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제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1-27)

가구제작기능사
(2002-01-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제도판에 있어서 중판의 규격은?

  1. 600㎜ x 450㎜
  2. 900㎜ x 600㎜
  3. 1000㎜ x 750㎜
  4. 1200㎜ x 900㎜
(정답률: 84%)
  • 중판은 4판 중 가장 큰 규격이며, 900㎜ x 600㎜인 이유는 인쇄물의 크기와 비례하여 제작하기 적합하며, 인쇄물의 크기가 작아지면 인쇄물의 디테일이 상실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규격은 인쇄물의 크기와 비례하여 제작하기 적합하며, 인쇄물의 크기가 작아지면 인쇄물의 디테일이 상실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디바이더의 사용법 중 틀린 것은?

  1. 치수를 도면에 옮길 때
  2. 작은 원을 그릴 때
  3. 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할 때
  4. 도면의 길이를 다른 도면에 옮길 때
(정답률: 86%)
  • 디바이더는 작은 원을 그릴 때 사용하지 않습니다. 디바이더는 주로 치수를 도면에 옮길 때, 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할 때, 도면의 길이를 다른 도면에 옮길 때 사용됩니다. 작은 원을 그릴 때는 컴퍼스나 프로트랙터 등 다른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해칭(Hatching)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본 중심선 또는 기선에 대하여 30° 의 가는 실선을 긋는다.
  2. 같은 부품의 단면은 떨어져 있어도 해칭의 방향과 간격은 같게한다.
  3. 서로 인접하는 단면의 해칭은 각도 및 간격을 같게 해서는 안된다.
  4. 해칭선은 45° 의 굵은 직선을 사용한다.
(정답률: 78%)
  • 해칭선은 동일한 부품의 단면에서도 일정한 간격과 방향으로 그려져야 하기 때문에, 같은 부품의 단면이라도 해칭의 방향과 간격은 동일해야 합니다. 이는 부품의 형상을 일관성 있게 보여주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보기와 같은 도형에서 평면도로 옳은 것은?

(정답률: 93%)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평면도에서는 높이를 나타내는 세로선과 깊이를 나타내는 가로선이 모두 보이기 때문입니다. "", "", ""는 모두 세로선이나 가로선 중 하나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물체의 정면도는? (단, 화살표 방향이 정면)

(정답률: 91%)
  • 정면에서 보면 물체의 왼쪽 부분이 더 많이 보이고, 오른쪽 부분은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물체의 중심축은 왼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기 중에서도 왼쪽에 위치한 ""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그림은 3각법에 의한 투상도이다. 실제 물체의 모양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90%)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투상도에서는 물체의 크기와 거리가 왜곡되어 보이기 때문에 실제 물체의 모양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물체의 모양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어 실제 물체의 모양과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평행 투시도법에서 소점의 수는?

  1. 1개
  2. 2개
  3. 3개
  4. 없음
(정답률: 74%)
  • 평행 투시도법에서는 하나의 소점만 사용합니다. 이는 원근법과는 달리 모든 선이 평행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등각투상도에서 3개의 축이 이루는 각도는 얼마인가?

  1. 60°
  2. 90°
  3. 120°
  4. 180°
(정답률: 84%)
  • 등각투상도에서 3개의 축이 이루는 각도는 모두 120°입니다. 이는 등각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개의 축이 이루는 각도는 180°/3 = 60°이며, 이를 각도의 보조각으로 생각하면 12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상쾌한 느낌이나, 고요하고 조용한 느낌이 주로 나타나는 것은?

  1. 율동(rhythm)
  2. 조화(harmony)
  3. 대비(contrast)
  4. 균형(balance)
(정답률: 73%)
  • 조화는 서로 다른 음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하나의 음악적인 통일감을 느끼게 합니다. 따라서 상쾌한 느낌이나 고요하고 조용한 느낌이 주로 나타나는 것은 서로 어우러져 조화롭게 울리는 음들이 조화를 이루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아래 그림은 직각을 3등분하는 방법인데 길이의 설명이 틀린 것은?

(정답률: 92%)
  • 설명이 틀린 것은 ""입니다.

    이유는 각 변의 길이가 3:4:5 비율로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즉, 가장 긴 변인 AC의 길이는 5x, AB의 길이는 4x, BC의 길이는 3x가 됩니다.

    따라서, AB를 3등분하면 각각의 길이는 4x/3이 되고, AC를 3등분하면 각각의 길이는 5x/3이 됩니다. 하지만 BC를 3등분하면 각각의 길이는 3x/3 = x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붙박이 가구와 모듈러 가구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생활의 적응성을 높일 수 있다.
  2. 공간의 유용성을 높일 수 있다.
  3. 심리적인 안정감과 영구성을 줄 수 있다.
  4. 붙박이 가구는 유동성과 융통성이 크다.
(정답률: 90%)
  • 정답은 "붙박이 가구는 유동성과 융통성이 크다."입니다.

    붙박이 가구는 벽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이 불가능하지만, 그만큼 안정적이고 영구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모듈러 가구는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동이 용이하며, 필요에 따라 구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붙박이 가구는 유동성과 융통성이 적은 반면, 모듈러 가구는 유동성과 융통성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도면에서 표제란이 위치하는 곳은 어디인가?

  1. 도면 오른쪽 위
  2. 도면 오른쪽 아래
  3. 도면 왼쪽 아래
  4. 도면 왼쪽 위
(정답률: 83%)
  • 도면에서 표제란은 일반적으로 도면의 제목이 위치하는 곳으로, 도면의 정보를 요약하여 제공합니다. 이에 따라 도면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도면의 상단 중앙이나 하단 중앙에 위치하며, 이 도면에서는 도면의 제목이 도면 오른쪽 아래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대비의 종류가 다른 것은?

(정답률: 91%)
  • 정답은 ""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대비의 종류 중 하나인 '대비강화'에 해당하지만, ""는 '대비저하'에 해당합니다. 이는 대비를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대비를 낮추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그림의 창호표시 기호가 나타내는 것은?

  1. 회전문
  2. 쌍여닫이문
  3. 자재문
  4. 빈지문
(정답률: 69%)
  • 이 창호표시 기호는 자재문을 나타냅니다. 이는 창고나 창고형태의 건물에서 사용되는 문으로, 주로 화물이나 자재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회전문은 돌아가며 열리는 문, 쌍여닫이문은 두 개의 문이 서로 열리고 닫히는 문, 빈지문은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문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나비형태로 몸체가 하나로 되어 있어 문짝과 측판에 고정하여 쓰이는 경첩은?

  1. 피봇 경첩
  2. 숨은 경첩
  3. 나비 경첩
  4. 플랩 경첩
(정답률: 92%)
  • 문짝과 측판에 고정하기 위해 몸체가 하나로 된 형태를 가진 경첩을 나비 경첩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수액제거법에 대한 설명 중 부적당한 것은?

  1. 1년 이상 방치하여 두면 우로에 의하여 수액이 빠지고 건조가 빠르다.
  2. 목재는 수액을 제거해야 건조가 빠르다.
  3. 강물에 띄워 약 반년쯤 물에 담가두면 수액은 제거되지만 흡수된 물 때문에 건조는 늦어진다.
  4. 목재를 열탕으로 삶으면 수액이 빨리 제거되어 건조가 빨라진다.
(정답률: 76%)
  • 강물에 띄워 약 반년쯤 물에 담가두면 수액은 제거되지만 흡수된 물 때문에 건조는 늦어진다. - 이는 오히려 수분이 더 많아져서 건조가 늦어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부적절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전건재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기건재가 더욱 건조되어 함수율이 0% 가 된 것을 뜻한다.
  2. 전건재는 대기중에 방치하여 함수율이 3% 가 된 것을 뜻한다.
  3. 기건재가 점점 증발함으로써 함수율이 10% 가 된 것을 뜻한다.
  4. 기건재를 대기중에 방치하여 함수율이 5% 가 된 것을 뜻한다.
(정답률: 78%)
  • 기건재는 공기 중에서 노출되어 물기를 잃게 되면 함수율이 점점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기건재가 더욱 건조되어 함수율이 0% 가 된 것을 뜻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목질부 보다는 약간굳고 단단한 부분이 되어 가공이 좀 불편하고 미관상 좋지 않으나 목재로 사용하는 데에는 별 지장이 없는 옹이는?

  1. 산옹이
  2. 죽은옹이
  3. 썩은옹이
  4. 옹이구멍
(정답률: 85%)
  • 산옹이는 목질부보다 약간 굳고 단단한 부분이 있어 가공이 어렵고 미관상 좋지 않지만, 목재로 사용하는 데에는 별 지장이 없기 때문입니다. 죽은옹이와 썩은옹이는 이미 죽어나가거나 부패가 진행된 상태이기 때문에 목재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합니다. 옹이구멍은 옹이 내부에 생긴 구멍으로, 목재로 사용하기에는 결함이 있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부패균에 의한 목재의 부패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온도를 4℃ 이하나 55℃ 이상으로 한다.
  2. 습도를 20% 이하나 80% 이상으로 한다.
  3. 물에 담가 공기를 차단한다.
  4. 도료로 표면 피복을 한다.
(정답률: 75%)
  • 정답은 "습도를 20% 이하나 80% 이상으로 한다." 입니다.

    습도가 20% 이하나 80% 이상이면 부패균이 번식하기 어렵기 때문에 목재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낮은 습도는 목재가 균열이 생기거나 변형될 수 있으며, 너무 높은 습도는 곰팡이 등 다른 종류의 균에 감염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습도 관리가 필요합니다.

    온도를 4℃ 이하나 55℃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은 부패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온도 범위이지만, 이 방법만으로는 습도 관리가 되지 않으면 부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에 담가 공기를 차단하는 것은 목재가 습기를 유지하면서 공기 중의 산소를 차단하여 부패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방법입니다.

    도료로 표면 피복을 하는 것은 목재 표면을 보호하여 습기와 부패균의 침입을 막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침엽수와 활엽수를 가장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1. 잎의 생긴 모양을 보고 구분한다.
  2. 지질의 경도 상태를 보고 구분한다.
  3. 나이테 분산모양을 보고 구분한다.
  4. 나무의 크기와 성장모양을 보고 구분한다.
(정답률: 84%)
  • 잎의 생긴 모양은 침엽수와 활엽수를 가장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침엽수는 바늘모양의 잎을 가지고 있고, 활엽수는 다양한 모양의 잎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잎의 생긴 모양을 보고 구분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고 명료한 방법입니다. 지질의 경도 상태, 나이테 분산모양, 나무의 크기와 성장모양은 침엽수와 활엽수를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른 요소들이지만, 잎의 생긴 모양만큼 명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다음 중 나이테가 없는 나무는?

  1. 감나무
  2. 나왕
  3. 대나무
  4. 참죽나무
(정답률: 93%)
  • 대나무는 다른 세 가지 나무와 달리 나이테가 없습니다. 나이테는 나무의 노란색 또는 갈색의 표면 층으로, 나무의 나이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그러므로 대나무는 다른 나무들과 달리 나이테가 없으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추재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원형질이 적게 들어있다.
  2. 세포막이 두껍다.
  3. 암색을 띤다.
  4. 목질이 연하다.
(정답률: 81%)
  • 목질이 연하다는 것은 나무의 성질 중 하나로, 나무가 부드럽고 쉽게 깎이며 가공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나무의 성장환경, 종류, 수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추재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목질이 연하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목재의 함수율 변화에 따라 일어나는 현상 중 옳지 않은 것은?

  1. 형태의 변화가 생긴다.
  2. 강도의 변화가 생긴다.
  3. 비중의 변화가 생긴다.
  4. 압축강도의 변화가 특히 크게 나타난다.
(정답률: 65%)
  • 압축강도는 목재의 함수율이 낮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함수율이 낮아질수록 압축강도의 변화가 특히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압축강도의 변화가 특히 크게 나타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가구제작에 많이 이용되는 합판의 특성에 관한 기술로 옳지 않은 것은?

  1. 뒤틀림이 없다.
  2. 곡면판을 쉽게 만들 수 있다.
  3. 방향에 따른 강도차가 적다.
  4. 팽창수축이 크다.
(정답률: 83%)
  • 팽창수축이 크다는 것은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 변화에 따라 합판의 크기가 크게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구 제작 시에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와 제작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팽창수축이 크다"는 합판의 특성 중 하나이며, 옳지 않은 것은 "뒤틀림이 없다"입니다. 합판은 자연적으로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보강재나 구조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합판단판의 제조방법이 아닌 것은?

  1. 로우터리 베니어(Rotary veneer)
  2. 슬라이스드 베니어(Sliced veneer)
  3. 소오드 베니어(Sawed veneer)
  4. 오우버레이 베니어(Overlay veneer)
(정답률: 76%)
  • 오우버레이 베니어는 합판을 만드는 방법이 아니라, 이미 만들어진 합판 위에 추가적인 나무 판을 붙여서 만드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제조방법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알루미늄의 특성으로 잘못된 것은?

  1. 열이나 전기전도율이 높고 전성과 연성이 풍부하다.
  2. 공기중에서 표면에 산화막이 생겨,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3. 산, 알칼리에 강하므로 보통 콘크리트에 사용한다.
  4. 알루미늄은 실내장식재, 가구와 창호, 커튼레일에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88%)
  • 알루미늄은 산, 알칼리에 강하지 않으므로 보통 콘크리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산, 알칼리에 강하므로 보통 콘크리트에 사용한다."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목재의 방부법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1. 일광직사
  2. 침지
  3. 표면탄화
  4. 표면피복
(정답률: 63%)
  • 목재의 방부법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표면피복"입니다. 이는 목재 표면에 방부제를 도포하여 외부로부터의 습기, 물, 곰팡이, 해충 등의 침입을 막는 방법입니다. 또한, 표면피복은 목재의 미적인 가치를 유지시켜주며, 내구성을 향상시켜주는 역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계절적으로 가장 좋은 죽재의 벌목시기는?

  1. 1월 하순부터 2월 사이
  2. 4월 하순부터 5월 사이
  3. 7월 하순부터 8월 사이
  4. 10월 하순부터 11월 사이
(정답률: 86%)
  • 가을에는 나무의 수액이 뿌리로 돌아가기 시작하며, 이로 인해 나무의 생장이 둔화됩니다. 따라서 가을에 벌목을 하면 나무가 덜 성장한 상태에서 벌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나무의 품질이 좋아집니다. 또한 가을에는 습도와 온도가 적당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벌목 후 건조하기에도 좋습니다. 따라서 계절적으로 가장 좋은 죽재의 벌목시기는 "10월 하순부터 11월 사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집성목재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1. 집성재란 두께 15-50mm의 단판을 제재하여 섬유방향을 거의 평행이 되게 여러장 겹쳐서 접착한 것이다.
  2. 집성목재는 응력에 따라 필요한 단면을 만들 수 있으나 목재의 강도를 인공적으로 조절할 수는 없다.
  3. 집성목재는 필요에 따라 아치와 같은 굽은 용재를 만들 수 있다.
  4. 집성목재는 길고 단면이 큰 부재를 간단히 만들 수 있다.
(정답률: 75%)
  • "집성목재는 응력에 따라 필요한 단면을 만들 수 있으나 목재의 강도를 인공적으로 조절할 수는 없다."가 틀린 것이다. 집성목재는 여러 장의 단판을 접착하여 만들기 때문에 강도를 인공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단판의 방향, 접착제의 종류 및 양 등을 조절하여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열경화성 수지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내열성이다.
  2. 밀도가 크며 딱딱하다.
  3. 탄력성이 없고 부스러지기 쉽다.
  4. 가열하면 유동성이고 냉각시키면 다시 굳는다.
(정답률: 79%)
  • 가열하면 유동성이고 냉각시키면 다시 굳는다는 특성은 열가소성이며, 열경화성 수지의 특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열경화성 수지는 내열성이며 밀도가 크고 딱딱하며 탄력성이 없고 부스러지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목재의 접착조건 중 틀린 것은?

  1. 활엽수가 침엽수보다 접착력이 강하다.
  2. 비중이 클수록 접착력이 강한 경우가 많다.
  3. 목재의 함수율은 8~12%가 적당하다.
  4. 마구리면이 종단면보다 접착력이 좋다.
(정답률: 68%)
  • 마구리면이 종단면보다 접착력이 좋다는 것은 틀린 내용입니다. 이유는 마구리면은 나무의 섬유 방향과 수직으로 절단된 면으로, 접착력이 약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접착을 위해서는 종단면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목재의 역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인장 및 압축강도는 목재를 인장시키고 압축시킬 때 생기는 외력에 대한 내부저항을 뜻한다.
  2. 섬유의 평행방향의 인장강도는 목재의 제강도 중에서 가장 크다.
  3. 목재섬유에 직각방향의 인장강도는 평행방향에 비해 상당히 크다.
  4. 섬유의 평행방향에 대한 강도가 가장 크고 섬유의 직각 방향에 대한 것이 가장 작다.
(정답률: 72%)
  • "섬유의 평행방향에 대한 강도가 가장 크고 섬유의 직각 방향에 대한 것이 가장 작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정답: 목재섬유에 직각방향의 인장강도는 평행방향에 비해 상당히 크다.

    설명: 목재는 나무의 성질에 따라 인장, 압축, 굽힘, 전단 등 다양한 역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재섬유는 나무의 성장 방향에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이 때 섬유의 평행방향에 대한 강도가 가장 큽니다. 하지만 섬유의 직각 방향에 대한 강도도 충분히 강합니다. 이는 목재의 내부 구조가 겹겹이 쌓인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목재는 다양한 방향에서의 외력에 대해 강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흡수팽창이 있으나 부러지지는 않으며 가소성이 있고, 실용적이나 옥외에서의 사용은 불가한 것은?

  1. 반경질비닐타일
  2. 경질비닐타일
  3. 리노륨타일
  4. 고무타일
(정답률: 52%)
  • 흡수팽창이 있으나 부러지지는 않으며 가소성이 있어서 실용적이지만, 옥외에서의 사용은 불가능한 것은 모두 해당됩니다. 하지만, "반경질비닐타일", "리노륨타일", "고무타일"은 모두 부드러운 소재로 만들어져 있어서 부러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경질비닐타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마이타조인트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1. 볼트의 장착과 분리가 자유롭다.
  2. 강력한 구심력 작용으로 접합력이 우수하다.
  3. 접합의 각도가 90° ∼ 180° 까지 가능하다.
  4. 기능에 비해 가구형태에 대한 디자인이 다양하지 못하다.
(정답률: 72%)
  • 마이타조인트는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가구형태에 대한 디자인이 다양하지 못하다는 것은 제품의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품의 기능성은 우수하지만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목재의 활엽수에 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피자식물의 쌍떡잎 식물이다.
  2. 주로 연목(軟木)이다.
  3. 성질이 일정하지 않다.
  4. 가구재나 장식재로 쓰인다.
(정답률: 73%)
  • 주로 연목(軟木)이다는 설명이 맞지 않습니다. 목재의 활엽수는 주로 경목(硬木)입니다. 이는 경목이 연목보다 더 단단하고 강하며 내구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수공구와 목공기계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띠톱기계 - 쥐꼬리톱
  2. 각끌기계 - 평끌
  3. 루우터기계 - 홈대패
  4. 손밀이대패 - 배대패
(정답률: 71%)
  • 손밀이대패와 배대패는 서로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잘못 짝지어진 것입니다. 손밀이대패는 손으로 작업하는 수공구로, 작은 부분을 정밀하게 다듬거나 깎아내는 작업에 적합합니다. 반면에 배대패는 목공기계로, 큰 목재를 절단하거나 형태를 만드는 작업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는 서로 대체가 불가능하며, 각각의 작업에 맞는 도구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반턱맞춤을 마름질 하는데 가장 중요한 일은 무엇인가?

  1. 권척으로 나누는 일
  2. 직각자로 부재의 직각도를 보는 일
  3. 기준면을 기준하여 그무개질 하는 일
  4. 대패질 하는 일
(정답률: 60%)
  • 반턱맞춤을 마름질 하는데 가장 중요한 일은 기준면을 기준하여 그무개질 하는 일입니다. 이는 기준면이 정확하게 설정되어야 반턱맞춤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기준면이 정확하지 않으면 반턱맞춤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준면을 정확하게 설정하고 그에 따라 무개질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쪽매방법 중 가장 강도가 큰 것은?

  1. 빗쪽매
  2. 반턱쪽매
  3. 제혀쪽매
  4. 딴혀쪽매
(정답률: 84%)
  • 제혀쪽매는 혀를 입 안에서 뒤로 굽히고 아랫입술과 상반되는 부분에 위치한 아랫혀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아랫턱을 밀어 올리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쪽매 방법에 비해 힘이 가장 강하게 전달되기 때문에 가장 강도가 큰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오동나무 판재 2개를 직각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이상적인 것은?

  1. 접착제를 바르고 대나무 못을 친다.
  2. 짧은 장부맞춤을 한다.
  3. 나사못으로 조인다.
  4. 무두못(無頭釘)을 박는다.
(정답률: 68%)
  • 오동나무는 물에 젖으면 팽창하고 건조하면 수축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접착제를 바르고 대나무 못을 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이렇게 하면 오동나무가 팽창하거나 수축할 때도 판재가 고정되어 유지됩니다. 나사못이나 무두못은 오동나무가 팽창하거나 수축할 때 판재를 고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짧은 장부맞춤을 한다면 고정력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장부 구멍파기 할 때의 유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

  1. 끌의 폭은 구멍의 폭에 맞는 것을 사용하며 치수가 맞는 끌이 없을 때에는 좁은끌로 지그재그형으로 판다.
  2. 끌의 뒷날이 자기 앞쪽으로 향하게 하고,똑바로 수직으로 끌질한다.
  3. 한부재에 팔구멍이 큰것과 작은것이 있을 때에는 큰것을 먼저 판다.
  4. 한 부재에 팔구멍이 깊은것과 얕은것이 있을 때에는 얕은것을 먼저 판다.
(정답률: 65%)
  • "한부재에 팔구멍이 큰것과 작은것이 있을 때에는 큰것을 먼저 판다." 인 이유는 큰 구멍을 먼저 팔 경우 작은 구멍을 이용하여 더 작은 금액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옳은 내용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옳은 내용입니다.
    - "끌의 폭은 구멍의 폭에 맞는 것을 사용하며 치수가 맞는 끌이 없을 때에는 좁은끌로 지그재그형으로 판다." : 끌의 폭은 구멍의 폭에 맞춰야 구멍을 파기 쉽고 깔끔하게 할 수 있습니다.
    - "끌의 뒷날이 자기 앞쪽으로 향하게 하고,똑바로 수직으로 끌질한다." : 끌을 수직으로 질러야 깔끔하게 구멍을 파고, 끌의 뒷날이 앞쪽으로 향하면 끌이 미끄러지지 않습니다.
    - "한 부재에 팔구멍이 깊은것과 얕은것이 있을 때에는 얕은것을 먼저 판다." : 깊은 구멍을 먼저 팔 경우 얕은 구멍을 이용하여 더 작은 금액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얕은 구멍을 먼저 팔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맞춤공작의 기본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평탄하게 깎을 것
  2. 반듯하게 켤 것
  3. 바른 각도로 자를 것
  4. 이 생기지 않도록 사포질 할 것
(정답률: 87%)
  • " 이 생기지 않도록 사포질 할 것"은 맞춤공작의 기본사항 중 하나이며, 다른 보기들도 모두 맞춤공작의 기본사항에 해당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대팻날 갈기에 있어서 날끝각도는 얼마로 유지되도록 갈아야 하는가?

  1. 15° - 20°
  2. 25° - 30°
  3. 35° - 40°
  4. 45° - 50°
(정답률: 73%)
  • 대팻날 갈기의 날끝각도는 25° - 30°로 유지되도록 갈아야 합니다. 이는 대팻날이 자재를 자를 때 적절한 접촉면을 유지하면서도 충분한 치수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날끝각도가 너무 작으면 자재를 자를 때 힘이 많이 들어가게 되고, 너무 크면 자재를 제대로 자를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25° - 30°가 적절한 각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마구리면에 판재를 대고 못을 박을때 못의 길이는 판재 두께의 몇배 정도가 적당한가 ?

  1. 6.0 - 7.0
  2. 4.0 - 5.0
  3. 2.5 - 3.0
  4. 1.5 - 2.0
(정답률: 49%)
  • 마구리면에 판재를 대고 못을 박을 때, 못의 길이는 판재 두께의 4배에서 5배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는 못이 판재 안쪽으로 깊게 박히면서도 너무 깊이 박히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못의 길이가 판재 두께의 6배에서 7배라면, 못이 너무 깊게 박히게 되어 판재가 부러질 수 있습니다. 반면에 못의 길이가 판재 두께의 2.5배에서 3배라면, 못이 너무 얇아서 제대로 고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못의 길이가 판재 두께의 1.5배에서 2배라면, 못이 너무 짧아서 제대로 고정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적당한 못의 길이는 판재 두께의 4배에서 5배 정도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무늬목을 사용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좋은 목재로 널리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2. 뒤틀림을 방지하고 아름다움을 더해주기 때문에
  3. 무늬결이 없는 목재에 붙여서 무늬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4. 구조물을 튼튼하게 해주기 때문에
(정답률: 81%)
  • 무늬목은 주로 장식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며, 구조물을 튼튼하게 해주는 역할은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구조물을 튼튼하게 해주기 때문에"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연귀맞춤 방법을 이용하지 않는 것은?

  1. 상자 만들기
  2. 사진틀 만들기
  3. 의자의 안장짜기
  4. 책상다리 만들기
(정답률: 80%)
  • "책상다리 만들기"는 연귀맞춤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연귀맞춤 방법을 사용하여 만들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서랍을 다음 그림과 같이 만들때 맞춤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사개통 맞춤
  2. 외 주먹장 맞춤
  3. 안촉 연귀 맞춤
  4. 사개턱 솔통 맞춤
(정답률: 65%)
  • 이 서랍은 사이드에 사각형 모양의 구멍이 뚫려있는데, 이 구멍을 통해 사각형 모양의 솔통이 들어가게 되는데, 이 솔통이 서랍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또한, 서랍의 앞면에는 사각형 모양의 사개턱이 있어, 서랍이 열릴 때 솔통이 사개턱에 걸쳐져 열리게 됩니다. 따라서 이 서랍은 "사개턱 솔통 맞춤"으로 불리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산업 안전표시판 색깔을 정할때 색깔이 가지는 광선 반사율과 주변과의 대비색을 고려하여 결정한 사항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노란색 바탕 : 검은색
  2. 검은색 바탕 : 노란색
  3. 흰색 바탕 : 빨간색
  4. 녹색 바탕 : 검은색
(정답률: 78%)
  • 녹색 바탕에 검은색을 사용한 이유는 광선 반사율과 대비색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산업 안전표시판에서 녹색은 안전을 나타내는 색상으로 사용되며, 검은색은 글씨와 그림의 명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녹색 바탕에 검은색을 사용하는 것은 안전을 강조하면서도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90cm x 180cm의 판재로서 20cm× 35cm의 작은 판을 최대로 몇 개까지 만들 수 있는가? (단, 톱날의 두께는 고려치 않는다.)

  1. 18개
  2. 20개
  3. 23개
  4. 25개
(정답률: 65%)
  • 90cm x 180cm의 판재면적은 16200cm²이다. 작은 판의 면적은 20cm x 35cm = 700cm²이다. 따라서, 16200 ÷ 700 = 23.14... 이므로 최대로 만들 수 있는 작은 판의 개수는 23개이다. 소수점 이하는 버리고 정수로 계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목공선반 작업요령을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경이 큰 물체는 고속회전으로 깎는다.
  2. 직경이 작은 물체는 고속회전으로 깎는다.
  3. 부재를 확실학 척크(chuck)에 고정시킨다.
  4. 공구받침대 높이를 적절히 조정한다.
(정답률: 72%)
  • "직경이 작은 물체는 고속회전으로 깎는다."는 옳은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직경이 큰 물체는 고속회전으로 깎는 이유는, 회전할 때 물체의 끝부분이 더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직경이 큰 물체는 끝부분이 더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고속회전으로 깎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아래 그림 중 쪽매 방법이 좋은 것은?

(정답률: 74%)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쪽매 방법은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2. 쪽매 방법은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3. 쪽매 방법은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4. 쪽매 방법은 가장 깔끔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판재에 숫주먹장 4개를 가공하려 하면 몇 등분을 해야 하는가?

  1. 4등분
  2. 5등분
  3. 8등분
  4. 9등분
(정답률: 68%)
  • 숫주먹장 4개를 가공하면, 각각의 숫주먹장을 4등분하면 총 16조각이 나옵니다. 이를 판재에 나누어 담으려면, 16조각을 판재에 나누어 담을 수 있는 등분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4등분으로 나누면, 한 조각이 너무 커서 판재에 담을 수 없습니다.

    5등분으로 나누면, 한 조각이 3조각과 2조각으로 나뉘어지기 때문에 판재에 담을 수 없습니다.

    8등분으로 나누면, 한 조각이 2조각씩 4개로 나뉘어지기 때문에 판재에 담을 수 있지만, 조각이 너무 작아져 가공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9등분으로 나누면, 한 조각이 2조각씩 8개로 나뉘어지기 때문에 판재에 담을 수 있고, 가공도 용이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9등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조합자의 용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장수를 분리하여 보통자로 사용이 가능하다.
  2. 45˚ 및 직각검사를 할 수 있다.
  3. 수평· 수직검사를 할 수 있다.
  4. 그무개로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75%)
  • 조합자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을 조립할 때 부품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조립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그러나 그무개는 부품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도구이므로 조합자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띠톱기계 작업상 주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띠톱을 조정할 때는 반드시 스위치를 끈다.
  2. 톱날의 긴장상태를 적절하게 조정하고 사용 후에는 톱날을 느슨하게 풀어 준다.
  3. 소매가 길거나 헐렁한 옷의 착용을 금하고, 장갑을 착용한다.
  4. 곡선가공시 무리하게 힘을 가하지 말고 천천히 밀어 준다.
(정답률: 76%)
  • "소매가 길거나 헐렁한 옷의 착용을 금하고, 장갑을 착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이유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띠톱 작업 시 소매가 길거나 헐렁한 옷을 입으면 톱날에 걸려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금합니다. 또한, 장갑을 착용하는 이유는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일면포와 이면포로 구분하며, 무한궤도장치에 의해 부재가 자동송재되어 면을 다듬는 기계는?

  1. 자동대패
  2. 면취기
  3. 몰딩샌더
  4. 멤브레임 프레스
(정답률: 69%)
  • 자동대패는 일면포와 이면포로 구분되며, 무한궤도장치에 의해 부재가 자동송재되어 면을 다듬는 기계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자동대패가 해당됩니다. 면취기는 부재의 모서리를 다듬는 기계, 몰딩샌더는 몰딩을 다듬는 기계, 멤브레임 프레스는 부재를 구부리는 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나사못 접합시 나사못 머리와 부재면과 평탄하도록 사용되는 송곳은?

  1. 반달송곳
  2. 돌보송곳
  3. 세모송곳
  4. 접시송곳
(정답률: 84%)
  • 접시송곳은 나사못 머리와 부재면과 평탄하도록 사용되는 송곳입니다. 이는 송곳의 모양이 접시와 비슷하여 접시송곳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접시송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대팻집 밑 바닥을 수정할 때 사용되는 자는?

  1. 하단자
  2. 줄자
  3. 접자
  4. 연귀자
(정답률: 85%)
  • 대팻집 밑 바닥을 수정할 때는 바닥과 벽면의 각도를 정확히 맞추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자는 바닥과 벽면의 각도를 측정하고 조절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를 하단자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하단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피도장물의 붓칠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잊어버리기 쉬운 곳부터 한다.
  2. 복잡한 것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칠한다.
  3. 팔 전체를 움직여서 칠한다.
  4. 긴 부분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칠한다.
(정답률: 70%)
  • 정답은 "긴 부분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칠한다."입니다.

    복잡한 것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칠하는 이유는, 바깥쪽을 먼저 칠하면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색이 섞이거나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잊어버리기 쉬운 곳부터 칠하는 것은 나중에 다시 돌아와서 칠해야 할 때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긴 부분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칠한다."는 잘못된 방법입니다. 이유는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가 있기 때문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칠하면 왼손잡이는 칠하기 어렵고 불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긴 부분은 자신이 편한 방향으로 칠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목재의 접합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응력이 큰 곳에서 만들 것
  2. 재(材)는 적게 깎아내어 약하게 되지 않게 할 것
  3. 공작이 간단한 것을 쓰고 모양에 치중하지 말 것
  4. 이음· 맞춤의 단면은 응력의 방향에 직각으로 할 것
(정답률: 63%)
  • "공작이 간단한 것을 쓰고 모양에 치중하지 말 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목재의 접합시에는 모양과 디자인도 중요하지만, 강도와 내구성이 더 중요합니다. 따라서 공작이 복잡하더라도 강도와 내구성을 고려하여 제작해야 합니다.

    "응력이 큰 곳에서 만들 것"은 목재의 접합시 가장 중요한 사항 중 하나입니다. 응력이 큰 곳에서 접합을 하면 목재가 더 강해지고 내구성이 높아집니다. 이는 목재의 성질을 이해하고, 접합시에 응력의 방향을 고려하여 제작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목재의 접합시에는 강도와 내구성을 고려하여 제작하고, 응력이 큰 곳에서 접합을 하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그림의 접합의 명칭으로 맞는 것은?

  1. 통넣은 주먹장맞춤
  2. 숨은 주먹장맞춤
  3. 두겁 주먹장맞춤
  4. 내림 주먹장맞춤
(정답률: 75%)
  • 정답은 "숨은 주먹장맞춤"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두 개의 도형이 겹쳐져 있는데, 위에 있는 도형이 아래에 있는 도형의 일부를 가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도형이 겹쳐져 있어서 일부가 숨겨져 보이지 않는 것을 "숨은"이라는 단어로 표현하고, 이러한 접합 방식을 "주먹장맞춤"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숨은 주먹장맞춤"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곡면(몰딩)을 가공할 때 적당한 목공기계는?

  1. 띠톱
  2. 둥근톱
  3. 보링기계
  4. 루우터기계
(정답률: 67%)
  • 곡면(몰딩)은 곡선 모양으로 가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루우터기계가 적합합니다. 루우터기계는 회전하는 칼날을 이용하여 곡선 모양을 자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루우터기계는 다양한 모양의 비교적 작은 부품들을 가공할 수 있어서 목공예나 인테리어 디자인 등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