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6-02)

해양환경기사
(2013-06-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해양학개론

1. 어느 하수천에 많은 양의 용존 유기물과 Fe가 존재한다. 이 하천수가 estuary를 지나면서 볼 수 있는 용존 유기물질과 Fe의 변화는?

  1. Fe의 증가 및 용존 유기물질의 감소
  2. Fe의 증가 및 용존 유기물질의 증가
  3. Fe의 감소 및 용존 유기물질의 감소
  4. Fe의 감소 및 용존 유기물질의 불변
(정답률: 79%)
  • Estuary는 해안과 강 사이의 지역으로, 해양과 담수가 섞이는 지역이다. 이 지역에서는 해양에서 유입되는 염분과 함께 산소가 많이 공급되기 때문에 산화작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Fe는 산화되어 Fe(OH)3과 같은 물질로 침전되어 강 바닥에 쌓이게 된다. 또한, 산화작용으로 인해 용존 유기물질도 분해되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 하수천이 estuary를 지나면서 Fe의 감소 및 용존 유기물질의 감소가 일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기초 생산력이 가장 낮은 해역은?

  1. 용승해역
  2. 연안해역
  3. 전선수역
  4. 북태평양 중심해역(gyre)
(정답률: 80%)
  • 북태평양 중심해역은 대기와 해양의 대규모 순환운동인 '태평양 대류순환'의 중심지로, 수직 혼합이 적어 기초 생산력이 낮습니다. 반면, 용승해역과 연안해역은 수직 혼합이 활발하고 영양염이 많아 기초 생산력이 높습니다. 전선수역은 수직 혼합이 적어 기초 생산력이 낮지만, 북태평양 중심해역보다는 높습니다. 따라서, 북태평양 중심해역이 기초 생산력이 가장 낮은 해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심해퇴적물 중 콘드룰(condrule)의 기원은?

  1. 생물
  2. 우주
  3. 화산
  4. 풍성
(정답률: 81%)
  • 콘드룰은 우주에서 태어난 운석이 지구에 떨어져서 생긴 심해퇴적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우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해수가 담수보다 얼기 어려운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염분에 의한 빙점 강화 때문
  2. 해수는 항상 움직이기 때문
  3. 해수의 열용량이 더 크기 때문
  4. 최대밀도가 되는 온도가 빙점보다 낮기 때문
(정답률: 80%)
  • 해수는 염분이 높아서 최대밀도가 되는 온도가 빙점보다 낮기 때문에 얼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계절수온약층(seasonal thermocline)이 가장 깊어지는 계절은?

  1. 여름
  2. 가을
  3. 겨울
(정답률: 53%)
  • 겨울은 해양에서 가장 차가운 계절이기 때문에 수온이 빠르게 하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계절수온약층이 가장 깊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겨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계절풍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계절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바뀐다.
  2. 위도에 따른 태양복사 에너지의 차이 때문에 생긴다.
  3. 지구표면상의 대륙과 해양의 분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4. 아시아 대륙의 남쪽 및 남동 해상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정답률: 91%)
  • "계절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바뀐다."는 계절풍의 특징 중 하나이므로 적합한 설명입니다. 하지만 "위도에 따른 태양복사 에너지의 차이 때문에 생긴다."는 계절풍의 원인을 설명하는 것으로, 옳은 설명입니다. 계절풍은 지구 회전과 태양복사 에너지의 차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태양복사 에너지는 적도에서 직각으로 비추어지기 때문에 적도 지역에서는 연중 일정하게 태양복사 에너지가 공급됩니다. 그러나 적도에서 멀어질수록 태양복사 에너지가 감소하므로, 이로 인해 계절풍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파장 15 m 주기 3 초인 표면 진행파의 경우 위상속도(phase speed)는?

  1. 2 m/sec
  2. 5 m/sec
  3. 7.5 m/sec
  4. 15 m/sec
(정답률: 92%)
  • 위상속도는 파장과 주기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위상속도 = 파장 / 주기 = 15 m / 3 sec = 5 m/sec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Kelvin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지구자전의 영향이 나타난다.
  2. 북반구에서 해면변화는 파의 진행방향에서 왼쪽이 제일 크다.
  3. 진행속도는 수심에 관계된다.
  4. 조석파가 전파된 때 나타난다.
(정답률: 83%)
  • "북반구에서 해면변화는 파의 진행방향에서 왼쪽이 제일 크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파의 진행방향에서 오른쪽이 제일 큽니다. 이는 지구 자전의 코리올리 효과 때문인데, 이는 지구의 회전으로 인해 북반구에서는 오른쪽으로, 남반구에서는 왼쪽으로 물의 흐름이 편향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파도도 이와 같은 편향을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대양저의 열류량에 대한 일반적인 양상 중 틀린 것은?

  1. 대서양 중앙해저 산맥에서는 높은 열류량을 나타낸다.
  2. 동태평양 해팽에서는 낮은 열류량을 나타낸다.
  3. 해구에서는 낮은 열류량을 나타낸다.
  4. 해저산맥의 측면을 따라 열류량이 작은 지역이 띠를 이룬다.
(정답률: 86%)
  • "동태평양 해팽에서는 낮은 열류량을 나타낸다."가 틀린 것이다. 대양저의 열류량은 대서양 중앙해저 산맥에서 높고, 해구에서는 낮으며, 해저산맥의 측면을 따라 열류량이 작은 지역이 띠를 이룬다. 동태평양 해팽은 대서양과 인접한 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대서양과는 다른 열류량 양상을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해양에서 심층순환의 원인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두 가지 사항을 바르게 묶은 것은?

  1. 이유와 분자확산
  2. 해류와 와동확산
  3. 해류와 분자확산
  4. 이류와 와동확산
(정답률: 82%)
  • 정답은 "이류와 와동확산"입니다. 이류는 대기와 바다 간의 온도, 염분, 밀도 등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수직적인 수송 현상이며, 와동확산은 바다의 파동이나 바람에 의해 일어나는 물의 이동 현상입니다. 이 두 가지 현상이 결합하여 해양에서 심층순환을 일으키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합니다. 이류와 와동확산은 바다의 염분, 온도, 영양분 등의 분포를 조절하고, 바다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Ekman이론에 의하면 충분히 깊은 바다의 표면에서 취송류속도 V0로 표현할 수 있다. 이 중 ø가 의미하는 것은?

  1. 바람의 응력
  2. 해수의 밀도
  3. 지구상의 위도
  4. 연직와동 점성계수
(정답률: 78%)
  • Ekman이론에서 ø는 지구상의 위도를 의미한다. 이는 지구의 회전에 의해 바람이 분 방향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취송류속도도 변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구상의 위도가 취송류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해수 중 NO-3-N과 PO3-4는 다음 중 어느 것에 속하는가?

  1. 생물제한성분(Biolimiting element)
  2. 주요원소(Major element)
  3. 기체성분(Gaseous element)
  4. 보존성분(Conservative constituent)
(정답률: 91%)
  • 해수 중 NO-3-N과 PO3-4는 "생물제한성분(Biolimiting element)"에 속한다. 이는 이 두 성분이 해양 생물의 생장과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들 성분이 부족하면 생물의 생장과 생산성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주요원소(Major element)"는 해수 중 농도가 높아서 생물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성분을 말하며, "기체성분(Gaseous element)"은 해수 중 기체 상태로 존재하는 성분을 말하며, "보존성분(Conservative constituent)"은 해수 중 농도가 거의 변하지 않는 성분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경제학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는 망간단괴가 가장 많이 매장되어 있는 해역은?

  1. 태평양
  2. 지중해
  3. 인도양
  4. 대서양
(정답률: 86%)
  • 정답은 "태평양"입니다. 이는 망간단괴가 매장되어 있는 해저산의 분포와 관련이 있습니다. 태평양 해저산은 지구상에서 가장 큰 해저산으로, 망간단괴가 매장되어 있는 지역도 넓은 범위에 걸쳐 있습니다. 또한 태평양 해저산은 지진 활동이 많아 망간단괴가 쌓이는 환경이 형성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태평양이 망간단괴가 가장 많이 매장되어 있는 해역으로 꼽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지진활동이 가장 활발한 곳은?

  1. 대양저 산맥
  2. 해구
  3. 단열대
  4. 열점
(정답률: 62%)
  • 해구는 지구 표면의 판이 서로 충돌하는 지역으로, 이러한 충돌로 인해 지진과 화산활동이 매우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따라서 지진활동이 가장 활발한 곳은 해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파랑의 에너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에너지는 파고에 비례
  2. 에너지는 파장에 비례
  3. 에너지는 파고의 제곱에 비례
  4. 에너지는 파장의 제곱에 비례
(정답률: 90%)
  • 에너지는 파동의 진폭과 파장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파동의 진폭이 커지면 파동의 에너지도 커지고, 파장이 짧아지면 파동의 에너지도 커집니다. 따라서 "에너지는 파고의 제곱에 비례"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내만에서 조고(潮高)와 조류(潮流)가 일어나는 때의 관계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조고가 최대일 때 조류도 최대이다.
  2. 조고가 낮을 때 조류가 최대이다.
  3. 조고가 없을 때 조류가 최대이다.
  4. 조고와 무관하다.
(정답률: 75%)
  • 조류는 조금이라도 물이 움직이면 발생하는데, 조고가 높을 때는 물이 움직이기 어렵기 때문에 조류가 적게 발생한다. 반면에 조고가 낮을 때는 물이 자유롭게 움직이기 때문에 조류가 많이 발생한다. 하지만 조고가 없을 때는 조류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조류가 최대로 발생하는 시간이다. 이는 조류가 조금이라도 물이 움직이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조고가 없을 때 조류가 최대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블랙스모커와 화이트스모커를 온도와 분출속도로 비교한 내용으로 적합한 것은?

  1. 블랙스모커는 화이트스모터에 비해 온도는 높고 분출속도도 크다.
  2. 블랙스모커는 화이트스모커에 비해 온도는 높으나 분출속도는 작다.
  3. 블랙스모커는 화이트스모커에 비해 온도는 낮으나 분출속도는 크다.
  4. 블랙스모커는 화이트스모커에 비해 온도도 낮고 분출속도도 작다.
(정답률: 82%)
  • 블랙스모커는 화이트스모커에 비해 온도는 높고 분출속도도 크다. 이는 블랙스모커가 화산 활동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화산에서 분출되는 마그마가 지하에서 높은 압력과 온도로 인해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블랙스모커는 높은 온도와 큰 분출속도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입도의 크기 순서대로 배열된 것은?

  1. sand > pebble > silt > clay
  2. sand > pebble > clay > silt
  3. pebble > sand > silt > clay
  4. pebble > sand > clay > silt
(정답률: 89%)
  • 정답은 "pebble > sand > silt > clay" 입니다. 입도는 입자의 크기를 나타내는데, pebble은 가장 크고 clay는 가장 작은 입자 크기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ebble이 sand보다 크고, sand가 silt보다 크며, silt가 clay보다 크기 때문에 이 순서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도체가 지자기의 연직 성분을 가로지름에 따라 생기는 전위차를 측정하여 유속을 구하는 해류계는?

  1. GEK
  2. Ekman – merz Current Meter
  3. Thorndike Meter
  4. Savonius Rotor
(정답률: 86%)
  • 정답인 "GEK"은 지자기의 연직 성분을 측정하여 유속을 구하는 해류계의 약어입니다. "Ekman – merz Current Meter"는 해류계 중 하나이지만, 이는 바닥면에서의 유속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입니다. "Thorndike Meter"와 "Savonius Rotor"는 해류계와는 관련이 없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경사류(slope currents)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해면 경사에서 비롯된다.
  2. 순압적(barotropic)이다.
  3. 경압적(baroclinic)이다.
  4. 적도잠류는 경사류의 일종으로 간주된다.
(정답률: 73%)
  • 정답은 "경압적(baroclinic)이다." 이다. 경사류는 해면 경사에서 비롯되며, 순압적(barotropic)이다. 적도잠류는 경사류의 일종으로 간주된다. 경압적(baroclinic)은 수온, 염분 등의 밀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 운동을 말하며, 경사류와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해양생태학

21. 다음 중 해양에만 서식하는 종으로 구성된 동물군은?

  1. 원생동물
  2. 강장동물
  3. 연체동물
  4. 극피동물
(정답률: 87%)
  • 해양에만 서식하는 동물군은 "극피동물"입니다. 이는 그들이 해양에서만 생활하며, 특히 극지방의 추운 물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특별히 적응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갈색공생조류(Zooxanthella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산호류에 공생하여 석화작용(calcification)을 돕는다.
  2. 해산 현화 식물이다.
  3. 산호류에 기생하며 독 물질을 분비하여 숙주에 해를 준다.
  4. 해산 남조류이다.
(정답률: 81%)
  • 갈색공생조류는 산호류와 공생하여 산호의 석화작용을 돕는데, 이는 산호의 뼈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중요한 생태학적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종족 유지를 위한 회유는?

  1. 유기회유
  2. 성육회유
  3. 색이회유
  4. 산란회유
(정답률: 91%)
  • 종족 유지를 위한 회유 중 산란회유는 암컷 동물이 암컷의 난자를 생산하여 수컷과 결합하게 되어 새로운 개체를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산란회유는 종족의 다양성과 번식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유기회유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세균을 생산하는 것이며, 성육회유는 성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호르몬을 분비하는 것입니다. 색이회유는 동물의 색깔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일반적으로 강의 하구역(Estuary)에서 우점하는 해조류는?

  1. 녹조류
  2. 갈조류
  3. 홍조류
  4. 황색편모류
(정답률: 84%)
  • 일반적으로 강과 바다가 만나는 강입구 지역인 강의 하구역은 염분농도와 영양분 함량이 높아져서 해조류가 잘 자라는 환경이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녹조류가 가장 우점하는데, 녹조류는 영양분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의 하구역에서는 녹조류가 가장 많이 발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온대해역 여름철 기초생산이 감소하는 일반적인 원인이 아닌 것은?

  1. 표층수와 저층수의 교환이 적다.
  2. 수온약층이 형성된다.
  3. 영양염이 고갈된다.
  4. 투명도가 낮다.
(정답률: 78%)
  • 해수의 투명도가 낮다는 것은 물 속에서 빛이 잘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해양 식물이나 광어류 등이 빛을 받아야 하는데 그 빛이 부족해져서 생산량이 감소하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온대해역 여름철 기초생산이 감소하는 일반적인 원인 중에서는 "투명도가 낮다."가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식물플랑크톤은 물, 이산화탄소, 무기염을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물로 전환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해양에서 1차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저해요소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이산화탄소, 물
  2. 물, 무기염
  3. 태양광, 무기염
  4. 태양광, 이산화탄소
(정답률: 76%)
  • 식물플랑크톤은 물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태양에너지를 통해 유기물로 전환하는데, 이 과정에서 무기염도 필요하다. 따라서 저해요소로 짝지어진 것은 태양광과 무기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우리나라 남해안의 굴 양식장은 밀식와 연작으로 노후화되어 여러 가지 현상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의 해양에서 일어나는 노후와의 영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저층 빈산소 상태 유발
  2. 유화수소의 발생으로 생산력 저하
  3. 영양염이 유리되어 적조발생
  4. 유기물 공급으로 저서동물의 생산량 증가
(정답률: 86%)
  • 해양에서 노후와의 영향으로 인해 저층 빈산소 상태가 유발되고, 유화수소의 발생으로 생산력이 저하되며, 영양염이 유리되어 적조가 발생한다. 그러나 유기물 공급은 저서동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굴 등의 양식동물이 유기물을 먹고 성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규조류(Diatom)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플랑크톤
  2. 다세포
  3. 엽록소
  4. 규조토
(정답률: 79%)
  • 규조류(Diatom)는 단세포 식물로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다세포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다세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플랑크톤을 채집하는 기구가 아닌 것은?

  1. Norpac Net
  2. Clarke-Bampus
  3. Bongo-net
  4. Gill-net
(정답률: 66%)
  • Gill-net은 플랑크톤을 채집하는 기구가 아니라 어류를 잡는 데 사용되는 그물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Norpac Net, Clarke-Bampus, Bongo-net은 모두 플랑크톤을 채집하는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저서생물의 영양군 편해작용(trophic group amensalism)의 과정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퇴적물식자는 자신들의 먹이 섭취 활동으로 인하여 퇴적물의 함수율은 높아지고, 표층 퇴적물은 재부유되어 부유물질의 농도를 너무 높이게 되며 이로 인해 부유물식자는 해를 입게 된다는 내용이다.
  2. 증가한 부유물질의 양은 부유물식자의 여과기관을 막히게 하므로 퇴적물식자의 활동이 활발한 지역에서는 부유물식자가 살 수 없다는 가설이다.
  3. 퇴적물식자가 그들의 먹이 섭취 과정에서 또는 그 결과 부유물식자를 배척 또는 해를 준다는 현상이다.
  4. 부유물식자의 먹이 섭취 활동으로 저질이 불안정하게 되고 수분함량이 높아져 결국 퇴적물식자와 부유물식자는 공존할 수 없게 된다는 가설이다.
(정답률: 66%)
  • 정답은 "증가한 부유물질의 양은 부유물식자의 여과기관을 막히게 하므로 퇴적물식자의 활동이 활발한 지역에서는 부유물식자가 살 수 없다는 가설이다."입니다.

    이유는 오히려 이 가설은 저서생물의 영양군 경쟁 관계인 경쟁적 배제(competitive exclusion)와 관련이 있습니다. 경쟁적 배제는 서로 경쟁하는 두 종 중 하나가 다른 종을 완전히 배제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퇴적물식자의 활동이 활발한 지역에서는 부유물식자가 살 수 없게 되는 것은 경쟁적 배제의 결과이며, 저서생물의 영양군 편해작용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증가한 부유물질의 양은 부유물식자의 여과기관을 막히게 하므로 퇴적물식자의 활동이 활발한 지역에서는 부유물식자가 살 수 없다는 가설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갯벌의 생태학적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연 정화조로서의 가능
  2. 주변의 어떤 해양생태계보다도 높은 생물다양성의 보고(寶庫)로서의 기능
  3. 높은 생물생산의 기능
  4. 낚시, 휴식, 관광지로서의 기능
(정답률: 84%)
  • 낚시, 휴식, 관광지로서의 기능은 갯벌의 생태학적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갯벌이 자연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변 해양 생태계보다 높은 생물다양성과 생물생산을 유지하는 등 자연 정화조로서의 기능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낚시, 휴식, 관광지로서의 기능은 인간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갯벌의 생태학적 기능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정체수면의 부영양화 진행 과정이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오염증가기 → 조류번성기 → 호기성분해기 → 혐기성분해기
  2. 조류번성기 → 오염증가기 → 호기성분해기 → 혐기성분해기
  3. 조류변성기 → 오염증가기 → 혐기성분해기 → 호기성분해기
  4. 오염증가기 → 호기성분해기 → 조류번성기 → 혐기성분해기
(정답률: 85%)
  • 정답은 "오염증가기 → 조류번성기 → 호기성분해기 → 혐기성분해기"입니다.

    오염증가기에서는 유기물이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분해되어 유기산, 알코올, 아세트산 등이 생성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조류가 번성하여 산소를 소비하고 질소와 인을 흡수하여 생장합니다. 이후 호기성분해기에서는 산소가 충분한 상태에서 유기물이 분해되어 이산화탄소와 물이 생성됩니다. 마지막으로 혐기성분해기에서는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유기물이 분해되어 메탄과 황화수소 등이 생성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정체수면의 부영양화가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암반 조간대에 서식하는 무척추동물이 열저해에 견디는 방법과 그 대표적인 생물간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매끈한 체표면을 가짐 – 총알고둥
  2. 표면적을 최소화 - 삿갓조개
  3. 그늘진 곳으로 이동 - 갯강구
  4. 밝은 패각을 가짐 –고동류(Nodlittorina)
(정답률: 82%)
  • 암반 조간대는 물이 적고 더운 환경이기 때문에 열저해에 견디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무척추동물들은 다양한 적응전략을 갖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그늘진 곳으로 이동하는 것은 열을 피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입니다. 갯강구는 그늘진 곳에서 서식하며, 물이 적은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그늘진 곳으로 이동 - 갯강구"가 옳은 대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고래가 해양 생활을 할 수 있게 적응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폐에서 질소를 흡수한다.
  2. 신장에서 염을 제거할 수 있다.
  3. 물속에서 심장박동이 활발하다.
  4. 혈액의 산소 저장 능력이 크다.
(정답률: 86%)
  • 고래는 물속에서 심장박동이 활발한 이유로 인해 산소를 충분히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고래가 해양 생활을 할 수 있게 적응한 방법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저서동물의 생물교란 현상에 의해 나타나는 영향이 아닌 것은?

  1. 퇴적물의 수직구조 교란
  2. 표층퇴적물의 재순환
  3. 산화-환원층에의 영향
  4. 퇴적물의 안정화
(정답률: 78%)
  • 저서동물의 생물교란 현상은 퇴적물의 수직구조 교란, 표층퇴적물의 재순환, 산화-환원층에의 영향 등을 통해 나타나는데, 이 중 "퇴적물의 안정화"는 생물교란 현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퇴적물의 안정화는 지형학적인 요인이나 지하수의 영향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물교란과는 별개의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필로소마(Phllosoma)란 유생과 관계가 있는 것은?

  1. 보리새우(Panaeus japonicus)
  2. 젓새우(Acetes japonicus)
  3. 꽃게(Portunus trituberculatus)
  4. 닭새우(Panulirus japonicus)
(정답률: 79%)
  • 필로소마는 닭새우(Panulirus japonicus)의 유생태 단계 중 하나이다. 필로소마는 닭새우의 새끼가 부화 후 경과하는 단계로, 새끼가 물고기와 달리 미끈미끈한 외피를 가지고 있으며, 수중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후 필로소마는 성장하면서 다른 유생태 단계로 발달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적조가 발생했을 때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산소가 점차 감소하고 유화수소가 발생한다.
  2. 산소가 계속 증가하고 유화수소는 감소한다.
  3. 산소가 증가하므로 암모니아가스는 줄어든다.
  4. 플랑크톤의 번식이 많으니까 온갖 고기가 모여든다.
(정답률: 92%)
  • 적조는 물 속에서 과도한 양의 식물성 생물(플랑크톤 등)이 증식하여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이 때, 산소가 점차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증식한 생물들이 호흡을 하면서 산소를 소비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생물들이 죽으면서 유화수소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산소가 점차 감소하고 유화수소가 발생한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참조기의 산란장이 아닌 곳은?

  1. 산동반도 연안
  2. 서해연안
  3. 양쯔강 북부
  4. 제주도 근해
(정답률: 74%)
  • 참조기는 대개 해양에서 살아가는 동물이기 때문에, 참조기의 산란장은 대개 바다나 해양과 연관된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따라서 "산동반도 연안", "서해연안", "양쯔강 북부"는 모두 바다나 해양과 연관된 지역이기 때문에 참조기의 산란장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에 "제주도 근해"는 바다와 연관된 지역이지만, 참조기의 산란장이 아닌 이유는 제주도 근해에서는 참조기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Mare에 의한 중형저서동물의 크기는?

  1. 그물코 15 mm 정도에 걸리는 생물
  2. 그물코 1.0 mm 정도에 걸리는 생물
  3. 그물코 1.0 mm 체를 통과하고 그물코 0.1mm 체에 걸리는 생물
  4. 그물코 0.1 mm 체를 통과하는 생물
(정답률: 87%)
  • Mare는 그물코 1.0 mm 체를 통과하는 중형저서동물을 연구하였기 때문에, 이 생물의 크기는 그물코 1.0 mm 체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와 비슷하거나 작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물코 0.1mm 체에 걸리는 것을 고려하면, 이 생물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그물코 1.0 mm 체를 통과하고 그물코 0.1mm 체에 걸리는 생물"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염습지 식물 생태계의 주요 특징이 아닌 것은?

  1. 기저부가 안정되어 있다.
  2. 생물상이 풍부하지 못하다.
  3. 염습지 중간지대는 많은 종이 출현한다.
  4. 영양 공급이 원활하다.
(정답률: 54%)
  • 염습지는 물이 많이 있는 환경이기 때문에 영양 공급이 원활하고, 기저부가 안정되어 있어서 식물이 잘 자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생물상이 풍부하지 못하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염습지는 다양한 식물과 동물이 서식하는 생물다양성이 높은 생태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생물상이 풍부하지 못하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해양계측학

41. 해상 음파 탐사에서 사용하는 수중청음기(hydrophone)란?

  1. 음원(音源)을 찾는 장비이다.
  2. 해저 지층간의 반사파나 굴절파를 수신하는 장비이다.
  3. 파도의 양향을 점검하는 장치이다.
  4. 해수의 음파속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70%)
  • 해상 음파 탐사에서 사용하는 수중청음기는 해저 지층간의 반사파나 굴절파를 수신하는 장비입니다. 이는 해저 지형을 파악하고 지하 자원 탐사에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해저지형의 관찰로 대양저산맥의 확장을 연구하려 할 때 사용되는 장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수중카메라
  2. 측면주사 음향탐사기
  3. 음향측심기
  4. 해상중력계
(정답률: 82%)
  • 해저지형의 관찰을 위해서는 수심이 깊은 해저에서도 정확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대양저산맥의 확장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해저의 측면을 관찰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측면주사 음향탐사기가 가장 적합한 장비입니다. 이는 해저의 측면을 고해상도로 관찰할 수 있으며, 대양저산맥의 확장 연구에 매우 유용합니다. 수중카메라는 해저의 표면을 관찰하는 데 사용되며, 음향측심기는 수심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해상중력계는 해저의 중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해양학에서 사용하는 σt가 25.78로 표시되었다면 실제 밀도는?

  1. 1.2578 g/cm3
  2. 1.02578 g/cm3
  3. 1.002578 g/cm3
  4. 1.0002578 g/cm3
(정답률: 86%)
  • σt는 seawater의 총 밀도를 나타내는 매개 변수입니다. 이 값은 대개 kg/m3으로 표시되지만, 이 문제에서는 g/cm3으로 표시되었습니다. 따라서, σt가 25.78이면, seawater의 밀도는 1.02578 g/c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퇴적물의 조립질 입자의 입도 분석에 사용되는 기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계식 요동기(Ro-Tap)
  2. Air-Jet Sieve
  3. Rapid Sediment Analyzer
  4. Pycnometer
(정답률: 83%)
  • 퇴적물의 조립질 입자의 입도 분석에 사용되는 기기 중에서 Pycnometer는 입도 분석이 아닌 밀도 측정에 사용되는 기기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ycnometer는 액체의 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입자의 크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공기중 전파의 속도는?

  1. 약 0.1㎞/㎲
  2. 약 0.2㎞/㎲
  3. 약 0.3㎞/㎲
  4. 약 0.4㎞/㎲
(정답률: 57%)
  • 공기는 질량이 없기 때문에 전자기파가 공기를 통해 이동할 때는 전자기장의 변화가 공기 분자에게 전달되어 전파가 전달됩니다. 이 때, 전파의 속도는 전자기장의 전기적인 성질과 자기적인 성질에 의해 결정됩니다. 공기는 자유공간이기 때문에 전자기장의 전기적인 성질과 자기적인 성질이 같은 속도로 전파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공기중 전파의 속도는 약 0.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북반구에서 해수의 밀도가 균일하고 수심이 매우 큰 바다 표층에서 코리올리 힘과 바람에 의한 마찰력 사이에 평형을 이룰 때 표층해류의 방향은?

  1. 바람의 진행방향
  2. 바람의 진행방향과 반대
  3. 바람의 진행방향에서 45° 오른쪽
  4. 바람의 진행방향에서 45° 왼쪽
(정답률: 87%)
  • 코리올리 힘은 북반구에서는 오른쪽으로, 남반구에서는 왼쪽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바람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를 때, 코리올리 힘은 바람의 진행방향에서 오른쪽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 때 바람과 코리올리 힘의 방향이 서로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표층해류는 바람의 진행방향에서 오른쪽으로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바람의 진행방향에서 45° 오른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조석관측 방법으로 이용되지 않는 것은?

  1. 부표식
  2. 압력식
  3. 표척식
  4. 지자기식
(정답률: 87%)
  • 조석관측은 지구의 자전축과 수직인 방향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자기식은 지구의 자기장과 관련된 측정 방법이므로 이 방법으로는 이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지자기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주로 LANDSAT에서 사용되는 탐사 장비로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영역의 전자 에너지를 4~5개 채널로 구분하여 감지하는 장비는?

  1. ALT
  2. AVHRR
  3. MSS
  4. SASS
(정답률: 76%)
  • MSS는 Multi-Spectral Scanner의 약자로,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영역의 전자 에너지를 4~5개 채널로 구분하여 감지하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LANDSAT에서 사용되는 탐사 장비로 MSS가 주로 사용됩니다. ALT는 Atmospheric Laser Transmittance, AVHRR는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SASS는 Shuttle Attached Spectroscopic Sensor의 약자로, 이들은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Sand 나 Silt 또는 이들이 혼합된 퇴적물을 많이 채취할 때 사용되는 채니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Ekman type sampler
  2. Dredge
  3. Core sampler
  4. Sigsbee sampler
(정답률: 76%)
  • Sand나 Silt는 무거워서 수심이 깊은 바다 밑바닥에 쌓여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퇴적물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수심까지 도달할 수 있는 채니기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은 Dredge입니다. Dredge는 수심까지 도달하여 바다 밑바닥의 퇴적물을 채취할 수 있는 채니기로, 대형선박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현탁성물질을 여과하는데 통상 사용되는 Millipore filter HA형의 공경은 약 얼마인가?

  1. 0.45㎛
  2. 0.65㎛
  3. 0.30㎛
  4. 1㎛
(정답률: 87%)
  • Millipore filter HA형은 0.45㎛의 공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현탁성물질을 여과할 때, 대부분의 세포나 미생물 등의 크기가 0.45㎛ 이상이기 때문에 이 크기 이하의 입자들만을 통과시키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0.65㎛, 0.30㎛, 1㎛의 공경은 여과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표류물에 의한 해류의 측정법이 아닌 것은?

  1. 투명도판에 의한 방법
  2. 해류판에 의한 방법
  3. 해류병에 의한 방법
  4. 선박의 추측위치와 실측위치의 차에 의한 방법
(정답률: 83%)
  • 투명도판은 해류의 측정과는 관련이 없는 도구이기 때문에, 표류물에 의한 해류의 측정법이 아닙니다. 투명도판은 물의 투명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투명도판에 의한 방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해표면의 수온분포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열적외선은 AVHRR의 몇 번째 채널에서 감지하는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79%)
  • 열적외선은 AVHRR의 4번째 채널에서 감지됩니다. 이 채널은 10.5-11.5 마이크로미터의 파장을 감지하며, 이 파장은 해수면의 열을 감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채널은 해표면의 수온분포를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부진동(Seiche)의 설명이 가장 적합한 것은?

  1. 만에서 조석 진동 후에 나타나는 진동현상
  2. 외력에 의해서 생긴 만내의 진동현상
  3. 해저 지진에 의해 생긴 진동현상
  4. 기상현상에 수반된 연안진동현상
(정답률: 69%)
  • 부진동(Seiche)은 외력에 의해서 생긴 만내의 진동현상입니다. 이는 만이나 호수 등의 폐쇄된 물체 내에서 발생하며, 만에서 조석 진동 후에 나타나는 진동현상이라고도 합니다. 해저 지진이나 기상현상과는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인 원인은 외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해수와 담수의 빙점에 관산 설명 중 옳은 것은?

  1. 해수와 담수의 빙점은 동일하다.
  2. 담수는 해수의 빙점보다 낮다.
  3. 해수가 담수보다 빙점이 낮다.
  4. 해수와 담수의 빙점은 일정하지 않다.
(정답률: 91%)
  • 해수가 담수보다 빙점이 낮은 이유는 해수에는 염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염분이 높은 해수는 물 분자 간의 결합력이 약해 얼어붙는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담수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얼어붙습니다. 따라서 해수의 빙점은 담수의 빙점보다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1개월 혹은 2개월 정도의 단기 관측으로 얻어진 평균 해면이나 조화상수는 주로 어떤 자료를 참조하여 년 평균값으로 보정하여 사용하는가?

  1. 주변 해역 관측치 평균
  2. 과거 동일지점의 관측자료
  3. 인근 표준항 자료
  4. 주변 해역의 비조화 상수
(정답률: 85%)
  • 단기 관측으로 얻어진 평균 해면이나 조화상수는 지역적인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보정이 필요합니다. 이 때, 인근 표준항 자료를 참조하여 년 평균값으로 보정하여 사용합니다. 인근 표준항 자료는 해당 지역과 비슷한 기후적 조건을 가진 인근 지역에서 수년간 관측된 자료로, 해당 지역의 기후를 대표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따라서 인근 표준항 자료를 사용하여 보정하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인공위성에 의한 해양의 원격탐사에서 이용되지 않는 전자파 영역은?

  1. 감마선대
  2. 가시광선대
  3. 적외선대
  4. 레이다파대
(정답률: 77%)
  • 감마선대는 매우 짧은 파장과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이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매우 민감한 센서가 필요합니다. 또한, 감마선대는 대기권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구 상에서는 감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인공위성에 의한 해양의 원격탐사에서는 감마선대를 이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피스톤 시추기에서 채취된 퇴적물이 빠지지 않게 하는 부분은?

  1. Nose cone
  2. Core catcher
  3. Piston immobilizer
  4. Trigger arm
(정답률: 87%)
  • 피스톤 시추기에서 채취된 퇴적물은 Core catcher라는 부분에서 잡아냅니다. Core catcher는 핵심을 잡아냄이라는 뜻으로, 시추 중에 채취된 핵심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잡아냅니다. 이는 핵심이 떨어져서 실험 결과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수압뿐만 아니라 기압도 같이 감지되고 유속이 빠른 곳에서는 동압력에 의한 압력 감소도 감지되는 조석 관측 기기의 형식은?

  1. 기계식
  2. 전기 저항식
  3. 부표식
  4. 압력식
(정답률: 90%)
  • 압력식 조석 관측 기기는 수압뿐만 아니라 기압도 감지할 수 있으며, 유속이 빠른 곳에서는 동압력에 의한 압력 감소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압력을 직접 감지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압력식"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바람에 의한 순수 취송류는 바람속도의 약 몇 % 정도인가?

  1. 0.03%
  2. 0.35%
  3. 3.5%
  4. 35%
(정답률: 75%)
  • 바람에 의한 순수 취송류는 대기 중의 물질 중에서 바람에 의해 운반되는 물질만을 의미합니다. 대기 중의 물질 중에서 바람에 의해 운반되는 물질은 대기 중의 총 물질 중에서 매우 작은 비율을 차지합니다. 따라서 바람에 의한 순수 취송류는 바람속도의 약 3.5% 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대조(spring tide)와 다음 대조와의 시간간격은?

  1. 약 1/2일
  2. 약 1일
  3. 약 7일
  4. 약 15일
(정답률: 79%)
  • 대조는 만월과 신월에 발생하며, 이는 보름달과 새월에 해당한다. 따라서 대조와 다음 대조 사이의 시간 간격은 보름달과 새월 사이의 시간 간격인 약 29.5일에서 대조와 대조 사이의 시간 간격인 약 14.8일을 빼면 약 14.7일이 되므로, 약 15일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해수의 수질분석

61. 최적확수시험법에 의한 대장균군 시험법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측정단위는 MPL/100mL로 나타낸다.
  2. 희석수는 멸균된 증류수를 사용한다.
  3. 그람염색 시약으로는 수산암모늄-크리스탈 바이올렛, 루골용액, 카운터스테인, 아세톤, 알코올 등을 사용한다.
  4. 시료외 채취는 무균적으로 하고, 멸균된 용기에 넣어 하루 내에 측정하면 된다.
(정답률: 79%)
  • 최적확수시험법에 의한 대장균군 시험법의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시료외 채취는 무균적으로 하고, 멸균된 용기에 넣어 하루 내에 측정하면 된다는 이유는 대장균 군이 빠르게 증식하는 성장기에 해당하는 시간대에 측정하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무균적으로 채취하여 시료 내에 다른 세균이나 미생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멸균된 용기에 넣어야 하는 이유는 시료 내에 있는 다른 미생물이나 세균이 대장균 군의 증식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해수 시료 중 규산염은 일차적으로 몰리브덴산 착화합물을 결성시켜 측정하는데, 이 때 해수 시료 중에 몰리브덴산 착화합물을 만드는 다른 성분은?

  1. 질산
  2. 바륨
  3. 인산
  4. 코발트
(정답률: 71%)
  • 해수 시료 중에는 몰리브덴산 착화합물을 만드는 다른 성분으로 인산이 존재합니다. 인산은 몰리브덴산 착화합물을 결합하여 몰리브덴산 착화합물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인산이 없으면 몰리브덴산 착화합물을 만들 수 없습니다. 질산, 바륨, 코발트는 몰리브덴산 착화합물의 형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해양생물 시료중의 유기염소계 농약을 기체크로마토 그래프로 분석할 때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기테크로마토 그래프에 주입하기 전에 실리카겔/알루미나 칼럼에 통과시켜 세척하는 이유는?

  1. 염분을 제거하기 위해
  2.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3. 지방 등 유기분석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4.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정답률: 82%)
  • 해양생물 시료는 지방 등 유기분석방해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해 실리카겔/알루미나 칼럼에 통과시켜 세척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기염소계 농약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방 등 유기분석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에서 해수중의 구리, 납, 카드뮴 등의 원자흡광광도법에 의한 분석 시 유기착화제(킬레이트)러 시용되는 것은?

  1. MIBK
  2. EDTA
  3. HDPE
  4. APDC/DDDC 혼합용액
(정답률: 77%)
  • 해수 중의 구리, 납, 카드뮴 등의 원자흡광광도법에 의한 분석 시에는 유기착화제(킬레이트)를 사용하여 금속 이온을 안정화시켜야 합니다. 이 때, APDC/DDDC 혼합용액은 유기착화제 중 하나로, 금속 이온을 안정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에서도 권장되는 유기착화제입니다. 따라서, APDC/DDDC 혼합용액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의 부유물질 측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리섬유 여과지로 여과한다.
  2. 해수시료를 측정할 때 잘 흔들어 여과한다.
  3. 여과한 후 여과지의 염분을 제거하기 위해 10 mL의 증류수로 3회 반복 여과한다.
  4. 여과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건조 후 무게를 측정한다.
(정답률: 75%)
  • 여과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건조 후 무게를 측정하는 것은 부유물질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남아 있는 물분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부유물질의 무게가 과대평가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해수시료 중 구리를 원자흡광광도계 또는 고감도의 ICP-MS를 이용한 분석 과정에 관한 내용이 아닌 것은?

  1. 회수율(recovery ratio)을 구하여 시료의 결과와 함께 제시한다.
  2. 지료를 여과한 다음 질산으로 pH를 1.5 ~ 2.0으로 보관하면 최대 2년까지 보관이 가능하다.
  3. 만일 시료의 농도가 최대측정범위를 크게 초과할 때는 1N 중크롬산용액으로 희석하여 측정한다.
  4. 일반적으로 해수 중 농도가 미량이어서 오염가능성을 배재시키는 HEPA여과시설 및 수평기류가 가능한 청정 분석환경이 필요하다.
(정답률: 58%)
  • "회수율(recovery ratio)을 구하여 시료의 결과와 함께 제시한다."가 해당하지 않는다.

    만일 시료의 농도가 최대측정범위를 크게 초과할 때는 1N 중크롬산용액으로 희석하여 측정하는 이유는, 농도가 높을 경우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를 희석하여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해양퇴적물의 입도등급에서 점도(CLAY)를 극세립실트(very find silt)와 점토(clay)로 구분할 때 점토의 입자직경 크기는?

  1. 0.002mm 이하
  2. 0.002 ~ 0.004mm
  3. 0.004 ~ 0.008mm
  4. 0.016mm 이상
(정답률: 55%)
  • 해양퇴적물의 입도등급에서 극세립실트는 0.002 ~ 0.004mm, 점토는 0.002mm 이하의 입자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정답은 "0.002mm 이하"이다. 점토는 매우 작은 입자직경을 가지며, 이는 물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점도를 높이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점토는 다른 입도 등급에 비해 더 높은 점도를 가지며, 이는 해양 퇴적물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인도페놀법으로 해수중의 암모니아 질소를 분석할 때 생성하는 인도페놀의 색과 측정 파장은?

  1. 푸른색, 640 nm
  2. 녹색, 510 nm
  3. 담홍색, 540 nm
  4. 분홍색, 610 nm
(정답률: 77%)
  • 인도페놀법은 암모니아 질소를 측정하기 위해 인도페놀과 암모니아 질소가 반응하여 색이 변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이 반응에서 생성되는 색은 푸른색이며, 이 색의 최대 흡수 파장은 640 n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푸른색, 640 n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n-Hexane 추출물 함유량의 검정은?

  1. 수분
  2. 암모니아염
  3. 유분
  4. 시안(CN)
(정답률: 72%)
  • n-Hexane은 유기용제이므로, n-Hexane 추출물에 함유된 물질 중 유기물질인 유분을 검정하여 함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해수중의 중금속 시료를 채취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구로 적합한 것은?

  1. 니스킨 채수기(Niskin sampler)
  2. 반돈 채수기(Van Dorn sampler)
  3. Go-Flow 니스킨 채수기
  4. ICP-MS
(정답률: 74%)
  • 해수중의 중금속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오염이나 외부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정확한 채취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Go-Flow 니스킨 채수기가 적합합니다. 이 기구는 물 속에서 채취 시 오염이나 외부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정확한 채취가 가능하며, 채취한 시료를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ICP-MS와 함께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해저퇴적물 중의 총 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퇴적물 중 황은 공극수 중의 황산염, 황화수소, 황화물, 황산염 광물, 유기황화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2. 퇴적물의 유기물 오염이 심해지면 퇴적물 중 황화물의 양이 줄어든다.
  3. 황화물량을 선택적으로 측정하기 어렵다.
  4. 중량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정답률: 78%)
  • 정답은 "중량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입니다.

    퇴적물 중 황은 공극수 중의 황산염, 황화수소, 황화물, 황산염 광물, 유기황화물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이 중에서 유기황화물은 유기물과 황의 결합체로, 유기물 오염이 심해지면 유기황화물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퇴적물 중 황화물의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퇴적물의 유기물 오염이 심해지면 퇴적물 중 황화물의 양이 줄어든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황화물량을 선택적으로 측정하기 어렵다는 것은 황화물이 다른 물질과 혼합되어 있어서 구분하기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중량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해저퇴적물 중 비소(As)를 측정하는 원리와 시험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비소는 자연계에서 3가 및 5가의 화합물로 존재하나 3가의 비소는 측정이 불가능하다.
  2. 비소의 측정을 위해서는 퇴적물 내 비소를 모두 환원시켜야 한다.
  3. 퇴적물 내에 비소를 질산, 황산 및 불소산을 이용하여 완전 분해한 후 1N 염산 용액으로 재용해시킨다.
  4. 램프는 비소 무전극램프를 사용하고 수소발생환원 기화기를 같이 사용한다.
(정답률: 64%)
  • "비소는 자연계에서 3가 및 5가의 화합물로 존재하나 3가의 비소는 측정이 불가능하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비소는 3가 및 5가의 화합물로 존재하지만, 3가의 비소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다만, 3가의 비소는 5가의 비소에 비해 측정이 어려우므로 보통 5가의 비소만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COD 분석용 0.025N KMnO4 용약 1 L를 만들려면 KMnO4 몇 g을 증류수에 용해해서 1 L로 만들면 되는가? (단, 분자량은 KMnO4 158임)

  1. 0.25 g
  2. 0.79 g
  3. 1.58 g
  4. 4.0 g
(정답률: 64%)
  • KMnO4의 몰농도는 0.025 mol/L이다. 따라서 1 L 용약에 들어가는 몰수는 0.025 mol이다. 몰수와 분자량을 이용하여 질량을 구할 수 있다.

    질량 = 몰수 × 분자량 = 0.025 mol × 158 g/mol = 3.95 g

    하지만 이는 1 L의 증류수에 용해한 경우이므로, 실제로는 물의 부피가 추가되어 더 많은 양의 용매가 필요하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0.79 g"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의 실험오차 중 우연오차(random error)에 해당되는 것은?

  1. 흡습성(hygrometric) 시약의 무게 측정
  2. 잘못된 기준물질의 사용
  3. 오염된 증류수의 사용
  4. 실험자의 실수
(정답률: 72%)
  • 실험자의 실수가 우연오차에 해당된다. 실험자의 실수는 예측할 수 없는 요인으로, 실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인적 오류를 포함한다. 이는 실험 결과의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실험을 수행할 때는 실험자의 실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확한 절차와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클로로필 측정과 관계없는 파장은?

  1. 480 nm
  2. 540 nm
  3. 645 nm
  4. 750 nm
(정답률: 73%)
  • 정답은 "540 nm"이다.

    클로로필은 녹색 식물에서 광합성에 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빛의 파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녹색 식물에서는 파장이 400~700 nm인 빛을 흡수하여 광합성에 이용한다. 따라서, 480 nm, 645 nm, 750 nm은 광합성과 관련된 파장이며, 클로로필이 흡수할 수 있는 파장이다.

    반면에, 540 nm은 녹색색깔의 파장으로, 클로로필이 흡수할 수 있는 파장은 아니다. 따라서, 클로로필 측정과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Winkler 법에 의한 해수 중의 DO 측정에 나오는 화학반응식 중 틀린 것은?

  1. Mn2+ + 2OH- → Mn(OH)2
  2. 4Mn(OH)2 + 3O2 + 2H2O → 4MnO(OH)3
  3. I2 + I- = I3-
  4. I3- + 2S2O32- → 3I- + S4O62-
(정답률: 62%)
  • Winkler 법은 해수 중의 용존산소(DO)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Mn(OH)2와 NaOH를 첨가하여 용존산소를 MnO(OH)3으로 산화시키는 화학반응을 이용한다. 따라서, 주어진 화학반응식 중 틀린 것은 없다.

    4Mn(OH)2 + 3O2 + 2H2O → 4MnO(OH)3는 Mn(OH)2와 NaOH를 첨가한 후, 용존산소가 산화되어 MnO(OH)3이 생성되는 반응식이다. Mn(OH)2는 용존산소를 산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NaOH는 용액의 pH를 높여서 반응을 촉진시킨다. 이 반응식은 Winkler 법에서 가장 중요한 화학반응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해주중의 Polychlorinated Biphenyls 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노르말헥산으로 추출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한다.
  2. 기체크로마토그래피는 검출기는 전자포획형 검출기(ECD)를 사용한다.
  3. 노르말헥산으로 추출하여 농축 후 실리카겔 칼럼을 통과하여 분석방해물질을 제거한다.
  4. PCB는 단일물질이기 때문에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서 표준물질과 동일한 머무름 시간을 가진 한 개의 피크 면적으로부터 농도를 계산한다.
(정답률: 51%)
  • 정답은 "PCB는 단일물질이기 때문에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서 표준물질과 동일한 머무름 시간을 가진 한 개의 피크 면적으로부터 농도를 계산한다."가 아니다. PCB는 여러 종류의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각각의 화합물에 대한 농도를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PCB 분석에서는 각각의 화합물에 대한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각각의 피크 면적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화합물에 대한 농도를 계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해양환경에서 아질산성 질소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아질산성 질소는 일차적으로 방향족 질소화합물인 술퍼닐아미드와 산성조건하에서 반응하여 디아조늄이온을 형성한 후 이차적으로 다른 방향족 질소 화합물인 나프틸에틸렌아미드와 반응하여 분홍색의 용약을 생성하게 된다.
  2. 분광광도계에서 퇴대 흡수파장인 543 nm에서 최종 발색된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3. 시료 중의 높은 농도의 황화수소에 의해 간섭받을 수 있으므로 무산소 환경에서 채취된 시료의 경우 질소 기체로 황화수소를 탈기시켜 분석한다.
  4. 대기 중으로부터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정답률: 49%)
  • "아질산성 질소는 일차적으로 방향족 질소화합물인 술퍼닐아미드와 산성조건하에서 반응하여 디아조늄이온을 형성한 후 이차적으로 다른 방향족 질소 화합물인 나프틸에틸렌아미드와 반응하여 분홍색의 용약을 생성하게 된다." 이 부분은 옳은 설명입니다.

    아질산성 질소는 대기 중으로부터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아질산성 질소는 대기 중의 질소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해양에서 발생하는 질소화합물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대기 중으로부터 오염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대장균군의 정성시험 단계가 아닌 것은?

  1. 예비시험
  2. 확정시험
  3. 추정시험
  4. 완전시험
(정답률: 63%)
  • 대장균군의 정성시험 단계 중 "예비시험"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샘플을 검사하여 대장균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는 대장균군의 정성시험 단계 중에서는 아직 확정되지 않은 예비 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해저퇴적물 중 중금속 성분을 분석하는데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기는 원자흡수분광광도계이다. 이 기기를 사용할 때 각 물질과 중공음극관의 파장이 틀린 것은?

  1. 구리 : 324.7 nm
  2. 망간 : 279.5 nm
  3. 아연 : 213.9 nm
  4. 알루미늄 : 248.3 nm
(정답률: 74%)
  • 각 원자나 이온은 고유한 전자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 구조에 따라 특정한 파장의 빛을 흡수하거나 방출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원자흡수분광광도계는 샘플 속의 중금속 원자들이 흡수하는 특정 파장의 빛을 측정하여 성분을 분석합니다.

    따라서, 각 물질과 중공음극관의 파장이 틀린 것은 알루미늄입니다. 알루미늄의 원자 구조는 다른 물질과 다르기 때문에, 다른 물질들이 흡수하는 파장과는 다른 파장을 흡수합니다. 따라서, 알루미늄의 흡수 파장은 248.3 n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해양관련법규

81. 해양환경관리법의 적용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방사성 물질에 의한 해양오염・대기오염
  2. 대한민국 영토에 접속되는 해역 안에서 행하여진 해양오염
  3. 선박법 규정에 의한 대한민국 선박에 의하여 행하여진 해양오염
  4. 해저광물자원 개발법 규정에 의한 해저광구의 개발과 관련하여 발생한 해양오염
(정답률: 79%)
  • 해양환경관리법은 대한민국 영토에 접속되는 해역 안에서 행하여진 해양오염과 선박법 규정에 의한 대한민국 선박에 의하여 행하여진 해양오염, 그리고 해저광물자원 개발법 규정에 의한 해저광구의 개발과 관련하여 발생한 해양오염에 대해 적용됩니다. 하지만 방사성 물질에 의한 해양오염・대기오염은 해양환경관리법의 적용범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방사성 물질에 대한 규제와 관리가 다른 법률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해양환경관리법상 기름의 해양유출사고에 대비하여 방제선을 배치해야 하는 선박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총톤수 300톤 이상의 유조선
  2. 총톤수 500톤 이산의 유조선
  3. 총톤수 3000톤 이상의 선박
  4. 총톤수 5000톤 이상의 선박
(정답률: 73%)
  • 총톤수 500톤 이상의 유조선은 유류를 운반하는 선박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선박으로, 유출사고 발생 시 대처하기 쉽기 때문에 방제선을 배치해야 하는 기준으로 적합하다. 또한, 유출사고 발생 시 유출된 유류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오염방제업 및 유창청소업을 등록하고자 하는 자는 누구에게 등록신청을 해야 하는가?

  1. 해양경찰청장
  2. 항만관리청장
  3. 시・도지사
  4. 해양수산부장관
(정답률: 69%)
  •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오염방제업 및 유창청소업을 등록하고자 하는 자는 해양경찰청장에게 등록신청을 해야 합니다. 이는 해양경찰청이 해당 업무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유조선에 의한 유류오염피해자가 유조선의 선박 소유자 또는 보험자 등으로부터 배상을 받지 못한 유류오염손해 금액에 관하여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 대상은?

  1. 피해자 소속국
  2. 가해선 선장 소속국
  3. 국제기금
  4. 선박소유자 소속국
(정답률: 72%)
  • 국제기금은 유류오염사고로 인한 피해자들에게 보상을 지원하는 국제기구입니다. 유조선에 의한 유류오염피해자가 유조선의 선박 소유자 또는 보험자 등으로부터 배상을 받지 못한 경우, 국제기금에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국제해양법에서 정한 규정에 따라 국제기금이 유류오염사고로 인한 피해를 보상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해양환경관리법에서 분류하고 있는 유해액체물질의 분류 기준이 되는 근거는?

  1. 환경정책기본법
  2. 유해액체물질관리법
  3. 유엔해양법협약
  4. 73/78 MARPOL
(정답률: 76%)
  • 73/78 MARPOL은 유엔해양법협약 중 하나로, 선박으로부터 발생하는 유해물질의 배출을 규제하는 국제협약입니다. 이 협약에서는 유해액체물질을 4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각 카테고리별로 배출규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양환경관리법에서도 이 협약을 기반으로 유해액체물질을 분류하고 규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산적 유류를 화물로서 운송하는 선박 소유자는 몇 톤 이상인 경우 반드시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 계약을 체결하여야 하는가?

  1. 100 톤
  2. 200 톤
  3. 300 톤
  4. 400 톤
(정답률: 66%)
  • 200 톤 이상인 경우 국제해사법에 따라 유류운반선은 반드시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 계약을 체결하여야 합니다. 이는 유류운반선이 유출사고를 일으켰을 때 발생하는 환경오염 및 손해를 보상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 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수질환경보전법상 항만이 포함되는 수역은?

  1. 내수
  2. 공공수역
  3. 연안해역
  4. 평수구역
(정답률: 65%)
  • 수질환경보전법에서 항만은 공공수역으로 분류됩니다. 이는 항만이 대중이 이용하는 공공시설이며, 항만 내부와 주변 수역의 수질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법적으로 규제되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항만이 포함되는 수역은 공공수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연안관리법상 해양수산부 장관은 효율적인 연안정비사업을 위하여 몇 년 단위로 연안정비계획을 수립해야 하는가?

  1. 1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률: 57%)
  • 해양수산부는 연안정비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10년 단위로 연안정비계획을 수립합니다. 이는 연안정비사업이 장기적인 시각에서 계획되어야 하며, 10년 단위로 수립함으로써 장기적인 안정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연안정비사업은 많은 예산과 시간이 소요되는 대규모 사업이므로, 10년 단위로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예산 편성과 추진에 있어서도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해양환경관리법규상 분뇨오염 방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선박기준은?

  1. 총톤수 100톤 이상의 선박, 최대승선인원 10인 이상의 선박
  2. 총톤수 150톤 이상의 선박, 최대승선인원 15인 이상의 선박
  3. 총톤수 200톤 이상의 선박, 최대승선인원 20인 이상의 선박
  4. 총톤수 400톤 이상의 선박, 최대승선인원 16인 이상의 선박
(정답률: 52%)
  • 분뇨오염 방지설비는 선박의 크기와 이용 인원 수에 따라 필요한 설비의 종류와 규모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에 따라 기준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총톤수 400톤 이상의 선박은 대형 선박으로서, 많은 인원이 이용하고 많은 양의 분뇨가 발생하기 때문에 분뇨오염 방지설비를 설치해야 합니다. 또한 최대승선인원 16인 이상의 선박은 인원 수가 많아서 분뇨 발생량이 많기 때문에 분뇨오염 방지설비를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총톤수 400톤 이상의 선박, 최대승선인원 16인 이상의 선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유류오염 손해배상 보장법은 어떤 종류의 유류오염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적용되는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법률인가?

  1. 선박으로부터의 기름 유출
  2. 양어장으로부터의 기름 배출
  3. 비행기의 추락으로부터의 기름 배출
  4. 저유시설로부터의 기름 유출
(정답률: 81%)
  • 유류오염 손해배상 보장법은 선박으로부터의 기름 유출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적용되는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법률입니다. 이는 선박으로부터 유출된 기름이 해양 환경을 오염시켜 수산물 생산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선박으로부터의 기름 유출"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해양환경관리법상 정하고 있는 해역관리청으로 해양수산부장관의 관할 해역이 아닌 것은?

  1. 우리나라 배타적 경제수역
  2. 영해 및 접속수역법 상의 영해
  3. 항만법 규정에 의한 지정항만
  4. 어항법 규정에 의한 제1종 어항
(정답률: 61%)
  • 해양환경관리법은 해양환경 보호 및 관리를 위해 정부가 설치한 기관인 해양환경관리청이 관할하는 법률입니다. 따라서, 해양수산부장관의 관할 해역이 아닌 것은 해양환경관리법상 정하고 있는 해역관리청으로 관할되지 않는 해역입니다. 이 중에서 "영해 및 접속수역법 상의 영해"는 해양환경관리법과는 별개로, 영해 및 접속수역법에 따라 관할되는 법정해역을 말합니다. 따라서, 해양환경관리법상 정하고 있는 해역관리청으로 관할되지 않는 것은 "영해 및 접속수역법 상의 영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해양환경관리법상 환경보전해역에 대한 사항이 아닌 것은?

  1. 오염물질을 총량으로 규제할 수 있다.
  2. 생태계의 보전이 양호한 곳으로서 지속적인 보전이 필요한 해역이다.
  3.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의 설치를 제한할 수 있다.
  4. 해양오염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경우 육지를 포함한다.
(정답률: 50%)
  • 해양환경관리법상 환경보전해역에 대한 사항 중 "오염물질을 총량으로 규제할 수 있다."가 아닌 것은 없다.

    해양환경보전해역은 생태계의 보전이 양호한 곳으로서 지속적인 보전이 필요하며,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의 설치를 제한할 수 있고, 해양오염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경우 육지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도 "오염물질을 총량으로 규제할 수 있다."는 중요한 사항으로, 해양환경보전해역 내에서 오염물질 배출량을 제한하고 규제함으로써 해양환경을 보전하고자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해양오염방지협약상 해양학・생태학・해상교통의 특수성 등의 이유로 폐기물에 의한 해양오염 방지를 위하여 특별한 강제조치의 채택이 요구되는 특별해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지중해역
  2. 남극해역
  3. 걸프해역
  4. 베링해역
(정답률: 80%)
  • 베링해역은 국경을 넘나드는 해역으로, 러시아와 미국이 인접해 있어서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한 지역입니다. 따라서 폐기물에 의한 해양오염 방지를 위한 강제조치가 필요한 특별한 강제조치의 채택이 요구되는 특별해역에 포함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선박소유자의 손해배상책임을 제한할 경우 책임한도액을 구분 짓는 선박 톤수는?

  1. 1000톤
  2. 3000톤
  3. 5000톤
  4. 10000톤
(정답률: 65%)
  •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에서는 선박소유자의 손해배상책임을 제한하기 위해 책임한도액을 구분 짓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선박 톤수가 5000톤 이하인 경우에는 책임한도액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는데, 이는 작은 선박일수록 유출 가능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000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선박의 해양오염방지관리인의 업무가 아닌 것은?

  1. 해양시설오염물질기록부의 기록 및 보관
  2. 해양오염 방지설비의 설치 및 정비
  3. 해양오염 방제를 위한 자재 및 약제의 관리
  4. 오염물질 배출이 있는 경우 신속한 신고 및 필요한 응급조치
(정답률: 56%)
  • 해양오염 방지설비의 설치 및 정비는 선박의 해양오염방지관리인의 업무 중 하나이지만, 이 중에서도 "아닌 것"으로 나와있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 비교하여 해당 업무가 다른 업무들과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해양오염방지와 관련된 업무들이기 때문에 해당 보기만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73/78 해양오염방지협약상 국제유류오염방지증서(International Oil Pollution Prevention Certificate)를 교부 받아야 할 유조선의 크기는?

  1. 총톤수 50톤 이상
  2. 총톤수 100톤 이상
  3. 총톤수 150톤 이상
  4. 총톤수 200톤 이상
(정답률: 65%)
  • 총톤수는 선박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선박의 크기가 커질수록 유출되는 유류의 양도 많아지기 때문에 국제유류오염방지증서를 교부 받아야 하는 기준이 높아진다. 따라서 총톤수 150톤 이상인 유조선은 국제유류오염방지증서를 교부 받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73/78 MARPOL 에서 규정하고 있는 국제기름오염방지증서의 유효기간은?

  1. 2년
  2. 3년
  3. 4년
  4. 5년
(정답률: 73%)
  • MARPOL 규정에서 국제기름오염방지증서의 유효기간은 5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선박이 오염물질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규정을 준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일정 기간마다 갱신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5년이라는 기간은 선박의 운영 주기와 비슷하며, 이를 통해 선박의 안전성과 환경보호를 동시에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보장계약증명서의 기재사항에 변경이 생긴 경우 그 변경이 있은 날로부터 며칠 이내에 변경사항을 신고하여야 하는가?

  1. 3일
  2. 6일
  3. 10일
  4. 15일
(정답률: 76%)
  •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 제15조에 따르면 보장계약증명서의 기재사항에 변경이 생긴 경우 그 변경이 있은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변경사항을 신고하여야 합니다. 이는 보험회사가 보장계약증명서를 업데이트하고 보험가입자가 변경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5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법상 선박소유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류오염손해가 발생한 날부터 1년 이내에 재판상 청구가 없는 경우에는 소멸한다.
  2. 유류오염손해가 발생한 날부터 3년 이내에 재판상 청구가 없는 경우에는 소멸한다.
  3. 유류오염손해의 원인이 되었던 최조의 사고가 발생한 날부터 3년 이내에 재판상 청구가 없는 경우에는 소멸한다.
  4. 유류오염손해의 원인이 되었던 최초의 사고가 발생한 날부터 5년 이내에 재판상 청구가 없는 경우에는 소멸한다.
(정답률: 77%)
  • 정답은 "유류오염손해가 발생한 날부터 3년 이내에 재판상 청구가 없는 경우에는 소멸한다."입니다.

    이유는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법 제12조에 따라 "유류오염사고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권은 유류오염손해가 발생한 날부터 3년 이내에 재판상 청구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소멸한다"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선박소유자는 유류오염사고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권을 3년 이내에 행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선박으로부터 대량의 기름이 배출되는 경우 본 선박의 선장이 하여야 할 법적 의무사항이 아닌 것은?

  1. 해양경찰서 등에 신고
  2. 기름확산 방지를 위한 필요조치
  3. 선박 손상부위의 긴급수리
  4. 방제조치에 소요된 비용부담
(정답률: 81%)
  • 선장은 대량의 기름 배출 사고 발생 시 해양환경보호법에 따라 해양경찰서 등에 신고하고, 기름확산 방지를 위한 필요조치를 취하며, 선박 손상부위의 긴급수리를 진행해야 합니다. 하지만 방제조치에 소요된 비용부담은 선장의 법적 의무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보험사나 해당 국가의 정부 등이 부담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