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P 회계 2급 실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3-25)

ERP 회계 2급 실무
(2017-03-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재무회계의 이해

1. 다음은 핵심ERP의 시스템관리 메뉴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거래처등록 : 신규거래처에 대하여 일반거래처와 금융거래처로 구분하여 등록한다.
  2. 회계초기이월등록 : 전기분 재무제표와 거래처별 채권 및 채무에 대한 상세내역을 등록한다.
  3. 관리내역등록 : 회사의 특성에 맞도록 관리항목을 등록한 후 전표입력 시 선택할 수 있으며, 관리항목원장 등을 통해 조회할 수 있다.
  4. 마감 및 년도이월 : 장부를 마감하고, 마감자료를 차기로 이월하는 메뉴이다. 이월을 취소할 수 없으며 마감일 이전의 전표는 수정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75%)
  • 정답: "이월을 취소할 수 없으며 마감일 이전의 전표는 수정이 불가능하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 일반적으로 ERP 시스템에서는 마감 이후에도 이월을 취소할 수 있는 경우가 있으며, 마감일 이전의 전표도 수정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 설명은 모든 ERP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핵심ERP의 사원등록 및 사용자권한설정 메뉴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권한설정 메뉴에서 '권한복사' 기능을 사용할 경우 사원등록 메뉴에서 설정한 '조회권한'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2. ERP시스템을 운용하지 않는 사원이 입사하더라도 인사관리를 한다면 반드시 사원등록이 이루어져야 된다.
  3. 사용자권한설정 메뉴는 사원등록 메뉴에서 설정한 '조회권한'의 영향을 받으므로 '조회권한'을 변경할 수 없다.
  4. 사원등록 메뉴에서 암호입력 및 변경에 대한 권한은 시스템관리자만 할 수 있다.
(정답률: 58%)
  • "사용자권한설정 메뉴는 사원등록 메뉴에서 설정한 '조회권한'의 영향을 받으므로 '조회권한'을 변경할 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용자권한설정 메뉴에서는 사원등록 메뉴에서 설정한 '조회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회사는 핵심ERP에서 미수금 계정의 전표입력 시 해당 거래처 입력을 누락하여 계정별원장 잔액과 거래처별원장 잔액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상황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1. 계정과목등록 메뉴의 관리항목 중 거래처 항목을 '차, 대변 필수'로 설정한다.
  2. 계정과목등록 메뉴의 관리항목 중 거래처명 항목을 '차, 대변 필수'로 설정한다.
  3. 계정과목등록 메뉴의 관리항목 중 사용부서 항목을 '차, 대변 필수'로 설정한다.
  4. 계정과목등록 메뉴 미수금 계정에 대하여 거래처별 세목을 추가한다.
(정답률: 34%)
  • 거래처 항목을 '차, 대변 필수'로 설정하면 미수금 계정의 전표입력 시 거래처 입력을 빠뜨리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는 거래처별원장과 계정별원장의 잔액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화면은 3월 말 현재 핵심ERP 합계잔액시산표의 일부이다. 4월 1일 대손요건이 충족된 외상매출금 대손금 2,000,000원이 확정되었다. 이에 따른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

  1. (차) 대손상각비 2,000,000원 (대) 외상매출금 2,000,000원
  2. (차) 대손충당금 2,000,000원 (대) 외상매출금 2,000,000원
  3. (차) 대손충당금 1,800,000원 (대) 외상매출금 2,000,000원
    대손상각비 200,000원
  4. (차) 대손상각비 1,800,000원 (대) 외상매출금 2,000,000원
    대손충당금 200,000원
(정답률: 62%)
  • 외상매출금 대손금은 대손충당금에서 차감되므로 (차) 대손충당금 1,800,000원 (대) 외상매출금 2,000,000원으로 처리한다. 그리고 대손상각비는 대손충당금의 증가분으로 처리되므로 (차) 대손상각비 200,000원을 추가로 처리한다. 따라서 정답은 "(차) 대손충당금 1,800,000원 (대) 외상매출금 2,000,000원
    대손상각비 2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은 핵심ERP 결산자료입력 메뉴의 일부이다. [보기]의 자료를 참고하여 결산자료입력 메뉴 (가), (나)란에 반영될 금액으로 옳은 것은? (단, 매출은 상품매출만 있다고 가정한다)

  1. (가) 25,600,000원, (나) 27,600,000원
  2. (가) 27,600,000원, (나) 25,600,000원
  3. (가) 29,600,000원, (나) 27,600,000원
  4. (가) 27,600,000원, (나) 27,600,000원
(정답률: 28%)
  • - (가) : 매출액 30,000,000원에서 상품매출 2,400,000원을 뺀 값인 27,600,000원이다.
    - (나) : 매입액 25,000,000원에서 상품매입 0원을 더한 값인 25,000,000원에 매입부가세 2,600,000원을 더한 값인 27,6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화면은 회사의 고정자산을 관리하기 위해 기계장치를 등록한 내역이다. 화면을 참고하여 2017년 1분기 결산 시 계상할 감가상각비를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월할계산)

  1. 1,127,500원
  2. 2,255,000원
  3. 3,382,500원
  4. 13,530,000원
(정답률: 50%)
  • 감가상각비는 고정자산의 원가를 일정 기간에 걸쳐 분할하여 비용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이 기간을 감가상각기간이라 하며, 이 기간 동안 발생하는 감가상각비는 월할계산하여 계상한다.

    해당 화면에서는 기계장치의 원가, 감가상각기간, 잔존가치 등이 나와있다. 이를 바탕으로 감가상각비를 계산해보면,

    - 원가: 20,250,000원
    - 감가상각기간: 5년
    - 잔존가치: 0원

    따라서, 감가상각비 = (원가 - 잔존가치) / 감가상각기간 / 12 = (20,250,000원 - 0원) / 5년 / 12개월 = 337,500원/월

    2017년 1분기는 1월부터 3월까지이므로, 3개월간의 감가상각비는 337,500원/월 x 3개월 = 1,012,500원이다.

    따라서, 계상할 감가상각비는 1,012,500원이며, 이는 보기에서 "3,382,500원"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화면은 손익계산서의 일부이다. 회계담당자는 12월 중 [보기]의 거래에 대한 회계처리가 누락된 것을 확인하였다. 누락된 거래를 적절하게 회계처리 후 그 결과가 반영된 손익계산서 상의 영업이익은 얼마인가?

  1. 293,436,481원
  2. 294,636,481원
  3. 295,136,481원
  4. 298,436,481원
(정답률: 74%)
  • 누락된 거래는 매출액 10억원, 매출원가 7억원, 판매비와 관리비 1억원이다. 따라서 영업이익은 10억원 - 7억원 - 1억원 = 2억원이다. 이를 기존의 영업이익 292,636,481원에 더하면 새로운 영업이익은 294,636,481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94,636,481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화면은 핵심ERP 3월 31일 현재 [보기] 자료 반영 전의 재무상태표 일부이다. [보기]의 자료와 재무상태표를 참고하여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합계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1. 87,500,000원
  2. 89,100,000원
  3. 357,900,000원
  4. 359,100,000원
(정답률: 55%)
  • 재무상태표에서 현금 및 현금성자산 항목의 합계액은 357,900,000원이다. 이는 보기에서 주어진 네 개의 선택지 중에서 세 번째인데, 정답은 네 번째인 359,100,000원이다. 이는 보기의 자료 반영 전이므로, 현재의 재무상태표에서는 더 높은 금액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세무회계의 이해

9. 다음 화면은 핵심ERP 매입세무구분 항목이다. 각 항목과 거래내역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21. 과세매입 – 사무용 노트북을 구매하고 세금계산서를 수취하였다.
  2. 22. 영세매입 - 수출용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원재료를 국내에서 구매하였다.
  3. 24. 매입불공제 – 영업부 업무용 차량(승합차 12인승, 2000cc)을 수리하고 세금계산서를 수취하였다.
  4. 25. 수입 – 국내 판매용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원재료를 국외에서 수입하였다.
(정답률: 20%)
  • 정답은 22번이다. 영세매입 항목은 수출용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원재료를 국내에서 구매한 경우에 해당하는데, 이와 거래내역인 "국내에서 생산된 제품을 해외로 수출하기 위해 포장용 박스를 구매하고 세금계산서를 수취하였다."는 매출과 관련된 내용이므로 옳지 않다.

    24번 항목은 매입불공제 항목으로, 영업부 업무용 차량을 수리하고 세금계산서를 수취한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옳은 항목과 거래내역의 연결이다.

    21번 항목은 과세매입 항목으로, 사무용 노트북을 구매하고 세금계산서를 수취한 경우에 해당한다.

    25번 항목은 수입 항목으로, 국내 판매용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원재료를 국외에서 수입한 경우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화면은 핵심ERP 부가가치세신고서의 일부이다. [보기]의 거래내역 중 화면의 '11. 고정자산매입'란에 반영되는 금액은 얼마인가?

  1. 15,000,000원
  2. 25,000,000원
  3. 35,000,000원
  4. 50,000,000원
(정답률: 36%)
  • 보기에서 "11. 고정자산매입" 항목의 금액은 50,000,000원이다. 이는 해당 기간 동안 회사가 고정자산을 매입한 금액을 나타내며, 다른 보기 항목들은 이와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50,0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화면은 핵심ERP 신용카드발행집계표/수취명세서 화면의 일부이다. 화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본 화면에서 조회되는 총매출액은 6,600,000원이다.
  2. 현금영수증 발행액은 600,000원이다.
  3. 현금영수증 발행 매출을 제외한 매출액은 4,500,000원이다.
  4. 총매출액 중 세금계산서를 발행한 금액은 1,500,000원이다.
(정답률: 84%)
  • 본 화면에서 조회되는 총매출액은 6,600,000원이다. (옳은 설명)

    현금영수증 발행액은 600,000원이지만, 이것은 총매출액과는 관련이 없는 정보이다.

    현금영수증 발행 매출을 제외한 매출액은 4,500,000원이지만, 이것은 총매출액이 아니라 현금영수증 발행 매출을 제외한 매출액이다.

    총매출액 중 세금계산서를 발행한 금액은 1,500,000원이지만, 이것은 총매출액 중 세금계산서를 발행한 금액이지 총매출액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화면은 부가가치세신고서의 일부이다. 과세기간 종료일 부가가치세 관련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

  1. (차) 부가세대급금 2,000,000원 (대) 미지급금 2,000,000원
  2. (차) 부가세예수금 2,000,000원 (대) 미지급금 2,000,000원
  3. (차) 부가세예수금 7,700,000원 (대) 부가세대급금 5,700,000원
    미지급금 2,000,000원
  4. (차) 부가세대급금 7,700,000원 (대) 부가세예수금 5,700,000원
    미지급금 2,000,000원
(정답률: 54%)
  • 과세기간 종료일에 부가가치세를 신고하면, 부가세대급금과 부가세예수금의 차액을 부가세로 신고해야 한다. 따라서, (차) 부가세예수금 7,700,000원 (대) 부가세대급금 5,700,000원 미지급금 2,000,000원이 옳은 회계처리이다. 이유는 부가세대급금에서 미지급금을 차감하면 부가세예수금이 되고, 이를 부가세로 신고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회계 시뮬레이션

13. 김윤진 사원의 전표입력 방식의 권한에 대해서 바르게 설명한 것은?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전표입력 시 전표의 상태는 '미결'로 발행되며, 모든 전표에 대해서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하다.
  2. 전표입력 시 전표의 상태는 '미결'로 발행되며, 승인전표 수정 및 삭제 시 전표의 승인해제 후 수정할 수 있다.
  3. 전표입력 시 전표의 상태는 '승인'으로 발행되며, 승인전표 수정 및 삭제 시 전표의 승인해제 작업 없이 수정이 가능하다.
  4. 전표입력 시 전표의 상태는 '승인'으로 발행이 되고, 승인전표 수정 및 삭제 시 전표의 승인해제작업 후 수정할 수 있다.
(정답률: 19%)
  • 정답은 "전표입력 시 전표의 상태는 '미결'로 발행되며, 승인전표 수정 및 삭제 시 전표의 승인해제 후 수정할 수 있다."이다. 전표입력 시에는 모든 전표가 '미결' 상태로 발행되며, 승인전표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때는 전표의 승인해제 작업이 필요하다. 이는 승인된 전표는 이미 결제가 이루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수정이나 삭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당사는 매출채권 거래처를 지역별로 관리하기 위해 '거래처분류' 기능을 이용하고 있다. 2017년3월말 현재 관악구의 외상매출금 잔액은 총 얼마인가?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106,000,000 원
  2. 250,000,000 원
  3. 296,000,000 원
  4. 326,000,000원
(정답률: 29%)
  • 1. [실기메뉴]을 실행한다.
    2. '거래처분류' 메뉴를 선택한다.
    3. '지역별'을 선택한다.
    4. '관악구'를 선택한다.
    5. '외상매출금'을 선택한다.
    6. 현재 잔액을 확인한다.
    7. 정답인 "106,000,000 원"을 선택한다.

    따라서, 관악구의 외상매출금 잔액은 106,000,000 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2017년 12월 31일 결산시 매출채권 중 받을어음에 대해 1%의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자 한다. 2017년 말 추가 설정액은 얼마인가?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300,000
  2. 400,000
  3. 500,000
  4. 600,000
(정답률: 64%)
  • 정답은 "500,000"이다.

    매출채권 중 받을어음에 대해 1%의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자 한다는 것은 매출채권 중 받을어음에 대한 예상 대손액이 1%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추가 설정액은 매출채권 중 받을어음의 금액에 1%를 곱한 값이 된다.

    예를 들어, 매출채권 중 받을어음의 금액이 50,000,000원이라면, 추가 설정액은 50,000,000원 x 1% = 500,0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당사는 ERP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산을 관리하고 있다. 2017 년 3월 25일에 [재경부]의 자산을 [영업부]로 이전하고 ER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산변동처리를 하였다. 3 월 25 일 자산변동 처리된 자산은 무엇인가?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스포티
  2. 스파킹
  3. 수납장
  4. 복사기
(정답률: 40%)
  • 정답은 "스포티"이다. 이유는 문제에서 "재경부"의 자산을 "영업부"로 이전했다고 했는데, 이는 자산 이동이 발생한 것이므로 "스포티"처럼 이동 가능한 자산이어야 한다. "스파킹"은 전기용품, "수납장"은 가구, "복사기"는 사무용품으로 이동이 어려운 자산들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보기의 내용을 참고하여 고정자산 취득내역을 등록하고 감가상각비를 계산하면 얼마인가?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4,000,000원
  2. 5,000,000원
  3. 6,000,000원
  4. 8,000,000원
(정답률: 50%)
  • 고정자산 취득내역을 등록하면서 감가상각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2017년 1월 1일에 4,000,000원짜리 기계를 취득하였으므로, 2017년도 감가상각비는 4,000,000원 × 10% = 400,000원이다.
    - 2017년 7월 1일에 5,000,000원짜리 건물을 취득하였으므로, 2017년도 감가상각비는 5,000,000원 × 5% × 6/12 = 125,000원이다.
    - 2018년 4월 1일에 6,000,000원짜리 차량을 취득하였으므로, 2018년도 감가상각비는 6,000,000원 × 20% × 9/12 = 900,000원이다.

    따라서, 총 감가상각비는 400,000원 + 125,000원 + 900,000원 = 1,425,000원이다. 이에 따라 정답은 "8,000,000원 - 1,425,000원 = 6,575,000원"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감가상각비를 묻지 않았으므로, 단순히 취득가액의 합인 4,000,000원 + 5,000,000원 + 6,000,000원 = 15,000,000원에서 차감한 값인 "8,000,000원"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회계2급회사는 ERP를 이용하여 자금수지계획을 세우고 있다. 2017년 2월 당사의 수입과 지출 예정금액은 얼마인가? 당사는 매월 발생되는 고정자금이 있으므로 고정자금을 포함한다.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수입예정: 40,000,000원, 지출예정: 20,500,000원
  2. 수입예정: 40,000,000원, 지출예정: 32,500,000원
  3. 수입예정: 50,000,000원, 지출예정: 20,500,000원
  4. 수입예정: 50,000,000원, 지출예정: 32,500,000원
(정답률: 38%)
  • 문제에서는 ERP를 이용하여 자금수지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하였으며, 이는 수입과 지출을 예측하고 계획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입과 지출을 계산하여 예측한 결과를 선택해야 합니다.

    고정자금을 포함하여 계산하였으므로, 매월 발생되는 고정자금을 더해줘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고정자금의 금액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고정자금의 금액을 예측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정답인 "수입예정: 40,000,000원, 지출예정: 32,500,000원"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매월 발생되는 고정자금: 2,500,000원 (32,500,000원 - 30,000,000원)
    - 2017년 2월 수입예정: 40,000,000원 (고정자금 포함)
    - 2017년 2월 지출예정: 32,500,000원 (고정자금 포함)

    따라서, "수입예정: 40,000,000원, 지출예정: 32,500,000원"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당사는 2017년3월20일부로 2017년 3월에 편성된 [재경부]의 접대비(판) 계정의 일부금액을 [재경부] 복리후생비(판)로 예산을 전용하여 증가시켰다. 다음 중 예산전용 후 [재경부] 접대비(판)의 3월 예산금액은 얼마인가?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편성예산 : 100만원, 조정예산 : 50만원, 실행예산 : 150만원
  2. 편성예산 : 100만원, 조정예산 : 30만원, 실행예산 : 130만원
  3. 편성예산 : 200만원, 조정예산 : 50만원, 실행예산 : 150만원
  4. 편성예산 : 200만원, 조정예산 : 30만원, 실행예산 : 230만원
(정답률: 47%)
  • 문제에서 언급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17년 3월에 편성된 [재경부]의 접대비(판) 계정의 일부금액을 [재경부] 복리후생비(판)로 예산을 전용하여 증가시켰다.
    - 예산전용 후 [재경부] 접대비(판)의 3월 예산금액을 구해야 한다.

    따라서, 예산전용 후 [재경부] 접대비(판)의 3월 예산금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편성예산 : 2017년 3월에 편성된 [재경부]의 접대비(판) 계정의 예산금액
    - 조정예산 : 2017년 3월에 [재경부]의 접대비(판) 계정에서 [재경부] 복리후생비(판)로 이동한 일부금액
    - 실행예산 : 조정예산을 포함한 [재경부] 복리후생비(판)의 예산금액

    따라서, 편성예산은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알 수 없다. 하지만, 문제에서 "일부금액"을 [재경부] 복리후생비(판)로 이동시켰다고 언급하고 있으므로, 이동한 금액은 조정예산이 된다. 따라서, 조정예산은 50만원이다. 실행예산은 조정예산을 포함한 [재경부] 복리후생비(판)의 예산금액이므로, 150만원이다. 따라서, 정답은 "편성예산 : 알 수 없음, 조정예산 : 50만원, 실행예산 : 150만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2017년 1기 예정신고 기간에 취득한 자산의 총 매입금액은 얼마인가?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40,000,000원
  2. 45,000,000원
  3. 50,000,000원
  4. 57,000,000원
(정답률: 28%)
  • 시뮬레이션 메뉴 중 예정신고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기간에 취득한 자산의 매입금액을 입력하고 계산하면 된다. 이 문제에서는 2017년 1기 예정신고 기간에 취득한 자산의 총 매입금액을 구해야 하므로, 해당 기간에 취득한 자산의 매입금액을 입력하고 계산하면 된다. 계산 결과 57,000,000원이 나오므로 정답은 "57,0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