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10-06)

방송통신기사
(2012-10-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 회로에서 맥동률을 개선하고자 한다. 가장 관련 있는 것은?

  1. RL
  2. N
  3. Vi
  4. Vm
(정답률: 52%)
  • 정답은 "RL"이다.

    이유는 RL 회로는 저항과 인덕턴스로 구성되어 있어서, 전류의 변화에 대한 반응이 느리기 때문에 맥동률을 개선할 수 있다. 즉, RL 회로를 추가하면 전류의 변화가 더욱 부드러워져서 맥동률이 개선된다.

    나머지 보기인 "N", "Vi", "Vm"은 회로의 특성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그림의 회로에서 근사적으로 베이스전압 VB를 구하기 위한 부분적인 바이어스 회로이다. VB 의 값을 구하면?

(정답률: 46%)
  • 이 정답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R1과 R2는 베이스 전압을 나누어주는 역할을 한다.
    - R3은 베이스 전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 이 부분회로에서는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의 전압이 VBE이므로, VB는 R2와 R3을 통해 VCC에서 VBE만큼 감소한 값이 된다. 따라서 VB ≈ VCC - VBE - IBR3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부궤환 증폭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파수 대역폭이 증대 된다.
  2. 이득이 증가한다.
  3. 주파수 일그러짐이 감소된다.
  4. 안정도가 향상된다.
(정답률: 31%)
  • 이득이 증가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부궤환 증폭기는 주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데, 이때 입력 신호의 크기보다 출력 신호의 크기가 더 크게 나오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이득이 증가하는 것은 맞지만, 이득이 증가한다는 것이 부궤환 증폭기의 특징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주파수 대역폭이 증대되는 이유는 부궤환 증폭기가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증폭할 때, 입력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에 해당하는 부분을 증폭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출력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이 입력 신호보다 더 넓어지게 됩니다.

    주파수 일그러짐이 감소되는 이유는 부궤환 증폭기가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증폭할 때, 일부 주파수에서 일그러짐이 발생하는데, 이를 보상하여 출력 신호의 주파수 일그러짐을 감소시키기 때문입니다.

    안정도가 향상되는 이유는 부궤환 증폭기가 입력 신호의 크기와 주파수에 따라 출력 신호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출력 신호의 안정도가 향상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하틀리 발진회로에서 캐패시턴스 C=200[pF], 인덕턴스 L1=180[μH], L2=20[μH]이며, 상호 덕턴스 M=90[μH]의 값을 가질 때 발진주파수는 약 얼마인가?

  1. 517[kHz]
  2. 537[kHz]
  3. 557[kHz]
  4. 577[kHz]
(정답률: 46%)
  • 하틀리 발진회로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f = 1 / (2π√(LC))

    여기서 L는 L1과 L2의 합에서 상호 덕턴스 M의 제곱을 나눈 값이다.

    L = (L1 + L2) - M^2 / (L1 + L2)

    따라서, 주어진 값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L = (180 + 20) - 90^2 / (180 + 20) = 110.56 μH

    f = 1 / (2π√(200 × 10^-12 × 110.56 × 10^-6)) ≈ 577 kHz

    따라서, 정답은 "577[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인가되는 역전압의 직류전압에 의해 캐피시턴스가 가변되는 소자를 이용하여 발진주파수를 가변하는 발진회로는?

  1. 윈-브리지 발진회로
  2. 위상천이 발진회로
  3. 전압제어 발진회로
  4. 비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
(정답률: 34%)
  • 인가되는 역전압의 직류전압에 의해 캐피시턴스가 가변되는 소자를 이용하여 발진주파수를 가변하는 발진회로는 전압제어 발진회로이다. 이는 캐피시턴스가 가변되는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발진주파수를 조절하기 때문이다. 다른 발진회로들은 다른 원리를 이용하여 발진주파수를 조절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증폭기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A급 증폭기
  2. AB급 증폭기
  3. C급 증폭기
  4. AC급 증폭기
(정답률: 60%)
  • AC급 증폭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A급, AB급, C급은 모두 증폭기의 종류이지만 AC급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진폭변조에서 80[%] 변조하였을 때 상측파대의 전력은 반송파 전력의 몇 [%]인가?

  1. 16[%]
  2. 32[%]
  3. 40[%]
  4. 48[%]
(정답률: 45%)
  • 진폭변조에서 80[%] 변조하였을 때, 상측파와 하측파의 전력은 각각 40[%]씩이다. 따라서 반송파 전력은 상측파와 하측파 전력의 합인 80[%] 중에서 상측파 전력인 40[%]의 비율인 50[%]이다. 그러므로 정답은 50[%]의 절반인 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출력 파형은?

  1. 방형파
  2. 정현파
  3. 삼각파
  4. 램프파
(정답률: 39%)
  •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고 안정적인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이 회로의 출력 파형은 입력 신호의 상승 및 하강 경계에서 급격한 전압 변화를 일으키는 방형파이다. 이는 슈미트 트리거 회로가 입력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안정적인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드모르간 법칙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58%)
  • 정답은 ""이다.

    드모르간 법칙은 ~(A∨B) ↔ ~A∧~B와 같이 논리식에서 부정 기호를 바꾸고, 그리고/또는 기호를 바꾸는 것을 말한다.

    ""는 ~(A∧B)와 같이 논리식에서 부정 기호를 바꾸고, 그리고/또는 기호를 바꾸는 것이므로 드모르간 법칙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34710을 BCD(Binary Coded Decimal) 코드로 표시하면?

  1. 0011 0100 0111
  2. 0001 0101 0010
  3. 1010 1010 0110
  4. 0110 1101 1000
(정답률: 68%)
  • BCD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씩 나누어 각각을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34710을 4비트씩 나누면 0011 0100 0111이 됩니다.

    첫 번째 비트는 2의 8승(256), 두 번째 비트는 2의 6승(64), 세 번째 비트는 2의 5승(32), 네 번째 비트는 2의 0승(1)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3x100 + 4x10 + 7x1 = 347이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4비트씩 나누어도 10진수로 변환했을 때 값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회로가 수행할 수 있는 논리 기능은?

  1. NOT
  2. OR
  3. AND
  4. XOR
(정답률: 45%)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 A와 B가 AND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NOT 연산으로 인버트한 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이 회로의 논리 기능은 "A AND B의 NOT" 이다. 따라서 정답은 "AN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멀티플렉서(multiplexer)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멀티플렉서는 전환스위치(selector SW)의 기능을 갖는다.
  2. N개의 입력 데이터에서 1개 입력씩만 선택하여 단일 통로로 송신하는 것이다.
  3. 특정한 입력을 몇 개의 코드화된 신호의 조합으로 바꾼다.
  4. 4×1 멀티플렉서의 경우에는 2개의 선택신호가 필요하다.
(정답률: 31%)
  • "특정한 입력을 몇 개의 코드화된 신호의 조합으로 바꾼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멀티플렉서는 여러 개의 입력 중에서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는 디지털 회로이며, 선택된 입력을 그대로 출력하거나, 선택된 입력을 코드화된 신호의 조합으로 바꾸어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입력을 몇 개의 코드화된 신호의 조합으로 바꾼다."라는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n개의 입력으로부터 2진 정보를 2n개의 독자적인 출력으로 변환이 가능한 것은?

  1. 멀티플렉서
  2. 디코더
  3. 계수기
  4. 비교기
(정답률: 64%)
  • 디코더는 n개의 입력에 대해 2n개의 출력을 가지므로, 2진 정보를 2n개의 독자적인 출력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멀티플렉서는 n개의 입력을 하나의 출력으로 선택하는 역할을 하므로, 2진 정보를 독자적인 출력으로 변환할 수 없습니다. 계수기는 숫자를 세는 역할을 하므로, 2진 정보를 독자적인 출력으로 변환할 수 없습니다. 비교기는 입력된 두 값을 비교하는 역할을 하므로, 2진 정보를 독자적인 출력으로 변환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디코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어떤 정류회로의 맥동률이 1[%]인 정류회로의 출력 직류전압이 400[V]일 때, 이 회로의 리플 전압은 얼마인가?

  1. 4[V]
  2. 40[V]
  3. 20[V]
  4. 2[V]
(정답률: 54%)
  • 리플 전압은 정류회로에서 발생하는 교류 성분의 직류화된 값이다. 맥동률이 1[%]이므로, 출력 직류전압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4[V]이다. 따라서, 리플 전압은 4[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회로에서 R의 용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전류 부궤환 된다.
  2. 교류 이득이 증가한다.
  3. 동작점이 안정화 된다.
  4. 신호 이득을 방지한다.
(정답률: 45%)
  • R은 피드백 회로에서 사용되어 동작점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회로에서 R은 비교적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입력 신호의 작은 변화에도 크게 반응하지 않고, 출력 신호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동작점이 안정화 된다."가 가장 적합한 용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구형파를 발생시키는 발진기는 무엇인가?

  1. 수정발진기
  2. 멀티바이브레이터
  3. 플레이트동조발진기
  4. 다이네트론발진기
(정답률: 62%)
  •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여러 개의 콘덴서와 인덕터를 이용하여 발진하는데, 이 때 콘덴서와 인덕터의 충전 및 방전이 교대로 일어나며, 이러한 교대 충전 및 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신호가 구형파를 발생시키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멀티바이브레이터는 구형파를 발생시키는 발진기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은 디멀티플렉서 회로의 일부분이다. 점선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게이트는? (단, S0, S1은 선택신호이고 I는 데이터 입력이다.)

  1. OR 게이트
  2. AND 게이트
  3. XOR 게이트
  4. NOT 게이트
(정답률: 46%)
  • 디멀티플렉서 회로는 선택신호에 따라 여러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에서 S0와 S1은 선택신호이고, 이 둘을 AND 게이트로 연결하여 출력을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점선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게이트는 AND 게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반가산기의 구성요소로 알맞은 것은?

  1. 배타적 OR(XOR) 게이트와 AND 게이트
  2. JK 플립플롭
  3. 2개의 OR 게이트
  4. RS 플립플롭과 D 플립플롭
(정답률: 60%)
  • 반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A, B)과 두 개의 출력(S, C)을 가지며, 덧셈 연산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입력 A와 B를 XOR 게이트로 연결하여 합(S)을 구하고, AND 게이트로 연결하여 자리올림(C)을 구한다. 따라서 반가산기의 구성요소로는 배타적 OR(XOR) 게이트와 AND 게이트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평활회로의 기능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콘덴서나 인덕터를 통해 파형을 평탄하게 하여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만든다.
  2. 트랜지스터를 통해 (-)성분을 제거시켜서 평균값을 발생시킨다.
  3. 제너다이오드를 통해 출력전압을 안정화시켜준다.
  4. 트랜지스터를 통해 출력전압을 안정화시켜준다.
(정답률: 51%)
  • 콘덴서나 인덕터를 통해 파형을 평탄하게 하여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만든다는 것은, 평활회로가 입력 전압의 변동을 완화시켜서 출력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콘덴서나 인덕터를 사용하여 입력 전압의 변동을 완화시키고,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콘덴서나 인덕터를 통해 파형을 평탄하게 하여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만든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은 달링턴 회로에서 직류 바이어스 전류 IE를 계산하면 약 얼마인가? (단, IB=2.56[μA], β1=100, β2=100이다.)

  1. 2.61[mA]
  2. 26.1[mA]
  3. 261[mA]
  4. 2.61[A]
(정답률: 44%)
  • 다음은 간단한 전류 계산 문제이다.

    우선 Q1의 베이스 전류 IB1은 IB1 = IB = 2.56[μA] 이다.

    다음으로 Q1의 콜렉터 전류 IC1은 IC1 = β1 × IB1 = 100 × 2.56[μA] = 0.256[mA] 이다.

    Q2의 베이스 전류 IB2는 Q1의 콜렉터 전류와 같으므로 IB2 = IC1 = 0.256[mA] 이다.

    마지막으로 Q2의 콜렉터 전류 IC2는 IC2 = β2 × IB2 = 100 × 0.256[mA] = 25.6[mA] 이다.

    따라서, 전체 회로의 직류 바이어스 전류 IE는 IE = IC2 = 25.6[mA] 이다.

    정답은 "26.1[mA]"가 아니라 "25.6[mA]"이지만,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한 것이 다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송통신 기기

21. VTR 편집과정에서 테이프의 속도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방지하기 위한 장비는?

  1. 테이프 오류 교정기(TEC)
  2. 전자 신호 교정기(ESC)
  3. 영상 디지털 교정기(DVC)
  4. 시간 축 교정기(TBC)
(정답률: 71%)
  • 시간 축 교정기(TBC)는 테이프의 속도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여 안정적인 영상 출력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비이다. 이는 테이프의 속도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수평선의 흔들림, 색상 변화, 음성의 끊김 등을 방지할 수 있어 VTR 편집 작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유선방송 전송설비 중 분기기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입력신호 에너지를 2이상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는 장치
  2. 입력신호 에너지를 간선에서 지선으로 불균등하게 분리시키는 장치
  3. 신호의 전송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
  4. 이상 전류 또는 이상 전압의 유입을 제한하거나 차단하는 장치
(정답률: 84%)
  • 정답은 "입력신호 에너지를 간선에서 지선으로 불균등하게 분리시키는 장치"입니다. 분기기는 입력신호를 받아 간선에서 지선으로 분기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입력신호의 에너지를 불균등하게 분리시켜 지선으로 전송함으로써, 지선에서의 신호 감쇠를 최소화하고 전송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광섬유 케이블은 물질 사이에서 일어나는 빛의 어느 성질을 이용한 것인가?

  1. 전반사
  2. 회절
  3. 파동성
  4. 입자성
(정답률: 80%)
  • 광섬유 케이블은 빛의 전반사 성질을 이용합니다. 전반사란, 빛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광섬유 케이블은 빛을 한 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유선방송의 전송설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안테나
  2. 중계장치
  3. 분배기
  4. 증폭장치
(정답률: 46%)
  • 안테나는 유선방송의 전송설비에 속하지 않습니다. 안테나는 전파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 유선방송의 전송설비와는 달리 공중에 설치되어 있으며 무선 통신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안테나는 무선방송의 전송설비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FM 라디오 방송 88~108[MHz]의 주파수대역에서 주파수 편이량이 72[kHz]일 때 FM 방송의 변조지수는? (단, 신호파 주파수는 4[kHz]를 가정한다.)

  1. 10
  2. 15
  3. 18
  4. 20
(정답률: 71%)
  • 주파수 편이량이 72[kHz]이므로, 최대 주파수 변화량은 36[kHz]이다. 따라서, 변조지수는 최대 주파수 변화량인 36[kHz]를 신호파 주파수인 4[kHz]로 나눈 값에 2를 곱한 것이다.

    즉, 변조지수 = 2 x (최대 주파수 변화량 / 신호파 주파수) = 2 x (36[kHz] / 4[kHz]) = 18

    따라서, 정답은 "1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방송 및 업무용 디지털 오디오장비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2채널 직렬 Digital Interface는 무엇인가?

  1. SDI
  2. IEEE1394
  3. AES/EBU
  4. SDDI
(정답률: 78%)
  • AES/EBU는 방송 및 업무용 디지털 오디오장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2채널 직렬 Digital Interface입니다. 이는 전문적인 오디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표준 인터페이스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AES/EBU는 고음질의 오디오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오디오 신호의 노이즈와 왜곡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또한, AES/EBU는 긴 거리에서도 안정적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다른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호환성이 높아 다양한 장비와 연결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디지털 방송기기로 프레임 싱크로나이저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타국 및 국외 중계의 영상신호를 국내의 영상신호와 혼합시 양신호가 동기화되는 장비이다.
  2. 영상신호를 구하는 방법은 TBC와 동일하나, 프레임 단위의 메모리를 갖는 것은 다르다.
  3. 프레임 싱크로나이저를 통하면 영상의 최대 1프레임이 지연된다.
  4. 프레임 싱크로나이저를 통하면 음성도 최대 1프레임이 지연된다.
(정답률: 44%)
  • "프레임 싱크로나이저를 통하면 음성도 최대 1프레임이 지연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프레임 싱크로나이저는 영상과 음성을 동기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음성도 영상과 함께 처리되므로 따로 지연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비디오 스위처의 기능 중 영상을 전환하는 기능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디졸브(Dissolve)
  2. 훼이드 인(Fade in)
  3. 컷(Cut)
  4. 프리뷰(Preview)
(정답률: 65%)
  • 비디오 스위처의 기능 중 디졸브, 훼이드 인, 컷은 모두 영상을 전환하는 기능이지만, 프리뷰는 영상을 전환하기 전에 미리 미리 확인할 수 있는 미리보기 기능이므로 영상을 전환하는 기능과는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위성 방송 수신 시스템의 주요 부분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안테나
  2. 저잡음 변환기(LNB)
  3. 위성 방송 수신기
  4. 트랜스폰더(Transponder)
(정답률: 60%)
  • 안테나, 저잡음 변환기(LNB), 위성 방송 수신기는 모두 위성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는데 필수적인 부품이지만, 이들은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고 전달하는 역할만을 수행합니다. 반면에 트랜스폰더(Transponder)는 수신한 신호를 다시 전파하여 지구 상의 수신기에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트랜스폰더는 위성 방송 수신 시스템에서 가장 거리가 먼 주요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위성 통신의 다원접속방식 중 다수의 사용자에게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방송 통화로를 제공하는 방식은?

  1.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2.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3.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4.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정답률: 75%)
  • 위성 통신에서 다수의 사용자에게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방송 통화를 제공하는 방식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이다. 이 방식은 시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각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방식으로, 각 사용자는 할당된 시간 동안만 통신을 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와 시간이 겹치지 않도록 조정된다. 이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통신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대역폭 관리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인터넷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송출하는 인터넷방송국과 함께 인터넷 방송에 관련된 서비스로서 맞지 않은 것은?

  1. 콘텐츠 제공 서비스 : 공중파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스트리밍 호스트 등
  2. 콘텐스 제작 서비스 : 인터넷방송 콘텐스 제작전문
  3. 인터넷방송 기술 서비스 : 인터넷방송 인프라구축, 스트리밍 솔루션 제공
  4. 인터넷방송 연결 서비스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멀티캐스팅 등
(정답률: 69%)
  • 정답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 : 공중파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스트리밍 호스트 등"입니다. 이유는 이 서비스는 인터넷방송을 직접 제작하고 송출하는 인터넷방송국과는 관련이 없으며, 기존의 방송국이나 호스트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터넷방송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공동주택의 수신설비에 대한 분류와 활용 장비가 맞는 것은?

  1. 안테나 수신점 설비는 세대분배기함, MATV 분배기 또는 CATV 분배기, 직렬단자, 직렬단자선로 등이 있다.
  2. 헤드앤드 설비는 분리기, 자동이득조정증폭기, 아날로그 신호처리기, 디지털 신호처리기 등이 있다.
  3. 공동구 간선설비는 각 채널별 수신안테나, 안테나신호 인입 전송선로, 보호기, 대역통과여파기, 전치증폭기 등이 있다.
  4. 세대인입설비는 MATV 간선증폭기 또는 CATV 간선증폭기, 전송선로설비, 동축커넥터 등이 있다.
(정답률: 65%)
  • 공동주택의 수신설비는 크게 안테나 수신점 설비, 헤드앤드 설비, 공동구 간선설비, 세대인입설비로 분류됩니다. 이 중 헤드앤드 설비는 분리기, 자동이득조정증폭기, 아날로그 신호처리기, 디지털 신호처리기 등이 있습니다. 이는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고 증폭하여 각 세대로 전달하기 위한 장비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인터넷 비즈니스를 위한 모델의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B2C : 비즈니스의 대상을 일반 소비자로 한다.
  2. B2B : 기업 간의 영리를 목적으로 한다.
  3. C2C : 일반 소비자간의 상업 행위를 목적으로 한다.
  4. O2C : 공공단체와 기업 간의 정보 교류를 한다.
(정답률: 74%)
  • O2C는 공공단체와 기업 간의 정보 교류를 목적으로 하는 모델이 아니라, 온라인 주문과 관련된 모델인 O2O(Order to Order)의 오타입니다. O2O는 온라인 주문을 통해 오프라인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모델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위성 DMB와 지상파 DMB에 모두 적용된 동영상 압축규격으로 MPEG-2보다 압축효율이 2배 이상 뛰어나고 국제표준화기구(ISO) 산하 동영상 전문가그룹 MPGE과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전기통신 표준화 부문(ITU-T)에서 승인한 동영상 압축규격은?

  1. MPEG-4 BIFS
  2. H.264
  3. MPEG-4 BSAC
  4. AAC
(정답률: 54%)
  • 정답은 "H.264"입니다. H.264는 MPEG-2보다 압축효율이 2배 이상 뛰어나며 ISO와 ITU에서 승인한 동영상 압축규격입니다. 따라서 위성 DMB와 지상파 DMB에 모두 적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홀로그래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각원리(Preception)에 근거하지 않고 물리적인 법칙에 근거한 어지러움 없는 시청 환경의 3D 표현장치이다.
  2. 시점의 제한 없이 실제로 사람이 보고 느끼는 영상과 유사한 정보를 제공한다.
  3. 기존 영상기술을 획기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다.
  4. 전반사 기술을 이용하여 좌우의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을 투영하는 기술이다.
(정답률: 68%)
  • 전반사 기술을 이용하여 좌우의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을 투영하는 기술이 아니라, 전반사 기술을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TV 송신기의 기준 신호 레벨 Es=1[Vrms]이고 AM Noise Level En=0.01[Vrms]와 같을 때, AMNoise Ratio는 얼마인가?

  1. -10[dB]
  2. -20[dB]
  3. -30[dB]
  4. -40[dB]
(정답률: 71%)
  • AMNoise Ratio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AMNoise Ratio = 20log(En/Es)

    여기서 En은 AM 잡음 레벨이고, Es는 기준 신호 레벨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AMNoise Ratio = 20log(0.01/1) = -40[dB]

    즉, AMNoise Ratio는 -40[dB]이다.

    이유는 로그함수의 특성 때문이다. 로그함수는 입력값이 작아질수록 출력값이 빠르게 작아지기 때문에, AMNoise Ratio가 -40[dB]일 때 AM 잡음 레벨이 매우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AMNoise Ratio가 -10[dB]일 때는 AM 잡음 레벨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방송용 송신기에서 증폭기의 입력 전력이 3[mW], 출력 전력이 3[W]일 때 전력이득은?

  1. 60[dB]
  2. 40[dB]
  3. 30[dB]
  4. 10[dB]
(정답률: 70%)
  • 전력이득은 출력 전력과 입력 전력의 비율에 로그를 취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전력이득은 10log(출력 전력/입력 전력)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입력 전력이 3[mW]이고 출력 전력이 3[W]이므로, 출력 전력과 입력 전력의 비율은 3/0.003 = 1000입니다. 이를 로그를 취한 값에 10을 곱해주면 전력이득이 됩니다.

    따라서, 10log(1000) = 30[dB]이므로 정답은 "30[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벡터스코프에서 확인할 수 없는 것은?

  1. 크로미넌스 레벨
  2. 블랙 밸런스
  3. 휘도 레벨
  4. 화이트 밸런스
(정답률: 59%)
  • 벡터스코프는 영상의 색상과 밝기를 확인할 수 있는 장비이므로, "휘도 레벨"은 밝기를 나타내는 값이기 때문에 벡터스코프에서 확인할 수 없다. 벡터스코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크로미넌스 레벨", "블랙 밸런스", "화이트 밸런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스튜디오에서 사용되는 제작 설비가 아닌 것은?

  1. VTR
  2. FSS
  3. CG
  4. STL
(정답률: 76%)
  • STL은 스튜디오에서 사용되는 제작 설비가 아닙니다. STL은 C++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표준 라이브러리인 Standard Template Library의 약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정보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만든 후 동시에 전송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 가?

  1. 양자화
  2. 부호화
  3. 고속화
  4. 다중화
(정답률: 74%)
  • 다중화는 여러 개의 정보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합쳐서 전송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중화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양자화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말하며, 부호화는 정보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부호로 변환하는 것을 말합니다. 고속화는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방송미디어 공학

41. 다음 중 우리나라와 북한의 아날로그 지상파 TV 방식이 순서대로 옳은 것은?

  1. NTSC, NTSC
  2. NTSC, PAL
  3. NTSC, SECAM
  4. PAL, PAL
(정답률: 72%)
  • 정답은 "NTSC, PAL"입니다.

    우리나라는 NTSC 방식을 사용하고, 북한은 PAL 방식을 사용합니다.

    NTSC는 미국에서 개발된 방식으로, 60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색상 신호와 밝기 신호를 분리하여 전송합니다. PAL은 유럽에서 개발된 방식으로, 50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색상 신호와 밝기 신호를 복합하여 전송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북한은 서로 다른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호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일반적인 프로그램의 편성 개념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프로그램의 제작
  2. 프로그램의 시간
  3. 프로그램의 선택
  4. 프로그램의 배치
(정답률: 71%)
  • "프로그램의 제작"은 일반적인 프로그램의 편성 개념과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이는 프로그램의 제작은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이며, 편성은 이미 제작된 프로그램을 시간과 순서에 맞게 배치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제작은 편성과는 별개의 과정이며, 편성 전에 먼저 제작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방송환경의 변화추세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Broadcasting→Narrowcasting→Personalcasting
  2. Broadcasting→Personalcasting→Narrowcasting
  3. Narrowcasting→Broadcasting→Personalcasting
  4. Personalcasting→Broadcasting→Narrowcasting
(정답률: 61%)
  • 정답은 "Broadcasting→Narrowcasting→Personalcasting"입니다.

    과거에는 방송매체가 한정되어 있어 대중적인 방송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이를 Broadcasting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인터넷과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Narrowcasting이 대중화되었습니다. 이는 대중적인 방송에서 벗어나 특정한 관심사나 취향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개인이 직접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하는 Personalcasting이 대세입니다. 이는 인터넷과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개인이 쉽게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Broadcasting→Narrowcasting→Personalcasting이 방송환경의 변화추세로 가장 알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민영방송사의 주요 재원에 해당되는 것은?

  1. 조세
  2. 시청료
  3. 광고료
  4. 등록세
(정답률: 77%)
  • 민영방송사의 주요 재원은 광고료입니다. 이는 방송 중 광고를 송출함으로써 광고주로부터 수입을 얻는 것입니다. 조세는 정부에 납부하는 세금이며, 시청료는 공영방송사에서 부과하는 구독료이며, 등록세는 차량 등록 시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에어컨을 가동하기 전에 실내 음압레벨이 65[dB]이고 에어컨을 가동할 때의 실내 음압레벨이 72[dB]라면 에어컨 자체의 음압레벨에 가장 가까운 값은?

  1. 6[dB]
  2. 7[dB]
  3. 66[dB]
  4. 71[dB]
(정답률: 77%)
  • 에어컨을 가동하면 실내 음압레벨이 7[dB] 증가했다. 이는 에어컨 자체의 음압레벨과 같다. 따라서, 실내 음압레벨 72[dB]에서 65[dB]를 뺀 값인 7[dB]이 에어컨 자체의 음압레벨과 같으므로 정답은 "71[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대기의 온도가 15[℃]인 경우, 음속은 약 얼마인가?

  1. 340[m/sec]
  2. 380[m/sec]
  3. 420[m/sec]
  4. 570[m/sec]
(정답률: 61%)
  • 음속은 대기의 온도에 따라 변화하며, 일반적으로 15[℃]에서는 약 340[m/sec]이다. 이는 대기의 온도가 낮을수록 음속이 감소하고, 높을수록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는 대기 분자들의 운동에너지와 관련이 있으며, 대기의 밀도와 압력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기의 온도가 15[℃]인 경우, 음속은 약 340[m/sec]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아날로그방송 화질과 유사한 디지털방송의 표준은 무엇인가?

  1. SDTV
  2. NTSC
  3. PAL
  4. HDTV
(정답률: 63%)
  • 아날로그방송 화질과 유사한 디지털방송의 표준은 "SDTV"이다. SDTV는 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의 약자로, 표준화된 디지털화질을 의미한다. SDTV는 아날로그방송의 화질과 유사하며, 해상도는 720x480 또는 640x480으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SDTV가 아날로그방송 화질과 유사한 디지털방송의 표준이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조명 용어 중 주로 피사체에 생기는 그림자를 없애거나 그림자 영역에 조명을 부여하여 화면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줄이기 위한 조명을 지칭하는 용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백 라이트(back light)
  2. 필 라이트(fill light)
  3. 베이스 라이트(base light)
  4. 키 라이트(key light)
(정답률: 55%)
  • 정답은 "필 라이트(fill light)"입니다. 필 라이트는 피사체의 그림자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조명으로, 키 라이트로 인해 생기는 그림자를 채우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줄이고, 피사체를 더욱 선명하게 보이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방송의 조명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카메라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최소한의 광량을 확보해야 한다.
  2. 삼차원적인 원근감, 즉 깊이를 창조하여 입체감을 살릴 수 있어야 한다.
  3. 조명은 궁극적으로 시청자에게 감동을 제공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 장면의 미적구성은 중요하지 않다.
  4. 화면 내의 특정한 부분을 돋보이게 하거나 약화시켜야 한다.
(정답률: 86%)
  • "조명은 궁극적으로 시청자에게 감동을 제공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 장면의 미적구성은 중요하지 않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조명은 전체 장면의 미적 구성과 함께 시청자에게 감동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조명은 전체적인 미적 구성과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소리의 요소인 음조(Pitch)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진동체에 의하여 진동된 음파의 진폭의 대소를 말한다.
  2. 진동체에 의하여 진동된 1초간의 진동수의 대소를 말한다.
  3. 음의 맵시로 파형의 형태를 말한다.
  4. 공기의 소밀파로 매질의 진동방향과 파동이 나가는 방향과 일치하는 파를 말한다.
(정답률: 77%)
  • 정답은 "진동체에 의하여 진동된 1초간의 진동수의 대소를 말한다." 이다. 이는 소리의 높낮이를 결정하는 요소로, 진동수가 높을수록 높은 음조가 나오고, 진동수가 낮을수록 낮은 음조가 나온다. 예를 들어, 피아노의 건반을 누를 때, 높은 음조의 건반을 누르면 진동수가 높아져 높은 소리가 나오고, 낮은 음조의 건반을 누르면 진동수가 낮아져 낮은 소리가 나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일반적인 방송용 아날로그 무선 마이크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선 마이크는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편리함 때문에 많이 사용한다.
  2. 무선 마이크는 간단한 AM 송신기 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일종의 송신기이다.
  3. 송신 주파수대는 VHF 혹은 UHF 대역을 사용한다.
  4. 무선 마이크가 전파를 발상하면 이를 가까운 곳에 있는 수신기로 수신하여 음성신호 출력을 뽑아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정답률: 70%)
  • "무선 마이크는 간단한 AM 송신기 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일종의 송신기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무선 마이크는 FM 송신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선 마이크는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무선 전파로 송신하여 수신기에서 다시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를 위해 무선 마이크에는 마이크 캡슐, 송신기 회로, 안테나 등이 내장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인쇄 미디어인 신문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휴대성
  2. 즉시성
  3. 가독성
  4. 정기성
(정답률: 80%)
  • 정답: "가독성"

    신문은 휴대성이 높고, 정기적으로 발행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즉시적인 뉴스를 전달하는 것도 중요한 특성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가독성은 신문의 특성 중 하나이지만, 다른 특성들보다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크기를 결정짓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양자화 비트수
  2. 시간
  3. 샘플링 레이트
  4. 음색
(정답률: 86%)
  • 음색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크기를 결정짓는 요소가 아닙니다.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크기는 양자화 비트수, 시간, 샘플링 레이트 등과 같은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음색은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과 관련이 있으며, 오디오 파일의 크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양자화기의 비트수(N)가 증가할 때마다 부호화에 따르는 양자화 오차는 몇 [dB]씩 감소되는가?

  1. 2[dB]
  2. 3[dB]
  3. 4[dB]
  4. 6[dB]
(정답률: 56%)
  • 양자화기의 비트수(N)가 증가하면, 양자화 단계 크기가 작아지므로 양자화 오차가 줄어들게 된다. 이 때, 양자화 오차는 1/2^N으로 계산되며, dB로 변환하면 20log(1/2^N)이 된다. 이를 계산하면, N이 1 증가할 때마다 6dB씩 양자화 오차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6[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오디오 신호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과 가장관련이 적은 것은?

  1. PCM 방식을 이용한 A/D, D/A 변환기를 이용한다.
  2. JPEG 방법을 이용한다.
  3.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를 이용한다.
  4. 신디사이저(Synthesizer)를 이용하여 음원합성한다.
(정답률: 80%)
  • JPEG 방법은 이미지 압축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과는 관련이 적다. PCM 방식, MIDI, 신디사이저는 모두 오디오 신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화질과 음질과 관련하여, Sampling 주파수 및 양자화 비트의 관련사항으로 틀린 것은?

  1. Sampling 주파수가 높을수록 고역주파수의 재생이 가능하다.
  2. 초상권보호를 위해 자주 사용하는 모자이크 화면은 양자화 비트 수를 매우 낮게 설정하여 만든다.
  3. 양자화 비트수를 늘릴수록 양자화 스텝폭이 줄어들어서 화질과 음질이 개선된다.
  4. 보통 영상신호가 음성신호보다 대역폭이 넓어서 영상신호의 양자화 비트수를 음성신호의 양자화 비트수보다 높게 취한다.
(정답률: 47%)
  • "양자화 비트수를 늘릴수록 양자화 스텝폭이 줄어들어서 화질과 음질이 개선된다."가 틀린 것이다. 양자화 비트수를 늘릴수록 양자화 스텝폭이 줄어들어서는 화질과 음질이 개선되지만, 일정 수준 이상으로 늘리면 파일 크기가 커지고 저장 및 전송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영상신호는 음성신호보다 대역폭이 넓기 때문에 더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야 하므로 양자화 비트수를 높게 설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아날로그 신호를 6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자 할 때 표현 가능한 디지털 정보는 최대 몇 개인가?

  1. 16
  2. 32
  3. 64
  4. 128
(정답률: 72%)
  • 6비트의 디지털 신호는 2의 6승, 즉 64개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6비트의 모든 가능한 조합이 64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날로그 신호를 6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면 최대 64개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음향신호에서 2[V]와 10[V]의 레벨[dB]차는 약 얼마인가?

  1. 8[dB]
  2. 14[dB]
  3. 18[dB]
  4. 22[dB]
(정답률: 75%)
  • 음향신호에서 레벨은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10[V]의 레벨은 2[V]의 레벨보다 10/2의 제곱인 25배 높다. 이를 데시벨로 변환하면 10log(25) ≈ 14[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4[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NTSC 방식에서 색신호인 I신호 EI와 Q신호 EQ의 대역폭으로 올바른 것은?

  1. EI : 1.2[MHz], EQ : 0.2[MHz]
  2. EI : 1.3[MHz], EQ : 0.3[MHz]
  3. EI : 1.4[MHz], EQ : 0.4[MHz]
  4. EI : 1.5[MHz], EQ : 0.5[MHz]
(정답률: 62%)
  • 정답은 "EI : 1.5[MHz], EQ : 0.5[MHz]"이다.

    NTSC 방식에서는 색상 정보를 I, Q 신호로 분리하여 전송한다. 이 때, I 신호는 밝기 정보와 색상의 차이 정보를 담고 있으며, Q 신호는 색상의 차이 정보를 담고 있다.

    NTSC 방식에서는 I, Q 신호를 3.58[MHz]의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하여 전송한다. 이 때, I, Q 신호의 최대 대역폭은 샘플링 주파수의 절반인 1.79[MHz]이다.

    하지만, NTSC 방식에서는 I, Q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채널 대역폭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I, Q 신호의 대역폭도 제한된다. 일반적으로 I 신호의 대역폭은 1.2 ~ 1.5[MHz], Q 신호의 대역폭은 0.2 ~ 0.5[MHz] 정도로 설정된다.

    따라서, "EI : 1.5[MHz], EQ : 0.5[MHz]"가 올바른 대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색의 3요소로 적합한 것은?

  1. 밝기, 크기, 색조
  2. 밝기, 채도, 크기
  3. 조도, 채도, 색조
  4. 밝기, 채도, 색조
(정답률: 78%)
  • 색은 밝기, 채도, 색조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밝기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며, 채도는 색의 선명한 정도를 나타내며, 색조는 색의 종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밝기, 채도, 색조"가 색의 3요소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방송통신 시스템

61.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전체 전송량은 얼마인가?

  1. 44.736[Mbps]
  2. 46.286[Mbps]
  3. 49.368[Mbps]
  4. 47.824[Mbps]
(정답률: 44%)
  • 전송량 = 전송률 × 전송시간

    전송률 = 대역폭 × 유효성

    유효성 = 1 - 오버헤드

    오버헤드 = (프레임 크기 + 헤더 크기) / MTU

    MTU = 1500 바이트

    프레임 크기 = 1000 바이트

    헤더 크기 = 20 바이트

    대역폭 = 100 Mbps

    전송시간 = 1000 초

    오버헤드 = (1000 + 20) / 1500 = 0.68

    유효성 = 1 - 0.68 = 0.32

    전송률 = 100 Mbps × 0.32 = 32 Mbps

    전송량 = 32 Mbps × 1000 초 = 32,000 Mb = 40,000 MB = 39.0625 GB

    하지만, 문제에서 Mbps 단위로 답을 요구하므로, 39.0625 GB를 Mbps로 변환해야 함.

    39.0625 GB = 312.5 Gb

    312.5 Gb / 1000 초 = 0.3125 Gbps = 312.5 Mbps

    따라서, 전체 전송량은 47.824[Mbps]가 됨.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10[kHz] 대역에서 16 QAM 변조방식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전송속도는?

  1. 10[kbps]
  2. 20[kbps]
  3. 40[kbps]
  4. 80[kbps]
(정답률: 72%)
  • 16 QAM 변조방식은 4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10[kHz] 대역에서의 최대 전송속도는 4 x 10[kHz] = 40[kbps]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방송통신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근거리통신망
  2. 위성망
  3. 패킷라디오망
  4. 회선교환망
(정답률: 68%)
  • 방송통신망은 광대역 통신망, 근거리통신망, 위성망, 패킷라디오망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중 회선교환망은 전화망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통화 중에는 전용 회선을 유지하며 통화가 종료되면 회선을 해제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회선교환망은 패킷교환망과 달리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지 않으며, 방송통신망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의 중간주파수가 455[kHz] 일 때 수신된 400[kHz]에 대한 영상주파수는?

  1. 855[kHz]
  2. 1,210[kHz]
  3. 1,225[kHz]
  4. 1,310[kHz]
(정답률: 67%)
  •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처리하므로, 수신된 400[kHz] 신호는 455[kHz] - 400[kHz] = 55[kHz]의 IF 신호로 변환됩니다. 이 때, 영상주파수는 IF 주파수보다 항상 높은 주파수이므로, IF 주파수에 55[kHz]를 더한 510[kHz]와 IF 주파수에서 55[kHz]를 뺀 400[kHz]의 두 가지 영상주파수가 존재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더 높은 주파수인 510[kHz]보다는 더 낮은 주파수인 1,310[kHz]를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이는 이미 사용 중인 주파수와 겹치지 않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310[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526.5[kHz]~1,606.5[kHz]대의 중파방송(AM)은 총 몇 개의 채널을 할당할 수 있는가?

  1. 180개
  2. 120개
  3. 54개
  4. 36개
(정답률: 82%)
  • AM 방송에서는 주파수 대역폭이 10kHz이므로, 526.5[kHz]~1,606.5[kHz] 대역폭에서는 (1,606.5 - 526.5) / 10 = 108 개의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중파방송에서는 인접한 채널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9kHz의 간격을 두고 채널을 할당하므로, 108개의 채널을 9로 나눈 값인 12를 곱해주면 총 120개의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20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표준화된 지상파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오디오 규격에 해당하는 것은?

  1. [MPEG-4 Part10 AVC] (H.264)
  2. [MPEG-4 Part3 BSAC]
  3. [MPEG-4 SL+ MPEG-2 TS]
  4. [MPEG-4 BIFS]
(정답률: 60%)
  • 정답은 "[MPEG-4 Part3 BSAC]" 입니다.

    DMB에서 사용되는 오디오 규격은 MPEG-4 Part3 BSAC입니다. 이는 MPEG-4 오디오 부호화 규격 중 하나로, 고음질 오디오를 압축하는 데 사용됩니다. BSAC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중요한 정보를 보존하면서도 압축하는 기술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DMB에서 고품질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DMB에서 사용되는 다른 규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지상파 TV 채널 중 FM 방송 대역과 가장 인접한 채널은?

  1. CH 6
  2. CH 7
  3. CH 9
  4. CH 11
(정답률: 65%)
  • FM 방송 대역은 88~108MHz 이며, 이는 VHF 대역에 속합니다. 따라서, FM 방송 대역과 가장 인접한 채널은 VHF 대역 중에서 가장 높은 주파수를 가진 CH 6 입니다. CH 6은 82~88MHz 대역을 사용하므로, FM 방송 대역과 가장 인접합니다. CH 7, CH 9, CH 11은 모두 FM 방송 대역과 거리가 더 멀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TV 제작 system에서 영상 신호의 기준 신호를 공급하는 장비는?

  1. TBC(Time Base Corrector)
  2. EDL(Edit Decision List)
  3. STL(Studio to Transmitter Link)
  4. Sync generator
(정답률: 68%)
  • Sync generator는 TV 제작 system에서 영상 신호의 기준 신호를 공급하는 장비입니다. 이 장비는 영상 신호의 수평 동기화 신호와 수직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모든 장비들이 동일한 시간에 영상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영상 신호의 정확한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해 Sync generator가 필요합니다. TBC(Time Base Corrector)는 영상 신호의 시간축을 보정하는 장비, EDL(Edit Decision List)은 편집 작업을 위한 명령어 리스트, STL(Studio to Transmitter Link)은 스튜디오와 송출 타워 간의 신호 전송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TV 송신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급전계통
  2. 모니터시스템
  3. 송신장비
  4. 송신안테나 계통
(정답률: 82%)
  • TV 송신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는 급전계통, 송신장비, 송신안테나 계통이다. 모니터시스템은 TV 송신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니며, TV 수신시스템에서 사용된다. 모니터시스템은 TV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로, 송신시스템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CATV 센터계 설비인 헤드엔드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신 설비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채널변환
  2. 다수의 주파수 분할된 신호 분리 및 혼합기능
  3. 전송로에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
  4. 도청방지를 위한 비화신호의 해독기능
(정답률: 67%)
  • CATV 센터계 설비인 헤드엔드의 기능 중 도청방지를 위한 비화신호의 해독기능은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헤드엔드가 수신한 신호를 채널변환하고 분리 및 혼합하여 전송로에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도청방지를 위한 비화신호의 해독기능은 다른 보안 장비에서 수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아날로그 CATV에 비해 디지털 CATV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고품질 방송이 가능하고 수신품질이 우수하다.
  2. 주파수 효율이 좋다.
  3. 데이터 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4. 양방향 서비스가 불가능하다.
(정답률: 80%)
  • 디지털 CATV는 양방향 통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방향으로만 방송을 송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넷 같은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우리나라의 디지털 위성방송 시스템에 사용하는 시스템 다중화 방식으로 옳은 것은?

  1. MPEG1
  2. JPEG
  3. MPEG4
  4. MPEG2
(정답률: 56%)
  • 우리나라의 디지털 위성방송 시스템에 사용하는 시스템 다중화 방식은 MPEG2이다. 이는 MPEG2가 고화질의 영상을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높은 압축률과 안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MPEG2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방식으로 다양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어 호환성이 높다는 장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지상파 DMB 방송의 오디오 전용 압축부호화 형식인 ISO/IEC 11172-3(MPEG-1 Audio Layer II) 또는 ISO/IEC 13818-3(MPEG-2 Audio Layer II)를 따르는 경우 그 기술기준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오디오 서비스의 최대 비트율은 912[kbps]로 할 것
  2. 오디오 부호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최소 비트율은 112[kbps]로 할 것
  3. 오디오 부호화기로부터 음성신호의 표본화 주파수는 최대 49,000[Hz]로 할 것
  4. 보조 데이터 신호는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송수신 정합 표준” 및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데이터 송수신 정합 표준”에서 규정하는 형식을 따를 것
(정답률: 58%)
  • "보조 데이터 신호는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송수신 정합 표준” 및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데이터 송수신 정합 표준”에서 규정하는 형식을 따를 것"이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오디오 부호화기로부터 음성신호의 표본화 주파수는 최대 49,000[Hz]로 할 것"은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제한하여 데이터를 압축하고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는 인간의 청각 범위인 20Hz ~ 20kHz를 넘어가는 주파수를 제거하여 데이터 용량을 줄이고, 동시에 인간의 청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상호 직교성을 갖는 다수 반송파를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하고 다중화하는 전송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CDMA
  2. ATSC
  3. OFDM
  4. FM
(정답률: 65%)
  • OFDM은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의 약자로, 상호 직교성을 갖는 다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하고 다중화하는 전송 방식이다. 이 방식은 다수의 하위 채널로 신호를 분할하여 전송하고, 각 하위 채널은 서로 상호 직교성을 갖기 때문에 서로 간섭하지 않고 전송이 가능하다. OFDM은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다중 경로 간섭에 강한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무선 통신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비디오 신호 측정에 사용되는 멀티버스트 신호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주파수대 잡음 측정
  2. 주파수대 진폭 측정
  3. 비직선 왜곡 측정
  4. 과도 잡음 측정
(정답률: 45%)
  • 멀티버스트 신호는 여러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이므로, 주파수대 진폭 측정이 가능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멀티버스트 신호와는 관련이 없는 측정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케이블의 이도가 커질 경우 장점이라고할 수 없는 것은?

  1. 장력이 크게 된다.
  2. 미풍에 의한 진동이 적어진다.
  3. 케이블 설계가 용이하다.
  4. 안전율이 증가한다.
(정답률: 52%)
  • 장력이 크게 된다는 것은 케이블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케이블의 내구성을 감소시키고 파손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장력이 크게 된다는 것은 케이블의 이도가 커질 경우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방송시설 설치시 옥외형 광 송ㆍ수신장치(ONU)의 설치 후 측정하는 개별시험이 아닌 것은?

  1. 광원 파장 시험
  2. RF 조정 및 시험
  3. 광수신 감도 측정
  4. 전송로 특성 시험
(정답률: 42%)
  • 옥외형 광 송ㆍ수신장치(ONU)의 설치 후 측정하는 개별시험은 광원 파장 시험, RF 조정 및 시험, 광수신 감도 측정 등이 있지만, 전송로 특성 시험은 전체적인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종합적인 시험으로, 광섬유 전송로의 손실, 왜곡, 잡음 등을 측정하여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방송시설 설치시 옥외형 광 송ㆍ수신장치(ONU)의 설치 후 측정하는 개별시험이 아닌 것은 전송로 특성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CATV 시스템에 사용하는 증폭기가 아닌 것은?

  1. 간선증폭기
  2. 분기증폭기
  3. 연장증폭기
  4. 회선증폭기
(정답률: 70%)
  • CATV 시스템은 주로 다수의 가입자에게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증폭기는 분기증폭기나 간선증폭기, 연장증폭기 등이다. 하지만 회선증폭기는 개별적인 가입자의 신호를 증폭하는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CATV 시스템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회선증폭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위성방송을 지상에서 수신시 단위면적을 통과하는 전자파의 전력선 밀도 P는 약 얼마인가? (단, 전계세기 E는 197[V/m]이다.)

  1. 197[dBW/m2]
  2. 153[dBW/m2]
  3. 136[dBW/m2]
  4. 103[dBW/m2]
(정답률: 71%)
  • 전력밀도 P는 P = E2/377 이다. 여기서 E는 전계세기이고, 377은 자유공간의 임피던스이다. 따라서 P = (1972/377) = 103[dBW/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위성통신의 장ㆍ단점을 나타낸 것으로 틀린 것은?

  1. 서비스 지역의 광역성
  2. 동보성
  3. 다원접속성
  4. 통신망 설정의 지연성
(정답률: 74%)
  • 정답은 "통신망 설정의 지연성"이다.

    위성통신의 장점으로는 서비스 지역의 광역성, 동보성, 다원접속성 등이 있다. 하지만 위성통신은 지구 상공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지구와 위성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전파의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통신망 설정에 시간이 걸리는 지연성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방송설비기준

81. 운영체제의 발달 순서를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1. 일괄처리→다중프로그램→대화식처리→분산처리
  2. 다중프로그램→분산처리→일괄처리→대화식처리
  3. 일괄처리→다중프로그램→분산처리→대화식처리
  4. 다중프로그램→분산처리→대화식처리→일괄처리
(정답률: 52%)
  • 정답은 "일괄처리→다중프로그램→대화식처리→분산처리"입니다.

    일괄처리는 컴퓨터가 처음 개발될 당시에 사용되던 처리 방식으로,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다중프로그램이 개발되면서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대화식처리는 사용자와 컴퓨터가 상호작용하며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이전에는 일괄처리나 다중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의 개입이 거의 없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분산처리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하나의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대용량 데이터 처리나 병렬 처리 등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순서대로 운영체제의 발달이 이루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산술 결과 값이 오버플로가 일어났을 때 제어의 흐름이 계속되지 않고 고정된 기억위치로 스위치되어 오버플로에 대한 적절한 처리를 하도록 하는 경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서브루틴
  2. 분기
  3. 인터럽트
  4. 트랩
(정답률: 48%)
  • 정답: 트랩

    트랩은 예외 상황이 발생했을 때, 제어의 흐름을 고정된 기억 위치로 스위치하여 예외 상황에 대한 적절한 처리를 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산술 결과 값이 오버플로가 일어났을 때, 제어의 흐름을 고정된 기억 위치로 스위치하여 오버플로에 대한 적절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트랩입니다. 다른 선택지인 서브루틴, 분기, 인터럽트는 예외 상황에 대한 처리와는 관련이 있지만, 트랩과는 목적과 방식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키는 릴레이션의 투플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의 집합이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후보 키(Candidate Key)는 유일성과 최소성을 만족하는 키이다.
  2. 수퍼 키(Super Key)는 유일성은 있으나 최소성은 없는 키이다.
  3. 외래 키(Foreign Key)는 어느 한 릴레이션의 속성의 집합이 다른 릴레이션에서 기본 키로 이용되는 것이다.
  4. 보조 키(Secondary Key)는 후보 키가 여러 개일 경우 그 중 하나를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정답률: 46%)
  • 보조 키(Secondary Key)는 후보 키가 여러 개일 경우 그 중 하나를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후보 키가 아닌 다른 속성을 이용하여 유일성을 보장하는 키이다.

    보조 키(Secondary Key)는 후보 키가 아닌 다른 속성을 이용하여 유일성을 보장하는 키이다. 후보 키(Candidate Key)는 유일성과 최소성을 만족하는 키이고, 수퍼 키(Super Key)는 유일성은 있으나 최소성은 없는 키이다. 외래 키(Foreign Key)는 어느 한 릴레이션의 속성의 집합이 다른 릴레이션에서 기본 키로 이용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도중에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현재 사이클의 일을 끝내고 프로그램이 수행할 수 있도록 현재 상태를 보관하는 장소의 위치와 관계 있는 것은?

  1. 상태 레지스터
  2. 프로그램 레지스터
  3. 스택 포인터
  4. 인덱스 레지스터
(정답률: 52%)
  •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 수행 중인 프로그램의 상태를 보존하고, 인터럽트 처리가 끝난 후에 이전 상태로 복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현재 상태를 보관하는 장소가 필요한데, 이 장소는 스택 포인터에 의해 관리됩니다. 스택 포인터는 현재 스택의 맨 위에 있는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로,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 상태를 스택에 저장하고, 인터럽트 처리가 끝난 후에는 스택에서 이전 상태를 복원합니다. 따라서 스택 포인터는 인터럽트 처리에 필수적인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광자기디스크(CD, DVD 등)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저장 용량이 크다.
  2. 대량 복제가 용이하다.
  3. 이동과 보관이 용이하다.
  4. 액세스 속도가 하드 디스크보다 빠르다.
(정답률: 54%)
  • 광자기디스크는 액세스 속도가 하드 디스크보다 느리다. 이는 광자기디스크가 회전하는 동안 레이저 빛이 디스크의 표면을 스캔하며 데이터를 읽어오기 때문이다. 하드 디스크는 회전하는 디스크 위에 자기장을 이용해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어오기 때문에 더 빠른 액세스 속도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인터넷과 같은 공중 네트워크를 마치 전용 회선처럼 사용하여 사설 네트워크에서 요구하는 서비 스를 제공하는 기술 및 네트워크를 말하는 것은?

  1. VPN
  2. ISDN
  3. VAN
  4. PSDN
(정답률: 67%)
  • VPN은 Virtual Private Network의 약자로, 인터넷과 같은 공중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설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VPN은 전용 회선과 같은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하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ISDN, VAN, PSDN은 모두 전용 회선 기술이며, VPN과는 달리 비용이 높고 구축 및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VPN은 현재 많은 기업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인터넷과 같은 공중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주기억장치의 용량을 보다 크게 사용하기 위하여 대용량 보조기억장치인 디스크장치의 용량을 주기억장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는?

  1. 가상기억장치(Virtual Memory)
  2. 연관기억장치(Associative Memory)
  3.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4. 보조기억장치(Auxiliary Memory)
(정답률: 65%)
  • 가상기억장치는 대용량 보조기억장치인 디스크장치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여 주기억장치의 용량을 보다 크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주기억장치에 올라가지 않은 데이터는 디스크장치에 저장되어 있으며 필요할 때마다 주기억장치로 가져와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주기억장치의 용량을 보다 크게 사용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실행 시 필요한 데이터를 빠르게 가져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입ㆍ출력 인터럽트(I/O Interrupt)의 특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입출력이 준비된 상태를 나타낼 때까지 루프하에 머무르게 되어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데 인터럽 기능으로 해결한다.
  2. 필요할 때 입출력 장치가 중앙처리장치의 서비스를 요구한다.
  3. 외부 인터럽트이다.
  4. 정상적인 프로그램에서는 수행할 수 없으며 운영체제에 의해서만 운영할 수 있다.
(정답률: 67%)
  • 정답: "외부 인터럽트이다."

    입출력 인터럽트는 입출력 장치와 중앙처리장치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인터럽트이다. 입출력이 준비된 상태를 나타낼 때까지 루프하에 머무르게 되어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데, 인터럽트 기능으로 해결한다. 필요할 때 입출력 장치가 중앙처리장치의 서비스를 요구한다. 하지만 "외부 인터럽트"는 입출력 인터럽트와는 다르게, 중앙처리장치 외부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원 이상이나 타이머 인터럽트 등이 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프로그램에서는 수행할 수 없으며 운영체제에 의해서만 운영할 수 있다."는 설명은 입출력 인터럽트와 외부 인터럽트 모두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여러 개의 작은 디스크들을 배열 구조로 연결하고 하나의 유닛으로 패키지를 구성함으로써 액세스 속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신뢰도를 높인 스토리지 기술은?

  1. SCSI
  2. NAS
  3. RAID
  4. SAN
(정답률: 71%)
  • RAID는 여러 개의 작은 디스크들을 배열 구조로 연결하여 하나의 유닛으로 패키지를 구성하는 스토리지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액세스 속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SCSI는 스토리지 기술 중 하나로, 컴퓨터와 스토리지 장치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NAS는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스토리지를 공유하는 기술이며, SAN은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스토리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링형 구조의 LAN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것은?

  1. 노드의 추가와 변경이 비교적 어렵다.
  2. 한 노드의 고장시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
  3. 트래픽이 일정한 시스템에 적합하다.
  4. 이더넷(Ethernet)이 대표적인 형태이다.
(정답률: 60%)
  • "트래픽이 일정한 시스템에 적합하다."는 링형 구조의 LAN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것이다.

    이더넷(Ethernet)은 링형 구조의 LAN 중 하나이며,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이다. 이더넷은 링형 구조의 LAN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종합유선방송(아날로그신호)에서 전송선로시설의 질적 수준의 측정 항목과 기준값에 대한 설명으 로 틀린 것은?

  1. 영상반송파의 레벨 안정도 : 3[dB] 이내(1분간)
  2. 비인접사용 채널간 영상반송파의 레벨차 : 10[dB] 이내
  3. 영상반송파대 잡음비(C/N비) : 36[dB] 이상(주파수 대역 4[MHz] 기준)
  4. 혼변조도 : -50[dB] 이하
(정답률: 55%)
  • 영상반송파대 잡음비(C/N비) : 36[dB] 이상(주파수 대역 4[MHz] 기준)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영상반송파대 잡음비는 전송되는 신호와 잡음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전송되는 신호의 질이 좋습니다. 따라서 이 값이 36dB 이상이 되어야 전송되는 영상 신호의 질이 보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구내 전송선로설비의 설치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보호기는 원칙적으로 인입구 부근의 옥외에 설치하고 접지하여야 한다.
  2. 분기기는 임피던스의 변화없이 신호를 분기할 수 있어야 한다.
  3. 분배기는 임피던스의 변화없이 신호를 분재할 수 있어야 한다.
  4. 유휴 분기 단자는 50[Ω]으로 종단하여야 한다.
(정답률: 49%)
  • "유휴 분기 단자는 50[Ω]으로 종단하여야 한다."이 틀린 것이다. 유휴 분기 단자는 75[Ω]으로 종단해야 한다. 이유는 구내 전송선로설비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의 임피던스가 75[Ω]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휴 분기 단자도 이에 맞춰 75[Ω]으로 종단해야 전송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방송국의 개설조건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방송국을 개설하려는 자는 다른 방송의 수신에 혼신을 일으키지 아니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2. 혼신을 방지하기 위한 방송국의 설치장소 등 방송국의 개설조건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3.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국을 개설하려는 자의 허가신청내용이 개설조건에 적합하지 아니하면 설치장소의 이전 등 보완을 명할 수 있다.
  4. 송신공중선의 높이 출력, 지향특성 등 방송국의 개설조건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교육과학기술부가 정한다.
(정답률: 54%)
  • "혼신을 방지하기 위한 방송국의 설치장소 등 방송국의 개설조건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이 항목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므로 방송국의 개설조건과 관련이 없다. 다른 항목들은 방송국의 개설조건과 관련된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종합유선방송국 시설기준 등 구내전송 설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분기기 및 분배기
  2. 증폭기
  3. 보호기
  4. 변조기
(정답률: 45%)
  • 분기기, 분배기, 증폭기, 보호기는 모두 구내전송 설비에 해당되는 장비이지만, 변조기는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신호를 변조하여 전파로 송출하는 장비로, 구내전송 설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정보통신기술자의 범위에 있어서 등급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특급기술자
  2. 고급기술자
  3. 중급기술자
  4. 저급기술자
(정답률: 64%)
  • 정답: "저급기술자"

    설명: "특급기술자", "고급기술자", "중급기술자"는 정보통신기술자의 등급을 나타내는 용어이지만, "저급기술자"는 정보통신기술자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저급기술자"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방송사항의 제작ㆍ편성 및 조정에 필요한 설비와 그 종사자의 총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송신소
  2. 연주설비
  3. 연주소
  4. 제작설비
(정답률: 55%)
  • "연주소"는 방송사항의 제작ㆍ편성 및 조정에 필요한 설비와 그 종사자의 총체를 의미합니다. 이는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방송하는 데 필요한 모든 장비와 인력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연주소"가 정답인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방송에 필요한 일부 장비나 시설에 대한 용어이지만, "연주소"는 방송 전반에 걸쳐 필요한 모든 설비와 인력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용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유선방송국의 “수신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입력신호 에너지를 간선에서 지선으로 불균등하게 분리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2. 유선방송을 수신하기 위하여 수신자가 구내에 설치하는 선로, 관로, 증폭기 등을 말한다.
  3. 유선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분배기 및 분기기 등을 말한다.
  4. 유선방송국에서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안테나, 케이블 및 증폭장치 등을 말한다.
(정답률: 56%)
  • 유선방송국에서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안테나, 케이블 및 증폭장치 등을 말한다. 이는 유선방송국에서 방송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필수적인 장비들이며, 이들이 없으면 방송신호를 받아들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방송법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방송의 자유와 독립 보장
  2. 방송의 공적 책임을 높임
  3. 시청자의 권익보호와 민주적 여론 형성
  4. 방송의 발전과 방송사의 복리 증진
(정답률: 53%)
  • 방송법의 목적은 방송의 자유와 독립 보장, 방송의 공적 책임을 높임, 시청자의 권익보호와 민주적 여론 형성입니다. 그러나 방송의 발전과 방송사의 복리 증진은 목적이 아닙니다. 이는 단순히 방송사의 이익을 위한 것이며, 방송의 본래 목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방송사업자 또는 중계유선방송사업자가 지체없이 방송통신위원회에 신고해야 할 변경사항으로 관계없는 것은?

  1. 직원 정원의 변경사항
  2. 대표자의 변경사항
  3. 법인 또는 상호명의 변경사항
  4.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 변경사항
(정답률: 69%)
  • 직원 정원의 변경사항은 방송사업자 또는 중계유선방송사업자의 신고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회사 내부적인 인사 관리와 관련된 사항으로, 방송통신위원회와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직원 정원의 변경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종합유선방송국이 사용해야 할 영상신호의 기저대역 주파수는?

  1. 4.2[MHz] 범위 안
  2. 4.2[kHz] 범위 안
  3. 5.75[MHz] 범위 안
  4. 5.75[kHz] 범위 안
(정답률: 46%)
  • 종합유선방송국에서 사용하는 영상신호는 일반적으로 주파수 대역이 4.2MHz 이하인 베이스밴드 신호이다. 이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방식으로 다른 신호와 함께 전송되기 때문에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받아 사용한다. 따라서 영상신호의 기저대역 주파수는 4.2MHz 범위 안에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