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4-14)

임산가공기능사
(2013-04-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의미로 옳은 것은?

  1. 보안면 착용
  2. 안전모 착용
  3. 보안경 착용
  4. 귀마개 착용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귀마개 착용을 나타냅니다. 그림 속 인물이 귀마개를 착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연소의 3요소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점화원, 빛, 요소
  2. 가연물, 공기, 산소
  3. 가연물, 질소, 점화원
  4. 가연물, 산소, 점화원
(정답률: 알수없음)
  • 연소란 가연물과 산소가 점화원에 의해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연소의 3요소는 가연물, 산소, 점화원입니다. 가연물은 연소가 일어날 수 있는 연료 역할을 하며, 산소는 연소 반응에 필요한 산소를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점화원은 가연물과 산소를 화학반응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가연물, 산소, 점화원"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부식성 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피부 등에 접촉함으로써 피부 장해를 일으킨다
  2. 잘못하여 눈에 들어가면 실명을 가져올 수 있다
  3. 희석된 산에 의한 반복된 자극에는 유해성이 없다
  4. 대표적 부식성 물질로는 염산, 황산, 질산 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희석된 산에 의한 반복된 자극에는 유해성이 없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모든 산은 농도가 높아지면 부식성이 강해지기 때문에, 희석된 산도 반복적으로 노출될 경우 피부나 눈 등에 유해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그림]과 같은 와이어로프의 꼬임 방법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랭 S 꼬임
  2. 보통 S 꼬임
  3. 랭 Z 꼬임
  4. 보통 Z 꼬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보통 S 꼬임"입니다. 와이어로프를 꼬을 때는 랭 S 꼬임과 랭 Z 꼬임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이 중 보통 S 꼬임은 와이어로프를 시계방향으로 한 번 돌리고 반시계방향으로 한 번 돌리는 방법으로 꼬이게 됩니다. 이 방법은 꼬임이 굉장히 단단하고 강력하며, 특히 중량이 많은 물체를 들어올리는 등의 작업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안전 보건표지에 있어 안내표지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금연
  2. 세안장치
  3. 들것
  4. 응급구호 표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들것"

    설명: "금연", "세안장치", "응급구호 표지"는 안전 보건표지 중 안내표지의 종류에 해당하는 것이며, "들것"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들것"은 보통 안전 보건표지 중 안전표지의 종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근로자가 작업하는 장소에서 방독마스크를 사용할 경우 산소농도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2 %
  2. 15 %
  3. 18 %
  4. 25 %
(정답률: 알수없음)
  • 방독마스크를 사용하면 호흡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산소공급이 충분하지 않으면 위험합니다. 따라서 근로자가 작업하는 장소에서 방독마스크를 사용할 경우 산소농도는 최소 18%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유는 인체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16% 이상의 산소농도가 필요하며, 방독마스크를 사용하면 호흡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더 많은 산소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8% 이상의 산소농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목재의 비중에 대한 명칭이 아닌 것은?

  1. 전건비중
  2. 생재비중
  3. 기건비중
  4. 원재비중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원재비중"입니다.

    "전건비중", "생재비중", "기건비중"은 각각 건축물 전체, 생산된 목재, 건축물의 구성 요소 중 목재의 비중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하지만 "원재비중"은 목재의 원료인 나무의 비중을 나타내는 용어가 아니라,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원재비중"이 목재의 비중에 대한 명칭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차리고 정답을 골라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수용성 목재방부제가 아닌 것은?

  1. 크롬, 구리, 붕소화합물계
  2. 산화크롬, 구리화합물계
  3. 지방산 금속염계
  4. 붕소, 붕산 화합물계
(정답률: 알수없음)
  • 수용성 목재방부제는 목재를 보호하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물질입니다. 이 중에서 지방산 금속염계는 수용성 목재방부제가 아닙니다. 이유는 지방산 금속염계는 목재를 보호하거나 내구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플라스틱 제품, 코팅제, 윤활유 등의 산업용 제품에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용성 목재방부제로 사용되는 것은 크롬, 구리, 붕소화합물계, 산화크롬, 구리화합물계, 붕소, 붕산 화합물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천연건조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건조소요기간이 짧다
  2. 열에너지가 절약 된다
  3. 특별한 건조장비가 필요 없다
  4. 작업이 비교적 간단하고 특수한 건조기술이 덜 요구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조소요기간이 짧다"가 틀린 것이며, 이유는 천연건조는 자연적인 기후조건에 따라 건조시간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습도가 높은 날씨에는 건조시간이 더 오래 걸리고, 건조기간이 짧은 날씨에는 건조가 빨리 완료됩니다. 따라서 천연건조는 건조시간이 예측하기 어렵고, 일정한 건조시간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목재방부제의 성능기준에 포함되어 있는 성능이 아닌 것은?

  1. 방부성능
  2. 철부식성
  3. 유화성
  4. 연소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연소성

    설명: 목재방부제의 성능기준에는 방부성능, 철부식성, 유화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목재가 부식되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성능입니다. 반면에 연소성은 목재가 불에 타는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목재방부제의 성능기준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목재의 사용환경 범주에 있어 토양 또는 담수와 접하는 곳 등에 사용되는 목재로 부후,흰개미 피해의 우려가 있는 곳에서의 고도의 내구성이 요구되는 조건에 해당하는 것은?

  1. H1
  2. H2
  3. H3
  4. H4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H4"입니다. H4는 토양 또는 담수와 접하는 곳 등에 사용되는 목재로, 부후와 흰개미 피해의 우려가 있는 곳에서의 고도의 내구성이 요구되는 조건에 해당합니다. 이는 H1, H2, H3보다 더욱 엄격한 사용환경 조건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건조 전 중량이 4500g이고, 함수율이 60%인 목재를 함수율 20%까지 건조시켰을 때 감소된 수분의 양(g)은 약 얼마인가?

  1. 625g
  2. 1125g
  3. 1525g
  4. 2125g
(정답률: 알수없음)
  • 원래 수분의 양은 4500g 중 60%인 2700g이었습니다. 함수율을 20%까지 낮추려면, 새로운 수분의 양은 4500g 중 20%인 900g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감소된 수분의 양은 2700g - 900g = 1800g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감소된 수분의 양을 묻는 것이 아니라, 감소된 수분의 양(g)을 묻는 것이므로, 답인 1800g을 2로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800g ÷ 2 = 900g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900g이 없으므로, 900g보다 큰 1125g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크롬화합물을 함유하는 방부제로 처리한 목재의 양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처리 후 자연양생공정으로 3주 이상의 양생기간을 거쳐야 한다.
  2. 목재용 인공열기건조 또는 증기 양생실을 이용한 촉진양생은 실시할 수는 없다.
  3. 임시보관장소는 8시간 생산량을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이 필요하다.
  4. 양생장소는 면적 1m2는 목재 3m2를 양생하는 기준으로 3주간 생산량을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이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목재용 인공열기건조 또는 증기 양생실을 이용한 촉진양생은 실시할 수는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크롬화합물을 함유하는 방부제로 처리한 목재는 인공열기건조나 증기 양생실을 이용한 촉진양생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기건함수율은 대기의 온도와 습도 조건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장소와 기후조건에 따라 변한다. 다음 중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목재 기건함수율의 범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3~10%
  2. 12~17%
  3. 20~28%
  4. 30~35%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실내 상황에서 목재의 기건함수율은 30~35% 정도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기후 조건이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은 편이기 때문이다. 목재가 너무 건조하면 균열이 발생하고, 너무 습하면 부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기건함수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목재 관련 보관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목재 보관 시설은 재료의 반입과 반출이 용이하도록 하여야 한다.
  2. 방부처리 목재 보관 시설은 하역작업이 용이하도록 공간의 여유가 있어야 한다.
  3. 실내의 목재 보관 장소는 외부의 공기가 순환되지 않는 밀폐된 장소로 선정하여야 한다.
  4. 방부처리 목재 보관 시설의 제품 보관은 종류별 처리(제조)연월일별로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부처리 목재 보관 시설은 하역작업이 용이하도록 공간의 여유가 있어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내의 목재 보관 장소는 외부의 공기가 순환되지 않는 밀폐된 장소로 선정하여야 합니다. 이는 습기와 온도 등의 조절을 위해 필요합니다. 목재는 습기와 온도에 민감하므로, 외부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환경을 유지해야 합니다.

    방부처리 목재 보관 시설의 제품 보관은 종류별 처리(제조)연월일별로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이는 제품의 품질 유지와 관리를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일반적으로 목재가공용 톱의 두께를 표시하는 용어로 옳은 것은?

  1. BWG
  2. SBT
  3. BTN
  4. BW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BWG"입니다.

    BWG는 "Birmingham Wire Gauge"의 약자로, 영국 버밍엄에서 개발된 철사의 두께를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이 단위는 목재 가공용 톱의 두께를 측정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BWG가 낮을수록 두께가 높아지며, 일반적으로 0부터 36까지의 범위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목재 가공용 톱의 두께를 표시하는 용어로 BWG가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목재가 균질 재료가 될 수 없는 경우는 주로 어떤 결점 때문인가?

  1. 큰강도
  2. 과중량
  3. 큰부피
  4. 옹이
(정답률: 알수없음)
  • 목재가 균질 재료가 될 수 없는 경우는 주로 "옹이" 때문입니다. 옹이란 나무의 섬유 구조가 꼬여서 나무의 강도와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결점입니다. 따라서 옹이가 있는 나무는 균질한 재료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목재의 원소조성에 있어 가장 많은 부분(전건중량비,%)을 차지하는 원소는?

  1. 탄소
  2. 수소
  3. 질소
  4. 회분
(정답률: 알수없음)
  • 목재의 원소조성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원소는 탄소입니다. 이는 목재가 대부분의 경우 나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나무는 주로 탄소, 수소, 산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에서 탄소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따라서 목재의 원소조성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원소는 탄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목재의 구조방향에 따른 수축률의 크기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반경방향 > 접선방향 > 축방향
  2. 접선방향 > 반경방향 > 축방향
  3. 접선방향 > 축방향 > 반경방향
  4. 축방향 > 반경방향 > 접선방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접선방향 > 반경방향 > 축방향"입니다.

    목재의 구조방향에 따른 수축률의 크기는 목재 내부의 섬유 구조와 관련이 있습니다. 목재의 섬유는 주로 접선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 방향으로는 수축률이 가장 큽니다. 반경방향으로는 섬유가 덜 배열되어 있어 수축률이 적고, 축방향으로는 섬유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어 수축률이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접선방향 > 반경방향 > 축방향 순으로 수축률의 크기가 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목재의 세포막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마이크로피브릴은 그 크기가 10~50A 정도이다.
  2. 셀룰로오스속의 결정영역을 미셀이라 한다.
  3. 마이크로피브릴은 엘리멘타 피브릴보다 작다.
  4. 마이크로피브릴은 외층이 아닌 세포간층만을 형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답은 "셀룰로오스속의 결정영역을 미셀이라 한다."입니다.

    셀룰로오스는 당류 중 가장 흔한 것으로, 당분자가 β-글루코시드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당분자들이 결합하여 마이크로피브릴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마이크로피브릴은 직경이 약 10~50A 정도로 매우 작습니다. 이러한 마이크로피브릴들이 모여 결정영역을 형성하는데, 이 결정영역을 미셀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셀룰로오스속의 결정영역을 미셀이라고 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마이크로피브릴은 외층이 아닌 세포간층만을 형성하며, 엘리멘타 피브릴보다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다음 중 목재의 전기적 성질을 실제에 응용한 경우가 아닌 것은?

  1. 고주파 전장에 의한 목재 접착제의 가열 및 경화
  2. 목재 함수율 측정용 전기수분계
  3. 고주파 가열에 의한 목재 건조
  4. X선을 이용한 목재 결점의 탐지
(정답률: 알수없음)
  • X선은 목재의 전기적 성질과는 관련이 없는 방사선이기 때문에 목재의 전기적 성질을 실제에 응용한 경우가 아니다. X선을 이용한 목재 결점의 탐지는 방사선의 특성을 이용하여 목재 내부의 결점을 파악하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목재강도는 일반적인 우열관계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목재는 기건상태이다.)

  1. 횡강도 > 인장강도 > 압축강도 > 전단강도
  2. 인장강도 > 압축강도 > 휨강도 > 전단강도
  3. 인장강도 > 휨강도 > 압축강도 > 전단강도
  4. 압축강도 > 인장강도 > 휨강도 > 전단강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인장강도 > 휨강도 > 압축강도 > 전단강도"입니다.

    인장강도는 목재가 늘어나거나 닳아서 끊어지는 강도를 의미하며, 목재의 내구성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인장강도가 가장 높은 것이 올바른 우열관계입니다.

    휨강도는 목재가 굽혀지거나 부러지는 강도를 의미하며, 건축물에서는 보와 같은 구조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인장강도 다음으로 휨강도가 높은 것이 올바른 우열관계입니다.

    압축강도는 목재가 압력에 견디는 강도를 의미하며, 주로 기둥과 같은 구조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단강도는 목재가 비틀리는 힘에 견디는 강도를 의미하며, 주로 지붕과 같은 구조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압축강도가 전단강도보다 높은 것이 올바른 우열관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5cm × 10cm 면에 10000kg의 압축하중이 가해진다면 이때의 압축응력은 얼마인가?

  1. 100kg/cm2
  2. 200kg/cm2
  3. 400kg/cm2
  4. 1000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은 단위 면적당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압축응력은 압축하중을 면적으로 나눈 값입니다.

    압축하중은 10000kg이며, 면적은 5cm × 10cm = 50cm2입니다.

    압축응력 = 압축하중 / 면적 = 10000kg / 50cm2 = 200kg/cm2

    따라서 정답은 "200kg/c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미숙재에 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정상재의 경우 15~20 연륜 이외의 부분에 해당한다.
  2. 목재의 물리적 변화가 그다지 심하지 않다.
  3. 섬유길이의 증가가 정지된 부위이다.
  4. 구조용 재료로 적합하지 않다.
(정답률: 알수없음)
  • 미숙재는 섬유길이가 짧고, 물리적 변화가 크며, 구조용 재료로 적합하지 않다. 이는 미숙재가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추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조용 재료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목재의 생물적인 파괴 현상에 해당하는 것은?

  1. 풍화
  2. 부후
  3. 화재
  4. 노화
(정답률: 알수없음)
  • 부후는 목재가 곰팡이, 균류, 해충 등의 생물에 의해 부식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목재의 내구성을 감소시키고, 결국 목재의 파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최초의 공업용 펄프인 쇄목펄프를 발명한 사람은?

  1. 켈러
  2. 디킨슨
  3. 틸만
  4. 포드리니어
(정답률: 알수없음)
  • 디킨슨은 1850년대에 공업용 펄프인 쇄목펄프를 발명하여, 이전에 사용되던 수작업 방식의 펄프 생산 방식을 혁신적으로 개선하였습니다. 따라서 디킨슨이 최초의 공업용 펄프인 쇄목펄프를 발명한 사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펄프를 고해하는 이유로서 가장 옳은 것은?

  1. 섬유의 외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2. 펄프의 강도 및 지합을 개선하기 위하여
  3. 펄프를 표백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4. 섬유의 표면적과 섬유간의 결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펄프를 고해하는 이유는 펄프의 강도 및 지합을 개선하기 위해서입니다. 펄프를 고해하면 섬유의 내부 구조가 개선되어 강도와 지합이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종이의 품질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성 첨가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사이즈제
  2. 탈수 촉진제
  3. 건조지력 증강제
  4. 습윤지력 증강제
(정답률: 알수없음)
  • 탈수 촉진제는 종이의 품질 특성을 변화시키는 기능성 첨가제가 아닙니다. 탈수 촉진제는 종이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어 종이의 수분 함량을 줄이고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종이의 품질 특성을 변화시키는 기능성 첨가제로는 사이즈제, 건조지력 증강제, 습윤지력 증강제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크라프트 펄프화법 공정 설명 중 ( ) 안에 적합한 것은?

  1. 80~100
  2. 130~145
  3. 165~175
  4. 180~195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온도계는 크라프트 펄프화법에서 사용되는 소화조의 온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공정에서는 소화조 내에서 나무판자를 증류수와 함께 끓여서 펄프를 만들어내는데, 이때 적정한 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온도가 너무 낮으면 펄프가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고, 너무 높으면 나무판자가 타버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정한 온도대는 165~1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사이징 할 때 사이즈를 정착시키는 물질은?

  1. 수산화나트륨
  2. 탄산수소나트륨
  3. 황산알루미늄
  4. 탄산나트륨
(정답률: 알수없음)
  • 황산알루미늄은 종이나 천 등의 표면에 물을 뿌렸을 때, 물이 고르게 흡수되지 않고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사이즈를 정착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종이나 천 등의 표면을 보호하고, 인쇄나 염색 과정에서 큰 변형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휨강성(stiffness)을 측정하는 시험기가 아닌 것은?

  1. Gurley 시험기
  2. Taber 시험기
  3. Clark 시험기
  4. MIT형 시험기
(정답률: 알수없음)
  • MIT형 시험기는 휨강성을 측정하는 시험기가 아닙니다. MIT형 시험기는 재료의 인장강도, 인장변형률, 굴곡강도 등을 측정하는 시험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무게측정에 의한 계량 단위 중 BDT(bone dry ton)를 나타내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생재무게를 나타내는 단위
  2. 기건무게를 나타내는 단위
  3. 수분의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
  4. 절건무게를 나타내는 단위
(정답률: 알수없음)
  • BDT는 절건무게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즉, 해당 물질의 수분 함량을 제거하여 얻어진 건조한 무게를 기준으로 계량하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종이의 사이즈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콥 시험법
  2. 스테키히트 시험법
  3. 허큘리스 시험법
  4. 쇼퍼-리글리 시험법
(정답률: 알수없음)
  • 쇼퍼-리글리 시험법은 종이의 사이즈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종이의 강도와 내구성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쇼퍼-리글리 시험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CEDED의 다단표백 공정에서 D단에 사용되는 화학약품은?

  1. 이산화염소
  2. 산소
  3. 과산화수소
  4. 오존
(정답률: 알수없음)
  • CEDED의 다단표백 공정에서 D단은 염소 기반의 화학약품을 사용합니다. 이산화염소는 염소 기반의 화학약품 중 하나로, 강력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어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EDED의 다단표백 공정에서 D단에는 이산화염소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은 헤드박스의 종류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하이브리드
  2. 하이드롤릭
  3. 플로우 스프레더
  4. 하이드로 포일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헤드박스는 하이드롤릭 헤드박스이다. 이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헤드박스로, 하이드로(물)와 롤릭(운동)이 합쳐진 용어이다. 따라서 정답은 "하이드롤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펄프 원료의 종류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목재 펄프
  2. 레이온 펄프
  3. 화학 펄프
  4. 표면 강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표면 강도"

    설명: "목재 펄프", "화학 펄프"는 펄프 원료의 종류에 따른 분류이며, "레이온 펄프"는 인공섬유 중 하나로, 목재나 셀룰로오스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펄프가 아니기 때문에 펄프 원료의 종류에 따른 분류가 아닙니다. "표면 강도"는 펄프의 특성 중 하나로, 펄프의 표면이 얼마나 단단하고 강력한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왁스 피크법에 의해 측정하는 것은?

  1. 인장강도
  2. 파열강도
  3. 내절도
  4. 표면강도
(정답률: 알수없음)
  • 왁스 피크법은 표면강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표면에 붙어 있는 분자들의 결합력을 측정하여 표면의 강도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면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열단장의 단위로 옿은 것은?

  1. m
  2. mL
  3. m2
  4. g
(정답률: 알수없음)
  • 열단장은 길이, 즉 거리의 단위이기 때문에 "m"이 올바른 단위입니다. "mL"은 부피의 단위, "m2"는 면적의 단위, "g"는 무게의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제지분야에서 백색도는 몇 nm 빛의 반사율에 대한 종이의 반사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인가?

  1. 475
  2. 565
  3. 620
  4. 730
(정답률: 알수없음)
  • 백색도는 457, 532, 617, 700 nm의 네 개의 파장에서 반사율을 측정하여 평균을 내어 나타낸 값입니다. 따라서 백색도의 값이 475인 이유는 이 네 개의 파장에서 측정한 반사율의 평균이 475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평량의 의미로서 옳은 것은?

  1. 종이 1cm2 의 무게(g)
  2. 종이 10cm2 의 무게(g)
  3. 종이 1m2 의 무게(g)
  4. 종이 10m2 의 무게(kg)
(정답률: 알수없음)
  • 평량은 종이의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로, 종이 1m2의 무게(g)를 의미합니다. 이는 종이의 두께와 밀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70g/m2 ~ 120g/m2 사이의 종이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종이 1m2 의 무게(g)"가 평량의 옳은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다음 중 클리너의 역할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료의 섬유를 크기 별로 선별하는 장치이다.
  2. 지료의 섬유를 분산시켜 일정한 농도를 갖도록 하는 장치이다.
  3. 지료 중 금속편, 모래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4. 목재를 섬유화하는 기계 장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클리너는 지료 중 금속편, 모래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일반적으로 펄프제조용 칩의 평균 길이(섬유방향길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3 ~ 10 nm
  2. 15 ~ 25 nm
  3. 35 ~ 50 nm
  4. 55 ~ 65 nm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펄프제조용 칩의 평균 길이는 15 ~ 25 nm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칩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제조과정에서 분쇄가 어렵고, 길이가 너무 길면 제조과정에서 칩이 뭉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분쇄를 위해 15 ~ 25 nm의 평균 길이가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목재 화학분석시 속실렛 추출관과 아세톤, 에테르가 필요한 추출물은?

  1. 냉수추출물
  2. 온수추출물
  3. 알칼리추출물
  4. 유기용제추출물
(정답률: 알수없음)
  • 목재 화학분석시 속실렛 추출관과 아세톤, 에테르가 필요한 추출물은 유기화합물을 추출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유기용제추출물이 정답입니다. 냉수추출물과 온수추출물은 주로 무기화합물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며, 알칼리추출물은 목재의 성분 분석을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tannin 의 성질을 이용한 용도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1. 의약
  2. 청량 음료수
  3. 피혁
  4. 잉크원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청량 음료수"입니다. Tannin은 산성의 맛과 산미를 가지고 있어서 청량 음료수와 같은 단맛 음료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티와 와인 등의 차가운 음료나 고급 차류, 가죽 제품, 잉크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cellulose 를 구성하는 화학구조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성분은?

  1. glucose
  2. mannose
  3. arabinose
  4. galactose
(정답률: 알수없음)
  • Cellulose는 glucose 분자가 β-1,4 글리코시딜 결합으로 이어진 고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glucose가 cellulose를 구성하는 화학구조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성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리그닌에 대한 설명으로서 옳은 것은?

  1. 목재의 체취부위가 상부로 갈수록 많아진다.
  2. 추재부가 춘재부보다 적다.
  3. 일반적으로 변재부보다 심재부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4. 침엽수와 활엽수의 식별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리그닌은 나무의 성분 중 하나로, 주로 셀룰로오스와 함께 나무의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리그닌은 일반적으로 변재부보다 심재부에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는 심재부가 더욱 단단하고 강력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무의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리그닌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어떤 천연 셀룰로오스의 중합도가 10000 이었다. 이 셀룰로오스의 분자량은 얼마인가? (단, 셀룰로오스를 이루는 무수 glucose 1개의 분자량은 162 로 한다.)

  1. 162000
  2. 1620000
  3. 16200000
  4. 16200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셀룰로오스는 glucose 분자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고분자이다. 따라서 셀룰로오스의 분자량은 glucose 분자의 분자량인 162의 배수가 된다. 중합도가 10000이므로, 이 셀룰로오스 분자는 10000개의 glucose 분자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셀룰로오스의 분자량은 10000 x 162 = 1620000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6200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세포벽의 골격을 이루는 최소 단위 요소는?

  1. pit
  2. fibril
  3. primary wall
  4. warty layer
(정답률: 알수없음)
  • 세포벽의 골격을 이루는 최소 단위 요소는 fibril입니다. 이는 세포벽 내부에서 섬유 모양으로 배열된 단백질 섬유로, 세포벽의 강도와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세포벽의 다른 구성 요소이지만, 세포벽의 골격을 이루는 최소 단위 요소는 fibri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일반적으로 hemicellulose 의 수평균 중합도는 약 어느 정도인가?

  1. 100
  2. 200
  3. 500
  4. 1000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hemicellulose의 수평균 중합도는 약 200입니다. 이는 hemicellulose가 다양한 당분 분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분자량이 크게 다양하며, 이들의 평균 분자량이 약 200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리그닌 단리법 중 72 % H2SO4 를 사용하여 리그닌을 단리하는 방법은?

  1. M.W.L
  2. Kappa 가
  3. Thio lignin
  4. Klason lignin
(정답률: 알수없음)
  • 리그닌 단리법 중 72% H2SO4를 사용하여 리그닌을 단리하는 방법은 Klason lignin입니다. 이는 Klason lignin이 H2SO4에 더 잘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Klason lignin은 리그닌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인 불용성 리그닌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방법으로, H2SO4과 함께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로진을 구성하고 있는 주성분은?

  1. 스테로이드
  2. 셀룰로오스
  3. 플라보노이드
  4. 아비에트산
(정답률: 알수없음)
  • 로진은 소나무나 잣나무 등의 수액에서 추출한 것으로, 이 중 주성분은 아비에트산입니다. 이는 로진의 색깔과 특유의 향을 결정하는 성분으로, 항산화 작용과 항염작용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테로이드나 셀룰로오스, 플라보노이드는 로진의 주성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Diterpene 은 isoprene unit 몇 개로 구성되어 있는가?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알수없음)
  • Diterpene은 4개의 isoprene unit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diterpene이 terpene 중에서도 큰 분류 중 하나인 sesquiterpene (3개의 isoprene unit)보다 한 단계 더 큰 분류인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합판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양질의 단판 절삭용 원목을 삶거나 찌는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좋은 품질의 단판을 적은 동력으로 손쉽게 절삭할 수 있다.
  2. 건조시 비틀림이나 균열을 적게한다.
  3. 나무의 방화효과를 올린다.
  4. 원목 표면의 이물질을 씻고, 목재 속에 있는 해충알을 죽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나무의 방화효과를 올리는 것은 합판 제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합판 제조에서는 단판을 절삭할 때 적은 동력으로 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단판의 비틀림이나 균열을 최소화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며 해충알을 죽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열을 가하면 가소화되며, 가구 접착에 많이 이용되는 열가소성 접착제는?

  1. 초산비닐수지
  2. 멜라민수지
  3. 페놀수지
  4. 요소수지
(정답률: 알수없음)
  • 열을 가하면 분자 간 결합이 약화되어 가소화되는 열가소성 접착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 초산비닐수지는 열가소성이 뛰어나며, 가구 접착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초산비닐수지 분자 내에 있는 이중결합이 열에 의해 끊어지면서 가소화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초산비닐수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집성재 제조에 있어 접착제의 종류, 점도 및 라미니의 표면 상태에 따라서 다르지만 다음 중 일반적인 양면 도포에 있어 가장 알맞은 접착제의 도포량은?

  1. 50 ~ 150 g/m2
  2. 200 ~ 350 g/m2
  3. 500 ~ 750 g/m2
  4. 1000 g/m2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양면 도포에 있어 가장 적절한 접착제의 도포량은 200 ~ 350 g/m2이다. 이는 접착제의 양이 너무 적으면 접착력이 부족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너무 많으면 접착제가 불필요한 부분에 노출되어 제품의 외관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양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품의 내구성과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집성재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임의의 곡면재료를 만들 수 있다.
  2. 아름다운 외관의 재료를 만들 수 있다.
  3. 품질이 균일하고 고른 재료를 생산 할 수 있다.
  4. 단면과 치수를 변화시킨 구조재료의 제작이 곤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임의의 곡면재료를 만들 수 있다.", "아름다운 외관의 재료를 만들 수 있다.", "품질이 균일하고 고른 재료를 생산 할 수 있다."는 모두 집성재의 특징이지만, "단면과 치수를 변화시킨 구조재료의 제작이 곤란하다."는 집성재의 한계점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집성재가 제작될 때, 원료가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단면과 치수를 변화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둥근 톱나무를 회전시켜 나이테와 같은 방향으로 깎아 연속적인 판목무늬를 이루는 단판 절삭법은?

  1. Sawed veneer cutting
  2. Slice veneer cutting
  3. Half veneer cutting
  4. Rotary veneer cutting
(정답률: 알수없음)
  • 둥근 톱나무를 회전시켜 연속적인 판목무늬를 만드는 방법은 "Rotary veneer cutting" 입니다. 회전시킨 톱나무에 나이테와 같은 방향으로 칼날을 대고 깎아내는 방식으로, 다른 방법들과는 달리 연속적인 판목무늬를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파티클보드의 소편 절삭기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롤러
  2. 프레스
  3. 세이빙
  4. 드라이어
(정답률: 알수없음)
  • 파티클보드는 나무 파우더와 접착제를 섞어 압축하여 만든 판재로, 소편 절삭기계는 이러한 파티클보드를 자르는 기계입니다. 이 중에서 세이빙이 가장 적합한 이유는 세이빙은 고속으로 작동할 수 있어 생산성이 높고, 높은 정밀도로 자를 수 있어 파티클보드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세이빙은 절삭 후에도 파티클보드의 표면을 부드럽게 다듬을 수 있어 마감 처리가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파티클 보드의 제조 공정을 가장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파티클 제조 → 건조 → 스크린 → 접착제 도포 → 성형 → 열압 → 2차 가공
  2. 파티클 제조 → 스크린 → 접착제 도포 → 건조 → 열압 → 성형 → 2차 가공
  3. 건조 → 스크린 → 파티클 제조 → 접착제 도포 → 성형 → 2차 가공 → 열압
  4. 스크린 → 파티클 제조 → 접착제 도포 → 건조 → 성형 → 2차 가공 → 열압
(정답률: 알수없음)
  • 파티클 보드의 제조 공정은 파티클 제조 → 건조 → 스크린 → 접착제 도포 → 성형 → 열압 → 2차 가공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는 먼저 파티클을 제조하고 건조한 후, 스크린을 통해 파티클을 정렬하고 접착제를 도포하여 성형하고, 열압을 가해 최종적으로 2차 가공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도료의 색채 부여에 사용되는 물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신나
  2. 안료
  3. 보강제
  4. 억제제
(정답률: 알수없음)
  • 도료의 색채 부여에 사용되는 물질을 "안료"라고 합니다. 이는 안료가 색을 내는 물질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강제나 억제제는 도료의 특성을 개선하거나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색채 부여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은 안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