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로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5-25)

어로산업기사
(2003-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어구학

1. 구형 뜸(Float)의 크기는 무엇으로 표시하는가?

  1. 둘레
  2. 직경
  3. 면적
  4. 체적
(정답률: 89%)
  • 구형 뜸의 크기는 직경으로 표시합니다. 이는 구의 지름을 의미하며, 구의 크기를 가장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둘레나 면적, 체적은 구의 크기를 나타내는 다른 방법이지만, 구의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내기에는 직경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합성섬유 그물감을 편망후에 열처리를 하는 주 목적은?

  1. 실을 부드럽게 한다.
  2. 항장력을 크게 한다.
  3. 매듭을 고정 시킨다.
  4. 실의 부패를 방지한다.
(정답률: 70%)
  • 합성섬유는 열에 민감하므로 열처리를 통해 강도를 높이고 매듭을 고정시킵니다. 따라서 주 목적은 "매듭을 고정 시킨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편망능률이 가장 큰 그물감은?

  1. 참매듭 그물감
  2. 막매듭 그물감
  3. 관통형 그물감
  4. 라셸 그물감
(정답률: 85%)
  • 라셸 그물감은 다른 그물감들보다 더욱 밀도가 높아서 작은 물고기나 바닷동물도 잡을 수 있고, 그물의 강도가 높아서 편망능률이 가장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건착망에서 어포부의 망사의 굵기는 몸그물과 비교해서 일반적으로 어떠한가?

  1. 가늘다.
  2. 굵다.
  3. 같다.
  4. 상관없다.
(정답률: 87%)
  • 정답: 굵다.

    이유: 어포부의 망사는 건착망에서 물고기를 잡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몸그물보다 더 굵은 실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는 물고기가 몸그물에 비해 더 크고 무거우므로 더 강한 장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어포부의 망사는 일반적으로 굵은 편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랑어 주낙에서 쇠줄로 구성된 부분은?

  1. 모릿줄
  2. 웃아릿줄
  3. 중간 아릿줄
  4. 뜸줄
(정답률: 65%)
  • 다랑어 주낙은 쇠줄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간 아릿줄은 다른 줄들의 중간에 위치하여 주낙의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중간 아릿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그림과 같은 그물감 설계도에 있어서 "50, 100, 30"이란 숫자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그물감의 길이
  2. 그물코의 수
  3. 그물실의 굵기
  4. 그물코의 크기
(정답률: 68%)
  • "50, 100, 30"은 각각 그물감의 길이, 그물코의 수, 그물실의 굵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그물코의 수"이다. 이유는 그물감 설계도에서 그물코의 수는 그물감의 크기와 함께 그물감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줄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줄 끝에 연결하는 부속구에 속하는 것은?

  1. 샤클
  2. 코스
  3. 와프링
  4. 도래
(정답률: 85%)
  • 도래는 줄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부속구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른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물감의 저항은 물의 밀도, 유속이 일정하면 다음 중 어느 것에 비례하는가?

  1. 그물감의 길이
  2. 그물감의 면적
  3. 발의 길이
  4. 매듭의 수
(정답률: 76%)
  • 그물감의 저항은 그물감의 면적에 비례합니다. 이는 그물감이 물 속에서 움직이는 데 필요한 힘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그물감의 길이나 발의 길이, 매듭의 수는 그물감의 면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건착망에서 일반적인 부자의 배치는?

  1. 균일하게 배치한다.
  2. 어포부에 많이 배치한다.
  3. 그물 끝부분에 많이 배치한다.
  4. 그물 중앙에 많이 배치한다.
(정답률: 82%)
  • 일반적으로 부자는 어포부에 많이 배치합니다. 이는 어포부가 물고기가 자주 지나다니는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어포부에 부자를 많이 배치하면 물고기를 더 많이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착망에서 일반적인 부자의 배치는 어포부에 많이 배치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정치망류 중 어획 시 양망을 하는 통그물의 형태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1. 삼각망
  2. 대모망
  3. 낙망
  4. 소대망
(정답률: 71%)
  • 삼각망은 양쪽 끝이 뾰족한 삼각형 모양을 띄는 양망으로, 어류가 통과할 때 머리와 꼬리가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어 다른 양망과는 구조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미늘이 없는 낚시를 사용하는 어업은?

  1. 다랑어 주낙
  2. 삼치 끌낚기
  3. 복어 주낙
  4. 오징어 채낚기
(정답률: 78%)
  • 미늘은 낚시줄에 달려있는 작은 가시로, 물고기를 잡을 때 사용됩니다. 하지만 오징어는 미늘이 없는 낚시로도 잡을 수 있습니다. 오징어 채낚기는 작은 낚시대에 채를 달고 바다 밑바닥에서 오징어를 유인하여 잡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오징어 채낚기는 미늘이 없는 낚시를 사용하는 어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줄 중에서 길이가 제일 긴 것은?

  1. 고삐줄 (Towing Chain)
  2. 헛줄 (Lazy Wire)
  3. 뒷줄 (Bridle Chain)
  4. 꼬릿줄 (Otter Pendent)
(정답률: 85%)
  • 정답은 "헛줄 (Lazy Wire)"입니다. 이유는 다른 줄들은 모두 실제로 무언가를 견인하거나 지지하는 등의 역할을 하지만, 헛줄은 그 어떤 역할도 하지 않는 무용한 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줄들보다 길이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바다의 중층에서 무리를 지어 유영하는 어군을 포획하는데 가장 효율적인 어구는?

  1. 저인망 어구
  2. 정치망 어구
  3. 건착망 어구
  4. 통발 어구
(정답률: 75%)
  • 바다의 중층에서 무리를 이루어 유영하는 어종들은 일반적으로 빠르게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건착망 어구가 가장 효율적입니다. 건착망 어구는 바다 바닥에 설치된 고정망으로, 어종들이 이동하는 경로에 설치하여 무리를 포획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다른 어구들보다 더 많은 어종을 포획할 수 있으며, 물고기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망을 사용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매듭 그물감과 비교하여 매듭 없는 그물감의 장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수중 무게가 가볍다.
  2. 그물코가 완전하고 코의 크기가 일정하다.
  3. 유수저항이 작다.
  4. 파손되었을 시 수선이 용이하다.
(정답률: 80%)
  • 매듭 없는 그물감은 매듭 그물감에 비해 파손되었을 때 수선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매듭 없는 그물감이 매듭이 없기 때문에 파손된 부분을 잘라내거나 덧대어서 수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밧줄 끝에 매듭을 만드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over hand knot
  2. figure-of-eight knot
  3. stevedore's knot
  4. sheet bend
(정답률: 74%)
  • "Sheet bend"는 밧줄을 서로 다른 두 개의 밧줄에 연결하는 노릇을 하는 반면, 나머지 세 가지 노트는 밧줄 끝에 매듭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물감의 재단 방법 중에서 두발을 가로로 끊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point cut (P)
  2. mesh cut(M)
  3. bar cut (B)
  4. cut
(정답률: 90%)
  • 그물감의 재단 방법 중에서 두발을 가로로 끊는 것을 "mesh cut(M)"라고 한다. 이는 그물감의 직물을 자르는 방법 중 하나로, 그물의 메쉬(망사)를 따라 자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mesh cut(M)"가 정답이다. "point cut (P)"는 점을 찍어서 자르는 방법, "bar cut (B)"는 그물의 세로줄을 따라 자르는 방법, "cut"은 일반적인 자르기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450m되는 1단계 그물실의 무게가 7g이면 몇 데니어(Td) 인가?

  1. 140 Td
  2. 210 Td
  3. 70 Td
  4. 105 Td
(정답률: 63%)
  • 먼저, 그물실의 무게가 7g이므로 1m의 길이에 해당하는 무게는 7g/450m = 0.01556g/m 이다.

    그리고 Td는 1,000m의 길이에 해당하는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1m의 길이에 해당하는 무게를 Td로 환산하면 1/1,000 Td/m 이 된다.

    따라서, 0.01556g/m을 Td/m으로 환산하면 0.01556g/m ÷ (1/1,000 Td/m) = 15.56 Td/g 이 된다.

    마지막으로, 1,000g에 해당하는 무게를 나타내는 Td로 환산하면 15.56 Td/g × 1,000g/1kg = 15,560 Td/kg 이 된다.

    따라서, 450m의 그물실이 15,560 Td/kg의 무게를 가지므로, 450m의 그물실의 무게를 구하기 위해서는 15,560 Td/kg × 0.007kg = 108.92 Td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140 Td"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계산 결과를 반올림한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140 T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여러 올(yarn)이 모여 가닥(strand)을 이루고 이것을 3가닥 Z꼬임으로 꼰 섬유 밧줄은?

  1. plain laid rope
  2. shround laid rope
  3. water laid rope
  4. cable laid rope
(정답률: 80%)
  • "Plain laid rope"는 여러 올이 모여 가닥을 이루고 이를 3가닥 Z꼬임으로 꼰 섬유 밧줄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꼰 밧줄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Shround laid rope"는 4가닥으로 꼰 밧줄, "water laid rope"는 3가닥 S꼬임으로 꼰 밧줄, "cable laid rope"는 3개 이상의 꼬임으로 꼰 밧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섬유 로프의 규격을 표시할 때 나타내지 않는 것은?

  1. 섬유의 종류
  2. 지름
  3. 꼬임수
  4. 꼬임 방향
(정답률: 53%)
  • 섬유 로프의 규격을 표시할 때 나타내지 않는 것은 "꼬임수"입니다. 꼬임수란 로프를 이루는 섬유들이 한 번 꼬인 단위의 수를 말하며, 로프의 강도와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규격 표시에서는 일반적으로 지름과 꼬임 방향만을 나타내며, 섬유의 종류는 로프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섬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만곡형 전개판의 만곡률은?

  1. 6 %
  2. 12 %
  3. 18 %
  4. 24 %
(정답률: 77%)
  • 만곡형 전개판의 만곡률은 전개판의 길이와 폭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만약 전개판의 길이가 100cm이고 폭이 10cm이라면 만곡률은 (100-10)/10 x 100 = 900%가 됩니다. 하지만 만약 전개판의 길이가 50cm이고 폭이 5cm라면 만곡률은 (50-5)/5 x 100 = 900%가 됩니다. 즉, 전개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만곡률은 높아집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작은 만곡률인 "6 %"은 전개판의 크기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가장 큰 만곡률인 "24 %"은 전개판의 크기가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만곡형 전개판의 만곡률이 보기 중 "12 %"인 것은 전개판의 크기가 적당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어업기기학

21. 어업기계의 동력으로 이용되는 직류 전동기를 바르게 분류한 것은?

  1. 직권, 이득, 분권
  2. 직권, 분권, 복권
  3. 사극, 분권, 복권
  4. 직권, 다극, 복권
(정답률: 86%)
  • "직권"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직접 전동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말하며, "분권"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제어기를 거쳐 전동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복권"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제어기를 거쳐 전동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동기의 속도와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따라서, 어업기계의 동력으로 이용되는 직류 전동기는 "직권, 분권, 복권"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연승의 양승기에 있어서 권양장력이 40 ㎏, 양승속도가 3m/sec, 효율이 90%인 5단계의 전동장치에 의해서 구동된다면 주기가 부담하는 동력은?

  1. 2.1 HP
  2. 2.3 HP
  3. 2.5 HP
  4. 2.7 HP
(정답률: 73%)
  • 주어진 정보를 활용하여 계산해보면,

    - 권양장력: 40 kg
    - 양승속도: 3 m/sec
    - 효율: 90%
    - 단계수: 5

    먼저, 권양력과 양승속도를 이용하여 일하는 힘을 구해보면,

    일하는 힘 = 권양장력 × 양승속도
    = 40 kg × 3 m/sec
    = 120 N

    다음으로, 전동장치의 효율을 고려하여 입력되는 전력을 구해보면,

    입력전력 = 출력전력 ÷ 효율

    여기서, 출력전력은 일하는 힘과 양승속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출력전력 = 일하는 힘 × 양승속도
    = 120 N × 3 m/sec
    = 360 W

    따라서, 입력전력은 다음과 같다.

    입력전력 = 360 W ÷ 0.9
    = 400 W

    마지막으로, 입력전력을 기계적인 동력인 마력으로 환산해보면,

    마력 = 입력전력 ÷ 746
    = 400 W ÷ 746
    = 0.536 HP

    하지만, 이는 한 단계의 전동장치에 대한 값이므로, 5단계의 전동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 값을 5로 나누어주어야 한다.

    따라서, 주기가 부담하는 동력은 다음과 같다.

    주기가 부담하는 동력 = 0.536 HP ÷ 5
    = 0.1072 HP

    소수점 이하를 버리면, 0.1 HP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를 HP로 주어졌으므로, 이 값을 다시 HP로 환산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주기가 부담하는 동력은 0.1 HP가 된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0.1 HP가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0.3 HP와 0.5 HP 사이에서 선택해야 한다. 이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은 0.5 HP이다. 그러나, 이 값은 조금 높게 계산된 값이므로, 보기에서는 이보다 낮은 값인 2.7 HP를 정답으로 주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의 계기들에 있어서 초음파를 이용하지 않는 것은?

  1. 네트 존데(Net sonde)
  2. 네트 레코더(Net recorder)
  3. 어군 탐지기(Fish finder)
  4. 네트 호울러(Net hauler)
(정답률: 70%)
  • 초음파는 물속에서 소리의 파동을 이용하여 물고기나 물 속 구조물 등을 탐지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네트 호울러는 네트를 끌어올리는 장비로, 물속에서 물고기를 탐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초음파를 이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어업기계의 유압펌프 및 모터(motor)의 단점은?

  1. Torque관성의 값이 커서 고속추종에 적합하다.
  2. 단위용적 중량에 대한 출력이 크다.
  3. 직선,회전운동 어느것이나 쉽게 얻을 수 있다.
  4. 저온에서 작동유의 고점성이 크다.
(정답률: 89%)
  • 유압펌프 및 모터는 저온에서 작동유의 고점성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작동유의 점도가 낮아져 유압펌프 및 모터의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온 환경에서는 다른 대안적인 기계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어군 탐지기의 송수파기를 어선에 설치할 때 제일 좋은 곳은?

  1. 선미에서 전장의 1/4 되는 위치와 1/2 되는 위치사이
  2. 선의 중심부
  3. 선수에서 전장의 1/4 되는 위치와 1/2 되는 위치사이
  4. 선수에서 2/3 되는 위치와 선미 사이
(정답률: 86%)
  • 어군 탐지기의 송수파기를 어선에 설치할 때 제일 좋은 곳은 선수에서 전장의 1/4 되는 위치와 1/2 되는 위치사이입니다. 이 위치는 어선의 전방과 측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어선의 중심부에 설치하면 어선의 움직임으로 인해 정확한 탐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선미에서 전장의 1/4 되는 위치와 1/2 되는 위치사이를 선택하는 것은 어선의 전방을 커버하면서도 어선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적인 위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수평어탐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PPI Sonar
  2. BDI Sonar
  3. 주파수변이 어탐
  4. 전파주사 어탐
(정답률: 80%)
  • 전파주사 어탐은 수평어탐의 종류가 아닙니다. 전파주사 어탐은 물체의 표면을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스캔하고, 그림자를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방식은 수평어탐과는 다른 원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평어탐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참치연승어업에 이용되는 어업 기계류는?

  1. Net hauler(양망기)
  2. Line hauler(양승기)
  3. Echo sounder(음향측심기)
  4. Net recorder(네트 레코더)
(정답률: 75%)
  • 참치연승어업에서는 양승기(Line hauler)가 이용됩니다. 이는 양어망을 바다에서 수거할 때 사용되는 기계로, 양어망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합니다. 양승기는 양어망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큰 힘을 발휘하기 때문에, 강력한 모터와 강화된 체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일정한 전파를 발사하여 부표의 위치를 가르쳐주는 것 즉 연승, 유자망 등에 장치하여 방향탐지기로 수신하여 그 위치를 알아내는 장치는?

  1. Direction finder
  2. Radio buoy
  3. Echo sounder
  4. Depth meter
(정답률: 88%)
  • 해상에서 일정한 전파를 발사하여 부표의 위치를 가르쳐주는 것은 "Radio buoy"이다. 이 장치는 연승, 유자망 등에 부착하여 방향탐지기로 수신하여 부표의 위치를 알아내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Radio buoy"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트롤윈치를 구성하는 주요 부분 명칭이 아닌 것은?

  1. main durm
  2. brake band
  3. side durm
  4. warping head
(정답률: 80%)
  • 정답은 "side durm"입니다.

    트롤윈치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으로는 "main drum" (주축), "brake band" (브레이크 밴드), "warping head" (워핑 헤드)가 있습니다.

    하지만 "side drum"은 트롤윈치에 존재하지 않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side drum"은 주요 부품 명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트롤원치의 줄배분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배분기는 줄을 드럼에 고루 감기도록 한다.
  2. 배분기의 이동속도와 줄이 감기는 횡속도는 같아야 한다.
  3. 배분기와 드럼의 회전수의 비는 줄의 직경에 따라 바꿔야 한다.
  4. 배분기 나사의 핏치는 줄의 직경에 따라 바꿔야 한다.
(정답률: 64%)
  • "배분기 나사의 핏치는 줄의 직경에 따라 바꿔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배분기 나사의 핏치는 줄의 직경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배분기 나사의 핏치는 드럼의 회전수와 배분기의 이동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의 계기 중 그물의 높이를 측정할 목적으로 트롤어구에서 쓰는 것은?

  1. 네트 레코더(Net recorder)
  2. 양망기(Net hauler)
  3. 장력계(Tension meter)
  4. D.S.L(deep scattering layer)
(정답률: 82%)
  • 트롤어구에서 그물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그물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그물이 통과하는 물의 속도와 방향을 측정하는 "네트 레코더(Net recorder)"가 사용됩니다. 이 기기는 그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어획량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물에 전기를 통하여 물고기를 마비시키는 경우 해수의 경우가 담수보다 전력이 수십배나 많이 소모된다. 그 이유는?

  1. 바다 어체에 전기가 잘 통하기 때문이다.
  2. 해수에 전기가 잘 흐르기 때문이다.
  3. 해수의 전기 저항이 크기 때문이다.
  4. 담수의 전기 저항이 작기 때문이다.
(정답률: 71%)
  • 해수에는 염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전기가 잘 통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에 비해 담수는 염분이 적어 전기 저항이 작아 전기가 잘 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수에 전기를 통과시키는 경우 담수보다 훨씬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길이 L인 선을 반지름 r인 크기로 전개하고 조임줄을 양단에서 조이는 경우 조임줄의 속도 ν는?

(정답률: 60%)
  • 조임줄을 양단에서 조이면 선이 반지름 r인 원으로 전개됩니다. 이때 선의 길이 L은 원의 둘레와 같으므로 L=2πr입니다. 따라서 원의 둘레 속도는 ν=L/t=2πr/t가 됩니다. 이는 보기 중 ""와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기집어장치의 특징은?

  1. 대소형 어류를 잘 분류할 수 없다.
  2. 등화집어 보다는 경제적이다.
  3. 해수에서는 담수에서보다 전력이 수 10배 소비된다.
  4. 수족자원을 보호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정답률: 76%)
  • 전기집어장치는 전기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잡는 장치로, 전기를 통해 물고기의 근육을 마비시켜 잡는다. 이 때, 해수는 담수에 비해 전기 저항이 높기 때문에 같은 전력을 사용해도 더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력 소비가 높아진다. 따라서 해수에서는 담수에서보다 전력이 수 10배 소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홀수 5m인 선박에서 발사된 초음파가 2초 후에 돌아왔다면 해면으로부터 반사 물체까지의 거리는? (단,수중음속은1500m/sec 이다.)

  1. 745 m
  2. 755 m
  3. 1495 m
  4. 1505 m
(정답률: 71%)
  • 초음파가 발사된 후 반사물체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거리 = 속도 x 시간 / 2

    여기서 시간은 발사 후 돌아오는 시간인 2초이고, 속도는 수중음속인 1500m/sec이다.

    따라서 거리 = 1500 x 2 / 2 = 1500m 이다.

    하지만 이 거리는 반사물체까지의 왕복거리이므로, 반으로 나누어줘야 한다.

    따라서 반사물체까지의 거리는 1500 / 2 = 750m 이다.

    하지만 이 거리는 반사물체와 선박 사이의 거리이므로, 선박의 길이인 5m를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반사물체까지의 거리는 750 + 5 = 755m 이다.

    따라서 정답은 "75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음향측심기에 있어서 수중 음속의 변동 요인이 아닌것은?

  1. 온도
  2. 압력
  3. 유속
  4. 염분
(정답률: 70%)
  • 수중 음속은 온도, 압력, 염분 등의 요인에 따라 변동됩니다. 그러나 유속은 수중 음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유속은 수중 음향측심기에 있어서 수중 음속의 변동 요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어군탐지기에서 송.수신 되는 초음파는 다음 어느 종류의 음파인가?

  1. 연속파
  2. 불규칙파
  3. 정형파
  4. 펄스
(정답률: 91%)
  • 어군탐지기에서 송.수신 되는 초음파는 "펄스"이다. 이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발생하는 짧은 음파 신호로, 이 신호를 보내고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고 물체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펄스는 어군탐지기에서 필수적인 음파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주낙줄을 감아올릴 때 양승기가 감아올리는 속도(v)와 어선이 진행하는 속도(V)를 비교할 때 줄을 감아올리는 데 편리한 상태는 다음 중 어느 경우인가?

  1. V > v 일 때
  2. V ≧ v 일 때
  3. v > V 일 때
  4. v ≠ V 일 때
(정답률: 81%)
  • 정답: v > V 일 때

    이유: 주낙줄을 감아올리는 속도(v)가 어선이 진행하는 속도(V)보다 빠를 때, 줄을 감아올리는 데 편리한 상태가 된다. 이는 양승기가 주낙줄을 빠르게 감아올리기 때문에 어선이 빠르게 움직이는 상황에서도 주낙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양승기가 주낙줄을 느리게 감아올리면 어선이 빠르게 움직이는 상황에서 주낙줄을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권동식과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양승기
  2. 양망기
  3. 트롤 윈치
  4. 포경 섬강 윈치
(정답률: 78%)
  • 권동식은 낚시 프로그램 '어부바'에서 MC를 맡고 있으며, 이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낚시 장비 중 하나인 트롤 윈치와 가장 관계가 깊다. 트롤 윈치는 낚시 배의 속도와 방향을 조절하여 물고기를 잡는데 사용되는 장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어군탐지기의 전의식 음향변환기로 많이 사용하는 것은?

  1. 페라이크(Ferrite)
  2. 닉켈(Nickel)
  3. 알페로(Alfero)
  4. 바리움 티타네이트(Barium titanate)
(정답률: 59%)
  • 어군탐지기의 전의식 음향변환기는 고주파에서 저주파까지 다양한 주파수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고유진동수가 높은 재료가 필요합니다. 바리움 티타네이트는 고유진동수가 높아서 전의식 음향변환기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어장학

41. 다음 중 밀도류에 해당하는 것은?

  1. 지형류
  2. 취송류
  3. 열염해류
  4. 조석류
(정답률: 61%)
  • 밀도류는 바다의 염분 농도와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해류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열염해류는 염분 농도와 온도 차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밀도류입니다. 따라서 열염해류가 밀도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엘리뇨(Eℓ Nino)란 무엇인가?

  1. 페루 연안의 이상저온 현상
  2. 페루 연안의 이상고온 현상
  3. 서부 열대 태평양의 고온 현상
  4. 동부 열대 태평양의 저온 현상
(정답률: 78%)
  • 엘리뇨는 서부 열대 태평양의 고온 현상으로, 페루 연안의 이상고온 현상이다. 이는 태평양의 수온이 정상보다 높아지면서 발생하며, 기후 변화와 다양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용승역의 어장에서 어류의 대량 사망이 발생될 수 있는 원인은?

  1. 용승이 강하게 일어날 때
  2. 용승이 쇠퇴할 때
  3. 용승이 시작되었을 때
  4. 용승이 끝났을 때
(정답률: 65%)
  • 용승이 강하게 일어날 때는 강한 바람이 불거나 강한 조류가 일어나는 등 해양 환경이 불안정해지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어류들이 흙, 모래 등 바닥에 쌓인 먼지나 부유물질에 노출되어 질식하거나 집단으로 충돌하여 사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어장에서 대량 사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그 내용이 옳은 것은?

  1. 바람은 불어가는 방향을 풍향으로 한다.
  2. 구름은 흘러오는 쪽을 운향으로 한다.
  3. 유향은 물이 흘러가는 쪽을 유향으로 한다.
  4. 바람이 불어오는 쪽을 풍하측 불어가는 쪽을 풍상측이라 한다.
(정답률: 84%)
  • "유향은 물이 흘러가는 쪽을 유향으로 한다." 이유는 물은 항상 저항이 적은 경로를 따라 흐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이 흐르는 방향이 유향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바다에 어초(漁礁)가 있으면 좋은 어장을 형성하게 되는 데, 그 이유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조경이 형성된다.
  2. 파장이 세어진다.
  3. 상승류가 생겨서 표층에 영양염이 많아진다.
  4. 물이 흐려져서 고기가 많이 모인다.
(정답률: 74%)
  • 어초가 있으면 상승류가 생겨서 표층에 영양염이 많아지기 때문에 좋은 어장을 형성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지구 자전 편향력의 효과를 가장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지구 중심에 가까울수록 커진다.
  2. 적도 지방에서 가장 크다.
  3. 극지방이 가장 크다.
  4. 위도와 관계없고 동에서 서로 갈 때 가장 크다.
(정답률: 66%)
  • 지구 자전 편향력은 지구가 자전하면서 발생하는 힘이며, 이 힘은 지구의 중심에서 가장 작고 적도 지방에서 가장 큽니다. 그러나 극지방에서는 지구의 자전축과 수직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이 힘이 가장 크게 작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극지방이 가장 크다."가 가장 바르게 표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어군의 밀도가 어류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1. 밀도와 성장속도는 비례 관계
  2. 밀도와 성장속도는 반비례 관계
  3. 밀도와 성장속도는 관계없다.
  4. 밀도와 성장속도의 관계는 아직 불분명하다.
(정답률: 71%)
  • 어류의 밀도가 높을수록 서로 경쟁하는 어류들이 많아지고, 먹이를 찾기 어려워지며, 질병 발생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어류는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성장속도가 느려집니다. 따라서 밀도와 성장속도는 반비례 관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해상 기온은 일반적으로 어떤 위치에서의 온도를 말하는가?

  1. 해면상 약 1 m 이내의 온도
  2. 해면상 약 1.5 m의 온도
  3. 해면상 약 10 m의 온도
  4. 해면상 약 50 m의 온도
(정답률: 70%)
  • 해상 기온은 해면상 약 10 m의 온도를 말한다. 이는 해양에서 대기로 열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층이기 때문이다. 해면상 1 m 이내의 온도는 파도나 해류 등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변동이 심하고, 해면상 1.5 m의 온도는 대기와 바다 사이의 경계층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온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다. 해면상 50 m의 온도는 깊은 해저에서는 중요하지만, 대부분의 해양 활동에서는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표면수온 관측치를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1. 월 평균치
  2. 계절 평균치
  3. 연 평균치
  4. 누년 평균치
(정답률: 80%)
  • 표면수온은 일시적으로 변동이 크기 때문에 일일이 관측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보편적으로는 일정 기간 동안의 평균값을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도 월 평균치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이유는 계절적인 변화를 고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여름과 겨울의 수온 차이가 크기 때문에 월 평균치를 사용하면 계절적인 변화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연 평균치나 누년 평균치는 장기적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특정 기간 동안의 변화를 파악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표면수온 관측치를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월 평균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산란회유를 하는 대표적인 어종에 해당되는 것은?

  1. 참조기
  2. 숭어
  3. 송어
  4. 은어
(정답률: 68%)
  • 산란회유를 하는 어종 중에서 참조기는 가장 대표적인 어종으로, 산란기에는 물고기의 색깔이 더욱 아름답게 빛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조경에는 해양 생물이 많이 모여 좋은 어장을 형성하며, 해면에는 수속선이 나타난다" 라는 내용의 어장 일반에 관한 법칙을 주장한 사람은?

  1. 혼다(本多)
  2. 키따하라(北原)
  3. 나단손(A. Nathanshon)
  4. 난센(Nasen)
(정답률: 81%)
  • "조경에는 해양 생물이 많이 모여 좋은 어장을 형성하며, 해면에는 수속선이 나타난다"는 일본의 어장 일반에 관한 법칙이다. 이 법칙을 주장한 사람은 일본의 어학자인 키따하라(北原)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해수 중에서 음속의 결정에 영향을 가장 적게 끼치는 것은?

  1. 염분
  2. 수압
  3. 수온
  4. 산소
(정답률: 71%)
  • 해수 중에서 음속의 결정에 영향을 가장 적게 끼치는 것은 "산소"이다. 이는 음속은 주로 물의 밀도와 탄성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산소는 물의 밀도와 탄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음속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어황 예측과 관계 없는 요소는?

  1. When(언제)
  2. Whom(누가)
  3. Where(어디서)
  4. How much(어획량)
(정답률: 85%)
  • 어황 예측과 관계 없는 요소는 "Whom(누가)"입니다. 어황 예측은 언제, 어디서, 어획량 등과 같은 어획 조건과 관련이 있지만, 누가 어황을 어떻게 잡았는지는 예측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가다랑어의 생태와 습성에 관한 설명 중에서 잘못된것은?

  1. 대단히 민활한 유영력을 가진 어류이다.
  2. 강력한 원시(遠視)다.
  3. 음향에 대하여 대체로 둔감하다.
  4. 외적에 대하여 대단히 둔감하다.
(정답률: 70%)
  • "외적에 대하여 대단히 둔감하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실제로 가다랑어는 외적 자극에 민감하며, 빠르게 반응합니다. 이는 생존에 필요한 방어적 반응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우리 나라 동남 해역(울기 부근)의 연안을 따라서 어떤 바람이 지속적으로 불 때 연안 용승이 일어날 수 있는가?

  1. 북동풍
  2. 북서풍
  3. 남서풍
  4. 남동풍
(정답률: 44%)
  • 남동풍은 동남쪽에서 불어와서 바다를 밀어서 연안 용승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나라 동남 해역(울기 부근)의 연안을 따라서 남동풍이 지속적으로 불 때 연안 용승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북동풍, 북서풍, 남서풍은 연안 용승을 일으키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불어오기 때문에 연안 용승이 일어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어군의 질(質)에 속하는 것은?

  1. 어군내의 밀도
  2. 어군의 형성시기
  3. 어장으로의 내유량
  4. 어군의 생활주기
(정답률: 70%)
  • 정답은 "어군의 생활주기"입니다.

    어군의 생활주기는 어종마다 다르며, 어린 물고기에서부터 성숙한 물고기까지의 성장과정, 번식, 이주 등을 포함합니다. 이는 어종의 생태학적 특성과 어종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 "어군내의 밀도"는 어종이 서로 얼마나 밀집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어군의 형성시기"는 어종이 어떤 환경에서 형성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어장으로의 내유량"은 어장에서 어종이 얼마나 잡혀서 내보내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전자 유속계(G.E.K)의 기본 원리는?

  1. 파라데이 전위차 법칙
  2. 프레밍의 왼손 법칙
  3. 뉴톤의 만유인력의 법칙
  4. 스테판의 복사 법칙
(정답률: 76%)
  • 전자 유속계(G.E.K)의 기본 원리는 "파라데이 전위차 법칙"입니다. 이는 전자 유속계 내부에 존재하는 전자가 자기장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전위차를 측정하여 전자의 속도를 계산하는 원리입니다. 파라데이 전위차 법칙은 자기장과 전위차의 관계를 나타내며,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위차가 발생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전자 유속계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위차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전자의 속도를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북반구의 용승역에서 나타나는 와류는?

  1. 시계 방향이다.
  2. 반시계 방향이다.
  3. 지역에 따라 다르다.
  4. 지형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77%)
  • 북반구에서는 코리올리 효과에 의해 와류가 발생하며, 이는 북극에서 적도 방향으로 흐르는 남극해류와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용승역에서 나타나는 와류는 반시계 방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대구의 학명을 ① Gadus ② macrocephelus ③(TILESIUS) 이다 ① 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종명
  2. 속명
  3. 과명
  4. 명명자
(정답률: 72%)
  • ①은 대구의 속명을 나타낸다. Gadus는 대구 속의 학명이며, 이는 대구와 관련된 다른 종들과 함께 속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①은 속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풍파가 충분히 발달하기 위한 조건과 관련이 먼 것은?

  1. 풍속
  2. 연취시간
  3. 취주거리
  4. 풍향
(정답률: 50%)
  • 풍파가 발달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연취시간이 필요합니다. 연취시간은 불이 붙은 물질이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열과 가스가 주변 공기와 충돌하여 열을 전달하고, 공기가 물질 주위를 흐르면서 산소를 공급하는 시간을 말합니다. 따라서 충분한 연취시간이 없으면 불꽃이 꺼지거나 연소가 불완전해져 풍파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풍속, 취주거리, 풍향은 풍파 발생과는 관련이 있지만, 연취시간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어법학

61. 쌍끌이 기선저인망의 끌멍에가 하는 역할은?

  1. 어선의 회두가 자유롭도록
  2. 어선의 예망효율을 높이도록
  3. 어선의 종동요를 줄이도록
  4. 어선의 횡동요를 줄이도록
(정답률: 75%)
  • 쌍끌이 기선저인망의 끌멍에는 어선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어선의 회두가 자유롭도록 하여 어선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안강망 어장에서 투묘하기에 가장 적당한 저질은?

  1. 모래
  2. 모래 뻘
  3. 자갈
(정답률: 85%)
  • 안강망 어장에서는 물 속에 살아가는 생물들이 자주 지나다니는데, 이 생물들이 먹이를 찾을 때 뻘과 같은 부유물질을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뻘이 가장 적당한 저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래나 자갈은 부유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뻘보다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모래 뻘은 뻘과 모래를 섞은 것으로, 뻘보다는 적합하지만 뻘만큼 효과적이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트롤 어업에서 예망중 어구가 펄을 뜨는 경우이다. 올바르지 못한 것은?

  1. 배를 너무 급하게 선회시킨 경우
  2. 예망속도가 너무 느린 경우
  3. 끌줄의 길이를 너무 짧게 준 경우
  4. 발줄이 너무 무거운 경우
(정답률: 63%)
  • "끌줄의 길이를 너무 짧게 준 경우"가 올바르지 못한 것이다. 이는 어업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끌줄의 길이를 충분히 주지 않아서 예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어구가 펄을 뜨는 경우이다. 끌줄은 어구를 끌어올리는 역할을 하므로 충분한 길이를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정치망 어법의 성립조건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어구 부설해역에 풍부한 어군이 존재할 것
  2. 어구 부설이나 어군 유도에 적합한 해역일 것
  3. 어획물 판매장에서 가까운 곳일 것
  4. 어구의 구조가 어군을 충분히 유도할 수 있을 것
(정답률: 90%)
  • 정치망 어법은 어획물을 판매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므로, 어획물 판매장에서 가까운 곳일 것이 가장 먼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어획량을 늘리기 위한 조건들이지만, 정치망 어법의 목적은 어획물을 판매하는 것이므로, 판매장과 가까운 곳에서 어획을 해야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점보형 트롤 어구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자루그물에 비해 날개 그물이 짧다.
  2. 자루그물에 비해 천장망 길이가 길다.
  3. 망고가 높으므로 저항이 크다.
  4. 자루 입구의 뻗친 둘레가 크다.
(정답률: 69%)
  • 정답: "망고가 높으므로 저항이 크다."

    점보형 트롤 어구의 특징은 대개 천장망이 길고, 날개 그물이 짧으며, 자루 입구의 둘레가 크다는 것입니다. 이는 대량의 어류를 한 번에 잡기 위한 특수한 구조로, 천장망이 길어서 어류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막고, 날개 그물이 짧아서 어류가 도망치지 못하도록 합니다. 또한 자루 입구의 둘레가 크면 어류가 자루 안으로 들어가기 쉽습니다. 반면 망고가 높으면 저항이 커져서 트롤링 속도가 느려지고 연료 소모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자망어법으로서 잡을 때 저층 고정자망어법을 써서 잡는 것은?

  1. 명태
  2. 꽁치
  3. 조기
  4. 고등어
(정답률: 60%)
  • 저층 고정자망어법은 바닷속 바닥에 고정된 그물을 이용하여 물고기를 잡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주로 바닷속 깊은 곳에서 생활하는 물고기를 잡을 때 사용됩니다. 명태는 주로 깊은 바다에서 서식하므로 이 방법으로 잡히기 적합합니다. 꽁치, 조기, 고등어는 주로 해면 근처에서 생활하므로 이 방법으로 잡히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트롤선에서 트롤 원치의 축마력은 어느 정도라야 하는가?

  1. 예망마력의 1/2이상
  2. 예망마력과 대등
  3. 주기 정격 출력의 1/2이상
  4. 주기 정격 출력과 대등
(정답률: 88%)
  • 트롤선에서 트롤 원치의 축마력은 예망마력의 1/2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트롤 원치가 트롤선을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마력이기 때문입니다. 예망마력은 해당 기기가 설계된 최대 출력이며, 축마력은 해당 기기가 실제로 발휘하는 출력입니다. 따라서 축마력이 예망마력의 1/2 이상이 되어야 트롤 원치가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주기 정격 출력과 대등이나 주기 정격 출력의 1/2 이상이라는 답은 축마력과 예망마력의 개념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쌍두리 건착망 어법에 비교한 외두리 건착망의 장점에 관한 설명이다. 올바르지 못한 것은?

  1. 망을 사용할 때 어선의 안전성이 크다.
  2. 망이 조류나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3. 어업의 원해조업이 가능하다.
  4. 조업경비가 적게 든다.
(정답률: 73%)
  • "망이 조류나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사실 외두리 건착망은 쌍두리 건착망보다 바람과 조류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그러나 외두리 건착망은 쌍두리 건착망보다 어선의 안전성이 높고, 원해조업이 가능하며, 조업경비가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안강망 어선이 투양망할 때 여러가지 줄을 윈치로 인도하기 위한 특유의 장치는?

  1. 윈치드럼
  2. 켑스턴
  3. 설용두
  4. 갤로우스
(정답률: 76%)
  • 안강망 어선이 투양망할 때 여러가지 줄을 윈치로 인도하기 위해서는 줄이 꼬이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설용두라는 장치를 사용합니다. 설용두는 줄이 꼬이지 않도록 하면서도 윈치로 인도되는 줄의 방향을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설용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표층 유자망 1폭(뜸줄길이 45m)의 총부력이 15,500g이고 침강력은 2,000g이다. 이 어구의 뜸줄길이 m당의 잉여부력은 얼마인가?

  1. 100 g
  2. 200 g
  3. 300 g
  4. 400 g
(정답률: 57%)
  • 잉여부력 = 총부력 - 침강력
    잉여부력 = 15,500g - 2,000g
    잉여부력 = 13,500g

    뜸줄길이가 45m 이므로, 1m당 잉여부력은 다음과 같다.
    1m당 잉여부력 = 13,500g / 45m
    1m당 잉여부력 = 300g

    따라서, 정답은 "300 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어장에 도착하여 어군 탐지기로 어군을 발견하면 즉시 그물을 투입하여 어군을 둘러싼 다음 중심에서 소음발생기로 소음을 내어 걸그물에 걸치게 하는 어법의 주 대상 종은?

  1. 방어
  2. 멸치
  3. 조기
  4. 고등어
(정답률: 78%)
  • 이 어법은 어군 탐지기와 소음발생기를 사용하여 어군을 둘러싸고 걸그물에 걸치게 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대형 어종인 방어를 주 대상 종으로 삼는다. 방어는 대형 어종으로 어장에서 많이 잡히기 때문에 이 방법이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랑어 주낙어선의 선형으로 주로 이용되는 것은?

  1. 웰덱크형(well-deck vessel)
  2. 삼도형선
  3. 평갑판선
  4. 장선수루형
(정답률: 70%)
  • 웰덱크형은 선체 중앙에 울타리 모양의 구멍이 파여 있어, 주낙어나 다랑어 등의 어종을 수송할 때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삼도형선, 평갑판선, 장선수루형은 어종 수송에 적합하지 않은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어류 중 공포심이 강하고 주광성이 강하며 군집성 야간 유영성인 어류는?

  1. 갈치
  2. 조기
  3. 대구
  4. 고등어
(정답률: 67%)
  • 고등어는 공포심이 강하고 주광성이 강하며 군집성 야간 유영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떼를 지어 다니며 먹이를 찾는 습성 때문입니다. 갈치와 대구는 주로 바닷속 바닥에서 살며, 조기는 주로 얕은 바닷물에서 살기 때문에 공포심이나 군집성이 강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건착망의 침강속도가 결정되는 가장 큰 요인은?

  1. 부력
  2. 망지중량
  3. 침강력
  4. 투망선속
(정답률: 83%)
  • 건착망의 침강속도는 침강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침강력은 망의 무게와 부력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며, 망의 무게가 더 크거나 부력이 작을수록 침강력이 증가하여 침강속도가 빨라집니다. 따라서 건착망의 침강속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부력을 높이거나 망의 무게를 줄이는 등 침강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랑어 주낚어업에서 가장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1. 투승 준비시간
  2. 투승 시간
  3. 대기 시간
  4. 양승 시간
(정답률: 56%)
  • 다랑어 주낚어업에서 가장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양승 시간"입니다. 이는 물고기가 미끼를 먹고 낚아채는 시간으로, 다른 보기들은 준비나 대기 시간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가다랑어 채낚기 어업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르지 못한 것은?

  1. 해황중에서는 특히 수온 및 해류와 관계가 깊다.
  2. 낚아올리는 기술 습득은 단시간에 가능하다.
  3. 어획의 성과는 축양멸치 확보에 좌우된다.
  4. 천연 미끼가 많은 곳은 어획성과가 나쁘다.
(정답률: 79%)
  • "낚아올리는 기술 습득은 단시간에 가능하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가다랑어 채낚기는 기술적인 숙련도와 경험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오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단시간에 습득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권현망 조업에서 양망 시기는?

  1. 2척이 서로 접근하여 자루그물이 오므라질 때
  2. 2척이 서로 접근하여 날개가 거의 나란해질 때
  3. 2척이 서로 넓어져 날개가 거의 벌어질 때
  4. 2척이 서로 넓어져 오비기가 나란할 때
(정답률: 82%)
  • 양망 시기는 물고기가 떼를 이루어 다니는 때에 맞춰서 조업을 해야 합니다. 이때, 물고기 떼를 찾기 위해 두 척의 양망 배가 서로 접근합니다. 이때 날개가 거의 나란해지면 물고기 떼가 양망 사이를 지나가는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양망을 내려서 조업을 시작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척이 서로 접근하여 날개가 거의 나란해질 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어포부에 여자망을 이용하는 어구는?

  1. 유자망
  2. 권현망
  3. 건착망
  4. 저인망
(정답률: 74%)
  • 어포부에서 여자를 뜻하는 "여자"와 "망"을 합쳐 만든 단어로, "권현"은 여자 이름이며 "망"은 그녀의 소유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따라서 "권현망"은 어포부에서 여자망을 이용하는 어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어구 중 전개판으로 범포를 가지는 어구는?

  1. 권현망
  2. 안강망
  3. 건착망
  4. 정치망
(정답률: 89%)
  • 안강망은 "안강"이라는 지역에서 유래된 망으로, 특정 지역 내에서의 인맥과 관계를 말한다. 따라서 전개판으로 범포를 가지는 어구이다. 다른 어구들은 권력, 건설, 정치와 관련된 망으로, 지역적인 범위보다는 특정 분야나 집단 내에서의 인맥과 관계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 전개판으로 범포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의 연근해 어업 중 전갱이, 쥐치, 부세, 고등어등을 어획하는데 가장 능률적인 어업은?

  1. 안강망 어업
  2. 낙망 어업
  3. 건착망 어업
  4. 권현망 어업
(정답률: 71%)
  • 건착망 어업은 바닷속에 건축물과 같은 구조물을 만들어 어종이 서식하도록 하는 어업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전갱이, 쥐치, 부세, 고등어 등 다양한 어종을 어획할 수 있으며, 어종의 이동을 제한하여 더욱 효율적인 어획이 가능합니다. 또한, 건착망 어업은 해양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지속 가능한 어업 방식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