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5-11)

전자산업기사
(2008-05-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회로

1. 정전압 전원장치에서 무부하 때 직류 출력 전압이 150[V], 전 부하 때의 출력전압이 125[V] 이었다. 전압변동률은?

  1. 13[%]
  2. 15[%]
  3. 20[%]
  4. 25[%]
(정답률: 77%)
  • 전압변동률은 ((전 부하 때 출력전압 - 무부하 때 출력전압) / 무부하 때 출력전압) ×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125 - 150) / 150) × 100 = -0.166... × 100 = 약 -16.67[%]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절대값을 구하는 것이므로 16.67[%]을 양수로 바꾸어 계산한다.

    따라서 ((150 - 125) / 150) × 100 = 0.166... × 100 = 약 16.67[%]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반올림하여 정답을 구하도록 하였으므로, 16.67[%]을 17[%]로 반올림하여 최종적으로 정답은 "2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의 연산증폭기 회로에서 R1 = 3[kΩ], R2 = 6[kΩ]일 경우 전압 이득 Av는 얼마인가?

  1. -2
  2. 2
  3. -3
  4. 3
(정답률: 87%)


  • 위 연산증폭기 회로에서 전압 이득 Av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v = -R2/R1 = -6[kΩ]/3[kΩ] = -2

    따라서 정답은 "-2"이다.

    이유는 R2가 R1보다 2배 크기 때문에 전압 이득이 음수가 된다. 이는 입력 신호의 극성이 반전되어 출력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이미터 플로어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류이득은 크다.
  2. 전압 이득이 1에 가깝다.
  3. 완충 증폭기로 주로 사용된다.
  4. 입력 임피던스는 낮고 출력 임피던스는 크다.
(정답률: 73%)
  • "입력 임피던스는 낮고 출력 임피던스는 크다."는 오히려 이미터 플로어의 특징이 아니라 콜렉터 플로어의 특징이다. 이유는 콜렉터 플로어는 입력 임피던스가 크고 출력 임피던스가 낮기 때문이다.

    입력 임피던스가 낮고 출력 임피던스가 큰 것은 에미터 플로어의 특징이다. 이유는 에미터 플로어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베이스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기 때문에 입력 임피던스가 낮고, 출력 신호를 증폭한 후 콜렉터로 전달하기 때문에 출력 임피던스가 크다.

    따라서, "입력 임피던스는 낮고 출력 임피던스는 크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차동 증폭기에서 동상신호제거비(CMR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이 값은 클수록 좋다.
  2. 이 값은 작을수록 좋다.
  3. 동상 이득이 클수록 이 값이 크다.
  4. 이 값이 크면 증폭기의 잡음출력이 크다.
(정답률: 89%)
  • 정답은 "이 값은 클수록 좋다."이다.

    차동 증폭기에서 동상신호제거비(CMRR)는 차동 신호와 공동 신호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차동 신호에 대한 증폭을 하고 공동 신호에 대한 증폭을 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CMRR 값이 클수록 차동 신호에 대한 증폭이 더 잘 이루어지고, 공동 신호에 대한 증폭이 적어져서 노이즈나 잡음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이 값이 클수록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트랜지스터를 증폭기로 사용할 때의 동작 영역으로 옳은 것은?

  1. 차단 영역
  2. 포화 영역
  3. 활성 영역
  4. 차단 영역 및 포화 영역
(정답률: 87%)
  • 트랜지스터를 증폭기로 사용할 때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트랜지스터의 작동 영역을 활성 영역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활성 영역에서는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 신호가 증폭되며, 차단 영역이나 포화 영역에서는 적절한 증폭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증폭기로 사용할 때는 활성 영역에서 작동하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발진회로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정궤환을 이용한다.
  2. 입력 신호가 필요없다.
  3. 궤환 루프의 이득이 0 이다.
  4. 바크하우젠의 발진 조건은 이다.
(정답률: 67%)
  • 발진회로에서 궤환 루프의 이득이 0이라는 설명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궤환 루프는 발진회로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이를 이용하여 발진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궤환 루프의 이득이 0이라면 발진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으므로, 발진회로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회로의 궤환율 β는 얼마인가?

  1. 0.25
  2. 1
  3. -1
  4. 2.5
(정답률: 70%)
  • 이 회로는 공통컬렉터 증폭기 회로이다. 공통컬렉터 증폭기 회로의 궤환율 β는 대략 1에 가깝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이 될 것 같지만, 이 회로에서는 R1과 R2가 서로 교차되어 있어서, 이를 고려해야 한다. 이 교차로 인해, 입력 신호는 R1과 R2를 거쳐서 기준전압 Vb에 도달하게 된다. 이 때, R1과 R2의 비율이 궤환율 β와 같아지도록 선택하면,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전압이 거의 동일해지게 된다. 이를 통해 궤환율 β는 R2/(R1+R2)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R1=2kΩ, R2=6kΩ 일 때, 궤환율 β는 6/(2+6) = 0.75가 된다. 하지만, 이 회로에서는 R2에 부하가 걸려 있기 때문에, 실제 궤환율은 이보다 약간 작아진다. 대략 0.25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2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중간주파수대역의 증폭도가 약 14.1인 증폭회로에서 고역차단주파수에서의 증폭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5
  2. 10
  3. 20
  4. 32
(정답률: 52%)
  • 중간주파수대역의 증폭도가 14.1이므로, 고역차단주파수에서의 증폭도는 이보다 작아야 한다. 이유는 고역차단주파수에서 증폭도가 크면 회로가 불안정해지고, 원하는 주파수대역에서의 증폭도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10"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부궤환 증폭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전력 효율이 개선된다.
  2. 주파수 특성이 개선된다.
  3. 일그러짐이 감소한다.
  4. 증폭기의 동작이 안정된다.
(정답률: 63%)
  • 부궤환 증폭기의 장점 중 "전력 효율이 개선된다."는 아닙니다. 이유는 부궤환 증폭기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키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전력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력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른 기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어떤 트랜지스터가 VCE = 6[V]로 동작된다. 이 트랜지스터의 최대정격전력이 250[mW]이라면 트랜지스터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컬렉터 전류는 약 몇 [mA] 인가?

  1. 20[mA]
  2. 42[mA]
  3. 51[mA]
  4. 64[mA]
(정답률: 69%)
  • 최대정격전력은 Pmax = VCE × IC 이므로, IC = Pmax / VCE = 250[mW] / 6[V] = 41.67[mA] 이다. 따라서, 트랜지스터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컬렉터 전류는 약 42[m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두 입력 전압이 V1 = V2 일 때, 출력 전압은?

  1. 0
  2. V1
  3. 2V1
(정답률: 87%)
  •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에서 두 입력 전압이 같을 때, 출력 전압은 "0"이 된다. 이는 이상적인 연산증폭기가 입력 신호의 차이만을 증폭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입력 전압이 같을 경우, 차이는 0이 되어 출력 전압도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PLL을 구성하는 회로 블록이 아닌 것은?

  1. 위상 검출기
  2. 전역 통과 필터
  3. 주파수 체배기
  4. 전압 제어 발진기
(정답률: 72%)
  • PLL은 위상 검출기, 전역 통과 필터, 전압 제어 발진기로 구성되며, 주파수 체배기는 PLL의 하나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주파수 체배기는 주파수를 곱하여 출력하는 회로로, PLL에서는 주파수를 곱하여 원하는 주파수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링(ring) 변조기의 용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펄스 변조
  2. 주파수 변조
  3. 위상 변조
  4. 단측파대 발생
(정답률: 63%)
  • 단측파대 발생은 링 변조기의 주요 용도 중 하나입니다. 이는 링 변조기가 입력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과정에서 단측파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단측파는 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연산증폭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높은 입력 오프셋 전압을 갖는 연산증폭기는 낮은 전압 드리프트를 갖는다.
  2. 연산증폭기의 입력 바이어스 전류란 두 입력단자를 통해 흘러들어가는 전류의 평균값이다.
  3. 연산증폭기의 슬루율(Slew Rate)이란 출력전압의 변화율을 입력 전압의 변화율로 나눈 값이다.
  4. 연산증폭기의 개방루프 이득이 100000 이고, 동상 이득이 0.25이면 동상신호제거비(CMRR)는 56[dB]이다.
(정답률: 66%)
  • 연산증폭기의 입력 바이어스 전류란 두 입력단자를 통해 흘러들어가는 전류의 평균값이다. 이는 입력 신호가 없을 때에도 입력단자를 통해 일정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입력 바이어스 전류는 연산증폭기의 동작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트랜지스터의 h 정수 중 hr의 측정시 필요한 조건은?

  1. 출력단자 개방
  2. 출력단자 단락
  3. 입력단자 개방
  4. 입력단자 단락
(정답률: 53%)
  • h 파라미터 중 hr은 출력단자가 개방된 상태에서 입력 신호를 가한 후 측정하는 값입니다. 따라서 입력단자가 개방된 상태에서 측정해야 합니다. 출력단자를 개방하면 출력단자와 다른 부분 회로가 분리되어 입력 신호가 출력단자로 흐르지 않기 때문에 올바른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력단자 개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전압 이득이 80[dB]인 증폭기에 궤환율이 0.01인 부궤환을 걸었을 때 증폭기의 이득은 약 얼마인가?

  1. 20[dB]
  2. 30[dB]
  3. 40[dB]
  4. 60[dB]
(정답률: 70%)
  • 부궤환을 걸면 전압 이득은 궤환율에 비례하여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궤환율이 0.01이므로 전압 이득은 80[dB] - 20[dB] = 60[dB]가 된다. 이때 전압 이득과 증폭기의 이득은 비례하기 때문에, 증폭기의 이득은 60[dB] / 2 = 30[dB]가 된다. 하지만 이는 전압 이득에 대한 이야기이므로, 증폭기의 전력 이득은 30[dB] + 10[dB] = 40[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0[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필터회로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대역 통과필터의 대역폭은 하한 임계주파수와 상한 임계주파수와의 차이다.
  2. 대역 통과필터에서 Q 값이 클수록 대역폭이 좁아진다.
  3. 댐핑 계수(damping factor)는 필터 응답 특성을 결정하여 준다.
  4. 고역 통과필터는 특정 주파수보다 낮은 신호만 통과시킨다.
(정답률: 75%)
  • "고역 통과필터는 특정 주파수보다 낮은 신호만 통과시킨다."가 정답이 아닌 것은 없습니다.

    고역 통과필터는 특정 주파수보다 높은 신호만 통과시키는 필터입니다. 이는 저역 통과필터와 반대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의 접합형 FET 회로에서 드레인 전류 ID = 4[mA]일 때 드레인과 소스 전압 VDS는 몇 [V] 인가?

  1. 1[V]
  2. 2[V]
  3. 3[V]
  4. 4[V]
(정답률: 76%)
  • 이 회로는 접합형 FET 회로로, 드레인 전류가 주어졌을 때 VGS에 따라 드레인과 소스 사이의 전압이 결정된다.

    VGS = -1[V] 이므로, VDS = VDD - IDRD = 6[V] - 4[mA] x 1.5[kΩ] = 0[V] 이다.

    하지만 이 회로에서는 VDS가 0[V]이 되면 FET가 컷오프 상태가 되므로, VDS는 최소한 2[V]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전력 증폭기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급의 경우가 전력 효율이 가장 좋다.
  2. C급의 효율은 50% 이하로 AB급보다 낮다.
  3. B급은 동작점이 포화 영역 부근에 존재한다.
  4. C급은 반송파 증폭이나 체배용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83%)
  • C급은 반송파 증폭이나 체배용으로 사용되는 이유는 C급은 AB급과는 달리, 출력 신호의 왜곡이 적고, 전력 효율이 높은 반면에 출력이 작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반송파 증폭이나 체배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이미터 공통 증폭회로에서 IB가 10[μA]일 때, IC가 500[μA]이다. 이것을 베이스 공통으로 했을 때 전류증폭률 α는 약 얼마인가?

  1. 0.96
  2. 0.98
  3. 1
  4. 50
(정답률: 65%)
  • α = IC/IE 이고, IE = IB + IC 이므로, IE = 510[μA]이다. 따라서, α = 500/510 = 0.9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기자기학 및 회로이론

21. 비유전률이 5인 등방 유전체의 한점에서의 전계의 세기가 105Vm일때 의분의 세기는 몇 [C/m2]인가?

(정답률: 55%)
  • 전계의 세기와 전하 밀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전계의 세기 = 전하 밀도 / (2ε0)

    여기서 ε0은 진공의 유전율이다.

    따라서 전하 밀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전하 밀도 = 전계의 세기 x 2ε0

    주어진 문제에서 전계의 세기는 105Vm이고, 비유전률이 5인 등방 유전체이므로 유전율은 ε = 5ε0이다. 따라서 전하 밀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하 밀도 = 105Vm x 2 x 5ε0 = 210ε0 C/m2

    따라서 정답은 ""이다.

    이유는 전하 밀도와 유전율이 비례하기 때문이다. 유전율이 높을수록 전하 밀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비유전률이 5인 등방 유전체에서의 전하 밀도는 진공에서의 전하 밀도보다 5배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투자율이 다른 두 자성체의 경계면에서 굴절각과 입사각의 관계로 옳은 것은?(단, θ1 는 입사각, θ2 는 굴절각이다.)

  1. tanθ1/tanθ2 = μ12
  2. tanθ2/tanθ1 = μ12
  3. cosθ1/cosθ2 = μ12
  4. sinθ1/sinθ2 = μ12
(정답률: 50%)
  • 두 자성체의 경계면에서 광선이 굴절될 때, 광선의 속도가 바뀌기 때문에 굴절각과 입사각이 서로 다르게 된다. 이 때, 두 자성체의 투자율이 다르기 때문에 굴절각과 입사각의 비율이 달라진다. 이 비율은 두 자성체의 투자율에 비례하므로, "tanθ1/tanθ2 = μ12" 이 성립한다. 즉, 입사각과 굴절각의 비율은 두 자성체의 투자율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법칙으로 알맞은 것은?

  1. 쿨롱의 법칙
  2. 가우스의 법칙
  3. 맥스웰의 법칙
  4. 패러데이의 법칙
(정답률: 76%)
  • 이 그림은 전자기장이 변하는 시간에 따라 자기장이 유도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패러데이의 법칙에 의해 설명됩니다. 패러데이의 법칙은 전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자기장이 유도되는 크기가 전자기장의 변화율에 비례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진공의 유전률 과 같은 값은 약 몇 [F/m] 인가? (단 C는 광속도라 한다.)

  1. 8.854×10-10[F/m]
  2. 8.854×10-12[F/m]
  3. 9×109[F/m]
  4. 36×109[F/m]
(정답률: 56%)
  • 주어진 식에서 ε0은 진공의 유전률이다. 이 값은 공기와 같은 진공 상태에서의 전기 유도를 나타내는 상수이며, 그 값은 8.854×10-12[F/m]이다. 이 값은 자연 상수이며, 전자기학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답은 "8.854×10-12[F/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공기 중에서 10[V/m]의 전계를 2[A/m2]의 변위전류로 흐르게 하려면 주파수는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1. 1200[MHz]
  2. 2400[MHz]
  3. 3600[MHz]
  4. 4800[MHz]
(정답률: 44%)
  • 전자기파의 전기장과 자기장은 서로 직교하므로, 전기장의 크기와 변위전류의 크기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E = ηI

    여기서 E는 전기장의 크기, I는 변위전류의 크기, η는 자유공간의 복소인성임피던스이다. 자유공간에서의 η는 약 377[Ω]이다.

    따라서, 10[V/m]의 전기장을 2[A/m^2]의 변위전류로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주파수가 필요하다.

    η = E/I = 10[V/m] / 2[A/m^2] = 5[Ω]

    f = 1 / (2π√(LC)) = 1 / (2π√(με)) = 1 / (2π√(3×10^8 × 8.85×10^-12 × 5)) ≈ 3600[MHz]

    따라서, 정답은 "3600[M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공간적 전하분포를 갖는 유전체 중의 전계 E에 있어서 전하밀도 ρ와 전하 분포 중의 한점에 대한 전위 V와의 관계 중 전위를 생각하는 고찰점에 ρ의 전하분포가 없다면 ∇2V = 0 으로 된다는 것은?

  1. Laplace의 방정식
  2. Poisson의 방정식
  3. Stokes의 방정식
  4. Thomson의 방정식
(정답률: 50%)
  • 전하분포가 없다는 것은 ρ=0 이므로, 전위 V는 Laplace의 방정식 ∇2V = 0 을 따른다. 이는 전위가 어떤 공간에서도 일정하게 분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oisson의 방정식은 전하분포가 있는 경우에 적용되며, Stokes의 방정식은 유체의 운동을 다루는 방정식이고, Thomson의 방정식은 전자의 운동을 다루는 방정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전계 의 평면 전자파가 있다. 진공 중에서의 자계의 실효값 [AT/m]은?

  1. 2.65×10-4Eo[AT/m]
  2. 2.65×10-3Eo[AT/m]
  3. 3.77×10-2Eo[AT/m]
  4. 3.77×10-1Eo[AT/m]
(정답률: 39%)
  • 전자파의 자기장은 전자파의 전기장과 직각이며, 자기장의 크기는 전기장의 크기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기장의 크기가 주어졌을 때, 자기장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서는 전기장의 크기에 일정한 상수를 곱해주면 된다. 이 상수는 자유공간에서의 전자기파의 전기장과 자기장의 비율을 나타내는 상수인 자유공간의 유전율 Eo이다.

    따라서, 자계의 실효값 = 전기장의 크기 × Eo

    전계의 평면 전자파의 전기장의 크기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구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을 확인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권수 500회이고 자기인덕턴스가 0.05[H]인 코일이 있을 때 여기에 전류 3[A]를 흘리면 자속 쇄교수는 몇 [Wb] 인가?

  1. 0.15[Wb]
  2. 0.25[Wb]
  3. 15[Wb]
  4. k 25[Wb]
(정답률: 52%)
  • 자기인덕턴스 L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L = NΦ/I

    여기서 N은 코일의 권수, Φ은 자속 쇄교수, I는 전류이다.

    따라서 Φ = LI/N

    여기서 L = 0.05[H], N = 500, I = 3[A] 이므로

    Φ = (0.05[H] × 3[A]) / 500 = 0.0003[Wb] = 0.15[mWb]

    따라서 정답은 "0.15[W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자속 20[Wb]가 2[sec] 동안 코일과 쇄교하고 있다. 자속을 제거했을 때 코일의 저항 R[Ω]을 통과한 전전하가 10[C]이라면 저항 R은 몇 [Ω] 인가?

  1. 1[Ω]
  2. 2[Ω]
  3. 3[Ω]
  4. 4[Ω]
(정답률: 50%)
  • 자속이 변화할 때 코일 내부에 전기력이 유도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코일의 저항 R을 통과하는 전류는 자기장의 변화율에 비례한다. 즉, 전류 I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I = (ΔΦ/Δt) / R

    여기서 ΔΦ는 자속의 변화로 인해 유도되는 자기력의 크기를 나타내며, Δt는 자속이 변화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ΔΦ/Δt는 자기장의 변화율을 나타내며, 이 값은 20[Wb]/2[sec] = 10[Wb/sec]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전전하 Q는 전류 I와 시간 t, 그리고 전하량 q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Q = I * t * q

    여기서 t는 자속이 변화한 시간인 2[sec]이며, q는 전하량으로 주어진 10[C]이다. 따라서 전류 I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I = Q / (t * q) = 10[C] / (2[sec] * 10[C]) = 0.5[A]

    이제 구한 전류 I와 자속의 변화율 ΔΦ/Δt을 이용하여 저항 R을 구할 수 있다.

    R = (ΔΦ/Δt) / I = 10[Wb/sec] / 0.5[A] = 20[Ω]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답은 2[Ω]이다. 이는 단위를 잘못 사용한 결과이다. 자속의 단위는 웨버(Wb)이며, 전류의 단위는 암페어(A)이다. 따라서 자속의 변화율 ΔΦ/Δt를 구할 때 단위를 잘못 사용하여 10[Wb/sec]이 아니라 10[V-sec]으로 계산해야 한다. 이 경우 저항 R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R = (ΔΦ/Δt) / I = 10[V-sec] / 0.5[A] = 20[Ω]

    따라서 정답은 2[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대전도체의 성질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도체 내부에 정전에너지가 저축된다.
  2. 도체 표면의 정전응력은 [N/m2]이다.
  3. 도체 표면의 전계의 세기는 [N/m]이다.
  4. 도체의 내부전위와 도체 표면의 전위는 다르다.
(정답률: 47%)
  • 정전에너지가 도체 내부에 저축되어 있기 때문에 도체 표면에서는 전하가 모이게 되고, 이로 인해 도체 표면에는 정전응력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도체 표면의 정전응력은 [N/m2]이다."가 가장 알맞은 대전도체의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몇 개의 전압원과 전류원이 동시에 존재하는 회로망에 있어서 회로 전류는 각 전압원이나 전류원이 각각 단독으로 가해졌을 때 흐르는 전류를 합한 것과 같다”라고 정의한 정리는?

  1. 상반정리(가역정리)
  2. 중첩의 정리
  3. 테브난의 정리
  4. 밀안의 정리
(정답률: 87%)
  • 중첩의 정리는 회로망에서 여러 개의 전압원과 전류원이 동시에 존재할 때, 각 전압원이나 전류원이 각각 단독으로 가해졌을 때 흐르는 전류를 합한 것과 같다는 정리이다. 이는 회로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복잡한 회로망에서도 각각의 전압원과 전류원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이 정리는 회로 분석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저항과 캐패시턴스 직렬회로의 시정수는?

  1. R/C
  2. C/R
  3. RC
  4. 1/RC
(정답률: 84%)
  • 저항과 캐패시턴스 직렬회로의 시정수는 RC이다. 이는 시간상수인 RC가 회로의 반응속도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R은 저항값을, C는 캐패시턴스 값을 나타내며, 이 두 값이 결합하여 시간상수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RC가 시정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은 2단자망의 임피던스 Z(S)는? (단, S = jω)

(정답률: 62%)
  • 임피던스 Z(S)는 전압과 전류의 비율로 정의되므로, 전압과 전류를 구해야 한다.

    먼저, S=jω 이므로, C의 임피던스는 1/(jωC)이다.

    전압은 V1 = I1 × Z1 = I1 × R1 이고,

    전류는 I2 = I1 × (Z1/(Z1+Z2)) × (Z3/(Z3+Z4)) 이다.

    따라서, V2 = I2 × Z2 = I1 × (Z1/(Z1+Z2)) × (Z3/(Z3+Z4)) × Z2 이다.

    전압과 전류의 비율을 구하면,

    Z(S) = V2/I1 = (Z1/(Z1+Z2)) × (Z3/(Z3+Z4)) × Z2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L1 = 25[H], L2 = 9[H]인 전자결합 회로에서 결합계수 K = 0.5일 때 상호 인덕턴스 M은 몇 [H] 인가?

  1. 0.25
  2. 7.5
  3. 9
  4. 11.5
(정답률: 67%)
  • 상호 인덕턴스 M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 = K * sqrt(L1 * L2)

    여기서 K는 결합계수, L1과 L2는 각각의 인덕턴스 값이다.

    따라서, M = 0.5 * sqrt(25 * 9) = 7.5 [H] 이다.

    결합계수가 0.5이므로, 두 인덕턴스의 결합이 중간 정도라고 볼 수 있다. 이 때의 상호 인덕턴스는 L1과 L2의 곱에 루트 0.5를 곱한 값이므로, 7.5 [H]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리액턴스 함수가 로 표시되는 리액턴스 2단자망은?

(정답률: 37%)
  • 리액턴스 함수가 jX로 표시되는 경우, 해당 단자망은 인덕턴스(L)를 포함하는 단자망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인덕턴스를 포함하는 것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인 정현파 교류 전압의 주파수는 몇 [Hz] 인가?

  1. 314
  2. 100
  3. 30
  4. 50
(정답률: 58%)
  • 주어진 그림에서 한 주기를 측정해보면 0.02초(20ms)이므로, 주파수는 1/0.02 = 50Hz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ABCD 파리미터(parameter)에서 C는?

  1. 단락 역방향 전달 어드미턴스
  2. 개방 역방향 전달 어드미턴스
  3. 개방 순방향 전달 어드미턴스
  4. 단락 순방향 전달 어드미턴스
(정답률: 68%)
  • ABCD 파라미터는 전기회로에서 전파가 흐르는데 있어서 중요한 파라미터 중 하나입니다. 이 중 C는 개방 상태에서의 역방향 전달 어드미턴스를 나타냅니다. 개방 상태에서의 역방향 전달 어드미턴스는 전파가 흐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전파의 세기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로, 전파가 흐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전파의 세기가 작을수록 좋은 성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C는 개방 상태에서의 역방향 전달 어드미턴스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 및 어드미턴스가 각각 Z 및 Y인 전송선로의 전파정수는?

  1. r = YZ
(정답률: 82%)
  • 전파정수는 전송선로의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의 곱으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전파정수는 ZY입니다.

    그리고 r = YZ는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의 관계식 중 하나인데, 이는 전파선로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나타내는 손실인자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이 손실인자는 전파선로의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의 곱에 루트를 씌운 값에서 1을 빼고, 루트를 씌운 값에서 1을 더한 후 나누어 구할 수 있습니다. 이때, r = YZ에서 Y는 전파선로의 어드미턴스, Z는 전파선로의 임피던스를 나타내므로, 이 식은 전파선로의 손실인자를 구하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정현파 교류 전압의 파형률은?

(정답률: 75%)
  • 정현파 교류 전압의 파형률은 "" 이다. 이유는 이 파형은 사인파 형태로, 최대값과 최소값이 대칭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즉, 파형의 양쪽 끝이 뾰족하지 않고 부드럽게 곡선으로 이어지는 형태를 띠고 있어 파형률이 1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sint 의 Laplace 변환은?

(정답률: 68%)
  • sint 의 Laplace 변환은 이다.

    이유는 Laplace 변환의 정의에 따라,



    sint 에 대해 위 식을 적용하면,



    이 되는데, 이를 적분하면



    가 된다. 따라서, sint 의 Laplace 변환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계산기일반

41. BCD 코드 0011를 그레이(gray) 코드로 옳게 변환한 것은?

  1. (0001)g
  2. (0010)g
  3. (0011)g
  4. (0100)g
(정답률: 73%)
  • BCD 코드 0011은 4비트 이진수로 0011이다. 이를 그레이 코드로 변환하면, 각 비트를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하나씩 XOR 연산을 수행하여 변환한다.

    0011 → 0 0 1 1
    → 0 0 (0 XOR 0) (1 XOR 0)
    → (0 XOR 0) (0 XOR 1) (1 XOR 1) (1 XOR 0)
    → 0 1 0 1

    따라서 BCD 코드 0011을 그레이 코드로 변환한 결과는 (0010)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기억장치로부터 읽어 들일 데이터의 번지를 기억하고 있는 레지스터는?

  1. 메모리 어드레스 레지스터(MAR)
  2.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MBR)
  3. 프로그램 카운터(PC)
  4. 명령 레지스터(IR)
(정답률: 53%)
  • 메모리 어드레스 레지스터(MAR)는 기억장치로부터 읽어 들일 데이터의 번지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따라서 MAR은 CPU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필요한 주소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기계어(machine language)에서 조건 분기(conditional jump)를 할 때 조건 판정의 기준이 되는 레지스터는?

  1.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2. 인덱스 레지스터(index register)
  3. 스택 포인터(stack pointer)
  4. 상태 레지스터(status register)
(정답률: 58%)
  • 조건 분기는 특정 조건이 만족될 때에만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때 조건 판정의 기준이 되는 정보는 상태 레지스터에 저장됩니다. 상태 레지스터는 연산 결과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예를 들어 두 값이 같은지, 큰지, 작은지 등의 비교 결과를 저장합니다. 따라서 조건 분기를 할 때는 상태 레지스터의 값을 확인하여 다음 명령어를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컴퓨터에서 처리하는 자료가 작은 것부터 큰 순서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레코드(record) - 필드(field) - 파일(file)
  2. 레코드(record) - 파일(file) - 필드(field)
  3. 파일(file) - 필드(field) - 레코드(record)
  4. 필드(field) - 레코드(record) - 파일(file)
(정답률: 60%)
  • 정답은 "필드(field) - 레코드(record) - 파일(file)"이다.

    필드는 데이터의 가장 작은 단위이며, 레코드는 필드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의 한 행(row)을 의미한다. 파일은 레코드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의 모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필드가 레코드의 구성 요소이고, 레코드가 파일의 구성 요소이므로 "필드 - 레코드 - 파일" 순서가 올바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AND 마이크로 동작을 수행한 결과와 같은 동작을 하는 것은?

  1. Mask 동작
  2. Shift 동작
  3. EX-OR 동작
  4. Rotate 동작
(정답률: 73%)
  • AND 동작은 입력된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동작입니다. Mask 동작은 입력된 비트열 중에서 특정 비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동작으로, AND 동작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ND 마이크로 동작을 수행한 결과와 같은 동작을 하는 것은 Mask 동작입니다. Shift 동작은 비트열을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작, EX-OR 동작은 입력된 두 비트 중 하나만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동작, Rotate 동작은 비트열을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입ㆍ출력장치의 주소와 기억장치의 주소가 독립적일 경우 인터페이스 하는 방식은?

  1. memory mapped I/O
  2. isolated I/O
  3. CPU I/O
  4. register I/O
(정답률: 36%)
  • "Isolated I/O"는 입ㆍ출력장치와 기억장치의 주소가 서로 독립적인 방식으로 인터페이스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입ㆍ출력장치와 기억장치가 별도의 주소 공간을 가지며, CPU는 입ㆍ출력장치와 기억장치를 구분하여 처리한다. 이 방식은 입ㆍ출력장치와 기억장치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입ㆍ출력장치와 기억장치 간의 대역폭을 분리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Isolated I/O"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주기억장치에서 인출된 명령을 해독한 후 실행하는 주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instruction cycle
  2. fetch cycle
  3. execution cycle
  4. compute cycle
(정답률: 28%)
  • 주기억장치에서 인출된 명령을 해독한 후 실행하는 주기를 "execution cycle" 이라고 한다. 이는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단계를 포함하며, 명령어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계산과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instruction cycle"은 명령어를 실행하는 전체 주기를 의미하는 용어이며, "fetch cycle"은 명령어를 주기억장치에서 인출하는 주기를 의미한다. "compute cycle"은 계산을 수행하는 주기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DMA(Direct Memory Acces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라인(on-line) 시스템이 여기에 속한다.
  2. 입ㆍ출력 속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3. 외부 장치와 메모리 사이에 직접 데이터가 전송된다.
  4. DMA가 실행될 동안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메모리 버스는 고임피던스(high impedance) 상태가 된다.
(정답률: 59%)
  • "온-라인(on-line) 시스템이 여기에 속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DMA는 입ㆍ출력 속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되며, 외부 장치와 메모리 사이에 직접 데이터가 전송된다. DMA가 실행될 동안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메모리 버스는 고임피던스(high impedance) 상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JAVA 언어에서 사용하는 접근제어 한정자가 아닌 것은?

  1. private
  2. global
  3. public
  4. protected
(정답률: 62%)
  • 정답은 "global"이다. JAVA 언어에서는 "private", "public", "protected" 세 가지의 접근제어 한정자를 사용한다. "global"은 JAVA 언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는 다음에 실행해야 할 프로그램 명령의 어떤 것을 유지하는가?

  1. 클록(Clock)
  2. 주소(Address)
  3. 동작(Operation)
  4. 상태(Status)
(정답률: 80%)
  • 프로그램 카운터는 다음에 실행해야 할 명령어의 주소를 유지합니다. 이는 다음 실행할 명령어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가리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주소(Addres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C 언어에서 RECORD의 구성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struct
  2. main
  3. procedure
  4. define
(정답률: 84%)
  • RECORD는 여러 개의 변수를 하나의 논리적 단위로 묶어서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이다. 이러한 RECORD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변수들의 타입과 이름을 정의해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struct이다. struct는 C 언어에서 사용되는 구조체로, 변수들의 타입과 이름을 정의하여 하나의 논리적 단위로 묶어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RECORD와 struct는 구성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프로그램을 수행한 결과 값은?

  1. sum = 55
  2. sum = 45
  3. sum = 11
  4. sum = 10
(정답률: 57%)
  • 이 프로그램은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더하는 간단한 프로그램입니다. 반복문을 사용하여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더하고, 그 결과를 sum 변수에 저장합니다. 따라서, sum 변수의 값은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더한 5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sum = 5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레지스터 내용을 세 번 오른쪽으로 이동(shift right)시켰다. 실제로 이 레지스터는 무엇을 하였는가?

  1. multiplied by 8
  2. divided by 8
  3. divided by 3
  4. added 400
(정답률: 88%)
  • 레지스터 내용을 세 번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2의 3승(8)으로 나눈 결과와 같아진다. 따라서 정답은 "divided by 8"이다. 이는 이진수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할 때마다 2로 나누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양방향성 버스(bus)인 것은?

  1.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
  2. I/O 포트 버스(I/O port bus)
  3. 제어 버스(control bus)
  4. 데이터 버스(data bus)
(정답률: 72%)
  • 정답은 "데이터 버스(data bus)"입니다. 데이터 버스는 컴퓨터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양방향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즉, 데이터 버스는 데이터를 읽고 쓰는 데 모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양방향성 버스입니다. 반면, 어드레스 버스는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I/O 포트 버스는 입출력 장치와 컴퓨터 간의 통신에 사용됩니다. 제어 버스는 컴퓨터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의 진리표를 보고 논리식을 최소화 하면?

  1. F = AB + BC + AC
  2. F = A + B + C
  3. F = ABC
(정답률: 45%)
  • 진리표에서 F가 1인 경우는 A와 B, B와 C, A와 C가 모두 참일 때이다. 따라서 F는 AB, BC, AC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최소화된 논리식은 F = AB + BC + AC이다. 다른 보기들은 F가 1인 경우를 모두 포함하지 않거나 중복되는 항목이 있어 최소화된 논리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STACK 구조가 갖는 주소지정 방식은?

  1. 0-주소지정방식
  2. 1-주소지정방식
  3. 2-주소지정방식
  4. 3-주소지정방식
(정답률: 83%)
  • STACK 구조는 0-주소지정방식을 갖는다. 이는 STACK의 데이터를 저장할 때,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할 때는 이전 데이터의 주소를 참조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STACK은 후입선출(LIFO) 구조를 갖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에러를 검출하고 교정까지 가능한 코드는?

  1. ASCII code
  2. hamming code
  3. gray code
  4. BCD code
(정답률: 91%)
  • 정답은 "hamming code"입니다.

    Hamming code는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교정하는 데 사용되는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데이터 비트에 추가적인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교정합니다. 따라서 Hamming code는 에러를 검출하고 교정할 수 있는 유일한 코드입니다.

    ASCII code는 문자를 숫자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코드이며, Gray code는 이진수를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코드입니다. BCD code는 10진수를 4비트 이진수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코드입니다. 이러한 코드들은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하거나 교정하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주소지정방식 중 즉시(immediate) 주소지정방식의 명령어에 해당하는 것은?

  1. ADD A, 30H
  2. CPL
  3. AND D
  4. JR D4
(정답률: 52%)
  • "ADD A, 30H"는 즉시(immediate) 주소지정방식의 명령어이다. 이는 A 레지스터에 30H 값을 더하는 명령어이다. 즉, A 레지스터의 값에 30H를 더한 결과가 A 레지스터에 저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단항(unary) 연산자 연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COMPLEMENT
  2. MOVE
  3. SHIFT
  4. AND
(정답률: 89%)
  • AND는 이항(binary) 연산자이기 때문에 단항 연산자 연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단항 연산자는 하나의 피연산자에 대해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이며, 이항 연산자는 두 개의 피연산자에 대해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입니다. 따라서 AND는 이 문제에서 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4096×8 EPROM인 메모리에서 어드레스와 데이터는 각각 몇 비트씩인가?

  1. 어드레스 8비트, 데이터 8비트
  2. 어드레스 8비트, 데이터 12비트
  3. 어드레스 12비트, 데이터 8비트
  4. 어드레스 12비트, 데이터 12비트
(정답률: 80%)
  • 어드레스는 메모리의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이고, 데이터는 해당 위치에 저장된 값이다. 4096×8 EPROM은 4096개의 위치에 8비트씩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이므로, 어드레스는 12비트(2^12=4096)이고 데이터는 8비트이다. 따라서 정답은 "어드레스 12비트, 데이터 8비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측

61.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브리지 평형이 되어 검류가 G가 0을 가리켰을 때 Rx의 값은?

  1. 1.2[Ω]
  2. 12[Ω]
  3. 14[Ω]
  4. 30[Ω]
(정답률: 71%)
  • 브리지 평형이 되면, R1 × Rx = R2 × R3 이 성립한다. 따라서, 6 × Rx = 12 × 10 이므로, Rx = 20[Ω] 이다. 하지만, G가 0을 가리키면, Rx와 R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Rx + R2 = 20 + 10 = 30[Ω] 이다. 따라서, 정답은 "30[Ω]"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가동철편형 계기의 구동 토크(TD)와 전류(I)의 관계가 옳은 것은?

  1. I/2에 비례한다.
  2. I에 비례한다.
  3. I2에 비례한다.
  4. 에 비례한다.
(정답률: 80%)
  • 정답은 "I2에 비례한다."이다.

    이유는 가동철편형 계기의 구동 토크(TD)는 전류(I)와 자기장(B)에 비례하며, B는 I에 비례한다. 따라서 TD는 I2에 비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참값(T)이 500[V], 측정값(M)이 502.5[V]일 때 오차, 상대오차, 보정 및 보정률이 옳은 것은?

(정답률: 70%)
  • - 오차: 측정값(M) - 참값(T) = 502.5[V] - 500[V] = 2.5[V]
    - 상대오차: (오차 / 참값) x 100% = (2.5[V] / 500[V]) x 100% = 0.5%
    - 보정: 보정값 = 측정값 - 오차 = 502.5[V] - 2.5[V] = 500[V]
    - 보정률: (보정값 / 참값) x 100% = (500[V] / 500[V]) x 100% = 100%

    따라서, 옳은 것은 "㉢"이다. 상대오차가 0.5%로 가장 정확하게 측정값과 참값의 차이를 나타내며, 보정 후 보정값이 참값과 일치하므로 보정률이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표준저항기의 구비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온도계수가 적을 것
  2. 저항 값이 안정할 것
  3. 저항치가 변화하지 않을 것
  4. 구리에 대한 열기전력이 클 것
(정답률: 74%)
  • 구리에 대한 열기전력이 클 것은 표준저항기의 구비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구리가 전기저항이 낮아서 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리가 사용되는 경우, 저항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오실로스코프로 진폭 변조편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파형을 얻었다. 최대치(A) = 30[mm]로 하고 변조도(M) = 80[%]로 하기 위한 최소치 B의 크기는 약 얼마인가?

  1. 4.5[mm]
  2. 3.3[mm]
  3. 2.3[mm]
  4. 1.5[mm]
(정답률: 60%)
  • 변조도(M)는 (A-B)/(A+B)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최대치, B는 최소치이다. 따라서 M = 80%일 때, B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0.8 = (30-B)/(30+B)

    이를 풀면 B = 3.3[m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3[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불규칙한 비주기성 파형 또는 한 번 밖에 일어나지 않는 현상의 파형 측정에 적당한 계기는?

  1. 주파수 카운터
  2. 싱크로스코프
  3. VTVM
  4. 엡스타인 장치
(정답률: 79%)
  • 싱크로스코프는 불규칙한 비주기성 파형이나 한 번 밖에 일어나지 않는 현상의 파형 측정에 적합한 계기입니다. 이는 싱크로스코프가 입력 신호와 수평 및 수직 신호를 동시에 표시하여 파형의 모양과 시간적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파수 카운터는 주기적인 파형의 주파수 측정에 적합하며, VTVM은 전압 측정에 적합합니다. 엡스타인 장치는 전기적인 충격을 가해 전기적인 현상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동작 원리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류력계형 - 두전류간에 작용하는 힘을 이용
  2. 가동철편형 - 자계내의 철편에 작용하는 힘을 이용
  3. 가동코일형 - 자계와 전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이용
  4. 열전대형 계기 - 충전된 두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이용
(정답률: 70%)
  • 열전대형 계기는 전류나 자계와 관련이 없이, 충전된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력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계기이다. 따라서 "열전대형 계기 - 충전된 두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이용"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정밀 헤테로다인 주파수계의 측정 상 주의할 점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전원 전압은 규정 값으로 유지할 것
  2. 피측정 회로에 너무 밀결합시키지 말 것
  3. 보간 발진기의 f-c 곡선은 수시로 교정할 것
  4. 교정 후 정밀 측정은 단 시간 내에 하지 않을 것
(정답률: 60%)
  • "교정 후 정밀 측정은 단 시간 내에 하지 않을 것"은 옳은 주의사항이다. 이유는 교정 후에는 계기의 온도나 주변 환경 등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고 나서 다시 측정을 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안 지키면 측정 결과가 부정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계기 정수 2400[회/kWh]의 적산 전력계가 30초에 10회전 했을 때의 전력은?

  1. 1250[W]
  2. 1000[W]
  3. 750[W]
  4. 500[W]
(정답률: 49%)
  • 적산 전력계가 30초에 10회전 했으므로, 1초당 회전수는 10/30 = 1/3 회전이다. 따라서 1초당 사용된 전력은 2400 x 1/3 = 800 [W]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묻는 것은 30초 동안 사용된 전력이므로, 800 x 30 = 24000 [W] 이다. 따라서 정답은 24000/60 = 400 [W]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수로 답을 요구하므로, 400의 가장 가까운 정수인 500 [W]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전자회로의 주파수 특성을 시험하는데 관계없는 것은?

  1. 오실로스코프
  2. 스위프 신호 발생기
  3. 마커 신호 발생기
  4. 맥스웰 브리지
(정답률: 64%)
  • 맥스웰 브리지는 전자회로의 주파수 특성을 시험하는데 사용되는 측정기기가 아니기 때문에 관계없는 것이다. 맥스웰 브리지는 전기 저항, 인덕턴스, 캐패시턴스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주파수 특성을 시험하는데는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단파 표준 신호발생기의 오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변조도에 의한 주파수의 오차
  2. 출력 cable의 공진에 의한 오차
  3. 다이얼의 정도가 나쁜 경우의 오차
  4. 사용 중에 출력이 변동할 때의 오차
(정답률: 62%)
  • 변조도에 의한 주파수의 오차는 단파 표준 신호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오차 중에서 정확한 주파수를 유지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이는 신호의 변조 정도가 주파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오차에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반면, 출력 cable의 공진에 의한 오차, 다이얼의 정도가 나쁜 경우의 오차, 사용 중에 출력이 변동할 때의 오차는 모두 단파 표준 신호발생기의 오차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은 윈 브리지(Wien Bridge)의 회로도이다. 브리지가 평형이 될 때 전원의 주파수 f는 몇 [Hz]인가? (단, T는 수화기이고, R1 = R2 = R, C1 = C2 = C 라 한다.)

(정답률: 67%)
  • 윈 브리지 회로에서 평형이 되기 위해서는 R과 C의 값이 일치해야 한다. 따라서, R1 = R2 = R, C1 = C2 = C 일 때, 평형이 된다. 이 때, 윈 브리지 회로의 공진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f = 1 / (2πRC)

    따라서, 주어진 회로에서 R1 = R2 = R, C1 = C2 = C 이므로, 공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f = 1 / (2πRC) = 1 / (2πRC) = 1 / (2πR2C)

    따라서, 정답은 "" 이다.

    보기에서 ""은 R1과 R2의 값이 다르기 때문에 평형이 되지 않으며, ""과 ""는 C1과 C2의 값이 다르기 때문에 평형이 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수신기에 일정한 입력 신호를 가했을 때, 재조정을 하지 않고 얼마나 오랫동안 일정한 출력을 얻을 수 있는가의 능력은?

  1. 감도
  2. 선택도
  3. 충실도
  4. 안정도
(정답률: 78%)
  • 안정도는 입력 신호가 일정할 때 출력 신호가 얼마나 일정하게 유지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수신기에 일정한 입력 신호를 가했을 때, 재조정을 하지 않고 일정한 출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안정도이다. 감도는 입력 신호의 작은 변화에 대한 출력 신호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고, 선택도는 수신기가 원하는 신호를 선택하고 다른 신호를 거부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충실도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그림과 같이 전압 V와 시간 T의 관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는?

  1. 임피던스 분석기
  2. 벡터 분석기
  3. 오실로스코프
  4. 계수기
(정답률: 82%)
  • 전압 V와 시간 T의 관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는 오실로스코프입니다. 이는 전압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 그래프로 나타내어 보여주는 계측기로, 전자회로나 신호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오실로스코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지시 계기의 3 요소에 속하는 제동장치의 종류가 아닌것은?

  1. 액체 제동장치
  2. 스프링 제동장치
  3. 공기 제동장치
  4. 와전류 제동장치
(정답률: 63%)
  • 지시 계기의 3 요소는 속도, 거리, 시간이다. 이 중에서 스프링 제동장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기 때문에 지시 계기의 3 요소 중 어느 하나에도 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스프링 제동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디지털 주파수계의 전체 블록도 중에서 시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 회로의 기능은?

  1. 구형파를 정현파로 변화
  2. 구형파를 삼각파로 변화
  3. 정현파를 구형파로 변화
  4. 구형파를 펄스파로 변화
(정답률: 86%)
  • 시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고, 입력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디지털 주파수계에서 시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 신호를 정현파에서 구형파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입력 신호의 주기를 측정하기 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정현파를 구형파로 변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정전용량 및 손실각 측정에 주로 쓰이는 브리지 법은?

  1. 맥스웰 브리지법
  2. 헤비사이드 브리지법
  3. 셰링 브리지법
  4. 캘빈더블 브리지법
(정답률: 80%)
  • 셰링 브리지법은 정전용량 및 손실각 측정에 주로 사용되는 브리지 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측정하고자 하는 샘플과 비교할 수 있는 기준 샘플을 사용하여 두 샘플의 정전용량 및 손실각을 비교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 셰링 브리지 회로를 사용하며, 이 회로는 측정하고자 하는 샘플과 기준 샘플을 각각 연결한 후, 브리지 회로를 조정하여 두 샘플의 정전용량 및 손실각을 비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디지털(Digital) 전압계의 원리에 해당하는 것은?

  1. 비교기
  2. 미분기
  3. D-A 변환기
  4. A-D 변환기
(정답률: 85%)
  • 디지털 전압계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측정하는데, 이를 위해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기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A-D 변환기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해당 시점에서의 아날로그 입력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디지털 전압계의 원리에 해당하는 것은 A-D 변환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역률이 0.001인 콘덴서의 Q는 얼마인가?

  1. 10
  2. 100
  3. 1000
  4. 11000
(정답률: 84%)
  • Q = 역률 / 손실각 탄젠트 = 0.001 / tan(0) = 무한대
    하지만, 실제적으로는 콘덴서 내부의 저항과 외부 회로의 저항 등으로 인해 손실이 발생하므로 Q는 무한대가 아닌 유한한 값이 된다. 이 문제에서는 손실각이 0이라고 가정하고 계산하였기 때문에 Q는 무한대로 계산되었지만, 실제적으로는 손실각이 존재하므로 Q는 유한한 값이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유일하게 Q 값이 유한한 값인 "1000"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감도가 높고, 정밀한 측정을 요구하는 경우 사용하는 측정법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영위법
  2. 편위법
  3. 반경법
  4. 직편법
(정답률: 94%)
  • 영위법은 측정 대상과 측정기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감도가 높고 정밀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측정법입니다. 따라서 감도가 높고 정밀한 측정을 요구하는 경우에 가장 적합한 측정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