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7-17)

화훼장식기능사
(2005-07-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훼장식재료

1. 다음 중 식물을 보통명으로 사용시 단점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학명에 비해 부적합한 것이 많다.
  2. 보통명은 전세계 사람이 통용어로 사용할 수 없다.
  3. 학술용어로 사용시 과학적이다.
  4. 같은 식물을 다른 이름으로 부르거나 다른 식물을 같은 이름으로 부르는 사례가 있어 혼돈을 가져온다.
(정답률: 74%)
  • 정답은 "학술용어로 사용시 과학적이다." 입니다. 이유는 학명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과학용어이기 때문에, 같은 식물을 다른 이름으로 부르거나 다른 식물을 같은 이름으로 부르는 혼란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술적인 목적으로 사용할 때는 보통명보다 더욱 정확하고 명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화훼장식에서 건조용 소재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된 건조소재는 다래덩굴이다.
  2. 건조화는 꽃에만 국한되지 않고 꽃, 잎, 줄기, 뿌리, 나무껍질, 버섯, 이끼 등이 이용되고 있다.
  3. 수분이 적고 꽃잎과 줄기가 딱딱하여 건조 후 변형이 잘되지 않는 절화를 채집한다.
  4. 홍화, 밀, 양귀비는 열매를 이용한다.
(정답률: 76%)
  • 정답은 "홍화, 밀, 양귀비는 열매를 이용한다." 이다. 이유는 문장에서 설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압화용 누름꽃으로 이용하기에 가장 좋은 꽃은?

  1. 팬지
  2. 백일홍
  3. 맨드라미
  4. 해바라기
(정답률: 86%)
  • 팬지는 꽃잎이 부드럽고 두껍기 때문에 압화용 누름꽃으로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잎의 착생양식이 대생하는 식물이 아닌 것은?

  1. 개나리
  2. 거베라
  3. 숙근안개초
  4. 용담
(정답률: 67%)
  • 거베라는 뿌리에서 번식하는 뿌리식물이며, 잎의 착생양식으로 대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거베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화목류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로 꽃을 감상하고 그 밖에 잎이나 과실을 감상할 수 있는 목본식물을 말한다.
  2. 온대성화목류의 화아(꽃눈)는 보통 개화 전년에 형성 된다.
  3. 화목류의 개화는 보통 일장에 의해 주로 지배되고, 온도와는 별로 관계가 없다.
  4. 온대성화목류는 휴면기간이 비교적 길고, 대체로 단일이 되면 생장이 중지된다.
(정답률: 80%)
  • "화목류의 개화는 보통 일장에 의해 주로 지배되고, 온도와는 별로 관계가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은, 실제로 화목류의 개화는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온도와 함께 일장도 개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관엽식물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야자류
  2. 드라세나
  3. 시네라리아
  4. 필로덴드론
(정답률: 57%)
  • 시네라리아는 꽃식물에 속하는 종류이기 때문에 관엽식물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꽃이 줄기에 착생하는 형태가 다른 하나는?

  1. 금어초
  2. 수선
  3. 튤립
  4. 칼라
(정답률: 67%)
  • 금어초는 지하 줄기에서 뿌리가 나와 지상으로 올라가는 지하생성식물이며, 나머지 보기는 지상에서 바로 줄기가 나와 생장하는 지상생성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장미의 계통 분류 중 틀리는 것은?

  1. 하이브리드티(Hybrid Tea)
  2. 플로리반더 (Floribunda)
  3. 미니에튜어 (Miniature)
  4. 히비스커스 (Hibiscus)
(정답률: 67%)
  • 히비스커스는 장미의 계통 분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히비스커스는 모두 200여 종으로 이루어진 별개의 식물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착생난에 속하는 것은?

  1. 춘란
  2. 풍란
  3. 한란
  4. 소심란
(정답률: 60%)
  • 정답은 "풍란"입니다. 풍란은 착생난 중 하나로, 뿌리가 없는 씨앗에서 발아하여 생기는 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뿌리가 있는 상태에서 발아하는 것들이므로 풍란만이 착생난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꽃받침이 화판과 같이 발달하여 화색을 갖는 식물은?

  1. 수국
  2. 포인세티아
  3. 부겐벨리아
  4. 프리뮬라
(정답률: 44%)
  • 수국은 꽃받침이 화판과 같이 발달하여 화색을 갖는 식물이다. 다른 보기들은 꽃받침이 화판과 같이 발달하지 않거나, 화색을 갖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일년초 식물로 재배가 가능한 것은?

  1. 벌개미취
  2. 금어초
  3. 꽃창포
  4. 노루귀
(정답률: 85%)
  • 금어초는 겨울철에도 물속에서 잘 자라는 겨울철 식물이기 때문에 일년초 식물로 재배가 가능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부분 봄이나 여름에 재배가 가능한 계절성 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에틸렌에 민감한 꽃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카네이션
  2. 알스트로메리아
  3. 금어초
  4. 거베라
(정답률: 48%)
  • 에틸렌은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가스로, 꽃의 시들음과 과일의 숙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거베라는 에틸렌에 매우 민감하여, 에틸렌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빠르게 시들어버리기 때문에 에틸렌에 민감한 꽃 중에서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식물 중 학명이 틀린 것은?

  1. 장미 : Rosa hybrida Hort.
  2. 스타티스 : Pinus densiflora S. et Z.
  3. 안개꽃 : Gypsophila elegans Bied.
  4. 국화 : Dendranthema grandiflorum (Ram.) Kitamura
(정답률: 39%)
  • 스타티스의 학명은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이지만, 보기에서는 "S. et Z."로 표기되어 있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주축의 정부에 화탁(花托)이 있고, 그 위에 설상화와 관상화가 착생하는 식물은?

  1. 알리움
  2. 국화
  3. 프리뮬라
  4. 루피너스
(정답률: 46%)
  • 주축의 정부에 화탁이 있는 것은 대개 국화를 뜻하며, 국화는 주로 설상화와 관상화가 착생하는 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동양꽃꽂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 된 것은?

  1. 불교문화를 통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선의 아름다움과 여백의 미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2. 불교문화의 전래와 유교사상의 접목으로 정신적인 미를 더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3. 고려시대는 연꽃놀이 등을 즐겼으며 조선시대에는 음식장식, 머리장식 등의 맥락이 이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4. 모든 동양꽃꽂이의 기본형의 각도 및 형태는 일치한다.
(정답률: 84%)
  • "모든 동양꽃꽂이의 기본형의 각도 및 형태는 일치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동양꽃꽂이는 지역, 시대, 스타일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각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동양꽃꽂이는 선의 아름다움과 여백의 미를 중요시하며, 불교문화와 유교사상의 영향을 받아 정신적인 미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연꽃놀이, 음식장식, 머리장식 등의 맥락에서 발전해왔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화훼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화와 후생적인 사명을 가지고 있다.
  2. 결실연령이 길어 투자의 회수가 느리다.
  3. 대상되는 종류와 품종수가 대단히 많다.
  4. 경영상 집약성이 높고, 재배기술이 고도화 되어 있다.
(정답률: 85%)
  • "결실연령이 길어 투자의 회수가 느리다."는 화훼의 특징으로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화훼는 씨앗을 심고 나서 결실이 일어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훼 재배는 투자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수익을 얻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화훼의 특징 중 잘못 설명된 것은?

  1. 높은 재배기술이 필요한 작물이다.
  2. 국제성이 상당히 높은 작물이다.
  3. 대표적인 분산작물이다.
  4. 종과 품종이 많고 다양하다.
(정답률: 86%)
  • "대표적인 분산작물이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화훼는 대표적인 분산작물 중 하나이지만, 다른 작물들도 분산적으로 재배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형태적으로 줄기가 방사상으로 자라는 표준형 식물이 아닌 것은?

  1. 마란타
  2. 페페로미아
  3. 렉스베고니아
  4. 산세베리아
(정답률: 75%)
  • 산세베리아는 줄기가 방사상으로 자라는 표준형 식물이 아닙니다. 산세베리아는 줄기가 짧고 뭉툭하며, 잎이 굵고 살짝 둥글게 생겨서 줄기와 함께 뭉쳐져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산세베리아는 줄기가 방사상으로 자라는 표준형 식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조선시대의 문헌 중 화훼장식에 대해 서술한 전문서적이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정다산의 산림경제
  2. 강희안의 양화소록
  3. 김홍도의 단원아집도
  4. 서유구의 임원십육지
(정답률: 46%)
  • 정답은 "김홍도의 단원아집도"입니다. 이 책은 조선시대에 화훼장식에 대해 서술한 전문서적 중 하나로, 김홍도가 집필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세 책은 모두 조선시대의 산림경제나 화훼재배에 대해 다룬 문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잎이 먼저 자란 후 꽃이 피는 선엽후화(先葉後花)가 아닌 것은?

  1. 조팝나무
  2. 후박나무
  3. 만병초
  4. 병꽃나무
(정답률: 58%)
  • 조팝나무는 꽃이 먼저 피고 그 후에 잎이 자라는 후꽃선엽(後花先葉) 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훼장식 제작 및 유지관리

21. 코사지 종류 중 어깨에서 등까지 늘어뜨려 장식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1. 숄더(shoulder)
  2. 에포렛(epaulet)
  3. 부토니아(boutonniere)
  4. 앵클릿트(ankelet)
(정답률: 89%)
  • 어깨에서 등까지 늘어뜨려 장식하는 것은 숄더(shoulder)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부위나 용도에 사용되는 것들이기 때문에 숄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리스'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리스는 절화를 이용하여 고리모양으로 만든 장식물이다.
  2. 리스는 리스 고리의 크기에 비해 두께가 가늘수록 모양이 좋다.
  3. 리스는 나무덩굴이나 짚, 로프, 철사, 철망, 이끼 등으로 만든 둥근 고리 모양의 틀에 꽃을 부착시켜 만든다.
  4. 리스는 플로랄 폼이 있는 고리모양의 틀에 꽃꽂이 하듯 꽃을 꽂아 만든다.
(정답률: 83%)
  • "리스는 리스 고리의 크기에 비해 두께가 가늘수록 모양이 좋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이유는 리스의 모양은 리스 고리의 크기와 두께 모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께가 가늘수록 모양이 좋다는 것은 일반적인 규칙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베이싱기법을 설명한 내용이 바르지 않는 것은?

  1. 디자인의 아래쪽을 시각적인 흥미를 위해 장식하는 방법이다.
  2. 필로잉, 테라싱, 파베같은 기술을 사용한다.
  3. 플로랄폼을 가려주는 기술이다.
  4. 각각의 꽃잎이나 잎사귀를 가지고 화기나 둥근 표면을 덮는 것이다.
(정답률: 67%)
  • "플로랄폼을 가려주는 기술이다."가 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베이싱은 꽃잎이나 잎사귀를 가지고 화기나 둥근 표면을 덮는 기술입니다. 플로랄폼은 베이싱에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이지만, 베이싱 자체를 가리키는 용어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방향성 식물을 주로 이용하는 화훼장식품은?

  1. 포푸리
  2. 콜라주
  3. 테라리움
  4. 토피아리
(정답률: 93%)
  • 정답은 "포푸리"입니다. 포푸리는 방향성 식물로서, 자라는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화훼장식품으로 많이 이용됩니다. 콜라주와 테라리움은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토피아리는 물고기와 식물을 함께 이용하는 수초류 수조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더치 플레미쉬(Dutch-flemish)양식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다양한 액세서리를 과일과 새둥지·조개껍질을 포함한 사치스러운 부케 주변을 장식하였다.
  2. '천송이 꽃'이라는 의미로 풍요로운 인상을 표현한다.
  3. 17세기 네델란드와 벨기에 화가들의 그림에서 보여지는 양식이다.
  4. 이들 어레인지먼트는 헐겁거나 바로크 스타일처럼 개방적이지는 않지만 비율이 적용되었고 더욱 컴팩트하게 만들었다.
(정답률: 77%)
  • "'천송이 꽃'이라는 의미로 풍요로운 인상을 표현한다."가 잘못된 설명이 아닙니다. 이는 더치 플레미쉬 양식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꽃의 풍요로움과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꽃꽂이 형태 중 비대칭 삼각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정숙하고 깔끔하며, 안정감이 있어 보인다.
  2. 중심은 좌우 대칭축에서 벗어나 있다.
  3. 균등하지 않으며, 자율적인 배열을 이룬다.
  4. 밝고 활동적이며 긴장감을 유발시켜 자유스러운 이미지가 강하다.
(정답률: 80%)
  • 정답: "균등하지 않으며, 자율적인 배열을 이룬다."

    해설: 꽃꽂이 형태 중 비대칭 삼각형은 균등하지 않은 형태를 가지며, 자율적인 배열을 이룹니다. 중심이 좌우 대칭축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대칭적이지 않습니다. 밝고 활동적이며 긴장감을 유발시켜 자유스러운 이미지가 강하다는 것은 비대칭 삼각형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정숙하고 깔끔하며, 안정감이 있어 보인다."는 꽃꽂이 형태의 일반적인 특징이며, 비대칭 삼각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단일에서 꽃이 피는 화훼류는?

  1. 튤립
  2. 백합
  3. 국화
  4. 장미
(정답률: 59%)
  • 국화는 단일에서 꽃이 피는 화훼류입니다. 국화는 꽃잎이 한 층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단일 꽃이며, 다른 보기들은 꽃잎이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복합 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작품 속에서 자연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식물 개개의 생태적 모습이나 특성을 고려한 구성법은?

  1. 식생적 구성
  2. 장식적 구성
  3. 구조적 구성
  4. 선형적 구성
(정답률: 94%)
  • 식생적 구성은 작품 속에서 자연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식물 개개의 생태적 모습이나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이 "식생적 구성"인 이유는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자연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식물조직의 세포막을 건전히 유지하고, 세포속에 있는 노폐물 또는 해로운 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은?

  1. 마그네슘(magnesium)
  2. 철(iron)
  3. 망간(manganese)
  4. 석회(calcium)
(정답률: 37%)
  • 석회는 식물의 세포막을 강화시켜 건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세포속에 있는 노폐물이나 해로운 물질을 제거하여 식물의 건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비해 마그네슘, 철, 망간은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석회와 같은 세포막 강화 및 노폐물 제거 역할은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절화수명 연장 방법 중의 당의 효과는 무엇인가?

  1. 노화를 지연
  2. 미생물의 억제
  3. 꽃잎의 보호
  4. 에틸렌 가스 발생의 억제
(정답률: 69%)
  • 당은 식물의 세포 내부에서 노화를 촉진하는 에틸렌 가스의 생성을 억제하고, 또한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여 꽃잎 등의 보호 효과를 가지므로, 이러한 효과들이 결합하여 식물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결혼식장의 화훼장식을 설명하는 내용 중에서 거리가 먼 것은?

  1. 일반적으로 주례단상에는 낮고, 옆으로 긴 꽃꽂이를 한다.
  2. 꽃길을 따라 양측으로 꽃기둥을 반복해서 세워준다.
  3. 순결, 순수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서 흰색꽃을 사용하고 유색 꽃은 사용하지 않는다.
  4. 꽃길이 시작되는 부분에 아치형 구조물을 설치하여 꽃꽂이를 하거나 갈란드를 만들어 부착한다.
(정답률: 90%)
  • 순결과 순수를 상징하는 것은 흰색이기 때문에, 결혼식장에서는 흰색 꽃을 사용하여 이를 강조하고자 합니다. 유색 꽃은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화환의 역사적인 배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오늘날 외국의 장례식 장식에서 많이 이용되는 화환은 고리형태에서 유래했다.
  2. 화환 제작시 가장 먼저 사용한 기법은 꽂는 기법이 아닌 감는 기법이다.
  3. 화환은 영원함을 상징한다.
  4. 화환의 기본 틀은 짚 만으로 만들어졌었다.
(정답률: 80%)
  • 화환의 기본 틀은 짚 만으로 만들어졌었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화환의 기본 틀은 나무나 철사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화훼장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훼식물을 주소재로 활용하여 공간을 장식한다.
  2. 자연미를 배경으로 하여 인간이 미학적 조형미를 창출하는 조형예술이다.
  3. 각종 행사에서 상징적인 메시지 전달 효과는 화훼장식의 주요기능 중의 하나이다.
  4. 절화 소재만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93%)
  • "절화 소재만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화훼장식에서 사용되는 꽃과 식물이 모두 절화(절취)된 것이어야 한다는 뜻으로, 신선한 꽃이나 식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화훼장식의 지속 가능성과 환경 보호를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화훼장식의 구성형식 중에서 그래픽적 구성의 설명으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식물소재의 사회적 의미가 돋보이도록 표현하면서 구성한다.
  2. 식물 개개의 생태적 모습이나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한다.
  3. 식물소재 본래의 품위, 움직임, 질감 등을 추상적으로 변형시켜서 구성한다.
  4. 대칭과 비대칭의 질서를 유지하면서 형과 선을 명확하게 표현하면서 구성한다.
(정답률: 71%)
  • 화훼장식의 구성형식 중에서 그래픽적 구성의 설명으로 가장 알맞는 것은 "식물소재 본래의 품위, 움직임, 질감 등을 추상적으로 변형시켜서 구성한다."입니다. 이유는 화훼장식에서는 식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추상적으로 변형시켜서 새로운 형태로 구성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식물의 아름다움과 특성을 강조하면서도 독특하고 창의적인 디자인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연회장 꽃 장식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칵테일 파티일 때에는 꽃을 높게 장식해도 된다.
  2. 테이블 가장자리에 갈란드를 이용하기도 한다.
  3. 테이블 꽃장식은 음식 놓을 공간을 고려해 장식한다.
  4. 테이블 꽃장식을 상대방의 시야에 상관없이 화려하게 장식한다.
(정답률: 92%)
  • "테이블 꽃장식을 상대방의 시야에 상관없이 화려하게 장식한다." 이 설명이 맞지 않습니다.

    테이블 꽃장식은 음식 놓을 공간을 고려해 장식하며, 칵테일 파티일 때에는 꽃을 높게 장식해도 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규칙입니다. 또한 테이블 가장자리에 갈란드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상대방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꽃을 배치하는 것이 예의에 맞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분식물 장식의 기본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식물 장식은 기본적으로 용기, 토양, 식물로 이루어 진다.
  2. 착생식물은 토양없이 공간장식에 이용될 수 있다.
  3. 두 종류 이상의 식물을 심을 때는 생육습성이 비슷한 종류끼리 심는다.
  4. 관엽식물은 용기에 가득 심어 여유 공간을 두지 않는다
(정답률: 100%)
  • "관엽식물은 용기에 가득 심어 여유 공간을 두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관엽식물도 다른 식물들과 마찬가지로 생육에 필요한 공기와 물을 흡수하기 위해 용기에 여유 공간을 두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장미, 솔리다스타, 아이비로 코사지를 만들 때 와이어링 방법이 틀린 것은?

  1. 장미 꽃잎 - 헤어핀 메서드
  2. 장미꽃 - 피어스 메서드
  3. 아이비 - 헤어핀 메서드
  4. 솔리다스타 - 인서트 메서드
(정답률: 70%)
  • 솔리다스타는 인서트 메서드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꽃들은 모두 헤어핀 메서드나 피어스 메서드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인서트 메서드는 꽃을 꽂을 수 있는 구멍을 만들어 놓고 꽃을 넣는 방식이며, 헤어핀 메서드와 피어스 메서드는 꽃을 고정시키는 방식이 다릅니다. 따라서 솔리다스타는 다른 꽃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와이어링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아이비 잎에 철사를 사용하여 머리 핀 모양으로 구부려서 잎이나 꽃에 꽂아 보강하는 방법은?

  1. 헤어핀 메소드
  2. 피어싱 메소드
  3. 크로싱 메소드
  4. 훅킹 메소드
(정답률: 93%)
  • 이 방법은 머리핀 모양으로 구부린 철사를 잎이나 꽃에 꽂아서 보강하는 방법으로, 머리핀과 비슷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헤어핀 메소드"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핸드타이드 부케를 만들 때 유의해야 할 점이 아닌 것은?

  1. 줄기는 한 방향으로 나선형이 되도록 구성한다.
  2. 묶은 점은 조금 느슨하게 묶어 줄기가 잘 펼쳐지고 상하지 않아야 한다.
  3. 묶은 점은 되도록 가늘게 필요한 만큼의 폭으로 묶는다.
  4. 묶은 점 아래 부분의 줄기는 깨끗이 다듬어준다.
(정답률: 94%)
  • "줄기는 한 방향으로 나선형이 되도록 구성한다."는 핸드타이드 부케를 만들 때 유의해야 할 점 중 하나이지만, "묶은 점은 조금 느슨하게 묶어 줄기가 잘 펼쳐지고 상하지 않아야 한다."는 줄기가 잘 펼쳐지고 상하지 않도록 묶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묶은 점은 조금 느슨하게 묶어 줄기가 잘 펼쳐지고 상하지 않아야 한다."가 아닙니다.

    해당 내용의 이유는 묶은 점이 너무 꽉 묶으면 줄기가 자유롭게 펼쳐지지 못하고 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너무 느슨하게 묶으면 부케가 흩어질 수 있으므로 적당한 강도로 묶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서양꽃꽂이의 분류 설명 중 모던 스타일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자연법칙을 존중하고 자연적인 형태를 기준으로 한다.
  2. 소재끼리 서로 만나지 않고 평행을 이루거나 교차를 이룬다.
  3. 전통디자인은 대칭 질서를 이루는 반면, 대부분 비대칭 질서를 유지한다.
  4. 단순한 조화미를 표현하는 기하학적 장식디자인이다.
(정답률: 42%)
  • 단순한 조화미를 표현하는 기하학적 장식디자인이 모던 스타일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유는 모던 스타일은 단순함보다는 기하학적인 형태와 선명한 색상, 현대적인 느낌을 중시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화훼장식론

41. 다음 중 'Parallel(패럴랠)디자인'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꽃줄기들이 수직의 선들로 무한정 확장되다가 한군데서 만나게 되는 디자인이다.
  2. 규칙적으로 수평, 수직 또는 사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말한다.
  3. 용기 안의 서로 다른 점으로부터 뻗어 나온 것을 말한다.
  4. 경직되고 구조적으로 보이기는 하나 높이를 달리하면 부드러워 보인다.
(정답률: 52%)
  • 정답은 "용기 안의 서로 다른 점으로부터 뻗어 나온 것을 말한다."입니다.

    Parallel 디자인은 꽃줄기들이 수직의 선들로 무한정 확장되다가 한군데서 만나게 되는 디자인입니다. 이는 일종의 그리드 시스템으로, 규칙적으로 수평, 수직 또는 사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용기 안의 서로 다른 점으로부터 뻗어 나온 것을 말한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우리나라 전통적 화훼장식의 발전은 어디에서 비롯되어 발전되었는가?

  1. 일지화, 기명절지화
  2. 분식물 장식, 일지화
  3. 불교장식, 궁중의례장식
  4. 궁중의례장식, 혼례장식
(정답률: 90%)
  • 우리나라 전통적 화훼장식의 발전은 불교장식과 궁중의례장식에서 비롯되어 발전되었습니다. 불교장식은 불교사찰에서 사용되는 화훼장식으로, 꽃과 나뭇가지 등을 이용하여 불교적인 의미를 담아 꾸미는 것입니다. 궁중의례장식은 조선시대 궁중에서 사용되는 화훼장식으로, 궁중의 풍속과 예절을 반영하여 꾸미는 것입니다. 이러한 불교장식과 궁중의례장식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하여 우리나라 전통적인 화훼장식이 형성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영국의 예술가 윌리엄 호가스(William Hogarth, 1697 ~ 1764)에 의해 창시 되었다고 보는 화형은?

  1. 초생달형
  2. 부채형
  3. S커브형
  4. 원추형
(정답률: 89%)
  • S커브형은 윌리엄 호가스가 그린 그림에서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화형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이 화형은 S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인체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따라가는 형태로 인기를 얻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고려시대의 화훼양식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수월관음도
  2. 수덕사 대웅전의 야화도
  3. 불교문화
  4. 산화도
(정답률: 73%)
  • 고려시대의 화훼양식과 관련된 것은 "수월관음도", "수덕사 대웅전의 야화도", "불교문화"이지만, "산화도"는 관련이 없습니다. 산화도는 산과 관련된 지리적인 용어로, 고려시대의 화훼양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건조화로 많이 이용되는 꽃이 아닌 것은?

  1. 장미
  2. 아킬레아
  3. 로단세
  4. 국화
(정답률: 58%)
  • 국화는 건조화로 많이 이용되지 않습니다. 국화는 꽃잎이 얇고 부서지기 쉬워서 건조화로 만들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절화줄기를 고정하는 방법 중 디자인의 형태를 고려해 표현할 경우 가장 제약이 많이 따르는 것은?

  1. 철망
  2. 격자
  3. 침봉
  4. 플로랄 폼
(정답률: 66%)
  • 절화줄기를 고정하는 방법 중 디자인의 형태를 고려해 표현할 경우 가장 제약이 많이 따르는 것은 "침봉"입니다. 이는 침봉이 다른 보기들에 비해 더욱 세부적인 디자인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침봉은 절화줄기를 고정하는 동시에 디자인적인 요소로 활용되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에 비해 더욱 정교한 디자인과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색상 중 따뜻한 색끼리 짝지어진 것은?

  1. 빨강 - 주황
  2. 남색 - 보라
  3. 노랑 - 파랑
  4. 연두 - 자주
(정답률: 91%)
  • 빨강과 주황은 빨간색 계열에 속하며, 빨간색은 따뜻한 색상 중 하나이고, 주황색은 노란색과 빨간색의 혼합색으로 더욱 따뜻한 색상입니다. 따라서 빨강과 주황은 따뜻한 색끼리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장식적인 디자인 테크닉(Design technique)의 하나로 시험관등을 이용하여 재료가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하는 기술은?

  1. Fliessend technique(프리센트 테크닉)
  2. Floating technique(플로팅 테크닉)
  3. Fencing technique(팬싱 테크닉)
  4. Banding technique(밴딩 테크닉)
(정답률: 85%)
  • 시험관 등을 이용하여 재료를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술을 "Floating technique(플로팅 테크닉)"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색의 속성 가운데 '채도'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 된 것은?

  1. 색입체의 중심축인 무채색의 축에 가까울수록 채도번호는 점점 낮아진다.
  2. 한 색상 중에서 가장 채도가 높은 색을 그 색상 중의 순색이라고 한다.
  3. 채도단계에서 중성화 된 색상들을 "Hue"라 한다.
  4. 채도의 단계는 1에서 14단계로 나뉘어 진다.
(정답률: 53%)
  • 잘못된 설명은 "채도단계에서 중성화 된 색상들을 'Hue'라 한다."입니다. 채도는 색상의 선명도나 진하게 느껴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속성이며, Hue는 색상의 종류를 나타내는 속성입니다. 따라서 채도단계에서 중성화 된 색상들을 Hue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12개의 색상환에서 1색상씩 건너 뛰어 3색이 함께 조화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은?

  1. 보색 조화
  2. 유사색 조화
  3. 이색 3조화
  4. 이색 6조화
(정답률: 42%)
  • 12개의 색상환에서 1색상씩 건너 뛰어 3색이 함께 조화되는 것은 "이색 6조화"입니다. 이는 12개의 색상환에서 1, 7, 13번째 색상이 함께 조화를 이루고, 2, 8, 14번째 색상이 함께 조화를 이루며, 이와 같이 6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기 때문입니다. 이색 6조화는 대비가 강하지 않으면서도 조화로운 색상 조합으로, 인테리어나 패션 등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밀짚·옥수수의 다발·지붕을 잇는 짚·오두막등과 같이 서로 유사한 소재들을 한 단위로 함께 묶거나 레핑(wrapping)하여 디자인에 위치시키는 기법은?

  1. 오버래핑
  2. 페더링
  3. 마운팅
  4. 번들링
(정답률: 78%)
  • 번들링은 서로 유사한 소재들을 한 단위로 묶거나 레핑하여 디자인에 위치시키는 기법이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번들링"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건조시켜 화훼장식을 이용하는데 그 소재가 주로 열매로만 묶인 것은?

  1. 꽈리, 석류, 청미래덩굴, 솔방울
  2. 레몬, 포피, 연밥, 솔방울, 페퍼민트
  3. 월계수, 스프렝게리, 다래, 토마토
  4. 로즈마리, 조, 수수, 강아지풀
(정답률: 72%)
  • 정답인 꽈리, 석류, 청미래덩굴, 솔방울은 모두 열매로만 묶인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열매 이외에도 잎, 꽃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형과 선을 강조하는 디자인으로 하이스타일 디자인으로 아르데코라 불리우는 비대칭형 어레인지먼드에서 강조되어 사용되는 것은?

  1. 보케(Boeket)
  2. 스트라우스(Strauss)
  3. 부케(Bouquet)
  4. 포멀 리니어(Formal Linear)
(정답률: 86%)
  • 아르데코라는 형과 선을 강조하는 디자인으로, 비대칭형 어레인지먼트에서는 포멀 리니어 디자인이 강조되어 사용됩니다. 이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꽃과 잎사귀를 일직선으로 배치하여 규칙적이고 직선적인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포멀 리니어 디자인은 하이스타일하면서도 깔끔하고 정돈된 느낌을 주어 인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인간의 지각기능을 적절히 자극해 창조성을 높이거나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는 것으로 화훼장식이 가지고 있는 기능 중 해당되는 것은?

  1. 정서함양과 치료 효과
  2. 교육
  3. 환경조절
  4. 공간장식
(정답률: 89%)
  • 화훼장식은 적절한 색상과 모양, 향기 등을 통해 인간의 감각을 자극하고, 이를 통해 정서적인 변화를 일으키며, 이로 인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거나 창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화훼장식은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산소를 공급하여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이유로 화훼장식은 정서함양과 치료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식물을 다른 소재와 조합하여 비사실적 기법에 의해 새로운 형태를 탄생시키는 구성을 가리키는 것은?

  1. 식생적 구성
  2. 오브제적 구성
  3. 장식적 구성
  4. 구조적 구성
(정답률: 89%)
  • 오브제적 구성은 식물을 다른 소재와 조합하여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내는 비사실적인 기법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는 식물을 일종의 오브제(물건)로 취급하여 조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오브제적"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플로럴 폼(floral foa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물을 빠르게 흡수시킬 때는 손으로 눌러 가라앉도록 한다.
  2. 물을 흡수했다가 말린 것을 재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3. 플로럴 폼(floral foam)은 경도가 다른 제품들이 있다.
  4. 플로럴 폼(floral foam)은 다양한 모양으로 생산되어 나온다.
(정답률: 94%)
  • "물을 빠르게 흡수시킬 때는 손으로 눌러 가라앉도록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플로럴 폼은 물을 흡수할 때 자연스럽게 가라앉기 때문에 손으로 눌러 가라앉히는 것은 오히려 폼의 구조를 파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을 부드럽게 폼 위에 붓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주황색의 나리를 가지고 꽃다발을 제작할 때, 꽃을 보다 강하고 뚜렷하게 보이고자 할 때 포장지의 색상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보라
  2. 노랑
  3. 파랑
  4. 자주
(정답률: 83%)
  • 주황색과 대비되는 보색인 파랑색을 사용하면 꽃의 색상이 더욱 강조되어 뚜렷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화훼장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훼장식은 모양, 색채, 질감 등의 시각적 요소가 주를 나타내는 조형예술이다.
  2. 화훼장식은 식물만을 이용하여 제작, 설치, 관리, 유지하는 종합적 조형예술이다.
  3. 화훼장식은 때와 장소, 목적에 따라 조형원리에 맞게 장식 되어야 한다.
  4. 화훼장식물은 인간의 창의력과 표현능력을 이용한 미적 감각을 볼 수 있다.
(정답률: 89%)
  • 정답은 없습니다. 모든 보기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비더마이어(Biedermeier)를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돔(Dome)형으로 촘촘히 구성하며 혼합(mixing)한다.
  2. 수천송이의 꽃이란 의미가 있다.
  3. 네덜란드 화풍에서 나온 디자인이다.
  4. 물이 흐르는 듯한 모양으로 꽂는다.
(정답률: 72%)
  • 비더마이어는 19세기 초 유럽에서 유행한 인테리어 스타일로, 돔 형태의 가구와 소품을 촘촘히 배치하고 다양한 소재와 색상을 혼합하여 꾸미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돔(Dome)형으로 촘촘히 구성하며 혼합(mixing)한다."가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설명 중 색상이 가지는 특성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은?

  1. 테이블 장식에서는 빨강, 주황, 노랑색상의 꽃은 피하도록 한다.
  2. 고명도의 색상은 빠른 느낌을 준다.
  3. 파스텔조의 색채는 동적이고 화사한 느낌을 준다.
  4. 보라색 꽃은 자주색 배경보다 남보라색 배경에서 더 푸르게 보인다.
(정답률: 36%)
  • 고명도의 색상은 빠른 느낌을 준다. - 고명도의 색상은 높은 채도와 명도를 가지고 있어 눈에 더욱 빠르게 들어오며, 활기찬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