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제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1-10-14)

가구제작기능사
(2001-10-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컴퍼스로 원을 그리는 방향은 어느 방향인가?

  1. 시계방향
  2. 반시계 방향
  3. 앞 오른쪽에서 시계반대 방향
  4. 방향에 무관
(정답률: 97%)
  • 컴퍼스로 원을 그릴 때, 중심점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을 그리기 때문에 정답은 "시계방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정 투상도의 정면도를 이용하여 직접 작도할 수 있는 투상도법은?

  1. 사투상도
  2. 투시도
  3. 등각투상도
  4. 부등각투상도
(정답률: 69%)
  • 정 투상도는 물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그린 것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직접 작도할 수 있는 투상도법은 사투상도입니다. 사투상도는 정면과 측면을 모두 그린 것으로, 물체의 모양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 투상도의 정면도를 이용하여 직접 작도할 때는 사투상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직선의 투상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직선이 평화면에 수직인 때에는 평화면위의 투상도는 직선이 된다.
  2. 직선이 입화면에 수직인 때에는 입화면위의 투상도는 점이 된다.
  3. 직선이 한 화면에 평행,다른 화면에 기울어지면 다른 투상도는 기선에 평행하고 길이가 짧아보인다.
  4. 직선이 두 화면과 모두 평행이 아니면 투상도는 실제의 길이나 각을 나타내지 않는다.
(정답률: 49%)
  • 잘못된 설명은 "직선이 평화면에 수직인 때에는 평화면위의 투상도는 직선이 된다." 입니다. 이유는 평면 위의 투상도는 직선이 아니라 점이 됩니다. 직선이 평면에 수직하다는 것은 그 직선과 평면이 이루는 각이 90도라는 뜻이며, 이 경우에는 직선이 평면 위에서 한 점으로 투영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의장의 원리가 아닌 것은?

  1. 통일(Unity)
  2. 율동(Rhythm)
  3. 형태(Form)
  4. 균형(Balance)
(정답률: 69%)
  • 의장의 원리 중에서 "형태(Form)"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른 원리들은 모두 의복 디자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통일(Unity)"은 의복 전체적으로 일관된 느낌을 주는 것을 의미하며, "율동(Rhythm)"은 의복에 반복되는 패턴이나 움직임을 더해 동적인 느낌을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균형(Balance)"은 의복의 각 부분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균형잡힌 느낌을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가구, 실내장식물, 집기 등과 같이 안정되고 차분한 것을 요구하느 것에는 어느 조화가 적용되는가?

  1. 형상의 조화
  2. 대비적 조화
  3. 농담의 조화
  4. 유사적 조화
(정답률: 71%)
  • 가구, 실내장식물, 집기 등과 같이 안정되고 차분한 것을 요구하는 것에는 유사적 조화가 적용됩니다. 이는 비슷한 형태, 색상, 패턴 등을 사용하여 조화롭게 배치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차분한 분위기를 조성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같은 색상 계열의 쿠션과 커튼을 사용하거나, 비슷한 패턴의 장식물을 배치하는 것이 유사적 조화의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선을 긋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84%)
  • 옳지 않은 것은 "" 입니다. 이유는 이 그림은 선을 긋는 것이 아니라 점을 찍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단면 상세도를 그릴 때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각 실의 면적
  2. 1층 바닥 높이
  3. 지붕 물매
  4. 창의 높이
(정답률: 78%)
  • 단면 상세도는 건물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도면으로, 건물의 각 부분을 정확하게 표시해야 합니다. 따라서 각 실의 면적은 건물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이기 때문에 반드시 표시해야 합니다. 반면, 1층 바닥 높이, 지붕 물매, 창의 높이는 건물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컴퓨터를 이용하여 도면을 작도할 때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도면의 수정이 용이하다.
  2. 도면 작성에 시간이 절약된다.
  3. 도면이 정확하다.
  4. 도면의 표준화가 어렵다.
(정답률: 86%)
  • 정답: 도면의 표준화가 어렵다.

    설명: 컴퓨터를 이용하여 도면을 작도할 때는 CAD(Computer-Aided Design)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며, 이를 통해 도면 작성에 시간이 절약되고 도면이 정확해지는 등의 장점이 있다. 하지만 CAD 소프트웨어는 제조업체마다 다르게 사용되기 때문에 도면의 표준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도면을 공유하거나 다른 제조업체에서 동일한 도면을 사용할 때 문제가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투시도에서 물체를 보는 사람이 서 있는 위치를 지칭하는 기호는?

  1. S.P.
  2. V.P.
  3. P.P.
  4. H.L.
(정답률: 83%)
  • "S.P."는 "Station Point"의 약자로, 투시도에서 물체를 보는 사람이 서 있는 위치를 지칭하는 기호입니다. 다른 보기인 "V.P."는 "Vanishing Point"의 약자로, 수평선과 수직선이 만나는 점을 지칭하는 기호이며, "P.P."는 "Picture Plane"의 약자로, 그림이 그려지는 평면을 지칭하는 기호입니다. "H.L."은 "Horizon Line"의 약자로, 수평선을 지칭하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하는 선은?

  1. 실선
  2. 파선
  3. 일점쇄선
  4. 절단선
(정답률: 66%)
  • 파선은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는 선으로, 일반적으로 절단면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파선은 물체의 내부를 표현하며, 절단면 위쪽에 위치한 부분은 파선으로 표시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파선은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는 가장 적합한 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배치도에 표시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축척
  2. 방위
  3. 경계선
  4. 기초
(정답률: 74%)
  • 기초는 배치도에 표시할 필요가 없는 요소입니다. 축척은 지도의 크기와 실제 크기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며, 방위는 지도상에서 북쪽을 기준으로 한 방향을 나타냅니다. 경계선은 지도상에서 구역이나 국가 등의 경계를 나타내며, 이러한 정보는 배치도에 표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기초는 배치도에 표시할 필요가 없는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투시도법에 사용되는 용어 중 화면(picture plane)이란?

  1. 사람이 서있는 면
  2. 물체와 시점 사이에 기면과 수직한 평면
  3. 눈 높이에 수평한 면
  4. 사람이 서 있는 곳
(정답률: 80%)
  • 화면(picture plane)은 투시도법에서 물체와 시점 사이에 위치한 기면과 수직한 평면을 말합니다. 이는 시점에서 물체를 바라보는 시각에서 물체를 투영하는 평면으로, 그림을 그릴 때 사용되는 평면입니다. 따라서 "물체와 시점 사이에 기면과 수직한 평면"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창호기호 중 철재창을 표시한 것은?

(정답률: 90%)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철재창을 나타내는 기호로, 다른 보기들은 나무창, 알루미늄창, 플라스틱창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축 늘어져 쉰다"는 뜻으로 오늘날에는 누울 수 있게 속을 넣은 평평한 소파 및 아주 편한 의자류를 지칭하는용어는?

  1. 다이밴(divan)
  2. 세티(settee)
  3. 라운지(lounge)
  4. 윙 체어(wing chairs)
(정답률: 93%)
  • "축 늘어져 쉰다"는 뜻으로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가구를 지칭하는 용어이며, 이러한 가구들은 주로 라운지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라운지(lounge)"이다. 다이밴은 소파와 비슷하지만 등받이가 높고 팔걸이가 없는 형태의 가구이다. 세티는 소파와 유사하지만 등받이가 짧고 팔걸이가 낮은 형태의 가구이다. 윙 체어는 등받이와 팔걸이가 높아서 뒷모습이 날개를 펼친 새와 같은 모양새를 가진 가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가구 배치시 단란한 분위기에 적합한 형태로서 벽쪽에 배치하면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는?

  1. ㄱ자형
  2. ㄷ자형
  3. ㅁ자형
  4. 직선형
(정답률: 83%)
  • 가구를 벽쪽에 배치하면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는 "ㄱ자형"입니다. 이는 가구를 벽과 수직으로 배치하여 공간을 활용하면서도 벽쪽에 가구를 배치하여 단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ㄱ자형은 가구 배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공간 활용도가 높아 실용적인 면에서도 우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목재의 인공건조에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1. 진공법
  2. 증기법
  3. 열기법
  4. 훈연법
(정답률: 83%)
  • 증기법은 목재를 인공적으로 건조시키는 방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는 목재를 고온과 고습도의 증기 환경에 노출시켜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빠르고 효율적인 건조가 가능하며 목재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증기법으로 건조된 목재는 내구성과 안정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통나무에서 어느방향이 수축율이 가장 큰가?

  1. 길이의 방향
  2. 둘레의 방향
  3. 부피의 방향
  4. 지름의 방향
(정답률: 80%)
  • 통나무의 수축율은 통나무가 마르면서 줄어드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때, 통나무의 마르는 방향은 둘레의 방향과 수직인 방향입니다. 따라서, 둘레의 방향이 수축율이 가장 큰 방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우리나라의 기건함수율은 지방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략 얼마인가?

  1. 15%
  2. 20%
  3. 25%
  4. 30%
(정답률: 84%)
  • 우리나라의 기건함수율은 지방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15% 정도입니다. 이는 지방세 중에서 기본공제로 인해 공제되는 비율이 15%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방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대체로 15% 정도로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목재의 강도는 나무결의 어느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것이 가장 약한가?

  1. 90°방향
  2. 60°방향
  3. 45°방향
  4. 나무결과 평행
(정답률: 84%)
  • 나무의 강도는 나무결의 방향과 수직 방향이 가장 강합니다. 따라서, 90°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것이 가장 약합니다. 이는 나무결이 수직 방향에 비해 수평 방향으로 덜 견고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목재가 화원에 접근되어 목질부에 불이 붙기 시작하는 온도는?

  1. 100℃
  2. 150℃
  3. 250℃
  4. 300℃
(정답률: 75%)
  • 목재가 화원에 접근되어 목질부에 불이 붙기 시작하는 온도는 일반적으로 250℃ 이상입니다. 이는 목재가 수분을 포함한 내부 구조물이 탈수되고,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면서 발생하는 온도로, 이 온도 이상에서는 목재가 불에 타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그림에서 제재계획선에 따라 제재기로 켜낼 때 A부분은 어떤 결이 되는가?

  1. 1면 무늬결 3면 곧은결
  2. 2면 무늬결 2면 곧은결
  3. 4면 곧은결
  4. 4면 무늬결
(정답률: 81%)
  • A부분은 2면 무늬결 2면 곧은결이 된다. 이는 제재계획선에 따라 A부분이 제재되면, 상단과 하단의 무늬결이 만나면서 2면 무늬결이 되고, 좌우측면이 곧은 결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2면 무늬결 2면 곧은결"이다.

    "1면 무늬결 3면 곧은결"은 A부분이 아닌 B부분에서 나타난다. B부분은 상단과 좌우측면이 곧은 결이 되고, 하단이 무늬결이 되기 때문이다.

    "4면 곧은결"은 제재계획선에 따라 모든 면이 곧은 결이 되는 경우이다. 그러나 이 그림에서는 이러한 경우가 없다.

    "4면 무늬결"은 모든 면이 무늬결이 되는 경우이다. 이 그림에서는 A부분이 2면 무늬결이 되기 때문에 이 경우도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나무세포 중 주로 양분과 수분의 통로로 쓰이는 세포는?

  1. 수지선
  2. 도관세포
  3. 수선세포
  4. 나무섬유세포
(정답률: 70%)
  • 도관세포는 나무의 물길과 영양분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세포입니다. 따라서 주로 양분과 수분의 통로로 쓰이는 세포로서, 다른 보기인 수지선, 수선세포, 나무섬유세포는 이와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섬유판 중에서 비중이 제일 큰 것은?

  1. 연질 섬유판
  2. 코르크판
  3. 경질 섬유판
  4. 파아티클 보오드
(정답률: 83%)
  • 경질 섬유판은 다른 섬유판에 비해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건축물, 가구, 차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비중이 가장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제재목 중에서 중심축을 포함한 종단면은?

  1. 곧은결
  2. 무늬결
  3. 횡단면
  4. 엇결면
(정답률: 62%)
  • 중심축을 포함한 종단면은 원통체의 양 끝을 자른 면으로, 이 면은 원통의 중심축과 수직이며, 원통의 지름을 따라 일직선으로 뻗어나가는 직선이 이 면을 가로지르면 곧은 선분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곧은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나이테가 확실히 나타나는 나무는?

  1. 단풍나무
  2. 버드나무
  3. 소나무
  4. 마호가니
(정답률: 85%)
  • 소나무는 잎이 바늘 모양이며, 영구적인 잎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이테가 확실히 나타납니다. 반면에 단풍나무와 버드나무는 계절에 따라 잎이 변하고 떨어지기 때문에 나이테를 판별하기 어렵습니다. 마호가니는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나무로, 한국에서는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나이테를 판별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소나무가 나이테를 확실히 나타내는 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목재의 풍화작용으로 나타나는 최초의 색은?

  1. 검정색
  2. 회색
  3. 갈색
  4. 은백색
(정답률: 91%)
  • 목재의 풍화작용은 주로 자외선에 의해 일어나며, 이로 인해 목재 내부의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이 분해되어 색이 변합니다. 이때 가장 먼저 나타나는 색은 셀룰로오스의 분해로 인해 생기는 갈색 색소입니다. 따라서 최초의 색은 갈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목재의 조직 중에서 결점으로 간주되지 않는 것은?

  1. 나이테
  2. 갈래
  3. 옹이
  4. 껍질박이
(정답률: 80%)
  • 나이테는 나무의 성장 과정에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나무의 성장 방향에 따라 생기는 선명한 띠 모양의 조직입니다. 결점으로 간주되지 않는 이유는 나이테가 나무의 성장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것이며, 나무의 강도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나이테는 나무의 특징 중 하나로 인정되며, 결점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구리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구리는 연성과 전성이 커서 선재나 판재로 만들기 쉽다.
  2. 열이나 전기의 전도율이 크다.
  3. 습기를 받으면 이산화탄소의 작용으로 부식하여 녹청색을 띤다.
  4. 암모니아 등의 알칼리성 용액에 침식이 잘 안된다.
(정답률: 82%)
  • "암모니아 등의 알칼리성 용액에 침식이 잘 안된다."는 구리의 특성이 아니다. 구리는 산성 용액에는 쉽게 부식되지만, 알칼리성 용액에는 침식이 잘 안되는 특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강당이나 극장 등의 안벽에 음향조절 효과로 쓰이는 제품은?

  1. 플로어링 블록
  2. 인슐레이션 보드
  3. 파티클 보드
  4. 코펜하겐 리브
(정답률: 87%)
  • 코펜하겐 리브는 고밀도 섬유보드로 만들어져 있어서 음향흡수와 방음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강당이나 극장 등에서 안벽에 사용되어 음향 조절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극연강의 탄소함유량으로 맞는 것은?

  1. 0.06%∼0.10%
  2. 0.08%∼0.12%
  3. 0.12%∼0.20%
  4. 0.20%∼0.30%
(정답률: 74%)
  • 극연강은 탄소 함유량이 0.08%~0.12%인 강종으로, 이 범위 내에서 탄소 함유량이 조절되어 생산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극연강의 탄소 함유량 범위를 벗어나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집성목재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2. 응력에 따라 단면을 얻을 수 있다.
  3. 필요에 따라 굽은용재를 만들 수 있다.
  4. 길고 단면이 큰 부재를 만들기 곤란하다.
(정답률: 77%)
  • 집성목재는 여러 개의 작은 나무 조각을 붙여서 큰 부재를 만드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길고 단면이 큰 부재를 만들기 어렵다. 이는 작은 나무 조각을 붙여서 만들기 때문에 부재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조각을 붙이는 작업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목재 접착제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충분한 접착성과 유동성을 가질 것
  2. 수축, 팽창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내부응력이 클 것
  3. 내수, 내열, 내약품성 및 전기절연성, 투명성, 속건성이 있을 것
  4. 피접착물 분자와 접착제 분자간 긴밀한 결합성이 있을 것
(정답률: 29%)
  • 수축, 팽창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내부응력이 클 것은 목재 접착제의 조건으로 옳지 않습니다.

    접착제는 목재와 접착될 때, 목재의 수축, 팽창 등의 변형에 대응하여 유동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충분한 접착성과 유동성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내수, 내열, 내약품성 및 전기절연성, 투명성, 속건성 등의 성질도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피접착물 분자와 접착제 분자간 긴밀한 결합성이 있어야 접착력이 강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합판의 제법에서 원목을 얇게 톱으로 자른 단판으로 아름다운 나무결을 얻을 수 있는 베니어는?

  1. 로터리베니어
  2. 소우드베니어
  3. 슬라이드베니어
  4. 반원슬라이드베니어
(정답률: 56%)
  • 소우드베니어는 원목을 얇게 톱으로 자르는 것이 아니라, 회전하는 칼날에 의해 나무를 껍질부터 얇게 벗겨내는 방식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아름다운 나무결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우드베니어가 원목의 결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얇게 제작할 수 있는 베니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알루미늄에 대한 설명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알칼리나 해수에 강하다.
  2. 염산 중에서는 빠르게 침식된다.
  3. 내식성과 전·연성이 크다.
  4. 연질이고 강도가 작다.
(정답률: 79%)
  • 알루미늄은 알칼리나 해수에 강하다는 것은 그 이유가 알루미늄의 표면에 알루미늄 산화물이 형성되어 이 산화물이 알칼리성 환경에서도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루미늄은 알칼리성 환경에서도 침식이 적게 일어나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합성수지계 접착제가 아닌 것은?

  1. 비닐수지계 접착제
  2. 요소수지계 접착제
  3. 실리콘수지 접착제
  4. 알부민 접착제
(정답률: 63%)
  • 알부민은 단백질로 이루어진 물질이기 때문에 합성수지계 접착제가 아닌 자연물질입니다. 따라서 알부민 접착제는 합성수지계 접착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대팻날이 밑면에 돌출되는 정도를 표시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막대패 0.6mm, 중대패 0.4mm, 다듬질대패 0.2mm
  2. 막대패 0.7mm, 중대패 0.6mm, 다듬질대패 0.5mm
  3. 막대패 0.8mm, 중대패 0.5mm, 다듬질대패 0.4mm
  4. 막대패 0.5mm, 중대패 0.2mm, 다듬질대패 0.1mm
(정답률: 77%)
  • 대팻날이 밑면에 돌출되는 정도를 표시하는 것은 대팻날의 두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대팻날이 더 많이 돌출될수록 두께가 더 두꺼워지므로 숫자가 더 큰 것이 옳습니다. 따라서, "막대패 0.5mm, 중대패 0.2mm, 다듬질대패 0.1mm"이 옳은 답입니다. 이유는 막대패는 가공 시작 시 가장 두껍기 때문에 0.5mm이 가장 크고, 중대패는 막대패에서 가공 후 두께가 줄어들기 때문에 0.2mm이 그 다음으로 크며, 다듬질대패는 가공 후 가장 얇아지기 때문에 0.1mm이 가장 작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목재표면을 끝손질 할 때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끝손질 대패의 날입은 가능한 넓게 한다.
  2. 대패의 하단면은 기름걸레로 기름을 발라서 사용한다.
  3. 끝손질은 사포를 사용하여 작품성격에 맞게 깨끗하게 한다.
  4. 가공할 때 생긴 흠은 물을 축이지 말고 그대로 깨끗이 깍는다.
(정답률: 74%)
  • 목재표면을 끝손질 할 때는 작품성격에 맞게 깨끗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사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포는 부드러우면서도 단단한 소재로, 목재표면을 부드럽게 닦아내면서도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끝손질을 할 때는 작품의 특성에 맞게 세밀하게 처리해야 하므로, 사포와 같은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끌의 일반적인 3부분이 아닌 것은?

  1. 자루
  2. 머리갱기
  3. 끌목
  4. 끌몸
(정답률: 86%)
  • 끌의 일반적인 3부분은 자루, 끌목, 끌몸입니다. 하지만 "머리갱기"는 끌의 일반적인 부분이 아닙니다. "머리갱기"는 끌의 특정 부분으로, 끌의 머리 부분을 갱기(끌어당기는 것)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머리갱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쥐꼬리톱의 톱질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짧고 빠른 톱운동을 해야 한다.
  2. 곡선이 완만할 때는 톱질각도를 크게 한다.
  3. 부재로 사용하지 않는 부분에 구멍을 뚫는다.
  4. 잘라낸 다음 칼로 깨끗이 깎아낸다.
(정답률: 61%)
  • "곡선이 완만할 때는 톱질각도를 크게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완만한 곡선에서는 톱질각도를 작게 해야 더 부드러운 곡선을 만들 수 있습니다. 톱질각도를 크게 하면 더 뾰족한 곡선이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8각 상자를 제작하기 위해서 그림과 같은 마구리대를 만들었다. A부분의 각도를 얼마로 해야 되는가?

  1. 112.5°
  2. 121.5°
  3. 135.5°
  4. 153.5°
(정답률: 69%)
  • 8각형의 내각의 합은 (8-2)×180° = 1080° 이다. 이를 8등분하면 각 내각은 135° 이다. 그림에서 보면 A부분은 이 각을 반으로 나눈 것이므로 A의 각도는 135° ÷ 2 = 67.5° 이다. 하지만 이는 마구리대의 한쪽 면의 각도이므로, 반대편 면의 각도는 180° - 67.5° = 112.5° 이다. 따라서 정답은 "11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부재의 폭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고자 할 때 어떻게 하는 방법이 가장 옳은가?

  1. 자를 부재에 직각되게 하여 나눈다.
  2. 디바이더로 나눈다.
  3. 자를 부재에 경사지게 놓고 자의 눈을 같은 간격으로 하여 나눈다.
  4. 그무개로 하나씩 나눈다.
(정답률: 73%)
  • 자를 부재에 직각되게 자르면 부재의 두 면이 정확히 수직이어야 하므로 부재의 표면이 평평하지 않으면 정확한 간격으로 나눌 수 없습니다. 디바이더로 나누는 방법은 정확한 간격으로 나눌 수 있지만, 디바이더의 정확한 위치를 설정하기 어렵고, 디바이더의 크기에 따라 간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무개로 하나씩 나누는 방법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정확한 간격으로 나누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자를 부재에 경사지게 놓고 자의 눈을 같은 간격으로 하여 나누는 것이 가장 옳은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부재의 표면이 평평하지 않아도 자의 눈을 따라서 자르면 정확한 간격으로 나눌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서랍짜기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귀로 짜기는 소가구의 서랍이나 공예품의 작은 서랍에 쓴다.
  2. 주먹장으로 짜기는 보통가구에 사용하고 고급장에는 쓰이지 않는다.
  3. 홈 맞춤으로 짜기는 서랍의 구조상 앞널의 나비가 넓은 경우에 쓰인다.
  4. 꽂음촉으로 짜기는 비교적 강도와 내구성이 좋다.
(정답률: 83%)
  • "주먹장으로 짜기는 보통가구에 사용하고 고급장에는 쓰이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며, 이유는 고급장에서도 주먹장으로 짜인 서랍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가구의 문 맞추는 순서로 옳은 것은?

  1. 경첩 달리는 쪽 - 윗부분 - 문의 밑부분 - 손잡이 달리는 부분
  2. 문의 밑부분 - 경첩 달리는쪽 - 윗부분 - 손잡이 달리는 쪽
  3. 윗부분 - 문의 밑부분 - 손잡이 달리는 부분 - 경첩 달리는 쪽
  4. 손잡이 달리는 부분 - 경첩 달리는 쪽 - 윗부분 - 문의 밑부분
(정답률: 73%)
  • 문의 밑부분을 먼저 맞추는 것은 문이 바닥에 닿아서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경첩 달리는 쪽을 맞추는 것은 문이 열리고 닫힐 때 경첩이 잘 걸리기 때문입니다. 윗부분을 맞추는 것은 문이 수직으로 맞춰지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손잡이 달리는 쪽을 맞추는 것은 문을 열고 닫을 때 손잡이를 잡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문의 밑부분 - 경첩 달리는쪽 - 윗부분 - 손잡이 달리는 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인장력이 가장 약한 맞춤은?

  1. 지옥장부
  2. 내다지장부
  3. 쌍장부
  4. 짧은장부
(정답률: 75%)
  • 인장력은 옷의 장식 부분이나 소매, 카라 등의 부분에서 발생하는 힘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약한 맞춤은 짧은장부입니다. 이는 옷의 길이가 짧아서 인장력이 발생할 부분이 적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지옥장부나 내다지장부, 쌍장부는 옷의 장식이나 소매, 카라 등이 많아서 인장력이 발생할 부분이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인장력이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오동나무 장농 등 특별한 제품을 제작할때 접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1. 접착제만 사용하여 제작한다.
  2. 못과 접착제를 같이 사용한다.
  3. 나사못만 사용하여 제작한다.
  4. 나무못, 대못, 접착제를 같이 사용하여 제작한다.
(정답률: 79%)
  • 오동나무와 같은 특별한 나무 제품은 자연스러운 곡선이나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접합 시에는 나무못이나 대못만으로는 부적합합니다. 따라서 접착제를 함께 사용하여 나무를 접합하면 더 견고하고 안정적인 제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A,B 두 부재를 꽂임촉으로 맞출 때 꽂임촉의 지름과 길이로 옳은 것은?

  1. 지름 6mm, 길이 20mm
  2. 지름 6mm, 길이 27mm
  3. 지름 8mm, 길이 30mm
  4. 지름 10mm, 길이 30mm
(정답률: 75%)
  • A,B 부재를 꽂임촉으로 맞출 때, 꽂임촉의 지름과 길이는 부재의 구멍의 크기와 깊이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부재의 구멍의 지름이 10mm이고 깊이가 30mm인 경우, 꽂임촉의 지름이 10mm이고 길이가 30mm인 것이 옳다. 다른 보기들은 부재의 구멍 크기와 깊이에 맞지 않는 크기이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서랍맞춤으로 제일 견고한 맞춤 방법은?

  1. 주먹장 맞춤
  2. 통맞춤
  3. 사개맞춤
  4. 반턱맞춤
(정답률: 79%)
  • 서랍은 주로 손으로 열고 닫기 때문에 주먹 크기에 맞춰서 맞춤을 하면 가장 견고하게 맞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먹장 맞춤"이 가장 견고한 맞춤 방법입니다. "통맞춤"은 전체적인 크기를 맞추는 방법이고, "사개맞춤"은 옆면의 각도를 맞추는 방법입니다. "반턱맞춤"은 앞면의 모양을 맞추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그림의 화살표는 목재를 대패질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가장 옳은 방향은?

(정답률: 75%)
  • 정답은 ""이다. 이유는 목재의 섬유 구조상 섬유가 길게 늘어져 있는 방향으로 대패질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길방향 대패라고 하며, "" 화살표가 길방향으로 나타나 있기 때문에 가장 옳은 방향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횡방향 대패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상자를 조립하려 할 때 가장 좋은 조립상태는?

(정답률: 75%)
  • ""가 가장 좋은 조립상태이다. 이유는 모서리 부분이 다른 상자들보다 더 많이 겹쳐져 있기 때문에 더 견고하고 안정적인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두께가 6cm, 나비가 9cm, 길이가 3.6m인 목재 10개는 몇 m3 인가?

  1. 0.1944 m3
  2. 1.944 m3
  3. 0.324 m3
  4. 3.24 m3
(정답률: 79%)
  • 목재의 부피를 구하기 위해서는 길이, 너비, 높이를 모두 곱해야 합니다. 따라서, 하나의 목재의 부피는 다음과 같습니다.

    부피 = 길이 x 너비 x 높이
    = 3.6m x 0.09m x 0.06m
    = 0.01944 m^3

    여기서 주어진 목재의 개수는 10개이므로, 전체 목재의 부피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체 부피 = 10 x 0.01944 m^3
    = 0.1944 m^3

    따라서, 정답은 "0.1944 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사진틀 제작의 모서리 맞춤은 어느 것이 좋은가?

  1. 꽂임촉 연귀 맞춤
  2. 장부 맞춤
  3. 끼움촉 연귀 맞춤
  4. 반턱 맞춤
(정답률: 61%)
  • 사진틀 제작에서 모서리 맞춤은 끼움촉 연귀 맞춤이 가장 좋습니다. 이는 모서리를 끼움촉으로 만들어서 강도와 안정성을 높이고, 연귀로 맞춤을 해서 보기 좋은 완성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꽂임촉 연귀 맞춤은 강도가 약해지는 단점이 있고, 장부 맞춤은 보기에 좋지 않은 완성도를 가지기 때문에 선택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반턱 맞춤은 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모서리가 뾰족해져 다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무개의 용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평행선 긋기
  2. 얇은 널 절단
  3. 끌구멍 표시
  4. 주먹장 선긋기
(정답률: 66%)
  • 그무개는 "주먹장 선긋기"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그무개는 주로 나무나 금속 등의 표면에 표식을 남기거나, 얇은 널을 절단하거나, 끌구멍을 표시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목공기계 작업시 가장 필요한 보호구는?

  1. 안전화
  2. 방진마스크
  3. 안전모
  4. 보안경
(정답률: 78%)
  • 목공기계 작업시에는 나무 가루나 먼지가 발생하여 호흡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진마스크를 착용하여 호흡기를 보호해야 합니다. 안전화는 발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고, 안전모는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보안경은 눈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지만, 호흡기를 보호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작은부재를 이용하여 넓은부재를 얻는 방법은?

  1. 쪽매맞춤
  2. 반턱맞춤
  3. 통맞춤
  4. 꽂음촉맞춤
(정답률: 70%)
  • 쪽매맞춤은 작은 부재를 이용하여 넓은 부재를 얻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작은 부재의 모서리를 넓은 부재의 모서리에 맞추어 붙이는 것으로, 부재의 모양이 쪽 모양이 되기 때문에 쪽매맞춤이라고 부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빠르게 부재를 연결할 수 있으며, 강도와 정확도가 높아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장부맞춤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마름질하기- 장부구멍파기- 장부켜기- 어깨자르기 - 조립하기
  2. 마름질하기- 어깨자르기- 장부켜기- 장부구멍파기 - 조립하기
  3. 마름질하기- 장부켜기- 어깨자르기 - 장부구멍파기 - 조립하기
  4. 마름질하기- 장부구멍파기- 어깨자르기 -장부켜기 - 조립하기
(정답률: 64%)
  • 정답은 "마름질하기- 장부구멍파기- 장부켜기- 어깨자르기 - 조립하기"입니다. 이는 전통적인 한국의 장부제작 방법으로, 마름질하기로 종이를 평평하게 만든 후 장부구멍파기로 구멍을 뚫고 장부켜기로 묶어 어깨자르기로 어깨에 걸쳐서 작업하며, 마지막으로 조립하기로 장부를 완성합니다. 이 순서는 장부를 깔끔하고 정확하게 제작하기 위한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루터의 커터날 명칭은?

  1. 계량날
  2. 홈날
  3. 궁형날
  4. 주먹홈날
(정답률: 72%)
  • 이 루터의 커터날은 궁형날입니다. 이유는 보기에서 주어진 다른 커터날들과는 달리, 이 커터날은 끝이 날카롭게 굽혀져 있어서 궁궐의 궁형을 연상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옻칠의 건조시 가장 알맞은 습도는?

  1. 30 - 45%
  2. 45 - 60%
  3. 60 - 75%
  4. 75 - 80%
(정답률: 53%)
  • 옻칠은 건조할 때 적절한 습도 범위가 필요합니다. 너무 건조하면 옻칠이 굳어지고, 너무 습하면 옻칠이 마르지 않고 표면이 광택이 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옻칠의 건조시 가장 알맞은 습도는 60 - 75%입니다. 이 범위는 옻칠이 적절하게 건조되면서도 광택이 나게 하기 위한 범위로, 너무 건조하지도 너무 습하지도 않은 적절한 습도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목공기계에서 장부가공 할 때 사용하는 기계가 아닌 것은?

  1. 둥근톱기계
  2. 각끌기계
  3. 장부기
  4. 띠톱기계
(정답률: 52%)
  • 띠톱기계는 목재를 자르는 기계이며, 장부가공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장부가공에는 둥근톱기계, 각끌기계, 장부기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그림의 접합에 대한 명칭은 어느 것인가?

  1. 턱솔 장부맞춤
  2. 턱 장부
  3. 반턱 맞춤
  4. 주먹 장부
(정답률: 62%)
  • 이 그림은 "턱 장부" 접합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두 조각이 서로 만나는 부분이 턱 모양으로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목재에 홈을 파고 턱을 만들며 성형절삭을 할 수 있는 기계는?

  1. 휴대용 전동대패
  2. 휴대용 둥근톱
  3. 휴대용 루터
  4. 엣지포머
(정답률: 82%)
  • 목재에 홈을 파고 턱을 만들며 성형절삭을 할 수 있는 기계는 "루터"입니다. "휴대용 루터"는 이 기계를 휴대하기 쉽게 만든 것으로,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목재 가공 기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