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4-06)

임산가공기능사
(2014-04-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띠톱기계 운전시 안전수칙으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재료의 옹이부분은 재빨리 밀어 넣는다.
  2. 가동 전에 띠톱에 구부러짐이 없는지 확인한다.
  3. 마무리작업을 할 때는 손으로 최대한 밀어 넣는다.
  4. 운전 중 톱니근처의 톱밥을 털어 낼 때는 기름걸레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띠톱에 구부러짐이 있으면 띠톱이 제대로 회전하지 않거나 불안정하게 회전하여 작업 중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 전에 확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재해 원인은 직접원인과 간접원인으로 나눈다. 다음 중 직접원인으로 옳은 것은?

  1. 인적 원인
  2. 기술적 원인
  3. 교육적 원인
  4. 관리적 원인
(정답률: 알수없음)
  • 인적 원인은 사람의 부주의, 실수, 무지, 불성실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원인으로, 사람의 행동이나 태도에 기인한다. 따라서, 재해의 직접원인으로는 인적 원인이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합판 제조 공정 중 바독마스크를 착용하고 작업할 필요가 있는 공정은?

  1. 절삭공정
  2. 건조공정
  3. 접착공정
  4. 조목공정
(정답률: 알수없음)
  • 접착공정에서는 합판을 접착제로 붙이기 때문에 바독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접착제에 함유된 화학물질이 인체에 유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목재가공용 둥근톱 긱의 날 접촉 예방장치는?

  1. 덮개
  2. 분할날
  3. 반발방지 로울
  4. 반발방지 발톱
(정답률: 알수없음)
  • 목재가공용 둥근톱 긱의 날은 매우 날카로우며, 작업 중에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 날과 접촉하는 부분에 덮개를 사용합니다. 덮개는 날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 안전을 보장합니다. 분할날, 반발방지 로울, 반발방지 발톱은 모두 날과의 접촉을 줄이는 역할을 하지만, 덮개처럼 직접적인 접촉을 막지는 못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덮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안전 표시 색채 중 주의를 표시하는 색은?

  1. 적색
  2. 청색
  3. 녹색
  4. 황색
(정답률: 알수없음)
  • 황색은 주의를 표시하는 색으로 교통 신호등에서도 주의를 표시하는 색으로 사용됩니다. 또한, 화학물질이나 위험한 장소에서도 주의를 표시하는 색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인간의 시각적인 경고 신호로서, 주의를 끌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무엇에 대한 처리 유의사항인가?

  1. 과용
  2. 남용
  3. 소독
  4. 중독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약물 병에 "중독"이 적혀있기 때문입니다. 이 약물을 과용하거나 남용하면 중독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처리 시 유의해야 합니다. "소독"은 약물이나 소독제를 사용하여 균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목재 방부제의 성능 기준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침윤성
  2. 흡습성
  3. 유화성
  4. 방부성
(정답률: 알수없음)
  • 침윤성은 목재 방부제의 성능 기준 항목이 아닙니다. 침윤성은 물질이 표면을 흐르는 것이 아니라 표면에 스며들어가는 성질을 말하며, 목재 방부제의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침윤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왕바구미의 유충이 목재 내부를 가해하여 발생하는 구멍 크기는?

  1. 약 1 mm
  2. 약 10 mm
  3. 약 30 mm
  4. 약 50 mm
(정답률: 알수없음)
  • 왕바구미의 유충은 목재 내부에서 먹이를 찾아 이를 먹고 살아갑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멍 크기는 유충의 크기와 비례합니다. 왕바구미의 유충은 약 10mm 정도의 크기를 가지므로, 이에 맞게 구멍 크기도 약 10mm 정도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10 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방부처리 방법 중 상압처리법이 아닌 것은?

  1. 도포법
  2. 살포법
  3. 확산법
  4. 세포법
(정답률: 알수없음)
  • 상압처리법은 압력을 이용하여 물질 내부에 있는 공기를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도포법은 방부제를 물체의 표면에 도포하여 방부하는 방법이고, 살포법은 방부제를 분사하여 물체에 덧대는 방법입니다. 확산법은 방부제를 물체 주변에 뿌려서 방부하는 방법입니다. 반면, 세포법은 방부제를 물체 내부에 주입하여 방부하는 방법으로, 상압처리법과 유사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세포법은 상압처리법이 아닌 방부처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BWG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톱니의 수를 나타낸 것
  2. 톱 지름을 번호로 나타낸 것
  3. 톱몸의 두께를 번호로 나타낸것
  4. 톱니의 예리도를 숫자로 나타낸 것
(정답률: 알수없음)
  • BWG는 "Birmingham Wire Gauge"의 약자로, 톱몸의 두께를 번호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는 금속 시트의 두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번호가 작을수록 두께가 더 두꺼워집니다. 예를 들어, BWG 10은 BWG 20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금속 시트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목재의 건조가 급속도로 진행되어 내·외부의 건조상태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내부가 마르기도 전에 외부가 완전히 말라서 굳어지는 상태를 가르키는 용어는?

  1. 할렬
  2. 목구할
  3. 표면경화
  4. 에드스플리트
(정답률: 알수없음)
  • 표면경화는 목재의 표면이 빠르게 건조되어 껍질처럼 굳어지는 현상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는 내부와 외부의 건조상태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발생하는데, 표면이 먼저 건조되어 외부가 완전히 말라서 굳어지기 때문에 이 용어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유화성 목재방부제에 해당하는 것은?

  1. 지방산 금속염계
  2. 붕소·붕산화합물계
  3. 구리·아졸화합물계
  4. 산화크롬·구리화합물계
(정답률: 알수없음)
  • 유화성 목재방부제는 목재를 보호하고 방부하는 데 사용되는 화학물질입니다. 이 중 "지방산 금속염계"는 지방산과 금속 이온으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목재 내부에 침투하여 방부 효과를 발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건조재에 발생된 건조응력의 완화를 위해 조치하는 컨디셔닝(conditioning) 처리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잔목을 사용한다.
  2. 이퀄라이징 처리한다.
  3. 벤벤 및 크실롤 등의 약품을 투입한다.
  4. 건조실 내 습도를 목적함수율보다 높게 설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조재가 건조될 때 발생하는 건조응력은 건조재 내부의 수분이 감소함에 따라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건조응력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건조실 내 습도를 높여서 건조재 내부의 수분이 빠르게 감소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건조실 내 습도를 목적함수율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절삭가공에 사용하는 기계가 아닌 것은?

  1. 띠톱
  2. 둥근톱
  3. 벨트샌더
  4. 자동 일면대패
(정답률: 알수없음)
  • 절삭가공은 재료를 자르는 공정을 말하는데, 띠톱과 둥근톱은 회전하는 날로 재료를 자르는 기계이며, 자동 일면대패는 특정한 형태로 재료를 가공하는 기계입니다. 하지만 벨트샌더는 절삭이 아닌 연마나 광택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기계이므로, 절삭가공에 사용되는 기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띠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톱밥에 의한 손실이 적다.
  2. 큰 원목 제재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3. 둥근톱에 비하여 설치비가 많이 든다.
  4. 둥근톱에 비햐여 설비가 간단하지 않다.
(정답률: 알수없음)
  • 띠톱은 작은 나무를 자르는데 적합하며, 큰 원목 제재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띠톱의 작은 크기와 설치비 및 설비의 간단함 때문입니다. 큰 원목을 자르기 위해서는 더 큰 크기의 톱과 복잡한 설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건재해충 피해환경 및 실내 사용 목재에 사용 가능한 방부제는?

  1. BB (붕소화합물)
  2. A(크레오소오트유)
  3. CCB(크롬·구리·붕소화합물)
  4. ACQ(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
(정답률: 알수없음)
  • BB (붕소화합물)은 건재해충에 대한 방부력이 높고, 환경오염이 적으며,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낮기 때문에 건재해충 피해환경 및 실내 사용 목재에 사용 가능한 방부제로 선택됩니다. A(크레오소오트유)는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높아 사용이 제한되고, CCB(크롬·구리·붕소화합물)과 ACQ(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은 환경오염이 크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목재의 가로압축(횡압축)강도가 주로 응용되는 것은?

  1. 기둥
  2. 갱목
  3. 의자다리
  4. 철도침묵
(정답률: 알수없음)
  • 목재의 가로압축(횡압축)강도는 주로 철도침묵에 응용됩니다. 이는 철도에서 기차가 지나갈 때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완화하기 위해 철도 바닥에 깔리는 나무재목인 침묵목에 대한 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침묵목은 가로압축 강도가 높아야 하며, 이를 통해 철도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들보에 하중이 작용하여 휘는 경우의 응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평전단 응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2. 수평전단 응력은 중립면에서 최대이다.
  3. 들보는 중립면을 경계로 상부에는 압축 응력이 생긴다.
  4. 들보는 중립면을 경계로 하부에는 인장 응력이 생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전단 응력은 발생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이유는, 들보에 하중이 작용하면 들보의 상부와 하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수평전단 응력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수평전단 응력은 발생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섬유포화점 이하에서 목재의 함수율과 직류 전기저항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함수율은 직류 전기저항과 관계없다.
  2.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직류 전기저항은 감소한다.
  3.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직류 전기저항은 증가한다.
  4.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직류 전기저항은 감소하다가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직류 전기저항은 증가한다."입니다.

    함수율은 목재 내부의 공기나 물 등의 불순물이나 결함 등으로 인해 목재 내부의 실질적인 목질물질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목재 내부의 목질물질의 비율이 감소하므로, 전기가 흐르는 경로가 줄어들어 전기저항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직류 전기저항은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변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심재보다 짇은 색을 띤다.
  2. 침엽수의 경우 심재보다 수분이 많다.
  3. 대체로 살아있는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4. 심재와 변재와의 경계가 명확한 수종은 삼나무가 대표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심재보다 짇은 색을 띤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변재는 심재보다 더 얇고 연한 색을 띄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변재가 더 얇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다음 중 목재의 이력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흡착곡선은 탈착곡선의 위쪽에 형성된다.
  2. 탈착곡선과 흡착곡선은 일반적으로 S 자형 곡선을 이룬다.
  3. 목재가 수분으로 포화된 상태에서건조를 시작하여 나타난 곡선은 탈착곡선이다.
  4. 목재가 완전 건조상태에서 차차 수분을 흡수하기 시작하여 나타난 곡선은 흡착곡선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목재가 수분으로 포화된 상태에서 건조를 시작하여 나타난 곡선은 탈착곡선이다."는 설명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목재가 수분으로 포화된 상태에서는 탈착곡선과 흡착곡선이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흡착곡선은 탈착곡선의 위쪽에 형성된다."의 이유는, 목재가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는 흡수할 수 있는 수분이 없기 때문에 흡착곡선은 0에 가까운 값으로 수렴하게 됩니다. 반면에, 목재가 점점 더 많은 수분을 흡수하면서 탈착곡선은 점점 더 큰 값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흡착곡선은 탈착곡선의 위쪽에 형성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목재를 건조하여 사용하는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치수 안정
  2. 중량 감소
  3. 옹이 제거
  4. 사용 중 결함 발생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목재를 건조하여 사용하는 목적은 목재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여 치수 안정성을 높이고 중량을 감소시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하며, 사용 중 결함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옹이 제거는 목재 건조의 핵심적인 목적 중 하나이며, 다른 항목들과는 거리가 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목재의 3단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횡단면
  2. 평단면
  3. 방사단면
  4. 접선단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평단면"입니다.

    횡단면은 목재를 수평으로 자른 단면을 말하며, 방사단면은 목재의 중심을 중심으로 반원 모양으로 자른 단면을 말합니다. 접선단면은 목재의 곡선 부분에서 접하는 평면을 자른 단면을 말합니다.

    하지만 평단면은 목재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이 아니라, 수평으로 자른 단면을 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3단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수지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지도를 둘러싸고 있는 세포 전체를 에피델리움이라 한다.
  2. 수지도는 분포방향에 따라 수직 수지도와 수평수지도가 있다.
  3. 수지도의 형성 원인에 따라 정상 수지도와 상해 수지도로 구분된다.
  4. 타일로소이드는 에피델리얼 세포가 수지를 분비하는 기능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타일로소이드는 에피델리얼 세포가 수지를 분비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다. 타일로소이드는 실제로는 갑상선의 일부분으로,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수지를 분비하는 기능은 타일로소이드가 아닌 다른 세포들이 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목재는 포화된 수증기 속에 놓아두면 수분을 흡수하기 시작하여 세포막이 완전히 포화되는 상태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때의 함수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기건 함수율
  2. 섬유 포화점
  3. 전건 함수점
  4. 생재 포화점
(정답률: 알수없음)
  • 섬유 포화점은 목재가 포화된 수증기 속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세포막이 완전히 포화되는 상태에 도달한 시점을 말합니다. 이때 목재는 더 이상 수분을 흡수하지 않게 되며, 이 상태에서의 함수율을 섬유 포화점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섬유 포화점은 목재의 수분 흡수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펄프로 제조되지 않는 제품은 무엇인가?

  1. 골판지
  2. 인쇄용지
  3. 글라신지
  4. 파티클보드
(정답률: 알수없음)
  • 파티클보드는 나무 펄프가 아닌 나무 조각이나 나무 칩을 압축하여 만든 제품이기 때문에 펄프로 제조되지 않는 제품입니다. 반면, 골판지, 인쇄용지, 글라신지는 모두 나무 펄프를 사용하여 제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쇄목 펄프를 발명한 연도는?

  1. 1640 년
  2. 1740 년
  3. 1840 년
  4. 1940 년
(정답률: 알수없음)
  • 쇄목 펄프는 나무를 분쇄하여 만든 펄프로, 1840년에 캐나다의 존 베케트(George Beckett)가 이를 발명하였기 때문입니다. 이전에는 나무를 수작업으로 분쇄하여 만든 펄프를 사용하였으나, 쇄목 펄프의 발명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고, 이후 종이 산업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셀룰로오스 중합도는 종이의 어떤 특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가?

  1. 색도
  2. 밀도
  3. 백색도
  4. 인열강도
(정답률: 알수없음)
  • 셀룰로오스는 종이의 강도와 내구성을 결정하는 주요 성분입니다. 따라서 셀룰로오스 중합도가 높을수록 종이의 인열강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인열강도는 종이가 열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를 나타내며, 종이의 내구성과 사용 가능한 온도 범위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셀룰로오스 중합도는 종이의 인열강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아황산 펄프화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광범위한 pH 범위에 걸쳐 가능하다.
  2. 크라프트 펄프보다 색이 희고 표백이 용이하다.
  3. 수종의 선택, 펄프강도, 약품회수 등이 크라프트 펄프화법보다 우수하다.
  4. 고해가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아황산 펄프화법은 크라프트 펄프화법보다 수종의 선택, 펄프강도, 약품회수 등이 우수하다는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이는 아황산 펄프화법이 크라프트 펄프화법보다 더 많은 종류의 나무를 사용할 수 있고, 더 높은 펄프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약품 회수율이 높아서 환경 친화적인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물 속에 섬유를 넣고 기계적 처리를 하여 섬유의 형태 및 구조를 변화시켜 초지적성, 종이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행해지는 공정은?

  1. 고해
  2. 초지
  3. 탈수
  4. 펄프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고해"입니다.

    물 속에 섬유를 넣고 기계적 처리를 하는 공정은 "펄프화" 공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섬유의 형태와 구조가 변화되어 초지적성과 종이의 특성이 향상됩니다.

    하지만 "고해"는 오히려 섬유를 파괴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고해"는 종이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이 아니라 오히려 섬유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흑액을 연소하여 얻은 무기용융물, 주로 Na2CO3 와 Na2S 로 구성하는 크라프트 펄프화에 대한 용어는?

  1. 흑액
  2. 스멜트
  3. 약액
  4. 백액
(정답률: 알수없음)
  • 스멜트는 흑액을 연소하여 얻은 무기용융물로, 크라프트 펄프화 과정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흑액을 고온에서 연소시켜 나온 잔여물인데, 이 잔여물은 Na2CO3와 Na2S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스멜트는 크라프트 펄프화 과정에서 필수적인 물질로 사용되며, 이 과정에서 나온 스멜트는 다시 재활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충전제의 요건으로 틀린 것은?

  1. 백색도가 높아야 한다
  2. 굴절율이 낮아야 한다
  3. 불활성이어야 한다
  4. 가격이 저렴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백색도가 높아야 한다" 입니다.

    백색도는 충전제의 색상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충전제의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굴절율이 낮아야 하는 이유는, 충전제가 광선을 통과할 때 굴절되는 정도가 적을수록 빛의 손실이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충전제의 광학적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불활성이어야 하는 이유는, 충전제가 반응성이 높을수록 화학적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충전제는 반응성이 낮은 불활성 물질이어야 합니다.

    가격이 저렴해야 하는 이유는, 충전제는 대량으로 사용되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면 생산 비용이 높아지고, 제품 가격도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종이의 평량을 나타내는 단위는?

  1. mm
  2. g
  3. g/m2
  4. g/cm3
(정답률: 알수없음)
  • 종이의 평량은 단위 면적당 그램 수를 나타내는 값이므로, g/m2가 답이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종이의 무게나 부피를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평량을 나타내는 단위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빛의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범위는?

  1. 270 ~ 1200 nm
  2. 730 ~ 1210 nm
  3. 380 ~ 720 nm
  4. 220 ~ 480 nm
(정답률: 알수없음)
  • 빛의 가시광선은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영역으로, 파장이 짧은 자외선과 파장이 긴 적외선보다는 길지만, 파장이 짧은 파란색과 파장이 긴 빨간색보다는 짧은 파란색과 긴 빨간색 사이에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빛의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범위는 380 ~ 720 n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종이의 습부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위공정인 헤드박스의 주요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지료를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배하는 플로우 스프레더(flow spreader)
  2. 섬유의 분산을 유발하는 다공롤 또는 스텝 디퓨저
  3. 지료를 사출하는 슬라이스(slice)
  4. 지료를 적절한 유량을 조절하는 가이드롤
(정답률: 알수없음)
  • 헤드박스는 종이 제조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위공정 중 하나로, 종이의 폭과 두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이드롤은 지료의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지료의 유량이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으면 종이의 두께나 폭이 일정하지 않아서 제조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이드롤은 헤드박스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크라프트 펄프 제조시 증해과정에서 최고온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132 ~ 144 ℃
  2. 165 ~ 174 ℃
  3. 294 ~ 299 ℃
  4. 355 ~ 374 ℃
(정답률: 알수없음)
  • 크라프트 펄프 제조시 증해과정에서 최고온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65 ~ 174 ℃"입니다. 이는 증해과정에서 적절한 온도 범위로, 이 범위에서는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의 분해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며, 적정한 펄프 품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범위를 벗어나거나 너무 높은 온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인조견사, 셀로판, 셀룰로이드 등의 섬유소 유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펄프는?

  1. 용해펄프
  2. 화학펄프
  3. 기계펄프
  4. 반화학펄프
(정답률: 알수없음)
  • 인조견사, 셀로판, 셀룰로이드 등의 섬유소 유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펄프는 용해펄프입니다. 이는 용해성이 높아 섬유소를 분해하기 쉽고, 높은 품질의 섬유소 유도체를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화학펄프는 용해성이 낮아 섬유소 분해가 어렵고, 기계펄프는 섬유소의 품질이 낮아 섬유소 유도체 제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화학펄프는 화학적 처리를 거쳐 만들어지는 펄프로, 용해성이 높아 섬유소 분해가 쉽지만, 용해펄프보다는 품질이 낮습니다. 따라서, 인조견사, 셀로판, 셀룰로이드 등의 섬유소 유도체 제조에는 용해펄프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섬유간 결합력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은?

  1. 백색도
  2. 파열강도
  3. 색상
  4. 퇴색도
(정답률: 알수없음)
  • 섬유간 결합력은 파열강도에 가장 많이 영향을 받습니다. 파열강도란 섬유가 얼마나 많은 힘을 받아야 파괴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이 값이 높을수록 섬유간 결합력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파열강도가 높을수록 섬유간 결합력이 강해져서 더 튼튼한 섬유로 만들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아트지를 생산하는 제지 공정의 순서인 것은?

  1. 조성 → 초지 → 도공
  2. 조성 → 도공 → 초지
  3. 초지 → 도공 → 조성
  4. 도공 → 조성 → 초지
(정답률: 알수없음)
  • 아트지를 생산하는 제지 공정의 순서는 "조성 → 초지 → 도공" 입니다. 이는 먼저 조성 공정에서 나무 판자를 잘게 썰어 재료를 만들고, 이어서 초지 공정에서 재료를 분쇄하여 펄프를 만듭니다. 마지막으로 도공 공정에서 펄프를 압축하여 종이를 만들어내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조성 → 초지 → 도공 순서로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종이의 강도 중 열단장을 나타내는 단위는?

  1. km
  2. kg/cm2
  3. KPAm2/g
  4. mNm2/g
(정답률: 알수없음)
  • 종이의 강도는 인장강도로 표현되며, 이는 단위 면적당 인장력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단위는 kg/cm2 또는 KPAm2/g, mNm2/g 등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종이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는 일반적으로 km이 사용됩니다. 이는 종이의 강도가 매우 작기 때문에, 보통 1km = 1000m = 1,000,000mm 단위로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km 단위를 사용하면 보다 간편하게 종이의 강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일반적인 제조방법 별 펄프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기계 펄프
  2. 반화학 펄프
  3. 화학 펄프
  4. 생물 펄프
(정답률: 알수없음)
  • 생물 펄프는 일반적인 제조방법 중 하나가 아니며, 생물학적인 분해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펄프입니다. 이는 대부분의 펄프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기계, 화학, 반화학적인 방법과는 다른 방식으로 제조되며, 주로 산림 부산물이나 농산물 등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분해를 통해 만들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1867 년 미국의 Tilghman 이 발명한 펄프화법은?

  1. 쇄목 펄프
  2. 리파이너 펄프
  3. 아황산 펄프
  4. 크라프트 펄프
(정답률: 알수없음)
  • 1867 년 Tilghman 이 발명한 펄프화법은 아황산을 사용하여 나무를 분해하는 방법으로, 이를 아황산 펄프라고 합니다. 아황산은 나무를 부식시켜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을 분해시키는데 사용되며, 이 방법은 이전의 쇄목 펄프나 리파이너 펄프보다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이었습니다. 이후 크라프트 펄프라는 방법도 개발되었지만, 아황산 펄프는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활엽수에 존재하는 모노테르펜(monoterpene) 에 속하는 물질은?

  1. 캄포(camphor)
  2. 피넨(pinene)
  3. 리모넨(limonene)
  4. 미르센(myrcene)
(정답률: 알수없음)
  • 활엽수에 존재하는 모노테르펜은 주로 캄포(camphor)와 피넨(pinene)입니다. 그 중에서도 캄포는 활엽수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모노테르펜으로, 특히 소나무와 같은 소나무과의 종류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캄포(campho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목재 세포벽의 골격을 이루는 물질은?

  1. 리그닌
  2. 추출물
  3. 셀룰로오스
  4. 헤미셀룰로오스
(정답률: 알수없음)
  • 목재 세포벽의 골격을 이루는 주요한 성분은 셀룰로오스입니다. 셀룰로오스는 당류 중 하나로, 목재 세포벽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로서, 강한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을 제공합니다. 리그닌은 셀룰로오스와 함께 목재 세포벽을 이루지만, 셀룰로오스보다는 보조적인 역할을 합니다. 추출물과 헤미셀룰로오스는 목재 세포벽의 구성 성분 중 하나이지만, 셀룰로오스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으로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천연 셀룰로오스의 평균 중합도는?

  1. 대략 1,000 개 내외
  2. 대략 4,000 개 내외
  3. 대략 7,000 개 내외
  4. 대략 10,000 개 내외
(정답률: 알수없음)
  • 천연 셀룰로오스는 긴 섬유 모양의 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분자는 수많은 당분 분자가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때, 셀룰로오스 분자의 길이는 분자 내 당분 분자의 수와 비례합니다. 따라서, 셀룰로오스의 평균 중합도는 대략 10,000 개 내외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모일레 반응이란 리그닌의 무슨 반응인가?

  1. 분해반응
  2. 합성반응
  3. 정색반응
  4. 정량반응
(정답률: 알수없음)
  • 모일레 반응은 리그닌의 분해반응 중 하나로, 염기성 용액에서 리그닌이 분해되면서 색이 변하는 반응입니다. 이 때 생기는 색소는 정색반응을 일으키므로 모일레 반응은 정색반응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목재의 헤미셀룰로오스를 구성하는 다당류가 아닌 것은?

  1. 펙틴(pectin)
  2. 글루코만난(glucomannan)
  3. 아라비노갈락탄(arabinogalactan)
  4. 글로크로노자이란(glucuronoxylan)
(정답률: 알수없음)
  • 펙틴은 목재의 주요 다당류 중 하나가 아닙니다. 펙틴은 과일, 채소, 식물의 씨앗 등에서 발견되는 다당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제품이 아닌 것은?

  1. 종이
  2. 셀로판
  3. 레이온
  4. 콘크리트 혼화제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 혼화제는 셀룰로오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외됩니다. 콘크리트 혼화제는 시멘트, 모래, 물, 그리고 화학물질 등으로 만들어지는 건축자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셀룰로오스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 단당류는 무엇인가?

  1. fructose
  2. glucose
  3. maltose
  4. mannose
(정답률: 알수없음)
  • 셀룰로오스는 포도당(glucose) 분자가 연결된 고분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glucos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목재의 화학성분 중 리그닌이 차지하는 구성 비율은?

  1. 0 ~ 10 %
  2. 10 ~ 20 %
  3. 20 ~ 30 %
  4. 30 ~ 40 %
(정답률: 알수없음)
  • 목재의 화학성분 중 리그닌은 세포벽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나무의 경도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목재의 총 중량의 20 ~ 30%를 차지하며, 이는 나무의 종류나 생장 환경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20 ~ 3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주로 활엽수 리그닌을 구성하는 기본단위 구조는?

  1. guaiacylpropane
  2. syringylpropane
  3. p-hydroxyphenylpropane
  4. o-hydroxyphenylpropane
(정답률: 알수없음)
  • 주로 활엽수 리그닌을 구성하는 기본단위 구조는 guaiacylpropane, syringylpropane, p-hydroxyphenylpropane, o-hydroxyphenylpropane 중 하나입니다. 그 중에서도 syringylpropane이 주로 사용되는 이유는, 이 구조는 다른 구조에 비해 더 강한 결합력을 가지고 있어서, 더 강한 리그닌 분자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syringylpropane은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때 더 강한 안정성을 보이기 때문에, 자외선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더 오랜 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yringylpropane은 활엽수 리그닌의 기본단위 구조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셀룰로오스 크산테이트(cellulose xanthate)를 제조할 경우 필요한 가장 중요한 약품은?

  1. CS2
  2. CH3Cl
  3. CH2ClCOONa
  4. H2N-(CH2)2-NH2
(정답률: 알수없음)
  • 셀룰로오스 크산테이트를 제조할 때 CS2는 필수적인 약품입니다. 이는 셀룰로오스와 알칼리를 혼합하여 생산된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CS2로 처리하여 셀룰로오스 크산테이트를 만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집성재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목재의 결함을 분산시킬 수 있다.
  2. 품질이 균일한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3. 곡면재료로 제작할 수 없어 평면재료로 활용한다.
  4. 단면과 치수를 변화시킨 구조재료를 제작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답: "곡면재료로 제작할 수 없어 평면재료로 활용한다."

    집성재는 나무를 분쇄하여 나무 섬유를 분산시키고, 이를 접착제와 함께 압축하여 만든 인조목재이다. 이 과정에서 나무 섬유가 균일하게 분산되므로 결함이나 불균일한 부분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단면과 치수를 변화시킨 구조재료를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곡면재료로 제작할 수 없어 평면재료로 활용된다. 이는 집성재의 제조 과정에서 압축하는 과정에서 곡면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일반적으로 암적갈새으로 야외용 집성재 제조에 가장 많이쓰이는 접착제는?

  1. 요소수지
  2. 레조르시놀수지
  3. 초산비닐에머젼수지
  4. 멜라민요소공축합수지
(정답률: 알수없음)
  • 레조르시놀수지는 암적갈새의 야외용 집성재 제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접착제입니다. 이는 레조르시놀수지가 내구성이 뛰어나고, 물과 내열성이 높아서 야외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접착력이 강하고, 접착 시간이 짧아서 생산성이 높아지는 장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암적갈새의 야외용 집성재 제조에 가장 적합한 접착제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우리나라에 있어 파티클보드(삭편판)와 섬유판의 가장 일반적인 용도는?

  1. 가구재료
  2. 선박재료
  3. 차량재료
  4. 운동기구재료
(정답률: 알수없음)
  • 파티클보드와 섬유판은 모두 나무를 재료로 사용하여 만들어진 제품입니다. 그러나 이들은 나무를 다양한 크기의 작은 조각으로 분쇄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강도와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파티클보드와 섬유판은 주로 가구재료로 사용되며, 가구의 내부 구조나 표면재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구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파티클보드 제조용 원료 소편이 아닌 것은?

  1. 칩(chip)
  2. 람바(lumber)
  3. 플레이크(flake)
  4. 스트랜드(strand)
(정답률: 알수없음)
  • 람바는 파티클보드 제조에 사용되는 나무의 형태 중 하나가 아닙니다. 람바는 나무를 잘라서 만든 넓은 판자를 의미하며, 파티클보드 제조에 사용되는 나무의 형태는 칩, 플레이크, 스트랜드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람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열경화성 접착제로만 구성된 것은?

  1. 페놀수지, 레조르시놀수지, 요소수지
  2. 초산비늘수지, 멜라민수지, 요소수지
  3. 멜라멘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우레탄수지
  4. 아크릴수지, 페놀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수지
(정답률: 알수없음)
  • 열경화성 접착제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접착력을 유지해야 하므로, 열에 강한 수지인 페놀수지, 레조르시놀수지, 요소수지가 주로 사용됩니다. 초산비늘수지, 멜라민수지, 멜라멘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수지 등은 열에 약하거나 안정성이 낮아 열경화성 접착제로만 구성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합판의 표면결합을 보완하기 위하여 끝손실에 사용되는 장비가 아닌 것은?

  1. 벨트 샌더
  2. 드림 샌더
  3. 스플라이서
  4. 스크레이퍼
(정답률: 알수없음)
  • 스플라이서는 합판의 끝을 연결하는 장비로, 합판의 표면결합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스플라이서가 아닌 벨트 샌더, 드림 샌더, 스크레이퍼는 합판의 표면을 다듬거나 정리하는 등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합판의 제조공정에 있어 단판을 만드는 방법 중 로타리 절삭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속된 단판을 생산할 수 있다.
  2. 원목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절삭한다.
  3. 로터리 레이스에 의해 만든다.
  4. 단판의 독특한 무늬를 살릴 수 있어 주로 화장 단판 절삭에 이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로타리 레이스에 의해 만든다."가 틀린 것입니다. 로타리 절삭은 원목을 회전축으로 하여 절삭하는 방법이며, 로타리 레이스는 단판의 무늬를 만드는 과정 중 하나입니다. 로타리 절삭은 회전하는 원목을 절단기로 계속해서 절단하여 연속된 단판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단판의 독특한 무늬를 살릴 수 있어 주로 화장 단판 절삭에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목재 공업에서 합판용 단판의 건조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소량을 건조시키는 로타리건조기를 사용함
  2. 방대한 양을 한번에 건조시키는 드럼건조기를 사용함
  3. 단판은 열에 불안정한 물질이므로 동절건조기가 사용함
  4. 방대한 양을 연속적으로 건조시키는 연속식 단판건조기를 사용함
(정답률: 알수없음)
  • 단판은 열에 불안정한 물질이므로 한번에 많은 양을 건조시키는 드럼건조기나 소량을 건조시키는 로타리건조기보다는 방대한 양을 연속적으로 건조시키는 연속식 단판건조기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이는 단판의 건조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