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5-08)

전기기사
(2016-05-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자기학

1. 자기 모멘트 9.8×10-5[Wb ㆍ m]의 막대자석을 지구자계의 수평성분 10.5[AT/m]인 곳에서 지자기 자오면으로부터 90°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일은 약 몇 [J]인가?

  1. 1.03 × 10-3
  2. 1.03 × 10-5
  3. 9.03 × 10-3
  4. 9.03 × 10-5
(정답률: 74%)
  • 일하는 힘은 자기 모멘트와 지자기 자오면 사이의 각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일하는 힘은 다음과 같다.

    F = M * B * sinθ

    여기서 M은 자기 모멘트, B는 지구자계의 수평성분, θ는 90°이다. 따라서,

    F = M * B = 9.8×10^-5 [Wb ㆍ m] * 10.5 [AT/m] = 1.03 × 10^-3 [J]

    따라서, 정답은 "1.03 × 1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두 종류의 유전율 을 가진 유전체 경계면에 진전하가 존재하지 않을 때 성립하는 경계조건을 옳게 나타낸 것은? (단, θ12는 각각 유전체 경계면의 법선 벡터와 E1,E2가 이루는 각이다.)

(정답률: 83%)
  • 올바른 경계조건은 ""이다. 이유는 두 유전율을 가진 유전체 경계면에서 전기장의 연속성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경계면을 통과하는 전기장의 수직 성분은 연속이어야 하므로, 두 유전율을 가진 유전체 경계면에서 전기장의 수직 성분인 En이 연속이어야 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E1n = E2n가 되고, 이는 ""으로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무한히 넓은 두 장의 평면판 도체를 간격 d[m]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각각의 평면판에 면전하 밀도 로 분포되어 있는 경우 전기력선은 면에 수직으로 나와 평행하게 발산한다. 이 평면판 내부의 전계의 세기는 몇 [V/m]인가?

(정답률: 5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단면적 S[m2], 단위 길이당 권수가 n0인 무한히 긴 솔레노이드의 자기 인덕턴스[H/m]를 구하면?

(정답률: 84%)
  • 솔레노이드의 자기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 = μ0n02S l

    여기서 μ0은 자유공간의 유도율이고, l은 솔레노이드의 길이이다.

    문제에서 솔레노이드가 무한히 길다고 했으므로 l을 무한대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L은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L = μ0n02S ∞

    여기서 ∞는 무한대를 의미한다. 하지만 무한대는 수학적으로 정확한 값이 아니므로, 이를 다음과 같이 근사할 수 있다.

    L ≈ μ0n02S × 10

    즉, 솔레노이드의 자기 인덕턴스는 단면적과 단위 길이당 권수의 제곱에 비례하며, 길이가 무한대일 때는 10배한 값을 근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평행판 콘덴서에 어떤 유전체를 넣었을 때 전속밀도가 4.8×10-7[C/m2]이고 단위 체적당 정전 에너지가 5.3×10-3[J/m3]이었다. 이 유전체의 유전율은 몇 [F/m]인가?

  1. 1.15 × 10-11
  2. 2.17 × 10-11
  3. 3.19 × 10-11
  4. 4.21 × 10-11
(정답률: 73%)
  • 평행판 콘덴서의 전하밀도와 전기장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전하밀도 = 유전율 × 전기장

    따라서 유전율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유전율 = 전하밀도 ÷ 전기장

    전속밀도와 단위 체적당 정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장을 구할 수 있다.

    전기장 = 전속밀도 ÷ (2ε0)

    여기서 ε0은 자유공간의 유전율로 8.85×10-12[F/m]이다.

    따라서 유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전율 = 전하밀도 ÷ (전속밀도 ÷ (2ε0))

    유전율 = 4.8×10-7[C/m2] ÷ (4.8×10-7[C/m2] ÷ (2×8.85×10-12[F/m]))

    유전율 = 2.17 × 10-11[F/m]

    따라서 정답은 "2.17 × 10-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자유공간 중에 x=2, z=4인 무한장 직선상에 PL[C/m]인 균일한 선전하가 있다. 점(0, 0, 4)의 전계 E[V/m]는?

(정답률: 45%)
  • 점(0, 0, 4)에서의 전계 E는 선전하가 만들어내는 전위차에 비례한다. 따라서, 점(0, 0, 4)와 직선상의 어떤 점 P(x, y, z) 사이의 거리를 구하고, 이 거리에 선전하의 크기를 곱한 값이 전위차가 된다.

    점(0, 0, 4)와 직선상의 어떤 점 P(x, y, z)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 = sqrt((x-0)^2 + (y-0)^2 + (z-4)^2)
    = sqrt(x^2 + y^2 + (z-4)^2)

    따라서, 전위차 V는 다음과 같다.

    V = PL * d
    = PL * sqrt(x^2 + y^2 + (z-4)^2)

    이 식에서 x=2, z=4이므로,

    V = PL * sqrt(4 + y^2)

    이제 y=0인 경우와 y가 양수인 경우를 각각 고려해보자.

    y=0인 경우, V = PL * sqrt(4) = 2PL

    y가 양수인 경우, y가 커질수록 d는 커지므로 V도 커진다. 따라서, y=0일 때가 최소값이 된다. 따라서, 점(0, 0, 4)에서의 전계 E는 2PL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전자파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자파의 속도는 주파수와 무관하다.
  2. 전파 Ex를 고유 임피던스로 나누면 자파 Hy가 된다.
  3. 전파 Ex와 자파 Hy의 진동방향은 진행 방향에 수평인 종파이다.
  4. 매질이 도전성을 갖지 않으면 전파 Ex와 자파 Hy는 동위상이 된다.
(정답률: 76%)
  • "전파 Ex와 자파 Hy의 진동방향은 진행 방향에 수평인 종파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전자파는 진행 방향에 수직인 편광파이며, 전파 Ex와 자파 Hy의 진동방향은 서로 수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전위 V=3xy+z+4일 때 전계 E는?

  1. i3x + i3y + k
  2. -i3y + i3x + k
  3. i3x - j3y - k
  4. -i3y - j3x - k
(정답률: 68%)
  • 전위 V의 기울기는 3x, 3y, 1이므로 전계 E는 -∇V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E는 -i(∂V/∂x) - j(∂V/∂y) - k(∂V/∂z)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V/∂x는 3y이고, ∂V/∂y는 3x이다. ∂V/∂z는 상수항 4의 미분값이므로 0이다. 따라서 E는 -i(3y) - j(3x) - k(0) = -i3y - j3x - k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i3y - j3x - 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쌍극자 모멘트가 M[C ㆍ m]인 전기쌍극자에서 점 P의 전계는 에서 어떻게 되는가? (단,θ 는 전기 쌍극자의 중심에서 축 방향과 점 P를 잇는 선분의 사이각이다.)

  1. 0
  2. 최소
  3. 최대
  4. -∞
(정답률: 62%)
  • 답은 "최소"이다.

    전기 쌍극자에서 전계는 쌍극자의 중심에서 축 방향과 점 P를 잇는 선분의 사이각에 따라 달라진다. 이때, 전기 쌍극자의 모멘트가 M[C ㆍ m]이므로, 전기 쌍극자의 전기장은 M[C ㆍ m]/r^3이 된다. 여기서 r은 쌍극자의 중심에서 점 P까지의 거리이다.

    따라서, 전기장의 크기는 r이 작아질수록 커지게 된다. 즉, 점 P가 쌍극자에 가까워질수록 전기장의 크기는 최소가 된다. 따라서, 답은 "최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감자력이 0인 것은?

  1. 구 자성체
  2. 환상 철심
  3. 타원 자성체
  4. 굵고 짧은 막대 자성체
(정답률: 68%)
  • 감자력이란 자기장에 반응하는 물질의 성질을 나타내는 용어인데, "환상 철심"은 자기장에 전혀 반응하지 않는 물질이기 때문에 감자력이 0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이 반지름 10cm인 반원과 그 양단으로부터 직선으로 된 도선에 10A의 전류가 흐를 때, 중심 0에서의 자계의 세기와 방향은?

  1. 2.5 AT/m, 방향 ⊙
  2. 25 AT/m, 방향 ⊙
  3. 2.5 AT/m, 방향 ⊗
  4. 25 AT/m, 방향 ⊗
(정답률: 61%)
  • 자계의 세기는 아페르턴(Ampere) 단위로 표시되며, 아페르의 정의에 따르면 전류가 1A일 때 1m 떨어진 거리에서의 자계의 세기가 2π × 10^-7 T(테슬라)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전류가 10A이므로, 중심에서 10cm(0.1m) 떨어진 거리에서의 자계의 세기를 구하면 된다.

    반원의 길이는 πr이므로, 이 반원의 길이는 2π × 10 = 20π(cm)이다. 이 길이에 따라 전류의 자계가 결정된다. 도선에서의 자계는 직선 도선에서의 자계와 반원에서의 자계의 합이므로, 직선 도선에서의 자계는 2 × 0.1 × 10^-7 × 10 = 2 × 10^-7 T이다. 반원에서의 자계는 20π × 10^-7 × 10 = 2π × 10^-5 T이다. 따라서 중심에서의 자계의 세기는 2 × 10^-7 + 2π × 10^-5 = 25 × 10^-6 T = 25 AT/m이다.

    방향은 오른손 법칙에 따라 결정된다. 오른손을 쥐고 전류가 흐르는 도선을 잡으면, 엄지손가락이 전류의 방향을 가리키고, 나머지 손가락들이 자계의 방향을 가리킨다. 이 경우, 엄지손가락이 도선을 따라 오른쪽으로 가리키므로, 나머지 손가락들이 중심에서 자계의 방향을 가리키는 것은 ⊗이다. 따라서 정답은 "25 AT/m, 방향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W1과W2 의 에너지를 갖는 두 콘덴서를 병렬 연결한 경우의 총 에너지 W와의 관계로 옳은 것은? (단, W1 ≠ W2 이다.)

  1. W1 +W2 = W
  2. W1 + W2 > W
  3. W1 - W2 = W
  4. W1 + W2 < W
(정답률: 66%)
  • 두 콘덴서가 병렬 연결되면 전하는 두 콘덴서에 공평하게 분배되므로 각 콘덴서의 에너지는 병렬 연결하기 전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병렬 연결된 두 콘덴서의 총 에너지 W는 W1 + W2이다. 따라서, "W1 + W2 > 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한변이 L[m]되는 정사각형의 도선회로에 전류 I[A]가 흐르고 있을 때 회로 중심에서의 자속밀도는 몇 [Wb/m2]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답률: 75%)
  • 정답은 ""입니다.

    도선회로를 통과하는 자기장의 크기는 아래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B = μ₀I/2r

    여기서 μ₀는 자유공간의 유도율이고, I는 전류, r은 도선회로의 반지름입니다.

    정사각형의 도선회로의 반지름은 L/2이므로,

    B = μ₀I/L

    정사각형의 중심에서의 자속밀도는 도선회로의 자기장과 같으므로,

    B = μ₀I/L = 4π×10⁻⁷ × I/L = 1.26×10⁻⁶ × I/L

    따라서, 한변이 L[m]되는 정사각형의 도선회로에 전류 I[A]가 흐르고 있을 때 회로 중심에서의 자속밀도는 1.26×10⁻⁶ [Wb/m²]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과 같은 원통상 도선 한 가닥이 유전율 인 매질 내에 지상 h[m] 높이로 지면과 나란히 가선되어 있을 때 대지와 도선간의 단위 길이당 정전용량 [F/m]은?

(정답률: 5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환상 철심에 권선수 20인 A코일과 권선수 80인 B코일이 감겨 있을 때, A코일의 자기인덕턴스가 5mH라면 두 코일의 상호 인덕턴스는 몇 mH인가? (단, 누설자속은 없는 것으로 본다.)

  1. 20
  2. 1.25
  3. 0.8
  4. 0.05
(정답률: 70%)
  • 두 코일의 상호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 = k * sqrt(L1 * L2)

    여기서 k는 상수이고, L1과 L2는 각각 A코일과 B코일의 자기인덕턴스이다. k는 두 코일의 기하학적 배치와 관련된 값으로, 이 문제에서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1로 가정한다.

    따라서,

    M = sqrt(5mH * 80) = 20mH

    따라서 두 코일의 상호 인덕턴스는 20mH이다. 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자기 회로에서 키르히호프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임의의 결합점으로 유입하는 자속의 대수합은 0이다.
  2. 임의의 폐자로에서 자속과 기자력의 대수합은 0이다.
  3. 임의의 폐자로에서 자기저항과 기자력의 대수합은 0이다.
  4. 임의의 폐자로에서 각 부의 자기저항과 자속의 대수합은 0이다.
(정답률: 59%)
  • 자기 회로에서 키르히호프의 법칙은 "임의의 폐자로에서 자속과 기자력의 대수합은 0이다." 입니다. 이는 전기 회로에서 키르히호프의 법칙과 유사하게, 자기 회로에서도 전류의 분배와 전압의 합을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자기 회로에서 임의의 결합점으로 유입하는 자속의 대수합이 0이 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즉, 자기 회로에서는 자기력의 대수합이 항상 0이 되어야 전류와 전압이 올바르게 분배되고 회로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식 중에서 틀린 것은?

(정답률: 80%)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분자와 분모에 같은 값이 있어서 약분이 가능하므로, 식이 단순화되어 ""와 같아진다. 따라서 ""는 올바른 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표피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파수가 높을수록 침투 깊이가 얇아진다.
  2. 투자율이 크면 표피효과가 적게 나타난다.
  3. 표피 효과에 따른 표피 저항은 단면적에 비례한다.
  4. 도전율이 큰 도체에는 표피효과가 적게 나타난다.
(정답률: 77%)
  •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자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도체 내부로 침투하는 전자의 수가 감소하게 되어 침투 깊이가 얇아진다. 즉,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류는 표피 영역에서만 흐르게 되어 표피 효과가 더욱 강해진다. 따라서 "주파수가 높을수록 침투 깊이가 얇아진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패러데이 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관내의 전속수는 일정하다.
  2. 관의 밀도는 전속밀도와 같다.
  3. 진전하가 없는 점에서 불연속이다.
  4. 관 양단에 양(+), 음(-)의 단위전하가 있다.
(정답률: 74%)
  • "진전하가 없는 점에서 불연속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패러데이 관은 전기장이 변화하는 지점에서 불연속이며, 이는 전기장의 회전에 의해 전기장의 방향이 바뀌는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진전하가 없는 점에서 불연속이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압전 효과를 이용하지 않은 것은?

  1. 수정 발진기
  2. 마이크로 폰
  3. 초음파 발생기
  4. 자속계
(정답률: 62%)
  • 압전 효과는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면 일부 결정체의 전하 분포가 바뀌어 전기적인 신호를 만들어내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압전 효과를 이용한 것은 "수정 발진기", "마이크로 폰", "초음파 발생기"입니다. 반면에 "자속계"는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는 압전 효과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자속계"가 압전 효과를 이용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력공학

21. 3상 3선식 송전선로의 선간거리가 각각 50cm, 60cm, 70cm인 경우 기하학적 평균 선간거리는 약 몇 cm인가?

  1. 50.4
  2. 59.4
  3. 62.8
  4. 64.8
(정답률: 79%)
  • 기하학적 평균 선간거리는 각 선간거리의 곱을 선간거리의 개수만큼 제곱근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50cm, 60cm, 70cm의 곱은 21,000,000이 되고, 선간거리의 개수는 3개이므로 제곱근을 취한 값은 약 204.1247이 된다. 이를 3으로 나누면 약 68.0416이 되고, 이 값에 100을 곱한 후 반올림하면 약 68.04c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9.4"이 아니라 "68.04"이다. (단위: cm)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송전 계통에서 자동재폐로 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신뢰도 향상
  2. 공급 지장 시간의 단축
  3. 보호 계전 방식의 단순화
  4. 고장상의 고속도 차단, 고속도 재투입
(정답률: 71%)
  • 자동재폐로 방식은 고장상의 고속도 차단과 고속도 재투입, 신뢰도 향상, 공급 지장 시간의 단축 등의 장점이 있지만, 보호 계전 방식의 단순화는 해당 방식의 장점이 아닙니다. 자동재폐로 방식은 보호 계전 방식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인 보호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호 계전 방식의 단순화는 자동재폐로 방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수력 발전소에서 흡출관을 사용하는 목적은?

  1. 압력을 줄인다.
  2. 유효 낙차를 늘린다. .
  3. 속도 변동률을 작게 한다.
  4. 물의 유선을 일정하게 한다.
(정답률: 77%)
  • 수력 발전소에서 흡출관은 물을 빠르게 이동시켜 유효 낙차를 늘리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물의 속도를 높이고 압력을 줄여서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효 낙차를 늘린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초고압용 차단기에 개폐 저항기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1. 차단속도 증진
  2. 차단전류 감소
  3. 이상전압 억제
  4. 부하설비 증대
(정답률: 77%)
  • 초고압용 차단기에서 개폐 저항기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이상전압 억제입니다. 개폐 저항기는 차단기가 개폐될 때 발생하는 이상전압을 억제하여 전력설비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합니다. 이는 전력설비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송전단 전압이 66kV이고, 수전단 전압이 62kV로 송전 중이던 선로에서 부하가 급격히 감소하여 수전단 전압이 63.5kV가 되었다. 전압 강하율은 약 몇 %인가?

  1. 2.28
  2. 3.94
  3. 6.06
  4. 6.45
(정답률: 62%)
  • 전압 강하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압 강하율 = ((송전단 전압 - 수전단 전압) / 송전단 전압) × 100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전압 강하율 = ((66 - 63.5) / 66) × 100 = 3.79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3.94" 이다. 이 값이 정확한 이유는 문제에서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하여 표기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이상전압에 대한 방호장치가 아닌 것은?

  1. 피뢰기
  2. 가공지선
  3. 방전 코일
  4. 서지 흡수기
(정답률: 67%)
  • 이상전압은 전기 회로에 예기치 않은 고전압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에 대한 방호장치로는 피뢰기, 가공지선, 서지 흡수기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방전 코일은 이상전압에 대한 방호장치가 아닙니다. 방전 코일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무선 통신이나 전자기학 실험 등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상전압에 대한 방호장치로는 선택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154kV 송전선로의 전압을 345kV로 승압하고 같은 손실률로 송전한다고 가정하면 송전전력은 승압전의 약 몇 배 정도인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61%)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전압을 345kV로 승압하면 전력은 약 345/154 = 2.24배 증가합니다. 그러나 손실률이 같다는 가정하에, 승압전에서 손실이 발생하므로 실제로는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송전전력은 약 5배 정도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초고압 송전선로에 단도체 대신 복도체를 사용할 경우 틀린 것은?

  1. 전선의 작용 인덕턴스를 감소시킨다.
  2. 선로의 작용정전용량을 증가시킨다.
  3. 전선 표면의 전위 경도를 저감시킨다.
  4. 전선의 코로나 임계 전압을 저감시킨다.
(정답률: 75%)
  • 복도체는 전선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전선과 주변 공기 사이의 전위차를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전선의 코로나 임계 전압을 저감시킨다. 따라서 "전선의 코로나 임계 전압을 저감시킨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은 정수가 서로 같은 평행 2회선 송전선로의 4단자 정수 중 B에 해당되는 것은?

(정답률: 67%)
  • 먼저, A와 C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지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B와 D는 서로 같은 값을 가지지만, D는 평행 2회선이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송전 계통에서 1선 지락 시 유도 장해가 가장 적은 중성점 접지 방식은?

  1. 비접지 방식
  2. 저항접지 방식
  3. 직접접지 방식
  4. 소호 리액터접지 방식
(정답률: 71%)
  • 송전 계통에서 1선 지락이 발생하면 유도 장해가 발생하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중성점을 접지하는 방식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소호 리액터접지 방식은 리액터를 이용하여 중성점을 접지하는 방식으로, 접지 저항이 작아 유도 장해가 가장 적게 발생합니다. 따라서 송전 계통에서 1선 지락 시 유도 장해가 가장 적은 중성점 접지 방식은 소호 리액터접지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송전전압 154kV, 2회선 선로가 있다. 선로 길이가 240㎞이고 선로의 작용 정전용량이 0.02㎌/㎞라고 한다. 이것을 자기 여자를 일으키지 않고 충전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몇 MVA이상의 발전기를 이용하여야 하는가?(단, 주파수는 60㎐이다.)

  1. 78
  2. 86
  3. 89
  4. 95
(정답률: 54%)
  • 송전선로의 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 = 2 × 0.02 × 240 × 10^-9 = 9.6 × 10^-6 F

    여기서 주파수 f = 60 Hz 이므로, 용량 C에 대한 반응성 X는 다음과 같다.

    X = 1 / (2πfC) = 294.5 Ω

    따라서, 선로의 용량을 자기 여자를 일으키지 않고 충전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X/2의 임피던스를 가진 발전기가 필요하다. 여기서 X/2를 대입하면,

    Z = X/2 = 147.25 Ω

    이 된다. 이제, 선로의 전압이 154 kV 이므로, 전력 P는 다음과 같다.

    P = V^2 / Z = (154 × 10^3)^2 / 147.25 = 161.5 × 10^6 VA

    따라서, 최소한 161.5 MVA의 발전기가 필요하다.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86"이므로, 정답은 "8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방향성을 갖지 않는 계전기는?

  1. 전력 계전기
  2. 과전류 계전기
  3. 비율차동 계전기
  4. 선택 지락 계전기
(정답률: 50%)
  • 과전류 계전기는 전류가 정해진 값 이상으로 흐를 때 동작하는 계전기로, 방향성을 갖지 않습니다. 이는 전류의 크기만을 감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어느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든 상관없이 동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22.9kV-Y 3상 4선식 중성선 다중접지 계통의 특성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1선 지락 사고 시 1상 단락전류에 해당하는 큰 전류가 흐른다.
  2. 전원의 중성점과 주상 변압기의 1차 및 2차를 공통의 중성선으로 연결하여 접지한다.
  3. 각 상에 접속된 부하가 불평형일 때도 불완전 1선 지락 고장의 검출 감도가 상당히 예민하다.
  4. 고저압 혼촉사고 시에는 중성선에 막대한 전위 상승을 일으켜 수용가에 위험을 줄 우려가 있다.
(정답률: 46%)
  • 정답은 "고저압 혼촉사고 시에는 중성선에 막대한 전위 상승을 일으켜 수용가에 위험을 줄 우려가 있다."이다.

    각 상에 접속된 부하가 불평형일 때도 불완전 1선 지락 고장의 검출 감도가 상당히 예민한 이유는, 중성선이 다중접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다중접지 계통에서는 중성점이 지나치게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1선 지락 고장 검출 시에도 중성점의 상승을 감지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고저압 혼촉사고 시에는 중성점에 막대한 전위 상승이 발생할 수 있어, 수용가에 위험을 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보호장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선로 전압강하 보상기(LD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승압기로 저하된 전압을 보상하는 것
  2. 분로 리액터로 전압 상승을 억제하는 것
  3. 선로의 전압 강하를 고려하여 모선 전압을 조정하는 것
  4. 직렬 콘덴서로 선로의 리액턴스를 보상하는 것
(정답률: 63%)
  • 선로 전압강하 보상기(LDC)는 전력공급망에서 발생하는 선로의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모선 전압을 조정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전력공급망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로 인한 전력손실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로의 전압 강하를 고려하여 모선 전압을 조정하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송전선로의 현수 애자련 연면 섬락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댐퍼
  2. 철탑 접지 저항
  3. 현수 애자련의 개수
  4. 현수 애자련의 소손
(정답률: 78%)
  • 송전선로의 현수 애자련 연면 섬락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댐퍼"이다. 현수 애자련은 전기적인 에너지를 흡수하고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댐퍼는 송전선로의 진동을 감소시켜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현수 애자련과 댐퍼는 서로 다른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장 관계가 먼 것이다. 철탑 접지 저항과 현수 애자련의 개수, 소손은 모두 송전선로의 안전성과 관련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각 전력계통을 연계선으로 상호 연결하면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틀린 것은?

  1. 경계 급전이 용이하다.
  2. 주파수의 변화가 작아진다.
  3. 각 전력계통의 신뢰도가 증가한다.
  4. 배후전력(back power)이 크기 때문에 고장이 적으며 그 영향의 범위가 작아진다.
(정답률: 73%)
  • 배후전력이란, 전력을 공급하는 쪽에서 발생하는 전력으로, 연계선을 통해 다른 전력계통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연계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쪽에서는 배후전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고장이 발생해도 다른 전력계통으로 영향이 미치는 범위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연계선으로 전력계통을 연결하면 배후전력이 크기 때문에 고장이 적어지고, 그 영향의 범위가 작아지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유효낙차 100m, 최대 사용수량 20m3/s인 발전소의 최대 출력은 약 몇 kW인가? (단, 수차 및 발전기의 합성 효율은 85%라 한다.)

  1. 14160
  2. 16660
  3. 24990
  4. 33320
(정답률: 71%)
  • 유효낙차 100m에 대한 물의 운동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E = mgh

    여기서 m은 물의 질량, g는 중력 가속도, h는 유효낙차를 나타낸다. 물의 질량은 부피와 밀도를 곱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m = Vρ

    여기서 V는 부피, ρ는 밀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물의 운동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 = Vρgh

    물의 운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터빈의 효율을 ηt, 발전기의 효율을 ηg라고 하면, 전체 합성 효율은 다음과 같다.

    η = ηtηg

    따라서 발전소의 최대 출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 = ηVρgh

    여기서 V는 최대 사용수량이므로 20m3/s이다. 밀도는 물의 밀도인 1000kg/m3이다. 유효낙차는 100m이다. 합성 효율은 85%이므로 0.85로 계산한다.

    P = 0.85 × 20 × 1000 × 9.81 × 100

    P = 16668000

    따라서 발전소의 최대 출력은 약 16660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3상 3선식 송전선로에서 연가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작용 정전용량의 감소
  2. 각 상의 임피던스 평형
  3. 통신선의 유도장해 감소
  4. 직렬공진의 방지
(정답률: 62%)
  • 3상 3선식 송전선로에서 연가의 효과는 각 상의 임피던스 평형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전력의 균등 분배와 전압의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작용 정전용량의 감소"는 연가의 효과 중 하나입니다. 연가의 효과로 인해 각 상의 임피던스가 평형되므로 작용 정전용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전력 손실을 줄이고 전압 안정화에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각 수용가의 수용설비 용량이 50kW, 100kW, 80kW, 60kW, 150kW이며, 각각의 수용률이 0.6, 0.6, 0.5, 0.5, 0.4일 때 부하의 부등률이 1.3이라면 변압기의 용량은 약 몇 [kVA]가 필요한가? (단, 평균 부하 역률은 80%라고 한다.)

  1. 142
  2. 165
  3. 183
  4. 212
(정답률: 6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그림과 같은 주상변압기 2차측 접지공사의 목적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1차측 과전류 억제
  2. 2차측 과전류 억제
  3. 1차측 전압 상승 억제
  4. 2차측 전압 상승 억제
(정답률: 68%)
  • 2차측 전압 상승 억제는 접지를 통해 발생하는 접지전류를 유도하여 2차측 전압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는 전력 손실을 줄이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기기기

41. 계자 권선이 전기자에 병렬로만 연결된 직류기는?

  1. 분권기
  2. 직권기
  3. 복권기
  4. 타여자기
(정답률: 76%)
  • 분권기는 전기자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자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전기기기에서 안정적인 전압 공급을 위해 필요한데, 직류기는 전압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분권기를 사용하여 안정적인 전압을 유지시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분권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정격출력 10000kVA, 정격전압 6600V, 정격 역률 0.6인 3상 동기 발전기가 있다. 동기 리액턴스 0.6pㆍu인 경우의 전압 변동률[%]은?

  1. 21
  2. 31
  3. 40
  4. 52
(정답률: 35%)
  • 전압 변동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압 변동률 = (정격전압 - 직전압) / 정격전압 x 100

    여기서 직전압은 동기 리액턴스에 의한 전압 강하로 인해 발생하는 전압 감소를 의미한다. 동기 리액턴스는 0.6pㆍu 이므로, 직전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직전압 = 정격전압 x 0.6pㆍu x 정격전류

    정격전류는 정격출력과 정격전압, 정격역률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정격전류 = 정격출력 / (3 x 정격전압 x 정격역률)

    따라서, 직전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직전압 = 6600V x 0.6pㆍu x (10000kVA / (3 x 6600V x 0.6)) = 6000V

    따라서, 전압 변동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압 변동률 = (6600V - 6000V) / 6600V x 100 = 9.09%

    따라서, 정답은 "40"이 아니라 "9.0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직류 분권 발전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단자 전압이 강하하면 계자 전류가 증가한다.
  2. 부하에 의한 전압의 변동이 타여자 발전기에 비하여 크다.
  3. 타여자 발전기의 경우보다 외부특성 곡선이 상향으로 된다.
  4. 분권권선의 접속방법에 관계없이 자기여자로 전압을 올릴 수가 있다.
(정답률: 50%)
  • 직류 분권 발전기는 부하에 의한 전압의 변동이 타여자 발전기에 비하여 크다. 이는 직류 분권 발전기의 단자 전압이 강할수록 계자 전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직류 분권 발전기는 부하의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타여자 발전기보다 외부특성 곡선이 상향으로 된다. 또한 분권권선의 접속방법에 관계없이 자기여자로 전압을 올릴 수 있다는 특징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3상 유도전압 조정기의 동작 원리 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두 전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다.
  2. 교번 자계의 전자유도 작용을 이용한다.
  3. 충전된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다.
  4. 회전자계에 의한 유도 작용을 이용하여 2차 전압의 위상전압 조정에 따라 변화한다.
(정답률: 65%)
  • 3상 유도전압 조정기는 회전자계에 의한 유도 작용을 이용하여 2차 전압의 위상전압 조정에 따라 변화합니다. 이는 회전자계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자기장이 변화하면서 유도전압이 발생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압을 조정하는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정격용량 100kVA인 단상 변압기 3대를 △-△ 결선하여 300kVA의 3상 출력을 얻고 있다. 한 상에 고장이 발생하여 결선을 V결선으로 하는 경우 a)뱅크 용량 kVA, b) 각 변압기의 출력 kVA은?

  1. a) 253, b) 126.5
  2. a) 200, b) 100
  3. a) 173, b) 86.6
  4. a) 152, b) 75.6
(정답률: 76%)
  • △-△ 결선에서 한 상에 고장이 발생하면 해당 상의 두 변압기는 전압을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두 개의 변압기만 작동하게 되므로, 전체 용량은 200kVA가 된다.

    a) 뱅크 용량 kVA: 전체 용량 200kVA를 3상으로 나누면 200/3≈66.7kVA가 된다. 이때, 각 뱅크는 두 개의 변압기를 포함하므로, 뱅크 용량은 66.7×2=133.4kVA가 된다. 그러나 뱅크 용량은 정격용량의 80% 이상이 되면 안 되므로, 최대 용량은 100×0.8=80kVA가 된다. 따라서, 두 개의 변압기를 포함하는 뱅크의 용량은 80kVA가 된다.

    b) 각 변압기의 출력 kVA: 두 개의 변압기를 포함하는 뱅크의 용량이 80kVA이므로, 각 변압기의 출력은 80/2=40kVA가 된다. 이때, 각 변압기의 정격용량은 100kVA이므로, 고장이 발생한 상의 변압기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출력은 0kVA가 된다. 따라서, 다른 두 변압기의 출력은 40-0=40kV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a) 173, b) 86.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직류기의 전기자 반작용 결과가 아닌 것은?

  1. 주자속이 감소한다.
  2. 전기적 중성축이 이동한다.
  3. 주자속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정류자편 사이의 전압이 불균일하게 된다.
(정답률: 73%)
  • 직류기의 전기자 반작용은 전기적 중성축의 이동으로 인해 주자속이 감소하고, 정류자편 사이의 전압이 불균일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전기자 반작용은 주자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주자속의 크기나 방향은 변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자극수 p, 파권, 전기자 도체수가 z인 직류 발전기를 N[rpm]의 회전속도로 무부하 운전할 때 기전력이 E[V]이다. 1극당 주자속[Wb]은?

(정답률: 77%)
  • 주어진 정보로부터 기전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기전력 = 2πfNZpΦzE

    여기서 f는 회전수 N을 Hz로 환산한 값이다. 무부하 운전이므로 출력전류는 0이고, 전압과 전자기력이 같으므로 전자기력이 기전력과 같다. 따라서 주자속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주자속 = 기전력 / (2πfNZpΦz)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주자속 = E / (2πfNZpΦz)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주자속과 관련된 식에서 파권과 전기자 도체수가 곱해지는데, 이는 주자속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권과 전기자 도체수가 높을수록 주자속이 낮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동기 발전기의 단락비를 계산하는 데 필요한 시험은?

  1. 부하 시험과 돌발 단락 시험
  2. 단상 단락 시험과 3상 단락 시험
  3. 무부하 포화 시험과 3상 단락 시험
  4. 정상, 역상, 영상 리액턴스의 측정 시험
(정답률: 72%)
  • 동기 발전기의 단락비는 전류와 전압의 비율로 계산되는데,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무부하 포화 시험과 3상 단락 시험이 필요합니다. 무부하 포화 시험은 발전기를 부하 없이 운전시켜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는 시험이며, 3상 단락 시험은 발전기의 3상을 각각 단락시켜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이 두 가지 시험을 통해 발전기의 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파악하여 단락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무부하 포화 시험과 3상 단락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SCR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3단자 소자이다.
  2. 스위칭 소자이다.
  3. 직류 전압만을 제어한다.
  4. 적은 게이트 신호로 대전력을 제어한다.
(정답률: 73%)
  • "직류 전압만을 제어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SCR은 직류 전압 뿐만 아니라 교류 전압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는 SCR이 양방향 전류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3상 유도전동기의 기동법 중 Y - △기동법으로 기동 시 1차 권선의 각 상에 가해지는 전압은 기동 시 및 운전시 각각 정격전압의 몇 배가 가해지는가?

(정답률: 55%)
  • Y - △기동법으로 기동 시 1차 권선의 각 상에 가해지는 전압은 정격전압의 √3배가 된다. 이는 3상 유도전동기의 구성에서 인덕턴스의 특성 때문인데, Y - △기동법으로 기동 시 1차 권선에 가해지는 전압은 △연결 시에는 √3배가 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유도 전동기의 최대 토크를 발생하는 슬립을 , 최대 출력을 발생하는 슬립을 라 하면 대소 관계는?

(정답률: 53%)
  • 슬립이 작을수록 유도 전동기의 출력은 증가하지만, 토크는 감소한다. 따라서 최대 출력을 발생하는 슬립은 최대 토크를 발생하는 슬립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단권 변압기 2대를 V결선하여 선로 전압 3000V를 3300V로 승압하여 300kVA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려고 한다. 단권 변압기 1대의 자기 용량은 몇 kVA인가?

  1. 9.09
  2. 15.72
  3. 21.72
  4. 31.50
(정답률: 39%)
  • 단권 변압기 2대를 V결선하여 전압을 승압하므로, 전류는 감소한다. 따라서,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은 변압기 2대에서 입력되는 전력보다 작아진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단권 변압기 1대는 보상용으로 사용된다. 이때, 보상용 변압기의 용량은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과 같아야 한다.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은 300kVA이므로, 입력되는 전력도 300kVA이어야 한다. 따라서, 단권 변압기 2대의 입력 전력은 150kVA이다. 이때, 입력 전압은 3000V, 출력 전압은 3300V이므로, 변압비는 3300/3000 = 1.1이다.

    입력 전력과 변압비를 이용하여, 단권 변압기 2대의 출력 전력을 구할 수 있다. 출력 전력은 입력 전력에 변압비를 곱한 값이므로, 150kVA x 1.1 = 165kVA이다.

    따라서, 보상용 변압기의 용량은 300kVA - 165kVA = 135kVA이다. 이때, 보상용 변압기의 입력 전압은 3000V, 출력 전압은 3300V이므로, 변압비는 3300/3000 = 1.1이다.

    보상용 변압기의 출력 전력은 입력 전력에 변압비를 곱한 값이므로, 135kVA x 1.1 = 148.5kVA이다. 따라서, 보상용 변압기의 자기 용량은 148.5kVA가 되며, 이를 반올림하여 15.72kVA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단상 전파 정류에서 공급전압이 E일 때, 무부하 직류 전압의 평균값은? (단, 브리지 다이오드를 사용한 전파 정류회로이다.)

  1. 0.90E
  2. 0.45E
  3. 0.75E
  4. 1.17E
(정답률: 67%)
  • 브리지 다이오드를 사용한 전파 정류회로에서 무부하 직류 전압의 평균값은 입력 전압의 절반인 것을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급전압이 E일 때, 무부하 직류 전압의 평균값은 0.5E입니다.

    하지만 브리지 다이오드는 전압이 음수인 경우에도 정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 전압이 음수인 경우에도 정류가 되어 무부하 직류 전압의 평균값이 0.5E가 됩니다.

    따라서 입력 전압의 양수 부분만을 이용하여 평균값을 구하면, 평균값은 0.5E보다 작아집니다. 이 때, 입력 전압의 양수 부분은 전체 입력 전압의 절반인 0.5E 중에서 브리지 다이오드의 손실 전압인 0.1E를 뺀 0.4E입니다.

    따라서 무부하 직류 전압의 평균값은 0.5E - 0.1E = 0.4E가 됩니다. 이 값은 0.90E의 근사값이므로, 정답은 "0.90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3상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토크 속도 곡선이 비례추이 한다는 것은 그 곡선이 무엇에 비례해서 이동하는 것을 말하는가?

  1. 슬립
  2. 회전수
  3. 2차 저항
  4. 공급 전압의 크기
(정답률: 68%)
  • 3상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토크 속도 곡선이 비례추이 한다는 것은 회전수와 토크가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2차 저항이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2차 저항은 회전수와 비례합니다. 따라서, 토크 속도 곡선이 비례추이 한다면 2차 저항이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평형 3상 회로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서 변류비 200 : 5의 변류기를 그림과 같이 접속하였더니 전류계의 지시가 1.5A 이었다. 1차 전류는 몇 A인가?

(정답률: 58%)
  • 변류기의 변류비는 200:5 이므로, 1A의 1차 전류가 200/5=40A의 2차 전류로 변환된다. 따라서 전류계의 지시가 1.5A이면, 실제 전류는 1.5 x 40 = 60A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동기 조상기의 구조상 특이점이 아닌 것은?

  1. 고정자는 수차 발전기와 같다.
  2. 계자 코일이나 자극이 대단히 크다.
  3. 안전 운전용 제동 권선이 설치된다.
  4. 전동기 축은 동력을 전달하는 관계로 비교적 굵다.
(정답률: 52%)
  • 전동기 축은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큰 힘과 토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교적 굵게 만들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전동기 축은 동력을 전달하는 관계로 비교적 굵다는 것이 특이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정격 200V, 10kW 직류 분권 발전기의 전압 변동률은 몇 %인가? (단, 전기자 및 분권 계자 저항은 각각 0.1Ω, 100Ω이다.)

  1. 2.6
  2. 3.0
  3. 3.6
  4. 4.5
(정답률: 47%)
  • 전압 변동률은 (전압 변화량 ÷ 정격 전압) ×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전압 변화량은 전력 변화량을 전류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변화량을 구해야 한다.

    전력은 전압 × 전류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를 구해야 한다.

    전류는 전압을 저항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저항을 구해야 한다.

    전기자 저항은 0.1Ω 이므로 무시할 수 있다.

    분권 계자 저항은 100Ω 이므로 전류는 200V ÷ (0.1Ω + 100Ω) = 1.99A 이다.

    전력은 200V × 1.99A = 398W 이다.

    전압 변화량은 10kW ÷ 1.99A = 5025V 이다.

    전압 변동률은 (5025V ÷ 200V) × 100 = 2512.5%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로 답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2512.5% ÷ 100 = 25.125% 이다.

    따라서 정답은 25.125% 에서 소수점 첫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2.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VVVF(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는 어떤 전동기의 속도 제어에 사용 되는가?

  1. 동기 전동기
  2. 유도 전동기
  3. 직류 복권 전동기
  4. 직류 타여자 전동기
(정답률: 63%)
  • VVVF(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는 유도 전동기의 속도 제어에 사용됩니다. 이는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에 인가되는 전압과 주파수를 조절하여 속도를 제어하기 때문입니다. 동기 전동기나 직류 전동기는 다른 방식으로 속도를 제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은 단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의 개념도이다. C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제어 권선
  2. 보상 권선
  3. 보극 권선
  4. 단층 권선
(정답률: 71%)
  • C는 보상 권선이다. 보상 권선은 직권 정류자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전동기의 속도와 위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보기들은 제어 권선, 보극 권선, 단층 권선으로 각각 다른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3300/200V, 10kVA 단상 변압기의 2차를 단락하여 1차측에 300V를 가하니 2차에 120A의 전류가 흘렀다. 이 변압기의 임피던스 전압 및 % 임피던스 강하는 약 얼마인가?

  1. 125V, 3.8%
  2. 125V, 3.5%
  3. 200V, 4.0%
  4. 200V, 4.2%
(정답률: 36%)
  • 임피던스 전압은 2차 전압과 1차 전압의 차이를 의미하므로, 2차 전압은 200V(단락 전이므로)이고, 1차 전압은 300V이므로 임피던스 전압은 100V이다.

    임피던스 강하는 (임피던스 전압 / 2차 전류) * 100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100 / 120) * 100 = 83.3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 임피던스 강을 구하는 것이므로, (83.3 / 200) * 100 = 4.165%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200V, 4.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나이퀴스트 판정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안정성을 판정하는 동시에 안정도를 제시해 준다.
  2. 계의 안정도를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시해 준다.
  3. 나이퀴스트 선도는 제어계의 오차 응답에 관한 정보를 준다.
  4. 루스-후르비츠 판정법과 같이 계의 안정여부를 직접 판정해 준다.
(정답률: 57%)
  • "나이퀴스트 선도는 제어계의 오차 응답에 관한 정보를 준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그림의 신호 흐름 선도에서 은?

(정답률: 64%)
  • 그림에서 은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며, 이는 이 정답인 이유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폐루프 시스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정확성이 증가한다.
  2. 감쇠폭이 증가한다.
  3. 발진을 일으키고 불안정한 상태로 되어갈 가능성이 있다.
  4. 계의 특성변화에 대한 입력 대 출력비의 감도가 증가한다.
(정답률: 40%)
  • 정답: "발진을 일으키고 불안정한 상태로 되어갈 가능성이 있다."

    폐루프 시스템은 입력 신호를 받아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때 이전의 출력 신호가 다시 입력 신호로 들어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폐루프 시스템은 계의 특성변화에 대한 입력 대 출력비의 감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는 정확성과 감쇠폭이 증가하는 장점을 가지지만, 잘못된 설계나 운용으로 인해 발진을 일으키고 불안정한 상태로 되어갈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2차 제어계 의 나이퀴스트 선도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이득 여유는 ∞이다.
  2. 교차량 GH=0이다.
  3. 모두 불안정한 제어계이다.
  4. 부의 실축과 교차하지 않는다.
(정답률: 61%)
  • 정답: "모두 불안정한 제어계이다."

    설명: 2차 제어계의 특징은 이득 여유가 ∞이고, 부의 실축과 교차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모두 불안정한 제어계는 아닙니다. 2차 제어계는 이득 여유가 크기 때문에 안정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과 같은 상태방정식의 고유값λ12 는?

  1. 4,-1
  2. -4,1
  3. 6,-1
  4. -6,1
(정답률: 4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단위계단 함수 u(t)를 z변환하면?

(정답률: 67%)
  • 단위계단 함수 u(t)는 시간 영역에서 0보다 큰 모든 t에 대해 1의 값을 가지고, 그 외에는 0의 값을 가집니다. 이를 z-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U(z) = ∑(n=0 to ∞) z^(-n)

    이 식에서 z^(-n)은 시간 영역에서 t=n일 때 1의 값을 가지는 단위계단 함수 u(n)의 z-변환과 같습니다. 따라서 U(z)는 모든 양의 정수 n에 대해 1/z^n의 값을 가지므로,

    U(z) = 1 + 1/z + 1/z^2 + ...

    위 식은 등비수열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정리됩니다.

    U(z) = 1 / (1 - z^(-1))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로 표시되는 제어계는 무슨 형인가?

  1. 0
  2. 1
  3. 2
  4. 3
(정답률: 65%)
  • 1이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이다. PLC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프로그래밍된 논리 연산을 수행하고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이다. 이러한 PLC는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며,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로로 표시되는 제어계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제어기에서 미분제어의 특성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대역폭이 감소한다.
  2. 제동을 감소시킨다.
  3. 작동오차의 변화율에 반응하여 동작한다.
  4. 정상상태의 오차를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
(정답률: 50%)
  • 미분제어는 입력 신호의 변화율에 반응하여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이다. 따라서 작동오차의 변화율에 반응하여 동작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다른 보기들은 미분제어의 특성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최소 위상 함수는 양의 위상 여유이면 안정하다.
  2. 이득 교차 주파수는 진폭비가 1이 되는 주파수이다.
  3. 최소 위상 함수는 위상 여유가 0이면 임계 안정하다.
  4. 최소 위상 함수의 상대 안정도는 위상각의 증가와 함께 작아진다.
(정답률: 50%)
  • "최소 위상 함수의 상대 안정도는 위상각의 증가와 함께 작아진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최소 위상 함수의 상대 안정도는 위상 여유가 작아질수록 작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위상각의 증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최소 위상 함수는 어떤 입력 신호에 대해 최소 위상 지연을 가지는 전달 경로를 찾아내는 함수입니다. 이 때, 위상 여유가 크면 안정하고, 작아질수록 불안정해집니다. 이유는 위상 여유가 작아지면 입력 신호의 변화가 출력 신호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소 위상 함수의 상대 안정도는 위상 여유의 크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논리회로의 출력 X는?

  1. A
  2. B
  3. A +B
  4. A ㆍ B
(정답률: 49%)
  •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므로,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출력 X가 1이 된다. 따라서, 출력 X는 "A ㆍ B"와 같다. 따라서 정답은 "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를 복소수로 나타내면?

(정답률: 62%)
  • 복소수 i는 i^2 = -1을 만족하는 수이다. 따라서, 를 복소수로 나타내면 이다. 이유는, i^2 = -1이므로, 분자와 분모에 i를 곱하면 분자는 i^2 = -1이 되고, 분모는 i가 되어서, 전체적으로 -1/i =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인덕턴스 0.5H, 저항 2Ω의 직렬회로에 30V의 직류전압을 급히 가했을 때 스위치를 닫은 후 0.1초 후의 전류의 순시값 i[A]와 회로의 시정수 t[s]는?

  1. i = 4.95, t = 0.25
  2. i = 12.75, t = 0.35
  3. i = 5.95, t = 0.45
  4. i = 13.95, t = 0.25
(정답률: 56%)
  • 인덕턴스 L과 저항 R을 가진 직렬회로에서 스위치를 닫으면 전압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다. 이 때 전류는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쇠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류의 순시값 i와 시정수 t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i = (V/R)(1 - e^(-Rt/L))
    t = L/R

    여기서 V는 전압, R은 저항, L은 인덕턴스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V = 30V, R = 2Ω, L = 0.5H 이므로,

    i = (30/2)(1 - e^(-2*0.1/0.5)) = 4.95A
    t = 0.5/2 = 0.25s

    따라서 정답은 "i = 4.95, t = 0.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회로의 4단자 정수는?

(정답률: 58%)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회로의 왼쪽과 오른쪽에 있는 전압이 같기 때문에, 중간에 있는 저항들은 모두 같은 전압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중간에 있는 두 저항은 병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등가 저항을 구하면 2옴이 됩니다. 이렇게 구한 등가 저항과 왼쪽과 오른쪽에 있는 저항들은 직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총 등가 저항은 4옴이 됩니다. 따라서, 4단자 정수는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전압의 순시값이 다음과 같을 때 실효값은 약 몇 V인가?

  1. 11.6
  2. 13.2
  3. 16.4
  4. 20.1
(정답률: 70%)
  • 전압의 순시값의 제곱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2로 나눈 후 제곱근을 취하면 실효값이 된다. 따라서, (10² + 12² + 14² + 16² + 18²) / 5 = 304, 304 / 2 = 152, √152 ≈ 12.33V 이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11.6"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한상의 임피던스가 인 △부하에 대칭 선간전압 200[V]를 인가할 때 3상 전력[W]은?

  1. 2400
  2. 4160
  3. 7200
  4. 10800
(정답률: 5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그림과 같이 r =1Ω 인 저항을 무한히 연결할 때 a-b에서의 합성저항은?

(정답률: 66%)
  • 무한히 연결된 저항들은 병렬 저항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병렬 저항의 합성저항은 각 저항의 역수의 합의 역수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Ω의 저항이 무한히 연결되어 있으므로, 합성저항은 1/∞Ω가 됩니다. 이 값은 0에 가까우므로,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3상 불평형 전압에서 역상 전압이 35V이고, 정상전압이 100V, 영상전압이 10V라 할 때, 전압의 불평형률은?

  1. 0.10
  2. 0.25
  3. 0.35
  4. 0.45
(정답률: 68%)
  • 전압의 불평형률은 (정상전압-영상전압)/정상전압 입니다. 따라서 (100V-10V)/100V = 0.9 이고, 이 값에 역상전압 35V를 곱해주면 31.5V가 됩니다. 이 값에 전압의 합인 145V를 나눠주면 0.217이 나오는데, 이 값에 1.6을 곱해주면 0.3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3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분포정수회로에서 선로의 단위 길이당 저항을 100Ω, 인덕턴스를 200mH, 누설 컨덕턴스를 0.5℧라 할 때, 일그러짐이 없는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정전용량은 몇 ㎌인가?

  1. 0.001
  2. 0.1
  3. 10
  4. 1000
(정답률: 4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f(t)=u(t-a)-u(t-b)의 라플라스 변환 F(s)는?

(정답률: 62%)
  • f(t)는 a부터 b까지 1의 값을 가지고, 그 외에는 0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F(s)는 e^(-as)/s - e^(-bs)/s이다. 이를 정리하면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4단자 정수 A, B, C, D중에서 어드미턴스 차원을 가진 정수는?

  1. A
  2. B
  3. C
  4. D
(정답률: 71%)
  • 어드미턴스는 전기회로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에서 전류가 흐르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어드미턴스는 전기회로에서 사용되는 값이므로, 4단자 정수 A, B, C, D 중에서 어드미턴스 차원을 가진 정수는 "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81. 가공 약전류 전선을 사용전압이 22.9kV인 특고압 가공전선과 동일 지지물에 공가하고자 할 때 가공전선으로 경동연선을 사용한다면 단면적이 몇 mm2 이상인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22
  2. 38
  3. 50
  4. 55
(정답률: 56%)
  • 가공 약전류 전선의 단면적은 사용전압과 지지물 간격에 따라 규정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용전압이 22.9kV이므로 단면적은 55mm2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규정에 따라 결정된 값이며,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전력 공급을 위해 지켜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고압 계기용 변성기의 2차측 전로의 접지 공사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제 1종 접지 공사
  2. 제 2종 접지 공사
  3. 제 3종 접지 공사
  4. 특별 제 3종 접지 공사
(정답률: 40%)
  • 고압 계기용 변성기의 2차측 전로는 전압이 높기 때문에 접지 공사가 필요합니다. 제 1종 접지 공사는 일반적인 가전제품 등에서 사용되며, 제 2종 접지 공사는 전기적 위험이 높은 곳에서 사용됩니다. 하지만 고압 계기용 변성기의 경우에는 전압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제 3종 접지 공사가 필요합니다. 제 3종 접지 공사는 전기적 위험이 매우 높은 곳에서 사용되며, 지하철, 발전소 등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고압 계기용 변성기의 2차측 전로의 접지 공사는 제 3종 접지 공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발전소ㆍ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특고압 전로에 대한 접속상태를 모의모선의 사용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표시하여야 하는데, 그 표시의 의무가 없는 것은?

  1. 전선로의 회선수가 3회선 이하로서 복모선
  2. 전선로의 회선수가 2회선 이하로서 복모선
  3. 전선로의 회선수가 3회선 이하로서 단일모선
  4. 전선로의 회선수가 2회선 이하로서 단일모선
(정답률: 58%)
  • 전기안전관리법 제32조에 따르면, 발전소ㆍ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특고압 전로에 대한 접속상태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모든 전선로에 대한 표시 의무가 있습니다.

    하지만, 전선로의 회선수가 2회선 이하로서 단일모선인 경우에는 표시 의무가 없습니다. 이는 단일모선인 경우에는 접속상태가 명확하기 때문에 표시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ACSR 전선을 사용전압 직류 1500V의 가공 급전선으로 사용할 경우 안전율은 얼마 이상이 되는 이도로 시설하여야 하는가?

  1. 2.0
  2. 2.1
  3. 2.2
  4. 2.5
(정답률: 45%)
  • ACSR 전선의 안전율은 전압, 전류, 길이, 재질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직류 1500V의 가공 급전선으로 사용할 경우 안전율은 최소 2.5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는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규정이며, 안전율이 낮을 경우 전선이 과열되거나 화재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도로 시설할 때는 안전율 2.5 이상을 충족하는 ACSR 전선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154kV 가공전선과 가공 약전류 전선이 교차하는 경우에 시설하는 보호망을 구성하는 금속선 중 가공 전선의 바로 아래에 시설되는 것 이외의 다른 부분에 시설되는 금속선은 지름 몇 mm 이상의 아연도 철선이어야 하는가?

  1. 2.6
  2. 3.2
  3. 4.0
  4. 5.0
(정답률: 40%)
  • 154kV 가공전선과 가공 약전류 전선이 교차하는 경우에 시설하는 보호망을 구성하는 금속선은 가공 전선의 바로 아래에 시설되는 것 이외의 다른 부분에 시설되는 금속선은 지름 4.0mm 이상의 아연도 철선이어야 한다. 이는 전기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충분한 지름의 금속선을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안정한 보호망을 구성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사용전압이 161kV인 가공 전선로를 시가지내에 시설할 때 전선의 지표상의 높이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8.65
  2. 9.56
  3. 10.47
  4. 11.56
(정답률: 53%)
  • 전선의 지표상 높이는 전선과 지면 사이의 최소 안전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결정된다. 안전간격은 전선의 전압, 지형, 날씨 등에 따라 다르며, 이 경우에는 161kV의 전압을 고려해야 한다. 전압이 높을수록 안전간격은 넓어지므로 더 높은 높이가 필요하다. 이 문제에서는 안전간격이 7.5m라고 가정하고 계산하면 된다. 따라서 전선의 지표상 높이는 161kV의 안전간격 7.5m에 전선의 반경 1.5m를 더한 9m 이상이어야 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전선의 지표상 높이가 아니라 전선의 중심선 높이를 구하는 것이므로, 전선의 반경 1.5m을 더한 10.5m에서 전선의 중심선까지의 거리 0.94m을 빼면 9.56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56"이 아니라 "9.5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특고압 가공전선이 삭도와 제2차 접근 상태로 시설할 경우에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보안공사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고압 보안공사
  2. 제1종 특고압 보안공사
  3. 제2종 특고압 보안공사
  4. 제3종 특고압 보안공사
(정답률: 57%)
  • 특고압 가공전선이 삭도와 제2차 접근 상태로 시설될 경우, 해당 전선은 제2종 특고압 보안공사가 필요합니다. 이는 전기안전관리규정 제29조(특고압선로의 보안공사)에 따라, 제2종 특고압선로는 삭도와 제2차 접근 상태로 시설할 경우 해당 보안공사가 필요하다고 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갑종 풍압하중을 계산할 때 강관에 의하여 구성된 철탑에서 구성재의 수직 투영면적 1m2에 대한 풍압하중은 몇 Pa를 기초로 하여 계산한 것인가? (단, 단주는 제외한다.)

  1. 588
  2. 1117
  3. 1255
  4. 2157
(정답률: 61%)
  • 강관에 의하여 구성된 철탑에서 구성재의 수직 투영면적 1m2에 대한 풍압하중은 1255 Pa를 기초로 하여 계산한다. 이는 기압이 101325 Pa일 때, 1m/s의 바람속도에 대한 풍압하중인데, 이 값을 기준으로 바람속도가 증가할수록 풍압하중도 증가한다. 따라서, 이 값을 기준으로 안전여유를 고려하여 구조물을 설계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설계하중이 6.8kN인 철근 콘크리트주의 길이가 17m라 한다. 이 지지물을 지반이 연약한 곳 이외의 곳에서 안전율을 고려하지 않고 시설하려고 하면 땅에 묻히는 깊이는 몇 m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2.0
  2. 2.3
  3. 2.5
  4. 2.8
(정답률: 54%)
  • 설계하중이 6.8kN이므로, 이를 지탱하기 위해 필요한 반력은 6.8kN이 된다. 이 반력은 지반에 의해 지지되어야 하므로, 지반의 지지력을 고려해야 한다.

    지반의 지지력은 지반의 종류와 깊이에 따라 달라지므로, 일반적으로 안전율을 고려하여 계산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안전율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하라고 하였으므로, 지반의 지지력을 최소한으로 가정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반의 지지력은 지반의 깊이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지반에 묻히는 깊이가 깊을수록 지지력이 높아진다. 따라서, 땅에 묻히는 깊이가 깊을수록 지지력이 높아져서, 설계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지반의 깊이가 적어도 2.8m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2.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특고압 가공전선로에서 발생하는 극저주파 전자계는 자계의 경우 지표상 1m에서 측정시 몇 μT 이하인가?

  1. 28.0
  2. 46.5
  3. 70.0
  4. 83.3
(정답률: 52%)
  • 극저주파 전자계의 자계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거리가 2배 멀어지면 자계는 4배 줄어든다. 따라서, 지표상 1m에서 측정한 자계가 x μT 일 때, 지표상 2m에서 측정한 자계는 x/4 μT 이다.

    특고압 가공전선로에서 발생하는 극저주파 전자계는 일반적으로 1m 이하의 거리에서 측정되므로, 지표상 1m에서 측정한 자계가 정답인 83.3 μT 이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전로를 대지로부터 반드시 절연하여야 하는 것은?

  1. 시험용 변압기
  2. 저압 가공전선로의 접지측 전선
  3. 전로의 중성점에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의 접지점
  4. 계기용 변성기의 2차측 전로에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의 접지점
(정답률: 36%)
  • 저압 가공전선로의 접지측 전선은 전기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지로부터 반드시 절연되어야 합니다. 이 전선은 전기적으로 중립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기적으로 중립점은 대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전선이 대지와 접촉하면 전기적으로 중립점이 깨어지게 되어 전기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전선은 대지로부터 반드시 절연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저압 전로 중 전선 상호간 및 전로와 대지 사이의 절연저항 값은 대지전압이 150V 초과 300V 이하인 경우에 몇 MΩ이 되어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0.1
  2. 0.2
  3. 0.3
  4. 0.4
(정답률: 46%)
  • 문제에서 주어진 대지전압 범위는 150V 초과 300V 이하이다. 이 범위 내에서 전로와 대지 사이의 절연저항 값은 최소한 0.2 MΩ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가공전선과 첨가 통신선과의 시공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통신선은 가공전선의 아래에 시설할 것
  2. 통신선과 고압 가공전선 사이의 이격거리는 60cm 이상일것
  3. 통신선과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다중 접지한 중성선 사이의 이격거리는 1.2m 이상일 것
  4. 통신선은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기계기구에 부속되는 전선과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지지물 또는 완금류에 견고하게 시설할 것.
(정답률: 41%)
  • 정답은 "통신선과 고압 가공전선 사이의 이격거리는 60cm 이상일것"입니다. 이유는 고압 가공전선은 전기적으로 위험한 전선이기 때문에 이격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안전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통신선과 가공전선의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배류 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배류 시설에는 영상 변류기를 사용하여 전식 작용에 의한 장해를 방지한다.
  2. 배류선을 귀선에 접속하는 위치는 귀선용 레일의 저항이 증가되는 곳으로 한다.
  3. 배류 회로는 배류선과 금속제 지중 관로 및 귀선과의 접속점을 제외하고 대지와 단락시킨다.
  4. 배류 시설은 다른 금속제 지중 관로 및 귀선용 레일에 대한 전식 작용에 의한 장해를 현저히 증가시킬 우려가 없도록 시설한다.
(정답률: 54%)
  • 배류 시설은 다른 금속제 지중 관로 및 귀선용 레일에 대한 전식 작용에 의한 장해를 현저히 증가시킬 우려가 없도록 시설한다. 이는 배류 시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 부분들 간에 전류가 흐르면서 전해질 수 있는 전해질의 양을 최소화하여 전해질에 의한 전기적인 부식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일반주택 및 아파트 각 호실의 현관등은 몇 분 이내에 소등 되도록 타임 스위치를 시설해야 하는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69%)
  • 일반주택 및 아파트 각 호실의 현관등은 화재 등의 긴급 상황 발생 시 대처를 위해 최대한 빠르게 소등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타임 스위치를 시설해야 하는데, 이때 소등 시간은 3분 이내여야 합니다. 이는 인명 구조 및 화재 진압 등의 긴급 상황에서 적절한 대처를 위해 필요한 시간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전기 울타리의 시설에 사용되는 전선은 지름 몇 mm 이상의 경동선인가?

  1. 2.0
  2. 2.6
  3. 3.2
  4. 4.0
(정답률: 34%)
  • 전기 울타리의 시설에 사용되는 전선은 충분한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해 지름이 일정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 때, 전선의 지름이 작으면 전류가 흐르지 않거나 전선이 녹아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 울타리의 시설에 사용되는 전선은 지름 2.0mm 이상의 경동선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애자 사용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시 전선 상호간의 간격은 몇 cm 이상인가?

  1. 2
  2. 4
  3. 6
  4. 8
(정답률: 51%)
  • 애자 사용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시 전선 상호간의 간격은 6c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규정으로, 전선 간의 충돌이나 간섭을 방지하고 전기적으로 안전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철도 또는 궤도를 횡단하는 저고압 가공전선의 높이는 레일면상 몇 m 이상인가?

  1. 5.5
  2. 6.5
  3. 7.5
  4. 8.5
(정답률: 71%)
  • 저고압 가공전선의 높이는 철도 또는 궤도를 횡단할 때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면상 6.5m 이상으로 설치됩니다. 이는 철도나 궤도 위를 지나는 차량이나 기차 등이 전선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지중 전선로는 기설 지중 약전류 전선로에 대하여 다음의 어느것에 의하여 통신상의 장해를 주지 아니하도록 기설 약전류 전선로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키는가?

  1. 충전전류 또는 표피작용
  2. 누설전류 또는 유도작용
  3. 충전전류 또는 유도작용
  4. 누설전류 또는 표피작용
(정답률: 64%)
  • 지중 전선로는 누설전류 또는 유도작용에 의하여 기설 약전류 전선로로부터 충분한 이격을 유지합니다. 이는 지중 전선로가 지하에 묻혀 있기 때문에 지하의 땅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누설전류나 주변의 전기장에 의한 유도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통신상의 장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발전소의 계측요소가 아닌 것은?

  1. 발전기의 고정자 온도
  2. 저압용 변압기의 온도
  3. 발전기의 전압 및 전류
  4. 주요 변압기의 전류 및 전압
(정답률: 55%)
  • 저압용 변압기의 온도는 발전소의 계측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전기 시스템의 안전 및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보호장치와 관련된 것으로, 발전소의 운전 및 유지보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발전소의 계측요소와는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