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3-11)

방송통신기사
(2012-03-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전력증폭기의 직류공급 전압은 12[V], 전류는 400[mA]이고 효율이 60[%]일 때 부하에서의 출력전력은?

  1. 0.7[W]
  2. 1.44[W]
  3. 2.88[W]
  4. 4.8[W]
(정답률: 50%)
  • 전력증폭기의 입력전력은 직류공급 전압과 전류를 곱한 값인 4.8[W]입니다. 하지만 효율이 60[%]이므로 출력전력은 입력전력의 60[%]인 2.88[W]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88[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이상적인 OP-AMP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입력임피던스(Zi )가 무한대이다.
  2. 출력임피던스(Zo )가 무한대이다.
  3. 전압이득(Av)이 무한대이다.
  4. CMRR(동상제거비)는 무한대이다.
(정답률: 48%)
  • "출력임피던스(Zo )가 무한대이다."가 틀린 것이다. 이상적인 OP-AMP는 입력임피던스(Zi )가 무한대이고 전압이득(Av)이 무한대이며 CMRR(동상제거비)는 무한대이지만, 출력임피던스(Zo )는 0에 가깝다. 이는 출력전압이 입력전압에 영향을 받지 않고 외부 회로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그림은 정류회로의 입력파형과 출력파형을 나타내었다. 주어진 입출력 특성을 만족시키는 정류회로는? (단, 다이오드의 문턱전압은 0.7[V]이고, 변압기의 권선비는 1:1이라 가정한다.)

  1. 반파정류회로
  2. 중간탭 전파정류회로
  3. 2배압 정류회로
  4. 용량성 필터를 갖는 브리지 전파정류회로
(정답률: 54%)
  • 입력파형이 양극성과 음극성 모두 존재하므로, 반파정류회로나 중간탭 전파정류회로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2배압 정류회로는 변압기의 권선비가 1:1이므로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용량성 필터를 갖는 브리지 전파정류회로가 적합하다. 용량성 필터는 정류된 DC 신호의 ripple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브리지 전파정류회로는 입력신호의 양극성과 음극성 모두를 정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은 윈-브릿지(Wein-bridge) 발진회로이다. R1 R2 값이 감소할 경우 발진주파수의 변화는?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변화없다.
  4. 발진이 되지 않는다.
(정답률: 58%)
  • 윈-브릿지 발진회로에서 발진주파수는 R1과 R2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R1과 R2 값이 감소하면 전체 임피던스가 감소하게 되어 발진주파수는 증가한다. 따라서 정답은 "증가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캐스코드 증폭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입력단은 공통베이스, 출력단은 공통이미터로 구성된 증폭기이다.
  2. 전압 궤환율이 매우 적다.
  3. 공통베이스 증폭기로 인해 고주파 특성이 양호하다.
  4. 자기 발진 가능성이 매우 적다.
(정답률: 38%)
  • 전압 궤환율이 매우 적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캐스코드 증폭기는 전압 궤환율이 크기 때문에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전압이 크게 차이나는 경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무부하일 때 직류 출력전압이 120[V]인 전원회로의 전압 변동률이 20[%]일 때 이 전원회로의 부하시 직류 출력전압은 얼마인가?

  1. 100[V]
  2. 10[V]
  3. 110[V]
  4. 11[V]
(정답률: 47%)
  • 전압 변동률이 20%이므로, 출력전압은 120V의 20%인 24V 만큼 변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하가 없을 때의 출력전압인 120V에서 24V를 뺀 96V가 최소 출력전압이 됩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부하가 있다는 조건이 주어졌으므로, 부하에 따라 출력전압이 더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답은 100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단안정, 무안정, 쌍안정의 동작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1. 전원 전압의 크기
  2.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
  3. 전원 전류의 크기
  4. 결합회로의 구성
(정답률: 48%)
  •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단안정, 무안정, 쌍안정의 동작은 결합회로의 구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결합회로는 다양한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부품들의 연결 방식과 전기적 특성에 따라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동작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결합회로의 구성이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동작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전원 전압의 크기,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 전원 전류의 크기는 결합회로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만, 결합회로의 구성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반감산기의 동작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1자리의 2진수의 감산을 하는 동작을 한다.
  2. 2자리의 2진수의 감산을 하는 동작을 한다.
  3. 3자리의 2진수의 감산을 하는 동작을 한다.
  4. 1자리의 carry를 덧셈과 같이 감산하는 동작을 한다.
(정답률: 45%)
  • 반감산기는 1자리의 2진수의 감산을 하는 동작을 한다. 이는 반감산기가 두 개의 1비트 입력을 받아서 뺄셈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1비트 출력으로 내보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감산기는 2자리 이상의 2진수의 감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반감산기를 연결하여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두 게이트 입력이 0과 1일 때, 1의 출력이 나오지 않는 것은?

  1. NOR 게이트
  2. OR 게이트
  3. NAND 게이트
  4. Exclusive OR 게이트
(정답률: 42%)
  • NOR 게이트는 두 입력이 모두 0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므로, 두 입력이 0과 1일 때는 출력이 0이 됩니다. 따라서 NOR 게이트는 두 게이트 입력이 0과 1일 때, 1의 출력이 나오지 않는 유일한 게이트입니다. OR 게이트와 NAND 게이트는 두 입력 중 하나가 1이면 출력이 1이 되므로, 두 입력이 0과 1일 때도 출력이 1이 됩니다. Exclusive OR 게이트는 두 입력이 서로 다를 때만 출력이 1이 되므로, 두 입력이 0과 1일 때 출력이 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의 디지털 장치에서 디코더(decoder)의 반대 동작을 하는 장치는?

  1. 멀티플렉서(multiplexer)
  2. 전가산기(full adder)
  3.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4. 인코더(encoder)
(정답률: 56%)
  • 디코더는 입력 신호를 받아 하나의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반면, 인코더는 여러 개의 입력 신호를 받아 하나의 출력 신호로 변환합니다. 따라서 디코더의 반대 동작을 하는 장치는 인코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2-out of-5 cod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10010
  2. 11000
  3. 10001
  4. 11001
(정답률: 57%)
  • 2-out-of-5 code란 5개의 비트 중에서 2개만 1이고 나머지는 0인 코드를 말한다. "11001"은 2-out-of-5 code에 해당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1이 2개가 아니라 3개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비동기 카운터와 관계없는 것은?

  1. 리플 카운터라고도 한다.
  2. 설계가 쉽다.
  3. 전단의 출력이 다음 단의 트리거 입력이 된다.
  4. 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43%)
  • 전단의 출력이 다음 단의 트리거 입력이 된다는 것은 모든 카운터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특징이므로 비동기 카운터와 관계가 없다. 속도가 빠른 이유는 설계가 간단하고 회로 구성이 단순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발진을 위한 조건으로 적합한 것은?

  1. 클리퍼 회로가 필요하다.
  2. 증폭기에 부궤환 회로를 부가한다.
  3. 공진 결합 회로가 필요하다.
  4. 증폭기에 정궤환 회로를 부가한다.
(정답률: 42%)
  • 발진을 위한 조건은 양의 피드백이며, 이를 위해서는 증폭기에 회로를 부가하여 피드백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때 정궤환 회로는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 신호로 되돌려보내어 양의 피드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증폭기에 정궤환 회로를 부가한다."가 발진을 위한 조건으로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주파수변조를 진폭변조와 비교할 경우 잘못된 것은?

  1. 점유주파수대폭이 넓다.
  2. 초단파대의 통신에 적합하다.
  3. S/N비가 좋아진다.
  4. Echo의 영향이 많아진다.
(정답률: 55%)
  • 주파수변조와 진폭변조는 서로 다른 신호처리 방식이기 때문에 Echo의 영향에 대한 차이가 발생합니다. 주파수변조는 주파수를 변조하여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Echo가 발생하면 주파수가 변조된 신호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반면에 진폭변조는 진폭을 변조하여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Echo의 영향이 적습니다. 따라서, 주파수변조를 사용할 경우 Echo의 영향이 많아진다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논리 함수 를 간소화하면 옳은 것은?

(정답률: 50%)
  • 논리 함수를 간소화하면 이다.

    이유는 논리식을 단순화하면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1. 논리식에서 같은 항목을 찾아서 제거한다.
    2. 논리식에서 괄호 안에 있는 부분을 먼저 계산한다.
    3. 논리식에서 NOT 연산자를 우선적으로 계산한다.
    4. 논리식에서 AND 연산자를 OR 연산자보다 우선적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주어진 논리식에서는 AND 연산자가 OR 연산자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므로, 논리식을 다음과 같이 간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선형 증폭기 동작을 위한 바이어스 조건은?

  1. A급 동작
  2. B급 동작
  3. C급 동작
  4. D급 동작
(정답률: 61%)
  • 선형 증폭기 동작을 위한 바이어스 조건은 A급 동작이다. 이는 출력 신호가 왜곡 없이 입력 신호와 동일한 형태로 증폭되는 최적의 동작 상태를 의미한다. B급 동작은 출력 신호가 왜곡되지만, 전력 손실이 적어서 일부 적용되기도 한다. C급 동작은 출력 신호가 심하게 왜곡되지만, 전력 손실이 적어서 소형 무선 송수신기 등에 적용된다. D급 동작은 출력 신호가 심하게 왜곡되고, 전력 손실도 크기 때문에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정보 전송의 변복조 기술에서 반복 주기가 일정한 펄스의 시간폭을 신호파의 진폭에 대응하여 변화시키는 방식은?

  1. PCM
  2. PPM
  3. PWM
  4. PAM
(정답률: 52%)
  • 반복 주기가 일정한 펄스의 시간폭을 신호파의 진폭에 대응하여 변화시키는 방식은 PWM(Pulse Width Modulation)이다. 이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 중 하나로, 주파수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펄스 폭을 조절하여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정보를 전송하거나 모터 제어 등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그림에서 1차측과 2차측의 권선비가 5:1일 때, 1차측의 입력전압 Vrms=120[V]이다. 2개의 다이오드가 이상적이라고 가정할 때 직류 부하 전류의 평균치는 약 얼마인가?

  1. 1.74[mA]
  2. 2.16[mA]
  3. 5.11[mA]
  4. 6.82[mA]
(정답률: 33%)
  • 다이오드가 이상적이므로, 다이오드의 전압강하는 0.7[V]이다. 따라서 1차측에서 다이오드를 통과한 전압은 120[V]-0.7[V]=119.3[V]이다. 이를 2차측에서 권선비에 따라 나누면 1차측과 2차측의 전압은 각각 119.3[V]과 23.86[V]이 된다. 이때, 2차측의 다이오드는 역방향이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직류 부하 전류의 평균치는 2차측의 저항 R에 의해 결정된다. R은 2차측 전압과 직류 부하 전류의 평균치 Iavg를 이용하여 R=23.86[V]/Iavg 이므로, Iavg=23.86[V]/R이다. 여기서 R은 1차측과 2차측의 권선비가 5:1이므로 R=5^2*Rload=25*Rload이다. 따라서 Iavg=23.86[V]/(25*Rload)이다. 이를 이용하여 직류 부하 전류의 평균치를 계산하면 Iavg=2.16[mA]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30:1의 리플계수기를 설계할 때 최소로 필요한 플립플롭의 수는?

  1. 4
  2. 5
  3. 6
  4. 8
(정답률: 50%)
  • 30:1의 리플계수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5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합니다. 이는 2진수로 표현했을 때 30이 11110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5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은 회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입력 파형의 아랫부분을 잘라내는 베이스 클리퍼 회로이다.
  2. 입력 파형의 윗부분을 잘라내는 피크 클리퍼 회로이다.
  3. 직렬형 베이스 클리퍼 회로이다.
  4. 입력 파형의 위, 아래 부분을 일정하게 잘라내는 클리퍼 회로이다.
(정답률: 49%)
  • 입력 파형의 윗부분을 잘라내는 피크 클리퍼 회로이다. 이 회로는 다이오드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입력 신호의 양의 피크를 잘라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송통신 기기

21. 다음 중 특수한 디지털 영상 효과를 만들어 내는 기기는 무엇인가?

  1. ENG(Electronic News Gathering)
  2. EFP(Electronic Field Pick-up)
  3. 텔레신(Telecine)
  4. DVE(Digital Video Effect)
(정답률: 76%)
  • DVE(Digital Video Effect)는 특수한 디지털 영상 효과를 만들어 내는 기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영상 촬영과 관련된 용어이지만, DVE는 이미 촬영된 영상에 다양한 효과를 적용하여 새로운 영상을 만들어내는 기기입니다. 예를 들어, 화면 분할, 확대/축소, 회전, 페이드 인/아웃 등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SD급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전송과정에서 비트에러 등을 체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은?

  1. Checksum
  2. Parity check
  3. EDH(Error Detection & Handling)
  4. ECC(Error Correction Code)
(정답률: 78%)
  • EDH(Error Detection & Handling)는 SD급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전송과정에서 비트에러 등을 체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EDH는 비디오 신호의 헤더에 추가되어 전송 중에 발생한 오류를 감지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신호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Checksum과 Parity check는 오류 감지에 사용되지만, EDH는 오류 감지와 함께 처리까지 가능하며, ECC는 오류 수정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NTSC 방식에서 1화면의 주사선수가 525개일 때, 1초간 30장의 화면이 송출이 된다면 수평주사주파수는 얼마인가?

  1. 60[Hz]
  2. 525[Hz]
  3. 15,750[Hz]
  4. 4.5[Hz]
(정답률: 85%)
  • NTSC 방식에서 1초간 30장의 화면이 송출되므로, 1장의 화면이 송출되는 시간은 1/30초이다. 따라서, 1초 동안에는 30번의 화면 송출이 이루어지므로, 1화면의 주사선수인 525개의 주사선이 30번 송출되는 것이다. 이를 곱해주면 수평주사주파수를 구할 수 있다.

    525 x 30 = 15,750

    따라서, 수평주사주파수는 15,750[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래픽 처리 과정에서 물체의 감추어진 부분을 제거하고, 물체의 표면에 색상과 음영을 입히는 과정은?

  1. 스크립트
  2. 마스터링
  3. 랜더링
  4. 모델링
(정답률: 84%)
  • 랜더링은 그래픽 처리 과정 중에서 물체의 감추어진 부분을 제거하고, 물체의 표면에 색상과 음영을 입히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랜더링은 그래픽 처리 과정 중에서 물체를 최종적으로 시각화하는 과정으로, 스크립트, 마스터링, 모델링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데이터방송 표준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ACAP은 기본적으로 GEM과 OCAP1.0의 규격을 따르고 있다.
  2. OCAP은 DVB-MHP1.0.2를 따르며, 프로토콜 측면에서 ACAP과OCAP은 대동소이하다.
  3. OCAP1.0은 HTML을 DVB-HTML에서 채용해 정의하고 있다.
  4. ACAP은 ACAP-J, ACAP-X, ACAP-C의 서브시스템으로 나뉜다.
(정답률: 56%)
  • OCAP1.0은 HTML을 DVB-HTML에서 채용해 정의하고 있다. (이 설명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NTSC용 웨이브폼 모니터에서 측정된 50 IRE는 몇 [mV]인가?

  1. 357[mV]
  2. 350[mV]
  3. 346[mV]
  4. 334[mV]
(정답률: 85%)
  • NTSC 신호에서 50 IRE는 0.3V에 해당하며, 이를 75옴으로 나누면 4mV가 된다. 그러나 웨이브폼 모니터는 700mV의 전압 범위를 가지므로, 50 IRE는 700mV의 50/100 또는 0.5배인 350mV에 해당한다. 그러나 NTSC 신호는 블랙 레벨을 7.5 IRE로 설정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50 IRE는 357mV로 측정된다. 따라서 정답은 "357[m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마이크의 원리에 따른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카본 마이크로폰
  2. 콘덴서 마이크로폰
  3. 다이나믹 마이크로폰
  4. 레이저 마이크로폰
(정답률: 74%)
  • 레이저 마이크로폰은 마이크로폰의 원리에 따른 분류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소리를 감지하는 것으로, 마이크로폰의 원리와는 다른 원리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Color의 위상각을 교정 또는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계측기는?

  1. 벡터스코프
  2. 웨이브폼모니터
  3. 오실로스코프
  4. 전위차계
(정답률: 83%)
  • 벡터스코프는 색상 신호의 위상각을 측정하고 교정하는데 사용되는 계측기입니다. 이는 색상 신호의 위상이 올바르게 조정되지 않으면 색상이 왜곡되어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웨이브폼모니터, 오실로스코프, 전위차계는 주로 전기 신호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TV신호의 수평주사선수가 1,050인 화면의 종횡비가 9:16일 때, 최고주파수는? (단, 프레임 주파수는 30[Hz/초])

  1. 4.5[MHz]
  2. 19.5[MHz]
  3. 5.5[MHz]
  4. 29.4[MHz]
(정답률: 69%)
  • 수평주사선수가 1,050이므로 한 주기의 길이는 1,050이 되고, 이는 화면의 가로 길이와 같다. 종횡비가 9:16이므로 화면의 세로 길이는 1,050 x (16/9) = 1,866.67이 된다. 이 때, 최고주파수는 수평주파수의 절반인 525[라인/초] x 30[프레임/초] = 15,750[Hz]이다. 이를 이용하여 수직 주파수를 구하면 1,866.67 / 525 = 3.55[라인/주기]이므로, 최고주파수는 15,750 x 3.55 = 55,987.5[Hz]가 된다. 이를 MHz 단위로 변환하면 55.9875[MHz]가 되는데, 이 값은 보기 중에서 "29.4[MHz]"와 다르다. 따라서 정답은 "29.4[MHz]"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연주소 스튜디오 제작설비 중 음향 조정설비가 아닌 것은?

  1. 테이프 녹음 재생기
  2. 원반 재생기
  3. CDP
  4. 조명 콘솔
(정답률: 73%)
  • 조명 콘솔은 음향 조정설비가 아닌 조명 제어 장비이기 때문입니다. 테이프 녹음 재생기, 원반 재생기, CDP는 모두 음향 재생 장비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한국의 아날로그 TV 자막방송의 기술기준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수직귀선소거기간을 이용하는 경우 신호의 크기는 100 IRE 이내로 한다.
  2. 자막방송의 데이터라인은 주사선 중 한글은 284라인에, 영어는 21라인에 중첩한다.
  3. 데이터 라인은 클럭동기 13비트, 바이트동기 3비트, 첫째 데이터 8비트, 둘째 데이터 8비트로 구성된다.
  4. 한 데이터라인의 데이터 전송용량은 2바이트이다.
(정답률: 48%)
  • 정답은 "수직귀선소거기간을 이용하는 경우 신호의 크기는 100 IRE 이내로 한다." 이다. 이는 기술기준에 맞지 않는 내용이다. 수직귀선소거기간은 비디오 신호에서 수직 동기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이 때, 신호의 크기는 100 IRE 이내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유는 너무 큰 신호는 다른 신호와 간섭을 일으키고, 너무 작은 신호는 신호의 감지를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CATV 시스템에서 분기 단자에 신호를 가했을 때 입력레벨과 간선의 출력단자에서 나오는 출력레벨과의 차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은?

  1. 누화손실
  2. 결합손실
  3. 단자간 결합손실
  4. 역결합손실
(정답률: 79%)
  • 분기 단자에 신호를 가했을 때 입력레벨과 간선의 출력단자에서 나오는 출력레벨과의 차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은 역결합손실이다. 이는 분기 단자에서 신호가 반사되어 다시 입력 신호와 겹쳐져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신호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64개의 코드 중에서 개당 256[kbps]를 수신가능하나 채널코딩과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30개의 채널 중에 29개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2. 코드분할다중화방식이라 불린다.
  3. 변조방식은 8VSB이다.
  4. 위성DMB는 CDM방식으로 단일파 방식이다.
(정답률: 64%)
  • 변조방식은 8VSB이다. - CDM 기술은 코드분할다중화 방식으로, 여러 개의 채널을 동시에 전송하고 수신하는 기술이다. 이 때, 변조방식은 8VSB가 아닌 다른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디지털라디오방송 방식인 IBOC의 변조방식은?

  1. 8-VSB
  2. Eureca-147
  3. OFDM-QPSK
  4. MUSICAM
(정답률: 57%)
  • IBOC의 변조방식은 OFDM-QPSK이다. OFDM은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의 약자로, 다중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QPSK는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의 약자로, 2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OFDM-QPSK는 이 두 가지 방식을 결합한 것으로, 높은 전송 효율성과 안정성을 보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진폭변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변복조 회로가 간단하다.
  2. 주파수 변동에 강하다.
  3. 레벨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피변조파의 점유 주파수 대역폭이 좁다.
(정답률: 50%)
  • 진폭변조의 장점 중 레벨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진폭변조는 진폭을 변조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진폭이 변하면 신호의 레벨도 함께 변합니다. 따라서 외부 요인에 의해 진폭이 변하면 신호의 레벨도 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텔레비전 공시청시설의 헤드앤드설비의 기자재가 아닌 것은?

  1. 진폭변조기
  2. 시그널프로세서
  3. 다채널혼합기
  4. 간선증폭기
(정답률: 64%)
  • 간선증폭기는 텔레비전 공시청시설의 헤드엔드 설비에서 사용되는 기자재가 아닙니다. 이는 주로 오디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자재로, 입력 신호의 간선을 증폭하여 출력 신호의 진폭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방송 서비스와 데이터방송표준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지상파방송 : CAM
  2. 위성방송 : ACAP
  3. 케이블방송 : OCAP
  4. 인터넷방송 : DVB-GEM
(정답률: 81%)
  • 케이블방송은 OCAP(OpenCable Application Platform)을 사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OCAP은 케이블방송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방송표준으로, 인터넷과 유사한 환경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케이블방송과 OCAP은 서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무궁화위성 3호기의 위치로 적합한 것은?

  1. 동경 114°, 고도 약 34,000[km]
  2. 동경 115°, 고도 약 35,000[km]
  3. 동경 116°, 고도 약 36,000[km]
  4. 동경 117°, 고도 약 37,000[km]
(정답률: 80%)
  • 무궁화위성 3호기는 대한민국의 통신 위성으로, 한반도와 인접한 지역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위성은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지역을 최대한 커버할 수 있도록 위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위성의 고도가 높을수록 커버하는 지역이 넓어지므로, 고도는 약 36,000[km] 이상이어야 합니다. 또한, 위성의 위치는 동경 116° 정도가 적합합니다. 이는 한반도와 인접한 지역을 커버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동경 116°, 고도 약 36,000[km]"이 무궁화위성 3호기의 위치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비디오 스위처(switcher)의 기능 중 현재의 영상과 다음에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을 혼합(mix)하여 부드럽게 전환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디졸브(Dissolve)
  2. 혼합(Mix)
  3. 컷(Cut)
  4. 프리뷰(Preview)
(정답률: 84%)
  • 디졸브(Dissolve)는 현재의 영상과 다음에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을 서서히 혼합하여 전환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는 부드러운 전환 효과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영상 전환 시 자주 사용된다. 따라서 디졸브(Dissolve)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카메라 감마(gamma)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감마를 낮게 하면 색도 대 휘도의 비율이 낮아진다.
  2. 감마 레벨을 높게 하면 화면의 채도가 낮아진다.
  3. 수상관의 감마는 촬상관의 감마보다 높기 때문에 보정회로를 사용한다.
  4. 감마는 파형모니터(WFM)상의 중간 영역에 속한다.
(정답률: 68%)
  • "감마 레벨을 높게 하면 화면의 채도가 낮아진다."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감마 레벨을 높이면 화면의 밝은 부분이 더 어두워지고, 어두운 부분은 더 어둡게 나타나므로 전체적으로 채도가 낮아진다. 이는 감마가 색상의 밝기와 채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방송미디어 공학

41. 다음 중 조명기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주명기의 광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금속판으로 2~4개 의 판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판이 따로 움직여 조절이 가능한 것을 지칭하는 용어는?

  1. 반 도어(barn door)
  2. 톱 햇(top hat)
  3. 젤 익스텐더(gel extender)
  4. 빔 벤더(beam bender)
(정답률: 83%)
  • 반 도어(barn door)는 조명기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조명기의 광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2~4개의 판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판이 따로 움직여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인 "톱 햇(top hat)", "젤 익스텐더(gel extender)", "빔 벤더(beam bender)"는 조명기의 기능과는 관련이 있지만, 반 도어와 같은 광량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디지털 녹화기(VCR)에서 음성신호 표본화주파수가 48[kHz]이라면, 2ch 방식, 16비트 양자화시의 전송 비트레이트는 몇 [Mbps]인가?

  1. 1.236[Mbps]
  2. 1.336[Mbps]
  3. 1.456[Mbps]
  4. 1.536[Mbps]
(정답률: 79%)
  • 음성신호 표본화 주파수가 48[kHz]이므로, 1초당 48,000개의 샘플링이 이루어진다. 2채널 방식이므로, 1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는 다음과 같다.

    48,000 x 2 x 16 = 1,536,000 [bps]

    하지만, Mbps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536,000 / 1,000,000 = 1.536 [Mbps]

    따라서, 정답은 "1.536[Mbp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마이크의 지향성에 따른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지향성 마이크는 모든 방향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똑같이 흡수한다.
  2. 무지향성 마이크는 일정한 거리에서 같은 레벨로 수음이 되기 때문에 핀마이크로 사용이 어렵다.
  3. 양방향 지향성 마이크는 소리를 흡수하는 범위가 양쪽으로 형성되는 경우이다.
  4. 단일지향성 마이크는 마이크를 총처럼 겨누었을 때 앞부분을 향해서 오는 소리를 흡수하는 기능 가장 활발한 마이크를 말한다.
(정답률: 78%)
  • "무지향성 마이크는 일정한 거리에서 같은 레벨로 수음이 되기 때문에 핀마이크로 사용이 어렵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무지향성 마이크는 모든 방향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똑같이 흡수한다는 설명은 맞다. 양방향 지향성 마이크는 소리를 흡수하는 범위가 양쪽으로 형성되는 경우이며, 단일지향성 마이크는 마이크를 총처럼 겨누었을 때 앞부분을 향해서 오는 소리를 흡수하는 기능 가장 활발한 마이크를 말한다.

    무지향성 마이크는 일정한 거리에서 같은 레벨로 수음이 되기 때문에 핀마이크로 사용이 어렵다는 설명도 맞다. 이는 무지향성 마이크가 모든 방향에서 소리를 똑같이 흡수하기 때문에, 마이크와 소리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소리의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핀마이크와 같이 특정 방향에서 소리를 집중적으로 수집해야 하는 경우에는 무지향성 마이크보다는 다른 종류의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중파방송의 주파수의 범위는 526.5[kHz]~1,606.5[kHz]이다. 이 중파방송 대역폭에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사용 채널수는 이론적으로 몇 개인가?

  1. 120개
  2. 130개
  3. 100개
  4. 150개
(정답률: 82%)
  • 중파방송 대역폭은 1,080[kHz]이다. 하나의 채널은 10[kHz]의 대역폭을 사용하므로, 이론적으로 최대 사용 가능한 채널 수는 1,080[kHz] / 10[kHz] = 108개이다. 그러나 중파방송에서는 인접한 채널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9[kHz]의 간격을 두고 채널을 사용하므로, 실제 사용 가능한 채널 수는 1,080[kHz] / 9[kHz] = 120개이다. 따라서 정답은 "120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스튜디오 조명을 5K 조명기, 2K 조명기와 같이 분류할 때, “K"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1. 색온도
  2. 크기
  3. 무게
  4. 전력 용량
(정답률: 86%)
  • "K"는 "켈빈(Kelvin)"의 약자로, 조명의 색온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K"가 의미하는 것은 조명의 색온도이며, 전력 용량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색온도"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디지털 오디오의 표준 포맷 중 하나인 AES/EBU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프레임은 두 개의 sub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2. 한 프레임은 48비트이다.
  3. 샘플링 주파수로 48[kHz]를 지원한다.
  4. 한 채널의 subframe 오디오데이터는 20비트가 일반적이며 24비트까지 지원한다.
(정답률: 53%)
  • 정답은 "한 프레임은 48비트이다." 이다. AES/EBU의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32비트이며, 2개의 subframe으로 구성된다. 각 subframe은 일반적으로 20비트의 오디오 데이터와 4비트의 유효성 검사 비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한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64비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괄호 안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1. 인터넷
  2. 자유성
  3. 사회성
  4. 익명성
(정답률: 85%)
  • 이미지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쉽게 글을 쓸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터넷의 특성 중 하나는 익명성입니다. 인터넷을 통해 글을 쓰면 자신의 신원을 밝히지 않고도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익명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HDTV의 해상도를 바르게 기술한 것은?

  1. 라인당 유효 화소소: 1,620 픽셀, 수평 해상도: 1,050 라인
  2. 라인당 유효 화소소: 1,720 픽셀, 수평 해상도: 1,060 라인
  3. 라인당 유효 화소소: 1,820 픽셀, 수평 해상도: 1,070 라인
  4. 라인당 유효 화소소: 1,920 픽셀, 수평 해상도: 1,080 라인
(정답률: 83%)
  • HDTV의 해상도는 수평 방향으로 1,080 라인, 수직 방향으로 1,920 픽셀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라인당 유효 화소소: 1,920 픽셀, 수평 해상도: 1,080 라인"이 올바른 기술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수치가 다르거나 수평/수직 방향이 바뀌어 있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NTSC 신호의 영상 및 음성의 변조방식으로 적합한 것은?

  1. 영상 : AM, 음성 : AM
  2. 영상 : AM, 음성 : FM
  3. 영상 : FM, 음성 : AM
  4. 영상 : FM, 음성 : FM
(정답률: 75%)
  • NTSC 신호는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가 별도로 변조되어 전송되는데, 영상 신호는 AM(진폭 변조) 방식으로 변조되고, 음성 신호는 FM(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변조되어 전송됩니다. 따라서 영상은 AM, 음성은 FM 방식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우리나라의 지상파 DMB 기술의 기반이 된 기술표준은 무엇인가?

  1. Eureka-147
  2. ISDM-TSB
  3. DRM
  4. IBOC
(정답률: 79%)
  • 정답은 "Eureka-147"입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지상파 DMB 기술의 기반이 된 기술표준으로, 유럽 방송 연합에서 개발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고음질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다중 채널 방송과 데이터 서비스도 가능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부터 지상파 DMB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디지털 변조방식인 8-VSB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데이터 전송률은 6[MHz] 채널에 19.39[Mbps]이다.
  2. 이동수신에는 적합하지 않은 방식이다.
  3. 변조기에는 8레벨의 트렐리스 부호화 복합 데이터신호가 입력된다.
  4. 각 데이터 세그먼트는 2개의 심볼로 구성된다.
(정답률: 56%)
  • "각 데이터 세그먼트는 2개의 심볼로 구성된다."라는 설명이 잘못되었다. 8-VSB 방식에서 각 데이터 세그먼트는 188바이트 크기로 구성되며, 이는 832개의 비트로 변조된다. 이렇게 변조된 데이터는 8레벨의 트렐리스 부호화를 거쳐 2개의 심볼로 구성된다. 따라서 각 데이터 세그먼트는 2개의 심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8레벨의 트렐리스 부호화를 거친 후 2개의 심볼로 구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벡터 형식의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파일 포맷이 아닌 것은?

  1. WMF
  2. EPS
  3. AI
  4. BMP
(정답률: 63%)
  • BMP는 벡터 형식의 이미지를 표현할 수 없는 파일 포맷이다. BMP는 비트맵 형식으로, 이미지를 픽셀 단위로 저장하기 때문에 확대나 축소 시 이미지가 깨지거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벡터 형식의 이미지를 표현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반면, WMF, EPS, AI는 모두 벡터 형식의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파일 포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우리나라 디지털 TV방송의 오디오 압축방식인 Dolby AC-3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5.1 포맷은 기존의 스테레오 채널(Left, Right)에 6개의 채널이 추가로 구성된 것이다.
  2. 5개의 메인채널과 주로 저음 영역을 담당하는 LFE(Low Frequency Effects)채널, 이렇게 6개로 구성된다.
  3. 메인채널의 주파수 재생영역은 3[Hz]~20[kHz]로 LFE 채널은 3[Hz]~120[Hz]로 주파수 영역이 제한된 채널이다.
  4. 5.1에서 “5” 는 5개의 메인채널을 뜻하며, “1”은 LFE를 뜻하며 메인채널 주파수의 1/10을 재생한다.
(정답률: 80%)
  • 잘못된 것은 "5.1 포맷은 기존의 스테레오 채널(Left, Right)에 6개의 채널이 추가로 구성된 것이다." 이다. 5.1 포맷은 스테레오 채널(Left, Right)에 5개의 메인채널과 LFE(Low Frequency Effects)채널이 추가로 구성된 것이다. 5.1에서 “5” 는 5개의 메인채널을 뜻하며, “1”은 LFE를 뜻하며 메인채널 주파수의 1/10을 재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MPEG의 화상 데이터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I 픽쳐
  2. S 픽쳐
  3. P 픽쳐
  4. B 픽쳐
(정답률: 73%)
  • S 픽쳐는 MPEG에서 화상 데이터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I 픽쳐는 인트라 프레임, P 픽쳐는 프레딕티드 프레임, B 픽쳐는 바이드렉션 프레임으로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요소입니다. 하지만 S 픽쳐는 MPEG에서 사용되지 않는 특수한 종류의 화상 데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사용되는 오디오 압축 부호화 형식이 아닌 것은?

  1. MPEG-1
  2. MPEG-2
  3. MPEG-3
  4. MPEG-4
(정답률: 62%)
  • "MPEG-3"은 존재하지 않는 형식입니다. MPEG-1, MPEG-2, MPEG-4은 모두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사용되는 오디오 압축 부호화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정상적인 컴포지트 비디오 신호(composite video signal)를 표현한 것으로 바르지 않는 것은?

  1. Full : 140 IRE
  2. Video : 100 IRE
  3. Sync : 30 IRE
  4. Burst : 40 IRE
(정답률: 75%)
  • 정답은 "Full : 140 IRE"이다.

    컴포지트 비디오 신호는 Sync, Video, Burst로 구성된다. Sync는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0 IRE에서 40 IRE 사이의 값으로 표현된다. Video는 영상 신호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0 IRE에서 100 IRE 사이의 값으로 표현된다. Burst는 색상 정보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0 IRE에서 40 IRE 사이의 값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Sync가 30 IRE인 것은 정상적인 컴포지트 비디오 신호이다. Sync가 0 IRE이거나 40 IRE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Full이 140 IRE인 것은 비디오 신호의 최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정상적인 컴포지트 비디오 신호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MPEG 영상 데이터의 계층을 낮은 층부터 올바르게 연결한 것은?

  1. Block - Macroblock - Slice - Picture
  2. Macroblock - Block - Slice - Picture
  3. Slice - Macroblock - Block - Picture
  4. Slice - Block - Macroblock - Picture
(정답률: 78%)
  • MPEG 영상 데이터의 계층 구조는 Block, Macroblock, Slice, Picture 순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Block: 영상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로, 8x8 크기의 픽셀 블록입니다.
    - Macroblock: Block을 모아서 만든 큰 단위로, 16x16 크기의 픽셀 블록입니다. 이것이 영상 압축의 기본 단위가 됩니다.
    - Slice: 영상을 여러 개의 Slice로 나누어 처리하는데, Slice는 여러 개의 Macroblock으로 이루어진 단위입니다.
    - Picture: 영상의 전체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위로, 여러 개의 Slice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Block - Macroblock - Slice - Picture 순서가 올바른 계층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텔레비전 방송 주파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지상파 TV 방송 사용주파수는 30~300[MHz]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2. 지상파 TV 방송의 VHF와 UHF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으며 각 채널당 주파수 대역폭은 6[MHz]씩으로 되어 이TEk.
  3. 아날로그 TV 수직 주사선 주파수는 15,750[Hz]이다.
  4. 디지털 방송시스템 도입으로 향후는 아날로그 TV 1개 채널로 SD급 디지털 채널로 전환시에는 4~5개로 확장이 가능하나, HDTV 1개 채널당 6[MHz]가 필요하다.
(정답률: 69%)
  •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지상파 TV 방송 사용주파수는 30~300[MHz]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아날로그 지상파 TV 방송은 VHF(very high frequency)와 UHF(ultra high frequency) 주파수 대역을 사용합니다. VHF 대역은 30~300MHz, UHF 대역은 300~3000MHz의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30~300[MHz]이하"라는 표현은 VHF 대역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UHF 대역도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틀린 설명입니다.

    아날로그 TV 수직 주사선 주파수는 1초당 15,750번의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이는 화면을 구성하는 수직 방향의 라인 수를 결정하는 주파수로, 화면의 해상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아날로그 음성신호의 양옆에 디지털 정보를 배치하여 전송하는 혼성(Hybrid)모드로서 아날로그 음성신호의 대역폭을 줄이고 기존 할당된 방송주파수 내에서 디지털 방송신호까지 보낼 수 있는 확장성 혼성 디지털라디오방송 방식은?

  1. IBOC
  2. Eureka-147
  3. DRM
  4. DRM+
(정답률: 69%)
  • IBOC는 In-Band On-Channel의 약자로, 아날로그 음성신호와 디지털 정보를 동일한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전송하는 혼성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주파수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디지털 방송신호까지 전송할 수 있어 확장성이 뛰어나며, 대부분의 라디오 수신기에서 호환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디지털방송에 사용되는 5.1채널의 주요 특징이 아닌 것은?

  1. 명료감
  2. 음장감
  3. 후면 음상정위
  4. 센터 음상정위
(정답률: 74%)
  • 정답은 "명료감"입니다. 5.1채널은 주로 음장감, 후면 음상정위, 센터 음상정위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명료감은 음향의 선명도와 관련된 특징으로, 5.1채널에서도 중요하지만 다른 특징들과는 조금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방송통신 시스템

61. 다음 중파방송의 변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노포닉 방송의 송신장치의 변조도는 95퍼센트까지 직선적으로 변조해야 한다.
  2. 스테레오포닉 방송의 송신장치의 변조도는 동일한 좌측신호와 우측신호를 합한 신호에 의하여 적어도 95퍼센트까지 직선적으로 변조해야 한다.
  3. 모노포닉 방송을 위한 변조방식은 주파수변조 방식으로 해야 한다.
  4. 스테레오포닉 방송을 위한 변조방식은 모노포닉 방송과 양립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직교진폭변조 방식으로 해야 한다.
(정답률: 54%)
  • "모노포닉 방송의 송신장치의 변조도는 95퍼센트까지 직선적으로 변조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모노포닉 방송의 경우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해야 하며, 직선적으로 변조할 필요는 없다. 주파수 변조 방식은 송신신호의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주파수를 변화시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모노포닉 방송에 적합하며, 스테레오포닉 방송에도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텔레비전 송신설비를 조정하거나 시험하며 고장시 보수를 위해 필요한 장비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2. RF 발진기(RF oscillator)
  3. 왜곡분석기(distortion analyzer)
  4. 주파수 카운터(frequency counter)
(정답률: 65%)
  • RF 발진기는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장비로, 송신설비를 조정하거나 시험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장비입니다. 따라서 RF 발진기는 다른 장비들과 달리 사용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표준방송이라고 하는 중파방송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526.5[kHz]~1,605.5[kHz]의 전파를 사용한다.
  2. 방송방식으로 양측파대 진폭변조를 사용한다.
  3. 방송국의 청취가능영역이 넓다.
  4. FM 방송에 비해 음질이 우수하다.
(정답률: 67%)
  • FM 방송에 비해 음질이 우수하다는 것은 틀린 것이다. 중파방송은 주파수 대역폭이 좁아서 음질이 좋지 않은 편이다. 이는 FM 방송이 더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M/W(Mocrowave) 안테나회선의 송신기출력(Pt)이 10[dBm]이고, 송신안테나의 이득(Gt)은 30[dB], 수신안테나의 이득(Gr)은 [dB], 자유공간 손실(L)은 5[dB]일 때, 수신안테나의 이득(Gr)을 계산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40[dB]
  2. 30[dB]
  3. 20[dB]
  4. 10[dB]
(정답률: 69%)
  • 자유공간 손실은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수신안테나의 이득(Gr)은 송신안테나의 출력(Pt)과 수신안테나와의 거리에 따른 자유공간 손실(L)을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다.

    수신안테나의 이득(Gr) = Pt + Gt - L - Pr

    여기서 Pr은 수신안테나에 도달하는 신호의 수신강도이다. 이 문제에서는 Pr을 구하는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수신안테나의 이득(Gr)을 계산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정보가 부족하여 계산할 수 없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지상파 DMB 전송시스템의 오류분산에서 “고속정보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에 사용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1. 시간인터리빙
  2. 주파수인터리빙
  3. 길쌈부호
  4. CRC
(정답률: 75%)
  • 고속정보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주파수인터리빙(Frequency Interleaving)이다. 이는 데이터를 여러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로 분할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다시 원래의 순서로 재조합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오류가 발생해도 전체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고 일부만 손상되는 오류분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통신용접지에서 접지극과 접지선은 전기적ㆍ기계적으로 견고히 접속하여야 한다. 다음 중 접속 방법이 틀린 것은?

  1. 구조체 강재와 접지선: 용접
  2. 접지봉과 접지선: 접속 클램프 또는 용접
  3. 철근과 접지선: 동슬라브
  4. 접지선 상호간: 동슬라브, 접속 클램프 또는 용접
(정답률: 74%)
  • 정답은 "철근과 접지선: 동슬라브"이다. 철근과 접지선을 동슬라브 방식으로 접속하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이유는 철근은 접지선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철근과 접지선을 접속할 때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과 같은 조건이 주어질 경우 10[GHz] 대역에서의 자유공간 손실은?

  1. 약 185.6[dB]
  2. 약 200.7[dB]
  3. 약 203.7[dB]
  4. 약 211.7[dB]
(정답률: 73%)
  • 주어진 그림에서 거리는 10[m]이고 주파수는 10[GHz]이다. 이를 이용하여 자유공간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자유공간 손실(dB) = 20log(4πd/λ)

    여기서 d는 거리(m), λ는 파장(m)이다. 따라서,

    λ = c/f = 3x10^8 / 10^10 = 0.03[m]

    자유공간 손실(dB) = 20log(4πd/λ) = 20log(4πx10/0.03) ≈ 203.7[dB]

    따라서, 정답은 "약 203.7[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AM 스테레오 방식의 기본원리가 아닌 것은?

  1. 직각변조방식(AM/AM)
  2. 진폭각도변조방식(AM/PM, AM/FM)
  3. 독립측파대방식(AM/PM)
  4. 강도변조방식(IM/PM)
(정답률: 76%)
  • 강도변조방식(IM/PM)은 직접적으로 AM 스테레오 방식과 관련이 없는 방식입니다. AM 스테레오 방식은 왼쪽 채널과 오른쪽 채널을 각각 캐리어파에 직각으로 변조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이를 복조하여 왼쪽과 오른쪽 채널을 구분하고 합성하는 방식입니다. 반면 강도변조방식(IM/PM)은 캐리어파의 진폭이나 위상을 변조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통신망의 발전 및 진화단계로 옳은 것은?

  1. BcN → PSTN → N-ISDN → B-ISDN
  2. PSTN → N-ISDN → B-ISDN → BcN
  3. PSTN → B-ISDN → N-ISDN → BcN
  4. N-ISDN → BcN → PSTN → B-ISDN
(정답률: 62%)
  • 정답은 "PSTN → N-ISDN → B-ISDN → BcN" 입니다.

    PSTN은 고정선 전화망으로, 기존의 전화망입니다. N-ISDN은 디지털 전화망으로, PSTN보다 더 높은 전송 속도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B-ISDN은 넓은 대역폭을 가진 디지털 전화망으로, 고화질 영상 및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BcN은 다양한 통신망을 통합한 네트워크로, 고속 인터넷, IPTV, VoIP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PSTN → N-ISDN → B-ISDN → BcN은 통신망의 발전 및 진화 단계를 나타내는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디지털방송 8-VSB 송신기 블록에서 변조 이전 과정의 순서로 맞는 것은?

  1. 데이터 랜덤화 - 리드솔로몬 부호화 - 데이터 인터리브 - 트렐리스 부호화
  2. 리드솔로몬 부호화 - 데이터 랜덤화 - 데이터 인터리브 - 트렐리스 부호화
  3. 데이터 랜덤화 - 데이터 인터리브 - 리드솔로몬 부호화 - 트렐리스 부호화
  4. 데이터 랜덤화 - 리드솔로몬 부호화 - 트렐리스 부호화 - 데이터 인터리브
(정답률: 74%)
  • 디지털 방송에서 데이터 랜덤화는 데이터를 무작위로 섞어서 특정한 패턴이 없도록 만드는 과정입니다. 이후 리드솔로몬 부호화는 데이터를 검출하고 수정하는데 사용되는 부호화 기술입니다. 데이터 인터리브는 데이터를 재배열하여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는 기술입니다. 마지막으로 트렐리스 부호화는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 시간을 단축시키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데이터 랜덤화 - 리드솔로몬 부호화 - 데이터 인터리브 - 트렐리스 부호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우리나라에서 사용 중인 아날로그 TV 방송 방식은?

  1. PAL 방식
  2. SECAM 방식
  3. NTSC 방식
  4. PAL-1 방식
(정답률: 74%)
  • 우리나라에서 사용 중인 아날로그 TV 방송 방식은 NTSC 방식입니다. 이는 미국에서 개발된 방식으로, 60Hz의 전기 주파수를 사용하며, 화면을 525개의 수평선으로 나누어 전송합니다. 또한, 색상 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전송하며, 색상과 밝기 신호를 분리하여 처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SECAM 컬러텔레비전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사선마다 2개의 색차 신호를 순차적으로 교체하면서 색부 반송파를 주파수 변조하여 휘도 신호에 중첩시켜 전송한다.
  2. 프랑스의 텔레비전 회사가 개발하였다.
  3. 주파수 변조(FM)를 이용하기 때문에 전송로에서 발생하는 진폭 일그러짐이나 위상 일그러짐에 강한 특성을 가진다.
  4. 인터리브(interleave) 효과로 흑백 방식과 양립성이 우수하고 수직방향의 색 해상도가 우수하다.
(정답률: 47%)
  • "인터리브(interleave) 효과로 흑백 방식과 양립성이 우수하고 수직방향의 색 해상도가 우수하다."라는 설명은 올바르다. SECAM 컬러텔레비전 방식은 프랑스의 텔레비전 회사가 개발하였으며, 주사선마다 2개의 색차 신호를 순차적으로 교체하면서 색부 반송파를 주파수 변조하여 휘도 신호에 중첩시켜 전송한다. 또한, 주파수 변조(FM)를 이용하기 때문에 전송로에서 발생하는 진폭 일그러짐이나 위상 일그러짐에 강한 특성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종합유선방송국 음성신호의 특성 및 질적 수준에 있어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사용하여야 할 기저대역 주파수는 50[Hz]에서 15[kHz] 범위 안일 것
  2. 출력의 레벨은 0[dBm]을 기준으로 하여 ±10[dB] 이내일 것
  3. 출력의 레벨은 0[dBm]을 기준으로 하여 ±5[dB] 이내일 것
  4. 출력 임피던스는 600[Ω] 평형일 것
(정답률: 69%)
  • "출력의 레벨은 0[dBm]을 기준으로 하여 ±10[dB] 이내일 것"이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종합유선방송국에서 전송되는 음성신호의 출력 레벨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유는 출력 레벨이 너무 높으면 왜곡이 발생하고, 너무 낮으면 신호가 소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출력 레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위성방송에서 전파손실의 가장 큰 원인으로 적합한 것은?

  1. 자유공간 손실
  2. 감쇠와 흡수
  3. 산란과 회절
  4. 다중경로 손실
(정답률: 80%)
  • 위성방송에서 전파손실의 가장 큰 원인은 "자유공간 손실"입니다. 이는 전파가 공간을 통과하면서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쇠되는 현상으로, 전파가 직선적으로 전달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전파의 전달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파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위성방송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성으로부터 직접 전파를 수신하기 때문에 화질의 열화가 적다.
  2. 산간벽지, 외딴 섬 등에서도 선명한 방송의 수신이 가능하다.
  3. 위성을 중계매체로 하기 때문에 비상시 전국적인 방송이 불가능하다.
  4. 양질의 영상과 음성 수신이 가능하다.
(정답률: 86%)
  • "위성을 중계매체로 하기 때문에 비상시 전국적인 방송이 불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위성방송은 지상파 방송과 달리 지리적 제약이 적기 때문에 전국적인 방송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우리나라의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TV 음성 부호화 동기방식은?

  1. MPEG-4 AVC
  2. MPEG-Ⅱ Layer Ⅱ
  3. MPEG-1 Layer Ⅱ
  4. MPEG-4 BSAC
(정답률: 68%)
  • 우리나라의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TV 음성 부호화 동기방식은 MPEG-4 BSAC이다. 이는 MPEG-4 Advanced Audio Coding (AAC)의 일종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하고 전송할 때 높은 효율성과 음질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MPEG-4 BSAC은 특히 낮은 비트레이트에서도 높은 음질을 유지할 수 있어 DMB와 같은 제한된 대역폭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스트리밍 기술과 직접적으로 관련 없는 것은?

  1. VoIP
  2. IP 망에서 VOD 서비스
  3. Web camera를 통한 화상 서비스
  4. JPEG를 이용한 정지영상 서비스
(정답률: 78%)
  • JPEG를 이용한 정지영상 서비스는 스트리밍 기술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것이다. 이는 정지영상이 스트리밍 기술의 핵심인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보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JPEG를 이용한 정지영상 서비스는 스트리밍 기술과는 별개의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FM 송신기에서 좌신호와 우신호를 합과 차신호로 만들고 합신호는 모노형 수신기 청취자에게, 차신호는 스테레오 수신자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회로는?

  1. 프리엠퍼시스회로
  2. 매트릭스회로
  3. 평형변조기
  4. FM 여진기(Excitor)
(정답률: 71%)
  • 매트릭스회로는 좌/우 신호를 합/차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로, 이를 이용하여 FM 송신기에서 좌/우 신호를 합/차 신호로 만들고 합신호는 모노형 수신기 청취자에게, 차신호는 스테레오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트릭스회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제한된 용량을 가진 통신자원에 대하여 다수의 독립적인 사용자가 공동의 자원으로 채널 을 공유하기 위해 방송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다중화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동기 위상 다중화
  2. 동기 시분할 다중화
  3. 비동기 시분할 다중화
  4. 주파수 분할 다중화
(정답률: 56%)
  • 정답: "비동기 위상 다중화"

    설명: 비동기 위상 다중화는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다른 세 가지 다중화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동기 시분할 다중화: 시간을 일정한 단위로 나누어 각 사용자에게 일정한 시간을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식
    - 비동기 시분할 다중화: 데이터의 도착 시간에 따라 일정한 크기로 나누어 각 사용자에게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식
    - 주파수 분할 다중화: 주파수 대역을 나누어 각 사용자에게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식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디지털방송의 변조에서 요구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대역폭 효율이 낮을 것
  2. 전력 효율이 높을 것
  3. 잡음 및 간섭에 강할 것
  4. 출력 스펙트럼이 단순한 구조일 것
(정답률: 73%)
  • 디지털 방송의 변조에서 요구되는 사항 중 "대역폭 효율이 낮을 것"은 아닙니다. 대역폭 효율이 낮을수록 더 많은 대역폭이 필요하므로 디지털 방송에서는 대역폭 효율이 높아야 합니다. 이는 전송 대역폭을 줄이고 더 많은 채널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방송설비기준

81. 다음 중 데이터 단위에 대한 표현이 틀린 것은?

  1. Byte : 8Bit
  2. Word : 16Bit
  3. Nibble : 4Bit
  4. Double Word : 24Bit
(정답률: 70%)
  • Double Word는 일반적으로 32비트(4바이트)를 의미하지만, 주어진 보기에서는 24비트로 잘못 표기되었다. 따라서 정답은 "Double Word : 24Bi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방송사업자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지상파방송사업자 : 지상파방송사업을 하기 위하여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허가를 받은 자
  2.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종합유선방송사업을 하기 위하여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허가를 받은 자
  3. 위성방송사업자 : 위성방송사업을 하기 위하여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허가를 받은 자
  4. 방송채널사용사업자 : 방송채널사용사업을 하기 위하여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허가를 받은 자
(정답률: 61%)
  • 정답은 "방송채널사용사업자 : 방송채널사용사업을 하기 위하여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허가를 받은 자"입니다. 방송채널사용사업자는 방송채널을 이용하여 방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업자로,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허가를 받지 않고도 사업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허가를 받으면 더 많은 채널을 이용할 수 있고, 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지상파방송사업에 대한 정의로 옳은 것은?

  1. 인공위성의 무선국을 이용하여 방송을 행하는 사업
  2. 방송을 목적으로 하는 지상의 무선국을 관리ㆍ운영하며 이를 이용하여 방송을 행하는 사업
  3. 전송ㆍ선로설비를 이용하여 방송을 행하는 다채널 방송사업
  4. 특정채널의 전부 또는 일부 시간에 대한 전용 사용 계약을 체결하여 그 채널을 사용하는 사업
(정답률: 76%)
  • "방송을 목적으로 하는 지상의 무선국을 관리ㆍ운영하며 이를 이용하여 방송을 행하는 사업"이 옳은 정의이다. 이는 지상파방송사업의 핵심적인 내용인 지상파방송국을 운영하고 이를 통해 방송을 제공하는 사업을 의미한다. 인공위성의 무선국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며, 다채널 방송사업과는 구분된다. 또한, 특정 채널의 전용 사용 계약을 체결하는 것도 지상파방송사업의 정의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CPU의 개입 없이 메모리와 주변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은?

  1. 인터럽트(Interrupt)
  2. 스풀링(Spooling)
  3. 버퍼링(Buffering)
  4. DMA(Direct Memory Access)
(정답률: 78%)
  • DMA(Direct Memory Access)은 CPU의 개입 없이 메모리와 주변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이다. DMA는 주변장치가 직접 메모리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CPU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데이터 전송 속도도 빠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DMA가 CPU의 개입 없이 메모리와 주변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유일한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자료가 발생할 때마다 즉시 처리하여 응답하는 방식은?

  1. 일괄 처리 시스템
  2. 실시간 처리 시스템
  3. 시분할 시스템
  4. 병렬 처리 시스템
(정답률: 82%)
  • 실시간 처리 시스템은 자료가 발생할 때마다 즉시 처리하여 실시간으로 응답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다른 시스템과 달리 자료를 일정량 모아서 한꺼번에 처리하는 일괄 처리 시스템이나 시간을 분할하여 처리하는 시분할 시스템, 그리고 여러 대의 컴퓨터를 병렬로 연결하여 처리하는 병렬 처리 시스템과는 구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기법은?

  1. 스풀링(Spooling)
  2. 다중 프로그래밍(Multi-programming)
  3. 다중 처리기(Multi-processor)
  4. 다중 태스킹(Multi-tasking)
(정답률: 70%)
  • 단말기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기법은 "다중 태스킹(Multi-tasking)"입니다. 이는 운영체제가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면서 각각의 프로그램이 자신만의 가상 CPU를 할당받아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빈번하게 페이지 부재가 발생하여 실제 작업에 걸리는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스레싱(Thrashing)
  2. 워킹 셋(Working Set)
  3. 교착상태(Deadlock)
  4. 세마포어(Semaphore)
(정답률: 70%)
  • 스레싱(Thrashing)은 페이지 부재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CPU가 페이지 교체 작업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어 실제 작업에 필요한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워킹 셋(Working Set)이나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등의 문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교착상태(Deadlock)는 프로세스들이 서로 자원을 점유하고 있어 상호작용이 불가능한 상태를 말하며, 세마포어(Semaphore)는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동기화 기법입니다. 따라서, 스레싱과 다른 세 가지 보기는 페이지 교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전송망사업등록신청시 방송통신위원회에 첨부하여 제출할 서류가 아닌 것은?

  1. 등록신청서
  2. 설립시 필요한 자금
  3. 기술인력 현황
  4. 방송위원회 추천서
(정답률: 74%)
  • 방송통신위원회에 전송망사업등록신청을 할 때 제출해야 하는 서류 중에서 방송위원회 추천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는 전송망사업과는 관련이 없는 서류이기 때문입니다. 등록신청서는 전송망사업에 대한 기본 정보를 담고 있으며, 설립시 필요한 자금은 전송망사업을 위한 자금 조달 계획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기술인력 현황은 전송망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인력의 현황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2진수 11010을 1의 보수 및 2의 보수로 나타낸것은?

  1. 1의 보수 = 00101, 2의 보수 = 00110
  2. 1의 보수 = 10111, 2의 보수 = 11011
  3. 1의 보수 = 01011, 2의 보수 = 11010
  4. 1의 보수 = 00101, 2의 보수 = 01010
(정답률: 72%)
  • 2진수 11010의 1의 보수는 각 자리수를 반전시킨 값이다. 따라서 11010의 1의 보수는 00101이 된다.

    2진수 11010의 2의 보수는 1의 보수에 1을 더한 값이다. 즉, 1의 보수에 1을 더하면 0011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의 보수 = 00101, 2의 보수 = 001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8진수 (53.6)8을 10진수로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43.75
  2. 42.25
  3. 38.75
  4. 41.85
(정답률: 70%)
  • 8진수 53.6은 5x8^1 + 3x8^0 + 6x8^-1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를 십진수로 변환하면 43.7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동축케이블 분배기 및 분기기 등에 의한 상ㆍ하향신호의 전송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는?

  1. 증폭기
  2. 보호기
  3. 감쇄기
  4. 중계기
(정답률: 76%)
  • 동축케이블 분배기 및 분기기 등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는 전송 중에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신호를 증폭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증폭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블랭킷에어리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방송국의 송신공중선으로부터 발사되는 강한 전파로 인하여 다른 전파와의 간섭이 일어나는 지역을 말한다.
  2. 방송국의 수신공중선으로부터 받는 강한 전파로 인하여 다른 전파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지역을 말한다.
  3. 단파방송의 경우에는 지상파의 전계강도가 미터마다 3볼트 이상인 지역을 말한다.
  4. 중파방송의 경우에는 지상파의 전계강도가 미터마다 4볼트 이상인 지역을 말한다.
(정답률: 79%)
  • "방송국의 송신공중선으로부터 발사되는 강한 전파로 인하여 다른 전파와의 간섭이 일어나는 지역을 말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블랭킷에어리어가 방송국에서 발사되는 강한 전파로 인해 다른 전파와의 간섭이 일어나는 지역을 의미한다. 이러한 간섭은 주로 라디오나 TV 수신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블랭킷에어리어가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기억장치의 주소를 기억하는 제어장치는?

  1. 프로그램 카운터(PC)
  2. 명령 레지스터(IR)
  3. 번지 레지스터(MAR)
  4. 기억 레지스터(MBR)
(정답률: 61%)
  • 번지 레지스터(MAR)는 기억장치의 주소를 기억하는 제어장치입니다. CPU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 위해서는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이때 CPU는 주소를 번지 레지스터(MAR)에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쓰게 됩니다. 따라서 번지 레지스터(MAR)는 CPU와 메모리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입력신호 에너지를 2개 이상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는 장치는?

  1. 분사기
  2. 분압기
  3. 분기기
  4. 분배기
(정답률: 74%)
  • 입력신호 에너지를 2개 이상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는 장치는 "분배기"입니다. 이는 입력신호를 여러 개의 출력신호로 나누어 주는 역할을 하며, 각 출력신호는 입력신호의 일정 부분을 받아들이게 됩니다. 따라서 입력신호의 에너지를 균등하게 분배하여 여러 개의 출력신호를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종합유선방송 구내전송선로설비의 분기기ㆍ분배기 특성에서 반사손실은 얼마인가?

  1. ±0.75[dB] 이내
  2. 15[dB] 이상
  3. 20[dB] 이하
  4. -65[dB] 이하
(정답률: 61%)
  • 분기기ㆍ분배기는 전기 신호를 여러 개로 나누거나 합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신호가 나눠지거나 합쳐지는 과정에서 일부 신호가 반사되어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 손실을 반사손실이라고 합니다.

    종합유선방송 구내전송선로설비에서 사용되는 분기기ㆍ분배기는 일반적으로 15[dB] 이상의 반사손실을 가져야 합니다. 이는 전송되는 신호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반사손실이 15[dB] 이상이 아니라면,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서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5[dB]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정보표현의 단위 크기 비교가 올바르게 된 것은?

  1. 비트 < 워드 < 바이트 < 파일
  2. 바이트 < 필드 < 레코드 < 파일
  3. 바이트 < 레코드 < 파일 < 워드
  4. 바이트 < 필드 < 워드 < 레코드
(정답률: 77%)
  • 정답은 "바이트 < 필드 < 레코드 < 파일" 이다.

    - 비트: 0 또는 1의 값을 가지는 정보의 최소 단위
    - 워드: 컴퓨터가 한 번에 처리하는 데이터의 크기로, CPU의 비트 수에 따라 달라짐
    - 바이트: 8비트로 이루어진 정보의 단위
    - 필드: 레코드를 구성하는 항목 중에서 하나의 항목을 의미하는 단위
    - 레코드: 여러 필드로 구성된 데이터의 한 묶음
    - 파일: 여러 레코드로 구성된 데이터의 집합

    따라서, 바이트는 필드보다 작고, 필드는 레코드보다 작으며, 레코드는 파일보다 작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방송통신위원회가 주파수 분배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국방ㆍ치안 및 조난구조 등 국가안보ㆍ질서유지 또는 인명안전의 필요성
  2. 주파수의 이용 현황 등 국내의 주파수 이용 여건
  3. 국내 전파 사용료 현황
  4. 국제적인 주파수 사용 동향
(정답률: 65%)
  • "국내 전파 사용료 현황"은 주파수 분배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관련이 없습니다. 주파수 이용 현황, 국가안보 및 인명안전 등의 필요성, 그리고 국제적인 주파수 사용 동향은 주파수 분배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국내 전파 사용료 현황은 주파수 이용에 대한 비용 측면에서 중요하지만, 주파수 분배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TCP/IP 모델의 4계층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세션 계층
  2. 트랜스포트 계층
  3. 인터넷 계층
  4. 네트워크 링크 계층
(정답률: 66%)
  • TCP/IP 모델은 4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세션 계층"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TCP/IP 모델의 4계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네트워크 링크 계층 (Network Access Layer)
    2. 인터넷 계층 (Internet Layer)
    3. 트랜스포트 계층 (Transport Layer)
    4.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세션 계층은 OSI 모델에서 사용되는 계층으로, TCP/IP 모델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세션 계층은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TCP/IP 모델에서는 이러한 역할을 응용 계층에서 처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전송ㆍ선로설비에 대한 기술기준의 적합여부 확인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무엇으로 정하는가?

  1. 교육과학기술부령
  2. 행정안전부령
  3. 방송통신위원회 고시
  4. 문화체육관광부령
(정답률: 70%)
  • 전송ㆍ선로설비에 대한 기술기준의 적합여부 확인 등은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정하는 것이다. 이는 방송통신법에 따라 방송통신위원회가 해당 분야의 규제와 관리를 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송통신위원회 고시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유선방송시설의 설치도면에서 다음 기호의 명칭은?(문제 오류로 그림이 없습니다. 정확한 그림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관리자 메일 또는 자유게시판에 업로드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2번입니다.)

  1. 주 전송장치(Head End)
  2. 인입단자(Tab off)
  3. 전치증폭기(Head Amp)
  4. 채널변환장치나Convertor)
(정답률: 73%)
  • 문제에 그림이 없어서 정확한 명칭을 알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 인입단자(Tab off)는 유선방송시설에서 신호를 입력하는 단자를 말합니다. 이 단자는 주로 케이블이나 와이어를 연결하여 신호를 전달합니다. 따라서 설치도면에서 인입단자(Tab off)는 신호의 입력 지점을 나타내는 기호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