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제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10-05)

가구제작기능사
(2003-10-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다음 연필 중 경도가 가장 큰 것은?

  1. H
  2. F
  3. HB
  4. B
(정답률: 85%)
  • 정답은 "H"입니다.

    연필의 경도는 연필의 석회와 흑연의 비율에 따라 결정됩니다. 경도가 높을수록 연필의 석회 함량이 높아지고, 연필의 선이 더욱 짧고 굵어집니다.

    "H"는 High Hardness의 약자로, 가장 경도가 높은 연필입니다. 따라서 "H" 연필은 다른 연필에 비해 더욱 석회 함량이 높아서 선이 더욱 짧고 굵어지며, 더욱 어두운 색을 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합판으로 만든 제도판의 울거미 재료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춘향목
  2. 나왕
  3. 벚나무
  4. 낙엽송
(정답률: 61%)
  • 낙엽송은 소재가 부드러워서 제도판으로 만들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선의 명칭 중에서 가장 굵게 그려야 하는 것은?

  1. 단면선
  2. 치수선
  3. 절단선
  4. 해칭선
(정답률: 7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A0 제도용지를 나타낸 그림에서 빗금친 부분의 규격은?

  1. A1
  2. A2
  3. A3
  4. A4
(정답률: 84%)
  • 빗금친 부분은 A4 규격입니다. 이유는 A0 규격은 1m²이며, 이를 절반으로 나눈 A1 규격은 1m²을 가로세로로 절반으로 나눈 크기인 210mm x 297mm입니다. 이어서 A2 규격은 A1을 다시 가로세로로 절반으로 나눈 크기인 148mm x 210mm이고, A3 규격은 A2를 다시 가로세로로 절반으로 나눈 크기인 105mm x 148mm입니다. 마지막으로 A4 규격은 A3을 다시 가로세로로 절반으로 나눈 크기인 74mm x 105mm입니다. 따라서 빗금친 부분은 A4 규격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도면 작성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정확히 빨리 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표현 방식이 합리적이고 간편해야 한다.
  3. 될 수 있는대로 간결하게 그린다.
  4. 물체가 길어도 단축해서 그리면 안된다.
(정답률: 83%)
  • 물체가 길어도 단축해서 그리면 안된다는 것은, 물체의 실제 크기와 비례하지 않게 되어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지 못하고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체의 실제 크기와 비례하도록 그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원에 내접하는 정오각형을 그리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AO ⊥ KL
  2. OM = ML
  3. AM = MN
  4. AM = AB
(정답률: 6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그림과 같은 AB의 선분은 어떤 기하학적 원리인가?

  1. 평행
  2. 대칭
  3. 합동
  4. 균형
(정답률: 78%)
  • AB와 CD가 평행하다는 것은 두 선분이 같은 방향으로 끝까지 뻗어나가면 결코 만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AB와 CD가 만나지 않고 평행하게 놓여있기 때문에 정답은 "평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투시도를 그릴 때 불필요한 도면은?

  1. 상세도
  2. 정면도
  3. 측면도
  4. 평면도
(정답률: 81%)
  • 투시도는 3차원 공간을 2차원으로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세부적인 정보는 생략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세도는 다른 도면에서 이미 충분히 나타낼 수 있는 세부적인 정보를 다시 한번 더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투시도에서는 불필요한 도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유각 투시도의 족선법에서 족선이란 어느 것인가?

  1. 눈의 높이와 같은 화면상의 수평선
  2. 화면과 지평면이 만난 선
  3. 입점에서 물체와 시점간의 연결선
  4. 지평면에서 물체와 입점간의 연결선
(정답률: 60%)
  • 족선은 유각 투시도에서 물체와 시점, 그리고 지평면을 이용하여 그려지는 선입니다. 이 중에서 "지평면에서 물체와 입점간의 연결선"이 정답인 이유는, 족선이 지평면과 물체, 그리고 시점을 이용하여 그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족선은 지평면과 물체, 그리고 시점을 연결하는 선으로서, 지평면에서 물체와 입점간의 연결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구성의 요소가 규칙적으로 점점 변화해 가는 상태 즉 계측적인 변화로서 요소의 증대, 혹은 감소의 두 방향성을 가지는 율동은?

  1. 되풀이 운동
  2. 점층의 율동
  3. 자유로운 운동
  4. 기하학적 율동
(정답률: 81%)
  • 점층의 율동은 구성 요소가 규칙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계측적인 변화를 의미합니다. 이 운동은 일정한 패턴을 가지며, 요소의 증대와 감소가 규칙적으로 반복됩니다. 따라서 "점층"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며, 이 운동은 구성 요소의 계층적인 구조를 가진 시스템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파단선의 표시기호 중 파단되어 있는 것이 명백할 때에 표시하는 기호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답률: 53%)
  • 파단선의 표시기호 중 파단되어 있는 것이 명백할 때에 표시하는 기호는 "" 입니다. 이유는 이 기호는 파단선이 끊어진 모습을 그린 것으로, 다른 기호들은 파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문달린 책장 설계시 특히 유의해야 할 사항은?

  1. 책의 두께
  2. 책의 높이
  3. 책의 나비
  4. 책의 수량
(정답률: 76%)
  • 문달린 책장 설계시 특히 유의해야 할 사항은 "책의 나비"입니다. 책의 나비란 책의 두께와 높이를 고려하여 책장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책을 꽂았을 때 책의 뒷부분이 앞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책장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책장 설계시 책의 나비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인체계 가구는 어느 것인가?

  1. 수납장
  2. 부엌의 작업대
  3. 침대
  4. 장농
(정답률: 89%)
  • 인체계 가구는 인체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가구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침대는 인체의 휴식과 수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구로, 인체계 가구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조형의 원리 중 반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같은 형식의 구성이 반복되면 시선이 이동하여 상대적으로 운동감을 준다.
  2. 반복이 많게 되면 힘의 균일효과가 나타나서 표정은 균일하게 되며 풍부함이 더해진다.
  3. 반복은 시각적으로 힘의 강약효과를 줄 수 없다.
  4. 반복이 거듭되는 현상을 교체라고 한다.
(정답률: 68%)
  • "반복은 시각적으로 힘의 강약효과를 줄 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반복은 시각적으로 힘의 강약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같은 형식의 구성이 반복되면 시선이 이동하여 상대적으로 운동감을 준다는 것도 이를 증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제 3각법으로 그린 투강도의 위치가 바른 것은?

(정답률: 86%)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제 3각법에서는 두 변과 그 사이의 각도를 알고 있을 때, 나머지 한 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AB와 BC의 길이와 그 사이의 각도가 주어졌으므로, AC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 "", ""는 모두 AB와 BC의 길이와 그 사이의 각도가 주어졌을 때, AC의 길이를 구할 수 없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투각도의 위치가 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제재계획을 할 때 침엽수의 취재율은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1. 30%
  2. 50%
  3. 70%
  4. 90%
(정답률: 82%)
  • 침엽수는 대부분의 나무 종류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재 과정에서 침엽수의 비중이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제재계획을 할 때 침엽수의 취재율은 최소한 70%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제재과정에서 침엽수를 충분히 활용하고, 나무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목재의 습도가 어느 정도일 때 부패균의 발육이 가장 왕성한가?

  1. 60%
  2. 70%
  3. 80%
  4. 90%
(정답률: 68%)
  • 부패균은 습도가 80% 이상인 환경에서 가장 잘 발육하기 때문에 정답은 "80%"입니다. 습도가 낮으면 부패균이 생존하기 어렵고, 습도가 높으면 부패균이 쉽게 번식하며 목재를 부식합니다. 따라서 목재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습도 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변재와 심재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심재가 변재보다 재질이 무르고 내구성이 작다.
  2. 심재가 변재보다 신축성이 작다.
  3. 변재보다 심재가 수분이 많다.
  4. 변재보다 심재가 강도가 약하다.
(정답률: 67%)
  • 정답은 "심재가 변재보다 신축성이 작다."입니다. 이유는 변재는 섬유 구조가 더 복잡하고 유연하기 때문에 신축성이 높지만, 심재는 나무 자체의 구조가 단단하고 강하기 때문에 신축성이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화이트 브론즈라고 하며 문짝, 손스침, 전기기구 등에 많이 쓰이는 합금은?

  1. 아연
  2. 양은
  3. 주석
  4. 니켈
(정답률: 64%)
  • 화이트 브론즈 합금은 주로 구리, 아연, 니켈, 양은, 주석 등의 금속을 혼합하여 만들어집니다. 그 중에서도 양은은 다른 금속과의 합성에 있어서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화이트 브론즈 합금에 많이 사용됩니다. 양은은 높은 연성과 인성을 가지고 있어서 가공성이 우수하며, 녹이 느리고 부식에 강합니다. 또한, 양은은 밝은 은색의 광택을 가지고 있어서 화이트 브론즈 합금의 밝은 색상을 유지하는 데에도 기여합니다. 따라서, 화이트 브론즈 합금에서 양은은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목재의 구조용재 함수율은 어느 정도 이하가 좋은가?

  1. 50%
  2. 40%
  3. 20%
  4. 15%
(정답률: 83%)
  • 목재의 구조용재 함수율은 목재가 얼마나 굽히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구조용재 함수율이 낮을수록 목재가 더 강하고 단단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구조용재 함수율이 15% 이하일 때, 목재는 더 강하고 단단하며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재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목재의 색채에 대하여 기술한 것 중 틀린 것은?

  1. 목재의 색소는 목질의 부패를 막는 효과가 있다.
  2. 목재의 색은 세포막에 함유되는 화학물질에 의하는 것이 아니라 구조상의 차이에 의한다.
  3. 목재의 자연 색채나 아름다운 느낌이 있는 것은 공예, 가구 등에 이용된다.
  4. 목재에는 착색성이 있으므로 착색제를 써서 질이 낮은 재를 고급재로 보이게 된다.
(정답률: 64%)
  • 정답: "목재의 색은 세포막에 함유되는 화학물질에 의하는 것이 아니라 구조상의 차이에 의한다."

    설명: 목재의 색은 주로 목질 내부의 구조적인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목재 내부의 미세한 구조적인 차이로 인해 빛이 반사되는 정도가 달라져 색상이 다르게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목재의 색은 세포막에 함유되는 화학물질에 의한 것이 아니라 구조상의 차이에 의한 것이다. 목재의 색소는 목질의 부패를 막는 효과가 있으며, 목재의 자연 색채나 아름다운 느낌이 있는 것은 공예, 가구 등에 이용되며, 착색성이 있어 착색제를 써서 질이 낮은 재를 고급재로 보이게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강당이나 극장 등의 안벽에 음향조절 효과로 쓰이는 제품은?

  1. 플로어링 블록
  2. 인슐레이션 보드
  3. 파티클 보드
  4. 코펜하겐 리브
(정답률: 83%)
  • 코펜하겐 리브는 고밀도 섬유보드로 만들어져 있어서 음향흡수와 반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강당이나 극장 등의 안벽에 음향조절 효과로 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전진식과 분실식이 있는 목재 인공건조법은 무엇인가?

  1. 훈연건조
  2. 증기건조
  3. 전열건조
  4. 진공건조
(정답률: 79%)
  • 증기건조는 목재를 인공적으로 건조시키는 방법 중 하나로, 고온과 고습한 증기를 이용하여 목재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전진식과 분실식으로 나뉘며, 전진식은 목재가 이동하면서 증기를 이용하여 건조되는 방식이고, 분실식은 목재를 밀폐된 공간에 넣고 증기를 주입하여 건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에 비해 건조 시간이 짧고, 목재 내부의 수분을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어서 인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식물 섬유를 주원료로 하여 주로 건물의 내장 및 흡음·단열·보온을 목적으로 성형한 비중 0.4 미만의 보드는?

  1. 연질 섬유판
  2. 경질 섬유판
  3. 반경질 섬유판
  4. 파티클 보드
(정답률: 71%)
  • 연질 섬유판은 식물 섬유를 주원료로 하여 성형한 보드로, 비중이 0.4 미만이기 때문에 가볍고 쉽게 다룰 수 있습니다. 또한 내열성과 내습성이 뛰어나며, 흡음·단열·보온 효과가 높아 건물 내장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 가장 적합한 보드는 연질 섬유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목재의 역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인장 및 압축강도는 목재를 인장시키고 압축시킬 때 생기는 외력에 대한 내부저항을 뜻한다.
  2. 섬유의 평행 방향의 인장강도는 목재의 제강도 중에서 가장 크다.
  3. 목재섬유에 직각 방향의 인장강도는 평행 방향에 비해 상당히 크다.
  4. 섬유의 평행 방향에 대한 강도가 가장 크고 섬유의 직각 방향에 대한 것이 가장 작다.
(정답률: 67%)
  • "섬유의 평행 방향에 대한 강도가 가장 크고 섬유의 직각 방향에 대한 것이 가장 작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정답: 목재섬유에 직각 방향의 인장강도는 평행 방향에 비해 상당히 크다.

    설명: 목재는 나무의 구조로 인해 섬유가 평행한 방향에서는 강도가 높지만, 섬유가 직각한 방향에서는 강도가 낮아집니다. 이는 목재의 내부 구조에서 섬유가 평행한 방향에서는 서로 연결되어 강도가 높아지지만, 직각한 방향에서는 서로 분리되어 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목재섬유에 직각 방향의 인장강도는 평행 방향에 비해 상당히 크다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특수 황동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석 활동은 전연성이 좋아 관 및 판의 용도로 사용된다.
  2. 연입 황동은 절삭성이 좋고 기어, 나사 용도로 사용된다.
  3. 알루미늄 황동은 내식성이 크며 열 교환기관에 사용된다.
  4. 규소 활동은 내식성이 좋고 기어 용도로 사용된다.
(정답률: 54%)
  • 규소는 황동의 합금 원료로 사용되며, 내식성이 좋고 강도가 높아 기어 용도로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규소 활동은 내식성이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규소 활동은 내식성이 좋고 기어 용도로 사용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내수성·내열성이 우수하여 옥외에서 장기간 견디는 목재접착, 특히 내수합판·옥외 등 집성목재의 제조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1. 레조르시놀수지 접착제
  2. 멜라민수지 접착제
  3. 실리콘수지 접착제
  4. 페놀수지 접착제
(정답률: 50%)
  • 레조르시놀수지 접착제는 내수성과 내열성이 뛰어나며, 옥외에서도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집성목재의 제조에 적합합니다. 또한, 높은 접착력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목재를 강력하게 접착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침엽수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벼운 편이나 송진이 많아 가공이 비교적 용이하지 않다.
  2. 피자식물의 외떡잎 식물이다.
  3. 직통 대재가 많으나 비교적 경목이 많다.
  4. 구조재, 가설재로 쓰인다.
(정답률: 67%)
  • 침엽수는 구조재, 가설재로 쓰이는 이유는 직통 대재가 많고, 경목도 일정 수준 이상 보장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목재의 건조 목적으로서 맞지 않은 것은?

  1. 생목시의 강도보다 건조시키면 4~5배가 증대된다.
  2. 부식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인다.
  3. 접착성이나 도장성이 좋아진다.
  4. 방부제나 합성수지의 주입이 용이해진다.
(정답률: 72%)
  • 생목시에는 물이 포함되어 있어서 부식이나 해충의 발생 가능성이 높고 내구성이 낮습니다. 따라서 목재를 건조시켜 물분을 제거하면 부식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건조된 목재는 접착성이나 도장성이 좋아지며 방부제나 합성수지의 주입이 용이해집니다. 따라서 "생목시의 강도보다 건조시키면 4~5배가 증대된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목재의 건조 목적으로서 맞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목재를 서로 접합하여 의자의 좌판이나 테이블의 다리 등을 제작하는데 사용하는 이음은?

  1. 턱 이음
  2. 맞댄 이음
  3. 엇걸이 이음
  4. 결 이음
(정답률: 50%)
  • 목재를 서로 접합하여 강력한 연결을 만드는 방법 중 하나인 "결 이음"은 두 개 이상의 목재를 끝부분을 평행하게 다듬어서 서로 맞물리게 한 후, 나사나 못 등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강력한 연결력과 안정성을 제공하며, 목재의 변형에도 강하게 대처할 수 있어서 가구 등의 제작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연성이고 가공성이 풍부하여 판재, 선, 봉 등으로 만들기가 용이한 금속재는?

  1. 알루미늄
  2. 아연
(정답률: 57%)
  • 동은 연성과 가공성이 뛰어나며, 판재, 선, 봉 등으로 만들기가 용이합니다. 또한 내식성이 좋고, 전기전도성과 열전도성이 높아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은 "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목재의 자연건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넓은 장소가 필요하다.
  2. 건조 시간이 많이 걸린다.
  3. 기건 함수율 이하로 건조할 수 없다.
  4. 일시에 많은 목재를 건조할 수 있다.
(정답률: 77%)
  • 일시에 많은 목재를 건조할 수 있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기건 함수율 이하로 건조할 수 없는 이유는, 기건 함수율 이하로 건조하면 목재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나오지 못하고 증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목재 내부에 수분이 남아있게 되고, 이는 목재의 변형이나 부패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목재의 자연건조 시에는 기건 함수율 이상으로 건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섬유판 중 파티클 보드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합판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
  2. 방향간 수축률이 적다.
  3. 방음, 흡음의 효과가 크다.
  4. 가공성이 좋고, 내수성이 약하다.
(정답률: 66%)
  • 파티클 보드는 나무 파티클을 접착제로 묶어 만든 판재로, 방음, 흡음의 효과가 크다는 것은 옳은 특성입니다. 이는 파티클 보드의 구조상 나무 파티클이 빈틈없이 밀착되어 있어 소리를 흡수하고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음, 흡음의 효과가 크다"는 옳은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비철금속 재료로 내식성이 크고 주조하기 쉬우며 표면은 특유의 아름다움이 있어 장식철물, 공예재료로 많이 쓰이는 것은?

  1. 청동
  2. 아연
  3. 니켈
  4. 알루미늄
(정답률: 79%)
  • 청동은 구리와 주석을 합친 합금으로, 내식성이 높고 주조하기 쉬우며 표면이 아름다워 장식철물이나 공예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반면 아연, 니켈, 알루미늄은 청동과는 다른 비철금속 재료이며, 내식성이나 주조성 등의 특성이 청동과는 다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청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밤나무, 벚나무, 오동나무 등은 어느 과에 속하는 식물인가?

  1. 송백과 식물
  2. 쌍떡잎 식물
  3. 외떡잎 식물
  4. 편백과 식물
(정답률: 79%)
  • 밤나무, 벚나무, 오동나무 등은 쌍떡잎 식물에 속합니다. 이는 이들 식물이 씨앗에 두 개의 씨앗엽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쌍떡잎 식물은 대부분의 식물 중에서 가장 많은 종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톱날 어김의 적당한 수치는? (단,t는 톱몸의 두께)

  1. 1.0 ~ 1.3t
  2. 1.8 ~ 2.0t
  3. 1.3 ~ 1.8t
  4. 2.2 ~ 3.0t
(정답률: 67%)
  • 톱날 어김의 적당한 수치는 톱날의 두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3 ~ 1.8t 정도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유는 톱날 어김이 너무 작으면 톱날이 빠르게 마모되고, 너무 크면 톱날이 깊게 파고들어 자재를 손상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당한 수치를 유지하여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톱니의 날어김은 톱니 높이의 어느 부분부터 하는가?

  1. 1/2부분부터
  2. 1/3부분부터
  3. 1/4부분부터
  4. 3/4부분부터
(정답률: 68%)
  • 톱니의 날어김은 톱니 높이의 1/3부분부터 시작합니다. 이는 톱니의 높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톱니의 높이를 3등분하면 첫 번째 부분이 톱니의 날어김이 시작되는 지점이 됩니다. 따라서 톱니의 날어김은 1/3부분부터 시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수압대패 조정 순서가 올바른 것은?

  1. ② → ① → ③ → ④ → ⑤
  2. ③ → ① → ② → ④ → ⑤
  3. ① → ② → ③ → ④ → ⑤
  4. ④ → ⑤ → ① → ② → ③
(정답률: 64%)
  • 수압대패 조정 순서는 먼저 ②번으로 수압계를 이용하여 현재 수압을 측정하고, 그 다음 ①번으로 수압대패를 이용하여 원하는 수압으로 조정합니다. 그리고 ③번으로 수압계를 다시 이용하여 조정된 수압을 확인하고, ④번으로 수압대패를 다시 한번 더 이용하여 필요한 조정을 한 후에 마지막으로 ⑤번으로 수압계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조정된 수압을 확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 ① → ③ → ④ → 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대패 사용에 관한 설명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끊는 날의 각은 보통 38°가 적당한다.
  2. 날끝이 대팻집 밑바닥에 나오는 정도는 초벌일 때 0.5mm가 좋다.
  3. 덧날의 끝과 대팻날의 끝과의 차이는 초벌대패에서 0.4mm~0.3mm가 좋다.
  4. 대패를 사용치 않을 때는 날을 약간 빼고 옆으로 세워 놓는 것이 좋다.
(정답률: 59%)
  • "대패를 사용치 않을 때는 날을 약간 빼고 옆으로 세워 놓는 것이 좋다."는 대패 사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끊는 날의 각은 보통 38°가 적당하며, 날끝이 대팻집 밑바닥에 나오는 정도는 초벌일 때 0.5mm가 좋습니다. 또한, 덧날의 끝과 대팻날의 끝과의 차이는 초벌대패에서 0.4mm~0.3mm가 좋은 이유는 대패를 사용할 때 두 날이 서로 맞물리면서 더욱 정확한 자르기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사각형의 구조물을 조립하고 직각도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각선의 길이가 같은지를 확인한다.
  2. 직각자로 모서리를 재 본다.
  3. 마주보는 두 변의 길이가 같은가를 검사한다.
  4. 모형을 만들어서 대본다.
(정답률: 74%)
  • 마주보는 두 변의 길이가 같은가를 검사하는 것은 사각형의 모든 변이 같은 길이인 정사각형이 아닌, 직사각형에서만 적용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암부재 주먹장 만들기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숫부재 주먹 모양을 암부재 마구리면에 옮겨 그린다.
  2. 마구리면에 그려진 선을 목재 나뭇결에 직각 방향으로 긋는다.
  3. 켜기용 등대기 톱으로 켜고 끌로 따낸다.
  4. 숫부재와 마찬가지로 연귀만들 선까지만 따낸다.
(정답률: 59%)
  • "마구리면에 그려진 선을 목재 나뭇결에 직각 방향으로 긋는다."가 옳지 않은 것은, 암부재는 나뭇결과 수직으로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나뭇결과 직각이 아닌 방향으로 긋는 것은 올바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이음과 맞춤에서의 유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재료는 가급적 적게 깎아낸다.
  2. 공작이 간단한 것을 쓰며 모양에 치중하지 않는다.
  3. 이음, 맞춤은 응력이 집중하는 곳에 설치해야 효과가 높다.
  4. 이음, 맞춤의 단면은 응력의 방향에 직각으로 한다.
(정답률: 74%)
  • "이음, 맞춤은 응력이 집중하는 곳에 설치해야 효과가 높다."가 옳은 이유는, 이음과 맞춤은 구조물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 부분에 강도가 높은 이음과 맞춤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음과 맞춤을 설치할 때는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을 고려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서랍의 뒷널을 옆널과 가장 튼튼히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좋은 것은?

  1. 옆널 사이에 뒷널을 넣고 나사못으로 조인다.
  2. 주먹장맞춤을 하고 바닥판과 뒷널을 나사못으로 조인다.
  3. 연귀가공을 한 후 접착제로 붙인다.
  4. 뒷널과 바닥판은 접착제로 붙이고 옆널과는 무두못으로 연결한다.
(정답률: 69%)
  • 주먹장맞춤을 하고 바닥판과 뒷널을 나사못으로 조인하는 것이 가장 튼튼한 방법이다. 이는 주먹장맞춤이 접합 부위를 더 강하게 고정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나사못으로 조인하면 나사못이 나무를 꿰뚫고 고정되기 때문에 더욱 튼튼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꽂음촉 맞춤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작이 쉽고 약한 장부맞춤보다 우수하다.
  2. 단단한 나무로 둥글게 만들며 촉의 굵기는 보통 10~30mm 정도로 한다.
  3. 꽂음촉은 접착력을 늘리기 위해 표면을 거칠게도 한다.
  4. 장부맞춤의 약식으로 창호공작에 많이 쓴다.
(정답률: 53%)
  • "장부맞춤의 약식으로 창호공작에 많이 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꽂음촉은 창호공작에서 주로 사용되며, 장부맞춤은 꽂음촉보다 약하고 쉬운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건설현장에서 경고, 주의에 관한 안전색은?

  1. 녹색
  2. 흰색
  3. 노란색
  4. 푸른색
(정답률: 88%)
  • 건설현장에서 경고, 주의에 관한 안전색은 노란색입니다. 이는 시야에 더 잘 띄어나기 때문입니다. 노란색은 밝고 선명한 색상으로, 주변 배경과 대조되어 시선을 끌기 때문에 위험한 구역이나 장비, 물건 등을 표시할 때 적합합니다. 또한 노란색은 주의와 경고를 나타내는 국제적인 색상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꽂음촉 만들기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꽂음촉의 지름은 꽂음촉 구멍보다 약간 굵게 한다.
  2. 꽂음촉 재료의 길이는 200mm 이상 나뭇결이 곧은 것을 선정한다.
  3. 옹이나 흠이 있는 나무는 피한다.
  4. 꽂음촉 재료는 연해야 접착제와 잘 결합해서 튼튼한다.
(정답률: 70%)
  • 잘못된 것은 없습니다. 꽂음촉 재료는 연해야 접착제와 잘 결합해서 튼튼합니다. 이는 연한 나무가 접착제를 더 잘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둥근톱 기계 사용시 안내자 면과 둥근톱 사이 앞쪽이 좁으면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가?

  1. 톱질된 목재가 톱날과 안내자 사이에 끼워지는 상태로 되어 반발하므로 위험하다.
  2. 가공한 재료의 나비가 고르지 못하다.
  3. 일정한 나비로 켜기가 잘된다.
  4. 톱날과 안내자 사이에 끼워져 기계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정답률: 56%)
  • 둥근톱 기계 사용시 안내자 면과 둥근톱 사이 앞쪽이 좁으면, 가공한 재료가 톱날과 안내자 사이에 끼워져 기계의 회전이 멈추게 되므로, 가공한 재료의 나비가 고르지 못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도면과 같이 제작하려면 꽂임촉은 몇 개가 필요한가?

  1. 11개
  2. 17개
  3. 22개
  4. 26개
(정답률: 80%)
  • 도면에서 꽂임촉이 필요한 부분은 총 11개이다. 하지만 각 꽂임촉은 서로 다른 부품을 연결하기 때문에 중복을 제거해야 한다. 중복을 제거하면 총 22개의 꽂임촉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22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톱질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톱질은 당길 때 힘을 주고, 밀 때는 힘을 주지 않는다.
  2. 톱에 무리한 힘을 주지 않는다.
  3. 톱질을 할 때는 팔에만 힘을 주어 균형을 잃지 않아야 한다.
  4. 톱질을 시작할 때와 끝날 때는 가볍게 톱질한다.
(정답률: 78%)
  • "톱질을 할 때는 팔에만 힘을 주어 균형을 잃지 않아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톱질을 할 때는 팔뿐만 아니라 다리와 상체도 함께 사용하여 균형을 잡아야 한다. 이는 톱질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조임쇠의 종류 중에서 가장 큰 구조물을 조일 수 있는 것은?

  1. 평행조임쇠
  2. C클램프
  3. 핸드스크루
  4. 스틸바
(정답률: 83%)
  • 스틸바는 길이가 길고 강한 강철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가장 큰 구조물을 조일 수 있습니다. 평행조임쇠, C클램프, 핸드스크루는 모두 작은 물체를 조이는 데에 사용되는 도구이기 때문에 스틸바보다는 작은 구조물을 조일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평면 공간에 나타내고자 하는 형상을 두드러지게 조각하여 형상이 가지고 있는 반입체적인 모습으로 효과를 얻는 기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부조
  2. 환조
  3. 투조
  4. 상감
(정답률: 66%)
  • 부조는 평면 공간에 나타내고자 하는 형상을 두드러지게 조각하여 형상이 가지고 있는 반입체적인 모습으로 효과를 얻는 기법이다. 다른 선택지인 환조, 투조, 상감은 모두 부조와는 다른 기법이다. 환조는 동일한 판면 위에서 양면으로 조각하여 입체적인 효과를 내는 기법이고, 투조는 판면을 뚫어내어 입체적인 효과를 내는 기법이며, 상감은 판면 위에 높이를 두어 입체적인 효과를 내는 기법이다. 따라서, 부조가 평면 공간에서 입체적인 효과를 내는 기법이므로 정답은 부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무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장부 그무개
  2. 평형 그무개
  3. 줄 그무개
  4. 쪼개기 그무개
(정답률: 49%)
  • 평형 그무개는 존재하지 않는 그무개 종류입니다. 따라서, 다른 그무개 종류들 중에서 정답을 찾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심재 공정도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자재투입 - 갱립소 - 2면포 - 크로스커팅소 - 타카작업 - 스프레더 - 콜드프레스
  2. 자재투입 - 크로스커팅소 - 2면포 - 갱립소 - 스프레더 - 타카작업 - 콜드프레스
  3. 자재투입 - 2면포 - 스프레더 - 갱립소 - 타카작업- 크로스커팅소 - 콜드프레스
  4. 자재투입 - 타카작업 - 갱립소 - 스프레더 - 크로스커팅소 - 2면포 - 콜드프레스
(정답률: 54%)
  • 정답은 "자재투입 - 갱립소 - 2면포 - 크로스커팅소 - 타카작업 - 스프레더 - 콜드프레스"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재투입: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를 공장에 투입합니다.
    2. 갱립소: 원자재를 정리하고 필요한 크기로 자르는 작업을 합니다.
    3. 2면포: 원자재를 2면포기계에 넣어 양면을 깔끔하게 다듬습니다.
    4. 크로스커팅소: 원자재를 크로스커팅기계에 넣어 필요한 크기로 자릅니다.
    5. 타카작업: 자른 원자재를 타카기계에 넣어 필요한 형태로 가공합니다.
    6. 스프레더: 가공된 원자재를 스프레더기계에 넣어 필요한 두께로 압축합니다.
    7. 콜드프레스: 스프레더에서 압축된 원자재를 콜드프레스기계에 넣어 최종적으로 제품을 만듭니다.

    따라서, 위의 공정 순서가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서랍의 제작 방법 중 맞춤기법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재와 부재간의 결합이 견고하다.
  2. 부재간 뒤틀림이나 변형이 적다.
  3. 외관이 아름답다.
  4.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정답률: 80%)
  • 맞춤기법은 주문에 따라 제작되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은 맞춤기법의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끝까지 서랍을 열었을 때, 서랍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것은?

  1. 레일
  2. 베어링
  3. 스톱퍼 장치
  4. 케이싱
(정답률: 84%)
  • 서랍이 끝까지 열릴 때, 스톱퍼 장치는 서랍이 레일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탈락을 막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홈파기, 구멍뚫기, 곡명 가공 등에 사용되는 목공 기계는?

  1. 둥근톱 기계
  2. 루터 기계
  3. 띠톱 기계
  4. 드릴 기계
(정답률: 82%)
  • 루터 기계는 목재를 가공하는데 사용되는 기계로, 홈파기, 구멍뚫기, 곡명 가공 등 다양한 목공 작업에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둥근톱, 띠톱, 드릴 기계로, 목재를 가공하는데 사용되지만 루터 기계처럼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지는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작업 전, 작업 중, 작업종료 후 하는 점검은?

  1. 정기점검
  2. 수시점검
  3. 임시점검
  4. 일상점검
(정답률: 63%)
  • 작업 전, 작업 중, 작업종료 후 하는 점검은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점검으로, 일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파악하고 예방하기 위해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상점검"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정기점검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목재 접합 때 접착제로 쓰이지 않는 것은?

  1. 아교
  2. 카세인
  3. 멜라민수지풀
  4. 프라이머
(정답률: 80%)
  • 프라이머는 목재 접합 시에 접착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프라이머가 목재 표면을 보호하고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목재 접합 시에는 아교, 카세인, 멜라민수지풀 등의 접착제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그림의 접합의 명칭으로 맞는 것은?

  1. 통넣은 주먹장맞춤
  2. 숨은 주먹장맞춤
  3. 두겁 주먹장맞춤
  4. 내림 주먹장맞춤
(정답률: 78%)
  • 정답은 "숨은 주먹장맞춤"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두 개의 도형이 서로 겹쳐져 있어서 한쪽 도형의 일부분이 다른 도형에 숨겨져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접합 방식을 "숨은 주먹장맞춤"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접착 기계가 아닌 것은?

  1. 콜드프레스
  2. 핑거조인트
  3. 스프레더
  4. 핫프레스
(정답률: 62%)
  • 핑거조인트는 접착 기계가 아닙니다. 핑거조인트는 나무나 목재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나무의 끝 부분을 톱으로 패턴을 내어 끼워서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핑거조인트는 접착 기계가 아닌 나무를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