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8-30)

의공산업기사
(2009-08-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초의학 및 의공학

1. 다음 뇌파유도법 중 활성전극과 비활성전극 간의 전위차를 기록하는 유도법은?

  1. 단극유도법
  2. 쌍극유도법
  3. 위상유도법
  4. 주파수유도법
(정답률: 79%)
  • 단극유도법은 활성전극과 비활성전극을 사용하여 뇌파의 전위차를 기록하는 유도법입니다. 이 방법은 하나의 전극만 사용하는 쌍극유도법에 비해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위상유도법과 주파수유도법은 뇌파의 주기와 주파수를 측정하는 방법이므로,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선형가변차동변환기(LVDT)가 다른 유도성 센서와 상이한 특징은 무엇인가?

  1. 선형성
  2. 변위측정
  3. 전압측정
  4. 위상변화
(정답률: 53%)
  • LVDT는 유도성 센서 중에서도 변위측정에 특화된 센서이며, 선형성과 전압측정 능력은 다른 유도성 센서와 유사합니다. 하지만 LVDT는 입력 신호의 위상 변화에 따라 출력 신호가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LVDT가 입력 신호의 위상 변화를 변위로 해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LVDT는 위상 변화를 측정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그림과 같이 철심이 위치를 코일간의 유도결합을 통해 측정하는 위치 센서는 무엇인가?

  1.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ge)
  2. 용량성 변위계(capacitive transdecer)
  3. 유도성 휘스톤브리지(inductive wheatstone bridge)
  4. 선형 전압 미분변압기(linear voltage differential transformer)
(정답률: 76%)
  • 정답은 "선형 전압 미분변압기(linear voltage differential transformer)"이다. 이유는 철심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코일간의 유도결합을 이용하는데, 이는 선형 전압 미분변압기의 원리와 일치한다. 선형 전압 미분변압기는 입력 신호에 대한 위치 변화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이를 위해 코일간의 유도결합을 이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철심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센서는 선형 전압 미분변압기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캐패시터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용량성 센서에서 정전용량(C)의 식으로 옳은 것은? (단, 판의 면전 : S, 판 사이 간격 : d, 유전율 : ε)

(정답률: 87%)
  • 정전용량(C)은 판 사이 간격(d)과 판의 면적(S)에 비례하고, 유전율(ε)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전극의 분류 중 사용 부위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표면 전극
  2. 습윤 전극
  3. 미세 전극
  4. 두피용 전극
(정답률: 82%)
  • 정답은 "습윤 전극"입니다.

    이유는 다른 전극들은 사용 부위에 따라 분류되는 반면, 습윤 전극은 전기적인 특성에 따라 분류됩니다. 습윤 전극은 전극 표면에 습기를 유지하여 전기적인 저항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습윤 전극은 사용 부위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전기적인 특성에 따라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일차뼈 되기 중심과 이차뼈 되기 중심에 있는 연골로서 뼈의 길이 성장이 일어나는 것은?

  1. 치밀뼈(compact bone)
  2. 뼈끝판(epiphyseal plate)
  3. 해면뼈(sponge bone)
  4. 관절연골(atricular cartllage)
(정답률: 90%)
  • 뼈끝판은 일차뼈와 이차뼈 사이에 위치한 연골로서, 뼈의 길이 성장이 일어나는 중심 부위입니다. 뼈끝판에서 새로운 연골 세포가 형성되고, 이 세포들이 뼈의 길이를 늘려나가면서 뼈가 성장하게 됩니다. 따라서 뼈끝판은 뼈의 성장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심장근
  2. 평활근
  3. 골격근
  4. 가로무늬근
(정답률: 77%)
  • 이 그림은 심장근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유는 심장근은 가로무늬근과는 달리 규칙적인 질서 없이 배열되어 있으며, 평활근과는 달리 자율신경의 조절을 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수축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골격근과는 달리 다중분열 능력이 없어 손상된 심장근은 대체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유도성 센서를 이용한 주 측정량은?

  1. 온도
  2. 변위
  3. 압력
(정답률: 86%)
  • 유도성 센서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물체의 위치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이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주 측정량은 물체의 변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그림의 전극은?

  1. 부유 전극(floating electrode)
  2. 흡착 전극(suction electrode)
  3. 금속판 전극(metal plate electrode)
  4. 가요성 전극(flexible electrode)
(정답률: 93%)
  • 이 그림은 흡착 전극(suction electrode)입니다. 전극의 끝 부분이 뚫려 있어서, 전극을 피부에 밀착시키면 피부와 전극 사이에 진공이 생기면서 피부를 흡착시킵니다. 이렇게 하면 전극과 피부 사이의 저항이 줄어들어서 신호를 더 잘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센서의 성능을 나타내는 용어 중 입력값이 변화 할 수 있는 최대 허용범위를 나타내는 것은?

  1. 정밀도
  2. 레인지
  3. 스팬
  4. 분해능
(정답률: 72%)
  • 레인지는 센서가 측정 가능한 입력값의 최대 범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다른 용어들은 센서의 성능을 나타내는데 있어서 다른 측면을 나타내지만, 입력값의 최대 범위를 나타내는 것은 레인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레인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의 생체신호 측정용 전극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생체 내부에서는 이온에 의한 전류가 생성되고, 전자시스템 내에서는 자유전자의 이동에 의한 전류가 만들어 진다.
  2. 생체표면에 금속 성분의 전극이 부착되면, 이온작용에 의한 일정한 전위를 얻게 되는데, 이 때 얻어지는 전위 값은 온도, 습도와 무관하게 일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3. 금속전극과 전해질 경계면(interface)에서는 전하분리 현상에 의한 전기 이중층(electric doublelayer)이 형성된다.
  4. 전극은 생체내 이온에 의한 전류를 전자회로내의 자유전자에 의한 전류로 변환해 주는 변환기(transducer)의 역할을 한다.
(정답률: 83%)
  • 생체 내부에서는 이온에 의한 전류가 생성되고, 전자시스템 내에서는 자유전자의 이동에 의한 전류가 만들어 진다. 이 부분이 틀린 설명입니다.

    생체 내부에서는 이온에 의한 전류가 생성되는 것은 맞지만, 전자시스템 내에서는 자유전자의 이동에 의한 전류가 만들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전자시스템 내에서는 전자의 이동에 의한 전류가 만들어집니다.

    생체표면에 금속 성분의 전극이 부착되면, 이온작용에 의한 일정한 전위를 얻게 되는데, 이 때 얻어지는 전위 값은 온도, 습도와 무관하게 일정한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전극과 생체 내의 전해질 사이에서 전기 이중층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전극은 생체내 이온에 의한 전류를 전자회로내의 자유전자에 의한 전류로 변환해 주는 변환기(transducer)의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생체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어주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측정
  2. 감도
  3. 센서
  4. 스팬
(정답률: 84%)
  • 생체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어주는 것을 "센서"라고 한다. 이는 생체신호를 감지하고 측정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정"과 "감도"는 센서의 일부분이지만, 생체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바로 "센서"이다. "스팬"은 범위나 구간을 의미하는 용어로, 이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휴지 전위(resting potential)와 관련 있는 것은?

  1. H2O
  2. O2
  3. K+이온
  4. Ca+이온
(정답률: 80%)
  • 휴지 전위는 뉴런 내부와 외부의 전기적 차이를 의미합니다. 이 전기적 차이는 주로 이온들의 이동으로 유지됩니다. K+이온은 뉴런 내부에서 높은 농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온 채널을 통해 뉴런 외부로 나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K+이온의 이동이 휴지 전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K+이온은 휴지 전위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사람의 혈압을 정의할 때 가장 옳은 것은?

  1. 심장의 좌심실로부터 대동맥 쪽을 나온 직후의 대동맥 내압을 말한다.
  2. 심장의 우심실로부터 대동맥 쪽을 나온 직후의 대동맥 내압을 말한다.
  3. 심장의 좌심실로부터 대정맥 쪽을 나온 직후의 대동맥 내압을 말한다.
  4. 심장의 우심실로부터 대정맥 쪽을 나온 직후의 대동맥 내압을 말한다.
(정답률: 63%)
  • 혈압은 심장 수축 시 대동맥 내에 가해지는 압력을 말한다. 따라서, 심장의 좌심실로부터 대동맥 쪽을 나온 직후의 대동맥 내압을 말하는 것이 옳다. 이때의 압력을 수축기 혈압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근위세뇨관 및 Henle 고리의 수분 재흡수 감소에 기인한 신기능 장애 현상은?

  1. 요독증
  2. 수분중독
  3. 수분이뇨
  4. 삼투성이뇨
(정답률: 76%)
  • 근위세뇨관 및 Henle 고리의 수분 재흡수 감소로 인해 신장에서 나오는 소변의 양이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신기능 장애 현상을 삼투성이뇨라고 합니다. 이는 신장 기능이 저하되어 소변이 많이 나오는 증상으로, 신장 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인체의 장기 중 인슐린을 분비하는 곳으로 이 조직이 없으면 당뇨병에 걸리는 것은?

  1. 췌장
  2. 신장
  3. 심장
(정답률: 90%)
  • 췌장은 인슐린을 분비하는 장기입니다. 인슐린은 혈당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췌장이 없으면 혈당 조절이 원활하지 않아 당뇨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췌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청각과 평형감각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청각은 외이도를 거쳐 고막에 도달하여 청소골과 달팽이관에 전달된다.
  2. 평형가각의 수용기는 반고리관 및 전정기관이다.
  3. 반고리관은 내이 안에 거의 직각으로 연결된 3개의 반원형 모양을 하고 있다.
  4. 반고리관은 위치감각을 전정기관은 회전감각을 담당한다.
(정답률: 79%)
  • "반고리관은 위치감각을 전정기관은 회전감각을 담당한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 "청각은 외이도를 거쳐 고막에 도달하여 청소골과 달팽이관에 전달된다." : 맞는 설명이다.
    - "평형감각의 수용기는 반고리관 및 전정기관이다." : 맞는 설명이다.
    - "반고리관은 내이 안에 거의 직각으로 연결된 3개의 반원형 모양을 하고 있다." : 맞는 설명이다.
    - "반고리관은 위치감각을 전정기관은 회전감각을 담당한다." : 맞는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신경 세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경 세포의 중심부분은 세포체이다.
  2. 축삭을 싸고 있는 절연체 물질은 미엘린이다.
  3. 하나의 신경세포는 3개 이상의 축삭을 가지고 있다.
  4. 축삭의 길이는 경우에 따라서 1M이상이 되는 것도 있다.
(정답률: 88%)
  • "하나의 신경세포는 3개 이상의 축삭을 가지고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신경세포는 하나의 축삭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개의 수상돌기를 가지고 있다. 축삭은 신경세포의 정보를 전달하는 부분으로, 하나의 신경세포가 여러 개의 축삭을 가지는 경우는 드물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우리 몸의 말초신경계 중에서 민무늬근육, 심장근육 및 샘의 작용을 조절하는 신경계통은?

  1. 몸신경계(somatic nerve system)
  2. 자율신경계(sutonomic nerve system)
  3. 운동신경계(motor nerve system)
  4. 중추신경계(central nerve system)
(정답률: 81%)
  • 자율신경계는 우리 몸의 자동적인 기능을 조절하는 신경계통으로, 민무늬근육, 심장근육 및 샘 등의 작용을 조절합니다. 이에 반해 몸신경계는 우리가 의식적으로 조절하는 근육의 작용을 담당하며, 운동신경계는 근육의 움직임을 조절합니다.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를 포함하는 신경계통으로, 자율신경계와 몸신경계, 운동신경계를 포함합니다. 따라서, 자율신경계가 민무늬근육, 심장근육 및 샘의 작용을 조절하는 신경계통이기 때문에 정답은 "자율신경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신경세포에 달려 신경 자극을 중계하는 가느다란 세포질의 돌기로 신경세포체, 축색돌기와 함께 신경단위의 뉴런을 구성하는 것은?

  1. 수상돌기(dendrite)
  2. 말이집(myelin sheath)
  3. 백질(white matter)
  4. 슈반세포(schwann cell)
(정답률: 90%)
  • 수상돌기는 신경세포체와 함께 신경세포의 수상신호를 받아들이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다른 보기들은 신경세포와 관련이 있지만, 수상돌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 말이집은 신경세포의 축색돌기를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신경전달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구조이다. 백질은 신경세포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신경세포의 전체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신경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슈반세포는 말이집을 형성하는데 관여하며, 신경세포의 축색돌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의용전자공학

21. 다음 중 AM 방송에 주로 사용되는 주파수대는?

  1. 극초단파
  2. 초단파
  3. 중파
  4. 밀리미터파
(정답률: 73%)
  • AM 방송은 주로 중파를 사용합니다. 이는 중파가 광범위한 지역에 전파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중파는 건물과 장애물에 의해 막히지 않고 멀리까지 전달될 수 있어서 AM 방송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내용과 가장 관련 있는 것은?

  1. 테브난의 정리
  2. 노튼의 정리
  3.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
  4. 키르히호프의 제2법칙
(정답률: 87%)
  • 전기회로에서 전류의 합은 어떤 회로에서도 유지된다는 법칙을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이라고 하고, 전압의 합은 닫힌 회로에서 항상 0이 되는 법칙을 키르히호프의 제2법칙이라고 한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전압의 합이 0이 되는 닫힌 회로이므로, 가장 관련 있는 것은 "키르히호프의 제2법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정전용량 100[㎌]의 콘덴서에 1000[V]의 전압이 가해져 있다. 이 콘덴서에 축적되어 있는 에너지는 몇 [J]인가?

  1. 1000
  2. 500
  3. 100
  4. 50
(정답률: 40%)
  • 콘덴서에 축적된 에너지는 1/2CV^2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C는 콘덴서의 용량, V는 전압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C=100[㎌], V=1000[V]이므로,

    에너지 = 1/2 x 100 x 10^-6 x (1000)^2 = 50[J]

    따라서, 정답은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입출력 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입출력 전담 장치는?

  1. 콘솔 장치
  2. 채널 장치
  3. 터미널 장치
  4. 상태 레지스터 장치
(정답률: 72%)
  • 채널 장치는 입출력 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전담하여 처리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입출력 장치와 주기억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용어이지만, 채널 장치처럼 전담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전자유도 회로에서 기전력에 관한 법칙과 관계 있는 것은?

  1. 패러데이 법칙
  2. 옴의 법칙
  3. 렌츠의 법칙
  4. 쿨롱의 법칙
(정답률: 73%)
  • 정답: 패러데이 법칙

    패러데이 법칙은 전자유도 회로에서 기전력에 관한 법칙으로, 자기장 내에서 변하는 자기력선에 수직으로 위치한 회로에 전기기전력이 유도된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이 법칙은 전기기기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콜피츠(Colpitts) 발진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Hartley 발진회로보다 높은 주파수의 발진이 용이하다.
  2. LC 발진기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고조파가 크며 주로 장파대에서 사용한다.
  4. 트랜지스터내에 존재하는 부유용량으로 발진주파수의 오차가 생길 수 있다.
(정답률: 69%)
  • 콜피츠 발진기는 고조파가 크며 주로 장파대에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저주파에서 사용되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콜피츠 발진기는 LC 발진기로 가장 널리 사용되며, Hartley 발진회로보다 높은 주파수의 발진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트랜지스터내에 존재하는 부유용량으로 발진주파수의 오차가 생길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불 함수의 대수식이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91%)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논리식에서 AND 연산자는 OR 연산자보다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는 "A와 B 중 적어도 하나가 참이면 C가 참이다"라는 의미가 된다. 하지만 원래 불 함수에서는 A와 B가 모두 거짓일 때 C가 참이므로, ""는 원래 불 함수와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압 증폭도가 20[dB]과 40[dB]인 증폭기를 직렬로 연결시킬 경우 총 이득은?

  1. 10
  2. 102
  3. 103
  4. 104
(정답률: 57%)
  • 전압 증폭도가 20[dB]인 증폭기를 사용하면 입력 전압의 10배가 출력되고, 40[dB]인 증폭기를 사용하면 입력 전압의 100배가 출력된다. 이 두 증폭기를 직렬로 연결하면 총 이득은 각 증폭기의 이득을 곱한 값이 된다. 따라서 20[dB]인 증폭기와 40[dB]인 증폭기를 직렬로 연결하면 총 이득은 10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혈액 및 생체조직검사처럼 신체로부터 분리된 생체조직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식은?

  1. 외부측정
  2. 침습적측정
  3. 샘플측정
  4. 표면측정
(정답률: 88%)
  • 생체조직이나 혈액 등을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로부터 분리된 샘플을 측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샘플측정"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생체계측에 있어서 의학적 매개변수 중 물리적 변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압력
  2. 음파
  3. 이온농도
(정답률: 89%)
  • 이온농도는 생체계측에서 측정되는 물리적 변수가 아니라 화학적 변수에 해당합니다. 이온농도는 용액 내에 존재하는 이온의 양을 나타내는 화학적인 개념으로, 생체계측에서는 혈액 내의 이온농도를 측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온농도는 생체계측에서는 의학적 매개변수 중 물리적 변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생체압력계측 중 혈압측정에 있어 직접측정 방법인 것은?

  1. 청진법
  2. 오실로미터법
  3. 츠음파센서이용법
  4. 카테터삽입측정법
(정답률: 82%)
  • 카테터삽입측정법은 혈관 내부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직접적으로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과 달리 간접적인 측정이 아닌 직접적인 측정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청진법은 심음파를 이용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 오실로미터법은 팔뚝에 부착된 기구를 이용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 츠음파센서이용법은 측정 대상 부위에 초음파 센서를 부착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P형 반도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류작용을 갖고 있다.
  2. 다수캐리어가 정공이다.
  3. 5가 원소를 불순물로 첨가하였다.
  4. 불순물을 첨가하였으므로 저항률이 순수반도체(진성반도체)보다 크다.
(정답률: 54%)
  • 다수캐리어가 정공인 이유는 P형 반도체가 3가 원소인 인(P)을 불순물로 첨가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인(P)은 3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으므로 반도체 내부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면 3개의 전자가 결합에 참여하고 1개의 전자는 자유전자로 남게 됩니다. 이 자유전자는 전기를 운반하는데 기여하므로 다수캐리어가 정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DRAM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일정 시간 경과 후 기억된 정보가 소실된다.
  2. Refresh 기능이 필요하다.
  3. 직접도가 높고 SRAM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
  4. 일반 PC의 주기억장치로 쓰인다.
(정답률: 79%)
  • DRAM의 특성 중에서 "직접도가 높고 SRAM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는 옳은 특성이 아닙니다. DRAM은 SRAM에 비해 직접도가 낮고 속도가 느립니다. 이는 DRAM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캐패시터를 사용하고, 이 캐패시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Refresh를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DRAM은 일정 시간 경과 후 기억된 정보가 소실되고, Refresh 기능이 필요하며, 일반 PC의 주기억장치로 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호흡기의 평가 기능이 아닌 것은?

  1. 환기능(Ventilation)
  2. 분포능(Distribution)
  3. 확산능(Diffusion)
  4. 흡수능(Absorption)
(정답률: 88%)
  • 흡수능은 호흡기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기능이 아니라 다른 기관에서의 흡수능을 의미한다. 따라서 호흡기의 평가 기능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이상적인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실효전압 220v 교류를 반파정류 하고 있다. 정류출력에 Capacitor 입력형 평활회로를 연결하였을 때 출력전압은 약 몇 [V]인가? (단, 이 때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강하는 무시하고, 부하전류는 충분히 작은 것으로 가정한다.)

  1. 117V
  2. 220V
  3. 311V
  4. 541V
(정답률: 66%)
  • Capacitor 입력형 평활회로를 사용하면, 출력전압은 입력전압의 피크값인 220V에서 1.414를 곱한 값인 약 311V가 된다. 이는 Capacitor 입력형 평활회로가 입력전압의 피크값을 충전된 Capacitor 전압으로 유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311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카르노맵을 불대수 식으로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정답률: 54%)
  • 불대수식으로 표현하면, A'B' + AB + BC + CD + AD 이다. 이유는 카르노맵에서 인접한 셀들은 한 비트만 다르므로, 인접한 셀들의 합집합으로 불대수식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A'B' + AB + BC + CD + AD 가 올바른 불대수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심전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심전도 기록지의 평균이동속도는 25mm/s 이다.
  2. 정상인의 심전도 파형에서는 P파, QRS군, T파의 순서로 나타난다.
  3. P파는 심방의 탈분극과 수축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다.
  4. QRS군은 심실의 재분극으로 생기는 현상이다.
(정답률: 86%)
  • "QRS군은 심실의 재분극으로 생기는 현상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QRS군은 심실의 전기적인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파형의 한 부분으로, 심실의 수축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회로의 특성 중 옳은 것을 모두 나열한 것은?

  1. A, B, C
  2. B, C
  3. C, D
  4. A, D
(정답률: 65%)
  • B와 C가 옳은 특성입니다.

    B: 이 회로는 AND 게이트입니다.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것으로, 입력이 모두 참일 때만 출력이 참이 됩니다.

    C: 이 회로는 인버터가 있어서, 입력 A가 0일 때 출력이 1이 되고, 입력 A가 1일 때 출력이 0이 됩니다.

    A: 이 회로는 OR 게이트가 아니라 AND 게이트입니다.

    D: 이 회로는 NAND 게이트가 아니라 AND 게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류가 100㎂이고, VCE가 5V일 때 컬렉터 전류는 15mA였다. 이 트랜지스터의 βDC는 몇 [A]인가?

  1. 50
  2. 100
  3. 150
  4. 200
(정답률: 73%)
  • βDC = IC / IB = 15mA / 100㎂ = 150

    컬렉터 전류와 베이스 전류의 비율이 βDC이므로, 주어진 값들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βDC는 15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신호의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주파수
  2. 위성
  3. 진폭
  4. 밴드폭
(정답률: 81%)
  • 정답: 위성

    설명: 신호의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는 주파수, 진폭, 밴드폭 등이 있습니다. 위성은 신호를 전달하는 매체 중 하나이지만, 신호의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는 아닙니다. 밴드폭은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의미하며, 이는 신호의 전송 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의료안전ㆍ법규 및 정보

41. 다음 중 의료용 기기에서 디지털 영상표현과 통신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표준을 총칭하는 것은?

  1. HL7
  2. MITA
  3. DICOM
  4. ISO
(정답률: 75%)
  • DICOM은 의료용 기기에서 디지털 영상표현과 통신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표준을 총칭하는 것입니다. HL7은 의료 정보 교환을 위한 표준이며, MITA는 의료 이미징 산업 협회를 의미합니다. ISO는 국제 표준화 기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의료폐기물은 며칠 이내에 폐기물을 처리하여야 하는가?

  1. 당일
  2. 7일
  3. 30일
  4. 60일
(정답률: 72%)
  • 의료폐기물은 감염성이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처리가 필요하며, 보건법에서는 의료폐기물의 처리 기준을 정해놓았다. 그 중에서도 일반적인 의료폐기물은 7일 이내에 처리하여야 한다. 이는 의료폐기물이 오랜 기간 방치되면 감염성 물질이 확산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는 의료폐기물 처리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품목허가를 받지 아니하거나 품목신고를 하지 아니한 의료기기를 판매, 임대, 수여 또는 사용하여, 규정을 위반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얼마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가?

  1. 1천만원
  2. 2천만원
  3. 5천만원
  4. 1억원
(정답률: 71%)
  • 의료기기는 안전성과 유효성이 검증된 후에 품목허가나 품목신고를 받아야 한다. 그러나 이를 받지 않은 의료기기를 판매, 임대, 수여 또는 사용하는 것은 규정을 위반하는 것이므로 처벌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품목허가나 품목신고를 받지 않은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의료기기 등급의 재분류를 신청 받은 식품의약품 안전청장은 며칠 이내에 심사 •결정 후 그 결과를 신청인에게 통보하여야 하는가?

  1. 70일이내
  2. 80일이내
  3. 90일이내
  4. 100일이내
(정답률: 83%)
  • 의료기기 등급의 재분류를 신청 받은 경우, 의료기기 등급 평가를 위한 검사 및 평가가 필요하므로 시간이 소요됩니다. 이에 따라 의료기기 등급의 재분류 신청 결과는 최대 90일 이내에 신청인에게 통보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의학자료의 코드화와 관련되어 잘못 기술된 것은?

  1. 의학자료를 코드화 하면 데이터의 양적 감소가 일어난다.
  2. 연상코드를 부여함으로써 항목을 쉽게 알아볼 수 있다.
  3. 코드화를 통해 데이터의 접근성이 향상된다.
  4. 숫자코드를 사용하면 새로운 코드의 생성이 쉽지 않다.
(정답률: 95%)
  • "숫자코드를 사용하면 새로운 코드의 생성이 쉽지 않다."가 잘못 기술된 것이 아니다. 숫자코드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생성되기 때문에 새로운 코드를 생성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쉽다. 그러나 숫자코드는 기억하기 어렵고, 의미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연상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의료기기취급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는?

  1. 의료기기수출업자
  2. 의료기기수입업자
  3. 의료기기수리업자
  4. 의료기기임대업자
(정답률: 79%)
  • 의료기기수출업자는 의료기기를 해외로 수출하는 업체이므로, 의료기기를 국내에서 취급하는 의료기기취급자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일반적으로 의료기기의 용기나 외장에 기재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의 상호와 주소
  2. 수입품의 경우는 제조원(제조국 및 제조사명)
  3. 제조번호와 제조연월일
  4. 사용방법 및 사용시 주의사항
(정답률: 88%)
  •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의 상호와 주소", "수입품의 경우는 제조원(제조국 및 제조사명)", "제조번호와 제조연월일"은 제품의 출처와 제조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용기나 외장에 기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반면에 "사용방법 및 사용시 주의사항"은 제품 사용에 대한 안전성과 효과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자가 반드시 알아야 하는 정보이지만, 용기나 외장에 기재하는 것은 제한적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 매뉴얼이나 라벨 등을 통해 제공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전자기적 주위 환경에 영향을 받지않고 다른 것에 영향을 주지도 않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는 것은?

  1. EMC
  2. EMI
  3. EMS
  4. IRE
(정답률: 56%)
  • 정답: "EMC"

    해설: EMC는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의 약자로,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제어하여 전자기적 주위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다른 것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EMI는 "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의 약자로, 전자기적 잡음이나 교란을 의미하며, EMS는 "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의 약자로, 전자기적 영향에 민감한 정도를 의미합니다. IRE는 "Institute of Radio Engineers"의 약자로, 미국의 무선 전기 기술자 협회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내시경 외과수술에서 사용되는 기복장치용으로 공급되는 가스는?

  1. 탄산
  2. 질소
  3. 수소
  4. 헬륨
(정답률: 70%)
  • 내시경 외과수술에서 사용되는 기복장치는 복부 내장기관을 확대시켜 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장비이다. 이 장비에서 사용되는 가스는 복부 내장기관을 팽창시키기 위해 주입되는데, 이때 탄산 가스가 사용된다. 탄산 가스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팽창제로 사용되며, 다른 가스들보다 빠르게 흡수되어 안정적인 확대 효과를 보장한다. 또한, 탄산 가스는 산성이므로 내장기관의 pH를 유지하는데도 도움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의료기기감시원을 임명할 수 없는 자는?

  1. 식품의약품안전청장
  2. 시장
  3. 구청장
  4. 도지사
(정답률: 64%)
  • 도지사는 지방자치단체의 수장으로서, 의료기기감시원을 임명할 권한이 없습니다. 의료기기감시원의 임명은 해당 지역의 시장이나 구청장, 또는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안에 알맞은 것은?

  1. 5
  2. 7
  3. 10
  4. 20
(정답률: 66%)
  • 주어진 그림에서는 5와 10이 서로 대각선에 위치하고 있고, 20은 그림의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7은 5와 10의 중간값이며, 20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지 않은 값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HL7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것은?

  1. 이벤트 중심의 프로토콜 메시지 단위로 정보 전송이 이루어진다.
  2. 서로 다른 보건의료분야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간 정보가 호환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의 집합을 의미한다.
  3. 원격지간의 의학영상의 전송, 공동 판독 등을 지원하는 의학 영상처리 시스템이다.
  4. 사용자, 시스템 공급자 및 기타 의료정보 이해관계자들에 의해 합동으로 개발되었다.
(정답률: 82%)
  • "원격지간의 의학영상의 전송, 공동 판독 등을 지원하는 의학 영상처리 시스템이다."는 DICOM에 대한 설명이다. HL7는 이벤트 중심의 프로토콜 메시지 단위로 정보 전송이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보건의료분야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간 정보가 호환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의 집합을 의미한다. 사용자, 시스템 공급자 및 기타 의료정보 이해관계자들에 의해 합동으로 개발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통신, 컴퓨터 공학 등 정보통신의 다양한 기술들과 의료서비스가 융합되어 언제 어디서든지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EDI
  2. EMR
  3. PACS
  4. Telemedicine
(정답률: 68%)
  • Telemedicine은 정보통신 기술과 의료서비스가 융합되어 원격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EDI, EMR, PACS는 의료정보관리나 의료데이터 전송 등의 기술들이지만, Telemedicine은 의료서비스와 정보통신 기술의 융합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전류가 인체에 흘렀을 때 통증, 혼절가능, 기절, 허탈, 피로감을 느낄 수 있는 전류 값은? (단, 이 때 흐른 전류 값은 실효치, 주파수는 60Hz, 1초간 통전 및 매크로쇼크 전류로 한다.)

  1. 1mA이상
  2. 10mA이상
  3. 50mA이상
  4. 100mA이상
(정답률: 60%)
  • 인체에 흐르는 전류 값이 50mA 이상이면 심각한 신체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심장의 신호를 방해하거나 멈추게 할 수 있으며, 근육을 마비시키고 신경계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50mA 이상의 전류 값은 인체에 매우 위험하며, 통증, 혼절, 기절, 허탈, 피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은 의료기기의 제조업자가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 )안에 알맞은 것은?

  1. 1
  2. 2
  3. 3
  4. 5
(정답률: 56%)
  • 이미지는 의료기기의 표시 및 광고에 관한 규정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 규정에 따라 제조업자는 제품의 특성, 성능, 용도 등을 명확하게 표시하고 광고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의료정보고나련 국제 표준이 아닌 것은?

  1. HL7
  2. DICOM
  3. SNOMED
  4. PACS
(정답률: 76%)
  • 정답은 "PACS"입니다.

    HL7, DICOM, SNOMED는 모두 의료정보 공유를 위한 국제 표준이며, 각각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HL7: 의료정보 시스템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
    - DICOM: 의료 영상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표준 포맷
    - SNOMED: 의료용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관리하기 위한 표준 체계

    반면, PACS는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의 약자로 의료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PACS는 의료정보 공유를 위한 국제 표준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의료정보처리 요건이 아닌 것은?

  1. 신속성
  2. 정확성
  3. 간편성
  4. 예측성
(정답률: 95%)
  • "예측성"은 의료정보처리 요건이 아닙니다. 의료정보처리 요건은 환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편성은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요건이며, 예측성은 미래에 일어날 일을 예측하는 것으로 의료정보처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PACS 의 정확한 명칭은?

  1.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2. Picture Archiving and computer System
  3. Picture Architecture and communication system
  4. Picture Architecture and computer System
(정답률: 75%)
  • PACS 의 정확한 명칭은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입니다. 이는 의료 영상을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고 관리하며, 의료진 간에 영상을 공유하고 의료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환자 진료에 활용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입니다. "Picture Archiving and computer System" 이나 "Picture Architecture and communication system", "Picture Architecture and computer System" 은 PACS 의 정확한 명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둘 이상의 전기 기기를 동시에 사용할 때 접지점을 반드시 한 곳에 하여야 하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접지점 설치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2. 접지점이 2개 이상이면 접지선을 매개로 전류가 인체에 흘러 들어갈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3. 설치 장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4. 관리가 수월하기 때문에
(정답률: 91%)
  • 둘 이상의 전기 기기를 동시에 사용할 때 접지점을 반드시 한 곳에 하여야 하는 이유는, 접지선을 매개로 전류가 인체에 흘러들어갈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전기적 안전을 위해서 반드시 지켜져야 하는 중요한 사항입니다. 따라서, 접지점 설치비가 많이 들더라도, 설치 장소를 고려하더라도, 그리고 관리가 수월하더라도, 둘 이상의 전기 기기를 동시에 사용할 때는 반드시 접지점을 한 곳에 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의료기사의 종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임상병리사
  2. 물리치료사
  3. 치과기공사
  4. 간호조무사
(정답률: 87%)
  • 위의 4가지 종별은 모두 의료 분야에서 직접적으로 환자 치료에 관여하는 직종들이지만, 간호조무사는 간호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직종으로, 직접적인 치료보다는 간접적인 지원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의료기사의 종별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의료기기

61. 다음 중 기능 저하로 혈압이 떨어지면 뇌로 가는 혈류량이 적어져 뇌에 공급되는 산소가 줄어드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부전상태의 심장기능을 보조하는 것은?

  1. IABP(Intra Aortic Balloon Pump)
  2. Linac(Linear accelerator)
  3.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
  4.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정답률: 85%)
  • IABP는 심장의 수축기에 맞춰서 동맥 안쪽에 있는 작은 풍선을 팽창시켜 혈압을 유지하고, 이를 통해 뇌로 가는 혈류량을 유지하는 기계장치이다. 따라서 부전상태의 심장기능을 보조하여 뇌에 공급되는 산소가 줄어드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Linac, MRI, PET은 모두 의료용 기기이지만, 혈압을 유지하는 기능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수액펌프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선형 연동펌프
  2. 회전형 연동펌프
  3. 횡격막형 피스톤펌프
  4. 연속류 혈액펌프
(정답률: 56%)
  • 연속류 혈액펌프는 수액펌프가 아니라 혈액투석 등에서 사용되는 혈액펌프의 종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속류 혈액펌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인공심폐기의 구성 요소 중 산소공급과 이산화탄소 제거 기능을 하는 것은?

  1. 산화기
  2. 저혈조
  3. 열교환기
  4. 여과기
(정답률: 69%)
  • 산화기는 인공심폐기에서 산소공급과 이산화탄소 제거 기능을 담당하는 부품입니다. 산화기는 환기 과정에서 환자의 혈액을 산소로 채워주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체내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합니다. 따라서 산화기가 인공심폐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유리기구, 도자기 기구 등의 멸균에 사용하며 150~160℃에서 30~60분간 가열하여 멸균하는 방식은?

  1. 고압증기 멸균
  2. 건열멸균
  3. 자불소독
  4. EOG 멸균
(정답률: 71%)
  • 유리기구나 도자기 기구는 고온에 강하므로, 150~160℃의 높은 온도에서 가열해도 깨지거나 변형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이러한 기구들을 멸균하는 방식을 건열멸균이라고 합니다. 이 방식은 고온으로 인해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가 죽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멸균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환자가 강제적 호흡에서 자발적 호흡으로 완전히 바뀌었을 때 환자에게 사용하는 인공호흡기 모든?

  1. P-CMV
  2. V-CMV
  3. P-SIMV
  4. SPONT
(정답률: 73%)
  • SPONT는 자발적 호흡을 지원하는 모드로, 환자가 스스로 호흡을 할 수 있을 때 사용됩니다. 다른 모드들은 호흡을 강제적으로 유도하거나 제어하는 모드이므로, 환자가 자발적으로 호흡을 할 수 있을 때는 SPONT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관전압이 80[kVp), 관전류가40[mA], 노출시간이 10초인 경우 X-선관 양극에 축적되는 열용량(Heat Unit)은?

  1. 32000[kVp·mA·sec]
  2. 320[kVp·mA/sec]
  3. 20[kVp·sec/mA]
  4. 5[kVp·mA·sec]
(정답률: 62%)
  • Heat Unit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Heat Unit = kVp × mA × time

    여기서 kVp는 관전압, mA는 관전류, time은 노출시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Heat Unit = 80[kVp] × 40[mA] × 10[sec] = 32000[kVp·mA·sec]

    따라서, 정답은 "32000[kVp·mA·se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심장의 전기적, 기질적인 혼돈상태로서 심근군이 통일되지 않게 제각기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세동
  2. 비동기형
  3. 전극
  4. FES
(정답률: 74%)
  • 정답은 "세동"입니다. 세동은 심장의 전기적, 기질적인 혼돈상태로서 심근군이 통일되지 않게 제각기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심장의 자체적인 전기적 자극에 의해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심장의 정상적인 신호전달체계가 깨어지거나 심장의 기질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합니다. 비동기형, 전극, FES는 모두 세동과는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MRI 장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비 가격이 비싸다
  2. 촬영 중 움직이면 영상의 질이 나빠진다.
  3. 중환자나 철제의 체내외 의료재료가 있는 환자 및 심장 박동기 등의 의료기기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 촬영하기 힘들다.
  4. 각 방향의 단면상(sectional image) 촬영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85%)
  • 각 방향의 단면상(sectional image) 촬영이 불가능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MRI 장비는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 방향의 단면상 촬영이 가능합니다. MRI 장비의 한계는 중환자나 철제의 체내외 의료재료가 있는 환자 및 심장 박동기 등의 의료기기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 촬영하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또한, 촬영 중 환자가 움직이면 영상의 질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인큐베이터의 기능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온도조절
  2. 습도조절
  3. 환기조절
  4. 냉동저절
(정답률: 85%)
  • 인큐베이터는 생명체의 성장과 발달을 돕기 위해 온도, 습도, 환기 등을 조절하는 장비이지만, 냉동저절 기능은 인큐베이터와는 관련이 없는 기능이기 때문에 맞지 않는 것이다. 냉동저절은 온도를 낮춰서 식품 등을 보존하는 기능으로, 인큐베이터와는 목적과 기능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의학영상시스템 중 동위원소가 붕괴할 때 동시에 감마선 두 개가 반대 방향으로 나오는 것을 이용해 단층영상을 얻는 것은?

  1. MRI
  2. X-선 CT
  3. PET
  4. 감마카메라
(정답률: 72%)
  • PET은 양전자방출단층촬영법으로, 동위원소가 붕괴할 때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나오는 감마선을 감지하여 단층영상을 얻는 방법입니다. 이를 이용해 생체 내에서 활동하는 대사물질의 분포와 양을 측정하여 질병 진단 및 치료 효과 평가에 활용됩니다. MRI와 X-선 CT는 각각 자기공명영상법과 X선촬영법으로 이미지를 얻는 방법이 다르며, 감마카메라는 방사선을 감지하여 이미지를 얻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Audiometer로 진단할 수 없는 것은?

  1. 청각검사
  2. 골밀도검사
  3. 청력검사
  4. 골도검사
(정답률: 80%)
  • Audiometer는 청각검사와 청력검사를 진단할 수 있지만, 골밀도검사는 뼈의 밀도를 측정하는 검사로, Audiometer로 진단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해 주는 형광물질이 발라져 있는 X-선 감지 장치는?

  1. 영상증배관
  2. X-선 증감지
  3. 고체평판디텍터
  4. 그리드
(정답률: 67%)
  • X-선 증감지는 X-선을 감지할 때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해 주는 형광물질이 발라져 있어서 X-선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중주파를 사용하여 전류의 특성에 따라 생리학적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은?

  1. 신경근 요법기
  2. 레이저, 치료기
  3. 수 치료기
  4. 간섭파 치료기
(정답률: 60%)
  • 간섭파 치료기는 중주파를 이용하여 전류의 특성에 따라 생리학적 효과를 나타내는데, 이는 간섭파를 발생시켜서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유도하여 근육 이완, 통증 완화, 혈액순환 촉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섭파 치료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감마나이프(Gamma Knife)의 구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조사부(radiation unit)
  2. 고조파 발진부
  3. 콜리메터 헬멧(collimator helmet)
  4. 환자 테이블
(정답률: 56%)
  • 감마나이프의 구성 요소 중 고조파 발진부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감마나이프는 조사부, 콜리메터 헬멧, 환자 테이블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조사부는 감마선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콜리메터 헬멧은 감마선을 조절하여 정확한 위치에 집중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환자 테이블은 환자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감마선 조사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카테터는 체강, 송수관 혹은 용기로 삽입될 수 있는 관으로 이러한 카테터를 제작하기 위한 재료의 특성으로 맞는 것은?

  1. 절단성이 용이해야 한다.
  2. 휘어짐이 없어야 한다.
  3. 유연성이 우수해야 한다.
  4. 무거운 재질일수록 좋다.
(정답률: 90%)
  • 카테터는 삽입되는 부위의 곡선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유연성이 우수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카테터 제작에 적합하지 않은 특성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MRI 영상장치의 구성 요소 중 정자기장의 비균질성을 부분적으로 수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RF코일
  2. gradient 코일
  3. 초전도자석
  4. shim 코일
(정답률: 74%)
  • MRI 영상장치에서 사용되는 정자기장은 비균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균일성은 이미지의 해상도와 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shim 코일은 정자기장의 비균일성을 부분적으로 수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코일은 정자기장의 강도를 조절하여 이미지의 해상도와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1개의 전극은 두피 위에, 다른 전극은 귓바퀴에 붙이면 2개 전극 사이에 전압차가 발생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은?

  1. 심전도
  2. 뇌전도
  3. 근전도
  4. 생체임피던스
(정답률: 74%)
  • 뇌전도는 두피와 귓바퀴에 전극을 부착하여 뇌파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뇌파는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이며, 이를 측정하여 뇌의 활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뇌전도는 뇌의 기능을 평가하고 질병 진단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물의 CT-번호는 얼마인가?

  1. -1000
  2. 0
  3. 1000
  4. 2000
(정답률: 83%)
  • 물의 CT-번호는 0이다. CT-번호는 물질의 X선 투과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물은 X선을 거의 투과시키기 때문에 CT-번호가 0에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생리학적 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혈류량
  2. 혈관 저항
  3. 압박대(cuff)
  4. 혈액의 점도
(정답률: 82%)
  • 압박대(cuff)는 외적인 요인으로 혈압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기 때문에 내적 생리학적 요인이 아닙니다. 압박대는 혈압 측정 시에 상완동맥을 압박하여 혈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혈압 측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압박대는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생리학적 요인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인공 페이스메이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증상에 따라 사용하는 형태가 각기 다르다.
  2. 부정맥을 치료하는 기기로 이식형으로만 존재한다.
  3. 염증이나 혈전의 생성 등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4. 막힌 전류로 심근을 탈분극 시켜서 심박을 조율하는 기기이다.
(정답률: 77%)
  • "부정맥을 치료하는 기기로 이식형으로만 존재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인공 페이스메이커는 이식형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사용하는 장치도 존재한다. 이식형은 심장 내부에 직접 이식되어 사용되는 것이고, 외부형은 심장 외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의용기계공학

81. 다음 중 티타늄(Ti) 합금의 주요특성이 아닌 것은?

  1. 강도는 스테인리스강이나 코발트 합금보다 떨어진다.
  2. 비강도는 다른 합금보다 높다.
  3. 응력부식이 스테인리스강과 비슷한 수준이다.
  4. 강도가 높으면서 자연 뼈의 탄성계수에 가깝다.
(정답률: 62%)
  • 답: "강도가 높으면서 자연 뼈의 탄성계수에 가깝다."

    티타늄 합금은 스테인리스강이나 코발트 합금보다 강도가 떨어지지만, 비강도는 높습니다. 또한, 응력부식이 스테인리스강과 비슷한 수준이기 때문에 고온, 고압, 산화성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강도가 높으면서 자연 뼈의 탄성계수에 가깝다는 특징은 티타늄 합금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길이가 40cm인 소재에 200N의 하중이 작용하여 그 길이가 44cm가 되었다면, 이 때 변형률은?

  1. 0.1
  2. 0.01
  3. 1.1
  4. 0.05
(정답률: 50%)
  • 변형률은 (변형된 길이-원래 길이)/원래 길이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44-40)/40 = 0.1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생체재료는 적합성 요건을 갖추어야 하는데 생체친화성 요건 중 기계적 성질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발열 반응
  2. 강도
  3. 탄성
  4. 취성
(정답률: 61%)
  • 생체재료의 기계적 성질 분류에는 강도, 탄성, 취성이 포함되지만, 발열 반응은 화학적 성질에 해당한다. 따라서 생체친화성 요건 중 기계적 성질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발열 반응이다. 발열 반응은 생체 내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성질로, 생체재료가 사용될 때 발생할 경우 조직 손상이나 열화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인체 부위 중 사지의 일부를 선천적인 혹은 후천적인 이유로 인하여 절단되었을 때 이를 대체하거나 기능 및 외관을 보조하는 기구는?

  1. 의지
  2. 보조기
  3. 인공관절
  4. 스텐트
(정답률: 69%)
  • "보조기"와 "인공관절"은 사지의 일부를 대체하거나 기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지만, "의지"는 그 이상으로 사람의 의지와 노력이 필요한 기구입니다. 사지의 일부를 잃은 사람들은 의지를 가지고 재활을 하며, 의지를 가지고 보조기나 인공관절을 사용하여 일상생활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의지"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스텐트"는 혈관 내시경적 치료에서 사용되는 기구로,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뇌에서는 세포의 전기 활동에 의해 자장이 발생한다.
  2. 심장에서는 세포의 전기 활동에 의해 자장이 발생한다.
  3. 생체에 초음파를 조사하면 자장이 형성된다.
  4. 폐에서는 폐에 흡입된 자성 미분체에 의해 자장이 발생한다.
(정답률: 62%)
  • 생체에 초음파를 조사하면 자장이 형성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초음파는 고주파음파로서 전기적인 자기장을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초음파는 음파의 일종으로서, 고주파 진동수의 파동을 발생시켜 그 파동이 물질 내부를 통과하면서 반사되거나 흡수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원적외선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인체에 미치는 효과로 미세혈관의 확장, 조직재생능력 증가 등의 효과가 있다.
  2. 전달속도는 광속과 동일하고, 열효율이 높은 특징이 있다.
  3. 방사에 의해 에너지가 전달된다.
  4. 인체나 물질 표면에 도달하여 표면에서 반사된다.
(정답률: 56%)
  • "인체나 물질 표면에 도달하여 표면에서 반사된다."는 원적외선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반사되는 것이 아니라 흡수되는 것이 맞는 설명이다. 원적외선은 인체나 물질 표면에 도달하여 흡수되어 열에너지로 변환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과 같은 기어 장치에서 ZA=ZC=10, ZB=ZD=20 이고 A의 회전수가 80[rpm]일 때 0의 회전수[rpm]는 얼마인가? (단, Z는 잇수이다)

  1. 20
  2. 40
  3. 160
  4. 320
(정답률: 61%)
  • 기어비는 ZB/ZA × ZD/ZC 이므로 20/10 × 20/10 = 4 이다. 따라서 A의 회전수가 80[rpm]일 때 0의 회전수는 80/4 = 20[rpm] 이다. 따라서 정답은 "2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인체를 구성하는 체액 중에서 세포외액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세포의 핵과 세포질에서도 세포외액이 존재한다.
  2. 세포와 세포사이에도 세포외액이 존재한다.
  3. 혈장과 림프액도 세포외액의 일부이다.
  4. 뇌척수액, 안구의 초자체액, 관절의 활액도 세포외액의 일부이다.
(정답률: 45%)
  • "세포의 핵과 세포질에서도 세포외액이 존재한다."를 제외한 것은 모두 인체를 구성하는 체액 중에서 세포외액에 해당한다.

    세포의 핵과 세포질에서도 세포외액이 존재하는 이유는 세포막이라는 얇은 막으로 감싸져 있기 때문이다. 세포막은 외부와 내부를 구분하는 역할을 하며, 세포막을 통해 세포내부와 외부가 연결되어 있어 세포외액이 세포내부에 침투할 수 있다. 따라서 세포의 핵과 세포질에서도 세포외액이 존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자세조절에 관한 감각기전이 아닌 것은?

  1. 시각
  2. 체성감각
  3. 청각
  4. 전정계로부터의 말초입력
(정답률: 67%)
  • 청각은 우리 몸의 자세조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감각이기 때문에 자세조절에 관한 감각기전이 아니다. 청각은 소리를 인식하는 감각으로, 시각, 체성감각, 전정계로부터의 말초입력과는 다른 감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금속 중에서 부식이 잘 일어나서 생체재료롤 사용할 때 주의가 필요한 금속은?

  1. 백금
(정답률: 84%)
  • 철은 산화되기 쉬우며, 노출된 상태에서는 물과 공기의 영향으로 부식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따라서 생체재료로 사용할 때는 부식 방지를 위한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합니다. 반면, 금, 은, 백금은 부식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생체재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그림은 인장강도보다 낮은 하중 조건에서 파단이 일어날 때까지 반복적으로 하중을 가하여 파괴됨을 측정한 피로시험 그래프이다. 그래프를 보면 특정한 응력이하에서는 무한히 반복해서 하중을 가하더라도 파괴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무한히 반복하여도 피로파괴가 일어나지 않는 응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피로한도
  2. 인장강도
  3. 파괴강도
  4. 항복강도
(정답률: 71%)
  • 정답: 피로한도

    설명: 피로한도는 재료가 무한히 반복해서 하중을 받아도 파괴가 일어나지 않는 응력의 한계를 말한다. 따라서 이 그래프에서 특정 응력 이하에서는 무한히 반복하여도 파괴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이 응력을 피로한도라고 부른다. 인장강도, 파괴강도, 항복강도는 모두 재료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피로한도와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인체 세포 괴사의 물리적 원인이 아닌 것은? (단, 생체외 세포에 한함)

  1. 섭씨 45도 이상의 고온
  2. 고압전류
  3. X-선
  4. 섭씨 15도의 저온
(정답률: 66%)
  • 섭씨 15도의 저온은 인체 세포의 물리적 원인으로 괴사를 유발하지 않는다. 이는 세포 내부의 화학 반응 속도가 느려져 세포의 기능이 일시적으로 멈추지만, 세포막이 파괴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섭씨 15도의 저온은 극단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세포의 괴사를 유발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의료용 세라믹 재료가 가지는 특성 중 거리가 먼 것은?

  1. 생체 친화적이다.
  2. 내마모성, 내부식성이다.
  3. 압축강도가 강하다.
  4. 성형 및 가공이 쉽다.
(정답률: 79%)
  • 의료용 세라믹 재료가 가지는 특성 중 거리가 먼 것은 "성형 및 가공이 쉽다." 이다. 이유는 세라믹 재료는 고온에서 가공되기 때문에 성형 및 가공이 쉽다. 또한, 세라믹 재료는 내마모성과 내부식성이 강하며 생체 친화적이며 압축강도가 강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유체의 이동을 방해하려는 성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저항성
  2. 점성
  3. 비유동성
  4. 강성
(정답률: 74%)
  • 점성은 유체 내부에서 분자 간의 마찰로 인해 생기는 성질로, 이동하는 유체의 저항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체의 이동을 방해하려는 성질을 나타내는 용어로는 "점성"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인공 관절용 금속재료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1. 취성
  2. 내마모성
  3. 내식성
  4. 기계적 강도
(정답률: 67%)
  • "취성"은 인공 관절용 금속재료의 구비 조건이 아닙니다. 취성은 금속이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부식되는 성질을 말합니다. 인공 관절은 인체 내부에 있기 때문에 부식되면 안 되므로 취성이 낮은 금속재료가 사용됩니다. 따라서 취성은 인공 관절용 금속재료의 구비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수술용 봉합사 재료 중 분해성 재료에 해당하는 것은?

  1. 실크
  2. polymide
  3. cotton
  4. PGa(Poly Clycolic Acid)
(정답률: 77%)
  • PGa(Poly Clycolic Acid)는 생분해성 고분자 중 하나로, 수술 후에 체내에서 분해되어 체외로 배출됩니다. 따라서 수술 후 재수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되며, 치료가 완료된 후에도 봉합사가 체내에 남아있지 않아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운동학(kinematics)에서 다루지 않는 것은?

  1. 관절각속도
  2. 보장(step length)
  3. 관절각도
  4. 지면반력
(정답률: 72%)
  • 운동학에서는 물체의 운동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을 다룹니다. 따라서 지면반력은 물체의 운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운동학에서 다루지 않습니다. 지면반력은 물체가 바닥과 접촉하여 발생하는 반력으로, 운동역학(dynamics)에서 다루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과 같은 단면을 가진 두 축이 전달할 수 있는 최대 토크의 비 를 구하면? (단, 두 축은 동일한 재료이다)

(정답률: 60%)
  • 두 축이 전달할 수 있는 최대 토크의 비는 단면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지만, 원형 단면이 사각형 단면보다 최대 토크를 더 많이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가 정답이다. 이는 원형 단면이 동일한 면적을 가질 때, 둘레가 가장 작기 때문에 단면의 변형에 따른 응력이 최소화되어 최대 토크를 더 많이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방사선을 측정하는 단위가 아닌 것은?

  1. WB(Weber)
  2. Sv(Sivert)
  3. R(Roentgen)
  4. Gy(Gray)
(정답률: 75%)
  • WB(Weber)는 자기장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위이며, 방사선을 측정하는 단위가 아니다. 다른 보기인 Sv(Sivert), R(Roentgen), Gy(Gray)는 각각 방사선의 흡수량, 방사선의 발생량, 방사선의 흡수에 의한 생물학적 효과를 측정하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초음파의 생리적 효과가 아닌 것은?

  1. 조직 온도 상승
  2. 조직의 대사 증가
  3. 혈관수축 및 혈류량 감소
  4. 생체막 투과성 상승
(정답률: 66%)
  • 초음파는 조직 온도를 상승시키고, 조직의 대사를 증가시키며, 생체막 투과성을 상승시키는 생리적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혈관수축 및 혈류량 감소는 초음파의 생리적 효과가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열에 의한 혈관확장과 혈류량 증가와 반대되는 효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