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5-20)

해양환경기사
(2012-05-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해양학개론

1. 다음 중 조력발전의 최적지는?

  1. 가로림만
  2. 광양만
  3. 마산만
  4. 영일만
(정답률: 78%)
  • 가로림만은 조력발전에 적합한 지형적 조건과 해양에너지 발전에 필요한 바람과 조류 등의 자연환경적 조건이 모두 갖추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인구 밀도가 낮아 환경오염의 위험이 적고, 인근에 산업단지가 없어 발전에 따른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대양의 표층수 대순환은 주로 무엇에 의한 것인가?

  1. 열염(熱廉)순환
  2. 풍성(風成)순환
  3. 열 순환
  4. 염 순환
(정답률: 82%)
  • 대양의 표층수 대순환은 풍성(風成)순환에 의해 일어납니다. 이는 바람이 대기와 함께 대양의 표층수를 이동시키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바람이 일어나는 지역에서는 표층수가 이동하면서 따뜻한 물이 차가운 물로 대체되고, 차가운 물은 따뜻한 물로 대체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대기와 대양의 열과 염분이 혼합되어 전 세계적인 기후와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사행경로(사류, meandering currents)에서 작용하고 있는 힘은?

  1. 관성력, 코리올리힘
  2. 관성력, 코리올리힘, 바람의 응력
  3. 관성력, 코리올리힘, 원심력
  4. 코리올리힘, 바람의 응력, 원심력
(정답률: 62%)
  • 사행경로에서 작용하는 힘은 "관성력, 코리올리힘, 원심력"입니다.

    - 관성력: 물체가 직선 운동을 유지하려는 성질로, 사행경로에서 물체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려는 성질입니다.
    - 코리올리힘: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힘으로, 사행경로에서 물체가 운동하는 방향에 수직으로 작용합니다.
    - 원심력: 곡선 운동을 하는 물체가 중심으로 향하는 힘으로, 사행경로에서 물체가 곡선 운동을 하면서 중심으로 향하는 힘이 작용합니다.

    따라서, 사행경로에서 작용하는 힘은 이 세 가지 힘이 모두 작용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미나마타병과 이타이 이타이병의 원인이 되는 해양오염물질은 각각 무엇인가?

  1. 납, 구리
  2. 수은, 카드뮴
  3. 구리, 수은
  4. 납, 카드뮴
(정답률: 90%)
  • 미나마타병과 이타이 이타이병은 둘 다 신경계 질환으로, 원인은 수은과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 오염물질에 노출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은, 카드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일반적으로 지각열류량이 가장 작은 곳은?

  1. 해구
  2. 해산
  3. 해양분지
  4. 대양저산맥
(정답률: 60%)
  • 일반적으로 지각열류량이 가장 작은 곳은 해구이다. 이는 해구가 해양과 대륙 사이에 위치하여 바다와 육지의 온도 차이가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각열류량이 작아지게 된다. 반면에 해산과 해양분지는 바다의 온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지각열류량이 높아진다. 대양저산맥은 지각적으로 활동적인 지역으로 지각열류량이 높은 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심해퇴적물 중 제오라이트(zeolite)의 기원은?

  1. 생물
  2. 우주
  3. 화산
  4. 풍성
(정답률: 57%)
  • 제오라이트는 화산 활동으로 인해 생성된 암석에서 유래되었다. 화산 활동으로 인해 많은 미네랄이 생성되는데, 그 중에서도 제오라이트는 화산재가 물에 녹아들어가면서 생성된다. 따라서 제오라이트는 화산 활동이 있었던 지역에서 발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망간단괴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원소는?

  1. 니켈
  2. 구리
  3. 코발트
(정답률: 79%)
  • 망간단괴는 주로 철과 함께 존재하며, 철은 망간단괴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원소입니다. 이는 철이 망간과 함께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광물인 피레트라이트(Pyrolusite)와 함께 망간산염 광물로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망간단괴에서 철 함량이 가장 높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석유가 매장되어 있을 수 있는 기본적인 지층구조 및 퇴적층이 아닌 것은?

  1. 심해저 점토층
  2. 석회암
  3. 사암
  4. 솔트 돔(Salt dome)
(정답률: 72%)
  • 심해저 점토층은 석유가 매장되어 있을 수 있는 지층구조나 퇴적층이 아닙니다. 이는 단순히 해저 바닥에 쌓인 점토층으로, 석유가 형성되는데 필요한 유기물이 축적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석유가 발견될 가능성이 매우 적습니다. 반면, 석회암, 사암, 솔트 돔은 석유가 매장될 수 있는 지층구조나 퇴적층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코리올리 힘의 벡터 표시를 나타내는 식은? ( : 지구의 각운동 벡터, V : 유체의 속도, m : 유체의 질량)

(정답률: 66%)
  • 코리올리 힘은 지구의 각운동과 유체의 속도에 의해 발생하는 힘이다. 이 때, 코리올리 힘의 벡터 표시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식에서 왼쪽의 벡터는 코리올리 힘의 크기와 방향을 나타내고, 오른쪽의 벡터는 지구의 각운동 벡터와 유체의 속도 벡터를 곱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 때, 벡터의 곱셈은 두 벡터의 크기와 두 벡터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결정되는 벡터를 의미한다.

    따라서, 코리올리 힘의 벡터 표시는 지구의 각운동 벡터와 유체의 속도 벡터의 크기와 각도에 따라 결정되는 벡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열대저기압과 발생지역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태풍(Typhoon) - 북태평양
  2. 허리케인(Hurricane) - 북대서양
  3. 사이클론(Cyclone) - 북인도양
  4. 윌리윌리(Willy-Willies) - 지중해
(정답률: 85%)
  • 윌리윌리는 호주와 주변 지역에서 발생하는 열대저기압으로, 지중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윌리윌리(Willy-Willies) - 지중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우리나라 남해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해류는?

  1. 북태평양해류
  2. 오야시오(Oyashio)
  3. 중국연안수
  4. 쓰시마 난류수(Tsushima current)
(정답률: 76%)
  • 정답: 쓰시마 난류수(Tsushima current)

    이유: 쓰시마 난류수는 일본과 한반도 사이를 흐르는 남북방향의 해류로, 북태평양에서 유입된 따뜻하고 염분이 높은 수와 차가운 수가 섞여 형성됩니다. 이러한 쓰시마 난류수는 우리나라 남해안의 기후와 해양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며, 남해안의 수온, 염분, 어류 분포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생물기원 퇴적물 중 해수에서 직접 침전한 것이 아니라 석회질 퇴적물이 퇴적한 후 속성작용을 받는 동안 Ca이 석회질 퇴적물 혹은 공극수 내에 풍부한 Mg으로 치환되어 생성된 것은?

  1. Aragonite
  2. Barite
  3. Calcite
  4. Dolomite
(정답률: 87%)
  • 해수에서 직접 침전한 것이 아니라 석회질 퇴적물이 퇴적한 후 속성작용을 받는 경우, Ca가 석회질 퇴적물 내부에서 Mg로 치환되어 생성된 것을 돌로마이트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Dolomit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해양의 포면염분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1. 증발-강수량의 차
  2. 바람분포
  3. 수온분포
  4. 심해층류
(정답률: 89%)
  • 해양의 포면염분 분포는 증발과 강수량의 차이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즉, 증발이 많이 일어나고 강수량이 적으면 포면염분 농도가 높아지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농도가 낮아집니다. 이는 해양에서 물의 증발과 강수량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바람분포나 수온분포, 심해층류도 포면염분 분포에 영향을 미치지만, 증발-강수량의 차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망간단괴가 가장 풍부하게 발견되는 곳은?

  1. 북대서양 적도 부근
  2. 남태평양 적도 부근
  3. 북태평양 적도 부근
  4. 남극해 주변
(정답률: 75%)
  • 망간단괴는 딥씨포라이트라는 해저 산호초에서 형성되는데, 이 딥씨포라이트가 가장 발달한 지역이 북태평양 적도 부근이기 때문입니다. 이 지역은 딥씨포라이트가 형성되기에 적합한 조건인 적당한 수온, 염분농도, 영양분 등이 모두 갖춰져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하구(estuary)에서 조석의 특징은?

  1. 낙조류가 일어나는 시간이 짧다.
  2. 소조 때 강한 낙조류가 생긴다.
  3. 만조에서 간조까지의 시간차가 짧다.
  4. 간조에서 만조까지의 시간차가 짧다.
(정답률: 53%)
  • 하구는 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역으로, 조석은 이 지역에서 바다와 강의 조류가 만나는 지점을 말합니다. 이 때, 강과 바다의 조류가 만나면서 강에서 바다로 향하는 낙조류와 바다에서 강으로 향하는 소조류가 만나게 됩니다. 이 중에서 하구에서는 강과 바다의 조류가 만나는 지점이 비교적 좁기 때문에, 강과 바다의 조류가 만나는 시간차가 짧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간조에서 만조까지의 시간차가 짧다는 것이 조석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해수 중 화학원소의 평균 체류시간(mean residence time)의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1. 제거량/유입량
  2. 용존농도/총량
  3. 제거속도/유입속도
  4. 해수증의 총량/유입속도또는 제거속도
(정답률: 72%)
  • 해수 중 화학원소의 평균 체류시간은 해당 원소가 해수 중에 머무르는 평균적인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해당 원소의 해수증의 총량을 유입속도 또는 제거속도로 나누어주면 됩니다. 이유는 유입속도와 제거속도는 해당 원소가 해수 중에서 이동하는 속도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입속도로 나누면 해당 원소가 해수 중에서 머무르는 평균 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제거속도로 나누면 해당 원소가 해수 중에서 제거되는데 걸리는 평균 시간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북반구에서 편향력의 방향이 서 → 동 이라면 지형류의 방향은?

  1. 동 → 서
  2. 남 → 북
  3. 북 → 남
  4. 서 → 동
(정답률: 64%)
  • 북반구에서 편향력의 방향이 서 → 동이면, 지형류의 방향은 북 → 남이 됩니다. 이는 코리올리 효과 때문입니다. 북반구에서는 대기가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면서 돌아가는데, 이 때 돌아가는 방향이 서 → 동입니다. 따라서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지형류는 코리올리 효과에 의해 우측으로 편향되어 남 → 북으로 흐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천해파의 경우 위상속도(C)와 군속도(group velocity: Cg) 사이의 관계는?

  1. C=Cg
  2. C=√Cg
  3. C=Cg2
(정답률: 76%)
  • 천해파의 경우 위상속도와 군속도는 같은 값을 가집니다. 이는 천해파가 일정한 주기로 진동하며, 그 진동이 일정한 속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C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대양저 산맥에서 일어나는 화산활동을 연구하려고 할 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지역은?

  1. 하와이
  2. 아이슬란드
  3. 일본 후지산
  4. 미국 세인트헬렌 화산
(정답률: 78%)
  • 아이슬란드는 대양저 산맥에서 가장 활발한 화산활동이 일어나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이 지역은 북극권에 위치하며, 지열 활동이 매우 활발하여 많은 화산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또한, 아이슬란드는 지진 활동이 매우 빈번하게 일어나는 지역으로, 이러한 지진 활동이 화산활동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대양저 산맥에서 화산활동을 연구하려는 경우 아이슬란드가 가장 적합한 지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심층류의 주원인은?

  1. 해수의 밀도차
  2. 바람
  3. 조석력
  4. 심해파
(정답률: 82%)
  • 심층류의 주원인은 "해수의 밀도차"입니다. 해수의 밀도는 온도와 염분에 따라 달라지는데, 차가운 염분이 많은 해수는 더 높은 밀도를 가지게 됩니다. 이러한 밀도차가 발생하면서 차가운 해수가 더 깊은 곳으로 이동하고, 따뜻하고 염분이 적은 해수는 더 얕은 곳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서 심층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바람, 조석력, 심해파도 심층류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이들은 해수의 밀도차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해양생태학

21. 우리나라에서 수괴지표종(indicator species)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1. 요각류(Calanus)
  2. 화살벌레(Sagitta)
  3. 살파(Salpa)
  4. 스켈레토네마(Skeletonema)
(정답률: 77%)
  • 화살벌레는 해양생태계에서 매우 풍부하게 분포하며, 다른 생물들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높은 적응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화살벌레의 분포와 생물량은 수온, 염분, 영양염 등의 환경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이를 통해 수질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살벌레는 우리나라에서 수괴지표종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어류의 새파(Gill raker)가 길고 밀생한 것은 어느 식성에 적응된 것인가?

  1. 플랑크톤 식성
  2. 동물 식성
  3. 식물 식성
  4. 잡식성
(정답률: 89%)
  • 어류의 새파(Gill raker)가 길고 밀생한 것은 플랑크톤 식성에 적응된 것입니다. 플랑크톤은 작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생물로, 물 속에서 자유롭게 떠다니며 어류의 주요 식량원 중 하나입니다. 어류는 플랑크톤을 걸러내기 위해 새파를 사용하며, 이를 위해 새파가 길고 밀생한 것입니다. 따라서 어류의 새파가 길고 밀생한 것은 플랑크톤 식성에 적응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해수의 BOD 값이 크다는 뜻은 일반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유기 오염의 진행을 뜻한다.
  2. 중금속 오염의 진행을 뜻한다.
  3. 석유 오염의 진행을 뜻한다.
  4. 농약 오염의 진행을 뜻한다.
(정답률: 86%)
  • BOD는 생물이 분해할 수 있는 유기물의 양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따라서 해수의 BOD 값이 크다는 것은 해수에 많은 유기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유기 오염의 진행을 뜻하며, 해양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해양 저서동물과 그 분류상의 위치가 틀린 것은?

  1. 다모류 – 갯지렁이
  2. 연체동물 – 따개비
  3. 극피동물 – 성게
  4. 절지동물 – 바다가재
(정답률: 83%)
  • 연체동물은 따개비가 아니라 오징어, 문어, 쭈꾸미 등을 포함하는 동물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체동물 – 따개비"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해양생물들의 체내로 흡수된 중금속에 의한 독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작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혼합기능 산소화 효소를 유도
  2. 금속티오닌 단백질과 결합시킴
  3. 다량의 수분을 흡수하여 희석시킴
  4. 입자 상태로 체외로 배출시킴
(정답률: 67%)
  • 해양생물들은 금속티오닌 단백질과 결합시켜 중금속 독성을 감소시킵니다. 이는 금속티오닌 단백질이 중금속과 결합하여 안정화시키고, 해양생물의 체내에서 중금속이 활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해양의 미세화석(Microfossil)을 이루는 무리가 아닌 것은?

  1. 유공충
  2. 다모류
  3. 방산충
  4. 규조류
(정답률: 77%)
  • 해양의 미세화석을 이루는 무리는 대부분 식물성 원생생물인데, 다모류는 동물성 원생생물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다모류는 해양생물 중에서도 대표적인 절지동물로, 해양 및 담수에서 서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수온은 생물의 활동과 분포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이과 관련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수온약층의 하층부에서는 수온변화가 적어 그곳의 수온은 서식하는 생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2. 산호초류는 일반적으로 15℃ 등온선 내에 그 분포가 국한된다.
  3. 해양생물의 수명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수온과 정비례하는 경향이 있다.
  4. 수온이 어느 정도 상승함에 따라 생물의 호흡률과 신진대사율은 모두 감소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수온약층의 하층부에서는 수온변화가 적어 그곳의 수온은 서식하는 생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이다. 이유는 수온약층의 하층부는 수온이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생물들이 그곳에서 적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해조류의 수직분포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1. 광선
  2. 온도
  3. 파도
  4. 용존산소
(정답률: 87%)
  • 해조류는 광합성을 통해 생산된 유기물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광선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광선이 충분하지 않으면 해조류는 생장이 어렵고, 광선이 너무 강하면 과도한 광합성으로 인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광선의 양과 질에 따라 해조류의 수직분포가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연안 천해역에서 유기오염이 발생하면 오염원으로부터 거리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저서동물의 종수, 개체수, 생물량의 특징적인 변동이 나타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유기오염을 평가하는 방법은?

  1. Rarefaction 방법
  2. Log-Normal 방법
  3. ABC 방법
  4. SAB 곡선법
(정답률: 76%)
  • SAB 곡선법은 유기오염이 발생한 연안 천해역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물의 종수, 개체수, 생물량 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파악하여 유기오염의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샘플링한 생물군집에서 종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Shannon-Weaver 지수와 개체수를 이용하여 SAB 곡선을 그리고, 이 곡선의 기울기를 분석하여 유기오염의 정도를 평가한다. 따라서 SAB 곡선법은 유기오염 평가에 적합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우리나라 주변에 발달한 갯벌 생태계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갯벌 상부에는 염생식물 군락이 발달한다.
  2. 갱도를 만들거나 직접 매몰하여 생활하는 생물이 대부분이다.
  3. 띠모양의 생물 분포대가 없다.
  4. 생물상은 조위와 기질의 입도 조성에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78%)
  • 갯벌 생태계에서는 조위와 기질의 입도 조성에 따라 생물상이 영향을 받으며, 갯벌 상부에는 염생식물 군락이 발달하고 갱도를 만들거나 직접 매몰하여 생활하는 생물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띠모양의 생물 분포대가 없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이다. 갯벌 생태계에서는 띠모양의 생물 분포대가 발달하여 서로 다른 생물군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서로 다른 생태적 역할을 수행하며 공존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적조생물이 가지는 독소들로 인한 증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질식 및 호흡장애
  2. 설사 및 구토
  3. 조직궤사 및 종양
  4. 기억상실 및 사망
(정답률: 86%)
  • 적조생물이 가지는 독소들로 인한 증상 중 "기억상실 및 사망"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이 아니라, "조직궤사 및 종양"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독소들이 세포의 DNA를 손상시켜 종양을 유발하거나 세포의 기능을 저하시켜 조직궤사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질식 및 호흡장애"와 "설사 및 구토"는 적조생물의 독소들로 인한 일반적인 증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소하성 회유어종이 아닌 것은?

  1. 연어
  2. 은어
  3. 철갑상어
  4. 뱀장어
(정답률: 68%)
  • 뱀장어는 소하성 회유어종이 아닙니다. 소하성 회유어종은 연어, 은어, 철갑상어와 같은 해양생물로, 뱀장어는 강에서 서식하는 어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소형플랑크톤(microplankton)에 속하지 않는 종류는?

  1. 박테리아
  2. 원생동물
  3. 식물플랑크톤
  4. 요각류 유생
(정답률: 77%)
  • 박테리아는 원생동물, 식물플랑크톤, 요각류 유생과는 달리 세포핵이 없는 원핵생물로, 소형플랑크톤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하구역의 생태적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기쇄설입자가 어류나 대형저서동물의 먹이가 된다.
  2. 생활하수가 유입될 경우 유기오염이 될 수 있다.
  3. 염분농도에 의해 분포가 결정된다.
  4. 하구역 저서동물은 하구역내에서 생활사를 완결한다.
(정답률: 85%)
  • "하구역 저서동물은 하구역내에서 생활사를 완결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하구역 저서동물은 하구역 외부에서 번식하고 성장한 후 하구역으로 이동하여 생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하구역은 다양한 종류의 동물들이 모여서 서로 상호작용하며 생태계를 형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갑각류의 십각목에 속하는 종류들이 거치는 유생시기가 아닌 것은?

  1. nauplius
  2. zoea
  3. megalopa
  4. auricularia
(정답률: 75%)
  • 정답: auricularia

    설명: 갑각류의 십각목에 속하는 종류들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유생시기를 거칩니다.

    1. nauplius: 새끼 갑각류가 부화하여 나오는 최초의 유생 단계
    2. zoea: nauplius 단계 이후, 미끈한 외피와 눈, 다리 등이 생긴 유생 단계
    3. megalopa: zoea 단계 이후, 성체로 성장하기 위한 최종 유생 단계
    4. auricularia: 하나의 갑각류 종류인 해파리류에서만 나타나는 유생 단계로, 다른 갑각류 종류에서는 거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auricularia는 갑각류의 십각목에 속하는 종류들이 거치는 유생시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조간대에 서식하는 생물은 노출 시 열의 흡수를 줄이고 흡수된 열의 방출을 위해 여러 가지 적응을 한다. 이 적응에 관련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체적에 대한 체표면적을 줄이기 위해 몸을 작게 한다.
  2. 암반과 접촉하는 부위의 면적을 크게 한다.
  3. 패각의 색깔을 밝게 한다.
  4. 체내의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80%)
  • 조간대에서는 노출된 표면에서 열이 흡수되는 것을 막기 위해 몸을 작게 만들어 체표면적을 줄이거나, 암반과 접촉하는 부위의 면적을 크게 만들어 열을 방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패각의 색깔을 밝게 하는 것은 태양광선을 반사하여 열의 흡수를 줄이기 위한 적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고래 중 이빨을 가지고 있는 것은?

  1. 긴수염고래
  2. 참고래
  3. 향고래
  4. 대왕고래
(정답률: 86%)
  • 정답은 "향고래"입니다. 향고래는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고래들은 이빨 대신 소용돌이치는 턱으로 먹이를 잡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동해안 해조류 식생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북방계 해조가 우세하고 온대계 해조는 미약하다.
  2. 온대계 해조가 우세하고 북방계 해조는 미약하다.
  3. 범세계종 해조가 우세하고 온대계 해조는 미약하다.
  4. 남방계 해조가 우세하고 북방계 해조는 미약하다.
(정답률: 65%)
  • 온대계 해조가 우세하고 북방계 해조는 미약하다. 이는 온대계가 더 따뜻하고 영양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해조류가 더 잘 자라기 때문이다. 반면에 북방계는 더 차가우며 영양분도 적어서 해조류가 덜 자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암반조간대 생물의 대상 분포 이류를 설명하는 이론은?

  1. 면적가설
  2. 평행군집 이론
  3. 안정성-시간 가설
  4. 임계조석선 가설
(정답률: 74%)
  • 암반조간대 생물의 대상 분포 이류를 설명하는 이론 중 "임계조석선 가설"은 생물의 분포가 바위의 경도와 함께 바위의 경사면에 따라 결정된다는 이론입니다. 이론은 바위의 경사면이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면서도 바위의 경도가 변화하는 지점인 "임계조석선"을 기준으로 생물의 분포가 결정된다는 것을 주장합니다. 이론은 바위의 경사면과 경도가 생물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생물의 분포를 설명하는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중형저서동물들의 분포는 퇴적상에 따라 우점하는 종류가 달리 나타난다. 다음 중 모래가 우세한 퇴적물에서 영구적인 중형저서동물로서 가장 우점하는 종류는?

  1. 쿠마류
  2. 선충류
  3. 저서성 요각류
  4. 패충류
(정답률: 78%)
  • 모래가 우세한 퇴적물에서는 바닥에 모래가 쌓여 있어서 바닥에 살 수 있는 동물들이 우세하게 분포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저서성 동물들이 가장 적합합니다. 그 중에서도 요각류는 바닥에 붙어서 살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가장 우점하는 종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저서성 요각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해양계측학

41. 용승(湧昇)유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플랑크톤이 번식한다.
  2. 수온이 낮다.
  3. 용존산소가 많다.
  4. 영양염이 많다.
(정답률: 59%)
  • 용승유역은 영양염이 많은 농업지역과 산업지역으로 인해 수질이 오염되어 있어서, 오히려 용존산소가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용존산소가 많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만조가 가장 늦게 나타나는 곳은?

  1. 목포
  2. 군산
  3. 인천
  4. 진남포
(정답률: 71%)
  • 진남포는 해양생물의 서식지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어서 만조가 늦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위도 30°에서의 관성주기(Intertial period)는?

  1. 6시간
  2. 12시간
  3. 24시간
  4. 48시간
(정답률: 71%)
  • 위도 30°에서는 지구의 자전속도와 공전속도가 서로 균형을 이루어 하루 동안 한 바퀴를 도는 시간이 24시간이기 때문에 관성주기도 24시간이 된다. 즉, 지구의 회전 주기와 같은 주기를 가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수심이 깊은 심해에 유속계를 계류한 후, 수거할 때 필요한 기기장치는?

  1. CTD system
  2. Sonar system
  3. Echo sounder
  4. Acoustic release system
(정답률: 79%)
  • 수심이 깊은 심해에 유속계를 계류한 후, 수거할 때는 수심이 깊어서 직접 수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유속계를 해저에 설치한 채로 해저에서 원격으로 기기를 해제하여 수거하는 기기장치가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기는 Acoustic release system입니다. Acoustic release system은 해저에서 원격으로 기기를 해제할 수 있는 기술로, 소리를 이용하여 기기를 해제합니다. 따라서 수심이 깊은 심해에서 유속계를 수거할 때는 Acoustic release system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원격탐사의 허색 복합영상자료(False color composit)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색이 없는 적외선 자료로 임의의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2. 여러 개의 spectral band를 복합한 digital 자료이다.
  3. 어떤 spectral band 자료를 그 명도에 따라 여러색으로 표시한 것이다.
  4. 삼원색을 복합하여 천연색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66%)
  • 원격탐사에서 허색 복합영상자료는 여러 개의 spectral band를 복합한 digital 자료이며, 이 중에서 어떤 spectral band 자료를 그 명도에 따라 여러색으로 표시한 것입니다. 따라서 "어떤 spectral band 자료를 그 명도에 따라 여러색으로 표시한 것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색이 없는 적외선 자료로 임의의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나 "삼원색을 복합하여 천연색으로 표시한다."는 허색 복합영상자료와는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대조(또는 사리)는 삭, 망과 시기적으로 어떤 관련이 있는가?

  1. 삭, 망의 1 ~ 3일 전
  2. 삭, 망의 1 ~ 3일 후
  3. 삭, 망과 같은 시기
  4. 삭과 망 사이 중간 시기
(정답률: 76%)
  • 대조(또는 사리)는 농사일정에서 중요한 날짜로, 이 날짜에 일을 시작하면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삭과 망은 농사일정에서 중요한 날짜 중 하나로, 삭은 작물이 자라는 기간에서 수확하기 좋은 날짜를 말하고, 망은 작물이 자라는 기간에서 수확하기 나쁜 날짜를 말한다. 따라서 대조(또는 사리)는 삭, 망과 같은 시기에 해당하며, 삭, 망의 1 ~ 3일 후에 해당하는 이유는 작물이 자라는 기간에서 수확하기 좋은 날짜(삭)와 나쁜 날짜(망)가 지나고 나서야 대조(또는 사리)가 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심해저 망간단괴의 성장속도 측정에 사용할 수 없는 방사성 핵종은?

  1. 10BE
  2. 14C
  3. 230Th
  4. 231Pa
(정답률: 79%)
  • 심해저 망간단괴의 성장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반감기가 적당한 방사성 핵종이 필요합니다. 반감기가 너무 짧으면 측정이 어렵고, 너무 길면 측정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4C"가 적당한 방사성 핵종입니다. "10BE"와 "231Pa"의 반감기가 너무 짧고, "230Th"의 반감기가 너무 길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외양의 바다색이 연안보다 검푸르게 보이는 이유는?

  1. 장파장(빛)의 산란
  2. 단파장의 산란
  3. 단파장의 반사
  4. 단파장의 흡수
(정답률: 71%)
  • 외양의 바다색이 연안보다 검푸르게 보이는 이유는 "단파장의 산란" 때문입니다. 바다는 물이기 때문에 빛이 물에 닿으면 산란되어 빛의 파장이 분산됩니다. 이때, 파장이 짧은 단파장의 빛은 더욱 산란되어 더 많이 분산되기 때문에 바다색이 검푸르게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퇴적물의 입도 분석자료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계산하는 첨도(Kurtosis)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평균입도값을 중심으로 한 분산 정도
  2. 분포 곡선의 뾰족한 정도
  3. 평균 입도값을 중심으로 한 대칭성
  4. 분포 곡선의 표준 편차
(정답률: 45%)
  • 첨도(Kurtosis)는 분포 곡선의 뾰족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평균 입도값을 중심으로 한 대칭성이라는 보기는 완전한 대칭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분포 곡선이 얼마나 대칭에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첨도가 0에 가까울수록 평균 입도값을 중심으로 한 대칭성이 높아지며, 첨도가 양수일수록 분포 곡선이 뾰족해지고 음수일수록 완만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인천항의 비조화상수가 대조승 8.6m, 소조승 6.4m, 평균해면 4.6m 일 때 대조차는?

  1. 8.6m
  2. 8.0m
  3. 6.4m
  4. 9.2m
(정답률: 70%)
  • 비조화상수는 대조승과 소조승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대조차는 대조승에서 소조승을 뺀 값이 됩니다.

    대조차 = 대조승 - 소조승 = 8.6m - 6.4m = 2.2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대조차가 아니라 대조승과 평균해면의 차이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대조차를 구하는 것이므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8.0m"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미고결 해저표층 퇴적물을 자연상태 그대로(undisturbed) 채취하는데 가장 좋은 기구는?

  1. Piston corer
  2. Vibratory corer
  3. Grab
  4. Rotary drilling corer
(정답률: 79%)
  • 미고결 해저표층 퇴적물을 자연상태 그대로 채취하기 위해서는 퇴적물을 깨뜨리거나 변형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기구는 "Piston corer"입니다. 이 기구는 퇴적물을 채취할 때 실린더 안에 있는 피스톤이 내려와 퇴적물을 압축하여 채취하고, 이때 퇴적물이 변형되지 않도록 보호합니다. 반면, Vibratory corer나 Grab은 퇴적물을 깨뜨리거나 변형시키는 경우가 많고, Rotary drilling corer는 깊은 해저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1972년 이래 미국 NASA에서 순차적으로 발사한 5개의 NOAA 인공위성은 주로 무엇을 측정하기 위함인가?

  1. 풍향, 풍속
  2. 해수 온도
  3. 해수 색상
  4. 해안 지형
(정답률: 80%)
  • NOAA 인공위성은 해양과 대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발사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해수 온도는 해양 생태계와 기후 변화 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측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NOAA 인공위성은 해수 온도를 측정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NOAA 위성의 탐사장비로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장비는?

  1. MSS
  2. AVHRR
  3. SMMR
  4. SAR
(정답률: 72%)
  • AVHRR은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의 약자로, 대기, 해양, 지구 표면 등의 온도와 색상 정보를 수집하는 위성 탐사장비입니다. 이는 NOAA 위성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장비 중 하나이며, 지구 환경 모니터링 및 기상 예측 등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파가 깨어질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장이 짧아진다
  2. 파고가 커진다
  3. 주기가 짧아진다
  4. 연안류가 생긴다
(정답률: 65%)
  • 주기가 짧아지는 것은 파가 깨어질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닙니다. 파가 깨어질 때 파장은 짧아지고 파고는 커지며, 이로 인해 연안류가 생길 수 있습니다. 주기는 파의 진동이 한 번 일어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하며, 파가 깨어질 때는 주기가 길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파의 진동이 깨어지기 전에는 일정한 주기로 일어나다가, 깨어지면서 주기가 길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주위의 퇴적물과 혼합되지 않고 아주 좁은 범위의 시료를 얻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채니기는?

  1. Core sampler
  2. Leger type sampler
  3. S.K. type sampler
  4. Dredge
(정답률: 72%)
  • Core sampler는 지하나 바다 바닥 등에서 깊이에 따라 채취할 수 있는 채취기구로, 퇴적물과 혼합되지 않고 아주 좁은 범위의 시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른 채취기구들은 대부분 퇴적물과 혼합되어 시료를 채취하기 때문에, Core sampler가 가장 적합한 채취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심해저 시추선의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hamilton frame은 다음 중 퇴적물의 무엇을 측정하는 장치인가?

  1. 음파전달속도
  2. 잔류자기
  3. 밀도
  4. 공극률
(정답률: 58%)
  • Hamilton frame은 음파전달속도를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심해저에서 수질의 밀도와 온도 등이 변화하면서 음파의 속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음파를 이용한 심해저 탐사에서 정확한 측정을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Hamilton frame은 음파를 이용한 탐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로젯 멀티 샘플러(Rosette Multi-sampler)에 부착할 수 없는 것은?

  1. 바닥감지기(Bottom detector)
  2. 전도도센서(conductivity sensor)
  3. 수심센서(Depth sensor)
  4. 데이터 터미널(Data terminal)
(정답률: 82%)
  • 로젯 멀티 샘플러는 바닥감지기, 전도도센서, 수심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부착할 수 있지만, 데이터 터미널은 센서가 아니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로젯 멀티 샘플러에 부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국제표준수심을 적합하게 나열한 것은?

  1. 0m, 5m, 10m, 20m, 30m, 50m
  2. 0m, 10m, 15m, 20m, 30m, 50m
  3. 0m, 10m, 20m, 35m, 50m, 70m
  4. 0m, 10m, 20m, 30m, 50m, 75m
(정답률: 78%)
  • 국제표준수심은 0m, 10m, 20m, 30m, 50m, 75m으로 나열된다. 이는 다양한 해양 활동에 적합한 깊이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된 것이다. 0m은 해안가에서 시작하는 기준점이며, 10m, 20m, 30m은 대부분의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깊이 범위이다. 50m는 대부분의 어류가 서식하는 깊이이며, 75m는 일부 깊은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깊이이다. 따라서, 이러한 국제표준수심을 적합하게 나열한 것은 다양한 해양 활동에 적합한 깊이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해저의 저질(底質)을 채취하기 위한 장비가 아닌 것은?

  1. Dredge
  2. Piston corer
  3. Grab sampler
  4. Pinger
(정답률: 84%)
  • 해저의 저질을 채취하기 위한 장비들은 대부분 바닥에 닿아 채취하는 방식이지만, Pinger는 해저 지형을 탐지하기 위한 음파를 발생시키는 장비로, 저질을 채취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기기와 측정내용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마이크로파 산란계 – 해상풍 측정
  2. 적외선 방사계 – 염분 측정
  3. 마이크로파 고도계 – 수온 측정
  4. 마이크로파 방사계 – 염분 측정
(정답률: 65%)
  • 마이크로파 산란계는 해면에서 파장이 짧은 마이크로파를 쏘아서 바다면에서 반사되는 파장을 측정하여 해면의 불규칙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해상풍의 세기와 방향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이크로파 산란계 – 해상풍 측정"이 옳은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해수의 수질분석

61. pH 측정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pH 미터의 보정은 측정 당일 시료 측정 전에 행하여 져야한다.
  2. 시료는 유리마개를 닫은 후 24시간 이내에 분석해야 한다.
  3. 유리전극은 미리 해수에 수 시간 이상 담가두며 pH미터는 전원을 넣어 5분 이상 경과 후 킴와이프 및 실험실용 티슈로 가볍게 닦아낸다.
  4. 해수의 pH 시료병은 시료의 일부로 2 ~ 3회 충분히 세척한 후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고무관으로 바닥에서부터 천천히 받아 시료가 충분히 넘치도록 한다.
(정답률: 58%)
  • "시료는 유리마개를 닫은 후 24시간 이내에 분석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시료는 가능한 빨리 측정하는 것이 좋지만, 유리마개를 닫은 상태에서 보관하면 시료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여 pH값이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시료는 유리마개를 열어두고 냉장고에 보관하며, 가능한 빨리 측정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해저퇴적물의 유해물질 분석 순서가 옳은 것은?

  1. 추출 – 농축 – 정제 – 분석
  2. 추출 – 정제 – 농축 – 분석
  3. 농축 – 추출 – 정제 – 분석
  4. 정제 – 추출 – 농축 – 분석
(정답률: 66%)
  • 해저퇴적물에서 유해물질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샘플에서 유해물질을 추출해야 합니다. 추출된 유해물질을 농축하여 농도를 높이고, 이후 정제하여 불순물을 제거합니다. 마지막으로 분석을 통해 유해물질의 종류와 농도를 확인합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추출 – 농축 – 정제 – 분석"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공극수 추출방법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공극수란 퇴적물 입자사이의 빈 공간에 채워져 있는 해수를 말한다. 공극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리할 수 있는데 크게 짜내는 방법과 원심분리법이 있다.
  2. 퇴적물에 외부의 압력을 가하여 공극수를 짜내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의 장점은 양적으로 충분한 양을 얻을 수 있는 점이다.
  3. 퇴적물 내 공극수를 질소기체 압력으로 밀어내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의 단점을 원신분리법에 비하여 복잡하고, 불편한 점이 있다.
  4. 공극수를 포함한 퇴적물을 원심분리기함으로써, 공극수와 퇴적물 입자를 분리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의 장점은 풍부한 양의 공극수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험방법도 비교적 용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정답률: 57%)
  • 설명이 틀린 것은 "퇴적물에 외부의 압력을 가하여 공극수를 짜내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의 장점은 양적으로 충분한 양을 얻을 수 있는 점이다." 이다. 이 방법은 단점이 많아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겉보기산소량(AOU:Apparent Oxygen Utilization)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실측산소량과 이론적 표화 산소량의 차이
  2. 표층에 용존된 산소량
  3. 심층에 용존된 산소량과 표층에 용존된 산소량의 차이
  4. 심층에 용존된 산소량
(정답률: 69%)
  • 겉보기산소량(AOU)은 실제로 측정된 산소량과 이론적으로 필요한 산소량의 차이를 말합니다. 이론적으로 필요한 산소량은 물 속에서 산소를 이용하여 일어나는 화학 반응에 의해 소비되는 산소량을 말하며, 이는 물의 온도, 염분, 압력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AOU는 물의 오염 정도나 생물 활동의 정도를 파악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탄소량을 측정하는 방법 중 맞지 않은 것은?

  1. 퇴적물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무게차를 측정하는 방법
  2. 입자들을 일정한 크기별로 분리하여 질량을 측정하는 방법
  3. 강한 산화제를 이용하여 탄소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산화시켜 그 무게를 알아내는 방법
  4. 시약과 반응시킨 후 퇴적물로부터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측정하는 방법
(정답률: 67%)
  • 입자들을 일정한 크기별로 분리하여 질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탄소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입자의 질량을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맞지 않는다. 탄소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강한 산화제를 이용하여 탄소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산화시켜 그 무게를 알아내는 방법, 시약과 반응시킨 후 퇴적물로부터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측정하는 방법, 그리고 퇴적물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무게차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해수의 대장균군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1. 최적확수 시험법
  2. 막여과에 의한 시험법
  3. 발색제에 의한 시험법
  4. Microtox bioassay 시험법
(정답률: 80%)
  • Microtox bioassay 시험법은 해수의 대장균군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해양 생물의 생존능력을 측정하여 독성을 평가하는 시험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해수중의 Chlorophyll-a 측정에 과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Chlorophyll-a 함량은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2. 해수시료를 유리섬유여과지로 여과하여 아세톤으로 Chlorophyll-a를 추출한다.
  3. Chlorophyll-a 표준용액으로 작성된 검정선으로부터 농도를 산출한다.
  4. 아세톤으로 추출된 Chlorophyll-a를 흡광광도법이나 형광법으로 측정한다.
(정답률: 66%)
  • Chlorophyll-a 표준용액으로 작성된 검정선으로부터 농도를 산출하는 것은 과한 사항이 아니라 올바른 방법이다. Chlorophyll-a 표준용액은 정확한 농도가 이미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측정한 흡광광도나 형광값을 농도로 환산할 수 있다. 따라서 Chlorophyll-a 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검정선을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농도를 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해수 중 무기수은 분석방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APDC/DDDC 킬레이트제로 처리한 후 MIBK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불꽃 원자흡광도법으로 측정한다.
  2. 무기수은을 NaBH4로 처리한 후 냉증기-원자흡광광도법으로 측정한다.
  3. 무기수은을 과망간산칼륨법으로 산화시킨 후 냉증기-원자흡광광도법으로 측정한다.
  4. 무기수은을 염화제일주석으로 처리하여 금속수은으로 환원시킨 후 냉증기-원자흡광광도법으로 측정한다.
(정답률: 56%)
  • 해수 중 무기수은을 분석하는 방법 중 가장 옳은 것은 "무기수은을 염화제일주석으로 처리하여 금속수은으로 환원시킨 후 냉증기-원자흡광광도법으로 측정한다." 이다. 이유는 염화제일주석이 무기수은을 금속수은으로 환원시켜주기 때문이다. 이후 냉증기-원자흡광광도법으로 측정하는 이유는 금속수은이 원자흡광선을 방출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표준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NH4Cl 3.819g 을 물 1L에 녹였다. 이 용액 10mL를 취하여 1L에 희석하면 1mL 용액 중에 NH4-N는 약 몇 ug-at인가? (단. N = 14, H = 1, Cl = 35.45 이다.)

  1. 0.7
  2. 7
  3. 1.4
  4. 14
(정답률: 47%)
  • NH4Cl의 분자량은 53.49 g/mol 이다. 따라서 3.819g을 1L에 녹인 용액의 농도는 3.819/53.49 = 0.0714 M 이다.

    10mL를 취하여 1L에 희석하면, 원래 용액의 1/1000 농도가 된다. 따라서 1mL 용액 중에 NH4-N의 농도는 0.0714/1000 = 0.0000714 M 이다.

    NH4-N의 분자량은 14+4(1) = 18 g/mol 이다. 따라서 1mL 용액 중에 NH4-N의 질량은 0.0000714 x 18 = 0.0012852 g 이다.

    이를 ug으로 환산하면 0.0012852 x 1000 = 1.2852 ug 이다. 따라서 정답은 "1.4"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0.7"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어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불소(F) 분석 시 알루미늄 및 철의 방해 작용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중크롬산으로 산화시킨다.
  2. 질산으로 산화시킨다.
  3. 증류한다.
  4. 황산은 용액을 넣어준다.
(정답률: 63%)
  • 불소(F) 분석 시 알루미늄 및 철의 방해 작용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증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이는 불소(F)가 증기 상태로 쉽게 분리되어 다른 원소와의 반응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증류는 물질을 가열하여 증기로 만들고, 그 증기를 냉각하여 다시 액체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해수 중의 다음 중금속들 중 다른 원소들과 시료농축방법이 다른 것은?

  1. 카드뮴
  2. 망간
  3. 구리
  4. 아연
(정답률: 56%)
  • 망간은 다른 세 가지 금속과 달리, 해수 중에서 직접 농축되지 않습니다. 대신, 망간은 토양과 바위에서 추출되며, 이후에 해수로 유출됩니다. 따라서 망간은 다른 세 금속과는 다른 시료농축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Microtox bioassay 기법의 염수 추출법에 의한 독성 평가 방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공극수가 제거된 퇴적물의 대상으로 한다.
  2. 약 2% 염화나트륨 용액을 추출용매로 이용한다.
  3. 퇴적물내 용존성 물질 및 수용성으로 쉽게 추출되는 독성 물질을 검색한다.
  4. 전처리 과정이 비교적 단순하다.
(정답률: 49%)
  • 공극수가 제거된 퇴적물의 대상으로 한다는 것은, 퇴적물 내에 있는 공극(빈 공간)에 존재하는 미생물 등의 생물체가 독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는 Microtox bioassay 기법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퇴적물의 입도분석 시 습식분석 없이 건식분석으로 충분한 경우는?

  1. 퇴적물이 뻘질인 경우
  2. 퇴적물이 사질인 경우
  3. 퇴적물이 뻘질과 사질로 혼합되는 경우
  4. 퇴적물이 고화된 상태로 있는 경우
(정답률: 80%)
  • 퇴적물이 사질인 경우에는 입자간의 간극이 크지 않고 입자 크기가 작아 건식분석으로 충분히 입도분석이 가능합니다. 반면에 퇴적물이 뻘질인 경우에는 입자간 간극이 크고 입자 크기가 크기 때문에 건식분석으로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퇴적물이 뻘질과 사질로 혼합되는 경우나 고화된 상태로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퇴적물이 사질인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에서 부유입자물질(Suspended Particulate Matter)의 정밀도 기준은? (단, 표준편차로 100mg/L 당 ± 양임)

  1. ± 1mg/L
  2. ± 3mg/L
  3. ± 5mg/L
  4. ± 7mg/L
(정답률: 55%)
  •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에서 부유입자물질의 정밀도 기준은 100mg/L 당 ± 양임으로, 측정값이 100mg/L일 때 허용오차는 ± 양입니다. 따라서, 표준편차가 100mg/L일 경우, 허용오차는 ± 1mg/L, ± 3mg/L, ± 5mg/L, ± 7mg/L 중 하나가 됩니다. 이 중에서 정답은 "± 5mg/L"인 이유는, 일반적으로 표준편차가 100mg/L일 때, 허용오차를 ± 5mg/L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측정값의 오차를 최소화하면서도 측정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최확수시험법에 의한 대장균 시험방법애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정성시험은 추정시험, 확정시험 2단계로 나누어 시험한다.
  2. 추정시험에서 발효관의 수는 각 희석액에 따라 5개씩 시험한다.
  3. 추정시험에서 배양하여 발효관에 가스발생이 있으면 대장균균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4. 확정시험에서 무균조작으로 BGLB 배지에서 48±3시간이내에 가스가 발생하면 양성으로 한다.
(정답률: 74%)
  • "정성시험은 추정시험, 확정시험 2단계로 나누어 시험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최확수시험법에서는 정성시험과정이 없으며, 추정시험과 확정시험으로 나누어 시험합니다.

    최확수시험법은 대장균의 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추정시험에서는 각 희석액에 대해 5개씩 발효관을 이용하여 배양합니다. 발효관에 가스발생이 있으면 대장균균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이후, 확정시험에서는 무균조작으로 BGLB 배지에서 48±3시간 이내에 가스가 발생하면 양성으로 판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특정 유해물질 분석을 위한 전처리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페놀류 : 인상용액으로 PH를 약 4로 조절한다.
  2. 유기인 : 차광유리용기에서 냉장보관한다.
  3. PCBs : 질산을 첨가하여 PH2이하 냉장보관한다.
  4. TBTs : 유리 용기에서 냉장 보관한다.
(정답률: 56%)
  • PCBs는 pH가 높으면 분해되기 어렵기 때문에 질산을 첨가하여 pH를 낮추어 냉장보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표면 흡착이 거의 없으며 거의 대부분의 화학물질에 내성이 큰 시험 용기는?

  1. Prex 용기
  2. Quartz용기
  3. HDPE
  4. PTFE
(정답률: 61%)
  • PTFE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비스테논, 산, 염기, 유기용제 등 대부분의 화학물질에 내성이 뛰어나며 표면 흡착이 거의 없는 소재입니다. 따라서 시험 용기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유출유 중 방향족탄화수소류 확인 시험에 필요한 기구 및 기기가 아닌 것은?

  1. 회전식 진공증발기
  2. 분액 깔대기
  3. 멸균기
  4. 원심분리기
(정답률: 64%)
  •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유출유 중 방향족탄화수소류 확인 시험에 필요한 기구 및 기기 중 멸균기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은 유출유 중 화합물을 분리하고 식별하는 분석 기술로, 샘플을 분석하기 전에 멸균 처리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멸균기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에 필요한 기구나 기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해수의 인산인 분석과 관계가 없는 시약은?

  1. 옥살산용액
  2. 몰리브덴산암모늄용액
  3. 아스코르빈산용액
  4. 황산용액
(정답률: 68%)
  • 옥살산은 유기산으로, 해수의 무기성분 중 하나인 인산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옥살산용액은 해수의 인산인 분석과 관계가 없는 시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해수 시료 중의 질산염-질소는 구리 용액으로 처리된 카드뮴 환원관을 이용하는 아질산염-질소로 환원시킨 후 아질산염-질소의 측정원리에 따라 측정한다. 여기에서 구리 용액의 역할은?

  1. 환원면적을 조절하여 질산염-질소가 아질산염-질소로 환원이 적당하게 일어나게 한다.
  2. pH를 조절하여 질산염-질소가 아질산염-질소로 환원이 적당하게 일어나게 한다.
  3. 카드뮴의 환원력이 너무 강하여 이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4. 질산염-질소를 아질산염-질소로 환원시키는데 촉매로 작용한다.
(정답률: 73%)
  • 구리 용액은 카드뮴 환원관에서 발생하는 아질산염-질소를 환원면적을 조절하여 적당한 양으로 일어나게 하고, 이를 아질산염-질소로 환원시키는데 촉매로 작용하여 측정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정답은 "질산염-질소를 아질산염-질소로 환원시키는데 촉매로 작용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해양관련법규

81. 기름유출사고에 대비한 방제선 등의 배치의무 규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총톤수 1000톤 이상의 유조선 소유자는 모든 항만에 방제선 또는 방제장비를 비치해야한다.
  2. 방제선 등 배치의무자가 다른 사람과 공동으로 배치할 수 있다.
  3. 해양경찰청장은 방제선 등을 배치 또는 설치하지 아니한 자에 대하여 선박입출항금지 또는 시설사용정지를 명령할 수 있다.
  4. 방제선 등 배치의무자가 직접 배치하지 않고 해양환경관리공단에 위탁할 수 있다.
(정답률: 56%)
  • "방제선 등 배치의무자가 다른 사람과 공동으로 배치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총톤수 1000톤 이상의 유조선 소유자는 모든 항만에 방제선 또는 방제장비를 비치해야 합니다. 이는 유출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것입니다. 또한, 해양경찰청장은 방제선 등을 배치 또는 설치하지 아니한 자에 대하여 선박입출항금지 또는 시설사용정지를 명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방제선 등 배치의무자가 직접 배치하지 않고 해양환경관리공단에 위탁할 수 있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환경관리업의 등록을 할 수 있는 자는?

  1. 금치산자 및 한정치산자
  2. 하선징계를 받은 선장
  3.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4. 해양환경관리업의 등록이 취소된 후 1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
(정답률: 73%)
  • 해양환경관리법 제20조에 따르면, 해양환경관리업의 등록을 할 수 있는 자는 "금치산자 및 한정치산자"와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를 제외한 모든 자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하선징계를 받은 선장"은 해양환경관리업의 등록을 할 수 없는 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법상 유조선의 선박소유자의 유류오염손해의 책임이 면제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전쟁・내란・폭동 또는 천재지변 등 불가항력으로 발생한 경우
  2. 국가 및 공공단체의 항로표지 또는 항행보조시설 관리의 하자만으로 발생한 경우
  3. 유조선 선박소유자 및 그 사용인이 아닌 제3자의 고의만으로 인하여 발생한 경우
  4. 도선사의 승선하에 입항하면서 발생한 경우
(정답률: 70%)
  •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법에서는 선박소유자가 유류오염사고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에서 면제될 수 있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도선사의 승선하에 입항하면서 발생한 경우"는 선박소유자의 책임에서 면제되지 않습니다. 이는 도선사가 선박의 운항과 관련하여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기 때문에, 도선사의 부주의나 실수로 인해 발생한 유류오염사고에 대해서도 선박소유자가 책임을 지는 것으로 인정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해양환경관리법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해양환경의 보전을 위한 기본사항을 정함
  2. 해양환경의 보전을 위해 유류오염사고시 선박소유자의 책임을 명확히 함
  3. 해양환경보전 및 관리에 관한 국민의 의무와 국가의 책무를 명확히 함
  4. 해양환경의 훼손 또는 해양오염으로 인한 위해를 예방함
(정답률: 67%)
  • 해양환경의 보전을 위해 유류오염사고시 선박소유자의 책임을 명확히 하는 것은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법의 구체적인 내용 중 하나로, 목적은 해양환경의 보전을 위한 기본사항을 정하고, 국민의 의무와 국가의 책무를 명확히 하며, 해양환경의 훼손 또는 해양오염으로 인한 위해를 예방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유창청소업을 하고자 하는 자가 갖추어야 할 등록기준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총톤수 10톤 이상의 유조선 1척 이상
  2. 수질환경산업기사의 자격증을 소지한 자
  3. 총톤수 20톤 이상의 방제작업선 1척 이상
  4. 가스검지기 1대 이상
(정답률: 55%)
  • 총톤수 20톤 이상의 방제작업선 1척 이상은 유창청소업을 하기 위해 등록해야 하는 기준 중 하나입니다. 이는 방제작업선이 유해물질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유창청소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조건입니다. 따라서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유창청소업을 하기 위해 등록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현행 해양환경관리법의 근간이 되는 국제협약은?

  1. 1954 OILPOL
  2. 73/78 MARPOL
  3. OPRC 협약
  4. UN 해양법협약
(정답률: 80%)
  • 현행 해양환경관리법의 근간이 되는 국제협약은 73/78 MARPOL입니다. 이는 선박으로 인한 오염을 예방하고 해양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으로, 선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배출을 제한하고 처리 방법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양환경을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해양산업 발전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유류오염 손해배상보장법상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조선이란 산적 유류를 화물로 싣고 운송하기 위해 건조되거나 개조된 모든 형태의 항해선을 말한다.
  2. 유류가 아닌 일반화물을 운송하는 일반석박에 의한 유류오염 손해는 동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3. 일반석박이란 유조선과 유류저장부선을 제외한 모든 선박을 말한다.
  4. 대한민국의 배타적 경제수역에서의 유류오염손해를 방지하거나 경감하기 위한 방제조치에 대하여는 장소에 관계없이 이 법을 적용한다.
(정답률: 62%)
  • 유류가 아닌 일반화물을 운송하는 일반석박에 의한 유류오염 손해는 동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이유는, 이 법이 유류오염에 대한 손해배상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일반화물을 운송하는 선박은 유류를 운송하는 유조선과는 목적과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이 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습지보전법상 습지보호지역에서 허용되는 행위는?

  1. 토지의 형질 변경
  2. 건축물의 신축
  3. 자연 재해의 예방을 위한 활동에 필요한 흙, 모래 등의 채취
  4. 광물의 채굴
(정답률: 84%)
  • 습지보전법상 습지보호지역에서는 보호 대상인 습지의 훼손을 막기 위해 일부 행위만 허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자연 재해의 예방을 위한 활동에 필요한 흙, 모래 등의 채취는 습지를 보호하는 데 필요한 활동으로 인정되어 허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습지를 훼손하는 행위로 인정되어 허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법상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계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한민국 유조선으로 200톤 이상의 산적유류를 화물로서 운송하는 선박소유자는 계약체결 의무가 있다.
  2. 외국 선박으로 300톤 이하의 산적유류를 화물로서 적재하고 국내항에 입・출항하는 선박소유자는 계약체결 의무가 없다.
  3. 선박 소유자의 손해배상책임이 발생한 때에는 선박 소유자의 고의에 의한 경우에도 피해자는 보험자 등에 대하여 직접 지급을 청구할 수 있다.
  4.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계약의 증명서를 발급받은 선박에 대한 보장계약증명서의 선내 비치의무는 없다.
(정답률: 70%)
  • 대한민국 유조선으로 200톤 이상의 산적유류를 화물로서 운송하는 선박소유자는 계약체결 의무가 있는 것은, 유류오염사고 발생 시 발생한 손해를 배상하기 위한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에서 규정한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이 법은 대한민국 유조선으로 200톤 이상의 산적유류를 화물로서 운송하는 선박소유자에게 유류오염사고 발생 시 발생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을 부과하고, 이를 위해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계약을 체결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에 해당하는 선박소유자는 계약체결 의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해양투기방지협약상 규제의 대상이 되지 않는 폐기물은?

  1. 선박으로부터의 폐기물
  2. 항공기로부터의 폐기물
  3. 해상 인공구조물로부터의 폐기물
  4. 해저광물자원의 실험・이용에 관련된 폐기물
(정답률: 55%)
  • 해양투기방지협약은 해양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규제를 목적으로 하며, 이에 따라 해양에 배출되는 폐기물을 규제합니다. 하지만 해저광물자원의 실험・이용에 관련된 폐기물은 이 규제의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이는 이러한 폐기물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해양환경관리법상 국토해양부장관과 협의해야 할 해역이용협의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산업법에 의한 어업의 면허
  2.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의한 공유수면매립의 면허
  3.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의한 환경관리 해역 지정
  4. 골재채취법에 의한 바다골재채취의 허가
(정답률: 43%)
  • 해양환경관리법은 해양환경을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해양산업 발전을 위해 국토해양부장관과 협의해야 할 해역이용협의 대상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의한 환경관리 해역 지정"은 해당 법률에 따라 지정된 해양환경보호구역으로, 해양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국토해양부장관과 협의하여 관리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는 해양환경관리법상 국토해양부장관과 협의해야 할 대상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선박 안에 산적유류의 잔류물이 있는 경우에도 유조선에 해당된다.
  2. 유류오염손해에는 방제조치로 인한 추가적 손실 또는 손해도 포함된다.
  3. “사고”라 함은 유류오염손해를 일으킬 수 있는 절박한 위험이 있는 사건을 말한다.
  4. 유류오염손해를 경감하기 위한 제3자의 조치는 방제조치에 해당되지 않는다.
(정답률: 68%)
  • 유류오염손해를 경감하기 위한 제3자의 조치는 방제조치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에서는 유류오염사고 발생 시 제3자가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유류오염손해를 경감시키는 조치도 방제조치에 포함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유류오염손해를 경감하기 위한 제3자의 조치도 방제조치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해양환경관리법의 적용범위가 아닌 것은?

  1. 환경관리해역 안에서의 해양오염
  2. 방사성물질과 관련된 해양오염
  3. 법령에 의해 지정된 해저광구의 개발과 관련하여 발생한 해양오염
  4. 대한민국 선박에 의하여 행하여진 해양오염
(정답률: 78%)
  • 해양환경관리법은 해양환경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법률이지만, 방사성물질과 관련된 해양오염은 원자력발전소나 핵실험 등과 같은 방사성물질의 발생원인이 법적으로 규제되는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해당 법의 적용범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해양환경관리법상 선박 검사의 종류 중 해양오염방지설비 등을 교체・개조 또는 수리하고자 하는 때에 받아야되는 검사는?

  1. 임시검사
  2. 중간검사
  3. 정기검사
  4. 임시항해검사
(정답률: 77%)
  • 해양환경관리법상 선박 검사의 종류 중 해양오염방지설비 등을 교체・개조 또는 수리하고자 하는 때에 받아야되는 검사는 "임시검사"입니다. 이는 선박이 일시적으로 운항을 중단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수리 및 개조 작업을 수행할 때 필요한 검사로, 선박의 안전과 환경보호를 위해 수행됩니다. 일반적으로 정기검사나 중간검사와는 달리, 선박의 운항 중지 없이 수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유엔 해양법협약상 우리나라가 해양환경의 보전 관한 관할권을 갖는 해역 중에서 배타적 경제수역에 대한 해역관리청은?

  1. 국무총리
  2. 시・도지사
  3. 국토해양부장관
  4. 환경부장관
(정답률: 72%)
  • 해양환경의 보전은 국토해양부장관의 관할 사항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타적 경제수역에 대한 해역관리청은 국토해양부장관이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해양오염방지협약상 국제기름 오염방지 증서를 필요로 하는 선박기준은?

  1. 총톤수 100톤 이상의 유조선과 300톤 이상의 비유조선
  2. 총톤수 150톤 이상의 유조선과 400톤 이상의 비유조선
  3. 총톤수 200톤 이상의 유조선과 500톤 이상의 비유조선
  4. 총톤수 250톤 이상의 유조선과 600톤 이상의 비유조선
(정답률: 75%)
  • 해양오염방지협약에서 규정한 국제기름 오염방지 증서는 선박의 크기에 따라 필요 여부가 결정됩니다. 총톤수 150톤 이상의 유조선과 400톤 이상의 비유조선은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 선박으로, 이들은 해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국제기름 오염방지 증서를 필요로 합니다. 다른 보기에서 제시된 총톤수는 이보다 작은 선박들을 나타내며, 이들은 국제기름 오염방지 증서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유류오염 손해배상청구는 유류오염에 의한 손해가 발생한 날부터 몇 년 이내에 이루어져야 하는가?

  1. 1 년
  2. 2 년
  3. 3 년
  4. 6년
(정답률: 78%)
  • 유류오염 손해배상청구는 민법상 소멸시효가 적용되기 때문에, 손해발생일로부터 3년 이내에 청구해야 합니다. 이 기간을 넘어서면 소멸시효가 완료되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 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오염총량 규제 항목이 아닌 것은?

  1. 부유물질
  2. 화학적 산소 요구량
  3. 질소
  4. 중금속
(정답률: 63%)
  •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오염총량 규제 항목 중 "부유물질"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해양오염총량 규제 항목 중에서는 유기물질, 질소, 인, 화학적 산소 요구량, 중금속 등이 포함되어 있지만, 부유물질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부유물질은 해양오염의 원인 중 하나이지만,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오염총량 규제 항목으로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선박소유자는 채권자로부터 책임한도액을 초과하는 청구금액을 명시한 서면청구일로부터 몇 개월 이내에 책임제한절차 개시 신청을 해야 하는가?

  1. 1 개월
  2. 2 개월
  3. 3 개월
  4. 6 개월
(정답률: 58%)
  •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 제15조에 따르면 선박소유자는 채권자로부터 책임한도액을 초과하는 청구금액을 명시한 서면청구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책임제한절차 개시 신청을 해야 합니다. 이는 채권자의 청구금액이 책임한도액을 초과하는 경우, 선박소유자가 책임한도액 내에서 책임을 제한할 수 있는 절차를 거치기 위해 제한시간을 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 개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1972년 채택되어 1975년부터 발효된 폐기물 또는 기타 물질의 투기에 의한 해양오염의 방지에 관한 국제협약으로 2012년 하수슬러지 해양투기금지협약이 전면적으로 발효되기도 한 것은?

  1. 바젤 협약
  2. 스톡홀름 협약
  3. 교토 협약
  4. 런던 협약
(정답률: 76%)
  • 해양오염 방지에 관한 국제협약 중에서도 1972년 채택되어 1975년부터 발효된 것은 런던 협약이다. 이 협약은 폐기물이나 기타 물질의 해양투기를 금지하고, 해양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규제와 감시체제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2년에는 하수슬러지 해양투기금지협약이 발효되어 더욱 강화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