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제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1-26)

가구제작기능사
(2003-01-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일정의 축척으로 줄인 길이를 그려 넣는데 필요한 것은?

  1. 삼각스케일
  2. 템플릿
  3. 압정
  4. 운형자
(정답률: 87%)
  • 일정의 축척은 일정의 크기와 그림의 크기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 비율을 그림에 적용하여 줄인 길이를 그려 넣어야 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삼각스케일입니다. 삼각스케일은 일정의 크기와 그림의 크기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삼각형 모양의 도구로, 일정의 크기와 그림의 크기를 비교하여 그림을 그리는 데 필요한 길이를 계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일정의 축척으로 줄인 길이를 그려 넣기 위해서는 삼각스케일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청사진을 만들 수 있는 제도용지는?

  1. 와트먼지
  2. 모조지
  3. 백아지
  4. 트레이싱페이퍼
(정답률: 86%)
  • 청사진은 원본 도면을 복사하여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도면을 투명한 재질에 올려놓고 그 위에 제도용지를 올려서 복사하는 방식인 트레이싱페이퍼가 가장 적합합니다. 다른 종류의 제도용지는 투명도나 표면의 거칠기 등에서 청사진 제작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지름의 기호 φ , 반지름 기호 R은 치수 어디에 기입하는가?

  1. 치수 앞에
  2. 치수 중앙에
  3. 치수 위에
  4. 치수 뒤에
(정답률: 80%)
  • 지름과 반지름은 길이의 치수를 나타내는 기호이므로, 치수 앞에 기입합니다. 이는 해당 값이 길이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원의 반지름으로 원주를 끊어, 끊은점과 점을 연결하여 생기는 원에 접하는 다각형은?

  1. 정사각형
  2. 정오각형
  3. 정육각형
  4. 정팔각형
(정답률: 85%)
  • 원의 반지름으로 원주를 끊으면, 끊은 선분은 원의 지름이 됩니다. 따라서, 끊은 점과 점을 연결하여 생기는 다각형은 원의 지름에 접하는 다각형이 됩니다. 원에 내접하는 다각형은 정육각형이기 때문에, 정답은 "정육각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은 등축투상도의 우측면도는? (단, 화살표 방향이 정면임)

(정답률: 87%)
  • 우측면도에서는 등고선이 수직으로 나타나야 하며, 이는 등고선이 지형의 높이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등고선이 수직인 ""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등고선이 수평이거나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우측면도에서는 나타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제도할 때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축척에 맞추어 그린 것이 아닐 때는 N.S를 기입한다.
  2. 도면은 삼각법으로 그리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복잡한 부분의 제도에서는 실척을 사용할 수 있다.
  4. 축척의 종류에는 3가지가 있다.
(정답률: 70%)
  • "축척에 맞추어 그린 것이 아닐 때는 N.S를 기입한다."는 옳은 주의사항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축척에 맞추어 그린 것이 아닐 때는 N.S를 기입한다."는 그림의 크기와 실제 크기가 다를 때 사용하는 표기법으로, 정확한 크기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제도 시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도면은 삼각법으로 그리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옳은 주의사항입니다. 삼각법은 도면을 정확하게 그리기 위한 기본 원칙 중 하나입니다.

    "복잡한 부분의 제도에서는 실척을 사용할 수 있다."는 옳은 주의사항입니다. 실척은 복잡한 부분을 정확하게 제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 중 하나입니다.

    "축척의 종류에는 3가지가 있다."는 옳지 않은 주의사항입니다. 축척의 종류는 다양하며, 주로 1:1, 1:2, 1:5, 1:10, 1:20, 1:50, 1:100 등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주의사항은 오류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시점(視点)이 가장 높은 투시도는?

  1. 평행 투시도
  2. 조감 투시도
  3. 유각 투시도
  4. 입체 투시도
(정답률: 81%)
  • 조감 투시도는 시점이 가장 높은 투시도입니다. 이는 투시면과 수평면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 시점이 높아지면서 더 넓은 범위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하고 평면도를 그리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등각 투상도에서 축간 상호간의 각도는?

  1. 60°
  2. 120°
  3. 150°
  4. 180°
(정답률: 88%)
  • 등각 투상도에서 축간은 서로 평행하므로, 이들 사이의 각도는 180°이다. 그리고 축간이 3개인 경우, 이들은 원주 위에 균등하게 분포하므로, 180°를 3등분한 값인 60°씩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축간 상호간의 각도는 60°의 배수인 1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공업의 표준화를 위한 구성재의 기준치수를 설정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우선치수
  2. 표준치수
  3. 규준치수
  4. 모듈(module)
(정답률: 75%)
  • 모듈(module)은 공업에서 구성재의 기준치수를 설정하는 단위로 사용됩니다. 모듈은 일정한 크기와 비율을 가지고 있어, 구성재의 크기를 쉽게 조절하고 표준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듈은 공업에서 표준화를 위한 구성재의 기준치수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단위로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디자인요소 중 통일과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1. 집중
  2. 대비
  3. 불협화
  4. 전이
(정답률: 68%)
  • 통일은 디자인 요소들이 서로 일관성 있게 조화를 이루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디자인 요소들이 서로 다른 느낌을 주는 대비나 불협화는 통일성을 해치게 됩니다. 반면, 집중은 디자인 요소들이 하나의 중심을 두고 조화를 이루는 것을 말하므로, 통일성을 강조하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통일과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집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평면 구성을 할 때 일정한 길이의 선이나 형태가 규칙적으로 반복되었을 때 나타나는 효과는?

  1. 율동감
  2. 균형감
  3. 재질감
  4. 변화감
(정답률: 80%)
  • 일정한 길이의 선이나 형태가 규칙적으로 반복되면서 나타나는 주기적인 움직임이 율동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율동은 우리 뇌에 일정한 리듬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우리는 더욱 쉽게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정한 길이의 선이나 형태가 규칙적으로 반복되면서 나타나는 효과는 율동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실내 공간에서 가구의 역할,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실내공간과 사람을 연결시켜 주는 매개역할을 한다.
  2. 실내 공간 구성요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가구의 배치는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
  4. 실내의 전체적인 공간감과는 관련이 없다.
(정답률: 88%)
  • 가구는 실내공간에서 사람들이 생활하는데 필요한 매개역할을 하며, 공간 구성요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가구의 배치는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실내공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실내의 전체적인 공간감과는 관련이 없다."는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사투상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면 모서리의 길이와 경사축 길이의 비가 1:1인 사투상도는 중세 때 축성제도에 쓰였다.
  2. 정면 모서리의 길이와 경사축 길이의 비가 1:1/2인 사투상도는 가구제작에 주로 쓰인다.
  3. 사투상도에서 경사축의 경사각은 보통 수평선에 대하여 30° , 45° , 60° 이다.
  4. 길이가 긴 물체의 사투상도는 짧은 축을 수평으로 놓고 그리는 것이 좋다.
(정답률: 65%)
  • "정면 모서리의 길이와 경사축 길이의 비가 1:1인 사투상도는 중세 때 축성제도에 쓰였다."가 틀린 것이다.

    사투상도에서 긴 축은 보통 물체의 긴 축을 나타내고, 짧은 축은 물체의 짧은 축을 나타낸다. 따라서 길이가 긴 물체의 사투상도를 그릴 때는 짧은 축을 수평으로 놓고 그리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이유는 짧은 축을 수평으로 놓으면 그림이 더 크고 세밀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음영의 작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빛에 따라 물체 자체에 생기는 그늘의 차이(명도)와 그것이 위치하는 다른 면에 생기는 그림자(shadow)로 구분하여 표현한다.
  2. 광선은 자연광과 인공광의 두 종류로 구분한다.
  3. 빛의 운동방향에 따라 측광, 배광, 역광 등으로 구분한다.
  4. 모든 입체는 빛을 받는 면, 빛을 반사하는 면, 빛을 투과하는 면의 3단계로 구분된다.
(정답률: 66%)
  • 빛이 입체에 닿을 때, 입체는 빛을 받는 면, 빛을 반사하는 면, 빛을 투과하는 면으로 구분되며, 이에 따라 입체의 그림자와 명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모든 입체는 빛을 받는 면, 빛을 반사하는 면, 빛을 투과하는 면의 3단계로 구분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단면도에 표시할 사항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지붕의 물매
  2. 바닥의 높이
  3. 실의 배치 및 크기
  4. 처마의 내민길이
(정답률: 75%)
  • 실의 배치 및 크기는 단면도에 표시할 사항 중 하나이지만, 옳지 못한 것은 아닙니다. 모든 요소들이 단면도에 표시될 수 있으며, 실의 배치 및 크기도 건축물의 구조와 관련하여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죽재의 벌목시기가 좋은 달은?

  1. 1월 - 2월경
  2. 3월 - 4월경
  3. 7월 - 8월경
  4. 10월 - 11월경
(정답률: 87%)
  • 죽재는 겨울철에 잎이 떨어지고 나무가 휴면 상태에 들어가기 때문에, 이때 벌목하면 나무가 덜 손상을 입고 품질이 좋아집니다. 따라서 겨울철인 10월 - 11월경이 죽재의 벌목시기가 좋은 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목재의 공극율(空隙率)을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 (단, W = 전건비중, V = 목재의 공극율(%))

(정답률: 72%)
  • 정답은 "" 입니다.

    공극율은 목재 내부의 공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전체 부피 중 공기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공극율을 나타내는 식은 "공극율(%) = (공기 부피 / 전체 부피) x 100"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전건비중(W)이라는 변수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전건비중은 목재의 밀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목재의 부피 중 실질적인 목재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공극율을 나타내는 식은 "공극율(%) = (공기 부피 / (전체 부피 x 전건비중)) x 100" 입니다.

    이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건조한 목재는 어느 것이 클수록 단단한가?

  1. 넓이
  2. 부피
  3. 무게
  4. 비중
(정답률: 87%)
  • 건조한 목재가 클수록 단단한 이유는 비중이 높기 때문입니다. 비중은 단위 부피당 물질의 질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같은 부피의 물질이 더 무거울수록 비중이 높습니다. 따라서, 건조한 목재가 클수록 그 부피 내에 더 많은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비중이 높아지고, 이는 단단함과 밀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목질부 보다는 약간굳고 단단한 부분이 되어 가공이 좀 불편하고 미관상 좋지 않으나 목재로 사용하는 데에는 별 지장이 없는 옹이는?

  1. 산옹이
  2. 죽은옹이
  3. 썩은옹이
  4. 옹이구멍
(정답률: 88%)
  • 산옹이는 목질부보다 약간 굳고 단단한 부분이 있어 가공이 어렵고 미관상 좋지 않지만, 목재로 사용하는 데에는 별 지장이 없기 때문입니다. 죽은옹이와 썩은옹이는 이미 죽어나가거나 부패가 진행된 상태이므로 목재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합니다. 옹이구멍은 옹이 내부에 생긴 구멍으로, 목재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목재의 단기응력에 대한 허용강도는 장기응력에 대한 압축, 인장, 휨 또는 허용강도의 각 값의 몇 배로 하는가?

  1. 1.5배
  2. 2배
  3. 3배 이상
  4. 0.3 - 1.0배
(정답률: 68%)
  • 목재의 단기응력은 장기응력에 비해 더 큰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허용강도를 높게 설정하여 안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따라서, 목재의 단기응력에 대한 허용강도는 장기응력에 대한 각 값의 2배로 설정됩니다. 이는 단기응력이 장기응력보다 최대 2배 높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다음 중 나이테가 확실히 나타나는 목재는 어느 것인가?

  1. 전나무
  2. 단풍나무
  3. 버드나무
  4. 나왕
(정답률: 67%)
  • 전나무는 나이테가 확실히 나타나는 목재입니다. 이는 전나무의 재질 구조가 다른 나무들과는 다르기 때문입니다. 전나무는 세포벽이 두껍고, 세포 내부에 존재하는 물질인 리그닌 함량이 높아서 더욱 단단하고 튼튼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전나무는 나이테가 확실히 나타나며, 오랜 시간이 지나도 변색이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FRP 욕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면 경도가 낮아 흠이 나기 쉽다.
  2. 가볍고 시공이 용이하다.
  3. 보온성이 좋고 감촉이 부드럽다.
  4. 외관이 미려하다.
(정답률: 75%)
  • FRP 욕조는 표면 경도가 낮아 흠이 나기 쉽다는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FRP 욕조는 일반적으로 표면 경도가 높아서 내구성이 뛰어나며, 흠이 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활엽수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잎이 넓적한 나무로 화려한 무늬가 있다.
  2. 나무에 따라 무늬결의 고유한 특성이 있다.
  3. 가구제작과 실내 장식용으로 많이 쓰인다.
  4. 연하고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건축재로 많이 쓰인다.
(정답률: 86%)
  • "잎이 넓적한 나무로 화려한 무늬가 있다."는 활엽수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입니다.

    활엽수는 나무에 따라 무늬결의 고유한 특성이 있으며, 가구제작과 실내 장식용으로 많이 쓰입니다. 또한, 활엽수는 연하고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건축재로도 많이 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목재의 부분 중 수분증발이나 흡수속도가 가장 빠른 곳은?

  1. 무늬결면
  2. 마구리면
  3. 곧은결면
  4. 선회면
(정답률: 86%)
  • 마구리면은 목재의 섬유 방향이 수직으로 교차하는 부분으로, 수분이 쉽게 증발하거나 흡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분증발이나 흡수속도가 가장 빠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집성목재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두께 15 - 50㎜의 판재를 여러장 겹쳐서 접착시킨 것
  2. 톱밥,대패밥,나무 부스러기 등을 원료로 한 것
  3. 나무가 비교적 좁은 6 - 9㎝ 정도의 것
  4. 나비 6㎝ 이상의 좁은 판재를 3 - 5장씩 옆으로 붙여댄 것
(정답률: 66%)
  • 집성목재는 두께 15 - 50㎜의 판재를 여러장 겹쳐서 접착시킨 것입니다. 이는 강도와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장의 얇은 나무 판재를 접착하여 하나의 두꺼운 목재로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두께 15 - 50㎜의 판재를 여러장 겹쳐서 접착시킨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수지 중 열경화성 수지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페놀수지
  2. 멜라민수지
  3. 실리콘수지
  4. 염화비닐수지
(정답률: 70%)
  • 염화비닐수지는 열에 대한 저항력이 낮아서 열경화성 수지에 속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열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서 열경화성 수지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그림에서 경첩의 크기를 말하는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82%)
  • 정답: B

    해설:

    이 그림에서 경첩의 크기를 말하는 것은 "B" 입니다.

    A: 머리카락의 길이를 말하는 것이므로 경첩의 크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B: 경첩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C: 머리카락의 두께를 말하는 것이므로 경첩의 크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D: 머리카락의 색깔을 말하는 것이므로 경첩의 크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섬유판 중 고열, 고압으로 만들고, 비중이 0.8이상인 섬유판은?

  1. 경질섬유판
  2. 반경질섬유판
  3. 연질섬유판
  4. 반연질섬유판
(정답률: 85%)
  • 고열, 고압으로 만들어진 섬유판은 경질성이 높아지고, 비중이 0.8 이상인 경우에는 경질섬유판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경질섬유판"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목재의 질을 저하시키고 가공에 불편한 재질의 단점에 해당되는 것은?

  1. 수지선이 많은 것
  2. 나이테가 확실한 것
  3. 옹이가 많은 것
  4. 도관세포와 수선세포
(정답률: 58%)
  • 옹이란 나무의 기둥을 둘러싸고 있는 부분으로, 나무의 생장과정에서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수분과 영양분을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옹이가 많은 나무는 생장력이 강하고 수분과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받아 건강한 나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가공 시 옹이가 많은 나무는 가공이 어렵고, 나무의 질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옹이가 많은 것은 목재의 질을 저하시키고 가공에 불편한 재질의 단점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알루미늄에 대한 설명 중 부적당한 것은?

  1. 알루미늄은 은백색이다.
  2. 전기나 열전도율이 작고 전성과 연성이 풍부하다.
  3. 가볍고 가공하기 쉽다.
  4. 알루미늄의 용도는 광범위하며, 지붕이기, 실내장식, 가구, 창호, 커튼레일 등에 쓰인다.
(정답률: 79%)
  • 알루미늄은 전기나 열을 잘 전달하지 않는 반면, 전성과 연성이 높아서 가공이 쉽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전기나 열전도율이 작고 전성과 연성이 풍부하다."는 부적당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목재 섬유자체의 실질 비중은 얼마인가?

  1. 0.82
  2. 0.95
  3. 1.25
  4. 1.54
(정답률: 72%)
  • 목재 섬유자체의 실질 비중은 1.54입니다. 이는 목재 섬유자체의 밀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목재 섬유자체는 나무의 섬유를 가공하여 만든 제품으로, 나무의 밀도가 높기 때문에 섬유자체의 밀도도 높습니다. 따라서 실질 비중이 높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목재의 건조속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온이 높을수록 건조속도가 빠르다.
  2. 목재의 비중이 클수록 건조속도가 빠르다.
  3. 풍속이 빠를수록 건조속도가 빠르다.
  4. 두께가 두꺼울수록 건조속도가 느리다.
(정답률: 88%)
  • "목재의 비중이 클수록 건조속도가 빠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목재의 밀도가 높을수록 건조속도가 느리다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밀도가 높을수록 목재 내부에 있는 물이 적어서 건조가 더디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경화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열경화성 수지로 가장 우수한 접착제는?

  1. 에폭시 수지 접착제
  2. 페놀 수지 접착제
  3. 요소 수지 접착제
  4. 초산 비닐 수지계 접착제
(정답률: 55%)
  • 에폭시 수지 접착제는 열에 강하며, 경화 수축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우수한 접착제입니다. 또한, 강도와 내화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재질에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가구재 - 제재치수
  2. 구조재 - 제재치수
  3. 창호재 - 마무리치수
  4. 수장재 - 제재치수
(정답률: 70%)
  • 가구재는 제재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제재치수와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가구재 - 제재치수"가 연결이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합판 제법 중 원목의 낭비를 최대한 막을 수 있는 제법은?

  1. 소드베니어
  2. 슬라이스트베니어
  3. 로터리베니어
  4. 반원슬라이스트베니어
(정답률: 76%)
  • 로터리베니어는 원목을 회전시켜서 자르는 방식으로, 다른 베니어들과 달리 원목의 모양에 상관없이 효율적으로 자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목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가구제작에서 단계를 순서적으로 열거한다면 맨처음에 나오는 것은?

  1. 대톱작업
  2. 구멍뚫기작업
  3. 각끌기작업
  4. 마름질작업
(정답률: 80%)
  • 마름질작업은 가구제작에서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작업으로, 나무판자를 원하는 크기로 자르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이 먼저 이루어져야 다음 단계인 대톱작업, 구멍뚫기작업, 각끌기작업 등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가구제작에서는 맨 처음에 마름질작업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외날 대패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때는?

  1. 옹이가 있는 부분
  2. 단단한 나무
  3. 오래된 나무
  4. 마구리 부분
(정답률: 69%)
  • 외날 대패는 주로 마구리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마구리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더욱 탄력이 있고, 더욱 튼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구리 부분을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각재를 다음과 같은 단면으로 가공할 때 적합한 기계는?

  1. 각끌기
  2. 손밀이 대패
  3. 둥근톱
  4. 목선반
(정답률: 75%)
  • 주어진 단면이 곡선 형태이므로, 곡선을 따라 자르기 적합한 둥근톱이 가장 적합합니다. 각끌기는 직선적인 자르기에 적합하며, 손밀이 대패는 작은 크기의 자재를 가공할 때 적합합니다. 목선반은 회전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기계이므로, 이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둥근톱이 가장 적합한 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그림은 목재를 모서리 부분에서 이음한 것이다. 홈이음(Box Joint)은 어느 것인가?

(정답률: 71%)
  • 정답은 ""이다. 이유는 목재를 모서리 부분에서 이음할 때, 상호 보완적인 형태로 홈과 돌출부를 만들어서 서로 꼭 맞게 이어지는 것을 홈이음(Box Joint)이라고 한다. 그림에서 보면 홈과 돌출부가 상호 보완적인 형태로 이어져 있으므로 홈이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부재의 폭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고자 할 때 어떻게 하는 방법이 가장 옳은가?

  1. 자를 부재에 직각되게 하여 나눈다.
  2. 디바이더로 나눈다.
  3. 자를 부재에 경사지게 놓고 자의 눈을 같은 간격으로 하여 나눈다.
  4. 그무개로 하나씩 나눈다.
(정답률: 70%)
  • 자를 부재에 직각되게 자르면 부재의 두 면이 정확히 수직이어야 하므로 부재의 표면이 평평하지 않으면 정확한 간격으로 나눌 수 없습니다. 디바이더로 나누는 방법은 정확한 간격으로 나눌 수 있지만, 디바이더의 정확한 위치를 설정하기 어렵고, 디바이더의 크기에 따라 간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무개로 하나씩 나누는 방법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정확한 간격으로 나누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자를 부재에 경사지게 놓고 자의 눈을 같은 간격으로 하여 나누는 것이 가장 옳은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부재의 표면이 평평하지 않아도 자의 눈을 따라서 자르면 정확한 간격으로 나눌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나사못으로 접합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나사못은 미리 사용할 널 두께의 2.5 - 3.0배 되는 것을 갖추어 놓는다.
  2. 송곳의 지름은 나사못의 지름보다 약간(1/2 - 1/3) 작은 것과 나사못의 지름보다 약간 큰 것이 좋다.
  3. 접시송곳으로 나사못의 머리 두께에 맞추어 나사못의 머리자리를 만든다.
  4. 송곳으로 지름이 나사못 지름의 1/5 - 1/6 정도 되고 깊이가 나사못의 길이의 1/10 정도 예비구멍을 뚫는다.
(정답률: 54%)
  • 정답은 "송곳의 지름은 나사못의 지름보다 약간(1/2 - 1/3) 작은 것과 나사못의 지름보다 약간 큰 것이 좋다."입니다. 송곳의 지름이 너무 작으면 나사못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고, 너무 크면 나사못이 흔들리면서 고정력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약간 작거나 큰 송곳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비구멍의 경우, 송곳의 지름이 너무 작으면 예비구멍이 너무 깊어져서 나사못이 고정되지 않고, 너무 크면 나사못이 흔들리면서 고정력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적절한 크기의 예비구멍을 뚫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이음과 맞춤에서의 유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재료는 가급적 적게 깎아낸다.
  2. 공작이 간단한 것을 쓰며 모양에 치중하지 않는다.
  3. 이음, 맞춤은 응력이 집중하는 곳에 설치해야 효과가 높다.
  4. 이음, 맞춤의 단면은 응력의 방향에 직각으로 한다.
(정답률: 77%)
  • "이음, 맞춤은 응력이 집중하는 곳에 설치해야 효과가 높다."가 옳은 이유는, 이음과 맞춤은 구조물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 부분에 강도가 높은 이음과 맞춤을 설치해야 구조물의 강도와 안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음과 맞춤을 설치할 때는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을 고려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좋은 아교를 선별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 투명체이고 황색을 띤 백색이어야 한다.
  2. 유리와 같은 광택이 있어야 한다.
  3. 건조되고 단단한 것이어야 한다.
  4. 잘린 것이 규칙적인 것이어야 한다.
(정답률: 74%)
  • 잘린 것이 규칙적인 것이어야 한다는 것은 아교가 규칙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아교가 건강하고 성장이 잘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며, 따라서 옳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목재접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벼운 목재가 접착시키기 쉽다.
  2. 함수율이 높은 나무가 접착시키기 쉽다.
  3. 굳은나무가 접착시키기 쉽다.
  4. 변재가 접착시키기 쉽다.
(정답률: 57%)
  • 가벼운 목재는 밀도가 낮기 때문에 접착 시 표면적이 크게 노출되어 접착제가 잘 흡수되고, 또한 목재 내부로의 침투도 용이하기 때문에 접착이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장부맞춤의 먹줄치기 하는 방법을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먹줄 넣을 부재가 많을 때는 여러 부재를 일시에 넣도록 한다.
  2. 장부용 그무개와 장부구멍용 그무개를 따로 따로 준비한다.
  3. 부재의 재축 방향으로 심먹금을 친다.
  4. 장부 그무개를 사용할때는 자판은 항상 기준면에 대고 줄을 긋는다.
(정답률: 71%)
  • "장부용 그무개와 장부구멍용 그무개를 따로 따로 준비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장부용 그무개와 장부구멍용 그무개는 각각의 용도에 맞게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에 혼용해서 사용하면 정확한 먹줄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각의 그무개를 따로 준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각재로 그림과 같은 장부를 만들 때 올바른 순서는?

  1. c,d의 장부 켜기를 한 다음 a,b의 어깨자르기를 한다.
  2. a,b의 장부 어깨자르기를 한 다음 c,d의 장부켜기를 한다.
  3. a,c의 자르기와 켜기를 한 다음 b,d의 자르기와 켜기를 한다.
  4. c,d부분을 1/2 정도 켠 다음 a,b의 장부어깨 자르기를 한다.
(정답률: 82%)
  • 장부를 만들 때는 일반적으로 켜기(작성)와 어깨자르기(확인)의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먼저 켜기를 한 후에 어깨자르기를 하는 것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그리고 c,d의 장부를 먼저 켜고 a,b의 어깨자르기를 하는 것이 좋은 이유는, c,d의 장부가 먼저 완성되어야 a,b의 어깨자르기를 할 때 c,d의 장부 내용도 함께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d의 장부 켜기를 한 다음 a,b의 어깨자르기를 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맞댐 쪽매에서 대패질은 어떤 상태가 좋은가?

  1. 양끝부분을 약간 뜨게하여 양쪽에서 크램프로 조인다.
  2. 중앙부분을 약간 뜨게하여 가운데만 크램프로 조인다.
  3. 처음부터 끝까지 일직선이 좋다.
  4. 일직선으로 대패질 해놓고 사포로 문지르고 붙인다.
(정답률: 68%)
  • 중앙부분을 약간 뜨게하여 가운데만 크램프로 조인하는 것이 좋은 이유는 대패질을 할 때 중앙부분이 더 두껍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앙부분을 뜨게 조인하면 두께가 균일해지고, 더 튼튼하게 조인할 수 있습니다. 양끝부분을 뜨게 조인하면 양쪽 끝이 얇아져서 조인이 덜 튼튼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둥근톱 작동부의 사고예방에 알맞은 조치법은?

  1. 동력 저항설치
  2. 중간 방책설치
  3. 상향날 설치
  4. 절단날 설치
(정답률: 72%)
  • 둥근톱 작동부에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중간 방책설치가 가장 적절합니다. 이는 둥근톱 작동 중에 나무가 톱날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에 장애물을 설치하는 것으로, 나무가 톱날에서 떨어지는 것을 막아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동력 저항설치는 톱의 회전력을 줄여서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지만,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상향날 설치와 절단날 설치는 톱의 절단 방향을 제한하는 것으로, 둥근톱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경첩 달기에 관한 설명중 틀린 설명은?

  1. 경첩자리를 팔때 건축문에서는 양쪽에 파고 캐비넷 가구에서는 문에만 판다.
  2. 경첩의 위치는 윗가로대 밑과 아랫가로대 위에 오게하고 보통 작은 문에서는 경첩자재판에 길이만큼 아래 위에서 띄워서 붙인다.
  3. 경첩자리를 팔때 안쪽으로 약간 깊게 파야 만약에 나사못 머리끼리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경첩자리 홈을 너무 깊이파면 문을 닫았을 때 사이가 뜨고 너무 얕게 파면 문을 닫았을 때 문이 열린다.
(정답률: 59%)
  • "경첩자리 홈을 너무 깊이파면 문을 닫았을 때 사이가 뜨고 너무 얕게 파면 문을 닫았을 때 문이 열린다." 인 이유는 경첩이 너무 깊이 파여서 문과 경첩이 제대로 맞지 않으면 문이 열리지 않고, 너무 얕게 파면 경첩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문이 열리게 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틀린 설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정치수가 325 × 672㎜되는 울거미판을 대량으로 만들려고 할때 합판은 몇㎜로 재단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325 × 672㎜
  2. 330 × 677㎜
  3. 335 × 682㎜
  4. 345 × 692㎜
(정답률: 71%)
  • 울거미판의 크기가 325 × 672㎜이므로, 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최소한 325㎜ × 672㎜ 크기의 합판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보다 큰 합판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합판을 재단할 때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합판의 크기가 조금 더 크면 오차가 발생해도 울거미판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기 중에서 합판의 크기가 가장 적절한 것은 "335 × 682㎜"입니다. 이 크기의 합판을 사용하면, 울거미판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크기인 325 × 672㎜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합판을 재단할 때 발생하는 오차도 커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울거미판의 제작순서로 옳은 것은?

  1. 심재재단 - 합판재단 - 심재조립 - 접착
  2. 합판재단 - 심재재단 - 심재조립 - 접착
  3. 심재조립 - 심재재단 - 합판재단 - 접착
  4. 합판재단 - 심재조립 - 심재재단 - 접착
(정답률: 77%)
  • 합판재단은 여러 재질을 합쳐서 만든 합판을 만드는 과정이고, 심재재단은 합판에 들어갈 심재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심재재단이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 합판재단이 이루어지고, 합판에 심재를 조립합니다. 마지막으로 접착 과정을 거쳐 합판과 심재가 고정됩니다. 따라서 옳은 제작순서는 "심재재단 - 합판재단 - 심재조립 - 접착"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짧은장부 맞춤가공시 장부길이와 장부구멍깊이의 관계는?

  1. 장부길이와 장부구멍의 깊이를 똑같게 가공한다.
  2. 장부구멍의 깊이를 1 - 2 ㎜ 더 판다.
  3. 장부길이를 1 - 2 ㎜ 더 길게 한다.
  4. 장부구멍의 깊이를 5㎜ 더 판다.
(정답률: 75%)
  • 짧은 장부를 맞춤가공할 때, 장부길이와 장부구멍의 깊이는 서로 비례하는 관계에 있습니다. 즉, 장부길이가 길어질수록 장부구멍의 깊이도 깊어져야 합니다. 이는 장부의 내용물이 많아질수록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장부구멍의 깊이를 1 - 2 ㎜ 더 판다."가 정답인 이유는, 장부길이와 장부구멍의 깊이를 똑같게 가공하면 내용물이 많아질 경우에 공간이 부족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장부구멍의 깊이를 5㎜ 더 판다는 것은 너무 깊어져서 장부의 내용물이 불편하게 들어갈 수 있으므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목재의 가공기계 중 성형기계가 아닌 것은?

  1. 루우터기계
  2. 보링기
  3. 면취기
  4. 핑거조인트 기계
(정답률: 51%)
  • 보링기는 목재를 구멍 내기 위한 기계로, 성형이 아닌 가공 기계에 해당합니다. 반면, 루우터기계는 목재를 성형하기 위한 기계, 면취기는 목재의 표면을 깎아내는 기계, 핑거조인트 기계는 목재를 접합하기 위한 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못 박기시 지지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목재의 함수율
  2. 못의 길이
  3. 못머리의 형태
  4. 못의 굵기
(정답률: 81%)
  • 못 박기시 지지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못의 길이, 못의 굵기, 목재의 함수율입니다. 하지만 못머리의 형태는 못이 목재에 박혀서 고정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지지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못머리의 형태"는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둥근톱 기계 사용시 부재 윗면에 둥근톱의 톱날이 나오는 적당한 높이는?

  1. 2 ∼ 3 ㎜
  2. 3 ∼ 5 ㎜
  3. 8 ∼ 10 ㎜
  4. 10 ∼ 15 ㎜
(정답률: 62%)
  • 둥근톱 기계를 사용할 때 부재 윗면에 둥근톱의 톱날이 나오는 적당한 높이는 3~5mm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너무 낮으면 톱날이 부재를 제대로 자를 수 없다.
    2. 너무 높으면 톱날이 부재를 자를 때 힘이 들어가며, 톱날이 빠져나가거나 부재가 흔들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3. 따라서 적당한 높이인 3~5mm로 설정하여 부재를 안정적으로 자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가공된 몰딩을 최종 샌딩하는 기계는?

  1. 스핀들샌더
  2. 벨트샌더
  3. 몰딩샌더
  4. 나이프 연마기
(정답률: 85%)
  • 몰딩샌더는 몰딩과 같은 곡면 형태의 작은 부품을 샌딩할 수 있는 특수한 샌딩 기계입니다. 스핀들샌더와 벨트샌더는 대형 부품을 샌딩하는 데 주로 사용되며, 나이프 연마기는 칼날과 같은 날카로운 부품을 연마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몰딩을 최종 샌딩하는 기계는 몰딩샌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싱글 에지벤더의 작업공정과정을 바르게 열거한 것은?

  1. 부재투입-본드도포-접착-에지절단-프레스-트리밍-수작업
  2. 부재투입-에지절단-본드도포-접착-트리밍-프레스-수작업
  3. 부재투입-트리밍-에지절단-본드도포-접착-프레스-수작업
  4. 부재투입-프레스-본드도포-접착-트리밍-에지절단-수작업
(정답률: 56%)
  • 싱글 에지벤더의 작업공정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부재투입: 에지벤더에 부재를 투입합니다.
    2. 본드도포: 부재에 접착제를 도포합니다.
    3. 접착: 접착제가 도포된 부재와 에지를 접착시킵니다.
    4. 에지절단: 접착된 부재와 에지를 절단합니다.
    5. 프레스: 절단된 부재와 에지를 프레스로 압착합니다.
    6. 트리밍: 프레스로 압착된 부재와 에지를 정확한 크기로 다듬습니다.
    7. 수작업: 마지막으로 수작업으로 마무리 작업을 합니다.

    따라서, "부재투입-본드도포-접착-에지절단-프레스-트리밍-수작업"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톱니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자르는니
  2. 켜는니
  3. 막니
  4. 오니
(정답률: 85%)
  • "오니"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톱니 종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나머지 세 가지 톱니 종류는 실제로 사용되는 톱니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그림의 접합의 명칭은 무엇인가?

  1. 연귀
  2. 반연귀
  3. 안촉연귀
  4. 밖촉연귀
(정답률: 80%)
  • 정답은 "연귀"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두 개의 동일한 도형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도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연귀"는 두 개 이상의 도형이 연결되어 하나의 도형으로 이루어진 접합의 명칭입니다. "반연귀"는 두 개의 도형이 반으로 잘려서 연결된 경우를 말하며, "안촉연귀"는 두 개의 도형이 안으로 살짝 들어가서 연결된 경우를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밖촉연귀"는 두 개의 도형이 밖으로 살짝 나와서 연결된 경우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그림의 이음 명칭은?

  1. 빗이음
  2. 엇빗이음
  3. 반턱이음
  4. 턱솔이음
(정답률: 86%)
  • 이 그림의 이음 명칭은 "반턱이음"입니다. 이유는 두 가닥의 나무를 이음으로써 만들어진 이음이 반톱처럼 생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