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1-18)

한복기능사
(2009-01-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다음 중 견의 단백질에 해당되는 것은?

  1. 케라틴
  2. 세리신
  3. 피브로인
  4. 콜라겐
(정답률: 47%)
  • 견의 털은 피브로인이라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피브로인은 강한 탄력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견의 털이 부드럽고 빛나는 것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삼베를 바느질할 때 주로 사용하는 재봉기 바늘은?

  1. 7호
  2. 9호
  3. 11호
  4. 14호
(정답률: 27%)
  • 삼베는 두께가 굵은 천으로, 바늘도 두껍고 길어야 하기 때문에 14호 바늘이 주로 사용됩니다. 다른 번호의 바늘은 삼베를 바느질할 때 너무 얇거나 짧아서 작업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아마 섬유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습윤하면 강도가 약간 증가한다.
  2. 흡습과 건조속도는 면보다 느리다.
  3. 탄성이 나쁘다.
  4. 일광에 의해 쉽게 손상을 받는다.
(정답률: 42%)
  • 섬유의 특성 중에서 "흡습과 건조속도는 면보다 느리다."는 아마도 폴리에스터와 같은 인공섬유의 특성입니다. 이는 인공섬유가 면보다 덜 흡수하고 빨리 건조되기 때문입니다. 이유는 인공섬유가 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적고, 물을 빨리 배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공섬유로 만든 옷은 땀을 빨리 배출하여 건조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섬유의 흡습성이 큰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양모>견>면
  2. 견>양모>면
  3. 면>양모>견
  4. 견>면>양모
(정답률: 29%)
  • 정답은 "양모>견>면" 입니다.

    양모는 수분을 흡수하여도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흡습성이 뛰어나며, 견도 양모에 비해 흡습성이 높은 편입니다. 반면 면은 수분을 흡수하기 쉽지만, 흡수한 수분이 증발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흡습성이 낮은 편입니다. 따라서 섬유의 흡습성이 큰 순서는 양모>견>면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재생섬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비스코스 레이온
  2. 구리암모늄레이온
  3. 카제인섬유
  4. 아크릴섬유
(정답률: 50%)
  • 아크릴섬유는 인공섬유 중 하나로, 재생섬유가 아닙니다. 재생섬유는 천연섬유와 달리 인공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식물성 원료를 가공하여 만들어지는 섬유를 말합니다. 따라서 비스코스 레이온, 구리암모늄레이온, 카제인섬유는 모두 재생섬유에 해당하며, 아크릴섬유는 인공섬유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여름용 옷감은?

  1. 삼베, 모시, 안동포
  2. 공단, 양단, 모본단
  3. 광목, 당목, 포플린
  4. 자미사, 숙고사, 진주사
(정답률: 76%)
  • 여름은 더운 계절이므로 통기성이 좋고 시원한 소재가 필요합니다. 이에 삼베, 모시, 안동포는 모두 면 소재로 통기성이 좋고 흡수성이 뛰어나서 여름용 옷감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안감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두꺼운 겉감에는 가볍고 얇은 감을 사용한다.
  2. 색은 겉감보다 연한 동색으로 하거나 보색으로 배색한다.
  3. 얇고 비치는 겉감에는 되도록 질감이나 조직이 같은 흰색의 안감으로 한다.
  4. 안감은 겉감보다 좀 빳빳한 감으로 해야 실루엣이 살아난다.
(정답률: 52%)
  • "얇고 비치는 겉감에는 되도록 질감이나 조직이 같은 흰색의 안감으로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얇고 비치는 겉감에는 흰색 안감을 사용하면 오히려 안감이 비치는 것처럼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얇은 겉감에는 안감을 선택할 때 적당한 두께와 색상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벌크 가공을 할 수 있는 섬유는?

  1. 양모
  2. 아크릴
(정답률: 55%)
  • 아크릴은 인공섬유로, 높은 내구성과 내열성을 가지고 있어 벌크 가공이 가능합니다. 반면 면, 견, 양모는 자연섬유로 인해 벌크 가공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식물성 셀룰로스 섬유가 아닌 것은?

  1. 종모섬유
  2. 암면섬유
  3. 인피섬유
  4. 과실섬유
(정답률: 40%)
  • 암면섬유는 동물성 섬유로, 양털이나 털 등에서 추출됩니다. 따라서 식물성 셀룰로스 섬유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경사와 위사에 견사를 사용하여 평직으로 제직한 것으로 남,여 바지와 저고리 감으로 주로 사용하나 부드럽고 따뜻하여 여자들의 속옷감으로도 많이 쓰이는 것은?

  1. 갑사
  2. 부사견
  3. 항라
  4. 대화단
(정답률: 33%)
  • 부사견은 경사와 위사에 견사를 사용하여 제직한 것으로, 부드럽고 따뜻하여 여자들의 속옷감으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주로 남,여 바지와 저고리 감으로 사용되지만 여성 속옷으로도 많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전통적인 남자 어린이 한복의 색이 아닌 것은?

  1. 흰색 바지, 분홍색 저고리, 남색조끼
  2. 보라색 바지, 분홍색 저고리, 황색 조끼
  3. 흰색 바지, 연두색 저고리, 자주색 조끼
  4. 옥색바지, 분홍색 저고리, 연두색 조끼
(정답률: 46%)
  • 전통적인 남자 어린이 한복의 색은 주로 흰색, 남색, 연두색, 자주색 등이 사용되는데, 보라색 바지와 황색 조끼는 전통적인 색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키가 작고 마른사람의 복식으로 적당한 것은?

  1. 너무 꼭 끼게 하지 말고 적당히 하되 넉넉하게 하는 편이 좋다.
  2. 저고리 깃을 조금 길게 단다.
  3. 뒷깃은 내려서 단다.
  4. 무늬는 될수록 가는 것이 좋다.
(정답률: 64%)
  • 저고리 깃을 조금 길게 단다는 것은 상체를 길게 보이게 하여 비례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뒷깃은 내려서 단다는 것은 어깨를 좁아보이게 하여 상체 비례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무늬는 될수록 가는 것이 좋다는 것은 작은 체형에 큰 무늬는 비례감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작은 무늬나 단색이 적합하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너무 꼭 끼게 하지 말고 적당히 하되 넉넉하게 하는 편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디자인의 원리 중 색이나 선의 분할을 이용하여 회장을 다는 등 저고리의 면적을 조정하는 것에 해당하는 것은?

  1. 비례
  2. 조화
  3. 균형
  4. 착시
(정답률: 26%)
  • 정답은 "착시"입니다. 착시는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현상 중 하나로, 색이나 선의 분할 등을 이용하여 물체의 크기나 모양을 왜곡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저고리의 면적을 조정하는 것은 착시의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회색을 흰색 바탕과 검정색 바탕에 놓았을 때 흰색 바탕의 회색이 어둡게 보이는 현상은?

  1. 채도 대비
  2. 색상대비
  3. 보색대비
  4. 명도 대비
(정답률: 38%)
  • 이는 "명도 대비"입니다. 회색은 밝기가 중간인 색상으로, 밝은 색상과 어둡은 색상에 모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흰색 바탕에 놓으면 그 밝은 색상과 대조되어 어둡게 보이게 되고, 검정색 바탕에 놓으면 그 어두운 색상과 대조되어 밝게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밝기 대비를 "명도 대비"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치마 주름이나 색동, 연속문양과 옷고름 등의 배열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디자인의 원리는?

  1. 비율
  2. 균형
  3. 리듬
  4. 강조
(정답률: 52%)
  • 리듬은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패턴이나 움직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치마 주름이나 색동, 연속문양, 옷고름 등에서 반복되는 패턴이나 움직임이 있으면 리듬이 형성됩니다. 이러한 리듬은 디자인에서 일정한 패턴을 만들어내어 조화롭고 안정감 있는 느낌을 주며, 시각적인 흥미를 불러일으킵니다. 따라서 디자인에서 리듬은 중요한 원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불안정과 초조감을 주기도 하며 이지적이고 경쾌함을 느낄 수 있는 선은?

  1. 수직선
  2. 지그재그선
  3. 사선
  4. 수평선
(정답률: 56%)
  • 지그재그선은 불규칙한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어 불안정하고 초조한 느낌을 줄 수 있지만, 그 패턴이 반복되면서 경쾌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지적이면서도 경쾌한 느낌을 주는 선이 지그재그선입니다. 수직선과 수평선은 단조로워서 이지적이지만, 경쾌한 느낌은 없습니다. 사선은 불안정한 느낌은 주지만, 초조함보다는 긴장감을 느끼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조선시대의 복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중국 명나라 제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2. 유교사상에 의한 생활감정에 따라 사대부의 복식은 활수형으로 변천하였다.
  3. 어느 시대보다 예의 관념이 엄격하였다.
  4. 귀족과 서민의 의복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정답률: 48%)
  • 조선시대의 복식은 중국 명나라 제도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유교사상에 따라 사대부의 복식은 활수형으로 변천하였고, 어느 시대보다 예의 관념이 엄격했습니다. 하지만 귀족과 서민의 의복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조선시대에는 귀족과 서민의 의복에도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귀족층의 의복은 더욱 화려하고 세련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스캘럽(scallop)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뚱뚱한 사람에게 사용하면 좋은 디테일로 체형의 결점을 감출 수 있다.
  2. 가슴이나 엉덩이 등 살이 많은 부위에 사용하면 결점이 감추어진다.
  3. 귀여운 소녀나 균형잡힌 젊은 층에게 옷의 가장자리나 도련 장식으로 사용하면 귀여움, 상냥한 느낌을 준다.
  4. 시원함, 단정함, 어두운 느낌을 나타내고 싶을 때 사용한다.
(정답률: 43%)
  • 스캘럽은 옷의 가장자리나 도련 장식으로 사용하면 귀여움, 상냥한 느낌을 준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마직물에 해당되는 것은?

  1. 모본단
  2. 안동포
  3. 삼팔주
  4. 공단
(정답률: 59%)
  • 안동포는 한국 전통 마직물 중 하나로, 안동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천연색상의 면직물입니다. 반면에 모본단은 일본의 전통적인 패턴이 적용된 면직물, 삼팔주는 한국의 전통주, 공단은 직물을 만드는 공장을 뜻합니다. 따라서, 마직물에 해당되는 것은 안동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명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5R 4/14
  2. 5R 8/3
  3. 5R 6/7
  4. 5R 5/10
(정답률: 35%)
  • 명도는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색이 더 밝아지며, 0에 가까울수록 어두워집니다. 따라서 "5R 8/3"이 가장 명도가 높은 것입니다. "5R 4/14"는 명도가 낮아서 어두운 색이고, "5R 6/7"과 "5R 5/10"은 명도가 비슷하지만 "5R 8/3"보다는 어두운 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다음 중 키가작고 뚱뚱한 체형에 알맞은 디자인은?

  1. 깃과 섶을 약간 넓게하고 저고리 길이와 품을 여유있게 디자인한다.
  2. 회장저고리나 진동선을 어깨허리 모양으로 만든 저고리를 이용하여 디자인한다.
  3. 저고리 길이와 깃을 약간 길게 하고 소매에 끝동을 달아 배래가 넓게 보이지 않도록 디자인 한다.
  4. 치마폭 사이에 바이어스를 대거나 수직선으로 장식다는 것으로 디자인 한다.
(정답률: 35%)
  • 키가 작고 뚱뚱한 체형에 알맞은 디자인은 "회장저고리나 진동선을 어깨허리 모양으로 만든 저고리를 이용하여 디자인한다."입니다. 이유는 어깨와 허리를 강조하여 상체와 하체의 비율을 조절하고, 여유있는 품과 길이로 체형을 커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튼튼하게 꿰매야 하는 솔기에 이용되며 바지 배래 솔기에 많이 사용되는 바느질은?

  1. 가름솔
  2. 홑솔
  3. 통솔
  4. 곱솔
(정답률: 35%)
  • 바지 배래 솔기는 매우 튼튼하게 꿰매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사용되는 바느질은 튼튼하고 굵은 실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바느질을 통솔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통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바지의 바느질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시접은 작은 사폭 쪽으로 꺾어 다린다.
  2. 마루폭은 허리 쪽에서 부터 꺾어 다린다.
  3. 배래의 시접은 안감 쪽으로 꺾어 다린다.
  4. 허리의 시접은 허리 쪽으로 꺾는다.
(정답률: 36%)
  • 바지의 허리 부분은 몸에 가장 밀착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시접을 허리 쪽으로 꺾어서 바지가 더욱 편안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허리의 시접은 허리 쪽으로 꺾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재봉기로 바느질할 때 주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풀치마의 주름 너비는 보통 0.5-1cm가 알맞다.
  2. 풀치마의 주름은 안자락 쪽에서 시작하여 겉자락 쪽을 향하여 잡아 가는 것이 편하다.
  3. 통치마의 경우 아귀를 튼 솔기의 시접은 주름의 방향과 같은 쪽을 향하도록 꺾는다.
  4. 풀치마의 주름 분을 계산할 때에는 앞트기 치마러리의 여밈을 위한 겹침분을 염두에 두고 계산한다.
(정답률: 33%)
  • "풀치마의 주름은 안자락 쪽에서 시작하여 겉자락 쪽을 향하여 잡아 가는 것이 편하다."이 설명은 오히려 틀린 설명입니다. 올바른 설명은 "풀치마의 주름은 겉자락 쪽에서 시작하여 안자락 쪽을 향하여 잡아 가는 것이 편하다."입니다. 이유는 풀치마의 경우 안쪽에 더 많은 움푹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안쪽에서 시작하여 바깥쪽으로 잡아가면 더 자연스러운 주름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한복감에 풀먹이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풀을 곱게 풀어 고운체에 받쳐 놓는다.
  2. 풀 먹일 옷감은 바짝 마르게 하는 것이 좋다.
  3. 받쳐 놓은 풀에 옷감을 넣고 풀이 속까지 베어 들도록 골고루 문질러 꼭 짠다.
  4. 다듬이질 할 옷감은 풀을 세게 먹이고 다림질 할 옷감은 약하게 먹이는 것이 좋다.
(정답률: 44%)
  • 정답은 "풀 먹일 옷감은 바짝 마르게 하는 것이 좋다."입니다. 이유는 풀이 너무 많이 먹이면 옷감이 굳어지고 무거워지기 때문에 바짝 마르게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윗실 거는 순서의 배열로 옳은 것은?

  1. 실패꽂이-윗실조절기-윗실안내-실채기-바늘
  2. 실패꽂이-윗실안내-윗실조절기-실채기-바늘
  3. 실패꽂이-윗실안내-실채기-윗실조절기-바늘
  4. 실패꽂이-실채기-윗실안내-윗실조절기-바늘
(정답률: 49%)
  • 정답은 "실패꽂이-윗실안내-윗실조절기-실채기-바늘"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실패꽂이: 실패꽂이는 바늘에 실을 꽂을 때 사용하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가장 먼저 사용됩니다.

    2. 윗실안내: 윗실안내는 윗실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부품입니다. 실패꽂이 다음으로 사용됩니다.

    3. 윗실조절기: 윗실조절기는 윗실의 길이를 조절해주는 부품입니다. 윗실안내 다음으로 사용됩니다.

    4. 실채기: 실채기는 아랫실에서 올라오는 실을 잡아주는 부품입니다. 윗실조절기 다음으로 사용됩니다.

    5. 바늘: 바늘은 실을 끼워서 실을 봉제하는 데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모든 부품을 사용한 후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재봉기의 부품 중 다음 그림에 해당되는 것은?(문제 오류로 그림이 없습니다. 정확안 그림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자유게시판 또는 관리자 메일로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2번 입니다.)

  1. 바늘판
  2. 침판
  3. 각판
  4. 미끄럼판
(정답률: 49%)
  • 재봉기에서 침을 꿰는 부분이 침판이기 때문입니다. 침판은 바늘을 꿰는 구멍이 있고, 이 구멍을 통해 바늘이 통과하여 실과 함께 원단에 봉제되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침판은 재봉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엷은 합성섬유 직물을 재봉할 때 1cm당 바느질 땀수는?

  1. 8~9
  2. 6~7
  3. 4~5
  4. 2~3
(정답률: 45%)
  • 엷은 합성섬유 직물은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바느질 땀수가 적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1cm당 6~7번 정도 바느질하는 것이 적당하며, 이보다 적게 바느질하면 직물이 풀리거나 늘어날 수 있고, 많이 바느질하면 직물이 두꺼워져 불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6~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밑실이 끊어지는 원인 중 해당되지 않는 결함은?

  1. 바늘판
  2. 톱니
  3. 노루발
(정답률: 44%)
  • 밑실이 끊어지는 원인 중 해당되지 않는 결함은 "노루발"입니다. 노루발은 동물의 발톱을 의미하며, 밑실이 끊어지는 원인과는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바늘판은 바늘 모양의 부품이 떨어져서 밑실이 끊어지는 경우가 있고, 톱니는 톱니 모양의 부품이 마찰로 인해 마모되어 밑실이 끊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혹은 불량한 재질로 인해 밑실이 끊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견 섬유은 안전 다림질 온도로 옳은 것은?

  1. 120
  2. 150
  3. 200
  4. 230
(정답률: 33%)
  • 견섬유는 안전 다림질 온도가 150도이기 때문입니다. 이 온도에서 다림질을 하면 견섬유가 손상되지 않고 유지됩니다. 다른 온도에서 다림질을 하면 견섬유가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건식 세탁의 특징에 해당되는 것은?

  1. 의복의 모양이 변하지 않고 바탕이 상하지 않는다.
  2. 친수성 오염에 효과적이다.
  3. 세탁방법이 간단하고 건조가 느리다.
  4. 세제의 값이 싸고 구하기 쉽다.
(정답률: 57%)
  • 건식 세탁은 물을 사용하지 않고 세탁기에 의복을 넣어 회전시켜 세탁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의복의 모양이 변하지 않고 바탕이 상하지 않습니다. 또한 친수성 오염에 효과적이며 세탁방법이 간단하지만 건조가 느리고 세제의 값이 비싸고 구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기호의 표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의 온도 95도c를 표준으로 세탁할 수 있다.
  2. 세제의 종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3. 세탁기로 세탁할 수 있다.
  4. 손세탁을 할 수 없다.
(정답률: 40%)
  • 이 기호는 "세탁기로 세탁할 수 있다."를 나타내는 기호이므로, "손세탁을 할 수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옷에 쇳물이 묻었을 때 얼룩빼기 처리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비눗물이나 암모니아수로 처리한다.
  2. 휘발유. 벤젠으로 녹여낸 후 중성세제 비눗물로 처리한다.
  3. 과산화수소로 처리한다.
  4. 수산액에 처리한다.
(정답률: 42%)
  • 옷에 묻은 쇳물은 산성성분이 많아서 알칼리성분인 수산액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비눗물이나 암모니아수는 알칼리성분이지만 쇳물에 대한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휘발유나 벤젠은 유독성이 있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과산화수소는 산화성분으로 옷에 더 큰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따라서 수산액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의복의 내구적 성능 중 열에 의해 연화되는 성질을 가지는 섬유는?

  1. 레이온
  2. 양모
  3. 아세테이트
(정답률: 34%)
  • 아세테이트는 열에 의해 연화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아세테이트가 열에 노출되면 분해되어 녹아내리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의복의 내구적 성능을 고려할 때 아세테이트 섬유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일반적인 한복 보관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견직물이나 모직물은 직물 특성상 건조한곳에 그냥 보관한다.
  2. 그대로 보관해야 할 옷과 뜯어서 보관할 옷을 구분한다.
  3. 만일 해충이 생겼을 때는 열에 강한 직물인 경우 뜨거운 다림질을 해 준 뒤 신문지에 싸서 보관한다.
  4. 거풍한 옷은 솔로 털어 주고 잘 개켜서 보관한다.
(정답률: 38%)
  • "견직물이나 모직물은 직물 특성상 건조한곳에 그냥 보관한다."가 틀린 것이다. 견직물이나 모직물도 습기와 먼지에 노출되면 변색이나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보관 시에는 건조하고 청결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전통 금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정이 까다롭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2. 예전에는 상류층에만 허용되었다.
  3. 한복의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여 매우 화려하다.
  4. 물빨래를 할 수 있다.
(정답률: 56%)
  • 물빨래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전통 금박은 금을 박아서 만든 장식으로, 물에 담그거나 빨래를 하면 금이 벗겨질 수 있기 때문에 물빨래를 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여자 단속곳을 제작할 때 필요하지 않은 원형 제도는?

  1. 큰폭
  2. 밑바대
  3. 작은 폭
  4. 마루폭
(정답률: 46%)
  • 여자 단속곳을 제작할 때 필요하지 않은 원형 제도는 "마루폭"입니다. 이는 바닥의 너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자 단속곳 제작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여자 단속곳 제작에 필요한 제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성인 남자 저고리 제작에 필요한 옷감분량으로 옳은 것은?

  1. 50~55cm의 너비:(길이×4)+(소매너비×4)+시접
  2. 50~55cm의 너비:(길이×2)+(소매너비×4)+시접
  3. 110~120cm의 너비:(길이×2)+(소매너비×4)+시접
  4. 110~120cm의 너비:(길이×2)+시접
(정답률: 25%)
  • 정답은 "50~55cm의 너비:(길이×4)+(소매너비×4)+시접"입니다.

    이유는 저고리는 몸에 딱 맞게 입는 옷이 아니기 때문에 여유있게 제작해야 합니다. 따라서, 길이와 소매너비를 각각 2번씩 사용하여 총 4번 사용하고, 시접도 추가해야 하기 때문에 너비는 50~55cm 정도가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남자조끼 마름질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끼는 안단과 주머니분이 더 필요하다.
  2. 겉감으로 안단과 입술감을 준비한다.
  3. 너비가 110cm일 때 옷감 소요량은 (조끼길이+시접)이다.
  4. 각 부분의 시접은 1~1.5cm정도로 한다.
(정답률: 40%)
  • "조끼는 안단과 주머니분이 더 필요하다."가 틀린 것입니다. 조끼는 안단과 주머니분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너비가 110cm일 때 옷감 소요량은 (조끼길이+시접)이라는 것은, 조끼를 만들기 위해서는 조끼의 길이와 각 부분의 시접을 고려하여 필요한 옷감의 길이를 계산하는 공식입니다. 너비가 110cm인 옷감을 사용한다는 가정하에, 조끼의 길이와 시접을 더한 값이 필요한 옷감의 길이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스란치마와 대한치마를 구별하는 기준이 되는 것은?

  1. 스란단 수
  2. 치마폭 수
  3. 치마의 길이
  4. 치마허리의 형태
(정답률: 49%)
  • 스란치마와 대한치마를 구별하는 기준은 "스란단 수"입니다. 스란단 수는 치마의 허리에서부터 밑단까지의 수직적인 줄을 의미하며, 스란치마는 5단 이하, 대한치마는 7단 이상의 스란단 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스란단 수를 확인하면 스란치마와 대한치마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당의 제작시 뒷중심선을 겉과 겉이 맞닿게 접어박은 다음, 시접을 입어서 오른쪽으로 가도록 꺾는 바느질 방법은?

  1. 섶달기
  2. 등솔박기
  3. 어깨솔기박기
  4. 배래박기
(정답률: 42%)
  • 등솔박기는 뒷중심선을 겉과 겉이 맞닿게 접어박은 다음, 시접을 입어서 오른쪽으로 가도록 꺾는 바느질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뒷중심선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옷의 뒷모습이 깔끔하고 정갈하게 보이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등솔박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저고리 앞면의 좌우 중심선 밖에 붙여지는 것으로 기능적으로는 앞을 여미고 미적으로는 변화를 발생시키는 저고리 구성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1. 옷고름
  2. 중심선
(정답률: 41%)
  • 저고리 앞면의 좌우 중심선 밖에 붙여지는 것으로 기능적으로는 앞을 여미고 미적으로는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은 "깃"과 "섶"입니다. 그러나 "깃"은 저고리의 양쪽 끝에 위치하고 있는 반면, "섶"은 저고리 앞면 중앙에 위치하므로 가장 기본적인 것은 "섶"입니다. "옷고름"은 옷의 소매나 바지 밑단 등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중심선"은 저고리를 가운데로 접었을 때 중앙에 위치하는 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한복을 구성할 때 반드시 갖추어야 할 요소들로만 나열된 것은?

  1. 착용자, 착용조건, 디자인, 옷감
  2. 디자인, 봉제, 가격, 유통
  3. 옷감, 장신구, 봉제, 가격
  4. 제작, 디자인, 가격, 유통
(정답률: 50%)
  • 한복은 착용자의 체형과 특성에 맞게 제작되어야 하며, 착용 조건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과 옷감이 선택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한복을 구성할 때 반드시 갖추어야 할 요소는 착용자, 착용조건, 디자인, 옷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봉제시 바늘이 건너뛸 경우 원인이 아닌 것은?

  1. 바늘 밑판에 불순물이 끼었을 경우
  2. 바늘이 잘못 끼워졌을 경우
  3. 실이 잘못 끼워졌을 경우
  4. 톱니가 내려져 있을 경우
(정답률: 36%)
  • 톱니가 내려져 있을 경우, 바늘이 움직일 때 톱니와 부딪혀서 움직임이 제한되거나 멈추게 됩니다. 따라서 바늘이 건너뛰는 원인이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바늘의 움직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원인들이므로, 바늘이 건너뛰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여자 저고리 제작시 가슴이 큰 체형을 보완하기 위한 디자인으로 틀린 것은?

  1. 앞 길이를 짧게 한다.
  2. 섶 분량을 넉넉히 한다.
  3. 치마 말기를 넓게 한다.
  4. 진한색의 저고리가 체형 보완에 효과적이다.
(정답률: 47%)
  • 앞 길이를 짧게 한다는 것은 가슴 부분이 덜 강조되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가슴이 큰 체형을 보완하기 위한 디자인으로는 오히려 앞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저고리가 착용된 시대는?

  1. 삼국시대 이전
  2. 삼국시대
  3. 조선시대
  4. 개화기
(정답률: 52%)
  • 이 저고리는 단추가 없는 형태로, 조선시대에 착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조선시대 백관복 중 방심곡령이 있었던 복식은?

  1. 조복
  2. 제복
  3. 상복
  4. 공복
(정답률: 25%)
  • 방심곡령은 조선시대 백관들이 입었던 복식의 규정서였습니다. 이 규정서에 따르면 백관들은 일상적인 모습으로는 상복을 입고, 국사행렬 등의 특별한 행사에서는 제복을 입어야 했습니다. 따라서 제복은 백관들이 특별한 행사에서 입었던 복식으로, 방심곡령에서 규정된 복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삼회장 저고리가 해당되는 복식의 시대는?

  1.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4. 개화기이후
(정답률: 47%)
  • 삼회장 저고리는 조선시대의 복식 중 하나입니다. 이유는 조선시대에는 사대부, 관료, 선비 등 상류층에서는 저고리를 입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삼회장 저고리는 그 중에서도 특히 귀족층에서 선호되는 스타일이었습니다. 또한 삼회장 저고리는 조선 후기인 18세기에 유행하였으며, 이 시기에는 서민들도 저고리를 입는 것이 보편화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우리옷의 풍성한 기풍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외출복은?

  1. 단령
  2. 도포
  3. 두루마기
  4. 배자
(정답률: 37%)
  • 도포는 한복의 외출복으로, 풍성한 기풍과 화려한 자수가 특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한복의 다른 종류나 부속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가장 크고 화려한 것으로 조선시대 궁중에서 패용하던 노리개는?

  1. 대삼작 노리개
  2. 중삼작 노리개
  3. 소삼작 노리개
  4. 단작노리개
(정답률: 52%)
  • 대삼작 노리개는 가장 크고 화려한 노리개로, 궁중에서 왕과 왕비가 사용했기 때문에 가장 귀하고 값진 노리개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외명부들이 궁중을 출입할 때 가체의 일종으로 낭자를 소라껍질처럼 크게 틀어 쪽진 머리에 가식한 머리모양은?

  1. 조짐머리
  2. 첩지머리
  3. 땋은머리
  4. 새앙머리
(정답률: 36%)
  • 가체로 사용되는 낭자를 소라껍질처럼 크게 틀어 쪽진 머리에 가식한 머리모양을 조짐머리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조선 시대 여자들이 대표적인 머리 모양이 아닌것은?

  1. 얹은머리
  2. 쪽진머리
  3. 땋은머리
  4. 어여머리
(정답률: 33%)
  • 어여머리는 머리를 올리지 않고 풀어놓은 상태로 머리카락을 정돈한 것으로, 조선 시대 여자들이 대표적으로 선호하지 않았던 머리 모양입니다. 대신 얹은머리, 쪽진머리, 땋은머리 등이 대표적인 머리 모양으로 인기를 끌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소매가 넓고 전삼(展杉)이 붙어 있는 의복은?

  1. 학창의
  2. 첩리
  3. 직령포
  4. 도포
(정답률: 36%)
  • 도포는 소매가 넓고 전삼이 붙어 있는 의복으로,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창의는 학생들이 입는 교복, 첩리는 조선시대 고관들이 입던 의복, 직령포는 군인들이 입는 군복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소매가 넓고 전삼이 붙어 있는 의복은 도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백관복 중 융복 착용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왕 행차에 수행할 때
  2. 외국에 사신으로 파견될 때
  3. 국난을 당하였을 때
  4. 입시할 때나 공무를 볼 때
(정답률: 59%)
  • 정답은 "입시할 때나 공무를 볼 때"입니다. 백관복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관직을 맡은 사람들이 입었던 옷으로, 융복은 왕이나 왕비, 왕자 등이 입는 특별한 옷입니다. 입시나 공무를 볼 때는 백관복을 입는 것이 관습이지만, 융복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활옷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계급에 따라 금박문양을 다르게 사용하여 궁중 원삼과 구별하였다.
  2. 일반인들은 혼례시에만 착용할 수 있었다.
  3. 주로 상류계층에서 착용했던 예복이었는데 후에 서민층의 혼례복이 되었다.
  4. 예복 중에서 가장 간편하고 모양이 아름답다.
(정답률: 40%)
  • 활옷은 주로 상류계층에서 착용했던 예복이었지만, 후에는 서민층의 혼례복으로도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개화기 남자 복식 중 상의와 관계없는 것은?

  1. 마고자
  2. 조끼
  3. 속적삼
  4. 행전
(정답률: 44%)
  • "행전"은 개화기 남자 복식 중 상의가 아닌 하의이기 때문에 관계없는 것입니다. "마고자"는 외투, "조끼"는 조끼, "속적삼"은 속옷이며, 이들은 모두 상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의복의 종류와 형태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키톤, 로브 - 관두형
  2. 두루마기 기모노 - 체형형
  3. 키톤, 사리 - 권의형
  4. 로브, 기모노 - 전개형
(정답률: 40%)
  • 키톤은 일본의 전통 의복으로, 사리는 키톤을 감싸는 띠 형태의 묶음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키톤과 사리는 함께 사용되는 형태인 권의형이 맞습니다. 로브는 서양의 전통 의복으로, 기모노는 일본의 전통 의복으로 각각 다른 형태이므로 전개형이 아닌 다른 형태와 짝지어지는 것이 옳습니다. 두루마기 기모노는 일본의 전통 의복 중 하나이지만, 체형형이라는 형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통일 신라시대의 복식 중 소매를 짧게 한 반소매형의 복식은?

  1. 복두
  2. 단의
  3. 반비
(정답률: 40%)
  • 통일 신라시대의 복식 중 소매를 짧게 한 반소매형의 복식은 "반비"입니다. "복두"는 머리에 쓰는 모자, "단의"는 바지, "표"는 겉옷을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관모는?

  1. 흑립
  2. 초립
  3. 패랭이
  4. 정자관
(정답률: 38%)
  • 이 관모는 흑색의 립(입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흑립"이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조선 말기 궁중에서 사용하던 예복용 치마로 대란치마 위에 덧입었던 치마는?

  1. 무지기 치마
  2. 대슘치마
  3. 스란치마
  4. 전행웃치마
(정답률: 24%)
  • 전행웃치마는 조선 말기 궁중에서 사용하던 예복용 치마 중 하나로, 대란치마 위에 덧입었던 치마였습니다. 이 치마는 전행(前行)이라는 특수한 방식으로 묶어서 입었는데, 이는 치마를 더욱 풍성하고 아름답게 보이게 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전행웃치마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