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7-31)

화훼장식기능사
(2011-07-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훼장식재료

1. 꽃의 형태에 따른 분류 중 폼플라워(Form flower)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안개꽃
  2. 백합
  3. 수선화
  4. 안스리움
(정답률: 86%)
  • 폼플라워는 꽃잎이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꽃으로, 안개꽃은 꽃잎이 원형이 아닌 특이한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폼플라워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이른 봄철 잎이 나기 전에 꽃부터 먼저 피어서 화훼 재료로 이용되는 우리나라 자생 수종은?

  1. 조팝나무
  2. 모란
  3. 수수꽃다리
  4. 황매화
(정답률: 55%)
  • 이른 봄철에 꽃이 먼저 핀다는 것은 겨울을 잘 견디고 봄이 오면 빠르게 성장하는 나무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조팝나무는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고, 봄이 되면 빠르게 성장하여 꽃을 피우기 때문에 이른 봄철에 꽃부터 먼저 피어서 화훼 재료로 이용되는 수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작품을 강조하고 지배적인 형태를 이루어 표현 효과가 큰 꽃으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소재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툴립
  2. 극락조화
  3. 안개초
  4. 거베라
(정답률: 72%)
  • 극락조화는 대형화로서, 작품을 강조하고 지배적인 형태를 이루어 표현하는 데 적합합니다. 또한 꽃 자체가 크고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소재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건조소재 장식과 가장 거리가 먼 적은?

  1. 포푸리
  2. 분경
  3. 압화
  4. 망사잎
(정답률: 80%)
  • 분경은 건조소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포푸리, 압화, 망사잎은 모두 건조된 자연 소재로 만들어진 장식이지만, 분경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만들어진 장식입니다. 따라서 분경이 가장 거리가 먼 건조소재 장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밀폐된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유리용기 속에 식물을 심어 재배 관상하는 화훼장식의 이용 형태는?

  1. 디시가든
  2. 토피어리
  3. 수경재배
  4. 테라리움
(정답률: 86%)
  • 밀폐된 투명한 용기 속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중에서도 테라리움은 육지 식물을 재배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테라리움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동양란에 속하는 것은?

  1. 파피오페딜룸
  2. 반다
  3. 한란
  4. 카틀레야
(정답률: 85%)
  • 동양란은 한란과 카틀레야 두 속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파피오페딜룸과 반다는 동양란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내한성이 강한 노지 숙근 초화류는?

  1. 군자란
  2. 칼란코에
  3. 원추리
  4. 거베라
(정답률: 59%)
  • 노지 숙근 초화류는 한국의 남쪽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로, 더운 여름철에도 잘 자라는 내한성이 강한 식물입니다. 이 중에서도 원추리는 더욱 강한 내한성을 가지고 있어서, 한국의 남쪽 지역에서는 겨울철에도 잘 자라며, 농업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원추리는 내한성이 강한 노지 숙근 초화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온대지방에서 겨울나기가 가능하고, 가을에 심어야 하는 알뿌리 식물은?

  1. 칸나
  2. 글라디올러스
  3. 달리아
  4. 수선화
(정답률: 48%)
  • 수선화는 온대지방에서 겨울나기가 가능하며, 가을에 심어야 하는 알뿌리 식물입니다. 다른 보기인 칸나, 글라디올러스, 달리아는 모두 온난지방에서 겨울나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식물들이기 때문에 정답은 수선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열매를 감상할 수 있으며 행잉용으로 이용하기 가장 적합한 것은?

  1. 아나나스
  2. 팔손이
  3. 백리향
  4. 산호수
(정답률: 56%)
  • 산호수는 열매가 크고 달고 맛이 좋으며, 행잉용으로도 매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토피어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어항과 같이 유리 용기에 수생식물을 심고, 거북이나 물고기를 넣어 기르는 것을 말한다.
  2. 파인애플과 식물이나 착생란 등을 나무, 돌, 숲 등에 붙여 심고 관상하는 것을 말한다.
  3. 식물의 가지를 전정하여 동물모양이나 기하학적 형태 등으로 디자인하는 것을 말한다.
  4. 접시와 같이 넓고 얕은 용기에 식물을 심어 작은 정원을 꾸미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91%)
  • 토피어리는 식물의 가지를 전정하여 동물모양이나 기하학적 형태 등으로 디자인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식물을 예술적으로 가꾸는 방법 중 하나로, 가지를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식물을 자연스럽게 성장시키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학명의 표시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학명은 반드시 영어나 단어를 사용한다.
  2. 속명의 첫 글자는 소문자로 쓴다.
  3. 변종은 이탤릭체를 사용하고, var.나 v.로 표시한다.
  4. 명명자는 이탤릭체로 쓰고,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쓴다.
(정답률: 57%)
  • 변종은 원래의 종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강조하기 위해 이탤릭체를 사용하고, var.나 v.로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속명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단풍나무속 - Acer
  2. 수련속 - Nymphaea
  3. 진달래속 - Aconitum
  4. 장미속 - Rosa
(정답률: 52%)
  • 진달래속은 다른 세 속과 달리 독성이 강한 식물로, 인체에 치명적인 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화훼식물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군자란은 난과 식물이다.
  2. 팔손이는 관엽식물이다.
  3. 아이리스, 크로커스는 구근류에 속한다.
  4. 숙근류는 다년생으로 자라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61%)
  • "군자란은 난과 식물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군자란은 난종으로 분류되며, 난종은 식물과는 다른 생물군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구근의 형태에 따른 분류에서 구경(Corn)류 로만 나열된 것은?

  1. 튤립, 칼라, 글라디올러스
  2. 나리, 원추리, 산마늘
  3. 글라디올러스, 프리지아, 크로커스
  4. 꽃생강, 칼라, 수선화
(정답률: 58%)
  • 구근의 형태에 따른 분류에서 구경류는 길쭉하고 원통형의 구근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길쭉하고 원통형의 구근을 가진 글라디올러스, 프리지아, 크로커스가 구경류로 분류됩니다. 나머지 보기에 있는 꽃들은 구근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구경류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화목류 중 주로 잎을 관상하는 종류로만 나열된 것은?

  1. 단풍나무, 은행나무, 향나무
  2. 단풍나무, 좀작살나무, 은행나무
  3. 은행나무, 구상나무, 산딸나무
  4. 주목, 수수꽃다리, 모과나무
(정답률: 74%)
  • 단풍나무, 은행나무, 향나무는 모두 잎이 크고 아름다워서 관상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화목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절화 보관 중 에틸렌 가스 발생을 억제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은?

  1. 질산은(AgNO3)
  2. 8HQC
  3. 구연산
  4. 탄산음료
(정답률: 64%)
  • 질산은 에틸렌 가스 발생을 억제하는 데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는 질산이 에틸렌 가스를 흡수하여 에틸렌 가스의 생성을 억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질산은 식물의 보존과 운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8HQC, 구연산, 탄산음료는 에틸렌 가스 발생을 억제하는 데 효과가 있지만, 질산보다는 효과가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앉아서 좌담하는 테이블 장식용으로 주로 활용 되는 화형은?

  1. 높은 삼각형
  2. 수평형
  3. 수직형
  4. 폭포형
(정답률: 95%)
  • 앉아서 좌담하는 테이블은 대개 사람들이 서로 마주보고 대화를 나누는 공간입니다. 이 때, 화형은 상대방과 눈높이를 맞추어 자연스러운 대화를 이끌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높은 삼각형이나 수직형은 상대방과 눈높이가 맞지 않아 대화가 불편하고 어색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수평형은 상대방과 눈높이를 맞추어 자연스러운 대화를 이끌어내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앉아서 좌담하는 테이블 장식용으로 주로 활용되는 화형은 수평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테이블장식을 할 때 고려할 점으로 틀린 것은?

  1. 식욕을 돋기 위해 향기가 진한 소재를 주로 사용한다.
  2. 장식물의 높이는 시선보다 낮게 한다.
  3. 장소, 동기, 환경을 고려하여 제작한다.
  4. 음식문화에 따른 소재를 선택한다.
(정답률: 96%)
  • 정답: "식욕을 돋기 위해 향기가 진한 소재를 주로 사용한다."은 틀린 것이다. 테이블장식을 할 때는 음식과 어울리는 색상, 소재, 디자인을 고려해야 하며, 향기가 진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은 음식과의 조화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지양해야 한다.

    설명: 테이블장식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은 다양하다. 장식물의 높이는 시선보다 낮게 해서 상대방과 대화를 할 때 시선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장소, 동기, 환경을 고려하여 제작하여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문화에 따른 소재를 선택하여 음식과 어울리는 색상, 소재, 디자인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향기가 진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은 음식과의 조화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지양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리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리스는 화훼 소재를 이용하여 고리(ring)모양으로 만든 장식물이다.
  2. 리스는 리스 고리의 크기에 비해 두께가 가늘수록 모양이 좋다.
  3. 리스는 나무덩굴이나 짚, 로프, 철사, 철망, 이끼 등으로 만든 둥근 고리모양의 틀에 소재를 부착시켜 만들 수 있다.
  4. 리스는 플로랄 폼이 있는 고리모양의 틀에 꽃꽂이 하듯 소재를 꽂아 만들 수 있다.
(정답률: 89%)
  • 정답은 "리스는 리스 고리의 크기에 비해 두께가 가늘수록 모양이 좋다." 이 맞습니다.

    이유는 두꺼운 소재를 사용하면 리스 고리의 모양이 불규칙해지고 무거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늘고 유연한 소재를 사용하여 고리 모양을 유지하면서도 부드러운 느낌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분식물 장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테라리움 - 라틴어로 흙이라는 의미의 Terra 와 방이라는 의미의 Arium의 합성어이다.
  2. 비바리움 - 유리용기 속에 도마뱀, 개구리 등의 동물과 식물이 공생하는 자연의 모습을 연출한다.
  3. 아쿠아리움 - 물고기 등을 넣고 수생식물을 띄워 키운다.
  4. 디시가든 - 깊이가 얕은 분에 목본식물을 인공적으로 생장 억제시켜 축소, 묘사한 것이다.
(정답률: 82%)
  • 디시가든은 깊이가 얕은 분에 목본식물을 인공적으로 생장 억제시켜 축소, 묘사한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훼장식 제작 및 유지관리

21. 꽃줄기 속이 비어 있거나 잘 부러지는 소재의 경우 줄기 기부에서 철사를 끼워 넣는 방법은?

  1. 인서션 메소드(Insertion method)
  2. 크로스 메소드(Cross method)
  3. 피어스 메소드(Pierce method)
  4. 소잉 메소드(Sewing method)
(정답률: 88%)
  • 인서션 메소드는 철사를 꽃줄기 안쪽에 끼워 넣는 방법으로, 소재가 비어 있거나 부러지기 쉬운 경우에 적합합니다. 크로스 메소드는 꽃줄기를 십자 모양으로 교차시켜 철사로 고정하는 방법이며, 피어스 메소드는 꽃줄기에 구멍을 뚫고 철사를 통과시켜 고정하는 방법입니다. 소잉 메소드는 꽃잎이나 잎사귀를 손으로 묶어서 고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꽃줄기 속이 비어 있거나 잘 부러지는 소재의 경우 인서션 메소드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꽃다발(Handtied bouque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묶음점 아래 부분 줄기에도 싱싱한 잎을 붙여 둔다.
  2. 묶은점을 단단하게 하기 위하여 최대한 넓은 폭으로 묶는다.
  3. 줄기 끝은 직선으로 자른 후 세울 수 있게 한다.
  4. 줄기는 나선형(spiral) 또는 평행형(parallel) 기법으로 제작한다.
(정답률: 79%)
  • 꽃다발은 여러 종류의 꽃과 잎을 손으로 묶어서 만든다. 이때 꽃과 잎의 크기와 색상을 조화롭게 배치하고, 줄기는 나선형 또는 평행형으로 제작하여 꽃다발의 균형을 맞춘다. 이는 꽃다발을 보기 좋게 만들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물주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겨울철에도 신선한 찬물을 준다.
  2. 겉흙이 약간 마른 듯 할 때 물을 준다.
  3. 항상 토양을 촉촉하게 유지한다.
  4. 건조해지지 않도록 조금씩 자주 물을 준다.
(정답률: 82%)
  • 겉흙이 약간 마른 듯 할 때 물을 준다는 것은, 식물이 필요로 하는 물의 양을 정확히 파악하여 과습이나 건조함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뿌리가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상태인데도 지나치게 많은 물을 주면 뿌리가 썩을 수 있고, 반대로 물을 주지 않으면 식물이 건조해져서 죽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겉흙이 약간 마른 듯 할 때 물을 주는 것이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웨딩 부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모든 부케의 기본형태는 원형이다.
  2. 캐스케이드형(Cascade) 부케는 상부의 원형부케를 하부의 갈랜드와 연결한 것이다.
  3. 초승달형(Crescent) 부케는 선의 흐름을 최대한 돋보이게 하고 대칭적·비대칭적 제작 구성이 가능하다.
  4. 트라이앵글형(Triangular) 부케는 두 개의 갈랜드를 중심부에 연결하여 아름다운 곡선이 돋보이는 형태이다.
(정답률: 76%)
  • "트라이앵글형(Triangular) 부케는 두 개의 갈랜드를 중심부에 연결하여 아름다운 곡선이 돋보이는 형태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정확한 설명은 "트라이앵글형(Triangular) 부케는 세 개의 꽃을 삼각형 모양으로 배치한 형태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원예용 배양토의 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배수성 및 통기성이 좋아야 한다.
  2. 보수력과 보비력이 높아야 한다.
  3. 일반적으로 산도가 높아야 한다.
  4. 병충해가 없는 무병토양이어야 한다.
(정답률: 93%)
  • 일반적으로 산도가 높을수록 식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분이 흡수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정한 산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디자인 기법은?

  1. 시퀀싱(Sequencing)
  2. 쉐도잉(Shadowing)
  3. 그루핑(Grouping)
  4. 클러스터링(Clustering)
(정답률: 78%)
  • 이 디자인은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 이미지와 텍스트를 배열하여 이야기를 전달하는 시퀀싱(Sequencing) 기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병렬형(Paralall) 디자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꽃줄기들이 수직의 선들로 무한정 확장되다가 한곳에서 만나게 되는 디자인이다.
  2. 규칙적으로 수평, 수직, 또는 규칙적인 대각선을 이루면서 평행으로 배치되는 디자인이다.
  3. 용기 안의 서루 다른 점으로부터 뻗어 나온 디자인이다.
  4. 경직되고 구조적으로 보이기는 하나 높이를 달리 하면 부드러워 보인다.
(정답률: 68%)
  • "꽃줄기들이 수직의 선들로 무한정 확장되다가 한곳에서 만나게 되는 디자인이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식물이 자연 상태에서 살아있는 모습과 같은 형태로 조형하는 구성은?

  1. 그래픽 구성
  2. 구조적 구성
  3. 식생적 구성
  4. 장식적 구성
(정답률: 93%)
  • 식물이 자연 상태에서 살아있는 모습과 같은 형태로 조형하는 것은 식생적 구성입니다. 이는 식물의 생명력과 자연스러움을 강조하며, 자연을 모방하여 조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식물의 생태적 특성과 생명력을 고려하여 조형하며,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비슷한 소재들을 계단식으로 꽂는 기법은?

  1. 레이어링(Layering)
  2. 테라싱(Terracing)
  3. 스태킹(Stacking)
  4. 시퀀싱(Sequencing)
(정답률: 88%)
  • 테라싱은 비슷한 소재들을 계단식으로 꽂는 기법으로, 각 계층마다 다른 높이를 가지며 적은 공간에서도 다양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이 기법은 수직적인 공간 활용과 더불어 시각적인 효과도 높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루핑(Group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재를 모으고 분류하며 강한 인상을 줄 수 있다.
  2. 소재를 분산시켜 구성하는 것보다 소재의 다양성 및 형태 등이 뚜렷이 구별되고 여백의 미를 강조할 수 있다.
  3. 각각의 요소가 모여서 조화로운 형태를 이루면 그루핑이라 하며 공통점이 없어도 된다.
  4. 색상. 질감, 형태 등이 비슷하여 조화를 이루고 통일 되도록 한다.
(정답률: 72%)
  • 정답은 "각각의 요소가 모여서 조화로운 형태를 이루면 그루핑이라 하며 공통점이 없어도 된다."가 아닌 "색상. 질감, 형태 등이 비슷하여 조화를 이루고 통일 되도록 한다."입니다.

    그루핑은 각각의 요소가 모여서 조화로운 형태를 이루는 것이지만, 이를 위해서는 공통점이 있어야 합니다. 공통점이 없는 요소들이 모여서는 조화로운 형태를 이루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 요소들은 분류되어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공통점을 찾아내어 그루핑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장미꽃의 관리 요령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줄기의 잎을 될 수 있는 한 많이 떼어낸다.
  2. 물속에 잠기는 잎과 노화된 잎은 떼어낸다.
  3. 잎과 가시는 모두 물속에 그대로 둔다.
  4. 보관용기 안에 빽빽하게 많이 넣을수록 좋다.
(정답률: 87%)
  • 물속에 잠기는 잎과 노화된 잎은 부패의 원인이 되므로 떼어내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페더링(Feathering)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코사지나 터지머지(tuzzy - muzzy)등과 같은 섬세한 디자인을 할 때 사용된다.
  2. 카네이션, 국화 등의 꽃잎을 여러 장 겹쳐서 감아주는 기법이다.
  3. 하나하나의 꽃잎을 여러 장 겹쳐서 감아주는 기법이다.
  4. 꽃잎을 분해하여 새의 깃털처럼 처리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정답률: 45%)
  • 정답은 "하나하나의 꽃잎을 여러 장 겹쳐서 감아주는 기법이다."가 아닌 "카네이션, 국화 등의 꽃잎을 여러 장 겹쳐서 감아주는 기법이다."입니다. 페더링 기법은 꽃잎을 분해하여 새의 깃털처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꽃잎을 여러 장 겹쳐서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느낌을 연출하는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절화장식품 제작 후 배치장소로서 가장 적당한 곳은?

  1. 겨울철 난방기 옆
  2. 직사광선을 피한 밝은 곳
  3. 여름철 에어컨 앞
  4. 햇빛이 들며 바람이 부는 창문 앞
(정답률: 77%)
  • 절화장식품은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쉽게 변색하거나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직사광선을 피한 밝은 곳이 가장 적합합니다. 겨울철 난방기 옆은 너무 따뜻하고 건조할 수 있으며, 여름철 에어컨 앞은 너무 차가울 수 있습니다. 햇빛이 들며 바람이 부는 창문 앞은 직사광선에 노출될 우려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평면적인 화면에 입체적인 생화나 건조 소재 등의 소재를 반 평면적으로 배치하여 표현하는 장식물은?

  1. 갈랜드
  2. 콜라주
  3. 리스
  4. 형상물
(정답률: 77%)
  • 콜라주는 여러 재료를 잘라서 붙여서 만드는 장식물로, 평면적인 화면에 입체적인 소재를 반 평면적으로 배치하여 표현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콜라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바크
  2. 수태
  3. 부엽토
  4. 마사토
(정답률: 80%)
  • 이것은 식물의 잎이 떨어지면서 생기는 토양입니다. "바크"는 나무의 껍질, "수태"는 씨앗의 껍질, "마사토"는 썩은 잎과 나무 껍질 등이 섞인 토양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설명하는 동양식 절화장식은?

  1. 분리형
  2. 경사형
  3. 전개형
  4. 복합형
(정답률: 80%)
  • 이 절화장식은 여러 가지 형태의 동물과 식물을 조합하여 만들어진 복합형 절화장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에틸렌 발생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썩은 사과
  2. 자동차 배기가스
  3. 카네이션 노화
  4. 오존
(정답률: 56%)
  • 에틸렌은 식물이나 과일 등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인공적으로 생산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오존은 대기 중에서 자외선과 오염물질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대기 오염물질입니다. 따라서 오존은 에틸렌 발생의 원인으로는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공간장식을 하는데 있어서 직접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간의 전체적인 구도
  2. 장식할 공간의 전체적인 분위기
  3. 공간내부의 주 색상
  4. 장식공간의 주변 외부 환경
(정답률: 89%)
  • 장식공간의 주변 외부 환경은 공간 내부의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공간 내부의 요소들로서 공간장식을 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소재의 형, 선, 각도를 강조하고, 형과 선이 두드러지게 대비되며 여백을 이용하여 소재의 아름다움을 강조한 형식은?

  1. 장식적 구성
  2. 식생적 구성
  3. 구조적 구성
  4. 형·선적 구성
(정답률: 88%)
  • 형·선적 구성은 소재의 형태와 선의 특징을 강조하여 디자인하는 형식입니다. 이 형식은 간결하고 깔끔한 느낌을 주며, 여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소재의 아름다움을 더욱 두드러지게 표현합니다. 따라서 형·선적 구성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절화수명 연장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줄기는 예리한 칼로 자른 즉시 물에 담가야 한다.
  2. 영양을 공급해 준다.
  3. 물통에 꽂을 때 줄기의 아랫잎을 보존한다.
  4. 에틸렌에 민감한 꽃은 분리하여 저장한다.
(정답률: 91%)
  • 절화수명 연장 방법 중에서 "물통에 꽂을 때 줄기의 아랫잎을 보존한다."가 틀린 것은, 줄기의 아랫잎을 보존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좋다는 것입니다. 줄기의 아랫잎은 물에 담긴 상태에서 썩어서 물의 오염원이 되기 때문에, 꽃을 꽂을 때는 줄기의 아랫잎을 제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화훼장식론

41. 토양의 수분이 과다할 경우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토양 속의 공기함량이 감소한다.
  2. 통기 불량으로 뿌리가 썩는다.
  3.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한다.
  4. 토양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한다.
(정답률: 63%)
  • 토양의 수분이 과다할 경우, 토양 속의 공기함량이 감소하고 통기 불량으로 뿌리가 썩을 수 있습니다. 또한, 토양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기물의 분해는 수분이 많을 때 촉진되는 현상입니다. 이는 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는 데 필요한 화학 반응을 촉진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설명하는 디자인 원리는?

  1. 강조
  2. 균형
  3. 통일
  4. 비례
(정답률: 56%)
  • 이 디자인 원리에서는 모든 요소들이 서로 일관성 있게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이를 통해 전체적인 디자인의 통일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통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직선의 위치와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반적으로 직선은 억제된 역동성을 갖고 있다.
  2. 수직으로 놓인 선은 대부분의 경우 수동적이며 아래로 떨어지는 효과를 갖고 있다.
  3. 조형 작업의 경우처럼 선들에 있어서도 양의 비례와 분배가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4. 모든 방향의 선들을 한 작품 속에 같은 양으로 사용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작품의 긴장감을 상실하게 된다.
(정답률: 45%)
  • "수직으로 놓인 선은 대부분의 경우 수동적이며 아래로 떨어지는 효과를 갖고 있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직선의 특징이나 효과에 대한 설명이지만, 이 보기는 수직으로 놓인 선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직선의 일반적인 특징이나 작품에서의 활용 방법에 대한 설명이지만, 이 보기는 특정 방향의 선에 대한 설명이므로 다른 보기들과는 주제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대칭균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중심 폭을 기준으로 양쪽에 같은 요소로 동일하게 배열 한다.
  2. 질서가 있어 안정된 느낌이다.
  3. 공식적이고 위엄이 있어 보인다.
  4. 자연스럽고 비정형적이며 생동감이 있다.
(정답률: 87%)
  • "자연스럽고 비정형적이며 생동감이 있다."가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대칭균형은 일반적으로 규칙적이고 공식적인 느낌을 주는데 반해, "자연스럽고 비정형적이며 생동감이 있다."는 느낌은 대칭균형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느낌은 대칭균형을 깨뜨리는 요소들이 존재하거나, 대칭균형을 유지하면서도 자연스러운 디자인 요소들이 적용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화훼장식에 색채를 응용할 경우 고려할 점으로 틀린 것은?

  1. 통일성과 조화미를 갖는 색과 명도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2. 작품의 전체적인 명도가 높을수록 크게 보이고, 낮을수록 작게 보인다.
  3. 꽃색을 안정감 있게 배색하려면 명도가 높은 꽃을 아래쪽에 비치하는 것이 좋다.
  4. 시선의 주의력을 집중적으로 드러나게 할 경우 따뜻한 계통의 색을 이용한다.
(정답률: 62%)
  • "꽃색을 안정감 있게 배색하려면 명도가 높은 꽃을 아래쪽에 비치하는 것이 좋다." 이유는, 명도가 높은 꽃을 아래쪽에 배치하면 그 꽃이 더욱 더 크고 안정적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래쪽에 명도가 높은 꽃을 배치하면 전체적인 꽃장식의 밸런스와 균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대비(對比)에 의한 강조 효과를 가장 얻기 어려운 것은?

  1. 대부분의 것이 어두울 때 하나의 밝은 형태인 것
  2. 대부분의 것들이 수직일 때 사선인 것
  3. 대부분의 것들이 비슷한 크기일 때 의외로 작은 것
  4. 형태의 대부분이 평행사변형일 때 직선인 것
(정답률: 61%)
  • 형태의 대부분이 평행사변형일 때 직선인 것은 대비 효과를 가장 얻기 어려운 것입니다. 이는 평행사변형은 모양이 일정하고 균형적이기 때문에 다른 형태와 대비되는 강한 시각적 요소가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비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다른 형태와 대비되는 요소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서양의 꽃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르네상스 시대는 종교적 의미를 담은 꽃꽂이를 하거나 줄기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꽃을 가득 채운 원추형, 원형 등의 꽃꽂이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2. 영국의 화가 윌리엄 호가스에 의한 초승달형 화훼장식이 유행하였다.
  3. 빅토리아 시대는 암울한 시대상황으로 꽃문화가 융성하지 않았다.
  4. 미국 초창기의 꽃문화는 빅토리아안 양식에 영향을 받아 부채모양이 일반적이었다.
(정답률: 60%)
  • 르네상스 시대의 꽃문화는 종교적 의미를 담은 꽃꽂이를 하거나 줄기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꽃을 가득 채운 원추형, 원형 등의 꽃꽂이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꽃의 건조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열풍건조는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많은 건조화를 생산하며, 꽃을 빠르게 건조시키면서 변색이 적고 형태유지가 가능하다.
  2. 동결건조는 형태와 색상이 그대로 유지되고, 공기 중에서 수분흡수가 적어 밀폐되지 않은 공간장식에 많이 이용된다.
  3. 실리카겔을 이용한 매몰건조는 형태와 색상변화가 적으나 공기 중 수분을 쉽게 흡수하므로 밀폐공간이나 피막처리하여 장식해야 한다.
  4. 누름건조를 이용한 건조화를 누름꽃이라 하고, 밀폐용 액자와 평면장식에 이용된다.
(정답률: 73%)
  • 동결건조는 공기 중에서 수분흡수가 적어 밀폐되지 않은 공간장식에 많이 이용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동결건조는 건조 후에도 수분이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에 밀폐된 공간에 보관하면 곰팡이 등의 이슬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관 시에는 반드시 피막처리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한색(寒色)과 난색(暖色)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란색의 차가운 색을 배경으로 한 녹색은 따뜻하게 보인다.
  2. 오렌지색의 따뜻한 색을 배경으로 한 녹색은 차갑게 느껴진다.
  3. 빨간색, 갈색, 연두색은 난색이고, 녹색, 노란색 청보라색은 한색이다,
  4. 색을 보면서 따뜻하거나 차갑다고 느끼는 감정은 색채와 사물의 경험적인 현상으로 서로 다른 감각세계의 느낌을 말한다.
(정답률: 73%)
  • "파란색의 차가운 색을 배경으로 한 녹색은 따뜻하게 보인다."와 "오렌지색의 따뜻한 색을 배경으로 한 녹색은 차갑게 느껴진다."는 한색과 난색의 관계와는 관련이 없는 색채 조합의 예시이므로 틀린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색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파장의 색은 차가운 색이다.
  2. 스펙트럼에 나타나는 빨강, 파랑, 노랑 등의 유채색을 종류별로 나눌 수 있는 색깔을 말한다.
  3. 3차색은 서로 다른 2차색을 같은 양으로 혼합한 것이다.
  4. 먼셀은 빨강, 노랑, 파랑, 초록, 보라 다섯 색을 중심으로 각각의 중간색을 택하여 10색을 기본색으로 정했다.
(정답률: 46%)
  • 3차색은 서로 다른 2차색을 같은 양으로 혼합한 것이 아니라, 빨강, 녹색, 파랑 세 가지 색을 같은 비율로 혼합한 것을 말합니다. 이는 RGB 색 모델에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화훼장식 디자인을 할 때 우선적인 용도에 맞도록 몇 가지 고려사항이 있는데 그 중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시간
  2. 장소
  3. 목적 및 동기
  4. 독창성
(정답률: 72%)
  • 화훼장식 디자인을 할 때 시간, 장소, 목적 및 동기는 모두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러나 독창성은 선택적인 요소로서, 필수적인 고려사항은 아닙니다. 디자인의 목적과 상황에 따라 독창성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꽃꽂이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꽃을 잘라 줄기가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용기에 꽂는데서 시작하였다.
  2. 고정용 소재로는 반드시 플로랄 폼만 사용해야 한다.
  3. 장소의 특성, 이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디자인이 달라질 수 있다.
  4. 다양한 식물 외에 부소재와 조형물을 함께 응용할 수 있다.
(정답률: 97%)
  • "다양한 식물 외에 부소재와 조형물을 함께 응용할 수 있다."는 꽃꽂이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다른 특징들과는 달리 고정용 소재와 관련이 없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고정용 소재로는 반드시 플로랄 폼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플로랄 폼은 꽃을 꽂아 고정시키는 데 최적화된 소재이기 때문입니다. 플로랄 폼은 물을 흡수하여 꽃을 신선하게 유지하며, 꽂은 꽃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떨어지지 않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꽃꽂이에서 고정용 소재로는 반드시 플로랄 폼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유럽의 신부용 부케에서 다산의 의미로 사용된 것은?

  1. 장미
  2. 벼이삭
  3. 월계수 잎
  4. 올리브 열매
(정답률: 78%)
  • 유럽에서 신부용 부케에서 다산은 새로운 시작과 행복을 상징합니다. 이 중에서 벼이삭은 수확의 계절인 가을을 나타내며, 새로운 출발과 함께 풍성한 미래를 상징합니다. 따라서 유럽에서는 신부들이 부케에 벼이삭을 넣어 결혼식을 축하하고 축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압화의 소재로 이용하기 가장 어려운 것은?

  1. 극락조화
  2. 팬지
  3. 숙근안개초
  4. 코스모스
(정답률: 80%)
  • 압화는 종이에 물감을 입혀 그림을 그리는 기법으로, 종이의 흡수력과 물감의 투명도, 색감 등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압화의 소재로 이용하기 가장 어려운 것은 종이의 흡수력이 낮거나 물감이 투명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에 따라 "극락조화"가 압화의 소재로 이용하기 가장 어려운 것입니다. 극락조화는 꽃잎이 얇고 부드러워 물감이 흡수되기 어렵고, 또한 꽃잎이 얇아서 물감이 투명하지 않아 색감이 흐리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우리나라 화훼장식의 역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려시대부터 화훼식물을 이용한 장식이 시작되었다.
  2. 고려초기에는 꽃꽂이의 형태적인 구성이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반원형 삼존 형식으로 나타났다.
  3. 조선시대 초기의 그림에 병에 꽃가지를 꽂아 책상위에 올려두는 일지화가 많이 나타난다.
  4. 고려 및 조선시대는 절화를 이용한 화훼장식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화분에 심어서 이용하는 형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정답률: 51%)
  • 조선시대 초기의 그림에 병에 꽃가지를 꽂아 책상위에 올려두는 일지화가 많이 나타난 이유는 조선시대 초기에는 화분에 심어서 이용하는 형태의 화훼장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꽃가지를 병에 꽂아서 책상위에 올려두는 형태가 많이 나타났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실내의 한 벽면에 커다란 소파를 놓고 그 벽면에 그림 한 장을 걸었을 때 그 그림이 너무 크다거나, 작다거나 또는 아주 적당하다는 느낌을 주는 것은 디자인 원리 중 주로 무엇에 의한 것인가?

  1. 조화(Harmony)
  2. 비례(Proportion)
  3. 통일(Unity)
  4. 리듬(Rhythm)
(정답률: 68%)
  • 소파와 그림의 크기가 적절하게 비례하면 시각적으로 조화롭고 균형잡힌 느낌을 주기 때문에 비례(Proportion)가 주로 관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꽃다발(Handtied bouquet)을 제작할 때 사용할 부소재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플로랄 폼
  2. 라피아
  3. 용기
  4. 침봉
(정답률: 85%)
  • 라피아는 부드럽고 유연한 식물 섬유로, 꽃다발을 제작할 때 묶음을 감싸거나 장식하는 데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라피아는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며, 꽃다발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부드럽고 로맨틱하게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꽃다발 제작 시 라피아는 필수적인 부소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조화(Harmony)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서로 다른 요소들 통합되어 상호관계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2. 일정한 크기의 비율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상태를 말한다.
  3. 소재끼리 갖는 색상의 유사나 보색 대비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4. 다양함 속의 통일을 지향한다.
(정답률: 75%)
  • 일정한 크기의 비율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상태를 말하는 것은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수치적인 측면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며 조화를 이루는 특징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음악에서는 일정한 비율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음계나 리듬이 조화를 이루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특징은 다른 요소들과는 거리가 먼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화훼장식의 정의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울타리가 있는 땅 안에서 화훼식물을 재배하는 것
  2. 식물을 심고 가꾸고 이용하는 것
  3. 화훼식물을 주소재로 미적인 장식물을 제작, 설치, 유지, 관리하는 것
  4. 절화와 분식물을 이용하여 실내를 장식하는 것
(정답률: 82%)
  • 화훼장식은 화훼식물을 주요 소재로 사용하여 미적인 장식물을 제작, 설치, 유지,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화훼식물을 이용하는 것이지만, 화훼장식은 이를 더욱 미적으로 가꾸어 장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건조 소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열매와 꼬투리는 꽃과 다른 느낌으로 아름다워서 많이 이용된다.
  2. 이삭을 이용할 때 완전히 성숙한 단계에서 채취하는 것이 좋다.
  3. 나뭇가지와 덩굴을 특별한 처리가 없어도 이용할 수 있다.
  4. 최근에는 독특한 모양과 향을 가지고 있는 허브류가 건조소재로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62%)
  • "이삭을 이용할 때 완전히 성숙한 단계에서 채취하는 것이 좋다."에 대한 설명이 틀렸습니다. 이삭은 성숙하지 않은 단계에서도 이용할 수 있으며, 성숙한 단계에서는 더욱 풍부한 맛과 향을 느낄 수 있지만, 이용하는 목적에 따라 적절한 성숙도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