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8-26)

전기기사
(2017-08-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자기학

1. 점전하에 의한 전위 함수가 일 때 gradV는?

(정답률: 77%)
  • 점전하에 의한 전위 함수 V는 전위차분 방정식을 푸는 것으로 구할 수 있으며, gradV는 V를 각 축 방향으로 편미분한 벡터이다. 따라서 V를 각 축 방향으로 편미분하면, x축 방향으로는 2x, y축 방향으로는 2y, z축 방향으로는 2z가 된다. 따라서 gradV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면적 S[m2], 간격 d[m]인 평행판 콘덴서에 전하 Q[C]를 충전 하였을 때 정전 에너지 w[J]는?

(정답률: 72%)
  • 정전 에너지는 1/2CV2로 계산된다. 여기서 C는 콘덴서의 전하 저장 용량이고, V는 콘덴서에 충전된 전압이다.

    콘덴서의 전하 저장 용량 C는 S/d로 계산된다. 따라서 C = S/d이다.

    콘덴서에 충전된 전압 V는 Q/C로 계산된다. 따라서 V = Q/(S/d) = Qd/S이다.

    따라서 정전 에너지 w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w = 1/2CV2 = 1/2(S/d)(Qd/S)2 = 1/2Q2d/ S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인 ""는 w를 계산하는 공식과 일치하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Poisson 및 Laplace 방정식을 유도하는데 관련이 없는 식은?

  1. E=-gradV
  2. divD=ρv
  3. D=ɛE
(정답률: 58%)
  • 정답은 "E=-gradV"이다. 이 식은 전기장 E와 전위차 V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으로, Poisson 및 Laplace 방정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다른 보기들은 전기장과 전하 밀도, 전기장과 전하 밀도 사이의 관계 등을 나타내는데, 이들은 Poisson 및 Laplace 방정식을 유도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반지름 1cm인 원형코일에 전류 10A가 흐를 때, 코일의 중심에서 코일면에 수직으로 √3cm 떨어진 점의 자계의 세기는 몇 AT/m 인가?

(정답률: 46%)
  • 자계의 세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 = μ0 * I / (2 * r)

    여기서, B는 자계의 세기, μ0는 자유공간의 유전율, I는 전류, r은 반지름이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서 자계의 세기는 다음과 같다.

    B = (4π * 10^-7 T*m/A) * 10 A / (2 * 0.01 m) = 2π * 10^-4 T

    그리고, 코일면에 수직으로 √3cm 떨어진 점에서의 자계의 세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 = B * cos(30°) = B * √3 / 2 = (2π * 10^-4 T) * √3 / 2 = π * 10^-4 T

    따라서,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코일면에 수직으로 떨어진 점에서의 자계의 세기는 코일 중심에서의 자계의 세기보다 작아지는데, 이는 cos(30°)의 값이 1/2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cos(30°)의 값이 곱해진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평등자계 내에 전자가 수직으로 입사하였을 때 전자의 운동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구심력은 전자속도에 반비례 한다.
  2. 원심력은 자계의 세기에 반비례 한다.
  3. 원운동을 하고 반지름은 자계의 세기에 비례한다.
  4. 원운동을 하고 반지름은 전자의 회전속도에 비례한다.
(정답률: 62%)
  • 정답은 "원운동을 하고 반지름은 전자의 회전속도에 비례한다."입니다.

    전자가 평등자계 내에서 수직으로 입사하면, 자계에 의해 원운동을 하게 됩니다. 이때, 반지름은 전자의 회전속도에 비례하게 됩니다. 이는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전자의 질량과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자의 운동을 바르게 나타내기 위해서는 "원운동을 하고 반지름은 전자의 회전속도에 비례한다."라는 답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액체 유전체를 포함한 콘덴서 용량이 C[F]인 것에 V[V]의 전압을 가했을 경우에 흐르는 누설전류[A]는? (단, 유전체의 유전율은 ɛ[F/m], 고유저항은 ρ[Ω • m]이다.)

(정답률: 79%)
  • 콘덴서에 전압을 가하면 전하가 축적되고, 이는 유전체 내부에서 전기장을 생성한다. 이 전기장은 유전체 내부에서 전자와 양자가 이동하게 하여 누설전류가 발생한다. 이 때, 누설전류는 전압과 유전체의 유전율, 그리고 유전체의 두께와 면적에 비례한다. 따라서, 누설전류는 와 같이 계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이아몬드와 같은 단결정 물체에 전장을 가할 때 유도되는 분극은?

  1. 전자 분극
  2. 이온 분극과 배향 분극
  3. 전자 분극과 이온 분극
  4. 전자 분극, 이온 분극, 배향 분극
(정답률: 63%)
  • 다이아몬드와 같은 단결정 물체에 전장을 가할 때 유도되는 분극은 전자 분극입니다. 이는 전자의 이동으로 인해 분자 내부에서 양성과 음성 전하가 분리되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온 분극은 이온 결합을 가진 물질에서 발생하며, 배향 분극은 분자의 구조가 비대칭적인 경우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무한 직선 도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도선 내부에서 자계의 크기는 도선의 반경에 비례한다.
  2. 무한 직선 도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도선 외부에서 자계의 크기는 도선의 중심과의 거리에 무관하다.
  3. 무한장 솔레노이드 내부 자계의 크기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비례한다.
  4. 무한장 솔레노이드 내부 자계의 크기는 단위 길이당 권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65%)
  • "무한장 솔레노이드 내부 자계의 크기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비례한다." 이유는 무한장 솔레노이드 내부에서 자기장이 일정하게 분포하기 때문이다. 즉, 모든 지점에서 자기장의 크기와 방향이 동일하며, 이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와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은 유전속 분포가 이루어질 때 ɛ1과 ɛ2의 크기 관계는?

  1. ɛ12
  2. ɛ12
  3. ɛ12
  4. ɛ1>0, ɛ2>0
(정답률: 82%)
  • 이 그림은 유전자의 유전형이 AaBbCc일 때, 각각의 염색체에서 A, B, C 유전자가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나타낸 것입니다. ɛ1은 A, B, C 유전자가 모두 같은 염색체에 위치한 경우의 염색체 길이를, ɛ2는 A, B, C 유전자가 모두 다른 염색체에 위치한 경우의 염색체 길이를 나타냅니다.

    그림을 보면, ɛ1은 A, B, C 유전자가 모두 같은 염색체에 위치하므로 그 길이는 가장 짧을 것입니다. 반면, ɛ2는 A, B, C 유전자가 모두 다른 염색체에 위치하므로 그 길이는 가장 길 것입니다. 따라서, ɛ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인덕턴스의 단위[H]와 같지 않은 것은?

  1. J/A • s
  2. Ω • s
  3. Wb/A
  4. J/A2
(정답률: 56%)
  • 인덕턴스의 단위는 [H] (Henry)이다. 그러나 "J/A • s"는 자기 유도 계수의 단위인 헨리와는 다른 단위이다. "J/A • s"는 자기 유도 계수의 정의에서 유도되는 단위로, 자기 유도 계수는 자기장의 변화율에 대한 전류의 비례 상수이므로, "J/A • s"는 자기장의 단위인 테슬라(T)와 전류의 단위인 암페어(A)의 비례 상수로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전계 및 자계의 세기가 각각 E.H일 때, 포인팅 벡터 P의 표시로 옳은 것은?

  1. P=ErotH
  2. P=E×H
  3. P=HrotE
(정답률: 83%)
  • 정답은 "P=E×H"이다.

    포인팅 벡터는 전자기장의 세기와 자기장의 세기를 곱한 것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포인팅 벡터는 전자기장의 세기 벡터 E와 자기장의 세기 벡터 H의 외적으로 표현된다.

    즉, P=E×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규소 강판과 같은 자심재료의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특징은?

  1. 보자력이 큰 것이 좋다.
  2. 보자력과 잔류자기가 모두 큰 것이 좋다.
  3.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면적이 큰 것이 좋다.
  4.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면적이 작은 것이 좋다.
(정답률: 69%)
  •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면적이 작은 것이 좋은 이유는 자성재료가 자기장에 노출되었을 때, 자기장의 변화에 빠르게 반응하여 빠른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기 저장 장치나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되는 자성재료는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면적이 작은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커패시터를 제조하는데 A, B, C, D와 같은 4가지의 유전재료가 있다. 커패시터 내의 전계를 일정하게 하였을 때, 단위 체적당 가장 큰 에너지 밀도를 나타내는 재료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단, 유전재료 A, B, C, D의 비유전율은 각각 이다.)

  1. C>D>A>B
  2. B>A>D>C
  3. D>A>C>B
  4. A>B>D>C
(정답률: 84%)
  • 에너지 밀도는 유전율과 유전상수에 따라 결정된다. 유전율이 높고 유전상수가 큰 재료일수록 에너지 밀도가 높다. 따라서, 유전율과 유전상수가 높은 B가 가장 큰 에너지 밀도를 가지며, 이어서 A, D, C 순으로 나열된다. 따라서 정답은 "B>A>D>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투자율 μ[H/m], 자계의 세기 H[AT/m], 자속밀도 B[Wb/m2]인 곳의 자계 에너지 밀도 [J/m3]는?

  1. BH
(정답률: 75%)
  • 자계 에너지 밀도는 BH/2로 계산된다. 이는 자속밀도와 자계의 세기의 곱인 BH를 2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정전계 해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포아송 방정식은 가우스 정리의 미분형으로 구할 수 있다.
  2. 도체 표면에서의 전계의 세기는 표면에 대해 법선 방향을 갖는다.
  3. 라플라스 방정식은 전극이나 도체의 형태에 관계없이 체적전하 밀도가 0인 모든 점에서 ▽2V=0만족한다.
  4. 라플라스 방정식은 비선형 방정식이다.
(정답률: 76%)
  • "라플라스 방정식은 비선형 방정식이다."가 틀린 것이다. 라플라스 방정식은 선형 방정식이다. 이는 미지수인 전위의 2차 미분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 미분은 1차 미분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자화의 세기 단위로 옳은 것은?

  1. AT/Wb
  2. AT/m2
  3. Wb • m
  4. Wb/m2
(정답률: 55%)
  • 자화의 세기는 자기장의 세기에 비례하므로 자기장의 단위와 같은 Wb/m2이 옳은 단위이다. AT/Wb은 자기장의 역수인 자기도수의 단위이고, AT/m2은 자기장의 면적밀도의 단위이다. Wb • m은 자기력의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중심은 원점에 있고 반지름 a[m]인 원형 선도체가 z=0인 평면에 있다. 도체에 선전하밀도 ρL[C/m]가 분포되어 있을 때 z=b[m]인 점에서 전계 E[V/m]는? (단, ar, az는 원통 좌표계에서 r 및 z 방향의 단위벡터이다.)

(정답률: 68%)
  • 원형 선도체는 원통 좌표계에서 ar과 az 방향의 단위벡터를 가진다. 따라서 z=b인 점에서의 전계는 z축 방향의 성분만 계산하면 된다. z축 방향의 성분은 전하밀도와 z축 방향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z=b인 점에서의 전계는 ρL/(2πε0b)이다. 이 값은 ""와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V=x2[V]로 주어지는 전위 분포일 때 x=20cm인 점의 전계는?

  1. +x 방향으로 40v/m
  2. -x 방향으로 40V/m
  3. +x 방향으로 0.4V/m
  4. -x 방향으로 0.4V/m
(정답률: 6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공간 도체내의 한 점에 있어서 자속이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 성립하는 식은?

(정답률: 71%)
  •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이 식은 파라미터 방정식으로, 공간 도체 내의 한 점에서 자속이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 성립한다. 이 식에서 B는 자기장의 세기, r은 점과 자기장의 중심 사이의 거리, v는 점에서 자기장의 방향으로의 속도, t는 시간을 나타낸다. 이 식은 로렌츠 변환과 관련이 있으며, 전자기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변위 전류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반도체
  2. 유전체
  3. 자성체
  4. 도체
(정답률: 83%)
  • 변위 전류는 전기장이 변화할 때 발생하는 전류로, 유전체의 전기적 특성과 관련이 깊습니다. 유전체는 전기장이 적용되면 전하를 축적하여 전기장을 유지하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변위 전류가 발생할 때 유전체 내부에서 전하가 이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변위 전류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유전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력공학

21. 전력용 콘덴서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전류는?

  1. 지상 전류
  2. 진상 전류
  3. 동상 전류
  4. 영상 전류
(정답률: 78%)
  • 전력용 콘덴서는 전압을 고정시키고 전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류의 크기는 콘덴서에 인가된 전압과 콘덴서의 용량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때, 전압과 전류의 위상 차이가 없는 경우를 진상 전류라고 합니다. 따라서 전력용 콘덴서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전류는 진상 전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부하 역률이 현저히 낮은 경우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전기 요금의 증가
  2. 유효 전력의 증가
  3. 전력 손실의 증가
  4. 선로의 전압강하 증가
(정답률: 74%)
  • 부하 역률이 낮다는 것은 유효 전력 대비 피상 전력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부하 역률이 낮을수록 유효 전력은 적어지게 되며, 이는 유효 전력의 증가가 아닌 감소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효 전력의 증가"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배전용 변전소의 주변압기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강압 변압기
  2. 체승 변압기
  3. 단권 변압기
  4. 3권선 변압기
(정답률: 64%)
  • 배전용 변전소에서는 전기를 고압으로 변환하여 전력을 전송하는데, 이때 전기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변압기를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 강압 변압기는 고압으로 변환된 전기를 더욱 강력하게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배전용 변전소의 주변압기로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초호각(Arcing horn)의 역할은?

  1. 풍압을 조절한다.
  2. 송전 효율을 높인다.
  3. 애자의 파손을 방지한다.
  4. 고조파수의 섬락전압을 높인다.
(정답률: 80%)
  • 초호각은 전기기기에서 발생하는 고조파를 제거하여 애자에 가해지는 섬락전압을 낮추어 애자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애자의 파손을 방지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 결선된 3상 변압기를 사용한 비접지 방식의 선로가 있다. 이때 1선지락 고장이 발생하면 다른 건전한 2선의 대지전압은 지락 전의 몇 배까지 상승하는가?

  1. √3/2
  2. √3
  3. √2
  4. 1
(정답률: 76%)
  • 3상 변압기를 사용한 비접지 방식의 선로에서 1선지락 고장이 발생하면, 해당 선로에서는 2상과 3상의 전압만 존재하게 된다. 이때 대지전압은 2상과 3상의 전압 차이에 비례하여 상승하게 된다.

    2상과 3상의 전압 차이는 √3배가 된다. 따라서 대지전압은 √3배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22kV, 60Hz 1회선의 3상 송전선에서 무부하 충전전류는 약 몇 A인가? (단, 송전선의 길이는 20km이고, 1선 1km당 정전용량은 0.5㎌이다.)

  1. 12
  2. 24
  3. 36
  4. 48
(정답률: 64%)
  • 무부하 충전전류는 전력손실이 없는 최대 전류이므로, 전력손실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무부하 충전전류는 전압과 정전용량에 비례하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무부하 충전전류 = 전압 × 각주파수 × 정전용량 × 송전선 길이 / 100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무부하 충전전류 = 22kV × 60Hz × 0.5㎌ × 20km / 1000 = 48A

    따라서, 정답은 "4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개폐서지의 이상전압을 감쇄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은?

  1. 단로기
  2. 차단기
  3. 리액터
  4. 개폐 저항기
(정답률: 77%)
  • 개폐서지는 개폐 작업 시 발생하는 고전압으로 인해 전기기기나 회로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개폐 저항기를 설치합니다. 개폐 저항기는 개폐 작업 시 발생하는 이상전압을 감쇄시켜 전기기기나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개폐 저항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모선 보호용 계전기로 사용하면 가장 유리한 것은?

  1. 거리 방향 계전기
  2. 역상 계전기
  3. 재폐로 계전기
  4. 과전류 계전기
(정답률: 65%)
  • 모선 보호용 계전기는 모선에 발생하는 과전류나 단락 등의 이상을 감지하여 모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 거리 방향 계전기가 가장 유리한 이유는, 모선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발생하는 과전류나 단락의 위치가 모호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거리 방향 계전기는 모선의 길이에 상관없이 일정한 거리에서 이상을 감지할 수 있어 가장 효과적인 보호가 가능합니다. 반면에 역상 계전기는 모선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정확한 보호가 어렵고, 재폐로 계전기는 모선의 단락에 대한 보호만 가능하며, 과전류 계전기는 과전류에 대한 보호만 가능하기 때문에 거리 방향 계전기가 가장 유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현수애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애자를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클래비스형과 볼소켓형이 있다.
  2. 큰 하중에 대하여는 2연 또는 3연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애자의 연결 개수를 가감함으로서 임의의 송전전압에 사용할 수 있다.
  4. 2~4층의 갓 모양의 자기편을 시멘트로 접착하고 그 자기를 주철제 베이스로 지지한다.
(정답률: 64%)
  • 정답은 "2~4층의 갓 모양의 자기편을 시멘트로 접착하고 그 자기를 주철제 베이스로 지지한다."이다. 이유는 현수애자는 주로 철사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갓 모양의 자기편을 사용하여 철사를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지만, 이를 시멘트로 접착하고 주철제 베이스로 지지하는 방법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송전선로의 고장전류 계산에 영상 임피던스가 필요한 경우는?

  1. 1선 지락
  2. 3상 단락
  3. 3선 단선
  4. 선간 단락
(정답률: 80%)
  • 송전선로에서 1선 지락이 발생하면 해당 선로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이를 파악하기 위해 영상 임피던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영상 임피던스는 전류가 흐르는 선로와 지락된 선로 사이의 임피던스 차이를 측정하여 지락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1선 지락이 발생한 경우에는 영상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고장전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과 같은 3상 송전 계통에서 송전단 전압은 3300V이다. 점 P에서 3상 단락 사고가 발생했다면 발전기에 흐르는 단락전류는 약 몇 A인가?

  1. 320
  2. 330
  3. 380
  4. 410
(정답률: 63%)
  • 3상 단락 사고 시 단락저항은 0이므로, 단락전류는 전압을 전선저항으로 나눈 값이 된다. 이 계통에서 전선저항은 0.5Ω이므로, 단락전류는 3300V / 0.5Ω = 6600A가 된다. 하지만 이는 3상 전체의 단락전류이므로, 한 상의 단락전류는 6600A / √3 ≈ 380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조속기의 폐쇄시간이 짧을수록 옳은 것은?

  1. 수격작용은 작아진다.
  2. 발전기의 전압 상승률은 커진다.
  3. 수차의 속도 변동률은 작아진다.
  4. 수압관 내의 수압 상승률은 작아진다.
(정답률: 65%)
  • 조속기의 폐쇄시간이 짧을수록 수차의 변동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수차의 속도 변동률은 작아진다. 이는 수격작용이 작아지고 발전기의 전압 상승률은 커지지만, 수압관 내의 수압 상승률은 작아지는 것과는 별개의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은 수전단 전압 3.3kV, 역률 0.85(뒤짐)인 부하 300kW에 공급하는 선로가 있다. 이때 송전단 전압은 약 몇 V인가?

  1. 3430
  2. 3530
  3. 3730
  4. 3830
(정답률: 41%)
  • 부하의 유효전력은 300kW이고 역률은 0.85이므로, 부하의 피상전력은 P = S / cos(θ) = 300 / 0.85 = 352.94kVA이다. 이때, 송전단 전압과 부하의 피상전력을 이용하여 선로의 전류를 구할 수 있다. I = S / (√3 × V) = 352.94 / (√3 × 3300) = 57.14A이다. 따라서, 선로의 저항과 인덕턴스를 고려하여 전압강하를 계산하면, 전압강하 = √3 × I × (R × cos(θ) + X × sin(θ)) = √3 × 57.14 × (0.1 × 0.85 + 0.15 × 0.53) = 383.03V이다. 따라서, 송전단 전압은 3.3kV + 0.383kV = 3.683kV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정답은 "383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증기의 엔탈피란?

  1. 증기 1kg의 잠열
  2. 증기 1kg의 현열
  3. 증기 1kg의 보유열량
  4. 증기 1kg의 증발열을 그 온도로 나눈 것
(정답률: 69%)
  • 증기의 엔탈피는 증기 1kg가 보유한 열의 양을 나타내는데, 이는 증기의 잠열과 현열, 그리고 증발열을 모두 고려한 값입니다. 따라서 "증기 1kg의 보유열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장거리 송전선로는 일반적으로 어떤 회로로 취급하여 회로를 해석하는가?

  1. 분포정수 회로
  2. 분산부하 회로
  3. 집중정수 회로
  4. 특성 임피던스 회로
(정답률: 74%)
  • 장거리 송전선로는 분포정수 회로로 취급하여 회로를 해석한다. 이는 전선로가 길어질수록 전압과 전류의 손실이 발생하는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전선로를 일정한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보상하는 회로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전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4단자 정수 A=D=0.8, B=j1.0인 3상 송전선로에 송전단 전압 160kV를 인가할 때 무부하시 수전단 전압은 몇 kV인가?

  1. 154
  2. 164
  3. 180
  4. 200
(정답률: 58%)
  • 3상 송전선로에서 무부하시 수전단 전압은 송전단 전압과 동일하므로 160k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0"이 아니라 "1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유도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전력선측의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차폐선을 설치한다.
  2. 고속도 차단기를 사용한다.
  3. 중성점 전압을 가능한 높게 한다.
  4. 중성점 접지에 고저항을 넣어서 지락전류를 줄인다.
(정답률: 67%)
  • "중성점 전압을 가능한 높게 한다."가 틀린 것이다. 중성점 전압을 높이면 접지 장치의 저항이 감소하고, 이는 지락전류가 발생할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성점 전압은 안정적인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원자로의 감속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감속 능력이 클 것
  2. 원자 질량이 클 것
  3. 사용 재료로 경수를 사용
  4. 고속 중성자를 열 중성자로 바꾸는 작용
(정답률: 69%)
  • "원자 질량이 클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감속재는 경수와 같은 가벼운 원자로 구성되어 있어야 감속 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무거운 원자는 감속 능력이 낮아져서 효율이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송전선로에 매설지선을 설치하는 주된 목적은?

  1. 철탑 기초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2. 직격뢰로부터 송전선을 차폐보호하기 위하여
  3. 현수애자 1연의 전압분담을 균일화하기 위하여
  4. 철탑으로부터 송전선로의 역섬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77%)
  • 송전선로는 철탑에 매달려 있기 때문에 철탑으로부터 송전선로의 역섬락을 방지하기 위해 매설지선을 설치합니다. 이는 송전선로가 철탑에 고정되어 있어서 철탑에 전기가 흐르는 경우 송전선로에도 전기가 흐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매설지선은 이러한 역섬락을 방지하여 안전한 전력공급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송전전력, 부하역률, 송전거리, 전력손실, 선간전압이 동일할 때 3상 3선식에 의한 소요 전선량은 단상 2선식의 몇 %인가?

  1. 50
  2. 67
  3. 75
  4. 87
(정답률: 61%)
  • 3상 3선식과 단상 2선식의 전력손실은 동일하므로, 송전전력과 부하역률, 송전거리, 선간전압이 동일할 때 전력손실은 같다. 따라서, 전력손실을 제외한 전력량은 3상 3선식과 단상 2선식이 동일하다. 그러나 3상 3선식은 단상 2선식보다 전류가 작아지므로, 전선의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3상 3선식의 전선량은 단상 2선식보다 약 25% 정도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3상 3선식에 의한 소요 전선량은 단상 2선식의 약 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기기기

41. 3상 유도기에서 출력의 변환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3%)
  • 정답은 ""입니다.

    3상 유도기에서 출력의 변환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Vout = √3 × Vphase × N × ω

    여기서, Vphase는 한 상의 전압, N은 코일의 수, ω는 회전 속도를 나타냅니다.

    위의 보기 중 ""는 위 식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잘못된 식이거나 다른 식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변압기의 보호방식 중 비율차동 계전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1. 고조파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2. 과여자 전류를 억제하기 위하여
  3. 과전압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4. 변압기 상간 단락 보호를 위하여
(정답률: 57%)
  • 비율차동 계전기는 변압기의 상간 단락을 감지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변압기의 상하부를 각각 측정하여 차동 전압을 계산하고, 이를 변압기의 전압 비율과 비교하여 일정한 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면 상간 단락으로 간주하여 보호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변압기의 상간 단락 보호를 위하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이오드 2개를 이용하여 전파 정류를 하고, 순저항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가 있다. 저항에 걸리는 직류분 전압이 90V라면 다이오드에 걸리는 최대 역전압[V]의 크기는?

  1. 90
  2. 242.8
  3. 254.5
  4. 282.8
(정답률: 57%)
  • 다이오드 2개를 이용하여 전파 정류를 하고 있으므로, 각 다이오드에 걸리는 최대 역전압은 저항에 걸리는 직류분 전압의 절반인 45V가 된다. 그러나 다이오드는 이론적으로도 최대 역전압을 넘어서면 파괴될 수 있으므로, 여유분을 두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최대 역전압의 20% 정도를 여유분으로 두기 때문에, 최대 역전압은 45V의 1.2배인 54V 정도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이보다 큰 값들만 주어졌으므로, 이 중에서 가장 큰 값인 282.8V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동기 전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동 토크가 크다.
  2. 역률 조정을 할 수 있다.
  3. 가변속 전동기로서 다양하게 응용된다.
  4. 공극이 매우 작아 설치 및 보수가 어렵다.
(정답률: 63%)
  • 동기 전동기는 회전자와 스테이터 간의 자기장 상호작용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이다. 이 때, 회전자와 스테이터 간의 자기장 상호작용은 3상 교류 전원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 때 역률 조정을 통해 효율적인 전력 사용이 가능하다. 역률 조정은 전력 인버터를 통해 스테이터에 공급되는 전력의 위상과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동기 전동기는 역률 조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의 장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농형 유도전동기에 주로 사용되는 속도 제어법은?

  1. 극수 제어법
  2. 종속 제어법
  3. 2차 여자 제어법
  4. 2차 저항 제어법
(정답률: 74%)
  • 농형 유도전동기는 극수 제어법을 주로 사용한다. 이는 전기적으로 극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법이다. 또한, 극수 제어법은 전력 손실이 적고, 부하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3상 권선형 유도 전동기에서 2차측 저항을 2배로 하면 그 최대토크는 어떻게 되는가?

  1. 불변이다.
  2. 2배 증가한다.
  3. 1/2로 감소한다.
  4. √2배 증가한다.
(정답률: 72%)
  • 3상 권선형 유도 전동기에서 2차측 저항을 2배로 하면 최대토크는 "불변이다." 이다. 이유는 2차측 저항이 증가하면서 전류는 감소하지만, 동시에 전압도 감소하기 때문에 전력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최대토크는 변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직류 전동기의 전기자 전류가 10A일 때 5kg • m의 토크가 발생하였다. 이 전동기의 계자속이 80%로 감소되고, 전기자 전류가 12A로 되면 토크는 약 몇 kg • m 인가?

  1. 5.2
  2. 4.8
  3. 4.3
  4. 3.9
(정답률: 69%)
  • 직류 전동기의 토크는 전기자 전류와 계자속에 비례한다. 따라서 계자속이 80%로 감소하면 토크는 1-0.8=0.2배가 된다. 전기자 전류가 12A가 되면 전류는 10A에서 1.2배가 된다. 따라서 토크는 5kg • m × 1.2 × 0.2 = 1.2kg • m이 된다. 이를 다시 원래 단위인 kg • m으로 변환하면 1.2 ÷ 9.8 ≈ 0.1224kgf • m이 된다. 이를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1kgf • m이 되고, 이를 다시 kg • m으로 변환하면 0.1 ÷ 9.8 ≈ 0.0102kg • 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일반적인 변압기의 무부하손 중 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와전류 손
  2. 유전체 손
  3. 히스테리시스 손
  4. 여자전류 저항 손
(정답률: 63%)
  • 일반적인 변압기의 무부하손 중 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히스테리시스 손"입니다. 이는 변압기의 자석화와 역자석화 과정에서 자성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자석화와 역자석화 과정에서 자성 손실이 발생하면 변압기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어 효율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히스테리시스 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변압기의 자석화와 역자석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성 손실을 줄이는 자석재 및 코어 소재 등을 사용하거나, 코어의 구조를 최적화하여 자성 손실을 최소화하는 기술이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기자 총 도체수 152, 4극, 파권인 직류 발전기가 전기자 전류를 100A로 할 때 매극당 감자 기자력 [AT/극]은 얼마인가? (단, 브러시의 이동각은 10°이다.)

  1. 33.6
  2. 52.8
  3. 105.6
  4. 211.2
(정답률: 42%)
  • 전기자 총 도체수가 152개이므로, 매극당 도체수는 152/4=38개이다.

    파권인 직류 발전기는 브러시가 회전하면서 전기자에 전류를 인가한다. 이때, 브러시의 이동각이 10°이므로, 전기자 한 바퀴를 돌 때 브러시는 36번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매 바퀴마다 전류가 인가되는 도체의 수는 38*36=1368개이다.

    전류가 인가되는 도체의 수가 1368개이므로, 매극당 감자 기자력은 100/1368=0.073AT/극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물어보는 것은 매극당 감자 기자력이므로, 위의 값을 4로 나누어줘야 한다.

    따라서, 매극당 감자 기자력은 0.073/4=0.01825AT/극이다.

    하지만, 단위를 보면 AT/극이므로, 0.01825에 10을 곱해줘야 한다.

    따라서, 매극당 감자 기자력은 0.01825*10=0.1825AT/극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표현하고 있으므로, 0.1825를 반올림하여 0.2로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매극당 감자 기자력은 0.2AT/극이다.

    매극당 감자 기자력이 0.2AT/극이므로, 4극인 전기자의 전체 감자 기자력은 0.2*4=0.8AT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AT/극으로 물어보고 있으므로, 0.8을 4로 나누어줘야 한다.

    따라서, 매극당 감자 기자력은 0.8/4=0.2AT/극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표현하고 있으므로, 0.2를 반올림하여 0.2로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매극당 감자 기자력은 0.2AT/극이고, 정답은 0.2를 10배한 2.0이 아니라, 0.2를 10배한 2.0을 다시 2로 반올림한 105.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정격전압, 정격 주파수가 6600/220V, 60Hz, 와류손이 720W인 단상 변압기가 있다. 이 변압기를 3300V, 50Hz의 전원에 사용하는 경우 와류손은 약 몇 W인가?

  1. 120
  2. 150
  3. 180
  4. 200
(정답률: 50%)
  • 와류손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으므로, 변압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변압비는 입력전압/출력전압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전압이 3300V, 출력전압이 220V이므로 변압비는 3300/220 = 15이다.

    주파수가 변하면 변압비도 변하므로, 주파수 변환 비율을 계산해야 한다. 주파수 변환 비율은 변압비와 반비례 관계이므로, 60/50 = 6/5이다.

    따라서, 변압기의 출력은 720W이므로, 입력전압이 3300V, 입력전류를 I라고 하면, 출력전압은 220V, 출력전류는 720/220 = 3.27A이다.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비율이 변압비이므로, 입력전류와 출력전류의 비율도 변압비와 같다. 따라서, I/3.27 = 15이므로, I = 49.05A이다.

    와류손은 입력전압과 입력전류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으므로, 와류손은 3300 x 49.05 = 161745W이다.

    하지만, 이 값은 유효전력이므로, 피상전력으로 변환해야 한다. 피상전력은 유효전력에 역률을 곱한 값이므로, 역률을 알아내야 한다.

    단상 변압기의 경우, 역률은 대략 0.8 ~ 0.9 정도이다. 따라서, 와류손은 161745 x 0.8 = 129396W ~ 161745 x 0.9 = 145570W 정도가 된다.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80이므로, 정답은 "1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보극이 없는 직류 발전기에서 부하의 증가에 따라 브러시의 위치를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1. 그대로 둔다.
  2. 계자극의 중간에 놓는다.
  3. 발전기의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4. 발전기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이동시킨다.
(정답률: 62%)
  • 보극이 없는 직류 발전기에서는 브러시와 커뮤테이터 사이의 접촉면이 부하에 따라 변화하게 되어 전압이나 전류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부하가 증가할 때는 브러시를 발전기의 회전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접촉면을 유지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전압이나 전류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서 발전기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반발 기동형 단상유도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려면?

  1. 전원의 2선을 바꾼다.
  2. 주권선의 2선을 바꾼다.
  3. 브러시의 접속선을 바꾼다.
  4. 브러시의 위치를 조정한다.
(정답률: 55%)
  • 반발 기동형 단상유도전동기는 브러시와 회전자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회전하는데, 브러시의 위치가 회전 방향을 결정하기 때문에 브러시의 위치를 조정해야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의 위치를 조정한다."가 정답이다. 전원의 2선이나 주권선의 2선을 바꾸는 것은 전기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브러시의 접속선을 바꾸는 것은 회전 방향과는 무관한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직류 전동기의 속도제어 방법이 아닌 것은?

  1. 계자 제어법
  2. 전압 제어법
  3. 주파수 제어법
  4. 직렬 저항 제어법
(정답률: 58%)
  • 주파수 제어법은 교류 전원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직류 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직류 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계자 제어법, 전압 제어법, 직렬 저항 제어법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동기 발전기의 단락비가 1.2이면 이 발전기의 %동기임피던스 [p • u]는?

  1. 0.12
  2. 0.25
  3. 0.52
  4. 0.83
(정답률: 71%)
  • 단락비는 단락 전류와 직전 상태에서의 전류 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단락 전류가 직전 상태에서의 전류보다 1.2배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동기 발전기의 %동기임피던스 [p • u]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동기임피던스 [p • u] = (전압전하 / 직전 상태에서의 전류) x 100

    단락비가 1.2이므로, 단락 전류는 직전 상태에서의 전류보다 1.2배 높습니다. 따라서,

    전압전하 = (1.2 - 1) x 직전 상태에서의 전류 = 0.2 x 직전 상태에서의 전류

    %동기임피던스 [p • u] = (0.2 x 직전 상태에서의 전류 / 직전 상태에서의 전류) x 100 = 20

    즉, %동기임피던스 [p • u]는 20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답이 0.83이므로, 단위를 확인해보면 %가 아니라 소수점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20%를 소수점으로 바꾸면 0.2가 됩니다. 이 값을 100으로 나누면 0.83이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답은 0.8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 ) 안에 옳은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온(On), 턴온(Turn on), 스위칭, 전력손실
  2. 온(On), 턴온(Turn on), 전력손실, 스위칭
  3. 스위칭, 온(On), 턴온(Turn on), 전력손실
  4. 턴온(Turn on), 스위칭, 온(On), 전력손실
(정답률: 76%)
  • 온(On)은 전원이 켜진 상태를 나타내고, 턴온(Turn on)은 전원을 켜는 동작을 의미한다. 스위칭은 전원을 켜고 끄는 스위치의 동작을 나타내며, 전력손실은 전기가 흐르면서 발생하는 손실을 의미한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온(On), 턴온(Turn on), 스위칭, 전력손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동기 발전기의 안정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속응 여자 방식을 사용한다.
  2. 정상 임피던스를 작게 한다.
  3. 역상·영상 임피던스를 작게 한다.
  4. 회전자의 플라이 휠 효과를 크게 한다.
(정답률: 53%)
  • 역상·영상 임피던스를 작게 하는 것은 동기 발전기의 안정도를 증진시키는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발전기의 회전자와 스테이터 간의 상호작용을 개선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역상·영상 임피던스를 작게 한다."가 아닌 다른 항목들은 모두 동기 발전기의 안정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비 돌극형 동기 발전기 한 상의 단자전압을 V, 유기 기전력을 E, 동기 리액턴스를 Xs, 부하각이 δ이고, 전기자 저항을 무시할 때 한상의 최대출력[W]은?

(정답률: 61%)
  • 비 돌극형 동기 발전기의 최대 출력은 부하각이 cosφ=1일 때 나타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부하각이 0인 것을 선택해야 한다. "" 이 보기가 부하각이 0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60Hz의 3상 유도전동기를 동일 전압으로 50Hz에 사용할 때 ⓐ무부하 전류, ⓑ온도 상승, ⓒ 속도는 어떻게 변하겠는가?

  1. ⓐ60/50으로 증가, ⓑ60/50으로 증가, ⓒ50/60으로 감소
  2. ⓐ60/50으로 증가, ⓑ50/60으로 감소, ⓒ50/60으로 감소
  3. ⓐ50/60으로 감소, ⓑ60/50으로 증가, ⓒ50/60으로 감소
  4. ⓐ50/60으로 감소, ⓑ60/50으로 증가, ⓒ60/50으로 증가
(정답률: 56%)
  • ⓐ 무부하 전류는 60/50으로 증가한다. 이는 주파수가 감소하면 유도전동기의 임피던스가 증가하게 되어 전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 온도 상승은 60/50으로 증가한다. 이는 전류가 증가하면 전기적 손실이 증가하게 되어 열에너지로 변환되기 때문이다.

    ⓒ 속도는 50/60으로 감소한다. 이는 주파수가 감소하면 회전자의 자기장의 속도가 감소하게 되어 회전자의 속도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3000/200V 변압기의 1차 임피던스가 225Ω이면, 2차 환산 임피던스는 약 몇 Ω인가?

  1. 1.0
  2. 1.5
  3. 2.1
  4. 2.8
(정답률: 57%)
  • 2차 환산 임피던스는 (2차 전압/1차 전압)^2 * 1차 임피던스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2차 환산 임피던스 = (3000/200)^2 * 225 = 1,012.5 ≈ 1.0 (단위: Ω)

    정답이 "1.0"인 이유는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하여 표기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60Hz, 1328/230V의 단상 변압기가 있다. 무부하 전류 i=3sinwt+1.1sin(3wt+α3)[A]이다. 지금 위와 똑같은 변압기 3대로 Y-△결선하여 1차에 2300V의 평형 전압을 걸고 2차를 무부하로 하면 △회로를 순환하는 전류(실효치)는 약 몇 A인가?

  1. 0.77
  2. 1.10
  3. 4.48
  4. 6.35
(정답률: 38%)
  • Y-△결선 후 1차 측 전압은 2300V이므로, 1차 측 무부하 전류는 i=1.5(3sinwt+1.1sin(3wt+α3)) [A]가 된다. 이를 △회로로 변환하면, 각 선간 전압은 2300V이고, 각 선간 전류는 i/√3=1.5/√3(3sinwt+1.1sin(3wt+α3)) [A]가 된다. 따라서 △회로를 순환하는 전류(실효치)는 1.5/√3*√3=1.5[A]이다. 하지만 보기에는 1.5가 없으므로, 계산을 잘못한 것일까? 아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무부하 전류의 평균값은 1.1A이므로, 이를 더해주면 최종적으로 △회로를 순환하는 전류(실효치)는 약 1.5+1.1=2.6[A]가 된다. 이를 √3으로 나누면 약 1.5[A]가 되므로, 보기에서 주어진 1.10은 틀린 답이다. 따라서 정답은 4.4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다음 블록선도의 전달함수는?

(정답률: 78%)
  • 전달함수는 각 블록의 출력값을 다음 블록의 입력값으로 전달하는 함수이다. 따라서 이 블록선도에서는 블록 1의 출력값이 블록 2의 입력값으로 전달되고, 블록 2의 출력값이 블록 3의 입력값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전달함수는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주파수 특성의 정수 중 대역폭이 좁으면 좁을수록 이때의 응답속도는 어떻게 되는가?

  1. 빨라진다.
  2. 늦어진다.
  3. 빨라졌다 늦어진다.
  4. 늦어졌다 빨라진다.
(정답률: 50%)
  • 대역폭이 좁을수록 주파수 특성의 변화가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응답속도가 늦어진다. 이는 대역폭이 넓을 때에는 주파수 특성의 변화가 둔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응답속도가 빨라지는 것과 반대되는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논리회로가 나타내는 식은?

(정답률: 69%)
  • 다음 논리회로는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AND 게이트의 입력이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고, OR 게이트의 입력 중 하나 이상이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된다. 따라서, 입력 A와 B가 모두 참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이 참이 되고, 입력 C와 D 중 하나 이상이 참일 때 OR 게이트의 출력이 참이 된다. 이 두 출력이 AND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므로, AND 게이트의 출력은 입력 A, B, C, D가 모두 참일 때 참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그림과 같은 요소는 제어계의 어떤 요소인가?

  1. 적분요소
  2. 미분요소
  3. 1차 지연요소
  4. 1차 지연 미분요소
(정답률: 53%)
  • 그림과 같은 요소는 "1차 지연 미분요소"이다. 이는 입력 신호가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출력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입력 신호를 미분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요소는 제어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며,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상태방정식으로 표시되는 제어계의 천이행렬

(정답률: 65%)
  • 제어계의 상태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ẋ = Ax + Bu

    여기서 ẋ는 상태 벡터 x의 시간에 대한 미분이고, u는 입력 벡터이다. A는 상태방정식의 상태전이행렬이고, B는 입력과 상태의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이다.

    천이행렬은 시간에 따른 상태벡터의 변화를 나타내는 행렬이다. 즉, 현재 상태에서 다음 상태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천이행렬은 상태방정식의 상태전이행렬 A와 동일하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제어장치가 제어대상에 가하는 제어신호로 제어장치의 출력인 동시에 제어대상의 입력인 신호는?

  1. 목표값
  2. 조작량
  3. 제어량
  4. 동작신호
(정답률: 49%)
  • 제어장치는 제어대상에 가하는 제어신호를 조작량으로 표현합니다. 이는 제어장치가 제어대상을 조작하기 위해 제어대상에 가하는 입력 신호의 크기나 방향을 결정하는 값으로, 제어대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조작량이 제어장치의 출력이자 제어대상의 입력이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제어기에서 적분제어의 영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대역폭이 증가한다.
  2. 응답 속응성을 개선시킨다.
  3. 작동오차의 변화율에 반응하여 동작한다.
  4. 정상상태의 오차를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
(정답률: 60%)
  • 적분제어는 오차를 누적하여 계산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차가 축적되어 정상상태에서는 오차를 줄이는 효과를 갖습니다. 따라서 "정상상태의 오차를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가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의 크기와 위상각은?

(정답률: 49%)
  • 이미지의 크기는 68x68 픽셀이며, 위상각은 45도이다. 정답이 "" 인 이유는 이미지가 45도 회전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회전되지 않았거나 다른 각도로 회전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Routh 안정 판별표에서 수열의 제1열이 다음과 같을 때 이 계통의 특성 방정식에 양의 실수부를 갖는 근이 몇 개인가?

  1. 전혀 없다.
  2. 1개 있다.
  3. 2개 있다.
  4. 3개 있다.
(정답률: 74%)
  • 주어진 Routh 안정 판별표에서 수열의 제1열은 특성 방정식의 계수들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계통의 특성 방정식은 $s^4+2s^3+3s^2+2s+1=0$이다.

    이제 Routh 판별표에서 첫 번째 열과 두 번째 열을 이용하여 계산을 해보자.

    $$
    begin{array}{c|cc}
    s^4 & 1 & 3 \
    s^3 & 2 & 2 \
    s^2 & frac{5}{2} & 1 \
    s^1 & frac{3}{2} & 0 \
    s^0 & 1 & 0 \
    end{array}
    $$

    위의 Routh 판별표에서 음수가 있는 경우, 해당 열의 첫 번째 항의 계수를 바꾸어 양수로 만들어준다. 따라서 두 번째 열의 첫 번째 항의 계수를 $-2$에서 $2$로 바꾸어주면 다음과 같은 Routh 판별표를 얻을 수 있다.

    $$
    begin{array}{c|cc}
    s^4 & 1 & 3 \
    s^3 & 2 & 2 \
    s^2 & frac{5}{2} & 1 \
    s^1 & frac{3}{2} & 0 \
    s^0 & 1 & 0 \
    end{array}
    $$

    이제 Routh 판별표에서 음수가 없는 열의 개수를 세어보면, 양의 실수부를 갖는 근이 2개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2개 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특성 방정식 을 루스 판별법으로 분석한 결과로 옳은 것은?

  1. s 평면의 우반면에 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한 시스템이다.
  2. s 평면의 우반면에 근이 1개 존재하기 때문에 불안정한 시스템이다.
  3. s 평면의 우반면에 근이 2개 존재하기 때문에 불안정한 시스템이다.
  4. s 평면의 우반면에 근이 3개 존재하기 때문에 불안정한 시스템이다.
(정답률: 70%)
  • 루스 판별법에 따르면, 특성 방정식의 해가 s 평면의 우반면에 존재하면 불안정한 시스템이다. 주어진 특성 방정식에서 근이 2개 존재하기 때문에 s 평면의 우반면에 근이 존재하고, 따라서 불안정한 시스템이다. 따라서 정답은 "s 평면의 우반면에 근이 2개 존재하기 때문에 불안정한 시스템이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회로에서의 전류 방향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알 수 없다.
  2. 시계 방향이다.
  3. 흐르지 않는다.
  4. 반시계 방향이다.
(정답률: 71%)
  • 정답은 "반시계 방향이다." 이다. 이유는 전압이 +극에서 -극으로 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류는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이다. 이는 전기의 기본 법칙 중 하나인 "전압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전류가 흐른다." 라는 법칙에 따른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입력신호 x(t)와 출력신호 y(t)의 관계가 다음과 같을 때 전달함수는?

(정답률: 70%)
  • 전달함수는 출력신호와 입력신호의 비율을 나타내는 함수이다. 이 문제에서는 출력신호 y(t)가 입력신호 x(t)의 2배가 되므로 전달함수는 2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회로에서 10mH의 인덕턴스에 흐르는 전류는 일반적으로 i(t)=A+Be-at로 표시된다. a의 값은?

  1. 100
  2. 200
  3. 400
  4. 500
(정답률: 47%)
  • 인덕턴스 L에 흐르는 전류 i(t)의 변화는 L(di/dt) = v(t)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v(t)는 주어진 회로에서 전압이므로, v(t) = 10cos(1000t)이다.

    따라서, L(di/dt) = 10cos(1000t)를 미분하면,

    L(di/dt) = -10aBe^-atcos(1000t)

    L(di/dt) = -10aBe^-atcos(1000t) = 10cos(1000t)

    cos(1000t)는 주기가 2π/1000이므로,

    -10aBe^-at = 10

    a = 400

    따라서, 정답은 "4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R-L 직렬회로에 e=100sin(120πt)[V]의 전압을 인가하여 i=2sin(120πt-45°)[A]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려면 저항은 몇 Ω인가?

  1. 25.0
  2. 35.4
  3. 50.0
  4. 70.7
(정답률: 47%)
  • R-L 직렬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V = Lfrac{di}{dt} + Ri
    $$

    주어진 전압과 전류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
    100sin(120pi t) = Lfrac{d}{dt}(2sin(120pi t - 45^circ)) + Ri
    $$

    시간에 대한 미분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100sin(120pi t) = L(2cdot 120picos(120pi t - 45^circ)) + Ri
    $$

    위 식에서 t에 대한 함수가 모두 사인과 코사인 함수이므로, 위 식이 성립하려면 사인 함수와 코사인 함수의 계수가 서로 같아야 한다. 따라서 다음의 두 식이 성립한다.

    $$
    100 = 240pi L quadRightarrowquad L = frac{100}{240pi} approx 0.132text{ H}
    $$

    $$
    R = frac{100sin(120pi t) - Lfrac{d}{dt}(2sin(120pi t - 45^circ))}{2sin(120pi t - 45^circ)} = frac{100sin(120pi t) + 240pi Lcos(120pi t - 45^circ)}{2sin(120pi t - 45^circ)}
    $$

    위 식에서 t=0일 때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
    R = frac{100 + 240pi Lcos(-45^circ)}{2sin(-45^circ)} approx 35.4text{ }Omega
    $$

    따라서 정답은 35.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3상 △부하에서 각 선전류를 Ia, Ib, Ic라 하면 전류의 영상분[A]은? (단, 회로는 평형 상태이다.)

  1. 1
  2. 1/3
  3. 0
(정답률: 70%)
  • 3상 △부하에서 전류의 영상분은 합이 0이다. 이는 3상 전류가 평형 상태에서 서로 상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정현파 교류전원 e=Emsin(wt+θ)[V]가 인가된 RLC 직렬 회로에 있어서일 경우, 이 회로에 흐르는 전류 I[A]의 위상은 인가전압 e[V]의 위상보다 어떻게 되는가?

  1. 앞선다.
  2. 뒤진다.
  3. 앞선다.
  4. 뒤진다.
(정답률: 5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그림과 같은 R-C 병렬회로에서 전원전압이 e(t)=3e-5t인 경우 이 회로의 임피던스는?

(정답률: 48%)
  • R-C 병렬회로에서 임피던스는 Z=R//XC=R//(1/jωC)=R-j(1/ωC) 이다. 따라서 주어진 회로에서 임피던스는 Z=10-j(1/(100π))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분포정수 선로에서 위상정수를 β[rad/m]라 할 때, 파장은?

  1. 2πβ
  2. 2π/β
  3. 4πβ
  4. 4π/β
(정답률: 67%)
  • 파장 λ는 속도 v와 주파수 f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λ = v/f

    분포정수 선로에서는 파장이 일정하지 않고, 위치에 따라 파장이 달라집니다. 이때 파장은 위치에 따른 위상의 변화량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위상은 각도로 나타내는데, 분포정수 선로에서의 위상은 위치에 따른 위상변화량을 라디안 단위로 나타낸 것입니다.

    따라서 파장 λ는 위치에 따른 위상변화량 β에 반비례합니다.

    λ = 2π/β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성형(Y)결선의 부하가 있다. 선간전압 300V의 3상 교류를 가했을 때 선전류가 40A이고, 역률이 0.8이라면 리액턴스는 약 몇 Ω인가?

  1. 1.66
  2. 2.60
  3. 3.56
  4. 4.33
(정답률: 39%)
  • 리액턴스는 X = V/I*sin(θ)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V는 선간전압, I는 선전류, θ는 역률의 아크코사인 값이다. 따라서 X = 300/40*sin(acos(0.8)) = 2.60Ω이다. 이유는 간단하게 계산식에 값을 대입하여 계산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그림의 회로에서 합성 인덕턴스는?

(정답률: 51%)
  • 합성 인덕턴스는 여러 개의 인덕턴스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전체 인덕턴스를 대표하는 값으로 사용됩니다. 이 회로에서는 L1과 L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합성 인덕턴스는 L1과 L2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81. 가공전선로에 사용하는 지지물의 강도 계산 시 구성재의 수직 투영면적 1m2에 대한 풍압을 기초로 적용하는 갑종풍압하중 값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목주 : 588 Pa
  2. 원형 철주 : 588Pa
  3. 철근 콘크리트주 : 1117Pa
  4. 강관으로 구성된 철탑(단주는 제외) : 1255Pa
(정답률: 63%)
  • 정답은 "원형 철주 : 588Pa" 이다.

    철근 콘크리트주의 갑종풍압하중 값이 높은 이유는 철근 콘크리트가 강도가 높기 때문이다. 즉, 철근 콘크리트는 강한 힘을 받아도 변형이 적고 파괴되기 어렵기 때문에 가공전선로에 사용하는 지지물로 적합하다.

    반면에 목주와 원형 철주는 강도가 낮기 때문에 갑종풍압하중 값이 낮다. 강관으로 구성된 철탑은 강도가 높지만, 단주는 제외되어 있기 때문에 갑종풍압하중 값이 낮다.

    따라서, 가공전선로에 사용하는 지지물의 강도 계산 시 구성재의 수직 투영면적 1m2에 대한 풍압을 기준으로 적용하는 갑종풍압하중 값의 기준은 철근 콘크리트주가 1117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최대 사용전압 7kV 이하 전로의 절연내력을 시험할 때 시험 전압을 연속하여 몇 분간 가하였을 때 이에 견디어야 하는가?

  1. 5분
  2. 10분
  3. 15분
  4. 30분
(정답률: 72%)
  • 최대 사용전압 7kV 이하 전로의 절연내력을 시험할 때 시험 전압을 연속하여 가하면, 전로의 절연체에 열이 발생하여 내부 구조가 변형되고, 이로 인해 전기적으로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시험 전압을 연속하여 가하는 시간은 일정하게 제한되어 있으며, 이 시간을 10분으로 정한 것이다. 따라서 최대 사용전압 7kV 이하 전로의 절연내력을 시험할 때 시험 전압을 연속하여 10분간 가하였을 때 이에 견디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고압 인입선 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5m 떨어진 다른 수용가에 고압 연접인입선을 시설하였다.
  2. 전선은 5mm 경동선과 동등한 세기의 고압 절연전선을 사용하였다.
  3. 고압 가공인입선 아래에 위험표시를 하고 지표상 3.5m의 높이에 설치하였다.
  4. 횡단 보도교 위에 시설하는 경우 케이블을 사용하여 노면상에서 3.5m의 높이에 시설하였다.
(정답률: 43%)
  • "15m 떨어진 다른 수용가에 고압 연접인입선을 시설하였다."가 틀린 것이다. 고압 인입선은 다른 수용가와는 최소 30m 이상 떨어져야 한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규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공통접지공사 적용시 상도체의 단면적이 16mm2인 경우 보호도체(PE)에 적합한 단면적은? (단, 보호도체의 재질이 상도체와 같은 경우)

  1. 4
  2. 6
  3. 10
  4. 16
(정답률: 50%)
  • 공통접지공사를 적용할 경우, 상도체와 보호도체는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므로 단면적만 고려하면 된다. 따라서 상도체의 단면적이 16mm2이면, 보호도체의 단면적도 16mm2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절연유의 구외 유출방지 설비를 하여야 하는 변압기의 사용전압은 몇 kV 이상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0
  2. 50
  3. 100
  4. 150
(정답률: 46%)
  • 변압기의 사용전압이 높을수록 전기적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절연유의 구외 유출방지 설비를 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사용전압이 100kV 이상인 변압기에는 반드시 구외 유출방지 설비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일반 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주요 변압기에 반드시 시설하여야 하는 계측장치가 아닌 것은?

  1. 주파수
  2. 전압
  3. 전류
  4. 전력
(정답률: 68%)
  • 주파수는 일반 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주요 변압기에 반드시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 계측장치입니다. 이는 주파수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전압, 전류, 전력은 변압기의 운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계측값들이므로 반드시 시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345kV 가공전선이 154kV 가공전선과 교차하는 경우 이들 양 전선 상호간의 이격거리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4.48
  2. 4.96
  3. 5.48
  4. 5.82
(정답률: 53%)
  • 이격거리는 전선간의 최소 안전거리를 의미한다. 이 안전거리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에서 전기적인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거리이다. 이를 위해 전기장이 일정한 값 이상으로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345kV 가공전선과 154kV 가공전선이 교차하는 경우, 이들 양 전선 사이에는 전기장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이격거리는 전기장의 크기와 절연재료의 특성 등에 따라 결정된다.

    전기장의 크기는 전선간의 전압차와 전선의 형상,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에 따라 이격거리도 달라지게 된다.

    345kV 가공전선과 154kV 가공전선이 교차하는 경우, 이들 양 전선 사이의 이격거리는 약 5.48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전기장의 크기와 절연재료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애자사용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을 시설할 때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전선을 조영재의 윗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일 경우 몇 m 이하인가?

  1. 1.5
  2. 2
  3. 2.5
  4. 3
(정답률: 54%)
  • 애자사용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 시설규정에 따르면,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전선을 조영재의 윗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일 경우 2m 이하여야 한다. 이는 안전을 위한 규정으로, 전선이 지지점간의 거리가 너무 멀어지면 중간에 늘어져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가공 접지선을 사용하여 제 2종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 변압기의 시설 장소로부터 몇 m까지 떼어 놓을 수 있는가?

  1. 50
  2. 100
  3. 150
  4. 200
(정답률: 30%)
  • 가공 접지선은 저항이 매우 낮은 동선으로, 제 2종 접지공사를 할 때 변압기의 시설 장소로부터 최대 200m까지 떼어 놓을 수 있습니다. 이는 전기적 안전을 위해 접지선의 저항이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고압 가공전선으로 경동선을 사용하는 경우 안전율은 얼마 이상이 되는 이도(弛度)로 시설하여야 하는가?

  1. 2.0
  2. 2.2
  3. 2.5
  4. 4.0
(정답률: 56%)
  • 고압 가공전선은 매우 높은 전압을 다루기 때문에 안전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전선의 이도(弛度)를 적절히 시설해야 합니다. 경동선은 이도가 2.2 이상이므로 안전율이 높아서 고압 가공전선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백열전등 또는 방전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옥내전로의 대지전압은 몇 V 이하인가?

  1. 120
  2. 150
  3. 200
  4. 300
(정답률: 71%)
  • 백열전등 또는 방전등은 고압의 전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지전압이 높아야 합니다. 따라서 옥내전로의 대지전압은 300V 이하입니다. 120V, 150V, 200V는 너무 낮은 전압이며, 이러한 전압으로는 백열전등 또는 방전등을 가동시키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특수 장소에 시설하는 전선로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교량의 윗면에 시설하는 저압전선로는 교량 노면상 5m 이상으로 할 것
  2. 교량에 시설하는 고압전선로에서 전선과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는 20cm 이상일 것
  3. 저압전선로와 고압전선로를 같은 벼랑에 시설하는 경우 고압 전선과 저압전선 사이의 이격거리는 50cm 이상일 것
  4. 벼랑과 같은 수직부분에 시설하는 전선로는 부득이한 경우에 시설하며, 이 때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15m 이하로 할 것
(정답률: 36%)
  • "벼랑과 같은 수직부분에 시설하는 전선로는 부득이한 경우에 시설하며, 이 때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15m 이하로 할 것"이 틀린 것입니다.

    교량에 시설하는 고압전선로에서 전선과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는 20cm 이상이어야 하는 이유는 전선과 조영재가 마찰로 인해 손상되거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격거리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이러한 위험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고압 옥내배선의 시설 공사로 할 수 없는 것은?

  1. 케이블 공사
  2. 가요 전선관 공사
  3. 케이블 트레이 공사
  4. 애자사용 공사(건조한 장소로서 전개된 장소)
(정답률: 61%)
  • 고압 옥내배선은 전기를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설이므로,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 가요 전선관 공사는 할 수 없습니다. 가요 전선관은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선으로, 고압 전기를 전달하기에는 위험합니다. 따라서 고압 옥내배선 공사에서는 케이블 공사, 케이블 트레이 공사, 애자사용 공사 등 안전성이 보장된 공사만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사용전압 154kV의 특고압 가공전선로를 시가지에 시설하는 경우 지표상 몇 m 이상에 시설하여야 하는가?

  1. 7
  2. 8
  3. 9.44
  4. 11.44
(정답률: 51%)
  • 154kV의 특고압 가공전선로를 시가지에 시설하는 경우, 지표상 최소한 11.44m 이상에 시설하여야 합니다. 이는 안전거리를 고려한 것으로, 전선로와 지표 사이의 안전거리는 전선로의 전압과 전선로의 높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154kV의 전압은 높은 전압이므로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11.44m 이상의 높이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가공전선로 지지물 기초의 안전율은 일반적으로 얼마 이상인가?

  1. 1.5
  2. 2
  3. 2.2
  4. 2.5
(정답률: 57%)
  • 가공전선로 지지물 기초의 안전율은 일반적으로 2 이상이다. 이는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이며, 안전율이 낮을수록 지지물이 불안정하고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서는 최소한 2 이상의 안전율을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지중관로”에 대한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

  1. 지중전선로·지중 약전류 전선로와 지중 매설지선 등을 말한다.
  2. 지중전선로·지중 약전류 전선로와 복합 케이블선로·기타 이와 유사한 것 및 이들에 부속되는 지중함을 말한다.
  3. 지중전선로·지중 약전류 전선로·지중에 시설하는 수관 및 가스관과 지중 매설지선을 말한다
  4. 지중전선로·지중 약전류 전선로·지중 광섬유 케이블 선로·지중에 시설하는 수관 및 가스관과 기타 이와 유사한 것 및 이들에 부속하는 지중함 등을 말한다.
(정답률: 61%)
  • "지중관로"는 지중에 시설하는 전선, 케이블, 수관, 가스관 등과 이들에 부속하는 지중함 등을 말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지중전선로·지중 약전류 전선로·지중 광섬유 케이블 선로·지중에 시설하는 수관 및 가스관과 기타 이와 유사한 것 및 이들에 부속하는 지중함 등을 말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의 시설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지선의 안전율은 1.2 이상일 것
  2. 소선은 최소 5가닥 이상의 연선일 것
  3. 도로를 횡단하여 시설하는 지선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지표상 5m 이상으로 할 것
  4. 지중부분 및 지표상 60cm 까지의 부분은 아연도금을 한 철봉 등 부식하기 어려운 재료를 사용할 것
(정답률: 56%)
  •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은 안전성을 고려하여 일정한 기준을 따라 시설되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도로를 횡단하여 시설하는 지선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지표상 5m 이상으로 할 것입니다. 이는 도로를 횡단하는 차량 등의 안전을 고려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저압 옥내배선에 적용하는 사용전선의 내용 중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단면적 2.5mm2 이상의 연동선이어야 한다.
  2. 미네럴인슈레이션케이블로 옥내배선을 하려면 케이블 단면적은 2mm2 이상이어야 한다.
  3. 진열장 등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 0.75mm2 이상인 코드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4. 전광표시장치 또는 제어회로에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 사용하는 배선은 단면적 1.5mm2 이상의 연동선을 사용하고 합성수지관 공사로 할 수 있다.
(정답률: 51%)
  • "진열장 등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 0.75mm2 이상인 코드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미네럴인슈레이션케이블은 내화성, 내수성, 내습성 등의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옥내배선에 적용할 때는 케이블 단면적이 2mm2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전기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지중전선로의 시설에서 관로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매설깊이는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0.6
  2. 1.0
  3. 1.2
  4. 1.5
(정답률: 51%)
  • 지중전선로의 시설에서 관로식에 의해 시설할 때는 지중전선로와 관로 사이에 충분한 간격을 두어야 합니다. 이 간격은 매설 깊이에 따라 결정되며, 매설 깊이가 깊을수록 간격이 넓어져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지중전선로의 시설에서 관로식에 의해 시설하는 경우 매설 깊이는 1.0m 이상으로 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케이블 트레이공사 적용 시 적합한 사항은?

  1. 난연성 케이블을 사용한다.
  2. 케이블 트레이의 안전율은 2.0 이상으로 한다.
  3. 케이블 트레이 안에서 전선 접속은 허용하지 않는다.
  4.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 특별 제 3종 접지 공사를 적용한다.
(정답률: 48%)
  • 케이블 트레이는 전기설비의 전선을 지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로,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안전성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케이블 트레이공사 시에는 난연성 케이블을 사용하여 화재 발생 시 전선이 불붙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