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6-13)

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2015-06-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인터넷의 이해

1. 다음 중 인터넷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세계 컴퓨터들이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망을 의미한다.
  2.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3. 인터넷의 시초는 미 국방성이 군사적 목적으로 구축한 NSFNet이다.
  4.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은 TCP/IP다.
(정답률: 81%)
  • "인터넷의 시초는 미 국방성이 군사적 목적으로 구축한 NSFNet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인터넷의 시초는 미국의 연구기관들이 연구를 위해 만든 ARPANET이며, 이후에 NSFNet이 구축되어 인터넷이 발전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HTML, CSS, XML의 표준안을 관장하는 인터넷 기구는 무엇인가?

  1. NIC
  2. W3C
  3. IETF
  4. IANA
(정답률: 65%)
  • 정답은 "W3C"입니다. W3C는 World Wide Web Consortium의 약자로, HTML, CSS, XML 등의 웹 기술 표준을 제정하고 유지보수하는 국제 기구입니다. 따라서 HTML, CSS, XML의 표준안을 관장하는 인터넷 기구는 W3C입니다. NIC는 Network Information Center, IETF는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ANA는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를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ICANN의 산하기구와 담당업무가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1. GNSO : 일반 최상위 도메인 신규 생성
  2. ASO : IP주소 시스템 정책에 관한 자문
  3. IETF : WWW 관련 표준안의 제작
  4. GAC : 인터넷의 확장 및 정부정책 관심 사안에 대한 자문
(정답률: 71%)
  • 정답은 "IETF : WWW 관련 표준안의 제작"입니다.

    IETF는 인터넷의 프로토콜과 관련된 표준안을 제작하는 국제적인 기구입니다. WWW(월드 와이드 웹)은 인터넷에서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 중 하나이지만, 이는 단지 인터넷 서비스 중 하나일 뿐이며, ICANN의 산하기구 중 하나로서 IETF가 WWW 관련 표준안을 제작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IETF와 "WWW 관련 표준안의 제작"이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IP주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P는 Internet Protocol의 약자이다.
  2. 기본 구조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구분된다.
  3. IPv6는 128비트 체계이며, 16비트씩 8개로 구성된다.
  4. IPv4는 64비트 체계이며, 10진수 숫자로 표기되는 인터넷 주소이다.
(정답률: 74%)
  • IPv4는 32비트 체계이며, 10진수 숫자로 표기되는 인터넷 주소이다. (보기 중 4번이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IPv6의 주소 체계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IPv4 주소 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시간으로 멀티미디어를 처리한다.
  2. IPv6는 ATM과 같은 고속망뿐만 아니라 저속망에서도 효율적으로 동작한다.
  3. IPv6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더블캐스트의 3가지 주소유형을 가지고 있다.
  4. IPv6은 16비트식 8개의 부분으로 나누며 각 부분은 콜론(:)으로 구분한다.
(정답률: 80%)
  • "IPv4 주소 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시간으로 멀티미디어를 처리한다."는 IPv6의 주소 체계와 관련이 없는 설명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IPv6는 128비트식 8개의 부분으로 나누며 각 부분은 콜론(:)으로 구분한다. IPv6는 ATM과 같은 고속망뿐만 아니라 저속망에서도 효율적으로 동작하며,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더블캐스트의 3가지 주소유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ARPA의 최상위 도메인 중, 역 도메인이라고도 불리며 IP에 대한 도메인을 인증하는 것은?

  1. el64.arpa
  2. ip6.arpa
  3. in-addr.arpa
  4. urn.arpa
(정답률: 62%)
  • "in-addr.arpa"는 IP 주소를 역순으로 표기한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IP 주소에 대한 도메인을 인증합니다. 예를 들어, 192.168.0.1의 경우 "1.0.168.192.in-addr.arpa"로 표기됩니다. 따라서 이 도메인은 IP 주소를 인증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프로토콜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단편화와 재합성
  2. 캡슐화
  3. 연결제어
  4. 데이터 교환
(정답률: 48%)
  • 정답: 데이터 교환

    설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규칙이며, 데이터 교환은 이 규칙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입니다. 데이터 단편화와 재합성은 큰 데이터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받은 조각들을 다시 합쳐서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하는 과정입니다. 캡슐화는 데이터를 패킷이라는 작은 단위로 나누어 각 패킷에 헤더와 트레일러를 붙여서 전송하는 것입니다. 연결제어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교환은 프로토콜의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OSI 7계층에서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1. TCP
  2. ICMP
  3. FTP
  4. HTTP
(정답률: 47%)
  •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를 설정하고,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ICMP입니다.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ICMP를 사용하여 패킷 전송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오류가 발생할 경우 이를 처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은?

  1. PEM
  2. NNTP
  3. S/MIME
  4. SSH
(정답률: 61%)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S/MIME의 인증서를 나타내며, S/MIME은 전자메일 보안 프로토콜 중 하나로, 전자메일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인증서를 통해 메일의 송신자와 수신자를 인증하고, 메일의 암호화와 서명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 이미지는 S/MIME 프로토콜과 관련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플레이톡
  2. 카카오 스토리
  3. 트위터
  4. 팟캐스트
(정답률: 53%)
  • 팟캐스트는 음성 또는 영상 콘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방식을 말하며,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와는 다른 형태의 서비스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소셜 미디어의 특성을 잘못 설명한 것은 무엇인가?

  1. 관심 있는 모든 사람들의 기여와 피드백을 촉진한다.
  2. 피드백과 참여가 공개되어 콘텐츠 접근과 사용이 용이하나, 사생활 노출의 위험이 있다.
  3. 단방향의 정보 유통이 특징이며 전통적인 브로드캐스트와 구분된다.
  4. 다양한 미디어의 조합과 링크를 통한 수평적 연결이 특징이다.
(정답률: 72%)
  • "단방향의 정보 유통이 특징이며 전통적인 브로드캐스트와 구분된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소셜 미디어는 양방향적인 정보 교류와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전통적인 브로드캐스트와 구분된다는 것이 소셜 미디어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누리 소통망 또는 사회 관계형 서비스라 한다.
  2. 정보의 정확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며 정보의 빠른 확산과 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3. 모바일 기기의 보급 확산으로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4. 온라인상에서 인맥 관리 및 정보 공유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강화시켜주는 서비스이다.
(정답률: 64%)
  • "온라인상에서 인맥 관리 및 정보 공유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강화시켜주는 서비스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 설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능 중 하나일 뿐, 다른 설명들과는 달리 정보의 정확성과 확산에 대한 특징을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보의 정확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며 정보의 빠른 확산과 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사용자들이 쉽게 정보를 공유하고 전파할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를 통해 빠르게 정보를 전달하고 확산시킬 수 있다.

    "누리 소통망 또는 사회 관계형 서비스라 한다."와 "모바일 기기의 보급 확산으로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정의와 현재 상황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 역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특징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OA용 소프트웨어 구입 및 웹서버 구축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2. 서버 해킹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존재한다.
  3. SaaS란 이용자가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임대 제공하는 서비스 유형이다.
  4. 사용되는 데이터에 대한 백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정답률: 46%)
  • "사용되는 데이터에 대한 백업이 반드시 필요하다."가 틀린 설명이 아닙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에서는 데이터의 안정성과 보안을 위해 백업이 필수적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OA용 소프트웨어 구입 및 웹서버 구축 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SaaS란 이용자가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임대 제공하는 서비스 유형입니다. 하지만 서버 해킹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은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에서 설명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기술은?

  1. 서비스 프로비저닝
  2. 자원 유틸리티
  3. 다중 공유모델
  4. 오픈 인터페이스
(정답률: 52%)
  • 이 그림은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서비스 프로비저닝 기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서비스 프로비저닝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자동으로 할당하고 구성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빠르게 필요한 자원을 얻을 수 있고, 클라우드 제공자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서비스 프로비저닝 기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구글 드라이브에서 제공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문서작성 기능
  2. 프레젠테이션 기능
  3. 포토샵 기능
  4. 양식(설문조사 또는 의견수렴 기능)
(정답률: 67%)
  • 구글 드라이브에서 제공되는 것 중 포토샵 기능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구글 드라이브는 문서작성, 프레젠테이션, 양식(설문조사 또는 의견수렴 기능)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포토샵은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 진입 시, 관련 정보가 스마트폰에 자동으로 표시되는 기술은?

  1. 디지털 컨버전스
  2. 아이비콘
  3. 빅데이터
  4. 블루투스
(정답률: 51%)
  •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 진입 시, 해당 장소에 설치된 아이비콘 비콘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통신하면서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이비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개인이나 기업에게 인터넷 접속서비스 및 웹사이트 구축 등을 제공하는 회사를 의미 하는 것은?

  1. IDC
  2. ISP
  3. ERP
  4. DRM
(정답률: 50%)
  • ISP는 "Internet Service Provider"의 약어로,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를 의미합니다. 즉, 개인이나 기업에게 인터넷을 제공하고, 웹사이트 구축 등과 같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개인정보의 유형과 그 종류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법적정보 : 전과기록, 파산 및 담보기록, 납세기록
  2. 일반정보 : 이름, 주민등록번호, 지문, 성별, 국적
  3. 의료정보 : 신체장애, 약물테스트, 가족 병력기록
  4. 통신정보 : 이메일, 전화통화 내용
(정답률: 43%)
  • 정답은 "일반정보 : 이름, 주민등록번호, 지문, 성별, 국적" 이다. 지문은 생체정보에 해당하며, 일반정보에 포함되지 않는다.

    - 법적정보 : 전과기록, 파산 및 담보기록, 납세기록
    - 일반정보 : 이름, 주민등록번호, 성별, 국적
    - 의료정보 : 신체장애, 약물테스트, 가족 병력기록
    - 통신정보 : 이메일, 전화통화 내용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개인정보처리자가 개인정보를 수집 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정보주체의 동의를 받은 경우
  2. 정보주체와의 계약의 체결 및 이행을 위하여 불가피하게 필요한 경우
  3. 법률에 특별한 규정은 없으나 법령상 의무를 준수하기 위하여 불가피하게 필요한 경우
  4. 공공기관이 법령 등에서 정하는 소관 업무의 수행을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
(정답률: 59%)
  • 정보주체의 동의를 받지 않은 경우는 개인정보를 수집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법령상 의무를 준수하기 위하여 불가피하게 필요한 경우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도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죄 수사를 위해 경찰이 수사과정에서 필요한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법령상 의무를 준수하기 위하여 불가피하게 필요한 경우로서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도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에 나열된 것은 저작물의 유형 중, 어떠한 것에 해당하는가?

  1. 일반적 저작물
  2. 2차적 저작물
  3. 공공 저작물
  4. 편집 저작물
(정답률: 48%)
  • 이미 존재하는 다른 저작물을 편집하여 새로운 저작물을 만든 것이기 때문에 "편집 저작물"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저작재산권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복제권
  2. 공표권
  3. 공중송신권
  4. 2차적저작물작성권
(정답률: 45%)
  • 공표권은 저작물을 공개하거나 발표하는 권리를 말하는데, 이는 저작재산권의 종류가 아니라 저작권의 범위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공표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전자서명법에서 공인인증기관이 발급하는 공인인증서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가입자 이름
  2. 가입자의 주민번호
  3. 공인인증서의 유효기간
  4. 공인인증서의 일련번호
(정답률: 71%)
  • 공인인증서에는 가입자의 주민번호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조치로, 주민번호는 공인인증서 발급 시에는 사용되지만, 발급된 공인인증서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국내에서 공인인증서를 발급하는 기관이 아닌 것은?

  1. 한국정보인증
  2. 한국정보사회진흥원
  3. 한국무역정보통신
  4. 금융감독원
(정답률: 47%)
  • 금융감독원은 공인인증서를 발급하는 기관이 아닙니다. 금융감독원은 금융기관의 안전성과 건전성을 감독하는 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리눅스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UNIX의 간이 버전인 Minix를 기반으로 개발된 운영체제이다.
  2. 미국의 벨 연구소가 UNIX시스템 개발을 위해 만든 프로그램 언어이다.
  3. 서버상의 데이터나 애플릿을 전송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언어이다.
  4. 웹페이지를 기술하기 위해 개발된 태그 언어이다.
(정답률: 45%)
  • 정답은 "UNIX의 간이 버전인 Minix를 기반으로 개발된 운영체제이다." 이다. 이유는 리눅스는 리누스 토발즈가 UNIX의 간이 버전인 Minix를 기반으로 개발한 운영체제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배열 또는 구성한 편집물로서 개별적으로 그 소재에 접근하거나 그 소재를 검색할 때 가장 적합한 응용 프로그램은?

  1. 데이터베이스
  2. 워드프로세서
  3. 스프레드시트
  4. 통신패키지
(정답률: 55%)
  •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개별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검색할 때 가장 적합합니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검색해야 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가 가장 적합한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설명은 ISDN의 접속 장비 중 어느 것에 해당 하는가?

  1. Network Terminator
  2. S-card
  3. U-card
  4. Terminal Adaptor
(정답률: 50%)
  • 이 그림은 ISDN 회선의 끝단에 위치하는 장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장비는 ISDN 회선을 종료하고,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를 Network Terminator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임의로 웹사이트를 구성해 일반 사용자들의 방문을 유도하여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의 구조적 결함을 이용해 사용자의 시스템 권한을 획득한 뒤 정보를 빼가는 해킹 수법은?

  1. 크래킹
  2. 백도어
  3. 스푸핑
  4. 웹 스패밍
(정답률: 44%)
  • 스푸핑은 TCP/IP 프로토콜의 구조적 결함을 이용해 사용자의 시스템 권한을 획득한 뒤 정보를 빼가는 해킹 수법입니다. 이는 IP 주소나 MAC 주소를 위조하여 다른 사용자로 위장하거나, 중간에서 데이터를 가로채서 변조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들이 방문하는 웹사이트를 구성해 유도하여 스푸핑 공격을 시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KAIT란 계정을 가진 사용자가 exam 이란 비밀번호로 host.domain.com이라는 호스트의 웹 브라우저상에서 telnet으로 로그인하기 위한 URL은?

  1. http://KAIT%exam@host.domain.com/
  2. telnet://host.domain.com:23/KAIT?exam
  3. telnet://KAIT@exam@host.domain.com/
  4. http://host.domain.com:23/KAIT?exam
(정답률: 52%)
  • telnet은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아니므로 URL의 첫 부분은 "http"가 아닌 "telnet"이어야 한다. 또한 telnet으로 로그인하려는 호스트의 주소와 포트번호를 지정해야 하므로 "host.domain.com:23"이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telnet으로 로그인할 때는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함께 입력해야 하므로 "@KAIT@exam"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telnet://KAIT@exam@host.domain.co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그래픽 기반의 홈페이지 저작도구는?

  1. 메모장
  2. 홈사이트
  3. 프론트 페이지
  4. 울트라에디트
(정답률: 44%)
  • 정답: 프론트 페이지

    설명: 프론트 페이지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그래픽 기반의 홈페이지 저작도구입니다. 사용자가 마우스와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쉽게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메모장과 울트라에디트는 텍스트 기반의 편집기이며, 홈사이트는 일반적인 웹사이트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제목의 글자크기를 변경하는 <Hn> 태그에서 적용되는 n값의 범위는?

  1. 0부터 6까지
  2. 0부터 7까지
  3. 1부터 6까지
  4. 1부터 7까지
(정답률: 48%)
  • <Hn> 태그에서 n값은 1부터 6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이는 제목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사용됩니다. n값이 작을수록 제목의 크기가 커지며, n값이 클수록 제목의 크기가 작아집니다. 따라서 n값은 1부터 6까지의 범위를 가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 등 멀티미디어 저작물의 불법 복제를 막고 저작권자를 보호하기 위한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 기술은?

  1. 디지털 워터마킹
  2. 전자서명
  3. 인증서
  4. 방화벽
(정답률: 65%)
  • 디지털 워터마킹은 멀티미디어 저작물에 특정한 식별자를 삽입하여 불법 복제를 막고 저작권자를 보호하는 기술입니다. 이 식별자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어 복제나 수정 시에도 계속 유지됩니다. 따라서, 디지털 워터마킹은 저작권 침해를 예방하고, 침해가 발생한 경우에도 증거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3차원 그래픽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3차원 물체의 각면에 색깔이나 음영효과를 넣어 화상의 입체감과 사실감을 나타내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디더링
  2. 메조틴트
  3. 모델링
  4. 렌더링
(정답률: 54%)
  • 정답: 렌더링

    설명: 렌더링은 3차원 그래픽에서 모델링된 물체를 실제로 그려내는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각면에 색깔이나 음영효과를 넣어 입체감과 사실감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렌더링이라는 용어가 정답이 된다. 디더링은 화면에서 발생하는 깨짐 현상을 줄이기 위한 기술이고, 메조틴트는 3D 모델링 소프트웨어의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실시간 멀티미디어 방송을 지원하지 않는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1. Windows Media Player
  2. Real Player
  3. ShockWave Flash
  4. Gom Player
(정답률: 49%)
  • 정답은 "ShockWave Flash"입니다. ShockWave Flash는 애니메이션 및 인터랙티브 웹 콘텐츠를 재생하는 데 사용되는 플러그인이지만, 실시간 멀티미디어 방송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반면, Windows Media Player, Real Player, Gom Player는 모두 실시간 멀티미디어 방송을 지원하는 플러그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터넷 자원 탐색

34. 다음 중 웹브라우저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하이퍼텍스트와 하이퍼미디어 정보를 보여 주는 프로그램이다.
  2. 동시에 여러 개의 웹브라우저에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3. 웹브라우저의 상태 표시줄에 URL 형식을 입력하여 자료를 요청한다.
  4. 서버에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가져와 클라이언트에게 보여주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정답률: 43%)
  • "동시에 여러 개의 웹브라우저에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는 웹브라우저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입니다.

    웹브라우저는 하이퍼텍스트와 하이퍼미디어 정보를 보여 주는 프로그램이며, 웹브라우저의 상태 표시줄에 URL 형식을 입력하여 자료를 요청하고, 서버에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가져와 클라이언트에게 보여주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설명은 웹브라우저 관련 파일 중 어떠한 것에 해당하는가?

  1. *.mht
  2. *.htm
  3. *.txt
  4. *.scr
(정답률: 41%)
  • 위 그림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웹페이지를 저장할 때 사용하는 "웹페이지 전체" 옵션을 선택한 경우 생성되는 파일 형식인 "*.mht" 파일이다. 이 파일은 웹페이지의 HTML, 이미지, 스크립트 등 모든 요소를 하나의 파일로 묶어서 저장하므로, 나중에 다시 열어보면 웹페이지를 그대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파일은 웹페이지를 오프라인에서도 볼 수 있도록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웹브라우저를 통해 기본적으로 볼 수 있는 파일 형식이 아닌 것은?

  1. *.jpg
  2. *.xlsx
  3. *.png
  4. *.svg
(정답률: 56%)
  • 정답은 "*.xlsx"입니다.

    웹브라우저를 통해 기본적으로 볼 수 있는 파일 형식은 이미지 파일인 "*.jpg", "*.png", "*.svg"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xlsx"는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에서 사용되는 스프레드시트 파일 형식으로, 웹브라우저에서는 기본적으로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엑셀 파일을 웹브라우저에서 열기 위해서는 엑셀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캔사스 대학의 로우 몬틀리가 유닉스 VMS 운영체제 사용자들을 위해 개발한 텍스트 기반의 브라우저는?

  1. 삼바
  2. 아라크네
  3. 링스
  4. 유닉스
(정답률: 38%)
  • 로우 몬틀리가 개발한 텍스트 기반의 브라우저는 "링스"이다. 이는 유닉스 VMS 운영체제 사용자들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게코 엔진 기반의 자유 소프트웨어 웹브라우저로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실행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는?

  1. 첼로
  2. 사파리
  3. 파이어폭스
  4. 오페라
(정답률: 54%)
  • 파이어폭스는 게코 엔진 기반의 자유 소프트웨어 웹브라우저로, 이 엔진은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하기 때문에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첼로, 사파리, 오페라와 같은 다른 웹브라우저들도 게코 엔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은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각 웹브라우저와 그에 대한 설명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구글 크롬 : 오픈 소스 웹브라우저
  2. 핫자바 :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JAVA 애플릿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한 웹브라우저
  3. 삼바 : 텍스트 위주의 매킨토시용 웹브라우저
  4. 모자익 :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브라우저
(정답률: 36%)
  • 정답은 "핫자바 :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JAVA 애플릿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한 웹브라우저"입니다. 핫자바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것이 아니라,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개발한 웹브라우저입니다. 또한, JAVA 애플릿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아니라, JAVA 애플릿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웹브라우저 중 성격이 다른 것은?

  1. 아라크네
  2. 삼바
  3. 링스
  4. 첼로
(정답률: 47%)
  • 정답은 "첼로"입니다.

    "아라크네", "삼바", "링스"는 모두 웹브라우저의 이름이며, 인터넷을 검색하고 웹사이트를 탐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첼로"는 웹브라우저가 아니라, 첼로 악기를 연주하는 앱입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개의 보기와는 성격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에서 설명하는 파이어폭스 브라우저의 기능은?

  1. Adblock
  2. Greasemonkey
  3. Web Developer
  4. Performancing
(정답률: 44%)
  • 이미지에서 보이는 아이콘은 Performancing이다. Performancing은 블로그 작성을 위한 확장 프로그램으로, 브라우저에서 바로 블로그를 작성하고 게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자동 완성
  2. 텍스트 편집
  3. 프레임 인쇄
  4. 목록 보기
(정답률: 47%)
  •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웹 브라우저로서 "자동 완성", "프레임 인쇄", "목록 보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지만, "텍스트 편집"은 웹 브라우저의 기능이 아니라 텍스트 편집기의 기능이기 때문에 정답은 "텍스트 편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구글 크롬 웹브라우저에서 ‘고급 동기화'의 대상이 아닌 것은?

  1. 다운로드 파일
  2. 북마크
  3. 테마
(정답률: 47%)
  • 다운로드 파일은 구글 크롬 웹브라우저에서 다운로드한 파일을 의미하며, 이는 사용자의 개인적인 파일이므로 고급 동기화의 대상이 아닙니다. 반면 북마크, 앱, 테마는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 환경과 관련된 정보이므로 고급 동기화의 대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단축키와 그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Ctrl + N – 현재 창 닫기
  2. Ctrl + D – 즐겨찾기 관리
  3. Ctrl + T – 새 탭 열기
  4. Ctrl + F – 현재 탭 닫기
(정답률: 53%)
  • 정답은 "Ctrl + T – 새 탭 열기"입니다. 이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현재 창을 닫거나 즐겨찾기를 관리하는 단축키가 아니라, 새로운 탭을 열어주는 단축키입니다. 새로운 탭을 열면 현재 창을 유지한 채 다른 웹페이지를 열어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각 웹브라우저와 그에 대한 설명 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스타일 시트 설정은 인터넷 옵션-일반 탭에서 설정가능하다.
  2.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커서 브라우징 기능을 사용하면 마우스 없이도 키보드를 이용하여 여러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3. 구글 크롬의 옴니박스에 돋보기 표시는 입력한 키워드와 관련된 사이트를 보여주는 것이다.
  4. 파이어폭스의 웹 디벨로퍼는 Java Script 보기와 Html 편집 기능 등을 제공한다.
(정답률: 45%)
  • "파이어폭스의 웹 디벨로퍼는 Java Script 보기와 Html 편집 기능 등을 제공한다."는 다른 웹브라우저와는 관련이 없는 설명이다.

    구글 크롬의 옴니박스에 돋보기 표시는 입력한 키워드와 관련된 사이트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다른 웹브라우저와는 다르게 구글 크롬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검색엔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검색엔진 소프트웨어
  2. 로봇
  3. 색인기
  4. 서버
(정답률: 53%)
  • 서버는 검색엔진의 구성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검색엔진 소프트웨어는 검색엔진의 핵심이 되는 소프트웨어이며, 로봇은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를 수집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색인기는 수집된 웹페이지를 분석하여 검색을 위한 색인을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서버는 검색엔진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적인 요소로, 검색엔진 소프트웨어와 색인기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서버는 검색엔진의 구성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검색엔진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검색엔진의 데이터베이스는 많을수록 좋으며 주기적인 업데이트로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2. 검색옵션은 단순하며,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3. 인터넷에 등록된 사이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4. 검색속도는 빨라야 한다.
(정답률: 53%)
  • "검색옵션은 단순하며,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야 한다."가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검색엔진의 데이터베이스가 많을수록 좋고, 주기적인 업데이트로 신뢰성을 확보해야 하며, 인터넷에 등록된 사이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보유해야 하며, 검색속도는 빨라야 한다는 것이 검색엔진의 기본적인 요구사항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검색엔진의 요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데이터베이스의 유형의 다양성
  2.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주기의 단기성
  3. 데이터베이스의 자료의 정확성
  4.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의 대용량성
(정답률: 40%)
  • 검색엔진은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그에 맞는 결과를 빠르게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합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의 유형이 다양하지 않으면 검색결과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의 유형의 다양성"이 검색엔진의 요건으로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각 검색엔진과 그에 대한 검색로봇의 공식명칭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구글 - Googlebot
  2. 네이버 - Naverbot
  3. 야후 - Slurp
  4. 다음 - Daumbot
(정답률: 37%)
  • 다음 검색엔진의 공식명칭은 Daumbot이 아니라 Daum 검색로봇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검색엔진 로봇이 주기적으로 방문하는 곳과 그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What's New : 검색엔진에 등록된 새로운 사이트 방문
  2. 메일링 리스트 : 뉴스그룹에서 포스팅 되는 기사의 URL 방문
  3. 쿨 사이트 : 인기 사이트나 가장 유명한 사이트 방문
  4. 서버 리스트 : 외부로 나가는 링크들이 많은 페이지 방문
(정답률: 44%)
  • "메일링 리스트 : 뉴스그룹에서 포스팅 되는 기사의 URL 방문"이 틀린 것이다. 검색엔진 로봇은 메일링 리스트에서 포스팅되는 기사의 URL을 방문하지 않는다. 메일링 리스트는 이메일을 통해 구독자들에게 정보나 논의를 공유하는 리스트이다. 따라서 검색엔진 로봇이 방문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검색엔진 구축 방식 중 매뉴얼 인덱스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웹 사이트를 구축한 관리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등록시키는 방식이다.
  2. 사용자가 보유한 문서의 내용 또는 URL 등을 등록하면 검색엔진에서 해당 항목에 추가하는 방식이다.
  3. 구축한 곳에서 직접 등록을 하여 에이전트 인덱스 방식보다 정보의 질이 낮다.
  4. 에이전트 인덱스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보의 양은 적다.
(정답률: 62%)
  • "구축한 곳에서 직접 등록을 하여 에이전트 인덱스 방식보다 정보의 질이 낮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매뉴얼 인덱스 방식은 웹 사이트를 구축한 관리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등록하는 방식이며, 정보의 질은 등록하는 관리자의 능력과 노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에이전트 인덱스 방식보다 정보의 질이 낮을 수도 있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어떠한 검색엔진인가?

  1. 주제별 검색엔진
  2. 단어별 검색엔진
  3. 메타 검색엔진
  4. 하이브리드 검색엔진
(정답률: 58%)
  • 위 그림은 메타 검색엔진을 나타내며, 여러 개의 검색엔진을 동시에 검색하여 결과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다른 검색엔진에 전달하여 그 결과를 모아서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은 특정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이에 대한 재현율과 정확률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재현율 : 60%, 정확률 : 75%
  2. 재현율 : 75%, 정확률 : 60%
  3. 재현율 : 40%, 정확률 : 25%
  4. 재현율 : 25%, 정확률 : 40%
(정답률: 43%)
  • 정확률은 검색 결과 중 실제로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것들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재현율은 실제로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것들 중 검색 결과에 포함된 것들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검색 결과 중에서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것들이 총 10개이고, 그 중에서 실제로 검색 결과에 포함된 것들이 6개이므로 재현율은 60%이다.

    반면, 검색 결과 중에서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것들이 총 8개이고, 그 중에서 실제로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것들이 6개이므로 정확률은 75%이다.

    따라서, 정답은 "재현율 : 60%, 정확률 : 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설명은 검색사이트에서 검색결과 출력시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키워드 배치 전략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1. Keyword Prominence
  2. Keyword Frequency
  3. Site Popularity
  4. Keyword Weight
(정답률: 55%)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검색어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색어가 더 자주 나타날수록 해당 페이지의 우선순위가 높아지는 "Keyword Frequency"에 해당한다. 즉, 검색어의 빈도수가 높을수록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되는 전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웹 검색 결과에서 검색의 잡음 또는 정도를 측정하는 평가 척도는?

  1. 링크율
  2. 재현율
  3. 빈도율
  4. 정확률
(정답률: 44%)
  • 정확률은 검색 결과 중 실제로 찾고자 하는 정보가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측정하는 평가 척도이다. 따라서 검색의 잡음이나 정도를 측정하는 평가 척도는 아니며, 링크율은 검색 결과에서 링크가 많이 걸려있는 페이지를 우선적으로 보여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재현율은 실제로 찾고자 하는 정보가 검색 결과에 얼마나 많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측정하는 평가 척도이며, 빈도율은 검색어가 문서 내에서 얼마나 자주 등장하는지를 측정하는 평가 척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검색어 서비스 가운데 싱글남, 싱글녀, 직장인, 주부, 대학생 등의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키워드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는?

  1. 사용자 그룹별 인기 검색어 서비스
  2. 자동완성 서비스
  3.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서비스
  4. 연관검색어 서비스
(정답률: 68%)
  • 사용자 그룹별 인기 검색어 서비스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검색어 서비스 중에서 싱글남, 싱글녀, 직장인, 주부, 대학생 등의 사용자 그룹별로 관심을 갖는 키워드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 그룹별로 검색어의 인기도를 파악하여 해당 그룹의 관심사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검색어 추천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그룹별 인기 검색어 서비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구글에서 제공하는 구글 드라이브 서비스에 대한 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모든 유형의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으며, 엑셀 및 파워포인트 파일을 웹상에서 편집할 수 있다.
  2. 모든 사용자에게 별도의 과금없이 30GB의 저장용량이 각각 제공된다.
  3. 기본적으로 업로드된 파일은 자동으로 공개되어 공유할 수 있으며, 별도로 비공개 설정이 가능 하다.
  4. 월 10달러의 사용료를 내면 무제한 저장 용량을 제공한다.
(정답률: 43%)
  • "월 10달러의 사용료를 내면 무제한 저장 용량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검색어의 유의어, 동의어, 반의어 등을 계층적 관계와 종속적 관계로 나타내주는 용어 사전을 가리키는 말은?

  1. 개비지
  2. 스패밍
  3. 리키지
  4. 시소러스
(정답률: 65%)
  • 시소러스는 검색어의 유의어, 동의어, 반의어 등을 계층적 관계와 종속적 관계로 나타내주는 용어 사전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따라서, "개비지", "스패밍", "리키지"와 같은 단어들의 유의어, 동의어, 반의어 등을 찾아볼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인터넷 정보검색에서 영어의 불용어 종류가 아닌 것은?

  1. 전치사
  2. 명사
  3. 조동사
  4. 인칭대명사
(정답률: 47%)
  • 인터넷 정보검색에서 영어의 불용어는 "전치사", "조동사", "인칭대명사"이지만, "명사"는 불용어가 아닙니다. 불용어는 문장에서 문맥상 중요하지 않은 단어들을 말하며, 명사는 문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명사"는 불용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정보검색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검색엔진을 통해 뉴스, 날씨, 이미지 등의 검색 및 자료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2. 대량의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아내는 것이 목적이다.
  3.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모든 정보를 찾을 수 있다.
  4. 시간의 경과에 따라 많은 사이트가 생겨나고 더불어 불필요한 쓰레기 정보도 증가하고 있다.
(정답률: 65%)
  •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모든 정보를 찾을 수 있다."는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검색엔진은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정보를 수집하고 있지만,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또한, 검색엔진이 수집한 정보 중에서도 일부 정보는 검색 결과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다음 중 인터넷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할 수 있는 정보영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클립아트 등 이미지 파일
  2. 특정 위치의 주소
  3. 특정 지역의 날씨
  4. 포털 사이트에 가입된 회원의 메일 내용
(정답률: 69%)
  • 정답은 "포털 사이트에 가입된 회원의 메일 내용"입니다. 이유는 포털 사이트에 가입된 회원의 메일 내용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이슈가 있기 때문에 검색 엔진에서는 이를 수집하거나 검색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정보는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할 수 없는 정보영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인터넷 검색 방법의 다양화와 거리가 먼 것은?

  1. 유즈넷, 메일링 리스트도 검색 정보원이 될 수 있다.
  2. 주제별 또는 단어별 검색엔진들의 특징을 적절히 활용하여 검색한다.
  3. 개비지는 가급적 적게, 리키지는 많이 생성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검색엔진에서 지원하는 연산자의 종류와 연산 기호를 정확하게 파악한다.
(정답률: 55%)
  • "개비지는 가급적 적게, 리키지는 많이 생성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가 다양한 인터넷 검색 방법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검색 결과를 더욱 정확하고 유용하게 만들기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검색 방법 자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이 가이드라인은 검색어의 선택과 사용, 검색 결과의 분석과 평가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다루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정보 검색식에서 사용하지 않는 논리 연산자는?

  1. AND
  2. IF
  3. NOT
  4. OR
(정답률: 66%)
  • 정답은 "IF"입니다. "AND", "NOT", "OR"은 모두 논리 연산자이지만 "IF"는 조건문에서 사용되는 제어문입니다. 따라서 정보 검색식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인터넷 정보원에 대한 차수와 종류가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1차 정보 - 표준
  2. 2차 정보 - 교과서
  3. 3차 정보 - 학위논문
  4. 3차 정보 - 단행본
(정답률: 40%)
  • 정답은 "1차 정보 - 표준"입니다.

    1차 정보는 원본 자료로서 가장 직접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정보를 말합니다. 표준은 국제적으로 인정된 기준이나 규격을 말하며, 인터넷 정보원에서는 표준화 기구에서 발행한 표준화 문서나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인정한 국제 표준 등을 말합니다.

    따라서, "1차 정보 - 표준"은 가장 직접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정보인 원본 자료 중에서도 국제적으로 인정된 기준이나 규격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에서 설명하는 검색옵션은 무엇인가?

  1. 구문검색
  2. 시소러스 검색
  3. 자연어 검색
  4. 절단검색
(정답률: 34%)
  • 위 그림은 검색어 "컴퓨터"를 입력하고 "절단검색" 옵션을 선택한 예시입니다. 절단검색은 검색어의 일부분만 입력해도 검색결과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검색옵션입니다. 따라서 "컴퓨터"라는 단어에서 "컴"이나 "퓨터"만 입력해도 검색결과가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내용은 어떠한 인터넷 정보원에 대한 설명인가?

  1. DOI
  2. KINDS
  3. USPTO
  4. DBpia
(정답률: 33%)
  • 이미지에서 보이는 "DOI"는 "Digital Object Identifier"의 약자로, 학술 논문 등의 디지털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식별자입니다. 다른 보기인 "KINDS"는 한국학술정보㈜에서 운영하는 학술논문 검색 서비스, "USPTO"는 미국 특허청, "DBpia"는 한국의 학술 전자도서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터넷 윤리

67. 다음에서 설명하는 인터넷 윤리의 기능으로 맞는 것은?

  1. 처방 윤리
  2. 예방 윤리
  3. 세계 윤리
  4. 책임 윤리
(정답률: 37%)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약국에서 판매되는 의약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환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처방 윤리"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기존 윤리학 외에 인터넷 윤리가 필요한 이유가 아닌 것은?

  1. 탈억제 효과로 인한 부정적인 행위가 활성화 되기 때문
  2. 각종 인터넷 중독, 유해 정보, 불법 행위 등의 역기능이 증가하기 때문
  3. 속도, 익명성, 파괴력 등 정보통신기술이 지닌 유혹으로 인해 도덕적 기준이 훼손되기 때문
  4. 비대면적인 사이버 공간보다 대면적인 현실 공간이 윤리 의식과 자기 통제력이 더욱 요구되기 때문
(정답률: 55%)
  • "비대면적인 사이버 공간보다 대면적인 현실 공간이 윤리 의식과 자기 통제력이 더욱 요구되기 때문"은 인터넷 윤리가 필요한 이유가 아니다. 이유는 인터넷 윤리는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매체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대면적인 현실 공간에서도 윤리 의식과 자기 통제력이 필요하지만, 이는 이미 기존의 윤리학에서 다루고 있는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제시한 네티즌 윤리강령의 네티즌 기본정신이 아닌 것은?

  1. 사이버 공간의 주체는 인간이다.
  2. 사이버 공간은 공동체의 공간이다.
  3. 사이버 공간은 누구에게나 평등하며 열린 공간이다.
  4. 사이버 공간은 정보 관리자가 건전하게 가꾸어 나가야 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사이버 공간은 정보 관리자가 건전하게 가꾸어 나가야 한다." 이다. 이유는 네티즌 윤리강령에서는 개인의 책임과 자율성을 강조하며, 정보 관리자가 사이버 공간을 가꾸어 나가야 한다는 내용은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사이버 공간의 주체는 인간이라는 것은 인터넷이 인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도구이며, 사이버 공간은 인간이 만들어낸 공간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사이버 공간은 공동체의 공간이며, 누구에게나 평등하며 열린 공간이라는 것도 강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SNS를 이용할 때 지켜야 할 네티켓이 아닌 것은?

  1. 욕설이나 비방을 하지 않고 상대방의 입장을 배려한다.
  2. 개인에게 보내야 할 메시지가 전체에게 가지 않도록 유의한다.
  3. 간결하고 명확한 표현을 사용하고 맞춤법과 문법에 맞게 글을 쓴다.
  4. 팔로어는 전파된 글을 별도의 출처 없이 자유롭게 널리 퍼뜨릴 수 있다.
(정답률: 71%)
  • 정답은 "팔로어는 전파된 글을 별도의 출처 없이 자유롭게 널리 퍼뜨릴 수 있다." 이다. 이는 올바른 네티켓이 아니며, 다른 사람의 저작물을 무단으로 공유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출처를 명시하거나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은 경우에만 공유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합법적으로 소유하고 있던 사용자의 도메인을 탈취하거나 도메인 네임을 속여 사용자들이 진짜 사이트로 오인하여 접속하도록 유도하여 개인정보를 훔치는 범죄 수법은?

  1. 피싱
  2. 파밍
  3. 스니핑
  4. 백도어
(정답률: 40%)
  • 정답은 "파밍"입니다. 파밍은 합법적으로 소유하고 있던 도메인을 탈취하거나 도메인 네임을 속여 사용자들이 진짜 사이트로 오인하여 개인정보를 훔치는 범죄 수법입니다. 이는 피싱과 유사하지만, 피싱은 이메일이나 메시지를 통해 가짜 사이트로 유도하는 것이고, 파밍은 직접적으로 도메인을 조작하여 유도하는 것입니다. 스니핑은 네트워크 상에서 정보를 가로채는 것이고, 백도어는 시스템에 불법적으로 접근하여 정보를 탈취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정상적인 인터넷 뱅킹 사이트에 접속하더라도 거래 오류를 발생시키거나 팝업창을 띄워 금융 거래 정보를 입력하게 한 후 금전을 부당하게 인출하는 전자 금융 범죄 유형은?

  1. 메모리 해킹
  2. 스파이웨어
  3. 트로이 목마
  4. 인터넷 웜
(정답률: 37%)
  • 메모리 해킹은 정상적인 인터넷 뱅킹 사이트에 접속하여도 사용자의 컴퓨터 메모리를 해킹하여 거래 정보를 탈취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터넷 뱅킹을 이용할 때에도 보안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고, 악성코드를 방지하는 등의 대처가 필요합니다. 스파이웨어, 트로이 목마, 인터넷 웜은 모두 악성코드의 일종으로, 사용자의 컴퓨터에 침투하여 정보를 탈취하거나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에서 설명하는 OECD 프라이버시 가이드 라인의 개인정보원칙으로 맞는 것은?

  1. 공개의 원칙
  2. 이용 제한의 원칙
  3. 수집 제한의 원칙
  4. 목적 명확화의 원칙
(정답률: 52%)
  • 이미 수집된 개인정보는 그 목적 범위를 넘어서 이용할 수 없으며, 이용 목적 외의 다른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것이 "이용 제한의 원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인터넷 보안 위협 행위 중 전송된 데이터를 원래 데이터가 아닌 다른 내용으로 바꾸는 행위로 맞는 것은?

  1. 수정
  2. 위조
  3. 가로막기
  4. 가로채기
(정답률: 38%)
  • 정답은 "수정"입니다.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은 데이터의 내용을 변경하여 다른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무결성을 위반하는 위협 행위입니다. 위조는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것이며, 가로막기는 데이터 전송을 차단하는 것이며, 가로채기는 데이터를 가로채서 엿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인터넷 중독이 높게 나타나는 유형이 아닌 것은?

  1. 가족응집력이 높은 사람
  2. 자존감이나 자기 통제력이 낮은 사람
  3. 현실 공간에서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
  4. 자신의 정체감에 불만이 있거나 인지적 왜곡의 경향이 있는 사람
(정답률: 71%)
  • 가족응집력이 높은 사람은 가족과의 관계가 좋아서 인터넷에만 의존하지 않고 현실에서도 만족감을 느끼기 때문에 인터넷 중독이 높게 나타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킴벌리 영이 분류한 인터넷 중독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컴퓨터 중독
  2. 네트워크 강박증
  3. 인터넷 게임 중독
  4. 사이버 교제 중독
(정답률: 25%)
  • 인터넷 게임 중독은 킴벌리 영이 분류한 인터넷 중독의 유형이 아닙니다. 이유는 인터넷 게임 중독은 게임 중독의 일종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킴벌리 영은 인터넷 중독을 "컴퓨터 중독", "네트워크 강박증", "사이버 교제 중독"으로 분류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인터넷 중독 유형 중 게임 중독 관련 증후군이 아닌 것은?

  1. 리셋 증후군
  2. 닌텐도 증후군
  3. 1분만 더 증후군
  4. 노모포비아 증후군
(정답률: 53%)
  • 노모포비아 증후군은 게임 중독과는 관련이 없는 성적인 증후군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리셋 증후군은 게임을 하다가 갑자기 게임을 멈추면 생기는 불안감과 집중력 저하 증상이고, 닌텐도 증후군은 닌텐도 게임기를 오랫동안 사용하다가 생기는 손목 통증과 눈의 피로 증상이다. 1분만 더 증후군은 게임을 하다가 시간을 잊고 계속해서 게임을 하게 되는 증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인터넷 중독에 이르는 과정 중 2단계에 해당되는 것은?

  1. 호기심
  2. 현실 탈출
  3. 인터넷에 심취하기
  4. 인터넷을 통한 대리 만족
(정답률: 50%)
  • 인터넷을 통한 대리 만족은 인터넷 중독에 이르는 과정 중 2단계에 해당된다. 이는 현실에서 얻지 못한 만족감을 인터넷에서 찾으며, 게임, 동영상, SNS 등을 통해 가상의 세계에서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행동은 점차적으로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에서 설명하는 인터넷 중독에 의한 증상으로 맞는 것은?

  1. (가) 내성 (나) 금단
  2. (가) 내성 (나) 시간왜곡
  3. (가) 시간왜곡 (나) 금단
  4. (가) 시간왜곡 (나) 내성
(정답률: 60%)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인터넷에 빠져 시간을 많이 보내다 보면 현실과의 시간 감각이 왜곡되어 일상 생활에서 필요한 일들을 소홀히 하게 됩니다. 이것이 "(가) 시간왜곡"입니다. 또한 인터넷 중독자는 인터넷을 끊기 어려워하며, 인터넷 사용을 제한하거나 중단하면 불안, 분노, 우울 등의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이것이 "(나) 금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 시간왜곡 (나) 금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16세 미만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정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온라인 게임을 제한하는 제도로 맞는 것은?

  1. 셧 다운 제도
  2. 쿨링오프 제도
  3. 옵트아웃 제도
  4. 인터넷 휴일제
(정답률: 68%)
  • "셧 다운 제도"는 자정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16세 미만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게임을 제한하는 제도이다. 이는 청소년들의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게임 중독 등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