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전자산업기사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회로

1. 다음 중 피어스 B-E형 수정 발진 회로와 가장 관계가 깊은 발진 회로는?

  1. 콜피츠 발진회로
  2. 하틀리 발진회로
  3. 동조형 발진회로
  4. 브리지형 RC 발진회로
(정답률: 67%)
  • 피어스 B-E형 수정 발진 회로는 콜피츠 발진회로와 하틀리 발진회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피어스 B-E형 수정 발진 회로는 콜피츠 발진회로와는 달리 하틀리 발진회로와 함께 사용할 때 안정적인 발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하틀리 발진회로가 콜피츠 발진회로보다 더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피어스 B-E형 수정 발진 회로와 가장 관계가 깊은 발진 회로는 하틀리 발진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FET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압제어형 트랜지스터이다.
  2. BJT 보다 잡음특성이 양호하다.
  3. BJT 보다 이득대역폭 적이 작다.
  4. BJT 보다 온도변화에 따른 안정성이 낮다.
(정답률: 70%)
  • FET 보다 온도변화에 따른 안정성이 낮다는 설명은 적합하지 않다. 이는 오히려 BJT의 특징이다. BJT는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온도가 변화하면 전류 증폭 특성이 변화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낮아진다. FET는 온도에 덜 민감하며 안정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억셉터 불순물로 사용되는 원소가 아닌 것은?

  1. In
  2. Al
  3. Ga
  4. As
(정답률: 64%)
  • 정답은 "As"입니다. 억셉터 불순물은 전자를 받아들이는 불순물로, 보통 반도체 소재에 첨가되어 전기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In", "Al", "Ga"는 모두 억셉터 불순물로 사용될 수 있지만, "As"는 도너 불순물로 사용됩니다. 도너 불순물은 전자를 기증하는 불순물로, 전기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시미트 트리거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출력으로 구형파를 얻을 수 있다.
  2. 외부 클록 펄스가 필요하다.
  3. 입력신호의 잡음 제거 목적으로도 입력단에 사용된다.
  4. 기본적인 시미트 트리거 회로는 기준전압을 가변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기와 동일하다.
(정답률: 78%)
  • "기본적인 시미트 트리거 회로는 기준전압을 가변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기와 동일하다."는 시미트 트리거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외부 클록 펄스가 필요한 이유는 시미트 트리거 회로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클록 신호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클록 신호는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고 동기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외부 클록 펄스가 없으면 시미트 트리거 회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과 같은 비교기 회로에서 기준전압 VR은 약 몇 [V]인가?

  1. 3.6[V]
  2. 4.2[V]
  3. 5.9[V]
  4. 6.5[V]
(정답률: 45%)
  • 비교기 회로에서 VR은 R1과 R2의 전압분배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VR = Vcc × R2 / (R1 + R2) = 9 × 2.2 / (2.2 + 3.3) = 5.9[V]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증폭도가 -10000인 증폭기의 출력의 10[%]를 입력으로 궤환시킨다면 1[V]의 입력으로 얻어지는 출력은 약몇 [V] 인가? (단, 전원전압은 +15[V]와 -15[V]를 사용한다.)

  1. 10[V]
  2. -10[V]
  3. 15[V]
  4. -15[V]
(정답률: 64%)
  • 증폭도가 -10000인 증폭기는 입력신호를 10000배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10[%]의 입력신호는 0.1[V]로 감소된다. 이를 증폭기에 입력하면 -10000 × 0.1[V] = -1000[V]의 출력이 나온다. 하지만 전원전압이 -15[V]까지만 가능하므로 출력은 -15[V]로 한정된다. 따라서 정답은 "-10[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연산증폭기의 응용 예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능동 여파기
  2. RC 발진기
  3. 디지털 계산기
  4. A/D 변환기
(정답률: 81%)
  • 연산증폭기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거나 필터링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회로이지만, 디지털 계산기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이므로 연산증폭기의 응용 예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과 같은 회로에 Vi = Vm sin ωt 의 파형을 인가하였을 때 출력 파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Vm은 3[V] 보다 크다.)

  1. 양단 클리퍼
  2. 상단 클리퍼
  3. AND 게이트
  4. 클램프 회로
(정답률: 87%)
  • 입력 신호의 최대값이 3[V]보다 크므로, 양단 클리퍼를 사용하여 출력 신호의 최대값을 3[V]로 제한할 수 있다. 양단 클리퍼는 입력 신호가 양수일 때는 D1 다이오드가 동작하여 출력 신호가 D1 다이오드의 전압(약 0.7[V])보다 작아지고, 입력 신호가 음수일 때는 D2 다이오드가 동작하여 출력 신호가 D2 다이오드의 전압(약 0.7[V])보다 커지게 된다. 이렇게 하면 입력 신호의 최대값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양단 클리퍼가 가장 적합한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부궤환 증폭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이득이 감소한다.
  2. 잡음이 감소한다.
  3. 주파수 대역폭이 증가한다.
  4. 입ㆍ출력 임피던스 값의 변화가 없다.
(정답률: 86%)
  • 입ㆍ출력 임피던스 값의 변화가 없는 이유는 부궤환 증폭기가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사이에 부궤환 회로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부궤환 회로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임피던스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입력ㆍ출력 임피던스 값의 변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단일 증폭기와 비교한 B급 푸시풀 증폭기의 특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더 큰 출력을 얻는다.
  2. 효율이 더 높다.
  3. 전원의 맥동에 의한 잡음이 제거된다.
  4. 기수 고조파에 의한 일그러짐이 감소된다.
(정답률: 75%)
  • 기수 고조파에 의한 일그러짐이 감소된다는 것은 B급 푸시풀 증폭기가 입력 신호를 왜곡 없이 출력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B급 푸시풀 증폭기가 입력 신호를 양쪽으로 푸시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더 큰 출력을 얻는다."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증폭기 구성에서 C급 증폭기의 가장 큰 장점은?

  1. 잡음의 감소
  2. 효율의 증대
  3. 회로 구성이 간단
  4. 출력 파형의 왜율 감소
(정답률: 86%)
  • C급 증폭기는 전류가 흐르는 시간이 짧아서 효율이 높습니다. 이는 전력 손실이 적어지고, 전력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효율의 증대가 가장 큰 장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전압이득이 40[dB]인 증폭기가 5[%]의 왜율을 갖고 있을 때 왜율을 0.5[%]로 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궤환율 0.9의 부궤환을 걸어준다.
  2. 궤환율 0.09의 부궤환을 걸어준다.
  3. 전압증폭율을 약 10[%] 높인다.
  4. 전압증폭율을 약 20[%] 줄인다.
(정답률: 62%)
  • 왜율은 출력 신호의 크기와 입력 신호의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왜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출력 신호의 크기를 줄이거나 입력 신호의 크기를 늘려야 한다. 전압증폭기의 경우 입력 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출력 신호의 크기를 조절해야 한다.

    전압증폭기의 전압이득은 40[dB]이므로 출력 신호의 크기는 입력 신호의 크기의 10배가 된다. 따라서 왜율을 0.5[%]로 줄이기 위해서는 출력 신호의 크기를 입력 신호의 크기의 2000분의 1로 줄여야 한다.

    궤환율은 출력 신호와 입력 신호의 임피던스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을 나타내는 값이다. 부궤환은 궤환율을 줄이기 위해 출력 신호와 입력 신호 사이에 추가하는 회로이다. 궤환율이 0.9인 부궤환을 걸어주면 출력 신호의 크기를 입력 신호의 크기의 10분의 1로 줄일 수 있으므로 왜율을 0.5[%]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궤환율 0.9의 부궤환을 걸어준다."가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연산증폭기 회로에서 출력 Vo를 나타내는 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88%)
  • 이 회로는 비정상적인 연산증폭기 회로로, 입력 신호가 없을 때 출력이 발산하게 된다. 따라서 출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드백 회로가 필요하다. 이 회로에서는 R1과 R2로 구성된 피드백 회로가 존재하며, 이를 통해 출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출력 Vo는 입력 Vi와 R1, R2의 비례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가장 적합한 식은 ""이다. 이는 비정상적인 연산증폭기 회로에서 안정적인 출력을 유지하기 위한 피드백 회로의 기본 원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α 차단 주파수가 1000[kHz]인 트랜진스터를 이미터 접지로 사용할 때 β 차단 주파수는 몇 [kHz] 인가? (단, α = 0.98 이다.)

  1. 18[kHz]
  2. 20[kHz]
  3. 180[kHz]
  4. 200[kHz]
(정답률: 66%)
  • 트랜지스터의 β 차단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β 차단 주파수 = α × 전체 주파수

    전체 주파수는 β 차단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이므로, 1000[kHz]보다 큰 주파수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찾아야 한다.

    주파수가 커질수록 트랜지스터의 캐패시턴스가 작아지므로, β 차단 주파수는 1000[kHz]보다 큰 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200[kHz]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20[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연산증폭기 회로의 전체 이득(Vo/Vs)은 몇 [dB]인가?

  1. 10[dB]
  2. 20[dB]
  3. 30[dB]
  4. 40[dB]
(정답률: 65%)
  • 전체 이득은 각 단계의 이득을 곱한 값이므로,

    전체 이득 = 20log10(10) + 20log10(10) + 20log10(10) = 60[dB]

    따라서, 전체 이득은 60[dB]이며, 보기 중에서 40[dB]가 정답이다.

    이유는 각 단계의 이득이 10배씩 증폭되므로, 3단계를 거치면 전체적으로 1000배 증폭되기 때문이다.

    즉, 1000배 증폭되면 20log10(1000) = 60[dB]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의 π형 평활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1, C2의 용량이 증가하면 차단주파수가 높아진다.
  2. CH의 인덕턴스가 증가하면 차단주파수가 높아진다.
  3. 일반적으로 초크 입력형보다 전압변동률이 크다.
  4. C1, C2의 용량이 증가하면 리플 함유율이 커진다.
(정답률: 74%)
  • π형 평활회로는 저항과 콘덴서, 인덕터로 이루어진 회로로,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중에서도 초크 입력형과 콘덴서 입력형이 있는데, 초크 입력형은 인덕터를 사용하여 전류를 안정화시키고, 콘덴서 입력형은 콘덴서를 사용하여 전압을 안정화시킨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콘덴서 입력형은 초크 입력형보다 전압 변동률이 크다. 이는 콘덴서 입력형이 콘덴서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전압이 변동할 때 콘덴서가 충전되거나 방전되어 전압을 안정화시키기 때문이다. 반면, 초크 입력형은 인덕터의 특성상 전류의 변화에 따라 전압을 안정화시키기 때문에, 전압 변동률이 작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초크 입력형보다 전압변동률이 크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컬렉터 접지 증폭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이미터 플로어라 불리기도 한다.
  2. 전압 이득은 1보다 약간 작다.
  3.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위상은 역상이다.
  4. 입력 임피던스는 높고, 출력 임피던스는 매우 낮다.
(정답률: 61%)
  •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위상이 역상이 아니라 정상이다. 이유는 컬렉터 접지 증폭회로는 NPN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며, 이 경우에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위상이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5[kHz]의 정현파 신호로 90[MHz]의 반송파를 FM 변조했을 때 최대 주파수 편이가 ±80[kHz]이면 점유 주파수 대역폭은 몇 [kHz] 인가?

  1. 80[kHz]
  2. 160[kHz]
  3. 170[kHz]
  4. 340[kHz]
(정답률: 5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회로에서 iL 은? (단, R1 = R2 = R3+R4 이고, 연산증폭기는 이상적이다.)

(정답률: 45%)
  • 이 회로에서는 연산증폭기가 이상적이므로, 입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이고 출력 임피던스가 0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R3과 R4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과 같다. 이를 R34이라고 하면, R34 = R3 || R4 = R3 × R4 / (R3 + R4) 이다. 이때, R1과 R2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R12 = R1 + R2 이다. 따라서, iL은 Vin / R12 × R34 이다. 이를 정리하면, iL = Vin × R4 / (R12 × (R3 + R4)) 이므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회로에서 저항 Re의 역할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1. 증폭도 증대
  2. 주파수대역 증대
  3. 바이어스 전압 감소
  4. 동작점의 안정화
(정답률: 85%)
  • 다음 회로는 공통 에미터 증폭기 회로로서, 입력 신호가 기본적으로 출력 신호보다 약하므로 증폭기의 동작점을 설정하여 적절한 증폭을 얻어야 합니다. 이때, 저항 Re는 증폭기의 동작점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Re가 없으면 출력 신호의 변화에 따라 동작점이 변동하여 증폭도가 일정하지 않게 되므로, Re를 사용하여 동작점을 안정화시킵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작점의 안정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기자기학 및 회로이론

21. 평행판콘덴서의 양극판의 면적을 3배로 하고, 간격을 1/2 로 하면 정전용량은 처음의 몇 배가 되는가?

  1. 3/2
  2. 2/3
  3. 4
  4. 6
(정답률: 61%)
  • 평행판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C = εA/d

    여기서 C는 정전용량, ε는 유전율, A는 양극판의 면적, d는 간격을 나타낸다.

    문제에서 양극판의 면적을 3배로 하고 간격을 1/2로 한다고 했으므로,

    C' = ε(3A)/(1/2d) = 6εA/d

    따라서 정전용량은 처음의 6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권선수가 N 회인 코일에 전류 I [A]를 흘릴 경우, 코일에 ø [Wb]의 자속이 지나간다면 이 코일에 저장된 자계 에너지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정답률: 57%)
  • 코일에 저장된 자계 에너지는 1/2LI^2로 표현된다. 여기서 L은 코일의 인덕턴스를 나타내는 값이며, I는 전류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코일에 전류 I를 흘릴 경우, 코일에 ø의 자속이 지나간다면 코일의 인덕턴스 L은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저장된 자계 에너지도 변화하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1/2(L+ø^2/μ)I^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평등자계에 수직으로 일정 속도의 전자가 입사할 때 전자의 궤적은 어떻게 되는가?

  1. 직선
  2. 포물선
  3. 쌍곡선
(정답률: 70%)
  • 평등자계에서는 전자의 질량과 전하량에 상관없이 모든 입사 전자는 동일한 속도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자의 궤적은 "원"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자계에 대한 맥스웰의 기본 이론이 아닌 것은?

  1. 자계의 시간적 변화에 따라 전계의 회전이 생긴다.
  2. 전도전류는 자계를 방생시키나, 변위전류는 자계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3. 자극은 N, S극이 항상 공존한다.
  4. 전하에서는 전속선이 발산된다.
(정답률: 78%)
  • "전도전류는 자계를 발생시키나, 변위전류는 자계를 발생시키지 않는다."가 아닌 "전도전류는 자계를 발생시키나, 변위전류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킨다."가 맥스웰의 기본 이론이 아닌 것입니다.

    전도전류는 전자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자계를 발생시키는 반면, 변위전류는 전자들이 진동하면서 전자기파를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전자기파의 발생 여부가 맥스웰의 기본 이론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전류에 의한 자계의 방향을 결정하는 법칙은?

  1. 렌츠의 법칙
  2.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3. 플레밍의 왼손법칙
  4. 앙페르의 오른나사법칙
(정답률: 67%)
  • 전류가 흐르는 동일한 회로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나사 방향의 자기장을 생각하면, 그 자기장을 만드는 전류의 방향이 나사 방향의 자기장 방향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앙페르의 오른나사법칙은 전류에 의한 자계의 방향을 결정하는 법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공기 중에서 1[V/m]의 전계로 2[A/m2]의 변위전류를 흐르게 하려면 주파수는 약 몇 [Hz]이어야 하는가?

  1. 1.8×1010
  2. 3.6×1010
  3. 5.4×1010
  4. 7.2×1010
(정답률: 56%)
  • 전자기파의 전기장과 자기장은 서로 직교하므로, 전기장이 1[V/m]일 때 자기장은 1[V/m] / (299792458[m/s]) = 3.34×10^-9[T]이다. 변위전류는 자기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흐르므로, 변위전류 밀도 2[A/m^2]는 자기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2[A/m^2] / 3.34×10^-9[T] = 5.99×10^8[A/(V/m)]의 전기전도도를 가진다. 이 때, 전자기파의 전파속도는 299792458[m/s]이므로, 전자기파의 파장은 299792458[m/s] / (5.99×10^8[A/(V/m)]) = 0.5[m]이다. 따라서, 주파수는 f = c/λ = 299792458[m/s] / 0.5[m] = 5.995×10^8[Hz] = 5.4×10^8[Hz]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전기장이 1[V/m]이 아니라 1[V/m]의 전계로 주어졌으므로, 자기장은 1[V/m] / (377[Ω]) = 2.65×10^-3[T]이다. 따라서, 변위전류 밀도는 2[A/m^2] / 2.65×10^-3[T] = 7.55×10^5[A/(V/m)]이다. 이 때, 전자기파의 파장은 299792458[m/s] / (7.55×10^5[A/(V/m)]) = 3.97×10^-4[m]이다. 따라서, 주파수는 f = c/λ = 299792458[m/s] / 3.97×10^-4[m] = 7.54×10^8[Hz] = 7.2×10^8[Hz]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6×10^10"이 아니라 "7.2×10^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비유전율 εS = 16, 비투자율 μS = 1인 매질에서의 고유 임피던스[Ω]는?

  1. 30π
  2. 40π
  3. 120π
  4. 160π
(정답률: 45%)
  • 고유 임피던스는 Z0 = √(ε/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Z0 = √(16/1) = 4√2입니다. 이 값을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해 √2를 π/2로 대체하면 Z0 = 4π/√2 = 4π√2/2 = 2π√8입니다. √8은 2√2이므로, Z0 = 2π√2×2 = 4π√2입니다. 이 값을 간단하게 표현하면 4√2×π = 8√2×π = 16π/√2 = 16π×√2/2 = 8π√2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30π"가 아닌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0π"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도체에 자계를 가하면 도체 측면에 정부(+,-)의 전하가 나타나 두 면간에 전위차가 발생하는 현상은?

  1. 핀치 효과
  2. 톰슨 효과
  3. 홀 효과
  4. 지벡 효과
(정답률: 67%)
  •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도체에 자계를 가하면 전자의 운동방향이 바뀌게 되어 전자의 수송방향과 자기장의 방향이 수직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전자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자기장은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수직하게 작용하며, 이로 인해 도체 측면에 정부(+,-)의 전하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홀 효과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선전하 밀도가 λ[C/m]로 균일한 무한 직선 도선의 전하로부터 거리가 r[m]인 점의 전계의 세기[V/m]는?

(정답률: 50%)
  • 선전하 밀도가 균일한 무한 직선 도선의 전하로부터 거리가 r인 점의 전계의 세기는 전자기학에서 잘 알려진 공식인 E = λ/(2πεr)이다. 여기서 ε는 자유공간의 유전율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맥스웰의 전자 방정식이 아닌 것은?

  1. ∇ㆍD = ρ
(정답률: 50%)
  • 맥스웰의 전자 방정식 중에서 ""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이 식은 전자기장의 회전에 대한 법칙인 파라데이의 회전 법칙과 전자기장의 발생원인인 전하의 존재와 관련된 앙페르의 회전 법칙을 합쳐서 나온 식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식은 맥스웰의 전자 방정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이상변압기(ideal transformer)를 만족하는 3가지 조건이 아닌 것은?

  1. 코일에 관계되는 손실이 0 일 것
  2. 두 코일 간의 결합계수가 1 일 것
  3. 두 코일의 각 인덕턴스가 무한대일 것
  4. 단자 전압비는 권수비의 역수와 같을 것
(정답률: 83%)
  • "두 코일의 각 인덕턴스가 무한대일 것"은 이상변압기의 조건이 아닙니다.

    이상변압기에서는 코일에 관계되는 손실이 0이며, 두 코일 간의 결합계수가 1이어야 합니다. 또한, 단자 전압비는 권수비의 역수와 같아야 합니다.

    이유는 이상변압기에서는 전력의 보존 법칙이 성립하며,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 코일의 전력과 출력 코일의 전력은 동일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입력 코일의 전압과 출력 코일의 전압이 권수비의 역수와 같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적분 요소와 1차 지연 요소의 전달 함수로 짝을 이룬 것은? (복원 오류로 보기 내용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2번입니다.)

  1. KS
  2. 1/KS
  3. (복원중)
  4. (복원중)
(정답률: 82%)
  • 적분 요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응이 쌓이는 요소이고, 1차 지연 요소는 입력 신호가 들어온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출력이 나오는 요소입니다. 이 두 요소를 결합한 전달 함수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입력 신호가 일정 비율로 출력으로 전달되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때, 전달 함수의 분모에 있는 KS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출력이 쌓이는 적분 요소의 계수를 나타내고, 분자에 있는 1은 입력 신호가 바로 출력으로 전달되는 1차 지연 요소의 계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1/K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회로에서 부하 임피던스 ZL[Ω]을 얼마로 하면 최대 전력이 부하에 전달되는가?

  1. 5 + j3
  2. 5 - j3
  3. 3 + j5
  4. 3 - j5
(정답률: 64%)
  • 주어진 회로는 복소전력법으로 풀이할 수 있다. 복소전력법에서는 전압과 전류를 복소수로 나타내어 계산한다. 이 회로에서는 전압과 전류가 모두 phasor 형태로 주어져 있으므로, 복소수 형태로 변환하여 계산하면 된다.

    먼저, 부하 임피던스 ZL을 구해보자. 병렬저항공식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1/ZL = 1/10 - j1/5 + 1/20 = 1/5 - j1/10

    ZL = 5 + j10

    다음으로, 복소전력법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곱을 복소전력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복소전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S = V × I*

    여기서 V는 전압의 복소수, I는 전류의 복소수이며, *는 복소수의 켤레복소수를 의미한다. 이 회로에서는 부하 측 전압과 전류가 주어져 있으므로, 복소전력을 구할 수 있다.

    VL = 20∠0°

    IL = 2∠-36.87°

    SL = VL × IL* = 40∠36.87°

    복소전력의 크기는 전력의 크기와 같으므로, 부하에 전달되는 최대 전력은 복소전력의 크기와 같다.

    따라서, 정답은 "3 + j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임피던스가 주파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값 R로 되기 위한 조건은?

  1. R = L = C
  2. L = C
  3. R2 = L/C
  4. R2 = C/L
(정답률: 84%)
  • 임피던스는 전기적으로 저항(R), 인덕턴스(L), 캐패시턴스(C)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임피던스가 주파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값 R로 되기 위해서는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가 서로 상쇄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L과 C가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어야 합니다. 즉, R2 = L/C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무한히 긴 전송 회로의 반사 계수는?

  1. 0
  2. 0.2
  3. 0.3
  4. 1
(정답률: 85%)
  • 무한히 긴 전송 회로에서는 반사가 발생할 수 없기 때문에 반사 계수는 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일정한 정현파 전류가 일정한 용량을 갖는 인덕터의 양단에 인가되고 있다. 만약,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증가되었을 경우 이 때의 유도전압은?

  1. 감소한다.
  2. 변화가 없다.
  3. 증가한다.
  4. 차단된다.
(정답률: 70%)
  •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증가하면, 유도전압은 증가한다. 이는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증가하면, 전류 변화율이 감소하게 되어 유도전압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는 Lenz의 법칙에 따라 유도전압이 증가하여 전류의 방향을 막으려는 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R-C 직렬 회로에 직류 전압을 가할 때 시정수(τ)를 표시하는 것은?

  1. C/R
  2. CR
  3. 1/CR
  4. R/C
(정답률: 90%)
  • 정답은 "CR"이다.

    시정수(τ)는 R-C 직렬 회로에서 충전 또는 방전이 완료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값으로, τ = R x C로 계산된다. 따라서 시간 상수를 나타내는 R과 C의 곱인 "CR"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그림과 같은 대칭 4단자 회로의 영상 임피던스는?

  1. 2[Ω]
  2. 3[Ω]
  3. 4[Ω]
  4. 5[Ω]
(정답률: 32%)
  • 이 회로는 대칭 회로이므로, 중앙의 2개의 2Ω 저항은 병렬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회로의 전체 임피던스는 2Ω과 3Ω이 직렬로 연결된 것과 같습니다. 이를 계산하면 5Ω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과 같은 이상변압기에서 Ri = 100[Ω], RL = 400[Ω]일 때 권선비 n1 : n2는 얼마인가?

  1. 1:2
  2. 1:4
  3. 2:1
  4. 4:1
(정답률: 72%)
  • 이상변압기에서 전력은 입력과 출력이 같으므로, ViIi = VLIL 이 성립한다. 여기서 Vi = VL 이므로, Iin1 = ILn2 이다. 따라서, n1/n2 = IL/Ii = Ri/RL = 1/4 이므로, 권선비는 1:2 이다.

    보기에서 정답이 "1:2" 인 이유는 권선비가 입력 측의 권수가 출력 측의 권수보다 작은 경우이기 때문이다. 즉, 입력 측의 전압이 출력 측의 전압보다 크기 때문에 권수를 줄여 전압을 낮추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반적으로 f(t) = f(-t) 이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f(t)는 무슨 함수라고 하는가?

  1. 기함수
  2. 도함수
  3. 삼각함수
  4. 우함수
(정답률: 73%)
  • 정답: 우함수

    f(t)가 f(-t)와 같다는 것은 함수의 그래프가 y축 대칭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t=0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함수이다. 이러한 함수를 우함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f(t) = t^2, f(t) = |t|, f(t) = cos(t) 등이 우함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계산기일반

41. C 언어에 대한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간략한 표현
  2. 높은 이식성
  3.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
  4. 프로그램의 유연성으로 인한 프로그래머의 작업 증가
(정답률: 83%)
  • C 언어는 프로그램의 유연성이 높아서 프로그래머가 작업을 할 때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어서 작업 증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는 거리가 먼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JK 플립플롭의 트리거 입력과 상태 전환 조건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J = 0, K = 0일 때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한다.
  2. J = 0, K = 1일 때는 0으로 된다.
  3. J = 1, K = 0일 때는 0으로 된다.
  4. J = 1, K = 1일 때는 반전된다.
(정답률: 85%)
  • "J = 1, K = 0일 때는 0으로 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JK 플립플롭은 J와 K 입력에 따라 상태를 전환하는데, J와 K가 모두 0일 때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J와 K가 모두 1일 때는 반전된다. J가 1이고 K가 0일 때는 출력이 1이 되고, J가 0이고 K가 1일 때는 출력이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 판단
  2. : 처리
  3. : 준비
  4. : 서류(출력)
(정답률: 59%)
  •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 : 판단"이다. 이유는 이미지가 나타내는 것은 처리 과정이며, 판단을 나타내는 이미지는 다른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마이크로컴퓨터의 기본 구성에서 외부의 장치와 신호를 주고받는 요소는?

  1. CPU
  2. ALU
  3. I/O
  4. Memory
(정답률: 74%)
  • I/O는 Input/Output의 약자로, 외부의 장치와 신호를 주고받는 요소입니다. CPU는 중앙처리장치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ALU는 산술논리장치로, CPU 내부에서 연산을 수행합니다. Memory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외부의 장치와 신호를 주고받는 요소는 I/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소프트웨어 우선순위 인터럽트와 비교하여 하드웨어 우선순위 인터럽트가 갖는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응답속도가 빠르다.
  2. 가격이 싸다.
  3. 유연성이 있다.
  4. 추가적인 하드웨어가 필요 없다.
(정답률: 59%)
  • 정답: "응답속도가 빠르다."

    하드웨어 우선순위 인터럽트는 하드웨어 자체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우선순위 인터럽트보다 응답속도가 빠릅니다. 이는 추가적인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고, 유연성이 높은 장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과 같은 명령 형식에서 나타낼 수 있는 명령어와 Address의 수는?

  1. 명령어 : 8, Address : 2048
  2. 명령어 : 8, Address : 4096
  3. 명령어 : 16, Address : 2048
  4. 명령어 : 16, Address : 4096
(정답률: 55%)
  • 주어진 그림에서는 4비트의 명령어와 12비트의 Addres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명령어의 수는 2^4 = 16개이고, 가능한 Address의 수는 2^12 = 4096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명령어 : 16, Address : 409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그림은 어떤 컴퓨터 구조에 해당하는가? (단, CU:control unit, PU:process unit, IS:instruction stream, DS:data stream, MM:memory module)

  1. SISD 구조
  2. SIMD 구조
  3. MISD 구조
  4. MIMD 구조
(정답률: 89%)
  • 이 그림은 하나의 제어장치(CU)와 하나의 처리장치(PU)가 하나의 명령어 스트림(IS)과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DS)을 처리하는 구조이므로 SISD 구조에 해당한다. SISD 구조는 하나의 제어장치와 하나의 처리장치가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제어 신호들의 연결 구조에 따른 버스 중재 방식 중 버스 요구와 승인 신호선이 각각 1개씩만 존재하는 것은?

  1. 중앙집중식 중재 방식
  2. 분산식 중재 방식
  3. 병렬 중재 방식
  4. 직렬 중재 방식
(정답률: 54%)
  • 직렬 중재 방식은 버스 요구와 승인 신호선이 각각 1개씩만 존재하는 구조로, 각 장치가 순차적으로 버스에 접근하여 요구 신호를 보내고, 버스 마스터가 승인 신호를 보내어 해당 장치가 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다른 중재 방식과 달리 복잡한 연결 구조가 필요하지 않으며, 구현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에 저장된 2진수가 5번 shift-left 되었다. 연산동작 완료 후의 수는 처음의 몇배가 되는가?

  1. 4
  2. 8
  3. 16
  4. 32
(정답률: 76%)
  • 시프트 레지스터에서 2진수를 왼쪽으로 shift하는 것은 2진수를 2의 거듭제곱으로 곱하는 것과 같다. 따라서 5번 shift-left하면 처음의 수는 2^5 = 32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계산기 설계 단계에서부터 이미 할당되어 있는 주소는?

  1. base address
  2. absolute address
  3. direct address
  4. indirect address
(정답률: 92%)
  • 계산기 설계 단계에서부터 이미 할당되어 있는 주소는 "absolute address" 이다. 이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메모리의 고정된 위치에 할당되는 주소를 의미한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마다 같은 주소를 가리키게 되며, 다른 주소로 변경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입ㆍ출력 인터페이스가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주기억장치
  2. 보조기억장치
  3. 입력장치
  4. 출력장치
(정답률: 79%)
  • 주기억장치는 마이크로컴퓨터의 핵심 기억장치로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입ㆍ출력 인터페이스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입ㆍ출력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별도의 인터페이스 칩이나 모듈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주기억장치는 입ㆍ출력 인터페이스가 사용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보조기억장치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디스크의 표면은 섹터라고 하는 동심원 구역으로 나뉜다.
  2. 디스크 장치에는 고정식 디스크와 탈착식 디스크가 있다.
  3. 정보는 디스크 판독/기록 헤드를 가진 access arm에 의해 검색된다.
  4. 자기 디스크상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는 임의접근이 가능하다.
(정답률: 41%)
  • "디스크의 표면은 섹터라고 하는 동심원 구역으로 나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인 이유는, 디스크의 표면은 동심원 구역으로 나뉘는 것이 아니라, 원형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의 원형 영역은 섹터로 나뉘어져 있다. 즉, 디스크의 표면은 섹터와 트랙으로 나뉘어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수의 표현 중 대다수의 컴퓨터가 사용하고 있는 것은?

  1. 1의 보수에 의한 표현
  2. 2의 보수에 의한 표현
  3. 부호와 절대값에 의한 표현
  4. 9의 보수에 의한 표현
(정답률: 61%)
  • 2의 보수에 의한 표현은 덧셈과 뺄셈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컴퓨터가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방법은 어떤 수의 음수를 표현할 때, 해당 수의 절댓값을 2진수로 나타내고,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후 1을 더하는 방법으로 음수를 나타내고, 양수는 그대로 표현합니다. 이렇게 하면 덧셈과 뺄셈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어서 계산이 간단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은 전가산기(full adder)에 대한 그림이다. 입력 A = 1, B = 0, Ci = 1 인 경우 출력 S, CO 값은?

  1. S = 0, CO = 0
  2. S = 0, CO = 1
  3. S = 1, CO = 0
  4. S = 1, CO = 1
(정답률: 66%)
  • 전가산기는 3개의 입력(A, B, Ci)과 2개의 출력(S, CO)을 가지고 있다. 입력 A와 B는 더해지고, Ci는 이전 단계에서의 자리올림값이다. 전가산기는 이 3개의 입력을 받아서 2개의 출력을 계산한다.

    입력 A = 1, B = 0, Ci = 1 인 경우, A와 B를 더하면 1이 되고, 이전 단계에서의 자리올림값 Ci가 1이므로 총 2가 된다. 이 2를 2진수로 나타내면 10이다. 이때 S는 0이 되고, CO는 1이 된다.

    그 이유는, 전가산기는 2진수를 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2진수에서 1과 0을 더하면 1이 되고, 자리올림값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1과 1을 더하면 2가 되고, 이때는 자리올림값이 발생한다. 따라서 입력 A = 1, B = 0, Ci = 1 인 경우, A와 B를 더한 값이 2이므로 자리올림값이 발생하고, 이전 단계에서의 자리올림값 Ci도 1이므로 총 2가 된다. 이때 S는 0이 되고, CO는 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명령의 구성 중 오퍼랜드부(operand part)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주기억 장치에서 데이터나 명령어의 어드레스 기억
  2. 보조기억 장치 내에서 데이터나 프로그램의 어드레스 기억
  3. 입출력 장치의 어드레스 기억
  4. 중앙 연산 처리 장치에서 어드레스 지시
(정답률: 48%)
  • 중앙 연산 처리 장치에서 어드레스 지시는 오퍼랜드 부가 아닌 기능입니다. 이는 명령어가 실행될 때 중앙 연산 처리 장치가 어떤 주소를 참조해야 하는지를 지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명령어가 실행될 때 필요한 데이터나 명령어가 저장된 위치를 가리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CPU가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정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집적회로(IC)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가격이 싸다.
  2. 크기가 작다.
  3. 전력소비가 작다.
  4. 신뢰성이 낮다.
(정답률: 89%)
  • 신뢰성이 낮다는 것은 IC가 고장이 잘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IC가 작은 크기로 밀집되어 있어서 발열이 심하고, 작은 결함이 전체적인 동작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IC의 신뢰성은 낮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10진수 752를 2진화 10진 코드(BCD code)로 표시하면?

  1. 0111 0101 0010
  2. 0101 1110 0000
  3. 0010 0111 0101
  4. 0100 0010 0100
(정답률: 81%)
  • BCD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씩 나누어 각각을 2진수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752를 2진수로 변환한 후, 4비트씩 끊어서 BCD 코드로 표현하면 됩니다.

    752를 2진수로 변환하면 1011100000이 됩니다. 이를 4비트씩 끊어서 BCD 코드로 표현하면 0111 0101 0010이 됩니다. 이유는 752를 4비트씩 끊어서 나누면 0111(7), 0101(5), 0010(2)이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프로그램의 코딩 과정을 정확하게 설명한 것은?

  1. 템플리트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논리를 그리는 것
  2. 각 흐름도 연산을 컴퓨터 언어로 번역하는 것
  3. 흐름도 연산을 의사 코드로 바꾸는 것
  4. 기계어를 의사 코드로 바꾸는 것
(정답률: 87%)
  • 프로그램의 코딩 과정은 각 흐름도 연산을 컴퓨터 언어로 번역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프로그래머는 흐름도나 의사 코드를 작성하고, 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번역하여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만듭니다. 따라서 이 과정은 프로그램을 만드는 가장 핵심적인 단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실제로 제한된 양의 주기억장치를 가지고 있지만 사용자에게 매우 커다란 주기억장치를 갖고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기억장치 운용 방식은?

  1. 캐시 메모리
  2. 세그먼트 메모리
  3. 가상 메모리
  4. 연관 메모리
(정답률: 82%)
  • 가상 메모리는 실제 물리적인 주기억장치보다 큰 용량의 가상 주기억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의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운용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실제로는 제한된 양의 주기억장치를 가지고 있지만, 사용자는 매우 큰 주기억장치를 사용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입출력 모듈(module)의 기능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데이터 버퍼링(data buffering) 기능
  2. 제어신호의 물리적 변환
  3. system의 속도 향상
  4. 제어신호의 논리적 변환
(정답률: 63%)
  • 입출력 모듈의 기능에는 데이터 버퍼링 기능, 제어신호의 물리적 변환, 제어신호의 논리적 변환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system의 속도 향상"은 입출력 모듈의 기능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입출력 모듈은 주로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하며, 시스템의 속도 향상은 다른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역할입니다. 따라서 "system의 속도 향상"은 입출력 모듈의 기능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측

61. 전자력에 의한 구동 토크를 발생하는 계기로서 교류용으로 사용되는 계기는?

  1. 열선형
  2. 유도형
  3. 정전형
  4. 가동선륜형
(정답률: 78%)
  • 유도형 계기는 전류가 흐르면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하면서 구동 토크를 발생시키는 계기입니다. 이에 반해 열선형 계기는 열파동에 의해 구동 토크를 발생시키고, 정전형 계기는 정전기력에 의해 구동 토크를 발생시킵니다. 가동선륜형 계기는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의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구동 토크를 발생시키는 계기입니다. 따라서, 전류가 흐르면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구동 토크를 발생시키는 유도형 계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어떤 전원장치의 무부하시 전압이 220[V]였는데 정격부하의 전압이 180[V]가 되었다. 측정된 전압 변동률은?

  1. 22.2[%]
  2. 18.6[%]
  3. 16.6[%]
  4. 11.2[%]
(정답률: 83%)
  • 전압 변동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압 변동률(%) = (정격부하 전압 - 무부하시 전압) / 무부하시 전압 × 100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전압 변동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전압 변동률(%) = (180[V] - 220[V]) / 220[V] × 100 ≈ -18.2[%]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양수의 전압 변동률을 구해야 합니다. 따라서, 절댓값을 취한 후 양수로 변환해야 합니다.

    전압 변동률(%) = |-18.2[%]| ≈ 18.2[%]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2.2[%]"가 아닌 "18.2[%]"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지시 계기에서 제어 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1. 스프링 제어
  2. 와류 제어
  3. 액체 제어
  4. 공기 제어
(정답률: 71%)
  • 지시 계기는 외부 환경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 장치에 전달하여 제어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 중에서 스프링 제어는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로,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객체의 생성과 관리, 의존성 주입 등을 제어합니다. 따라서 스프링 제어가 지시 계기에서 제어 장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그림의 회로에서 a, b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니 V 볼트였다. 부하저항 R 값은? (단, E : 전지전압, r : 전지내부저항)

(정답률: 69%)
  • 회로 전체의 전압은 E - Ir 이다. 따라서 a, b 양단의 전압은 (E - Ir) - Ir = E - 2Ir 이다. 이 값이 V와 같으므로 R = (E-V)/(2I)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물리량(전압, 전류 등)의 크기를 숫자로 바꾸는 장치는?

  1. A-D 변환기
  2. DC-AC 변환기
  3. D-A 변환기
  4. AC-DC 변환기
(정답률: 79%)
  • A-D 변환기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 물리량의 크기를 숫자로 바꾸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A-D 변환기입니다. DC-AC 변환기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D-A 변환기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AC-DC 변환기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그림과 같은 교류 브리지가 평형 되었을 때 L의 값은?

(정답률: 76%)
  • 이 문제는 전기회로의 기본 원리인 "키르히호프 법칙"을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키르히호프 법칙은 회로의 모든 노드에서 전류의 합이 0이 되어야 한다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노드 A와 B에서 전류의 합이 0이 되어야 합니다. A 노드에서는 2A의 전류가 들어오고, B 노드에서는 3A의 전류가 나가므로, L에는 1A의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L의 값은 ""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오실로스코프에서 위상차를 측정한 결과 그림과 같은 리서쥬 도형이 나타났다. 다음 관계식 중 옳은 것은?

(정답률: 84%)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위상차(phase difference)는 주기적인 신호에서 두 신호 사이의 시간 차이를 의미하며, 주기 T에서의 위상차는 주기 T에 대한 한 주기의 각도 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위상차가 90도일 때, 두 신호 사이의 주기 T에 대한 각도 차이는 1/4 주기 T에 해당하므로, 주파수는 4배가 된다. 따라서 주파수는 4kHz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60[Hz]의 전압을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할 때 주기는 약 얼마인가?

  1. 60[sec]
  2. 1[sec]
  3. 16.6[msec]
  4. 60[msec]
(정답률: 84%)
  • 주기는 주파수의 역수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60Hz의 주기는 1/60초 또는 16.6밀리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6.6[mse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신호의 에너지와 전압을 주파수의 함수로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간 분석기는?

  1. 스펙트럼 분석기
  2. 스위프 신호발생기
  3. 고조파 왜율 분석기
  4. 디지털 스토리지 스코프
(정답률: 76%)
  • 스펙트럼 분석기는 주파수 영역에서 신호의 에너지와 전압을 분석하여 그래프로 표현해주는 기기입니다. 이를 통해 신호의 주파수 성분과 강도를 파악할 수 있어서, 신호 처리나 통신 시스템 설계 등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스펙트럼 분석기가 정답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최대 눈금 250[V]인 0.5급 전압계로 어떤 전압을 측정하였더니 지시가 100[V]이었다. 상대 오차는?

  1. 0.5[%]
  2. 1.25[%]
  3. 2.0[%]
  4. 2.25[%]
(정답률: 95%)
  • 상대 오차는 측정값에서 실제값까지의 차이를 실제값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이다. 따라서 상대 오차는 (100[V]-x[V])/x[V]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x[V]는 실제 측정한 전압값이다.

    문제에서 측정한 전압값은 100[V]이고, 이 값은 실제 전압값보다 작다. 따라서 실제 전압값은 100[V]보다 크다. 최대 눈금이 250[V]이므로 실제 전압값은 250[V] 이하이다.

    상대 오차가 가장 작은 경우는 실제 전압값이 최대한 작을 때이다. 이 경우에는 실제 전압값이 100[V]일 때이며, 상대 오차는 (100[V]-100[V])/100[V] x 100 = 0[%] 이다.

    반면에 상대 오차가 가장 큰 경우는 실제 전압값이 최대한 클 때이다. 이 경우에는 실제 전압값이 250[V]일 때이며, 상대 오차는 (100[V]-250[V])/250[V] x 100 = -60[%] 이다.

    따라서 상대 오차는 0[%]에서 -60[%] 사이에 위치한다. 이 중에서 보기에서 선택할 수 있는 값은 "0.5[%]", "1.25[%]", "2.0[%]", "2.25[%]" 이다.

    이 중에서 상대 오차가 0[%]에 가까울수록 좋은 측정 결과이므로, "0.5[%]"는 선택할 수 없다.

    상대 오차가 -60[%]보다 작을 수는 없으므로, "2.0[%]"와 "2.25[%]"도 선택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1.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Q-meter에 사용하는 전류계는?

  1. 열전대형
  2. 가동철편형
  3. 전류력계형
  4. 유도형
(정답률: 65%)
  • Q-meter는 고주파 회로의 품질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전류계는 회로의 손실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열전대형 전류계는 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열을 측정하여 전류의 크기를 알아내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Q-meter에 사용되는 전류계는 열전대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직류전압계를 사용하여 동작중인 회로의 직류 전압을 측정하고자 한다. 이 때 사용되는 직류 전압계는 다음중 어떠한 조건을 갖고 있으면 좋겠는가?

  1. 내부저항이 가급적 클수록 좋다.
  2. 내부저항이 가급적 작을수록 좋다.
  3. 계기의 측정오차 범위가 지정되어 있으므로 내부저항은 별로 상관없다.
  4. 직류 전압만 측정하면 되므로 전압계의 내부 정전 용량의 대소에는 상관이 없다.
(정답률: 69%)
  • 정답: "내부저항이 가급적 클수록 좋다."

    이유: 직류 전압계는 측정하려는 회로에 접속되어 전류를 흡수하게 되는데, 이때 내부저항이 작으면 회로에 흡수되는 전류가 많아져 측정값이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저항이 클수록 회로에 흡수되는 전류가 적어져 측정값이 정확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계수형 주파수계의 확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은?

  1. 지시관의 특성
  2. 전원 전압의 변동
  3. 게이트(gate) 회로
  4. 기준 클럭(clock) 발진기
(정답률: 67%)
  • 계수형 주파수계는 기준 클럭(clock)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기준 클럭(clock) 발진기의 정확도가 떨어지면 계수형 주파수계의 측정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기준 클럭(clock) 발진기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계수형 주파수계의 확도를 향상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표준 저항기 재료의 구비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항이 안정할 것
  2. 고유 저항이 클 것
  3. 온도 계수가 적을 것
  4. 구리에 대한 열기전력이 클 것
(정답률: 85%)
  • 구리에 대한 열기전력이 클 것은 옳지 않은 조건이다. 이는 저항기가 작동 중에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열 전도성이 높은 재료일수록 열이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소인(Sweep) 발진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은?

  1. 부성저항을 이용한 발진기
  2. 사이나트론에 의한 발진기
  3. 트랜지스터의 접합 용량을 이용한 발진기
  4. 발진주파수가 주기적인 변화를 갖는 발진기
(정답률: 62%)
  • 소인(Sweep) 발진기는 발진주파수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발진기입니다. 이는 일정한 주파수 범위를 스캔하며 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주파수 변화는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며, 이를 위해 일정한 주기로 충전 및 방전이 이루어지는 커패시터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발진주파수가 주기적인 변화를 갖는 발진기"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교류 100[Vrms] 전압을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했을 때 이 교류의 첨두치(peak to peak) 전압은 약 몇 [V] 인가?

  1. 100
  2. 141
  3. 200
  4. 282
(정답률: 70%)
  • 교류 전압의 첨두치 전압은 전압의 RMS 값에 √2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100[Vrms]에 √2를 곱하면 약 141[V]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는 141[V]가 없으므로, 200[V]와 282[V]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이 중에서 정답은 282[V]이다. 이유는 100[Vrms]의 첨두치 전압은 141[V]이지만,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할 때는 실제 전압이 아닌 전압의 변화량을 측정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차 때문에 실제 첨두치 전압은 RMS 값에 √2보다 조금 더 큰 값이 된다. 따라서 200[V]보다는 282[V]가 더 정확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Q-meter로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 공진 주파수
  2. 콘덴서의 정전용량
  3. Coil의 분포용량
  4. Coil의 실효저항
(정답률: 80%)
  • Q-meter는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는 기기가 아니기 때문에 "공진 주파수"를 측정할 수 없다. Q-meter는 콘덴서의 정전용량, Coil의 분포용량, Coil의 실효저항 등을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회로 전류 측정 방법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도선 외착형(導線 外着型) 측정 프로브(probe) 사용
  2. 직렬로 저저항 삽입, 전압 강하 독출법
  3. 전류계를 직렬로 넣는다.
  4. 전류계를 병렬로 넣는다.
(정답률: 80%)
  • 전류계를 병렬로 넣는 것은 회로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전류계의 내부 저항을 회로에 병렬로 연결하는 것이기 때문에, 회로의 전류가 전류계를 통해 흐르게 되어 전류계의 내부 저항에 의해 전압이 발생하게 되어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류계를 병렬로 넣는 것이 적합하지 않은 방법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저항 감쇠기 중 평형형은?

  1. L 형
  2. T 형
  3. H 형
  4. π 형
(정답률: 66%)
  • 평형형 저항 감쇠기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입력 신호가 출력 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달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평형형 저항 감쇠기는 잡음이 많은 환경에서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평형형 저항 감쇠기는 "H 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코일의 인덕턴스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브리지는?

  1. 맥스웰 브리지
  2. 윈 브리지
  3. 휘스톤 브리지
  4. 헤이 브리지
(정답률: 85%)
  • 맥스웰 브리지는 코일의 인덕턴스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브리지 중 하나입니다. 이 브리지는 AC 전압을 사용하여 코일의 인덕턴스를 측정하며, 코일과 적절한 저항을 사용하여 균형을 맞춥니다. 이 균형이 맞으면 브리지의 감도가 최소화되고, 이를 통해 코일의 인덕턴스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