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4-02)

에너지관리기능사
(2006-04-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여러 개의 섹션(section)을 조합하여 용량을 가감할 수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청소, 수리가 곤란한 보일러는?

  1. 연관보일러
  2. 스코치보일러
  3. 관류보일러
  4. 주철제보일러
(정답률: 71%)
  • 주철제보일러는 여러 개의 섹션을 조합하지 않고 하나의 주철제로 이루어져 있어 구조가 단순하며 청소, 수리가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비교적 저압에서 고온의 증기를 얻을 수 있는 보일러는?

  1. 벤슨 보일러
  2. 주철제 보일러
  3. 다우섬 보일러
  4. 레플러 보일러
(정답률: 44%)
  • 다우섬 보일러는 상대적으로 저압에서 고온의 증기를 얻을 수 있는 보일러입니다. 이는 다우섬 보일러가 내부에 있는 수증기에서 물과 증기가 혼합되어 증기를 생성하는 벤슨 보일러와는 달리, 수증기와 증기가 분리되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다우섬 보일러는 더 높은 온도와 압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더욱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발생 증기량이 소비량에 비해 남아돌 때, 그 증기에너지를 일시 저장했다가 재사용하는 장치는?

  1. 증기 축열기
  2. 재열기
  3. 절탄기
  4. 과열기
(정답률: 75%)
  • 증기 축열기는 발생 증기량이 소비량에 비해 남아돌 때, 그 증기에너지를 일시 저장하여 재사용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발생한 증기를 축적하여 나중에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에 반해, 재열기는 열을 추가로 공급하여 증기를 재생산하는 장치이고, 절탄기는 증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 과열기는 증기를 과열시켜 열 효율을 높이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도시가스의 연소 형태는?

  1. 확산연소
  2. 표면연소
  3. 분해연소
  4. 증발연소
(정답률: 81%)
  • 도시가스는 가스 상태로 공급되며, 연소 시에는 공기와 혼합되어 확산연소가 일어납니다. 이는 도시가스가 공기와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 시에도 균일하게 연소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확산연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보일러 연소실내 연소온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발열량이 높은 연료를 사용한다.
  2. 연료를 완전 연소시킨다.
  3. 비중과 점도가 높은 연료를 사용한다.
  4. 연료 및 연소용 공기를 예열한다.
(정답률: 71%)
  • 비중과 점도가 높은 연료를 사용하면 연소실 내에서 연료 입자가 더욱 잘 분산되어 연소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소온도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인젝터의 기능 저하를 가져올 수 있는 경우는?

  1. 보일러 수위가 저수위일 때
  2. 급수온도가 높을 때
  3. 급수처리를 하였을 때
  4. 사용증기가 너무 건조할 때
(정답률: 40%)
  • 인젝터는 물을 고속으로 흡입하여 증기와 혼합하여 압력을 이용하여 물을 보일러로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인젝터의 기능 저하를 가져올 수 있는 경우는 물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거나 증기와 물의 혼합 비율이 적절하지 않을 때입니다. 이 중에서도 급수온도가 높을 때는 인젝터 내부의 부품들이 과열되어 기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젝터를 사용할 때는 적절한 급수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보일러 열정산 시의 기준온도는 원칙적으로 어떤 온도로 하는가?

  1. 상온
  2. 실내온도
  3. 외기온도
  4. 측정온도
(정답률: 52%)
  • 보일러 열정산 시의 기준온도는 외기온도로 설정합니다. 이는 보일러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하고, 이를 실내로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외기온도는 보일러의 가동 상황과 실내 온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보일러 열정산 시에는 외기온도를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은 연료의 구비조건을 열거한 것이다. 아닌 것은?

  1. 단위 중량 또는 체적당 발열량이 클 것
  2. 매연의 발생량이 적을 것.
  3. 양이 풍부하고 가격이 저렴할 것.
  4. 수소를 많이 함유할 것.
(정답률: 72%)
  • "수소를 많이 함유할 것"이 아닌 것은 "양이 풍부하고 가격이 저렴할 것"입니다. 수소는 현재 생산과 저장이 어렵기 때문에 비용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수소를 많이 함유한 연료는 비용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고체 연료와 비교하여 액체연료 사용 시의 장점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인화의 위험성이 없으며, 역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2. 그을음이 적게 발생하고, 연소효율이 높다.
  3. 품질이 비교적 균일하며, 발열량이 크다.
  4. 저장, 취급이 용이하고, 수송도 편리하다.
(정답률: 69%)
  • 액체연료는 고체 연료와 달리 직접적인 불꽃이나 열에 의해 인화되는 위험이 적습니다. 또한, 액체 상태에서는 증기가 발생하여 역화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인화의 위험성이 없으며, 역화가 발생하지 않는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유류용 온수보일러에서 버너가 정지하고 리셋버튼(reset button)이 돌출하는 경우는?

  1. 오일배관 내의 공기가 빠지지 않고 있다.
  2. 연소용 공기량이 부적당하다.
  3. 연통의 길이가 너무 길다.
  4. 실내온도조절기의 설정온도가 실내 온도보다 낮다.
(정답률: 60%)
  • 오일배관 내의 공기가 빠지지 않고 있다는 이유는 연료가 공급되지 않아 버너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공기가 배관 내에서 막혀있으면 연료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버너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오일배관 내의 공기가 빠지도록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증기보일러의 용량표시방법으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전열면적(㎡)
  2. 상당증발량(ton/h)
  3. 보일러마력
  4. 매시발열량(kcal/h)
(정답률: 62%)
  • 증기보일러의 용량은 보통 상당증발량(ton/h)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보일러가 1시간 동안 생산할 수 있는 증기의 양을 톤 단위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 방법은 보일러의 성능을 쉽게 비교할 수 있고, 증기를 사용하는 공정에서 필요한 증기의 양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보일러의 전열면적이나 보일러마력은 보일러의 크기와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상당증발량은 보일러가 실제로 생산하는 증기의 양을 나타내기 때문에 더욱 실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보일러의 자동연소제어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증기압력 제어
  2. 온수온도 제어
  3. 노내압 제어
  4. 위치 제어
(정답률: 68%)
  • 위치 제어는 보일러의 연소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제어 방법입니다. 다른 세 가지 제어 방법은 보일러의 연소와 관련된 제어 방법으로, 증기압력 제어는 보일러 내부의 증기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 온수온도 제어는 보일러 내부의 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 노내압 제어는 보일러 내부의 연소 공기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자동제어에서 온-오프(on-off) 동작에 해당되는 것은?

  1. 제어량이 목표 값에서 어떤 양 만큼 벗어나면 밸브를 개폐한다.
  2. 비교부의 출력이 조작량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3. 편차량의 시간 적분에 비례한 속도로 조작량을 변화 시킨다.
  4. 어떤 출력이 편차의 시간 변화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정답률: 63%)
  • 제어량이 목표 값에서 벗어나면 밸브를 개폐하는 것은 온-오프 동작이다. 이는 제어량이 목표 값과 일치할 때는 밸브가 닫혀 있고, 제어량이 목표 값에서 벗어나면 밸브가 열리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량과 밸브 개폐와의 관계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온-오프 동작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보일러 급수 중의 불순물이나 침전물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하는 밸브는?

  1. 급수역지밸브
  2. 분출밸브
  3. 안전밸브
  4. 증기밸브
(정답률: 88%)
  • 보일러 급수 중에 불순물이나 침전물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분출밸브를 설치합니다. 분출밸브는 급수라인에서 불순물이나 침전물 등이 발생하면 이를 외부로 배출하여 보일러 내부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출밸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포집하고자 하는 먼지의 입자가 비교적 크고 경제성과 집진성능을 고려할 때 유리한 집진장치는?

  1. 백필터
  2. 사이클론
  3. 전기집진장치
  4. 벤튜리스크러버
(정답률: 37%)
  • 사이클론은 중력과 원심력을 이용하여 먼지를 분리하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이는 입자가 크고 무거운 먼지에 효과적이며, 필터 교체나 전기적인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입니다. 또한, 집진성능이 높아서 공기 중의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제성과 집진성능을 고려할 때 사이클론이 유리한 집진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열전달 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대류
  2. 복사
  3. 발산
  4. 전도
(정답률: 81%)
  • 발산은 열전달 방식이 아니라, 열의 원천이 되는 형태의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발산은 열전달 방식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보일러의 상당증발량이 1,000kg/h, 급수온도가 20℃, 발생증기의 엔탈피가 659kcal/kg일 때 실제증발량은?

  1. 844kg/h
  2. 1,000kg/h
  3. 539kg/h
  4. 980kg/h
(정답률: 46%)
  • 보일러의 상당증발량은 1,000kg/h이지만, 이는 모든 물이 증발하는 것을 가정한 값입니다. 실제로는 일부 물이 보일러를 떠나기 전에 증발하지 않고 배출되기 때문에 실제증발량은 더 적습니다. 따라서, 실제증발량은 1,000kg/h보다는 작아집니다.

    실제증발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보일러의 효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보일러의 효율은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의 엔탈피와 보일러에 공급된 물의 엔탈피의 차이로 계산됩니다.

    즉, 실제증발량 = 상당증발량 x (발생증기의 엔탈피 - 급수물의 엔탈피) / 발생증기의 엔탈피 입니다.

    여기서, 급수물의 엔탈피는 20℃에서의 물의 엔탈피로 가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증발량 = 1,000kg/h x (659 - 20) / 659 = 844kg/h

    따라서, 정답은 "844kg/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증기의 발생이 활발해지면 증기와 함께 물방울이 같이 비산하여 증기관으로 취출되는 데 이 때 증기만을 송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속장치는?

  1. 워터 실링
  2. 비수방지관
  3. 베이퍼록 방지관
  4. 슬라이드 밸브
(정답률: 74%)
  • 증기와 함께 물방울이 증기관으로 취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속장치는 비수방지관입니다. 이는 증기와 물이 함께 흐르는 상황에서도 물이 증기관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어떤 보일러의 증발량이 20ton/h이고, 보일러 본체의 전열면적이 458㎡일 대, 이 보일러의 전열면 증발률은?

  1. 9.2kg/㎡·h
  2. 43.7kg/㎡·h
  3. 22.9kg/㎡·h
  4. 45.8kg/㎡·h
(정답률: 57%)
  • 전열면적당 증발량은 20/458 = 0.0437 ton/㎡·h 이므로, 이를 kg/㎡·h 단위로 변환하면 43.7kg/㎡·h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현열과 잠열 및 비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0℃의 물을 증기로 만들기 위해서는 현열과 잠열이 필요하다.
  2. 현열은 물질의 상변화에만 관여하는 열이다.
  3. 100℃의 물을 증기로 만들기 위하여 가열한 열량을 잠열이라 한다.
  4. 수소는 기체물질 중 비열이 제일 크다.
(정답률: 60%)
  • "현열은 물질의 상변화에만 관여하는 열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현열은 물질의 상변화에 관여하는 열뿐만 아니라, 같은 상태에서 온도가 변할 때도 발생하는 열입니다. 예를 들어, 물을 가열하여 온도를 올리는 과정에서도 현열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다음 연료 1kmol을 완전 연소시킬 때 연소공기 소요량이 가장 많은 것은?

  1. 부탄(C4H10)
  2. 프로판(C3H8)
  3. 에탄(C2H6)
  4. 메탄(CH4)
(정답률: 50%)
  • 부탄(C4H10)은 탄소와 수소 원자의 수가 가장 많기 때문에 연소할 때 더 많은 산소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연소공기 소요량이 가장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저위 발열량 기준 보일러 효율(η)을 옳게 나타낸 식은? (단, 상당증발량 : Ge, 연료소비량 : Gf, 연료의 저위발열량 : Hℓ)

  1. η = (539×Hℓ) / (Ge×Gf)
  2. η = (539×Ge) / (Gf×Hℓ)
  3. η = Gf×Ge×Hℓ / 539
  4. η = Ge / (Gf×Hℓ)
(정답률: 38%)
  • 보일러의 효율은 발생한 열량(상당증발량)과 사용한 연료의 열량(연료소비량×연료의 저위발열량)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옳은 식은 "η = (539×Ge) / (Gf×Hℓ)" 입니다. 이는 상당증발량을 539로 나눈 값과 연료소비량과 연료의 저위발열량을 곱한 값을 나눈 값으로, 발생한 열량과 사용한 연료의 열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효율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비열이 0.6kcal/kg·℃인 어떤 연료 30kg을 15℃에서 35℃까지 예열하고자 할 대 필요할 열량은?

  1. 180kcal
  2. 360kcal
  3. 450kcal
  4. 600kcal
(정답률: 74%)
  • 필요한 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열량 = 연료의 질량 × 비열 × 온도 변화량
    = 30kg × 0.6kcal/kg·℃ × (35℃ - 15℃)
    = 30kg × 0.6kcal/kg·℃ × 20℃
    = 360kcal

    따라서, 정답은 "360kca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일정 압력하에서 단위 중량당 엔탈피 값이 가장 큰 것은?

  1. 건포화증기
  2. 습포화증기
  3. 포화수
  4. 비등수
(정답률: 46%)
  • 일정 압력하에서 단위 중량당 엔탈피 값이 가장 큰 것은 건포화증기입니다. 이는 건포화증기가 다른 상태들보다 분자 간 거리가 가장 멀어서 분자 운동에 필요한 엔탈피가 가장 크기 때문입니다. 습포화증기는 건포화증기보다 분자 간 거리가 더 가깝기 때문에 엔탈피 값이 작습니다. 포화수와 비등수는 액체 상태이므로 분자 간 거리가 가장 가깝기 때문에 엔탈피 값이 더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틀린 내용은 어느 것인가?

  1. 배기가스로 급수를 예열하는 장치를 절탄기라 한다.
  2. 배기가스의 열로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는 것을 공기예열기라 한다.
  3. 고압증기 터빈에서 팽창되어 압력이 저하된 증기를 가열하는 것을 과열기라 한다.
  4. 오일프리히터는 기름을 예열하여 점도를 낮추고, 연소를 원활히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정답률: 63%)
  • "고압증기 터빈에서 팽창되어 압력이 저하된 증기를 가열하는 것을 과열기라 한다."이 부분이 틀린 내용입니다. 고압증기 터빈에서 팽창되어 압력이 저하된 증기를 가열하는 것은 역압식 터빈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며, 과열기는 증기를 더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고압보일러의 기수분리기 형식이 아닌 것은?

  1. 장애판을 조립한 것.
  2. 재과열판을 이용한 것.
  3. 원심분리를 이용한 것.
  4. 파도형의 다수 강판을 합쳐서 조립한 것.
(정답률: 34%)
  • 고압보일러에서 기수분리기는 증기와 물을 분리하여 증기의 순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장애판, 원심분리, 파도형 다수 강판은 모두 기수분리기의 형식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재과열판은 기수분리기가 아니라, 증기를 과열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재과열판은 기수분리기 형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보일러 가동 후 증기 발생속도가 제일 빠른 보일러는?

  1. 노통연관 보일러
  2. 연관 보일러
  3. 노통보일러
  4. 수관식 보일러
(정답률: 48%)
  • 수관식 보일러는 수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고, 상단에서 증기를 배출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방식은 물과 증기의 구분이 명확하고, 물과 증기의 혼합이 적어 증기 발생속도가 빠릅니다. 따라서 보일러 가동 후 증기 발생속도가 제일 빠른 보일러는 수관식 보일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고압보일러가 압력용기로 취급되는데 압력 발생의 주원인은?

  1. 수두가 높기 때문이다.
  2. 액체가 기체로 변하기 때문이다.
  3. 많은 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4. 열에 의한 화학변화가 격렬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정답률: 51%)
  • 고압보일러는 액체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기계로, 압력 발생의 주원인은 액체가 기체로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증기의 부피가 확대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액체가 기체로 변하기 때문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보일러 설치·시공기준상 가스용 보일러의 연료배관 관경이 25㎜인 경우 몇 m마다 고정은 몇 m마다 고정, 부착하여야 하는가?

  1. 3m
  2. 2m
  3. 1.5m
  4. 1m
(정답률: 61%)
  • 가스용 보일러의 연료배관 관경이 25㎜인 경우, 고정 및 부착 간격은 2m로 해야 합니다. 이는 가스용 보일러의 연료배관 관경이 25㎜일 때, 연료의 유속이 0.3m/s 이하가 되도록 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따라서, 2m 간격으로 고정 및 부착하여 연료의 유속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보일러 수면계를 시험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1. 프라이밍, 포밍을 일으킬 때
  2. 2개의 수면계 수위가 서로 상이할 때
  3. 수면계 수위가 의심스러울 때
  4. 수위의 움직임이 예민할 때
(정답률: 64%)
  • 보일러 수면계는 보일러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수위의 움직임이 예민할 때는 수면계가 정확한 측정을 하지 못하고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시험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보일러 수면계를 시험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연도 내에서 가스폭발을 일으키는 경우는?

  1. 프리퍼지를 과도하게 한 경우
  2. 미연소가스가 충만 되어 있을 때 점화한 경우
  3. 발열량이 높은 연료를 사용한 경우
  4. 통풍력이 너무 강한 경우
(정답률: 73%)
  • 가스폭발은 가스와 공기가 적절한 비율로 섞여 있을 때 발생합니다. 따라서 가스가 충분히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폭발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미연소가스가 충만하게 존재하는 상황에서 점화가 일어나면 가스와 공기가 적절한 비율로 섞여 폭발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미연소가스가 충만 되어 있을 때 점화한 경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관말 증기트랩장치에서 냉각관(cooling leg)의 길이는 최소한 몇 m 이상으로 해 주어야 하는가?

  1. 0.7m
  2. 1.2m
  3. 1.5m
  4. 2m
(정답률: 55%)
  • 냉각관(cooling leg)의 길이는 증기가 응축되어 물로 변할 때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증기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냉각관의 길이가 짧으면 증기가 충분히 냉각되지 않아 증기트랩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냉각관의 길이를 설정해야 합니다.

    보기 중에서 가장 적절한 답은 "1.5m"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증기트랩 설계 시 권장되는 최소 냉각관 길이이며, 이 길이 이상으로 냉각관을 설치하면 더욱 효과적인 증기 냉각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냉각관의 길이는 최소한 1.5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보일러 산세관 후 사용되는 중화방청제가 아닌 것은?

  1. 탄산소다
  2. 히드라진
  3. 가성소다
  4. 아황산
(정답률: 46%)
  • 보일러 산세관은 물에 함유된 불순물로 인해 부식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중화방청제를 사용합니다. 탄산소다, 히드라진, 가성소다는 모두 알칼리성을 띄고 있어 산성 불순물을 중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아황산은 산성 불순물을 중화시키는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산성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보일러 산세관에서 사용되는 중화방청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난방방법을 분류할 때 중앙식 난방 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개별 난방법
  2. 직접 난방법
  3. 간접 난방법
  4. 복사 난방법
(정답률: 66%)
  • 중앙식 난방 방식은 건물 전체를 한 곳에서 난방하는 방식이지만, 개별 난방법은 각각의 공간을 개별적으로 난방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개별 난방법은 중앙식 난방 방식과는 구분되는 별도의 난방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보일러 건조 보존 시 보일러 내에 넣어두는 물질로 부적합한 것은?

  1. 생석회
  2. 실리카겔
  3. 알카리분
  4. 기화성 방청제
(정답률: 37%)
  • 알카리분은 보일러 내부에서 부식을 일으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보일러 건조 보존 시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알카리분은 부적합한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보일러 분출장치로서 연속분출장치에 해당되는 것은?

  1. 수면분출장치
  2. 수저분출장치
  3. 수중분출장치
  4. 압력분출장치
(정답률: 44%)
  • 수면분출장치는 보일러 내부의 수면에서 연속적으로 물을 분출시키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연속분출장치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보일러실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하여 취급자가 가장 빈번히 점검해야 할 사항은?

  1. 보일러 재료의 결함 점검
  2. 급수설비 및 안전저수위 점검
  3. 급유장치의 여과계통 점검
  4. 절탄기, 과열기 등의 점검
(정답률: 69%)
  • 보일러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입니다. 따라서 취급자가 가장 빈번히 점검해야 할 사항은 급수설비 및 안전저수위 점검입니다. 이는 보일러가 안전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급수저수지의 수위가 적정한지 확인하여 보일러가 폭발하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방열기 출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에테르 등의 휘발성 액체를 넣은 벨로즈를 부착하고, 열에 의한 이 벨로즈의 팽창, 수축작용 등을 이용하여 밸브를 개폐시키는 트랩은?

  1. 박스 트랩
  2. 벨트랩
  3. 다량트랩
  4. 열동식 트랩
(정답률: 73%)
  • 이 트랩은 방열기 출구에 설치되며, 열에 의해 벨로즈가 팽창하거나 수축하여 밸브를 개폐시키는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열동식 트랩"이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동관의 용접 접합방법으로 브레이징이라고도 하는 동관연결법은?

  1. 플레어접합
  2. 경납접합
  3. 연납접합
  4. 타이톤 접합
(정답률: 28%)
  • 동관의 용접 접합방법 중 브레이징은 경납접합이라고도 불립니다. 이는 두 개의 동관을 연결할 때, 경화된 납을 사용하여 접합하는 방법입니다. 경납은 용융점이 낮아서 납땜보다는 강도가 높은 연결이 가능하며, 또한 납의 특성상 부식에 강해서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동관의 연결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경납접합이 동관의 용접 접합방법 중 브레이징이라고 불리는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보일러의 파열사고 중 구조상의 결함에 의한 파열사고가 아닌 것은?

  1. 취급불량
  2. 설계불량
  3. 재료불량
  4. 공작불량
(정답률: 65%)
  • 정답은 "취급불량"입니다. 보일러는 설계, 재료, 공작 등의 제조과정에서 결함이 발생할 수 있지만, 취급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은 아닙니다. 취급불량은 보일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부적절한 사용, 유지보수, 수리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결함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보일러 동(胴)저부에 진흙 모양의 침전물이 퇴적해 있다면 이것은 어떤 성분인가?

  1. 염류분
  2. 산분
  3. 알카리분
  4. 유지분
(정답률: 35%)
  • 보일러 동저부에 진흙 모양의 침전물이 퇴적해 있다면 이것은 염류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보일러 물에 포함된 물질 중에서 가장 많은 성분이기 때문입니다. 염류분은 물에 용해되어 있던 무기질 성분들이 농축되어 침전된 것으로, 보일러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과 함께 증발하여 침전물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보일러 동저부에 진흙 모양의 침전물이 퇴적해 있다면 염류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보일러 유리수면계의 유리관이 파손되는 원인과 가장 무관한 것은?

  1. 유리관의 온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경우
  2. 유리관 내부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경우
  3. 상·하 콕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4. 상·하 콕의 너트를 지나치게 조이는 경우
(정답률: 39%)
  • 보일러 유리수면계의 유리관이 파손되는 원인은 보통 유리관의 내부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경우가 아니라, 유리관의 온도가 급격히 변화하거나 상·하 콕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거나 너트를 지나치게 조이는 경우입니다. 스케일이 부착되는 경우는 유리관의 파손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보일러 설치·시공 기준상 유류를 사용하는 보일러로서 용량이 몇 t/h 이상이면 공급연료량에 따라 연소용 공기를 자동 조절하는 기능이 있어야 하는가? (단, 난방 및 급탕 겸용 보일러인 경우임)

  1. 1t/h
  2. 3t/h
  3. 5t/h
  4. 10t/h
(정답률: 26%)
  • 보일러의 용량이 증가할수록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도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용량이 5t/h 이상인 보일러는 공급연료량에 따라 연소용 공기를 자동 조절하는 기능이 있어야 합니다. 이는 연소 효율을 높이고, 공해물질 배출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t/h"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수질(水質)에서 탄산칼슘 경도 1ppm 이란 물 1ℓ속에 탄산칼슘(CaCO3)이 얼마 포함된 경우인가?

  1. 1mg
  2. 10mg
  3. 100mg
  4. 1g
(정답률: 45%)
  • 경도 1ppm은 1ℓ의 물에 1mg의 CaCO3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수질의 경도를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로, 물에 포함된 이온의 양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ℓ의 물에 1mg의 CaCO3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정답은 "1m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주철제 증기보일러의 최고사용압력이 0.4MPa인 경우 수압시험압력은?

  1. 0.16MPa
  2. 0.2MPa
  3. 0.8MPa
  4. 1.2MPa
(정답률: 80%)
  • 수압시험압력은 최고사용압력의 2배여야 합니다. 따라서 0.4MPa x 2 = 0.8MPa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보일러 급수의 pH성질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강알카리성
  2. 강산성
  3. 약알카리성
  4. 중성
(정답률: 60%)
  • 보일러 급수는 물이 증발하면서 물질 농도가 높아지는 과정에서 부식과 스케일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일러 급수의 pH는 부식과 스케일링을 예방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약알카리성은 pH가 7.5 ~ 8.5 사이인 성질을 말합니다. 이는 물질의 부식을 예방하면서도 스케일링을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pH 범위입니다. 따라서 보일러 급수의 pH는 약알카리성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보일러 외부의 저온부식의 방지법에 해당하는 것은?

  1. 연료 중의 황분을 제거한다.
  2. 저온의 전열면에 침식재료를 사용한다.
  3. 배기가스의 온도를 노점 이하로 유지한다.
  4. 과잉공기량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60%)
  • 보일러에서 연소되는 연료 중에는 황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황분은 연소 과정에서 황산으로 변화하여 보일러 내부와 외부에 부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연료 중의 황분을 제거함으로써 보일러 외부의 저온부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보일러 수처리 방법 중 보일러 내처리에 해당되는 것은?

  1. 이온 교환법
  2. 침강법
  3. 진공탈기법
  4. 청관제 투입법
(정답률: 56%)
  • 보일러 내부에서 발생하는 스케일, 부식물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청관제 투입법은 보일러 내부에 청관제를 투입하여 불순물을 용해시키고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보일러 내부에 직접 투입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보일러 내처리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원통형 보일러의 점화 전 준비사항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수면계의 수위를 확인한다.
  2. 댐퍼를 열고 미연소가스를 취출한다.
  3. 주증기 밸브를 개방한다.
  4. 연료계통 및 급수계통을 점검한다.
(정답률: 62%)
  • 주증기 밸브를 개방하는 것은 보일러 내부에 적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보일러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야만 연소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점화 전에 주증기 밸브를 개방하여 압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보일러 운전이 끝난 후 노내와 연도에 있는 가연성 가스를 송풍기로 분출하는 것은?

  1. 프리퍼지
  2. 포스트 퍼지
  3. 프라이밍
  4. 프리 머지
(정답률: 66%)
  • 보일러 운전이 끝난 후 노내와 연도에 있는 가연성 가스를 송풍기로 분출하는 것은 "포스트 퍼지"입니다. 이는 보일러 내부에서 연소가 종료되면서 생기는 가스가 보일러 내부에 남아있게 되는데, 이 가스가 폭발하거나 화재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송풍기로 밀어내는 것입니다. "프리퍼지"는 연소기가 가동되기 전에 가스를 제거하는 것을 말하며, "프라이밍"은 연소기에 연료와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를 시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프리 머지"는 연소기에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를 미리 혼합시켜 불꽃을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증기보일러에는 원칙적으로 2개 이상의 유리수면계를 설치해야 하는데, 수면계 중 1개를 다른 종류의 수면측정장치로 할 수 있는 경우는?

  1. 최고사용압력 1MPa(10kg/㎠)이하로서 동체의 안지름이 750㎜ 미만인 경우
  2. 최고사용압력 1MPa(10kg/㎠)이하로서 동체의 안지름이 1,000㎜ 미만인 경우
  3. 최고사용압력 0.5MPa(5kg/㎠)이하로서 동체의 안지름이 1,000㎜ 미만인 경우
  4. 최고사용압력 1.5MPa(15kg/㎠)이하로서 동체의 안지름이 750㎜ 미만인 경우
(정답률: 38%)
  • 증기보일러에서는 안전을 위해 최소 2개 이상의 수면계면계를 설치해야 합니다. 그러나 동체의 안지름과 최고사용압력에 따라 수면측정장치로 대체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최고사용압력 1MPa(10kg/㎠)이하로서 동체의 안지름이 750㎜ 미만인 경우"는 안전성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수면측정장치로 대체할 수 있는 경우입니다. 이유는 이 범위 내에서는 증기보일러의 안전성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보일러 급수 중의 불순물 중 연질스케일을 형성하는 성분은?

  1. 황산염
  2. 탄산염
  3. 규산염
  4. 염화칼슘
(정답률: 31%)
  • 보일러 급수 중의 불순물 중 연질스케일을 형성하는 성분은 탄산염입니다. 이는 보일러 급수가 물과 함께 이온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탄산염은 이온 중 하나로, 물과 반응하여 칼슘 탄산염과 같은 연질 스케일을 형성합니다. 이는 보일러 내부에 쌓이면서 열전달 효율을 저하시키고, 보일러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보일러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탄산염 제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열매체 보일러의 배기가스온도와 출구 열매온도와의 차이는 보일러 설치시공 기준상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1. 300°K(℃)
  2. 250°K(℃)
  3. 210°K(℃)
  4. 150°K(℃)
(정답률: 30%)
  • 열매체 보일러의 배기가스온도와 출구 열매온도와의 차이는 보일러의 효율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차이가 작을수록 보일러의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보일러 설치시공 기준상 이 차이는 150℃ 이하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0°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보일러 운전 중 수격작용이 발생하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증기관이 과열되었을 때
  2. 주증기 밸브를 급히 열었을 때
  3. 증기관 속에 응축수가 고여 있을 때
  4. 다량의 증기를 갑자기 송기할 때
(정답률: 69%)
  • 보일러 운전 중 수격작용이 발생하는 경우는 다량의 증기를 갑자기 송기할 때입니다. 이는 증기의 갑작스러운 유입으로 인해 보일러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이에 따라 증기관이 과열되어 파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보일러 운전 시에는 적절한 안전장치를 사용하고, 증기의 유입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2종 압력용기를 시공할 수 있는 난방시공업종은?

  1. 제1종
  2. 제2종
  3. 제3종
  4. 제4종
(정답률: 34%)
  • 2종 압력용기는 고압 가스나 액체를 저장하거나 운반하는 용기로, 안전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를 시공할 수 있는 업종은 안전성과 관련된 기술과 경험이 요구됩니다. 이에 따라 2종 압력용기를 시공할 수 있는 업종은 제1종 난방시공업종으로 한정됩니다. 제1종 난방시공업종은 고압 가스 및 액체를 다루는 시설물의 설치, 유지보수, 수리 등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업종으로, 안전성과 기술력이 높은 업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검사대상기기 조종자를 해임하거나 조종자가 퇴직하는 경우에는 언제 다른 조종자를 선임해야 하는가?

  1. 해임 또는 퇴직 이전에
  2. 해임 또는 퇴직 후 5일 이내
  3. 해임 또는 퇴직 후 7일 이내
  4. 해임 또는 퇴직 후 10일 이내
(정답률: 54%)
  • 검사대상기기의 조종자는 해당 기기를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는 자격과 능력을 갖춘 사람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조종자가 해임되거나 퇴직하는 경우, 해당 기기를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는 다른 조종자를 선임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를 해임 또는 퇴직 이전에 선임해야 하는 이유는, 기존 조종자가 해당 기기를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새로운 조종자를 선임하기 전에는 기존 조종자가 검사대상기기를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검사대상기기에 해당되는 열사용 가지재는?

  1. 최고사용압력이 0.08MPa이고, 전열면적이 4㎡인 강철제 보일러
  2. 흡수식 냉온수기
  3. 가스사용량이 20kg/h인 가스사용 소형온수보일러
  4. 정격용량이 0.4MW인 철금속가열로
(정답률: 30%)
  • 검사대상기기는 가스사용량이 20kg/h인 가스사용 소형온수보일러에 해당됩니다. 이는 검사대상기기의 기준 중 하나인 가스사용량이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기기들은 가스사용량이나 열사용량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검사대상기기가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검사대상기기의 검사의 종류 중 유효기간이 없는 것은?

  1. 구조검사
  2. 계속사용검사
  3. 설치장소변경검사
  4. 설치검사
(정답률: 38%)
  • 구조검사는 기기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인하는 검사로, 유효기간이 없습니다. 다른 검사들은 일정 기간마다 반드시 실시해야 하지만, 구조검사는 한 번 실시하면 유효기간이 없기 때문에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산업자원부 장관이 수립해야 하는 것은?

  1. 지역에너지 계획
  2. 에너지이용합리화 실시계획
  3. 에너지기술개발계획
  4. 수요관리투지계획
(정답률: 25%)
  • 산업자원부 장관이 수립해야 하는 것은 "에너지기술개발계획"입니다. 이는 에너지 분야에서 기술 개발과 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국내 에너지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에너지 절약 및 친환경 에너지 개발 등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입니다. 따라서 에너지 분야에서 기술 개발과 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산업자원부 장관이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검사대상기기조종자를 선임하지 아니하였을 경우에 부과되는 벌칙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2.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3. 500만 원 이하의 벌금
  4.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52%)
  • 검사대상기기조종자를 선임하지 아니하였을 경우에 부과되는 벌칙은 항공법 제116조에 따라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입니다. 이는 항공안전을 위해 검사대상기기조종자를 선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