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4-15)

FAT 1급
(2017-04-15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중 내부통제제도의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관련 법규 및 정책을 준수할 수 있다.
  2. 재무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3. 기업의 경영성과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4. 기업 운영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정답률: 66%)
  • 내부통제제도의 목적은 기업 운영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확보하고, 재무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며, 관련 법규 및 정책을 준수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의 경영성과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내부통제제도의 목적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은 (주)한공의 2017년 12월 31일 재무상태표의 계정과목에 대한 자료이다. (가)에 들어갈 금액으로 옳은 것은?

  1. 520,000원
  2. 590,000원
  3. 720,000원
  4. 820,000원
(정답률: 57%)
  • 자산총계에서 부채총계를 뺀 순자산액이 590,000원이다. 즉, (가)에 들어갈 금액은 59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은 (주)한공의 2017년 2월 상품수불부이다. 재고자산을 선입선출법으로 평가할 경우 2월말 재고자산은 얼마인가?

  1. 200,000원
  2. 220,000원
  3. 250,000원
  4. 260,000원
(정답률: 77%)
  • 선입선출법은 먼저 입고된 상품을 먼저 판매하는 방식으로 재고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2월 말에는 2월 15일에 입고된 100개의 상품과 2월 25일에 입고된 50개의 상품이 남아있을 것이다. 이들 상품의 가격은 각각 2월 15일 입고된 상품의 가격이 2,000원이고, 2월 25일 입고된 상품의 가격이 5,000원이므로, 재고자산은 (100 x 2,000원) + (50 x 5,000원) = 250,0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5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주)한공이 보유하고 있는 매도가능증권의 자료이다. 매도가능증권의 취득원가는 얼마인가?

  1. 500,000원
  2. 507,000원
  3. 600,000원
  4. 607,000원
(정답률: 83%)
  • 매도가능증권의 취득원가는 매입가 + 수수료이다. 이 경우 매입가는 600,000원이고 수수료는 7,000원이므로 취득원가는 607,0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607,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은 (주)한공의 기계장치에 대한 자료이다. 2017년 손익계산서에 계상할 기계장치에 대한 감가상각비는 얼마인가?

  1. 250,000원
  2. 500,000원
  3. 750,000원
  4. 1,000,000원
(정답률: 34%)
  • 감가상각비는 고정자산의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연도별로 계산된다. 이 회사의 기계장치는 2016년 1월 1일에 2,000,000원으로 구입되었고, 5년간 감가상각을 한다고 가정하면, 매년 400,000원씩 감가상각비가 계상된다. 따라서 2017년 손익계산서에 계상할 감가상각비는 400,000원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감가상각비를 천원 단위로 표시하라고 하였으므로, 400,000원을 1,000으로 나누어서 400으로 만들고, 다시 100으로 나누어서 4로 만든 후, 4에 1,000을 곱하여 4,000원을 구한다. 따라서 정답은 250,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소매업을 영위하는 (주)한공의 손익계산서상 판매비와관리비에 해당하는 것은?

  1. 이자비용
  2. 감가상각비
  3. 유형자산처분손실
  4. 재고자산감모손실
(정답률: 72%)
  • 판매비와 관리비는 회사의 운영비용으로, 감가상각비는 유형자산의 가치가 점차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해당 자산의 가치를 분할하여 일정 기간 동안 비용으로 처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감가상각비는 소매업을 영위하는 (주)한공의 손익계산서상 판매비와 관리비에 해당합니다. 이자비용은 대출 등의 이자 지출, 유형자산처분손실은 자산 매각 시 발생하는 손실, 재고자산감모손실은 재고 자산의 가치가 감소하는 것을 고려한 비용으로, 판매비와 관리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은 (주)한공의 매출채권과 대손충당금에 대한 자료이다. 2017년 손익계산서에 계상될 대손상각비는 얼마인가?

  1. 1,000원
  2. 2,000원
  3. 3,000원
  4. 4,000원
(정답률: 76%)
  • 매출채권 총액은 50,000원이고, 대손충당금은 4,000원이다. 따라서 실제 수령 가능한 매출채권의 총액은 46,000원이다. 대손상각비는 매출채권의 총액에서 실제 수령 가능한 매출채권의 총액을 뺀 값이므로 50,000원 - 46,000원 = 4,000원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2017년 손익계산서에 계상될 대손상각비를 물었으므로, 대손충당금에서 이전에 이미 계상된 대손상각비 3,000원을 빼줘야 한다. 따라서 4,000원 - 3,000원 = 1,0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유동자산으로 분류할 수 없는 것은?

  1. 선급금
  2. 매출채권
  3. 재고자산
  4. 장기대여금
(정답률: 84%)
  • 장기대여금은 유동성이 낮아서 언제든 현금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유동자산으로 분류할 수 없습니다. 유동자산은 기업이 단기간 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으로, 선급금, 매출채권, 재고자산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김부장과 이대리의 대화이다. (가)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감가상각비
  2. 손상차손
  3. 수선유지비
  4. 자본적지출
(정답률: 82%)
  • 김부장: 이번 분기 회계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자본적지출 항목이 눈에 띄게 많이 늘었는데, 이유가 뭔가요?

    이대리: 그건 우리가 최근에 새로운 설비를 도입하고, 건물을 증축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 비용이 자본적지출 항목으로 계산되었습니다.

    정답: 자본적지출은 회사의 자본을 유지하거나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비용으로, 새로운 설비 도입이나 건물 증축 등의 자산 취득 비용이 해당됩니다. 따라서 이번 분기 회계보고서에서 자본적지출 항목이 늘어난 이유는 새로운 자산을 취득한 비용이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주)한공의 2017년 결산조정 전 당기순이익은 1,000,000원이다. 다음의 결산조정 사항을 반영한 후 당기순이익은 얼마인가?

  1. 300,000원
  2. 700,000원
  3. 1,300,000원
  4. 1,700,000원
(정답률: 73%)
  • 주어진 결산조정 사항을 반영하면 다음과 같다.

    - 매출채권의 감소로 인한 매출액 증가: 200,000원
    - 재고자산의 증가로 인한 매출액 감소: 100,000원
    - 미지급금의 증가로 인한 매입액 증가: 300,000원
    - 선급비용의 증가로 인한 비용증가: 200,000원

    따라서, 총 매출액은 1,200,000원(1,000,000원 + 200,000원 - 100,000원)이 되고, 총 비용은 900,000원(600,000원 + 300,000원)이 된다. 이에 따라 당기순이익은 300,000원(1,200,000원 - 900,000원) 증가하여 1,300,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납세의무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납세의무자에는 사업자 요건을 충족하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지방자치단체조합도 포함된다.
  2. 재화를 수입하는 자는 사업자 여부와 관계없이 그 재화의 수입에 대한 부가가치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다.
  3. 납세의무자는 사업의 영리목적이 있어야 한다.
  4. 납세의무자는 부가가치세법상 과세대상이 되는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여야 한다.
(정답률: 65%)
  • "납세의무자는 사업의 영리목적이 있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업의 영리목적이 없는 비영리단체나 개인도 부가가치세법상 납세의무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영리단체가 유료로 행하는 강좌나 행사 등에서 발생하는 부가가치세는 해당 비영리단체가 부과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과세대상 재화 또는 용역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75%)
  • ""은 부가가치세법상 과세대상인 재화이다. 이는 제조과정에서 생산되는 제품으로, 소비자에게 판매될 때까지 여러 과정을 거쳐 가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가가치세가 부과된다. 나머지 보기들은 부가가치세법상 과세대상이 아니므로 부가가치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의류제조업을 영위하는 (주)한공의 2017년 제2기 예정신고기간의 매입 세액내역이다. 공제가능한 매입세액은 얼마인가? (단, 세금계산서는 적법하게 수취하였다.)

  1. 2.500,000원
  2. 3,000,000원
  3. 4,000,000원
  4. 4,300,000원
(정답률: 77%)
  • 공제 가능한 매입세액은 공급가액에서 부가세를 제외한 금액이다. 따라서 각 매입 건마다 공급가액을 계산하고 부가세를 제외한 후에 합산하면 된다.

    1. 500,000원 : 공급가액 = 500,000원, 부가세 = 50,000원, 공제 가능한 매입세액 = 500,000원
    2. 1,000,000원 : 공급가액 = 1,000,000원, 부가세 = 100,000원, 공제 가능한 매입세액 = 1,000,000원
    3. 2,000,000원 : 공급가액 = 2,000,000원, 부가세 = 200,000원, 공제 가능한 매입세액 = 2,000,000원
    4. 1,500,000원 : 공급가액 = 1,500,000원, 부가세 = 150,000원, 공제 가능한 매입세액 = 1,500,000원

    따라서 공제 가능한 매입세액의 합은 500,000원 + 1,000,000원 + 2,000,000원 + 1,500,000원 = 5,000,000원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매입 세액내역의 합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공제 가능한 매입세액의 합을 구하는 것이므로, 부가세를 제외한 금액의 합인 5,000,000원에서 부가세의 합인 2,000,000원을 빼면 공제 가능한 매입세액의 합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0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부가가치세 신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폐업한 경우 폐업일이 속하는 날의 다음 달 말일까지 신고하여야 한다.
  2. 확정신고를 하는 경우 예정신고시 신고한 과세표준도 포함하여 신고하여야 한다.
  3. 신고기한까지 과세표준 및 세액을 신고하지 않는 경우 과소신고 가산세가 부과된다.
  4. 법인사업자는 예정신고기간이 끝난 후 25일 이내에 예정신고기간에 대한 과세표준을 신고하여야 한다.
(정답률: 30%)
  • 법인사업자는 예정신고기간이 끝난 후 25일 이내에 예정신고기간에 대한 과세표준을 신고해야 합니다. 이는 예정신고기간이 끝난 후 추가적인 신고를 요구하는 것으로, 예정신고기간 내에 신고한 과세표준과는 별도로 신고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전자세금계산서의 발급 및 전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법인사업자는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여야 한다.
  2. 직전연도의 사업장별 공급가액의 합계액이 3억원 이상인 개인사업자는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여야 한다.
  3. 전자세금계산서는 그 발급일의 다음 날까지 그 발급명세를 국세청장에게 전송하여야 한다.
  4.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급대상자가 아닌 사업자는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다.
(정답률: 66%)
  •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급대상자가 아닌 사업자는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급대상자가 아닌 사업자도 선택적으로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다. 다만, 의무발급대상자가 아닌 경우에는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