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8-14)

전기기사
(2021-08-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자기학

1. 자기 인덕턴스가 각각 L1, L2인 두 코일의 상호 인덕턴스가 M일 때 결합 계수는?

(정답률: 80%)
  • 결합 계수는 M / √(L1L2)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이 정답인 이유는 M이 일정하고 L1과 L2가 같아야 결합 계수가 최대가 되기 때문입니다. 즉, 두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가 같고 서로 완전히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결합 계수가 최대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정상 전류계에서 J는 전류밀도, σ는 도전율, ρ는 고유저항, E는 전계의 세기일 때, 옴의 법칙의 미분형은?

  1. J=σE
  2. J=E/σ
  3. J=ρE
  4. J=ρσE
(정답률: 66%)
  • 옴의 법칙은 전류 밀도(J)와 전기장(E)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이 때, 도전율(σ)은 전기장(E)과 전류밀도(J)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수입니다. 따라서, J와 E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은 J=σE가 됩니다. 이 식은 옴의 법칙의 미분형으로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길이가 10cm이고 단면의 반지름이 1cm인 원통형 자성체가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자화되어 있을 때 자화의 세기가 0.5Wb/m2이라면 이 자성체의 자기모멘트(Wbㆍm)는?

  1. 1.57×10-5
  2. 1.57×10-4
  3. 1.57×10-3
  4. 1.57×10-2
(정답률: 44%)
  • 자기모멘트는 자화의 세기와 자성체의 부피, 그리고 자성체의 자기적인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자화의 세기와 자성체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자성체의 자기적인 특성에 따라 자기모멘트를 구할 수 있다.

    원통형 자성체의 자기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 = μV

    여기서 M은 자기모멘트, μ는 자성체의 자화율, V는 자성체의 부피이다.

    자성체의 자화율은 0.5Wb/m2로 주어졌으므로, 이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M = (0.5 Wb/m2) × (π × (0.01 m)2 × 0.1 m)

    여기서 π × (0.01 m)2는 자성체의 단면적을 나타내고, 0.1 m은 자성체의 길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계산하면,

    M = 1.57 × 10-5 Wbㆍm

    즉, 자기모멘트는 1.57 × 10-5 Wbㆍm이다. 따라서 정답은 "1.57×1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과 같이 공기 중 2개의 동심 구도체에서 내구(A)에만 전하 Q를 주고 외구(B)를 접지하였을 때 내구(A)의 전위는?

  1. 0
(정답률: 65%)
  • 내구(A)와 외구(B) 사이에는 전하가 흐르지 않으므로 내구(A)와 외구(B)는 같은 전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내구(A)의 전위는 0V이 아닌 ""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평행판 커패시터에 어떤 유전체를 넣었을 때 전속밀도가 4.8×10-7C/m2이고 단위 체적당 정전에너지가 5.3×10-3J/m3이었다. 이 유전체의 유전율은 약 몇 F/m인가?

  1. 1.15×10-11
  2. 2.17×10-11
  3. 3.19×10-11
  4. 4.21×10-11
(정답률: 68%)
  • 평행판 커패시터의 용량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C = εA/d

    여기서 C는 용량, ε는 유전율, A는 평행판의 면적, d는 평행판 사이의 거리이다. 전속밀도와 단위 체적당 정전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D = εE
    U = 1/2εE^2

    여기서 D는 전속밀도, E는 전기장, U는 단위 체적당 정전에너지이다. 이 문제에서는 전기장이 일정하므로 전속밀도와 정전에너지는 비례한다. 따라서 유전율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ε = U/(1/2DE^2) = 2U/D(E^2)

    여기서 D와 E는 문제에서 주어진 값이므로, 유전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정전에너지 U만 구하면 된다. 문제에서 주어진 단위 체적당 정전에너지를 체적으로 곱하면 전체 정전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

    U = (5.3×10^-3 J/m^3) × (1 m^3) = 5.3×10^-3 J

    따라서 유전율은 다음과 같다.

    ε = 2U/D(E^2) = 2(5.3×10^-3 J)/(4.8×10^-7 C/m^2)(E^2)

    여기서 E는 평행판 사이의 전기장이다. 평행판 사이의 전기장은 전속밀도와 용량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E = D/ε = (4.8×10^-7 C/m^2)/(εA)

    따라서 유전율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ε = 2(5.3×10^-3 J)/(4.8×10^-7 C/m^2)[(4.8×10^-7 C/m^2)/(εA)]^2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ε^3 = (2×5.3×10^-3 J)/(A^2)(4.8×10^-7 C/m^2)^2

    ε = (2×5.3×10^-3 J)/(A^2)(4.8×10^-7 C/m^2)^2)^1/3

    여기서 A는 평행판의 면적이므로, 문제에서 주어진 값인 1 m^2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ε = (2×5.3×10^-3 J)/(1 m^2)(4.8×10^-7 C/m^2)^2)^1/3

    ε = 2.17×10^-11 F/m

    따라서 정답은 "2.17×10^-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히스테리시스 곡선에서 히스테리시스 손실에 해당하는 것은?

  1. 보자력의 크기
  2. 잔류자기의 크기
  3. 보자력과 잔류자기의 곱
  4.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면적
(정답률: 79%)
  • 히스테리시스 곡선은 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자성 물질의 특성을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이 곡선의 면적은 자기장의 주기성 변화에 따른 자성 물질의 손실을 나타내는데, 이를 히스테리시스 손실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면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과 같이 극판의 면적이 S(m2)인 평행판 커패시터에 유전율이 각각 ε1=4, ε2=2인 유전체를 채우고 a, b 양단에 V(V)의 전압을 인가했을 때 ε1, ε2인 유전체 내부의 전계의 세기 E1과 E2의 관계식은? (단, σ(C/m2)는 면전하밀도이다.)

  1. E1=2E2
  2. E1=4E2
  3. 2E1=E2
  4. E1=E2
(정답률: 64%)
  • 유전체 내부의 전계의 세기 E는 E=V/d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d는 유전체의 두께이다.

    따라서,

    유전율이 ε1인 유전체 내부의 전계의 세기 E1 = V/d1

    유전율이 ε2인 유전체 내부의 전계의 세기 E2 = V/d2

    여기서, d1 = a, d2 = b-a 이므로

    E1 = V/a

    E2 = V/(b-a)

    따라서,

    2E1 = 2V/a

    E2 = V/(b-a)

    위의 두 식이 같아지려면,

    2V/a = V/(b-a)

    2(b-a) = a

    2b - 2a = a

    b = 3a/2

    즉, b와 a의 비율은 3:2이다.

    따라서,

    E1 = V/a

    E2 = V/(3a/2) = 2V/3a

    2E1 = 2V/a

    E2 = 2V/3a

    따라서,

    2E1 = E2

    즉, "2E1=E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간격이 d(m)이고 면적이 S(m2)인 평행판 커패시터의 전극 사이에 유전율이 ε인 유전체를 넣고 전극 간에 V(V)의 전압을 가했을 때, 이 커패시터의 전극판을 떼어내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N)는?

(정답률: 59%)
  • 유전체를 넣기 전에는 커패시터의 전하 밀도는 σ = εV/d 이다. 유전체를 넣으면 전하 밀도는 σ' = ε'V/d 가 되고, 이 때 유전체 내부의 전기장은 E = V/dε' 이다. 따라서 유전체 내부의 전하 밀도는 σ'' = ε'E = V/ddd 이다. 이를 이용하여 전극판을 떼어내는데 필요한 힘을 구하면 F = σ''S = V/dddS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기자력(magnetomotive forc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I 단위는 암페어(A)이다.
  2. 전기회로의 기전력에 대응한다.
  3. 자기회로의 자기저항과 자속의 곱과 동일하다.
  4. 코일에 전류를 흘렸을 때 전류밀도와 코일의 권수의 곱의 크기와 같다.
(정답률: 52%)
  • "코일에 전류를 흘렸을 때 전류밀도와 코일의 권수의 곱의 크기와 같다."는 기자력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내는 자기력선의 밀도와 관련된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코일에 전류를 흘렸을 때 전류밀도와 코일의 권수의 곱의 크기와 같다." 이다.

    기자력은 전기회로에서 전기력과 같은 개념으로, 자기회로에서는 자기저항과 자속의 곱과 동일하다. SI 단위는 암페어(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유전율 ε, 투자율 μ인 매질 내에서 전자파의 전파속도는?

(정답률: 70%)
  • 전자파의 전파속도는 매질 내에서의 유전율과 투자율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중에서 유전율 ε는 매질 내에서 전기장이 전기적으로 저장되는 정도를 나타내며, 투자율 μ는 매질 내에서 자기장이 자기적으로 저장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전파속도는 유전율과 투자율의 곱으로 결정되며, 보기 중에서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평균 반지름(r)이 20cm, 단면적(S)이 6cm2인 환상 철심에서 권선수(N)가 500회인 코일에 흐르는 전류(I)가 4A일 때 철심 내부에서의 자계의 세기(H)는 약 몇 AT/m인가?

  1. 1590
  2. 1700
  3. 1870
  4. 2120
(정답률: 64%)
  • 먼저, 환상 철심의 단면적(S)과 평균 반지름(r)을 이용하여 환상 철심의 길이(l)를 구해보자.

    S = πr^2
    6 = π(20)^2
    l = S/πr = 6/π(20) ≈ 0.0955m

    다음으로, 권선수(N)와 전류(I)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세기(H)를 구해보자.

    H = N*I/l

    H = 500*4/0.0955 ≈ 20884.8 A/m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AT/m이므로, A/m을 AT/m으로 변환해주어야 한다.

    H = 20884.8/1000 ≈ 20.88 AT/m

    따라서, 정답은 20.88을 반올림하여 21로 나타내면, 21*75.8 ≈ 1590이 된다. 이는 보기 중에서 유일하게 1590이므로, 정답은 159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패러데이관(Faraday tube)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패러데이관 중에 있는 전속수는 그 관속에 진전하가 없으면 일정하며 연속적이다.
  2. 패러데이관의 양단에는 양 또는 음의 단위 진전하가 존재하고 있다.
  3. 패러데이관 한 개의 단위 전위차 당 보유에너지는 (1/2)J이다.
  4. 패러데이관의 밀도는 전속밀도와 같지 않다.
(정답률: 71%)
  • "패러데이관의 밀도는 전속밀도와 같지 않다."가 틀린 것이다. 패러데이관의 밀도는 전속밀도와 같다. 이는 전기장이 일정하고 전기장의 크기와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공기 중 무한 평면도체의 표면으로부터 2m 떨어진 곳에 4C의 점전하가 있다. 이 점전하가 받는 힘은 몇 N인가?

(정답률: 50%)
  • 점전하가 받는 힘은 전하와 전기장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먼저 전기장을 구해야 한다.

    전기장은 전하에 의해 생성된 영향력이다. 무한 평면도체의 표면은 전기장이 수직으로 향하므로, 이 점전하에 대한 전기장은 수직으로 향하는 것이다. 전기장의 크기는 전하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전기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E = frac{kQ}{r^2} = frac{9 times 10^9 times 4}{2^2} = 9 times 10^{10} N/C$

    여기서 $k$는 쿨롱 상수이고, $Q$는 전하량, $r$은 거리이다.

    이제 점전하가 받는 힘을 구할 수 있다. 점전하가 받는 힘은 전하와 전기장의 곱이므로 다음과 같다.

    $F = EQ = (9 times 10^{10})(4) = 3.6 times 10^{11} N$

    따라서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전기장과 전하의 관계식인 $F = EQ$를 이용하여 전기장과 전하를 구하고, 이를 곱하여 점전하가 받는 힘을 구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반지름이 r(m)인 반원형 전류 I(A)에 의한 반원의 중심(O)에서 자계의 세기(AT/m)는?

  1. 2I/r
  2. I/r
  3. I/2r
  4. I/4r
(정답률: 53%)
  • 전류 I가 반원 전체를 흐르는 것으로 가정하면, 반원의 자계는 전류 I에 비례한다. 하지만 반원의 중심 O에서는 전류가 대칭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중심 O에서의 자계는 전류 I에 비례하는 반원의 일부분이 된다. 이 일부분은 반원의 둘레의 절반인 2r 중에서 반원의 각도에 해당하는 부분만큼이다. 따라서 중심 O에서의 자계는 (I/2r) * (πr) = Iπ/2에 해당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반원의 반지름이 r이므로, 중심 O에서의 자계는 Iπ/4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I/4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진공 중에서 점(0, 1)m의 위치에 -2×10-9 C의 점전하가 있을 때, 점(2, 0)m에 있는 1C의 점전하에 작용하는 힘은 몇 N인가? (단, 는 단위벡터이다.)

(정답률: 5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내압이 2.0kV이고 정전용량이 각각 0.01μF, 0.02μF, 0.04μF인 3개의 커패시터를 직렬로 연결했을 때 전체 내압은 몇 V인가?

  1. 1750
  2. 2000
  3. 3500
  4. 4000
(정답률: 52%)
  • 커패시터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는 각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이 합쳐진 값이 전체 정전용량이 된다. 따라서 전체 정전용량은 0.01μF + 0.02μF + 0.04μF = 0.07μF가 된다. 내압은 커패시터의 정전용량과 충전된 전압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전체 내압은 0.07μF × 2.0kV = 1400V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값은 이보다 큰 값들뿐이다. 따라서 이 값에 2개 이상의 커패시터가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3개의 커패시터를 직렬로 연결하면 각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은 서로 다르다. 전체 내압은 각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각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은 전체 내압과 각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의 비율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은 0.07μF / 0.01μF × 2.0kV = 14kV, 0.07μF / 0.02μF × 2.0kV = 7kV, 0.07μF / 0.04μF × 2.0kV = 3.5kV가 된다. 이 중 가장 작은 값인 3.5kV가 전체 내압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5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과 같이 단면적 S(m2)가 균일한 환상철심에 권수 N1인 A 코일과 권수 N2인 B 코일이 있을 때, A코일의 자기 인덕턴스가 L1(H)이라면 두 코일의 상호 인덕턴스 M(H)는? (단, 누설자속은 0이다.)

(정답률: 68%)
  • 두 코일의 상호 인덕턴스 M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 = k√(L1L2)

    여기서 k는 상수이며, 두 코일의 기하학적인 형태와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하지만 두 코일이 같은 환상철심에 균일하게 감겨 있으므로, k는 두 코일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 d와 단면적 S에만 의존한다.

    따라서, M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 = k√(L1L2) = k√(μ0N1N2S/d)

    여기서 μ0는 자유공간의 자기유도율이고, N1과 N2는 각각 A코일과 B코일의 권수이다.

    보기 중에서 ""은 이 식과 일치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간격 d(m), 면적 S(m2)의 평행판 전극 사이에 유전율이 ε인 유전체가 있다. 전극 간에 v(t)=Vmsinωt의 전압을 가했을 때, 유전체 속의 변위전류밀도(A/m2)는?

(정답률: 54%)
  • 유전체 내의 전기장은 E=V/d로 주어진다. 따라서 유전체 내의 전기장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유전체 내의 변위전류밀도는 전압의 주파수와는 무관하며, 유전율과 전기장에 비례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속도 v의 전자가 평등자계 내에 수직으로 들어갈 때, 이 전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구면위에서 회전하고 구의 반지름은 자계의 세기에 비례한다.
  2. 원운동을 하고 원의 반지름은 자계의 세기에 비례한다.
  3. 원운동을 하고 원의 반지름은 자계의 세기에 반비례한다.
  4. 원운동을 하고 원의 반지름은 전자의 처음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56%)
  • 정답은 "원운동을 하고 원의 반지름은 자계의 세기에 반비례한다."입니다.

    전자가 평등자계 내에 들어가면 자계에 의해 힘이 작용하게 되어 전자는 원운동을 하게 됩니다. 이 때, 전자의 운동반경은 자계의 세기에 반비례하게 됩니다. 이는 로런츠력의 크기가 자계의 세기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계가 강할수록 전자의 운동반경은 작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쌍극자 모멘트가 M(C·m)인 전기쌍극자에 의한 임의의 점 P에서의 전계의 크기는 전기쌍극자의 중심에서 축방향과 점 P를 잇는 선분 사이의 각이 얼마일 때 최대가 되는가?

  1. 0
  2. π/2
  3. π/3
  4. π/4
(정답률: 62%)
  • 전기쌍극자의 중심에서 축방향과 점 P를 잇는 선분 사이의 각이 0일 때, 즉 축방향과 점 P가 같은 직선상에 있을 때 전기장의 크기는 0이 된다. 따라서 최대값이 아닌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력공학

21. 동작 시간에 따른 보호 계전기의 분류와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순한시 계전기는 설정된 최소동작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즉시 동작한다.
  2. 반한시 계전기는 동작시간이 전류값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전류값이 클수록 느리게 동작하고 반대로 전류값이 작아질수록 빠르게 동작하는 계전기이다.
  3. 정한시 계전기는 설정된 값 이상의 전류가 흘렀을 때 동작 전류의 크기와는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시간 후에 동작하는 계전기이다.
  4. 반한시·정한시 계전기는 어느 전류값까지는 반한시성이지만 그 이상이 되면 정한시로 동작하는 계전기이다.
(정답률: 62%)
  • 정답은 "반한시 계전기는 동작시간이 전류값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전류값이 클수록 느리게 동작하고 반대로 전류값이 작아질수록 빠르게 동작하는 계전기이다."이 아닌 "반한시·정한시 계전기는 어느 전류값까지는 반한시성이지만 그 이상이 되면 정한시로 동작하는 계전기이다."입니다.

    반한시 계전기는 전류값이 작을 때는 빠르게 동작하여 전류가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전류값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동작 시간이 느려져서 정한시 계전기처럼 일정 시간 후에 동작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환상선로의 단락보호에 주로 사용하는 계전방식은?

  1. 비율차동계전방식
  2. 방향거리계전방식
  3. 과전류계전방식
  4. 선택접지계전방식
(정답률: 55%)
  • 환상선로의 단락보호에는 방향거리계전방식이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전류의 방향과 거리를 측정하여 단락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으로, 단락이 발생한 위치를 빠르게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비율차동계전방식은 전류의 비율 차이를 이용하여 보호하는 방식이고, 과전류계전방식은 일정한 전류 이상이 흐를 때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선택접지계전방식은 접지된 부분을 선택하여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옥내배선을 단상 2선식에서 단상 3선식으로 변경하였을 때, 전선 1선당 공급전력은 약 몇 배 증가하는가? (단, 선간전압(단상 3선식의 경우는 중성선과 타선간의 전압), 선로전류(중성선의 전류 제외) 및 역률은 같다.)

  1. 0.71
  2. 1.33
  3. 1.41
  4. 1.73
(정답률: 55%)
  • 단상 2선식에서는 전선 1선당 공급전력이 선간전압과 선로전류의 곱으로 결정되고, 단상 3선식에서는 선간전압과 선로전류, 그리고 역률의 곱으로 결정된다. 선간전압과 선로전류, 역률은 같으므로, 전선 1선당 공급전력은 선간전압의 제곱에 비례한다.

    단상 2선식에서는 선간전압이 단상전압과 같으므로, 단상 3선식에서 선간전압은 단상전압의 루트 3배가 된다. 따라서 전선 1선당 공급전력은 (루트 3)^2 = 3배 증가하게 된다.

    즉, 전선 1선당 공급전력은 약 1.33배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3상용 차단기의 정격차단용량은 그 차단기의 정격전압과 정격차단전류와의 곱을 몇 배한 것인가?

  1. 1/√2
  2. 1/√3
  3. √2
  4. √3
(정답률: 70%)
  • 3상용 차단기는 3상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각 상의 전압과 전류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정격차단용량은 정격전압과 정격차단전류와의 곱에 √3을 곱한 값이 된다.

    이는 3상 전원에서 각 상의 전압이 서로 120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각 상의 전류를 모두 합쳐서 계산해야 하기 때문이다. √3을 곱하는 것은 3상 전원에서 각 상의 전류를 합쳐서 계산할 때, 각 상의 전류에 √3을 곱해줘야 전체 전류를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유효낙차 100m. 최대 유량 20m3/s의 수차가 있다. 낙차가 81m로 감소하면 유량(m3/s)은? (단, 수차에서 발생되는 손실 등은 무시하며 수차 효율은 일정하다.)

  1. 15
  2. 18
  3. 24
  4. 30
(정답률: 46%)
  • 유효낙차와 최대 유량을 이용하여 수차의 효율을 구할 수 있다.

    유효낙차 = 수면고 - 하류수면고 = 100m
    최대 유량 = 20m^3/s

    수차 효율은 일정하므로, 유효낙차와 최대 유량을 이용하여 수차의 유효높이를 구할 수 있다.

    유효높이 = 유효낙차 / 수차 효율 = 100m / 1 = 100m

    낙차가 81m로 감소하면, 유효낙차는 100m - 81m = 19m가 된다.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유효높이를 구할 수 있다.

    새로운 유효높이 = 유효낙차 / 수차 효율 = 19m / 1 = 19m

    유효높이가 감소하면 유량은 감소하게 된다. 이때, 유량과 유효높이는 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유효높이가 100m에서 19m로 감소하면 유량은 다음과 같이 감소한다.

    유량 감소 비율 = 유효높이 감소 비율 = 19m / 100m = 0.19

    유량 감소량 = 최대 유량 x 유량 감소 비율 = 20m^3/s x 0.19 = 3.8m^3/s

    따라서, 낙차가 81m로 감소하면 유량은 20m^3/s - 3.8m^3/s = 16.2m^3/s가 된다.

    정답은 "18"이 아니라 "16.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단락용량 3000MVA인 모선의 전압이 154kV라면 등가 모선 임피던스(Ω)는 약 얼마인가?

  1. 5.81
  2. 6.21
  3. 7.91
  4. 8.71
(정답률: 55%)
  • 등가 모선 임피던스(Ω)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등가 모선 임피던스(Ω) = (전압(V) / 전력(MVA))² x 1000000

    따라서, 단락용량 3000MVA인 모선의 전압이 154kV일 때 등가 모선 임피던스(Ω)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등가 모선 임피던스(Ω) = (154000 / 3000)² x 1000000
    = 7.91

    따라서, 정답은 "7.9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중성점 접지 방식 중 직접접지 송전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선 지락 사고 시 지락전류는 타접지방식에 비하여 최대로 된다.
  2. 1선 지락 사고 시 지락계전기의 동작이 확실하고 선택차단이 가능하다.
  3. 통신선에서의 유도장해는 비접지방식에 비하여 크다.
  4. 기기의 절연레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정답률: 48%)
  • "1선 지락 사고 시 지락전류는 타접지방식에 비하여 최대로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직접접지 송전방식은 중성점을 지면에 직접 접지시키는 방식으로, 지락 발생 시 지락전류가 지면을 통해 바로 접지되기 때문에 타접지방식에 비해 지락전류가 작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1선 지락 사고 시 지락전류는 타접지방식에 비하여 최대로 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그러나 "기기의 절연레벨을 상승시킬 수 있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직접접지 송전방식은 중성점을 지면에 직접 접지시키기 때문에 지락 발생 시 지락전류가 작아지는 것 외에도, 기기의 절연레벨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중성점을 접지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유출전류가 감소하고, 따라서 기기의 절연레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송전선에 직렬콘덴서를 설치하였을 때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선로 중에서 일어나는 전압강하를 감소시킨다.
  2. 송전전력의 증가를 꾀할 수 있다.
  3. 부하역률이 좋을수록 설치효과가 크다.
  4.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전류에 의하여 과전압이 발생한다.
(정답률: 54%)
  • "부하역률이 좋을수록 설치효과가 크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직렬콘덴서는 부하의 리액턴스를 보상하여 전압강하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부하역률이 낮을수록 직렬콘덴서의 효과가 더욱 커집니다. 부하역률이 좋을수록 즉, 부하가 많을수록 직렬콘덴서의 효과는 줄어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수압철관의 안지름이 4m인 곳에서의 유속이 4m/s이다. 안지름이 3.5m인 곳에서의 유속(m/s)은 약 얼마인가?

  1. 4.2
  2. 5.2
  3. 6.2
  4. 7.2
(정답률: 54%)
  • 유체의 연속성 원리에 따라 유속과 단면적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안지름이 4m인 곳에서의 유속이 4m/s일 때, 안지름이 3.5m인 곳에서의 유속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4m/s) × (4m)^2 ÷ (3.5m)^2 ≈ 5.2m/s

    따라서 정답은 "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경간이 200m인 가공 전선로가 있다. 사용전선의 길이는 경간보다 약 몇 m 더 길어야 하는가? (단, 전선의 1m당 하중은 2kg, 인장하중은 4000kg이고, 풍압하중은 무시하며, 전선의 안전율은 2이다.)

  1. 0.33
  2. 0.61
  3. 1.41
  4. 1.73
(정답률: 50%)
  • 전선의 안전율이 2이므로, 인장하중의 1/2인 2000kg을 견딜 수 있다. 따라서, 사용전선의 무게는 2000kg과 전선의 길이에 비례한다. 전선의 길이를 x라고 하면, 사용전선의 무게는 2xkg이다. 또한, 전선의 하중은 2kg/m이므로, 전선의 무게와 길이에 비례한다. 전선의 길이를 y라고 하면, 전선의 무게는 2ykg이다. 따라서, 2x = 2y + 2000이다. 이를 정리하면, x = y + 1000이다. 즉, 사용전선의 길이는 경간보다 1000m 더 길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전선의 길이는 1200m이 되며, 경간보다 200m 더 길어졌다. 따라서, 사용전선의 길이는 경간보다 약 0.33m 더 길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송전선로에서 현수 애자련의 연면 섬락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댐퍼
  2. 철탑 접지 저항
  3. 현수 애자련의 개수
  4. 현수 애자련의 소손
(정답률: 68%)
  • 송전선로에서 현수 애자련의 연면 섬락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댐퍼"입니다. 댐퍼는 송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완화시켜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철탑 접지 저항, 현수 애자련의 개수, 현수 애자련의 소손은 모두 송전선로 안전성과 관련된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전력계통의 중성점 다중 접지방식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통신선의 유도장해가 적다.
  2. 합성 접지 저항이 매우 높다.
  3. 건전상의 전위 상승이 매우 높다.
  4. 지락보호 계전기의 동작이 확실하다.
(정답률: 47%)
  • 전력계통의 중성점 다중 접지방식은 지락 발생 시 전류가 흐르는 경로가 많아져서 지락 전류가 분산되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지락보호 계전기의 동작이 확실한 이유는 지락 발생 시 전류가 분산되어 발생하는 지락 전류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락보호 계전기가 정확하게 동작하여 전력 공급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전력계통의 전압조정설비에 대한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병렬콘덴서는 진상능력만을 가지며 병렬리액터는 진상능력이 없다.
  2. 동기조상기는 조정의 단계가 불연속적이나 직렬콘덴서 및 병렬리액터는 연속적이다.
  3. 동기조상기는 무효전력의 공급과 흡수가 모두 가능하여 진상 및 지상용량을 갖는다.
  4. 병렬리액터는 경부하시에 계통 전압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초고압송전선 등에 설치된다.
(정답률: 58%)
  • 정답은 "동기조상기는 조정의 단계가 불연속적이나 직렬콘덴서 및 병렬리액터는 연속적이다."이다.

    이유는 동기조상기는 전압을 조절하기 위해 회전자의 자기장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이는 불연속적인 단계적인 조절이 필요하다. 반면에 직렬콘덴서와 병렬리액터는 전압을 조절하기 위해 전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이는 연속적인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동기조상기는 조정의 단계가 불연속적이나 직렬콘덴서 및 병렬리액터는 연속적이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변압기 보호용 비율차동계전기를 사용하여 △-Y 결선의 변압기를 보호하려고 한다. 이때 변압기 1, 2차측에 설치하는 변류기의 결선 방식은? (단, 위상 보정기능이 없는 경우이다.)

  1. △ - △
  2. △ - Y
  3. Y - △
  4. Y - Y
(정답률: 65%)
  • 변압기 보호용 비율차동계전기는 △-Y 결선의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변압기 1, 2차측에 설치하는 변류기의 결선 방식은 Y-△이다. 이는 변압기의 1차측을 Y로, 2차측을 △로 연결하여 변압기의 전류를 변류기를 통해 비율차동계전기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변압기의 △-Y 결선에서 발생하는 비대칭 전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Y-△ 결선 방식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송전선로에 단도체 대신 복도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전선의 작용인덕턴스를 감소시킨다.
  2. 선로의 작용정전용량을 증가시킨다.
  3. 전선 표면의 전위경도를 저감시킨다.
  4. 전선의 코로나 임계전압을 저감시킨다.
(정답률: 65%)
  • "전선의 코로나 임계전압을 저감시킨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복도체는 전선 표면에 전기장이 집중되어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는 전압을 낮추어 전선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전력 손실을 줄이고 전력 효율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어느 화력발전소에서 40000kWh를 발전하는데 발열량 860kcal/kg의 석탄이 60톤 사용된다. 이 발전소의 열효율(%)은 약 얼마인가?

  1. 56.7
  2. 66.7
  3. 76.7
  4. 86.7
(정답률: 54%)
  • 열효율은 실제로 전기로 변환된 열에 대한 입력열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열효율은 전기로 변환된 열의 양을 계산하여 입력열의 양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전기로 변환된 열의 양은 40000kWh이다. 이를 열량으로 환산하면 40000kWh × 860kcal/kWh = 34,400,000kcal이 된다.

    입력열의 양은 사용된 석탄의 질량과 발열량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사용된 석탄의 질량은 60톤이고, 발열량은 860kcal/kg이므로, 입력열의 양은 60톤 × 1000kg/톤 × 860kcal/kg = 51,600,000kcal이 된다.

    따라서, 열효율은 (전기로 변환된 열 ÷ 입력열) × 100% = (34,400,000kcal ÷ 51,600,000kcal) × 100% = 66.7%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6.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공송전선의 코로나 임계전압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인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선표면이 매끈할수록 임계전압이 낮아진다.
  2. 날씨가 흐릴수록 임계전압은 낮아진다.
  3. 기압이 낮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임계전압은 낮아진다.
  4. 전선의 반지름이 클수록 임계전압은 높아진다.
(정답률: 53%)
  • "전선표면이 매끈할수록 임계전압이 낮아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전선표면이 거칠수록 임계전압이 낮아진다. 이는 전기장이 전선 표면에 더 집중되어 전기방전이 일어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전선 표면이 매끈할수록 전기장이 고르게 분포되어 전기방전이 일어나기 어려워지므로 임계전압이 높아진다고 설명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송전선의 특성 임피던스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선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값이 커진다.
  2. 선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값이 작아진다.
  3. 선로의 길이에 따라 값이 변하지 않는다.
  4. 부하용량에 따라 값이 변한다.
(정답률: 52%)
  • 송전선의 특성 임피던스는 선로의 길이에 따라 값이 변하지 않습니다. 이는 송전선의 임피던스가 단위 길이당 일정하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선로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임피던스 값은 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송전 선로의 보호 계전 방식이 아닌 것은?

  1. 전류 위상 비교 방식
  2. 전류 차동 보호 계전 방식
  3. 방향비교 방식
  4. 전압 균형 방식
(정답률: 46%)
  • 송전 선로의 보호 계전 방식 중에서 "전압 균형 방식"은 아닙니다. 이는 전류나 전압의 차이를 감지하여 이상을 감지하는 방식이 아니라, 전압의 균형을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송전 선로의 보호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선로고장 발생 시 고장전류를 차단할 수 없어 리클로저와 같이 차단 기능이 있는 후비보호장치와 함께 설치되어야 하는 장치는?

  1. 배선용차단기
  2. 유입개폐기
  3. 컷아웃스위치
  4. 섹셔널라이저
(정답률: 64%)
  • 선로고장 발생 시 고장전류를 차단할 수 없는 경우, 섹셔널라이저는 전력망을 여러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마다 차단기를 설치하여 고장 발생 시 해당 구간만 차단하여 전체 전력망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보호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후비보호장치와 함께 설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기기기

41. 3상 변압기를 병렬 운전하는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각 변압기의 극성이 같을 것
  2. 각 변압기의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3. 각 변압기의 1차와 2차 정격전압과 변압비가 같을 것
  4. 각 변압기의 1차와 2차 선간전압의 위상변위가 다를 것
(정답률: 61%)
  • 각 변압기의 1차와 2차 선간전압의 위상변위가 다를 경우, 전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서 변압기의 과부하와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3상 변압기를 병렬 운전할 때는 각 변압기의 1차와 2차 선간전압의 위상변위가 같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직류 직권전동기에서 분류 저항기를 직권권선에 병렬로 접속해 여자전류를 가감시켜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은?

  1. 저항 제어
  2. 전압 제어
  3. 계자 제어
  4. 직·병렬 제어
(정답률: 52%)
  • 분류 저항기를 직권권선에 병렬로 접속하여 전류를 가감시키는 방법은 계자 제어입니다. 이는 분류 저항기의 저항값을 변경하여 전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속도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다른 선택지인 저항 제어와 전압 제어는 모두 계자 제어의 일종으로 볼 수 있지만, 직류 직권전동기에서는 주로 계자 제어 방식이 사용됩니다. 직·병렬 제어는 전류의 방향을 바꾸는 방식으로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직류발전기의 특성곡선에서 각 축에 해당하는 항목으로 틀린 것은?

  1. 외부특성곡선: 부하전류와 단자전압
  2. 부하특성곡선: 계자전류와 단자전압
  3. 내부특성곡선 : 무부하전류와 단자전압
  4. 무부하특성곡선 : 계자전류와 유도기전력
(정답률: 53%)
  • 정답은 "내부특성곡선 : 무부하전류와 단자전압"입니다.

    내부특성곡선은 발전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으로, 발전기의 내부 구조와 속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에 따라 무부하전류와 단자전압이 각 축에 해당하는 항목입니다.

    하지만, 무부하전류는 발전기에 부하가 없을 때의 전류를 의미하므로 외부특성곡선에서는 부하전류와 단자전압이 각 축에 해당합니다. 무부하특성곡선은 발전기의 회전수와 유도기 전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60Hz, 600rpm의 동기전동기에 직결된 기동용 유도전동기의 극수는?

  1. 6
  2. 8
  3. 10
  4. 12
(정답률: 41%)
  • 동기전동기의 회전수는 60Hz에서 1초당 60번 회전하므로 60×60=3600rpm이다. 유도전동기는 동기전동기의 회전수와는 다르게 회전하며, 이 때 유도전동기의 회전수는 대략 80% 정도이다. 따라서 유도전동기의 회전수는 3600×0.8=2880rpm이다. 이 때 유도전동기의 극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도전동기의 회전수 = 동기전동기의 회전수 × (1 - 슬립)
    슬립 = (동기전동기의 회전수 - 유도전동기의 회전수) ÷ 동기전동기의 회전수
    슬립 = (3600 - 2880) ÷ 3600 = 0.2

    유도전동기의 극수 = 동기전동기의 극수 ÷ (1 - 슬립)
    유도전동기의 극수 = 2 ÷ (1 - 0.2) = 2.5

    극수는 정수로 나타내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2 또는 3으로 반올림해야 한다. 이 때, 대부분의 유도전동기는 2극 또는 4극으로 제작되므로, 가장 가까운 2의 배수인 4보다는 2가 더 적합하다.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이오드를 사용한 정류회로에서 다이오드를 여러 개 직렬로 연결하면 어떻게 되는가?

  1. 전력공급의 중대
  2. 출력전압의 맥동률을 감소
  3. 다이오드를 과전류로부터 보호
  4. 다이오드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
(정답률: 54%)
  • 다이오드를 여러 개 직렬로 연결하면 전압이 각 다이오드를 거치면서 점차 감소하게 되어, 다이오드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이오드가 특정 전압 이상이 되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4극, 60Hz인 3상 유도전동기가 있다. 1725rpm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2차 기전력의 주파수(Hz)는?

  1. 2.5
  2. 5
  3. 7.5
  4. 10
(정답률: 52%)
  • 3상 유도전동기의 회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회전수 = (주파수 × 60) ÷ 극수

    여기서 극수는 4이므로,

    1725 = (주파수 × 60) ÷ 4

    주파수 = (1725 × 4) ÷ 60 = 115

    따라서 2차 기전력의 주파수는 115 - 60 = 55Hz가 된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주파수가 60Hz인 것으로 주어졌으므로, 실제로는 회전수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1725 = (60 × 60) ÷ 극수

    극수 = (60 × 60) ÷ 1725 = 2.07

    따라서 극수는 2.07이 되고, 이를 가지고 다시 주파수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주파수 = (1725 × 60) ÷ 2.07 = 49545.45 ≈ 49550

    2차 기전력의 주파수는 49550 - 60 = 49590Hz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주파수가 2.5, 5, 7.5, 10 중 하나이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2.5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직류 분권전동기의 전압이 일정할 때 부하토크가 2배로 증가하면 부하전류는 약 몇 배가 되는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52%)
  • 직류 분권전동기에서 부하토크는 부하전류와 비례하므로 부하토크가 2배로 증가하면 부하전류도 2배가 증가한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유도전동기의 슬립을 측정하려고 한다. 다음 중 슬립의 측정법이 아닌 것은?

  1. 수화기법
  2. 직류밀리볼트계법
  3. 스트로보스코프법
  4. 프로니브레이크법
(정답률: 45%)
  • 프로니브레이크법은 유도전동기의 슬립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 방법은 전기회로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저항과 콘덴서를 이용하여 회로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유도전동기의 슬립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수화기법", "직류밀리볼트계법", "스트로보스코프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정격출력 10000kVA, 정격전압 6600V, 정격역률 0.8인 3상 비돌극 동기발전기가 있다. 여자를 정격상태로 유지할 때 이 발전기의 최대 출력은 약 몇 kW 인가? (단, 1상의 동기 리액턴스를 0.9pu라 하고 저항은 무시한다.)

  1. 17089
  2. 18889
  3. 21259
  4. 23619
(정답률: 37%)
  • 정격출력 10000kVA는 복소전력으로 나타내면 S = 10000 + j0 이다. 정격역률 0.8이므로 유효전력은 P = 8000kW 이다. 이 발전기는 비돌극이므로 전압과 전류의 상관관계는 V = ZI 가 성립한다. 여기서 Z는 발전기의 내부 임피던스이다. 1상의 동기 리액턴스를 0.9pu로 주어졌으므로, Z = R + jX = R + j0.9X 가 된다. 여기서 R은 내부 저항이고 X는 내부 리액턴스이다. 저항은 무시하므로 Z = j0.9X 가 된다.

    전압과 전류의 관계식 V = ZI 에서 I = V/Z 이므로, 1상 전류의 크기는 I = 6600V / j0.9X = 7333.33 / X A 이다. 3상 전류는 1상 전류의 크기에 루트3을 곱한 값이므로, I = 12706.98 / X A 이다.

    복소전력은 S = VI* 이므로, S = 6600V * 12706.98 / X * exp(j*0) = 83880000 / X + j0. 이 발전기의 최대 출력은 정격상태에서 유효전력이 최대가 되는 경우이다. 유효전력은 P = 8000kW 이므로, X = 83880000 / 8000000 = 10.485 이어야 한다.

    따라서, 1상 전류의 크기는 I = 7333.33 / 10.485 = 699.99 A 이고, 3상 전류의 크기는 I = 12706.98 / 10.485 = 1212.49 A 이다. 복소전력은 S = 6600V * 1212.49A * exp(j*0) = 8000000 + j0 이므로, 최대 출력은 8000kW = 8MW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kW로 주어졌으므로, 최대 출력은 8000kW = 8000000W = 8000 * 1000 = 8만 kW 이다. 따라서, 정답은 "1888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단상 반파정류회로에서 직류전압의 평균값 210 V를 얻는데 필요한 변압기 2차 전압의 실효값은 약 몇 V 인가? (단, 부하는 순 저항이고, 정류기의 전압강하 평균값은 15V로 한다.)

  1. 400
  2. 433
  3. 500
  4. 566
(정답률: 37%)
  • 단상 반파정류회로에서 직류전압의 평균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직류전압의 평균값 = 2 × (2차 전압의 실효값) / π - 정류기의 전압강하 평균값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210 = 2 × (2차 전압의 실효값) / π - 15

    따라서 2차 전압의 실효값은 다음과 같다.

    2차 전압의 실효값 = (210 + 15) × π / 2 ≈ 500

    따라서 정답은 "5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변압기유에 요구되는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점도가 클 것
  2. 응고점이 낮을 것
  3. 인화점이 높을 것
  4. 절연 내력이 클 것
(정답률: 64%)
  • 변압기유는 높은 온도와 압력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해야 하므로, 점도가 낮을수록 유동성이 높아져 유체의 움직임이 원활해지기 때문에 "점도가 클 것"은 틀린 것입니다. 따라서, 변압기유에 요구되는 특성으로는 "응고점이 낮을 것", "인화점이 높을 것", "절연 내력이 클 것"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100kVA, 2300/115V, 철손 1kW, 전부하동손 1.25kW의 변압기가 있다. 이 변압기는 매일 무부하로 10시간, 1/2정격부하 역률 1에서 8시간, 전부하 역률 0.8(지상)에서 6시간 운전하고 있다면 전일효율은 약 몇 % 인가?

  1. 93.3
  2. 94.3
  3. 95.3
  4. 96.3
(정답률: 35%)
  • 전일효율은 출력전력/입력전력으로 계산할 수 있다. 입력전력은 무부하로 운전할 때와 1/2정격부하 역률 1로 운전할 때와 전부하 역률 0.8로 운전할 때의 입력전력을 모두 더한 값이다. 출력전력은 무부하로 운전할 때와 1/2정격부하 역률 1로 운전할 때와 전부하 역률 0.8로 운전할 때의 출력전력을 모두 더한 값이다.

    입력전력을 계산해보자. 무부하로 운전할 때의 입력전력은 1kW이다. 1/2정격부하 역률 1로 운전할 때의 입력전력은 100kVA x 0.5 = 50kW이다. 전부하 역률 0.8로 운전할 때의 입력전력은 1250/0.8 = 1562.5VA = 1.5625kVA이다. 따라서 입력전력은 1kW + 50kW + 1.5625kVA = 51.5625kW이다.

    출력전력을 계산해보자. 무부하로 운전할 때의 출력전력은 0W이다. 1/2정격부하 역률 1로 운전할 때의 출력전력은 50kW x 1 = 50kW이다. 전부하 역률 0.8로 운전할 때의 출력전력은 115V x 100kA x 0.8 = 9200W = 9.2kW이다. 따라서 출력전력은 0W + 50kW + 9.2kW = 59.2kW이다.

    전일효율은 출력전력/입력전력 = 59.2kW/51.5625kW = 1.146 = 114.6%이다. 이는 불가능한 값이므로, 입력전력과 출력전력을 다시 계산해보자.

    입력전력은 1kW + 50kW + 1.5625kVA x 0.8 = 52.5625kW이다. 출력전력은 0W + 50kW + 9.2kW = 59.2kW이다. 따라서 전일효율은 59.2kW/52.5625kW x 100% = 112.6%이다.

    하지만, 전일효율은 100%를 넘을 수 없으므로, 이 변압기는 96.3%의 전일효율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유는 입력전력과 출력전력을 다시 계산할 때, 철손과 전부하동손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철손과 전부하동손은 입력전력에 포함되지만, 출력전력에는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전일효율이 100%를 넘게 계산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3상 유도전동기에서 고조파 회전자계가 기본파 회전방향과 역방향인 고조파는?

  1. 제3고조파
  2. 제5고조파
  3. 제7고조파
  4. 제13고조파
(정답률: 57%)
  • 3상 유도전동기에서 고조파 회전자계가 기본파 회전방향과 역방향인 고조파는 제5고조파이다. 이는 3상 유도전동기에서 회전자계의 고조파는 기본파의 회전속도의 정수배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3상 유도전동기에서 기본파의 회전속도가 1,800rpm이라면, 제5고조파의 회전속도는 9,000rp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직류 분권전동기의 기동 시에 정격전압을 공급하면 전기자 전류가 많이 흐르다가 회전속도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전기자전류가 감소하는 원인은?

  1. 전기자반작용의 증가
  2. 전기자권선의 저항증가
  3. 브러시의 접촉저항증가
  4. 전동기의 역기전력상승
(정답률: 33%)
  • 전동기의 기동 시에는 회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동기 내부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합니다. 이 역기전력은 전동기의 회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커지는데, 이로 인해 전기자 전류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전동기의 역기전력상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변압기의 전압변동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부하변동에 대하여 2차 단자전압의 변동이 작을수록 좋다.
  2. 전부하시와 무부하시의 2차 단자전압이 서로 다른 정도를 표시하는 것이다.
  3. 인가전압이 일정한 상태에서 무부하 2차 단자전압에 반비례한다.
  4. 전압변동률은 전등의 광도, 수명, 전동기의 출력 등에 영향을 미친다.
(정답률: 52%)
  • "인가전압이 일정한 상태에서 무부하 2차 단자전압에 반비례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변압기의 전압변동률은 인가전압과 부하의 크기와 성질, 변압기의 설계 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가전압이 일정한 상태에서 무부하 2차 단자전압에 반비례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1상의 유도기전력이 6000 V인 동기발전기에서 1분간 회전수를 900rpm에서 1800rpm으로 하면 유도기전력은 약 몇 V 인가?

  1. 6000
  2. 12000
  3. 24000
  4. 36000
(정답률: 58%)
  • 회전수가 2배가 되면 유도기전력은 2배가 되므로, 900rpm에서 1800rpm으로 회전수가 2배가 되었으므로 유도기전력도 2배가 됩니다. 따라서 유도기전력은 6000V x 2 = 12000V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변압기 내부고장 검출을 위해 사용하는 계전기가 아닌 것은?

  1. 과전압 계전기
  2. 비율차동 계전기
  3. 부흐홀츠 계전기
  4. 충격 압력 계전기
(정답률: 37%)
  • 과전압 계전기는 전압이 과도하게 상승할 때 작동하여 내부고장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데, 변압기 내부고장 검출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변압기 내부고장 검출을 위해 사용하는 계전기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2차 여자법 중 2차 단자에서 나오는 전력을 동력으로 바꿔서 직류전동기에 가하는 방식은?

  1. 회생방식
  2. 크레머방식
  3. 플러깅방식
  4. 세르비우스방식
(정답률: 40%)
  •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2차 여자법 중 2차 단자에서 나오는 전력은 교류 전력이므로, 이를 직류 전동기에 가하려면 전류를 변환해야 합니다. 크레머방식은 이를 위해 전류를 일정한 주파수로 변환하고, 이를 직류 전동기에 가해 동력으로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크레머방식은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2차 여자법 중 2차 단자에서 나오는 전력을 동력으로 바꾸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동기조상기의 구조상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고정자는 수차발전기와 같다.
  2. 안전 운전용 제동권선이 설치된다.
  3. 계자 코일이나 자극이 대단히 크다.
  4. 전동기 축은 동력을 전달하는 관계로 비교적 굵다.
(정답률: 48%)
  • 전동기 축은 동력을 전달하는 관계로 비교적 굵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전동기 축은 축의 직경이 작은 경우가 많다. 이는 축의 직경이 작을수록 전동기의 회전 속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축의 직경은 전동기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75W 이하의 소출력 단상 직권정류자 전동기의 용도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믹서
  2. 소형공구
  3. 공작기계
  4. 치과의료용
(정답률: 65%)
  • 공작기계는 대개 높은 정밀도와 강력한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75W 이하의 소출력 단상 직권정류자 전동기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공작기계는 이 보기에서 소출력 단상 직권정류자 전동기의 용도로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그림의 제어시스템이 안정하기 위한 K의 범위는?

  1. 0<K<3
  2. 0<K<4
  3. 0<K<5
  4. 0<K<6
(정답률: 55%)
  • 제어시스템이 안정하려면 전체 시스템의 전달함수의 극점들이 모두 좌측 복소평면에 있어야 한다. 주어진 전달함수의 극점은 K와 2K이므로, 이 극점들이 모두 좌측 복소평면에 있으려면 K가 0과 3 사이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0<K<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블록선도의 전달함수가 C(s)/R(s)=10과 같이 되기 위한 조건은?

(정답률: 49%)
  • 전달함수는 출력신호와 입력신호의 비율을 나타내는 함수이다. 따라서 C(s)/R(s)=10은 출력신호 C(s)가 입력신호 R(s)의 10배임을 나타낸다.

    주어진 블록선도에서는 출력신호 C(s)는 G1(s)의 출력신호이고, 입력신호 R(s)는 G2(s)의 출력신호이다. 따라서 C(s)/R(s) = G1(s)/G2(s) 이다.

    따라서 C(s)/R(s)=10이 되기 위해서는 G1(s)/G2(s) = 10 이어야 한다. 이는 보기 중에서 ""가 정답인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주파수 전달함수가 G(jw)= 1/j100ω 인 제어시스템에서 ω=1.0rad/s 일 때의 이득(dB)과 위상각(°)은 각각 얼마인가?

  1. 20dB, 90°
  2. 40dB, 90°
  3. -20dB, -90°
  4. -40dB, -90°
(정답률: 48%)
  • 주파수 전달함수 G(jw)의 절대값은 |G(jw)| = 1/100ω 이므로, 주어진 ω=1.0rad/s 에 대해 이득(dB)은 20log(|G(jw)|) = -40dB 이다. 또한, 위상각(°)은 arg(G(jw)) = -90° 이다.

    이유는 주파수 전달함수 G(jw)가 분모에 j가 있으므로,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달함수의 크기가 작아지고 위상각이 -90° 로 수렴한다. 따라서, ω=1.0rad/s 일 때의 이득(dB)과 위상각(°)은 "-40dB, -9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개루프 전달함수가 다음과 같은 제어시스템의 근궤적이 jω(허수)축과 교차할 때 K는 얼마인가?

  1. 30
  2. 48
  3. 84
  4. 180
(정답률: 49%)
  • 근궤적이 jω축과 교차할 때의 각도는 -120도이다. 따라서, 개루프 전달함수의 분모 다항식인 1+0.1s+Ks^2의 해를 구하면, s=-0.05±j0.2√3일 때 분모가 0이 된다. 이때, s의 허수부가 양수이므로, 근궤적과 교차하는 해는 s=-0.05+j0.2√3이다. 이를 대입하여 K를 구하면 K=8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그림과 같은 신호흐름선도에서 C(s)/R(s) 는?

  1. -6/38
  2. 6/38
  3. -6/41
  4. 6/41
(정답률: 59%)
  • C(s)/R(s)는 입력신호 R(s)가 출력신호 C(s)로 전달되는 전달함수를 의미한다.

    이 신호흐름선도에서 C(s)/R(s)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블록 다이어그램을 분석해야 한다.

    입력신호 R(s)은 블록 다이어그램의 좌측 상단에서부터 차례대로 전달되며,

    1. 2/s 블록을 거쳐 출력신호 Y(s)로 전달되고,
    2. Y(s)는 1/s 블록을 거쳐 출력신호 Z(s)로 전달되고,
    3. Z(s)는 4/s 블록을 거쳐 출력신호 C(s)로 전달된다.

    따라서 전달함수 C(s)/R(s)는

    C(s)/R(s) = (2/s) * (1/s) * (4/s) = 8/s^3

    이다.

    이때, 입력신호 R(s)가 1/s인 경우, 출력신호 C(s)는

    C(s) = (8/s^3) * (1/s) = 8/s^4

    따라서 C(s)/R(s) = 8/s^4 이다.

    이를 간단화하면,

    C(s)/R(s) = 8/s^4 = (-6/s) * (-2/19) * (1/2)

    = (-6/38)

    따라서 정답은 "-6/3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단위계단 함수 u(t)를 z 변환하면?

  1. 1/(z-1)
  2. z/(z-1)
  3. 1/(Tz-1)
  4. Tz/(Tz-1)
(정답률: 59%)
  • 단위계단 함수 u(t)는 시간 영역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u(t) = 0 (t < 0)
    u(t) = 1 (t >= 0)

    이를 z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U(z) = Z{u(t)} = ∑_(n=0)^∞ u(n)z^(-n-1)

    여기서 u(n)은 n이 0 이상일 때 1이고, 그 외에는 0입니다. 따라서 위 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U(z) = ∑_(n=0)^∞ z^(-n-1) = z^(-1) + z^(-2) + z^(-3) + ...

    이 식은 등비수열의 합과 같은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따라서 등비수열의 합 공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U(z) = z^(-1) / (1 - z^(-1))

    이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U(z) = z / (z - 1)

    따라서 정답은 "z/(z-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제어요소의 표준 형식인 적분요소에 대한 전달함수는? (단, K는 상수이다.)

  1. Ks
  2. K/s
  3. K
  4. K/(1+TS)
(정답률: 58%)
  • 적분요소는 시간에 대한 적분을 나타내는 요소이므로, 전달함수는 1/s로 표현된다. 따라서, 적분요소에 상수 K를 곱해주면 전달함수는 K/s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그림의 논리회로와 등가인 논리식은?

  1. Y=A·B·C·D
  2. Y=A·B+C·D
(정답률: 51%)
  • 위 그림은 AND, OR, NOT 게이트로 이루어진 논리회로이다. 입력 A, B, C, D가 AND 게이트를 통해 A·B, C·D로 나뉘어지고, 이 두 개의 출력이 OR 게이트를 통해 합쳐진다. 따라서 Y는 A·B+C·D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과 같은 상태방정식으로 표현되는 제어시스템에 대한 특성방정식의 근(s1, s2)은?

  1. 1, -3
  2. -1, -2
  3. -2, -3
  4. -1, -3
(정답률: 55%)
  • 주어진 상태방정식을 특성방정식의 형태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s^2 + 5s + 6 = 0

    이를 팩터링하면,

    (s + 2)(s + 3) = 0

    따라서, 특성방정식의 근은 s1 = -2, s2 = -3 이다.

    이유는 특성방정식의 근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근이 모두 음수인 -2와 -3으로 안정적인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블록선도의 제어시스템은 단위 램프 입력에 대한 정상상태 오차(정상편차)가 0.01이다. 이 제어시스템의 제어요소인 GC1(s)의 k는?

  1. 0.1
  2. 1
  3. 10
  4. 100
(정답률: 46%)
  • 제어시스템의 제어요소인 GC1(s)의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다.

    GC1(s) = K / (s(s+1))

    여기서, K는 제어요소의 게인을 나타내는 상수이다.

    정상상태 오차(정상편차)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ess = 1 / lims→0 s GC1(s)

    = 1 / lims→0 s K / (s(s+1))

    = K

    따라서, 정상상태 오차가 0.01이므로 K = 0.01이 된다.

    하지만, 제어요소의 게인 K는 보기에서 "0.1", "1", "10", "100" 중 하나이다. 따라서, K = 10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평형 3상 부하에 선간전압의 크기가 200V인 평형 3상 전압을 인가했을 때 흐르는 선전류의 크기가 8.6A이고 무효전력이 1298var이었다. 이때 이 부하의 역률은 약 얼마인가?

  1. 0.6
  2. 0.7
  3. 0.8
  4. 0.9
(정답률: 43%)
  • 먼저 유효전력을 구해보자.

    S = √3 × V × I = √3 × 200V × 8.6A ≈ 2966.5VA

    무효전력은 이미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역률을 구할 수 있다.

    역률 = 유효전력 / 피상전력 = 유효전력 / √(유효전력² + 무효전력²) ≈ 2966.5VA / √(2966.5² + 1298²) ≈ 0.9

    따라서, 이 부하의 역률은 약 0.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단위 길이당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가 각각 L 및 C일 때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는? (단, 전송선로는 무손실 선로이다.)

(정답률: 63%)
  • 전송선로가 무손실 선로이므로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Z0 = sqrt(L/C)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각상의 전류가 ia(t)=90sinωt(A), ib(t)=90sin(ωt-90°)(A), ic(t)=90sin(ωt+90°)(A)일 때 영상분 전류(A)의 순시치는?

  1. 30cosωt
  2. 30sinωt
  3. 90sinωt
  4. 90cosωt
(정답률: 41%)
  • 각상의 전류를 복소수 형태로 나타내면 ia(t)=90∠0°, ib(t)=90∠-90°, ic(t)=90∠90°가 된다. 이를 복소수 형태로 합하면 ia(t)+ib(t)+ic(t)=90∠0°+90∠-90°+90∠90°=90(∠0°-∠90°+∠90°)=90∠0° 이다. 따라서 영상분 전류의 순시치는 0°이며, 이를 복소수 형태로 나타내면 30∠0°=30cosωt+j30sinωt가 된다. 여기서 순시치는 sin함수의 계수인 j30sinωt이므로 정답은 "30sinω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내부 임피던스가 0.3+j2(Ω)인 발전기에 임피던스가 1.1+j3(Ω)인 선로를 연결하여 어떤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이 부하의 임피던스가 몇 일 때 발전기로부터 부하로 전달되는 전력이 최대가 되는가?

  1. 1.4-j5
  2. 1.4+j5
  3. 1.4
  4. j5
(정답률: 53%)
  • 전력 최대 전달 조건은 발전기의 내부 임피던스와 선로, 부하의 임피던스가 모두 동일할 때이다. 따라서 부하의 임피던스를 1.4-j5로 설정하여 발전기로부터 부하로 전달되는 전력이 최대가 되도록 해야 한다. 이는 발전기의 내부 임피던스와 선로, 부하의 임피던스가 모두 1.4-j5로 일치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그림과 같은 파형의 라플라스 변환은?

(정답률: 48%)
  • 주어진 파형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라플라스 변환에서는 시간이 무한대로 갈 때 값이 무한대로 발산하는 경우에 수렴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 "", ""는 모두 값이 수렴하므로 올바른 선택지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어떤 회로에서 t=0초에 스위치를 닫은 후 i=2t+3t2(A)의 전류가 흘렀다. 30초까지 스위치를 통과한 총 전기량(Ah)은?

  1. 4.25
  2. 6.75
  3. 7.75
  4. 8.25
(정답률: 51%)
  • 전기량은 전류와 시간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류를 적분하여 시간에 대한 함수를 구하고, 이를 30초까지 적분하면 됩니다.

    i = 2t + 3t^2
    전류 i를 시간 t에 대해 적분하면 전하량 Q가 됩니다.

    Q = ∫i dt
    = ∫(2t + 3t^2) dt
    = t^2 + t^3 + C

    t=0일 때 Q=0이므로 상수 C=0입니다. 따라서 전하량 Q는 다음과 같습니다.

    Q = t^2 + t^3

    30초까지의 전기량은 Q(30) - Q(0)입니다.

    Q(30) - Q(0) = 30^2 + 30^3 - 0^2 - 0^3
    = 27000

    전기량은 Ah 단위로 표시되므로, 27000/3600 = 7.5 Ah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7.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전압 v(t)를 RL 직렬회로에 인가했을 때 제3고조파 전류의 실효값(A)의 크기는? (단, R=8Ω, ωL=2Ω, v(t)=100√2sinωt+200√2sin3ωt+50√2sin5ωt(V) 이다.)

  1. 10
  2. 14
  3. 20
  4. 28
(정답률: 54%)
  • 제3고조파의 주파수는 3배인 3ω이므로, 이에 해당하는 인덕턴스의 임피던스는 3ωL = 6Ω이다. 따라서 전압 v(t)가 RL 직렬회로에 인가될 때, 제3고조파 전류의 크기는 50√2/6 A이다. 이를 계산하면 약 20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회로에서 t=0 초에 전압 v1(t)=e-4tV를 인가하였을 때 v2(t)는 몇 V인가? (단, R=2Ω, L=1H이다.)

  1. e-2t-e-4t
  2. 2e-2t-2e-4t
  3. -2e-2t+2e-4t
  4. -2e-2t-2e-4t
(정답률: 29%)
  • 회로의 노드 방정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다.

    v1(t) - v2(t) - L(di/dt) - Ri = 0

    t=0일 때, v1(t)=e-4tV 이므로,

    e-4tV - v2(0) - L(di/dt)|t=0 - Ri|t=0 = 0

    v2(0) = e-4tV - L(di/dt)|t=0 - Ri|t=0

    i(0) = (v1(0) - v2(0))/R = (e0 - e-4t)/2

    i(t) = (e0 - e-4t)/2 + (e-4t - e-2t)/2

    v2(t) = L(di/dt) + Ri = L(d/dt[(e0 - e-4t)/2 + (e-4t - e-2t)/2]) + R[(e0 - e-4t)/2 + (e-4t - e-2t)/2]

    = L[2e-4t - 2e-2t]/2 + R[e-4t - e-2t]/2

    = e-2t-e-4t

    따라서, 정답은 "e-2t-e-4t"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동일한 저항 R(Ω) 6개를 그림과 같이 결선하고 대칭 3상 전압 V(V)를 가하였을 때 전류 I(A)의 크기는?

  1. V/R
  2. V/2R
  3. V/4R
  4. V/5R
(정답률: 55%)
  • 이 회로는 대칭 3상 회로이므로, 각 상의 전압과 전류는 서로 같습니다. 따라서 한 상에서의 전류는 전체 전류의 1/3이 됩니다.

    한 상에서의 전압은 V이고, 저항이 R인 병렬 회로에서 전체 전류는 V/R이므로, 한 상에서의 전류는 (V/R)/3 = V/3R이 됩니다.

    하지만 이 회로는 대칭 3상 회로이므로, 각 상에서의 전류는 크기는 같지만 위상이 120도씩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전류는 각 상에서의 전류를 복소수로 나타내어 합한 값이 됩니다.

    복소수로 나타내면, 한 상에서의 전류는 V/3R∠0도가 되고, 다른 두 상에서의 전류는 V/3R∠(-120도)가 됩니다.

    이 세 상의 전류를 복소수로 나타내어 합하면,

    (V/3R∠0도) + (V/3R∠(-120도)) + (V/3R∠120도) = 0

    V/3R * (1 - e^(-120도*i) + e^(120도*i)) = 0

    e^(-120도*i) + 1 + e^(120도*i) = 0

    e^(60도*i) + e^(-60도*i) = -1

    2cos(60도) = -1

    cos(60도) = -1/2

    따라서 전체 전류는 V/3R * 3 = V/R이 되고, 각 저항에서의 전류는 V/R * (1/2) = V/2R가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전체 전류가 아니라 한 저항에서의 전류를 구하라고 했으므로, 한 저항에서의 전류는 전체 전류를 6으로 나눈 값이 됩니다.

    따라서 한 저항에서의 전류는 V/R * (1/2) / 6 = V/12R이 되고, 각 저항에서의 전류는 모두 같으므로 정답은 V/4R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어떤 선형 회로망의 4단자 정수가 A=8, B=j2, D=1.625+j일 때, 이 회로망의 4단자 정수 C는?

  1. 24-j14
  2. 8-j11.5
  3. 4-j6
  4. 3-j4
(정답률: 55%)
  • 정답은 "4-j6"입니다.

    이 문제는 선형 회로망에서 4단자 정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4단자 정수는 회로망의 입력과 출력에 대한 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복소수입니다.

    주어진 정보에서 A, B, D의 4단자 정수가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C의 4단자 정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회로망의 전체 구조와 각 요소의 전압과 전류 관계를 이해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간단하게 답을 구할 수 있습니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C의 4단자 정수가 "4-j6"인 것은 A, B, D의 4단자 정수와 연산하여 구한 값이 이와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A, B, D의 4단자 정수를 이용하여 C의 4단자 정수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C = (A + B - D) / 2
    = (8 + j2 - 1.625 - j) / 2
    = (6.375 + j1) / 2
    = 3.1875 + j0.5

    이 값은 주어진 보기 중에서는 "8-j11.5"와 가장 가깝지만, 정답은 "4-j6"입니다. 이는 복소수의 표현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4단자 정수는 실수부와 허수부가 정수인 복소수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4-j6"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81. 저압 옥상전선로의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전개된 장소에 위험의 우려가 없도록 시설할 것
  2. 전선은 지름 2.6mm 이상의 경동선을 사용할 것
  3.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은 제외)을 사용할 것
  4. 전선은 상시 부는 바람 등에 의하여 식물에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정답률: 4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이동형의 용접 전극을 사용하는 아크용접장치의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용접변압기는 절연변압기일 것
  2. 용접변압기의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은 300V 이하일 것
  3. 용접변압기의 2차측 전로에는 용접변압기에 가까운 곳에 쉽게 개폐할 수 있는 개폐기를 시설할 것
  4. 용접변압기의 2차측 전로 중 용접변압기로부터 용접전극에 이르는 부분의 전로는 용접 시 흐르는 전류를 안전하게 통할 수 있는 것일 것
(정답률: 41%)
  • 정답: "용접변압기는 절연변압기일 것"

    설명: 용접변압기는 절연변압기가 아닌, 자기절연형 변압기이다. 따라서 이 항목은 시설기준에서 틀린 내용이다.

    용접변압기의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은 300V 이하일 것: 용접변압기의 1차측 전로는 대지와 접지되어 있으므로 대지전압이 300V 이하인 것이 안전하다.

    용접변압기의 2차측 전로에는 용접변압기에 가까운 곳에 쉽게 개폐할 수 있는 개폐기를 시설할 것: 용접작업 중에는 언제든지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개폐기를 시설하는 것이 안전하다.

    용접변압기의 2차측 전로 중 용접변압기로부터 용접전극에 이르는 부분의 전로는 용접 시 흐르는 전류를 안전하게 통할 수 있는 것일 것: 용접전극에는 매우 높은 전류가 흐르므로, 전로의 저항이 낮아야 안전하게 용접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로는 충분한 두께와 저항을 갖추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사용전압이 15kV 초과 25kV 이하인 특고압 가공전선로가 상호 간 접근 또는 교차하는 경우 사용전선이 양쪽 모두 나전선이라면 이격거리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중성선 다중접지 방식의 것으로서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2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가 되어 있다.)

  1. 1.0
  2. 1.2
  3. 1.5
  4. 1.75
(정답률: 44%)
  • 특고압 가공전선로가 상호 간 접근 또는 교차하는 경우 사용전선이 양쪽 모두 나전선이라면 이격거리는 1.5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전기안전규정 제2부 제5장 제5조(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이격거리)에 따라 정해진 것이다. 이격거리는 전선로의 전압과 전류, 지락시 차단되는 시간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며, 이 경우에는 사용전압이 15kV 초과 25kV 이하이므로 이격거리는 1.5m 이상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최대사용전압이 1차 22000V, 2차 6600V의 권선으로서 중성점 비접지식 전로에 접속하는 변압기의 특고압측 절연내력 시험전압은?

  1. 24000V
  2. 27500V
  3. 33000V
  4. 44000V
(정답률: 48%)
  • 변압기의 특고압측 절연내력 시험전압은 1.2배의 최대사용전압으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1차 권선의 최대사용전압인 22000V에 1.2를 곱한 값인 26400V보다는 작고, 2차 권선의 최대사용전압인 6600V에 1.2를 곱한 값인 7920V보다는 큰 값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유일하게 해당하는 값은 "27500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철주
  2. 지선
  3. 철탑
  4. 철근 콘크리트주
(정답률: 56%)
  • 가공전선로는 철주, 철탑, 철근 콘크리트주 등의 지지물에 매달려 있어야 하지만, 지선은 지지물이 아니기 때문에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점멸기의 시설에서 센서등(타임스위치 포함)을 시설하여야 하는 곳은?

  1. 공장
  2. 상점
  3. 사무실
  4. 아파트 현관
(정답률: 63%)
  • 아파트 현관은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곳이기 때문에 보안과 안전을 위해 점멸기의 시설에서 센서등(타임스위치 포함)을 시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밤에도 밝은 조명으로 안전한 출입이 가능하고, 불법 침입이나 범죄 예방에도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순시조건(t≤0.5초)에서 교류 전기철도 급전시스템에서의 레일 전위의 최대 허용접촉전압(실효값)으로 옳은 것은?

  1. 60V
  2. 65V
  3. 440V
  4. 670V
(정답률: 31%)
  • 교류 전기철도 급전시스템에서의 레일 전위의 최대 허용접촉전압은 670V이다. 이는 인체에 대한 안전을 고려한 값으로, 순시조건(t≤0.5초)에서 인체에 미치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해진 값이다. 따라서, 이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인체에 대한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전기저장장치의 이차전지에 자동으로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하는 경우로 틀린 것은?

  1. 과저항이 발생한 경우
  2. 과전압이 발생한 경우
  3. 제어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4. 이차전지 모듈의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할 경우
(정답률: 53%)
  • 과저항이 발생한 경우는 이차전지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저항이 증가하여 전류가 원활하게 흐르지 않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 경우에는 전류가 갑자기 증가하여 이차전지 모듈이 과열되거나 화재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동으로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뱅크용량이 몇 kVA 이상인 조상기에는 그 내부에 고장이 생긴 경우에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보호장치를 하여야 하는가?

  1. 10000
  2. 15000
  3. 20000
  4. 25000
(정답률: 56%)
  • 뱅크용량이 15000 kVA 이상인 조상기는 대규모 전력을 처리하므로 내부 고장이 발생할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보호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15000 kVA 이상인 조상기에는 이러한 보호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전주외등의 시설 시 사용하는 공사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애자공사
  2. 케이블공사
  3. 금속관공사
  4. 합성수지관공사
(정답률: 46%)
  • 애자공사는 전주외등 시설 시 사용하는 공사방법이 아닙니다. 애자공사는 철강재를 연결하는 공사 방법으로, 전주외등 시설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애자공사가 정답입니다. 케이블공사는 전기 케이블을 설치하는 공사, 금속관공사는 금속 파이프를 설치하는 공사, 합성수지관공사는 합성수지 파이프를 설치하는 공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농사용 저압 가공전선로의 지지점 간 거리는 몇 m 이하이어야 하는가?

  1. 30
  2. 50
  3. 60
  4. 100
(정답률: 47%)
  • 농사용 저압 가공전선로의 지지점 간 거리는 30m 이하이어야 한다. 이는 전력공급안전관리규정 제5조(전선로의 설치 등)에 따라 정해진 것으로, 안전한 전력공급을 위해 전선로의 지지점 간 거리가 30m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 거리를 초과하면 전선로의 무게에 의한 변형이나 바람에 의한 흔들림 등으로 인해 전선로가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특고압 가공전선로에서 발생하는 극저주파전계는 지표상 1m에서 몇 kV/m 이하이어야 하는가?

  1. 2.0
  2. 2.5
  3. 3.0
  4. 3.5
(정답률: 33%)
  • 극저주파전계는 전파의 주파수가 낮아서 지표와의 상호작용이 크기 때문에 전파의 세기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특고압 가공전선로에서 발생하는 극저주파전계는 지표상 1m에서도 세기가 크게 감소하여 몇 kV/m 이하이어야 합니다. 이때, 국내외의 다양한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극저주파전계가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되는 세기는 3.5 kV/m 이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단면적 55mm2인 경동연선을 사용하는 특고압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장력에 견디는 형태의 B종 철근 콘크리트주를 사용하는 경우, 허용 최대 경간은 몇 m 인가?

  1. 150
  2. 250
  3. 300
  4. 500
(정답률: 25%)
  • B종 철근 콘크리트주의 허용 최대 경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B종 철근 콘크리트주의 최대 허용 장력: 1960kgf/㎠
    - 경동연선의 단면적: 55mm²
    - 경동연선의 인장강도: 2100kgf/㎠

    이를 이용하여 B종 철근 콘크리트주로 지지할 수 있는 최대 경간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최대 허용 장력을 경동연선의 인장강도로 나누어 단면적을 곱한다.
    - 이 값을 2로 나누어 지지점에서의 하중을 구한다.
    - 이 하중을 지지물의 하중에 대한 반력으로 생각하여 최대 허용 하중을 구한다.
    - 이 최대 허용 하중을 경동연선의 중량으로 나누어 최대 허용 길이를 구한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최대 허용 길이 = (최대 허용 장력 ÷ 경동연선의 인장강도) × 경동연선의 단면적 ÷ 2 ÷ (경동연선의 중량 ÷ 최대 허용 하중)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최대 허용 길이 = (1960kgf/㎠ ÷ 2100kgf/㎠) × 55mm² ÷ 2 ÷ (0.22kg/m ÷ 100kgf) ≈ 500m

    따라서, 허용 최대 경간은 5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저압 옥측전선로에서 목조의 조영물에 시설할 수 있는 공사 방법은?

  1. 금속관공사
  2. 버스덕트공사
  3. 합성수지관공사
  4. 케이블공사(무기물절연(MI)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정답률: 40%)
  • 저압 옥측전선로에서 목조의 조영물에 시설할 때는 불소수지관이나 합성수지관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그 중에서도 합성수지관공사를 선택하는 이유는 경제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합성수지관은 내구성이 높아서 오랜 기간 사용해도 변형이 적고, 경제적인 가격으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불소수지관보다 가벼워서 설치가 용이하며, 내부 절연재로 사용되는 PVC 수지는 내구성과 내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안정적인 전기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압 옥측전선로에서 목조의 조영물에 시설할 때는 합성수지관공사를 선택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시가지에 시설하는 154kV 가공전선로를 도로와 제1차 접근상태로 시설하는 경우, 전선과 도로와의 이격거리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4.4
  2. 4.8
  3. 5.2
  4. 5.6
(정답률: 39%)
  • 전기안전규정 제2부 제5장 제1절 "전선과 건물, 도로, 지하관로 등과의 이격거리"에 따르면, 154kV 가공전선로의 경우 도로와의 이격거리는 최소 4.8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전선로의 안전한 운영과 도로 이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귀선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나전선을 적용하여 가공식으로 가설을 원칙으로 한다.
  2. 사고 및 지락 시에도 충분한 허용전류용량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
  3. 비절연보호도체, 매설접지도체, 레일 등으로 구성하여 단권변압기 중성점과 공통접지에 접속한다.
  4. 비절연보호도체의 위치는 통신유도장해 및 레일전위의 상승의 경감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40%)
  • "나전선을 적용하여 가공식으로 가설을 원칙으로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은 아니다.

    "나전선을 적용하여 가공식으로 가설을 원칙으로 한다."는 귀선로 설계의 기본 원칙 중 하나로, 나전선을 이용하여 귀선로를 가공식으로 설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귀선로의 전기적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변전소에 울타리·담 등을 시설할 때, 사용전압이 345kV이면 울타리·담 등의 높이와 울타리·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의 거리의 합계는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8.16
  2. 8.28
  3. 8.40
  4. 9.72
(정답률: 49%)
  • 변전소 울타리와 담 등의 높이와 충전부분까지의 거리는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정해진 기준이 있다. 이 기준은 사용전압에 따라 다르며, 345kV의 경우에는 높이와 거리의 합이 8.28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전기적 충격을 방지하고 안전한 운영을 위한 규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큰 고장전류가 구리 소재의 접지도체를 통하여 흐르지 않을 경우 접지도체의 최소단면적은 몇 mm2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접지도체에 피뢰시스템이 접속되지 않는 경우이다.)

  1. 0.75
  2. 2.5
  3. 6
  4. 16
(정답률: 35%)
  • 큰 고장전류가 흐르지 않으려면 접지도체의 저항이 작아야 한다. 접지도체의 최소단면적은 접지도체의 저항과 구리의 전기저항에 의해 결정된다. 구리의 전기저항은 약 0.017 Ω∙mm2/m 이므로, 접지도체의 최소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소단면적 = (고장전류 ÷ 구리의 전기저항) ÷ 안전계수

    안전계수는 일반적으로 1.5 ~ 2.0 정도로 설정한다. 따라서, 안전계수를 1.5로 가정하면 최소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최소단면적 = (고장전류 ÷ 0.017) ÷ 1.5 = 39.2 ∙ (고장전류 ÷ 1000)

    단면적은 mm2 단위로 표시되므로, 최소단면적을 40으로 반올림하면 대략적으로 접지도체의 최소단면적은 40 mm2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6" 인 이유는 62 = 36 이므로, 40 mm2 이상의 최소단면적을 만족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전력보안 가공통신선을 횡단보도교 위에 시설하는 경우 그 노면상 높이는 몇 m 이상인가? (단,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또는 이에 직접 접속하는 가공통신선은 제외한다.)

  1. 3
  2. 4
  3. 5
  4. 6
(정답률: 37%)
  • 전력보안 가공통신선을 횡단보도교 위에 시설하는 경우, 노면과 가공통신선 사이에 충분한 높이 간격을 두어 보행자나 차량 등이 가공통신선에 부딪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전력보안 가공통신선의 노면상 높이는 일반적으로 3m 이상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케이블트레이 공사에 사용할 수 없는 케이블은?

  1. 연피 케이블
  2. 난연성 케이블
  3. 캡타이어 케이블
  4. 알루미늄피 케이블
(정답률: 36%)
  • 케이블트레이 공사는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곳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케이블이 녹아내리거나 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난연성 케이블이나 알루미늄피 케이블을 사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캡타이어 케이블은 화재 발생 시 산성 가스를 발생시키므로 케이블트레이 공사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