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1-22)

화훼장식기능사
(2006-01-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훼장식재료

1. 다음 중 “테라리움”의 관리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식재토양은 가볍고 소독이 잘 된 것을 사용한다.
  2. 유리를 통해 충분한 양의 광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창가에 직사일광이 비치는 밝은 곳에 둔다.
  3. 식충식물이나 아디안텀, 프레리스와 같은 고사리류 식물이 좋다.
  4. 배수층 위에 숯을 약간 깔아주면 토양내 발생된 유해물질을 흡수해 줄 수 있다.
(정답률: 93%)
  • "유리를 통해 충분한 양의 광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창가에 직사일광이 비치는 밝은 곳에 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테라리움은 자연광이 필요하므로 직사일광이 비치는 곳보다는 간접광이 들어오는 곳이 적합하다. 직사일광이 계속해서 들어오면 식물이 과열되거나 건조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잎 표면의 특색과 특징을 가지고 분류 시 형태에 따른 연결이 바르지 않은 것은?

  1. 엽선(葉先) - 예두(銳頭)
  2. 엽저(葉底) - 의저( 底)
  3. 엽연(葉緣) - 원형(圓形)
  4. 엽형(葉形) - 타원형(橢圓形)
(정답률: 62%)
  • 엽연(葉緣) - 원형(圓形)은 잎의 표면의 특징과 형태에 따른 연결이 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잎의 표면의 특징은 주로 톱니, 파열, 털 등이 있으며, 형태에 따른 연결은 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들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다른 항목들과 달리 형태에 따른 연결이 바르지 않은 것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나팔꽃”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해살이 화초이다.
  2. 가을에 파종하는 화초이다.
  3. 보통 종자로 번식한다.
  4. 대체로 단일조건하에서 개화가 촉진된다.
(정답률: 42%)
  • 가을에 파종하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나팔꽃은 가을에 파종하여 다음 봄에 꽃을 피우는 화초입니다. 이는 나팔꽃이 겨울을 견디기 어렵기 때문에, 가을에 파종하여 봄에 꽃을 피우는 것이 이상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화훼의 식물학적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식물학적 분류란 유연관계가 있는 공통적인 특색을 가진 종들을 같은 속으로 포함시킨다.
  2. 학명의 표기는 각 나라의 고유언어로 표기한다.
  3. 속명, 종명, 변종명은 이탤릭체로 쓴다.
  4. 속명의 첫 글자는 이탤릭체 대문자로 쓴다.
(정답률: 73%)
  • "학명의 표기는 각 나라의 고유언어로 표기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식물학적 분류에서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학명 체계인 라틴어로 표기합니다. 이는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다양한 나라에서도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자연향을 오래 간직하기 위해서 말린 꽃에 향기나는 식물, 향료 등을 혼합하여 이것을 용기속에 넣어 이용하는 장식 화훼의 형태는?

  1. 포푸리
  2. 리스
  3. 부토니아
  4. 오브제
(정답률: 94%)
  • 포푸리는 말린 꽃에 향기나는 식물이나 향료를 혼합하여 용기속에 넣어 이용하는 장식 화훼의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리스는 화훼를 일정한 모양으로 묶어서 걸어놓는 것, 부토니아는 꽃의 종류 중 하나이며, 오브제는 향기를 내는 물건을 일컫는 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절지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사스레피나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상록성 식물이다.
  2. 관목성 식물이다.
  3.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에 자생한다.
  4. 교목성 식물이다.
(정답률: 61%)
  • 정답은 "교목성 식물이다."입니다. 사슴벌레 등의 해충에 강하고, 뿌리가 깊게 내려가서 건조에도 강한 절지용 상록성 관목입니다. 따라서 교목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화훼장식의 도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절단면이 깨끗하게 잘릴 수 있는 잘드는 칼을 사용해야 한다.
  2. 글루건(glue gun)은 90℃정도의 온도에서 접착제로 접착할 수 있는 접착제이다.
  3. 가위는 용도에 따라 꽃가위, 철사가위, 리본가위 등으로 나누며 용도에 맞게 사용해야 한다.
  4. 절화 잎이나 가시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잎 제거기와 가시 제거기 등의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76%)
  • "글루건(glue gun)은 90℃정도의 온도에서 접착제로 접착할 수 있는 접착제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글루건은 전기적으로 가열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도구로, 대부분의 접착제가 90℃ 정도에서 녹아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가을에 씨를 뿌리는 1년 초화류는?

  1. 시네라리아
  2. 메리골드
  3. 미모사
  4. 백일초
(정답률: 46%)
  • 시네라리아는 가을에 씨를 뿌리는 1년 초화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부분 봄에 씨를 뿌리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식물의 표찰 표기법에서 표찰의 표기 내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학명
  2. 보통명
  3. 번식법
  4. 원산지
(정답률: 83%)
  • 식물의 표찰 표기법에서는 학명, 보통명, 원산지 등의 정보를 표기하지만, 번식법은 표기하지 않습니다. 이는 번식법이 해당 식물의 특징이 아닌, 번식 방법에 대한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번식법은 식물의 표찰 표기법에서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암술이 꽃잎화 한 것은?

  1. 아이리스
  2. 나리
  3. 글라디올러스
  4. 포인세티아
(정답률: 35%)
  • 암술이 꽃잎화 한 것은 아이리스입니다. 이는 아이리스의 꽃잎이 3개의 외부 꽃잎과 3개의 내부 꽃잎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꽃잎 배치는 암술에서 꽃잎화가 일어나는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Lonicera Japonica Thunb.'이라는 학명을 가지고 있는 것은?

  1. 으름덩굴
  2. 인동덩굴
  3. 용담
  4. 금잔화
(정답률: 41%)
  • 'Lonicera Japonica Thunb.'는 인동덩굴의 학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식물 중 난과식물로 짝지워지지 않은 것은?

  1. 덴파레 - 심비디움
  2. 팔레높시스 - 카틀레야
  3. 반다 - 시프리페디움
  4. 덴드로비움 - 필로덴드롬
(정답률: 35%)
  • 덴드로비움과 필로덴드롬은 서로 다른 식물 종류이기 때문에 짝지워지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난과식물 중 하나인데, 덴드로비움과 필로덴드롬은 난과식물이 아닌 다른 종류의 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추식구근으로 무피인경에 속하는 식물은?

  1. 수선
  2. 아마릴리스
  3. 무스카리
  4. 나리(백합)
(정답률: 72%)
  • 추식구근은 나리(백합)과 아마릴리스 등 일부 식물에서 발견되는 구조물로, 이들 식물은 무피인경에 속합니다. 따라서, 나리(백합)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다육식물인 “꽃기린”이 속하는 과(科)명은?

  1. 석류풀과
  2. 대극과
  3. 박주가리과
  4. 돌나물과
(정답률: 73%)
  • 꽃기린은 대극과에 속합니다. 이는 꽃기린이 다육식물이며, 대극과는 다육식물과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석류풀과, 박주가리과, 돌나물과는 꽃기린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식물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화목류 중 주로 잎을 관상하는 종류들로 바르게 묶인 것은?

  1. 단풍나무, 은행나무, 향나무
  2. 단풍나무, 좀작살나무, 은행나무
  3. 은행나무, 구상나무, 산딸나무
  4. 주목, 수수꽃다리, 모과나무
(정답률: 76%)
  • 단풍나무, 은행나무, 향나무는 모두 잎이 크고 다양한 색상으로 물들어 가을에 아름다운 모습을 보이는 종류들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주로 잎을 관상하는 종류로 묶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기형화의 주요식물과 구성상의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팬지는 보통의 꽃으로 바깥쪽부터 꽃받침, 꽃잎, 수술, 암술의 순으로 배치된다.
  2. 백합은 꽃받침편이 꽃잎화하여 꽃잎과 공존하면서 꽃을 형성한다.
  3. 안수리움은 꽃잎은 소형화 또는 정상이지만 포엽이 꽃잎화하여 눈에 띈다.
  4. 튤립은 꽃잎은 소형화하고 꽃받침이 꽃잎화하여 눈에 띈다.
(정답률: 64%)
  • 백합은 꽃받침편이 꽃잎화하여 꽃잎과 공존하면서 꽃을 형성하지 않는다. 대신 꽃받침과 꽃잎이 분명하게 구분되어 있어서 꽃받침이 크고 화려하게 보인다.

    튤립은 꽃잎이 소형화하고 꽃받침이 꽃잎화하여 눈에 띈다. 이는 꽃받침이 꽃잎보다 더 크고 화려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괴근(塊根, 덩이뿌리)에 해당하는 구근류(알뿌리)는?

  1. 수선화
  2. 글라디올러스
  3. 칼라
  4. 다알리아
(정답률: 65%)
  • 괴근(塊根, 덩이뿌리)은 뿌리가 덩어리처럼 뭉쳐져 있는 것을 말합니다. 이에 해당하는 구근류(알뿌리)는 다알리아입니다. 다알리아는 뿌리가 덩어리처럼 뭉쳐져 있으며, 이 덩어리가 괴근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알리아가 괴근에 해당하는 구근류(알뿌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아스파라거스(Asparagus)속이 아닌 식물의 “종(種)”명은?

  1. 미리오클라두스(myriocladus)
  2. 스프렝게리(sprengeri)
  3. 메이리(meyerii)
  4. 코모숨(comosum)
(정답률: 58%)
  • 아스파라거스(Asparagus)속이 아닌 식물의 “종(種)”명은 코모숨(comosum)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인 미리오클라두스(myriocladus), 스프렝게리(sprengeri), 메이리(meyerii)는 모두 아스파라거스(Asparagus)속에 속하는 종들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미선나무”의 분류학상 해당되는 과(科)는?

  1. 천남성과
  2. 물푸레나무과
  3. 장미과
  4. 차나무과
(정답률: 66%)
  • 미선나무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합니다. 이는 미선나무의 생물학적 특성과 형태, 생태학적 특징 등이 물푸레나무과의 다른 종들과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미선나무와 물푸레나무과의 분류학적 특징을 비교해보면, 미선나무는 물푸레나무과의 속에 속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관엽식물이 아닌 것은?

  1. 벤자민고무나무(Ficus benjamina L.)
  2. 박쥐란(Platycerium bifurcatum C. Chr.)
  3. 알스트로메리아(Alstroemeria cv.)
  4. 엽란(Aspidistra elatior Blume)
(정답률: 65%)
  • 알스트로메리아는 꽃이 개화하는 시기와 방식이 다른 일부 관엽식물과 달리 꽃이 개화하는 시기와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관엽식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훼장식 제작 및 유지관리

21. 꽃을 물들이는 방법으로 염료를 떨어뜨려서 방향에 따라 섞으면서 계속 반복한 다음 헹궈 말리는 방법과 카네이션이나 덴드로비움 줄기에 흡수염으로 집중적으로 줄기를 염색하는 방법은?

  1. 더미(dummy)
  2. 페틀레타(petaleta)
  3. 틴팅(tinting)
  4. 테일러드(tailored)
(정답률: 72%)
  • 꽃을 물들이는 방법으로 염료를 떨어뜨려서 방향에 따라 섞으면서 계속 반복한 다음 헹궈 말리는 방법과 카네이션이나 덴드로비움 줄기에 흡수염으로 집중적으로 줄기를 염색하는 방법은 모두 꽃에 색을 입히는 방법 중 하나인데, 이 중에서도 염료를 조금씩 섞어가며 색을 입히는 방법을 틴팅(tinting)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피트모스(peatmos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초본의 식물이 습지에 퇴적되어 완전히 분해되지 ---탄화된 것이다.
  2. 온대에서는 퇴적되는 양이 적지만, 아한대, 한 대지역에서는 넓게 분포한다.
  3. 보수성이 높고 공극이 크며 염기치환 용량이 낮은 편이다.
  4. pH는 3.0~6.2인 산성이다.
(정답률: 53%)
  • "보수성이 높고 공극이 크며 염기치환 용량이 낮은 편이다."가 옳지 않은 것은, 피트모스는 염기치환 용량이 높은 편이기 때문입니다. 피트모스는 식물이 습지에 퇴적되어 완전히 분해되지 않고 쌓여서 형성된 것으로, 보수성이 높고 공극이 크며 pH는 산성입니다. 하지만 염기치환 용량은 높아서 산성 토양의 pH를 중성으로 조절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4℃ 저온의 냉장고에 두면 잎이 퇴색되고 봉우리가 개화되지 않는 저온장해를 받는 화훼류는?

  1. 거베라
  2. 국화
  3. 안스리움
  4. 카네이션
(정답률: 65%)
  • 안스리움은 4℃ 저온에서 잎이 검게 변하고 봉우리가 개화되지 않는 저온장해를 받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잎 비료로 왕성한 생육을 유도하고 부족하면 잎이 연한--색으로 변하며 오래된 잎에서 결핍증상이 빨리 나타나--는 것은?

  1. 안산(P)
  2. 질소(N)
  3. 칼륨(K)
  4. 망간(Mn)
(정답률: 51%)
  • 잎 비료는 주로 질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질소는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양소이며, 잎의 색깔과 생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질소가 부족하면 잎이 연한 색으로 변하고, 오래된 잎에서 결핍 증상이 빨리 나타납니다. 반면, 안산은 인과 관련된 영양소이고, 칼륨은 식물의 균형적인 생장을 돕는 영양소입니다. 망간은 식물의 엽록소 합성에 필요한 영양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테라리움 - 라틴어로 흙이라는 의미의 Terra와 용기라는 의미의 Arium의 합성어이다.
  2. 비바리움 - 유리용기 속에 도마뱀, 개구리 등의 동식물이 공생하는 자연의 모습을 연출한다.
  3. 아쿠아리움 - 거북이, 물고기를 넣고 수생식물을--키운다.
  4. 디쉬가든 - 깊이가 얕은 분에 목본식물을 인공적으로 생장 억제시켜 축소, 묘사한 것이다.
(정답률: 69%)
  • 설명이 잘못된 것은 없습니다. 모두 올바른 설명입니다.

    - 테라리움은 흙이라는 의미의 Terra와 용기라는 의미의 Arium의 합성어로, 작은 실내 정원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 비바리움은 유리용기 속에 도마뱀, 개구리 등의 동식물이 공생하는 자연의 모습을 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 아쿠아리움은 물고기, 거북이 등을 넣고 수생식물을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 디쉬가든은 깊이가 얕은 용기에 목본식물을 인공적으로 생장 억제시켜 축소, 묘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꽃 모양과 크기에 따른 꽃꽂이 소재의 4가지 구성요소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Line flower - 뭉치꽃 - 장미
  2. Mass flower - 선꽃 - 칼라
  3. Filler flower - 채우는꽃 - 스타티스
  4. Form flower - 모양꽃 - 소국
(정답률: 72%)
  • 스타티스는 채우는 꽃으로서 작은 꽃 모양과 크기가 작아서 꽃꽂이 소재의 빈틈을 채우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Filler flower - 채우는꽃 - 스타티스가 옳은 연결입니다. Line flower는 꽃꽂이의 라인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고, Mass flower는 대량으로 사용되어 꽃꽂이의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Form flower는 꽃의 모양이나 크기가 독특하여 꽃꽂이의 주요 포인트가 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철사(wi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꽃의 줄기를 대신하거나 뼈대, 고정용으로 이용한다.
  2. 철사의 굵기는 짝수 번호로 표시된다.
  3. 높은 숫자일수록 철사의 굵기가 굵어진다.
  4. 녹색이나. 백색의 종이가 감겨있는 것과 에나멜로 ---한 것, 몰드 와이어, 알루미늄 와이어 들이 있다.
(정답률: 88%)
  • 정답은 "철사의 굵기는 짝수 번호로 표시된다."입니다. 이유는 철사의 굵기는 AWG(American Wire Gauge)라는 단위로 표시되며, 이 단위에서는 짝수 번호일수록 굵은 철사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12AWG 철사는 14AWG보다 더 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일반적으로 절화의 수분 흡수를 저해하는 유관 속 폐쇄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존제 처리한 물속 자르기
  2. 절단 후 도관 중에 기포 발생
  3. 절단면에 유액에 의한 절구 굳음 현상
  4. 미생물 증식으로 인한 도관부 폐쇄
(정답률: 82%)
  • 보존제 처리한 물속 자르기는 절화의 수분 흡수를 저해하는 유관 속 폐쇄 원인이 아닙니다. 보존제 처리는 오히려 절화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절화의 수분 흡수를 저해하는 유관 속 폐쇄 원인은 절단 후 도관 중에 기포 발생, 절단면에 유액에 의한 절구 굳음 현상, 미생물 증식으로 인한 도관부 폐쇄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핸드 타이드 꽃다발(Hand tied bouque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묶음점 아래 부분 줄기에도 싱싱한 잎을 붙여둔다.
  2. 묶음점은 단단하게 하기 위하여 최대한 넓은 폭으로 묶는다.
  3. 줄기 끝은 직선으로 자른 후 세울 수 있게 한다.
  4. 줄기는 스파이랄(spiral)또는 패럴랠(parallel)기법으로 제작한다.
(정답률: 73%)
  • 핸드 타이드 꽃다발은 손으로 직접 꽃을 묶어 만든 꽃다발로, 줄기는 스파이랄 또는 패럴랠 기법으로 제작합니다. 이는 꽃다발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꽃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꽃다발이 무너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방법입니다. 줄기 끝은 직선으로 자른 후 세울 수 있게 하고, 묶음점은 단단하게 하기 위해 최대한 넓은 폭으로 묶습니다. 또한 묶음점 아래 부분에도 싱싱한 잎을 붙여둬서 꽃다발의 완성도를 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절화의 노화원인 중 광견이 가장 먼 것은?

  1. C/N율 저하
  2. 수분균형 불량
  3. 에틸렌에 노출
  4. 호흡에 의한 양분소모
(정답률: 66%)
  • 절화의 노화원인 중 광견이 가장 먼 것은 "C/N율 저하"입니다. 이는 양분의 비율이 바뀌어서 생기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미생물이 분해하는데 필요한 탄소와 질소의 비율이 불균형해지면서 분해과정이 느려지고, 이에 따라 양분 공급이 감소하여 식물의 성장이 둔화되고 노화가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20세기에 등장한 독특한 시각 예술형태로 자연적, 추상적--인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며, 소재의 종류에 따라 종이, 캔버스, 합판, 나뭇가지 등의 지지물을 바탕으로 이용하는 디자인 양식은?

  1. 리스(Wreath)
  2. 콜라주(Collage)
  3. 토피어리(Topiary)
  4. 갈란드(Galand)
(정답률: 75%)
  • 콜라주는 다양한 소재를 모아서 하나의 작품을 만드는 예술 형태이다. 따라서 자연적이거나 추상적인 구성도 가능하며, 종이, 캔버스, 합판, 나뭇가지 등 다양한 지지물을 이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가을 국화를 7~8월에 개화시키고자 할 때 처리해야 하는 방법은?

  1. 차광(遮光)처리
  2. 장일(長日)처리
  3. 전조(電照)처리
  4. 고온(高溫)처리
(정답률: 52%)
  • 가을 국화는 일정한 기간 동안 일정한 양의 일광을 받아야 개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7~8월에 개화시키기 위해서는 이 기간 동안 일광량을 조절해줘야 합니다. 이를 위해 차광 처리를 해줘야 합니다. 차광 처리를 하면 일광량이 줄어들어 국화가 개화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평형, 수직형이 모두 포함되어 있고, 음화적인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반사되어 보이듯 제작하고 L자형을 기본구조로 디자인하는 기법은?

  1. 뉴컨벤션 디자인(New convention)
  2. 포멀 리니어 디자인(Foemal linear)
  3. 뉴 웨이브 디자인(New wave)
  4. 필로잉 디자인(Pillowing)
(정답률: 52%)
  • 뉴컨벤션 디자인은 수평형과 수직형을 모두 사용하며, 음화적인 공간을 활용하는 디자인 기법이다. 또한 L자형을 기본구조로 디자인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들이 모두 포함된 디자인 기법이 뉴컨벤션 디자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색상이 밝고 작은 소재들은 바깥쪽에, 어둡고 무거운 소재들은 중앙을 향해 배치하여 시각적 균형과 점진적 변화를 강조하는 기법은?

  1. 시퀀싱(sequencing)
  2. 쉐도잉(shadowing)
  3. 그룹핑(grouping)
  4. 클러스터링(clustering)
(정답률: 67%)
  • 시퀀싱은 일련의 순서대로 배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색상이 밝고 작은 소재들을 먼저 배치하고, 어둡고 무거운 소재들을 그 다음에 배치함으로써 시각적인 순서와 균형을 강조하는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실외 창가장식에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제라늄
  2. 아이비제라늄
  3. 말채나무
  4. 아이비
(정답률: 77%)
  • 말채나무는 실외 창가장식에 많이 이용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말채나무가 실내에서 잘 자라는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말채나무는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장식용으로 사용되며, 실외 창가장식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속이 빈 꽃의 꽃받침이나 줄기에 직각으로 철사를 꽂아 주기와 같은 방향으로 구부리는 철사 처리기법은?

  1. 인서션메소드
  2. 크로스메소드
  3. 피어스메소드
  4. 헤어핀메소드
(정답률: 35%)
  • 속이 빈 꽃의 꽃받침이나 줄기에 직각으로 철사를 꽂아 주는 방법을 피어스메소드라고 합니다. 이는 꽃을 꽂을 때 꽃받침이나 줄기가 부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철사를 꽂아서 꽃을 고정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어스메소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일반적으로 한국 꽃꽂이에서 제2주지를 나타내는 기호는?

(정답률: 56%)
  • 정답은 "+"입니다.

    한국 꽃꽂이에서 제2주지를 나타내는 기호는 "+"입니다. 이는 꽃꽂이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꽃을 나타내는 "●"와 함께 사용되며, "●"가 중심이 되는 꽃이라면 "+"는 그 주위에 배치되는 꽃들을 나타냅니다. "□"나 "△"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ㅜ"는 꽃꽂이에서 사용되는 기호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머리 장식물에 들어갈 꽃의 조건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꽃이 작고 가벼운 것
  2. 꽃의 키가 크지 않은 것
  3. 꽃의 향기가 진한 것
  4. 꽃의 색과 모양에 특징이 있는 것
(정답률: 83%)
  • 머리 장식물에 들어갈 꽃의 조건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꽃의 향기가 진한 것"입니다. 이는 머리 장식물을 착용하는 사람들이 꽃의 향기로 인해 불쾌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꽃의 향기는 각인이나 피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민감한 사람들에게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머리 장식물에 사용되는 꽃은 향기가 적은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화분 밑의 배수공을 통해 물이 모세관현상으로 스며 올라가게 하는 관수방법은?

  1. 점적관수
  2. 저면관수
  3. 살수관수
  4. 지중관수
(정답률: 90%)
  • 화분 밑의 배수공을 통해 물이 모세관현상으로 스며 올라가게 하는 관수방법은 "저면관수"입니다. 이는 화분 밑에 물을 채워놓고, 흙 위에 놓인 배수공을 통해 물이 천천히 스며들어가게 되어 흙 안으로 스며들어가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물을 저면으로 유입시켜 뿌리가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물을 흙 위에 직접 뿌리면 뿌리가 물을 흡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이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수액이 다른 꽃에 해를 미쳐 따로 물올림을 하는 것은?

  1. 튤립
  2. 수선화
  3. 아마릴리스
  4. 포인세티아
(정답률: 44%)
  • 수선화는 다른 꽃들과 달리 수액이 끈적거리고 물에 섞이지 않기 때문에, 따로 물올림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화훼장식론

41. 색의 대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색상이 다른 두 색의 영향으로 인해 색상차가 크게 보이는 것이 색상대비이다.
  2. 면적이 커지면 실제보다 명도는 높게, 채도는 낮게 보인다.
  3. 연변대비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색과 색 사이에 무채색을 사용한다.
  4. 옆에 있는 색과 닮은 색으로 보이는 것은 동화현상이다.
(정답률: 67%)
  • "면적이 커지면 실제보다 명도는 높게, 채도는 낮게 보인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면적이 커질수록 색의 명도와 채도는 유지되며, 색상의 진한 정도만 감소합니다. 이는 색의 밝기와 채도가 면적에 비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작은 빨간색과 큰 빨간색을 비교하면 큰 빨간색은 작은 빨간색보다 더 진하게 보이지만, 명도와 채도는 동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비더마이어(Biedermeier)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약 1815~1848년대를 비어마이어 시대라고 한다.
  2. Ludwig Eichrot의 풍자소설집의 제목에서 최초로 등장했다.
  3. 상류층을 위한 예술의 시대이다.
  4. 주로 사용한 꽃은 국화, 팬지 등의 작고 둥근 형태의 꽃이다.
(정답률: 50%)
  • 비더마이어 시대는 상류층을 위한 예술의 시대가 아니라 중산층을 위한 예술의 시대입니다. 이 시대는 상류층의 과시적인 예술보다는 중산층의 일상적인 삶과 가정을 그린 작품들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따라서 "상류층을 위한 예술의 시대"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플로랄 폼을 사용할 때 좋은 방법이 아닌 것은?

  1. 사용하기 전에 절화보존제를 탄 물에 담근다.
  2. 깊은 물 속에 넣고, 단시간에 위에서 누르면서 담근다.
  3. 플로랄 폼이 수면위로 0.6cm정도 떠 있으면 충분히 젖은 것으로 본다.
  4. 한번 꽂은 구멍은 메워지지 않으므로 정확한 위치에 많은 양을 꽂는다.
(정답률: 87%)
  • 깊은 물 속에 넣고, 단시간에 위에서 누르면서 담근다는 것은 플로랄 폼을 강하게 압축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폼이 손상되고 깨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꽃이 제대로 공급받지 못하고, 꽃이 빠르게 시들어질 수 있으며, 폼이 깨어지면 물이 새어 나와 꽃바구니나 꽃병 등을 더럽힐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드럽게 물에 젖히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페더링(feathering)기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코사지나 터지머지(tuzzy-muzzy)등과 같은 섬세한 디자인을 할 때 사용된다.
  2. 카네이션, 국화 등의 꽃잎을 여러장 겹쳐서 감아주는 기법이다.
  3. 하나하나의 꽃과 잎이 움직이지 않도록 철사를 중심으로 단단히 감아 연결하는 기법이다.
  4. 꽃의 꽃잎을 분해하여 새의 날개처럼 처리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정답률: 56%)
  • 정답은 "하나하나의 꽃과 잎이 움직이지 않도록 철사를 중심으로 단단히 감아 연결하는 기법이다."가 아닌 "카네이션, 국화 등의 꽃잎을 여러장 겹쳐서 감아주는 기법이다."입니다.

    페더링 기법은 꽃과 잎을 철사나 테이프 등으로 감싸서 하나의 큰 꽃으로 만드는 기법으로, 꽃과 잎이 움직이지 않도록 철사를 중심으로 단단히 감아 연결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기법은 섬세한 디자인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코사지나 터지머지 등과 같은 디자인에서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먼셀 표색계의 “채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채도는 “C"로 표시한다.
  2.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포화도라고도 한다.
  3. 채도가 높으면 색이 탁해진다.
  4. 채도는 1에서 14단계로 나뉘어지며 색입체의 중심축에서 바깥쪽으로 멀어질수록 채도 번호는 점점 높아진다.
(정답률: 83%)
  • "채도가 높으면 색이 탁해진다."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채도가 높을수록 색이 더 선명하고 진하게 나타납니다. 채도가 낮으면 색이 탁해지고 연해집니다. 이는 색의 포화도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빨간 색은 활력이 넘치는 색으로 따뜻하고 강한 느낌을 준다.
  2. 흰색은 색상환의 제일 앞에 위치하며, 화훼디자인에 있어서 일반적인 색이라 할 수 있다.
  3. 분홍색은 빨강에 흰색을 혼합한 색으로 낭만스럽고 여성스런 느낌을 준다.
  4. 색상환에서 빨강과 청록은 보색관계에 있다.
(정답률: 78%)
  • 흰색은 색상환의 제일 앞에 위치하는 것은 맞지만, "화훼디자인에 있어서 일반적인 색"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화훼디자인에서 사용되는 색은 다양하며, 특정 색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흰색은 색상환의 제일 앞에 위치하며, 화훼디자인에 있어서 일반적인 색이라 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고려시대 수덕사 대웅전에 그려진 수화도와 야화도에 나타나지 않은 식물은?

  1. 치자
  2. 작약
  3. 부들
  4. 계관화
(정답률: 45%)
  • 고려시대 수덕사 대웅전에 그려진 수화도와 야화도에는 "치자", "작약", "계관화"가 나타나지만 "부들"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부들"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화훼장식의 기능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심리적 기능 - 오감자극
  2. 경제적 기능 - 홍보효과
  3. 신체적 기능 - 신체장식
  4. 지적, 예술적 기능 - 정서함양
(정답률: 47%)
  • 화훼장식은 경제적 기능으로서 홍보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화훼장식을 통해 상점이나 기업의 이미지를 개선하고, 고객들의 관심을 끌어들여 매출 증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화훼장식은 심리적 기능으로서 오감을 자극하여 고객들의 기분을 전환시키고, 신체적 기능으로서도 실내 공기를 정화하여 건강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끝으로, 지적, 예술적 기능으로서는 화훼장식이 예술적 감각을 자극하고, 공간을 더욱 아름답게 꾸밀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자연과 격리된 도시에서 사무공간에 이루어진 화훼장식은 사원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일의 효율과 창의성을 높여 주는데 이러한 화훼장식의 기능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환경적 기능
  2. 심리적 기능
  3. 장식적 기능
  4. 교육적 기능
(정답률: 80%)
  • 화훼장식은 자연적인 요소를 사무공간에 불어넣어 자연과의 연결감을 높여주고, 색감과 모양 등의 다양한 요소를 통해 시각적인 쾌감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사원들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여주고, 스트레스를 줄여주어 일의 효율과 창의성을 높이는 심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화훼장식디자인 요소로서 향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스민의 향기는 부드러운 분위기를 연출한다.
  2. 후리지아 향기는 가을을 연상시킨다.
  3. 장미의 향기는 소화를 촉진시킨다.
  4. 소나무의 향은 자극적이며 흥분을 유도한다.
(정답률: 79%)
  • 자스민의 향기는 꽃마다 다르게 강하거나 약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부드럽고 상큼한 느낌을 줍니다. 이러한 향기는 공간에 편안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해줍니다. 따라서 화훼장식디자인에서 자스민은 부드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요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바로크 시대에 처음 소개된 화훼장식의 디자인으로 옳은 것은?

  1. 호가디안 선
  2. 토피어리
  3. 코누코피아
  4. 타원형
(정답률: 49%)
  • 정답: 호가디안 선

    설명: 호가디안 선은 바로크 시대에 처음 소개된 화훼장식의 디자인으로, 꽃잎이나 잎사귀 등이 나선형으로 나열되어 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는 바로크 시대의 예술에서 매우 인기 있었으며, 굴곡이 많은 곡선적인 디자인을 선호하는 바로크 시대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용기 위에 꽃다발을 얹은 것처럼 구성한 디자인으로 줄기와 꽃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양쪽에서 연결하여 꽂는 디자인은?

  1. 대각선형(diaginal style)
  2. 나선형(spiral style)
  3. 스프레이형(spray style)
  4. 수평형(horizontal style)
(정답률: 71%)
  • 스프레이형 디자인은 꽃을 자연스럽게 분산시키는 것처럼 보이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마치 스프레이를 뿌린 것처럼 꽃잎이 퍼져나가는 모습을 연상시킵니다. 따라서 이 디자인은 "스프레이형"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중성색이 아닌 것은?

  1. 다홍색
  2. 연두색
  3. 보라색
  4. 자주색
(정답률: 49%)
  • 다홍색은 붉은색과 푸른색이 혼합된 색으로, 중성색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자극을 주어 색각이 생긴 후 자극을 제거해도 그 흥분이 남아 원자극의 형상과 닮았지만 밝기는 반대로 되는 현상은?

  1. 정의 잔상
  2. 색순응
  3. 부의 잔상
  4. 명암순응
(정답률: 64%)
  • 이 현상은 "부의 잔상"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색각이 생긴 후 자극을 제거하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원자극의 형상은 유지되지만 밝기는 반대로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부의 잔상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밝기가 반대로 되는 것이 부의 형상과 유사하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즉, 어떤 물체가 밝게 빛나면 그 주변에는 어두운 그림자가 생기는데, 이 그림자가 부의 형상과 유사하게 보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건조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식물의 장식을 위한 건조에는 관상가치가 놓은 꽃과 잎, 줄기, 열매에 이르는 모든 부위가 가능하다.
  2. 자연건조법은 건조방법 중에서 가장 특별한 기술과 재료를 요구하는 방법이다.
  3. 건조에 적합한 장소는 공기의 유입과 순환이 자유로운 곳이 좋다.
  4. 건조재료는 가벼운 중량감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85%)
  • "자연건조법은 건조방법 중에서 가장 특별한 기술과 재료를 요구하는 방법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자연건조법은 일반적으로 가장 간단하고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특별한 기술이나 재료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자연건조법은 건조할 재료를 그대로 자연의 햇볕이나 바람에 말리는 것으로, 건조기구나 화학제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자연건조법은 오히려 다른 건조방법에 비해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지루한 느낌이 들 수 있으나 톤의 변화를 주어 배색하면 부드럽고 우아한 느낌을 주는 색의 조화는?

  1. 보색조화
  2. 유사색조화
  3. 다색조화
  4. 삼색대비조화
(정답률: 75%)
  • 유사색조화는 비슷한 색상끼리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톤의 변화를 주어 배색하면 부드럽고 우아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루한 느낌이 들 수 있는 색상들을 유사한 색상끼리 조합하여 조화를 이루면 부드럽고 우아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우리나라에서 화훼장식이 발생하게 된 원인으로 옳은 것은?

  1. 미의 창조
  2. 생활공간의 장식목적
  3. 불교의식에서 불전공화
  4. 자연숭배 사상에 의해 제의식에서 헌공화
(정답률: 39%)
  • 우리나라에서 화훼장식이 발생하게 된 원인은 자연숭배 사상에 의해 제의식에서 헌공화되었기 때문입니다. 고대 한국인들은 자연을 숭배하며 제의식을 진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꽃과 나뭇잎 등을 사용하여 제단을 장식하였습니다. 이후에는 생활공간의 장식목적으로도 사용되었고, 불교의식에서도 불전공화를 위해 꽃을 사용하였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화훼장식이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영국 조지 왕조 시대 때 꽃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염병을 예방해 준다는 향기 있는 꽃을 손에 들고 다니는 꽃다발(nosegay)이 유행했다.
  2. 꽃장식이 머리, 목, 허리, 가슴 등의 몸 장식용으로도 이용되었다.
  3. 길고 가는 병(bud vase)에 꽃을 꽂고나, 테이블 중앙의 정형적인 꽃꽂이 장식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4. 꽃꽂이는 정형적인 대칭구조를 벗어나 비대칭형의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정답률: 57%)
  • 정답은 "꽃꽂이는 정형적인 대칭구조를 벗어나 비대칭형의 형태가 일반적이었다."입니다. 영국 조지 왕조 시대에는 꽃꽂이가 대칭적인 형태보다는 비대칭적인 형태가 더 일반적이었습니다. 이는 예술적인 자유로움과 창의성이 높아진 시대적 특징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색채의 대비에 관한 내용 중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녹색과 청색은 같은 거리이지만 가깝게 느껴지고, 무채색은 유채색보다 진출되어 보인다.
  2. 노란색에서 빨간색까지의 단파장의 색상은 따뜻한 느낌을 준다.
  3. 명도가 밝으면 작게 보이고 어두우면 크게 보인다.
  4. 순색에서는 노랑색이 가장 크게 보인다.
(정답률: 29%)
  • 순색에서는 노랑색이 가장 크게 보인다. 이는 빛의 삼원색 중 하나인 녹색과 청색이 빠져있기 때문에 노란색이 가장 밝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노란색은 빨간색과 초록색의 혼합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두 색상은 빛의 삼원색 중 하나인 녹색과 함께 인간의 눈에서 가장 밝게 인식되는 색상이다. 따라서 노란색은 순색에서 가장 크게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미국의 색채학자 저드(D.B.judd)의 색채 조화론에서 주장한 색채 조화의 원리로 옳지 않은 것은?

  1. 질서의 원리
  2. 친근성의 원리
  3. 유사성의 원리
  4. 모호성의 원리
(정답률: 70%)
  • 모호성의 원리는 색채 조화를 위반하는 것으로, 색채의 명확성과 분명성을 강조하는 다른 원리들과는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모호성의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