지장치는 엘리베이터 정격속도의 얼마의 범위에서 동작해야 하는가?

  1. 1.3배 이하
  2. 1.3배 초과
  3. 1.4배 이하
  4. 1.4배 초과
(정답률: 45%)
  • 비상정지장치는 엘리베이터가 정격속도의 1.4배 이상으로 움직일 경우에 작동하여 엘리베이터를 멈추게 됩니다. 이는 엘리베이터가 너무 빠르게 움직여서 안전에 위협을 가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상정지장치는 엘리베이터 정격속도의 1.4배 이하에서 동작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오리피스 틈새
  2. 실린더
  3. 오일게이지
  4. 플런저
(정답률: 68%)
  • 오리피스 틈새는 실린더와 연결되어 있는 작은 구멍으로, 연료가 실린더로 흐르는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림에서도 오리피스 틈새가 실린더와 연결되어 있고, 연료가 이곳을 통해 실린더로 흐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오리피스 틈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가변전압 가변주파수(VVVF)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교류 엘리베이터 속도제어의 방법이다.
  2. 전동기는 교류 유도 전동기를 사용한다.
  3. 인버터제어이다.
  4. 직류 엘리베이터 속도제어 방법이다.
(정답률: 68%)
  • VVVF 제어는 교류 전동기를 사용하며, 인버터를 이용하여 주파수와 전압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직류 엘리베이터 속도제어 방법이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균형추의 LWNDFID을 결정하는 계산식은? (단, 여기서 L은 정격하중, F는 오버밸런스율이다.)

  1. 균형추의 중량 = 카 자체하중×(LㆍF)
  2. 균형추의 중량 = 카 자체하중+(L+F)
  3. 균형추의 중량 = 카 자체하중+(L-F)
  4. 균형추의 중량 = 카 자체하중+(LㆍF)
(정답률: 74%)
  • 균형추는 오버밸런스를 상쇄시켜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균형추의 중량은 오버밸런스율과 정격하중의 곱에 카 자체하중을 더한 값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균형추의 중량 = 카 자체하중+(LㆍF)"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안전관리

16. 점차작동형 비상정지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레일을 죄는 힘이 동작시부터 정지시까지 일정한 것이 F.G.C형이다.
  2. 레일을 죄는 힘이 처음에는 약한데 하강함에 따라 강하다가 얼마 후 일정값에 도달하는 것이 F.W.C형이다.
  3. 구조가 간단하고 복구가 용이하기 때문에 대부분 F.W.C형을 사용한다.
  4. 점차작동형은 정격속도가 60m/min이상인 엘리베이터에 주로 사용한다.
(정답률: 55%)
  • 점차작동형 비상정지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구조가 간단하고 복구가 용이하기 때문에 대부분 F.W.C형을 사용한다." 인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주세요. 이유는 F.W.C형이 아닌 F.G.C형이 구조가 간단하고 복구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비상용 엘리베이터 구조로 옳지 않은 것은?

  1. 엘리베이터의 운행속도는 60m/min이상 이어야한다.
  2. 카는 비상운전시 반드시 모든 승강장의 출입구마다 정지할 수 있어야 한다.
  3. 정전시 예비전원에 의해 2시간 이상 가동할 수 있어야 한다.
  4. 90초 이내에 엘리베이터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여야 한다.
(정답률: 71%)
  • "90초 이내에 엘리베이터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비상 상황에서 엘리베이터가 멈추었을 때, 승객들을 빠르게 대피시키기 위해 필요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90초 이내에 전력을 공급하지 못하면 승객들이 엘리베이터 안에서 오랫동안 기다려야 하므로 위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에스컬레이터에서 탑승객이 좌우로 떨어지지 않도록 설치한 측면 벽의 명칭에 해당하는 것은?

  1. 난간
  2. 스커트가드
  3. 핸드레일
  4. 데크보드
(정답률: 64%)
  • 에스컬레이터에서 탑승객이 좌우로 떨어지지 않도록 설치한 측면 벽의 명칭은 "스커트가드"입니다. 이는 에스컬레이터의 밑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탑승객의 옷이나 물건 등이 스커트와 벽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난간"은 보통 계단이나 계단식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핸드레일은 손잡이를 의미하고, 데크보드는 덮개판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동력으로 운전하는 기계에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기계마다 설치하는 장치는?

  1. 수동스위치 장치
  2. 동력차단장치
  3. 동력장치
  4. 동력전도장치
(정답률: 75%)
  • 동력차단장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기계의 동력을 급격하게 차단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장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기계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전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지만, 동력차단장치는 작업자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중요한 안전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승강기 운행관리자의 직무가 아닌 것은?

  1. 고장 및 수리에 관한 기록 유지
  2. 사고발생에 대비한 비상연락망의 작성 및 관리
  3. 사고시의 사고 보고
  4. 고장시의 긴급 수리
(정답률: 76%)
  • 승강기 운행관리자의 주요 업무는 승강기의 안전한 운행을 유지하기 위한 일이며, 고장시의 긴급 수리는 기술적인 전문성이 필요한 기술직의 업무이기 때문에 승강기 운행관리자의 직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감전사고시 응급조치로 가장 옳은 것은?

  1. 인공호흡을 하면 안 된다.
  2. 호흡이 정상인 경우에만 인공호흡을 한다.
  3. 호흡이 정지된 경우에는 인공호흡을 안 한다.
  4. 호흡이 정지되어 있어도 인공호흡을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3%)
  • 감전사고로 인해 호흡이 정지된 경우, 인공호흡을 통해 산소를 공급하여 뇌손상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생명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호흡이 정지되어 있어도 인공호흡을 하는 것이 가장 옳은 응급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에스컬레이터 이용자의 준수사항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옷이나 물건 등이 틈새에 끼이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2. 화물은 디딤판 위에 반드시 올려놓고 타야 한다.
  3. 디딤판 가장자리에 표시된 황색 안전선 밖으로 발이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핸드레일을 잡고 있어야 한다.
(정답률: 80%)
  • 화물은 디딤판 위에 반드시 올려놓고 타야 한다. - 이는 에스컬레이터 안전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며, 화물을 올려놓는 것은 에스컬레이터 이용자의 개인적인 선택이기 때문입니다.

    화물을 올려놓는 것은 에스컬레이터 안전에 위협이 되지 않는 한, 개인의 판단에 따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물을 올려놓을 때는 주변의 안전을 고려하여 다른 이용자들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안전점검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생산위주로 시설 가동
  2. 결함이나 불안전 조건의 제거
  3. 기계ㆍ설비의 본래 성능 유지
  4. 합리적인 생산관리
(정답률: 70%)
  • 안전점검의 목적은 결함이나 불안전 조건의 제거, 기계ㆍ설비의 본래 성능 유지, 합리적인 생산관리 등으로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생산위주로 시설 가동"은 안전점검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안전을 무시하거나 우선순위를 낮추는 것으로,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경고나 주의를 표시할 때 사용하는 색채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파랑
  2. 보라
  3. 노랑
  4. 녹색
(정답률: 89%)
  • 노랑은 주의를 끌기에 가장 적합한 색상 중 하나입니다. 노란색은 눈에 잘 띄며, 경고나 주의를 표시할 때 사용되는 색상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노란색은 주의와 경계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어서, 교통 신호등이나 안전 표지판 등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건설용 리프트의 주요 검사항목과 관련 없는 것은?

  1. 브레이크
  2. 클러치
  3. 완충기
  4. 와이어로프
(정답률: 46%)
  • 건설용 리프트의 주요 검사항목은 브레이크, 클러치, 와이어로프입니다. 이들은 리프트의 안전 운전과 정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 완충기는 리프트가 갑작스럽게 정지할 때 충격을 완화시켜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완충기는 건설용 리프트의 주요 검사항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사다리 작업의 안전 지침을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상부와 하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2. 사다리를 다리처럼 사용해서는 안된다.
  3. 부서지기 쉬운 벽돌 등을 받침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4. 사다리 상단은 작업장으로부터 120[cm]이상 올라가야 한다.
(정답률: 81%)
  • "사다리 상단은 작업장으로부터 120[cm]이상 올라가야 한다."는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작업장의 높이나 작업 내용에 따라 필요한 높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높이를 선택하여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산업재해 예방의 기본 원칙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원인 규명의 원칙
  2. 대책 선정의 원칙
  3. 손실 우연의 원칙
  4. 원인 연계의 원칙
(정답률: 40%)
  • 원인 규명의 원칙은 산업재해가 발생한 원인을 규명하고 분석하여 이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이는 산업재해 예방의 기본 원칙 중 하나입니다. 반면, 대책 선정의 원칙, 손실 우연의 원칙, 원인 연계의 원칙은 모두 산업재해 예방의 기본 원칙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재해원인 중 생리적인 원인은?

  1. 안전장치 사용의 미숙
  2. 안전장치의 고장
  3. 작업자의 무지
  4. 작업자의 피로
(정답률: 86%)
  • 작업자의 피로는 장시간 작업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으로 지침으로 인해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피로로 인해 집중력이 떨어지고 반응속도가 늦어져 위험한 상황에서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작업자의 피로는 안전사고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유압식 엘리베이터에 설치하여야 하는 안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카의 상승시 유압이 이상하게 증대하는 경우에 작동압력이 상용압력의 1.25배를 초과하지 않을 때 자동적으로 작동을 개시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
  2. 동력이 차단되었을 때 유압잭 내의 기름의 역류에 의한 카의 하강을 제지하는 장치
  3. 작동유의 온도를 65℃이상 80℃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
  4. 전동기의 공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정답률: 76%)
  • 작동유의 온도를 65℃이상 80℃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유압식 엘리베이터에서 작동유의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유압장치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동유의 온도를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꼭대기틈새와 오버헤드 관계에서 꼭대기 틈새는?

  1. 오버헤드에서 카의 높이를 뺀 값
  2. 오버헤드에서 카의 높이와 완충기행정을 뺀 값.
  3. 오버헤드에서 카의 높이와 로프 처짐량을 뺀 값
  4. 오버헤드에서 피트 깊이와 완충기행정을 뺀 값
(정답률: 56%)
  • 꼭대기 틈새는 오버헤드와 카의 높이 사이의 간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꼭대기 틈새를 구하기 위해서는 오버헤드에서 카의 높이를 뺀 값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승강기보수

31. 유압식 엘리베이터에서 상승방향으로만 기름을 흐르게 하고 역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게 하는 밸브는?

  1. 안전밸브
  2. 체크밸브
  3. 스톱밸브
  4. 럽처밸브
(정답률: 63%)
  • 체크밸브는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밸브로, 상승방향으로만 기름을 흐르게 하고 역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유압식 엘리베이터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체크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유압 엘리베이터에 사용되고 있는 강제 송유식 펌프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기어펌프
  2. 베인펌프
  3. 원심펌프
  4. 스크류펌프
(정답률: 50%)
  • 원심펌프는 유체를 중심축 주위로 회전시켜서 압력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펌프이며, 강제 송유식 펌프는 기어펌프, 베인펌프, 스크류펌프 등의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심펌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승강기의 비상정치장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순간식과 슬랙로프 세이프트식이 있다.
  2. 플랙시블 가이드 클램프형과 플랙시블 웨지 클프형이 있다.
  3. 비상정지장치의 정지거리는 제한이 있다.
  4.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경우는 비상정지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정답률: 72%)
  • 유압식 엘리베이터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전기적인 모터가 아닌 유압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적인 문제로 인한 정지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상정지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엘리베이터의 전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동토크가 작을 것
  2. 기동전류가 작을 것
  3. 회전부분의 관성 모멘트가 적을 것
  4. 잦은 기동빈도에 대해 열적으로 견딜 것
(정답률: 48%)
  • 기동토크가 작을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엘리베이터의 전동기는 매우 높은 기동토크를 필요로 합니다. 이는 엘리베이터가 무거운 하중을 들어올리는 동안에도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기동토크가 크거나 적절할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에스컬레이터의 층고가 6[m]이하일 때에는 경사도는 몇[°]이하인가?

  1. 35°
  2. 40°
  3. 45°
  4. 50°
(정답률: 70%)
  • 에스컬레이터의 층고가 6[m] 이하일 때에는 경사도가 35°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인해 규정되어 있는 것입니다. 경사도가 너무 가파르면 오르내리는 도중에 넘어지거나 넘어져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층고가 6[m] 이하인 에스컬레이터는 35° 이하의 경사도를 가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유압 엘리베이터 제어반에서 할 수 없는 것은?

  1. 작동시의 유압 측정
  2. 전동기의 전류 측정
  3. 절연저항의 측정
  4. 과전류계전기의 작동
(정답률: 31%)
  • 유압 엘리베이터 제어반은 유압 시스템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유압 측정은 유압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유압 엘리베이터 제어반은 작동시의 유압 측정을 할 수 없습니다. 이는 유압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유압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역할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동시의 유압 측정은 다른 장비나 도구를 사용하여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피트에서 행하는 검사 항목은?

  1. 외부와의 연락장치 이상유무
  2. 도어스위치 작동상태
  3. 시브 또는 스프로켓의 부착 이상유무
  4. 이동케이블의 손상유무
(정답률: 47%)
  • 피트에서 검사하는 항목은 로봇의 안전과 원활한 작동을 위한 것입니다. 이동케이블은 로봇의 이동을 제어하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며, 손상되면 로봇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동케이블의 손상유무를 확인하여 로봇의 안전과 원활한 작동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디딤면이 고무제품 등 미끄러지기 어려운 구조일 경우 수평보행기의 경사도는 몇[°]이하로 할 수 있는가?

  1. 8[°]이하
  2. 12[°]이하
  3. 15[°]이하
  4. 18[°]이하
(정답률: 48%)
  • 수평보행기는 보행 보조기구로서 안정성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디딤면이 고무제품 등 미끄러지기 어려운 구조일 경우, 수평보행기의 경사도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15[°]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경사면이 너무 가파르면 보행자가 넘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8[°]이하, 12[°]이하, 18[°]이하보다는 15[°]이하가 가장 적절한 경사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경우 카 위에서 하는 검사가 아닌 것은?

  1. 비상구출구
  2. 도어개폐장치
  3. 리미트 스위치류
  4. 운전조작반
(정답률: 52%)
  •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검사는 비상구출구, 도어개폐장치, 리미트 스위치류 등의 안전장치와 시설물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운전조작반은 엘리베이터를 운전하고 제어하는 장치이므로 검사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운전조작반은 로프식 엘리베이터 검사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카 위에서 카를 조금씩 움직이면서 점거하는 주 로프의 점검항목이 아닌 것은?

  1. 회전상태
  2. 장력상태
  3. 파단상태
  4. 부식 및 마모상태
(정답률: 49%)
  • 카를 조금씩 움직이면서 점거하는 주 로프의 점검항목 중 "회전상태"는 아닙니다. 이는 주 로프가 회전하는 것은 카가 아닌 다른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 로프의 점검항목으로는 장력상태, 파단상태, 부식 및 마모상태 등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에스컬레이터 회로의 사용전압이 400[V]이하인 것의 접지저항은 몇[Ω]이하이어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0
  2. 100
  3. 300
  4. 500
(정답률: 57%)
  • 에스컬레이터 회로는 인명사고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접지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사용전압이 400[V]이하인 경우에는 접지저항이 100[Ω] 이하이어야 안전한 운전이 가능합니다. 이는 전기안전규정(전기용품안전법 시행령)에서 규정된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가이드 레일 보수 점검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이음판의 취부 볼트, 너트의 이완 상태
  2. 로프와 클립체결 상태
  3. 가이드 레일의 급유상태
  4. 브래킷 용접부의 균열 상태
(정답률: 39%)
  • 로프와 클립체결 상태는 가이드 레일의 보수 점검 항목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가이드 레일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로프와 클립체결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조속기 도르래의 피치 지름과 로프의 공칭지름의 비는 몇 배 이상인가?

  1. 25배
  2. 30배
  3. 35배
  4. 40배
(정답률: 47%)
  • 조속기 도르래의 피치 지름은 로프가 감겨져 있는 부분의 지름을 말합니다. 로프의 공칭지름은 로프 전체의 지름을 말합니다. 조속기 도르래는 로프를 감아서 힘을 줄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로프의 공칭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집니다. 따라서, 조속기 도르래의 피치 지름은 로프의 공칭지름보다 작은 값입니다. 이에 따라, 조속기 도르래의 피치 지름과 로프의 공칭지름의 비는 30배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에스컬레이터의 이동식 핸드레일은 하강운전 중 상부 승강장에서 사람이 수평으로 약 몇 N정도의 힘으로 당겨도 정지하지 않아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27
  2. 137
  3. 147
  4. 157
(정답률: 44%)
  • 에스컬레이터의 이동식 핸드레일은 하강운전 중 상부 승강장에서 사람이 수평으로 약 147N 이상의 힘으로 당겨도 정지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기준으로, 만약 핸드레일이 쉽게 움직인다면 승객이 넘어지거나 다른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는 즉시 수리나 점검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변형 및 강도를 고려시 와이어로프의 절단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산소절단기로 절단한다.
  2. 전기용접기로 절단한다.
  3. 그라인더로 절단한다.
  4. 쇠톱이나 와이어 커터로 절단한다.
(정답률: 66%)
  • 와이어로프는 강도가 매우 높은 금속 선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절단 도구로는 절단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쇠톱이나 와이어 커터는 이러한 강도를 가진 와이어로프를 절단하는 데 적합한 도구입니다. 따라서 쇠톱이나 와이어 커터로 절단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전기기초이론

46.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승강장에서는 물체가 쉽게 끼어 들어가지 않도록 디딤판과 콤의 물림량은 3[mm]이상이어야 한다.
  2. 승강장에서는 물체가 쉽게 끼어 들어가지 않도록 디딤판과 콤의 물림량은 6[mm]이상이어야 한다.
  3. 승강장에서는 물체가 쉽게 끼어 들어가지 않도록 디딤판과 콤의 물림량은 8[mm]이상이어야 한다.
  4. 승강장에서는 물체가 쉽게 끼어 들어가지 않도록 디딤판과 콤의 물림량은 10[mm]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52%)
  • 승강장에서는 사람들이 발을 끼어 넣거나 물체가 끼어들지 않도록 디딤판과 콤의 물림량이 충분해야 합니다. 디딤판과 콤의 물림량이 작으면 물체가 끼어들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물림량은 6[mm]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절연저항계로 측정 할 수 없는 것은?

  1. 선로와 대지간의 절연측정
  2. 선간절연의 측정
  3. 도통시험
  4. 주파수 측정
(정답률: 64%)
  • 절연저항계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두 점 사이의 절연 상태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선로와 대지간의 절연측정과 선간절연의 측정, 그리고 도통시험과 같은 전기적인 측정은 모두 절연저항계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파수 측정은 절연 상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전기적인 측정이기 때문에 절연저항계로 측정할 수 없습니다. 주파수 측정은 주로 주파수계나 스펙트럼 분석기 등의 다른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전압 220[V], 전류20[A], 역률 0.6인 3상 회로의 전력은 약 몇 [kW]인가?

  1. 4.6
  2. 4.8
  3. 5.0
  4. 5.2
(정답률: 36%)
  • 전력은 전압과 전류, 그리고 역률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력 = 전압 × 전류 × 역률 × √3

    여기서 √3은 3상 회로에서 사용되는 전력 계산 공식에서 필요한 상수입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여 전력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력 = 220 × 20 × 0.6 × √3
    ≈ 4.6 kW

    따라서 정답은 "4.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진공 중에서 m[Wb]의 자극으로부터 나오는 총 자력선의 수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정답률: 65%)
  • 진공 중에서는 자기장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자기력선이 없다. 따라서 m[Wb]의 자극으로부터 나오는 총 자력선의 수는 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류의 열작용과 관계있는 법칙은?

  1. 옴의 법칙
  2. 줄의 법칙
  3.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4. 키프리호프의 법칙
(정답률: 68%)
  • 전류의 열작용과 관련된 법칙은 줄의 법칙입니다. 줄의 법칙은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서 전류의 방향과 전압, 저항, 전류의 세기와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전류의 열작용을 설명하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서 전압이 일정하다면 전류의 세기는 전압에 반비례하며, 저항이 일정하다면 전류의 세기는 전압에 비례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전류의 열작용은 전기적인 에너지를 열로 변환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교류 용접기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박막 용접이 잘 될 것
  2. 구조와 취급이 간단할 것
  3. 무부하 전압이 최대한으로 높을 것
  4. 아크 용접이 조용하고 쉬울 것
(정답률: 62%)
  • 무부하 전압이 최대한으로 높을 것은 교류 용접기의 출력 전압이 높아져서 용접 전류가 증가하고, 이는 용접 부위의 열을 높여서 용접이 더욱 잘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교류 용접기가 갖추어야 할 조건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정속도 전동기에 속하는 것은?

  1. 타여자 전동기
  2. 직권 전동기
  3. 분권 전동기
  4. 가동복권 전동기
(정답률: 55%)
  • 정속도 전동기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전동기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분권 전동기는 전력을 분배하여 여러 개의 전동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분권 전동기는 여러 개의 전동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서 산업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전기에서 많이 사용되는 옴의 법칙은?

(정답률: 78%)
  • 옴의 법칙은 전기회로에서 전압과 전류, 저항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전압(V)은 전류(I)와 저항(R)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가 옴의 법칙을 나타내는 공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검출 스위치에 해당되는 것은?

  1. 누름 버튼 스위치
  2. 리밋 스위치
  3. 유지형 스위치
  4. 가동복권 전동기
(정답률: 58%)
  • 검출 스위치는 기계나 장치에서 일정한 위치나 상태를 감지하여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리밋 스위치는 기계나 장치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치입니다. 따라서 검출 스위치에 해당되는 것은 "리밋 스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논리식은?

(정답률: 60%)
  •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를 통해 출력이 1이 되고, 이 출력이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면서 전체 출력이 1이 됩니다. 따라서 논리식은 A AND B OR C가 되고,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직류발전기의 주요 3요소는?

  1. 계자, 전기자, 정류자
  2. 계자, 전기자, 브러시
  3. 정류자, 계자, 브러시
  4. 보극, 보상권선, 전기자권선
(정답률: 79%)
  • 직류발전기의 주요 3요소는 계자, 전기자, 정류자입니다.

    - 계자: 회전하는 자석을 감싸고 있는 고정자로, 자석의 자기장을 유지하며 회전하는 전기자와 함께 전기를 발생시킵니다.
    - 전기자: 회전하는 자석을 감싸고 있는 회전자로, 계자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킵니다.
    - 정류자: 전기자에서 발생한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요소가 함께 작용하여 직류발전기가 동작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회로에서 A, B간의 합성용량은 몇[㎌]인가?

  1. 2
  2. 4
  3. 8
  4. 16
(정답률: 64%)
  • A와 B는 병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합성용량은 각 용량의 합과 같습니다. A의 용량은 4[㎌], B의 용량은 8[㎌]이므로, A와 B의 합성용량은 4[㎌] + 8[㎌] = 12[㎌]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은 2, 4, 8, 16 중 하나이므로, 12[㎌]와 가장 가까운 값인 8[㎌]을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제어계에 사용하는 비 접촉식 입력요소로만 짝지어진 것은?

  1. 누름 버튼 스위치, 광전 스위치
  2. 근접 스위치, 리밋 스위치
  3. 리밋 스위치, 광전 스위치
  4. 근접 스위치, 광전 스위치
(정답률: 47%)
  • 비 접촉식 입력요소는 외부에서 물리적인 접촉 없이 작동하는 입력요소를 말합니다. 따라서 누름 버튼 스위치와 리밋 스위치는 물리적인 접촉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 접촉식 입력요소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근접 스위치와 광전 스위치는 물리적인 접촉 없이 작동하기 때문에 비 접촉식 입력요소로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재료를 축 방향으로 눌러 수축하도록 작용하는 하중은?

  1. 연장하중
  2. 압축하중
  3. 전단하중
  4. 휨하중
(정답률: 70%)
  • 재료를 축 방향으로 눌러 수축하도록 작용하는 하중은 압축하중입니다. 이는 재료의 분자 구조가 수직 방향으로 밀어지면서 분자 간 거리가 줄어들어 발생하는 하중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무게 W[N]가 움직이는 도르래에 매달려 있다. 물체를 끌어 올리는 힘 F[N]는? (단, 도르래와 로프의 무게는 없다고 본다.)

  1. F = 1/4W
  2. F = 1/3W
  3. F = 1/2W
  4. F = W
(정답률: 58%)
  • 도르래의 원리에 의해 로프가 두 배로 감겨 있으므로, 로프에 작용하는 힘은 F/2이다. 이로 인해 도르래의 왼쪽과 오른쪽에는 각각 F/2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도르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왼쪽과 오른쪽에 작용하는 힘이 같아야 한다. 따라서 F/2 + F/2 = W 이므로 F = 1/2W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