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로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5-23)

어로산업기사
(2004-05-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어구학

1. Nylon 30mm S라고 하는 표현은 다음 중 어느 것의 규격을 표시한 것인가?

  1. 그물실
  2. 줄(로프)
  3. 그물감
  4. 매듭
(정답률: 74%)
  • "Nylon 30mm S"는 줄(로프)의 규격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Nylon"은 소재를 나타내며, "30mm"는 직경을 나타내며, "S"는 강도 등급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표현은 30mm 직경의 나일론 줄(로프)이며, 강도 등급이 S인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같은 섬유에서 마찰에 대한 강도가 제일 약한 구조는?

  1. 단섬유(staple)
  2. 장섬유(multifilament)
  3. 단자사(monofilament)
  4. 핀꼬임 장섬유
(정답률: 88%)
  • 단섬유는 여러 개의 짧은 섬유가 묶여 있는 구조로, 각 섬유 사이에 공간이 있어 마찰에 대한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합니다. 따라서 같은 섬유에서 마찰에 대한 강도가 제일 약한 구조는 단섬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장력에 의한 매듭 그물감의 파단은 다음 중 어디에서 가장 먼저 일어나는가?

  1. 매듭내부
  2. 매듭과 발과의 경계
  3. 발의 중간
  4. 그물감의 최중앙
(정답률: 82%)
  • 매듭과 발과의 경계에서 가장 먼저 매듭 그물감의 파단이 일어나는 이유는, 이 지점에서는 매듭과 그물의 나머지 부분 간의 장력 차이가 가장 크기 때문입니다. 매듭 내부나 발의 중간, 그리고 그물감의 최중앙에서는 장력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아서 파단이 더 늦게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물실을 태웠을 때 종이 냄새가 나는 것은?

  1. 나일론이다.
  2. 면사이다.
  3. 폴리에틸렌이다.
  4. 비닐론이다.
(정답률: 85%)
  • 그물실은 대부분 면사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면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정치망의 길그물에 사용할 그물감으로 적당치 못한 것은?

  1. 물 속에서 잘보이는 색깔
  2. 어군이 통과 못할 작은 코
  3. 재료가 풍부하여 값싼 것
  4. 새끼나 폴리에틸렌 실을 사용
(정답률: 81%)
  • 정치망의 길그물은 어군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작은 구멍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어군이 통과 못할 작은 코"가 적당치 못한 것이 아닌 오히려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정답은 "재료가 풍부하여 값싼 것"이다. 이는 그물감의 품질과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당한 가격대의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랑어 주낙의 모릿줄이 수중에서 이루는 형상은 다음중 어느 것에 가장 가까운가?

  1. 직선
  2. 현수곡선
  3. 삼각형
(정답률: 83%)
  • 다랑어 주낙의 모릿줄이 수중에서 이루는 형상은 현수곡선에 가장 가깝습니다. 이는 다랑어 주낙의 모릿줄이 물속에서 움직이는 방식 때문입니다. 모릿줄은 물속에서 끊임없이 흔들리고, 이 때문에 모릿줄의 끝이 그리는 곡선은 현수곡선과 비슷한 형태를 띄게 됩니다. 따라서 다랑어 주낙의 모릿줄이 수중에서 이루는 형상은 현수곡선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유자망은 그물 높이(세로)가 크나 고정자망(부자망 저자망 등)은 높이가 작다. 고정자망의 높이를 크게 하지 못하는 이유는?

  1. 대상어종의 유영층이 얇기 때문
  2. 부력 및 침강력이 큰 것이 요구되기 때문
  3. 저항이 커져서 지지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
  4. 그물이 날려 경사지기 때문
(정답률: 68%)
  • 고정자망의 높이를 크게 하면 그물이 날려 경사지기 때문입니다. 즉, 바람이나 파도 등의 자연 요인에 의해 그물이 흔들리고 움직이면서 물고기가 잡히는 것을 방해하게 됩니다. 따라서 고정자망은 그물 높이를 작게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물고기를 잡을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에서 섀클(shackle)의 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G 형
  2. U 형
  3. H 형
  4. Ring 형
(정답률: 72%)
  • 정답은 "Ring 형"입니다.

    "Shackle"은 보통 선박, 해양, 건설 등에서 사용되는 고정 장치로,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 "G 형"은 고정된 핀이 있는 형태로, 핀을 빼면 열 수 있습니다.
    - "U 형"은 고정된 핀이 있는 반원형으로, 핀을 빼면 열 수 있습니다.
    - "H 형"은 핀이 없이 바로 열고 닫을 수 있는 형태입니다.
    - "Ring 형"은 고정된 핀이 없이, 링 형태로 열고 닫을 수 있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Ring 형"은 "Shackle"의 형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예망 어구에서 주로 중층 트롤 어구에만 관계가 있는 것은?

  1. Head rope
  2. Spreader
  3. Front weight
  4. Flapper
(정답률: 80%)
  • 예망 어구에서 주로 중층 트롤 어구에만 관계가 있는 것은 "Front weight"입니다. 이는 어류를 끌어올리는 역할을 하며, 어류의 무게를 균형적으로 분산시켜줌으로써 예망 어구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예망 어구 전반에 관련된 용어들이지만, "Front weight"는 중층 트롤 어구에서만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물감의 면적이 가장 넓어지는 성형율은?

  1. 90%
  2. 80%
  3. 70%
  4. 60%
(정답률: 84%)
  • 그물감의 면적은 성형율이 높을수록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성형율이 가장 낮은 60%일 때 그물감의 면적이 가장 넓어지고, 성형율이 높아질수록 면적이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70%가 가장 면적이 넓어지는 성형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가로, 세로의 뻗힌 길이가 각각 5m 인 망지에 60% 의 주름을 주었다. 세로의 길이는 약 몇 m 인가?

  1. 3.0 m
  2. 3.5 m
  3. 4.0 m
  4. 4.5 m
(정답률: 67%)
  • 망지의 가로 길이는 5m 이므로 주름을 주면 5m x 0.6 = 3m 만큼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가로 길이는 5m - 3m = 2m 가 된다. 이제 망지의 면적은 가로 2m x 세로 길이 = 5m 이므로, 세로 길이는 5m / 2m = 2.5m 가 된다. 하지만 이는 주름을 주기 전의 길이이므로, 다시 주름을 더한 후에 계산해야 한다. 주름을 주기 전의 세로 길이는 5m 이므로, 주름을 주면 5m x 0.6 = 3m 만큼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주름을 주고 나서의 세로 길이는 5m - 3m = 2m 가 된다. 이제 이 길이에 다시 주름을 더해주면, 최종적으로 세로 길이는 2m + 3m = 5m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5 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정치망을 해중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돌이나 자갈 혹은 모래등을 자루속에 넣어서 만드는 것을 무엇이라하는가?

  1. 블록
  2. 발돌
(정답률: 80%)
  • 정치망을 고정하는 것은 바다나 강에서 선박이나 배를 고정하는 것과 비슷한 원리이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바로 "멍"이다. 멍은 돌이나 자갈, 모래 등을 자루속에 넣어서 만든 것으로, 정치망을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닻"은 선박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이고, "블록"은 로프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이며, "발돌"은 바위나 돌이다. 따라서 정답은 "멍"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트롤 그물에서 자루입구 높이를 높이는 요소 중 맞는 것은?

  1. 날개 간격을 넓일 때
  2. 예망속도를 높일 때
  3. 예망속도를 낮출 때
  4. 발줄을 가볍게 하여 사용할 때
(정답률: 68%)
  • 트롤 그물의 자루입구 높이를 높이는 요소 중 맞는 것은 "예망속도를 낮출 때"입니다. 이는 자루입구를 높이면 그물이 물속에서 이동하는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고기가 그물에 걸리는 확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걸그물(자망)의 매듭은 막매듭을 사용한다. 이것은 막매듭의 무슨 특성을 이용하고 있는가?

  1. 유수의 저항이 작다.
  2. 마찰시의 마모가 적다.
  3. 매듭에 요하는 실의 양이 적게 든다.
  4. 매듭이 밀리지 않는다.
(정답률: 80%)
  • 막매듭은 끝에 노리는 실을 여러 번 반복해서 끌어 당기면서 매듭을 만들기 때문에 매듭이 밀리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물감의 침강속도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다음 중 어느 섬유로 구성하는 것이 좋은가?

  1. 폴리아미드
  2. 폴리에스터
  3.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4. 폴리 프로필렌
(정답률: 83%)
  •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는 전기적으로 중성인 섬유로서, 그물감의 침강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하 중립화가 필요한데,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는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그물감의 침강속도를 크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가 그물감의 침강속도를 높이기 위한 적합한 섬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건착망 어구에서 부력 및 침강력을 결정할 때 고려할 사항 중에서 틀린 것은?

  1. 잉여부력이 너무 작으면 뜸이 수중에 잠겨 버린다.
  2. 잉여부력이 작으면 조임시 뜸이 수중에 잠긴다.
  3. 잉여부력이 너무 크면 파망사고가 나기 쉽다.
  4. 뜸의 총부력은 어구의 총 침강력의 3.0∼5.0배가 적당하다.
(정답률: 74%)
  • "잉여부력이 작으면 조임시 뜸이 수중에 잠긴다."가 틀린 것입니다. 잉여부력이 작을수록 뜸이 물속에 잠기기 쉬워지기 때문에 조임시에도 뜸이 수중에 잠기지 않도록 충분한 잉여부력을 확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끌어구류의 뜸에 요구되는 사항 중에 틀린 것은?

  1. 높은 수압하에서도 부력의 감소가 작을 것
  2. 부력이 가능한한 작을 것
  3. 쉽게 파손이 되지 않을 것
  4. 가공이 쉬울 것
(정답률: 80%)
  • 부력이 가능한한 작을 것이 틀린 사항입니다. 끌어구류는 수중에서 떠다니는 것이 목적이므로 부력이 작을수록 더 적합합니다. 부력이 크면 끌어구류가 물 위에 떠다니는 것이 어렵고, 물속에서 움직이기도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오히려 부력이 작을수록 더 효율적인 끌어구류를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번수(Nec)법의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

  1. 무게 1파운드 되는 올의 길이가 840야드 일 때 1번수라 한다.
  2. 무게 453.6g 되는 올의 길이가 7681m 일 때 10번수라 한다.
  3. 번수의 수가 클수록 그물실 올은 가늘어진다.
  4. 번수법은 장섬유올에만 적용된다.
(정답률: 75%)
  • "번수법은 장섬유올에만 적용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번수법은 모든 종류의 그물실 올에 적용될 수 있다.

    번수법은 그물실 올의 무게와 길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무게와 길이가 주어졌을 때 그물실 올의 번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물실 올의 무게나 길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합성섬유의 계통명 중 강도와 마찰에 강하며, 비중이 물보다 작은 것은?

  1. 폴리에틸렌
  2. 폴리아미드
  3. 폴리에스테르
  4.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정답률: 79%)
  • 폴리에틸렌은 강도와 마찰에 강하며, 비중이 물보다 작은 이유는 분자 구조가 단순하고 가벼워서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폴리에틸렌은 가방, 옷 등의 소재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로프 중에서 쇠줄이 들어 있는 것은?

  1. 호사 레이드 로프 (Howser laid rope)
  2. 슈라우드 레이드 로프 (Shroud laid rope)
  3. 플레인 레이드 로프 (Plain laid rope)
  4. 컴파운드 로프 (Compound rope)
(정답률: 80%)
  • 컴파운드 로프는 쇠줄과 나일론 등 다양한 소재의 섬유로 이루어져 있어서 내구성이 뛰어나고 강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쇠줄이 들어 있는 것은 컴파운드 로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어업기기학

21. 소너의 송· 수파기 운용장치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승강장치
  2. 선회장치
  3. 부각 조정장치
  4. 진동 방지장치
(정답률: 79%)
  • 소너의 송· 수파기 운용장치는 소리를 발생시키고 수집하는 장치들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들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진동 방지장치"는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수집하는데 직접적인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진동 방지장치는 소리가 발생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며, 소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조적인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트롤어선이 예망할 때, 끌리고 있는 전개판의 양력, 항력 및 토오크 등이 작용하는데, 이들 세 힘을 동시에 측정하는 장치는?

  1. 삼분력계(三分力計)
  2. XY 측정계
  3. 양각계(兩脚計)
  4. 토오크(torque) 변환기(變換器)
(정답률: 83%)
  • 삼분력계는 세 개의 힘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 양력, 항력 및 토오크 등이 작용하는 상황에서 각각의 힘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트롤어선이 예망할 때 작용하는 세 가지 힘을 동시에 측정하기에 가장 적합한 장치입니다. XY 측정계는 평면상에서의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양각계는 두 개의 다리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토오크 변환기는 회전하는 물체의 힘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이 경우에는 세 가지 힘을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컬러 어군 탐지기에서 해저와 해저 부근의 어군 영상이 분리되어 나타나지 않는 경우는?

  1. 해저의 저질이 펄인 경우
  2. 대규모의 어군이 존재하는 경우
  3. 해저의 굴곡이 심한 경우
  4. 해저의 형상이 산맥으로 형성된 경우
(정답률: 70%)
  • 대규모의 어군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어망이나 그물 등으로 어군을 한꺼번에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어군이 분리되어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컬러 어군 탐지기에서도 해저와 해저 부근의 어군 영상이 분리되어 나타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네트 레코더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기록기
  2. 탐지 발신기
  3. 잠항 수파기
  4. 승강 선회장치
(정답률: 78%)
  • 네트 레코더는 기록기, 탐지 발신기, 잠항 수파기로 구성되며, 승강 선회장치는 네트 레코더와는 관련이 없는 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권양 원치에서 한 기어(Gear)의 반지름 200㎜, 이빨수를 48 이라 하면 이와 맞물고 있는 기어의 반지름이 300㎜ 일때 그 이빨수는?

  1. 32
  2. 56
  3. 64
  4. 72
(정답률: 75%)
  • 두 기어가 맞물리기 위해서는 이빨수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200mm 반지름 기어의 이빨수 48과 맞물리는 300mm 반지름 기어의 이빨수 x는 다음과 같은 비례식을 세울 수 있다.

    200 : 300 = 48 : x

    이를 풀면 x = 72 이므로, 정답은 "7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군탐지기에서 사용되는 습식기록지의 장점에 해당되는 것은?

  1. 증폭기가 필요 없다.
  2. 기록펜이 필요 없다.
  3. 기록이 매우 예민하다.
  4. 기록을 영구 보존할 수 있다.
(정답률: 73%)
  • 습식기록지는 증폭기나 기록펜이 필요하지 않으며, 기록이 매우 예민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습식기록지가 물방울 형태로 샘플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샘플의 양이 적어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높은 해상도로 기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록을 영구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소너(sonar)의 종류는 서치라이트 소너(search light type sonar)와 스캔닝 소너 (scanning sonar)가 있는데, 무엇을 기준으로 하여 구분하는가?

  1. 수신파의 기록방식
  2. 수신파의 증폭방식
  3. 송신파의 발사방식
  4. 수신파의 수신방식
(정답률: 88%)
  • 소너의 종류는 송신파의 발사방식에 따라 구분된다. 서치라이트 소너는 일정한 각도로 직진하는 송신파를 발사하여 전방의 대상물을 탐지하는 방식이고, 스캔닝 소너는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는 송신파를 발사하여 전방의 대상물을 탐지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정답은 "송신파의 발사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어로 기계를 구동시키는데 쓸 수 있는 동력전달 방법에 유압식이 많이 이용된다. 그 가장 큰 이유는?

  1. 전기식보다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이다.
  2. 유체 매개로 완충작용과 속도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3. 다른 동력전달 방법보다 고장이 적기 때문이다.
  4. 기계식보다 소음이 적게 나기 때문이다.
(정답률: 85%)
  • 유압식은 유체를 매개로 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완충작용과 속도 조정이 가능합니다. 이는 다른 동력전달 방법보다 더욱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트랜지스터의 전류증폭률이란 콜랙터(collecter)전압을 일정하게 하였을 때의 무엇과 무엇의 비인가?

  1. 콜랙터(collecter) 전류와 베이스(Base)전류의 비
  2. 콜랙터(collecter) 전류와 에밋터(Emitter)전류의 비
  3. 베이스(Base) 전류와 에밋터(Emitter)전류의 비
  4. 콜랙터(collecter) 전류와 에밋터(Emitter)전압의 비
(정답률: 70%)
  • 트랜지스터는 베이스(Base) 전류를 조절하여 콜랙터(collecter) 전류를 제어하는데, 이때 전류증폭률은 콜랙터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베이스 전류와 에밋터(Emitter) 전류의 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베이스(Base) 전류와 에밋터(Emitter)전류의 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꽁치 봉수망 윈치의 권양과정에 생기는 문제점이 아닌것은?

  1. 권양속도는 줄을 감는량에 따라 증가한다.
  2. 갑판상의 많은 와이어 줄로 위험하다.
  3. 돋움줄을 사용하므로 마찰계수가 증가한다.
  4. 중앙집중식 권양방식으로 개량을 요한다.
(정답률: 84%)
  • 꽁치 봉수망 윈치의 권양과정에서 생기는 문제점은 "갑판상의 많은 와이어 줄로 위험하다.", "돋움줄을 사용하므로 마찰계수가 증가한다." 입니다. 이에 따라 중앙집중식 권양방식으로 개량이 요구되는 것입니다. 권양속도는 줄을 감는 양에 따라 증가하므로 문제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어군탐지기의 기록기구 방식에 해당되는 것은?

  1. Belt type
  2. chain type
  3. C.R.T type
  4. Relay type
(정답률: 66%)
  • 어군탐지기의 기록기구 방식 중 "Belt type"은 어군탐지기에서 수신한 신호를 벨트에 기록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 방식은 신호를 빠르게 기록할 수 있고, 기록된 정보를 쉽게 읽을 수 있어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벨트가 회전하면서 기록되기 때문에 연속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정확한 어종 분류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트롤어구의 예망저항은 으로 표시된다. 다음 중 맞는 것은?

  1. ρ 는 그물의 축소율이다.
  2. Cd 는 어구의 전개면적 계수이다.
  3. St 는 흐름 방향에 대한 입구의 투영 면적이다.
  4. V2 는 어선의 저항 계수이다.
(정답률: 83%)
  • 정답은 "St 는 흐름 방향에 대한 입구의 투영 면적이다." 이다.

    이유는 트롤어구의 예망저항은 흐름 방향에 대한 입구의 투영 면적, 그물의 축소율, 어구의 전개면적 계수, 어선의 저항 계수 등 여러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위의 보기 중에서는 St가 트롤어구의 예망저항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요소이기 때문에 맞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시간적으로 변하지 않는 입력신호에 대한 계측계의 출력신호의 특성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정특성(靜特性)
  2. 부동신호(不動信號)
  3. 고정특성(固定特性)
  4. 직진특성(直進特性)
(정답률: 61%)
  • 정특성(靜特性)은 시간적으로 변하지 않는 입력신호에 대한 계측계의 출력신호의 특성을 말한다. 이는 입력신호의 크기와 출력신호의 크기 간의 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입력신호가 변하지 않는 한 출력신호도 변하지 않는 부동신호(不動信號)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고정특성(固定特性) 또는 직진특성(直進特性)이라고도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어업기기의 분류중 어업기계류에 속하는 것은?

  1. 양망기
  2. 망심계
  3. 무선부표
  4. 수중송수상기
(정답률: 82%)
  • 양망기는 어업기계류에 속하는데, 이는 어류를 잡기 위해 사용되는 기계로서 양어, 참치 등 대형 어종을 잡는 데에 주로 사용됩니다. 양망기는 큰 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포획하며, 이를 위해 배를 이용하여 바다 위에서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양망기는 어업기계류에 속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중 음속은 주로 다음 어느 것에 의해서 좌우되는가?

  1. 산소, pH, 투명도
  2. 수심, 수온, 염분
  3. 수색, 탁도, 유속
  4. 농도, 전기전도도, 유향
(정답률: 80%)
  • 수중 음속은 수심, 수온, 염분에 의해서 좌우됩니다. 이는 물의 밀도가 이 세 가지 요인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수심이 깊어질수록 물의 압력이 증가하고, 이는 밀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수온이 낮아질수록 물의 밀도가 증가하고, 염분 농도가 높아질수록 물의 밀도가 증가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수심, 수온, 염분은 수중 음속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네트 레코더를 사용하여 그 효과를 크게 올릴수 있는 어업은?

  1. 유자망어업
  2. 들그물어업
  3. 트롤어업
  4. 건착망어업
(정답률: 75%)
  • 네트 레코더는 물속에서 물고기의 소리를 촬영하여 어종의 위치와 수량을 파악하는 장비입니다. 이 장비를 사용하여 어업을 할 때, 효과를 크게 올릴 수 있는 어업은 물고기가 떠다니는 표층에서 먹이를 찾는 특성을 가진 트롤어업입니다. 트롤어업은 물고기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노마드식 어업보다 높은 효율을 보이며, 네트 레코더를 사용하여 더욱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트롤어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개판 감시 장치(otter graph)의 송ㆍ수파기 부착 위치는?

  1. 선미 갤로우스
  2. 톱 롤러(top roller)
  3. 전개판(otter board)
  4. 트롤 윈치(trawl winch)
(정답률: 87%)
  • 전개판 감시 장치(otter graph)는 전개판(otter board)에 부착됩니다. 이는 전개판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물고기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개판(otter board)"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개판과는 관련이 있지만, 송ㆍ수파기 부착 위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인력을 동력단위로 환산할 때는 연속작업이 가능한 힘을 기준으로 한다. 그 기준은 몇 kg· m/sec인가?

  1. 6
  2. 12
  3. 15
  4. 20
(정답률: 71%)
  • 인력을 동력단위로 환산할 때의 기준은 1kgf·m/s이다. 이는 1kg의 물체를 1초 동안 1m/s의 속도로 가속시키는 데 필요한 힘의 크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연속작업이 가능한 힘을 기준으로 환산할 때는 6kgf·m/s가 기준이 된다. 이는 1kg의 물체를 1초 동안 6m/s의 속도로 가속시키는 데 필요한 힘의 크기와 같다. 따라서 정답은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초음파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에너지의 분산이 적다.
  2. 전파속도는 가청 음파보다 빠르다.
  3. 지향성이 있다.
  4. 수중의 여러잡음에 방해되지 않는다.
(정답률: 62%)
  • "전파속도는 가청 음파보다 빠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초음파는 고주파수 음파로, 전파속도가 가청 음파보다 빠르다. 이는 초음파가 더 짧은 파장을 가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파장이 짧을수록 전파속도가 빠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회전 양망판(Turn table) 을 사용하는 양망 방법은 어떤 어구에 적용되어 왔는가?

  1. 트로올
  2. 저인망
  3. 정치망
  4. 선망
(정답률: 82%)
  • 회전 양망판은 양망 어구 중에서 선망에 적용되어 왔습니다. 이는 양망을 물속에 던져서 물고기를 잡는 방법 중 하나인데, 회전 양망판을 사용하면 물속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물고기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어장학

41. 다음 중 어장 성립과 관계가 가장 깊은 것은?

  1. 어획하는 대상어종이 매우 다양해야 한다.
  2. 어류가 무리를 이루고만 있으면 된다.
  3. 잡는 어류가 현재에는 유용성이 없어도 좋다.
  4. 어류가 무리를 이루고 있는 것을 어획 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85%)
  • 어장은 어류가 무리를 이루고 있는 것을 어획 할 수 있어야 성립할 수 있기 때문에, "어류가 무리를 이루고 있는 것을 어획 할 수 있어야 한다."가 가장 관계가 깊다. 다른 보기들은 어획 대상 어종의 다양성이나 유용성 등과는 관련이 있지만, 어류가 무리를 이루고 있지 않으면 어장이 성립할 수 없다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우리 나라 동해의 해황과 오징어 어장 형성과의 관계에서 어황이 좋을 때는?

  1. 냉수괴가 연안에 접근하여 남북으로 뻗고 난류의 북상 세력이 약한 때
  2. 냉수괴의 남하 세력이 강하여 난류의 주류가 원해로 밀려 나갈 때
  3. 한류 세력이 너무 약하고 난류 세력이 강하여 적수온 대가 중층 이하까지 발달할 때
  4. 한난 양류의 세력이 균형되어 조경이 연안 가까이에 남북으로 형성될 때
(정답률: 72%)
  • 해황과 오징어 어장 형성은 냉수괴와 난류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어황이 좋을 때는 냉수괴가 연안에 접근하여 남북으로 뻗고, 난류의 북상 세력이 약한 상황에서 한난 양류의 세력이 균형되어 조경이 연안 가까이에 남북으로 형성될 때입니다. 이러한 조건에서는 적수온 대가 중층 이하까지 발달하지 않아 해황과 오징어 어장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어종 중 동해에서 어획되지 않는 것은?

  1. 오징어
  2. 명태
  3. 꽁치
  4. 조기
(정답률: 62%)
  • 조기는 동해에서 어획되지 않는 어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저서 어류의 주 먹이가 되는 것은?

  1. 유영동물(Nekton)
  2. 저서동물(Benthos)
  3. 동물성 플랑크톤(Zooplankton)
  4. 식물성 플랑크톤(Phytoplankton)
(정답률: 79%)
  • 저서동물은 해저 바닥에서 살며, 어류들의 주요 먹이원이 됩니다. 이는 저서동물이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동물성 플랑크톤과 식물성 플랑크톤을 먹이로 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서동물은 어류의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우리나라의 남해안에서 쓰시마 난류와 남해안 연안수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조경역에서 가장 많이 잡히는 어류는?

  1. 명태, 대구
  2. 고등어, 정어리
  3. 오징어, 도루묵
  4. 조기, 민어
(정답률: 72%)
  • 쓰시마 난류와 남해안 연안수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조경역은 바다의 영양분이 많아서 어류가 많이 서식하는 지역입니다. 이 지역에서 가장 많이 잡히는 어류는 고등어와 정어리입니다. 이는 고등어와 정어리가 바다의 영양분이 많은 지역에서 자주 발견되는 어종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명태, 대구, 오징어, 도루묵, 조기, 민어는 이 지역에서도 잡히지만 고등어와 정어리보다는 적게 잡히는 어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여름철에 가장 비를 잘 내리게 하는 구름은?

  1. 난층운
  2. 고층운
  3. 권운
  4. 적란운
(정답률: 80%)
  • 적란운은 수증기가 많은 대기에서 발생하는 구름으로, 높은 고도에서 형성되어 비를 많이 내리게 됩니다. 따라서 여름철에 가장 비를 잘 내리게 하는 구름은 적란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태풍은 다음 중 어떤 것이 발달한 것인가?

  1. 온대성 저기압
  2. 열대성 저기압
  3. 지형성 저기압
  4. 이동성 고기압
(정답률: 70%)
  • 태풍은 열대 지역에서 발달하는 저기압 현상입니다. 열대 지역에서는 해수면 온도가 높아 공기가 상승하면서 저기압이 형성됩니다. 이 저기압이 강력해지면서 회전력을 가지게 되고, 이로 인해 태풍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태풍은 "열대성 저기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꽁치의 생태적 특징이다. 옳지 못한 것은?

  1. 추광성이 약하나 산란기에 특히 강하다.
  2. 군집성이 강하다.
  3. 산란기에 물체에 대한 주성이 강하다.
  4. 전형적인 표층어이다.
(정답률: 73%)
  • "추광성이 약하나 산란기에 특히 강하다."가 옳지 못한 것이다. 꽁치는 추광성이 강하며, 산란기에는 추광성이 약해진다. 산란기에는 물체에 대한 주성이 강해지는 것이 맞다. 꽁치는 군집성이 강하며, 전형적인 표층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생태계에서 대양구의 생산층 이하 수층은?

  1. 자급 영양적 생태계
  2. 보급 영양적 생태계
  3. 보상 심도 생태계
  4. 영양 생태계
(정답률: 66%)
  • 대양구의 생산층 이하 수층은 "보급 영양적 생태계"입니다. 이는 대양구가 작은 크기의 식물과 동물을 먹는데 의존하며, 이러한 작은 식물과 동물들이 다른 큰 동물들에게도 영양을 공급하는 생태계를 말합니다. 이러한 생태계는 대양구와 같은 작은 동물들이 생존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에 용승이 일어날 때 나타나는 주 현상인 것은?

  1. 표면 수온이 높아진다.
  2.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가
  3. 탁도가 커진다.
  4. 영양염류의 결핍 현상이 일어난다.
(정답률: 71%)
  • 용승이 일어날 때, 해수면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더 많은 양의 영양염이 해수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식물성 플랑크톤이 증가합니다. 이러한 식물성 플랑크톤은 빛을 흡수하면서 산소를 방출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산소가 부족한 해양에서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가로 인해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어 생물 다양성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병에 채수를 할 때 가장 먼저 하여야 할 것은?

  1. pH 측정
  2. 산소량 측정
  3. 염분 측정
  4. plankton 측정
(정답률: 77%)
  • 병에 채수하기 전에 pH 측정을 해야합니다. 이는 물의 산성 또는 알칼리성을 파악하여 물의 화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물 속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미생물과 생물체들의 생존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H 측정은 물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티-에스 도표(T-S diagrom)와 관련이 가장 먼 것은?

  1. 수괴분석
  2. 적조발생해역 검출
  3. 해수의 안정도 판단
  4. 해양관측의 오차 검출
(정답률: 74%)
  • 티-에스 도표는 해양관측에서 수질의 안정성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다. 반면, 적조발생해역 검출은 해양생태계에서 적조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파악하기 위한 작업이다. 따라서, "적조발생해역 검출"이 가장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일반적으로 항구의 조석주기는 평균 얼마인가?

  1. 6시간 25분
  2. 12시간 25분
  3. 24시간 25분
  4. 18시간 25분
(정답률: 76%)
  • 일반적으로 항구의 조석주기는 12시간 25분이다. 이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의해 인해 발생하는 만월력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한다. 지구는 자전하면서 자기 중심축 주위를 24시간 동안 한 바퀴 돌게 되는데, 이 때 지구의 중심축은 태양과 수평을 이루는 평면과 약 23.5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와 태양의 위치에 따라 조석주기가 변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를 만월력이라고 한다. 이러한 만월력의 영향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항구의 조석주기는 12시간 25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조경 어장 형성의 원리를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와동이 형성되며, 수렴역과 발산역이 존재한다.
  2. 조경은 환경의 장벽 역할을 한다.
  3. 발산역에서는 플랑크톤 등 영양염의 농밀한 집결 현상이 나타난다.
  4. 조경의 와동은 양 수괴의 수온차가 클수록 커진다.
(정답률: 62%)
  • "발산역에서는 플랑크톤 등 영양염의 농밀한 집결 현상이 나타난다."가 잘못된 것이다. 실제로는 발산역에서는 영양염의 농도가 낮아지고, 플랑크톤 등이 분산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조경 어장에서 발생하는 수질환경의 특성으로, 조경 내부에서는 영양염이 집중되고, 플랑크톤 등이 집결하는 수렴역과는 반대로 발산역에서는 영양염이 희석되고, 플랑크톤 등이 분산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대륙붕이 좋은 어장이 되는 것을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육지에서 하천수 또는 기타에 의하여 각종의 영양염이 많이 유입되기 때문이다.
  2. 수심이 비교적 낮아서 태양광선이 해저에까지 잘 투입되기 때문이다.
  3. 식물성 플랑크톤과 동물성 플랑크톤이 많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4. 한· 난 양류가 교차하여 전선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70%)
  • "한· 난 양류가 교차하여 전선을 형성하기 때문이다."가 잘못된 것입니다. 대륙붕은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는 지역이기 때문에 양류가 형성되는데, 이는 양류가 아닌 역류를 형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랑어류의 생태와 습성에 관한 설명 중 옳지 못한 것은 ?

  1. 대부분 난류성으로 난류를 타고 대규모 회유를 한다.
  2. 먹이는 전형적인 동물성 플랑크톤 포식어이다.
  3. 서식수심은 그 범위가 넓어서 어떤 때는 표면 가까이도 있으나 때로는 수심 300 - 400m 까지 이른다.
  4. 산란, 번식이 행해지는 곳은 위도가 30° 보다 저위도인 수역이다.
(정답률: 71%)
  • "먹이는 전형적인 동물성 플랑크톤 포식어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다랑어류는 동물성 플랑크톤 뿐만 아니라 작은 어류나 작은 동물도 먹이로 삼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수온변화가 어류에게 직접 영향을 미치는 사항이 아닌것은?

  1. 회유로 변경
  2. 발생
  3. 유영 속도
  4. 색이율
(정답률: 66%)
  • 색이율은 수온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물리적인 성질이기 때문에 어류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색이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의 해류 중 중· 저층류에 속하는 것은?

  1. 쿠로시오
  2. 크롬웰 해류
  3. 카나리 해류
  4. 걸프 스트림
(정답률: 66%)
  • 크롬웰 해류는 중층류에 속합니다. 이는 북극에서 시작하여 대서양을 향해 흐르는 해류로, 수온이 낮은 중층수가 주요 구성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엘리뇨 현상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쿠로시오
  2. 걸프 스트림
  3. 남북적도류
  4. 북적도반류
(정답률: 63%)
  • 엘리뇨 현상은 태평양의 열대 해류와 관련이 있습니다. 북적도반류는 태평양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해류로, 이 해류가 엘니뇨 현상을 유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북적도반류가 약해지면 태평양 동쪽에서 따뜻한 수온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엘니뇨 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북적도반류는 엘니뇨 현상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자망 어업에 있어서 최대의 어획이 이루어질 수있는 조건은?

  1. 맑은 날 주간
  2. 흐린 날 주간
  3. 맑은 날 야간
  4. 그름이 낀 그믐밤
(정답률: 73%)
  • 그름이 낀 그믐밤이 최대의 어획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이다. 이는 어류들이 밤에 먹이를 찾기 위해 떠오르기 때문이다. 또한 그믐한 날씨는 어류들이 더욱 안전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물의 흐름도 더욱 부드러워져 어획이 쉬워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어법학

61. 외두리 및 쌍두리 건착망 어법의 비교에 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외두리식이 보다 쉽게 어군을 포위할 수 있다.
  2. 나쁜 해황일 때 쌍두리식에 조업이 안전하다.
  3. 쌍두리식이 어선의 대형화가 쉽다.
  4. 외두리식이 조류나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정답률: 68%)
  • 외두리식은 바다의 외각부분에 건설되어 있기 때문에 조류나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이는 어선의 안전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꽁치의 주광성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르지 못한 것은?

  1. 섭이량이 작을수록 주광성이 크다.
  2. 산란군이 주광성이 약하다.
  3. 생식소의 숙도가 미숙일수록 주광성이 크다.
  4. 달빛은 집어효과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82%)
  • 달빛은 집어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이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꽁치의 주광성은 섭이량이 작을수록, 생식소의 숙도가 미숙할수록 크며, 산란군은 주광성이 약합니다. 달빛은 광어류의 눈이 더 잘 보이게 하여 먹이를 더 잘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라디오 부이(radio buoy)를 많이 사용하는 어업은?

  1. 기선선망
  2. 정치망
  3. 다랑어 주낚
  4. 가다랑어 채낚기
(정답률: 61%)
  • 라디오 부이는 어종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다랑어 주낚은 대게 떠다니는 라디오 부이를 이용하여 다랑어 어종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위치로 이동하여 어획을 하는 어업 방식입니다. 따라서 다랑어 주낚은 라디오 부이를 많이 사용하는 어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권현망 어구에서 어군이 아래쪽으로 도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있는 것은?

  1. 문턱
  2. 앞창
  3. 호장
  4. 고깔
(정답률: 84%)
  • 권현망 어구에서 어군이 아래쪽으로 도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문턱"입니다. 문턱은 어군이 피할 수 없도록 높이 만들어진 장애물로, 어군이 위쪽으로 도피하도록 유도합니다. 이를 통해 어군이 더 쉽게 포획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외두리 건착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투.양망 시간의 단축
  2. 외해나 원거리에서 조업 가능
  3. 어로장치의 기계화로 인력 감소
  4. 조업의 연속성
(정답률: 47%)
  • 외두리 건착망의 장점 중 "투.양망 시간의 단축"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외두리 건착망은 어로장치의 기계화로 인력 감소와 조업의 연속성을 높일 수 있으며, 외해나 원거리에서도 조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투.양망 시간을 단축시키는 특별한 기능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중층 트롤어구에서 사용하는 전개판의 예행점의 위치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자루입구는 수평뿐아니라 수직으로도 충분히 깊어야 한다
  2. 자루입구의 밑변이 윗변과 같이 나오거나 더 나오는 것이 좋다.
  3. 어구는 유수저항이 작고 물의 혼란, 잡음 진동 등이 적어야 한다.
  4. 일정한 예망력으로는 그물을 크게 하는것 보다 예망 속도가 빠른 것이 좋다.
(정답률: 70%)
  • "일정한 예망력으로는 그물을 크게 하는것 보다 예망 속도가 빠른 것이 좋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예망력이란 어떤 물체가 그물에 걸리는 확률을 의미하는데, 그물의 크기가 커질수록 예망력은 높아지지만 그만큼 그물을 끌어올리는데 드는 노력도 더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정한 예망력을 유지하면서 예망 속도가 빠른 그물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방어 정치망에서 길그물의 부설과 어군의 반응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르지 못한 것은?

  1. 어초는 될수 있는한 길그물 후면에 둘 것
  2. 길그물의 전방은 펄, 모래로 해저가 어둡고 후면은 밝은 곳
  3. 길그물의 부설 방향과 등심선과 이루는 각도는 90° 이상 130-140° 가 좋다.
  4. 길그물은 가능한 해안선에 평행하게 설치할 것
(정답률: 58%)
  • "길그물의 부설 방향과 등심선과 이루는 각도는 90° 이상 130-140° 가 좋다."는 올바르지 못한 설명입니다.

    길그물은 가능한 해안선에 평행하게 설치하는 것이 좋은 이유는 해안선과 평행하게 설치하면 바다의 흐름이 길그물을 따라가기 때문에 어종들이 더 쉽게 길그물에 모이게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길그물이 해안선과 평행하게 설치되면 바다의 파도에도 더 잘 버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길그물은 가능한 해안선에 평행하게 설치할 것"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랑어 주낙어구에서 낚시는 다음 중 어느 부분과 연결되는가?

  1. 모릿줄
  2. 웃아리
  3. 중간아리
  4. 목아리
(정답률: 50%)
  • 다랑어 주낙어구에서 낚시할 때, 낚시줄과 미끼를 달아주는 부분이 "목아리"에 연결된다. 목아리는 낚시줄을 고정시켜주는 부분으로, 미끼를 달아주는 고리가 달려있다. 따라서 목아리는 낚시를 시작하는 가장 기본적인 부분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안강망 어법에 관한 내용 중 바르게 설명된 것은?

  1. 조류가 빠른곳에서 조업한다.
  2. 유도함정어법에 속한다.
  3. 어구를 예인하면서 조업하기도 한다.
  4. 주로 중층성 어족을 어획한다.
(정답률: 79%)
  • 조류가 빠른곳에서 조업하는 이유는 유도함정어법에 속하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물고기가 먹이를 먹으러 오는 길에 함정을 설치하여 어획하는 방법으로, 물고기가 빠른 속도로 헤엄치는 물길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조류는 어구를 예인하면서 조업하기도 하며, 주로 중층성 어족을 어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정치망은 구조 현상 조작 조건등 여러갈래로 분류할 수있다. 그 중 가장 발달한 어구는?

  1. 대부망
  2. 낙망
  3. 승망
  4. 장망
(정답률: 75%)
  • 정치망은 성공 혹은 실패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대부망"은 성공적인 정치망을 의미하며, "승망"은 성공 가능성이 있는 정치망을 의미한다. "장망"은 아직 발전 가능성이 있는 정치망을 의미하며, "낙망"은 실패한 정치망을 의미한다. 따라서, "낙망"이 가장 발달한 어구인 이유는 실패한 정치망이 많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평판형 전개판의 최대 유효 진행 각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25°
  2. 35°
  3. 45°
  4. 55°
(정답률: 75%)
  • 평판형 전개판은 평면에서 펼쳐진 모양이므로, 각 변이 서로 만나는 지점에서의 각도의 합은 360도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전개판의 각 꼭짓점에서의 진행 각도의 합은 360도가 되어야 합니다.

    만약 전개판의 꼭짓점이 10개라면, 각 꼭짓점에서의 진행 각도는 36도가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평판형 전개판은 대개 4개의 꼭짓점을 가지므로, 각 꼭짓점에서의 진행 각도는 90도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4개의 꼭짓점에서의 진행 각도의 합은 360도가 되어야 하므로, 각 꼭짓점에서의 진행 각도는 90도가 되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최대 유효 진행 각도는 35도가 됩니다. 이유는, 45도나 55도는 꼭짓점에서의 진행 각도가 90도를 넘어가므로, 전개판을 평면에 펼칠 수 없습니다. 반면에 25도는 꼭짓점에서의 진행 각도가 90도보다 작아서, 전개판을 평면에 펼칠 수는 있지만, 최대 유효 진행 각도가 아니기 때문에 선택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최대 유효 진행 각도는 35도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기선 권현망의 자루그물에 가장 많이 쓰이는 망지는?

  1. 결절망지
  2. 관통망지
  3. 여자망지
  4. 라셸망지
(정답률: 84%)
  • 기선 권현망은 여성용 속옷을 만드는 회사이기 때문에, 가장 많이 쓰이는 망지는 여자망지입니다. 여자망지는 부드러운 털감과 흡수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여성용 속옷에 적합합니다. 결절망지는 두꺼워서 사용하기 불편하고, 관통망지는 통기성이 좋지 않아 땀이 많이 나는 여성용 속옷에는 부적합합니다. 라셸망지는 미끄러움이 심해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안강망 어업의 주 조업시기는?

  1. 대조를 중심으로 전후 약 10일간
  2. 소조를 중심으로 전후 약 10일간
  3. 대조 직후부터 약 10일간
  4. 소조 직후부터 약 10일간
(정답률: 62%)
  • 안강망 어업에서 주요한 어종인 대구는 겨울철에 번식기를 맞이하며, 이때 떼를 이루어 이동하면서 어장을 찾아다닙니다. 따라서 대조나 소조가 일어나는 시기에는 대구 떼가 어장을 찾아 이동하는데, 이때 어장에서 대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주요 어업 시기가 됩니다. 이때 대조나 소조가 일어나는 기간은 대략 10일 정도이므로, 주 조업시기는 "대조를 중심으로 전후 약 10일간"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안강망 어법의 개량식 어구에 해당되는 것은?

  1. 어구를 전개시키기 위하여 수해가 있다.
  2. 어구를 전개시키기 위하여 암해가 있다.
  3. 아궁이의 양옆에 범포가 붙여 있다.
  4. 아궁이의 상하변에 뜸줄과 발줄이 없다.
(정답률: 80%)
  • 안강망 어법은 한국어 문장에서 주어와 동사를 중심으로 어구를 전개시키는 어법입니다. 따라서 "어구를 전개시키기 위하여 수해가 있다."나 "어구를 전개시키기 위하여 암해가 있다."는 안강망 어법과는 관련이 없는 문장입니다.

    반면에 "아궁이의 양옆에 범포가 붙여 있다."는 안강망 어법의 개량식 어구에 해당됩니다. 이는 주어인 "아궁이"와 동사인 "붙여 있다"를 중심으로 어구를 전개시키는 것입니다. "아궁이의 상하변에 뜸줄과 발줄이 없다."도 마찬가지로 안강망 어법의 개량식 어구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정치망에서 적절한 멍의 고정계수를 위한 멍줄의 길이는 수심의 몇배 정도가 적절한가?

  1. 1.5 - 2배
  2. 2 - 2.5배
  3. 2.5 - 3배
  4. 3 - 3.5배
(정답률: 71%)
  • 정치망에서 멍줄의 길이는 수심의 2.5-3배가 적절하다. 이는 멍의 고정력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멍줄이 너무 짧으면 멍이 바닥에 닿아서 효과가 없어지고, 너무 길면 멍이 떨어져서 정치망이 흔들리거나 뒤집힐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길이를 유지하여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기선저인망 어법에서 양선 간격과 갯대 간격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갯대 간격이 넓어지면 그물아궁이는 낮아진다.
  2. 갯대 간격이 너무 넓어지면 어구전체의 저항이 증가한다.
  3. 갯대 간격이 좁을수록 아궁이는 계속 높아진다.
  4. 양선 간격은 갯대 간격의 10배 정도가 무난하다.
(정답률: 56%)
  • "갯대 간격이 좁을수록 아궁이는 계속 높아진다."가 틀린 내용이다. 실제로는 갯대 간격이 좁을수록 아궁이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갯대 간격이 좁을수록 그물이 더 많이 겹쳐지기 때문에 그물아궁이가 낮아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랑어 주낚용 미끼가 아닌 것은?

  1. 꽁치
  2. 고등어
  3. 오징어
  4. 멸치
(정답률: 65%)
  • 다랑어는 작은 물고기를 주로 먹기 때문에, 다랑어 주낚용 미끼는 작은 물고기를 모방한 것이어야 합니다. 꽁치, 고등어, 오징어는 모두 다랑어가 먹는 작은 물고기를 모방한 주낚용 미끼입니다. 하지만 멸치는 다랑어가 먹는 작은 물고기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종류이기 때문에, 다랑어 주낚용 미끼로 가장 적합한 물고기입니다. 따라서 멸치는 다랑어 주낚용 미끼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트로올(Trawl)에 사용하는 전개판(Otter board)의 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로우러형
  2. 평판형
  3. 타원형
  4. 만곡형
(정답률: 73%)
  • 로우러형은 전개판의 윗부분이 둥그렇게 굽어져 있고 아랫부분이 평평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전개판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물의 압력을 이용하여 물고기를 잡는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고안된 형태입니다. 반면에 평판형, 타원형, 만곡형은 전개판의 형태가 각각 평평하거나 곡선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유자망 어법에서 어군의 진행방향을 알 수 없을 때의 투망 방향은?

  1. 조류방향에 평행
  2. 조류방향에 수직
  3. 풍향에 평행
  4. 풍향에 수직
(정답률: 75%)
  • 유자망 어법에서 어군의 진행방향을 알 수 없을 때는 조류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투망해야 합니다. 이는 조류가 바다의 물동량을 이동시키는 힘이 크기 때문에, 어군도 조류의 영향을 받아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류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투망하면 어군을 놓치지 않고 잡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대상어종의 후각과 관계가 있는 어업은?

  1. 멸치 권현망 어업
  2. 오징어 채낚기 어업
  3. 꽁치 자망 어업
  4. 붕장어 통발 어업
(정답률: 83%)
  • 붕장어는 냄새에 민감한 대상어종으로, 특히 통발 어업에서는 미리 냄새를 맡아 붕장어가 모여들게 하여 어업 성공률을 높이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붕장어 통발 어업은 대상어종의 후각과 관계가 있는 어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