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5-09)

의공산업기사
(2010-05-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초의학 및 의공학

1. 일회용 금속판 전극(disposable electrod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피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무 밴드가 필요하다.
  2. 움직임에 의한 잡음(동잡음)이 크다.
  3. 피부에 부착하는 전극이다.
  4. 금속은 아연판이 사용된다.
(정답률: 88%)
  • 일회용 금속판 전극은 피부에 부착하는 전극입니다. 이는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사용되며, 고무 밴드와 같은 고정 장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일회용이기 때문에 사용 후 버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심장 전도계에서 전기 자극의 전달 순서로 옳은 것은?

  1. 방실결절 → His 번들 → 퍼킨제 섬유 → 동방결절
  2. His 번들 → 퍼킨제 섬유 → 동방결절 → 방실결절
  3. 퍼킨제 섬유 → 동방결절 → 방실결절 → His 번들
  4. 동방결절 → 방실결절 → His 번들 → 퍼킨제 섬유
(정답률: 95%)
  • 심장의 자극 전달 순서는 SA 노드(동방결절)에서 출발하여 심장의 상부로 전달되고, 이어서 AV 노드(방실결절)를 거쳐 His 번들을 통해 심장의 하부로 전달되며, 마지막으로 Purkinje 섬유를 통해 심장의 근육 세포에 전달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방결절 → 방실결절 → His 번들 → 퍼킨제 섬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온도 측정 센서가 아닌 것은?

  1. 금속저항온도계
  2. 서미스터
  3. 스트레인게이지
  4. 열전대
(정답률: 86%)
  • 스트레인게이지는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아니라, 물체의 변형을 감지하여 변형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온도 측정 센서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신장의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혈압조절
  2. 산∙염기 평형유지
  3. 당원질 합성 및 분해
  4. 체액 및 전해질 조절
(정답률: 88%)
  • 신장은 당원질 합성 및 분해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이 기능은 간에서 이루어집니다. 신장은 혈압조절, 산∙염기 평형유지, 체액 및 전해질 조절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Ag-AgCI (은-염화은)전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상 동작을 위해서는 전해질이 필요하다.
  2. 은 위에 염화은이 코팅된 형태이다.
  3. 장기간 재사용에 적합하다.
  4. 비분극헝 (nonpolarizable) 전극이다.
(정답률: 81%)
  • 정답은 "장기간 재사용에 적합하다." 이다. Ag-AgCI 전극은 비분극헝 전극으로서, 전극 표면에 적용된 전위에 대한 반응이 작아서 장기간 사용해도 변화가 적다. 따라서 재사용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유도성 센서의 동작원리가 아닌 것은?

  1. 자기저항
  2. 상호유도
  3. 정전용량
  4. 차동변환기
(정답률: 53%)
  • 유도성 센서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물체의 위치나 거리를 감지하는데, 이때 자기저항, 상호유도, 차동변환기 등의 원리가 사용된다. 하지만 정전용량은 유도성 센서의 동작원리와는 관련이 없다. 정전용량은 전기적으로 축적된 전하를 이용하여 거리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정전용량은 유도성 센서의 동작원리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흡입하는 산소의 농도를 표시하는 흡입산소분율을 의미하는 것은?

  1. PT
  2. ph
  3. FiO2
  4. WBC
(정답률: 92%)
  • FiO2는 Fraction of Inspired Oxygen의 약자로, 흡입하는 공기 중 산소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환자가 흡입하는 공기 중 산소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FiO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혈류의 국소 조절 물질 중 큰 동맥은 수축시키고 소혈관은 확장시키는 것은?

  1. 노르에피네프린
  2. 아세틸콜린
  3. 히스타민
  4. 브라디키닌
(정답률: 80%)
  • 히스타민은 혈관 내부의 세포들을 자극하여 혈관을 확장시키고 큰 동맥을 수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큰 동맥을 수축시키고 소혈관을 확장시키는 물질을 찾는 것이므로, 정답은 "히스타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그림과 같은 전극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은?

  1. Ⓐ 부분
  2. Ⓑ 부분
  3. Ⓒ 부분
  4. Ⓓ 부분
(정답률: 94%)
  • 전극의 모양을 보면,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은 "Ⓓ 부분"입니다. "Ⓐ 부분"은 전극의 끝 부분이며, "Ⓑ 부분"과 "Ⓒ 부분"은 전극과 전기기기를 연결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은 "Ⓓ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는?

  1. 탄성게이지
  2. 압전센서
  3. 서미스터
  4. 선헝가변차동변환기
(정답률: 73%)
  • 선헝가변차동변환기는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탄성게이지는 변형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센서로, 압전센서는 압력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이며, 서미스터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변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선헝가변차동변환기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대장의 일부인 결장(colon)의 4부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상행결장
  2. 횡행결장
  3. S상결장
  4. 중앙결장
(정답률: 76%)
  • 중앙결장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장의 일부인 결장은 상행결장, 횡행결장, S상결장으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감각 순응(sensory adapt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통각과 압각은 쉽게 순응된다.
  2. 계속적인 자극은 어떤 기간 동안 수용기의 역치를 감소시킨다.
  3. 환경의 유용한 정보라고 할 수 있는 변화에 주의를 줄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일정한 자극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강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정답률: 67%)
  • 감각 순응(sensory adaptation)은 일정한 자극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환경에서 불필요한 정보에 대한 주의를 줄이고, 환경의 유용한 정보라고 할 수 있는 변화에 주의를 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환경의 유용한 정보라고 할 수 있는 변화에 주의를 줄수 있는 장점이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동일한 크기의 강도 자극이 반복적으로 주어질 때,탈분극의 크기를 줄여 활동전위 발생 횟수를 줄이는 작용은?

  1. 확산 (diffusion)
  2. 순응 (adaptation)
  3. 전도 (propagation)
  4. 기외수축 (extrasystle)
(정답률: 89%)
  • 순응은 자극이 지속적으로 주어질 때 신경세포가 자극에 덜 반응하도록 조절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동일한 크기의 자극이 반복적으로 주어질 때, 순응이 일어나면 탈분극의 크기가 줄어들어 활동전위 발생 횟수가 줄어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의용생체 센서가 갖추어야 할 조건 중 입력의 변화에 대한 출력의 변화가 일정한 비례 관계를 가져야 함을 뜻하는 특성은?

  1. 높은 감도
  2. 안정성
  3. 선형성
  4. 생체적합성
(정답률: 95%)
  • 선형성은 입력과 출력 간의 변화가 일정한 비례 관계를 가져야 함을 뜻합니다. 이는 센서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특성입니다. 따라서 의용생체 센서가 갖추어야 할 조건 중 하나로 선형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높은 감도"는 센서가 작은 신호도 감지할 수 있어야 함을 뜻하며, "안정성"은 센서의 출력이 안정적이어야 함을 뜻합니다. "생체적합성"은 센서가 인체와 호환되어야 함을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응은 피부표면에 부착된 전극의 전기적 등가회로에서 전극-페이스트 경계면의 등가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Ehc는 전극표면에 나타나는 반전지 전위 (half-cell potential) 를 의미한다.
  2. Rd와 Cd는 전극-전해질 경계면에서의 작용과 분극 (polarization) 에 의한 저항과 리액턴스 성분을 나타낸다.
  3. 고주파대역 (1/wC≪Rd) 에서 전체 등가 임피던스는 Rs로 증가하게 된다.
  4. 저주파대역 (1/wC≫Rd)에서 전체 등가 임피던스는 거의 Rs + Rd가 된다.
(정답률: 71%)
  • 고주파대역에서 전체 등가 임피던스가 Rs로 증가하는 이유는, 고주파에서는 Cd의 리액턴스가 작아져서 전해질 내부에서 전극-전해질 경계면에서의 작용과 분극에 의한 저항 Rd가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체 등가 임피던스는 Rs와 Rd의 합보다는 Rs에 가까워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은 해부학적 방향에 대한 용어 설명이다. 해당되는 방향은?

  1. 정중면 (median plane)
  2. 전두면(frontal plane)
  3. 시상면 (sagittal plane)
  4. 횡단면 (transverse plane)
(정답률: 92%)
  • 이 그림은 인체를 정중면을 따라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눈 후, 전두면을 따라 앞쪽과 뒤쪽으로 나눈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두면(frontal plan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세포내 구조인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의 역할은?

  1. 영양소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는 역할
  2. 독성 물질을 해독하는 등의 세포 보호기능 역할
  3. 여러 세포소기관들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단백질을 합성하는 역할
  4. 소화효소를 함유하여 노화된 세포소기관이나 부스러기 같은 물질들을 분해하는 역할
(정답률: 85%)
  •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내에서 영양소를 분해하여 에너지를 추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ATP(아데노신 삼인산)이 생성되어 세포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산소호흡이라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신경 세포막의 흥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흥분상태의 신경 세포 내부는 양 이온(+)을띠고 있다.
  2. 휴지기에도 세포막 내외의 극성차이가 있다.
  3. 활동전위 때는 일종의 전기화학적 반응이 일어난다.
  4. 역치전위란 K+ 이온이 세포막으로 들어온 상태이다.
(정답률: 76%)
  • "역치전위란 K+ 이온이 세포막으로 들어온 상태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역치전위는 Na+ 이온이 세포막 내부로 급격하게 유입되어 전위가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활동전위의 초기 단계로서, 이후 K+ 이온이 세포막을 빠져나가면서 전위가 다시 초기 상태로 돌아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광 센서 관련 기술 중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면 플라즈몬은 금속박막 표면에서 일어나는 전자들의 집단적인 진동현상을 말한다.
  2. 표면 플라즈몬파는 금속과 이에 인접한 유전물질의 경계면을 따라 진행하는 표면 전자기파이다.
  3. 표면 플라즈몬 공명은 굴절률의 변화를 측정하여 생체 물질의 상호작용을 인지할 수 있다.
  4. 표면 플라즈몬 공영법은 형광물질과 같은 별도의 표지 물질이 필요하다.
(정답률: 65%)
  • "표면 플라즈몬 공영법은 형광물질과 같은 별도의 표지 물질이 필요하다."가 틀린 것이다. 표면 플라즈몬 공영법은 형광물질과 같은 별도의 표지 물질이 필요하지 않다. 대신, 금속박막 표면에서 일어나는 전자들의 집단적인 진동현상을 이용하여 생체 물질의 상호작용을 측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의 센서는 빛이 들어오지 않았을 때는 OA의 전류(I)가 발생하고, 10mW/cm2의 빛이 들어왔을 때는 0.5㎂의 전류가 발생한다. RF = 10kΩ일때. 10mW/cm2의 빛이 센서에 가해졌다면 출력전압은?

  1. 5mV
  2. -5mV
  3. 0. 1V
  4. -0.1V
(정답률: 63%)
  • 센서의 출력전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 = I x RF

    10mW/cm2의 빛이 들어왔을 때 발생하는 전류는 0.5㎂이므로,

    V = 0.5㎂ x 10kΩ = 5mV

    따라서 정답은 "5mV"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5mV"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출력전압의 극성이 반대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센서의 출력전압은 OA의 전류에 따라 결정되는데, OA의 전류는 빛이 들어오지 않았을 때부터 발생하기 때문에, 출력전압은 빛이 들어왔을 때의 전류에 따라서는 결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빛이 들어왔을 때의 출력전압이 5mV이면, 빛이 들어오지 않았을 때의 출력전압은 0이 된다. 이때, 출력전압의 극성은 빛이 들어오지 않았을 때 OA의 전류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OA의 전류 방향이 센서에서 OA로 향하는 방향이면, 출력전압은 양극성이 된다. 그러나 OA의 전류 방향이 OA에서 센서로 향하는 방향이면, 출력전압은 음극성이 된다. 따라서, OA의 전류 방향이 OA에서 센서로 향하는 경우, 출력전압은 "-5mV"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의용전자공학

21. 국내에서 생체계측 중 심전도 측정에서 주위 환경의 교류 자장에 의한 영향으로 발샘하는 잡음전압의 주파수로서 대표적인 것은?

  1. 10Hz
  2. 60Hz
  3. 100Hz
  4. 220Hz
(정답률: 71%)
  • 국내에서는 전기 시스템의 교류 주파수가 60Hz이기 때문에, 주변 환경의 교류 자장에 의한 영향으로 발생하는 잡음전압의 주파수도 60Hz가 가장 대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호를기의 기능평가 중 “폐 내에서 공기가 폐포간에 균형 있게 분포하는 기능”에 대한 평가기능은?

  1. 환기능
  2. 분포능
  3. 확산능
  4. 피폭능
(정답률: 80%)
  • 분포능은 폐 내에서 공기가 폐포간에 균형 있게 분포하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폐 내부의 공기 분포 상태를 측정하고 분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폐의 기능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환기능은 폐에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 확산능은 폐에서 기체 교환을 하는 기능, 피폭능은 폐의 용적을 측정하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은 카르노맵의 가장 간단한 논리식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92%)
  • 카르노맵에서 인접한 셀들은 한 개의 변수만 다르기 때문에, 인접한 셀들의 논리식은 해당 변수가 참일 때 또는 거짓일 때의 값이 같다. 따라서, 카르노맵에서 가장 간단한 논리식은 모든 셀을 포함하는 가장 큰 직사각형을 만들어 해당 직사각형에 해당하는 논리식을 구하는 것이다. 이 경우, "B"는 모든 셀을 포함하는 가장 큰 직사각형에 해당하며, 논리식은 A'CD + AB'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어느 일정시간 동안의 전기에너지 총량은?

  1. 전압
  2. 전류량
  3. 저항
  4. 전력량
(정답률: 79%)
  • 일정시간 동안의 전기에너지 총량은 전력량이다. 이는 전압과 전류량의 곱으로 계산되며, 저항과 전류량의 제곱과 곱으로도 계산될 수 있다. 하지만 전력량은 일반적으로 가장 직관적이고 간단한 방법으로 전기에너지 총량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2진수 (110101)2의 10진수 값은?

  1. 50
  2. 53
  3. 60
  4. 63
(정답률: 92%)
  • 2진수에서 각 자리수는 2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가장 오른쪽 자리부터 2^0, 2^1, 2^2, 2^3, 2^4, 2^5 순으로 자리수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1101012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x 2^0 + 0 x 2^1 + 1 x 2^2 + 0 x 2^3 + 1 x 2^4 + 1 x 2^5 = 1 + 0 + 4 + 0 + 16 + 32 = 53

    따라서 정답은 "5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생체계측 측정시스템에서 접지(ground)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전기기구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험한 전압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서
  2. 과도 현상에 의한 장비의 오동작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3. 전자시스템으로 결합된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4. 증폭기에서 생성된 전류를 입력단자로 연결하기 위해서
(정답률: 74%)
  • 생체계측 측정시스템에서 접지의 목적은 전기기구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험한 전압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서, 과도 현상에 의한 장비의 오동작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자시스템으로 결합된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증폭기에서 생성된 전류를 입력단자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단자 a와 b사이의 전위차는? (단, R1=2Ω, R2=1Ω, R3=2Ω, R4=2Ω이며, 전압은 12V 이다.)

  1. 1[V]
  2. 2[V]
  3. 3[V]
  4. 4[V]
(정답률: 72%)
  • 전압은 전류와 저항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먼저 계산해야 합니다.

    R1과 R2는 직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압 12V에 대해 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I1 = V/R1 = 12/2 = 6A

    I2 = V/R2 = 12/1 = 12A

    R3과 R4는 병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압 12V에 대해 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I3 = V/R3 = 12/2 = 6A

    I4 = V/R4 = 12/2 = 6A

    따라서, a와 b사이의 전위차는 R2와 R3에 걸린 전압의 차이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Vab = I2 x R2 - I3 x R3 = 12 x 1 - 6 x 2 = 0

    따라서, a와 b사이의 전위차는 0V이며, 보기에서 정답은 "2[V]"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의 심전도(ECG) 파헝 중 발생 원리가 다른 것은?

  1. P파
  2. Q파
  3. T파
  4. R파
(정답률: 77%)
  • T파는 심장의 실질적인 수축이 끝난 후 발생하는 것으로, P파, Q파, R파와는 달리 심장의 전기적인 활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발생 원리가 다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부궤환 증폭기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파수 특성이 개선된다.
  2. 입출력 임피던스의 조절이 가능하다.
  3. 진폭 및 위상 일그러짐이 증가한다.
  4. 내부잡음(S/N비)이 감소한다.
(정답률: 73%)
  • 부궤환 증폭기는 주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데 사용되며, 주파수 특성이 개선되고 입출력 임피던스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부궤환 증폭기는 회로 구성상 일정한 주파수 이상에서는 진폭 및 위상 일그러짐이 증가하게 되어 신호 왜곡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내부잡음(S/N비)이 감소하는 단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생체전기신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심음도
  2. 근전도
  3. 뇌전도
  4. 심전도
(정답률: 98%)
  • 심음도는 생체전기신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심음도는 심장의 소리를 측정하는 것으로, 심장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발생하는 소리를 기록합니다. 반면, 근전도, 뇌전도, 심전도는 각각 근육, 뇌, 심장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면적 S(m2), 간격 d(m)인 평행판 콘덴서에 전압 V[V]의 직류전압을 인가했을 때 두 극판사이의 전계 E[V/m]를 표현한 식은?

  1. E=Vd
  2. E=V/d
  3. E=V/Sd
  4. E=Vd/S
(정답률: 83%)
  • 정답은 "E=V/d"이다.

    평행판 콘덴서는 두 개의 평평한 극판 사이에 절연체가 존재하는 구조이다. 이때, 극판 사이에 인가된 전압 V는 극판 사이의 전위차를 만들어내고, 이 전위차에 따라 전기장이 형성된다. 전기장은 극판 사이의 간격 d에 비례하므로, 전기장 E는 V와 d의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E=V/d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입주력기의 180° 미만에서 도통되도록 바이어스 되며, 전력증폭기로의 효율이 가장 좋은 것은?

  1. A급 증폭기
  2. B급 증폭기
  3. AB급 증폭기
  4. C급 증폭기
(정답률: 78%)
  • C급 증폭기는 입주력기의 180° 미만에서 도통되도록 바이어스 되며, 전력증폭기로의 효율이 가장 좋은 것이다. 이는 C급 증폭기가 A급, B급, AB급 증폭기보다 바이어스가 작아서 전력 손실이 적고, 동시에 왜곡도 적어서 효율적인 전력 증폭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양한 생체신호 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심자도와 뇌자도는 생화학신호를 측정하는 것이다.
  2. 심전도와 뇌전도는 생체전기신호를 측정하는 것이다.
  3. 심음계와 청진기는 생체음향신호를 측정하는 것이다.
  4. 체지방측정기는 대부분 생체임피스던스신호를 측정하는 것이다.
(정답률: 81%)
  • "심자도와 뇌자도는 생화학신호를 측정하는 것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심자도와 뇌자도는 각각 심장과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기기로, 생체전기신호를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메모리나 입출력장치들을 접속하는 신호선 집단은?

  1. 캐시(cache)
  2. 버퍼(buffer)
  3. 버스(bus)
  4. 레지스터(register)
(정답률: 90%)
  •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메모리나 입출력장치들을 접속하는 신호선 집단은 "버스(bus)"입니다. 이는 데이터와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로로, CPU와 다른 장치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버스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데이터 전송 속도와 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두정부나 후두부에서 잘 나타나고, 시각 및 감각자극에 의해 억제되는 EEG파형은?

  1. 델타(Delta)파
  2. 세타(Theta)파
  3. 알파(Alpha)파
  4. 베타(Beta)파
(정답률: 78%)
  • 알파파는 뇌파 중 주로 안정적인 상태에서 나타나며, 눈을 감거나 명상 등으로 인해 시각 및 감각자극이 억제될 때 더욱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두정부나 후두부에서 잘 나타나고, 시각 및 감각자극에 의해 억제되는 EEG파형은 알파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발진회로와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부저항 특성
  2. 정궤환
  3. 부궤환
  4. 재생
(정답률: 46%)
  • 발진회로는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며, 부저항 특성과 정궤환은 발진회로에서 중요한 개념이지만, 부궤환은 발진회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개념이기 때문에 정답은 "부궤환"입니다. "재생"은 발진회로에서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들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광학적 계측시스템에서 쓰이는 광원이 아닌 것은?

  1. 텅스텐램프
  2. 레이저
  3. 아크방전
  4. 피에조크리스탈
(정답률: 81%)
  • 피에조크리스탈은 광원이 아니라 센서나 스위치 등의 전기적인 신호를 변환하는 재료이기 때문에 광학적 계측시스템에서는 광원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진공 중의 구 대전체에서 반경이 r[m]일 때 전하의 분포가 일정하다고 하면 전체 전하량이 Q[C]일 때 구의 외부전계[v/m]는?

(정답률: 61%)
  • 구 대전체 내부에서 전하의 분포가 일정하므로, 전체 전하량 Q는 전하밀도 ρ와 구의 부피 V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Q = ρV 이다. 구의 부피 V는 (4/3)πr^3 이므로, Q = (4/3)πr^3ρ 이다.

    구의 외부전계는 구 내부의 전하가 외부로 만들어내는 전기장으로 인해 결정된다. 구 내부의 전하가 일정하므로, 외부전계는 구의 중심에서부터의 거리 r에만 의존한다. 따라서, 구의 외부전계는 r에 비례하는 것이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E = kQ/r^2 이므로, 구의 외부전계는 r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구의 외부전계가 r에 반비례하는 것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실리콘 원자의 가전자는 몇 개인가?

  1. 0
  2. 1
  3. 2
  4. 4
(정답률: 66%)
  • 실리콘(Si) 원자의 전자 구성은 2, 8, 4 이다. 이 중 가장 바깥쪽 전자 껍질에 있는 전자의 수가 실리콘 원자의 가전자 수이므로, 4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3Ω의 저항 3개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회로에 9V의 전압이 인가되면 흐르는 전전류는?

  1. 1A
  2. 3A
  3. 6A
  4. 9A
(정답률: 70%)
  • 병렬 회로에서는 각 저항의 전압이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전압은 9V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전류는 각 저항의 저항값에 반비례하여 나누어져 흐르게 됩니다. 3Ω의 저항 3개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체 저항은 1Ω이 되고, 전류는 9V / 1Ω = 9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9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의료안전ㆍ법규 및 정보

41. 의료기기 품목 및 품목별 등급에 관한 규정 중 보청기 분류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골도형 보청기
  2. 기도형 보청기
  3. 주입형 보청기
  4. 이식혈 보정기
(정답률: 50%)
  • 주입형 보청기는 보청기 분류에 속하지 않는 이유는, 보청기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소리를 증폭시켜 청각장애인이 들을 수 있도록 돕는 기기인데, 주입형 보청기는 청각장애인의 귀 속에 직접 액체를 주입하여 소리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청기 분류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환자의 진료 정보가 전산을 활용하여 처리되는 경우, 보안의 수준에 따라 극비사항, 민감한 정보, 기밀사항으로 다뤄질 필요가 없는 사항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 중 극비사항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인구학적인 정보
  2. 정신과 진료내용
  3. 약물중독 자료
  4. 생활형태 (I ife style)
(정답률: 87%)
  • 인구학적인 정보는 개인을 특정할 수 없는 일반적인 정보로서, 나이, 성별, 출생지역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극비사항에 해당되지 않는다. 반면, 정신과 진료내용, 약물중독 자료, 생활형태는 개인의 건강상태나 생활습관 등 개인정보에 해당되므로 극비사항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정보시스템의 자료와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보보안의 속성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무결성
  2. 기밀성
  3. 완벽성
  4. 가용성
(정답률: 74%)
  • 정보보안의 속성 중 "완벽성"은 해당되지 않는다. 완벽성은 정보보안의 속성이 아니며, 정보보안의 기본 속성은 무결성, 기밀성, 가용성이다. 무결성은 정보가 정확하고 완전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하며, 기밀성은 정보가 불법적인 접근으로부터 보호되는 것을 의미하며, 가용성은 정보가 필요한 시점에 적시에 이용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의료기관의 개설자 또는 관리자가 진단용 방사선 장치에 대하여 검사기관의 검사를 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단, 의료기기 제조풍목허가 또는 수입품목허가를 받거나 중고의료기기를 수입하려는 경우 제외)

  1. 진단용 방사선 발샘장치의 전원시설을 변경하는 경우
  2.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를 설치하거나 이전하여 설처하는 경우
  3.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제어장치를 수리하는 경우
  4. 시험검사성적서 등을 제출하여 의료기기 품목허가를 받은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중 이를 사용하기 전에 의료기관에 설치하여 시험검사기관의 시험검사를 받아 시험검사성적서 등을 작성한 경우
(정답률: 82%)
  • "시험검사성적서 등을 제출하여 의료기기 품목허가를 받은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중 이를 사용하기 전에 의료기관에 설치하여 시험검사기관의 시험검사를 받아 시험검사성적서 등을 작성한 경우"는 이미 품목허가를 받은 상태에서 시험검사를 받아 안전성이 검증된 경우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물리적인 상해나 고정 불량의 위험을 가능한 한 적게 설계하고 제작해야 하며 일정 중량을 견뎌야 하는 의료기기의 헝태는?

  1. 휴대형 기기의 부분
  2. 이동형 기기의 부분
  3. 손으로 잡는 기기의 부분
  4. 환자를 지지 고정하는 기기의 부분
(정답률: 87%)
  • 의료기기는 환자의 안전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에 물리적인 상해나 고정 불량의 위험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따라서 일정 중량을 견뎌야 하는 의료기기의 형태는 환자를 지지 고정하는 기기의 부분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의료진의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병원에서 등전위 접지가 필요 없는 것은?

  1. 관상동맥환자 집중치료실
  2. 흉부 수술실
  3. 중환자실
  4. 집중치료실
(정답률: 67%)
  • 중환자실은 환자들이 침대에 누워 있기 때문에 등전위 접지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반면, 관상동맥환자 집중치료실, 흉부 수술실, 집중치료실 등은 환자들이 침대에서 벗어나거나 수술을 받기 때문에 등전위 접지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컴퓨터 기반의 전자의무기록 시스멍을 도입함으로써수 있는 효과가 아닌 것은?

  1.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 향상
  2. 데이터의 무결성 보장
  3. 의학 연구 및 동계 용이
  4. 환자입원일수 감소
(정답률: 83%)
  • 환자입원일수 감소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의 효과 중 하나가 아닙니다.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은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 향상, 데이터의 무결성 보장, 의학 연구 및 동계 용이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수술용품 등에 대한 살균을 위한 의료가스로 적당한 것은?

  1. 산소
  2. 탄산
  3. 아산화질소
  4. 에틸렌옥사이드(E0)
(정답률: 92%)
  • 에틸렌옥사이드(E0)는 살균력이 높고, 다양한 재질에 대해 침투력이 우수하며, 살균 후에도 잔류물이 거의 없어서 수술용품 등에 적합한 의료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원격의료의 응용분야와 거리가 먼 것은?

  1. 전문의가 없는 지역의 환자에 대한 진료 및 상당
  2. 예방 의학 및 환자 교육
  3. 알료의 전문화
  4. 만성질환의 관리
(정답률: 64%)
  • 원격의료는 지리적 제약을 극복하여 전문의가 없는 지역의 환자에 대한 진료 및 상담, 예방 의학 및 환자 교육, 만성질환의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알료의 전문화는 원격의료와는 거리가 먼 분야입니다. 알료의 전문화는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한 전문가들이 환자를 진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원격의료는 알료의 전문화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필수 기능이 아닌 것은?

  1. 정의기능
  2. 조작기능
  3. 절차기능
  4. 제어기능
(정답률: 80%)
  • 절차기능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필수 기능이 아닙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데이터를 저장, 검색, 수정, 삭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절차기능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정의하고 실행하는 기능으로, 필수적인 기능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의료기기 안전성∙유효성 심사에 관한 자료 중 임상실험 성적에 관한 자료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내용에 해당되지 는 것은?

  1. 병용요법의 유무
  2. 중례기록 요약
  3. 임상시험대상 의료기기의 제조번호
  4. 기존 다른 유사 의료기기와의 유효성 비교
(정답률: 81%)
  • 임상실험 성적에 관한 자료에는 기존 다른 유사 의료기기와의 유효성 비교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는 새로운 의료기기가 기존의 유사한 의료기기들과 비교하여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의료기기의 유효성을 더욱 확실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내용은 의료기기 안전성∙유효성 심사에 필수적인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설명의 ( )에 들어갈 용어가 아닌 것은?

  1. 제조국
  2. 제품가격
  3. 제조사
  4. 품목명
(정답률: 82%)
  • "제조국", "제조사", "품목명"은 모두 해당 제품의 생산과 관련된 정보이지만, "제품가격"은 생산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제품가격은 생산 비용, 수요와 공급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생산과는 독립적인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인체에 접촉하는 기간에 따른 분류 중 “24시간 이상 30일 이내에 1회 혹은 반복 노출하는 의료기기”에 해당하는 것은?

  1. 제한접촉
  2. 반복접촉
  3. 지속접촉
  4. 영구접촉
(정답률: 75%)
  • "24시간 이상 30일 이내에 1회 혹은 반복 노출하는 의료기기"는 지속적으로 인체와 접촉하는 기간이 있기 때문에 지속접촉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의료기기로 임상시험을 하고자 할 때 임상시험을 종료한자는 임상시험계획서와 임상시험실시에 관한 기록 및 자료를 임상시험의 종료일부터 몇 년간 보존하여야 하는가?

  1. 3년
  2. 5년
  3. 10년
  4. 영구보존
(정답률: 49%)
  • 임상시험을 종료한 이후에도 해당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임상시험계획서와 임상시험실시에 관한 기록 및 자료를 보존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자료는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는 근거가 되기 때문에, 보존 기간이 중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10년이라는 기간은 국내외에서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보존 기간 중 하나입니다. 이는 의료기기의 수명 주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기간으로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이 설명하는 용어는?

  1. 임상데이터
  2. 임상시험논문
  3. 임상시험결과보고서
  4. 임상시험자료
(정답률: 53%)
  • 위 그림은 임상시험을 진행할 때 수집되는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임상데이터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임상데이터"입니다. 임상시험논문은 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된 논문을 말하며, 임상시험결과보고서는 임상시험 결과를 요약하여 작성된 보고서를 말합니다. 임상시험자료는 임상시험에서 수집된 모든 자료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AMIA(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에서 제시한 의료정보학의 목표에 포함되지 않는 분야는?

  1. 환자자료의 디지털화
  2. 정보의 검색과 관리
  3. 컴퓨터 조작방법의 습득
  4. 의료사무관리
(정답률: 56%)
  • 환자자료의 디지털화는 AMIA에서 제시한 목표 중 하나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의료인만으로 구성된 것은? (단, 관련 장관의 면허를 받은 경우임)

  1. 한의사, 치과의사, 간호사
  2. 한의사, 치과의사, 약사
  3. 치과의사, 의사, 약사
  4. 의사, 조산사, 안경사
(정답률: 78%)
  • 한의사, 치과의사, 간호사는 모두 의료 분야에서 직접적으로 환자를 진료하거나 돌보는 역할을 하는 직종이기 때문에 의료인만으로 구성된다. 반면, 약사는 약물을 조제하고 환자에게 약을 권장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의료인이지만 직접적인 진료나 돌봄 역할은 아니기 때문에 의료인만으로 구성된 것은 아니다. 조산사와 안경사는 의료 분야에서 각각 분만과 안경 제작 등의 역할을 하지만 직접적인 진료나 돌봄 역할은 하지 않기 때문에 의료인만으로 구성된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보건과 의료에 관련된 제품들을 인증하는 미국 위생 규격은?

  1. Q 마크
  2. CE 마크
  3. NSF 마크
  4. ISO 마크
(정답률: 68%)
  • NSF 마크는 미국의 보건과 의료에 관련된 제품들을 인증하는 규격으로, 제품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검증하여 인증합니다. 따라서, 보건과 의료에 관련된 제품을 구매할 때 NSF 마크가 있는 제품을 선택하면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제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학문분야 중 의료정보학의 통상적인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것은?

  1. 대수학
  2. 정보과학
  3. 기초의학
  4. 컴퓨터공학
(정답률: 85%)
  • 대수학은 수학의 한 분야로, 수와 그 연산에 대한 일반적인 법칙을 다루는 학문이다. 의료정보학은 의료와 정보기술을 융합하여 의료 데이터를 수집, 저장, 분석, 활용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대수학은 의료정보학의 통상적인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등전위 접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술실, 중환자실은 등전위 접지로 할 필요가 있다.
  2. 환자반경 2.5[m] 이내의 범위에 10[mV] 이상의 전위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3. 마이크로 쇼크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체에 100[mA] 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기 위한 접지방식이다.
  4. 접지점을 2-3점으로 하면 각점의 미소한 전위차로 인하여, 접지선을 매개로 하여 전류가 인체에 흘러 들어가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등전위로 할 필요가 있다.
(정답률: 74%)
  • "마이크로 쇼크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체에 100[mA] 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기 위한 접지방식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등전위 접지는 인체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며, 전류량은 5[mA]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100[mA] 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은 오히려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의료기기

61. 체외충격파쇄석기의 에너지 발생원 중 세라믹 소자에 고주파를 인가하여 발생하는 초응파를 이용하는 방식은?

  1. 수중방전 (spark gap) 방식
  2. 압전소자 (piezoelectric) 방식
  3. 전자진동 (electromagnetic) 방식
  4. 미소발파 (micro explosion) 방식
(정답률: 75%)
  • 압전소자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소자로, 고주파를 인가하면 소자 내부에서 압전 효과가 발생하여 초음파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체외충격파쇄석기에서는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고주파를 초음파로 변환시켜 에너지 발생원으로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X-선관의 앙극에서 발생되는 X-선 총에너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관전류에 반비례한다.
  2. 음극의 원자번호에 비례한다.
  3. 가속전압(관전압)의 제곱에 비례한다.
  4. Aℓ필터의 두께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66%)
  • X-선 총에너지는 가속전압(관전압)의 제곱에 비례한다. 이는 전자가 가속되어 충돌할 때, 그 운동에너지가 X-선으로 방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속전압(관전압)을 높이면 X-선 총에너지도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대동맥 내에 삽입되어 풍선의 수축과 확장에 의해 심장의 후부하를 감소시키는 기기는?

  1. VAD
  2. 원심형 혈액펌프
  3. 축류형 심실보조기
  4. IABP
(정답률: 84%)
  • IABP는 Intra-Aortic Balloon Pump의 약자로, 대동맥 내에 삽입되어 풍선의 수축과 확장에 의해 심장의 후부하를 감소시키는 기기입니다. 이를 통해 심장의 일을 덜어주고 혈액순환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IABP가 대동맥 내에 삽입되어 심장의 후부하를 감소시키는 기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청력검사의 자극음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단락음 (pulsed sound)
  2. 연속음 (continued sound)
  3. 진폭 변조응 (ampl itude modulation)
  4. 주파수 변조음 (frequency modulation)
(정답률: 67%)
  • 청력검사에서 자극음은 단락음, 연속음, 주파수 변조음으로 구분됩니다. 그러나 진폭 변조음은 자극음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진폭 변조음은 소리의 진폭을 변화시켜 소리의 세기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청력검사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인공호홉기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아닌 것은?

  1. 장기간 기관튜브 삽입에 따라 후두손상이 올 수 있다.
  2. 치료 대상자는 보통 저항력이 떨어져 있어 감염에 취약하다.
  3. 지속적인 양압이 가해지면 기흉이 올 수 있다.
  4. 부동성 때문에 전반적으로 근육이 강화된다.
(정답률: 82%)
  • 인공호흡기는 환자의 호흡을 도와주는데, 이를 위해 지속적인 양압이 가해지기 때문에 기흉이 올 수 있고,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후두손상이 올 수 있으며, 치료 대상자는 감염에 취약하다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하지만 부동성 때문에 근육이 강화되는 것은 부작용이 아니라, 인공호흡기 사용으로 인한 효과입니다.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면 호흡근육의 사용이 줄어들어 근육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호흡을 유지하기 때문에 근육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감마카메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성광검출기는 인체 내에서 체외로 방출되는 감마선을 감지한다.
  2. 성광검출기가 2차원적므로 배열되어 있어 2차원 영상을 얻는다.
  3. 영상을 얻기 위한 기계적 주사 (scanning) 동작이 필요 없다.
  4. 섬광결정체는 감마선을 적외선으로 바꾸어 준다.
(정답률: 62%)
  • 섬광결정체는 감마선을 적외선으로 바꾸어 주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감마카메라는 성광검출기와 섬광결정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성광검출기는 감마선을 감지하여 신체 내부의 영상을 얻는데 사용되고, 섬광결정체는 감마선을 적외선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섬광결정체는 감마선을 적외선으로 바꾸어 준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일반적으로 환자가 참을 수 있을 정도의 전극으로 자극, 근수축을 유발하여 중추신경계환자의 재활치료에 이용하는 치료기기는?

  1. ICT
  2. SSP
  3. TENS
  4. FES
(정답률: 63%)
  • FES는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의 약자로, 근육을 자극하여 근수축을 유발하는 치료기기입니다. 이는 중추신경계 환자의 근력 감소 및 운동기능 장애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환자가 참을 수 있는 정도의 전극으로 자극하기 때문에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FES가 중추신경계 환자의 재활치료에 이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혈관속 적혈구에 적외선의 흡수량을 측정하여 정맥기능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정맥 재충전시간을 재는 것은?

  1. 전자기 유량계
  2. 초음파 감지법
  3. 광혈류 측정기
  4. 전기임피던스 유랑계
(정답률: 82%)
  • 광혈류 측정기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혈액 내 적혈구의 흡수량을 측정하여 정맥기능을 진단하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정맥 재충전시간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혈액의 유동성을 측정하는 방법이지만, 광혈류 측정기는 혈액 내 성분의 흡수량을 측정하여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인공심폐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2. 심장과 폐의 역할을 담당한다.
  3. 심장 수술 등에 많이 사용된다.
  4. 일반적으로 좌심방에서 혈액을 뽑아 산소를 공급한 후 체순환을 시킨다.
(정답률: 68%)
  • 인공심폐기는 일반적으로 우심방에서 혈액을 뽑아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후 체순환을 시킨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좌심방에서 혈액을 뽑아 산소를 공급한 후 체순환을 시킨다."는 인공심폐기의 특징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일반인의 가청주파수 대역은?

  1. 1Hz - 20Hz
  2. 20Hz - 20kHz
  3. 20kHz - 40kHz
  4. 60kHz - 80kHz
(정답률: 74%)
  • 일반인의 청각은 대략 20Hz에서 20kHz까지의 주파수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진 소리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들을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범위를 벗어나므로 정답은 "20Hz - 20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혈액투석기의 장치 요소애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투석기
  2. 항응고제
  3. 유량센서
  4. 혈관통로
(정답률: 52%)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혈액투석기의 장치 요소 중에서는 "투석기", "항응고제", "혈관통로"가 해당되지만, "유량센서"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혈액투석기에서 혈액의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로, 필수적인 기능은 아니지만 혈액투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각막과 망막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안구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하고 유용한 검사기기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전정기능 검사기
  2. 망막 검사기
  3. 안압 검사기
  4. 검안 검사기
(정답률: 62%)
  • 각막과 망막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은 전정기능 검사기입니다. 이는 안구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하고 유용한 검사기기입니다. 망막 검사기는 망막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며, 안압 검사기는 안압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검안 검사기는 안구의 굴절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임시형 페이스메이커를 사용한 응급처치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경정맥 심박조율: 전극을 방사선 투시기를 사용애 내경정맥 등의 정맥을 통해 삽입하고 전기 자극을 전달한다.
  2. 경흉부 심박조율: 흉벽에서 조율 전극선을 직접 심실벽에 삽입하는 방법이다.
  3. 경식도 심박조율: 전극을 식도를 통해 삽입, 조율한다.
  4. 경피적 심박조율: 전극을 표피 아래층에 삽입하는 방법이며, 간단한 시술로 인해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70%)
  • 정답은 "경피적 심박조율: 전극을 표피 아래층에 삽입하는 방법이며, 간단한 시술로 인해 많이 사용된다."가 아닌 "경정맥 심박조율: 전극을 방사선 투시기를 사용하여 내경정맥 등의 정맥을 통해 삽입하고 전기 자극을 전달한다."입니다.

    경피적 심박조율은 흉부나 복부 표피에 전극을 부착하여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안전하며, 응급 상황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인공관절 사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아닌 것은?

  1. 수술 후 탈구
  2. 심부 상처부위 감염
  3. 골밀도 증가
  4. 인공관절면의 마모
(정답률: 78%)
  • 골밀도 증가는 인공관절 사용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문제입니다. 골밀도 증가는 일반적으로 골다공증과 같은 질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인공관절 사용과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인공관절 사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아닌 것은 "골밀도 증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환자감시장치에서 적외선과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동맥혈의 헤모글로빈이 산소와의 결합 백분율로 표현되는 것은?

  1. HR
  2. BP
  3. APG
  4. SpO2
(정답률: 82%)
  • 환자감시장치에서 적외선과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동맥혈의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결합한 비율을 측정하는 것을 SpO2 측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SpO2가 정답입니다. HR은 심박수, BP는 혈압, APG는 혈당 측정과 관련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제세동기 사용시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1. 피로
  2. 화상
  3. 폭발
  4. 감전
(정답률: 87%)
  • 제세동기 사용시 피로는 주의사항이 아닙니다. 제세동기는 심장박동을 회복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응급의학적 장비로, 사용자가 지칠 정도로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피로는 주의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화상, 폭발, 감전 등 위험한 상황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위험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체외충격파쇄기(EWS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술이나 마취가 필요하다.
  2. 비교적 빠른 시간에 수술을 마칠 수 있다.
  3. 결석이 재발할 경우 손쉽게 반복치료를 할 수 있다.
  4. 시술 후 후유증 및 합병증은 극히 드물다.
(정답률: 80%)
  • 체외충격파쇄기(EWSL)는 신장 결석을 파괴하기 위한 비침습적인 치료 방법이다. 따라서 수술이나 마취가 필요하지 않으며, 비교적 빠른 시간에 수술을 마칠 수 있다. 결석이 재발할 경우에도 손쉽게 반복치료를 할 수 있으며, 시술 후 후유증 및 합병증은 극히 드물다. 따라서 "수술이나 마취가 필요하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수축기 혈압이 120mmHg이고 이완기 혈압이 90mmHg로 추정되는 환자의 혈압을 오실로메트릭(osciIlometric) 측정법으로 측정할 때,압박대 (cuff)의초기 압력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90mmHg
  2. 120mmHg
  3. 150mmHg
  4. 210mmHg
(정답률: 81%)
  • 압박대의 초기 압력은 수축기 혈압보다 높아야 하며, 이완기 혈압보다는 높지만 너무 높아서는 안 됩니다. 따라서, 120mmHg보다 높은 150mmHg가 가장 타당한 초기 압력입니다. 이는 압박대를 팔뚝에 감았을 때 압력을 높여가며 청크음이 들리는 지점에서 30mmHg 정도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경우, 압력이 180mmHg 정도가 되며, 이후 천천히 압력을 낮춰가며 혈압을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연성내시경 (flexible endoscope) 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안테나
  2. CCO(charge coupled device)
  3. 유리섬유 (glass fiber)
  4. 광원 (Iight source)
(정답률: 68%)
  • 안테나는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장치로, 연성내시경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연성내시경은 광섬유를 사용하여 영상을 전송하므로 유리섬유가 필요하며, 이를 촬영하는 CCO와 광원도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전기치료 자극기에서 신호발생기를 위한 정치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충전기
  2. 정류기
  3. 여과기
  4. 변압기
(정답률: 61%)
  • 전기치료 자극기에서 신호발생기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전기를 충전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충전기입니다. 정류기는 전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여과기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변압기는 전압을 변환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충전기가 정치와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의용기계공학

81. 다음 중 생체의 심부 가온에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를 옳게 나열한 것은?

  1. a, d
  2. b, c
  3. a,c
  4. d, e
(정답률: 66%)
  • a와 d는 심부 가온에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로서, 지방과 단백질이다. 지방은 심부 가온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단백질은 근육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아미노산을 제공하여 근육을 유지하고 성장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b와 c는 탄수화물과 미네랄로서, 심부 가온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e는 비타민으로서, 에너지 생성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직접적으로 심부 가온에 사용되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순환기에 사용되는 생체재료의 혈액적합성 개선을 위한 비응혈성(nonthrombogenic) 처리방법이 아닌 것은?

  1. 음이온이 대전된 표면 (negative charged surface)
  2. 불활성 표면 (inert surface)
  3. 거친 표면 (rough surface)
  4. 헤파린이 처리된 표면 (heparinized surface)
(정답률: 73%)
  • 거친 표면은 혈액이 응고되기 쉬운 표면이므로 생체재료의 혈액적합성을 개선하는 비응혈성 처리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방사선 조사와 생물학적 효과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방사선의 생물학적인 효과는 방사선의 조사 상황, 생물의 상태, 주목하는 효과에 따라 다르다.
  2. 방사선의 생물에 대한 효과는 방사선량에 따라 다르다.
  3. 일반적으로 밤사선 치료시, 동일한 선량을 1회 조사할 경우가 분할하여 조사하는 경우보다 암치료에 효과적이다.
  4. 어떤 선량 이하의 값에서는 방사선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정답률: 64%)
  • "일반적으로 밤사선 치료시, 동일한 선량을 1회 조사할 경우가 분할하여 조사하는 경우보다 암치료에 효과적이다." 이 설명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방사선 치료에서는 일반적으로 분할 조사가 사용되며, 이는 선량을 분할하여 조금씩 조사함으로써 생물학적 효과를 최소화하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오히려 반대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생체재료의 표면 특성 분석법 중에서 결정구조를 알 수 있는 시험법은?

  1. 적외선 스펙트럼분석법
  2. X-선 에너지 회절법
  3. X-선 에너지 분산분석법
  4. 주사전자현미경
(정답률: 61%)
  • X-선 에너지 회절법은 결정체의 결정구조를 분석하는 기술로, X-선을 쏘아 결정체 내부의 원자들이 X-선을 산란시켜 회절패턴을 만들어내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따라서 생체재료의 표면 특성 분석에서도 결정체 구조를 알 수 있는 X-선 에너지 회절법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생체재료의 표면 특성 분석에는 적용되지만 결정구조를 알 수 있는 시험법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자장의 강도가 큰 것부터 작은 순서로 나열된 것은?

  1. 지구의 자장 > 심장으로부터의 자장 > 뇌로부터의 자장
  2. 심장으로부터의 자장 > 지구의 자장 > 뇌로부터의 자장
  3. 뇌로부터의 자장 > 심장으로부터의 자장 > 지구의 자장
  4. 뇌로부터의 자장 > 지구의 자장 > 심장으로부터의 자장
(정답률: 82%)
  • 지구의 자장은 지구 전체를 둘러싸고 있으며, 매우 강합니다. 심장으로부터의 자장은 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으로, 지구의 자장보다는 약합니다. 뇌로부터의 자장은 뇌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으로, 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중에서 가장 약합니다. 따라서, 자장의 강도가 큰 것부터 작은 순서로 나열하면 "지구의 자장 > 심장으로부터의 자장 > 뇌로부터의 자장"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인체의 중심선에서부터 인체분절이 가까워지는 동작은?

  1. 외 전 (abduction)
  2. 내전 (adduction)
  3. 굴곡(flexion)
  4. 신전 (extension)
(정답률: 77%)
  • 내전은 인체의 중심선에서부터 인체분절이 가까워지는 동작이다. 예를 들어, 팔을 몸쪽으로 붙이는 동작이나 다리를 모으는 동작 등이 내전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내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유체가 흐르려 할 때 문자간의 인력에 의해 유체 상호간의 유동을 방해하려는 저항력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성질은?

  1. 점성
  2. 저항성
  3. 압축성
  4. 강성
(정답률: 75%)
  • 유체가 흐르려 할 때, 유체 분자들 간의 마찰력으로 인해 서로 접촉하면서 저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저항력을 점성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문자간의 인력에 의해 유체 상호간의 유동을 방해하려는 성질은 점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체온이 37℃일 때 ,인체 묘면에서 방사되는 파장은? (단, 빈(Wien)의 변위법칙 상수는 약 0.3cm·K 이다.)

  1. 약 5㎛
  2. 약 10㎛
  3. 약 15㎛
  4. 약 20㎛
(정답률: 48%)
  • 체온이 37℃일 때 인체는 적외선 방사를 하게 되는데, 이는 약 10㎛의 파장을 가지게 됩니다. 이는 빈의 변위법칙에 따라 체온이 높아질수록 파장이 짧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체온이 37℃일 때는 약 10㎛의 파장을 방사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알루미나의 특성 실명으로 틀린 것은?

  1. 뼈와 화학적 결합이 우수하다.
  2. 경도, 강도가 높다.
  3. 화학적 침식에 강하다.
  4. 윤활특성, 생체 안정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47%)
  • 알루미나는 높은 결정도와 결정성이 강한 세라믹 소재로, 경도와 강도가 높아서 화학적 침식에 강하며 윤활특성과 생체 안정성이 우수합니다. 그러나 뼈와 화학적 결합이 우수하다는 것은 틀린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의공학에서 생체재료는 생체와 직접 접촉하며 체액에 노출되는 의료기기의 재료가 되는 물질을 말한다. 다음 중 체액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혈액
  2. 타액(침)
  3. 눈물
  4. 링거액
(정답률: 84%)
  • 정답: 링거액

    설명: 혈액, 타액(침), 눈물은 모두 인체 내부에서 생성되는 체액이며, 생체재료로 사용될 때 노출될 수 있는 체액이다. 하지만 링거액은 식물 조직을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액으로, 인체와 직접적인 접촉이 없기 때문에 생체재료로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임플란트로 사용되는 생체재료 중 생체에 이식한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 모두 소멸되는 것은?

  1. 생체 활성재료
  2. 생체 불활성재료
  3. 생체 재흡수재료
  4. 생체 복합재료
(정답률: 80%)
  • 생체 재흡수재료는 생체에 이식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천천히 분해되어 생체에 흡수되는 재료입니다. 따라서 임플란트로 사용되는 생체재료 중에서는 가장 오랜 시간이 지나면 모두 소멸되는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초음파의 매질에서 전파속도를 구하는 식은?

  1. 전파속도=밀도×파장
  2. 전파속도=주파수×밀도
  3. 전파속도=주파수×파장
  4. 전파속도=밀도×임피던스
(정답률: 71%)
  • 초음파는 공기나 물과 같은 매질을 통해 전파되는 파동이므로, 매질의 밀도와 탄성에 따라 전파속도가 결정됩니다. 그리고 파동의 주파수와 파장은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주파수가 높을수록 파장은 짧아지고, 주파수가 낮을수록 파장은 길어집니다. 따라서, 전파속도는 주파수와 파장의 곱으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파속도=주파수×파장"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의용세라믹 재료가 갖는 일반적인 특성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불활성이다.
  2. 압축강도가 강하다.
  3. 성형 및 가공이 매우 쉽다.
  4.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75%)
  • 정답은 "성형 및 가공이 매우 쉽다." 이다.

    의용세라믹 재료는 고온에서 가열하고 압축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성형 및 가공이 어렵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의료용 임플란트나 인공 관절 등의 제작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생체적합성이 우수하고 불활성이기 때문에 인체 내에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생체적합성을 평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민감성 시험
  2. 혈액적합성 시험
  3. 세포독성 시험
  4. 화학적 조성측정 시험
(정답률: 76%)
  • 화학적 조성측정 시험은 생체적합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시험으로, 재료의 화학적 성분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생체적합성을 평가하는 방법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화학적 조성측정 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생체 조직의 수동적 특성이 나타내는 특이성이 아닌 것은?

  1. 이망성
  2. 전기적 절연성
  3. 주파수 의존성
  4. 특이한 반사 산란 를수 특성
(정답률: 72%)
  • 생체 조직의 수동적 특성은 전기적 절연성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이는 생체 조직이 전기적으로 전도성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거나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극을 사용하여 생체 조직과 직접적으로 접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가시광선 영역 중에서 가장 강한 흡수를 나타내는 것은?

  1. 혈액중의 혈장
  2. 혈액중의 헤모글로빈
  3. 혈액중의 백혈구
  4. 혈액중의 혈소판
(정답률: 83%)
  • 가시광선 영역에서 가장 강한 흡수를 나타내는 것은 혈액중의 헤모글로빈입니다. 이는 헤모글로빈이 철분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서 가시광선 영역에서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흡수는 혈액이 빨간색으로 보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편직 또는 제직하여 인공혈관 재료로 사용하고 있는 합성고분자 재료는?

  1. 폴리우레탄(PU)
  2. PVC
  3. 폴리에틸렌(PE)
  4. 폴리에스터(polyester)
(정답률: 58%)
  • 합성고분자 재료 중에서 폴리에스터는 편직 또는 제직하여 인공혈관 재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폴리에스터는 높은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혈액의 압력에도 견딜 수 있고, 또한 생분해성이 좋아서 체내에서 분해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폴리에스터는 인공혈관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리드가 10mm인 2줄 나사가 90도 회전할 때 나사가 움직인 거리는?

  1. 1mm
  2. 2.5mm
  3. 5mm
  4. 10mm
(정답률: 74%)
  • 리드가 10mm인 2줄 나사는 1회전에 20mm의 움직임을 가지므로, 90도 회전하면 1/4 회전한 것이 되어 20mm x 1/4 = 5mm의 움직임을 가집니다. 하지만, 2줄 나사는 나사가 1회전할 때 나사가 움직이는 거리가 2배가 되므로, 5mm / 2 = 2.5mm의 움직임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정지해 있거나 일정한 속도에 움직이는 즉, 가속도가 0인 상태를 연구하는 응용역학의 분야는?

  1. 변형체역학
  2. 동역학
  3. 정역학
  4. 유체역학
(정답률: 75%)
  • 정역학은 가속도가 0인 상태를 다루는 응용역학의 분야입니다. 따라서 정지해 있거나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을 연구합니다. 이와 달리, 동역학은 가속도가 있는 운동을 다루며, 유체역학은 유체의 운동을 다룹니다. 변형체역학은 물체의 변형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분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탄성과 정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서 액체를 모델링하는데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나사와 대시폿
  2. 스프링과 대시폿
  3. 나사와 스프링
  4. 실리콘과 나사
(정답률: 84%)
  • 스프링과 대시폿은 탄성과 정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서 액체를 모델링하는데 많이 사용됩니다. 스프링은 탄성이 높아서 압력이 가해져도 원래 모양으로 돌아오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대시폿은 정성이 높아서 액체의 흐름을 모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를 함께 사용하면 액체의 움직임을 더욱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