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1-22)

에너지관리기능사
(2006-01-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드럼이 없이 초임계압력 하에서 증기를 발생시키는 강제순환 보일러는?

  1. 특수 열매체 보일러
  2. 2중 증발 보일러
  3. 연관 보일러
  4. 관류 보일러
(정답률: 74%)
  • 강제순환 보일러는 드럼이 없이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로, 증기와 물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분리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방식을 관류 방식이라고 하며, 따라서 정답은 "관류 보일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자동제어의 신호전달 방식중 전달거리가 가장 긴 것은?

  1. 공기식
  2. 전기식
  3. 유압식
  4. 저항식
(정답률: 81%)
  • 전기식이 전달거리가 가장 긴 이유는 전기 신호가 공기나 유체와 같은 매질에 비해 전달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입니다. 또한 전기 신호는 저항에 영향을 받지 않아 전달 거리에 제약이 적습니다. 따라서 자동제어 시스템에서는 전기식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보일러 중 원통형 보일러가 아닌 것은?

  1. 입형 횡관식 보일러
  2. 벤슨 보일러
  3. 코르니쉬 보일러
  4. 스코치 보일러
(정답률: 61%)
  • 벤슨 보일러는 원통형 보일러가 아닙니다. 이는 벤슨 사의 창립자인 마르크스 벤슨이 개발한 수증기 발생기로, 원리는 수증기를 고온, 고압 상태로 유지하여 효율적인 발생을 도모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벤슨 보일러는 원통형이 아닌 수증기 발생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수관보일러에서 일반적으로 증발관 바로 다음에 배치되는 것은?

  1. 재열기
  2. 절탄기
  3. 공기 예열기
  4. 과열기
(정답률: 54%)
  • 수관보일러에서 증발관에서 나온 수증기를 더욱 가열하여 슈퍼히트 스팀으로 만들기 위해 과열기가 배치됩니다. 이는 보일러의 효율을 높이고,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보일러 부하가 너무 클 때 나타날 수 있는 현상에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고수위 운전이 되기 쉽다.
  2. 보일러 효율이 저하된다.
  3. 프라이밍을 일으키기 쉽다.
  4. 매연이 생기기 쉽다.
(정답률: 49%)
  • "고수위 운전이 되기 쉽다."가 잘못된 것입니다. 보일러 부하가 너무 클 경우 보일러의 열부하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보일러 내부의 온도와 압력이 상승합니다. 이는 고수위 운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수위 운전이 되기 어렵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물의 포화상태 및 증기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물을 일정 압력하에서 가열하여도 더 이상 온도가 상승하지 않는 상태를 포화상태라 한다.
  2. 물을 포화상태가 되었을때의 온도를 포화온도,그때의 압력을 포화압력이라 한다.
  3. 수분을 포함하지 않는 증기를 건조포화증기라 하고,건조포화증기의 건조도는 0이다.
  4. 습포화증기는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증기이며,습포화 증기를 송기하면 여러 가지 장애가 발생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수분을 포함하지 않는 증기를 건조포화증기라 하고, 건조포화증기의 건조도는 0이다." 이다. 이는 틀린 설명이다. 건조포화증기는 수분을 포함하지 않는 증기를 말하며, 건조도는 1이다. 건조도가 1이라는 것은 해당 증기가 최대한 건조한 상태라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보일러의 열손실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1. 배기가스 손실
  2. 노벽 방열 손실
  3. 미연분에 의한 손실
  4. 무화공기에 의한 손실
(정답률: 91%)
  •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연소 과정에서 생성되는 배기가스는 매우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보일러 내부에서 생성된 열을 대부분 소모하게 됩니다. 따라서 배기가스 손실은 보일러의 열손실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보일러 스테이 종류 중 강판으로 되어 있는 것은?

  1. 가셋트 스테이
  2. 바 스테이
  3. 튜브 스테이
  4. 볼트 스테이
(정답률: 66%)
  • 가셋트 스테이는 강판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가셋트 스테이가 파이프나 튜브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강한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강판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바이패스 회로를 설치하지 않는 것은?

  1. 급수량계
  2. 전자밸브
  3. 감압밸브
  4. 급유량계
(정답률: 50%)
  • 바이패스 회로는 일반적으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전자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기 때문에 바이패스 회로를 설치하지 않아도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자밸브는 바이패스 회로를 설치하지 않아도 충분히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증기트랩 중 온도의 변화에 따른 물질의 신축작용을 이용 한 것은?

  1. 벨로즈형
  2. 버킷형
  3. 오리피스형
  4. 플로트형
(정답률: 63%)
  • 증기트랩 중 온도의 변화에 따른 물질의 신축작용을 이용한 것은 벨로즈형입니다. 벨로즈형 증기트랩은 온도가 높아지면 물질이 팽창하고, 낮아지면 수축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이러한 신축작용은 증기트랩 내부의 밸브를 열고 닫는 역할을 하며, 증기 시스템에서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압력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을 압력이라고 한다.
  2. 표준대기압은 수은주 760mm의 압력이다.
  3. 절대압력은 계기압에서 대기압을 뺀 압력이다.
  4. 1Kg/m2의 압력은 수두압으로 약 1mmAq이다.
(정답률: 58%)
  • 잘못된 것은 "절대압력은 계기압에서 대기압을 뺀 압력이다."입니다.

    실제로는 절대압력은 대기압을 포함한 압력을 의미하며, 계기압은 대기압을 기준으로 측정된 압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절대압력을 계기압에서 대기압을 뺀 값으로 계산하려면, 계기압에 대기압을 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보일러 급수장치의 설명 중 옳은 것은?

  1. 인젝터는 급수온도가 낮을때는 사용하지 못한다.
  2. 볼류트 펌프는 증기 압력으로 구동됨으로써 별도의 동력이 필요 없다.
  3. 응축수 탱크는 급수탱크로 사용하지 못한다.
  4. 급수내관은 안전저수위보다 약간 낮은곳에 설치 한다.
(정답률: 61%)
  • 보일러 급수장치는 보일러 내부의 물을 보충하기 위한 장치로, 급수탱크, 볼류트 펌프, 인젝터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 급수내관은 안전저수위보다 약간 낮은 곳에 설치하는 것이 옳다. 이는 급수탱크에서 물이 공급될 때, 물의 무게로 인해 급수내관에 약간의 압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전저수위보다 낮은 곳에 설치하여, 급수탱크에서 물이 공급될 때 급수내관에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보일러 연도에 설치하는 댐퍼의 설치 목적과 관계 없는 것은?

  1. 매연 및 그을음의 차단
  2. 통풀력의 차단
  3. 연소가스 흐름의 차단
  4. 주연도와 부연도가 있을때 가스 흐름 교체
(정답률: 59%)
  • 보일러 연도에 설치하는 댐퍼는 연소가스의 흐름을 제어하고 조절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통풀력의 차단", "연소가스 흐름의 차단", "주연도와 부연도가 있을 때 가스 흐름 교체"는 모두 댐퍼의 설치 목적과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에 "매연 및 그을음의 차단"은 댐퍼의 설치 목적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매연 및 그을음은 보일러 연소 시 발생하는 부산물로, 댐퍼는 이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연소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매연 및 그을음의 차단"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연소가 이루어지기 위한 필수요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가연물
  2. 수소
  3. 점화원
  4. 산소
(정답률: 82%)
  • 연소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연물, 산소, 그리고 점화원이 필요합니다. 가연물은 연소가 가능한 물질을 말하며, 산소는 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의미합니다. 점화원은 연소를 시작시키는 역할을 하며, 불꽃, 전기 스파크 등이 해당됩니다. 하지만 수소는 연소에 필요한 가연물 중 하나이지만, 연소가 이루어지기 위한 필수요건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보일러 통풍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연통풍--굴뚝의 압력차를 이용
  2. 강제통풍--송풍기를 이용
  3. 압입통풍--굴뚝밑에 흡출 송풍기를 사용
  4. 평행통풍--압입 및 흡출 송풍기를 겸용
(정답률: 66%)
  • 압입통풍은 굴뚝밑에 흡출 송풍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압입 송풍기를 사용하여 실내 공기를 밖으로 밀어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압입통풍--굴뚝밑에 흡출 송풍기를 사용"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기름예열기의 예열 방식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1. 증기식
  2. 전기식
  3. 온수식
  4. 가스식
(정답률: 54%)
  • 전기식 기름예열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예열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고 안전하며 사용이 편리하기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또한 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연료가 필요하지 않아서 경제적이며, 예열 시간이 짧아서 빠르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효율이 82%인 보일러로 발열량 9,800Kcal/kg의 연료를 15Kg연소시키는 경우의 손실 열량은?

  1. 80,360kcal
  2. 32,500kcal
  3. 26,460kcal
  4. 120,540kcal
(정답률: 40%)
  • 보일러의 효율이 82%이므로, 연료의 발열량 중 18%는 손실 열로 발생합니다. 따라서, 연료 1kg당 손실되는 열량은 9,800Kcal/kg x 0.18 = 1,764Kcal/kg 입니다.

    15Kg의 연료를 연소시키므로, 총 손실 열량은 1,764Kcal/kg x 15Kg = 26,460Kcal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6,460kcal"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보일러 매연 발생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기비를 1.0 이하로 하여 연소시킬 때
  2. 연료 중에 회분이 과다하게 포함되었을 때
  3. 연소실의 온도가 현저하게 낮을 때
  4. 프리퍼지가 부족할 때
(정답률: 35%)
  • 보일러에서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공기가 필요합니다. 이때, 공기와 연료의 비율을 프리퍼지라는 장치를 통해 조절합니다. 만약 프리퍼지가 부족하면 공기와 연료의 비율이 맞지 않아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고, 이로 인해 매연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프리퍼지가 부족할 때가 가장 매연 발생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자동제어 신호정달 방법 중 공기식의 장점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위험성이 없다.
  2. 배관이 용이하다.
  3. 신호전달 지연이 없다.
  4. 보존이 비교적 용이하다.
(정답률: 68%)
  • 공기식의 장점 중 "신호전달 지연이 없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공기식은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에 신호가 전달되는데 일정한 시간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신호전달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온도 25℃인 급수를 받아서 압력 15kg/㎠의 증기를 1시간당 20,000kg발생하는 경우,상당 증발량은? (단,발생증기 엔탈피는 725kcal/kg이다.)

  1. 3,246kg/h
  2. 6,493kg/h
  3. 12,987kg/h
  4. 25,974kg/h
(정답률: 50%)
  • 상당 증발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시간당 발생하는 증기의 열량 = 20,000kg × 725kcal/kg = 14,500,000kcal/h

    급수의 열량 = 1시간당 급수의 무게 × 1kg당 열량 (1kcal/kg℃) × 온도 상승량

    = 1시간당 급수의 무게 × (25℃ - 0℃) × 1kcal/kg

    = 1시간당 급수의 무게 × 25,000kcal/h

    증발에 필요한 열량 = 1시간당 발생하는 증기의 열량 - 급수의 열량

    = 14,500,000kcal/h - 1시간당 급수의 무게 × 25,000kcal/h

    증발량 = 증발에 필요한 열량 ÷ 발생증기의 엔탈피

    = (14,500,000kcal/h - 1시간당 급수의 무게 × 25,000kcal/h) ÷ 725kcal/kg

    이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증발량 = 20,000kg - (급수의 무게 × 1.72)

    여기서 증발량과 발생량이 같아지는 경우를 찾으면 됩니다.

    즉, 20,000kg - (급수의 무게 × 1.72) = 급수의 무게 × 1시간당 급수의 무게

    이를 정리하면,

    급수의 무게 = 20,000kg ÷ (1.72 + 1시간당 급수의 무게)

    여기에 보기 중에서 25,974kg/h를 대입해보면,

    급수의 무게 = 20,000kg ÷ (1.72 + 25,974kg/h) ≈ 768.8kg/h

    따라서, 증발량은 20,000kg - (768.8kg/h × 1.72) ≈ 25,974kg/h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상 변화 없이 물체의 온도 변화에만 소요되는 열량은?

  1. 고체열
  2. 현열
  3. 액체열
  4. 잠열
(정답률: 85%)
  • 물체의 온도 변화에만 소요되는 열량은 상 변화가 없기 때문에, 물질의 상태가 변하지 않고 분자의 운동에 의한 열만 전달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열을 현열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현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보일러 화염 유무를 검출하는 스텍 스위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격이 싸다.
  2. 구조가 간단하다.
  3. 버너 용량이 큰 곳에 사용된다.
  4. 바이메탈의 신축작용으로 화염 유무를 검출한다.
(정답률: 67%)
  • 스텍 스위치는 보일러 화염 유무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며, 바이메탈의 신축작용으로 화염의 유무를 감지합니다. 이 스위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버너 용량이 큰 곳에서 사용되는 이유는 화염이 강하고 크기가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더 강력한 스위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스텍 스위치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그림은 인젝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C부의 명칭은?(문제 오류로 그림파일이 없습니다. 정답은 3번입니다. 정확한 그림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관리자 메일로 보내주시명 등록하도록 하겠습니다.)

  1. 증기노즐
  2. 혼합노즐
  3. 분출노즐
  4. 고압노즐
(정답률: 85%)
  • 인젝터는 연료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엔진실린더 내부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때 분사된 연료는 분출노즐을 통해 실린더 내부로 분출된다. 따라서 C부는 분출노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보일러의 전열면적이 클 때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위 시간당 증발량이 많아진다.
  2. 보일러의 용량이 커진다.
  3. 보일러의 효율이 커진다.
  4. 증기발생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정답률: 16%)
  • 보일러의 전열면적이 클수록 보일러의 용량이 커지므로, 증기발생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단위 시간당 증발량이 많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보일러의 효율이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보일러 수위 검출장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플로트식
  2. 전극식
  3. 자석식
  4. 마찰식
(정답률: 53%)
  • 보일러 수위 검출장치는 보일러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이 중에서 마찰식은 보일러 수위를 감지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마찰식은 일반적으로 물이나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데 사용되며, 수위가 변화함에 따라 마찰력이 변화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합니다. 하지만 보일러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마찰식은 보일러 수위 검출장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보일러 절탄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절탄기 외부에는 저온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2. 정탄기는 주철제와 강철제기 있다.
  3. 보일러 열효율을 증대시킬수 있다.
  4. 연소가스 흐름이 원활하여 통풍력이 증대된다.
(정답률: 55%)
  • "연소가스 흐름이 원활하여 통풍력이 증대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보일러 절탄기는 연소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고, 이 가열된 공기가 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연소를 원활하게 합니다. 따라서 연소가스 흐름이 원활하여 통풍력이 증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절대온도 380K를 섭씨온도로 환산하면?

  1. 107℃
  2. 635℃
  3. 84℃
  4. 626℃
(정답률: 76%)
  • 절대온도 380K에서 섭씨온도로 환산하려면 273을 빼준 후 1.8을 곱하고 32를 더해야 합니다. 따라서,

    380K - 273 = 107℃

    위와 같이 계산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방열기 주변에 주로 설치하는 신축이음 방식은

  1. 벨로즈형
  2. 스위블형
  3. 슬리브형
  4. 루프형
(정답률: 43%)
  • 방열기 주변에 설치하는 신축이음 방식 중 스위블형은 파이프의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파이프의 연결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며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파이프의 진동이나 변위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안정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보일러용 급수1ℓ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산화 칼슘이 0.02g포함되어 있다. 이급수의 독일경도는?

  1. 0.2
  2. 1.2
  3. 2
  4. 12
(정답률: 48%)
  • 산화 칼슘이 보일러용 급수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급수는 경도가 높아집니다. 즉, 독일경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독일경도가 가장 높은 값인 "12"는 너무 높은 값이므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즉기헤더 기능과 설치 목적 설명중 틀린 것은?

  1.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를 증기 사용처에 바로 보내면 증기 과열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헤더를 설치한다.
  2. 발생된 증기 중의 응축수와 불순물을 헤더에서 제거하기도도 한다.
  3. 헤더에서 증기 공급을 통제 조정함으로써 발생 증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다.
  4. 문제 오류로 보기를 복원하지 못하였습니다.
(정답률: 30%)
  •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를 증기 사용처에 바로 보내면 증기 과열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헤더를 설치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증기 과열도가 낮아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증기의 압력과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헤더를 설치합니다. 헤더는 증기를 분배하고, 사용처에서 발생한 증기를 모아서 보일러로 되돌려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보일러 버너를 착화할 때 착화 지연시간이 길면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

  1. 연소가 불안정해진다.
  2. 불이 꺼진다.
  3. 연소가스 폭발이 생긴다.
  4. 보일러 운전이 정지된다.
(정답률: 44%)
  • 보일러 버너를 착화할 때 착화 지연시간이 길면 연소가 불안정해져서 연소가스와 공기가 제대로 혼합되지 않아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연소가스가 축적되면서 폭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소가스 폭발이 생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보일러 내부의 기계적 총소시에 사용되는 공구가 아닌 것은?

  1. 크레셔
  2. 와이어 브러시
  3. 스크레이퍼
  4. 스케일 헤머
(정답률: 50%)
  • 크레셔는 보일러 내부의 기계적 총소시에 사용되는 공구가 아닙니다. 크레셔는 금속 가공에 사용되는 공구로, 보일러 내부의 기계적 총소시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나머지 세 가지 공구는 보일러 내부의 스케일 제거를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보일러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점화전 연료가스를 노내에 충분히 공급하여 착하를 원활하게 한다.
  2. 수면계의 수위는 정확한가 자주 확인한다.
  3. 가동 중지 후에도 노내 잔류가스를 배출한다.
  4. 가동 중 연소상태,화염유무 등을 수시로 확인한다.
(정답률: 42%)
  • "점화전 연료가스를 노내에 충분히 공급하여 착화를 원활하게 한다."는 올바른 보일러 안전사항입니다. 이는 보일러가 안전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연료가 충분히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충분한 연료 공급이 없으면 착화가 원활하지 않아 화재나 폭발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대류난방과 복사난방을 비교할 때 복사난방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1. 환기에 의한 손실열량이 비교적 크다.
  2. 실내공기 온도 분포가 일정하므로 쾌감도가 좋다.
  3. 천정이나 벽을 가열면으로 할 경우 시공상 어려움이 많다.
  4. 별도의 방열기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공간 이용도가 높다.
(정답률: 50%)
  • "환기에 의한 손실열량이 비교적 크다."가 잘못된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는 복사난방 방식에서는 공기가 아닌 복사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실내공기의 움직임이 적어 환기에 의한 열 손실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안전밸브 크기를 호칭지름 25A이상으로 해야하는 강철제증기보일러는?

  1. 최고 사용압력이 0.08MPa인 보일러
  2. 최고 사용압력 0.4MPa, 동체의 내경 400mm, 동체의 길이 800mm인 보일러
  3. 최고 사용압력 0.6MPa, 전열면적 5㎡인 보일러
  4. 최대 증발량 4t/h인 관류 보일러
(정답률: 50%)
  • 안전밸브는 보일러 내부의 과압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보일러의 최대 사용압력과 전열면적 등에 따라 호칭지름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최고 사용압력이 0.6MPa이고 전열면적이 5㎡인 보일러는 안전밸브 크기를 호칭지름 25A 이상으로 해야합니다. 다른 보일러들은 최대 사용압력이 낮거나, 동체의 크기 등이 다르기 때문에 호칭지름이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보일러 발생 증기의 송기시 기수공발이나 수격작용 발생 방지를 위한 조치로 잘못된 것은?

  1. 주증기기관이나 증기헤더,과열기 등의 응축수를 제거한다.
  2. 주증기 스톱밸브를 서서히 열어 증기로 주증기관을 예열한다.
  3. 송기후 압력계,수면계의 지시상태를 확인하고,응축수 밸브를 닫는다.
  4. 정상 송기가 시작되면 응축수가 배출되게 트랩의 바이패스 밸브를 계속 개방하여 둔다.
(정답률: 78%)
  • "정상 송기가 시작되면 응축수가 배출되게 트랩의 바이패스 밸브를 계속 개방하여 둔다."는 잘못된 조치입니다. 이유는 바이패스 밸브를 계속 개방하면 응축수가 배출되지 않고 보일러 내부에 머무르게 되어 보일러 내부의 부식과 부패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이패스 밸브는 정상적인 운전 상황에서는 닫혀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보일러의 외처리 방법 중 용존가스의 제거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여과법
  2. 기폭법
  3. 응집법
  4. 침강법
(정답률: 66%)
  • 기폭법은 용존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가열된 물을 고압으로 유입하여 가스를 기폭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용존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보일러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일러의 외처리 방법 중 용존가스의 제거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기폭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보일러 설치검사 기준상 보일러 안전밸브 작동 시험시, 안전밸브가 2개 이상인 경우 그 중 1개는 최고사용압력 이하,기타는 최고사용압력의 몇 배 이하에서 분출되어야 하는가?

  1. 0.95배
  2. 1.01배
  3. 1.06배
  4. 1.03배
(정답률: 70%)
  • 안전밸브는 보일러 내부의 압력이 너무 높아지면 분출하여 안전을 유지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안전밸브가 작동하는 압력은 최고사용압력 이하이거나 그 몇 배 이하여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안전밸브 중 최소한 1개는 최고사용압력 이하에서 분출되어야 합니다. 이는 보일러 내부의 압력이 최고사용압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나머지 안전밸브들은 최고사용압력의 몇 배 이하에서 분출되어야 합니다. 이는 보일러 내부의 압력이 최고사용압력을 초과할 경우, 안전밸브들이 분출하여 압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3배"입니다. 이는 안전밸브 중 최소한 1개는 최고사용압력 이하에서 분출되어야 하므로, 나머지 안전밸브들은 최고사용압력의 1.03배 이하에서 분출되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강철제 증기보일러에 압력계를 부착하는 경우 증기 온도가 몇 도 이상이면 압력계로 가는 증기관을 황동관 또는 동관으로 해서는 안되는가?

  1. 373K
  2. 423K
  3. 453K
  4. 483K
(정답률: 38%)
  • 강철과 황동 또는 동의 열팽창 계수가 다르기 때문에 증기 온도가 일정 이상이 되면 황동관 또는 동관이 변형되어 압력계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이 온도는 약 210℃(483K) 정도이며, 따라서 압력계로 가는 증기관은 강철관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보일러 건식 보존법에서 건조제로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생석회
  2. 염화나트륨
  3. 실리카겔
  4. 염화칼슘
(정답률: 54%)
  • 염화나트륨은 보일러 건식 보존법에서 건조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염화나트륨이 습기를 흡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일러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건조제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 생석회, 실리카겔, 염화칼슘은 모두 습기를 흡수하여 보일러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데 적합한 건조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어떤 주철제 방열기 내의 증기의 평균온도가 110℃이고, 실내 온도가 18℃일때, 방열기의 방열량은? (단, 방열기의 방열계수는 7.2㎉/㎡.h .℃이다.)

  1. 230.4㎉/㎡.h
  2. 470.8㎉/㎡.h
  3. 520.6㎉/㎡.h
  4. 662.4㎉/㎡.h
(정답률: 54%)
  • 방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방열량 = 방열계수 × 면적 × 온도차 × 시간

    여기서 면적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생략하고, 온도차는 110℃ - 18℃ = 92℃이고, 시간은 1시간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방열량 = 7.2㎉/㎡.h .℃ × 92℃ × 1시간
    = 662.4㎉/㎡.h

    따라서 정답은 "662.4㎉/㎡.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보일러 스케일 생성의 방지대책으로 잘못된 것은?

  1. 급수 중의 염류, 불순물을 되도록 제거한다.
  2. 보일러 동 내부에 페인트를 두껍게 바른다.
  3. 보일러 수의 농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히 분출시킨다.
  4. 보일러 수에 약품을 넣어서 스케일 성분이 고착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86%)
  • 보일러 동 내부에 페인트를 두껍게 바른다는 것은 잘못된 방지대책입니다. 이는 오히려 보일러 내부의 열전달을 방해하고, 보일러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팽창으로 인해 페인트가 벗겨지거나 균열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일러 스케일 생성 방지를 위해서는 보일러 수의 농축을 방지하고, 약품을 사용하여 스케일 성분이 고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급수 중의 염류, 불순물을 되도록 제거하여 보일러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보일러 점화 작전에 행해야 할 조치와 가장 무관한 것은?

  1. 수면계 및 수위 점검
  2. 압력계 및 콕 핸들 점검
  3. 보일러 수의 PH 적정 여부 점검
  4. 보일러 연도 내 미연소가스 유무 점검
(정답률: 57%)
  • 보일러 점화 작전과는 관련이 없는 것은 "보일러 수의 PH 적정 여부 점검"입니다. 보일러 점화 작전은 보일러를 가동시키기 위한 작업으로, 수면계 및 수위 점검, 압력계 및 콕 핸들 점검, 보일러 연도 내 미연소가스 유무 점검 등과 같은 보일러의 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보일러 수의 PH 적정 여부 점검은 보일러 내부의 화학적인 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으로, 보일러 점화 작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보일러 산세정 후 사용되는 중화방청 약품이 아닌 것은?

  1. 탄산칼슘
  2. 하드라진
  3. 암모니아
  4. 인산소다
(정답률: 24%)
  • 보일러 산세정 후 사용되는 중화방청 약품은 산성인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화시키기 위해서는 염기성인 성분이 필요합니다. 탄산칼슘은 염기성이 아닌 중성인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화방청 약품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탄산칼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보일러 급수의 가장 적합한 PH 상태는?

  1. 약알카리성
  2. 강알카리성
  3. 약산성
  4. 강산성
(정답률: 72%)
  • 보일러 급수는 물이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산성을 띠고 있습니다. 그러나 보일러 내부에서는 금속 부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급수의 PH를 조절하여 약알카리성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금속 부식을 방지하고 보일러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보일러 내처리제에서 가성취화 방지에 사용되는 약제가 아닌 것은?

  1. 인산나트륨
  2. 질산나트륨
  3. 탄닌
  4. 암모니아
(정답률: 61%)
  • 암모니아는 보일러 내부에서 사용되는 내처리제 중 가성취화 방지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암모니아가 보일러 내부에서 부식을 일으키고, 부식된 부분이 노출되어 가성취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암모니아는 내처리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가연성 가스 배관 계통에서 가스 누설 점검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누설 가능 부위에 라이터를 켜서 쉽게 점검한다.
  2. 비눗물을 묻혀 누설 여부를 점검한다.
  3. 가스누설 탐지기로 가연성가스 농도를 점검한다.
  4. 배관에 불연성가스를 일정압 이상 채워 압력기록계로 누설을 점검한다.
(정답률: 84%)
  • "누설 가능 부위에 라이터를 켜서 쉽게 점검한다."는 틀린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가스 누설이 있을 경우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올바른 방법은 가스누설 탐지기로 가연성가스 농도를 점검하거나, 비눗물을 묻혀 누설 여부를 점검하거나, 불연성가스를 일정압 이상 채워 압력기록계로 누설을 점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보일러 외부부식인 고온부식의 방지법으로 옳은 것은?

  1. 연료 중의 황(S) 성분을 제거한다.
  2. 전열면의 온도를 설계온도 이상으로 유지시킨다.
  3. 첨가제를 사용하여 회분의 융점을 낮춘다.
  4. 연소가스 온도를 회분의 융점 이하로 유지시킨다.
(정답률: 26%)
  • 고온부식은 연소가스가 보일러의 전열면에 직접적으로 부딪혀서 발생하는 부식으로, 연소가스의 온도를 낮추면 전열면에 부딪히는 열도 감소하여 고온부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소가스 온도를 회분의 융점 이하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화염검출기 기는 불량과 대책을 연결한 것으로 잘못된 것은?

  1. 집광렌즈 오염 - 분리 후 청소
  2. 증폭기 노후 - 교체
  3. 동력선의 영향 - 검출회로와 동력선 분리
  4. 점화전극의 고전압이 프레임 로드에 흐를 때 - 전극 과 불꽃 사이를 넓게 분리
(정답률: 79%)
  • 화염검출기에서 점화전극의 고전압이 프레임 로드에 흐를 때 전극과 불꽃 사이를 넓게 분리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이는 오히려 화염검출기의 작동을 방해하게 됩니다. 점화전극의 고전압이 프레임 로드에 흐를 때는 전극과 불꽃 사이를 좁게 분리해야 올바른 작동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보일러 설치검사 기준상의 검사 종류가 아닌 것은?

  1. 계속사용검사
  2. 정기검사
  3. 개조검사
  4. 설치검사
(정답률: 35%)
  • 정기검사는 이미 설치된 보일러의 안전성과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주기적인 검사이지만, 나머지 검사들은 보일러의 설치와 관련된 검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정기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가스 연소용 보일러의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

  1. 압력스위치
  2. 화염검출기
  3. 이젝터
  4. 안전 차단밸트
(정답률: 69%)
  • 압력스위치, 화염검출기, 안전 차단밸트는 모두 가스 연소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감지하고 보일러를 안전하게 작동시키기 위한 안전장치입니다. 하지만 이젝터는 보일러의 연소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안전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보일러 가동시 급격한 연소에 의한 장해와 가장 관계 없는 것은?

  1. 전열면의 부동팽창
  2. 내화물의 스폴링
  3. 수격작용 발생
  4. 그루빙이나 균열 초래
(정답률: 41%)
  • 보일러 가동시 급격한 연소에 의한 장해와 가장 관계 없는 것은 "수격작용 발생"입니다. 이는 보일러 내부에서 연소가 일어날 때 발생하는 폭발적인 충격파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이며, 다른 보기들은 보일러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과 압력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강철제 보일러의 설치ㆍ 시공기준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보일러 외벽 온도는 주위 온도보다 50K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2. 배기가스 온도의 측정위치는 보이러 전열면의 최종출구로 한다.
  3. 저수위안전장치는 연료차단 전에 경보가 울려야 한다.
  4. 보일러는 정격부하 상태에서 이상진동과 이상소음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53%)
  • "보일러 외벽 온도는 주위 온도보다 50K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이유는 보일러 외벽 온도는 주위 온도보다 높아야 보일러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일러 외벽 온도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방열기의 입구에 설치하여 증기나 온수의 유량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밸브는?

  1. 볼 밸브
  2. 게이트 밸브
  3. 방열기 밸브
  4. 콕 밸브
(정답률: 47%)
  • 방열기 밸브는 방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밸브로, 방열기의 입구에 설치되어 증기나 온수의 유량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열기 밸브가 정답입니다. 볼 밸브, 게이트 밸브, 콕 밸브는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방열기를 조절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에너지사용량이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량 이상이 되는 에너지사용자는 에너지사용량 등을 매년 언제까지 신고 해야 하는가?

  1. 1월 31일까지
  2. 2월 말일까지
  3. 3월 31일까지
  4. 12월 31일까지
(정답률: 52%)
  • 에너지 사용량 등을 매년 신고하는 기간은 전년도 사용량 등을 기준으로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입니다. 따라서, 에너지 사용량이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량 이상인 경우, 해당 사용자는 매년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 신고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에너지 수급안정을 위한 비상조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에너지의 비축과 저장
  2. 에너지 사용기자재의 사용제한 또는 금지
  3. 에너지의 배급
  4. 에너지 판매시설의 확충
(정답률: 74%)
  • 에너지 판매시설의 확충은 에너지 수급안정을 위한 비상조치가 아닙니다. 이는 에너지 수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장기적인 대책으로서, 에너지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에너지 판매시설을 늘리는 것입니다. 따라서 비상상황에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조치가 아니며, 긴급한 상황에서는 유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특정열사용기자재 중 검사대상기기에 해당되는 것은?

  1. 온수를 발생시키는 대기 개방형 강철제 보일러
  2. 최고사용압력이 0.2 MPa 인 주철제 보일러
  3. 축열식 전기보일러
  4. 가스 사용량이 15Kg/h인 소형온수보일러
(정답률: 38%)
  • 검사대상기기는 최고사용압력이 0.2 MPa 이하인 기기이므로, "최고사용압력이 0.2 MPa 인 주철제 보일러"가 해당된다. 다른 보기들은 최고사용압력이 0.2 MPa를 초과하거나, 보일러가 아닌 다른 기기들이기 때문에 검사대상기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산업자원부장관이 에너지관리공단이사장에게 위탁한 권한은?

  1. 에너지절약 전문기업의 등록
  2. 에너지사용 신고의 접수
  3. 시공업 등록이 말소 요청
  4. 효율관리기자재의 지정
(정답률: 55%)
  • 산업자원부장관이 에너지관리공단이사장에게 위탁한 권한은 "에너지절약 전문기업의 등록" 입니다. 이는 에너지절약 전문기업들이 등록되어 관리됨으로써, 에너지절약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을 선별하고, 이를 통해 국가의 에너지 절약 정책을 추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효율관리기자재에 에너지 소비효율 등을 표시해야 하는자로 옳은 것은?

  1. 제조업자 및 시공업자
  2. 수입업자 및 제조업자
  3. 시공업자 및 판매업자
  4. 수입업자 및 시공업자
(정답률: 53%)
  • 효율관리기자재에는 에너지 소비효율 등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는 제조업자나 수입업자가 담당하게 되는데, 제조업자는 제품을 만들 때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고려하여 제품을 만들기 때문에 효율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수입업자는 해외에서 제품을 수입할 때 해당 제품의 효율성 정보를 확인하고 수입하기 때문에 효율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입업자 및 제조업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검사대상기기 조종자를 선임하지 아니 한 자에 대한 벌칙은?

  1.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5백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
(정답률: 80%)
  • 검사대상기기는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기이므로, 이를 조종하는 자는 안전에 대한 책임이 큽니다. 따라서 검사대상기기를 조종하는 자를 선임하지 않은 경우,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 벌칙이 부과됩니다. 그리고 이 벌칙의 세부 내용은 법률에서 "1천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