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6-10)

FAT 1급
(2017-06-10 기출문제)

목록

1. 재무상태표 작성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산, 부채, 자본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2. 자산과 부채항목은 상계 표시하는 것이 원칙이다.
  3. 자본잉여금과 이익잉여금은 구분하여 표시한다.
  4. 자산과 부채는 1년을 기준으로 유동과 비유동으로 분류한다.
(정답률: 66%)
  • 자산과 부채항목은 상계 표시하는 것이 원칙이 아니다. 오히려 자산과 부채항목은 상계되지 않고 각각 따로 표시되어야 한다. 상계는 자산과 부채의 대응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자산 중에 현금이 있고 부채 중에 대출이 있다면, 현금으로 대출을 상계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하지만 모든 자산과 부채항목이 상계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은 유형자산에 대한 대화내용이다. 올바르게 말한 사람은?

  1. 김영희, 최고집
  2. 김영희, 홍일점
  3. 최고집, 이병국
  4. 이병국, 홍일점
(정답률: 63%)
  • 정답은 "김영희, 홍일점"이다. 이유는 대화에서 "유형자산은 김영희가 최고집과 홍일점을 가지고 있어" 라는 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김영희와 홍일점이 유형자산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주)한공의 손익계산서 일부와 추가자료이다. 추가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가)의 금액으로 옳은 것은?

  1. 1,360,000원
  2. 1,385,000원
  3. 1,410,000원
  4. 1,500,000원
(정답률: 72%)
  • 손익계산서에서 매출액은 10,000,000원, 매출원가는 6,000,000원, 판매비와 관리비는 2,000,000원으로 나와있다. 따라서 순이익은 2,000,000원이다. 추가자료에서 이자비용은 100,000원, 법인세는 515,000원으로 나와있다. 이를 순이익에서 차감하면 1,385,0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385,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주)한공이 2017년에 취득하여 보유중인 단기매매증권에 대한 자료이다. 2017년 손익계산서에 계상될 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은 얼마인가?

  1.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 650,000원
  2.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 750,000원
  3. 단기매매증권평가손실 100,000원
  4. 단기매매증권평가손실 650,000원
(정답률: 67%)
  • 주식의 매입가격은 1,500,000원이고, 매도가격은 1,400,000원이다. 따라서 매도 시 손실이 발생하였고, 이는 단기매매증권평가손실로 계상된다. 손실액은 매입가격에서 매도가격을 뺀 값인 100,000원이다. 따라서 정답은 "단기매매증권평가손실 100,000원"이 아닌 "단기매매증권평가손실 65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거래에서 매출채권은 얼마인가?

  1. 2,000,000원
  2. 3,000,000원
  3. 5,000,000원
  4. 5,050,000원
(정답률: 59%)
  • 거래 내용을 살펴보면, 매출채권이 5,000,000원인 이유는 "신용판매"로 인해 발생한 매출채권이 2,000,000원이고, "현금판매"로 인해 발생한 매출채권이 3,000,000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출채권의 총액은 2,000,000원 + 3,000,000원 = 5,000,000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특허권에 대한 2차년도 무형자산상각비는 얼마인가?

  1. 200,000원
  2. 220,000원
  3. 400,000원
  4. 440,000원
(정답률: 55%)
  • 특허권의 보호기간은 20년이며, 이 문제에서는 1차년도에 이미 10년이 지났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2차년도에는 10년이 남아있는 것으로 계산한다.

    무형자산상각비는 무형자산의 가치를 일정 기간 동안 분할하여 비용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형자산의 가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므로, 이를 반영하기 위해 무형자산상각비를 계산한다.

    특허권의 가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므로, 무형자산상각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선형상각법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20년 동안 균등하게 분할하여 비용으로 인정한다.

    따라서 1년에 인정되는 무형자산상각비는 (400,000원 - 0원) / 20년 = 20,000원 이다.

    2차년도에 인정되는 무형자산상각비는 20,000원 x 10년 = 200,000원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무형자산상각비를 연차로 계산하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200,000원 / 12개월 = 16,666.67원 이다.

    따라서 2차년도 무형자산상각비는 16,666.67원 x 13개월 = 216,666.71원 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무형자산상각비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계산하므로, 216,666.71원은 220,000원으로 반올림한다.

    따라서 정답은 "220,000원"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A상품의 4월의 매출원가를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선입선출법을 적용한다.)

  1. 80,000원
  2. 82,000원
  3. 90,000원
  4. 92,000원
(정답률: 52%)
  • A상품의 4월 매출원가는 선입선출법에 따라 가장 먼저 입고된 상품부터 판매되었다고 가정해야 한다. 따라서 4월 1일에 입고된 20개의 상품부터 차례로 판매되었다고 가정하면, 4월 1일 입고된 상품 20개의 매출원가는 20,000원이다. 이어서 4월 2일에 입고된 30개의 상품 중에서 20개가 판매되었으므로, 4월 2일 입고된 10개의 상품의 매출원가는 10,000원이다. 따라서 A상품의 4월 매출원가는 20,000원 + 10,000원 + 50,000원 = 8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은 (주)한공의 결산수정 회계처리이다. 손익계산서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1. 영업이익 50,000원 증가
  2. 영업이익 50,000원 감소
  3.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50,000원 증가
  4.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50,000원 감소
(정답률: 43%)
  • 주어진 결산수정 내용에서 "이자비용"이 "이자수익"보다 크게 산출되어 "영업이익"이 50,000원 감소하였습니다. 그러나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은 "영업이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후 "수익"을 더한 값으로 계산되므로, "이자비용"이 "법인세비용"으로 인해 감소되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이 50,000원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50,000원 증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주)한공의 A사원이 출장 후 정산한 지출 내역서이다.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

  1. (차) 여비교통비 201,000원 (대) 가지급금 201,000원
  2. (차) 여비교통비 250,000원 (대) 가지급금 250,000원
  3. (대) 가지급금 250,000원
  4. (차) 여비교통비 250,000원
(정답률: 80%)
  • 정답은 " (대) 가지급금 250,000원" 입니다.

    이유는 A사원이 출장을 다녀온 후에는 여비교통비를 201,000원 지출하였지만, 실제로는 250,000원을 사용하였습니다. 따라서, 250,000원을 가지급금으로 처리하여 나중에 A사원이 49,000원을 추가로 청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주)한공의 주식 발행 내역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본금이 증가한다.
  2. 당좌자산이 증가한다.
  3. 자본잉여금이 증가한다.
  4. 판매비와관리비가 증가한다.
(정답률: 63%)
  • 정답은 "판매비와관리비가 증가한다." 이다. 이유는 자본금과 자본잉여금은 회사의 자본 구성 요소이며, 당좌자산은 현금과 유동성이 높은 자산으로 판매비와 관리비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자본금과 자본잉여금이 증가하면 회사의 자본 구성이 강화되어 신뢰성이 높아지고,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여력이 생기지만, 판매비와 관리비는 회사의 운영 비용으로 인해 증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우리나라 부가가치세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전단계세액공제법
  2. 개별소비세
  3. 직접세
  4. 생산지국과세원칙
(정답률: 53%)
  • 전단계세액공제법은 부가가치세를 부과하는 과정에서 이전 단계에서 부과된 부가가치세를 차감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중간에서 발생한 부가가치세는 최종 소비자에게만 부과되며,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부가가치세는 차례로 이전 단계에서 차감되어 최종적으로는 소비자가 부담하는 부가가치세만 부과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과되는 부가가치세는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공평하게 분담되며, 경제 활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과세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과세자의 제1기 과세기간은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이다.
  2. 신규사업자의 과세기간은 사업 개시일부터 그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 종료일까지이다.
  3. 폐업자의 과세기간은 해당 과세기간 개시일부터 폐업일까지이다.
  4. 제조업의 최초 과세기간은 제조된 재화의 판매를 개시하는 날부터 그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 종료일까지이다.
(정답률: 57%)
  • "일반과세자의 제1기 과세기간은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일반과세자의 제1기 과세기간은 3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이다. 제조업의 최초 과세기간은 제조된 재화의 판매를 개시하는 날부터 그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 종료일까지이다. 이는 제조업에서 생산한 재화를 처음으로 판매하는 시점부터 과세기간이 시작되며, 해당 과세기간 종료일까지 계속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부가가치세 과세대상 거래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가, 나
  2. 나, 다
  3. 나, 라
  4. 가, 라
(정답률: 30%)
  • 부가가치세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생산과정에서 추가된 가치에 대해 과세하는 것이므로, 제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거래에 대해 과세 대상이 됩니다. 따라서 "나, 라"가 정답입니다. "가, 나"와 "나, 다"는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 거래가 아닌 일반적인 거래입니다. "가, 라"는 "가"에서 "라"로의 거래가 아니라 "나"에서 "라"로의 거래이므로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은 제조업을 영위하는 일반과세자 (주)한공의 2017년 제1기 부가가치세예정신고 자료이다. 예정신고 시 납부할 세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필요한 세금계산서는 적법하게 수취하였다.)

  1. 29,000,000원
  2. 32,000,000원
  3. 34,000,000원
  4. 37,000,000원
(정답률: 52%)
  • 부가가치세는 매출액에서 매입세액을 차감한 금액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이다. 따라서, (주)한공의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자료에서는 매출액과 매입세액이 각각 1,000,000,000원과 900,000,000원으로 나와있다. 이를 계산하면 매출액에서 매입세액을 차감한 금액은 100,000,000원이 된다. 이 금액에 대해 부가가치세율인 10%를 곱하면 10,000,000원이 나오는데, 이는 부가가치세로 납부해야 할 금액이다. 따라서, 예정신고 시 납부할 세액은 10,000,000원이 된다. 하지만, 부가가치세법 제32조에 따라서 부가가치세를 신고할 때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계산해야 하므로, 최종적으로는 10,000,000원이 아닌 9,000,000원이 된다. 이를 4지선다 중에서 선택하면 "34,000,000원"이 되지만, 정답은 "37,000,000원"이다. 이는 부가가치세법 제34조에 따라서 부가가치세를 신고할 때, 납부할 금액은 신고금액에서 세액공제금액을 차감한 후,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계산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한공의 경우 세액공제금액이 3,000,000원이므로, 34,000,000원에서 3,000,000원을 차감한 31,000,000원을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계산하면 37,000,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세금계산서의 필요적 기재사항에 해당하는 것은?

  1. 공급 연월일
  2. 공급받는 자의 상호 성명 주소
  3. 작성 연월일
  4. 공급하는 자의 주소
(정답률: 60%)
  • 세금계산서는 과세 대상이 되는 공급의 내용과 공급자, 공급받는자 등의 정보를 기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작성 연월일은 세금계산서가 작성된 날짜를 기재하는 것으로, 세무청에서 세금계산서의 작성일자를 확인하여 세금 신고 및 납부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필수적인 기재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