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4-02)

항공기체정비기능사
(2016-04-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조종면에 사용하는 앞전 밸런스(leading edge balanc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종면의 앞전을 짧게 하는 것이며, 비행기 전체의 정안정을 얻는데 주 목적이 있다.
  2. 조종면의 앞전을 길게 하는 것이며, 비행기 전체의 동안정을 얻는데 주 목적이 있다.
  3. 조종면의 앞전을 짧게 하는 것이며, 항공기 속도를 증가시키는데 주 목적이 있다.
  4. 조종면의 앞전을 길게 하는 것이며, 조종력을 경감시키는데 주 목적이 있다.
(정답률: 58%)
  • 조종면의 앞전을 길게 하는 것은 조종면의 효율성을 높이고, 조종력을 경감시키는데 주 목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종면의 앞전을 길게 하는 것이며, 조종력을 경감시키는데 주 목적이 있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비행기의 제동유효마력이 70hp 이고 프로펠러의 효율이 0.8 일때 이 비행기의 이용마력은 몇 hp인가?

  1. 28
  2. 56
  3. 70
  4. 87.5
(정답률: 85%)
  • 효율 = 출력 / 입력 이므로, 입력 = 출력 / 효율 이다.
    따라서 이용마력 = 제동유효마력 / 효율 = 70 / 0.8 = 87.5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87.5이 없으므로, 이용마력은 가장 가까운 값인 5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비행기의 3축 운동과 관계된 조종면을 옳게 연결한 것은?

  1. 키놀이(pitch) - 승강키(elevator)
  2. 옆놀이(roll) - 방향키(rudder)
  3. 빗놀이(yaw) - 승강키(elevator)
  4. 옆놀이(roll) - 승강키(elevator)
(정답률: 75%)
  • 비행기의 키놀이(pitch) 운동은 비행기의 전후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의미하며, 이 운동을 조절하는 조종면이 승강키(elevator)입니다. 승강키를 조작하여 비행기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상승 및 하강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키놀이(pitch) - 승강키(elevator)"가 옳은 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속도 V 로 비행하고 있는 프로펠러 항공기에서 프로펠러 추진 효율이 가장 좋은 이론적인 조건은? (단, u 는 프로펠러에 의해 단위 시간에 작용을 받 은 공기가 얻은 속도이다.)

  1. V > u
  2. V = u
  3. V < u
  4. V = u = 1
(정답률: 64%)
  • 프로펠러 항공기에서는 프로펠러에 의해 공기가 압축되고 가속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프로펠러에 의해 작용을 받은 공기는 u 속도로 이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만약 V < u 라면, 비행기가 u 속도로 이동하는 공기를 추진력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반면에, V > u 라면, 비행기가 u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하는 공기를 추진력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효율이 가장 좋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V > u"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비행기의 동체 길이가 16m, 직사각형 날개의 길이가 20m, 시위 길이가 2m 일 때, 이 비행기 날개의 가로세로비는?

  1. 1.2
  2. 5
  3. 8
  4. 10
(정답률: 70%)
  • 비행기 날개의 가로세로비는 날개의 길이 중 가장 긴 부분인 날개의 길이와 직사각형 날개의 너비 중 가장 긴 부분인 시위 길이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로세로비는 20:2로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약분하면 1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받음각과 양력과의 관계에서 날개의 받음각이 일정수준을 지나면 양력이 감소하고 향력이 증가하는 현상은?

  1. 경계층
  2. 실속
  3. 내리흐름
  4. 와류
(정답률: 82%)
  • 정답은 "실속"입니다.

    받음각이 일정수준을 지나면 날개의 상승력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양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동시에 향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비행기가 고도를 유지하면서도 전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실속"이라고 부르며, 비행기의 안정적인 비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있는 용어들이지만, "실속"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용어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공기 중에서 면적이 8m2 인 물체가 50kgf 항력을 받으며 일정한 속도 10m/s 로 떨어지고 있을 때 물체가 갖는 항력계수는 얼마인가?(단, 공기의 밀도는 0.1kgfㆍs2/m4 이다.)

  1. 1.0
  2. 1.15
  3. 1.25
  4. 1.75
(정답률: 66%)
  • 먼저, 항력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F항력 = 1/2 x ρ x v2 x A x C항력

    여기서, ρ는 공기의 밀도, v는 물체의 속도, A는 물체의 면적, C항력은 물체의 항력계수입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50 = 1/2 x 0.1 x 102 x 8 x C항력

    이를 정리하면,

    C항력 = 50 / (1/2 x 0.1 x 102 x 8) = 1.25

    따라서, 물체가 갖는 항력계수는 1.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유체흐름의 천이현상이 발생되는 현상을 결정하는 것은?

  1. 임계마하수
  2. 항력계수
  3. 임계레이놀즈수
  4. 양력계수
(정답률: 78%)
  • 유체의 흐름이 일어날 때, 유체의 속도와 밀도, 그리고 유체가 흐르는 관의 지름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 중에서도 유체의 속도와 관의 지름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이 두 가지 요인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 바로 레이놀즈수입니다. 따라서 유체의 흐름이 어떤 형태로 일어날지 결정하는 데 있어서는 임계레이놀즈수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대류권계면 부근에서 최대 100km/h 정도로 부는 서풍으로 항공기 순항에 이용되는 것은?

  1. 계절풍
  2. 제트기류
  3. 엘리뇨
  4. 높새바람
(정답률: 82%)
  • 서풍은 대류권계면 부근에서 부는 바람으로, 항공기의 이동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그 중에서도 제트기류는 고속 비행에 적합한 엔진과 날개를 가지고 있어, 서풍을 이용하여 빠르고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항공기 순항에 가장 적합한 것은 제트기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초음속 공기의 흐름에서 통로가 좁아질 때 일어나는 현상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압력과 속도가 동시에 증가한다.
  2. 압력과 속도가 동시에 감소한다.
  3. 속도는 감소하고 압력은 증가한다.
  4. 속도는 증가하고 압력은 감소한다.
(정답률: 67%)
  • 통로가 좁아지면서 공기 분자들이 서로 밀집하게 배치되어 공기의 속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운동 에너지가 감소하고 압력 에너지가 증가하게 되므로, 속도는 감소하고 압력은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속도는 감소하고 압력은 증가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이 상승비행 중인 항공기의 진행방향에 대한 힘의 평형식과 항공기의 날개 양력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평형식을 옳게 나열한 것은?

  1. T= Wcosϓ+D, L= Wcosϓ
  2. T= Wsinϓ+D, L= Wsinϓ
  3. T= Wcosϓ+D, L= Wsinϓ
  4. T= Wsinϓ+D, L= Wcosϓ
(정답률: 56%)
  • 정답은 "T= Wsinϓ+D, L= Wcosϓ" 입니다.

    상승비행 중인 항공기는 중력과 역학적 추력(항력과 추력의 합)이 평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때, 항공기의 진행방향에 대한 힘의 평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Tsinϓ - Wcosϓ = 0

    여기서 T는 추력, W는 항공기의 무게, ϓ는 비행기의 비행각입니다. 이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T = Wcosϓ/sinϓ

    항공기의 날개 양력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평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Tcosϓ + L - Wsinϓ = 0

    여기서 L은 양력입니다. 이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 = Wsinϓ - Tcosϓ

    위에서 구한 T의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 = Wsinϓ - Wcosϓtanϓ

    tanϓ = sinϓ/cosϓ 이므로, 위의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 = Wcosϓ(sinϓ/cosϓ) - Wcosϓ

    L = Wcosϓ(sinϓ/cosϓ - 1)

    L = Wcosϓ(tanϓ - 1)

    L = Wcosϓ(sinϓ/cosϓ - cosϓ/cosϓ)

    L = Wcosϓ(sinϓ - cosϓ)/cosϓ

    L = Wcosϓsin(ϓ - 90°)

    sin(ϓ - 90°) = cosϓ 이므로, 위의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 = Wcosϓ

    따라서, 항공기의 진행방향에 대한 힘의 평형식은 T= Wsinϓ+D, 항공기의 날개 양력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평형식은 L= Wcosϓ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착륙거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회전거리
  2. 공중거리
  3. 제동거리
  4. 자유활주거리
(정답률: 65%)
  • 착륙거리는 비행기가 이륙하여 공중에서부터 착륙까지 이동하는 거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공중거리, 제동거리, 자유활주거리는 모두 착륙거리에 속하며, 회전거리는 착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착륙거리에 속하지 않습니다. 회전거리는 비행기가 이륙 후, 이륙장에서 회전하여 출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비행기를 이동시키는 거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헬리콥터에서 리드-래그 힌지 감쇠기를 설치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돌풍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2. 기하학적인 불평형을 감소하기 위해
  3. 회전면 내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4. 뿌리부분에 발생하는 굽힘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답률: 57%)
  • 헬리콥터는 회전면 내에 발생하는 진동이 큰데, 이는 안정성과 조종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리드-래그 힌지 감쇠기를 설치하여 회전면 내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헬리콥터에서 후퇴하는 깃의 성능을 좋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캠버가 없어야 한다.
  2. 작은 받음각을 가져야 한다.
  3. 깃이 얇고 캠버가 작아야 한다.
  4. 깃이 두껍고 캠버가 커야 한다.
(정답률: 65%)
  • 헬리콥터에서 후퇴할 때는 역추진을 해야 하므로, 깃이 두껍고 캠버가 커야 역추진 효과가 높아져서 후퇴 성능이 좋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항공기의 주날개를 상반각으로 하는 주된 목적은?

  1. 가로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2. 세로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3. 배기가스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4.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71%)
  • 주날개를 상반각으로 하는 것은 공기의 흐름을 바꾸어 기체 역학적인 힘을 발생시켜 가로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형광침투검사에 대한 [보기]의 작업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55%)
  • 형광침투검사의 작업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검체 채취
    2. 검체 고정
    3. 조직 냉동 및 절단
    4. 형광 염색
    5. 형광 현미경으로 검사
    6. 결과 판독
    7. 보고서 작성

    따라서, 보기 중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작업 감독자의 책임이 아닌 것은?

  1. 작업자의 작업상태 점검
  2. 시설, 장비 및 환경의 투자
  3. 각종 재해에 대한 예방조치
  4. 작업절차, 장비와 기기의 취급에 대한 교육 실시
(정답률: 79%)
  • 시설, 장비 및 환경의 투자는 작업 감독자의 책임이 아닙니다. 이는 기업의 경영진이나 시설 관리자의 책임으로, 작업 감독자는 해당 시설, 장비 및 환경이 안전하게 작업이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하고, 작업자들에게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그 책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강관구조의 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티(T)접합과 클러스터접합 등이 있다.
  2. 용접 시 임시로 같은 간격으로 가접 후 용접을 실시한다.
  3. 가접 후 연속적으로 용접을 해야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4. 접합부의 보강방법으로는 강관사이에 평판보강 방법과 보강 재료를 씌우는 방법 등이 있다.
(정답률: 61%)
  • "가접 후 연속적으로 용접을 해야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가 틀린 것입니다. 강관구조의 용접에서는 가접 후 용접을 하면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용접 전에 강관을 고정시키고 용접을 진행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강관 용접 시 사용되는 장비 중 하나인 클램프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항공기 주기(Parking)시 항공기의 날개 조종 장치는 어디에 위치시켜야 하는가?

  1. 중립
  2. 위(Full up)
  3. 아래(Full down)
  4. 스포일러는 위(Up), 플랩은 아래(Down)
(정답률: 76%)
  • 주기 상태에서는 항공기의 날개가 수평 상태이므로, 조종 장치는 중립 위치에 있어야 합니다. 다른 위치에 있으면 날개가 움직이거나 기울어지는 등의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어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기 상태에서는 항공기의 조종 장치는 중립 위치에 위치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오디블 인디케이팅(audible indicating) 토크렌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규정된 토크값에서 불빛이 발생한다.
  2. 토크가 걸리면 레버가 휘어져 지시바늘이 토크값을 지시한다.
  3. 다이얼타입 이라고도 하며, 토크가 걸리면 다이얼에 토크값이 지시된다.
  4. 클릭타입 이라고도 하며, 다이얼이 보이지 않는 장소에 사용한다.
(정답률: 60%)
  • 오디블 인디케이팅은 클릭타입이라고도 하며, 다이얼이 보이지 않는 장소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다음 중 정비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날인을 한다.
  2. 기록과 수행이 완료된 모든 정비문서는 공장 자체에서 모두 폐기한다.
  3. 정비문서의 종류로는 작업지시서, 점검카드, 작업시트, 점검표 등이 있다.
  4. 확인 및 점검내용을 명확히 기록하고 수치값은 실측값을 기록한다.
(정답률: 81%)
  • "기록과 수행이 완료된 모든 정비문서는 공장 자체에서 모두 폐기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정비문서 중 일부는 보관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법적으로 보관해야 하는 경우나 차후에 유사한 작업을 수행할 때 참고할 목적으로 보관해야 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정비문서를 폐기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문장이 뜻하는 계기로 옳은 것은?

  1. Altimeter
  2. Air speed indicator
  3. Turn and slip indicator
  4. Vertical velocity indicator
(정답률: 69%)
  • 이미지에서는 비행기의 고도를 나타내는 계기인 Altimeter가 강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Altimeter가 비행기의 고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기라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은 항공기 표준 유도신호의 의미는?

  1. 후진
  2. 속도감소
  3. 촉 장착
  4. 기관정지
(정답률: 76%)
  • 항공기가 이륙 중이거나 비행 중일 때, 유도신호가 "기관정지"를 나타내면 엔진을 멈추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비상 상황이나 기타 안전 문제로 인해 필요할 때 항공기를 긴급하게 멈추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시각 점검(visual check)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특수장비를 사용하여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다.
  2. 여러 방법을 조합하여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다.
  3. 상태를 점검하는 것으로서 보조장비를 사용하여 점검하는 것을 말한다.
  4. 상태를 점검하는 것으로서 보조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다만 육안으로 점검하는 것이다.
(정답률: 81%)
  • 시각 점검은 보조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다만 육안으로 상태를 점검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항공기의 정시점검(scheduled maintenance)에 해당하는 것은?

  1. 중간점검
  2. A 점검
  3. 주간점검
  4. 비행 전ㆍ후 점검
(정답률: 68%)
  • 항공기의 정시점검은 A 점검에 해당합니다. A 점검은 항공기의 주요 부품 및 시스템을 점검하고 유지보수하는 점검으로,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필수적인 점검입니다. 중간점검, 주간점검, 비행 전ㆍ후 점검은 모두 A 점검과 함께 수행되는 보조적인 점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판재의 두께 0.5in, 판재의 굽힘반지름 1.6in 일 때 90°를 구부린다면 생기는 세트백을 몇 in인가?

  1. 0.8
  2. 1.5
  3. 2.1
  4. 3.2
(정답률: 60%)
  • 세트백은 판재가 굽히는 과정에서 생기는 두께의 변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90°를 구부리므로, 세트백은 판재의 두께와 굽힘반지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세트백 = (판재의 두께) x (π/2) x (판재의 굽힘반지름)

    여기서 π는 원주율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세트백 = (0.5in) x (π/2) x (1.6in) ≈ 2.1in

    따라서, 정답은 "2.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히드라진 취급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유자격자가 취급해야 하고, 반드시 보호 장구를 착용해야 한다.
  2. 히드라진이 누설되었을 경우 불필요한 인원의 출입을 제한한다.
  3. 히드라진이 항공기 기체에 묻었을 경우 즉시 마른 헝겊으로 닦아낸다.
  4. 히드라진을 취급하다 부주의로 피부에 묻으면 즉시 물로 깨끗이 씻고,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정답률: 73%)
  • "히드라진이 항공기 기체에 묻었을 경우 즉시 마른 헝겊으로 닦아낸다."가 틀린 것입니다. 히드라진은 매우 위험한 화학물질로, 항공기 기체에 묻었을 경우에는 즉시 적절한 안전장비를 착용하고 전문가에게 신속하게 처리를 의뢰해야 합니다. 단순히 마른 헝겊으로 닦아내는 것은 위험하며, 화학적 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튜브 밴딩 시 성형선(mold line)이란 무엇인가?

  1. 밴딩한 재료의 평균 중심선
  2. 밴딩 축을 중심으로 한 밴딩 반지름
  3. 밴딩한 재료의 바깥쪽에서 연장한 직선
  4. 재료의 안쪽선과 밴딩 축을 중심으로 한원과의 접선
(정답률: 60%)
  • 성형선은 밴딩한 재료의 바깥쪽에서 연장한 직선이다. 이는 밴딩한 재료의 외부에서 밴딩 과정에서 생긴 선으로, 밴딩한 부분과 밴딩하지 않은 부분의 경계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밑줄친 부분을 의미하는 용어는?

  1. 합금
  2. 부식
  3. 강도
  4. 응력
(정답률: 72%)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두 개 이상의 금속이 섞여 있는 것으로, 이를 합금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CO2소화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거리의 B,C급 화재의 소화에 사용된다.
  2. 취급 시 인체에 닿게 되면 동상에 걸릴 우려가 있다.
  3. 진화원리는 CO2가스가 공기보다 무거워 열원을 차단해 진화를 한다.
  4. 가스가 대기중으로 배출 팽창될 때 90°C 정도의 높은 온도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정답률: 66%)
  • 가스가 대기중으로 배출 팽창될 때 90°C 정도의 높은 온도이므로 주의해야 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CO2소화기는 가스가 대기중으로 배출될 때 온도가 낮아서 주변 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온도에 대한 주의사항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최소 측정값이 1/1000in 인 버니어캘리퍼스의 그림과 같은 측정값은 몇 in 인가?

  1. 0.366
  2. 0.367
  3. 0.368
  4. 0.369
(정답률: 68%)
  • 버니어캘리퍼스의 측정값은 1/1000in 이므로, 0.367in은 367/1000in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0.36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리벳종류 중 2017, 2024 리벳을 열처리 후 냉장 보관하는 주된 이유는?

  1. 부식방지
  2. 시효경화 지연
  3. 강도강화
  4. 강도변화 방지
(정답률: 69%)
  • 2017과 2024 리벳은 열처리 후 냉장 보관하는 이유는 시효경화 지연을 위해서입니다. 시효경화란 시간이 지나면서 재료의 강도가 약해지는 현상을 말하며, 이를 지연시키기 위해 열처리 후 냉장 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항공기 구조부재 수리작업에서 1열 패치 작업시 플러시 머리리벳의 끝거리는?

  1. 리벳지름의 2~4배
  2. 리벳길이의 2~4배
  3. 리벳지름의 2.5~4배
  4. 리벳길이의 2.5~4배
(정답률: 61%)
  • 리벳의 끝거리는 리벳의 지름에 비례하여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리벳의 끝거리는 리벳의 지름의 2.5~4배로 설정됩니다. 이는 리벳을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충격이나 진동에도 강한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1열 패치 작업시에도 이러한 원리를 적용하여 적절한 크기의 리벳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오일필터(Oil filter), 연료필터(Fuel filter) 등의 원통모양의 물건을 장ㆍ탈착 할 때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사용되는 공구는?

  1. 스트랩 렌치(Strap wrench)
  2. 콘넥터 플라이어(Connector plier)
  3. 어져스테이블 렌치(Ajustable wrench)
  4. 인터록킹 조인트 플라이어(Interlocking joint plier)
(정답률: 59%)
  • 스트랩 렌치는 원통모양의 물건을 잡아서 회전시키는 공구로, 표면에 직접적인 접촉이 없기 때문에 손상을 주지 않고 장ㆍ탈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항공기 조종계통 케이블에 설치된 턴버클 작업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딤플링
  2. 배럴
  3. 케이블아이
  4. 포크
(정답률: 53%)
  • 딤플링은 항공기 조종계통 케이블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커플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딤플링은 전기 회로에서 사용되는 컴포넌트로, 두 개의 전선을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항공기 조종계통 케이블에 설치된 턴버클 작업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미국알루미늄협회에서 사용하는 규격표시는?

  1. AISI 규격
  2. SAE 규격
  3. AA 규격
  4. MIL 규격
(정답률: 77%)
  • 미국알루미늄협회에서 사용하는 규격표시는 "AA 규격"입니다. 이는 미국알루미늄협회(AA)에서 제정한 알루미늄 합금의 표준 규격으로, 알루미늄 합금의 성질, 화학성분, 물리적 특성 등을 정확하게 기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AISI 규격은 강철에 대한 규격, SAE 규격은 자동차 부품에 대한 규격, MIL 규격은 군사용품에 대한 규격으로, 각각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규격이기 때문에 AA 규격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항공기 도면의 표제란에 "ASSY"로 표시되는 도면의 종류는?

  1. 생산도면
  2. 조립도면
  3. 장착도면
  4. 상세도면
(정답률: 64%)
  • "ASSY"는 "Assembly"의 약어로, 조립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ASSY"로 표시된 항공기 도면은 조립도면입니다. 조립도면은 부품들이 어떻게 조립되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생산도면이나 상세도면과는 다른 종류의 도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꼬리날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꼬리날개는 큰 하중을 담당하지 않으므로 리브와 스킨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2. 도살핀은 방향안정성 증가가 목적이지만 가로안정성 증가에도 도움을 준다.
  3. T형 꼬리날개는 날개후류의 영향을 받아서 성능이 좋아지고 무게경감에 도움을 준다.
  4. 수평안정판이 동체와 이루는 붙임각은 Down-wash를 고려하여 수평보다 조금 아랫방향으로 되어있다.
(정답률: 64%)
  • 도살핀은 꼬리날개의 일종으로, 방향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설계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가로안정성도 함께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도살핀의 형태가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방향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공기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가로안정성을 강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항공기에서 2차 조종계통에 속하는 조종면은?

  1. 방향키(rudder)
  2. 슬랫(slat)
  3. 승강키(elevator)
  4. 도움날개(aileron)
(정답률: 72%)
  • 슬랫은 기체 앞쪽에 위치한 작은 날개로, 기체의 공기 역학적 특성을 개선하여 이륙 및 착륙 시 속도를 낮추고 상승력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슬랫은 2차 조종계통에 속하는 조종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항공기 날개 등에 사용되는 허니컴 구조부의 검사방법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초음파검사
  2. 코인검사
  3. 자분탐상검사
  4. 육안검사
(정답률: 50%)
  • 자분탐상검사는 항공기 구조부의 표면에 있는 작은 균열이나 손상을 찾는 검사 방법으로, 다른 검사 방법들과는 달리 표면에 있는 작은 결함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분탐상검사는 표면에 있는 결함만을 검사하기 때문에 내부 결함을 찾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항공기 날개 등과 같은 구조물의 전반적인 검사를 위해서는 다른 검사 방법들이 함께 사용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헬리콥터 조종장치의 작동과 조종면의 작동이 일치하도록 조절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리그 작업
  2. 기능 점검
  3. 수리 작업
  4. 구조 작업
(정답률: 59%)
  • 리그 작업은 헬리콥터의 작동과 조종면의 작동이 일치하도록 맞추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는 헬리콥터의 안전한 비행을 위해 매우 중요한 작업으로, 조종면의 작동이 일치하지 않으면 비행 중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그 작업은 헬리콥터 조종에 있어서 필수적인 작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기술 변경서의 기록 내용 중 처리부호(TC : transaction code)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 - 추가
  2. C - 삭감
  3. L - 연결
  4. R - 재사용
(정답률: 55%)
  • 처리부호(TC : transaction code)는 SAP 시스템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기술 변경서에 기록되며, 기존에 없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A - 추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SAE 4130에서 “30”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를 30% 포함한다.
  2. C를 0.3% 포함한다.
  3. Ni를 30% 포함한다.
  4. Ni를 0.3% 포함한다.
(정답률: 55%)
  • SAE 4130에서 "30"은 합금 강재의 일반적인 표기법으로, 이 강재가 0.3% 탄소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C를 0.3% 포함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항공기 부재의 재료가 하중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저항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힘(force)
  2. 벡터(vector)
  3. 강도(strength)
  4. 표면하중(surface load)
(정답률: 58%)
  • 항공기 부재의 재료가 하중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저항력을 강도(strength)라고 부릅니다. 이는 재료가 얼마나 강하고 내구성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항공기 부재의 재료를 선택할 때는 강도가 높은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제품을 가열하여 그 표면에 다른 종류의 금속을 피복시키는 동시에 확산에 의하여 합금 피복층을 얻는 표면 경화법은?

  1. 질화법
  2. 침탄처리법
  3. 금속침투법
  4. 고주파 담금질법
(정답률: 57%)
  • 제품의 표면에 다른 종류의 금속을 피복시키는 것이 목적인데, 이를 위해 금속을 가열하여 그 표면에 침투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 방법은 금속이 고체 상태에서 다른 금속에 침투하는 것이므로 "금속침투법"이라고 불린다. 이 과정에서 확산에 의해 합금 피복층이 형성되어 표면 경화가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지름 0.5in, 인장강도 3000lb/in2의 알루미늄봉은 약 몇lb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가?

  1. 589
  2. 1178
  3. 2112
  4. 3141
(정답률: 44%)
  • 알루미늄봉의 단면적을 구해야 한다. 알루미늄봉의 지름이 0.5인치 이므로 반지름은 0.25인치이다. 따라서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A = πr2 = 3.14 x 0.252 = 0.19625 in2

    하중은 인장강도와 단면적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하중 = 인장강도 x 단면적 = 3000 lb/in2 x 0.19625 in2 = 589 lb

    따라서, 알루미늄봉은 약 589lb의 하중에 견딜 수 있다. 정답은 "58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프리휠 클러치(freewheel clutch)라고도 하며, 헬리콥터에서 기관브레이크의 역할을 방지하기 위한 클러치는?

  1. 드라이브 클러치(drive clutch)
  2. 스파이터 클러치(spider clutch)
  3. 원심 클러치(centrifugal clutch)
  4. 오버런닝 클러치(over running clutch)
(정답률: 61%)
  • 프리휠 클러치는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하지만, 역회전 시에는 회전력을 차단하여 기관브레이크의 역할을 방지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오버런닝 클러치가 필요합니다. 오버런닝 클러치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구조로, 역회전 시에는 회전력을 차단하여 기관브레이크를 방지합니다. 따라서, 프리휠 클러치는 오버런닝 클러치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V-n선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VA는 설계운용속도이다.
  2. VB는 설계급강하속도이다.
  3. OA와 OH 곡선은 양(+)과 음(-)의 최대 양력계수로 비행할 때 비행기 속도에 대한 하중배수를 나타낸다.
  4. AD와 HF의 직선은 설계상 주어지는 양(+)과 음(-)의 설계제한하중배수를 나타낸다.
(정답률: 52%)
  • VB는 설계급강하속도가 아니라, 설계제한속도를 나타내는 속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VB는 설계급강하속도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항공기의 총 모멘트가 M이고 총 무게가 W일 때 이 항공기의 무게중심위치를 구하는 식은?

  1. MW
  2. M+W
  3. M/W
  4. W/M
(정답률: 59%)
  • 항공기의 무게중심 위치는 항공기의 총 모멘트를 총 무게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이는 무게중심의 정의에 따른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M/W"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헬리콥터 동력전달장치 중 기관 동력 전달 방향을 바꾸는데 사용하는 기어는?

  1. 베벨기어
  2. 랙기어
  3. 스퍼기어
  4. 헬리컬기어
(정답률: 61%)
  • 헬리콥터의 동력전달장치에서는 기관의 동력을 메인로터로 전달하기 위해 베벨기어를 사용합니다. 이는 기어의 축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어 있어서, 기관의 축과 메인로터의 축을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베벨기어는 진동이 적고, 전달 효율이 높아 헬리콥터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항공기의 지상 활주 시 조향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형 항공기는 방향키 페달을 사용한다.
  2. 조향장치는 앞바퀴를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장치이다.
  3. 대형 항공기는 유압식이 사용되며 틸러라는 조향핸들을 사용한다.
  4. 소형 항공기는 방향키 페달을 이용하며 이때 방향키는 움직이지 않는다.
(정답률: 63%)
  • 정답은 "소형 항공기는 방향키 페달을 이용하며 이때 방향키는 움직이지 않는다."입니다. 이유는 방향키 페달은 항공기의 뒷부분에 위치하며, 조종사가 발로 밟아 방향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방향키 자체는 움직이지 않고, 페달을 밟는 정도에 따라 항공기의 방향이 변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날개 뒷전(trailing edge)에 장착되어 있는 플랩(flap)의 역할로 틀린 것은?

  1. 양력을 증가시킨다.
  2. 날개의 형상을 변경한다.
  3. 날개의 면적을 증가시킨다.
  4. 캠버(camber)를 감소시킨다.
(정답률: 57%)
  • 플랩은 날개의 형상을 변경하여 양력을 증가시키고, 날개의 면적을 증가시켜 기체의 상승력을 증가시킵니다. 하지만 캠버(camber)를 감소시키는 역할은 없습니다. 캠버란 날개의 곡률을 의미하며, 캠버를 감소시키면 날개의 곡률이 줄어들어 공기의 흐름이 더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공기의 저항이 감소하여 기체의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캠버(camber)를 감소시킨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그림은 어떤 반복응력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인가?

  1. 중복반복응력
  2. 변동응력
  3. 단순반복응력
  4. 반복변동응력
(정답률: 55%)
  • 이 그래프는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는 응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주기 안에서도 응력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이 그래프는 중복반복응력 상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항공기 복합 재료로 많이 쓰이는 케블러(Kevlar)는 어떤 강화 섬유에 속하는가?

  1. 유리 섬유
  2. 탄소 섬유
  3. 아라미드 섬유
  4. 보론 섬유
(정답률: 57%)
  • 케블러(Kevlar)는 아라미드 섬유에 속합니다. 이는 고강도와 고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항공기와 같은 고강도 구조물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유리 섬유는 강도가 낮아서, 탄소 섬유는 고강도는 가지고 있지만 탄성이 낮아서 케블러보다는 구조물의 강성을 높이는데 적합합니다. 보론 섬유는 케블러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열경화성 수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페놀수지
  2. 폴리우레탄수지
  3. 에폭시수지
  4. 폴리염화비닐수지
(정답률: 55%)
  • 열경화성 수지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를 말합니다. 폴리염화비닐수지는 열에 의해 경화되지 않기 때문에 열경화성 수지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헬리콥터의 저주파수 진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 : 1 진동이라 한다.
  2. 주로 꼬리회전날개의 회전속도가 빠를 때 발생한다.
  3. 가장 보편적인 진동으로 쉽게 느낄 수 있다.
  4. 주 회전날개 1회전당 한번 일어나는 진동이다.
(정답률: 46%)
  • "주로 꼬리회전날개의 회전속도가 빠를 때 발생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꼬리회전날개의 회전속도가 빠를수록 공기 저항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저주파수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진동은 헬리콥터의 안정성과 조종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른 종류의 헬리콥터와 비교하여 노타(Notar)헬리콥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정비나 유지가 쉽다.
  2.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3. 조종이 용이하고, 소음이 적다.
  4. 외부와 주 회전날개의 충돌 가능성이 없다.
(정답률: 55%)
  • 노타(Notar)헬리콥터는 주 회전날개가 없기 때문에 회전하는 동안 외부와 충돌할 가능성이 없습니다. 이는 안전성을 높이고 비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부와 주 회전날개의 충돌 가능성이 없다."는 노타헬리콥터의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착륙 시 브레이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미끄럼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시켜주는 것은?

  1. 오토 브레이크
  2. 조향 장치
  3. 팽창 브레이크
  4. 안티 스키드 장치
(정답률: 69%)
  • 안티 스키드 장치는 착륙 시 브레이크를 밟을 때 바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브레이크 효율을 높이는 장치입니다. 이는 바퀴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미끄럼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ALCOA규격 10S의 주합금 원소는?

  1. 구리(Cu)
  2. 망간(Mn)
  3. 순수알루미늄
  4. 규소(Si)
(정답률: 44%)
  • ALCOA규격 10S는 주로 항공기 부품 제작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합금 규격입니다. 이 규격에서의 주합금 원소는 구리(Cu)입니다. 이는 구리가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와 경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합금 원소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구리는 합금의 내식성과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ALCOA규격 10S에서는 구리가 주합금 원소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항공기의 기관마운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착륙장치의 일부분이다.
  2. 착륙장치의 충격을 흡수하여 전달한다.
  3. 기관을 보호하고 있는 모든 기체구조물을 말한다.
  4. 기관에서 발생한 추력을 기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60%)
  • 기관마운트는 항공기의 엔진을 부착하는 구조물로, 엔진에서 발생한 추력을 기체에 전달하여 비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기관에서 발생한 추력을 기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