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3-09)

방송통신기사
(2019-03-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 중 정전압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입력신호의 에너지를 증가시켜 출력 측에 큰 에너지의 변화로 출력하는 회로
  2. 교류전압을 사용하기 적당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주는 회로
  3. 출력 내에 포함되어 있는 리플성분을 제거시켜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유지시키는 회로
  4. 입력전압, 출력부하 전류 및 온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직류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회로
(정답률: 49%)
  • 입력전압, 출력부하 전류 및 온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직류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회로는 정전압 회로이다. 이 회로는 출력 내에 포함되어 있는 리플성분을 제거하여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유지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입력신호의 에너지를 증가시켜 출력 측에 큰 에너지의 변화로 출력하는 회로나 교류전압을 사용하기 적당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주는 회로와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바이어스(Bias) 전압에 따라 정전 용량이 달라지는 다이오드는?

  1. 제너(Zener) 다이오드
  2. 포토(Photo) 다이오드
  3. 바렉터(Varactor) 다이오드
  4. 터널(Tunnel) 다이오드
(정답률: 63%)
  • 바렉터 다이오드는 pn 접합부의 전하밀도를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 정전 용량이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변화합니다. 따라서 바이어스 전압을 조절하여 다이오드의 정전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주파수 변조, 필터링, 주파수 합성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정전압 회로에서 출력전압(Vo)으로 맞는 것은? (단, VZ = Vf 이다.)

(정답률: 51%)
  • 정전압 회로에서는 Zener 다이오드가 역방향에서 동작하여 일정한 전압(VZ)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입력전압(Vi)이 VZ보다 클 경우, Zener 다이오드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고, 입력전압이 출력으로 전달된다. 반면, 입력전압이 VZ보다 작을 경우, Zener 다이오드는 역방향에서 동작하여 VZ만큼의 전압을 출력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출력전압(Vo)은 VZ와 같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궤환을 걸지 않았을 때 전압 이득이 30이고 고역 차단 주파수가 20[kHz]인 증폭기에 궤환을 걸어 전압 이득이 20으로 되었다면, 궤환 시의 고역 차단 주파수는?

  1. 10[kHz]
  2. 20[kHz]
  3. 30[kHz]
  4. 40[kHz]
(정답률: 35%)
  • 궤환을 걸면 증폭기의 전압 이득이 감소하고, 고역 차단 주파수가 증가한다. 따라서 전압 이득이 30에서 20으로 감소한 것은 궤환을 걸어 고역 차단 주파수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때 고역 차단 주파수의 증가량은 전압 이득의 감소량과 비례한다. 따라서 전압 이득이 30에서 20으로 감소한 것은 고역 차단 주파수가 20[kHz]에서 30[kHz]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30[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회로에서의 출력 파형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1%)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입력 신호가 0V에서 5V로 변할 때, 출력 신호도 0V에서 5V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NOT 게이트의 동작 원리에 따라 입력 신호와 반대로 출력 신호가 나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0V일 때 출력 신호는 5V이고, 입력 신호가 5V일 때 출력 신호는 0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연산증폭기에서 R1=R2=100[kΩ]이고, Rf=25[kΩ], V1=2[V], V2=4[V] 일 때 출력전압 Vo는?

  1. -1.3[V]
  2. -1.5[V]
  3. -1.7[V]
  4. -2.0[V]
(정답률: 49%)
  • 연산증폭기의 출력전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o = -Rf(V2/R2 - V1/R1)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Vo = -25[kΩ] x (4[V]/100[kΩ] - 2[V]/100[kΩ]) = -1.5[V]

    따라서 정답은 "-1.5[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은 BJT 증폭기 회로를 나타내었다. 커패시터 CE를 사용한 목적으로 적절한 것은?

  1. 증폭기의 이득을 증가시킨다.
  2. 리플성분을 감소시킨다.
  3. 직류성분을 통과시킨다.
  4. 병렬궤환을 발생한다.
(정답률: 53%)
  • 커패시터 CE는 직류성분을 차단하여 AC 신호만을 증폭하기 때문에, 증폭기의 이득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직류성분이 증폭되면서 발생하는 리플성분을 감소시키기도 하지만, 이는 부차적인 효과일 뿐이다. 또한, 커패시터 CE를 사용하면 병렬궤환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결합계수 0.5이고, 발진주파수가 200[kHz]일 경우 C의 값은 얼마인가? (단, π=3.14 이고, L1=L2=1[mH]로 가정한다.)

  1. 211.3[uF]
  2. 211.3[pF]
  3. 422.6[uF]
  4. 422.6[pF]
(정답률: 61%)
  • 먼저, 결합계수 K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K = M / √(L1L2)

    여기서 M은 상호 인덕턴스이며, 문제에서는 L1 = L2 = 1[mH]로 주어졌으므로 M = k√(L1L2) = k[mH]이다. 따라서, K = 0.5 = k / 1 이므로 k = 0.5[mH]이다.

    다음으로, 발진회로에서 공진주파수 f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 = 1 / (2π√(LC))

    여기서 L은 C1과 C2가 직렬로 연결되었을 때의 등가 인덕턴스이다. 따라서,

    L = L1 + L2 + 2M = 1 + 1 + 2(0.5) = 2[mH]

    따라서, f = 200[kHz]이므로,

    200 = 1 / (2π√(2C))

    2π√(2C) = 1 / 200

    √(2C) = 1 / (400π)

    2C = 1 / (400π)^2

    C = 1 / (800π^2) = 211.3[pF]

    따라서, 정답은 "211.3[p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RC 궤환발진기의 종류 중 빈 브리지(Wien Bridge) 발진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3단으로 구성된 위상 선행회로를 궤환으로 사용하고, 기본 증폭기로는 폐루프 전압이득이 29인 반전증폭기를 사용하는 발진기이다.
  2. 발진기에서 발생되는 발진주파수는 이다.
  3. 회로에서 발진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정궤환 루프의 위상천이가 0° 이고 루프이득이 0 이어야 한다.
  4. 사인파 발진기의 일종으로 지상-진상회로로 구성되며, 발진에 필요한 증폭기 이득은 3이다.
(정답률: 45%)
  • 위 문장이 옳은 이유는 "사인파 발진기의 일종으로 지상-진상회로로 구성되며, 발진에 필요한 증폭기 이득은 3이다." 라는 문장이 RC 궤환발진기의 빈 브리지(Wien Bridge) 발진기에 대한 설명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RC 궤환발진기의 다른 종류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발진회로와 증폭회로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발진회로와 증폭회로는 적절한 직류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2. 발진회로와 증폭회로 모두 적절한 궤환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
  3. 발진회로와 증폭회로는 출력파형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4. 발진회로와 증폭회로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신호가 필요하다.
(정답률: 47%)
  • 발진회로와 증폭회로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신호가 필요하지 않고, 내부에서 발진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따라서, "발진회로와 증폭회로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신호가 필요하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정보 전송에서 반송파로 사용되는 정현파의 위상에 정보를 싣는 변조 방식은?

  1. PSK
  2. FSK
  3. PCM
  4. ASK
(정답률: 60%)
  • PSK는 위상 변조 방식으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반송파의 위상을 변화시킵니다. 이 방식은 0과 1의 비트를 각각 다른 위상으로 변조하여 정보를 전송합니다. 따라서 PSK는 정보 전송에서 반송파로 사용되는 정현파의 위상에 정보를 싣는 변조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AM방식과 비교한 FM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파 대역에 적당하지 않다.
  2. 수신의 충실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3. 잡음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4. 피변조파의 점유주파수대역이 좁아진다.
(정답률: 61%)
  • "단파 대역에 적당하지 않다."는 FM방식의 설명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FM방식은 AM방식보다 피변조파의 점유주파수대역이 넓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FM방식에서 주파수 변화에 따라 진폭이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FM방식은 잡음을 감소시키고 수신의 충실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부호를 얻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PM(Phase Modulation)
  2. DM(Delta Modulation)
  3. PCM(Pulse Modulation)
  4. DPCM(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정답률: 45%)
  • PM(Phase Modulation)은 아날로그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부호를 얻는 방법이 아니다. PM은 아날로그 변조 방식 중 하나로, 주파수 변조(FM)와 함께 사용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일정시간 동안 200개의 비트가 전송되고, 전송된 비트 중 15개의 비트에 오류가 발생하면 비트 에러율(BER)은?

  1. 7.5[%]
  2. 15[%]
  3. 30[%]
  4. 40.5[%]
(정답률: 61%)
  • 비트 에러율(BER)은 전송된 비트 중에서 오류가 발생한 비트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전송된 비트 중에서 오류가 발생한 비트의 개수는 15개이고, 전송된 비트의 총 개수는 200개이므로, 비트 에러율은 (15/200) x 100 = 7.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높은 주파수 성분에 공진하기 때문에 생기는 펄스 상승부분의 진동 정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새그(Sag)
  2. 링잉(Ringing)
  3. 언더슈트(Undershoot)
  4. 오버슈트(Overshoot)
(정답률: 63%)
  • 링잉(Ringing)은 높은 주파수 성분에 공진하기 때문에 생기는 펄스 상승부분의 진동 정도를 말한다. 이는 펄스가 급격하게 상승할 때, 고주파 성분이 펄스의 상승부분에서 공진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펄스의 상승부분이 일정 시간 동안 진동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전자회로에서 발생하는데, 펄스의 상승속도가 빠를수록 링잉 현상이 더욱 심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은 회로의 전달 특징은? (단, VR1 < VR2)

(정답률: 58%)
  • 전달 특징은 입력 신호가 출력 신호로 얼마나 잘 전달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회로에서는 VR1 < VR2 이므로 R1의 저항이 R2의 저항보다 작습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R1을 통과할 때 더 많은 전압이 드롭되어 출력 신호로 전달되지 않고 소비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전달 특징이 나쁘게 되어 입력 신호가 출력 신호로 잘 전달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회로에서 정논리의 경우 게이트 명칭은?

  1. AND 게이트
  2. OR 게이트
  3. NAND 게이트
  4. NOR 게이트
(정답률: 49%)
  • 이 회로에서 A와 B 중 하나라도 1이면 출력이 1이 되므로 OR 게이트이다. AND 게이트는 A와 B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게이트이고, NAND 게이트는 AND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킨 것이며, NOR 게이트는 OR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킨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2진수 1110을 2의 보수로 변환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1010
  2. 1110
  3. 0001
  4. 0010
(정답률: 47%)
  • 2진수 1110의 1의 보수는 0001이고, 2의 보수는 1의 보수에 1을 더한 값이므로 001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0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전가산기(Full Add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아랫자리의 자리올림을 더하여 그 자리 2진수의 덧셈을 완전하게 하는 회로이다.
  2. 아랫자리의 자리올림을 더하여 홀수의 덧셈을 하는 회로이다.
  3. 아랫자리의 자리올림을 더하여 짝수의 덧셈을 하는 회로이다.
  4. 자리올림을 무시하고 일반계산과 같이 덧셈을 하는 회로이다.
(정답률: 53%)
  • 정답은 "아랫자리의 자리올림을 더하여 그 자리 2진수의 덧셈을 완전하게 하는 회로이다."이다. 전가산기는 2개의 이진수와 이전 자리에서의 자리올림 값을 입력으로 받아서, 해당 자리의 합과 자리올림 값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이전 자리에서의 자리올림 값과 해당 자리의 두 이진수를 더한 결과가 2 이상이면 자리올림 값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자리올림 값을 출력하지 않는다. 이렇게 출력된 자리올림 값과 해당 자리의 두 이진수를 다시 더해서 해당 자리의 합을 출력한다. 이렇게 전가산기는 아랫자리의 자리올림을 더하여 그 자리 2진수의 덧셈을 완전하게 하는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1. 일치 회로
  2. 시프트 회로
  3. 카운터 회로
  4. 다수결 회로
(정답률: 52%)
  • 정답: 일치 회로

    일치 회로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같은 경우에만 출력이 발생하는 회로이다. 위의 회로에서는 입력 신호가 A와 B 두 개이고, 출력 신호가 C 하나이다.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C가 1이 되므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출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회로는 일치 회로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송통신 기기

21. 다음 중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법」에서 정하는 음성·음향 등으로 이루어진 방송프로그램을 송신하는 방송은?

  1.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2. 위성 방송
  3. 라디오 방송
  4. 텔레비전 방송
(정답률: 72%)
  •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법」에서 정하는 음성·음향 등으로 이루어진 방송프로그램을 송신하는 방송은 라디오 방송입니다. 라디오 방송은 음성과 음악 등을 주로 송출하는 방송으로, 텔레비전 방송은 영상을 주로 송출하는 방송입니다.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송출되는 방송이며, 위성 방송은 위성을 통해 전 세계로 송출되는 방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임피던스가 25[Ω]인 반파장 안테나와 특성임피던스가 100 [Ω]인 선로를 정합하기 위한 임피던스 값은?

  1. 150[Ω]
  2. 250[Ω]
  3. 25[Ω]
  4. 50[Ω]
(정답률: 72%)
  • 반파장 안테나와 선로를 연결할 때, 두 장치의 임피던스 값이 다르면 반사파가 발생하여 신호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장치의 임피던스 값을 일치시켜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반파장 안테나의 임피던스가 25[Ω]이고, 특성임피던스가 100[Ω]인 선로를 연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선로 측에 맞추어 임피던스 변환을 해주어야 합니다.

    임피던스 변환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매칭 회로를 사용합니다. 매칭 회로는 임피던스 변환을 위한 회로로, 일반적으로 두 개의 임피던스 변환 회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형태를 띱니다. 이 중에서 가장 간단한 형태는 직렬 매칭 회로입니다.

    직렬 매칭 회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
    ----|Z1|----|Z2|----
    ```

    여기서 Z1은 선로의 특성임피던스(100[Ω]), Z2는 매칭 회로의 임피던스입니다. 이 회로에서 전체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Z = Z1 + Z2
    ```

    이때, 전체 임피던스가 50[Ω]가 되도록 Z2를 선택하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화상변환 규격 중 이산 코사인 변환(DCT)에 대한 설명으로 관련이 없는 것은?

  1. 국제적 표준으로 채택되어 있으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압축에 사용된다.
  2. 자연화상의 통계적 성질에 비교적 적합하고 다른 변환방식보다도 연산량이 적어진다.
  3. 영문의 모스 부호처럼 발생율이 높은 데이터는 짧은 부호를 할당하고 발생율이 낮은 데이터에는 긴 부호화를 할당하는 부호화이다.
  4. 일반적으로 고역주파수 성분에 대한 비트 성분 배분을 적게 하기 때문에 양자화 오차가 증가하여 모스키토 노이즈(Mosquito Noise)가 발생한다.
(정답률: 60%)
  • "일반적으로 고역주파수 성분에 대한 비트 성분 배분을 적게 하기 때문에 양자화 오차가 증가하여 모스키토 노이즈(Mosquito Noise)가 발생한다."는 DCT와 관련이 없는 설명이다.

    DCT는 자연화상의 통계적 성질에 비교적 적합하고 다른 변환방식보다도 연산량이 적어진다. 이는 국제적 표준으로 채택되어 있으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압축에 사용된다. 또한, DCT는 영문의 모스 부호처럼 발생율이 높은 데이터는 짧은 부호를 할당하고 발생율이 낮은 데이터에는 긴 부호화를 할당하는 부호화 방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영상신호의 압축은 아래 항목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데 이중 관련이 없는 항목은?

  1. 색신호간 중복성 제거
  2. 공간적 중복성 제거
  3. 통계적 중복성 제거
  4. 주파수 대역별 중복성 제거
(정답률: 17%)
  • 주파수 대역별 중복성 제거는 다른 항목들과 달리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중복되는 정보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고, 전송 및 저장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른 항목들은 색상, 공간, 통계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중복되는 정보를 제거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AM 신호의 복조기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비(Ratio) 검파기
  2. 직교형 검파기
  3. 경사형 변별기
  4. 포락선 검파기
(정답률: 77%)
  • AM 신호는 복조기에서 검파 과정을 거쳐 원래의 정보 신호로 복원됩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복조기는 포락선 검파기입니다. 이는 AM 신호의 진폭 변화를 감지하여 검파하는 방식으로,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비검파기는 검파 과정이 없기 때문에 원래의 정보 신호를 완벽하게 복원할 수 없고, 직교형 검파기와 경사형 변별기는 복잡하고 민감한 회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지상파 디지털 라디오방송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잡음과 간섭영향이 적다.
  2. 전력사용 효율이 낮다
  3. 주파수 사용효율이 높다.
  4. 송신설비 공동이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60%)
  • 정답: 전력사용 효율이 낮다.

    설명: 디지털 라디오방송은 아날로그 라디오방송에 비해 잡음과 간섭영향이 적고, 주파수 사용효율이 높으며, 송신설비 공동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디지털 신호 처리를 위해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하므로 전력사용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색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명도
  2. 색상
  3. 포화도
  4. 감도
(정답률: 68%)
  • 감도는 색의 3요소 중 하나가 아니라, 인간의 눈이 색을 인식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따라서 정답은 "감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2,400[bps]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시 한 번에 3[bit]의 신호를 전송 할 경우 이는 몇 [baud]에 해당 되는가?

  1. 200[baud]
  2. 800[baud]
  3. 6,400[baud]
  4. 7,200[baud]
(정답률: 76%)
  • baud는 초당 전송되는 신호의 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따라서 2,400[bps]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할 때, 한 번에 3[bit]의 신호를 전송하면 800번의 신호가 전송된다. 따라서 정답은 "800[bau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S/N[dB] 비를 정하는 관계식으로 적합한 것은? (단, n은 샘플 비트수)

  1. (6.02 × n) + 1.76
  2. (7.02 × n) + 1.76
  3. (8.02 × n) + 1.76
  4. (9.02 × n) + 1.76
(정답률: 72%)
  •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S/N 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S/N[dB] = 6.02n + 1.76

    여기서 n은 샘플 비트수를 나타냅니다. 이 식에서 6.02n은 각 비트가 추가되면 S/N 비가 6dB씩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1.76은 디지털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보상하기 위한 보정값입니다. 따라서 이 식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S/N 비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188바이트 단위의 MPEG-TS 전송패킷의 헤더 구성 요소중 첫 번째 요소는?

  1. Sync Byte
  2. Packet identifier
  3. Transport Priority
  4. Continuity Counter
(정답률: 71%)
  • 정답: Sync Byte

    Sync Byte는 MPEG-TS 전송패킷의 첫 번째 바이트로, 8비트의 값을 가지며 항상 0x47(16진수)로 고정되어 있다. 이는 수신측에서 패킷의 시작을 인식하기 위한 식별자 역할을 하며, 모든 MPEG-TS 패킷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첫 번째 요소는 Sync Byt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지상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주파수를 변환한 다음 증폭해서 다시 지상으로 발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위성은?

  1. 수동위성
  2. 능동위성
  3. 방사위성
  4. 발사위성
(정답률: 77%)
  • 능동위성은 지상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주파수를 변환하고 증폭한 후 다시 지상으로 발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위성이다. 이는 통신, 탐사, 관측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지상에서 제어하여 작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동위성과 구분된다. 따라서, 정답은 "능동위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정지위성(Geostationary Satellite)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1일 24시간 방송 및 통신이 가능하다.
  2. 3개의 위성으로 전 세계를 커버할 수 있다.
  3. 위성의 공전주기가 지구의 자전주기와 같다.
  4. 극지방 방송 및 통신이 가능하다.
(정답률: 72%)
  • 3개의 위성으로 전 세계를 커버할 수 있다는 것은 정지위성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정지위성은 지구의 자전주기와 같은 속도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같은 지점을 바라보며 지구의 일정한 지역을 커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1일 24시간 방송 및 통신이 가능하며, 극지방은 정지위성의 커버 범위 밖에 있기 때문에 극지방 방송 및 통신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극지방 방송 및 통신이 가능하다."가 정지위성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IPTV 서비스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1. 서비스 플랫폼은 크게 헤드 언더, 백본 네트워크, 엑세스 네트워크, 가입자 장치의 4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2. 클라이언트-서버의 구조는 단순하고 망 기능이 제한되어 있는 관계로 서비스 도입이 불편한 단점을 갖는다.
  3. 서비스를 위한 모든 기능은 가입자 단말과 헤드 엔더 간에 이루어지는 일종의 클라이언트-서버 모델로 동작한다.
  4. 망은 단순히 멀티캐스트 스트리밍의 품질을 보장하여 전달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엑세스 망에서 브렌칭하는 기능만을 담당한다.
(정답률: 72%)
  • "클라이언트-서버의 구조는 단순하고 망 기능이 제한되어 있는 관계로 서비스 도입이 불편한 단점을 갖는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는 일반적으로 단순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구조이며, 서비스 도입이 불편한 단점은 없다. 오히려 IPTV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가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IPTV 방송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1. 영상을 인코딩한 것이다.
  2. 패킷화하여 인터넷 프로토콜에 연속적으로 전송한다.
  3. 인코딩, 패킷, 스트리밍, 디코딩 등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
  4. 사용자 마다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이 필요한 것이 멀티캐스트 방식이다.
(정답률: 69%)
  • "사용자 마다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이 필요한 것이 멀티캐스트 방식이다."가 바르지 못한 설명이다. 멀티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을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이 필요한 것은 유니캐스트 방식이다.

    멀티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을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기 때문에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네트워크 인프라가 멀티캐스트를 지원해야 하며, 사용자들의 네트워크 환경이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사업자의 Head-end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미들웨어와 상호 구동하여 IPTV 서비스를 실제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 서비스로의 접속, IPTV콘텐츠 전송, 사용자의 Interaction 동작을 서버 쪽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1. API
  2. OS Kernel
  3. 네트워크 프로토콜 Stack
  4. Browser Engine
(정답률: 63%)
  • 네트워크 프로토콜 Stack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들의 집합으로, IPTV 서비스에서는 사용자와 서버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IPTV 콘텐츠 전송이나 사용자의 Interaction 동작을 서버 쪽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Stack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해야 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프로토콜 Stack은 IPTV 서비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국제표준규격으로 제정된 국내 지상파 DMB의 오디오 기술규격은?

  1. DAB
  2. TPEG
  3. MPEG-4 BIFS
  4. MPEG-4 BSAC
(정답률: 66%)
  • 국내 지상파 DMB의 오디오 기술규격은 MPEG-4 BSAC이다. 이는 MPEG-4 오디오 부호화 기술 중 하나로, 고음질 오디오를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 MPEG-4 BSAC은 DMB에서 사용되는 오디오 부호화 기술 중 가장 효율적이며, 고음질 오디오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왜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크로미넌스 비직선 이득은 크로미넌스 진폭의 변화에 따라 크로미넌스 이득이 변화하는 현상이다.
  2. 크로미넌스 비직선 위상은 크로미넌스 진폭의 변화가 크로미넌스 위상을 변화시키는 현상이다.
  3. 루미넌스 비선형은 루미넌스 진폭의 변화가 루미넌스 이득을 변화시키는 현상이다.
  4. 이득/주파수 왜곡은 진폭의 변화가 신호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현상이다.
(정답률: 56%)
  • "크로미넌스 비직선 이득은 크로미넌스 진폭의 변화에 따라 크로미넌스 이득이 변화하는 현상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크로미넌스 비직선 이득은 크로미넌스 진폭의 변화와는 관련이 없으며, 크로미넌스 신호가 비선형적으로 증폭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득/주파수 왜곡은 진폭의 변화가 신호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현상입니다. 이는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이득이 감소하는 특성을 가지는 필터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고주파 신호가 저주파 신호보다 더욱 약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믹싱 콘솔의 기본적인 역할이 아닌 것은?

  1. 영상을 보정하고 음향 크기를 조정한다.
  2. 효과기를 사용하여 음색을 보정하고 음향 효과를 만든다.
  3. 모니터 스피커나 헤드폰 등 외부기기로 보내는 신호를조절한다.
  4. 여러 개의 악기나 음성 등 각각의 음량을 조절하고 전체의 밸런스를 잡는다.
(정답률: 67%)
  • 정답은 "영상을 보정하고 음향 크기를 조정한다." 이다. 믹싱 콘솔은 음악 또는 영상 제작 과정에서 여러 개의 오디오 신호를 조절하고 조합하여 최종적인 음향을 만드는 장비이다. 따라서 영상을 보정하는 역할은 믹싱 콘솔의 기본적인 역할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프로그램을 송출하기 위한 메인 장비인 마스터 컨트롤 스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은?

  1. NLE(Non-Linear Editor)
  2. DMC(Dynamic Motion Controller)
  3. MHS(Message Handling System)
  4. APC(Automatic Program Controller)
(정답률: 83%)
  • APC는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마스터 컨트롤 스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프로그램을 송출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APC가 정답인 이유는 다른 보기들인 NLE, DMC, MHS는 이와 관련이 없는 시스템들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스위프 신호발생기(Sweep Signal Source)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출력 신호와 주파수가 일정한 범위에서 반복하여 변화하는 신호발생기이다.
  2. 신호 레벨미터를 내장하고 있어 모든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는 계측기이다.
  3. 점유주파수 대역폭의 허용오차를 측정하는 측정기이다.
  4. 2차 상호변조를 측정하여 왜곡을 분석하는 기기이다.
(정답률: 71%)
  • 스위프 신호발생기는 출력 신호와 주파수가 일정한 범위에서 반복하여 변화하는 신호발생기입니다. 즉, 일정한 주파수 범위에서 신호를 발생시켜서 해당 주파수 범위 내에서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방송미디어 공학

41. 라디오방송 편성에서 단일포맷 편성의 장점과 관련 없는 것은?

  1. 다양한 청취층 확보
  2. 프로그램 제작의 용이
  3. 고정 청취율 확보
  4. 광고주 확보 용이
(정답률: 67%)
  • 단일포맷 편성은 특정한 장르나 스타일의 프로그램을 일정한 시간대에 일관되게 방송함으로써 청취자들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고정 청취율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는 광고주들에게도 매력적인 홍보 효과를 제공하며, 프로그램 제작도 편리해집니다. 따라서 다양한 청취층 확보는 단일포맷 편성의 장점과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잘못된 내용은?

  1. AM 라디오 주요 편성기법의 하나는 띠 편성이다.
  2. AM 라디오 주요 편성기법의 하나는 구획 편성이다.
  3. FM 라디오 주요 편성 기법의 하나는 장기간 편성이다.
  4. FM 라디오 주요 편성 기법의 하나는 띠 편성이다.
(정답률: 74%)
  • 잘못된 내용은 없다. FM 라디오 주요 편성 기법 중 하나는 장기간 편성이다. 이는 일정 기간 동안 일정한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매주 토요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는 특정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우리나라에서 HLKZ TV가 민간상업방송으로서 첫 TV전파를 발사한 해는?

  1. 1955년
  2. 1956년
  3. 1958년
  4. 1961년
(정답률: 66%)
  • HLKZ TV는 1956년 4월 3일에 민간상업방송으로서 첫 TV전파를 발사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956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인간의 청감 특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음량이 클수록 소리의 차이를 알기 쉽다.
  2. 약 4,000[Hz] 부근의 음이 가장 민감하다.
  3. 음량이 크면 고음이 더 잘 들린다.
  4. 음량이 커지면 저음은 피치가 더 높게 들린다.
(정답률: 73%)
  • "음량이 커지면 저음은 피치가 더 높게 들린다."는 인간의 청감 특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음량이 커지면 소리의 진폭이 커지기 때문에 더 큰 에너지를 가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인간의 청감은 소리의 크기 차이를 더 잘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약 4,000[Hz] 부근의 음이 가장 민감하다는 것은 인간의 청감 특성 중 하나입니다. 이는 인간의 귀에서 소리를 받는 구조상 해당 주파수가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음량이 크면 고음이 더 잘 들린다는 것도 일부 사람들에게 해당할 수 있지만, 모든 사람에게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음압 레벨(SPL) 측정에 적용되는 기준 음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0.0002[dyne/cm2]
  2. 0.0004[dyne/cm2]
  3. 0.0006[dyne/cm2]
  4. 0.0008[dyne/cm2]
(정답률: 75%)
  • 음압 레벨(SPL)은 소리의 강도를 측정하는 단위이다. 이 측정에는 기준 음압이 필요하며, 이는 소리의 압력을 나타내는 단위인 dyne/cm2로 표시된다. 기준 음압은 0.0002 dyne/cm2로 정해져 있으며, 이는 인간의 청각 장치가 가장 민감한 주파수 대역에서 0 dB SPL에 해당한다. 따라서 음압 레벨(SPL) 측정에는 이 기준 음압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마이크로폰의 제원을 표시하는 파라미터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Maximum Sound Pressure Level
  2. Sensitivity
  3. Frequency Response
  4. Compression Ratio
(정답률: 59%)
  • Compression Ratio는 마이크로폰의 동적 범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로, 입력 신호의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일 때 출력 신호의 크기를 자동으로 감소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세 가지 파라미터는 모두 마이크로폰의 기본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입력 신호의 크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카메라를 인간의 눈과 비슷하게 만들면서 카메라의 매커니즘을 완성시킨 장치는?

  1. 필름
  2. 원근조절기
  3. 셔터
  4. 플래시
(정답률: 75%)
  • 카메라의 셔터는 인간의 눈꺼풀과 비슷한 역할을 하며, 빛이 들어오는 시간을 조절하여 사진을 찍을 때 노출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카메라의 매커니즘을 완성시키는 장치 중에서 셔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카메라 렌즈의 구경이 3[cm], 초점거리가 4.2[cm]일 때, f-stop은 얼마인가?

  1. 1.3
  2. 1.4
  3. 1.5
  4. 1.6
(정답률: 78%)
  • f-stop은 초점거리를 구경으로 나눈 값의 제곱근이다. 따라서 f-stop은 √(4.2/3) ≈ 1.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방송용 카메라의 화상 장애 현상 중 렌즈 앞에 부착된 후드 (Hood)나 필터(Filter)의 크기가 부적당하여 사용 렌즈의 화각에 걸리거나 화상이 전체적으로 또는 모서리 부분이 어두워지는 현상을 지칭하는 용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플레어(Flare)
  2. 색수자
  3. 비네팅(Vignetting)
  4. 구면수자
(정답률: 71%)
  • 정답은 "비네팅(Vignetting)"입니다.

    비네팅은 렌즈 앞에 부착된 후드나 필터의 크기가 부적당하여 사용 렌즈의 화각에 걸리거나 화상이 전체적으로 또는 모서리 부분이 어두워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렌즈의 광학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렌즈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광선이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흐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보통 렌즈의 조리개를 크게 열었을 때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반면, 플레어는 렌즈 내부에서 광선이 반사되어 생기는 빛의 반점 현상을 말하며, 색수자는 빛의 파장에 따라 색깔이 나뉘어서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구면수자는 렌즈가 구면 모양을 띄어서 광선을 집중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무대 조명에 의한 전환 기법 중 순간적으로 무대 조명에 불을 켜는 기교를 의미하며 매우 강한 인상을 주는 기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스위치 인(Switch In)
  2. 라이트 커튼(Light Curtain)
  3. 페이드 인(Fade In)
  4. 라이트 오픈(Light Open)
(정답률: 70%)
  • 스위치 인은 순간적으로 무대 조명에 불을 켜는 기교로, 갑작스러운 전환으로 매우 강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가장 적절한 것입니다. 라이트 커튼은 무대 위에 빛이 서서히 켜지는 기교, 페이드 인은 빛이 서서히 밝아지는 기교, 라이트 오픈은 무대 위에 빛이 서서히 켜지는 기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색상 중 인간의 감정 중에서 쾌활, 명랑, 유쾌함 등을나타내기에 가장 적절한 것은?

  1. 녹색
  2. 백색
  3. 황색
  4. 청색
(정답률: 78%)
  • 황색은 밝고 따뜻한 색상으로, 태양이나 불꽃과 연관되어 쾌활하고 명랑한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쾌활하고 유쾌한 감정을 나타내기에 가장 적절한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무선 마이크 시스템의 송신회로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저주파 증폭회로
  2. 동조회로
  3. 발진회로
  4. 체배회로
(정답률: 47%)
  • 무선 마이크 시스템의 송신회로 구성요소 중 동조회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구성요소가 아니다. 동조회로는 주파수 안정화를 위한 회로로, 송신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안정적인 주파수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전파로 발신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우리나라 지상파 TV방송 1채널의 주파수 대역폭은?

  1. 4[MHz]
  2. 4.5[MHz]
  3. 6[MHz]
  4. 8[MHz]
(정답률: 74%)
  • 우리나라 지상파 TV방송 1채널의 주파수 대역폭은 6[MHz]이다. 이는 아날로그 방송 시대부터 사용되던 대역폭으로, 디지털 방송 시대에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이 대역폭은 하나의 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최대 대역폭으로, 이를 넘어가면 다른 채널과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지상파 TV방송에서는 1채널당 6[MHz]의 대역폭을 사용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3DTV(입체영상 TV)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3D 영상은 2D 영상과 달리 생동감 및 현실감을 느낄 수 있는 영상이다.
  2. 아직까지 시청하기 위하여 입체영상 감상용 안경과 같은 장치가 필요하다.
  3. 3DTV 시스템 구성요소는 콘텐츠 생성, 코딩, 전송,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졌다.
  4. 현재의 HDTV보다 화질이 4배 정도 더 선명하며 향후5G 서비스와 결합될 것으로 예측된다.
(정답률: 72%)
  • 정답은 "아직까지 시청하기 위하여 입체영상 감상용 안경과 같은 장치가 필요하다."이다.

    3DTV는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하는 TV이다. 이를 위해 콘텐츠 생성, 코딩, 전송, 디스플레이 등의 시스템 구성요소가 필요하다. 현재의 HDTV보다 화질이 4배 정도 더 선명하며, 향후 5G 서비스와 결합될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아직까지 시청을 위해서는 입체영상 감상용 안경과 같은 장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음향 기기의 출력을 나타내는 단위로 dBm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1[mW]는 600[Ω]을 갖는 임피던스회로에서 0,775[V]의 전압을 갖는다. 1[V]의 전압일 때 출력을 [dBm]으로 표기하면 약 얼마인가?

  1. 0.11
  2. 0.22
  3. 1.11
  4. 2.22
(정답률: 61%)
  • 1[V]의 전압일 때의 출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 = V^2 / R = (1[V])^2 / 600[Ω] = 0.00167[W]

    이를 dBm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P(dBm) = 10 log10(P[mW]) = 10 log10(0.00167[W] / 0.001[W/mW]) = 2.22[dBm]

    따라서 정답은 "2.2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의 문자열을 무손실 압축했을 경우, 가능한 압축률은얼마인가?

  1. 1/2
  2. 1/3
  3. 1/4
  4. 1/5
(정답률: 79%)
  • 주어진 문자열은 "ABABABABABAB"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를 무손실 압축하면 "6AB"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래 문자열의 길이는 12이고, 압축한 문자열의 길이는 3이므로 압축률은 3/12 = 1/4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2"가 아닌 "1/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디지털영상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로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웨이브폼 모니터
  2. MPEG 분석기/모니터
  3. RF 신호 분석기
  4. 비디오 모니터
(정답률: 68%)
  • RF 신호 분석기는 무선 신호를 분석하는 장비로, 디지털 영상 품질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디지털 영상 품질 측정에는 웨이브폼 모니터, MPEG 분석기/모니터, 비디오 모니터 등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데이터방송의 애플리케이션 전송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위해서는 방송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방송채널과 다양한 양방향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리턴 채널이 필요하다.
  2. 전송을 위해서 각각의 독립된 기본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전송스트림을 만든다.
  3. 디지털방송에서 데이터방송서비스는 MPEG-4 시스템 규격으로 오디오, 비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한다.
  4. HD지상파방송에서는 ACAP, 위성방송에서는 MHP 방식을 사용한다.
(정답률: 51%)
  • "HD지상파방송에서는 ACAP, 위성방송에서는 MHP 방식을 사용한다."는 데이터방송의 애플리케이션 전송 방식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틀린 설명이다.

    데이터방송 서비스는 방송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방송채널과 다양한 양방향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리턴 채널이 필요하며, 각각의 독립된 기본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전송스트림을 만들어 전송한다. 이때 디지털방송에서는 MPEG-4 시스템 규격으로 오디오, 비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사용자에게 높은 가용성과 고성능의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버를 지리적으로 분산시켜 구성하는 네트워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ADN
  2. CDN
  3. DDN
  4. TDN
(정답률: 67%)
  • 정답은 "CDN"이다. CDN은 Content Delivery Network의 약자로,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CDN은 사용자와 가까운 지역에 위치한 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빠르게 전달함으로써 높은 가용성과 고성능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CDN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ADN, DDN, TDN은 모두 CDN과는 다른 네트워크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HD급보다 4배 이상 선명하고 색의 표현이 확장되었으며 HDTV보다 실제에 가까운 음향 제공이 가능한 것은?

  1. Smart TV
  2. 3D TV
  3. UHD TV
  4. FHD TV
(정답률: 79%)
  • UHD TV는 HD급보다 4배 이상 선명하고 색의 표현이 확장되었으며, HDTV보다 실제에 가까운 음향 제공이 가능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방송통신 시스템

61. 통신시스템의 출력에 있어서 기본파의 진폭이 10[V]이고, 제 2고조파의 진폭이 4[V], 제3고조파의 진폭이 3[V]일 때 송신시기의 전체 고조파 왜율은?

  1. 20[%]
  2. 30[%]
  3. 40[%]
  4. 50[%]
(정답률: 59%)
  • 고조파 왜율은 모든 고조파의 진폭의 제곱의 합을 기본파의 진폭의 제곱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제 2고조파와 제 3고조파의 진폭을 제곱하여 더한 값은 4^2 + 3^2 = 16 + 9 = 25 이다. 이를 기본파의 진폭인 10의 제곱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하면 25/10^2 x 100 = 25% 가 된다. 따라서, 전체 고조파 왜율은 25% + 기본파의 진폭인 10의 제곱을 나눈 후 100을 곱한 값인 1%를 더한 26%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답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26%를 가장 가까운 정수인 50%으로 반올림하여 정답은 "5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방송 프로그램 채널정보 프로토콜(PSIP 혹은 SI)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System Time Table
  2. Virtual Channel Table
  3. Rating Region Table
  4. Closed Caption Table
(정답률: 69%)
  • 정답은 "Closed Caption Table"입니다.

    PSIP(채널정보 프로토콜)은 디지털 방송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됩니다. 이 중 "System Time Table"은 방송 시스템의 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Virtual Channel Table"은 가상 채널 정보를 제공하며, "Rating Region Table"은 방송 등급 정보를 제공합니다.

    반면 "Closed Caption Table"은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자막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PSIP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직교주파수분할다중(OFDM)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택성 페이딩에 의해 특정한 반송파 영향으로 일부 데이터의 누락이 있는 경우에는 리드솔로몬부호, 트렐리스 부호 등으로도 오류정정은 불가능하다.
  2. 다수의 반송파에 데이터를 분산해서 전송하기 때문에 하나의 데이터 심볼의 계속시간이 길다.
  3. 가드인터벌(GI)을 설정하기 때문에 고스트에 대해서 강한 전송 방식이다.
  4. 다수 반송파에 의한 전송이기 때문에 전송계에 비직선왜곡이 있으면 상호변조에 의해 특성이 열화한다. 따라서 송신기의 전력증폭기에는 양호한 직선성이 요구된다.
(정답률: 56%)
  • 선택성 페이딩에 의해 특정한 반송파 영향으로 일부 데이터의 누락이 있는 경우에도 리드솔로몬부호, 트렐리스 부호 등으로 오류정정이 가능하다. OFDM 방식은 다수의 반송파에 데이터를 분산해서 전송하기 때문에 하나의 데이터 심볼의 계속시간이 짧아지고, 가드인터벌(GI)을 설정하기 때문에 고스트에 대해서 강한 전송 방식이다. 또한, 송신기의 전력증폭기에는 양호한 직선성이 요구된다는 것도 맞지만, 이는 직교주파수분할다중(OFDM) 방식에 대한 설명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선택성 페이딩에 의해 특정한 반송파 영향으로 일부 데이터의 누락이 있는 경우에는 리드솔로몬부호, 트렐리스 부호 등으로도 오류정정은 불가능하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우리나라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T-DMB) 송신에 사용하는 주파수대는?

  1. 중파(MF)
  2. 단파(HF)
  3. 초단파(VHF)
  4. 극초단파(UHF)
(정답률: 63%)
  • 우리나라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T-DMB) 송신에 사용하는 주파수대는 "초단파(VHF)"이다. 이는 VHF 주파수대가 전파의 직진성이 높아서 건물이나 산 등의 장애물에도 잘 통하며, 전파의 파장이 짧아 안테나 크기가 작아지는 등의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VHF 주파수대는 중파나 단파에 비해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어서 디지털 방송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디지털 라디오 방송시스템과 거리가 먼 것은?

  1. ISDB-TSB
  2. IBOC
  3. DRM
  4. ATSC
(정답률: 66%)
  • ATSC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식이며, 디지털 라디오 방송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ISDB-TSB는 일본의 디지털 방송 표준이며, IBOC는 미국의 디지털 라디오 방식이며, DRM은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디지털 라디오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FM방식 송신기에서 사용하는 프리엠파시스(Pre-Emphasis)의 역할에 대해 옳은 것은?

  1. 음성 신호를 증폭한다.
  2. 주파수 편이량을 조절한다.
  3. 고역에서 신호대 잡음비를 개선한다.
  4. 고주파 전력을 안테나에 공급한다.
(정답률: 73%)
  • FM방식에서는 고주파 신호가 잡음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고역에서 신호대 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해 프리엠파시스를 사용한다. 이는 고역에서 신호를 증폭하는 것이 아니라, 고역에서 신호의 높이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고역에서의 신호대 잡음비를 개선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TV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영상 설비 중 여러 개의 영상신호를 합성하는 기기는 무엇인가?

  1. 영상스위치
  2. 벡터스코프
  3. 프레임 싱크로나이져
  4. 탈리 시스템
(정답률: 71%)
  • 영상스위치는 여러 개의 영상신호를 합성하는 기기로, 다양한 소스의 영상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V 프로그램 제작에서 여러 개의 영상을 합성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만들 때 사용됩니다. 벡터스코프는 영상의 색상과 밝기를 분석하는 기기이고, 프레임 싱크로나이져는 영상의 동기화를 맞추는 기기입니다. 탈리 시스템은 영상의 소리를 처리하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디지털방송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여 기상채널정보, 자막, 데이터방송과 같은 기타 부가서비스 정보 그리고 EPG 정보 등 DTV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은?

  1. STT
  2. VCT
  3. DVB-SI
  4. PSIP
(정답률: 69%)
  • PSIP은 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의 약자로, 디지털 방송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여 기상채널정보, 자막, 데이터방송과 같은 기타 부가서비스 정보 그리고 EPG 정보 등 DTV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PSIP가 정답이다. STT는 자막 생성 기술, VCT는 가상 채널 테이블, DVB-SI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 정보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은 8VSB 변조방식의 전송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가)~(다)에 해당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파일럿(pilot) 신호, 1, 207
  2. 필드(field) 동기 신호, 2 ,414
  3. 세그먼트(segment) 동기 신호, 4, 828
  4. 보호 구간(guard interval) 신호, 16, 3312
(정답률: 67%)
  • (가) "세그먼트(segment) 동기 신호, 4, 828"이 옳은 것이다. 8VSB 변조방식에서는 데이터를 832개의 부호화된 비트로 구성된 세그먼트(segment)로 나누어 전송한다. 이때 세그먼트를 구분하기 위해 4,828개의 세그먼트 동기 신호가 사용된다. 이 신호는 수신측에서 세그먼트를 동기화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CATV 시스템에 사용하는 증폭기 아닌 것은?

  1. 간선증폭기
  2. 분기증폭기
  3. 연장증폭기
  4. 회선증폭기
(정답률: 68%)
  • CATV 시스템은 주로 다수의 가입자에게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신호의 강도를 증폭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간선증폭기, 분기증폭기, 연장증폭기는 모두 CATV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증폭기입니다. 하지만 회선증폭기는 개별 가입자의 신호를 증폭시키는 것으로, CATV 시스템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회선증폭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은 중계유선방송에서 사용되어지는 용어를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레벨 안정도”라 함은 신호레벨이 단위시간(1초) 동안 변동한 폭을 말한다.
  2. “영상반송파 대 잡음비(C/N)”라 함은 해당 채널잡음에 대한 반송파의 비율을 데시벨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3. “반송파”라 함은 방송 신호정보를 전송로에 전송시키기 적합한 형태의 신호로 변조시킨 주된 주파수신호를 말한다.
  4. “신호 대 잡음비(S/N)”라 함은 잡음에 대한 유선방송신호의 비율을 데시벨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정답률: 62%)
  • “레벨 안정도”라 함은 신호레벨이 단위시간(1초) 동안 변동한 폭을 말한다. (맞음)

    해당 용어는 신호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신호의 불안정성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신호의 레벨이 일정하지 않고 변동이 심하다면 레벨 안정도가 낮고,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레벨 안정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중계방송에서 신호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CATV용 동축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는?

  1. 55[Ω]
  2. 70[Ω]
  3. 75[Ω]
  4. 80[Ω]
(정답률: 76%)
  • CATV용 동축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는 75[Ω]이다. 이는 CATV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며,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케이블의 내부 구조와 재질이 최적화되어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75[Ω]는 전파공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값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디지털 위성방송 송신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MPEG-2 인코더
  2. 다중화기
  3. 등화기
  4. 저잡음주파수변환기(LNB)
(정답률: 67%)
  • 저잡음주파수변환기(LNB)는 디지털 위성방송 수신시스템의 구성요소이며, 송신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LNB는 위성에서 수신된 전파를 TV 수신기가 처리할 수 있는 주파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LNB는 수신시스템의 구성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위성방송을 지상에서 수신 시 단위 면적을 통과하는 전자파의 전력선 밀도 P는 약 얼마인가?(단, 전계세기 E는 197[V/m]이다.)

  1. 197[dBW/m2]
  2. 153[dBW/m2]
  3. 136[dBW/m2]
  4. 103[dBW/m2]
(정답률: 40%)
  • 전력밀도 P는 P = E2/377 이다. 여기서 E는 전계세기이고, 377은 자유공간의 특성 임피던스이다. 따라서 P = (1972/377) = 103[dBW/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방송시스템의 가입자가 시청시 스크렘블을 해제하여하 하는데 이것을 디스크렘블이라 한다. 다음 중 디스크렘블 방식이 아닌 것은?

  1. 자기카드를 이용하는 방식
  2. 방송전파를 이용하는 방식
  3. 전화회선을 이용하는 방식
  4. 전원 접지를 이용하는 방식
(정답률: 65%)
  • 전원 접지를 이용하는 방식은 디스크렘블 방식이 아니다. 이는 전기적인 방식으로, 방송 신호를 전기적으로 변환하여 전원 접지를 통해 스크램블된 신호를 해제하는 방식이다. 다른 방식들은 모두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된 신호를 해제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이동멀티미디어방송에서 사용하는 QPSK 변조방식은 하나의 부호에 몇 개의 비트가 할당되는가?

  1. 2
  2. 4
  3. 16
  4. 64
(정답률: 65%)
  • QPSK 변조방식은 2개의 비트가 하나의 부호에 할당됩니다. 이는 QPSK가 4개의 상태를 가지며, 각 상태마다 2개의 비트를 할당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지상파 DMB방송의 오디오 전용 압축부호화 형식이 ISO/IEC 11172-3(MPEG-1 Audio Layer II) 또는 ISO/IEC 13818-3(MPEG-2 Audio Layer II)를 따르는 경우 그 기술기준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오디오 서비스의 최대 비트율은 912[kbps]로 할 것
  2. 오디오 부호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최소 비트율은112[kbps]로 할 것
  3. 오디오 부호화기로부터 음성 신호의 표본화 주파수는 최대 49,000[Hz]로 할 것
  4. 보조 데이터 신호는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송수신 정합 표준” 및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데이터 송수신 정합 표준”에서 규정하는 형식을 따를 것
(정답률: 72%)
  • 정답: "오디오 부호화기로부터 음성 신호의 표본화 주파수는 최대 49,000[Hz]로 할 것"

    이유: DMB 방송에서 사용되는 MPEG-1 Audio Layer II 또는 MPEG-2 Audio Layer II는 최대 주파수 대역이 22,050 Hz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49,000 Hz로 설정하는 것은 해당 기술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은 수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방송시설 설치시 옥외형 광 수신장치(ONU)의 설치 후 측정하는 공통시험은?

  1. 광원 파장 시험
  2. RF 조정 및 시험
  3. 상태감시 시험
  4. 주파수 응답 시험
(정답률: 47%)
  • 옥외형 광 수신장치(ONU)의 설치 후 측정하는 공통시험은 상태감시 시험이다. 이는 ONU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시험으로, ONU의 전원 상태, 광 신호 수신 상태, 네트워크 연결 상태 등을 확인한다. 따라서 ONU의 상태를 감시하고 문제가 있는 경우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른 시험들은 ONU 설치 후에도 필요한 시험이지만, ONU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상태감시 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CCTV System의 설치에는 촬상부 설치와 감시부 설치가 있다. 다음 중 공정별 촬상부 설치가 아닌 것은?

  1. 카메라 설치
  2. 팬틸트(Pan/Tilt) 설치
  3. 투광등 설치
  4. DVR 설치
(정답률: 70%)
  • DVR 설치는 촬상부 설치가 아닌 감시부 설치에 해당한다. CCTV 시스템에서 DVR은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기록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는 촬상부가 아닌 감시부의 기능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DVR 설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초고속 정보통신건물 인증업무의 처리지침에 홈 네트워크 건물 인증 심사기준으로 폐쇄회로 TV 장비에 배선되는 전선의 심사기준은?

  1. UTP Cat 3 4Pr × 1 이상
  2. UTP Cat 4 4Pr × 1 이상
  3. UTP Cat 5 4Pr × 1 이상
  4. UTP Cat 5e 4Pr × 1 이상
(정답률: 68%)
  • 폐쇄회로 TV 장비에 배선되는 전선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UTP 케이블을 사용해야 합니다. UTP Cat 5e 4Pr × 1 이상은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안정성이 높은 케이블로, 다른 보기들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사용하여 폐쇄회로 TV 장비에 배선되는 전선을 심사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방송설비기준

81. 다음은 선택된 트랙(Track)에서 데이터(Data)를 Read 또는 Write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 Seek Time
  2. Search Time
  3. Transfer Time
  4. Latency Time
(정답률: 62%)
  • 정답은 "Transfer Time"입니다. 이유는 데이터를 Read 또는 Write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속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이 속도를 전송 속도(Transfer Time)라고 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Read 또는 Write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Transfer Time이 결정합니다. Seek Time은 디스크 헤드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시간, Search Time은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찾는 시간, Latency Time은 디스크 헤드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기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32비트의 데이터에서 단일 비트 오류를 정정하려고 한다. 해밍 오류 정정 코드(Hamming Error Correction Code)를 사용한다면 몇 개의 검사 비트들이 필요한가?

  1. 4비트
  2. 5비트
  3. 6비트
  4. 7비트
(정답률: 54%)
  • 해밍 오류 정정 코드에서는 데이터 비트와 검사 비트를 함께 전송하며, 검사 비트들은 데이터 비트들의 패리티를 검사하여 오류를 찾고 정정한다. 단일 비트 오류를 정정하려면, 검사 비트들이 해당 오류를 포함하는 비트를 가리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검사 비트들이 데이터 비트들을 모두 커버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검사 비트들의 개수가 데이터 비트들의 개수보다 많아야 한다.

    해밍 오류 정정 코드에서는 2^r >= m+r+1 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여기서 r은 검사 비트의 개수, m은 데이터 비트의 개수이다. 단일 비트 오류를 정정하려면 m=32, 즉 데이터 비트가 32개이므로, 2^r >= 32+r+1 이어야 한다. 이 식을 만족하는 최소의 r을 구하면 r=6 이므로, 검사 비트의 개수는 6개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6비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2진수 7비트로 표현하는 경우 –9에 대해 부호화 절대값, 부호화 1의 보수 및 부호화 2의 보수로 변환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0001001, 0110110, 0110111
  2. 1001001, 0110110, 1110111
  3. 1001001, 1110110, 1110111
  4. 1001001, 0110110, 0110111
(정답률: 57%)
  • -9를 2진수 7비트로 표현하면 1001001이 된다.
    부호화 절대값은 그대로 1001001이다.
    부호화 1의 보수는 0110110이 된다. (각 자리수를 반전시킨다.)
    부호화 2의 보수는 0110111이 된다. (부호화 1의 보수에 1을 더한다.)
    따라서 정답은 "1001001, 1110110, 11101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자기보수 코드(Self Complement Code)인 것은?

  1. 3초과 코드
  2. BCD 코드
  3. 그레이 코드
  4. 해밍 코드
(정답률: 58%)
  • 정답은 "그레이 코드"이다.

    자기보수 코드(Self Complement Code)란, 어떤 수의 보수를 구할 때 그 수 자체를 이용하여 보수를 구하는 코드를 말한다. 예를 들어, 10진수에서 9의 보수는 1이고, 10의 보수는 0이다. 이를 자기보수 코드로 나타내면, 9는 10진수에서 1을 뺀 수이므로 10진수 자기보수 코드는 1이 되고, 10은 10진수에서 0을 뺀 수이므로 10진수 자기보수 코드는 0이 된다.

    하지만 "3초과 코드"는 자기보수 코드가 아니다. "3초과 코드"는 2진수에서 3보다 큰 수를 나타내는 코드로, 2진수에서 0과 1을 뒤집은 값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2진수에서 3은 011로 나타내지만, "3초과 코드"에서는 100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로 "3초과 코드"는 자기보수 코드가 아니다.

    BCD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 이진수로 나타내는 코드이고, 해밍 코드는 오류 검출 및 정정을 위한 코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의 데이터 코드 중 가중치 코드가 아닌 것은?

  1. 8421 코드
  2. 바이퀴너리(Biquinary) 코드
  3. 그레이(Gray) 코드
  4. 링 카운터(Ring Counter) 코드
(정답률: 75%)
  • 가중치 코드는 각 자리의 가중치가 2의 거듭제곱으로 증가하는 코드를 말한다. 따라서 "그레이(Gray) 코드"가 가중치 코드가 아니다. 그레이 코드는 인접한 두 코드 값 사이에 단 하나의 비트만 차이가 나는 코드로, 회로 설계에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0000과 0001 사이에는 한 비트만 차이가 나므로, 이 코드를 사용하면 한 비트만 변경되는 경우에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유일 키를 갖는 자료 1,000개가 키에 의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진탐색(Binary Search) 방법으로 원하는 자료를 찾고자 할 경우 최대 몇 번의 키 비교를 해야 하는가?

  1. 5번
  2. 10번
  3. 500번
  4. 1,000번
(정답률: 64%)
  • 이진탐색은 탐색 범위를 반으로 줄여가며 찾는 방법이다. 처음에는 1,000개의 자료 중 가운데 있는 500번째 자료를 선택한다. 이 자료와 찾고자 하는 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탐색 범위를 반으로 줄인다. 이후에도 탐색 범위를 반으로 줄여가며 찾으므로, 최대 10번의 키 비교만으로 원하는 자료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0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운영체제의 방식 중 가장 먼저 사용된 방식은?

  1. Batch Processing
  2. Time Slicing
  3. Multi-Threading
  4. Multi-Tasking
(정답률: 67%)
  • 가장 먼저 사용된 운영체제 방식은 "Batch Processing"이다. 이는 컴퓨터가 일련의 작업을 한 번에 처리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는 작업을 제출하고 결과를 기다려야 했다. 이 방식은 초기 컴퓨터에서 사용되었으며, 대량의 데이터 처리와 같은 일괄 처리 작업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보기의 기억장치 중 속도가 가장 빠른 것에서 느린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4)-(3)-(1)-(5)-(2)
  2. (4)-(5)-(3)-(1)-(2)
  3. (4)-(1)-(3)-(5)-(2)
  4. (4)-(5)-(1)-(3)-(2)
(정답률: 73%)
  • (4)-(1)-(3)-(5)-(2) 순서는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가상 기억장치, 보조 기억장치, 입력장치의 순서로 나열한 것이다. 이 중 가장 빠른 속도를 가진 것은 레지스터이고, 그 다음으로 빠른 속도를 가진 것은 캐시 메모리이다. 가상 기억장치와 보조 기억장치는 느리지만 용량이 크고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장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다른 기억장치들보다는 속도가 느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닉스(Unix) : 네트워크 기능이 강력하며, 다중 사용자지원이 가능하고, PC에서도 설치 및 운용이 가능한 버전이 있다.
  2. 리눅스(Linux) : 무료로 다운받아 모든 분야에 무료로 널리 사용할 수 있으며, 윈도우즈와 동일한 환경을 제공한다.
  3. 윈도우즈(Windows) : 소스가 공개되어 있지 않으며, 많은 사용자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서버급 보다는 클라이언트용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다.
  4. 도스(DOS) : 명령어 입력방식으로 불편하며, DOS지원을 위해 메모리와 디스크의 용량에 한계가 있다. 여러 사람이 작업을 할 수 없다.
(정답률: 75%)
  • 리눅스(Linux)가 "윈도우즈와 동일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리눅스와 윈도우즈는 서로 다른 운영체제이며, 각각의 환경과 특징이 있다. 리눅스는 무료로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유닉스와 호환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메모리에 접근하지 않아 실행 사이클이 짧아지고, 명령어에 사용될 데이터가 오퍼랜드(Operand) 자체로 연산 대상이 되는 주소지정방식은?

  1. 베이스 레지스터 주소지정 방식(Base Register Addressing Mode)
  2. 인덱스 주소지정 방식(Index Addressing Mode)
  3. 즉시 주소지정 방식(Immediate Addressing Mode)
  4. 묵시적 주소지정 방식(Implied Addressing Mode)
(정답률: 71%)
  • 즉시 주소지정 방식은 메모리에 접근하지 않고, 명령어에 직접적으로 사용될 데이터를 오퍼랜드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실행 사이클이 짧아지고, 연산 대상이 되는 주소를 찾는 과정이 생략되어 빠른 속도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방송사업자가 변경하고자 할 때 변경허가, 승인, 등록사항이 아닌 것은?

  1. 당해 법인의 합병
  2. 방송구역의 변경
  3. 대표자의 변경
  4. 방송분야의 변경
(정답률: 64%)
  • 대표자의 변경은 방송사업자의 대표적인 인사이기 때문에, 법인의 운영과 방송사업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송사업자가 대표자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도 해당 변경사항을 신고하여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데이터 전송 시 전압의 크기를 똑같이 하고, 위상을 45도, 135도, 225도, 315도의 4가지로 전송하는 방식은?

  1. QAM
  2. QPSK
  3. MPEG
  4. ATM
(정답률: 73%)
  • 위상 변조 방식 중 하나인 QPSK는 4개의 위상을 사용하여 2개의 비트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4개의 위상을 각각 45도, 135도, 225도, 315도로 설정하여, 전압의 크기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위상을 변조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 방식은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높은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가지고 있어 높은 전송 품질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QPSK가 데이터 전송 시 전압의 크기를 똑같이 하고, 위상을 45도, 135도, 225도, 315도의 4가지로 전송하는 방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모노포닉 방송을 설명한 것은 어느 것인가?

  1. 음성, 기타 음향 신호만으로 직접 주반송파를 변조하여 행하는 방송
  2. 정지 또는 이동하는 실물의 순간적 영상과 이에 따르는 음성 기타 음향을 내보내는 방송
  3. 30[MHz]를 초과하는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여 음성, 기타 음향에 내보내는 방송으로서 텔레비전 방송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방송
  4. 초단파 방송으로서 청취자에게 입체감을 주기 위하여 좌측신호 및 신호를 1개의 방송국으로부터 동시에 1개의 주파수의 전파로 송신하는 방송
(정답률: 54%)
  • "음성, 기타 음향 신호만으로 직접 주반송파를 변조하여 행하는 방송"은 모노포닉 방송을 설명한 것이다. 이 방송은 음성과 음향 신호를 직접 주파수에 변조하여 송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주전송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유선방송국 설비와 전송설로설비를 말한다.
  2. 유선방송국에서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및 증폭장치 등을 말한다.
  3. 유선방송신호를 증폭·조정·변환 및 혼합하여 선로에 전송하는 장치와 이에 부가된 장치를 말한다.
  4. 분배기 및 분기기 등에 의한 상·하향 신호의 전송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를 말한다.
(정답률: 65%)
  • "유선방송신호를 증폭·조정·변환 및 혼합하여 선로에 전송하는 장치와 이에 부가된 장치를 말한다."는 주전송장치에 대한 적절한 설명이다. 이는 유선방송신호를 처리하고 전송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하며, 선로에 직접적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전파법상의 '위성방송업무'란?

  1. 공중이 직접 수신하도록 할 목적으로 인공위성의 송신설비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무선통신업무
  2. 공중이 간접 수신하도록 할 목적으로 인공위성의 송신설비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무선통신업무
  3. 공중이 직접 수신하도록 할 목적으로 인공위성의 수신설비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무선통신업무
  4. 공중이 간접 수신하도록 할 목적으로 인공위성의 수신설비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무선통신업무
(정답률: 71%)
  •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공중이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송신하는 무선통신업무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용어의 정의에서 틀리게 설명된 것은?

  1. “전파”란 인공적인 유도에 의해 공간에 퍼져 나가는 전자파로서 3000GHz이하의 주파수를 가진 것을 말한다.
  2. “무선통신”이란 전파를 이용하여 모든 종류의 기호·신호·문언·영상·음향 등의 정보를 보내거나 받는 것을 말한다.
  3. “방송국”이란 공중(公衆)이 방송신호를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개설한 무선국을 말한다.
  4. “주파수재배치”란 주파수회수를 하고 이를 대체하여 주파수할당, 주파수 지정 또는 주파수 사용 승인을 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전파”란 인공적인 유도에 의해 공간에 퍼져 나가는 전자파로서 3000GHz이하의 주파수를 가진 것을 말한다."가 아닌 것이다. 이 정의에서는 전파의 주파수 범위를 3000GHz 이하로 제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높은 주파수의 전파도 존재한다. 따라서 정확한 정의는 "“전파”란 인공적인 유도에 의해 공간에 퍼져 나가는 전자파로서 일정 주파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이다.

    간단명료한 설명: 전파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전자파로, 일정 주파수 범위 내에서 발생한다. 이 전파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이나 방송 등이 이루어진다. 주파수재배치는 주파수 회수를 하고, 이를 대체하여 주파수 할당, 지정 또는 사용 승인을 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디지털종합유선방송국의 주 전송장치에 사용되는 변조방식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OFDM
  2. 256QAM
  3. QPSK
  4. 8-VSB
(정답률: 31%)
  • OFDM은 디지털종합유선방송국의 주 전송장치에 사용되는 변조방식이 아닙니다. OFDM은 주로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변조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음악유선방송에서 전송선로시설(동축케이블사용시)의 질적 수준의 측정 항목과 기준값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호레벨 : 50[㏈㎶] 이상
  2. 채널간 반송파의 레벨차 : 10[㏈] 이내
  3. 반송파대 잡음비(C/N비) : 28[㏈] 이하
  4. 전원합 변조도 : -50[㏈]
(정답률: 60%)
  • 반송파대 잡음비(C/N비)가 28[㏈] 이하인 것은 수신된 신호와 잡음의 비율이 일정 수준 이상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수신된 신호가 잡음보다 충분히 강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수신된 신호의 질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음악유선방송에서는 이러한 기준을 충족시켜야만 고품질의 방송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가입차 3만 이상의 종합유선방송사업자가 확보하여야 할 종사자의 자격과 인원은?

  1. 전파통신기사, 정보통신산업기사, 통신선로산업기사, 무선설비산업기사, 방송통신산업기사 또는 정보통신기술자(초급이상) 2명 이상
  2. 전파통신기사, 정보통신산업기사, 통신선로산업기사, 무선설비산업기사, 방송통신산업기사 또는 정보통신기술자(초급이상) 1명 이상
  3. 정보통신산업기사, 통신선로기능사, 무선설비기능사, 방송통신기능사 또는 통신기기기능사 1명 이상
  4. 자격 또는 경력인정자 1명 이상
(정답률: 76%)
  • 종합유선방송사업자는 방송 및 통신 기술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이 필요하므로, 이를 보유한 인력을 충분히 확보해야 합니다. 따라서, 종합유선방송사업자는 전파통신기사, 정보통신산업기사, 통신선로산업기사, 무선설비산업기사, 방송통신산업기사 또는 정보통신기술자(초급이상) 2명 이상을 보유해야 합니다. 이들은 방송 및 통신 기술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종합유선방송사업자가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 제공 사업에 필요한 선로기반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인공 및 수공
  2. 배관 및 배선반
  3. 통신구
  4. 관로 중 운용중인 관로
(정답률: 70%)
  • 정답: 관로 중 운용중인 관로

    설명: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 제공 사업에 필요한 선로기반설비는 인공 및 수공, 배관 및 배선반, 통신구 등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이미 운용중인 관로는 이미 설치되어 있으므로 추가적인 설비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관로 중 운용중인 관로"는 필요한 선로기반설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