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3-14)

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2015-03-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인터넷의 이해

1. 다음 중 인터넷과 관련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브라우저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크롬, 안드로이드가 있다.
  2. 누구나 정보를 쉽고 빠르게 교환할 수 있는 개방형 구조이다.
  3. 네트워크상에서 정보를 제공한다.
  4. 최초의 인터넷 효시는 ARPANet이다.
(정답률: 61%)
  • "최초의 인터넷 효시는 ARPANet이다."는 인터넷과 관련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인터넷의 역사와 관련된 내용이며,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브라우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1988년 DARPA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국제적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단일 창구를 운영하는 기관은?

  1. NIA
  2. CERT
  3. IAB
  4. ISOC
(정답률: 48%)
  • 1988년 DARPA에 의해 설립된 기관은 국제적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단일 창구를 운영하는 기관으로, 이를 CERT(CERT/CC)라고 합니다. CERT는 컴퓨터 보안 문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보안 위협에 대응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인터넷 보안에 대한 전 세계적인 인식과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멀티캐스트용으로 사용되는 IPv4 주소의 등급은 무엇인가 ?

  1. A Class
  2. B Class
  3. C Class
  4. D Class
(정답률: 61%)
  • 멀티캐스트용으로 사용되는 IPv4 주소의 등급은 "D Class"이다. 이는 멀티캐스트 그룹 주소를 할당하기 위해 예약된 주소 범위이며, 첫 번째 바이트의 값이 224에서 239까지인 주소 범위를 가진다. 이 주소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호스트들에게만 전송되며,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인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를 사용하여 관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IPv6의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IPv6는 128bit 주소 체계를 갖는다.
  2. IPv6는 16비트씩 8개 부분으로 나누며 각 부분을 .(점)으로 구분한다.
  3. IPv6는 IPv4 주소 체계의 한계를 극복한 확장형이다.
  4. IPv6는 네트워크의 물리적 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72%)
  • "IPv6는 16비트씩 8개 부분으로 나누며 각 부분을 .(점)으로 구분한다."가 거리가 먼 설명이다. IPv6는 16진수로 표현되며, 16비트씩 8개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주소 체계는 콜론(:)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는 IPv6 주소의 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ICANN이 관리하는 최상위 도메인(gTLD)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com
  2. kr
  3. org
  4. net
(정답률: 56%)
  • 정답: "kr"

    ICANN이 관리하는 최상위 도메인(gTLD)으로는 "com", "org", "net"이 있습니다. "kr"은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으로, 한국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kr"은 ICANN이 직접 관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IANA에서 수행하고 있는 업무로 거리가 먼 것은?

  1. 도메인 체계 관리
  2. 인터넷 주소 공간 할당
  3. 인터넷 표준안 제정
  4. 도메인 이름의 설정 및 관리
(정답률: 54%)
  • IANA는 인터넷 주소 공간 할당, 도메인 체계 관리, 도메인 이름의 설정 및 관리와 같은 기술적인 업무를 수행하지만, 인터넷 표준안 제정은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역할입니다. 따라서 "인터넷 표준안 제정"이 IANA에서 수행하는 업무와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보기가 설명하고 있는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1. TCP
  2. HTTP
  3. UDP
  4. FTP
(정답률: 65%)
  • 이 보기는 UDP 프로토콜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UDP는 데이터그램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전송하며, 패킷의 크기나 전송 순서 등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에 반해 TCP는 연결 지향적이며, 데이터 전송의 정확성과 순서를 보장합니다. HTTP는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며, FTP는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전자메일의 전송을 담당하는 SMTP 프로토콜의 포트는 무엇인가?

  1. 21
  2. 23
  3. 25
  4. 70
(정답률: 63%)
  • SMTP 프로토콜은 이메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메일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담당합니다. SMTP 프로토콜의 기본 포트는 25번입니다. 이 포트는 이메일 클라이언트가 이메일 서버에 연결하여 이메일을 전송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SMTP 프로토콜의 포트는 25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인터넷 프로토콜의 3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

  1. 구문
  2. 연결
  3. 의미
  4. 순서
(정답률: 41%)
  • 인터넷 프로토콜의 3요소는 구문, 의미, 순서입니다. 이 중에서 연결은 다른 두 요소와는 거리가 먼 개념입니다. 구문은 데이터의 형식이나 문법을 의미하며, 의미는 데이터의 의미나 목적을 나타냅니다. 순서는 데이터의 전송 순서를 의미합니다. 반면에 연결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인 연결이나 논리적인 연결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연결은 다른 요소와는 개념적으로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태그 기반의 인터넷 앨범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셜미디어 서비스는?

  1. 페이스북
  2. 플리커
  3. 유튜브
  4. 구글 드라이브
(정답률: 55%)
  • 플리커는 사용자들이 사진을 업로드하고 태그를 이용하여 검색하고 공유할 수 있는 태그 기반의 인터넷 앨범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서비스들은 소셜미디어 서비스이지만,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중 웹 오피스 기능이 제공되지않는서비스는 무엇인가?

  1. 구글 : 구글 드라이브
  2. 마이크로소프트 : 원 드라이브
  3. 네이버 : N드라이브
  4. KT : 유클라우드
(정답률: 67%)
  • KT의 유클라우드는 웹 오피스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개인이 개별로 구매해서 사용하던 응용프로그램을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1. SaaS
  2. PaaS
  3. IaaS
  4. TaaS
(정답률: 47%)
  • 정답은 "SaaS"입니다. SaaS는 Software as a Service의 약자로, 개인이 개별로 구매해서 사용하던 응용프로그램을 클라우드를 통해 인터넷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개인이 개별로 구매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개인의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등과 같은 서비스를 포함한 온라인 활동과 다양한 주제에 대한 영향력을 숫자로 평가한 것은?

  1. 소셜 리넘버
  2. 소셜 스코어
  3. 소셜 미디어
  4. 소셜 갤럽
(정답률: 66%)
  • 개인의 온라인 활동과 영향력을 숫자로 평가한 것은 "소셜 스코어"이다. 이는 개인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이를 통해 개인의 온라인 활동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마케팅 등에서 활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인터넷 및 전자우편 관련 약어 사용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FAQ(Frequently Asked Question) : 자주 질문하는 내용에 대한 답변
  2. IoT(Internet of Things) : 사물 인터넷
  3. BCC(Blind Carbon Copy) : 비밀 참조
  4. FYI(For your Information) : 인터넷 사용 설명
(정답률: 49%)
  • IoT(Internet of Things)는 인터넷과 관련된 약어이지만, 전자우편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개념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FYI는 인터넷 사용 설명을 의미하는 약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빅데이터의 특징으로 불리는 3V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Volume
  2. Velocity
  3. Valuable
  4. Variety
(정답률: 49%)
  • 정답: Valuable

    설명: 빅데이터의 특징으로 불리는 3V는 Volume(양), Velocity(속도), Variety(다양성)입니다. 이 중 Valuable(가치)는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얻을 수 있는 가치나 인사이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3V에 속하지 않습니다.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그 자체로는 가치가 없으며,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와 가치가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무엇인가?

  1. WiFi
  2. GPS
  3. LBS
  4. Bluetooth
(정답률: 47%)
  • LBS는 Location Based Service의 약자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따라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LBS입니다. WiFi와 Bluetooth는 주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기술이며, GPS는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웹 하드
  2. 데이터 센터
  3. 가상화
  4. 데이터베이스
(정답률: 41%)
  •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IT 인프라 구성 요소들이다. "가상화"는 하드웨어 자원을 가상적으로 분리하여 여러 대의 가상 서버를 운영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서 여러 개의 가상 서버를 운영함으로써 하드웨어 자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유지보수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IT 인프라 구성 요소 중에서 "가상화"가 정답이 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2014년 8월 7일부터 개정 시행되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본인 확인 대체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1. 공인인증
  2. OTP
  3. 아이핀
  4. 마이핀
(정답률: 51%)
  • 2014년 8월 7일부터 개정 시행되는 개인정보보호법에서는 오프라인에서 본인 확인 대체 수단으로 "마이핀"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마이핀이 개인정보보호법에서 인증 수단으로 인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공인인증, OTP, 아이핀은 인증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오프라인에서 본인 확인 대체 수단으로 사용될 수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수집한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할 경우 사전에 이용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이때 고지되는 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제공하는 자
  2. 제공받는 자
  3. 개인정보 이용목적
  4. 보유기간
(정답률: 54%)
  • "제공하는 자"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이는 개인정보를 받는 제3자의 신원과 목적을 명확히 고지하여 이용자가 동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개인정보의 유형과 그 내용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인적사항 :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본적지, 전화번호 등
  2. 신체적 정보 : 지문, 홍채, 음성, 유전자 정보, 키, 몸무게 등
  3. 재산적 정보 : 소득, 신용카드번호, 통장 계좌번호, 동산/부동산 보유내역 등
  4. 사회적 정보 : 전화 통화내역, 웹사이트 접속내역, 이메일, 위치정보 등
(정답률: 61%)
  • 정답은 "신체적 정보 : 지문, 홍채, 음성, 유전자 정보, 키, 몸무게 등"입니다. 신체적 정보는 개인의 생체적 특징과 관련된 정보를 말하며, 지문, 홍채, 음성, 유전자 정보 등이 포함됩니다. 키와 몸무게는 신체적 특징이지만 개인정보로 분류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저작권법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표 : 저작물 등의 이용허락 등을 위하여 정당한 권리자임을 증명하는 것을 말한다.
  2. 저작물 :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을 말한다.
  3. 배포 : 저작물 등의 원본 또는 그 복제물을 공중에게 대가를 받거나 받지 아니하고 양도 또는 대여하는 것을 말한다.
  4. 발행 : 저작물 또는 음반을 공중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복제·배포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34%)
  • 공표 : 저작물 등의 이용허락 등을 위하여 정당한 권리자임을 증명하는 것을 말한다. 이유는 다른 용어들은 저작권법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들이며, 공표는 저작권법에서는 별도로 다루어지지 않는 용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전자서명법에서 공인인증기관이 발급하는 공인인증서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2. 가입자의 이름
  3. 공인인증서의 일련번호
  4. 공인인증서의 유효기간
(정답률: 72%)
  •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공인인증서에 포함되지 않는다. 주민등록번호는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공인인증서 발급 시에는 주민등록번호 대신 고유식별번호를 사용하며, 뒷자리는 더욱 민감한 정보이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저작재산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복제권
  2. 공연권
  3. 공표권
  4. 대여권
(정답률: 44%)
  • 공표권은 저작물을 공개적으로 소개하거나 출판하는 권리로, 저작재산권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다른 세 가지 권리는 모두 저작재산권에 해당되며, 복제권은 저작물을 복제하는 권리, 공연권은 저작물을 공연하는 권리, 대여권은 저작물을 대여하는 권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운영체제 특징이 다른 것은?

  1. DOS
  2. UNIX
  3. LINUX
  4. WINDOWS
(정답률: 50%)
  • 정답은 "DOS"입니다. DOS는 단일 작업 처리 시스템으로,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반면, UNIX, LINUX, WINDOWS는 다중 작업 처리 시스템으로,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DOS는 명령어 기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반면, UNIX, LINUX, WINDOWS는 GUI를 제공하며,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운영체제를 기능에 따라 분류할 때,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감시 프로그램
  2. 작업 관리 프로그램
  3.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4. 언어 번역 프로그램
(정답률: 70%)
  • 운영체제의 기능에 따라 분류할 때, 제어 프로그램은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언어 번역 프로그램"은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언어 번역 프로그램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역할을 하며, 운영체제의 제어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유형이 다른 응용프로그램은 무엇인가?

  1. Bandizip
  2. Alzip
  3. Winrar
  4. V3Lite
(정답률: 69%)
  • 정답: V3Lite

    설명: Bandizip, Alzip, Winrar은 모두 파일 압축 및 해제 프로그램이지만 V3Lite은 보안 프로그램으로, 파일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V3Lite은 다른 응용프로그램과 유형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무선 환경에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표준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1. Wibro
  2. WSP
  3. W3C
  4. WAP
(정답률: 44%)
  • WAP은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의 약자로, 무선 환경에서 인터넷에 접속하고 웹 페이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무선 환경과는 관련이 없거나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웹과 관련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WWW는 World Wide Web의 줄임말이다.
  2. HTML은 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약어로 웹페이지 작성을 위한 규약을 말한다.
  3. 하이퍼링크는 하이퍼텍스트의 확장된 개념으로 정보의 저장과 관리를 위해 텍스트, 그래픽, 영상 등이 결합되어 있는 정보를 말한다.
  4. 웹 3세대는 컴퓨터나 그 밖의 기기에서도 표현 가능한 시멘틱 웹을 제공한다.
(정답률: 49%)
  • 웹 3세대는 컴퓨터나 그 밖의 기기에서도 표현 가능한 시멘틱 웹을 제공한다.

    하이퍼링크는 하이퍼텍스트의 확장된 개념으로 정보의 저장과 관리를 위해 텍스트, 그래픽, 영상 등이 결합되어 있는 정보를 말한다. 이는 웹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HTML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보기 URL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http : 프로토콜
  2. ihd.or.kr : 호스트 도메인
  3. customer : 경로
  4. bbs.jsp : 스키마
(정답률: 68%)
  • 정답은 "bbs.jsp : 스키마"입니다. 스키마는 URL에서 사용되는 특정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http, https, ftp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bbs.jsp는 스키마가 아니라 경로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다른 보기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Java script와 CSS를 이용하여 다이나믹한 웹사이트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스크립트 라이브러리는?

  1. jQuery
  2. DHTML
  3. SGML
  4. XML
(정답률: 43%)
  • jQuery는 HTML 문서의 요소를 선택하고 조작하는 것을 쉽게 만들어주는 JavaScript 라이브러리이다. 또한, 다양한 이벤트 처리, 애니메이션 효과, AJAX 요청 등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어서 웹 개발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CSS와 함께 사용하여 다이나믹한 웹사이트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그림 삽입에 관한 HTML 태그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alt : 마우스를 갖다 대면 그림에 대한 설명이 나오게 한다.
  2. border=0 : 그림에 대한 테두리를 없애서 보이지 않게 한다.
  3. img src=파일명 : 그림을 삽입하기 위한 파일의 경로를 지정한다.
  4. width=픽셀 수 : 이미지 세로의 길이를 픽셀로 지정한다.
(정답률: 48%)
  • "alt : 마우스를 갖다 대면 그림에 대한 설명이 나오게 한다."는 그림 삽입과는 관련이 없는 속성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width=픽셀 수 : 이미지 세로의 길이를 픽셀로 지정한다.는 그림의 크기를 조절하는 속성으로, 이미지의 세로 길이를 픽셀로 지정하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멀티미디어의 유형과 이에 해당하는 파일의 확장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이미지 : jpg, bmp, mov
  2. 오디오 : wav, mid, mp3
  3. 비디오 : mpg, mp4, asf
  4. 텍스트 : txt, doc, hwp
(정답률: 61%)
  • 정답은 "이미지 : jpg, bmp, mov"이다.

    이유는 이미지는 정적인 그림이나 사진을 의미하며, 대표적인 이미지 파일 확장자로는 jpg와 bmp가 있다. mov는 비디오 파일 확장자로, 동영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미지와 비디오는 서로 다른 유형의 멀티미디어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1. 미디어 압축
  2. 플러그인
  3. 디지털 워터마킹
  4. 패치 프로그램
(정답률: 67%)
  • 위의 그림은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되는 플러그인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플러그인은 웹 브라우저에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예를 들어, Adobe Flash Player는 웹 사이트에서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플러그인입니다.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정답은 "플러그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터넷 자원 탐색

34. 다음 중 웹브라우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소 표시줄에 URL 형식을 입력하여 데이터를 요청한다.
  2. 임시 인터넷 파일 저장 기능으로 인해 특정 웹페이지를 재방문하면 로딩시간이 길어진다.
  3. 웹 브라우저에서는 기본적으로 하이퍼미디어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4. 동시에 여러 웹브라우저를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6%)
  • "동시에 여러 웹브라우저를 사용할 수 있다."는 다른 보기들과는 다르게 웹브라우저의 기능과 관련이 없는 설명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임시 인터넷 파일 저장 기능으로 인해 특정 웹페이지를 재방문하면 로딩시간이 길어진다."는 웹브라우저가 임시로 인터넷 파일을 저장해두기 때문에 해당 페이지를 다시 방문할 때 로딩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설명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웹브라우저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로 거리가 먼 것은?

  1. FTP
  2. Usenet
  3. Gopher
  4. OneNote
(정답률: 62%)
  • 정답은 "OneNote"입니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파일을 인터넷 상에서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Usenet은 인터넷 상에서 대화를 나누고 정보를 공유하는 서비스입니다.

    Gopher는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검색하고 공유하는 서비스로, 웹 브라우저가 등장하기 전에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OneNote는 웹 브라우저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서비스가 아닙니다. OneNote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노트북 애플리케이션으로,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기본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웹브라우저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크롬 : 애플의 웹킷 렌더링 엔진을 사용하여 개발
  2. 파이어폭스 : 게코엔진 기반의 자유 소프트웨어 웹브라우저
  3. 핫자바 : 썬 마이크로 시스템즈사가 JAVA 애플릿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
  4. 아라크네 : 1990년 노르웨이에서 개발되었으며 속도가 빠르고 용량이 적은 것이 특징
(정답률: 47%)
  • 아라크네는 다른 웹브라우저들과 달리 1990년에 이미 개발되었으며, 속도가 빠르고 용량이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괄호 안에 적합한 용어는?

  1. 플래시
  2. 액티브X
  3. 로봇
  4. 쿠키
(정답률: 70%)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웹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 중 하나가 액티브X이다. 따라서 정답은 "액티브X"이다. "플래시"는 웹 사이트에서 동영상 등을 재생하는 기술이며, "로봇"은 인터넷 상에서 자동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쿠키"는 웹 사이트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작은 파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모질라 재단이 오픈소스 기반으로 출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내장 검색바·RSS 리더 등의 여러 기술적 진보가 특징인 웹브라우저는?

  1. 크롬
  2. 파이어폭스
  3. 첼로
  4. 링스
(정답률: 59%)
  • 파이어폭스는 모질라 재단에서 오픈소스 기반으로 출시된 웹브라우저로, 내장 검색바와 RSS 리더 등의 기술적 진보가 특징입니다.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며 보안성이 높아 인기가 높은 웹브라우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웹브라우저 자동완성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URL을 입력할 때 사용되는 기능이다.
  2. 자동완성 기능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만 지원된다.
  3. 웹사이트에서 이전에 입력한 내용 중, 첫 글자가 같으면 자동으로 단어나 문장을 완성시켜 주는 기능이다.
  4. 긴 문자열을 재입력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입력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정답률: 64%)
  • "자동완성 기능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만 지원된다."는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유는 현재 대부분의 웹브라우저에서 자동완성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최근 접속한 URL을 자동으로 저장하는 기능은 무엇인가?

  1. 히스토리 기능
  2. 즐겨찾기 기능
  3. 자동완성 기능
  4. 목록보기 기능
(정답률: 64%)
  •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최근 접속한 URL을 자동으로 저장하는 기능은 "히스토리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면서 방문한 웹페이지의 주소를 자동으로 기록하여 나중에 다시 방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인터넷 익스플로러9의 도구 메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아닌 것은?

  1. 팝업차단 설정
  2. InPrivate 브라우징
  3. ActiveX 필터링
  4. 커서 브라우징
(정답률: 50%)
  • 커서 브라우징은 인터넷 익스플로러9의 도구 메뉴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아닙니다. 커서 브라우징은 마우스 커서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탐색하는 기능으로, 인터넷 익스플로러8에서는 사용할 수 있었지만, 인터넷 익스플로러9에서는 제거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사용 중인 즐겨찾기 목록을 다른 컴퓨터에 설치하려 할 때, 사용하는 메뉴는 무엇인가?

  1. 파일 - 페이지 설정
  2. 파일 - 보내기
  3. 파일 – 가져오기 및 내보내기
  4. 보기 - 인코딩
(정답률: 65%)
  •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사용 중인 즐겨찾기 목록을 다른 컴퓨터에 설치하려면 "파일 – 가져오기 및 내보내기" 메뉴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메뉴를 선택하면 즐겨찾기 목록을 파일로 내보낼 수 있고, 다른 컴퓨터에서는 해당 파일을 가져와서 즐겨찾기 목록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즐겨찾기 목록을 손쉽게 이전하거나 백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크롬 브라우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V8 자바스크립트 가상머신을 탑재하고 있다.
  2. 버전 27은 애플 주도로 개발된 웹킷 레이아웃 엔진을 사용하였다.
  3. 크롬은 PDF 뷰어가 내장되어 별도의 플러그인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4. 시크릿 모드는 인터넷 사용기록 및 다운로드 기록이 남지 않고, 창을 닫으면 다운로드한 파일도 자동으로 삭제된다.
(정답률: 53%)
  • "버전 27은 애플 주도로 개발된 웹킷 레이아웃 엔진을 사용하였다."는 다른 브라우저와도 공유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크롬 브라우저에 대한 특징으로는 다소 거리가 있습니다.

    시크릿 모드는 인터넷 사용기록 및 다운로드 기록이 남지 않고, 창을 닫으면 다운로드한 파일도 자동으로 삭제된다는 것은 개인정보 보호와 같은 보안 측면에서 크롬 브라우저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할 때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 다음 중 크롬 브라우저의 ‘북마크 및 설정 가져오기’ 기능을 사용하여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가져올 수 있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인터넷 사용기록
  2. 즐겨찾기/북마크
  3. 저장된 비밀번호
  4. 사용자 ID
(정답률: 49%)
  • 크롬 브라우저의 ‘북마크 및 설정 가져오기’ 기능을 사용하여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가져올 수 있는 항목은 "인터넷 사용기록", "즐겨찾기/북마크", "저장된 비밀번호" 이며, "사용자 ID"는 가져올 수 없는 항목입니다. 이는 사용자 ID가 개인정보에 해당하며, 보안상의 이유로 가져올 수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파이어폭스의 기능별 단축키 연결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임시파일, 히스토리 삭제 : Ctrl + Tab + Del
  2. 이전 닫은 탭 열기 : Ctrl + Shift + T
  3. 주소창 : Alt + D
  4. 북마크 : Ctrl + D
(정답률: 46%)
  • "임시파일, 히스토리 삭제 : Ctrl + Tab + Del"이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다른 세 가지 단축키는 모두 주로 주소창이나 북마크와 관련된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임시파일, 히스토리 삭제 : Ctrl + Tab + Del"은 브라우저의 캐시나 히스토리를 삭제하는 기능으로, 다른 기능들과는 조금 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검색엔진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주기는 짧을수록 좋다.
  2.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은 많을수록 좋다.
  3.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옵션은 간단할수록 좋다.
  4.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는 정확해야 한다.
(정답률: 65%)
  •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은 많을수록 좋다."는 검색엔진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입니다. 검색엔진의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기 위해 구성되는데, 내용이 많다고 해서 항상 좋은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검색 시간이 느려지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옵션은 간단할수록 좋습니다. 간단한 검색 옵션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검색 시간을 단축시켜줍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주기는 짧을수록 좋습니다. 갱신 주기가 짧을수록 최신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는 정확해야 합니다. 검색엔진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인터넷 상의 웹 사이트나 뉴스 그룹을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역할의 프로그램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에이전트
  2. 크롤러
  3. 로봇
  4. 인덱스
(정답률: 35%)
  • 정답은 "인덱스"입니다.

    인덱스는 이미 수집된 데이터를 정리하고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종입니다. 따라서 인덱스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반면, 에이전트, 크롤러, 로봇은 모두 인터넷 상의 웹 사이트나 뉴스 그룹을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들은 웹 크롤링이나 웹 스크래핑 기술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탐색하고,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검색엔진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중 괄호 안에 적합한 용어가 옳게 짝지어지는 것은?

  1. 로봇 - 색인기
  2. 검색자 - 색인기
  3. 로봇 - 검색자
  4. 검색엔진 – 데이터베이스
(정답률: 61%)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검색엔진의 구성요소는 로봇과 색인기이다. 로봇은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를 수집하고, 색인기는 수집한 웹페이지를 분석하여 검색 가능한 형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따라서 "로봇 - 색인기"가 정답이다. 검색자는 사용자를 의미하며, 검색자 - 색인기는 잘못된 용어이다. 로봇 - 검색자는 로봇이 수집한 데이터를 검색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검색엔진 - 데이터베이스는 검색엔진이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검색엔진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검색엔진에서의 검색은 출력순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각종 정렬방법과 페이지 처리, 상세 조건 검색과 같은 다양한 옵션에 대해 빠르게 검색결과를 보여주는 기능들이 포함된다.
  3. 검색기라고 부르며, 사용자 요구에 적합한 정보를 검색해준다.
  4.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질의에 대해 색인 파일을 검색 후 목록을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정답률: 67%)
  • "각종 정렬방법과 페이지 처리, 상세 조건 검색과 같은 다양한 옵션에 대해 빠르게 검색결과를 보여주는 기능들이 포함된다." 이것은 검색엔진 소프트웨어의 기능에 대한 설명이며, 검색 결과의 출력순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내용과는 관련이 없다.

    검색엔진에서의 검색은 출력순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이유는 검색엔진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된 웹페이지를 색인 파일에서 찾아내어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순위를 매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색어와 관련성이 높은 웹페이지가 더 높은 순위에 나타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검색엔진의 구축방식은 무엇인가?

  1. 에이전트 인덱스 방식
  2. 매뉴얼 인덱스 방식
  3. 로봇 에이전트 방식
  4. 키워드 에이전트 방식
(정답률: 51%)
  • 다음의 보기에서 검색엔진이 수집한 웹페이지를 수작업으로 분류하고 인덱싱하는 방식을 매뉴얼 인덱스 방식이라고 한다. 즉, 검색엔진이 자동으로 수집한 정보를 기계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직접 분류하고 인덱싱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정확한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지만, 수작업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검색엔진은 무엇인가?

  1. 하이브리드 검색엔진
  2. 메타 검색엔진
  3. 단어별 검색엔진
  4. 주제별 검색엔진
(정답률: 53%)
  • 주제별 검색엔진이다. 이는 검색어와 관련된 주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엔진으로, 검색어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검색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위의 이미지에서도 검색어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가 제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검색엔진에서 사용자 간의 질답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방법은?

  1. 지식검색
  2. 디렉토리 검색
  3. 매뉴얼 인덱스 검색
  4. 카테고리 검색
(정답률: 51%)
  • 지식검색은 사용자가 질문을 입력하면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질문과 관련된 답변을 찾아 제공하는 검색 방법이다. 따라서 사용자 간의 질답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용어와 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화이트페이지 : 인터넷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2. 페이지 뷰 : 인터넷 이용자가 특정 사이트를 방문한 횟수
  3. 재현율 : 검색의 잡음 또는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
  4. 스패밍 : 검색결과의 위치와 빈도를 높이기 위해 한 페이지 내에 같은 키워드를 반복하여 입력하는 행위
(정답률: 42%)
  • 정답은 "스패밍 : 검색결과의 위치와 빈도를 높이기 위해 한 페이지 내에 같은 키워드를 반복하여 입력하는 행위"입니다.

    재현율은 검색 결과 중 실제로 찾고자 하는 것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검색의 정확성을 측정하는 척도입니다.

    화이트페이지는 인터넷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페이지 뷰는 인터넷 이용자가 특정 사이트를 방문한 횟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반면, 스팸(spam)을 일컫는 스패밍(spamming)은 검색 결과의 위치와 빈도를 높이기 위해 한 페이지 내에 같은 키워드를 반복하여 입력하는 행위입니다. 이는 검색 엔진의 알고리즘을 속이는 행위로,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해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검색엔진에 키워드를 입력 후 검색 결과가 80개 제공되었다. 이 중 원하는 적합한 정보가 56개 였다면, 잡음률은?

  1. 30%
  2. 40%
  3. 60%
  4. 70%
(정답률: 59%)
  • 잡음률은 (전체 검색 결과 수 - 적합한 정보 수) / 전체 검색 결과 수 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80 - 56) / 80 = 0.3 이므로, 잡음률은 30%이다. 즉, 검색 결과 중에서 원하는 정보가 아닌 불필요한 정보가 30% 존재한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구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온라인상에서 스프레드 시트, 프레젠테이션, 설문지 등을 작성할 수 있는 것은?

  1. 지메일
  2. 구글 드라이브
  3. 구글 문서
  4. 구글 피카사
(정답률: 60%)
  • 구글 문서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도구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문서, 설문지 등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구글 드라이브는 파일 저장 및 공유 서비스이며, 지메일은 이메일 서비스, 구글 피카사는 사진 관리 및 편집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구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다음 내용과 관계있는 아이콘은 무엇인가?

(정답률: 69%)
  • 이 아이콘은 구글 지도 서비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지도에서 마커를 표시할 때 사용되는 아이콘 중 하나이며, 주로 은행, 병원, 학교 등의 장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구글이 제공하는 서비스로, 온라인 콘텐츠 옆에 광고를 게재하여 수익을 얻는 서비스는?

  1. 파노라미오
  2. 행아웃
  3. 그룹스
  4. 애드센스
(정답률: 56%)
  • 애드센스는 구글이 제공하는 광고 게재 서비스로, 웹사이트나 블로그 등의 온라인 콘텐츠 옆에 광고를 게재하여 광고주가 지불한 광고비를 수익으로 얻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를 통해 웹사이트나 블로그 운영자는 광고 수익을 얻을 수 있고, 광고주는 타겟팅 광고를 통해 원하는 대상에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논리 연산자와 그에 해당되는 기호로 거리가 먼 것은?

  1. AND - *
  2. NOT - !
  3. OR - %
  4. AND - &
(정답률: 46%)
  • 정답은 "OR -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AND 연산자는 두 개의 조건이 모두 참일 때 참을 반환하는 논리 연산자이며, 기호는 *입니다.
    - NOT 연산자는 주어진 조건의 반대를 반환하는 논리 연산자이며, 기호는 !입니다.
    - AND 연산자는 두 개의 조건이 모두 참일 때 참을 반환하는 논리 연산자이며, 기호는 &입니다.

    따라서, OR 연산자와 그에 해당하는 기호는 %이며, 다른 연산자와 구분됩니다. OR 연산자는 두 개의 조건 중 하나 이상이 참일 때 참을 반환하는 논리 연산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효과적인 정보검색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리키지, 개비지, 불용어는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검색한다.
  2. 가능하면 키워드는 간단하게 입력한다.
  3. 관련된 전문 데이터베이스가 어디에 있는지 파악한다.
  4. 여러 검색엔진을 사용하여 비교해 본다.
(정답률: 53%)
  • "가능하면 키워드는 간단하게 입력한다."는 검색어가 간단하면 검색 결과가 더 정확해지기 때문이다. 검색어가 복잡하면 검색엔진이 해당 검색어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관련 없는 결과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단하고 명확한 검색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정보검색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괄호 안에 적합한 용어로 알맞은 것은?

  1. (ㄱ) - 자연어, (ㄴ) - 불용어
  2. (ㄱ) - 인접연산, (ㄴ) - 리키지
  3. (ㄱ) - 시소러스, (ㄴ) - 불용어
  4. (ㄱ) - 자연어, (ㄴ) - 개비지
(정답률: 65%)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자연어이며,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불용어를 제거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 자연어, (ㄴ) - 불용어"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정보검색을 위해 다음과 같이 입력하는 경우, 어떻게 검색되는가?

  1. ‘해외’는 포함하지만 ‘직구’는 포함하지 않는 것만 검색된다.
  2. ‘해외’와 ‘직구’라는 단어를 모두 포함한 것이 검색된다.
  3. ‘해외’와 ‘직구’라는 단어 중 하나만 포함 되어도 검색된다.
  4. ‘해외 직구’라는 문구가 완전히 일치된 것만 검색된다.
(정답률: 47%)
  • 입력한 검색어는 "해외 직구"이며, 따라서 정확히 일치하는 문구만 검색된다. 다른 보기들은 "해외"와 "직구"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인터넷 정보원에 따른 분류가 1차-2차-3차 정보 순으로 나열된 것은?

  1. 도서–색인-초록지
  2. 학술지–잡지–해설 요약
  3. 규격정보–서지-색인
  4. 특허정보–색인–해설 요약
(정답률: 43%)
  • 특허정보는 1차 정보원으로, 이를 정리한 색인이 2차 정보원이며, 이를 해설 요약한 것이 3차 정보원이기 때문에 "특허정보–색인–해설 요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검색 키워드와 관련된 유의어, 동의어, 반의어 등과 같이 계층적이고 종속적인 관계까지 포함하여 결과를 제공하는 것은?

  1. 구문 검색
  2. 절단 검색
  3. 결과내 재검색
  4. 시소러스 검색
(정답률: 62%)
  • 시소러스 검색은 검색어와 관련된 유의어, 동의어, 반의어 등과 같이 계층적이고 종속적인 관계까지 포함하여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방법이다. 따라서 다양한 관련어를 포함하여 더 정확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구문 검색은 문장 내 특정한 구문을 검색하는 방법, 절단 검색은 검색어를 일부만 입력하여 검색하는 방법, 결과내 재검색은 이전 검색 결과에서 추가적인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특정 사용자층을 겨냥하여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는?

  1. 포털사이트
  2. 공식사이트
  3. 보털사이트
  4. 옐로우페이지
(정답률: 50%)
  • 정답은 "보털사이트"입니다. 보털사이트는 특정 사용자층을 겨냥하여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로, 보험, 의료, 법률 등의 분야에서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포털사이트나 옐로우페이지와는 달리, 보털사이트는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공식사이트는 해당 기업이나 기관의 공식 홈페이지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검색식 수립 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키워드 선정 시에는 주제에서 벗어난 것도 다양하게 고려한다.
  2. 인접 연산자 사용을 피하고, 논리 연산자를 사용한다.
  3. 구문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를 검색한다.
  4. 절단검색을 사용하면 검색 결과가 많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53%)
  • 검색식을 수립할 때 구문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검색어의 순서나 문장 구조 등을 고려하여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여 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동일한 키워드로 3개의 다른 정보검색 사이트에서 검색을 하였는데, 검색 결과가 다르게 나왔다. 그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검색엔진의 성능
  2. 지원하는 연산자 개수
  3. 도움말의 지원 여부
  4. 검색식의 종류
(정답률: 51%)
  • 정답: 검색엔진의 성능

    각 검색엔진은 자체적인 알고리즘과 검색 방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키워드로 검색을 해도 결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이는 검색엔진의 성능과 관련이 있습니다. 검색엔진의 성능은 검색어 처리 속도, 검색어 인식 정확도, 검색 결과 정확도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검색엔진의 성능이 높을수록 더 정확하고 다양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터넷 윤리

67. 다음 중 윤리와 법 및 관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윤리는 자율적으로 자신의 행동을 규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2. 법은 외면적 행위를 타율에 의해 규제하는 것이다.
  3. 관습은 문화나 지역에 따라 같기 때문에 사회질서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4. 법은 사법부에 의해 ‘합법’과 ‘불법’으로 정의된다.
(정답률: 65%)
  • "관습은 문화나 지역에 따라 같기 때문에 사회질서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는 문화나 지역에 따라 다른 관습이 존재할 수 있지만, 법과 윤리는 보다 보편적인 원칙과 가치를 바탕으로 규제하고 규범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관습은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데 일부 기여하지만, 법과 윤리와 같은 보다 체계적이고 일관적인 규제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인터넷 윤리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터넷으로 인한 역기능이 점차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2. 인터넷은 가상의 공간이지만 행동의 주체는 인간이기 때문이다.
  3. 인터넷상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을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인터넷은 모두가 함께 활용하고 영위해야 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정답률: 66%)
  • 정답: "인터넷으로 인한 역기능이 점차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설명: 인터넷으로 인한 역기능이 감소하고 있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이 보기는 인터넷 윤리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로 적절하지 않다. 인터넷 윤리의 필요성은 인터넷 사용자들이 서로 존중하고 상호작용하는 데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인터넷을 안전하고 유익한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필요하다. 인터넷은 가상의 공간이지만 그 안에서 행동하는 주체는 인간이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자들은 인터넷 윤리를 준수해야 한다. 또한, 인터넷상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을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기 위해서는 인터넷 윤리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필요하다. 인터넷은 모두가 함께 활용하고 영위해야 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자들은 서로를 존중하고 협력하여 인터넷을 안전하고 유익한 공간으로 만들어 나가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버지니아 셰어의 ‘네티켓의 핵심원칙’이 아닌 것은?

  1. 실제 생활에서 적용된 것처럼 똑같은 기준과 행동을 고수하라.
  2. 온라인상의 당신 자신을 근사하게 만들어라.
  3. 전문적인 지식은 공유하지 않도록 하라.
  4. 논쟁은 절제된 감정 아래 행하라.
(정답률: 71%)
  • 전문적인 지식은 공유하지 않도록 하라. - 이것은 버지니아 셰어의 ‘네티켓의 핵심원칙’이 아닙니다.

    이유: 네티켓의 핵심원칙 중에서는 다른 사람들을 존중하고 예의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강조됩니다. 전문적인 지식을 공유하지 않는 것은 다른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하지 않고 자신만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네티켓의 핵심원칙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이메일을 사용할 때 지켜야 할 네티켓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메일은 쉽게 전파될 수 있음을 유념한다.
  2. 한 라인의 길이는 너무 길지 않게 작성하고, 제어문자를 충분히 사용한다.
  3. 제목은 메시지 내용을 함축해 간략하게 써야 한다.
  4. 행운의 편지, 메일 폭탄 등을 보내지 않는다.
(정답률: 68%)
  • "한 라인의 길이는 너무 길지 않게 작성하고, 제어문자를 충분히 사용한다."는 이메일을 보낼 때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네티켓입니다. 한 라인이 너무 길면 수신자가 읽기 어렵고, 제어문자를 충분히 사용하지 않으면 이메일이 깨져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메일을 보낼 때는 한 라인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제어문자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가독성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OECD 개인정보보호 8개 원칙 중 ‘개인참여의 원칙’에 대한 내용으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ㄴ), (ㄹ)
  4. (ㄱ), (ㄹ)
(정답률: 50%)
  • 정답은 "(ㄴ), (ㄹ)"이다.

    개인참여의 원칙은 개인이 자신의 개인정보에 대한 통제권과 참여권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이에 따라 개인은 자신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하는 경우에 동의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거부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개인참여의 원칙은 개인의 자율성과 자기결정권을 보장하는 원칙이다.

    따라서 "(ㄴ), (ㄹ)"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사이버테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정보의 위·변조와 해킹
  2. 악성 바이러스의 유포
  3. 인터넷을 통한 스와핑
  4. 사회기반 정보통신 시스템의 파괴
(정답률: 58%)
  • 인터넷을 통한 스와핑은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가 있지만, 직접적으로 사회적인 피해를 입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사이버테러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전자금융 사기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스미싱
  2. 비싱
  3. 메모리해킹
  4. 인터넷 스토킹
(정답률: 56%)
  • 인터넷 스토킹은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추적하는 행위이지만, 전자금융 사기의 종류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스미싱은 문자메시지를 통해 개인정보를 빼내는 사기, 비싱은 이메일을 통해 개인정보를 빼내는 사기, 메모리해킹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의 기기를 해킹하여 개인정보를 빼내는 사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악성코드는 무엇인가?

  1. 백오리피스
  2. 트로이 목마
  3. 다운로더
(정답률: 60%)
  • 이 악성코드는 사용자가 다운로드한 프로그램이나 파일에 숨어서 실행되며, 사용자의 컴퓨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백도어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트로이 목마"라고 불리며, 다른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거나 중요한 정보를 탈취하는 등의 악의적인 행위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인터넷 중독의 정의 및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인터넷 중독은 내성이나 금단현상을 수반한다.
  2. 인터넷 중독이라는 용어는 Goldberg가 1996년 ‘인터넷 중독 장애’라고 언급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3. 인터넷 중독은 물질중독에 해당하며, 지나친 인터넷의 사용으로 야기된다.
  4. 정보 이용자가 지나치게 컴퓨터에 접속하여 일상생활에 심각한 사회적, 정신적, 육체적, 금전적 지장을 받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정답률: 60%)
  • "인터넷 중독은 물질중독에 해당하며, 지나친 인터넷의 사용으로 야기된다." 이유는 인터넷 중독은 뇌 내부의 화학물질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뇌에서 분비되는 도파민 수치가 높아지면서 뇌의 보상 체계가 균형을 잃어나는 것이 원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터넷 중독은 물질중독과 유사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인터넷 중독의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인터넷이 가지고 있는 유희성, 호기심, 익명성 등과 관련이 있다.
  2. 인터넷 중독은 개인적인 심리적 특성과는 관련이 없다.
  3. 사회의 제도와 구조, 문화가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발생한다.
  4. 인터넷의 특성인 시간적 무 제약성으로 인해 중독에 빠지기 쉽다.
(정답률: 62%)
  • "인터넷 중독은 개인적인 심리적 특성과는 관련이 없다."라는 설명이 거리가 먼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인터넷의 특성과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 상호작용하여 인터넷 중독이 발생한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터넷 중독은 개인적인 심리적 특성과는 관련이 없다."는 설명은 인터넷 중독이 발생하는 원인이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는 무관하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킴벌리 영이 분류한 인터넷 중독 유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사이버 섹스 중독
  2. 사이버 교제 중독
  3. 정보 과부하
  4. 온라인 쇼핑 중독
(정답률: 37%)
  • 온라인 쇼핑 중독은 다른 세 가지 유형은 모두 인터넷을 통한 대인관계나 성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에 초점을 둔 반면, 쇼핑 중독은 인터넷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고 소비하는 것에 중점을 둔 유형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유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인터넷 중독의 증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대부분의 시간을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보낸다.
  2. 친구를 만나지 않고, 취미 활동에도 관심이 없어진다.
  3. 인터넷 사용으로 수면 시간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4. 혈압 상승, 심장마비, 돌연사 등이 초래된다.
(정답률: 58%)
  • 인터넷 중독은 인터넷 사용에 대한 강한 욕구와 제어 불능적인 사용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 중에서도 수면 시간이 증가하는 것은 오히려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수면 시간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인터넷 중독자는 수면 부족으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인터넷 중독 예방을 위한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실외에서 할 수 있는 취미활동을 즐긴다.
  2. PC방에 갈 때는 친구와 어울려 가지 않고, 혼자 가는 것이 좋다.
  3. 특별한 목적 없이 컴퓨터를 켜지 않는다.
  4. 인터넷 때문에 식사나 취침시간을 어기지 않는다.
(정답률: 69%)
  • "PC방에 갈 때는 친구와 어울려 가지 않고, 혼자 가는 것이 좋다."는 인터넷 중독 예방을 위한 방법 중에서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유는 혼자 가는 것이 오히려 더욱 위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친구와 함께 가면 서로를 감시하고 도와줄 수 있으며, 혼자 가면 인터넷에 빠져서 시간을 잊고 지내기 쉽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C방에 갈 때는 친구와 함께 가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중증 인터넷 중독의 치료 순서로 알맞은 것은?

  1. 현상파악→협조의뢰→상황파악→목표설정→허비한 시간 검토
  2. 현상파악→허비한 시간 검토→목표설정→상황파악→협조의뢰
  3. 상황파악→허비한 시간 검토→현상파악→목표설정→협조의뢰
  4. 허비한 시간 검토→현상파악→상황파악→목표설정→협조의뢰
(정답률: 49%)
  • 중증 인터넷 중독의 치료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현상파악→허비한 시간 검토→목표설정→상황파악→협조의뢰".

    이유는 먼저 현상을 파악하고, 그 다음에 허비한 시간을 검토하여 중독의 정도를 파악합니다. 그리고 목표를 설정하고, 상황을 파악한 후에 협조를 요청합니다. 이러한 순서로 진행하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