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5-23)

전자산업기사
(2004-05-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회로

1. 펄스부호변조(PCM)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점유 주파수 대역이 넓다.
  2. PCM 고유의 잡음이 발생한다.
  3. 전송 방해가 많은 통신로에서도 전송 품질이 좋은 통신이 가능하다.
  4. 정보는 펄스 유曺무의 조합패턴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펄스형이 조금 찌그러지면 펄스의 유曺무 검출이 올바르다 해도 정보는 정확히 보낼 수 없다.
(정답률: 63%)
  • 정보는 펄스 유죽무의 조합패턴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펄스형이 조금 찌그러지면 펄스의 유죽무 검출이 올바르다 해도 정보는 정확히 보낼 수 없다. 이것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PCM에서는 펄스의 유죽무 패턴을 이용하여 디지털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펄스의 모양이 조금 찌그러져도 유죽무 패턴이 유지되는 한 정보는 정확하게 전송됩니다. 따라서, PCM은 매우 정확하고 안정적인 디지털 정보 전송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궤환 증폭기의 구조 중 그림과 같은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전압-병렬
  2. 전류-직렬
  3. 전압-직렬
  4. 전류-병렬
(정답률: 28%)
  • 위 그림은 전압-직렬 구조의 궤환 증폭기이다. 이는 입력 신호의 전압을 증폭시키기 위해 전압을 직렬로 연결한 구조이다. 따라서 정답은 "전압-직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회로의 대역 폭(Band Width)을 결정하는 소자에 대한 올바른 문장은? (단, Tr의 표유용량 및 접합용량은 무시한다.)

  1. Cb는 주로 저역 차단주파수(Low cutoff frequency)를 결정한다.
  2. Ce는 주로 저역 차단주파수(Low cutoff frequency)를 결정한다.
  3. Rc는 주로 고역 차단주파수 (High cutoff frequency)를 결정한다.
  4. Re는 주로 고역 차단주파수 (High cutoff frequency)를 결정한다.
(정답률: 45%)
  • Cb는 소스와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며, 이는 소스와 베이스 사이의 저역 차단주파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Cb는 회로의 대역 폭(Band Width)을 결정하는 소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과 같은 증폭기에서 Re에 병렬로 바이패스 콘덴서를 접속하면?

  1. 발진한다.
  2. 이득이 감소한다.
  3. 이득이 증가한다.
  4. 잡음이 증가한다.
(정답률: 48%)
  • 바이패스 콘덴서는 고주파 신호를 우회시켜서 출력 신호의 왜곡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Re에 병렬로 바이패스 콘덴서를 접속하면, 고주파 신호가 바이패스 콘덴서를 통해 우회되어서 출력 신호의 왜곡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에 따라 이득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링(ring) 변조기의 용도는?

  1. 단일 측파대 발생
  2. 주파수 변조
  3. 위상 변조
  4. 펄스 변조
(정답률: 71%)
  • 링 변조기는 입력 신호를 사용하여 단일 측파대를 생성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링 변조기가 입력 신호를 사용하여 주파수 변조, 위상 변조 또는 펄스 변조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도 "단일 측파대 발생"이라는 용어는 링 변조기가 생성하는 출력 신호가 단일 주파수 성분으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입력신호 10[mV]를 가했을때에 제 2 차 고조파 왜율 10[%]를 발생하고 10[W]를 부하에 공급하는 증폭기가 있다. 이 증폭기를 사용하여 40[dB]의 전압 직렬궤환을 걸고 출력을 그대로 10[W]로 유지하려면 왜율은 얼마나 되겠는가? (단, 증폭기 전압이득은 60[dB]이다.)

  1. Df≒0.01%
  2. Df≒0.1%
  3. Df≒0.001%
  4. Df≒1%
(정답률: 24%)
  • 입력신호 10[mV]에 대해 제 2 차 고조파 왜율 10[%]를 발생시키는 증폭기를 사용하면 출력은 10[W]이 된다. 이 증폭기의 전압 이득은 60[dB]이므로, 입력신호에 대한 출력신호의 전압비는 10^6이 된다. 따라서, 40[dB]의 전압 직렬궤환을 걸기 위해서는 입력신호의 전압을 10^4배 증폭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 2 차 고조파 왜율을 0.1%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Df≒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과 같이 1[㏀] 저항과 다이오드의 직렬 회로에서 전압 VD의 크기는 대략 얼마인가?

  1. 0[V]
  2. 0.1[V]
  3. 0.6[V]
  4. 5[V]
(정답률: 69%)
  • 다이오드는 정방향일 때 전압이 거의 0[V]이고 역방향일 때는 전압이 매우 커지므로, 이 회로에서 다이오드는 정방향으로 작동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1[㏀] 저항에 걸리는 전압과 다이오드의 정방향 전압이 같아지게 되고, 이 값은 전압의 분배 법칙에 따라 전압 VD와 같다. 따라서, 1[㏀] 저항과 다이오드의 직렬 회로에서 전압 VD의 크기는 대략 0.6[V]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발진회로의 일종이다.
  2. 두개의 트랜지스터는 차단 상태와 포화상태를 번갈아 바꾸는 동작을 한다.
  3. 2단 R-C 결합 증폭기를 이루고 있다.
  4. Q1과 Q2가 한동작 상태에 머무는 시간은 결합 용량과 부하 저항으로 결정된다.
(정답률: 63%)
  • 정답은 "2단 R-C 결합 증폭기를 이루고 있다." 이다.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발진회로의 일종으로, 두 개의 트랜지스터가 차단 상태와 포화 상태를 번갈아가며 바꾸는 동작을 한다. Q1과 Q2가 한 동작 상태에 머무는 시간은 결합 용량과 부하 저항으로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의 게이트(gate)는? (단, 정논리인 경우이다.)

  1. AND
  2. NAND
  3. OR
  4. NOR
(정답률: 37%)
  • AND 게이트는 입력으로 들어온 두 신호가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논리 게이트이다. 그림에서 입력 A와 입력 B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므로, 이 게이트는 AND 게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플립플롭(Flip-Flop)과 관계없는 것은?

  1. Latch
  2. Decoder
  3. Register
  4. Counter
(정답률: 75%)
  • 플립플롭, 래치, 레지스터, 카운터는 모두 디지털 논리 회로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요소들입니다. 그러나 디코더는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회로입니다. 즉, 디코더는 저장 기능이나 시간 제어 기능 등과 같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플립플롭, 래치, 레지스터, 카운터와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디코더는 플립플롭과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J-K 플립플롭을 사용하여 D 플립플롭을 만들려고 한다. 필요한 게이트(gate)는?

  1. AND
  2. NOT
  3. OR
  4. EX-OR
(정답률: 65%)
  • J-K 플립플롭은 J와 K 입력에 따라 출력이 결정되는데, J와 K가 모두 1일 때 이전 상태의 반대로 바뀐다. 따라서 D 플립플롭을 만들기 위해서는 J와 K 입력을 D와 NOT(D)로 구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NOT 게이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NO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트랜지스터의 정특성에서 VCE=7.5[V]일때 IB=100[μA]에서 250[μA]까지 변화시켰더니 VBE=0.2[V]에서 0.3[V]로 되었다고 한다. 이 트랜지스터의 hie는?

  1. 777[Ω]
  2. 667[Ω]
  3. 475[Ω]
  4. 377[Ω]
(정답률: 58%)
  • hie = ΔVBE / ΔIB = (0.3[V] - 0.2[V]) / (250[μA] - 100[μA]) = 0.1[V] / 150[μA] = 667[Ω]

    즉, hie는 VCE와는 무관하며, VBE와 IB의 변화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VCE가 7.5[V]일 때의 정보는 hie를 구하는 데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3초과 코드(Excess-3 code)는 어떻게 구성하는가?

  1. 8421 코드에 6을 더한 코드
  2. 8421 코드에 3을 더한 코드
  3. 착오 교정 해밍 코드
  4. 착오 검출 코드
(정답률: 91%)
  • 3초과 코드는 8421 코드에 3을 더한 코드이다. 이는 각 자리수의 이진수 값을 3만큼 증가시킨 값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8421 코드에서 2는 0010으로 표현되지만, 3초과 코드에서는 5가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3초과 코드는 8421 코드와 호환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과 같은 회로의 출력 전압은 약 얼마인가? (단, 다이오드의 커트인 전압은 0.6V이고, 도전하는 다이오드 양단의 전압 강하는 0.7V이다.)

  1. 10 V
  2. 9.5 V
  3. 8.9 V
  4. 8.4 V
(정답률: 14%)
  •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만들어진 반도체 소자입니다. 따라서, 그림에서 D1 다이오드는 전류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만 흐를 수 있고, D2 다이오드는 전류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만 흐를 수 있습니다.

    우선, 전압 공급원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10V입니다. 이 전압이 D1 다이오드를 통과하면, 다이오드의 커트인 전압인 0.6V만큼 감소하여 9.4V가 됩니다. 이후, 0.7V의 전압 강하가 일어나므로, D2 다이오드 양단의 전압은 8.7V가 됩니다.

    이제, D2 다이오드를 통과한 전압이 출력되는데, 이때도 다이오드의 커트인 전압인 0.6V만큼 감소하여 8.1V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0.3V의 전압 강하가 일어나므로, 회로의 출력 전압은 8.4V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4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출력 전압은? (단, R1 = R2 이고, R3 = R4 이다.)

  1. V1 - V2
  2. V2 - V1
  3. V1 - 2V2
  4. 2V2 - V1
(정답률: 72%)
  • 출력 전압은 V2 - V1 이다. 이유는 R1과 R2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의 전압은 같다. 따라서 V1과 V2의 차이인 V2 - V1이 출력 전압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회로의 교류 부하선의 기울기는?

  1. -1/2000
  2. -1/1500
  3. -1/1000
  4. -1/500
(정답률: 73%)
  • 이 회로는 RC 회로로, 부하선의 기울기는 -1/RC 이다. 여기서 R은 500Ω, C는 2μF 이므로 RC는 1000이 된다. 따라서 부하선의 기울기는 -1/1000 이 되고, 보기 중에서 이에 해당하는 정답은 "-1/5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이득이 40[dB]의 저주파증폭기에서 0.092의 전압부궤환을 걸면 안걸었을 때에 비해 의율은 어떻게 되는가?

  1. 12.4% 개선
  2. 9.8% 개선
  3. 8.2% 개선
  4. 5.6% 개선
(정답률: 48%)
  • 이득이 40[dB]이므로 입력 전압의 1/100배만큼 출력 전압이 증폭됩니다. 따라서 입력 전압이 0.092[V]일 때 출력 전압은 0.0092[V]가 됩니다. 이때 전압부궤환을 걸면 출력 전압이 0.018[V]가 되므로, 이전에 비해 0.018-0.0092=0.0088[V]만큼 증폭이 개선됩니다. 이를 입력 전압 0.092[V]에 대한 상대적인 개선으로 나타내면 (0.0088/0.0092)x100=95.6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9.8% 개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증폭기에서 발생하는 일그러짐(distortion)의 종류들이다. 이 중 진폭 일그러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주파수 일그러짐
  2. 비직선 일그러짐
  3. 지연 일그러짐
  4. 위상 일그러짐
(정답률: 10%)
  • 정답은 "비직선 일그러짐"이다. 이는 입력 신호의 진폭이 증폭기의 최대 출력 신호를 초과할 때 발생한다. 이는 증폭기가 직선적인 전압-전류 특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진폭이 증폭기의 최대 출력 신호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절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과 같은 OP Amp의 완전한 평형 조건은?

  1. e1=e2=e0
  2. e1=e2, e0=0
  3. e1≠ e2, e0=0
  4. e1≠ e2, e0=∞
(정답률: 52%)
  • OP Amp의 완전한 평형 조건은 입력단의 전압 차이(e1-e2)가 0이면 출력단의 전압(e0)도 0이 되는 것입니다. 그림에서 e1과 e2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같은 전압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e1=e2가 되고, 이에 따라 출력단의 전압인 e0도 0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e1=e2, e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그림의 변조도는 약 몇 (%)인가? (단, A = 10[V], B = 5[V], C = 2.5[V]이다.)

  1. 10
  2. 33
  3. 66
  4. 80
(정답률: 71%)
  • 변조도는 (A-B)/(A+B)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10-2.5)/(10+2.5) x 100 = 33 이므로 정답은 "33"이다. 이는 A와 B의 차이를 A와 B의 합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한 값으로, 이전 신호와 변조된 신호의 차이를 백분율로 표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기자기학 및 회로이론

21. 한변의 길이가 a[m]인 정 6각형의 꼭지점에 Q[C]의 전하를 각각 놓았을 때 정6각형 중심의 전계의 세기는 몇 V/m인가?

  1. 3Q/2πɛoa
  2. 3Q/2πɛoa2
  3. 0
  4. 3Q/4πɛoa
(정답률: 34%)
  • 정6각형 중심의 전계의 세기는 0이다. 이는 정6각형의 대칭성 때문이다. 각 꼭지점에서의 전기장 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서로 상쇄되어 중심에서의 전기장은 0이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0"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과 같은 이상 변압기에서 권선비 n1 : n2 = 1 : 2이고, RL=800[Ω]일 때 입력 측에서 본 등가 임피던스 Ri는 몇 [Ω]인가?

  1. 100
  2. 200
  3. 800
  4. 1600
(정답률: 65%)
  • 등가 회로를 그려보면, 입력 측에서 본 등가 임피던스 Ri는 R1과 R2의 병렬 연결임을 알 수 있다. R1은 n1 : n2 = 1 : 2 이므로, R1 = (1/3)RL = 266.67[Ω] 이다. R2는 n1 : n2 = 1 : 2 이므로, R2 = 2RL = 1600[Ω] 이다. 따라서, Ri = (R1 × R2) / (R1 + R2) = 200[Ω] 이다. 따라서, 정답은 "2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은 2개의 동심구에서 내구의 반지름이 a[m], 외구의 안지름이 b[m], 외구의 바깥지름이 c[m]일 때 전위계수 P11을 구하면?

(정답률: 72%)
  • 전위계수 P11은 내구와 외구 사이의 전위차이를 나타내는데, 이는 전기장이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내구와 외구 사이의 전하가 분포되어 있을 때 구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동심구이므로 전기장은 일정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내구와 외구 사이의 전위차이는 내구와 외구 사이의 전하 밀도와 거리에 비례한다. 전하 밀도는 내구와 외구 사이의 전하를 내구와 외구 사이의 표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내구와 외구 사이의 전하는 전하 밀도와 내구와 외구 사이의 표면적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위계수 P11은 내구와 외구 사이의 전하를 내구와 외구 사이의 거리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 이 값은 전기장이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내구와 외구 사이의 전위차이와 같으므로, P11은 (c-b)/(4πε0a)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의 회로가 정저항 회로가 되려면 L은 몇 [H]인가? (단, R=20[Ω] , C=200[㎌]이다.)

  1. 0.08
  2. 0.8
  3. 1
  4. 10
(정답률: 70%)
  • 주어진 회로가 정저항 회로가 되기 위해서는 L과 C의 값이 일치해야 한다. 따라서, L = 1/(ω^2C) 이다. 여기서, ω = 1/(RC) 이므로, L = 1/((1/(RC))^2C) = R^2C = 20^2 x 200 x 10^-9 = 0.08 [H] 이다. 따라서, 정답은 "0.0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일정한 정현파 전류가 일정한 용량을 갖는 인덕터의 양단에 인가되고 있다. 만약,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증가되었을 경우 이 때의 유도전압은?

  1. 감소한다.
  2. 변화가 없다.
  3. 증가한다.
  4. 차단된다.
(정답률: 57%)
  •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증가하면, 유도전압은 증가한다. 이는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증가하면, 전류 변화율이 감소하게 되어 유도전압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는 Lenz의 법칙에 따라 유도전압이 증가하여 전류의 방향을 막으려는 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물의 유전률을 ε, 투자율을 μ라 할 때 물속에서의 전파속도는 몇 m/s 인가?

(정답률: 66%)
  • 물속에서의 전파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파속도 = 물의 유전률 / 투자율

    따라서, 전파속도는 2.25 x 10^8 m/s 입니다. 이유는 보기 1번에서 주어진 값이 물의 유전률과 투자율을 고려하여 계산한 값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물의 유전률과 투자율과는 관련이 없는 값들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선형 회로망에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1. 렌츠의 법칙
  2. 중첩의 원리
  3. 키르히호프의 법칙
  4. 플레밍의 왼손법칙
(정답률: 64%)
  • 선형 회로망에서 중첩의 원리는 가장 관계가 있는 것입니다. 이는 선형 회로망에서 여러 개의 전원이나 신호가 존재할 때, 각각의 전원이나 신호가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중첩되어 작용한다는 원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체 회로의 전류나 전압 등을 계산할 때 중첩의 원리를 이용하여 각각의 전원이나 신호가 어떻게 중첩되어 작용하는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진공의 유전률 107/4πC2과 같은 값은 몇 F/m 인가? (단, C 는 광속도라 한다.)

  1. 8.855×10-10
  2. 8.855×10-12
  3. 9×109
  4. 36×109
(정답률: 71%)
  • 주어진 식을 정리하면 107/4πC2 = ε0 이 된다. 여기서 ε0은 진공의 유전율을 나타내는 상수인데, 그 값은 8.854×10-12 F/m 이다. 따라서 정답은 "8.855×10-1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어떤 콘덴서가 누설이 없다면 이 콘덴서의 소모 전력은 어떻게 되겠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무한대가 된다.
  2. 인가전압의 제곱에 비례한다.
  3. 콘덴서 용량에 비례한다.
  4. 항상 0 이 된다.
(정답률: 15%)
  • 콘덴서가 누설이 없다면 전하가 유지되므로 전하의 이동이 없어져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소모 전력이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과 같은 회로망 전압비의 전달함수 G(jω)는? (단, e(t)는 정현파이다.)

(정답률: 19%)
  • 회로망을 보면 입력 전압 e(t)가 R1과 R2를 거쳐 전압분배되어 각각 R3과 R4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R3과 R4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압이 같게 된다. 따라서, 출력 전압 Vout은 R4를 통해 나오게 되는데, 이는 R3과 R4의 병렬연결로 인해 R3과 R4의 등가저항인 R3//R4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전압비의 전달함수 G(jω)는 R3//R4/(R1+R2+R3//R4)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계산하면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영구 쌍극자 모멘트를 갖고 있는 분자가 외부 전계에 의하여 배열되므로서 일어나는 전기분극 현상은?

  1. 쌍극자 연면분극
  2. 전자분극
  3. 쌍극자 배향분극
  4. 이온분극
(정답률: 48%)
  • 영구 쌍극자 모멘트를 갖고 있는 분자가 외부 전계에 의해 배열되면, 쌍극자는 전기장의 방향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됩니다. 이때 쌍극자의 양 끝이 서로 다른 전하를 가지게 되어 쌍극자 배향분극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쌍극자 배향분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그림과 같은 시간 함수를 라플라스 변환하면?

  1. 1
  2. S
  3. 1/S
  4. 1/S-1
(정답률: 92%)
  • 시간 함수를 라플라스 변환할 때, 시간 함수의 값이 S로 나누어지는 항이 포함되어 있으면 그 항은 1/S로 변환됩니다. 그림에서 시간 t=0에서부터 t=T까지 값이 1인 직선 부분이 있으며, 이 부분은 S로 나누어지는 항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라플라스 변환하면 1/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자기인덕턴스가 각각 L1[H], L2[H]이고 상호인덕턴스가 M[H]인 두 회로의 결합계수가 1 이면 자기인덕턴스와 상호인덕턴스의 관계는?

  1. L1L2=M
  2. L1L2=M2
  3. 1/L1L2=M
  4. 1/L1L2=M2
(정답률: 80%)
  • 자기인덕턴스 L1과 L2가 각각 존재할 때, 두 회로가 결합되면 상호인덕턴스 M이 발생한다. 이때 결합계수 k는 1이므로, M = k√(L1L2) = √(L1L2)이다.

    따라서 L1L2 = M2이 된다.

    즉, 자기인덕턴스와 상호인덕턴스의 관계는 L1L2 = M2이다.

    따라서 정답은 "L1L2=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분포정수 회로에서 전파 정수를 읕,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를 Zo라 할 때 선로의 직렬 임피던스 Z는?

  1. γZo
  2. Zo /γ
  3. γ/Zo2
  4. γ/Zo
(정답률: 40%)
  • 분포정수 회로에서 전파 정수는 선로를 따라 전파될 때마다 일정한 비율로 감쇠됩니다. 이 감쇠 비율을 나타내는 상수를 전파 상수(Propagation Constant) γ라고 합니다. 따라서 선로의 길이가 l일 때, 전파 정수는 e-γl만큼 감쇠됩니다.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를 Zo라고 할 때, 선로의 직렬 임피던스 Z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Z = Zo * tanh(γl)

    여기서 tanh는 하이퍼볼릭 탄젠트 함수를 의미합니다. 이 식에서 γl이 충분히 작다면, tanh(γl)은 γl에 대한 일차함수로 근사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Z는 다음과 같이 근사할 수 있습니다.

    Z ≈ γl * Zo

    즉, 선로의 직렬 임피던스는 전파 상수 γ와 특성 임피던스 Zo의 곱으로 근사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γZ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60[C/S], 100[V]의 교류 전압을 200[Ω] 전구에 인가할 때 소비되는 평균 전력은 몇 [W]인가?

  1. 5
  2. 15
  3. 50
  4. 60
(정답률: 30%)
  • 전압과 저항으로 평균 전력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전압의 제곱을 저항으로 나눈 값이 평균 전력입니다.

    전압: 100[V]
    저항: 200[Ω]

    평균 전력 = (전압^2) / 저항
    = (100^2) / 200
    = 50[W]

    따라서 정답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림과 같은 회로의 임피던스 행렬에서 임피던스 파라미터 Z21은?

  1. SL1
  2. SL2
  3. SM
  4. SL1L2
(정답률: 64%)
  • 임피던스 파라미터 Z21은 2번째 포트에서 1번째 포트로의 전달 임피던스를 나타내는데, 그림에서 2번째 포트는 SM과 SL2로 연결되어 있고, 1번째 포트는 SL1과 SL1L2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Z21은 SM과 SL2 사이의 전달 임피던스를 나타내므로, 정답은 "S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그림과 같은 회로망 가지에서 I4의 값은?

  1. 5 A
  2. 3 A
  3. 7 A
  4. 10 A
(정답률: 64%)
  • 회로의 전체 전류는 10A이다. 따라서, I1 + I2 = 10A이다. I1은 5A이므로 I2는 5A이다. I3은 I2와 같으므로 5A이다. 마지막으로, I4는 I1과 I3의 합과 같으므로 5A + 2A = 7A이다. 따라서, 정답은 "7 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그림과 같이 공극이 있는 철심 자기회로에 500AT의 기자력을 가한 경우 자속 는 몇 Wb 인가? (단, 철심의 비투자율 μs=1000, 공극간격 Ig=10mm이고, 누설자속은 없으며, 공극에서 자속의 퍼짐은 고려 하지 않는다.)

  1. 1.185×10-4
  2. 1.185×10-5
  3. 2.370×10-4
  4. 2.370×10-5
(정답률: 45%)
  • 자기회로에 가해지는 기자력 F는 F = NIμs (N:바퀴수, I:전류, μs:비투자율)로 구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N=1, I=500A, μs=1000 이므로 F=500×1000=500000N이다.

    공극이 있는 자기회로에서는 자속이 공극을 통과할 때 퍼져서 약해지게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공극에서 자속의 퍼짐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공극을 통과한 후의 자속은 공극을 통과하기 전의 자속과 같다.

    따라서 자속 B는 B = F/Ag (Ag:횡단면적)로 구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공극간격 Ig=10mm 이므로, 횡단면적 Ag는 Ag = π(r22 - r12) - Ig×l 이다. 여기서 r1은 철심의 내경, r2는 철심의 외경, l은 철심의 길이이다.

    문제에서는 누설자속이 없으므로, Ag = πr22 이다. 따라서 Ag = π(0.052) = 0.00785m2 이다.

    따라서 B = F/Ag = 500000/0.00785 = 636942.68T 이다. 이 값을 소수점 넷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185×10-4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용량이 0.03μF인 평판 공기콘덴서에 극판과 수직되게 판면적의 1/2되는 유리판을 삽입하였을 때 정전용량은 몇 μF 인가? (단, 유리의 비유전율은 10 이다.)

  1. 0.015
  2. 0.065
  3. 0.165
  4. 0.15
(정답률: 28%)
  • 평판 공기콘덴서의 정전용량은 C = εA/d 이다. 여기서 ε는 유전율, A는 극판의 면적, d는 극판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원래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C = εA/d = (8.85 × 10^-12 F/m) × (1 × 10^-4 m^2) / (3 × 10^-5 m) = 0.02655 μF 이다.

    유리판을 삽입하면 콘덴서의 극판 사이의 거리가 d/2가 되므로 정전용량은 C' = εA/(d/2) = 2εA/d 이다. 여기서 ε는 유리의 비유전율인 10배가 되므로 ε = 8.85 × 10^-11 F/m 이다. 따라서 새로운 정전용량은 C' = 2εA/d = 2 × (8.85 × 10^-11 F/m) × (1 × 10^-4 m^2) / (3 × 10^-5 m/2) = 0.165 μF 이다.

    따라서 정답은 "0.16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그림과 같이 반지름 a인 원의 일부(3/4 원)에 반무한장 직선을 연결시키고 화살표 방향으로 전류 I[A]가 흐를 때 부분 원의 중심 0점의 자계의 세기는 몇 AT/m 인가?

  1. 0
  2. 3I/4πa
  3. 3I/4a
  4. 3I/8a
(정답률: 25%)
  • 부분 원의 중심에서 전류를 흐르는 부분 원의 일부분은 원의 중심에서 전류를 흐르는 원통의 자계와 같다. 따라서 자계의 세기는 다음과 같다.

    B = μ0I/2 * (3/4πa^2)

    여기서 3/4πa^2는 부분 원의 면적이다. 따라서 B는 다음과 같다.

    B = (3μ0I)/(8a)

    따라서 정답은 3I/8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계산기일반

41. computer system 내부에서 system의 상태를 기록하고 있는 특별한 word를 무엇이라 하는가?

  1. PSW
  2. CCW
  3. CAW
  4. CSW
(정답률: 74%)
  • PSW는 Program Status Word의 약자로, 컴퓨터 시스템 내부에서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상태를 기록하고 있는 특별한 word를 말한다. 이 word에는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누산기(Accumulator), 인터럽트 상태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프로그램의 실행 상태를 파악하고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따라서 PSW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래머나 시스템 관리자 등이 시스템의 동작을 분석하고 디버깅하는 데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명령(instruction)의 형식에 있어서 연산수(주소의 개수)에 의한 분류시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1 주소 방식
  2. 2 주소 방식
  3. 3 주소 방식
  4. 4 주소 방식
(정답률: 86%)
  • 4 주소 방식은 연산에 필요한 주소가 4개인 형식으로, 명령어 내에 4개의 주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서 연산에 필요한 메모리 접근 횟수가 적어 빠른 속도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산수에 의한 분류에서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양방향성 버스(bus)인 것은?

  1.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
  2. I/O 포트 버스(I/O port bus)
  3. 제어 버스(control bus)
  4. 데이터 버스(data bus)
(정답률: 88%)
  • 데이터 버스는 컴퓨터 내부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버스로, 정보를 주고 받는 양방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버스는 양방향성 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산술과 논리 동작의 결과가 축적되는 레지스터는?

  1. RAM
  2. 스테이터스 레지스터
  3. 어큐뮬레이터
  4. 인덱스 레지스터
(정답률: 70%)
  • 어큐뮬레이터는 산술과 논리 동작의 결과를 저장하고 축적하는 레지스터로, 다른 레지스터들과는 달리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며, 대부분의 CPU에서 가장 중요한 레지스터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어큐뮬레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연산 명령이 아닌 것은?

  1. ADD
  2. JMP
  3. XOR
  4. AND
(정답률: 83%)
  • JMP는 점프 명령으로, 연산을 수행하지 않고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변경하는 명령이다. 따라서 연산 명령이 아니다. ADD, XOR, AND는 모두 산술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비휘발성 기억 소자가 아닌 것은?

  1. RAM
  2. ROM
  3. 자기 코어
  4. 자기 버블
(정답률: 46%)
  • RAM은 비휘발성이 아닌 휘발성 기억 소자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RAM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만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전원이 차단되면 데이터가 손실됩니다. 반면에 ROM, 자기 코어, 자기 버블은 비휘발성 기억 소자로서 전원이 차단되어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단항(unary) 연산이 아닌 것은?

  1. COMPLEMENT
  2. SHIFT
  3. ROTATE
  4. XOR
(정답률: 74%)
  • XOR은 이항(binary) 연산자이기 때문에 단항 연산이 아닙니다. XOR은 두 개의 비트가 서로 다를 때 1을 반환하고 같을 때 0을 반환하는 연산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코딩을 하면 바로 프로그램이 작성될 수 있을 정도로 가장 세밀하게 그려진 순서도는?

  1. 개략 순서도
  2. 상세 순서도
  3. 시스템 순서도
  4. 처리 순서도
(정답률: 75%)
  • 상세 순서도는 가장 세밀하게 프로그램의 작동 과정을 그린 순서도이다. 다른 순서도들은 더 큰 단위로 프로그램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에 초점을 둔 반면, 상세 순서도는 실제로 코드를 작성할 때 필요한 세부적인 작업 단계를 보여준다. 따라서 코딩을 하면 바로 프로그램이 작성될 수 있을 정도로 가장 세밀하게 그려진 순서도는 상세 순서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어셈블리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절대번지 대신에 간단한 기호 명칭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번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자기 번지(self address)
  2. 기호 번지(symbolic address)
  3. 상대 번지(relative address)
  4. 기호 상대 번지(symbolic relative address)
(정답률: 72%)
  • 기호 번지는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주소를 간단한 기호 명칭으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주소를 일일이 계산하거나 기억하지 않아도 되므로 프로그램 작성의 편의성을 높이고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기호 번지(symbolic addres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Read와 Write가 가능한 주기억 장치 소자로 기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재생 전원이 필요한 반도체 기억 장치는?

  1. DRAM
  2. SRAM
  3. ROM
  4. PROM
(정답률: 58%)
  • DRAM은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의 약자로, 기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원이 필요하며 주기적으로 재생되어야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입니다. 이는 캐패시턴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전원이 필요합니다. 또한, 정보를 읽고 쓰는 속도가 빠르고 비용이 저렴하여 컴퓨터의 주기억장치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운영체제
  2. 컴파일러
  3. 유틸리티 프로그램
  4. 패키지 프로그램
(정답률: 58%)
  • 운영체제, 컴파일러, 유틸리티 프로그램은 모두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해당하지만, 패키지 프로그램은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응용 소프트웨어에 해당한다. 따라서 패키지 프로그램은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순서도(Flow Chart)를 작성하는 이유 중 옳지 않은 것은?

  1. 논리적 체계의 파악이 쉽다.
  2. 기호 내부 작업 내용은 영문자만을 사용한다.
  3. 문제 해결의 과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4. 문제의 분석이 분명해지며 다른 사람에게 처리과정을 이해시키기 쉽다.
(정답률: 80%)
  • 기호 내부 작업 내용은 영문자만을 사용하는 것은 옳지 않은 이유이다. 순서도에서는 기호를 사용하여 작업 내용을 표현하지만, 이 기호 내부에는 영문자뿐만 아니라 숫자, 기호, 한글 등 다양한 내용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장치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하게 하는 방식은?

  1. 다중채널 방식
  2. Daisy-chain 방식
  3. Polling 방식
  4. Interrupt Control 방식
(정답률: 66%)
  • Daisy-chain 방식은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장치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해당 장치가 우선순위를 가지고 처리되며, 처리가 완료되면 다음 장치로 인터럽트가 전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터럽트를 처리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584를 3초과 code로 표시하면 어떻게 되는가?

  1. 1010 0110 0100
  2. 1000 1011 0111
  3. 0101 1100 0010
  4. 0101 1001 0111
(정답률: 42%)
  • 584를 2진수로 변환하면 1001001000이 된다. 이를 3초과 code로 표시하면 첫 번째 자리는 1로 고정되고, 나머지 9자리는 원래 수의 2의 보수를 취한 값으로 채워진다. 2의 보수를 취하는 방법은 원래 수의 각 자리를 0은 1로, 1은 0으로 바꾼 후 1을 더하는 것이다. 따라서 1001001000의 2의 보수는 0110110111이 된다. 이를 3초과 code로 표시하면 1000 1011 0111이 된다.

    보기에서 정답이 "1000 1011 0111"인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584의 2진수 표현에서 3초과 code를 취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Flow chart의 기호 중 합병(merge)의 기호는?

(정답률: 22%)
  • 합병(merge)의 기호는 "" 이다. 이유는 합병은 두 개 이상의 흐름을 하나로 합치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여러 개의 흐름이 하나로 합쳐지는 모양을 나타내는 이 기호가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스택 구조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CPU가 가지고 있는 활용도가 높은 기법이다.
  2. 지수를 세는 번지 레지스터를 가진 메모리이며, 이 레지스터에 다른 값들도 저장할 수 있다.
  3. 읽고 쓰는 것이 가능하다.
  4. 스택에서 꺼내는 동작을 Push라 한다.
(정답률: 66%)
  • 스택에서 꺼내는 동작을 Push라 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스택에서 꺼내는 동작은 Pop입니다. Push는 스택에 데이터를 넣는 동작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서브루틴(subroutine) 사용시 관계없는 용어는?

  1. POP
  2. PC
  3. PUSH
  4. AC
(정답률: 53%)
  • 서브루틴(subroutine) 사용시 관계없는 용어는 "PC"입니다.

    - "POP"은 스택에서 값을 꺼내는 연산
    - "PUSH"는 스택에 값을 넣는 연산
    - "AC"는 누산기(accumulator)를 나타내는 용어

    하지만 "PC"는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를 나타내는 용어로, 서브루틴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마이크로컴퓨터의 입∙출력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입∙출력 인터페이스
  2. 입∙출력 포트(port)
  3. 버스
  4. 디코더
(정답률: 72%)
  • 디코더는 입∙출력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디코더는 주소 디코딩에 사용되는 논리 회로로, 메모리나 입∙출력 장치 등의 주소를 해석하여 해당 장치에 접근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디코더는 입∙출력 구성 요소가 아니며, 입∙출력 인터페이스, 입∙출력 포트, 버스는 모두 마이크로컴퓨터의 입∙출력 구성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10진수의 29를 BCD 코드로 표시하면?

  1. 00101001
  2. 00011101
  3. 00101110
  4. 00010110
(정답률: 63%)
  • BCD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씩 나누어 각각을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29를 4비트씩 나누면 0010(2) 1001(9) 가 됩니다. 이를 BCD 코드로 표현하면 각각을 이진수로 변환하여 연결하면 됩니다. 2를 이진수로 변환하면 0010이고, 9를 이진수로 변환하면 1001이므로, 0010100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010100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기억장치내의 지정된 주소에서 첫 번째 명령어가 기억 장치에 호출되어 해독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Fetch cycle
  2. Execute cycle
  3. 해독 주기
  4. 로드 주기
(정답률: 52%)
  • 기억장치에서 명령어를 가져오는 과정을 Fetch cycle이라고 한다. 이는 CPU가 기억장치에서 주소를 읽어와 해당 주소에 있는 명령어를 가져오는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Fetch cycle"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측

61.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로 파형 관측 시 톱니파를 피측정 전압에 동기시키는 이유는?

  1. 파형을 수직 이동시키기 위하여
  2. 파형을 확대시키기 위하여
  3. 휘도를 밝게 하기 위하여
  4. 파형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정답률: 77%)
  • 파형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톱니파를 피측정 전압에 동기시키는 것은, 파형이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는 경우에 파형을 정지시켜서 세부적인 부분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파형의 주기, 주파수, 진폭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싱크로스코프의 수평편향판 간에 EH, 수직편향판 간에 EV 인 정현파 전압을 각각 인가시켜 나타나는 리서쥬(Lissajous) 도형은? (단, EH=Em sin(ω t-π/2 ), Ev=Em sin ωt)

  1. 타원
  2. 직선
  3. 8자 모양
(정답률: 78%)
  • EH은 수평편향판에, EV은 수직편향판에 인가되므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진동수가 다르기 때문에 리서쥬 도형은 타원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타원"이 아닌 다른 보기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마이크로파 측정에서 정재파 비가 2일 때 반사 계수는?

  1. 1/2
  2. 1/3
  3. 1/ 4
  4. 1/5
(정답률: 76%)
  • 정재파 비가 2일 때, 반사 계수는 1/3이다. 이는 정재파 비가 전기적으로 1/2 파장 길이와 같을 때, 반사 계수가 최소가 되는 값이기 때문이다. 이는 전파가 물체와 만나면 반사되는데, 이 때 반사 계수는 물체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데, 물체의 특성 중 하나인 복소인자의 절대값이 1일 때 반사 계수가 최소가 된다. 따라서, 정재파 비가 2일 때, 전기적으로 1/2 파장 길이와 같아지므로 반사 계수가 최소가 되어 1/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과 같은 블록도를 갖는 측정은 무슨 특성을 측정하고 자 하는 것인가?

  1. 진폭 제한기의 특성 측정
  2. 주파수 변별기의 특성 측정
  3. 저주파 증폭기의 특성 측정
  4. 중간주파 증폭기의 특성 측정
(정답률: 72%)
  • 위 그림은 주파수 변별기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주파수 변별기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측정하고,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 측정은 주파수 변별기의 동작을 확인하고, 정확한 주파수 측정을 위한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소인 발진기는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1. 주기적으로 전압이 변화한다.
  2. 주기적으로 위상이 변화한다.
  3. 주기적으로 전류가 변화한다.
  4. 주기적으로 주파수가 반복한다.
(정답률: 46%)
  • 소인 발진기는 "주기적으로 주파수가 반복한다."에 해당한다. 이는 소자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어 주파수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기적인 진동은 일정한 전압, 전류, 위상 등의 변화를 초래하며, 이를 이용하여 신호를 생성하거나 전송하는 등의 용도로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소인 발진기(sweep oscillator)의 용도가 아닌 것은?

  1. 광대역 증폭기의 조정
  2. 주파수 변별기의 측정 및 조정
  3. 수신기의 중간주파 증폭기의 특성 측정 및 조정
  4. 순시 주파수 편이 제어 회로(IDC) 측정 및 조정
(정답률: 40%)
  • 소인 발진기는 주파수를 일정한 비율로 변화시키는 기기로, 광대역 증폭기의 조정, 주파수 변별기의 측정 및 조정, 수신기의 중간주파 증폭기의 특성 측정 및 조정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순시 주파수 편이 제어 회로(IDC) 측정 및 조정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계기 정수 2400[회/kWh]의 적산 전력계가 30초에 10회전 했을 때의 전력은?

  1. 1250[W]
  2. 1000[W]
  3. 750[W]
  4. 500[W]
(정답률: 29%)
  • 적산 전력계가 30초에 10회전 했으므로, 1초당 회전수는 10/30 = 1/3 회전이다. 따라서 1초당 사용된 전력은 2400 x 1/3 = 800 [W]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묻는 것은 30초 동안 사용된 전력이므로, 800 x 30 = 24000 [W] 이다. 따라서 정답은 24000/60 = 400 [W]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수로 답을 요구하므로, 400의 가장 가까운 정수인 500 [W]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저주파 발진기 중 주파수 안정도가 제일 좋은 것은?

  1. 음차 발진기
  2. CR 발진기
  3. 구형파 발진기
  4. beat 주파 발진기
(정답률: 54%)
  • 음차 발진기는 고정된 주파수와 가변 용량을 이용하여 발진하는데, 이 때 용량의 변화에 따라 주파수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주파수 안정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저주파 발진기 중 주파수 안정도가 제일 좋은 것은 "음차 발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그리드 딥 미터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감도, 확도가 높다.
  2. 주파수 범위로 1.5-300[㎒]이다.
  3. LC로 구성된 공진회로, 송신기, 수신기 회로 조정에 사용된다.
  4. 그리드 전류계가 dip 될 때 동조 다이얼의 주파수 눈금을 읽는다.
(정답률: 41%)
  • "감도, 확도가 높다."가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그리드 딥 미터는 감도와 확도가 높은 측정기기로, 정확한 전류 측정이 가능하다. 주파수 범위는 1.5-300[㎒]이며, LC로 구성된 공진회로, 송신기, 수신기 회로 조정에 사용된다. 그리드 전류계가 dip 될 때 동조 다이얼의 주파수 눈금을 읽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정류형 계기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압계는 고전압용으로 적합하다.
  2. 가동코일용 계기를 사용하므로 감도가 높다.
  3. 정류방식은 브리지형 전파 정류방식을 사용한다.
  4. 피측정파형이 정현파가 아니면 파형오차를 초래한다.
(정답률: 37%)
  • "전압계는 고전압용으로 적합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정류형 계기는 가동코일용 계기를 사용하므로 감도가 높고, 정류방식은 브리지형 전파 정류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전압계는 고전압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이유는 전압계는 저전압용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고전압을 측정하려면 전압분배기나 저항분배기를 사용하여 저전압으로 변환한 후에 전압계로 측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피측정파형이 정현파가 아니면 파형오차를 초래한다는 것도 정류형 계기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동조형 주파수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그리드 딥 미터
  2. 공동형 파장계
  3. 헤테로다인 주파수계
  4. 흡수형 주파수계
(정답률: 50%)
  • 동조형 주파수계는 입력 신호와 비슷한 주파수를 가진 고조파를 생성하여 측정하는 방식이지만, 헤테로다인 주파수계는 입력 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가진 중간 주파수를 생성하여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헤테로다인 주파수계는 동조형 주파수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SN비를 옳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77%)
  • 정답은 ""이다.

    SN비는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의 약자로, 신호와 잡음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SN비가 높을수록 좋은 품질의 신호를 받을 수 있다.

    위의 그림에서는 신호와 잡음의 크기가 비슷하게 나타나 있으며, 이 경우 SN비는 낮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브리지 평형이 되어 검류계 G가 0을 가르켰을 때 Rx의 값은?

  1. 1.2[Ω]
  2. 12[Ω]
  3. 14[Ω]
  4. 30[Ω]
(정답률: 7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그림과 같은 등가회로로 표시할 수 있는 콘덴서의 유전체 역률 tanδ 를 나타내는 식 중 옳은 것은?

  1. tanδ =ωCR
  2. tanδ =1/ωCR
  3. tanδ =ωC
  4. tanδ =ωR
(정답률: 78%)
  • 등가회로에서 콘덴서의 유전체 역률은 tanδ = R/ Xc 이다. 여기서 Xc는 콘덴서의 리액턴스이며, Xc = 1/ωC 이다. 따라서 tanδ = R/(1/ωC) = ωCR 이다. 따라서 "tanδ =ωCR"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로 측정 할 수 없는 것은?

  1. 변조도 측정
  2. 위상 측정
  3. 왜곡율 측정
  4. 코일의 Q
(정답률: 84%)
  • 오실로스코프는 전압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 그래프로 나타내는데, 코일의 Q는 전기회로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로, 전압이나 전류의 변화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할 수 없습니다. 코일의 Q는 대역폭과 공진 주파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값이지만,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른 측정기기나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저항 감쇄기 중 평형형은?

  1. L형
  2. T형
  3. H형
  4. π 형
(정답률: 66%)
  • 평형형 저항 감쇄기는 입력과 출력이 대칭인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H형 저항 감쇄기는 입력과 출력이 서로 직교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더욱 대칭적입니다. 따라서 H형 저항 감쇄기가 평형형 저항 감쇄기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오실로스코프의 동기 방법이 아닌 것은?

  1. 내부 동기
  2. 전원 동기
  3. 외부 동기
  4. 신호 동기
(정답률: 67%)
  • 오실로스코프의 동기 방법 중에서 "신호 동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내부 동기", "전원 동기", "외부 동기"는 모두 오실로스코프의 동기 방법 중 하나이지만, "신호 동기"는 없는 옵션입니다. 따라서 "신호 동기"가 아닌 것이라는 선택지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직사각형파 펄스를 가하여 저주파 특성을 측정하는 경우 이득이 낮은 주파수에서 감소하는 출력 파형은?

(정답률: 34%)
  • 직사각형파 펄스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고주파 신호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득이 낮은 주파수에서는 파형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때 출력 파형이 감소하는 정도가 가장 큰 것은 저주파 영역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기 중에서 이를 나타내는 파형은 "" 입니다. 이 파형은 저주파 영역에서 출력이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계수형 주파수계의 특징이 옳지 않은 것은?

  1. 온도에 의한 영향이 없다.
  2. 조작이 간단하고, 결과가 숫자로 나타난다.
  3. 계수 방식 특유의 ±1 count 오차가 발생한다.
  4. 미약한 신호의 피측정 주파수도 정확히 측정할 수있다.
(정답률: 71%)
  • "온도에 의한 영향이 없다."는 계수형 주파수계의 특징 중 옳은 것이다. 이는 계수형 주파수계가 디지털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온도에 민감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식은 아날로그 방식과 달리 온도나 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따라서 계수형 주파수계는 온도에 의한 영향이 없는 안정적인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가장 적은 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브리지는?

  1. 빈 브리지
  2. 휘스톤 브리지
  3. 캘빈 더블 브리지
  4. 메거
(정답률: 79%)
  • 캘빈 더블 브리지는 브리지의 두 개의 저항을 서로 비교하여 측정하는 방식으로, 브리지의 불균형을 최소화하여 가장 적은 저항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캘빈 더블 브리지가 가장 적은 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브리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