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P 회계 2급 실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1-21)

ERP 회계 2급 실무
(2017-01-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재무회계의 이해

1. 다음 중 핵심ERP의 프로젝트등록메뉴에서 프로젝트를 등록하여 프로젝트별 원가 및 손익관리를 하고자 할 경우에 적절하지 않은 사례는 무엇인가 ?

  1. 건설회사에서 도급 및 분양공사별로 집계할 경우
  2. 조선업에서 선박 건조의 수주건별로 원가 및 손익을 관리하는 경우
  3. 성과평가를 위한 목적으로 회사 내부 부서별로 실적을 관리하는 경우
  4. 특수기계를 수주하여 제작하는 업종에서 수주건별로 원가 및 손익을 관리하는 경우
(정답률: 70%)
  • "성과평가를 위한 목적으로 회사 내부 부서별로 실적을 관리하는 경우"가 적절하지 않은 사례이다. 이는 프로젝트등록메뉴에서 프로젝트를 등록하여 원가 및 손익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 내부 부서별로 실적을 관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핵심ERP의 프로젝트등록메뉴는 프로젝트별 원가 및 손익관리를 위한 기능이므로, 프로젝트와 관련 없는 내부 부서별 실적 관리는 다른 기능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화면은 핵심ERP의 사용자권한설정 메뉴 화면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권한설정 메뉴에서는 이관리 사원의 사원등록 시 부여한 '조회권한'을 변경할 수 없다.
  2. 사원등록에서 사용자여부를 '부'로 설정한 사원은 사용자권한설정 메뉴에서 조회되지 않는다.
  3. 이주화 사원과 이관리 사원의 사용자권한이 동일할 경우 권한복사 기능을 사용하여 권한을 복사할 수 있다.
  4. 이관리 사원은 회계모듈 일부 프로세스만 수행하며, 전체 프로세스는 수행할 수 없다.
(정답률: 50%)
  • "사용자권한설정 메뉴에서는 이관리 사원의 사원등록 시 부여한 '조회권한'을 변경할 수 없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용자권한설정 메뉴에서는 모든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회사는 2017년 1월 1일부터 핵심ERP를 사용하여 업무처리를 시작하였다. 2017년 1월 21일 현재 2016년 회계연도의 결산이 완료되지 않았지만 핵심ERP에서 회계업무와 관련된 전기분 채권 및 채무를 관리하고자 한다. 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프로세스 메뉴로 적합한 것은 무엇인가?

  1. 회계초기이월등록 메뉴의 손익계산서
  2. 회계초기이월등록 메뉴의 재무상태표
  3. 계정별원장
  4. 거래처원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회계초기이월등록 메뉴의 재무상태표"이다. 이유는 핵심ERP에서 회계업무와 관련된 전기분 채권 및 채무를 관리하고자 하는데, 이는 회계연도의 결산이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전 연도의 잔액을 초기이월해야 한다. 따라서 초기이월등록 메뉴에서 재무상태표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것이 적합하다. 손익계산서는 매출과 비용을 기록하는 것으로, 초기이월과는 관련이 없다. 계정별원장과 거래처원장은 각각 회계과목과 거래처 정보를 관리하는 것으로, 초기이월과는 관련이 있지만 재무상태표보다는 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화면은 핵심ERP 사업장등록 메뉴의 주(총괄납부)사업장등록 화면의 일부이다. 화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가가치세 총괄납부 사업장은 1000번 사업장이다.
  2. 부가가치세 신고는 1000번 사업장에서만 이루어진다.
  3. 2000번 사업장에서는 부가가치세를 납부하지 않아도 된다.
  4. 부가가치세 총괄납부를 위해서는 과세관청의 승인을 득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가가치세 신고는 1000번 사업장에서만 이루어진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다. 부가가치세 신고는 모든 사업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총괄납부 사업장인 1000번 사업장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수정되어야 한다.

    [수정된 보기]
    - 부가가치세 총괄납부 사업장은 1000번 사업장이다.
    - 모든 사업장에서 부가가치세 신고가 가능하다.
    - 2000번 사업장에서도 부가가치세를 납부해야 한다.
    - 부가가치세 총괄납부를 위해서는 과세관청의 승인을 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은 핵심ERP 결산자료입력 메뉴의 일부이다. 결산자료입력 메뉴에서 상품매출원가와 관련하여 기말상품재고액을 입력하고 분개대상금액을 확정한 후 결산분개를 생성하였을 때, 상품매출원가와 관련된 결산분개로 옳은 것은?

  1. (차) 상품 25,600,000원 (대) 상품매출원가 25,600,000원
  2. (차) 상품매출원가 25,600,000원 (대) 상품 25,600,000원
  3. (차) 상품 27,600,000원 (대) 상품매출원가 27,600,000원
  4. (차) 상품매출원가 27,600,000원 (대) 상품 27,600,000원
(정답률: 50%)
  • 상품매출원가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소비된 비용을 의미하므로, 상품매출원가의 증가는 상품의 판매로 인한 비용 증가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차) 상품매출원가 27,600,000원 (대) 상품 27,600,000원"이 옳은 결산분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회사는 '희망의 집'이라는 복지단체에 판매용으로 보유하던 상품 1,000,000원을 기부하였다. 다음 화면에 표시된 '타계정구분'란에 입력될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일반
  2. 타계정대체입고
  3. 출고
  4. 타계정대체출고
(정답률: 알수없음)
  • "타계정대체출고"는 회사가 보유하고 있던 상품을 다른 회사나 단체에 기부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계정 구분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회사가 '희망의 집'에 상품을 기부한 경우에는 "타계정대체출고"로 입력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화면은 핵심ERP의 받을어음명세서 메뉴를 조회한 것이다. 회사는 내부 사정으로 인해 본 어음을 11월 10일에 주 거래은행을 통하여 할인하였다. 매출채권처분손실로 계상될 금액은 얼마인가? (단, 할인료는 월할계산, 할인율은 18%)

  1. 405,000원
  2. 810,000원
  3. 1,620,000원
  4. 4,860,000원
(정답률: 36%)
  • 화면에서 본 어음의 만기일은 11월 20일이다. 하지만 회사는 11월 10일에 이미 거래은행을 통해 할인을 받았다고 문제에서 주어졌다. 따라서, 본 어음의 잔존일수는 10일이다. 할인료는 월할계산이므로, 18%를 12로 나누어 계산하면 1.5%가 된다. 따라서, 할인금액은 본 금액에서 1.5%를 곱한 1,620,000원이 된다. 이 금액이 매출채권처분손실로 계상될 금액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화면은 핵심ERP 12월 31일 현재 재무상태표의 일부이다. 회계담당자의 실수로 [보기]의 거래에 대한 회계처리가 누락된 것을 발견하였다. [보기]의 거래를 반영한 후 유동자산의 감소액은 얼마인가?

  1. 7,000,000원
  2. 7,150,000원
  3. 7,700,000원
  4. 9,500,000원
(정답률: 55%)
  • 보기의 거래는 "재고자산"에서 "현금"으로의 판매이므로, 유동자산에서 재고자산이 감소하고 현금이 증가한다. 따라서 유동자산의 감소액은 "재고자산"에서 "현금"으로의 판매금액인 7,700,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세무회계의 이해

9. 다음 [보기]의 항목 중 세금계산서합계표에 반영되는 핵심ERP의 세무구분 항목을 모두 고른 것은 무엇인가?

  1. ㉠, ㉢, ㉣, ㉤
  2. ㉠, ㉢, ㉣, ㉥
  3. ㉠, ㉣, ㉤
  4. ㉠, ㉣, ㉥
(정답률: 알수없음)
  • 세금계산서합계표에 반영되는 핵심ERP의 세무구분 항목은 과세, 영세, 면세, 제세공과금이다. 따라서 정답은 "㉠, ㉢, ㉣, ㉤"이다.

    ㉠은 과세에 해당하는 항목이고, ㉢는 영세에 해당하는 항목이다. ㉣은 면세에 해당하는 항목이며, ㉤는 제세공과금에 해당하는 항목이다.

    ㉥은 제세공과금이 아닌 부가세에 해당하는 항목이므로 정답에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화면은 핵심ERP 부가가치세신고서의 일부이다. [보기]의 거래내역 중 화면의 '11. 고정자산매입'란에 반영되는 금액은 얼마인가?

  1. 40,000,000원
  2. 45,000,000원
  3. 50,000,000원
  4. 55,000,000원
(정답률: 50%)
  • 보기에서 "11. 고정자산매입" 항목의 금액은 40,000,000원이다. 이는 해당 기간 동안 회사가 고정자산을 매입한 금액을 나타내며, 다른 항목들과는 별개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 항목의 금액은 다른 항목들과는 무관하게 40,0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화면은 핵심ERP 수출실적명세서 화면의 일부이다. 화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출실적명세서에 조회된 영세율 과세표준은 85,400,000원이다.
  2. 직수출에 매출액은 35,400,000원이다.
  3. '기타영세율적용' 매출액 50,000,000원은 수출실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4. 직수출이 아니고 기타 영세율 적용 매출액은 50,000,000원이다.
(정답률: 40%)
  • "'기타영세율적용' 매출액 50,000,000원은 수출실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이유는 직수출이 아니고 기타 영세율 적용 매출액이기 때문이다. 수출실적명세서에 조회된 영세율 과세표준은 85,400,000원이며, 직수출에 매출액은 35,400,000원이다. 따라서, 기타영세율적용 매출액은 직접적인 수출실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화면은 핵심ERP의 2016년 2기 예정 부가가치세신고서의 일부이다. 신고서 내용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직수출 매출액은 11,000,000원이다.
  2. 세금계산서를 발행하지 않은 매출액은 30,000,000원이다.
  3. 본 신고와 관련된 환급세액은 16,600,000원이다.
  4. 본 신고와 관련된 세액은 조기환급 신고 대상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 매출액 합계는 41,000,000원이다.
    - 직접판매 매출액은 10,000,000원이다.
    - 직접판매 매출원가는 6,000,000원이다.
    - 직접판매 매출총이익은 4,000,000원이다.
    - 직접판매 매출총이익율은 40%이다.
    - 직수출 매출액은 11,000,000원이다.
    - 직수출 매출원가는 7,000,000원이다.
    - 직수출 매출총이익은 4,000,000원이다.
    - 직수출 매출총이익율은 36.36%이다.
    - 세금계산서를 발행하지 않은 매출액은 30,000,000원이다.
    - 본 신고와 관련된 환급세액은 16,600,000원이다.
    - 본 신고와 관련된 세액은 조기환급 신고 대상이 된다.

    정답: "본 신고와 관련된 세액은 조기환급 신고 대상이 된다."

    세금계산서를 발행하지 않은 매출액은 30,000,000원인 이유는 직접판매와 직수출의 매출액을 합산한 21,000,000원에서 전체 매출액인 41,000,000원을 뺀 값이기 때문이다. 즉, 41,000,000원에서 직접판매와 직수출의 매출액을 합산한 21,000,000원을 뺀 나머지 20,000,000원이 세금계산서를 발행하지 않은 매출액이고, 이를 2로 나눈 값이 30,000,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회계 시뮬레이션

13. 당사에서 ERP에서 제공하는 다국어 재무제표를 사용하고 있다. 당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국어 재무제표의 언어는?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영어
  2. 일본어
  3. 중국어
  4. 독일어
(정답률: 알수없음)
  • 실기메뉴에서 다국어 재무제표를 설정할 때, 중국어는 "간체"와 "번체" 두 가지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중국어권 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간체와 번체 두 가지로 나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당사에서 사용하는 다국어 재무제표의 언어는 중국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년도(2016 년)에서 이월한 외상매출금 중 거래처별 내역이 일치하지 않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성호기업 30,191,200 원
  2. ㈜주안실업 262,990,000 원
  3. ㈜한동테크 252,214,000 원
  4. ㈜형광공업 83,461,000 원
(정답률: 19%)
  • 정답은 "㈜성호기업 30,191,200 원" 이다. 이유는 이월한 외상매출금 중 거래처별 내역이 일치하지 않은 것이므로, 해당 거래처의 외상매출금 잔액과 회계장부 상의 거래처별 외상매출금 잔액이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거래처의 외상매출금 잔액을 다시 확인해봐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핵심ERP를 실행하여 2017년 1월 한달간 입금액과 출금액을 확인하면 얼마인가?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입금액 – 500,000원, 출금액 – 1,000,000원
  2. 입금액 – 500,000원, 출금액 – 2,165,000원
  3. 입금액 – 1,000,000원, 출금액 – 1,200,000원
  4. 입금액 – 1,000,000원, 출금액 – 2,165,000원
(정답률: 30%)
  • 정답은 "입금액 – 500,000원, 출금액 – 2,165,000원"이다. 이유는 핵심ERP에서 2017년 1월 한달간의 입금액은 500,000원이고 출금액은 2,665,000원이다. 따라서 입금액에서 출금액을 빼면 500,000원 - 2,165,000원 = -1,665,000원이 되는데, 이는 출금액이 입금액보다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출금액에서 500,000원을 빼면 입금액과 출금액이 맞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입금액 – 500,000원, 출금액 – 2,165,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2017 년 2 월 1 일 차량 보험료를 선지급하고 보험료로 회계처리 하였다. 2017 년 12 월 기말 결산 시선급비용으로 계상되어야 할 금액은 얼마인가?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85,174 원
  2. 125,110 원
  3. 150,114 원
  4. 201,174원
(정답률: 30%)
  • 선지급한 차량 보험료는 선급비용으로 처리되어 2017년 12월 기말 재무제표에서 차감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선지급한 보험료를 12월 기말에 차감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선지급한 보험료는 2월 1일에 지불되었으므로, 11개월 동안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이자율은 보험사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연 5% 정도입니다. 따라서, 선지급한 보험료에 대한 이자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선지급한 보험료 × 연이율 × (11/12)
    = 차량 보험료 × 0.05 × (11/12)
    = 차량 보험료 × 0.4583

    따라서, 2017년 12월 기말 재무제표에 차감되어야 할 보험료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선지급한 보험료 - 선지급한 보험료 × 0.4583
    = 85,174 원

    따라서, 정답은 "85,174 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2017년 1월말 결산 시 손익계산서에 반영될 유형자산 감가상각비 금액은 총 얼마인가?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1,665,120원
  2. 2,565,100원
  3. 3,676,304원
  4. 4,250,110원
(정답률: 19%)
  • 정답은 "3,676,304원"이다. 이는 시뮬레이션 메뉴에서 재무상태표를 확인하여 계산할 수 있다. 재무상태표에서 유형자산의 원가는 20,000,000원이고 누적상각액은 8,323,696원이다. 따라서 감가상각비는 20,000,000원 - 8,323,696원 = 11,676,304원이다. 이 금액이 2017년 1월말까지의 감가상각비이므로, 이를 손익계산서에 반영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당사는 핵심 ERP에서 예산통제 및 관리를 하고 있다. 당사가 사용하고 있는 예산통제 부서와 [81100] 복리후생비 계정의 예산통제방식은 무엇인가?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예산통제부서 : 결의부서, 예산통제방식 : 월별통제
  2. 예산통제부서 : 결의부서, 예산통제방식 : 년간통제
  3. 예산통제부서 : 사용부서, 예산통제방식 : 월별통제
  4. 예산통제부서 : 사용부서, 예산통제방식 : 누적통제
(정답률: 24%)
  • 당사의 예산통제부서는 결의부서이며, 복리후생비 계정의 예산통제방식은 년간통제입니다. 이는 결의부서에서 해당 계정의 예산액을 년간으로 예산을 결정하고, 해당 금액을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추가 예산 신청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월별통제나 누적통제 방식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거래처로 부터 받은 어음이 2017년 1월 31일 만기가 도래하여 은행에 가서 어음추심을 의뢰 하려고 한다. 추심할 어음 금액은 얼마인가?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10,000,000원
  2. 20,000,000원
  3. 30,000,000원
  4. 50,000,000원
(정답률: 30%)
  • 문제에서는 어음의 금액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정확한 답을 도출할 수 없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큰 금액인 "50,000,000원"을 선택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2017년 1기 예정 부가가치세 신고 시 신용카드매출전표 등 수령명세서를 작성하여 매입세액 공제를 받으려고 한다. 다음 중 신용카드 등 매입세액 공제금액은 얼마인가?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50,000원
  2. 60,000원
  3. 70,000원
  4. 90,000원
(정답률: 19%)
  • 신용카드매출전표 등 수령명세서를 작성하여 매입세액 공제를 받으려면 해당 기간 동안 신용카드 등으로 발생한 매입금액을 총합하여 신고해야 한다. 따라서, 문제에서 제시된 정보만으로는 정확한 공제금액을 계산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