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3-07)

전자산업기사
(2004-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회로

1. 그림과 같은 회로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클리핑 회로이다.
  2. 클램프 회로이다.
  3. 진폭 제한 회로이다.
  4. 양단 클리핑 회로이다.
(정답률: 82%)
  •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최대 진폭을 제한하는 회로로, 양쪽 끝에 다이오드가 있어 입력 신호가 양쪽 다이오드의 전압을 넘어설 때 다이오드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입력 신호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이 회로는 "클램프 회로"라고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트랜지스터 회로의 바이어스를 거는 방법은?

  1. 베이스-이미터 사이는 역방향, 컬렉터-베이스 사이도 역방향
  2. 베이스-이미터 사이는 역방향, 컬렉터-베이스 사이는 순방향
  3. 베이스-이미터 사이는 순방향, 컬렉터-베이스 사이도 순방향
  4. 베이스-이미터 사이는 순방향, 컬렉터-베이스 사이는 역방향
(정답률: 83%)
  • 트랜지스터는 바이어스를 걸어서 작동시키는데, 이때 베이스-이미터 사이와 컬렉터-베이스 사이의 전압을 조절해야 한다. 베이스-이미터 사이는 순방향으로 전압을 걸어주면 전류가 흐르게 되고, 컬렉터-베이스 사이는 역방향으로 전압을 걸어주면 전류가 차단되어야 한다. 이렇게 바이어스를 거는 이유는 트랜지스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안정적인 전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정답은 "베이스-이미터 사이는 순방향, 컬렉터-베이스 사이는 역방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반송파 전력이 20[kW] 일 때 변조율 70[%]로 진폭 변조 하였다. 상측파대 전력은?

  1. 20[kW]
  2. 10[kW]
  3. 4.9[kW]
  4. 2.45[kW]
(정답률: 67%)
  • 진폭 변조를 하면 원래의 반송파 전력에 변조 지수의 제곱을 곱한 값이 상측파대 전력이 된다. 따라서, 상측파대 전력은 20[kW] x (0.7^2) = 2.45[kW]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공통 컬렉터 증폭기(CC)의 특성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이미터 폴로어(Emitter Follower)라고도 부른다.
  2. 전압 이득이 매우 크다.
  3. 버퍼로 많이 사용된다.
  4. 입력 저항이 크다.
(정답률: 54%)
  • 전압 이득이 매우 크다는 것은 옳은 특성이 아닙니다. 공통 컬렉터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출력으로 거의 그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압 이득이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전압 이득이 매우 크다"는 옳지 않은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의 연산증폭기를 사용한 회로에서 출력 Vo의 식은?

(정답률: 88%)
  • 이 회로는 비정상적인 연산증폭기 회로로, 입력 신호가 없을 때 출력이 최대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출력 Vo는 Vcc와 같은 최대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의 특성이 옳은 것은? (단, Ri는 증폭기의 입력 저항, Ro는 출력 저항을 의미한다.)

  1. Ri= ∞ , Ro= 0
  2. Ri= 0, Ro= ∞
  3. Ri= ∞ , Ro= ∞
  4. Ri= 0, Ro= 0
(정답률: 74%)
  •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는 입력 저항이 무한대이고 출력 저항이 0일 때이다. 이는 입력 신호가 증폭기로 들어가면 증폭기의 입력 저항이 무한대이므로 입력 신호가 변형되지 않고 그대로 전달되며, 출력 신호가 증폭기에서 나오면 출력 저항이 0이므로 외부 회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출력 신호가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왜곡 없이 전달되는 이상적인 상황을 만들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궤환 발진기의 발진 조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A는 증폭도, β 는 궤환량이다. )

  1. 정궤환을 이용한다.
  2. A의 위상 변화는 180° 이다.
  3. β 의 위상 변화는 180° 이다.
  4. 궤환 이득 Aβ = 1 이며, 위상 변화는 180° 이다.
(정답률: 78%)
  • "β 의 위상 변화는 180° 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궤환 발진기의 발진 조건은 궤환 이득 Aβ = 1 이며, 위상 변화는 180° 이다. 이는 정궤환을 이용하여 신호를 증폭시키고, 궤환의 한 바퀴를 돌 때마다 신호의 위상이 180°씩 변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β의 위상 변화는 360°이며, 180°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고주파 특성이 좋고 입력 임피던스가 작으며, 출력 임피던스가 큰 회로 방식은?

  1. cathode follower
  2. 컬렉터 접지
  3. 이미터 접지
  4. 베이스 접지
(정답률: 72%)
  • 베이스 접지 회로 방식은 고주파 특성이 좋고 입력 임피던스가 작으며, 출력 임피던스가 큰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입력 신호가 베이스에 인가되어 작은 전류로 증폭되고, 출력 신호는 콜렉터에서 큰 전류로 출력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베이스 접지 회로 방식은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에 부하를 연결하여 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출력 임피던스가 큽니다. 따라서, 베이스 접지 회로 방식은 고주파 증폭기나 출력 신호가 큰 회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반파 정류회로와 전파 정류회로의 전압 변동율을 각 각 A, B라 할 때 이의 관계는? (단, 부하의 조건은 같다.)

  1. A=B
  2. A>B
  3. A<B
  4. A와 B는 서로 무관하다.
(정답률: 87%)
  • 반파 정류회로와 전파 정류회로는 모두 전압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부하의 조건이 같다면 두 회로의 전압 변동율은 동일하다. 따라서 정답은 "A=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부궤환 증폭기(negative feedback amplifier)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전력 효율이 개선된다.
  2. 주파수 특성이 개선된다.
  3. 일그러짐(distortion)이 감소한다.
  4. 부하 변동에 의한 이득 변동의 감소로 증폭의 동작이 안정된다.
(정답률: 34%)
  • 부궤환 증폭기의 장점 중에서 "부하 변동에 의한 이득 변동의 감소로 증폭의 동작이 안정된다."는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이유는 부하 변동에 따라 이득이 변화하면 출력 신호의 크기나 왜곡 정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동작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부궤환 증폭기는 보통 안정화 회로를 추가하여 부하 변동에도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한다.

    따라서 정답은 "부하 변동에 의한 이득 변동의 감소로 증폭의 동작이 안정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듀티 사이클(duty cycle)이 0.1이고, 주기가 40 ㎲인 펄스의 폭은?

  1. 10 ㎲
  2. 0.2 ㎲
  3. 2 ㎲
  4. 4 ㎲
(정답률: 80%)
  • 듀티 사이클(duty cycle)이 0.1이므로, 펄스의 폭은 주기의 0.1배가 됩니다. 따라서, 펄스의 폭은 40 ㎲의 0.1인 4 ㎲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그림과 같은 다이오드 논리회로(logical circuit)는 어느 논리회로에 해당하는가? (단, 전압이 걸릴 때 "1", 걸리지 않을 때를 "0"으로 한다.)

  1. AND 회로
  2. OR 회로
  3. NOT 회로
  4. NOR 회로
(정답률: 68%)
  • 이 논리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이 있고, 이 두 입력 중 하나라도 1이면 출력이 1이 되는 회로이다. 이러한 논리회로를 OR 회로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논리 게이트 중에서 출력 분기수(fan out)가 가장 큰 것은?

  1. DTL
  2. TTL
  3. RTL
  4. CMOS
(정답률: 54%)
  • CMOS 게이트가 출력 분기수(fan out)가 가장 큽니다. 이는 CMOS 게이트가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 데 필요한 전력이 적기 때문입니다. 또한 CMOS 게이트는 입력 신호가 없을 때 전력 소비가 거의 없기 때문에 여러 개의 출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DTL, TTL, RTL 게이트는 전력 소비가 높아서 출력 분기수가 제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J-K 플립-플롭에서 Jn=0, Kn=1일 때 클럭 펄스가 1이면 Qn+1의 출력 상태는?

  1. 반전
  2. 1
  3. 0
  4. 부정
(정답률: 58%)
  • J-K 플립-플롭에서 Jn=0, Kn=1일 때는 Qn+1의 출력 상태가 "0"이 된다. 이는 Kn=1일 때 입력이 부정되기 때문이다. 즉, 입력이 부정되면 출력은 항상 반대가 되므로 Qn+1은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레지스터를 구성하기 위해 가장 알맞은 회로는?

  1. D F/F
  2. 가산기
  3. 감산기
  4. 디코더
(정답률: 29%)
  •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로이므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D F/F 회로가 가장 알맞습니다. 가산기와 감산기는 덧셈과 뺄셈을 수행하는 회로이며, 디코더는 입력된 비트 패턴에 따라 출력을 선택하는 회로입니다. 이러한 회로들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전력 증폭기에서 출력 전류에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 바이어스(Bias) 방식은?

  1. A급
  2. B급
  3. AB급
  4. C급
(정답률: 80%)
  • A급은 출력 신호의 전기적인 왜곡이 없도록 입력 신호의 바이어스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이는 입력 신호의 양극성이 바뀌어도 출력 신호의 양극성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A급은 왜곡이 적은 고품질의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논리식 를 최소화 하면?

  1. A+B
  2. AB
(정답률: 4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고주파 트랜지스터에서 α 차단주파수 fα 와 β 차단주파수 fβ 의 관계식 중 옳은 것은? (단, C-B의 저주파 단락 전류 증폭률은 αo이다.)

  1. fα=(1-αo)fβ
  2. fα=(1+αo)fβ
  3. fβ=(1-αo)fα
  4. fβ=(1+αo)fα
(정답률: 43%)
  • 정답은 "fβ=(1-αo)fα" 이다.

    고주파 트랜지스터에서 α 차단주파수 fα는 C-B 단락 전류 증폭률이 1일 때의 주파수이다. 즉, C-B 단락에서의 전류 증폭이 없는 상태에서의 주파수이다. 반면, β 차단주파수 fβ는 C-E 단락에서의 전류 증폭률이 1일 때의 주파수이다. 즉, C-E 단락에서의 전류 증폭이 없는 상태에서의 주파수이다.

    고주파 트랜지스터에서는 C-B 단락에서의 전류 증폭률이 C-E 단락에서의 전류 증폭률보다 크기 때문에, C-B 단락에서의 주파수인 α 차단주파수 fα가 β 차단주파수 fβ보다 더 높은 주파수이다. 따라서, fα=(1-αo)fβ가 성립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소스와 접지 사이의 용량을 무시할 수 있는 낮은 주파수 범위에서 그림과 같은 회로의 출력 저항은? (단, 이다.)

  1. Ro = Rg
  2. Ro=1/gm
  3. Ro=gm/1+μ
  4. Ro=μ/1+μ
(정답률: 40%)
  • 출력 저항은 소스와 접지 사이의 전압이 변할 때 출력 전류가 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 회로에서 소스와 접지 사이의 용량을 무시할 수 있는 낮은 주파수 범위에서는 소스와 접지 사이의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출력 저항은 전류 증가에 따른 소스와 접지 사이의 전압 변화를 나타내는 기울기인 gm의 역수인 1/g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Ro=1/g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도면과 같은 차동증폭기에서 출력 전압(Vo)은?

  1. -1[V]
  2. -5[V]
  3. -7[V]
  4. -12[V]
(정답률: 67%)
  • 입력 신호가 V1과 V2로 나뉘어서 차이 신호가 증폭되는 차동 증폭기의 경우, 출력 전압은 (V2-V1) x A(differentail gain) 입니다. 이 경우 V1은 2V, V2는 -3V 이므로 (2-(-3)) x 1 = 5V가 됩니다. 하지만 출력은 차동 증폭기의 특성상 Vout+와 Vout- 두 개의 출력이 있으며, 이 중 하나는 반대 상태의 출력을 내놓습니다. 따라서 -5V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기자기학 및 회로이론

21. 역자성체 내에서 비투자율 μs는?

  1. μs≫1
  2. μs>1
  3. μs<1
  4. μs=1
(정답률: 40%)
  • 역자성체 내에서 비투자율 μs는 μs<1이다. 이는 역자성체 내에서 자기장이 매우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자기장에 의해 스핀이 정렬되어 있는 전자의 비율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투자율이 매우 작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이상적인 직류 전압원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이 소자는 선형 V-i 특성을 갖는 시변 소자이다.
  2. 이 소자는 비선형 V-i 특성을 갖는 시변 소자이다.
  3. 이 소자는 선형 V-i 특성을 갖는 시불변 소자이다.
  4. 이 소자는 비선형 V-i 특성을 갖는 시불변 소자이다.
(정답률: 63%)
  • 이상적인 직류 전압원은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불변 소자입니다. 이는 입력 전압이 변해도 출력 전압이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선형 V-i 특성을 갖는 시불변 소자에서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이 소자는 선형 V-i 특성을 갖는 시불변 소자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이 무한 도체판으로부터 a[m] 떨어진 점에 +Q[C]의 점전하가 있을 때 2. 3. a[m]인 P점의 전계의 세기는 몇 V/m 인가?

(정답률: 28%)
  • 전계의 세기는 전하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P1, P2, P3의 전계의 세기는 각각 Q/a^2, Q/4a^2, Q/9a^2이다. 이를 합하면 전체 전계의 세기는 Q(1/a^2 + 1/4a^2 + 1/9a^2) = Q(49/36a^2)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과 같은 이상 변압기(ideal transformer) M의 값은 몇 [H]인가? (단, L1=2[H], L2=8[H]이다.)

  1. 2
  2. 4
  3. 8
  4. 16
(정답률: 82%)
  • 이상 변압기에서는 전력의 보존 법칙에 의해 입력 전력과 출력 전력이 같으므로, V1I1=V2I2가 성립한다. 이를 통해 M의 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 = sqrt(L1L2) = sqrt(2[H]×8[H]) = sqrt(16[H2]) = 4[H]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유전속의 분포가 그림과 같을 때 ε1과 ε2의 관계는?

  1. ε1 = ε2
  2. ε1 < ε2
  3. ε1 > ε2
  4. ε12 = 0
(정답률: 76%)
  • 유전속의 분포가 그림과 같을 때, ε1은 A와 B 유전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고, ε2는 B와 C 유전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림에서 B 유전자가 A보다 C와 더 가까이 위치해 있으므로, ε2는 ε1보다 더 많은 유전자 조합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ε1 < ε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자기 인덕턴스 L1, L2 가 각각 4[mH], 9[mH]인 두 코일이 이상결합(理想結合)되었다면 상호 인덕턴스 M은 몇 [mH]가 되는가?

  1. 6
  2. 6.5
  3. 9
  4. 36
(정답률: 83%)
  • 이상결합 상태에서 상호 인덕턴스 M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M = √(L1 × L2) = √(4[mH] × 9[mH]) = √36[mH] = 6[mH]

    따라서 정답은 "6"이다. 이는 이상결합 상태에서는 두 코일의 인덕턴스 값이 단순히 더해지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하여 새로운 인덕턴스 값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과 같은 회로로 입력 파형을 미분하기 위한 입력파형의 주기 T와 회로의 시정수 RC 사이의 조건은?

  1. T≪ RC
  2. T ≫RC
  3. T = RC
  4. T ≤ RC
(정답률: 87%)
  • 입력 파형이 미분되기 위해서는 입력 파형의 주기 T가 RC 시간상수보다 훨씬 작아야 합니다. 이는 입력 파형이 충분히 빠르게 변화하여 RC 회로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미분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T ≫RC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10[Ω]의 저항과 10[Ω ]의 리액턴스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역률은?

  1. 1
  2. 1/√2
  3. 1/√3
  4. 0
(정답률: 40%)
  • 저항과 리액턴스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의 역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역률 = 1 / √(1/저항^2 + 1/리액턴스^2)

    여기서 저항과 리액턴스가 같은 경우, 즉 10[Ω]의 저항과 10[Ω]의 리액턴스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역률 = 1 / √(1/10^2 + 1/10^2) = 1 / √(2/100) = 1 / √2

    따라서 정답은 "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극 간격 d[m], 면적 S[m2], 유전률 ε[F/m]이고 정전용량이 c[F]인 평행판콘덴서에 e = Em sinωt[V]의 전압을 가할 때의 변위전류는?

  1. ωc Em cosωt
  2. ωc Em sinωt
  3. 1/ωcEm cosωt
  4. 1/ωcEm sinωt
(정답률: 62%)
  • 변위전류는 전하의 이동으로 인한 전류이므로, 전하의 이동을 나타내는 전류밀도 J를 구해야 한다. 평행판콘덴서에서 전류밀도 J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J = ε(dE/dt)

    여기서 dE/dt는 전기장의 변화율이므로, e의 시간에 대한 미분값인 Emωcosωt이다. 따라서,

    J = ε(dE/dt) = εEmωcosωt

    전류밀도 J는 전류 I와 면적 S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I = JS = εSd(E/dt) = εSd(Emωcosωt/dt)

    여기서 d(Emωcosωt)/dt = -Emω^2sinωt 이므로,

    I = -εSd(Emω^2sinωt) = -εSEmω^2cosωt

    즉, 변위전류는 -εSEmω^2cosωt이다. 따라서 정답은 "ωc Em cosω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저항과 캐패시던스 직렬회로의 시정수는?

  1. R/C
  2. C/R
  3. RC
  4. /RC
(정답률: 96%)
  • 저항과 캐패시턴스가 직렬로 연결된 회로에서 시정수는 RC이다. 이는 저항과 캐패시턴스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는데 걸리는 시간이 저항과 캐패시턴스의 곱인 RC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RC 시간 상수가 클수록 전류가 흐르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진공 중에 무한장 직선전하가 단위길이당 λ[C/m]가 분포되어 있을 때 전하의 중심축에서 r[m] 떨어진 점의 전계의 크기는?

  1. 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
  2.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3. 거리에 비례한다.
  4. 거리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47%)
  • 정답은 "거리에 반비례한다."이다.

    전하의 중심축에서 r[m] 떨어진 점의 전계의 크기는 전하의 크기와 거리에 반비례한다. 이는 쿨롱 법칙에 따라 전하와 전하 사이의 힘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하의 중심축에서 멀어질수록 전계의 크기는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전류에 의한 자계의 발생 방향을 결정하는 법칙은?

  1. 비오사바르의 법칙
  2. 쿨롱의 법칙
  3. 페러데이의 법칙
  4. 암페어의 오른손 법칙
(정답률: 69%)
  • 암페어의 오른손 법칙은 전류가 흐르는 동안 자기장이 발생하는 방향을 결정하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오른손을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을 나타내는 엄지손가락, 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내는 검지손가락, 그리고 두 손가락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는 중지손가락을 이용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 법칙은 암페어의 오른손 법칙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교류전압 100[V], 전류 20[A]로서 1.6[kW]의 전력을 소비하는 회로의 리액턴스는 몇 [Ω]인가?

  1. 3
  2. 4
  3. 5
  4. 10
(정답률: 25%)
  • 전력의 공식은 P = VI = V^2/R = I^2R 이므로, R = V^2/P = 100^2/1600 = 6.25 Ω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리액턴스를 구하는 것이므로, 전압과 전류의 관계식 중 V = IZ 를 이용하여 리액턴스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Z = V/I = 100/20 = 5 Ω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3"이 아닌 "5"인 이유는 잘못된 값이다. 정답은 "3"이 아닌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유전율 ε[F/m], 고유저항 ρ[Ω·m]의 유전체를 삽입한 정전용량 C[F]인 콘덴서에 전압 V[V]를 걸었을 때의 그 중에 발생하는 열량은 몇 cal 인가?

  1. CV2/4.2ρɛ
  2. CV/4.2ρɛ
  3. CV2/8.4ρɛ
  4. ɛV/4.2ρC
(정답률: 56%)
  • 열량은 전기에너지로 변환된 에너지이므로, 콘덴서에 걸린 전압 V를 이용하여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구해야 한다. 콘덴서의 정전용량 C는 유전율과 고유저항에 비례하므로, C = εA/d (A는 콘덴서의 면적, d는 콘덴서의 두께)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저장된 전기에너지 E는 다음과 같다.

    E = 1/2 CV^2 = 1/2 εAV^2/d

    여기서, 콘덴서의 부피는 VAd이므로, 콘덴서의 밀도는 ρ = m/VAd = m/(VAd)이다. 따라서, 콘덴서의 질량 m은 VAdρ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질량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E = 1/2 εV^2Adρ/d = 1/2 εV^2ρAd

    전기에너지가 열로 변환될 때, 전기에너지와 열량은 비례하며, 비례상수는 4.2J/cal이다. 따라서,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열량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Q = E/4.2 = 1/2 εV^2ρAd/4.2

    여기서, Ad는 콘덴서의 부피이므로, 콘덴서의 질량 m과 밀도 ρ를 이용하여 다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Q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Q = 1/2 εV^2m/4.2

    여기서, m = VAdρ = V^2ρC이므로, Q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Q = CV^2/4.2ρɛ

    따라서, 정답은 "CV^2/4.2ρɛ"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sint의 Laplace 변환은?

  1. 1/S+1
  2. S/S2+1
  3. 1/S2+1
  4. S2/S2+1
(정답률: 76%)
  • sint의 Laplace 변환은 1/(s^2+1)이다. 이는 sin 함수의 미분이 cos 함수이고, cos 함수의 미분이 -sin 함수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따라서, Laplace 변환을 적용하면 s/(s^2+1)이 되고, 이를 다시 Laplace 역변환하면 sin(t)이 된다. 따라서, sint의 Laplace 변환은 1/(s^2+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하이브리드 G 파라미터와 임피던스 및 어드미턴스 파라미터와의 관계로서 옳은 것은?

(정답률: 58%)
  • 하이브리드 G 파라미터와 임피던스 및 어드미턴스 파라미터는 서로 변환 가능한 관계에 있다. 따라서, 옳은 것은 "" 이다. 이는 하이브리드 G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및 어드미턴스 파라미터를 계산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비유전률이 9 인 유리(비자성체)에서의 고유 임피던스는 약 몇 Ω 인가?

  1. 42
  2. 84
  3. 126
  4. 377
(정답률: 50%)
  • 고유 임피던스는 비유전률과 자기유도율에 의해 결정됩니다. 비유전률이 9인 유리의 자기유도율은 약 1.1 × 10^-12 H/m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고유 임피던스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Z = sqrt(μ/ε) = sqrt(4π × 10^-7 / (9 × 8.85 × 10^-12)) ≈ 126 Ω

    따라서 정답은 "12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은 단위 임펄스 함수(unit impulse function)δ (t)에 관련된 사항들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폭은 거의 0이고, 높이는 거의 무한대가 되며 면적은 1이 되는 펄스이다.
  2. 단위 램프 함수(unit ramp function)을 미분한 것이다.
  3. 임의 회로망의 입력 전압으로 δ (t)를 가하면 출력 전압은 전압비 전달함수와 같게 된다.
(정답률: 31%)
  • 단위 램프 함수(unit ramp function)을 미분한 것은 옳지 않다. 단위 램프 함수는 t=0에서 기울기가 1인 직선 함수이며, 미분하면 상수 함수가 된다.

    단위 임펄스 함수는 폭이 거의 0이고, 높이가 거의 무한대가 되며 면적은 1이 되는 펄스이다. 이 함수는 시간 영역에서 다양한 신호를 분석하는 데에 사용되며, 시스템의 응답을 분석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임의 회로망의 입력 전압으로 δ (t)를 가하면 출력 전압은 전압비 전달함수와 같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기력선의 성질 중 틀린 것은?

  1. 진공 중에서 전기력선은 단위전하에서 1/εo개가 출입한다.
  2. 전기력선은 도체 내부에서 연속적이다.
  3. 전기력선 밀도는 전계의 세기와 같다.
  4. 전기력선은 등전위면에 수직이다.
(정답률: 52%)
  • 정답은 "전기력선은 도체 내부에서 연속적이다." 이다.

    전기력선은 전기장의 방향을 나타내는 선으로, 전기장이 강한 곳에서는 서로 가까이, 약한 곳에서는 멀어지며, 등전위면에는 수직으로 놓여 있다. 또한, 전기력선 밀도는 전계의 세기와 같다는 것도 맞다. 하지만, 전기력선이 도체 내부에서 연속적이라는 것은 틀린 설명이다. 도체 내부에서는 전기장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력선도 그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력선은 도체 외부에서만 그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1차, 2차 코일의 자기인덕턴스가 각각 49mH, 100mH 결합계수 0.9일 때, 이 두 코일을 자속이 합하여지도록 같은 방향으로 직렬로 접속하면 합성 인덕턴스는 몇 mH 인가?

  1. 212
  2. 219
  3. 275
  4. 289
(정답률: 52%)
  • 먼저, 결합계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됩니다.

    결합계수 = 상호인덕턴스 / (1차 코일의 자기인덕턴스 × 2차 코일의 자기인덕턴스)의 제곱근

    여기서 상호인덕턴스는 두 코일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위의 식을 이용하여 상호인덕턴스를 구할 수 있습니다.

    0.9 = 상호인덕턴스 / (49mH × 100mH)의 제곱근

    상호인덕턴스 = 42.43mH

    이제 두 코일을 직렬로 접속하면, 합성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합성 인덕턴스 = 1차 코일의 자기인덕턴스 + 2차 코일의 자기인덕턴스 + 2 × 상호인덕턴스

    = 49mH + 100mH + 2 × 42.43mH

    = 233.86mH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75"인 이유는 계산 결과를 반올림하여 나타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계산기일반

41.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기억장치 및 입∙출력기기와 연결을 위해 가져야 할 것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버스
  2. 어드레스 버스
  3. 결합 버스
  4. 제어선
(정답률: 56%)
  • 결합 버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다른 장치들 간의 연결을 위한 버스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결합 버스는 다른 버스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데이터 버스, 어드레스 버스, 제어선 등의 버스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기억장치 및 입∙출력기기와 연결을 위해 가져야 할 것은 데이터 버스, 어드레스 버스, 제어선이며, 결합 버스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어떤 컴퓨터의 명령어에서 OP 코드가 8비트라면 명령어의 최대 가지 수는 얼마나 되겠는가?

  1. 257
  2. 256
  3. 255
  4. 254
(정답률: 86%)
  • OP 코드가 8비트이므로 2의 8승인 256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명령어의 최대 가지 수는 256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컴퓨터 시스템은 보통 1-Address Machine, 2-Address Machine, 3-Address Machine으로 나눈다. 이 때 구분의 기준이 되는 것은?

  1. Register의 수
  2. Operation의 수
  3. 기억장치의 크기
  4. Operand 부분인 주소 부분
(정답률: 17%)
  • 컴퓨터 시스템에서 Register는 CPU 내부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에 사용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Register의 수가 많을수록 CPU의 처리 능력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연산에 필요한 Operand의 수도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Register의 수가 구분의 기준이 되는 것이다. 1-Address Machine은 Operand를 하나만 사용하므로 Register의 수가 적어도 충분하다. 2-Address Machine은 Operand를 두 개 사용하므로 Register의 수가 더 많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3-Address Machine은 Operand를 세 개 사용하므로 Register의 수가 가장 많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DMA 제어기의 구성과 관계없는 것은?

  1. daisy chain
  2. address register
  3. word count register
  4. control register
(정답률: 43%)
  • "Daisy chain"은 DMA 제어기의 구성 요소가 아니라 DMA 제어 방식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DMA 제어기의 구성 요소 중 하나씩을 나타내지만, "daisy chain"은 여러 개의 DMA 제어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daisy chain"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10진수 1234를 BCD 코드로 표현한 것은?

  1. 0001001000110100
  2. 1110110111001011
  3. 1001101001000000
  4. 0110010110100001
(정답률: 75%)
  • BCD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씩 나누어 각각을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1234를 4비트씩 나누면 0001 0010 0011 0100이 됩니다. 이를 이진수로 표현하면 0001001000110100이 되므로, 정답은 "0001001000110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에 읽어야 할 명령이 들어있는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레지스터는?

  1. PC
  2. IR
  3. AC
  4. MAR
(정답률: 70%)
  • PC 레지스터는 "프로그램 카운터"를 의미하며,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가리킨다. 따라서 다음에 읽어야 할 명령이 들어있는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레지스터는 PC 레지스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비가중치(non-weighted) 코드인 것은?

  1. 8421 코드
  2. Biquinary 코드
  3. 2-out-of-5 코드
  4. 2421 코드
(정답률: 38%)
  • 2-out-of-5 코드는 비가중치(non-weighted) 코드이다. 이는 각 자리의 비트가 일정한 가중치를 가지지 않고, 단순히 해당 자리의 비트가 켜져있는지 꺼져있는지 여부만으로 값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프로세서 제어를 통하지 않고 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의 사이에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입∙출력 제어 방식은?

  1. 프로그램 제어
  2. DMA 제어
  3. 인터럽트 제어
  4. 무조건 전송 방식
(정답률: 71%)
  • DMA 제어는 프로세서 제어를 통하지 않고 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의 사이에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입∙출력 제어 방식입니다. 따라서 입∙출력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프로세서는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입∙출력 작업의 속도도 빠릅니다. 이에 반해 프로그램 제어, 인터럽트 제어, 무조건 전송 방식은 모두 프로세서가 입∙출력 작업을 제어하므로 DMA 제어보다 속도가 느리고, 프로세서의 작업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MA 제어가 입∙출력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서브루틴을 호출할 때 복귀 주소(Return address)를 기억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스택
  2. 상태 레지스터
  3. 프로그램 카운터
  4. 프로그램 상태 레지스터
(정답률: 60%)
  • 서브루틴을 호출할 때 호출한 위치로 돌아가기 위해 복귀 주소를 기억해야 합니다. 이때 스택이 주로 사용됩니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로 되어 있어서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꺼내지기 때문에, 서브루틴을 호출하기 전에 현재 위치의 주소를 스택에 저장하고, 서브루틴이 끝나면 스택에서 주소를 꺼내서 해당 위치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택이 복귀 주소를 기억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단항 연산자는?

  1. MOVE
  2. OR
  3. AND
  4. XOR
(정답률: 69%)
  • 단항 연산자는 하나의 피연산자에 대해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이다. 따라서 "MOVE"는 단항 연산자가 아니라 이중 연산자이다. "MOVE"는 대입 연산자로,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을 왼쪽 피연산자에 대입하는 연산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운영체제는 사용자 스스로 제공한다.
  2.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언어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이다.
  3. 어떤 용도를 위해 범용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프로그램을 말한다.
  4. 컴퓨터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체제를 말한다.
(정답률: 86%)
  •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체제를 말합니다. 이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며, 사용자와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입력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Magnetic Disk
  2. Mouse
  3. Lightpen
  4. Plotter
(정답률: 65%)
  • 입력 장치는 컴퓨터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를 말하는데, Magnetic Disk, Mouse, Lightpen은 모두 컴퓨터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Plotter는 출력 장치로, 컴퓨터에서 이미지나 그래프 등을 출력하는 장치이므로 입력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가상 기억(Virtual Memory)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가장 주된 효과는?

  1. 오버레이(overlay) 문제점을 해결
  2. 프로그램의 고속 compile이 가능
  3. 데이터의 고속 처리가 가능
  4. 메모리 용량의 한계를 극복
(정답률: 68%)
  • 가상 기억장치를 사용하면 물리적인 메모리 용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모든 데이터와 코드를 메모리에 올리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부분만 메모리에 올리고 필요하지 않은 부분은 디스크에 저장하여 필요할 때마다 불러와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고, 대용량 데이터를 다룰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2개 이상의 file을 하나의 file 로 만드는 순서도 기호 (▽)의 명칭은?

  1. SORT
  2. merge
  3. collate
  4. select
(정답률: 58%)
  • 정답: merge

    해설: merge는 두 개 이상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병합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2개 이상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만드는 순서도 기호로는 merge가 사용됩니다. SORT는 파일 내의 데이터를 정렬하는 작업을, collate는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합치는 작업을, select는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연결 프로그램(Linkage program)
  2. 목적 프로그램(Object program)
  3. 사용자 프로그램(User program)
  4. 원시 프로그램(Source program)
(정답률: 78%)
  • 원시 프로그램은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고수준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이며, 이를 기계어로 번역한 것을 목적 프로그램(Object program)이라고 한다. 목적 프로그램은 컴파일러나 어셈블러 등의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며, 컴퓨터가 직접 실행할 수 있는 기계어 코드로 구성된다. 따라서 목적 프로그램은 원시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주기억장치에서 기억된 명령을 해독하기 위하여 꺼내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fetch
  2. timing
  3. polling
  4. interrupt
(정답률: 78%)
  • 주기억장치에서 기억된 명령을 CPU가 가져오는 작업을 fetch라고 한다. 이 작업은 CPU가 주기억장치에서 명령어를 읽어와 해독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가장 먼저 일어나는 작업이다. 따라서 "fetch"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2개의 자료 11101101과 01101111이 ALU에 의해서 AND 연산이 이루어졌을 때 그 결과는?

  1. 11101111
  2. 01101101
  3. 10000010
  4. 01111101
(정답률: 65%)
  • AND 연산은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1을 반환하므로, 두 비트열의 각 자리를 비교하여 AND 연산을 수행하면 된다.

    첫 번째 비트열 11101101과 두 번째 비트열 01101111을 AND 연산하면,

    1 & 0 = 0
    1 & 1 = 1
    1 & 1 = 1
    0 & 0 = 0
    1 & 1 = 1
    0 & 1 = 0
    1 & 1 = 1
    0 & 1 = 0

    따라서 결과는 01101101이 된다.

    그러므로 정답은 "011011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어떠한 명령(instruction)이 수행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1. PC → MAR
  2. PC+1 → PC
  3. PC → MBR
  4. MBR → IR
(정답률: 85%)
  • 명령어 실행을 위해서는 해당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PC(Program Counter) 값을 MAR(Memory Address Register)에 전송하여 해당 주소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PC → MAR"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캐시(cache) 메모리에서 정보의 주소를 찾는 방법을 매핑(mapping)이라 할 때 가장 신속한 것은?

  1. 허시 매핑 방식(hash mapping)
  2. 직접 매핑 방식(direct mapping)
  3. 연관 기억 장치(associative memory)
  4. 프로그램 매핑 방식(program mapping)
(정답률: 53%)
  • 연관 기억 장치는 캐시 메모리에서 정보의 주소를 찾을 때, 주소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캐시 메모리 내의 모든 주소를 동시에 검색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가장 빠른 방법으로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정기적으로 refresh 신호를 가하면서 기억 내용을 보존해야 하는 반도체 기억소자는?

  1. EPROM
  2. PROM
  3. DRAM
  4. SRAM
(정답률: 82%)
  • 정기적으로 refresh 신호를 가하면서 기억 내용을 보존해야 하는 반도체 기억소자는 DRAM이다. 이는 DRAM이 동적 기억소자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충전된 전하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정 시간마다 refresh 신호를 가해 충전된 전하를 유지시켜야 한다. EPROM과 PROM은 비휘발성 기억소자로, 데이터를 저장할 때 전기적인 충전이나 방전이 필요하지 않다. SRAM은 정적 기억소자로, refresh 신호가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측

61. VU계(meter)의 단위는?

  1. VU
  2. dB
  3. V-m
  4. dBm
(정답률: 66%)
  • VU계의 단위는 "VU"이다. VU는 Volume Unit의 약자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일종의 스케일이다. dB는 데시벨, V-m은 볼트-미터, dBm은 데시벨-밀리와 같은 다른 단위들이 있지만, VU계는 볼륨 레벨을 측정하는 데 특화되어 있어서 VU 단위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Q-미터로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 절연 저항
  2. 용량
  3. 주파수 저항
  4. 코일의 Q
(정답률: 42%)
  • 절연 저항은 길이나 부피 등과 같이 물리적인 크기가 아니라 전기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값이기 때문에 미터로 측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절연 저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가동철편형 계기에서 주파수의 영향을 보상하기 위하여 직렬 저항에 병렬로 삽입한 콘덴서의 크기는?

(정답률: 55%)
  • 주파수가 증가하면 가동철편형 계기의 저항값이 증가하게 되어 측정값이 작아지는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하여 저항값을 감소시킨다. 콘덴서의 용량이 클수록 저항값을 더 많이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그림의 회로에서 a, b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니 V 볼트였다. 부하저항 R 값은? (단, E:전지전압 r:전지내부저항)

(정답률: 50%)
  • 전압분배법칙에 따라 a, b 양단의 전압은 E*r/(R+r)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값이 V와 같으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E*r/(R+r) = V

    이를 R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R = (E*r/V) - r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고주파 전압 측정에 이용되는 것은?

  1. 레벨미터
  2. 볼로미터
  3. Q미터
  4. 전자 전압계
(정답률: 61%)
  • 고주파 전압은 전자 전압계를 이용하여 측정합니다. 이는 고주파 신호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민감한 장비이기 때문입니다. 레벨미터나 볼로미터는 주파수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지는 반면, 전자 전압계는 주파수에 관계없이 정확한 측정값을 제공합니다. Q미터는 고주파 회로의 품질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고주파 전압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오실로스코프로 전압을 측정한 결과 진폭이 5cm[p-p]의 크기로 나타났다. 이 전압의 실효값은 약 얼마인가? (단, 오실로스코프의 편향감도는 1[mm/V] 이다.)

  1. 17.7 [V]
  2. 19.5 [V]
  3. 25 [V]
  4. 50 [V]
(정답률: 61%)
  • 진폭이 5cm[p-p]이므로 2.5cm의 진폭을 가진다. 이를 전압으로 환산하면 2.5cm/10mm × 1[mm/V] = 0.25[V] 이다. 따라서, 진폭이 5cm[p-p]인 전압의 최대값은 2.5cm × 1[mm/V] = 2.5[V] 이다. 이 최대값을 전압의 피크값으로 가정하면, 전압의 실효값은 피크값의 1/√2 배인 2.5[V]/√2 ≈ 1.77[V] 이다. 이 값을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단위를 붙이면 17.7 [V] 이므로 정답은 "17.7 [V]"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계수형 주파수계에서 Reset 회로의 역할은?

  1. Gate 시간을 조정한다.
  2. 입력신호 레벨을 조정한다.
  3. 각부의 오동작을 제거한다.
  4. 계수하기 전에 계수부를 0으로 복귀시킨다.
(정답률: 91%)
  • 계수형 주파수계는 주기적인 신호를 세는데 사용되며, 이때 Reset 회로는 계수부를 0으로 초기화하여 새로운 주기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계수하기 전에 계수부를 0으로 복귀시킨다."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주파수계의 다른 기능과 관련된 것들이며, Reset 회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헤테로다인 주파수계에서 Single beat 법보다 Double beat 법이 좋은 이유는?

  1. 구조가 간단하다.
  2. 취급이 용이하다.
  3. 오차가 적다.
  4. 측정 범위가 넓다.
(정답률: 71%)
  • Double beat 법은 두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Single beat 법보다 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오차가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전자회로의 주파수 특징을 시험하는데 관계없는 것은?

  1. 오실로스코프
  2. 스위프 신호 발생기
  3. 마커 신호 발생기
  4. 맥스웰 브리지
(정답률: 66%)
  • 맥스웰 브리지는 전자회로의 주파수 특징을 시험하는데 사용되는 장비가 아니기 때문에 관계없는 것이다. 맥스웰 브리지는 전기적인 임피던스 측정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오실로스코프로 측정 불가능한 것은?

  1. 전압
  2. 변조도
  3. 주파수
  4. 코일의 Q
(정답률: 76%)
  • 코일의 Q는 코일의 품질을 나타내는 값으로, 코일 내부의 저항, 인덕턴스, 캐패시턴스 등의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값은 오실로스코프로 직접 측정할 수 없으며, 대신 LCR 미터 등의 전용 계측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코일의 Q는 오실로스코프로 측정 불가능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그림과 같은 브리지의 평형 조건은?

(정답률: 68%)
  • 브리지의 평형 조건은 왼쪽과 오른쪽의 힘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브리지의 왼쪽과 오른쪽에 있는 무게들의 합이 같아야 합니다. ""는 브리지의 왼쪽과 오른쪽에 있는 무게들의 합이 같은 경우이므로 정답입니다. "", "", ""는 브리지의 왼쪽과 오른쪽에 있는 무게들의 합이 같지 않으므로 평형 조건을 만족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윈 브리지(wien bridge)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역률
  2. 정전 용량
  3. 접지 저항
  4. 코일의 자기인덕턴스
(정답률: 70%)
  • 윈 브리지는 주파수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출력이 0이 되는 회로이다. 따라서, 정전 용량은 주파수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화하므로 윈 브리지를 이용하여 정전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역률은 저항과 콘덴서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윈 브리지로 측정할 수 없다. 접지 저항은 접지된 회로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윈 브리지로 측정할 수 없다. 코일의 자기인덕턴스는 주파수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화하지만, 윈 브리지로 측정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감도가 높고, 정밀한 측정을 요구하는 경우 사용하는 측정법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영위법
  2. 편위법
  3. 반경법
  4. 직편법
(정답률: 92%)
  • 영위법은 측정 대상과 측정기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감도가 높고 정밀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측정법입니다. 따라서 감도가 높고 정밀한 측정을 요구하는 경우에 가장 적합한 측정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셰링 브리지(Schering bridge)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유전체 손실각
  2. 철심의 와전류
  3. 동선의 저항
  4. 인덕턱스
(정답률: 79%)
  • 셰링 브리지는 주로 유전체 손실각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전기적으로 활성인 유전체에서 전기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고주파 전기 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철심의 와전류, 동선의 저항, 인덕턱스는 다른 전기적인 특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지시 계기에서 제어 장치에 해당되는 것은?

  1. 스프링 제어
  2. 와류 제어
  3. 액체 제어
  4. 공기 제어
(정답률: 52%)
  • 지시 계기에서 제어 장치에 해당되는 것은 "스프링 제어"입니다. 이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IoC (Inversion of Control) 컨테이너를 의미하며, 객체의 생성과 관리를 담당하여 개발자가 직접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것을 대신해줍니다. 따라서 스프링 제어를 통해 객체 간의 의존성을 낮추고 유연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참값을 T, 측정값을 M 이라고 할 때 보정(α)을 나타내는 식은?

  1. α = M-T
  2. α = T-M
  3. α = T-M/M
  4. α = T-M/T
(정답률: 71%)
  • 정답은 "α = T-M"이다.

    보정(α)은 참값과 측정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보통 참값에서 측정값을 뺀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α = T-M이다. 예를 들어, 참값이 10이고 측정값이 8이라면, 보정값은 10-8=2가 된다. 이렇게 보정값을 계산하여 측정값을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저항 감쇠기 중 평형형은?

  1. L 형
  2. T 형
  3. H 형
  4. π 형
(정답률: 61%)
  • 평형형 저항 감쇠기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입력 신호가 출력 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달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평형형 저항 감쇠기는 잡음이 많은 환경에서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평형형 저항 감쇠기는 "H 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0과 1의 숫자로 표시된 양을 전압이나 전류로 고치는 변환기는?(단, D=Digital, A=Analog)

  1. A-D 변환기
  2. D-A 변환기
  3. A-A 변환기
  4. D-D 변환기
(정답률: 54%)
  • 정답은 "D-A 변환기"입니다. 이는 디지털 신호(Digital Signal)를 아날로그 신호(Analog Signal)로 변환하는 기기입니다. 디지털 신호는 0과 1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날로그 신호는 연속적인 전압이나 전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D-A 변환기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고주파 및 파형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계기는?

  1. 가동철편형
  2. 전류력계형
  3. 유도형
  4. 열전대형
(정답률: 67%)
  • 열전대형 계기는 고주파 및 파형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유는, 계기 내부에 열전대를 사용하여 온도를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열전대는 전기적 신호가 아닌 열에 의한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주파 및 파형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열전대형 계기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고주파 및 파형이 발생하는 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전류계가 50[A]를 지시하고 있을 때의 보정률이 +2[%]이면 정확한 값은?

  1. 49 [A]
  2. 50 [A]
  3. 51 [A]
  4. 52 [A]
(정답률: 49%)
  • 전류계가 50[A]를 지시하고 있지만 보정률이 +2[%]이므로 실제 전류는 50[A]에 2[%]만큼 더 큰 값이 됩니다. 따라서 정확한 값은 50[A] + (50[A] x 2[%]) = 51[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1 [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